KR100923807B1 - 폐액 회수 장치, 중계기 및 액체 분사 장치 - Google Patents

폐액 회수 장치, 중계기 및 액체 분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807B1
KR100923807B1 KR1020077016627A KR20077016627A KR100923807B1 KR 100923807 B1 KR100923807 B1 KR 100923807B1 KR 1020077016627 A KR1020077016627 A KR 1020077016627A KR 20077016627 A KR20077016627 A KR 20077016627A KR 100923807 B1 KR100923807 B1 KR 100923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liquid
waste liquid
tank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4797A (ko
Inventor
히로토 나카무라
다카히로 나카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72055A external-priority patent/JP441584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72054A external-priority patent/JP44004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72056A external-priority patent/JP4415849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4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8Ink recirculation systems
    • B41J2/185Ink-collectors; Ink-catc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2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by driving a fluid through the nozzles to the outside thereof, e.g. by applying pressure to the inside or vacuum at the outside of the print head
    • B41J2/16523Waste ink transport from caps or spittoons, e.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21Collecting waste ink; Collecto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폐액 탱크(35)는 프린터(1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폐액 탱크(35)로부터 연장되는 관로(37)의 상류단에 마련된 접속구(37a)는 중계기(31)에 접속되어 있다. 중계기(31)는 프린터(11)의 기록 헤드(18)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 펌프(29)의 배출측에 대하여 관로(34)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폐액 회수 장치, 중계기 및 액체 분사 장치{WASTE LIQUID RECOVERY APPARATUS, RELAY AND LIQUID JET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 헤드를 구비한 액체 분사 장치 등에 있어서 분사 헤드의 노즐로부터 흡인한 액체를 폐액으로서 회수하는데 사용되는 폐액 회수 장치, 및 그 폐액 회수 장치를 구비한 액체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분사 장치에 있어서 분사 헤드와, 그 분사 헤드의 노즐로부터 흡인한 액체를 폐액으로서 저류하는 폐액 탱크를 접속하기 위한 중계기, 및 그 중계기를 구비한 액체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사 헤드와, 그 분사 헤드에 공급되는 액체를 저류하는 탱크를 접속하기 위한 중계기, 및 그 중계기를 구비한 액체 분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분사 헤드의 노즐로부터 액체를 도트 형상으로 분사하는 액체 분사 기구를 갖는 액체 분사 장치로서, 잉크젯식 프린터가 알려져 있다. 잉크젯식 프린터에는, 잉크 카트리지를 캐리지상에 탑재하는 온-캐리지 타입의 잉크 공급 시스템을 구비한 것과, 잉크 카트리지를 캐리지 이외의 장소, 예를 들면 프린터 본체에 탑재하는 오프-캐리지 타입의 잉크 공급 시스템을 구비한 것이 있다. 오프-캐리지 타입의 잉크 공급 시스템을 구비한 프린터에 의하면, 대량 인쇄나 대형 사이즈 인쇄를 위 한 대용량의 잉크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잉크 카트리지를 탑재하지 않는 것에 의해 캐리지를 소형화하고, 프린터 전체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오프-캐리지 타입의 잉크 공급 시스템을 구비한 프린터에 있어서는, 잉크 카트리지가 프린터의 프레임내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탑재되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의 용량이 제한된다. 이 때문에, 대량인 인쇄물을 연속해서 인쇄할 경우 등에 있어서는, 잉크 카트리지를 빈번하게 교환할 필요가 있고, 그 작업이 번거롭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에 개시되는 잉크 공급 장치가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잉크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스탠드상에 복수의 잉크 공급용 카트리지를 구비한 탱크가 프린터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고, 각 잉크 공급용 카트리지에는 잉크 공급 덕트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의 잉크 공급 덕트를 프린터의 잉크 카트리지에 접속시킴으로써, 잉크 공급용 카트리지로부터 잉크 공급 덕트를 거쳐서 프린터의 잉크 카트리지에 잉크가 자동적으로 공급되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잉크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잉크 카트리지의 대신에 어태치먼트(attachment)가 프린터의 캐리지상에 장착되어 있고, 그 어태치먼트에 대하여 외부의 잉크 탱크로부터 잉크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 종류의 프린터에 있어서는, 분사 헤드로서의 기록 헤드의 노즐 부분에서 잉크가 건조 및 경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프레임의 일 측부의 인 쇄 범위외 영역(기록 헤드의 홈 포지션(home position)에 대응하는 위치)에 폐잉크를 흡인하기 위한 장치가 배설되어 있다. 이 폐잉크 흡인 장치는, 흡인 펌프와, 그 흡인 펌프에 관로를 거쳐서 접속된 폐액 탱크로 구성되어 있다. 흡인 펌프에 의해 기록 헤드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흡인함으로써, 그 잉크가 폐액으로서 폐액 탱크에 회수된다.
그러나, 이러한 폐잉크 흡인 장치를 구비한 프린터에 있어서는, 폐액 탱크가 프레임내의 한정된 스페이스에 탑재되기 때문에, 폐액의 회수 용량이 제한된다. 따라서, 전술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된 종래의 잉크 공급 장치를 장착하고, 대량인 인쇄물을 연속해서 인쇄할 수 있도록 구성했을 경우라도, 폐액을 회수하는 폐잉크 흡인 장치의 제약을 받는 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대량 인쇄를 실행하는 것이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잉크 공급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잉크 공급 덕트를 프린터의 잉크 카트리지에 접속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잉크 공급 시스템이 오프-캐리지 타입의 경우는, 각 잉크 공급 덕트의 선단을 프린터상의 대응하는 잉크 카트리지에 직접 접속할 필요가 있지만, 잉크 카트리지는 이러한 접속에 대응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에 대하여, 예를 들면 사용자 스스로가 잉크 덕트의 접속이 가능하게 되도록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있고, 접속을 위한 사전 가공이 매우 번거롭다.
특허문헌 1의 잉크 공급 장치를 온-캐리지 타입의 잉크 공급 시스템이 장착 된 프린터에 사용할 경우에도 잉크 공급 덕트를 캐리지상의 잉크 카트리지에 접속 할 필요가 있지만, 접속에 이르기까지의 사전 가공이 매우 번거로운 것은 오프-캐리지 타입의 경우와 상이하지 않다.
또한, 특허문헌 2의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의 대신에 어태치먼트가 캐리지상에 탑재되어 있고, 잉크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튜브가 어태치먼트에 접속된다. 그러나, 이 특허문헌 2의 잉크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는, 캐리지에 대한 탑재 중량이 잉크 카트리지를 탑재했을 경우와 크게 상이하고, 이 때문에 캐리지의 동작에 악영향이 발생하고, 인쇄 품질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구성에 있어서는, 프린터 외부의 잉크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튜브를 캐리지상의 카트리지에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튜브가 방해되고, 캐리지의 주행 영역의 상방의 커버가 닫힐 수 없다. 따라서, 프린터내에 먼지가 침입하기 쉬워져, 프린터의 외관이 나빠진다. 특히, 특허문헌 2의 구성에 있어서는, 캐리지상의 어태치먼트에 튜브를 접속한 상태에서, 캐리지가 왕복 이동되기 때문에, 이 캐리지의 왕복 운동시에 튜브도 이동한다. 이 때, 외부의 잉크 탱크의 설치 위치가 부적절하면, 캐리지의 이동에 의해 튜브에 무리한 인장력이나 굽힘 등이 작용하고, 결과적으로 캐리지의 이동에 대하여 무리한 부하가 작용하거나, 잉크의 원활 공급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해서, 이러한 경우에는 고품질 인쇄의 장해로 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특허문헌 1 : 중국실용신안등록 공고 제 CN2355886 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326732 호 공보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폐액 탱크의 대용량화가 가능한 폐액 회수 장치, 및 그 폐액 회수 장치를 구비한 액체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폐액 탱크에 대하여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중계기, 및 그 중계기를 구비한 액체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상술한 것 같은 문제를 생기는 일이 없이, 분사 헤드와 그 분사 헤드에 공급되는 액체를 저류하는 탱크를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는 중계기, 및 그 중계기를 구비한 액체 분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액체 분사 기구의 외부에 배치해서 사용되는 폐액 회수 장치를 제공한다. 그 폐액 회수 장치는, 액체 분사 기구에 마련된 분사 헤드의 노즐로부터 액체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 펌프의 배출측에 대하여 접속 가능한 접속구를 갖는 폐액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액체 분사 장치를 제공한다. 그 액체 분사 장치는, 노즐로부터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 헤드와, 분사 헤드의 액체 비분사 시기에 동 분사 헤드의 노즐로부터 액체를 흡인하는 흡인 펌프를 포함하는 액체 분사 기구와, 상기 폐액 회수 장치를 구비한다.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류단 및 하류단을 갖는 폐액 중계 통로를 구비하는 중계기를 제공한다. 폐액 중계 통로의 상류단에는 분사 헤드의 노즐로부터 액체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 펌프의 배출측에 접속되는 펌프측 접속구가 마련되고, 폐액 중계 통로의 하류단에는 흡인 펌프에서 흡인된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액체 분사 장치를 제공한다. 그 액체 분사 장치는,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 헤드와, 그 분사 헤드의 노즐로부터 액체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 펌프를 구비한다. 흡인 펌프의 배출측에는 상기 중계기의 펌프측 접속구가 관로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류단 및 하류단을 갖는 중계 통로를 구비하는 중계기를 제공한다. 중계 통로의 상류단에는 액체를 저류하는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관로에 접속되는 탱크측 접속구가 마련되고, 중계 통로의 하류단에는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관로에 접속되는 헤드측 접속구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액체 분사 장치를 제공한다. 그 액체 분사 장치는, 목표물(target)에 대하여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 헤드와, 장착부를 갖는 장치 프레임을 구비한다. 장착부에는 상기 중계기가 장착되어 있고, 그 중계기의 헤드측 접속구에는 관로를 거쳐서 분사 헤드가 접속되어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의 프린터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프린터 시스템의 프린터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프린터의 잉크 흡인 장치 및 폐액 회수 장치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폐액 회수 장치에 있어서의 중계기의 밸브 기구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요부 분해 단면도.
도 5는 제 2 실시 형태의 프린터 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
도 6은 도 5의 프린터 시스템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중계기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중계기의 밸브 기구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요부 분해 단면도.
도 8은 제 3 실시 형태의 프린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프린터의 폐잉크 흡인 장치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폐잉크 흡인 장치에 있어서의 중계기의 밸브 기구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요부 분해 단면도.
도 11은 제 4 실시 형태의 프린터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중계기의 밸브 기구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요부 분해 단면도.
도 13은 제 5 실시 형태의 프린터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14는 제 6 실시 형태의 프린터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중계기의 밸브 기구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요부 분해 단면도.
도 16은 제 7 실시 형태의 프린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프린터의 중계기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요부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중계기의 밸브 기구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요부 분해 단면도.
도 19는 제 8 실시 형태의 프린터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20 도 19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중계기의 밸브 기구를 확대해서 도시하는 요부 분해 단면도.
이하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4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 형태의 액체 분사 시스템으로서의 프린터 시스템에 있어서는, 복수의 액체 분사 장치로서의 잉크젯식 프린터(11)가 병설되어 있다. 그것들의 프린터(11)의 후방에는 폐액 회수 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폐액 탱크(35)가 배설되어 있다. 폐액 탱크(35)로부터는 복수의 제 2 폐액 관로(37)가 연장되어 있고, 각 제 2 폐액 관로(37)의 선단은 대응하는 프린터(11)의 후방부에 마련된 폐액용의 중계기(31)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프린터(11)에 있어서는, 프레임(12)에 플래튼(13)이 가설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종이 이송 기구에 의해, 이 플래튼(13)위로 인쇄 매체로서의 용지(P)가 급송되게 되어 있다. 프레임(12)에는 가이드 부재(14)가 플래튼(13)과 평행으로 가설되고, 이 가이드 부재(14)에는 캐리지(15)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캐리지(15)는 타이밍 벨트(16)를 거쳐서 캐리지용 모터(17)에 작동 연결되어 있다. 캐리지(15)는 캐리지용 모터(17)의 구동을 따라서, 가이드 부재(14)에 따라 소정 범위내를 왕복 이동한다.
플래튼(13)과 대향하는 캐리지(15)의 면에는 액체 분사 기구를 구성하는 분사 헤드로서의 기록 헤드(18)가 탑재되어 있다. 캐리지(15) 위에는 기록 헤드(18)에 액체로서의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6개의 밸브 유닛(19)이 탑재되어 있다. 이것들의 밸브 유닛(19)은 프린터(11)에 사용되는 6색(6종류)의 잉크를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류한다. 기록 헤드(18)에는 하방으로 향해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노즐이 마련되어 있고, 밸브 유닛(19)을 거쳐서 이것들의 노즐로부터 목표물로서의 용지(P) 위로 잉크가 도트 형상으로 분사되어서 인쇄가 행하여진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2)의 후방부에는 오목 형상의 제 1 장착부(20A) 및 제 2 장착부(20B)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장착부(20A)내의 일 측부에는 6개의 잉크 카트리지(21)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것들의 잉크 카트리지(21)에는 서로 색이 상이한 잉크가 저류되어 있다. 각 잉크 카트리지(21)에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는 공급 관로(22)가 접속되어 있고, 각 공급 관로(22)의 선단이 기록 헤드(18)가 대응하는 밸브 유닛(19)에 접속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가압 펌프에서의 공기압에 의해, 각 잉크 카트리지(21)로부터 공급 관로(22)를 거쳐서, 기록 헤드(18)의 밸브 유닛(19)에 잉크는 공급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2)의 일 측부의 인쇄 범위외 영역이며 기록 헤드(18)의 홈 포지션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기록 헤드(18)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흡인하기 위한 잉크 흡인 장치(25)가 배설되어 있다. 이 잉크 흡인 장치(25)는 상면에 개구를 갖는 편평한 거의 사각 상자형의 캡(26)과, 그 캡(26)의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잉크 튜브(27)와, 그 잉크 튜브(27)의 입구 부근에 마련된 체크 밸브(28)와, 잉크 튜브(27)의 출구 부근에 마련된 액체 분사 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튜브 펌프로 되는 흡인 펌프(29)를 구비하고 있다. 캡(26)내에는 잉크를 포함한 흡수체(스폰지)(30)가 배설되어 있다. 비인쇄시에 캐리지(15)가 홈 포지션으로 이동되면,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캡(26)이 상승해서 기록 헤드(18)의 노즐을 덮는다. 그 결과, 노즐에 남아 있는 잉크의 건조가 억제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2)의 제 2 장착부(20B)에는 상기 폐액용의 중계기(31)가 분리 불가능으로 장착되어 있다. 중계기(31)의 후면은 프레임(12)의 외부에 노출하고 있다. 이 중계기(31)의 본체(32)는 사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본체(32)내에는 폐액 중계 통로(33)가 형성되어 있다. 폐액 중계 통로(33)의 전단에는 원통형의 펌프측 접속구(33a)가 본체(32)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동시에, 폐액 중계 통로(33)의 후단에는 원통형의 배출구(33b)가 본체(32)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다. 펌프측 접속구(33a)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 1 폐액 관로(34)를 거쳐서 상기 흡인 펌프(29)(보다 상세하게는 흡인 펌프(29)의 배출측)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2)의 외부에 있어서 프레임(12)의 후방에는 폐액 회수 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폐액 탱크(35)가 배설되고, 그 내부에는 잉크 흡수체(36)가 적층해서 배치되어 있다. 폐액 탱크(35)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 2 폐액 관로(37)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뤄지고, 각 제 2 폐액 관로(37)의 선단의 접속구(37a)(환언하면, 폐액 탱크(35)의 접속구(37a))는 중계기(31)의 배출구(33b)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계 기(31)의 배출구(33b)의 외주에는 나사부(38)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폐액 관로(37)의 헤드측 접속구로서의 접속구(37a)에는 너트(39)가 지지통(40)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너트(39)를 나사부(38)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제 2 폐액 관로(37)의 접속구(37a)가 중계기(31)의 배출구(33b)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기 중계기(31)의 배출구(33b)와 제 2 폐액 관로(37)의 접속구(37a)와의 접속 부분에는 폐쇄 수단으로서의 밸브 기구(4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밸브 기구(41)는 지지통(40)내에 마련된 밸브 시트(42)와, 그 밸브 시트(42)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밸브 본체(43)와, 그 밸브 본체(43)를 밸브 시트(42)를 향해서 가압하는 스프링(44)과, 밸브 본체(43)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중계기(31)의 배출구(33b)에 돌출설치된 관통 구멍(45a)을 갖는 개폐 도그(dog)(45)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폐액 관로(37)의 접속구(37a)가 중계기(31)의 배출구(33b)에 접속되면, 개폐 도그(45)에 의해 밸브 본체(43)가 가압되어서 밸브 본체(43)가 밸브 시트(42)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밸브 기구(41)는 개방 상태가 된다. 즉, 제 2 폐액 관로(37)의 접속구(37a)는 개방된다. 반대로, 접속구(37a)가 배출구(33b)로부터 분리되면, 스프링(44)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 본체(43)가 밸브 시트(42)에 접촉하고, 밸브 기구(41)는 폐쇄 상태가 된다. 즉, 제 2 폐액 관로(37)의 접속구(37a)는 폐쇄된다.
상기 제 2 폐액 관로(37)의 접속구(37a)가 중계기(31)의 배출구(33b)에 접속된 상태에서, 캡(26)에 의해 기록 헤드(18)의 노즐이 덮어지는 동시에, 흡인 펌 프(29)가 구동되면, 기록 헤드(18)의 노즐 부근에 부착되어 있는 고점도의 잉크나 진애 등이 잉크 튜브(27)를 거쳐서 흡인 펌프(29)에 흡인된다. 이 흡인된 잉크 등은 폐액으로서, 제 1 폐액 관로(34), 폐액 중계 통로(33) 및 제 2 폐액 관로(37)를 거쳐서 폐액 탱크(35)에 배출되어서, 흡수체(36)에 흡수된 상태에서 폐액 탱크(35)에 저류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폐액 회수 장치를 구비하는 프린터(1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프레임(12)의 후방에 배치된 폐액 탱크(35)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폐액 관로(37)의 선단의 접속구(37a)가 각각 중계기(31)의 배출구(33b)에 접속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프린터(11)가 인쇄 동작하면, 캐리지(15)가 가이드 부재(14)에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각 잉크 카트리지(21)내에 저류된 잉크가 공급 관로(22)를 거쳐서 밸브 유닛(19)에 공급되어, 기록 헤드(18)의 노즐로부터 잉크가 용지(P) 위로 분사되어서 인쇄가 행하여진다.
프린터(11)의 인쇄 동작을 중지시키면, 캐리지(15)는 잉크 흡인 장치(25)의 캡(26)과 대응하는 홈 포지션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하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26)에 의해 기록 헤드(18)의 노즐이 피복되어, 노즐의 건조가 억제된다.
기록 헤드(18)의 노즐을 클리닝하기 위한 스위치가 조작되었을 경우, 인쇄중의 소정의 타이밍에 도달했을 경우, 혹은 잉크 카트리지(21)의 교환이 행하여질 경우 등에도, 인쇄 동작의 중지시와 같이, 캐리지(15)가 홈 포지션으로 이동하고, 캡(26)에 의해 기록 헤드(18)의 노즐이 덮어진다.
노즐이 캡(26)에 덮힌 상태에서 흡인 펌프(29)가 구동되면, 노즐 부근에 부착되어 있는 고점도의 잉크나 진애 등이 흡인되고, 이 흡인된 잉크 등은 제 1 폐액 관로(34), 폐액 중계 통로(33) 및 제 2 폐액 관로(37)를 거쳐서 폐액 탱크(35)에 배출되어서, 흡수체(36)에 흡수된 상태에서 폐액 탱크(35)에 저류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폐액 탱크(35)가 프린터(11)의 프레임(12)의 외부에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12)내의 수용 스페이스에 의해 폐액 탱크(35)의 용량이 제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대용량의 폐액 탱크(35)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흡인 펌프(29)에 의해 기록 헤드(18)의 노즐로부터 흡인한 폐액을 폐액 탱크(35)내에 연속해서 회수할 수 있다.
폐액 탱크(35)내에 폐액이 가득차서 회수되었을 경우에는, 폐액 탱크(35)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에는, 그 가득찬 폐액 탱크(35)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폐액 관로(37)의 선단의 너트(39)를 중계기(31)의 배출구(33b)의 나사부(38)로부터 분리하고, 제 2 폐액 관로(37)의 선단의 접속구(37a)를 배출구(33b)로부터 분리시킨다. 그 후, 가득찬 폐액 탱크(35)를 빈 다른 폐액 탱크와 교환하고, 그 빈 폐액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폐액 관로의 선단의 너트를 중계기(31)의 배출구(33b)의 나사부(38)에 나사 결합시켜서, 제 2 폐액 관로의 접속구(37a)를 배출구(33b)에 접속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계기(31)를 거쳐서 폐액 탱크(35)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폐액 관로(37)가 흡인 펌프(29)의 배출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폐액 관로(34)에 대하여 분리 및 접속된다. 이 때문에, 그것들의 폐액 관로(34, 37) 사이의 분리 및 접속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고, 폐액 탱크(35)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폐액 관로(37)가 플렉시블 튜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폐액 탱크(35)가 프레임(12)의 후방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중계기(31)의 배출구(33b)에 대하여 제 2 폐액 관로(37)를 간단히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고, 폐액 탱크(35)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폐액 관로(37)의 접속구(37a)와 중계기(31)의 배출구(33b)의 접속 부분에 밸브 기구(41)가 마련되어 있고, 그 접속 부분의 분리시에 밸브 기구(41)가 폐쇄 상태로 되기 때문에, 폐액 탱크(35)의 교환시에, 폐액이 누출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제 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복수의 프린터(11)의 외부에 대용량의 폐액 탱크(35)가 배치되어, 그 폐액 탱크(35)는 각 프린터(11)의 흡인 펌프(29)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기록 헤드(18)의 노즐로부터 흡인된 잉크를 폐액 탱크(35)에 연속해서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고, 대량인 인쇄를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프린터(11)에 대하여 1개의 폐액 탱크(35)밖에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전체의 시스템을 콤팩트로 할 수 있는 동시에 그 구성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11)가 폐액 탱크(35)를 장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프린터(11)그 자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중계기(31)의 배출구(33b)에 대하여, 즉 흡인 펌프(29)의 배출측에 대하여, 폐액 탱크(35)의 제 2 폐액 관로(37)의 접속구(37a)가 착탈 가능하기 때문에, 폐액 탱크(35)를 흡인 펌프(29)의 배출측에 대하여 간단히 접속 및 분리하는 것이 가능 하고, 폐액 탱크(35)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폐액 탱크(35)의 접속구(37a)가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 2 폐액 관로(37)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환언하면, 제 2 폐액 관로(37)가 플렉시블 튜브로 되기 때문에), 플렉시블 튜브의 변형을 이용함으로써, 폐액 탱크(35)를 프린터(11)의 외부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제 2 폐액 관로(37)의 접속구(37a)를 중계기(31)의 배출구(33b)에 대하여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제 2 폐액 관로(37)의 접속구(37a)에는, 제 2 폐액 관로(37)가 중계기(31)와 접속하고 있을 때에는 접속구(37a)를 개방하는 동시에 제 2 폐액 관로(37)가 중계기(31)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접속구(37a)를 폐쇄하는 밸브 기구(41)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접속구(37a)를 중계기(31)의 배출구(33b)로부터 분리해서 폐액 탱크(35)의 교환을 실행할 경우에, 잉크가 누출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를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2 실시 형태의 프린터 시스템에 있어서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 형태의 잉크 카트리지(21)가 생략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12)의 후방부에는,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장착부(20A) 및 제 2 장착부(20B) 대신에 장착부(20)가 마련되어 있고, 그 장착부(20)에는, 제 1 실시 형태의 폐액용의 중계기(31) 대신에, 공급액 및 폐액에 공용의 중계기(51)가 분리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중계기(51)의 후면은 프레임(12)의 외부에 노출하고 있다. 이 중계기(51)의 본체(52)내에는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1개의 폐액 중계 통로(33)와, 복수의 공급액 중계 통로(53)가 소정 간격을 두고서 서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폐액 중계 통로(33)의 전단에는 원통형의 펌프측 접속구(33a)가 본체(52)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동시에, 폐액 중계 통로(33)의 후단에는 원통형의 배출구(33b)가 본체(52)에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펌프측 접속구(33a)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뤄지는 제 1 폐액 관로(34)를 거쳐서 흡인 펌프(29)에 접속되어 있다. 각 공급액 중계 통로(53)의 전단에는 원통형의 헤드측 접속구(53a)가 본체(52)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동시에, 각 공급액 중계 통로(53)의 후단에는 원통형의 탱크측 접속구(53b)가 본체(52)에서 돌출형성되어 있다. 각 공급액 중계 통로(53)의 헤드측 접속구(53a)에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 1 공급 관로(54)의 상류단이 접속 고정되어 있고, 각 제 1 공급 관로(54)의 하류단은 기록 헤드(18)의 밸브 유닛(1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2)의 후방에는 케이스로서의 탱크 홀더(55)가 배설되어 있다. 탱크 홀더(55)내에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폐액 탱크(35)와, 서로 색이 상이한 잉크를 저류한 6개의 대용량의 공급액 탱크(56)가 각각 독립해서 취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즉, 이것들의 탱크(35, 56)는 탱크 홀더(55)에 수용되는 상태에서 일체화되어 있다. 폐액 탱크(35)에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 2 폐액 관로(37)의 하류단이 접속 고정되어 있고, 각 제 2 폐액 관로(37)의 상류단은 중계기(51)의 폐액 중계 통로(33)의 배출구(33b)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각 공급액 탱크(56)에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 2 공급 관로(57)의 상류단이 접속 고정되고, 각 제 2 공급 관로(57)의 하류단은 중계기(51)의 공급액 중계 통로(53)의 탱크측 접속구(53b)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중계기(31)와 제 2 폐액 관로(37)의 접속 부분과 같이, 배출구(33b) 및 탱크측 접속구(53b)의 외주에 각각 형성된 나사부(38, 58)와, 제 2 폐액 관로(37) 및 제 2 공급 관로(57)의 선단에 각각 지지통(40, 60)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너트(39, 59)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제 2 폐액 관로(37) 및 제 2 공급 관로(57)가 각각 배출구(33b) 및 탱크측 접속구(53b)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 2 공급 관로(57)와 탱크측 접속구(53b)의 접속 부분에는 각각 폐쇄 수단으로서의 밸브 기구(6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밸브 기구(61)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의 밸브 기구(41)와 같이, 제 2 공급 관로(57)의 지지통(60)내에 마련된 밸브 시트(62)와, 밸브 본체(63)와, 스프링(64)과, 탱크측 접속구(53b)에 돌출설치된 관통 구멍(65a)을 갖는 개폐 도그(65)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공급 관로(57)가 탱크측 접속구(53b)에 접속되면(환언하면, 공급액 탱크(56)가 기록 헤드(18)에 접속되면), 개폐 도그(65)에 의해 밸브 본체(63)가 가압되어서 밸브 본체(63)가 밸브 시트(62)에서 이격된다. 그 결과, 밸브 기구(61)는 개방 상태가 된다. 즉, 제 2 공급 관로(57)는 개방된다. 반대로, 제 2 공급 관로(57)가 탱크측 접속구(53b)로부터 분리되면(환언하면, 공급액 탱크(56)가 기록 헤드(18)로부터 분리되면), 스프링(64)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 본체(63)가 밸브 시트(62)에 접촉하고, 밸브 기구(61)는 폐쇄 상태가 된다. 즉, 제 2 공급 관로(57)는 폐쇄된다. 한편, 상기 제 2 폐액 관 로(37)와 배출구(33b)의 접속 부분에는 상기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밸브 기구(41)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각 공급액 중계 통로(53)내에 위치하도록, 각 탱크측 접속구(53b)의 내부에는 필터(66)가 배설되어 있다. 각 제 2 공급 관로(57)가 중계기(51)의 탱크측 접속구(53b)에 접속된 상태 시에, 도시하지 않은 가압 펌프로부터의 공기압에 의해, 각 공급액 탱크(56)로부터 제 2 공급 관로(57), 중계기(51) 및 제 1 공급 관로(54)를 거쳐서, 기록 헤드(18)의 밸브 유닛(19)에 잉크는 공급된다. 이 경우, 중계기(51)의 공급액 중계 통로(53)내에 있어서, 필터(66)에 의해 잉크에 포함되는 불순물 등이 여과된다.
이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공급액 탱크(56)가 프린터(11)의 프레임(12)의 외부에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12)내의 수용 스페이스에 의해 공급액 탱크(56)의 용량이 제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대용량의 공급액 탱크(56)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공급액 탱크(56)를 빈번하게 교환하지 않아도, 기록 헤드(18)에 잉크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대량인 인쇄 작업을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공급 관로(54)가 플렉시블 튜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 헤드(18)가 이동하면서 인쇄 동작이 행하여질 때에, 제 1 공급 관로(54)는 기록 헤드(18)에 추종해서 용이하게 변형한다. 따라서, 제 1 공급 관로(54)에 의해 기록 헤드(18)의 이동이나 잉크의 공급을 방해할 수 있는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폐액 탱크(35) 및 공급액 탱크(56)가 탱크 홀더(55)에 대하여 취출 가능하게 수용 지지되어 있고, 폐액 탱크(35) 및 공 급액 탱크(56)는 탱크 홀더(55)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폐액 탱크(35) 및 공급액 탱크(56)를 1개소에 정리해서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그것들의 탱크(35, 56)의 취급이나 탈착 교환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공급액 탱크(56)내의 잉크가 모두 소비되었을 경우에는, 공급액 탱크(56)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에는, 공급액 탱크(56)에서 연장되는 제 2 공급 관로(57)의 선단의 너트(59)를 중계기(51)의 탱크측 접속구(53b)의 나사부(58)로부터 분리하고, 제 2 공급 관로(57)를 중계기(51)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 잉크가 가득찬 별도의 공급액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공급 관로의 선단의 너트를 중계기(51)의 탱크측 접속구(53b)의 나사부(58)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제 2 공급 관로(57)와 중계기(51)의 탱크측 접속구(53b)의 접속 및 분리는 간단하고, 빈 공급액 탱크(56)를 잉크가 채워진 별도의 공급액 탱크와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공급 관로(57)가 플렉시블 튜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액 탱크(56)가 프레임(12)의 후방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탱크측 접속구(53b)에 대하여 제 2 공급 관로(57)를 간단하게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고, 공급액 탱크(56)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공급 관로(57)의 선단과 중계기(51)의 탱크측 접속구(53b)의 접속 부분에 밸브 기구(61)가 마련되어 있고, 그 접속 부분의 분리시에 밸브 기구(61)가 폐쇄 상태가 되기 때문에, 공급액 탱크(56)의 교환시에 잉크가 누출할 우려를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의한 이점에 추가해서, 이 제 2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의 프린터 시스템은, 기록 헤드(18)에 공급되는 잉크를 대량으로 저류 가능한 공급액 탱크(56)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액 탱크(56)로부터 기록 헤드(18)에 잉크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대량의 인쇄를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다.
공급액 탱크(56)와 중계기(51)의 사이의 제 2 공급 관로(57)가 플렉시블 튜브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튜브의 변형을 이용해서 공급액 탱크(56)를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동시에, 공급액 탱크(56)를 중계기(51)에 대하여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제 2 공급 관로(57)의 상류단에는, 중계기(51)와의 접속시에 개방 상태가 되는 동시에 중계기(51)로부터의 분리시에 폐쇄 상태가 되는 밸브 기구(61)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공급액 탱크(56)의 교환 등을 실행할 경우에, 잉크가 누출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폐액 탱크(35) 및 공급액 탱크(56)가 하나의 탱크 홀더(55)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탱크 전체를 콤팩트로 구성할 수 있는 동시에, 폐액 탱크(35) 및 공급액 탱크(56)의 교환 작업 등의 취급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서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헤드(18)에 6개의 밸브 유닛(19)을 마련하는 동시에, 프레임(12)에 6개의 잉크 카트리지(21)를 장비하고 있지만, 이 밸브 유 닛(19) 및 잉크 카트리지(21)의 수는 몇개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단색 인쇄용의 프린터이면 밸브 유닛(19) 및 잉크 카트리지(21)의 수는 각각 1개이면 좋고,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의 4색 인쇄용의 프린터이면 밸브 유닛(19) 및 잉크 카트리지(21)의 수는 각각 4개이면 좋다.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헤드(18)에 6개의 밸브 유닛(19)을 마련하는 동시에, 탱크 홀더(55)에 6개의 공급액 탱크(56)를 장비하고 있지만, 이 밸브 유닛(19) 및 공급액 탱크(56)의 수는 몇개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단색 인쇄용의 프린터이라면 밸브 유닛(19) 및 공급액 탱크(56)의 수는 각각 1개이면 좋고,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의 4색 인쇄용의 프린터이면 밸브 유닛(19) 및 공급액 탱크(56)의 수는 각각 4개이면 좋다.
상기 제 1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계기(31)는 프레임(12)의 후방부의 장착부(20A, 20B)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단지, 이 경우에는, 중계기(31)의 전면에 돌출설치된 펌프측 접속구(33a)가 제 1 폐액 관로(3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계기(51)는 프레임(12)의 후방부의 장착부(2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단지, 이 경우에는, 중계기(51)의 전면에 돌출설치된 헤드측 접속구(53a)가 제 1 공급 관로(5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 프레임(12)의 후방부의 장착부(20)에는 잉크 및 폐액에 공통인 중계기(51) 대신에, 잉크용의 중계기와 폐액용의 중계기가 장착되어도 좋다.
상기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공급액 탱크(56) 및 폐액 탱크(35)가 1개의 탱크 홀더(55)에 대하여 취출 가능하게 수용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그것들의 탱크(56, 35)를 프린터(11)의 프레임(12)의 후방에 별개로 배치해도 좋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프린터 시스템이 독립한 복수의 프린터(11)에 의해 구성되어, 각 프린터(11)가 관로(37)를 거쳐서 1개의 폐액 탱크(35)에 접속되어 있다. 그러나, 1개의 프레임 위로 탑재되고, 또한 각각 기록 헤드를 갖는 복수의 프린터 기구에 의해 프린터 시스템은 구성되어도 좋다. 각 프린터 기구는 프레임의 후방에 배설된 1개의 폐액 탱크(35)에 접속되어도 좋다.
폐액 탱크(35)와 접속되는 프린터(11)의 수는 반드시 복수가 아니어도 좋고, 하나만이라도 좋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공급액 탱크(56)로부터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가압 펌프를 마련했지만, 가압 펌프를 마련하는 대신에, 수두차를 이용해서 잉크 공급이 행하여져도 좋다.
상기 공급 관로(22), 제 1 폐액 관로(34), 제 2 폐액 관로(37), 제 1 공급 관로(54) 또는 제 2 공급 관로(57)의 일부분을 플렉시블 튜브로 형성하고, 나머지의 부분을 스테인리스스틸 등의 금속 혹은 경질 합성 수지 등의 강체로 형성해도 좋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밸브 기구(41, 61)를 생략해도 좋다. 그 경우, 공급 관로(22), 제 1 폐액 관로(34), 제 2 폐액 관로(37), 제 1 공 급 관로(54), 제 2 공급 관로(57), 폐액 중계 통로(33) 또는 공급액 중계 통로(53)의 단부 개구가 노출되었을 때에 그 개구를 막기 위한 캡을 마련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캡이 폐쇄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 형태의 잉크젯식 프린터(11)를 잉크 이외의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로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면, 액정 모니터나 전계발광(electroluminescence : EL) 디스플레이, 면발광 디스플레이(FED)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전극재나 색재 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바이오 칩 제조에 사용되는 생체유기물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정밀 피펫으로서의 시료 분사 장치라도 좋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를 도 8 내지 도 10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 형태의 액체 분사 장치로서의 잉크젯식 프린터(111)에 있어서는, 프레임(112)에 플래튼(113)이 가설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종이 보내기 기구에 의해, 이 플래튼(113) 위로 인쇄 매체로서의 용지(P)가 급송되게 되어 있다. 프레임(112)에는 가이드 부재(114)가 플래튼(113)과 평행으로 가설되고, 이 가이드 부재(114)에는 캐리지(115)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캐리지(115)는 타이밍 벨트(116)를 거쳐서 캐리지용 모터(117)에 작동 연결되어 있다. 캐리지(115)는 캐리지용 모터(117)의 구동을 따라서, 가이드 부재(114)4에 따라 소정 범위내를 왕복 이동한다.
플래튼(113)과 대향하는 캐리지(115)의 면에는, 분사 헤드로서의 기록 헤드(118)가 탑재되어 있다. 캐리지(115) 위로는 기록 헤드(118)에 액체로서의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6개의 밸브 유닛(119)이 탑재되어 있다. 이것들의 밸브 유닛(119)은 프린터(111)에 사용되는 6색(6종류)의 잉크를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류한다. 기록 헤드(118)에는 하방으로 향해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노즐이 마련되어 있고, 이것들의 노즐로부터 목표물로서의 용지(P) 위로 잉크가 도트 형상으로 분사되어서 인쇄가 행하여진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2)의 후방부에는 오목 형상의 제 1 장착부(120A) 및 제 2 장착부(120B)가 마련되어 있다. 제 1 장착부(120A)내의 일 측부에는 6개의 잉크 카트리지(121)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것들의 잉크 카트리지(121)에는 서로 6색의 다른 잉크가 저류되어 있다. 각 잉크 카트리지(121)에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는 공급 관로(122)가 접속되어 있고, 각 공급 관로(122)의 선단이 기록 헤드(118)의 대응하는 밸브 유닛(119)에 접속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가압 펌프에서의 공기압에 의해, 각 잉크 카트리지(121)로부터 공급 관로(122)를 거쳐서, 기록 헤드(118)의 밸브 유닛(119)에 잉크는 공급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12)의 일 측부의 인쇄 범위외 영역이며 기록 헤드(118)의 홈 포지션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기록 헤드(118)의 노즐로부터 잉크를 흡인하기 위한 잉크 흡인 장치(125)가 배설되어 있다. 이 잉크 흡인 장치(125)는, 상면에 개구를 갖는 편평한 거의 사각상자형의 승강 가능한 캡(126)과, 그 캡(126)의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잉크 튜브(127)와, 그 잉크 튜브(127)의 입구 부근에 마련된 체크 밸브(128)와, 잉크 튜브(127)의 출구 부근에 마련된 스퀴즈식(squeeze-type)의 튜브 펌프로 되는 흡인 펌프(129)를 구비하고 있 다. 캡(126)내에는 잉크를 포함한 흡수체(스폰지)(130)가 배설되어 있다. 비인쇄시에 캐리지(115)가 홈 포지션으로 이동되면,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캡(126)이 상승해서 기록 헤드(118)의 노즐을 덮는다. 그 결과, 노즐에 남아 있는 잉크의 건조가 억제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2)의 제 2 장착부(120B)에는 폐액용의 중계기(131)가 분리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중계기(131)의 후면은 프레임(112)의 외부에 노출하고 있다. 이 중계기(131)의 본체(132)는 사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본체(132)내에는 폐액 중계 통로(133)가 형성되어 있다. 폐액 중계 통로(133)의 전단(상류단)에는 원통형의 펌프측 접속구(133a)가 본체(132)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동시에, 폐액 중계 통로(133)의 후단(하류단)에는 원통형의 배출구(133b)가 본체(132)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다. 펌프측 접속구(133a)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 1 폐액 관로(134)를 거쳐서 상기 흡인 펌프(129)(보다 상세하게는, 흡인 펌프(129)의 배출측)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12)의 후방에는 폐액 탱크(135)가 배설되고, 그 내부에는 잉크 흡수체(136)가 적층해서 배치되어 있다. 폐액 탱크(135)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폐액 관로(137)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뤄지고, 제 2 폐액 관로(137)의 선단은 중계기(131)의 배출구(133b)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계기(131)의 배출구(133b)의 외주에는 나사부(138)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폐액 관로(137)의 선단에는 너트(139)가 지지통(140)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너트(139)를 나사부(138)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제 2 폐액 관로(137)가 배출구(133b)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기 중계기(131)의 배출구(133b)와 제 2 폐액 관로(137)의 접속 부분에는 밸브 기구(14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밸브 기구(141)는 지지통(140)내에 마련된 밸브 시트(142)와, 그 밸브 시트(142)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밸브 본체(143)와, 그 밸브 본체(143)를 밸브 시트(142)를 향해서 가압하는 스프링(144)과, 밸브 본체(143)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배출구(133b)에 돌출설치된 관통 구멍(145a)을 갖는 개폐 도그(145)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폐액 관로(137)가 배출구(133b)에 접속되면, 개폐 도그(145)에 의해 밸브 본체(143)가 가압되어서 밸브 본체(143)가 밸브 시트(142)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밸브 기구(141)는 개방 상태가 된다. 즉, 제 2 폐액 관로(137)는 개방된다. 반대로, 제 2 폐액 관로(137)가 배출구(133b)로부터 분리되면, 스프링(144)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 본체(143)가 밸브 시트(142)에 접촉하고, 밸브 기구(141)는 폐쇄 상태가 된다. 즉, 제 2 폐액 관로(137)는 폐쇄된다.
상기 제 2 폐액 관로(137)가 중계기(131)의 배출구(133b)에 접속된 상태에서, 캡(126)에 의해 기록 헤드(118)의 노즐이 덮어지는 동시에, 흡인 펌프(129)가 구동되면, 기록 헤드(118)의 노즐 부근에 부착되어 있는 고점도의 잉크나 진애 등이 잉크 튜브(127)를 거쳐서 흡인 펌프(129)에 흡인된다. 이에 의해, 기록 헤드(118)의 잉크 분사 기능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흡인 펌프(129)에 의해 흡인된 잉크 등은 폐액으로서, 제 1 폐액 관로(134), 폐액 중계 통로(133) 및 제 2 폐액 관로(137)를 거쳐서 폐액 탱크(135)에 배출되어서, 흡수체(136)에 흡수된 상태에서 폐액 탱크(135)에 저류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중계기(131)를 구비하는 프린터(11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프레임(112)의 후방에 배치된 폐액 탱크(135)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폐액 관로(137)의 선단이 중계기(131)의 배출구(133b)에 접속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프린터(111)가 인쇄 동작하면, 캐리지(115)가 가이드 부재(114)에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각 잉크 카트리지(121)내에 저류된 잉크가 공급 관로(122)를 거쳐서 밸브 유닛(119)에 공급되어, 기록 헤드(118)의 노즐로부터 잉크가 용지(P) 상에 대해서 도트 형상으로 분사되어서 인쇄가 행하여진다.
프린터(111)의 인쇄 동작을 중지시키면, 캐리지(115)는 잉크 흡인 장치(125)의 캡(126)과 대응하는 홈 포지션으로 이동한다. 그렇게 하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캡(126)이 상승해서 기록 헤드(118)의 노즐을 덮고, 캡(126)내의 흡수체(130)에 의해 노즐의 건조가 억제된다.
기록 헤드(118)의 노즐을 클리닝하기 위한 스위치(도시하지 않은)가 조작되었을 경우, 인쇄중의 적당한 타이밍에 도달했을 경우, 혹은 잉크 카트리지(121)의 교환이 행하여질 경우 등에도, 인쇄 동작의 중지시와 마찬가지로, 캐리지(115)가 홈 포지션으로 이동하고, 캡(126)에 의해 기록 헤드(118)의 노즐이 덮어진다. 이 상태에서 흡인 펌프(129)가 구동되면, 노즐 부근에 부착되고 있는 고점도의 잉크나 진애 등이 흡인되고, 이 흡인된 잉크 등은 제 1 폐액 관로(134), 폐액 중계 통로(133) 및 제 2 폐액 관로(137)를 거쳐서 폐액 탱크(135)에 배출되어서, 흡수체(136)에 흡수된 상태에서 폐액 탱크(135)에 저류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폐액 탱크(135)가 프레임(112)의 외부에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112)내의 수용 스페이스에 의해 폐액 탱크(135)의 용량이 제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대용량의 폐액 탱크(135)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단 기간중에 폐액 탱크(135)가 가득 차는 일이 없이, 흡인 펌프(129)에 의해 기록 헤드(118)의 노즐로부터 흡인한 폐액을 폐액 탱크(135)내에 연속해서 회수할 수 있다.
폐액 탱크(135)내에 폐액이 가득차서 회수되었을 경우에는, 폐액 탱크(135)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에는, 그 가득찬 폐액 탱크(135)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폐액 관로(137)의 선단의 너트(139)를 중계기(131)의 배출구(133b)의 나사부(138)로부터 분리하고, 제 2 폐액 관로(137)를 배출구(133b)에서 분리한다. 그 후, 가득찬 폐액 탱크(135)를 빈 다른 폐액 탱크와 교환하고, 그 빈 폐액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폐액 관로의 선단의 너트를 중계기(131)의 배출구(133b)의 나사부(138)에 나사 결합시켜서, 제 2 폐액 관로(137)를 배출구(133b)에 접속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계기(131)를 거쳐서 폐액 탱크(135)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폐액 관로(137)가 흡인 펌프(129)의 배출측에서 연장되는 제 1 폐액 관로(134)에 대하여 분리 및 접속된다. 이 때문에, 그것들의 폐액 관로(134, 137) 사이의 분리 및 접속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고, 폐액 탱크(135)의 교환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폐액 관로(137)가 플렉시블 튜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폐액 탱크(135)를 프레임(112)의 후방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더구나, 폐액 탱크(135)가 이렇게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중계기(131)의 배출구(133b)에 대하여 제 2 폐액 관로(137)를 간단히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고, 폐액 탱크(135)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폐액 관로(137)와 중계기(131)의 배출구(133b)의 접속 부분에 밸브 기구(141)가 마련되어 있고, 그 접속 부분의 분리시에 밸브 기구(141)가 폐쇄 상태가 되기 때문에, 폐액 탱크(135)의 교환시에 폐액이 누출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제 2 폐액 관로(137)를 거쳐서 중계기(131)의 배출구(133b)에 접속되는 폐액 탱크(135)가 프린터(111)의 프레임(112)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112)내의 수용 스페이스에 의해 폐액 탱크(135)의 용량이 제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대용량의 폐액 탱크(135)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프린터(111)는 대량 인쇄에 적합하게 대응할 수 있다.
폐액 탱크(135)내에 폐액이 가득차게 된 경우는, 중계기(131)의 펌프측 접속구(133a)로부터 제 2 폐액 관로(137)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 폐액 탱크(135)의 교환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111)에 의하면 대량 인쇄를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다.
배출구(133b)에는, 제 2 폐액 관로(137)가 중계기(131)와 접속하고 있을 때에는 제 2 폐액 관로(137)의 선단(상류단)을 개방하는 동시에 제 2 폐액 관로(137) 가 중계기(131)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제 2 폐액 관로(137)의 선단을 폐쇄하는 밸브 기구(141)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폐액 탱크(135)의 교환 등을 실행할 경우에, 폐잉크가 누출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중계기(131)를 잉크젯식 프린터(111)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기록 헤드(118)의 노즐로부터의 폐잉크를 폐액 탱크(135)에 대량으로 회수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프린터(111)에 의하면 대량 인쇄를 양호하게 실행할 수 있다. 더구나, 폐액 탱크(135)는 프린터(111)의 프레임(112)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프린터(111)의 대형화를 회피할 수 있다.
중계기(131)를 프레임(112)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120A, 120B)는 오목 형상을 이루고, 더구나 그 장착부(120A, 120B)는 프레임(112)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프린터(111)의 전방에 중계기(131)가 노출하는 일은 없고, 프린터(111)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를 상기 제 3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실시 형태의 잉크 카트리지(121) 대신에, 프레임(112)의 후방부의 제 1 장착부(120A)에 공급액용의 중계기(151)가 분리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중계기(151)의 후면은 프레임(112)의 외부에 노출하고 있다. 이 중계기(151)의 본체(152)는 사각 블록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본체(152)내에는 복수의 공급액 중계 통로(153)가 소정 간격을 두고서 서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공급액 중계 통로(153)의 전단(하류단)에는 원통형의 헤드측 접속구(153a)가 본체(152)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동시에, 각 공급액 중계 통로(153)의 후단(상류단)에는 원통형의 탱크측 접속구(153b)가 본체(152)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다. 각 공급액 중계 통로(153)의 헤드측 접속구(153a)에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 1 공급 관로(154)가 접속 고정되어 있고, 각 제 1 공급 관로(154)의 선단(하류단)은 기록 헤드(118)의 밸브 유닛(119)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12)의 후방에는 탱크 홀더(155)가 배설되어 있다. 탱크 홀더(155)내에는 서로 색이 상이한 잉크를 저류한 6개의 대용량의 공급액 탱크(156)가 취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각 공급액 탱크(156)에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 2 공급 관로(157)의 상류단이 접속 고정되고, 각 제 2 공급 관로(157)의 하류단은 중계기(151)의 공급액 중계 통로(153)의 탱크측 접속구(153b)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중계기(131)와 제 2 폐액 관로(137)의 접속 부분과 같이, 탱크측 접속구(153b)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부(158)와, 제 2 공급 관로(157)의 선단에 지지통(160)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너트(159)와의 나사 결합에 의해, 각 제 2 공급 관로(157)가 탱크측 접속구(153b)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 2 공급 관로(157)와 탱크측 접속구(153b)의 접속 부분에는 각각 밸브 기구(16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밸브 기구(161)는, 상기 제 3 실시 형태의 밸브 기구(141)와 마찬가지로, 제 2 공급 관로(157)의 지지통(160)내에 마련된 밸브 시트(162)와, 밸브 본체(163)와, 스프링(164)과, 탱크측 접속구(153b)에 돌출설치된 관통 구멍(165a)을 갖는 개폐 도그(165)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공급 관로(157)가 탱크측 접속구(153b)에 접속되면, 개폐 도그(165)에 의해 밸브 본체(163)가 가압되어서 밸브 본체(163)가 밸브 시트(162)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밸브 기구(161)는 개방 상태가 된다. 즉, 제 2 공급 관로(157)는 개방된다. 반대로, 제 2 공급 관로(157)가 탱크측 접속구(153b)로부터 분리되면, 스프링(164)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 본체(163)가 밸브 시트(162)에 접촉하고, 밸브 기구(161)는 폐쇄 상태가 된다. 즉, 제 2 공급 관로(157)는 폐쇄된다.
상기 각 공급액 중계 통로(153)내에 위치하도록, 각 탱크측 접속구(153b)의 내부에는 필터(166)가 배설되어 있다. 각 제 2 공급 관로(157)가 중계기(151)의 탱크측 접속구(153b)에 접속된 상태의 때에, 도시하지 않은 가압 펌프로부터의 공기압에 의해, 각 공급액 탱크(156)로부터 제 2 공급 관로(157), 중계기(151) 및 제 1 공급 관로(154)를 거쳐서, 기록 헤드(118)의 밸브 유닛(119)에 잉크가 공급된다. 이 경우, 중계기(151)의 공급액 중계 통로(153)내에 있어서, 필터(166)에 의해 잉크에 포함되는 불순물 등이 여과된다.
폐잉크용의 중계기(131) 및 그것에 관련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 3 실시 형태로 마찬가지다.
이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공급액 탱크(156)가 프레임(112)의 외부에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112)내의 수용 스페이스에 의해 공급액 탱크(156)의 용량이 제한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대용량의 공급액 탱크(156)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공급액 탱크(156)를 빈번하게 교환하지 않아도, 기록 헤드(118)에 잉크 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계기(131)를 거쳐서 폐액 탱크(135)를 프레임(112)의 외부에 설치한 것과 더불어, 대량의 인쇄 작업을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공급 관로(154)가 플렉시블 튜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 헤드(118)가 이동하면서 인쇄 동작이 행하여질 때에, 제 1 공급 관로(154)는 기록 헤드(118)에 추종해서 용이하게 변형한다. 따라서, 제 1 공급 관로(154)에 의해 기록 헤드(118)의 이동이나 잉크의 공급을 방해할 수 있는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공급액 탱크(156)내의 잉크가 모두 소비되었을 경우에는, 공급액 탱크(156)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에는, 공급액 탱크(156)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공급 관로(157)의 선단의 너트(159)를 중계기(151)의 탱크측 접속구(153b)의 나사부(158)로부터 분리하고, 제 2 공급 관로(157)를 중계기(151)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 잉크가 가득찬 별도의 공급액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공급 관로의 선단의 너트를 중계기(151)의 탱크측 접속구(153b)의 나사부(158)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렇게 제 2 공급 관로(157)와 탱크측 접속구(153b)의 접속 및 분리는 간단해서, 빈 공급액 탱크(156)를 잉크가 채워진 별도의 공급액 탱크와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제 2 공급 관로(157)가 플렉시블 튜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액 탱크(156)가 프레임(112)의 후방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동시에, 이렇게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탱크측 접속구(153b)에 대하여 제 2 공급 관로(157)를 간단히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고, 공급액 탱크(156)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더구나, 제 2 공급 관로(157)의 선단과 중계기(151)의 탱크 측 접속구(153b)의 접속 부분에 밸브 기구(161)가 마련되어 있어, 그 접속 부분의 분리시에 밸브 기구(161)가 폐쇄 상태가 되기 때문에, 공급액 탱크(156)의 교환시에, 잉크가 누출할 우려를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제 4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3 실시 형태에 의한 이점에 추가해서 이하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흡인 펌프(129)로부터 폐액 탱크(135)에의 폐액의 중계는 폐액용의 중계기(131)에 의해 행하여지고, 공급액 탱크(156)로부터 기록 헤드(118)에의 잉크의 중계는 공급액용의 중계기(151)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하면, 적은 부품 개수로 대량 인쇄를 실현할 수 있다.
공급액 탱크(156)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공급 관로(157)는 중계기(151)의 탱크측 접속구(153b)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공급액 탱크(156)의 교환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대량 인쇄를 연속해서 실행하는데도 바람직하다.
제 2 공급 관로(157)의 선단(하류단)에는, 제 2 공급 관로(157)가 중계기(131)와 접속하고 있을 때에는 제 2 공급 관로(157)의 선단을 개방하는 동시에 제 2 공급 관로(157)가 중계기(131)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제 2 공급 관로(157)의 선단을 폐쇄하는 밸브 기구(161)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공급액 탱크(156)의 교환 등을 실행할 경우에, 잉크가 누출할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중계기(151)의 공급액 중계 통로(153)내의 필터(166)에 의해, 기록 헤드(118)에 보내지는 잉크중의 불순물 등이 제거되기 때문에, 잉크중의 불순물 등에 의한 기록 헤드(118)의 고장이나 잉크의 분사 불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중계기(151)와 기록 헤드(118)와의 사이의 제 1 공급 관로(154)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기록 헤드(118)의 이동에 추종해서 용이하게 변형한다. 이 때문에, 기록 헤드(118)의 이동이 제 1 공급 관로(154)에 의해 방해되는 일은 없다.
중계기(151)와 공급액 탱크(156)와의 사이의 제 2 공급 관로(157)는 플렉시블 튜브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중계기(151)에 관한 제 2 공급 관로(157)의 착탈이 용이한 동시에, 공급액 탱크(156)의 설치 위치에 관해서 자유도가 크다.
중계기(151)의 제 1 장착부(120A)는 프레임(112)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프린터(111)의 전방에 중계기(151)가 노출되는 일은 없고, 프린터(111)의 외관을 양호에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를 상기 제 3 및 제 4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5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12)의 후방부에는, 제 3 및 제 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 1 장착부(120A) 및 제 2 장착부(120B) 대신에, 장착부(120)가 마련되어 있고, 그 장착부(120)에는 중계기(171)가 분리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중계기(171)의 본체(케이스)(172)에는, 상기 제 3 및 제 4 실시 형태와 같은 폐액 중계 통로(133), 및 복수의 공급액 중계 통로(153)가 서로 평행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중계기(171)는 폐액용의 중계기와 공급액용의 중계기의 양쪽의 기능을 한다.
중계기(171)의 전면에 마련된 펌프측 접속구(133a)는 제 1 폐액 관로(134)를 거쳐서 흡인 펌프(129)(보다 상세하게는, 흡인 펌프(129)의 배출측)에 접속되어 있다. 동일하게 중계기(171)의 전면에 마련된 복수의 헤드측 접속구(153a)는 각각 제 1 공급 관로(154)를 거쳐서 기록 헤드(118)의 밸브 유닛(119)에 접속되어 있다. 중계기(171)의 후면에 마련된 배출구(133b)는 제 2 폐액 관로(137)를 거쳐서 폐액 탱크(135)에 접속되어 있다. 동일하게 중계기(171)의 후면에 마련된 복수의 탱크측 접속구(153b)는 각각 제 2 공급 관로(157)를 거쳐서 공급액 탱크(156)에 접속되어 있다. 폐액 중계 통로(133)에 관한 제 1 폐액 관로(134) 및 제 2 폐액 관로(137)의 접속 구성, 및 공급액 중계 통로(153)에 관한 제 1 공급 관로(154) 및 제 2 공급 관로(157)의 접속 구성은 상기 제 3 및 제 4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 제 5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3 및 제 4 실시 형태에 의한 이점에 추가해서 이하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흡인 펌프(129)로부터 폐액 탱크(135)에의 폐액의 중계 및 공급액 탱크(156)에서 기록 헤드(118)에의 잉크의 중계는 어느 것도 하나의 중계기(171)에 의해 행하여진다. 따라서, 부품 개수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폐액 중계 통로(133)에 관한 제 1 폐액 관로(134) 및 제 2 폐액 관로(137)의 접속 및 공급액 중계 통로(153)에 관한 제 1 공급 관로(154) 및 제 2 공급 관로(157)의 접속을 1개소에 있어서 정리해서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린터(111)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6 실시 형태를 상기 제 3 내지 제 5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6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112)의 후방부에는 오목 형상의 장착부(120)가 마련되어 있어, 그 장착부(120)에는 제 5 실시 형태의 중계기(171)와 동일 구성의 중계기(171)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중계기(171)의 후면은 프레임(112)의 외부에 노출하고 있다. 장착부(120)를 구성하는 장측벽(120a)에는 소정 간격으로 나란한 복수의 제 1 맞물림 구멍(175) 및 하나의 제 2 맞물림 구멍(176)이 마련되어 있다. 각 제 1 맞물림 구멍(175)에는 기록 헤드(118)의 밸브 유닛(119)에서 연장되는 제 1 공급 관로(154)가 접속되는 동시에, 제 2 맞물림 구멍(176)에는 흡인 펌프(129)의 배출측에서 연장되는 제 1 폐액 관로(134)가 접속되어 있다. 프레임(112)의 장착부(120)에 중계기(171)를 장착시키면, 중계기(171)의 헤드측 접속구(153a)가 장착부(120)의 제 1 맞물림 구멍(175)에 맞물림 접속되는 동시에, 중계기(171)의 펌프측 접속구(133a)가 장착부(120)의 제 2 맞물림 구멍(176)에 맞물림 접속된다.
중계기(171)의 본체(172)의 한쌍의 외측면에는 판스프링(171b)이 마련되어 있고, 장착부(120)를 구성하는 한쌍의 단측벽(120b)에는 오목부(120c)가 마련되어 있다. 장착부(120)에 중계기(171)를 장착시켰을 때에 각 판스프링(171b)이 오목부(120c)에 대하여 결합함으로써, 장착부(120)에 대하여 중계기(171)가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중계기(171)의 헤드측 접속구(153a)와 장착부(120)의 제 1 맞물림 구멍(175)과의 접속 부분에는 상기 제 4 실시 형태의 밸브 기구(161)와 거의 동일 구성의 밸브 기구(161)가 마련되어 있다. 즉, 이 밸브 기구(161)는 헤드측 접속 구(153a)내에 마련된 밸브 시트(162)와, 밸브 본체(163)와, 스프링(164)과, 제 1 맞물림 구멍(175)에 돌출설치된 개폐 도그(165)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측 접속구(153a)가 제 1 맞물림 구멍(175)에 맞물림 접속되면, 개폐 도그(165)에 의해 밸브 본체(163)가 가압되어서 밸브 본체(163)가 밸브 시트(162)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밸브 기구(161)는 개방 상태가 되고, 헤드측 접속구(153a)는 개방된다. 반대로, 헤드측 접속구(153a)가 제 1 맞물림 구멍(175)으로부터 분리되면, 스프링(164)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 본체(163)가 밸브 시트(162)에 접촉한다. 그 결과, 밸브 기구(161)는 폐쇄 상태가 되고, 헤드측 접속구(153a)는 폐쇄된다. 또한, 상기 밸브 기구(161)에 근접하고, 공급액 중계 통로(153)내에는 필터(166)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중계기(171)의 펌프측 접속구(133a)와 장착부(120)의 제 2 맞물림 구멍(176)과의 접속 부분에는, 상기 제 3 실시 형태의 밸브 기구(141)와는 거의 동일 구성의 밸브 기구(141)가 마련되어 있다. 즉, 이 밸브 기구(141)는 펌프측 접속구(133a)내에 마련된 밸브 시트(142)와, 밸브 본체(143)와 스프링(144)과, 제 2 맞물림 구멍(176)에 돌출설치된 개폐 도그(145)로 구성되어 있다. 펌프측 접속구(133a)가 제 2 맞물림 구멍(176)에 맞물림 접속되면, 개폐 도그(145)에 의해 밸브 본체(143)가 가압되어서 밸브 본체(143)가 밸브 시트(142)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밸브 기구(141)는 개방 상태가 되고, 펌프측 접속구(133a)는 개방된다. 반대로, 펌프측 접속구(133a)가 제 2 맞물림 구멍(176)으로부터 분리되면, 스프링(144)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 본체(143)가 밸브 시트(142)에 접촉한다. 그 결과, 밸브 기구(141)는 폐쇄 상태가 되고, 펌프측 접속구(133a)는 폐쇄된다.
이 제 6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중계기(171)를 프레임(112)의 장착부(120)에 대하여 장착시킴으로써, 공급액 탱크(156)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공급 관로(157)를 기록 헤드(118)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공급 관로(154)에 대하여 접속할 수 있는 동시에, 폐액 탱크(135)로부터 연장되는 제 2 폐액 관로(137)를 흡인 펌프(129)로부터 연장되는 제 1 폐액 관로(134)에 대하여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171)를 장착부(120)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의해, 제 2 공급 관로(157)를 제 1 공급 관로(154)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제 2 폐액 관로(137)를 제 1 폐액 관로(134)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공급액 탱크(156)나 폐액 탱크(135)의 교환 등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중계기(171)를 장착부(120)로부터 분리하고, 헤드측 접속구(153a) 및 펌프측 접속구(133a)가 맞물림 구멍(175, 176)으로부터 분리되면, 밸브 기구(161, 141)는 폐쇄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공급액 탱크(156)나 폐액 탱크(135)의 교환시에 잉크 누설이나 폐액 누설이 생길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3 내지 제 6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서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3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헤드(118)에 6개의 밸브 유닛(119)을 마련하는 동시에, 프레임(112)에 6개의 잉크 카트리지(121)를 장비하고 있지만, 이 밸브 유닛(119) 및 잉크 카트리지(121)의 수는 몇개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단색 인쇄용의 프린터이라면 밸브 유닛(119) 및 잉크 카트리지(121)의 수는 각각 1개이 면 좋고,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의 4색 인쇄용의 프린터이면 밸브 유닛(119) 및 잉크 카트리지(121)의 수는 각각 4개이면 좋다. 상기 제 4 내지 제 6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헤드(118)에 6개의 밸브 유닛(119)을 마련하는 동시에, 탱크 홀더(155)에 6개의 공급액 탱크(156)를 장비하고 있지만, 이 밸브 유닛(119) 및 공급액 탱크(156)의 수는 몇개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단색 인쇄용의 프린터이면 밸브 유닛(119) 및 공급액 탱크(156)의 수는 각각 1개이면 좋고, 블랙, 시안, 마젠타, 옐로우의 4색 인쇄용의 프린터이면 밸브 유닛(119) 및 공급액 탱크(156)의 수는 각각 4개이면 좋다.
상기 제 3 및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폐액용의 중계기(131)가 프레임(112)의 후방부의 장착부(120)에 대하여 분리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지만, 이 중계기(131)를 제 6 실시 형태의 중계기(171)와 같이, 장착부(120)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장착해도 좋다.
상기 제 4 실시 형태에서는, 공급액용의 중계기(151)가 프레임(112)의 장착부(120)에 대하여 분리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지만, 이 중계기(151)를 제 6 실시 형태의 중계기(171)와 같이, 장착부(120)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장착해도 좋다.
상기 제 3 내지 제 6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계기(131, 151, 171)에 접속되는 관로(134, 137, 154, 157)의 일부분을 플렉시블 튜브로 형성하고, 나머지의 부분을 플렉시블 튜브 이외로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관로(134, 137, 154, 157)의 양 단부를 스테인리스스틸 등의 금속 또는 경질 합성 수지의 강체에 의해 구성하고, 그것들 양 단부의 사이의 중간 부분을 플렉시블 튜브로 형성해도 좋다.
상기 제 3 내지 제 6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밸브 기구(141, 161)를 생략해도 좋다. 이 경우, 제 2 폐액 관로(137) 또는 제 2 공급 관로(157)를 중계기(131, 151, 171)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에 제 2 폐액 관로(137) 또는 제 2 공급 관로(157)의 단부 개구를 막기 위한 캡을 마련해도 좋다.
중계기(131, 151, 171)내의 중계 통로(133, 153)를 개폐하도록 외부 조작에 의해 작동하는 밸브를 중계 통로(133, 153)내에 마련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중계 통로(133, 153)를 밸브로 폐쇄하는 것에 의해, 제 2 폐액 관로(137) 또는 제 2 공급 관로(157)를 중계기(131, 151, 171)로부터 분리시킨 때에 접속구(133a, 133b, 153a, 153b) 등으로부터 잉크가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3 내지 제 6 실시 형태의 잉크젯식 프린터(111)를 잉크 이외의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로 대체해도 좋다. 예를 들면, 액정 모니터나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면발광 디스플레이(FED)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전극재나 색재 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바이오 칩 제조에 사용되는 생체유기물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정밀 피펫으로서의 시료 분사 장치이라도 좋다.
이하에, 본 발명의 제 7 실시 형태를 도 16 내지 도 18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7 실시 형태의 액체 분사 장치로서의 잉크젯식 프린터(211)에 있어서는, 장치 프레임(212)에 플래튼(213)이 가설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종이 보내기 기구에 의해, 이 플래튼(213)상에 인쇄 매체로서의 용지(P)가 급송되게 되어 있다. 장치 프레임(212)에는 가이드 부재(214)가 플래 튼(213)과 평행하게 가설되고, 이 가이드 부재(214)에는 캐리지(215)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캐리지(215)는 타이밍 벨트(216)를 거쳐서 캐리지용 모터(217)에 작동 연결되어 있다. 캐리지(215)는 캐리지용 모터(217)의 구동을 추종해서, 가이드 부재(214)에 따라서 소정 범위내를 좌우로 왕복 이동한다. 또한, 장치 프레임(212)의 상부에는 캐리지(215)의 이동 영역의 상방을 개폐 가능하게 덮는 도시하지 않은 커버가 마련되어 있다.
플래튼(213)과 대향하는 캐리지(215)의 면에는 분사 헤드로서의 기록 헤드(218)가 탑재되어 있다. 캐리지(215)상에는 기록 헤드(218)에 액체로서의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6개의 밸브 유닛(219)이 탑재되어 있다. 이들의 밸브 유닛(219)은 프린터(211)에 사용되는 6색(6종류)의 잉크를 소정량만 내부에 일시적으로 저류한다. 기록 헤드(218)의 하면에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노즐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의 노즐로부터 용지(P)상에로 잉크가 도트 형상으로 분사되어서, 인쇄가 행하여진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장치 프레임(212)의 후방부에는 오목 형상의 장착부(220)가 마련되고, 그 장착부(220)에는 중계기(221)가 분리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중계기(221)의 후면은 장치 프레임(212)의 외부에 노출하고 있다. 이 중계기(221)의 본체(222)내에는 복수의 중계 통로(223)가 소정 간격을 두고서 서로 평행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중계 통로(223)의 전단(하류단)에는 원통형의 헤드측 접속구(223a)가 본체(222)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동시에, 각 중계 통로(223)의 후단(상류단)에는 원통형의 탱크측 접속구(223b)가 본체(222)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있다. 각 중계 통로(223)의 헤드측 접속구(223a)에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 1 관로(224)가 접속 고정되어 있고, 각 제 1 관로(224)의 선단(하류단)은 기록 헤드(218)의 밸브 유닛(219)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밸브 유닛(219)은 정량의 잉크를 저류하는 기능을 갖지 않는 것이라도 좋고, 이 경우는 제 1 관로(224)가 기록 헤드(218)의 노즐의 잉크 취입측에 접속된다.
상기 장치 프레임(212)의 후방에는 탱크(225)가 배설되어 있다. 탱크(225)의 탱크 케이스(225a)내에는 6개의 대용량의 잉크 카트리지(226)가 취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그들의 잉크 카트리지(226)내에는 서로 색이 상이한 잉크가 저류되어 있다. 각 잉크 카트리지(226)에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는 제 2 관로(227)의 상류단이 접속 고정되고, 각 제 2 관로(227)의 하류단은 중계기(221)의 중계 통로(223)의 탱크측 접속구(223b)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계기(221)의 각 탱크측 접속구(223b)의 외주에는 나사부(228)가 형성되어 있고, 각 제 2 관로(227)의 선단에는 너트(229)가 지지통(230)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들의 너트(229)를 나사부(228)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각 제 2 관로(227)가 탱크측 접속구(223b)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제 2 관로(227)와 탱크측 접속구(223b)의 접속 부분에는 각각 밸브 기구(23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밸브 기구(231)는 제 2 관로(227)의 지지통(230)내에 마련된 밸브 시트(232)와, 그 밸브 시트(232)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밸브 본체(233)와, 그 밸브 본체(233)를 밸브 시트(232)를 향해서 가압하는 스 프링(234)과, 밸브 본체(233)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탱크측 접속구(223b)에 돌출설치된 개폐 도그(23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 도그(235)에는 잉크의 통과를 허용하는 관통 구멍(235a)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관로(227)가 탱크측 접속구(223b)에 접속되면, 개폐 도그(235)에 의해 밸브 본체(233)가 가압되어서 밸브 본체(233)가 밸브 시트(232)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밸브 기구(231)는 개방 상태가 된다. 즉, 제 2 관로(227)는 개방된다. 반대로, 제 2 관로(227)가 탱크측 접속구(223b)로부터 분리되면, 스프링(234)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 본체(233)가 밸브 시트(232)에 접촉하고, 밸브 기구(231)는 폐쇄 상태가 된다. 즉, 제 2 관로(227)는 폐쇄된다.
각 제 2 관로(227)가 중계기(221)의 탱크측 접속구(223b)에 접속된 상태의 때에, 도시하지 않은 가압 펌프로부터의 공기압에 의해, 각 잉크 카트리지(226)로부터 제 2 관로(227), 중계기(221) 및 제 1 관로(224)를 거쳐서, 기록 헤드(218)의 밸브 유닛(219)에 잉크가 공급된다.
상기 각 중계 통로(223)내에 위치하도록, 각 탱크측 접속구(223b)의 내부에는 필터(236)가 배설되고, 잉크에 포함되는 불순물이나 잉크 진애 등이 여과되도록 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중계기(221)의 본체(222)의 외면에는, 자신의 식별 번호, 종별, 대응 가능한 잉크종 등의 속성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부(237)가 부착되어 있다. 이 기억부(237)와 대응하도록, 프린터(211)의 장치 프레임(212)상의 장착부(220)에는 판독 수단으로서의 판독 소자(238)가 배설되어 있다. 중계기(221)가 장착부(220)에 장착 고정된 상태의 때에, 이 판독 소자(238)에 의해 기억부(237)로부터 중계기(221)의 속성 데이터가 판독되어서, 장치 프레임(212)에 마련한 제어 장치(244)의 메모리에 기억된다. 제어 장치(244)는 판독 소자(238)와 함께 판독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제어 장치(244)는 판독 소자(238)에 의해 판독된 속성 데이터에 근거하여, 장착된 중계기(221)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는 등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장치 프레임(212)의 일 측부의 인쇄 범위외 영역이며 기록 헤드(218)의 홈 포지션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기록 헤드(218)의 노즐의 기능을 보호하기 위한 노즐 보호 장치(239)가 배설되어 있다. 이 노즐 보호 장치(239)는 상면에 개구를 갖는 사각상자형의 캡(240)과, 그 캡(240)의 바닥부로부터 연장되는 잉크 튜브(241)와, 그 잉크 튜브(241)의 도중에 마련된 튜브 펌프(242)와, 잉크 튜브(241)의 단부에 접속된 폐잉크 탱크(243)를 구비하고 있다.
비인쇄시에 캐리지(215)가 홈 포지션으로 이동되면, 캡(240)에 의해 기록 헤드(218)의 노즐이 덮여져서 노즐의 건조가 억제된다. 폐잉크 탱크(243)내에는 잉크 흡수체(도시 생략)가 배설되어 있다. 캡(240)에 의해 기록 헤드(218)의 노즐이 덮혀진 상태의 때에, 튜브 펌프(242)가 구동되면, 기록 헤드(218)의 노즐 부근에 부착되어 있는 고점도의 잉크나 진애 등이 잉크 튜브(241)를 거쳐서 폐잉크 탱크(243)에 배출되어서, 흡수체에 흡수된 상태에서 소용없게 되어 잉크 탱크(243)에 저류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중계기(221)를 구비하는 프린터(21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상태에서는, 장치 프레임(212)의 후방에 배치된 탱크 케이스(225a)상의 각 잉크 카트리지(226)에서 연장되는 제 2 관로(227)의 선단이 중계기(221)의 탱크측 접속구(223b)에 접속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프린터(211)가 인쇄 동작하면, 캐리지(215)가 가이드 부재(214)에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각 잉크 카트리지(226)내에 저류된 잉크가 제 2 관로(227), 중계기(221) 및 제 1 관로(224)를 거쳐서 밸브 유닛(219)에 공급되어서, 기록 헤드(218)의 노즐로부터 잉크가 용지(P)상에 분사된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잉크 카트리지(226)를 갖는 잉크 탱크(225)가 장치 프레임(212)의 외부에 배설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프레임(212)내의 수용 스페이스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226)의 용량이 제한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대용량의 잉크 카트리지(226)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226)를 빈번하게 교환하지 않아도, 기록 헤드(218)에 잉크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대량인 인쇄 작업을 계속해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관로(224)가 플렉시블 튜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 헤드(218)가 이동하면서 인쇄 동작이 행하여질 때에, 제 1 관로(224)는 기록 헤드(218)에 추종해서 용이하게 변형한다. 따라서, 제 1 관로(224)에 의해 기록 헤드(218)의 이동이나 잉크의 공급을 방해할 수 있는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226)내의 잉크가 모두 소비되었을 경우에는, 잉크 카트리지(226)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에는, 빈 잉크 카트리지(226)로부터 연장 되는 제 2 관로(227)의 선단의 너트(229)를 중계기(221)의 탱크측 접속구(223b)의 나사부(228)로부터 분리해서, 제 2 관로(227)를 탱크측 접속구(223b)로부터 분리한다. 그 후, 빈 잉크 카트리지(226)를 탱크 케이스(225a)로부터 분리하고 그 대신에 잉크가 가득찬 새로운 잉크 카트리지(226)를 탱크 케이스(225a)에 장착시키고, 그 새로운 잉크 카트리지(226)의 제 2 관로(227)의 선단의 너트(229)를 중계기(221)의 탱크측 접속구(223b)의 나사부(228)에 나사 결합시켜서, 제 2 관로(227)를 탱크측 접속구(223b)에 접속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계기(221)를 거쳐서 잉크 카트리지(226)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관로(227)를 기록 헤드(218)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관로(224)에 대하여 분리 및 접속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관로(224, 227) 사이의 분리 및 접속을 간단하고 또한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고, 잉크 카트리지(226)의 교환 조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관로(227)가 플렉시블 튜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226)가 장치 프레임(212)의 후방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중계기(221)의 탱크측 접속구(223b)에 대하여 제 2 관로(227)를 간단히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여, 잉크 카트리지(226)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2 관로(227)의 선단과 중계기(221)의 탱크측 접속구(223b)의 접속 부분에 밸브 기구(231)가 마련되어 있고, 그 접속 부분의 분리시에 밸브 기구(231)가 폐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226)의 교환시에, 잉크가 누출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제 7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프린터(211)의 장치 프레임(212)에 마련된 중계기(221)는 중계 통로(223)를 갖고, 그 중계 통로(223)의 일단에는 헤드측 접속구(223a)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탱크측 접속구(223b)가 마련되어 있다. 그 헤드측 접속구(223a)에는 기록 헤드(218)가 접속되는 동시에, 탱크측 접속구(223b)에는 탱크(225)의 카트리지(226)가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226)에 가공을 가하거나, 접속용의 조인트를 형성하는 일이 없고, 탱크(225)와 기록 헤드(218)를 중계기(221)를 거쳐서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탱크(225)와 기록 헤드(218)가 접속한 상태에서 잉크를 탱크(225)내에서 중계 통로(223)를 거쳐서 기록 헤드(218)에 대하여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211)의 크기나 형상 등에 관계없이, 대용량의 탱크(225)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탱크(225)가 기록 헤드(218)에 직접 접속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탱크(225)와 기록 헤드(218)의 사이에 관로가 연장되는 것에 따라 프린터(211)의 도시하지 않은 상기 커버를 폐쇄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우려가 없다. 그 결과, 프린터(211)내에의 진애의 침입이나, 외관의 악화를 커버에 의해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계기(221)가 장착부(220)내에 배치되어 있으면, 기록 헤드(218)가 왕복 이동해도, 중계기(221)와 기록 헤드(218)의 사이의 제 1 관로(224) 등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프린터(211)의 캐리지(215)에 어태치먼트를 탑재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캐리지(215)의 탑재 중량이 어태치먼트에 의해 크게 변화되어 버리는 일이 없고, 캐리지(215)의 이동 동작에 관한 어태치먼트에 의한 악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고품질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중계기(221)에는 중계 통로(223)가 복수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 헤드(218)의 복수의 노즐에 대하여 각각 다른 종류의 잉크를 별개로 공급할 경우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중계기(221)를 잉크젯 타입의 프린터(211)에 적합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계 통로(223)의 내부에 필터(236)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에 포함되는 불순물 등을 기록 헤드(218)에의 공급 도중에 있어서 여과하는 것이 가능하고, 기록 헤드(218)의 막힘 등의 사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중계기(221)가 기억부(237)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중계기(221)의 식별 번호나 종별 등의 속성을 미리 기억부(237)에 설정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중계기(221)를 프린터(211)의 잉크 경로에 이용하는 경우, 잉크의 종류 등의 관리를 유효하게 실행할 수 있다.
중계기(221)의 탱크측 접속구(223b)에는 탱크(225)로부터의 제 2 관로(227)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너트(229) 등을 포함하는 구성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탱크측 접속구(223b)에 제 2 관로(227)를 간단히 착탈할 수 있는 동시에, 탱크측 접속구(223b)에 제 2 관로(227)가 접속한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탱크측 접속구(223b)에는 제 2 관로(227)의 분리시에 폐쇄 상태가 되는 밸브 기구(231)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관로(227)의 분리와 수반해서 탱크(225)의 교환 등을 실행할 경우에, 탱크측 접속구(223b)로부터 잉크가 누출할 우려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관로(224) 및 제 2 관로(227)는 플렉시블 튜브로 되기 때문에, 기록 헤드(218)의 이동에 추종해서 용이하게 변형한다. 그 때문에, 기록 헤드(218)의 이동이나 액체의 공급이 제 1 관로(224) 및 제 2 관로(227)에 의해 방해할 수 있는 우려를 억제할 수 있다.
프린터(211)에는 중계기(221)에 마련된 기억부(237)의 내용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 수단을 구성하는 판독 소자(238) 및 제어 장치(24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판독 소자(238) 및 제어 장치(244)에 의해 중계기(221)의 속성을 식별함으로써, 예컨대 중계기(221)의 장착 상태의 관리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중계기(221)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20)는 오목 형상을 이루고, 중계기(221)는 그 장착부(220)내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중계기(221)가 장치 프레임(212)의 외측으로 크게 돌출하는 일이 없고, 프린터(211)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장착부(220)는 프린터(211)의 장치 프레임(212)의 후방부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프린터(211)의 전방에 중계기(221)가 노출되는 일이 없고, 프린터(211)의 외관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 2 관로(227)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뤄지고, 탱크측 접속구(223b)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튜브의 휨이나 휘어짐을 이용하여, 탱크(225)를 탱크측 접속구(223b)에 대하여 간단히 착탈하는 것이 가능하고, 탱크(225)의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는 동시에, 그 탱크(225)를 프린터(211) 외부의 임의의 위치에 들어가기 좋게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8 실시 형태를 상기 제 7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 8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프레임(212)의 후방부에 마련된 오목 형상의 장착부(220)에 중계기(221)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중계기(221)의 후면은 장치 프레임(212)의 외부로 노출하고 있다. 중계기(221) 및 장착부(220)에는 장착부(220)에 대하여 중계기(221)를 탄성적으로 지지시키기 위해서, 서로 결합하는 스프링(247) 및 오목부(246)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장착부(220)에는 개폐 도그(235)를 갖는 복수의 맞물림 구멍(245)이 소정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어 있고, 각 맞물림 구멍(245)에는 기록 헤드(218)의 밸브 유닛(219)으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관로(224)가 접속되어 있다. 장치 프레임(212)의 장착부(220)에 중계기(221)가 장착되면, 중계기(221)의 각 헤드측 접속구(223a)가 장착부(220)의 맞물림 구멍(245)에 맞물림 접속된다. 즉, 이 제 8 실시 형태에 있어서, 중계기(221)가 장착부(220)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헤드측 접속구(223a)가 상기 맞물림 구멍(245)에의 결합되어서 제 1 관로(224)에 접속된다. 헤드측 접속구(223a)의 외주면과 맞물림 구멍(245)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밀봉 링 등의 밀봉 수단이 마련되어 있어서, 잉크의 누설이 방지된다.
상기 중계기(221)의 헤드측 접속구(223a)와 장착부(220)의 맞물림 구멍(245)과의 접속 부분에는, 상기 제 7 실시 형태의 밸브 기구(231)와 거의 동일 구성의 밸브 기구(231)가 마련되어 있다. 즉, 이 밸브 기구(231)는 헤드측 접속구(223a) 내에 형성된 밸브 시트(232)와, 그 밸브 시트(232)에 접촉 분리 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밸브 본체(233)와, 그 밸브 본체(233)를 밸브 시트(232)를 향해서 가압하는 스프링(234)과, 밸브 본체(233)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맞물림 구멍(245)내에 마련된 개폐 도그(235)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측 접속구(223a)가 맞물림 구멍(245)에 맞물림 접속되면, 개폐 도그(235)에 의해 밸브 본체(233)가 가압되어서 밸브 본체(233)가 밸브 시트(232)로부터 이격된다. 그 결과, 밸브 기구(231)는 개방 상태가 된다. 반대로, 헤드측 접속구(223a)가 맞물림 구멍(245)으로부터 분리되면, 스프링(234)의 가압력에 의해 밸브 본체(233)가 밸브 시트(232)에 접촉하고, 밸브 기구(231)는 폐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 8 실시 형태에 의하면, 중계기(221)를 장치 프레임(212)의 장착부(220)에 대하여 분리 및 장착하는 것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226)로부터 연장되는 제 2 관로(227)를 기록 헤드(218)로부터 연장되는 제 1 관로(224)에 대하여 간단히 분리 및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226)의 교환 등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중계기(221)를 장착부(220)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의해 헤드측 접속구(223a)가 맞물림 구멍(245)으로부터 분리된 때에는, 밸브 기구(231)가 폐쇄 상태가 되기 때문에, 잉크 카트리지(226)의 교환시에 잉크의 누출이 생길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 8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 7 실시 형태에 의한 이점에 추가해서 이하의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중계기(221)는 장착부(220)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중계 기(221)의 헤드측 접속구(223a)는 제 1 관로(224)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중계기(221)를 장착부(220)에 대하여 착탈함으로써 탱크(225)의 교환 등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중계기(221)는 프린터(211)의 장치 프레임(212)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중계기(221)가 장치 프레임(212)에 장착된 상태의 때에는, 중계기(221)의 헤드측 접속구(223a)와 제 1 관로(224)가 접속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중계기(221)를 장치 프레임(212)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에 의해, 기록 헤드(218)와 탱크(225)의 접속을 간단히 분리시킬 수 있고, 탱크(225)의 교환 등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중계기(221)는 장착부(220)내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계기(221)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중계기(221)의 노출 부분을 파악하는 것에 의해, 중계기(221)의 착탈을 용이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1 관로(224)와 중계기(221)의 접속 부분에는, 제 1 관로(224)가 중계기(221)로부터 분리되었을 때에 폐쇄 상태가 되는 밸브 기구(231)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중계기(221)를 장치 프레임(212)으로부터 분리할 경우에, 잉크가 누출할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7 및 제 8 실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해서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7 및 제 8 실시 형태에서는, 기록 헤드(218)에 6개의 밸브 유닛(219)을 마련하는 동시에, 탱크(225)에 6개의 잉크 카트리지(226)를 장비하고 있 지만, 이 밸브 유닛(219) 및 잉크 카트리지(226)의 수는 몇개이라도 좋다.
중계기(221)의 장착부(220)를 장치 프레임(212)의 후방부로부터 장치 프레임(212)의 측부나 하부 등의 다른 위치로 변경해도 좋다.
상기 제 1 관로(224) 및 제 2 관로(227)의 양단 부분을 스테인리스스틸 등의 금속제로 하는 동시에, 그것들 양 단부의 사이의 중간 부분을 플렉시블 튜브로 형성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중계기(221)에 관한 제 1 관로(224) 및 제 2 관로(227)의 접속 상태를 강고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플렉시블 튜브의 가스 투과에 의한 잉크의 변질을 억제할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226)의 출구부에 외부 조작 가능한 밸브 기구를 마련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탱크(225)의 교환시 등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226)의 출구를 폐쇄하는 것이 가능하고, 잉크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 펌프를 이용하는 대신에, 잉크 카트리지(226)를 기록 헤드(218)보다도 높은 위치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수두차를 이용해서 잉크 카트리지(226)로부터 기록 헤드(218)에의 잉크의 공급을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제 7 및 제 8 실시 형태의 잉크젯식 프린터(211)를 잉크 이외의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로 대체해도 좋다. 예를 들면, 액정 모니터나 전계발광 디스플레이, 면발광 디스플레이(FED)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전극재나 색재 등의 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바이오 칩 제조에 사용되는 생체유기물을 분사하는 액체 분사 장치, 정밀 피펫으로서의 시료 분사 장치이라도 좋다.

Claims (49)

  1. 분사 헤드와 상기 분사 헤드의 노즐로부터 액체를 흡수하기 위한 흡인 펌프를 포함하는 액체 분사 기구의 외부에 배치하여 사용되고, 상기 흡인 펌프의 배출측에 대하여 접속 가능한 접속구를 갖는 폐액 탱크를 구비한 폐액 회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액 탱크는 복수의 접속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접속구는 각각 상이한 액체 분사 기구가 구비하는 흡인 펌프의 배출측에 대하여 접속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 회수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인 펌프의 배출측에 대하여 접속된 상기 접속구는 상기 흡인 펌프의 배출측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 회수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는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는 관로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 회수 장치.
  5. 액체 분사 기구의 외부에 배치하여 사용되는 폐액 회수 장치에 있어서,
    액체 분사 기구에 마련된 분사 헤드의 노즐로부터 액체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 펌프의 배출측에 대하여 접속 가능한 접속구를 갖는 폐액 탱크를 구비하며,
    상기 흡인 펌프의 배출측에 대하여 접속된 상기 접속구는 상기 흡인 펌프의 배출측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접속구에는, 접속구가 흡인 펌프의 배출측에 대하여 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접속구를 개방하는 동시에, 접속구가 흡인 펌프의 배출측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접속구를 폐쇄하는 폐쇄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 회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수단은 흡인 펌프의 배출측에 대한 접속구의 접속 및 분리에 따라서 개폐되는 밸브 기구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 회수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헤드에 공급되는 공급액을 저류한 공급액 탱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 회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액 탱크는 적어도 일부가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는 다른 관로를 거쳐서 상기 분사 헤드에 대하여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 회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관로에는, 공급액 탱크와 분사 헤드가 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다른 관로를 개방하는 동시에, 공급액 탱크와 분사 헤드가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다른 관로를 폐쇄하는 폐쇄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 회수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폐액 탱크와 상기 공급액 탱크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 회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폐액 탱크 및 상기 공급액 탱크가 하나의 케이스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액 회수 장치.
  12. 노즐로부터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 헤드와, 상기 분사 헤드의 액체 비분사 시기에 상기 분사 헤드의 노즐로부터 액체를 흡인하는 흡인 펌프를 포함하는 액체 분사 기구와,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기재된 폐액 회수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상류단 및 하류단을 갖는 공급액 중계 통로를 구비하고, 상기 공급액 중계 통로의 상류단에는, 액체를 저류하는 공급액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관로에 접속되는 탱크측 접속구가 마련되고, 상기 공급액 중계 통로의 하류단에는, 공급액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관로에 접속되는 헤드측 접속구가 마련된 중계기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의 속성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액 중계 통로는 복수의 공급액 중계 통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30.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액 중계 통로 내에 마련된 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31. 삭제
  32.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측 접속구는 상기 공급액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관로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33.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측 접속구에는, 상기 공급액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관로가 탱크측 접속구에 접속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관로를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관로가 탱크측 접속구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관로를 폐쇄하는 밸브 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34.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측 접속구는 상기 분사 헤드로부터 연장되는 관로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35. 목표물(target)에 대하여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 헤드와, 장착부를 갖는 장치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장착부에는 제 28 항 또는 제 29 항에 기재된 중계기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중계기의 헤드측 접속구에는 제 1 관로를 거쳐서 분사 헤드가 접속되어 있는 액체 분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에 마련된 기억부의 내용을 판독하기 위한 판독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측 접속구에 분사 헤드를 접속하는 상기 제 1 관로의 적어도 일부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37. 삭제
  38.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장착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고, 상기 중계기가 장착부에 대하여 장착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중계기의 헤드측 접속구에 상기 제 1 관로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오목 형상을 이루고, 상기 중계기가 그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중계기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를 상기 장치 프레임의 후방부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41.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관로와 중계기의 접속 부분에는, 상기 제 1 관로가 중계기에 접속하고 있을 때에는 헤드측 접속구를 개방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관로가 중계기로부터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헤드측 접속구를 폐쇄하는 밸브 기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42. 제 35 항에 있어서,
    제 2 관로를 거쳐서 상기 중계기의 탱크측 접속구에 접속된 공급액 탱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측 접속구에 공급액 탱크를 접속하는 상기 제 2 관로의 적어도 일부는 플렉시블 튜브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관로는 탱크측 접속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44. 제 28 항에 있어서,
    상류단 및 하류단을 갖는 폐액 중계 통로를 더 구비하며, 상기 폐액 중계 통로의 상류단에는, 분사 헤드의 노즐로부터 액체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 펌프의 배출측에 접속되는 펌프측 접속구가 마련되고, 상기 폐액 중계 통로의 하류단에는, 상기 흡인 펌프로 흡인된 액체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흡인 펌프로 흡인된 액체를 폐액으로서 회수하는 폐액 탱크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46. 제 44 항 또는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폐액 중계 통로 및 상기 공급액 중계 통로를 하나의 케이스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47.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 헤드와, 상기 분사 헤드의 노즐로부터 액체를 흡인하기 위한 흡인 펌프를 구비하고, 상기 흡인 펌프의 배출측에는 제 44 항에 기재된 중계기의 펌프측 접속구가 제 3 관로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헤드는, 소정 범위 내를 왕복 이동하면서 인쇄 매체에 대하여 잉크 도트를 분사하기 위한 기록 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49.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를 액체 분사 장치의 프레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분사 장치.
KR1020077016627A 2004-12-22 2005-12-20 폐액 회수 장치, 중계기 및 액체 분사 장치 KR100923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72056 2004-12-22
JP2004372055A JP4415848B2 (ja) 2004-12-22 2004-12-22 中継器及び液体噴射装置
JPJP-P-2004-00372054 2004-12-22
JP2004372054A JP4400449B2 (ja) 2004-12-22 2004-12-22 廃液回収装置及び液体噴射装置
JPJP-P-2004-00372055 2004-12-22
JP2004372056A JP4415849B2 (ja) 2004-12-22 2004-12-22 液体噴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797A KR20070094797A (ko) 2007-09-21
KR100923807B1 true KR100923807B1 (ko) 2009-10-27

Family

ID=36601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6627A KR100923807B1 (ko) 2004-12-22 2005-12-20 폐액 회수 장치, 중계기 및 액체 분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26773B2 (ko)
EP (1) EP1832428B1 (ko)
KR (1) KR100923807B1 (ko)
AT (1) ATE511997T1 (ko)
TW (3) TWI308526B (ko)
WO (1) WO20060681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09739A1 (en) * 2007-06-14 2008-12-18 Seiko Epson Corporation Fluid supplying apparatus, fluid ejecting apparatus, and fluid supplying method
JP5384211B2 (ja) * 2009-06-12 2014-01-08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フィルター、及びそれを備え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077381B2 (ja) * 2010-03-29 2012-11-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5838572B2 (ja) * 2011-03-17 2016-01-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ー
JP5790351B2 (ja) * 2011-09-09 2015-10-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13202933A (ja) * 2012-03-28 2013-10-07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
JP6167540B2 (ja) 2013-02-05 2017-07-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吸引装置、吸引方法、吐出装置
TWI675758B (zh) * 2015-03-30 2019-11-01 日商精工愛普生股份有限公司 印刷裝置
US10464338B2 (en) * 2016-10-17 2019-11-05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discharge apparatus, clean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US11913152B2 (en) 2018-12-28 2024-02-27 Ricoh Company, Ltd. Liquid discharge apparatus, dyeing apparatus, embroidery machine, and maintenance device
US20220297434A1 (en) * 2021-03-17 2022-09-22 Ricoh Company, Ltd. Liquid discharge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318A (ja) * 1996-04-25 1998-02-03 Canon Inc 液体収容容器への液体補充方法、該補充方法を用いる液体吐出記録装置、液体補充容器、液体収容容器およびヘッドカートリッジ
KR20030074109A (ko) * 2002-03-15 2003-09-1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기밀 챔버에서의 접속 라인의 관통 구조 및 이것을 구비한 토출 장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유기 el 장치의 제조 방법, 전자 방출 장치의 제조 방법, pdp 장치의 제조 방법,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유기 el의 제조 방법, 스페이서 형성 방법, 금속 배선 형성 방법, 렌즈 형성 방법, 레지스트 형성 방법 및 광확산체 형성 방법
JP2004330484A (ja) * 2003-05-01 2004-11-25 Canon Inc インク供給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328729A (en) 1929-03-06 1930-05-08 John Frederick Holdcroft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uplings
DE3348243C2 (de) * 1982-05-11 1993-12-16 Canon Kk Reinigungseinrichtung für einen Tinentenstrahldrucker
JPH04201353A (ja) * 1990-11-30 1992-07-22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838240B2 (ja) 1991-06-07 1998-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58400A (ja) 1991-07-05 1993-01-19 Ricoh Co Ltd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JP3684022B2 (ja) 1996-04-25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補充方法、液体吐出記録装置および該液体吐出記録装置のメインタンクとして用いられるインクタンク
JPH1024613A (ja) 1996-07-09 1998-01-27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0168104A (ja) 1998-12-11 2000-06-20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2355886Y (zh) 1999-01-12 1999-12-29 张承泽 喷墨打印机自动供墨器
EP1070592A1 (en) * 1999-07-23 2001-01-24 Mutoh Industries Ltd. Ink jet print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2001063094A (ja) 1999-08-25 2001-03-13 Konica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2001136749A (ja) 1999-11-10 2001-05-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電インバータ駆動装置
JP4255595B2 (ja) 2000-02-10 2009-04-15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供給装置、記録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1225478A (ja) 2000-02-15 2001-08-21 Mutoh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AUPQ756300A0 (en) 2000-05-16 2000-06-08 Champion Imaging Systems Pty Ltd Ink supply system
JP2002019149A (ja) 2000-06-30 2002-01-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3136749A (ja) 2001-11-05 2003-05-14 Ricoh Co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3326732A (ja) 2002-05-16 2003-11-19 Canon Inc インク供給装置
JP2004130571A (ja) 2002-10-09 2004-04-30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フィルタ構造
JP2004130569A (ja) 2002-10-09 2004-04-30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循環チューブ継手
JP2004188758A (ja) 2002-12-11 2004-07-08 Canon Inc カラー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装置
JP2004195799A (ja) 2002-12-18 2004-07-15 Ricoh Co Ltd 液循環装置、液滴吐出装置及び該液滴吐出装置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305009B2 (ja) 2003-03-05 2009-07-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機能液充填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滴吐出装置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JP2004276270A (ja) 2003-03-12 2004-10-07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318A (ja) * 1996-04-25 1998-02-03 Canon Inc 液体収容容器への液体補充方法、該補充方法を用いる液体吐出記録装置、液体補充容器、液体収容容器およびヘッドカートリッジ
KR20030074109A (ko) * 2002-03-15 2003-09-1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기밀 챔버에서의 접속 라인의 관통 구조 및 이것을 구비한 토출 장치, 액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유기 el 장치의 제조 방법, 전자 방출 장치의 제조 방법, pdp 장치의 제조 방법, 전기 영동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컬러 필터의 제조 방법, 유기 el의 제조 방법, 스페이서 형성 방법, 금속 배선 형성 방법, 렌즈 형성 방법, 레지스트 형성 방법 및 광확산체 형성 방법
JP2004330484A (ja) * 2003-05-01 2004-11-25 Canon Inc インク供給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797A (ko) 2007-09-21
EP1832428B1 (en) 2011-06-08
TWI308525B (en) 2009-04-11
EP1832428A4 (en) 2008-02-27
US7726773B2 (en) 2010-06-01
TWI308524B (en) 2009-04-11
TW200840719A (en) 2008-10-16
ATE511997T1 (de) 2011-06-15
TW200836935A (en) 2008-09-16
TW200631805A (en) 2006-09-16
EP1832428A1 (en) 2007-09-12
TWI308526B (en) 2009-04-11
US20080136864A1 (en) 2008-06-12
WO2006068119A1 (ja)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807B1 (ko) 폐액 회수 장치, 중계기 및 액체 분사 장치
JP4415849B2 (ja) 液体噴射装置
US7677710B2 (en) Attachment, liquid container, and liquid supply apparatus
CN101087690A (zh) 废液回收装置、中继器以及液体喷射装置
JP4561395B2 (ja) アタッチメント及び液体供給装置
US8905529B2 (en) Inkjet recording device
US7926924B2 (en) Inkjet printer
US7422308B2 (en) Liquid ejection apparatus
JP4973764B2 (ja) 液体供給装置
US9889672B2 (en) Attachment, liquid container, and liquid supply apparatus
US9156272B2 (en) Liquid supply apparatus for avoiding erroneous installation of liquid cartridge, printer provided with the same and liquid cartridge for the same
JP4415848B2 (ja) 中継器及び液体噴射装置
JP2006264276A (ja) 洗浄液収容体及び液体噴射装置
JP3597376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インク供給処理モジュール
JP3597377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廃インク排出処理モジュール
JP5532161B2 (ja) 液体供給装置及び液体カートリッジ
JPH1120179A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H113435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KR20060007968A (ko) 무전원 정압 대용량 잉크 공급장치
JP2018065301A (ja) 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回収部
JP2006159470A (ja) 液体噴射装置および液体噴射装置の液体容器交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