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9149A - 3d 반도체 장치 - Google Patents

3d 반도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9149A
KR20110129149A KR1020100048616A KR20100048616A KR20110129149A KR 20110129149 A KR20110129149 A KR 20110129149A KR 1020100048616 A KR1020100048616 A KR 1020100048616A KR 20100048616 A KR20100048616 A KR 20100048616A KR 20110129149 A KR20110129149 A KR 20110129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p
signal
semiconductor
data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1045B1 (ko
Inventor
강욱성
장동현
장성진
이훈
김진호
김남석
문병식
이우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8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1045B1/ko
Priority to JP2011117388A priority patent/JP5735350B2/ja
Priority to TW100118370A priority patent/TWI552161B/zh
Priority to US13/115,501 priority patent/US8743582B2/en
Priority to CN201110219876.1A priority patent/CN102354519B/zh
Publication of KR20110129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149A/ko
Priority to US14/262,693 priority patent/US924582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1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1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2Disposition of storage elements, e.g. in the form of a matrix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1Internal lead connections, e.g. via connections, feedthrough structur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06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at wafer scale level, i.e. wafer scale integration [WSI]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ng storage elements electrically, e.g. by wi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ump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5/0657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50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assemblies consisting of devices, each device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or H01L29/00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04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 G11C2029/0403Detection or location of defective memory elements, e.g. cell constructio details, timing of test signals during or with feedback to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 H01L22/30Structura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r specially adapted for reliability measurements
    • H01L22/32Additional lead-in metallisation on a device or substrate, e.g. additional pads or pad portions, lines in the scribe line, sacrific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401Bonding areas specifically adapted for bump connectors, e.g. under bump metallisation [UB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001Internal layers
    • H01L2224/05005Structure
    • H01L2224/05009Bonding area integrally formed with a via connection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6Disposition
    • H01L2224/0557Disposition the external layer being disposed on a via connection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2Bonding area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01L2224/0554External layer
    • H01L2224/0556Disposition
    • H01L2224/05571Disposition the external layer being disposed in a recess of the surface
    • H01L2224/05572Disposition the external layer being disposed in a recess of the surface the external layer extending out of an op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3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1614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01L2224/161Disposition
    • H01L2224/1613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 H01L2224/16145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 H01L2224/16146Disposition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between different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i.e. chip-to-chip the bodies being stacked the bump connector connecting to a via connection in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ump connectors
    • H01L2224/1705Shape
    • H01L2224/17051Bump connectors having different sha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 plurality of bump connectors
    • H01L2224/1751Function
    • H01L2224/17515Bump connectors having different f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224/10, H01L2224/18, H01L2224/26, H01L2224/34, H01L2224/42, H01L2224/50, H01L2224/63, H01L2224/71
    • H01L2224/732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73201Location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n the same surface
    • H01L2224/73203Bump and layer connectors
    • H01L2224/73204Bump and layer connectors the bump connector being embedded into the layer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93Batch processes
    • H01L2224/94Batch processes at wafer-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wafer comprising a plurality of undiced individu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13Bump or bump-like direct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devices, e.g. flip-chip connection, solder bu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41Conductive via connections through the device, e.g. vertical interconnects, through silicon via [TSV]
    • H01L2225/06544Design considerations for via connections, e.g. geometry or layo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5/00Details relating to assemblies covered by the group H01L25/00 but not provided for in its subgroups
    • H01L2225/03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 H01L2225/04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225/065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the same subgroup of groups H01L27/00 - H01L33/648 and H10K99/00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01L27/00
    • H01L2225/06503Stacked arrangements of devices
    • H01L2225/06596Structural arrangements for tes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2Bonding area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0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0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onding area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ond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0Bump connectors ;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3Means for bonding being of different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groups H01L24/10, H01L24/18, H01L24/26, H01L24/34, H01L24/42, H01L24/50, H01L24/63, H01L24/71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93Batch processes
    • H01L24/94Batch processes at wafer-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wafer comprising a plurality of undiced individu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6Carbon [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23Vanadium [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3Arsenic [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47Silver [A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55Cesium [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3Alloys
    • H01L2924/014Solde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02Material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bodies
    • H01L2924/1025Semiconducting materials
    • H01L2924/1026Compound semiconductors
    • H01L2924/1032III-V
    • H01L2924/10329Gallium arsenide [Ga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2LAS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4Integra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51Die mounting substrate
    • H01L2924/153Connection portion
    • H01L2924/153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 H01L2924/15311Connection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being formed only on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opposite to the die mounting surface being a ball array, e.g. BG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 For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반도체 장치에 대하여 개시된다. 3D 반도체 장치는, 슬레이브 칩들은 채널들과 연결되지 않고 마스터 칩의 전극 패드들만이 채널들과 연결된다. 마스터 칩만이 채널들의 부하를 바라보게 되어 채널 부하를 갖게 된다. 동종의 반도체 칩들이 스택된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입력 경로, 데이터 출력 경로, 어드레스/커맨드 경로 그리고 클럭 경로에서 TSV 바운더리를 설정한다. TSV 바운더리가 설정되면, 마스터 칩에 존재하는 글로벌 제어 회로는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 글로벌 커맨드 발생 회로 그리고 글로벌 ODT 제어 회로에 의해 제어된다. 마스터 칩의 커맨드와 클럭 신호는 TSV를 바이패스시켜 TSV 부하를 바라보지 않게 하고, 슬레이브 칩들의 커맨드와 클럭 신호는 TSV를 거치도록 하는 TSV I/O 모듈을 채용한다. 물리적으로 동일한 칩들이 스택된 반도체 장치는 각 층별로 설계 목적에 부합하도록 구성 요소들을 서로 다르게 구성한다. 반도체 장치의 관통 전극 패드의 높이와 TSV의 돌출 높이는 서로 같게 형성되고, 관통 전극 패드에 접촉하는 범프의 두께는 관통 전극 패드의 높이 또는 관통 전극의 돌출 높이 보다 작게 형성한다. 적층된 반도체 칩들의 웨이퍼 뒷면에 분리막을 도포한다. 반도체 칩의 웨이퍼 테스트 중 셀 리페어 단계에서 반도체 칩의 칩 식별 퓨즈 커트에 의해 칩 식별 신호를 발생시키고, 프로브 패드를 이용하여 반도체 칩을 웨이퍼 테스트한다.

Description

3D 반도체 장치{3D Semiconductor devic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관통 전극을 내재한 3D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정보 기기 제품들, 예컨대 휴대 전화, 디지털 카메라, PDA 등의 소형 경량화, 고기능, 고성능화에 의하여, 반도체 패키지의 소형화, 박형화, 고밀도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아울러, 복수개의 반도체 칩들을 1개의 패키지에 탑재하는 3차원(3D) 반도체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통 전극의 배치 바운더리를 채용하고 로드-디커플드 아키텍쳐를 갖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동종의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되 반도체 칩 별로 서로 다른 회로 구성을 갖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물리적으로 동일한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더욱 다른 기술적 과제는 칩 식별 퓨즈 커트 후 웨이퍼 테스트 가능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면에 따른 반도체 장치는, 제1 반도체 칩; 및 제1 반도체 칩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반도체 칩을 구비하고, 제1 반도체 칩과 제2 반도체 칩은 관통 전극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제1 반도체 칩은 관통 전극과 연결되지 않는 전극 패드를 통하여 외부 채널과 연결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면에 따른 다수개의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상기 반도체 칩들을 관통하는 관통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상기 반도체 칩들의 데이터 입력 경로 상의 상기 관통 전극의 배치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와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 단에 설정되는 제1 바운더리, 데이터 입력 버퍼와 데이터 스트로브 입력 버퍼 직후에 설정되는 제2 바운더리, 플립플롭 직후에 설정되는 제3 바운더리, 기입 데이터 정렬부 직후에 설정되는 제4 바운더리,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 직후에 설정되는 제5 바운더리를 설정하고, 제1 내지 제5 바운더리 중 적어도 하나의 바운더리에 상기 관통 전극을 배치시킨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면에 따른 다수개의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반도체 칩들을 관통하는 관통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반도체 칩들의 커맨드/어드레스 경로 상의 관통 전극의 배치는, 어드레스 패드와 커맨드 패드 단에 설정되는 제1 바운더리, 어드레스 입력 버퍼와 커맨드 입력 버퍼 직후에 설정되는 제2 바운더리, 플립플롭들 직후에 설정되는 제3 바운더리, 어드레스 버퍼와 커맨드 버퍼 및 커맨드 디코더 직후에 설정되는 제4 바운더리, 그리고 로우 디코더와 칼럼 디코더 직후에 설정되는 제5 바운더리를 설정하고, 제1 내지 제5 바운더리 중 적어도 하나의 바운더리에 상기 관통 전극을 배치시킨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4면에 따른 다수개의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반도체 칩들을 관통하는 관통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반도체 칩들의 클럭 경로 상의 관통 전극의 배치는, 클럭 패드 단에 설정되는 제1 바운더리, 클럭 입력 버퍼 직후에 설정되는 제2 바운더리, 그리고 클럭 발생부 및 버퍼부 직후에 설정되는 제3 바운더리를 설정하고, 제1 내지 제3 바운더리 중 적어도 하나의 바운더리에 관통 전극을 배치시킨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5면에 따른 다수개의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반도체 칩들을 관통하는 관통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반도체 칩들의 데이터 출력 경로 상의 관통 전극의 배치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와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 단에 설정되는 제1 바운더리,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 직후에 설정되는 제2 바운더리, 독출 데이터 정렬부의 저장 노드들에 설정되는 제3 바운더리,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 직후 또는 독출 데이터 정렬부 직전에 설정되는 제4 바운더리,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 전단에 설정되는 제5 바운더리를 설정하고, 제1 내지 제5 바운더리 중 적어도 하나의 바운더리에 관통 전극을 배치시킨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6면에 따른 관통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1 반도체 칩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반도체 칩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제1 반도체 칩과 제2 반도체 칩 각각의 글로벌 제어 회로를 동작시키는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는, 제1 반도체 칩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신 칩 선택 신호를 발생하고, 제2 반도체 칩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다른 칩 선택 신호를 발생하고, 자신 칩 선택 신호와 다른 칩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모든 칩 선택 신호를 발생하고, 모든 칩 선택 신호는 제1 반도체 칩 또는 제2 반도체 칩이 동작될 때 마스터 칩에서 글로벌 제어 회로를 활성화시켜 제1 반도체 칩 및 제2 반도체 칩을 제어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7면에 따른 관통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1 반도체 칩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반도체 칩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제1 반도체 칩과 제2 반도체 칩 각각의 글로벌 커맨드 발생 회로는, 현재 입력되는 커맨드가 해당 칩의 커맨드임을 나타내는 자기 커맨드 신호를 발생하고, 현재 입력되는 커맨드가 제1 반도체 칩 또는 제2 반도체 칩의 커맨드임을 나타내는 모든 커맨드 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8면에 따른 관통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1 반도체 칩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반도체 칩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는, 제1 반도체 칩에서는 커맨드, 어드레스,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출력과 관련되는 신호와 연결되는 관통 전극을 바이패스시키고, 제2 반도체 칩에서는 커맨드, 어드레스,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출력과 관련되는 신호와 연결되는 관통 전극을 통과시킨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동종의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고, 상기 반도체 칩 별로 서로 다른 회로 구성을 갖는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칩 별로 칩 식별 신호를 부여하는 수단, 그리고 칩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반도체 칩 별로 구성 회로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는 로직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또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물리적으로 동일한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반도체 칩 각각은 반도체 칩의 제1 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와 관통 전극 패드, 관통 전극 패드와 연결되고 반도체 칩을 관통하여 반도체 칩의 제2 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관통 전극, 반도체 칩의 상기 제2 면에 도포된 분리막, 그리고 전극 패드와 관통 전극 패드에 접촉하는 범프들을 포함한다.
상기 또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면에 따른 물리적으로 동일한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반도체 칩 각각은 반도체 칩의 제1 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와 관통 전극 패드, 관통 전극 패드와 연결되고 반도체 칩을 관통하여 반도체 칩의 제2 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관통 전극, 그리고 전극 패드와 관통 전극 패드에 접촉하는 범프들을 포함하고, 관통 전극 패드의 높이와 관통 전극의 돌출 높이는 서로 같게 형성되고, 범프의 두께는 관통 전극 패드의 높이 또는 관통 전극의 돌출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더욱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동종의 반도체 칩들이 적층된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칩의 웨이퍼 테스트 중 셀 리페어 단계에서 반도체 칩의 칩 식별 퓨즈를 커트하여 칩 식별 신호를 발생하고,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패키지 테스트되는 반도체 칩을 프로브 패드를 이용하여 웨이퍼 테스트할 수 있는 로직 회로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반도체 장치에 의하면, 슬레이브 칩들은 채널들과 연결되지 않고 마스터 칩의 전극 패드들만이 채널들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마스터 칩만이 채널들의 부하를 바라보게 되어 채널 부하를 갖게 된다. 슬레이브 칩들은 채널과 로드-디커플링(load-decoupling)되어 데이터 입출력 속도가 향상된다.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입력 경로에서 TSV 위치를 제1 바운더리에서 제5 바운더리쪽으로 설정할수록 데이터 윈도우가 넓어지고 데이터 셋업/홀드 시간도 양호하고, 로드-디커플링 효과도 있다.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출력 경로에서 TSV 위치를 제1 바운더리에서 제5 바운더리 쪽으로 설정할수록 데이터 윈도우가 넓어지고, 클럭으로부터 데이터 스트로브-출력 억세스 시간과 데이터 스트로브 에지-투-출력 데이터 에지 시간도 DDP(Double Die Package) 수준과 동등하고, 로드-디커플링 효과도 있다. 또한, 독출 데이터가 연달아 출력되는 특성인 심리스 독출(Seamless Read) 특성도 우수하다.
반도체 장치의 어드레스/커맨드 경로에서 TSV 위치를 제1 바운더리에서 제5 바운더리 쪽으로 설정할수록 데이터 윈도우가 넓어지고 데이터 셋업/홀드 시간도 양호하고, 로드-디커플링 효과도 있다.
반도체 장치에서, 마스터 칩과 슬레이브 칩들이 이종의 칩들인 경우, 슬레이브 칩들에서 사용되지 않는 회로 블락들은 설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슬레이브 칩들의 면적이 마스터 칩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반도체 장치에서, 마스터 칩의 독출 FiFo 제어부는, 슬레이브 칩의 독출 데이터들이 마스터 칩의 독출 데이터들과 서로 다른 지연 시간을 가지고 마스터 칩에 도달하더라도, 슬레이브 칩의 독출 데이터들과 마스터 칩의 독출 데이터들이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 신호 라인들을 통하여 마스터 칩으로 전달되고, 제3 먹스부에서 슬레이브 칩의 독출 데이터들 또는 마스터 칩의 독출 데이터들을 선택적으로 독출 FiFo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커런트 번(current burn)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반도체 장치에서, 마스터 칩과 슬레이브 칩들이 모두 함께 동작되는 경우, 마스터 칩과 슬레이브 칩들을 제어하는 로직 회로들은 마스터 칩에 존재하게 된다. 데이터 출력 경로 상의 TSV 바운더리가 제4 바운더리로 결정하는 경우, 마스터 칩에 위치하는 DLL, 레이턴시 제어부, 독출 FiFo,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커맨드 및 어드레스 관련 로직 회로들이 마스터 칩과 슬레이브 칩들을 제어하는 글로벌 제어 회로가 된다. 글로벌 제어 회로는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 글로벌 커맨드 발생 회로 그리고 글로벌 ODT 제어 회로에 의하여 어떤 랭크의 칩에서 독출 동작이 이루어지더라도 동작한다.
반도체 장치에서, 마스터 칩의 커맨드와 클럭 신호는 TSV를 바이패스시켜 TSV 부하를 바라보지 않게 하고, 슬레이브 칩들의 커맨드와 클럭 신호는 TSV를 거치도록 하는 TSV I/O 모듈을 채용한다. 마스터 칩 내 레이턴시 제어부의 첫번째 플립플롭에서 독출 제어 신호와 내부 클럭 신호 사이의 마진이 감소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반도체 장치에서, 물리적으로 동일한 칩들을 조립하고, 조립 후 파워-업 됨과 동시에 칩이 전기적으로 자동 구분되도록 칩 식별 신호를 부여하는 수단과, 칩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각 층별로 구성 회로, I/O 타입 등을 전기적으로 구별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각 층별로 설계 목적에 부합하도록 구성 요소들을 서로 다르게 구성한다.
반도체 장치에서, 관통 전극 패드의 높이와 관통 전극의 돌출 높이는 서로 같게 형성되고, 관통 전극 패드에 접촉하는 범프의 두께는 관통 전극 패드의 높이 또는 관통 전극의 돌출 높이의 반 정도의 높이로 형성하여, 범프-투-웨이퍼 백 사이드 단락 현상을 방지한다.
반도체 장치에서, 적층된 반도체 칩들의 웨이퍼 뒷면에 도포된 분리막에 의해 범프-투-웨이퍼 백 사이드 단락 현상을 방지한다.
반도체 장치에서, 반도체 칩의 웨이퍼 테스트 중 셀 리페어 단계에서 반도체 칩의 칩 식별 퓨즈 커트에 의해 칩 식별 신호를 발생시키고, 프로브 패드를 이용하여 반도체 칩을 웨이퍼 테스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락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도 3은 도 1의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입력 경로 상의 TSV 바운더리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출력 경로 상의 TSV 바운더리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반도체 장치의 커맨드/어드레스 경로 상의 TSV 바운더리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반도체 장치의 클럭 경로 상의 TSV 바운더리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출 FiFo 제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비교예로 제공되며 커런트 번 현상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독출 FiFo 제어부의 동작 타이밍 다이어그램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글로벌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글로벌 제어 회로를 제어하는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커맨드 발생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칩에서의 로컬 독출 제어 경로와 글로벌 독출 제어 경로를 보여준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칩의 경로와 슬레이브 칩들의 경로가 구분되도록 설계된 TSV I/O 모듈을 보여준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리적으로 동일한 회로를 갖는 칩들에서 각 층별로 설계 목적에 부합하도록 구성 요소들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는 로직 회로를 보여준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터 칩과 제1 슬레이브 칩이 적층된 구조에서 EDS 레벨 테스트 경로와 패키지 레벨 테스트 경로를 보여준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리적으로 동일한 회로를 갖는 칩들에서 각 층별로 설계 목적에 부합하도록 I/O 타입을 서로 다르게 구현하는 로직 회로를 보여준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범프-투-웨이퍼 백 사이드 단락 현상을 방지하는 TSV-투-범프 공중 연결 방식을 보여준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범프-투-웨이퍼 백 사이드 단락 현상을 방지하는 TSV-투-범프 공중 연결 방식을 보여준다.
도 21은 적층된 반도체 칩들에서 웨이퍼 테스트시 사용되고 패키지 후 디세이블되는 회로 블락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칩 식별 퓨즈를 커트 후, 프로브 패드를 이용하여 웨이퍼 테스트할 수 있는 로직 회로를 보여준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D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D 반도체 장치(100)는 1개의 패키지에 복수개의 칩들(110, 120, 130, 140)이 탑재된 관통 전극(Through-Silicon Via) 스택(stack)을 보여준다. 칩들(110, 120, 130, 140)은 기판(150) 상에 적층된다. 기판(150)은 예컨대,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나 다른 타입의 기판일 수 있다. 칩들(110, 120, 130, 140)은 소정의 신호들이 칩-투-칩 연결들, 즉 관통 전극(16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배열된다. 관통 전극(160, 이하 "TSV"라고 칭한다)은 데이터 관통 전극, 어드레스 관통 전극, 커맨드 관통 전극, 전원 관통 전극, 접지 관통 전극 등으로 구성된다.
제1 내지 제4 칩들(110, 120, 130, 140)은 하단 면인 제1 면(112, 122, 132, 142)과 상단 면인 제2 면(114, 124, 134, 144)으로 구성된다. 제1 면(112, 122, 132, 142)에는 제1 내지 제4 칩들(110, 120, 130, 140)의 회로 패턴들(111)이 배치되고, 제2 면(114, 124, 134, 144)은 제1 내지 제4 칩들(110, 120, 130, 140)의 웨이퍼 뒷면이 된다.
기판(150) 바로 위에 적층되는 제1 메모리 칩(110)은 마스터 칩(이하, "마스터 칩"으로 칭한다)으로 동작하고, 마스터 칩(110) 위로 적층되는 제2 내지 제4 칩들(120, 130, 140)은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이하, "슬레이브 칩"이라 칭한다)로 동작한다.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은 동일한 칩들이거나 이종의 다른 칩들일 수 있다.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은 TSV(160)를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마스터 칩(110)의 제1 면(112)의 전극 패드들(116a, 116b)은 마스터 칩(110)의 회로 패턴들(111)과 연결되고, 범프들(170a, 170b)을 통하여 기판(150)의 전극들(152a, 152b)과 연결된다. 기판(150)의 전극들(152a, 152b)은 관통 전극들(154a, 154b)을 통하여 기판 배선들(156a, 156b)과 솔더 범프들(158a, 158b)과 연결된다. 솔더 범프들(158a, 158b)는 반도체 장치(100)와 외부 장치들(미도시) 사이를 연결시키는 채널들(미도시)과 연결된다.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은 채널들과 연결되지 않고 마스터 칩(110)의 전극 패드들(116a, 116b)만이 채널들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마스터 칩(110) 만이 채널들의 부하를 바라보게 된다. 즉, 마스터 칩(110) 만이 채널 부하를 갖게 된다. 이는, DDP(Double Die Package) 또는 QDP(Quad Die Package)와 같이 칩들을 단순 적층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이 채널과 로드-디커플링(load-decoupling)되어 데이터 입출력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이 동종의 칩들인 경우,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회로 블락들 중 마스터 칩(110)과 공유하는 회로 블락들, 예컨대 지연 동기 회로 블락, 데이터 입출력 회로 블락, 클럭 회로 블락 등은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오프(OFF) 상태로 묶어 둘 수 있다.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이 이종의 칩들인 경우, 마스터 칩(110)과 공유하는 회로 블락들을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에서 설계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DDP(Double Die Package) 또는 QDP(Quad Die Package)와 같이 칩들을 단순 적층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전력 소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설계되지 않는 회로 블락 만큼 칩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은 마스터 칩(110)보다 칩 사이즈가 작을 수 있다.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이 동종의 칩들인 경우에,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로드-디커플링 효과를 최적화하는 관통 전극 위치 설정 방법(이하 "TSV 바운더리 설정 방법"이라 칭한다)이 도 2 내지 도 6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2에서 설명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는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과 등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의 블락 다이어그램을 보여준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는 예시적으로, DRAM 칩일 수 있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는 복수개의 메모리 셀들이 배열되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락(205), 메모리 셀들을 어드레싱하는 로우 디코더(237)와 칼럼 디코더(238), 그리고 메모리 셀 어레이 블락(205)으로/으로부터 기입 데이터/독출 데이터를 구동하는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220)를 포함한다. 게다가,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DQ),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클럭 패드(CLK), 커맨드 패드(CMD), 그리고 어드레스 패드(ADDR)를 더 포함하고, 각 패드들(DQ, DQS, CLK, CMD, ADDR)은 입력/출력 버퍼들(210, 212, 226, 228, 230, 232, 240)과 연결된다.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로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는 입력 버퍼(210)와 플립플롭(213)으로 전달된 후, 시리얼-투-패러럴 변환부(214)에 의해 병렬 데이터로 변환되고, 병렬 데이터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락(205)에 일렬로 기입되도록 조정하는 기입 데이터 정렬부(216)를 통하여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220)로 전달된다. 데이터 입츨력 패드(DQ)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출력 버퍼(228)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메모리 셀 어레이 블락(205)과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220)로 부터 출력되는 병렬 독출 데이터는 독출 데이터 정렬부(222, 이하 "독출 FiFo(First-In/First-Out)라 칭한다)에 의해 조정된 후,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를 통해 직렬 데이터로 변환되고, 출력 버퍼(228)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로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는 입력 버퍼(212)를 거친 후 입력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로 발생되어 플립플롭(213)과 시리얼-투-패러럴 변환부(214)를 제어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의 내부 회로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출력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는 출력 버퍼(226)을 통하여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로 출력된다.
어드레스 패드(ADDR)로 입력되는 어드레스 신호는 입력 버퍼(230)와 플립플롭(233)을 통하여 어드레스 버퍼(235)로 전달된다. 커맨드 패드(232)로 입력되는 커맨드 신호는 입력 버퍼(232)와 플립플롭(234)을 통하여 커맨드 버퍼 및 커맨드 디코더(236)로 전달된다. 어드레스 버퍼(235)와 커맨드 버퍼 및 커맨드 디코더(236)로 전달된 어드레스 신호 및 커맨드 신호는 로우 디코더(237)와 칼럼 디코더(238)로 전달되어, 메모리 셀을 선택하는 워드라인과 비트라인을 활성화시킨다. 게다가, 커맨드 버퍼 및 커맨드 디코더(236)에서 발생되는 커맨드 제어 신호들은 버퍼 제어 및 클럭 게이팅부(250)로 전달되어 버퍼 제어 신호들과 클럭 게이팅 신호들로 발생된다.
클럭 패드(CLK)로 입력되는 클럭 신호는 입력 버퍼(240)를 통해 클럭 발생부 및 버퍼부(242)로 전달되어 다수개의 내부 클럭 신호들로 발생된다. 클럭 발생부 및 버퍼부(242)에서 발생되는 내부 클럭 신호들은 커맨드 버퍼 및 커맨드 디코더(236)와 기입 데이터 정렬부(216)를 제어한다. 또한, 내부 클럭 신호는 지연 동기 회로(260)로 제공되어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와 레이턴시 제어부(262)를 제어한다. 레이턴시 제어부(262)는 커맨드 버퍼 및 커맨드 디코더(236)에서 발생되는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독출 FiFo(222)를 제어한다. 버퍼 제어 및 클럭 게이팅부(250)에서 발생되는 버퍼 제어 신호들과 클럭 게이팅 신호들은 클럭 버퍼(242), 지연 동기 회로(260), 그리고 입력/출력 버퍼들(210, 212, 226, 228, 230, 232, 240)을 제어한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와 등가인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이 스택된 반도체 장치(100)에서 효과적인 TSV 바운더리 설정 방법은, 데이터 입력 경로, 데이터 출력 경로, 커맨드/어드레스 경로, 클럭 경로, 그리고 레이턴시/DLL 경로 등으로 크게 구분되어 설정된다.
도 3은 데이터 입력 경로 상의 TSV 바운더리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입력 경로 상의 주요 회로 구성은 데이터 입출력 패드(DQ),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데이터 입력 버퍼(210), 데이터 스트로브 입력 버퍼(212), 시리얼-투-패러럴 변환부(214), 기입 데이터 정렬부(216),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220), 그리고 메모리 셀 어레이 블락(205)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입력 경로에서 TSV(160)의 위치를 소정의 바운더리들로 경계지울 수 있다. 예컨대, 데이터 입출력 패드(DQ)와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단에 제1 바운더리(CaseI)를 설정하고, 데이터 입력 버퍼(210)와 데이터 스트로브 입력 버퍼(212) 직후에 제2 바운더리(CaseII)를 설정하고, 플립플롭(213) 직후에 제3 바운더리(CaseIII)를 설정하고, 기입 데이터 정렬부(216) 직후에 제4 바운더리(CaseIV)를 설정하고,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220) 직후에 제5 바운더리(CaseV)를 설정한다.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이 스택된 상태에서 TSV(160)의 위치를 제1 내지 제5 바운더리(CaseI - CaseV) 각각으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에서 TSV 바운더리의 바깥쪽 회로 블락들은 사용되지 않는다. 즉, TSV 위치를 제1 바운더리(CaseI)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DQ)와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DQ)와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가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마스터 칩(110)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DQ)와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는 반도체 장치(100)의 전극 패드들(116a, 116b)에 연결된다.
TSV 위치를 제2 바운더리(CaseII)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DQ),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데이터 입력 버퍼(210), 그리고 데이터 스트로브 입력 버퍼(212)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DQ),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데이터 입력 버퍼(210), 그리고 데이터 스트로브 입력 버퍼(212)가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TSV 위치를 제3 바운더리(CaseIII)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DQ),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데이터 입력 버퍼(210), 데이터 스트로브 입력 버퍼(212), 그리고 플립플롭(213)이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DQ),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데이터 입력 버퍼(210), 데이터 스트로브 입력 버퍼(212), 그리고 플립플롭(213)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TSV 위치를 제4 바운더리(CaseIV)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DQ),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데이터 입력 버퍼(210), 데이터 스트로브 입력 버퍼(212), 플립플롭(213), 시리얼-투-패러럴 변환부(214), 그리고 기입 데이터 정렬부(216)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DQ),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데이터 입력 버퍼(210), 데이터 스트로브 입력 버퍼(212), 플립플롭(213), 시리얼-투-패러럴 변환부(214), 그리고 기입 데이터 정렬부(216)가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TSV 위치를 제5 바운더리(CaseV)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DQ),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데이터 입력 버퍼(210), 데이터 스트로브 입력 버퍼(212), 플립플롭(213), 시리얼-투-패러럴 변환부(214), 기입 데이터 정렬부(216),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220)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DQ),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데이터 입력 버퍼(210), 데이터 스트로브 입력 버퍼(212), 플립플롭(213), 시리얼-투-패러럴 변환부(214), 기입 데이터 정렬부(216),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220)가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데이터 입력 경로에서 TSV 위치를 제1 내지 제5 바운더리(CaseI-CaseV) 각각으로 설정하게 되면, 표 1과 같은 특성을 얻을 수 있다.
CaseI CaseII CaseIII CaseIV CaseV
데이터윈도우 0.5*tCK 0.5*tCK 0.5*tCK 4*tCK 4*tCK

TSV 수

4개

4개

4개

16 또는 32개
구조에 따라 1000개 이상도 가능
로드-디커플링 효과 X O O O O
tDS/DH 불리 불리 양호 양호 양호
표 1을 살펴보면, TSV(160)의 위치가 제1 바운더리(CaseI)에서 제5 바운더리(CaseV)쪽으로 갈수록 데이터 윈도우가 넓어지고 데이터 셋업/홀드 시간도 양호하고, 로드-디커플링 효과도 존재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TSV의 위치가 제1 바운더리(CaseI)에서 제5 바운더리(CaseV)쪽으로 갈수록 TSV 개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도 4는 데이터 출력 경로 상의 TSV 바운더리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출력 경로 상의 주요 회로 구성은 메모리 셀 어레이 블락(205),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220), 독출 FiFo(222),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 데이터 스트로브 출력 버퍼(226), 데이터 출력 버퍼(228),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로 이루어진다.
데이터 출력 경로에서 TSV 위치 바운더리의 경계들은,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220) 전단에 제5 바운더리(CaseV)를 설정하고,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220) 직후 또는 독출 FiFo(222) 직전에 제4 바운더리(CaseIV)를 설정하고, 독출 FiFo(222)의 저장 노드들에 제3 바운더리(CaseIII)를 설정하고,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 직후에 제2 바운더리(CaseII)를 설정하고, 데이터 입출력 패드(DQ)와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단에 제1 바운더리(CaseI)를 설정한다.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이 스택된 상태에서 TSV 위치를 제1 내지 제5 바운더리(CaseI - CaseV) 각각으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TSV 바운더리의 바깥쪽 회로 블락들은 사용되지 않는다. 즉, TSV 위치를 제1 바운더리(CaseI)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DQ)와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DQ)와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가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마스터 칩(110)의 데이터 입출력 패드(DQ)와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는 반도체 장치(100)의 전극 패드들(116a, 116b)에 연결된다.
TSV 위치를 제2 바운더리(CaseII)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데이터 스트로브 출력 버퍼(226), 데이터 출력 버퍼(228),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데이터 스트로브 출력 버퍼(226), 데이터 출력 버퍼(228), 데이터 입출력 패드(DQ)와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가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TSV 위치를 제3 바운더리(CaseIII)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독출 FiFo(222)의 저장 노드들 이후와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 데이터 스트로브 출력 버퍼(226), 데이터 출력 버퍼(228),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독출 FiFo(222)의 저장 노드들 이후와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 데이터 스트로브 출력 버퍼(226), 데이터 출력 버퍼(228),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패드(DQ)가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TSV 위치를 제4 바운더리(CaseIV)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독출 FiFo(222),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 데이터 스트로브 출력 버퍼(226), 데이터 출력 버퍼(228),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독출 FiFo(222),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 데이터 스트로브 출력 버퍼(226), 데이터 출력 버퍼(228),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패드(DQ)가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TSV 위치를 제5 바운더리(CaseV)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220), 독출 FiFo(222),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 데이터 스트로브 출력 버퍼(226), 데이터 출력 버퍼(228),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220), 독출 FiFo(222),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 데이터 스트로브 출력 버퍼(226), 데이터 출력 버퍼(228),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패드(DQ)가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한편, 데이터 출력 경로 상의 회로 블락들 중 독출 FiFo(222)와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는 레이턴시 제어부(262)와 지연 동기 회로(260)의 제어를 받는다. 레이턴시 제어부(262)는 데이터 독출 명령 후 독출 데이터가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로 나올 때까지의 클럭 사이클 수를 나타내는 레이턴시를 제어하는데,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의 동작 속도에 따라 레이턴시를 조절할 수 있다. 지연 동기 회로(DLL, 260)는 외부에서 제공되는 클럭 신호(CLK)과 내부 클럭 신호들을 동기화시킨다. 레이턴시 제어부(262)는 DLL 클럭 도메인에서 동작한다.
데이터 출력 경로에서 TSV 위치 바운더리의 경계들을 제3, 제4 또는 제5 바운더리(CaseIII, CaseIV, CaseV)로 하는 경우, 레이턴시 제어부(262)와 지연 동기 회로(260)는 마스터 칩(110)에만 위치한다(CaseA).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레이턴시 제어부(262)와 지연 동기 회로(260)는 사용되지 않는다. TSV 위치 바운더리의 경계들을 제1 또는 제2 바운더리(CaseI, CaseII, CaseV)로 하는 경우에는 레이턴시 제어부(262)와 지연 동기 회로(260)는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에 위치한다.
데이터 출력 경로에서 TSV 위치를 제1 내지 제5 바운더리(CaseI-CaseV) 각각으로 설정하게 되면, 표 2와 같은 특성을 얻을 수 있다.
CaseI CaseII CaseIII CaseIV CaseV
데이터윈도우 0.5*tCK 0.5*tCK 16*tCK 2 or 4*tCK 4*tCK

TSV 수

4

4

128

8 or 16
구조에 따라 1000개 이상도 가능
DLL 위치 M/S M/S Master Only Master Only Master Only
Seamless RD X X O O or X O or X
로드-디커플링 효과 X O O O O
tDQSCK/tDQSQ 불리 불리 DDP동등수준 DDP동등수준 DDP동등수준
표 2을 살펴보면, TSV 위치가 제1 바운더리(CaseI)에서 제5 바운더리(CaseV)쪽으로 갈수록 데이터 윈도우가 넓어지고, 클럭(
Figure pat00001
)으로부터 데이터 스트로브-출력 억세스 시간(tDQSCK)과 데이터 스트로브 에지-투-출력 데이터 에지 시간(tDQSQ)도 DDP(Double Die Package) 수준과 동등하고, 로드-디커플링 효과도 존재함을 볼 수 있다. 또한, 독출 데이터가 연달아 출력되는 특성인 심리스 독출(Seamless Read) 특성도 우수하다. 그러나, TSV의 위치가 제1 바운더리(CaseI)에서 제5 바운더리(CaseV)쪽으로 갈수록 TSV 개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도 5는 커맨드/어드레스 경로 상의 TSV 바운더리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맨드/어드레스 경로 상의 주요 회로 구성은 어드레스 패드(ADDR), 커맨드 패드(CMD), 어드레스 입력 버퍼(230), 커맨드 입력 버퍼(232), 플립플롭들(233, 234), 어드레스 버퍼(235), 커맨드 버퍼 및 커맨드 디코더(236), 로우 디코더(237) 그리고 칼럼 디코더(238)로 이루어진다.
커맨드/어드레스 경로에서 TSV 위치 바운더리의 경계들은, 어드레스 패드(ADDR)와 커맨드 패드(CMD) 단에 제1 바운더리(CaseI)를 설정하고, 어드레스 입력 버퍼(230)와 커맨드 입력 버퍼(232) 직후에 제2 바운더리(CaseII)를 설정하고, 플립플롭들(233, 234) 직후에 제3 바운더리(CaseIII)를 설정하고, 어드레스 버퍼(235)와 커맨드 버퍼 및 커맨드 디코더(236) 직후에 제4 바운더리(CaseIV)를 설정하고, 로우 디코더(237)와 칼럼 디코더(238) 직후에 제5 바운더리(CaseV)를 설정한다.
커맨드/어드레스 경로에서 TSV 위치를 제1 내지 제5 바운더리(CaseI - CaseV) 각각으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TSV 바운더리의 바깥쪽 회로 블락들은 사용되지 않는다. 즉, TSV 위치를 제1 바운더리(CaseI)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어드레스 패드(ADDR)와 커맨드 패드(CMD)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어드레스 패드(ADDR)와 커맨드 패드(CMD)가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마스터 칩(110)의 어드레스 패드(ADDR)와 커맨드 패드(CMD)는 반도체 장치(100)의 전극 패드들(116a, 116b)에 연결된다.
TSV 위치를 제2 바운더리(CaseII)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어드레스 패드(ADDR), 커맨드 패드(CMD), 어드레스 입력 버퍼(230) 그리고 커맨드 입력 버퍼(232)은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어드레스 패드(ADDR), 커맨드 패드(CMD), 어드레스 입력 버퍼(230) 그리고 커맨드 입력 버퍼(232)가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TSV 위치를 제3 바운더리(CaseIII)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어드레스 패드(ADDR), 커맨드 패드(CMD), 어드레스 입력 버퍼(230), 커맨드 입력 버퍼(232), 그리고 플립플롭들(233, 234)은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어드레스 패드(ADDR), 커맨드 패드(CMD), 어드레스 입력 버퍼(230), 커맨드 입력 버퍼(232) 그리고 플립플롭들(233, 234)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TSV 위치를 제4 바운더리(CaseIV)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어드레스 패드(ADDR), 커맨드 패드(CMD), 어드레스 입력 버퍼(230), 커맨드 입력 버퍼(232), 플립플롭들(233, 234), 어드레스 버퍼(235), 그리고 커맨드 버퍼 및 커맨드 디코더(236)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어드레스 패드(ADDR), 커맨드 패드(CMD), 어드레스 입력 버퍼(230), 커맨드 입력 버퍼(232), 플립플롭들(233, 234), 어드레스 버퍼(235), 그리고 커맨드 버퍼 및 커맨드 디코더(236)가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TSV 위치를 제5 바운더리(CaseV)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어드레스 패드(ADDR), 커맨드 패드(CMD), 어드레스 입력 버퍼(230), 커맨드 입력 버퍼(232), 플립플롭들(233, 234), 어드레스 버퍼(235), 커맨드 버퍼 및 커맨드 디코더(236), 로우 디코더(237), 그리고 칼럼 디코더(238)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어드레스 패드(ADDR), 커맨드 패드(CMD), 어드레스 입력 버퍼(230), 커맨드 입력 버퍼(232), 플립플롭들(233, 234), 어드레스 버퍼(235), 커맨드 버퍼 및 커맨드 디코더(236), 로우 디코더(237), 그리고 칼럼 디코더(238)가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어드레스/커맨드 경로에서 TSV 위치를 제1 내지 제5 바운더리(CaseI-CaseV) 각각으로 설정하게 되면, 표 3와 같은 특성을 얻을 수 있다.
CaseI CaseII CaseIII CaseIV CaseV
데이터윈도우 1*tCK 1*tCK 1*tCK 4*tCK 4*tCK

TSV 수

30여개

30여개

30여개
구조에 따라 백개 이상도 가능 구조에 따라 수천개도 가능
로드-디커플링 효과 X O O O O
tDS/DH 불리 불리 양호 양호 양호
표 3을 살펴보면, TSV의 위치가 제1 바운더리(CaseI)에서 제5 바운더리(CaseV)쪽으로 갈수록 데이터 윈도우가 넓어지고 데이터 셋업/홀드 시간도 양호하고, 로드-디커플링 효과도 존재함을 볼 수 있다. 그러나, TSV의 위치가 제1 바운더리(CaseI)에서 제5 바운더리(CaseV)쪽으로 갈수록 TSV 개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도 6은 클럭 경로 상의 TSV 바운더리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럭 경로 상의 주요 회로 구성은 클럭 패드(CLK), 클럭 입력 버퍼(240) 그리고 클럭 발생부 및 버퍼부(242)로 이루어진다.
클럭 경로에서 TSV 위치 바운더리의 경계들은, 클럭 패드(CLK) 단에 제1 바운더리(CaseI)를 설정하고, 클럭 입력 버퍼(240) 직후에 제2 바운더리(CaseII)를 설정하고, 클럭 발생부 및 버퍼부(242) 직후에 제3 바운더리(CaseIII)를 설정한다.
클럭 경로에서 TSV 위치를 제1 내지 제3 바운더리(CaseI - CaseIII) 각각으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TSV 바운더리의 바깥쪽 회로 블락들은 사용되지 않는다. 즉, TSV 위치를 제1 바운더리(CaseI)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클럭 패드(CLK)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클럭 패드(CLK)는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마스터 칩(110)의 클럭 패드(CLK)는 반도체 장치(100)의 전극 패드(116a)에 연결된다..
TSV 위치를 제2 바운더리(CaseII)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클럭 패드(CLK) 그리고 클럭 입력 버퍼(240)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클럭 패드(CLK)와 클럭 입력 버퍼(240)는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TSV 위치를 제3 바운더리(CaseIII)로 설정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클럭 패드(CLK), 클럭 입력 버퍼(240) 그리고 클럭 발생부 및 버퍼부(242)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클럭 패드(CLK), 클럭 입력 버퍼(240) 그리고 클럭 발생부 및 버퍼부(242)는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에 공유된다.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이 스택된 상태에서 효과적인 TSV 바운더리 설정 방법은, TSV 개수,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사이즈, TSV 변동에 따른 안정적인 동작 특성(immunity to TSV varation), 로드-디커플링 여부, 그리고 로직 회로 설계의 단순화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데이터 입력 경로, 데이터 출력 경로 그리고 어드레스/커맨드 경로에서, TSV 위치가 제1 바운더리(CaseI)에서 제5 바운더리(CaseV)쪽으로 갈수록 TSV 개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따라, 동종으로 설계되는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 TSV의 최소 피치/사이즈(pitch/size)는 반도체 제조 공정의 디자인 룰에 따라 결정되므로, 디자인 룰을 고려하여 제1 내지 제5 바운더리들(CaseI-CaseV) 중 최적의 바운더리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만약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이 이종의 칩들인 경우,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에서 사용되지 않는 회로 블락들은 설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면적이 마스터 칩(110)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TSV 변동에 따른 안정적인 동작 특성(immunity to TSV varation)과 로직 회로 설계의 단순화를 고려하여, 도 4의 데이터 출력 경로 상에서 TSV 바운더리 설정을 제4 바운더리로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의 독출 FiFo(222),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 데이터 스트로브 출력 버퍼(226), 데이터 출력 버퍼(228),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는 사용되지 않고, 마스터 칩(110)에 존재하는 독출 FiFo(222),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 데이터 스트로브 출력 버퍼(226), 데이터 출력 버퍼(228),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이 공유하게 된다.
스택된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230, 140) 사이에 제조 공정상의 변동 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에서 출력되는 독출 데이터들이 TSV들을 통하여 마스터 칩(110)의 독출 FiFo(222)에 도달하는 시간들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마스터 칩(110)의 독출 FiFo(222)에서는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독출 데이터들이 갖는 개별적인 도달 지연 시간을 트랙킹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은 도 7과 같은 독출 FiFo 제어부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독출 FiFo 제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마스터 칩(110)과, 마스터 칩(110) 바로 위에 스택된 제1 슬레이브 칩(120)에 포함되는 독출 FiFo 제어부들(710, 7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스터 칩(110)은, 메모리 셀 어레이 블락(205, 도 2 및 도 4)으로부터 출력되는 독출 데이터(RD1[3:0], RD1[7:4])을 구동하는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220), 독출 명령으로부터 발생되는 제1 정렬 신호(FRP_PDL)를 구동하는 커맨드 디코더(236), 마스터 칩(110) 또는 제1 슬레이브 칩(120)에서 제공되는 제1 정렬 신호(FRP_PDL)에 응답하여 제3 정렬 신호(PDL#[1:0])를 발생하는 카운터(700), 칩 식별 신호(CID)와 제1 정렬 신호(FRP_PDL)에 응답하여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RD1[3:0], RD1[7:4])와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RD0[3:0], RD0[7:4])를 독출 FiFo(222)로 전달하는 독출 FiFo 제어부(710), 그리고 제3 정렬 신호(PDL#[1:0])에 응답하여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RD1[3:0], RD1[7:4])와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RD0[3:0], RD0[7:4])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독출 FiFo(222)를 포함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은 마스터 칩(11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도 4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데이터 출력 경로 상에서 TSV 바운더리 설정이 제4 바운더리로 결정되는 경우,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FiFo(222)와 이후의 회로 블락들, 즉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 데이터 스트로브 출력 버퍼(226), 데이터 출력 버퍼(228),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DQS)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패드(DQ)이 사용되지 않음을 밝힌바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FiFo 제어부(710) 내 제1 및 제2 먹스부들(722, 724)의 출력이 제1 및 제2 TSV들(160a, 160b)을 통하여 마스터 칩(110)의 제1 및 제2 먹스부들(712, 714)의 출력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슬레이브 칩(720)의 독출 FiFo 제어부(720) 내 제3 먹스부(726), 오아 게이트(728), 그리고 버퍼(729)는 사용되지 않는다. 마스터 칩(110)의 독출 FiFo 제어부(710) 내 제3 먹스부(716), 오아 게이트(718), 그리고 버퍼(719)가 제1 슬레이브 칩(120)에 공유된다.
마스터 칩(110)의 독출 FiFo 제어부(710)는 제1 내지 제3 먹스부들(712, 714, 718)과 오아 게이트(716), 그리고 버퍼(717)를 포함한다. 제1 먹스부(712)는 하나의 입력단(I)과 2개의 출력단(O1, O2)으로 구성된다. 제1 먹스부(712)의 입력단(I)은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220)를 통하여 전달되는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을 입력한다. 제1 먹스부(712)는 마스터 칩(110)의 칩 식별 신호(CID)에 응답하여 제1 신호 라인(704)과 연결되는 제1 출력단(O1)으로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을 출력한다. 제1 먹스부(712)의 제2 출력단(O2)은 제2 신호 라인(706)과 연결된다. 제2 신호 라인(706)은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을 연결시키는 제1 TSV(160a)에 연결된다. 예시적으로, 마스터 칩(110)의 칩 식별 신호(CID)는 "0"으로 설정하고,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칩 식별 신호(CID)는 "1"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신호 라인(704)은 제1 TSV(160a)를 통해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1 먹스부(722) 출력과 연결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1 먹스부(722)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을 입력단(I)으로 입력하고,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칩 식별 신호(CID)에 응답하여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을 제2 신호 라인(723)과 연결되는 제2 출력단(O2)으로 출력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2 신호 라인(723)은 제1 TSV(160a)를 통하여 제1 마스터 칩(110)의 제2 신호 라인(704)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이 제1 마스터 칩(110)의 제2 신호 라인(704)으로 전달된다.
제2 먹스부(714)는 하나의 입력단(I)과 2개의 출력단(O1, O2)으로 구성된다. 커맨드 디코더(236)에 의해 구동되는 제1 정렬 신호(FRP_PDL)를 입력단(I)으로 입력한다. 제2 먹스부(714)는 마스터 칩(110)의 칩 식별 신호(CID)에 응답하여 제3 신호 라인(706)과 연결되는 제1 출력단(O1)으로 제1 정렬 신호(FRP_PDL)를 출력한다. 제2 먹스부(714)의 제2 출력단(O2)은 제4 신호 라인(708)과 연결된다. 제4 신호 라인(708)은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을 연결시키는 제2 TSV(160b)에 연결된다.
제4 신호 라인(708)은 제2 TSV(160b)를 통해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2 먹스부(724) 출력과 연결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2 먹스부(724)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1 정렬 신호(FRP_PDL)를 입력단(I)으로 입력하고,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칩 식별 신호(CID)에 응답하여 제1 정렬 신호(FRP_PDL)를 제4 신호 라인(725)과 연결되는 제2 출력단(O2)으로 출력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4 신호 라인(725)은 제2 TSV(160b)를 통하여 제1 마스터 칩(110)의 제4 신호 라인(708)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1 정렬 신호(FRP_PDL)가 제1 마스터 칩(110)의 제4 신호 라인(708)으로 전달된다.
마스터 칩(110)의 제1 정렬 신호(FRP_PDL)가 전달되는 제3 신호 라인(706)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1 정렬 신호(FRP_PDL)가 전달되는 제4 신호 라인(708)은 오아 게이트(716)에 연결된다. 오아 게이트(716)의 출력은 버퍼(717)를 통하여 제2 정렬 신호(FRP_QCTRL)로 발생된다. 제2 정렬 신호(FRP_QCTRL)는 마스터 칩(110)의 제1 정렬 신호(FRP_PDL)와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1 정렬 신호(FRP_PDL) 모두가 포함된 신호이다. 또한 오아 게이트(716)의 출력인 마스터 칩(110)의 제1 정렬 신호(FRP_PDL)와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1 정렬 신호(FRP_PDL)는 카운터(700)로 제공되어,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을 독출 FiFo(222)에 순차적으로 저장시키는 제3 정렬 신호(PDL#[1:0])로 발생된다.
제3 먹스부(718)는 2개의 입력단(I1, I2)과 하나의 출력단(O)으로 구성된다. 제3 먹스부(716)는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이 전달되는 제1 신호 라인(702)이 제1 입력단(I1)과 연결되고,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이 전달되는 제2 신호 라인(704)이 제2 입력단(I2)과 연결된다. 제3 먹스부(716)는 제2 정렬 신호(FRP_QCTRL)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입력단들(I1, I2)로 입력되는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을 출력단(O)으로 출력한다. 제3 먹스부(718)의 출력단(O)은 독출 FiFo(222)와 연결된다.
독출 FiFo(222)는 제3 정렬 신호(PDL#[1:0])에 응답하여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을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독출 FiFo(222)에 저장된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은 FiFo 출력 제어 신호(EXTCLK#)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출력된다(DOI<3:0>)으로 출력된다.
마스터 칩(110)의 독출 FiFo 제어부(710)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이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과 서로 다른 지연 시간을 가지고 마스터 칩(110)에 도달하더라도, 제3 먹스부(718)에서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 또는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를 선택적으로 독출 FiFo(222)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커런트 번(current burn)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커런트 번 현상은 도 7의 비교예로 제공되는 도 8에서 설명된다.
도 8에서,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은 제1 인에이블 신호(TSVEN_M)에 응답하는 제1 트라이-스테이트 버퍼(810)를 통하여 제1 신호 라인(802)으로 전달된다. 제1 인에이블 신호(TSVEN_M)는 마스터 칩(110)에서 발생되는 신호이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은 제2 인에이블 신호(TSVEN_S)에 응답하는 제2 트라이-스테이트 버퍼(820)를 통하여 제2 신호 라인(822)으로 전달된다. 제2 인에이블 신호(TSVEN_S)는 제1 슬레이브 칩(120)에서 발생되는 신호이다. 제2 신호 라인(822)는 TSV(160c)를 통하여 제1 신호 라인(802)와 연결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은 TSV(160c)를 통하여 제1 신호 라인(802)으로 전달된다. 제1 신호 라인(802)으로 전달되는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은 독출 FiFo(222)에 순차적으로 저장된 후 출력된다.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 각각이 갖는 반도체 제조 공정상의 변동 요소들로 인하여,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이 독출 FiFo(222)에 도달하는 시간들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의 갭-리스(gap-less) 데이터 출력 동작이 이루어지면, 제1 신호 라인(802), TSV(160) 그리고 제[2 신호 라인(802) 상에 독출 데이터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예컨대,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RD0[3:0], RD0[7:4])가 로직 하이레벨이고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RD1[3:0], RD1[7:4])가 로직 로우레벨인 경우, 제2 트라이-스테이트 버퍼(820), 제1 신호 라인(802), TSV(160) 그리고 제1 트라이-스테이트 버퍼(810) 사이에 전류 경로(800)가 형성된다. 이 전류 경로(800)에 의해 커런트-번 현상이 유발된다.
갭-리스(gap-less) 데이터 출력 동작시 발생되는 커런트-번 현상은, 도 7의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과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이 서로 분리된 제1 및 제2 신호 라인들(702, 704)을 통하여 마스터 칩(110)으로 전달되고, 제3 먹스부(718)를 통하여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과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을 선택적으로 독출 FiFo(222)로 전달하는 독출 FiFo 제어부(710)에 의해 방지된다.
도 8의 제1 및 제2 트라이-스테이트 버퍼들(810, 820) 각각은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에서 발생되는 제1 및 제2 인에이블 신호들(TSVEN_M, TSVEN_S)에 응답하여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을 구동한다. 이에 반해, 도 8의 독출 FiFo 제어부들(710, 720)은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 각각의 고유한 칩 식별 신호(CID)에 의해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과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을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도 7의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은 제1 및 제2 인에이블 신호(TSVEN_M, TSVEN_S) 발생을 위한 별도의 회로 블락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도 7의 반도체 장치(100)의 독출 FiFo 제어부들(710, 720)의 동작 타이밍 다이어그램은 도 9와 같다. 도 9를 참조하면,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RD0[3:0], RD0[7:4])와 제1 정렬 제어 신호(FRDTP)가 제공되고,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RD1[3:0], RD1[7:4])와 제1 정렬 제어 신호(FRDTP)가 제공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은 마스터 칩(110)의 제2 신호 라인(704)으로 전달되고,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RD1[3:0], RD1[7:4])은 마스터 칩(110)의 제1 신호 라인(702)으로 전달된다. 이 후, 마스터 칩(110)의 제1 정렬 신호(FRP_PDL)와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1 정렬 신호(FRP_PDL)를 포함하는 제2 정렬 신호(FRP_QCTRL)로 발생된다. 제2 정렬 신호(FRP_QCTRL)에 응답하여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은 독출 FiFo(222)로 전달된다. 독출 FiFo(222)는 제3 정렬 신호(PDL#[1:0])에 응답하여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을 순차적으로 저장한다. 독출 FiFo(222)에 저장된 마스터 칩(110)의 독출 데이터들(RD1[3:0], RD1[7:4])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독출 데이터들(RD0[3:0], RD0[7:4])은 FiFo 출력 제어 신호(EXTCLK#)에 응답하여 순차적으로 출력된다(DOI<3:0>)으로 출력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장치(100)의 글로벌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반도체 장치(100) 내 스택된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 각각은 앞서 설명한 도 2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200)와 등가이다. 반도체 장치(100)는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랭크들(ranks)로 구성된다. 랭크는 동시에 동일한 커맨드와 어드레스(CMD, ADDR)를 입력받는 DRAM 칩들의 집합으로 정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랭크는 칩 선택 신호(CS)에 의해 구분된다. 예시적으로, 제1 랭크인 마스터 칩(110)은 커맨드 패드(CMD)로 인가되는 제1 칩 선택 신호(CS0)에 의해 구동되고, 제2 랭크인 제1 슬레이브 칩(120)은 제2 칩 선택 신호(CS1)에 의해 구동되고, 제3 랭크인 제2 슬레이브 칩(130)은 제3 칩 선택 신호(CS2)에 의해 구동되고, 제4 랭크인 제3 슬레이브 칩(140)은 제4 칩 선택 신호(CS3)에 의해 구동된다.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이 모두 함께 동작되는 경우,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을 제어하는 로직 회로들은 마스터 칩(110)에 존재하게 된다. 예컨대, 데이터 출력 경로 상의 TSV 바운더리가 제4 바운더리로 결정하는 경우, 마스터 칩(110)에 위치하는 DLL(260), 레이턴시 제어부(262), 독출 FiFo(222),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커맨드 및 어드레스 관련 로직 회로들이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을 제어하는 글로벌 제어 회로들(1000)이 된다. 글로벌 제어 회로(1000)는 어떤 랭크의 칩에서 독출 동작이 이루어지더라도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도 10의 글로벌 제어 회로(1000)를 제어하는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마스터 칩(110)과, 마스터 칩(110) 바로 위에 스택된 제1 슬레이브 칩(120)에 포함되는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들(1110, 1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스터 칩(110)의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1110)는, 마스터 칩(110)의 칩 식별 퓨즈부(1111)로부터 발생되는 마스터 칩 식별 신호(CID)의 반전 신호와 제1 칩 선택 신호(CS0)를 입력하는 제1 낸드 게이트(1112), 마스터 칩 식별 신호(CID)와 제2 칩 선택 신호(CS1)를 입력하는 제2 낸드 게이트(1113), 그리고 제1 및 제2 낸드 게이트들(1112, 1113)의 출력을 입력하는 제1 오아 게이트(1114)를 포함한다. 제1 오아 게이트(1114)의 출력은 자신 칩 선택 신호(CS_ME)로 발생된다. 자신 칩 선택 신호(CS_ME)는 마스터 칩(110)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낸다. 마스터 칩(110)은 자신 칩 선택 신호(CS_ME)에 응답하여 동작된다.
그리고, 마스터 칩(110)의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1110)는, 마스터 칩 식별 신호(CID)와 제1 칩 선택 신호(CS0)를 입력하는 제3 낸드 게이트(1115), 마스터 칩 식별 신호(CID)의 반전 신호와 제2 칩 선택 신호(CS1)를 입력하는 제4 낸드 게이트(1116), 그리고 제3 및 제4 낸드 게이트들(1115, 1116)의 출력을 입력하는 제2 오아 게이트(1117)를 포함한다. 제2 오아 게이트(1117)의 출력은 다른 칩 선택 신호(CS_OTHER)로 발생된다. 다른 칩 선택 신호(CS_OTHER)은 마스터 칩(110) 이외의 다른 칩, 즉 제1 슬레이브 칩(120)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고, 제1 슬레이브 칩(120)이 동작됨을 암시한다.
자신 칩 선택 신호(CS_ME)와 다른 칩 선택 신호(CS_OTHER)는 제3 오아 게이트(1118)로 입력되고, 제3 오아 게이트(1118)의 출력은 모든 칩 선택 신호(CS_ALL)로 발생된다. 모든 칩 선택 신호(CS_ALL)는 마스터 칩(110)이 선택되거나 또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이 선택되는 경우 활성화된다. 모든 칩 선택 신호(CS_ALL)는, 마스터 칩(110) 또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이 동작될 때, 도 10의 글로벌 제어 회로(1000)를 활성화시켜 마스터 칩(110) 및 제1 슬레이브 칩(120)에서의 독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슬레이브 칩(120)의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1120)는, 마스터 칩(110)의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1110)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마스터 칩(110)의 칩 식별 신호(1111)는, 예시적으로 "0"으로 설정한 데 대하여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칩 식별 신호(1121)는 "1"로 설정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마스터 칩(110)의 칩 식별 퓨즈부(1111)로부터 발생되는 마스터 칩 식별 신호는 마스터 칩(110)에 로직 "0"으로 셋팅될 수 있다. 슬레이브 칩(120)의 칩 식별 퓨즈부(1121)로부터 발생되는 슬레이브 칩 식별 신호는 제1 슬레이브 칩(120)에 로직 "1"로 셋팅될 수 있다. 제1 슬레이브 칩(110)의 자신 칩 선택 신호(CS_ME)는 제1 슬레이브 칩(110)이 선택되어 동작됨을 나타낸다. 제1 슬레이브 칩(110)의 다른 칩 선택 신호(CS_OTHER)은 제1 슬레이브 칩(120) 이외의 다른칩, 즉 마스터 칩(110)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낸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모든 칩 선택 신호(CS_ALL)는 마스터 칩(110) 및/또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낸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모든 칩 선택 신호(CS_ALL)는 실제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커맨드 발생 회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마스터 칩(110)과, 마스터 칩(110) 바로 위에 스택된 제1 슬레이브 칩(120)에 포함되는 글로벌 커맨드 발생 회로들(1210, 12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스터 칩(110)의 글로벌 커맨드 발생 회로(1210)는 제1 및 제2 칩 선택 신호 패드들(1211, 1212), 제1 내지 제4 버퍼들(1213, 1214, 1215, 1216), 제1 및 제2 래치들(1217, 1218), 그리고 커맨드 디코더(236)를 포함한다.
마스터 칩(110)의 제1 칩 선택 신호 패드(1201)로 입력되는 제1 칩 선택 신호(/CS0)는 제1 및 제2 버퍼들(1213, 1214)을 통하여 제1 신호 라인(1201)으로 연결되고, 제2 칩 선택 신호 패드(1212)로 입력되는 제2 칩 선택 신호(/CS1)는 제3 및 제4 버퍼들(1215, 1216)을 통하여 제2 신호 라인(1202)으로 연결된다. 제1 신호 라인(1201)으로 전달되는 제1 칩 선택 신호(/CS0)는 내부 클럭 신호(PCLKF)에 응답하는 제1 래치(1217)에 저장된 후, 커맨드 디코더(236)로 제공된다. 제2 신호 라인(1202)으로 전달되는 제2 칩 선택 신호(/CS1)는 마스터 칩(110)의 내부 클럭 신호(PCLKF)에 응답하는 제2 래치(1218)에 저장된 후, 커맨드 디코더(236)로 제공된다.
마스터 칩(110)의 커맨드 디코더(236)는 마스터 칩(110)의 칩 식별 신호(CID)와 독출 및 기입 명령(RD/WR)을 포함하는 커맨드(CMD)에 응답하여 자기 커맨드 신호(CMD_ME) 또는 모든 커맨드 신호(CMD_ALL)를 발생한다. 커맨드 디코더(236)은 도 11에서 설명한 글로벌 클럭 신호 발생부(1110)를 내재한다. 자기 커맨드 신호(CMD_ME)는 마스터 칩(110)의 칩 식별 신호와 제1 칩 선택 신호(/CS0)에 응답하여 현재 입력되는 커맨드가 마스터 칩(110)의 커맨드임을 나타낸다. 마스터 칩(110)은 자기 커맨드 신호(CMD_ME)에 의해 동작 모드가 된다. 모든 커맨드 신호(CMD_ALL)는 현재 입력되는 커맨드가 마스터 칩(110) 또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커맨드임을 나타낸다. 모든 커맨드 신호(CMD_ALL)는 마스터 칩(110)이 선택되거나 또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이 선택되는 경우 활성화된다. 모든 커맨드 신호(CMD_ALL)는, 마스터 칩(110) 또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이 동작될 때, 도 10의 글로벌 제어 회로(1000)를 활성화시켜 마스터 칩(110) 및 제1 슬레이브 칩(120)에서의 독출/기입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제1 신호 라인(1201)으로 전달되는 제1 칩 선택 신호(/CS0)와 제2 신호 라인(1202)으로 전달되는 제2 칩 선택 신호(/CS1)는, TSV들(160d, 160e)을 통하여 제1 슬레이브 칩(120)의 글로벌 커맨드 발생 회로(1220)으로 연결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글로벌 커맨드 발생 회로(1220)는 마스터 칩(110)의 글로벌 커맨드 발생 회로(1210)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글로벌 커맨드 발생 회로(1220)는 제1 TSV(160d)와 연결되는 제3 신호 라인(1203)으로 제1 칩 선택 신호(/CS0)를 수신하고, 제2 TSV(160e)와 연결되는 제4 신호 라인(1204)으로 제2 칩 선택 신호(/CS1)를 수신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글로벌 커맨드 발생 회로(1220)에서, 제1 및 제2 TSV들(160d, 160e)과 연결되는 제3 및 제4 신호 라인들(1203, 1204) 이전의 회로 구성들, 즉 제1 및 제2 칩 선택 신호 패드들(1221, 1222), 제1 내지 제4 버퍼들(1223, 1224, 1225, 1226)은 사용되지 않는다. 제3 신호 라인(1203)으로 전달된 제1 칩 선택 신호(/CS0)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내부 클럭 신호(PCLKF)에 응답하는 제1 래치(1227)에 저장된 후,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커맨드 디코더(236)로 제공된다. 제4 신호 라인(1203)으로 전달된 제2 칩 선택 신호(/CS1)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내부 클럭 신호(PCLKF)에 응답하는 제2 래치(1228)에 저장된 후,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커맨드 디코더(236)로 제공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커맨드 디코더(236)는 제1 슬레이브 칩(110)의 칩 식별 신호(CID)와 독출 및 기입 명령(RD/WR)을 포함하는 커맨드(CMD)에 응답하여 자기 커맨드 신호(CMD_ME)를 발생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커맨드 디코더(236)은 도 11에서 설명한 글로벌 클럭 신호 발생부(1120)를 내재한다. 자기 커맨드 신호(CMD_ME)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칩 식별 신호와 제2 칩 선택 신호(/CS1)에 응답하여 현재 입력되는 커맨드가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커맨드임을 나타낸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은 자기 커맨드 신호(CMD_ME)에 의해 동작 모드가 된다.
도 11의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와 도 12의 글로벌 커맨드 발생 회로에서 설명되고 있는 개념은 마스터 칩(110)의 온-다이-터미네이션부(이하 "ODT부"라고 칭한다)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ODT부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마스터 칩(110)의 ODT부는 마스터 칩(110)이 선택되거나 또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이 선택되는 경우 활성화되고, 제1 슬레이브 칩(120)의 ODT부는 제1 슬레이브 칩(120)만이 선택되었을 때 활성화되는 것으로 설계할 수 있다.
한편, 스택된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은 커맨드/어드레스/데이터 기입/데이터 독출과 관련되는 신호들이 TSV들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데이터 독출과 관련되는 신호 경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3은 마스터 칩(110)에서의 로컬 독출 제어 경로와 글로벌 독출 제어 경로를 보여준다. 로컬 독출 제어 경로(1300)는 마스터 칩(110) 자신의 독출 제어 경로를 보여주고, 글로벌 독출 제어 경로(1350)는 TSV들을 통해 마스터 칩(110)과 연결되는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과 연계되는 독출 제어 경로를 보여준다.
로컬 독출 제어 경로(1300)에는 커맨드(CMD)를 수신하는 커맨드 버퍼(232), 플립플롭(234), 독출 커맨드 디코더(1310) 그리고 어디티브 레이턴시 시프터 레지스터(1312)가 포함되고, 독출 제어 신호(RD_CTRL)가 발생된다. 독출 제어 신호(RD_CTRL)에 응답하여 메모리 셀 어레이 블락(205)에 저장된 데이터가 데이터 입출력 드라이버(220)로 전달되고, 독출 FiFo(222),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 출력 버퍼(228),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를 통해 출력된다. 마스터 칩(110)의 로컬 독출 제어 경로(1300)는 마스터 칩(110)의 칩 선택 신호(CS0)에 응답하여 활성화된다.
글로벌 독출 제어 경로(1350)는 커맨드(CMD)를 수신하는 커맨드 버퍼(232), 플립플롭(234), 독출 커맨드 디코더 복사부(1310c) 그리고 어디티브 레이턴시 시프터 레지스터 복사부(1312c)를 포함하고, 복사된 독출 제어 신호(RD_CTRL_C)를 발생한다. 어디티브 레이턴시 시프터 레지스터(1312)와 어디티브 레이턴시 시프터 레지스터 복사부(1312c)는 클럭 신호(CLK, CLKB)를 수신하는 클럭 입력 버퍼(240)와 클럭 버퍼부(242)에 의해 제어된다. 복사된 독출 제어 신호(RD_CTRL_C)는 레이턴시 제어부(262)와 FiFo 출력 제어부(1318)로 제공되어 독출 FiFo(222)를 제어한다. 독출 FiFo(222)에는 마스터 칩(110)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락(205)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들이 전달된다. 독출 FiFo(222)로 전달된 데이터는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 출력 버퍼(228),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를 통해 출력된다.
독출 FiFo(222)는 레이턴시 제어부(262)에서 발생되는 레이턴시 제어 신호(LAT_CTRL)에 응답하는 FiFo 출력 제어부(1318)에 의해 제어된다. 레이턴시 제어부(262)는 복사된(duplicated) 독출 제어 신호(RD_CTRL_C)와 내부 클럭 신호(I_CLK)에 응답하여 레이턴시 제어 신호(LAT_CTRL)를 발생한다. 복사된 독출 제어 신호(RD_CTRL_C)는 커맨드(CMDs)를 수신하는 커맨드 버퍼(232), 플립플롭(234), 독출 커맨드 디코더 복사부(1310c)와 어디티브 레이턴시 시프터 레지스터 복사부(1312c)로 이루어지는 글로벌 독출 제어 경로(1350)를 통하여 발생된다. 내부 클럭 신호(I_CLK)는 클럭 신호(CLK, CLKB)를 수신하는 DLL(240), 제1 DLL 복사 지연부(1322), 그리고 독출 복사 지연부(1324)를 통하여 발생된다. 제1 및 제2 DLL 복사 지연부들(1322, 1326)은 DLL(240)을 복사한 블락으로, DLL(240)의 동작 지연 시간을 반영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독출 복사 지연부(1324)는 DLL(1320)의 출력 클럭이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에 인가되는 경로, 즉 클럭 출력 경로(1328) 상의 지연을 보상한다.
앞서 설명한 도 10의 글로벌 제어 회로 블락(1000)을 좀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특히 글로벌 독출 제어 관련 회로들은 커맨드 버퍼(232), 플립플롭(234), 독출 커맨드 디코더(1310), 어디티브 레이턴시 시프터 레지스터(1312), 독출 커맨드 디코더 복사부(1310c)와 어디티브 레이턴시 시프터 레지스터 복사부(1312c), 클럭 입력 버퍼(240), 클럭 버퍼부(242), DLL(240), 제1 및 제2 DLL 복사 지연부들(1322, 1326), 독출 복사 지연부(1324), 클럭 출력 경로(1328), 독출 FiFo(222),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224), 출력 버퍼(228), 그리고 데이터 입출력 패드(DQ)로 이루어진다. 글로벌 제어 회로 블락들(1000)은 마스터 칩(110)의 칩 선택 신호(CS0) 또는 슬레이브 칩의 칩 선택 신호(CS1)에 응답하여 활성화된다.
레이턴시 제어부(262)는, 통상적으로 직렬 연결된 다수개의 플립플롭들로 구성된다. 레이턴시 제어부(262)의 첫번째 플립플롭은 독출 제어 신호(RD_CTRL_C)와 내부 클럭 신호(I_CLK)를 수신하는 데, 이들 신호 사이의 마진을 바라보게 된다. 반도체 제조 공정, 전압, 온도 등의 변동(PVT 변동)에 무관하게 독출 제어 신호(RD_CTRL_C)와 내부 클럭 신호(I_CLK) 사이의 마진을 보장하기 위하여, 내부 클럭 신호(I_CLK)는 제1 DLL 복사 지연부(1322)와 독출 복사 지연부(1324)를 통해 발생되도록 설계된다.
커맨드(CMD)와 클럭 신호(CLK, CLKB)가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 사이에 연결되는 TSV들(1302, 1304)이 존재하는 신호 경로를 통하여 전달되는 경우, 커맨드(CMD)와 클럭 신호(CLK, CLKB)는 마스터 칩(110)과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 모두에서 TSV 부하를 바라보게 된다. 그런데, DLL(1320)로 들어가는 클럭 신호(CLK, CLKB)는 TSV 부하를 바라보지 않는다. 독출 제어 신호(RD_CTRL_C)는 내부 클럭 신호(I_CLK) 보다 TSV 부하에 따른 지연 시간, 예컨대 500ps 정도의 지연 스큐를 안고 레이턴시 제어부(262)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레이턴시 제어부(262)의 첫번째 플립플롭에서 독출 제어 신호(RD_CTRL_C)와 내부 클럭 신호(I_CLK) 사이의 마진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마스터 칩(110)의 커맨드(CMD)와 클럭 신호(CLK, CLKB)는 TSV(1302, 1304)를 바이패스시켜 TSV 부하를 바라보지 않게 하고,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커맨드(CMDs)와 클럭 신호(CLK, CLKB)는 TSV를 거치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된다. 도 14는 마스터 칩(110)의 경로와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경로가 구분되도록 설계된 TSV I/O 모듈을 보여준다. 도 14의 TSV I/O 모듈(1402)는 도 13의 TSV(1302) 영역에 대체되고, 마스터 칩(110)과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에 포함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TSV I/O 모듈(1402)는 커맨드 버퍼(232)를 통해 전달되는 커맨드(CMD)를 수신하는 제1 경로(1410)와 제2 경로(1420)를 포함한다. 제1 경로(1410)는 칩 식별 신호(CID)에 응답하는 제1 인버터(1411)를 포함한다. 제2 경로(1420)는 칩 식별 신호(CID)에 응답하는 버퍼(1421), 버퍼(1421) 출력과 TSV(1302)에 연결되는 래치부(1422), 래치부(1422) 출력을 입력하는 제2 인버터(1423), 그리고 칩 식별 신호(CID)에 응답하여 제2 인버터(1423) 출력을 입력하는 제3 인버터(1424)를 포함한다. 제1 인버터(1411)의 출력과 제3 인버터(1424)의 출력은 제5 인버터(1426)로 입력된다. 제5 인버터(1426)의 출력은 도 13의 플립플롭(234)로 제공된다.
마스터 칩(110)은 마스터 칩(110)의 칩 식별 신호(CID), 예컨대 "0"에 응답하여 TSV I/O 모듈(1402)의 제1 경로(1410)를 통해 커맨드(CMD)를 수신한다.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 중 예시적으로 제1 슬레이브 칩(120)은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칩 식별 신호, 예컨대 "1"에 응답하여 TSV I/O 모듈(1402)의 제2 경로(1420)를 통하여 커맨드(CMD)를 수신한다. 마스터 칩(110)의 커맨드(CMD)는 TSV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TSV 부하를 가지지 않는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커맨드(CMD)는 TSV(1302)를 거치기 때문에 TSV 부하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맨드(CMD)를 수신하는 TSV I/O 모듈(1402)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어드레스/데이터 입력/클럭 신호(ADDR/DIN/CLK)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TSV IO 모듈(1404)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터 칩(110)의 어드레스/데이터 입력/클럭 신호(ADDR/DIN/CLK)는 제1 경로(1410)를 통하여 입력되어 TSV 부하를 가지지 않고,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어드레스/데이터 입력/클럭 신호(ADDR/DIN/CLK)는 제2 경로(1420)를 통하여 입력되어 TSV 부하를 가지게 된다.
다수개의 칩들을 스택하는 3D 디바이스에서, 층별로 서로 다른 회로 구성이 요구되는 경우, 웨이퍼 레벨에서 이를 구분하면 층별 웨이퍼 관리가 별도로 필요하다. 이 때문에, 생산성 관점에서 불리한 면이 있다. 도 15A와 같이, 물리적으로 동일한 칩들을 조립하고, 조립 후 파워-업 됨과 동시에 칩이 전기적으로 자동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면, 회로 구성이 층별로 서로 다른 3D 디바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층별로 서로 다른 3D 디바이스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 요소들로는, 전기적으로 칩 식별 신호(CID)를 부여하는 수단과, 칩 식별 신호(CID)를 수신하여 각 층별로 구성 회로, I/O 타입 등을 전기적으로 구별하는 수단이 있다. 전기적으로 칩 식별 신호(CID)를 부여하는 수단으로는 카운터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모든 층에 동일한 회로를 갖는 칩들에서, 칩 식별 신호(CID)를 입력받아 각 층별로 설계 목적에 부합하도록 구성 요소들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는 로직 회로가 도 15A에 도시되어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로직 회로(1500)는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에 동일하게 존재한다. 로직 회로(1500)는 입력 신호(IN)를 수신하는 제1 먹스부(1501), 제1 및 제2 회로들(1503, 1505), 그리고 출력 신호(OUT)를 출력하는 제2 먹스부(1507)를 포함한다. 제1 먹스부(1501)는 칩 식별 신호(CID)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IN)를 제1 회로(1503) 또는 제2 회로(1505)로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제1 회로(1503)와 제2 회로(1505)는 서로 다른 회로 구성을 갖는다. 제2 먹스부(1507)는 칩 식별 신호(CID)에 응답하여 제1 회로(1503)의 출력 또는 제2 회로(1505)의 출력을 출력 신호(OUT)로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마스터 칩(110)의 칩 식별 신호(CID)가 예컨대, "0"이고,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칩 식별 신호(CID)가 예컨대 "1"인 경우를 가정하자. 마스터 칩(110)의 로직 회로(1500)는 마스터 칩(110)의 칩 식별 신호(CID) "0"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IN)를 제1 먹스부(1501)를 통해 제1 회로(1503)로 전달하고, 제1 회로(1503)의 출력은 제2 먹스부(1507)를 통해 출력 신호(OUT)로 출력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로직 회로(1500)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칩 식별 신호(CID) "1"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IN)를 제1 먹스부(1501)를 통해 제2 회로(1505)로 전달하고, 제2 회로(1505)의 출력은 제2 먹스부(1507)를 통해 출력 신호(OUT)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로직 회로(1500)를 갖는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에서, 마스터 칩(110)은 제1 회로(1503)로 구성되고, 제1 슬레이브 칩(120)은 제2 회로(1505)로 구성된다.
모든 층에 동일한 회로를 갖는 칩들에서, 해당되는 칩을 활성화시키는 칩 선택 신호와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글로벌 칩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로직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로직 회로는 도 11에서 설명한 바 있는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 각각에 포함되는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들(1110, 1120)로 설명될 수 있다. 즉,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들(1110, 1120)은 마스터 칩(110)이 선택되거나 또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이 선택되었을 때 마스터 칩(110)의 모든 칩 선택 신호(CS_ALL)를 활성화시켜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에 공유되는 마스터 칩(110)의 글로벌 제어 회로 블락(1000, 도 10)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들(1110, 1120)은 마스터 칩(110)만이 선택되었을 때 마스터 칩(110)의 자신 칩 선택 신호(CS_ME)를 활성화시켜 마스터 칩(110)을 활성화시키고, 제1 슬레이브 칩(120)만이 선택되었을 때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자신 칩 선택 신호(CS_ME)를 활성화시켜 제1 슬레이브 칩(120)을 활성화시킨다.
모든 층에 동일한 회로를 갖는 칩들이 적층된 3D 디바이스에서, 웨이퍼 레벨 테스트에 사용되는 회로 블락과 패키지 레벨 테스트에 사용되는 회로 블락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도 16은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이 적층된 구조에서 EDS 레벨 테스트 경로와 패키지 레벨 테스트 경로를 보여준다.
도 16을 참조하면, 마스터 칩(110)의 EDS 레벨 테스트 경로와 패키지 레벨 테스트 경로는 커맨드 경로, 클럭 경로, 데이터 경로, 그리고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경로를 포함한다. 마스터 칩(110)의 EDS 레벨 테스트 경로와 패키지 레벨 테스트 경로는 동일하다. 마스터 칩(110)의 커맨드 경로는 커맨드(CMD)를 수신하는 커맨드 패드(1611), 커맨드(CMD)를 입력하는 입력 버퍼(1614), 칩 식별 신호(CID)에 응답하여 커맨드(CMD)를 제1 신호 라인(1601)으로 전달하는 드라이버(1615), 그리고 제2 신호 라인(1602)의 클럭 신호(CLK)에 응답하여 제1 신호 라인(1601)의 커맨드(CMD)를 래치하는 래치부(1618)로 이루어진다.
마스터 칩(110)의 클럭 경로는 클럭 패드들(1612, 1613)로 수신되는 클럭 신호들(CLK, CLKB)을 입력하는 클럭 입력 버퍼(1616), 칩 식별 신호(CID)에 응답하여 클럭 신호(CLK)를 제2 신호 라인(1602)으로 전달하는 드라이버(1617), 그리고 제2 신호 라인(1602)의 클럭 신호(CLK)를 내부 회로로 전달하는 버퍼부(1619)로 이루어진다.
마스터 칩(110)의 데이터 경로는 데이터(D)를 수신하는 데이터 패드(1621), 데이터(D)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 버퍼(1623), 칩 식별 신호(CID)에 응답하여 데이터(D)를 제3 신호 라인(1603)으로 전달하는 드라이버(1624), 그리고 제4 신호 라인(1603)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S)에 응답하여 제3 신호 라인(1603)의 데이터(D)를 래치하는 래치부(1627)로 이루어진다.
마스터 칩(110)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경로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패드(1622)로 수신되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S)를 입력하는 입력 버퍼(1625), 칩 식별 신호(CID)에 응답하여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S)를 제4 신호 라인(1604)으로 전달하는 드라이버(1626), 그리고 제4 신호 라인(1604)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S)를 내부 회로로 전달하는 버퍼부(1628)로 이루어진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은 마스터 칩(110)의 커맨드 경로, 클럭 경로, 데이터 경로, 그리고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경로 상의 회로 구성과 동일하게 구성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EDS 레벨 테스트 경로와 패키지 레벨 테스트 경로는 서로 다르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EDS 레벨 테스트 경로는, 마스터 칩(110)의 EDS 테스트 경로와 동일하게, 커맨드 패드(1631), 입력 버퍼(1634), 드라이버(1635), 제5 신호 라인(1605) 그리고 래치부(1638)로 이루어지는 커맨드 경로, 클럭 패드들(CLK, CLKB), 클럭 입력 버퍼(1636), 드라이버(1637), 제6 신호 라인(1606) 그리고 버퍼부(1639)로 이루어지는 클럭 경로, 데이터 패드(1641), 데이터 입력 버퍼(1643), 드라이버(1644), 제7 신호 라인(1607) 그리고 래치부(1647)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경로, 그리고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패드(1642), 입력 버퍼(1645), 드라이버(1646), 제8 신호 라인(1608) 그리고 버퍼부(1648)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경로를 포함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EDS 레벨 테스트 경로는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칩 식별 신호(CID_)에 응답하여 형성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패키지 레벨 테스트는 마스터 칩(110)의 커맨드 경로, 클럭 경로, 데이터 경로, 그리고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경로를 이용하고, TSV들(160f, 160g, 160h, 160i)를 통해 마스터 칩(110)으로부터 커맨드(CMD), 클럭 신호(CLK), 데이터(D) 그리고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S)를 전달받는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5 신호 라인(1605)는 TSV(160f)를 통해 마스터 칩(110)의 제1 신호 라인(1601)과 연결되고, 마스터 칩(110)의 커맨드 경로를 통해 제1 신호 라인(1601)으로 전달되는 커맨드(CMD)를 수신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6 신호 라인(1606)는 TSV(160g)를 통해 마스터 칩(110)의 제2 신호 라인(1602)과 연결되고, 마스터 칩(110)의 클럭 경로를 통해 제2 신호 라인(1602)으로 전달되는 클럭 신호(CLK)를 수신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7 신호 라인(1607)는 TSV(160h)를 통해 마스터 칩(110)의 제3 신호 라인(1603)과 연결되고, 마스터 칩(110)의 데이터 경로를 통해 제3 신호 라인(1603)으로 전달되는 데이터(D)를 수신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8 신호 라인(1608)는 TSV(160i)를 통해 마스터 칩(110)의 제4 신호 라인(1603)과 연결되고, 마스터 칩(110)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경로를 통해 제4 신호 라인(1604)으로 전달되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S)를 수신한다.
패키지 레벨 테스트시,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커맨드 경로에서 래치부(1638)만이 사용되고, 커맨드 패드(1631), 입력 버퍼(1634) 그리고 드라이버(1635)는 사용되지 않는다. 래치부(1638)는 마스터 칩(110)의 제2 신호 라인(1602)에서 TSV(160g)를 통해 제6 신호 라인(1605)으로 전달되는 클럭 신호(CLK)에 응답하여 마스터 칩(110)의 제1 신호 라인(1601)에서 TSV(160f)를 통해 제5 신호 라인(1605)으로 전달되는 커맨드(CMD)를 래치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클럭 경로에서 버퍼부(1639)만이 사용되고, 클럭 패드들(CLK, CLKB), 클럭 입력 버퍼(1636) 그리고 드라이버(1637)는 사용되지 않는다. 버퍼부(1639)는 마스터 칩(110)의 제2 신호 라인(1602)에서 TSV(160g)를 통해 제6 신호 라인(1605)으로 전달되는 클럭 신호(CLK)를 수신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데이터 경로에서 래치부(1647)만이 사용되고, 데이터 패드(1641), 데이터 입력 버퍼(1643) 그리고 드라이버(1644)는 사용되지 않는다. 래치부(1647)는 마스터 칩(110)의 제4 신호 라인(1604)에서 TSV(160i)를 통해 제8 신호 라인(1608)으로 전달되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S)에 응답하여 마스터 칩(110)의 제3 신호 라인(1603)에서 TSV(160h)를 통해 제7 신호 라인(1607)으로 전달되는 데이터(D)를 래치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데이터 스트로브 경로에서 버퍼부(1648)만이 사용되고,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패드(1642), 입력 버퍼(1645) 그리고 드라이버(1646)는 사용되지 않는다. 버퍼부(1648)는 마스터 칩(110)의 제4 신호 라인(1604)에서 TSV(160i)를 통해 제8 신호 라인(1608)으로 전달되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DS)를 수신한다.
모든 층에 동일한 회로를 갖는 칩들이 적층된 3D 디바이스에서, 층별로 I/O 타입을 서로 다르게 구현할 필요가 있다. 도 17은 칩 식별 신호(CID)를 입력받아 각 층별로 설계 목적에 부합하도록 I/O 타입(Input/Output/Tristate)로 다르게 구현하는 로직 회로를 보여준다.
도 17의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이 적층된 구조에서,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 각각은 입력 신호(IN)를 수신하여 출력 신호(OUT)를 출력하는 드라이버(1710, 1730)와 입력 버퍼부(1720, 1740)를 포함한다. 마스터 칩(110)의 드라이버(1710)는 제1 슬레이브 칩(1730)의 드라이버(1730)와 동일하고, 마스터 칩(110)의 입력 버퍼부(1720)는 제1 슬레이브 칩(1730)의 입력 버퍼부(1740)와 동일하다.
마스터 칩(110)의 드라이버(1710)는 마스터 칩(110)으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IN)와 마스터 칩(110)의 칩 식별 신호(CID)를 입력하는 노아 게이트(1711), 마스터 칩(110)의 칩 식별 신호(CID)를 입력하는 인버터(1712), 입력 신호와 인버터(1712) 출력을 입력하는 낸드 게이트(1713), 그리고 전원 전압(VDD)과 접지 전압(VSS)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1714)와 엔모스 트랜지스터(1715)를 포함한다. 피모스 트랜지스터(1714)의 게이트는 낸드 게이트(1713) 출력에 연결되고, 엔모스 트랜지스터(1715)의 게이트는 노아 게이트(1711) 출력에 연결된다. 마스터 칩(110)의 드라이버(1710) 출력이 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1714)와 엔모스 트랜지스터(1715) 사이의 연결 노드는 제1 신호 라인(1701)과 연결된다.
마스터 칩(110)의 입력 버퍼부(1720)는 드라이버(1710) 출력과 칩 식별 신호(CID)를 입력하는 낸드 게이트(1721)와 낸드 게이트(1721) 출력을 입력하는 인버터(1722)를 포함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드라이버(1730)와 입력 버퍼부(1740)는 제1 슬레이브 칩(120)으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IN)와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칩 식별 신호(CID)에 응답하여 동작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드라이버(1730) 출력이 연결되는 제2 신호 라인(1702)은 TSV(160j)를 통하여 마스터 칩(110)의 제1 신호 라인(1701)과 연결된다.
마스터 칩(110)의 칩 식별 신호(CID)는 예컨대 "0"으로 설정되고,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칩 식별 신호(CID)는 예컨대 "1"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마스터 칩(110)의 드라이버(1710)는 인에이블되고, 입력 버퍼부(1720)는 디세이블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드라이버(1730)는 디세이블되어 트라이-스테이트가 되고, 입력 버퍼부(1740)는 인에이블된다. 마스터 칩(110)으로 입력되는 입력 신호(IN)는 마스터 칩(110)의 드라이버(1710), 제1 신호 라인(1701), TSV(160j), 제2 신호 라인(1702) 그리고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입력 버퍼부(1740)로 이루어지는 경로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마스터 칩(110)은 드라이버로 동작하고, 제1 슬레이브 칩(120)은 리시버(receiver)로 동작한다.
도 17은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으로 구성되는 2층 구조의 3D 디바이스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는 데, 이로부터 4층 구조 또는 8층 구조의 3D 디바이스로 확장할 수 있다. 도 18은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이 스택된 4층 구조의 3D 디바이스를 보여준다.
도 18을 참조하면,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칩 식별 신호(CID)는 제1 및 제2 코드 신호(C[1: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마스터 칩(110)의 칩 식별 신호(CID)는 제1 및 제2 코드 신호(C[1:0])가 "00" 인 것으로, 그리고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칩 식별 신호(CID) 각각은 제1 및 제2 코드 신호(C[1:0])가 "01", "10", "11"인 것으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코드 신호(C[1:0]) "00"에 응답하여 마스터 칩(110)은 드라이버로 동작하고,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은 리시버(receiver)로 동작한다.
같은 맥락으로, 8층 구조의 3D 디바이스로 확장하게 되면, 마스터 칩과 제1 내지 제7 슬레이브 칩들의 칩 식별 신호(CID)는 제1 내지 제3 코드 신호(C[2:0])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스터 칩의 칩 식별 신호(CID)는 제1 내지 제3 코드 신호(C[2:0])가 "000" 인 것으로, 그리고 제1 내지 제7 슬레이브 칩들의 칩 식별 신호(CID) 각각은 제1 내지 제3 코드 신호(C[2:0])가 "001", "010", "011", "100", "101", "110", "111"인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코드 신호(C[2:0]) "000"에 응답하여 마스터 칩(110)은 드라이버로 동작하고,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은 리시버(receiver)로 동작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15로 돌아가서, 적층된 칩들(110, 120)이 물리적으로 동일하기 위해서는 칩 레이아웃은 물론이고, 칩 패키지 상의 범프들의 위치, 사이즈 및 두께가 동일해야 한다. 도 15에서,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이 적층됨에 따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관통 전극 패드와 연결되는 범프는 마스터 칩(110)의 TSV 돌출 부분과 접촉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전극 패드와 연결되는 범프는 마스터 칩(110)의 백 사이드 면과 접촉하여 단락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범프-투-웨이퍼 백 사이드 단락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도 19는 범프-투-웨이퍼 백 사이드 단락 현상을 방지하는 제1 실시예의 TSV-투-범프 공중 연결 방식을 보여준다. 도 19를 참조하면, 마스터 칩(110)의 제1 면(112)에 전극 패드(1910)와 관통 전극 패드(1911)가 형성된다. 전극 패드(1910)는 마스터 칩(110)의 제1 면(112)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들과 연결되고, 관통 전극 패드(1911)는 마스터 칩(110)을 관통하는 TSV(1914)와 연결된다. 전극 패드(1910)와 관통 전극 패드(1911)에는 범프들(1912, 1916)이 각각 접촉된다. TSV(1914)는 마스터 칩(110)의 제2 면(114) 바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전극 패드(1910)와 연결되는 범프(1912)는 PCB 기판(150)의 전극(152)과 접촉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은 마스터 칩(110)과 동일하므로,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1 면(122)에는 전극 패드(1910a)와 관통 전극 패드(1911a)와 접촉하는 범프들(1912a, 1916a)이 존재하고, 관통 전극 패드(1911a)와 연결되는 TSV(1914a)는 제2 면(124)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다.
마스터 칩(110) 및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2 면(114, 124)에 분리막(isolation layer, 1950, 1960)이 도포되어 있다. 분리막(1950, 1960)은 웨이퍼 백-사이드 면에 존재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전극 패드(1910a)와 연결되는 범프(1912a)가 마스터 칩(110)의 제2 면(114)과 접촉하더라도 마스터 칩(110)의 분리막(1950)에 의해 절연된다. 이에 따라, 범프-투-웨이퍼 백 사이드 단락 현상(1902)이 방지된다.
도 20은 범프-투-웨이퍼 백 사이드 단락 현상을 방지하는 제2 실시예의 TSV-투-범프 공중 연결 방식을 보여준다. 도 20을 참조하면, 마스터 칩(110)의 제1 면(112)에 전극 패드(2010)와 관통 전극 패드(2011)가 형성된다. 전극 패드(2010)는 마스터 칩(110)의 제1 면(112)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들과 연결되고, 관통 전극 패드(2011)는 마스터 칩(110)을 관통하는 TSV(2014)와 연결된다. 전극 패드(2010)와 관통 전극 패드(2011)에는 범프들(2012, 2016)이 각각 접촉된다. TSV(2014)는 마스터 칩(110)의 제2 면(114) 바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전극 패드(2010)와 연결되는 범프(2012)는 PCB 기판(150)의 전극(152)과 접촉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은 마스터 칩(110)과 동일하므로,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제1 면(122)에는 전극 패드(2010a)와 관통 전극 패드(2011a)와 접촉하는 범프들(2012a, 2016a)이 존재하고, 관통 전극 패드(2011a)와 연결되는 TSV(2014a)는 제2 면(124) 바깥으로 돌출되어 있다.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관통 전극 패드(2011, 2011a)의 높이, 관통 전극 패드(2011, 2011a)와 연결되는 범프(2016, 2016a)의 두께 그리고 TSV(2014, 2014a)의 돌출 높이가 구체적으로 설정된다. 관통 전극 패드(2011, 2011a)의 높이와 TSV(2014, 2014a)의 돌출 높이는 서로 같도록, 예컨대 10um 정도 되게끔 형성되어 있다. 범프(2016, 2016a)의 두께는 관통 전극 패드(2011, 2011a)의 높이와 TSV(2014, 2014a)의 돌출 높이의 반보다 작은 높이, 예컨대 4um 정도 되게끔 형성되어 있다.
마스터 칩(110)과 제1 슬레이브 칩(120)이 적층됨에 따라, 제1 슬레이브 칩(120)의 관통 전극 패드(2011a)와 연결되는 범프(2016a)는 마스터 칩(110)의 TSV(2014) 돌출 부분과 접촉한다. 제1 슬레이브 칩(120)의 전극 패드(2010a)와 연결되는 범프(2012a)의 두께는 마스터 칩(110)의 TSV(2014)의 돌출 높이보다 작기 때문에, 제1 슬레이브 칩(120)의 범프(2012a)는 마스터 칩(110)의 제2 면(114)에 닿지 않는다. 이에 따라, 범프-투-웨이퍼 백 사이드 단락 현상이 방지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칩을 사용하여 마스터 칩(110)과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을 구성하는 3D 디바이스에서, EDS 테스트는 웨이퍼 -> 프리-레이저 테스트 -> 셀 리페어 -> 포스트-레이저 테스트 -> 칩 식별 퓨즈 컷트 단계로 이루어진다. 웨이퍼 퓨즈 컷트 작업은 셀 리페어 단계에서 먼저 이루어진 후, 칩 식별 퓨즈 커트 단계에서 추가된다. 추가되는 퓨즈 컷트 작업에 의해 테스트 시간이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셀 리페어 단계와 함께 칩 식별 퓨즈 컷트 단계를 진행하더라도 포스트-레이저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도 21을 참조하면, 스택된 칩들(110, 120, 130, 140)은 크게 DRAM 코어 블락(2210), 독출/기입 블락(2212), 입출력 버퍼 블락(2214) 그리고 패드 블락(2216)으로 구성되며 동일하다. EDS 테스트시, 칩(110, 120, 130, 140) 각각은, 패드 블락(2216)으로 입출력되는 제어 신호 및 데이터에 응답하여 DRAM 코어 블락(2210), 독출/기입 블락(2212) 그리고 입출력 버퍼 블락(2214)이 모두 테스트된다. 이 후, 칩들(110), 120, 130, 140)은 칩 식별 퓨즈 컷트 단계에 의해 고유의 칩 식별 신호(CID)를 가지는 마스터 칩(110)과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로 구분된다.
패키지 테스트시, 칩 식별 신호(CID)에 의해 마스터 칩(110)으로 결정되면, 마스터 칩(110)의 DRAM 코어 블락(2210), 독출/기입 블락(2212), 입출력 버퍼 블락(2214) 그리고 패드 블락(2216)은 모두 테스트된다. 칩 식별 신호(CID)에 의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로 결정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은 전류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패드 블락(2216)을 디세이블시킨다. 특히,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독출/기입 블락(2212), 입출력 버퍼 블락(2214) 그리고 패드 블락(2216)은 EDS 테스트시 사용되고 패키지 후 테스트에서는 디세이블된다.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DRAM 코어 블락(2210) 각각은 TSV(2200)를 통해 마스터 칩(110)과 연결되고, 마스터 칩(110)의 독출/기입 블락(2212), 입출력 버퍼 블락(2214) 그리고 패드 블락(2216)을 이용하여 테스트된다.
그런데, 셀 리페어 단계에서 칩 식별 퓨즈 컷트 작업이 진행되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의 패드 블락(2216)이 차단되어, 제1 내지 제3 슬레이브 칩들(120, 130, 140)은 EDS 테스트 중 포스트-레이저 테스트를 진행할 수 없게 된다.
도 22는 EDS 테스트시 EDS 테스트 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회로 블락을 보여준다. 도 22를 참조하면, 회로 블락(2300)은 프로브 패드(2302)와 먹스부(2304)를 포함한다. 회로 블락(2300)은 도 21의 모든 칩들(110, 120, 130, 140)에 포함된다. 먹스부(2304)는 프로브 패드(2302)로 인가되는 EDS 인에이블 신호(EN_EDS)에 응답하여 제1 입력(I1)으로 수신되는 퓨즈 커팅 신호(F_Cut) 또는 제2 입력(I2)의 로직 "0" 신호를 출력 신호(O)로 출력한다. 먹스부(2304)의 출력 신호(O)는 칩 식별 신호(CID)로 발생된다. 퓨즈 커팅 신호(F_Cut)는 각 칩(110, 120, 130, 140)의 셀 리페어 단계에서 진행되는 칩 식별 퓨즈 컷트 작업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이다. 예컨대, 마스터 칩(110)으로 설정되는 칩은 퓨즈 커팅 신호(F_Cut)가 "0"으로 발생되고, 제1 슬레이브 칩(120)으로 설정되는 칩은 퓨즈 커팅 신호(F_Cut)가 "1"로 설정된다. EDS 인에이블 신호(EN_EDS)는 디폴트로 로직 "0"으로 인가되고, EDS 테스트시 로직 "1"로 인가된다.
해당되는 칩(110, 120, 130, 140)의 EDS 인에이블 신호(EN_EDS)가 디폴트 로직 "0"으로 제공되면, 제1 먹스부(2304)는 제1 입력(I1)으로 수신되는 퓨즈 커팅 신호(F_Cut)를 칩 식별 신호(CID)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마스터 칩(110)으로 설정되는 칩은 "0"의 칩 식별 신호(CID)를 가지고, 제1 슬레이브 칩(120)으로 설정되는 칩은 "1"의 칩 식별 신호(CID)를 가진다.
EDS 테스트시, 먹스부(2304)는 로직 "1"의 EDS 인에이블 신호(EN_EDS)에 응답하여 제2 입력(I2)의 "0" 신호를 출력 신호(O)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해당 칩이 셀 리페어 단계에서 칩 식별 퓨즈가 컷트되었다 하더라도 해당 칩의 칩 식별 신호(CID)는 로직 "0"으로 인식되어, 해당 칩은 마스터 칩(110)인 것처럼 DRAM 코어 블락(2210), 독출/기입 블락(2212), 입출력 버퍼 블락(2214) 그리고 패드 블락(2216)이 모두 테스트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반도체 장치 110, 120, 130, 140 : 반도체 칩
160a ~ 160j, 1914, 1914a, 2014, 2014a, 2200 : 관통 전극(TSV)
150 : 인쇄 회로 기판(PCB) 112, 122, 132, 142 : 반도체 칩의 제1 면
114, 124, 134, 144 : 반도체 칩의 제2 면
170a, 170b, 1912, 1912a, 1916, 1916a, 2012, 2012a, 2016, 2016a 범프
200 : 반도체 메모리 장치 205 : 메모리 셀 어레이 블락
237: 로우 디코더 238 : 칼럼 디코더
220: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
210, 212, 226, 228, 230, 232, 240 : 입력/출력 버퍼들
216 : 기입 데이터 정렬부 222 : 독출 데이터 정렬부(독출 FiFo)
224 :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 214 : 시리얼-투-패러럴 변환부
250 : 버퍼 제어 및 클럭 게이팅부 262 : 레이턴시 제어부
236 : 커맨드 버퍼 및 커맨드 디코더 260 : 지연 동기 회로
Case I ~Case V : TSV 위치 바운더리
710, 720 : 독출 FiFo 제어부 1000 : 글로벌 제어 회로
1110, 1120 :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
1210. 1220 : 글로벌 커맨드 발생 회로
1300 : 로컬 독출 제어 경로 1350 : 글로벌 독출 제어 경로
1402, 1404 : TSV I/O 모듈 1500 :로직 회로
1710, 1730 : 드라이버 1720, 1740 : 입력 버퍼부
2110, 2120 : 분리막 2302 : 프로브 패드 2304 : 먹스부

Claims (50)

  1. 제1 반도체 칩; 및
    상기 제1 반도체 칩과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반도체 칩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반도체 칩과 상기 제2 반도체 칩은 관통 전극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반도체 칩은 상기 관통 전극과 연결되지 않는 전극 패드를 통하여 외부 채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들은
    이종의 반도체 칩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들은
    동종의 반도체 칩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 다수개의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상기 반도체 칩들을 관통하는 관통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상기 반도체 칩들의 데이터 입력 경로 상의 상기 관통 전극의 배치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와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 단에 설정되는 제1 바운더리;
    데이터 입력 버퍼와 데이터 스트로브 입력 버퍼 직후에 설정되는 제2 바운더리;
    플립플롭 직후에 설정되는 제3 바운더리;
    기입 데이터 정렬부 직후에 설정되는 제4 바운더리; 및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 직후에 설정되는 제5 바운더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바운더리 중 적어도 하나의 바운더리에 상기 관통 전극을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의 상기 데이터 입력 경로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 상기 데이터 입력 버퍼,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입력 버퍼, 상기 플립플롭, 상기 시리얼-투-패러럴 변환부, 상기 기입 데이터 정렬부,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 그리고 메모리 셀 어레이 블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들 중 외부 채널과 연결되는 상기 반도체 칩은 상기 관통 전극과 연결되지 않는 전극 패드를 통하여 상기 외부 채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7. 다수개의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상기 반도체 칩들을 관통하는 관통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상기 반도체 칩들의 커맨드/어드레스 경로 상의 상기 관통 전극의 배치는
    어드레스 패드와 커맨드 패드 단에 설정되는 제1 바운더리;
    어드레스 입력 버퍼와 커맨드 입력 버퍼 직후에 설정되는 제2 바운더리;
    플립플롭들 직후에 설정되는 제3 바운더리;
    어드레스 버퍼와 커맨드 버퍼 및 커맨드 디코더 직후에 설정되는 제4 바운더리; 및
    로우 디코더와 칼럼 디코더 직후에 설정되는 제5 바운더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바운더리 중 적어도 하나의 바운더리에 상기 관통 전극을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의 상기 커맨드/어드레스 경로는
    상기 어드레스 패드, 상기 커맨드 패드, 상기 어드레스 입력 버퍼, 상기 커맨드 입력 버퍼, 상기 플립플롭들, 상기 어드레스 버퍼, 상기 커맨드 버퍼 및 상기 커맨드 디코더, 상기 로우 디코더 그리고 상기 칼럼 디코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들 중 외부 채널과 연결되는 상기 반도체 칩은 상기 관통 전극과 연결되지 않는 전극 패드를 통하여 상기 외부 채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0. 다수개의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상기 반도체 칩들을 관통하는 관통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상기 반도체 칩들의 클럭 경로 상의 상기 관통 전극의 배치는
    클럭 패드 단에 설정되는 제1 바운더리;
    클럭 입력 버퍼 직후에 설정되는 제2 바운더리; 및
    클럭 발생부 및 버퍼부 직후에 설정되는 제3 바운더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바운더리 중 적어도 하나의 바운더리에 상기 관통 전극을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의 상기 클럭 경로는
    상기 클럭 패드, 상기 클럭 입력 버퍼 그리고 상기 클럭 발생부 및 상기 버퍼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들 중 외부 채널과 연결되는 상기 반도체 칩은 상기 관통 전극과 연결되지 않는 전극 패드를 통하여 상기 외부 채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3. 다수개의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상기 반도체 칩들을 관통하는 관통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상기 반도체 칩들의 데이터 출력 경로 상의 상기 관통 전극의 배치는
    데이터 입출력 패드와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 단에 설정되는 제1 바운더리;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 직후에 설정되는 제2 바운더리;
    독출 데이터 정렬부의 저장 노드들에 설정되는 제3 바운더리;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 직후 또는 독출 데이터 정렬부 직전에 설정되는 제4 바운더리; 및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 전단에 설정되는 제5 바운더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내지 제5 바운더리 중 적어도 하나의 바운더리에 상기 관통 전극을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의 상기 데이터 출력 경로는
    메모리 셀 어레이 블락,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센스 앰프부, 상기 독출 데이터 정렬부, 상기 패러럴-투-시리얼 변환부,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출력 버퍼, 상기 데이터 출력 버퍼,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패드 그리고 상기 데이터 입출력 패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들 중 외부 채널과 연결되는 제1 반도체 칩은 상기 관통 전극과 연결되지 않는 전극 패드를 통하여 상기 외부 채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 경로에서 상기 관통 전극의 배치가 제3, 제4 또는 제5 바운더리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출력 경로를 제어하는 레이턴시 제어부와 지연 동기 회로에 상기 관통 전극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칩에 위치하는 상기 레이턴시 제어부와 상기 지연 동기 회로만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 경로에서 상기 관통 전극의 배치가 제1 또는 제2 바운더리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반도체 칩들 각각에 위치하는 레이턴시 제어부와 지연 동기 회로가 동작하며, 상기 레이턴시 제어부와 상기 지연 동기 회로는 상기 반도체 칩들 각각의 상기 데이터 출력 경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 경로에서 상기 관통 전극의 배치가 제4 바운더리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제1 반도체 칩의 상기 독출 데이터 정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입출력 구동부를 통하여 전달되는 독출 데이터를 입력하고,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독출 데이터를 제1 신호 라인으로 출력하는 제1 먹스부;
    상기 반도체 칩들 중 상기 제1 반도체 칩 이외의 제2 반도체 칩들의 독출 데이터가 전달되는 제1 관통 전극과 연결되는 상기 제2 신호 라인:
    상기 커맨드 디코더에 의해 구동되는 제1 정렬 신호를 입력하고, 상기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정렬 신호를 제3 신호 라인으로 출력하는 제2 먹스부;
    상기 제2 반도체 칩들의 제1 정렬 신호가 전달되는 제2 관통 전극과 연결되는 상기 제4 신호 라인;
    상기 제3 신호 라인으로 전달되는 상기 제1 반도체 칩의 상기 제1 정렬 신호와 상기 제4 신호 라인으로 전달되는 상기 제2 반도체 칩들의 상기 제1 정렬 신호를 입력하여 제2 정렬 신호를 발생하는 오아 게이트; 및
    상기 제2 정렬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 라인으로 전달되는 상기 제1 반도체 칩의 독출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신호 라인으로 전달되는 상기 슬레이브 칩들의 독출 데이터를 상기 독출 데이터 정렬부로 전달하는 제3 먹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0. 관통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1 반도체 칩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반도체 칩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상기 제1 반도체 칩과 상기 제2 반도체 칩 각각의 글로벌 제어 회로를 동작시키는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는
    상기 제1 반도체 칩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자신 칩 선택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 반도체 칩이 선택되었음을 나타내는 다른 칩 선택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자신 칩 선택 신호와 상기 다른 칩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모든 칩 선택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모든 칩 선택 신호는 상기 제1 반도체 칩 또는 상기 제2 반도체 칩이 동작될 때 상기 마스터 칩에서 상기 글로벌 제어 회로를 활성화시켜 상기 제1 반도체 칩 및 상기 제2 반도체 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칩 선택 신호 발생 회로는
    상기 제1 반도체 칩의 칩 식별 퓨즈부로부터 발생되는 제1 반도체 칩 식별 신호의 반전 신호와 상기 제1 반도체 칩의 칩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제1 낸드 게이트;
    상기 제1 반도체 칩 식별 신호와 상기 제2 반도체 칩의 칩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제2 낸드 게이트;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낸드 게이트들의 출력을 입력하여 상기 자신 칩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오아 게이트;
    상기 제1 반도체 칩 식별 신호와 상기 제1 반도체 칩의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제3 낸드 게이트;
    상기 제1 반도체 칩 식별 신호의 반전 신호와 상기 제2 반도체 칩의 상기 칩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제4 낸드 게이트;
    상기 제3 및 상기 제4 낸드 게이트들의 출력을 입력하여 상기 다른 칩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오아 게이트; 및
    상기 자신 칩 선택 신호와 상기 다른 칩 선택 신호를 입력하여 모든 칩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제3 오아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칩은 상기 관통 전극과 연결되지 않는 전극 패드를 통하여 외부 채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3. 관통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1 반도체 칩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반도체 칩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상기 제1 반도체 칩과 상기 제2 반도체 칩 각각의 글로벌 커맨드 발생 회로는
    현재 입력되는 커맨드가 해당 칩의 커맨드임을 나타내는 자기 커맨드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현재 입력되는 커맨드가 상기 제1 반도체 칩 또는 상기 제2 반도체 칩의 커맨드임을 나타내는 모든 커맨드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커맨드 발생 회로는
    해당 칩의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제1 패드로 입력되는 상기 제1 반도체 칩의 칩 선택 신호를 제1 신호 라인으로 전달하는 제1 버퍼;
    상기 해당 칩의 상기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제2 패드로 입력되는 상기 제2 반도체 칩의 칩 선택 신호를 제2 신호 라인으로 전달하는 제2 버퍼;
    상기 해당 칩의 내부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 라인으로 전달된 상기 제1 반도체 칩의 칩 선택 신호를 래치하여 커맨드 디코더로 전달하는 제1 래치부;
    상기 해당 칩의 상기 내부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신호 라인으로 전달된 상기 제2 반도체 칩의 칩 선택 신호를 래치하여 상기 커맨드 디코더로 전달하는 제2 래치부; 및
    상기 해당 칩의 상기 칩 식별 신호 및 상기 해당 칩으로 인가되는 커맨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자기 커맨드 신호 또는 상기 모든 커맨드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커맨드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칩은 상기 관통 전극과 연결되지 않는 전극 패드를 통하여 외부 채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6. 관통 전극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제1 반도체 칩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반도체 칩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상기 제1 반도체 칩에서는 커맨드, 어드레스, 데이터 입력 또는 데이터 출력과 관련되는 신호와 연결되는 상기 관통 전극을 바이패스시키고, 상기 제2 반도체 칩에서는 상기 커맨드, 상기 어드레스, 상기 데이터 입력 또는 상기 데이터 출력과 관련되는 신호와 연결되는 상기 관통 전극을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칩 및 상기 제2 반도체 칩 각각은,
    상기 커맨드, 상기 어드레스, 상기 데이터 입력 또는 상기 데이터 출력과 관련되는 신호를 전달하는 제1 경로와 제2 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경로는 해당 칩들의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맨드, 상기 어드레스, 상기 데이터 입력 또는 상기 데이터 출력과 관련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경로는 상기 해당 칩들의 상기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맨드, 상기 어드레스, 상기 데이터 입력 또는 상기 데이터 출력과 관련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버퍼, 상기 버퍼 출력과 상기 관통 전극에 연결되는 래치부, 상기 래치부 출력을 입력하는 제2 인버터, 그리고 상기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인버터 출력을 입력하는 제3 인버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인버터의 출력과 상기 제3 인버터의 출력을 입력하는 제5 인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칩은 상기 관통 전극과 연결되지 않는 전극 패드를 통하여 외부 채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29. 동종의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고, 상기 반도체 칩 별로 서로 다른 회로 구성을 갖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 별로 칩 식별 신호를 부여하는 수단; 및
    상기 칩 식별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반도체 칩 별로 구성 회로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는 로직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카운터를 채용하여 상기 반도체 칩 별로 상기 칩 식별 신호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들은
    상기 칩 식별 신호를 발생하는 칩 식별 퓨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회로는
    제1 회로;
    상기 제1 회로와는 다른 회로 구성을 갖는 제2 회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제1 회로 또는 상기 제2 회로로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제1 먹스부;
    상기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회로의 출력 또는 상기 제2 회로의 출력을 출력 신호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 먹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회로는
    제1 반도체 칩의 제1 칩 식별 신호의 반전 신호와 상기 제1 반도체 칩의 제1 칩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제1 낸드 게이트;
    상기 제1 칩 식별 신호와 제1 반도체 칩의 제2 칩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제2 낸드 게이트;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낸드 게이트들의 출력을 입력하여 상기 자신 칩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제1 오아 게이트;
    상기 제1 칩 식별 신호와 상기 제1 칩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제3 낸드 게이트;
    상기 제1 칩 식별 신호의 반전 신호와 상기 제2 칩 선택 신호를 입력하는 제4 낸드 게이트;
    상기 제3 및 상기 제4 낸드 게이트들의 출력을 입력하여 상기 다른 칩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제2 오아 게이트; 및
    상기 자신 칩 선택 신호와 상기 다른 칩 선택 신호를 입력하여 모든 칩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제3 오아 게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회로는
    상기 반도체 칩 별로 웨이퍼 레벨 테스트에 사용되는 회로 블락과 패키지 레벨 테스트에 사용되는 회로 블락을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레벨 테스트에 사용되는 커맨드 경로 상의 회로 블락은,
    커맨드를 수신하는 커맨드 패드;
    상기 커맨드를 입력하는 입력 버퍼;
    상기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커맨드를 제1 신호 라인으로 전달하는 드라이버; 및
    제2 신호 라인의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커맨드를 래치하는 래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패키지 레벨 테스트에 사용되는 상기 커맨드 경로 상의 회로 블락은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연결되는 관통 전극을 통하여 마스터 칩으로부터 전달되는 커맨드를 래치하는 상기 래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레벨 테스트에 사용되는 클럭 경로 상의 회로 블락은,
    클럭 패드로 수신되는 클럭 신호를 입력하는 클럭 입력 버퍼;
    상기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클럭 신호를 상기 제2 신호 라인으로 전달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클럭 신호를 내부 회로로 전달하는 버퍼부로 구성되고,
    상기 패키지 레벨 테스트에 사용되는 상기 클럭 경로 상의 회로 블락은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연결되는 관통 전극을 통하여 상기 마스터 칩으로부터 전달되는 클럭 신호를 상기 내부 회로로 전달하는 상기 버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 레벨 테스트에 사용되는 데이터 경로 상의 회로 블락은,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패드;
    상기 데이터를 입력하는 데이터 입력 버퍼;
    상기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데이터를 제1 신호 라인으로 전달하는 드라이버; 및
    제2 신호 라인의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데이터를 래치하는 래치부로 구성되고,
    상기 패키지 레벨 테스트에 사용되는 상기 데이터 경로 상의 회로 블락은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연결되는 관통 전극을 통하여 마스터 칩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래치하는 상기 래치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웨이퍼 레벨 테스트에 사용되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경로 상의 회로 블락은,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패드로 수신되는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을 입력하는 입력 버퍼;
    상기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제2 신호 라인으로 전달하는 드라이버; 및
    상기 제2 신호 라인의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내부 회로로 전달하는 버퍼부로 구성되고,
    상기 패키지 레벨 테스트에 사용되는 상기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 경로 상의 회로 블락은 상기 제2 신호 라인과 연결되는 관통 전극을 통하여 상기 마스터 칩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를 상기 내부 회로로 전달하는 상기 버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39.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회로는
    상기 반도체 칩 별로 입출력 타입을 드라이버 또는 리시버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회로는
    상기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입력 신호를 구동하여 제1 신호 라인으로 전달하는 상기 드라이버; 및
    상기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신호 라인의 상기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버퍼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 버퍼는 상기 제1 신호 라인과 연결되는 관통 전극을 통하여 마스터 칩으로부터 전달되는 입력 신호를 입력하는 상기 리시버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칩 식별 신호를 입력하는 노아 게이트;
    상기 칩 식별 신호를 입력하는 인버터;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인버터 출력을 입력하는 낸드 게이트;
    전원 전압에 그 소스가 연결되고, 상기 낸드 게이트의 출력에 그 게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그 드레인이 연결되는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접지 전압에 그 소스가 연결되고, 상기 노아 게이트의 출력에 그 게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 라인에 그 드레인이 연결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버퍼부는
    상기 제1 신호 라인으로 전달되는 상기 입력 신호와 상기 칩 식별 신호를 입력하는 낸드 게이트; 및
    상기 낸드 게이트의 출력을 입력하는 인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3. 다수개의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 각각은
    상기 반도체 칩의 제1 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와 관통 전극 패드;
    상기 관통 전극 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반도체 칩을 관통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제2 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관통 전극;
    상기 반도체 칩의 상기 제2 면에 도포된 분리막; 및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관통 전극 패드에 접촉하는 범프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장치는
    상기 관통 전극 패드의 높이와 상기 관통 전극의 돌출 높이는 서로 같게 형성되고, 상기 범프의 두께는 상기 관통 전극 패드의 높이 또는 상기 관통 전극의 상기 돌출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들은 동종의 반도체 칩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6. 다수개의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 각각은
    상기 반도체 칩의 제1 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와 관통 전극 패드;
    상기 관통 전극 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반도체 칩을 관통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제2 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관통 전극; 및
    상기 전극 패드와 상기 관통 전극 패드에 접촉하는 범프들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 전극 패드의 높이와 상기 관통 전극의 돌출 높이는 서로 같게 형성되고, 상기 범프의 두께는 상기 관통 전극 패드의 높이 또는 상기 관통 전극의 상기 돌출 높이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7. 제46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들은 동종의 반도체 칩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8. 다수개의 반도체 칩들이 적층되는 반도체 장치에서,
    상기 반도체 칩의 웨이퍼 테스트 중 셀 리페어 단계에서 상기 반도체 칩의 칩 식별 퓨즈를 커트하여 칩 식별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칩 식별 신호에 응답하여 패키지 테스트되는 상기 반도체 칩을 프로브 패드를 이용하여 상기 웨이퍼 테스트할 수 있는 로직 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로직 회로는
    웨이퍼 테스트 인에이블 신호가 인가되는 상기 프로브 패드; 및
    상기 웨이퍼 테스트 인에이블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반도체 칩의 상기 칩 식별 퓨즈의 커팅 신호 또는 마스터 칩의 칩 식별 신호를 상기 반도체 칩의 칩 식별 신호로 출력하는 먹스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50. 제48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칩들은 동종의 반도체 칩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KR1020100048616A 2010-05-25 2010-05-25 3d 반도체 장치 KR101751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616A KR101751045B1 (ko) 2010-05-25 2010-05-25 3d 반도체 장치
JP2011117388A JP5735350B2 (ja) 2010-05-25 2011-05-25 半導体メモリチップ、半導体集積回路、半導体パッケージ、半導体メモリ装置、半導体装置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TW100118370A TWI552161B (zh) 2010-05-25 2011-05-25 三維半導體裝置
US13/115,501 US8743582B2 (en) 2010-05-25 2011-05-25 3D semiconductor device
CN201110219876.1A CN102354519B (zh) 2010-05-25 2011-05-25 三维半导体器件
US14/262,693 US9245827B2 (en) 2010-05-25 2014-04-25 3D semiconductor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616A KR101751045B1 (ko) 2010-05-25 2010-05-25 3d 반도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149A true KR20110129149A (ko) 2011-12-01
KR101751045B1 KR101751045B1 (ko) 2017-06-27

Family

ID=4502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616A KR101751045B1 (ko) 2010-05-25 2010-05-25 3d 반도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743582B2 (ko)
JP (1) JP5735350B2 (ko)
KR (1) KR101751045B1 (ko)
CN (1) CN102354519B (ko)
TW (1) TWI552161B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5675A1 (en) * 2011-12-23 2013-06-27 Intel Corporation Dynamic memory performance throttling
KR20130093342A (ko) * 2012-02-14 2013-08-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집적회로
KR20140139786A (ko) * 2013-05-28 2014-12-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150106024A (ko) * 2014-03-10 2015-09-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다양한 경로로 신호 입력이 가능한 적층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US9275984B2 (en) 2013-04-11 2016-03-01 SK Hynix Inc. Multi-chip package system
KR20160056043A (ko) * 2014-11-11 2016-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택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KR20170014567A (ko) * 2015-07-30 2017-02-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KR20170050057A (ko) * 2015-10-29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아이디(id) 발생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
US9711487B2 (en) 2015-04-08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using temperature deviation in multi-chip package
KR20190114444A (ko) * 2018-03-30 2019-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관통 전극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메모리 장치
US11347444B2 (en) 2015-12-24 2022-05-31 SK Hynix Inc.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s according to different access units of memory
USRE49496E1 (en) 2015-07-30 2023-04-18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US11755255B2 (en) 2014-10-28 2023-09-12 SK Hynix Inc. Memor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memories sharing a resistance for impedance match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1199B2 (en) * 2009-10-01 2013-09-10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Method for testing through-silicon-via and the circuit thereof
US20110080184A1 (en) * 2009-10-01 2011-04-07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Method for testing through-silicon-via and the circuit thereof
US8237460B1 (en) * 2010-02-18 2012-08-07 Amkor Technology, Inc. Pogo pin inserting device for testing semiconductor devices and method therefor
US20110289593A1 (en) * 2010-05-24 2011-11-24 Alexander Roger Deas Means to enhance the security of data in a communications channel
KR101263663B1 (ko) * 2011-02-09 2013-05-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JP5635924B2 (ja) * 2011-02-22 2014-12-03 ピーエスフォー ルクスコ エスエイアールエルPS4 Luxco S.a.r.l. 半導体装置及びその試験方法
KR101804521B1 (ko) * 2011-08-16 2017-12-07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집적회로 칩,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동작방법, 메모리 및 메모리 시스템
TWI456739B (zh) * 2011-12-13 2014-10-11 Nat Univ Tsing Hua 三維記憶體晶片之控制結構
US8599595B1 (en) 2011-12-13 2013-12-03 Michael C. Stephens, Jr. Memory devices with serially connected signals for stacked arrangements
US8848472B2 (en) * 2011-12-15 2014-09-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abrication and testing method for nonvolatile memory devices
KR101858578B1 (ko) * 2011-12-21 2018-05-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이종 칩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시스템
US10157060B2 (en) 2011-12-29 2018-12-18 Intel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 signaling in a data path module of a data stream processing engine
US8737521B2 (en) * 2012-03-07 2014-05-27 Apple Inc. Signal conversion during transmission of serial data streams
KR101975330B1 (ko) * 2012-04-06 2019-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퓨즈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리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들
CN103377961A (zh) * 2012-04-25 2013-10-30 南亚科技股份有限公司 三维堆叠的随机存取存储器的测试与制造方法以及晶圆的测试方法
JP5980556B2 (ja) * 2012-04-27 2016-08-3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9431089B2 (en) * 2012-06-12 2016-08-30 Rambus Inc. Optimizing power in a memory device
KR102058509B1 (ko) * 2012-06-29 2019-12-2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집적회로
US9343449B2 (en) 2012-07-06 2016-05-17 Nvidia Corporation Alternative 3D stacking scheme for DRAMs atop GPUs
KR20140024665A (ko) * 2012-08-20 2014-03-0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셀 테스트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반도체메모리장치
CN103633092B (zh) * 2012-08-22 2016-02-03 成都海存艾匹科技有限公司 存储、模拟和数字功能分离的三维存储器
KR102007259B1 (ko) 2012-09-27 2019-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US9009400B2 (en) 2012-10-16 2015-04-14 Rambus Inc. Semiconductor memory systems with on-die data buffering
US9153533B2 (en) * 2013-03-13 2015-10-06 Invensas Corporation Microelectronic elements with master/slave configurability
US8723329B1 (en) * 2013-03-15 2014-05-13 Invensas Corporation In-package fly-by signaling
US9013235B2 (en) * 2013-07-16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Monolithic three dimensional (3D) flip-flops with minimal clock skew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2034155B1 (ko) * 2013-08-09 2019-10-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반도체 시스템
US10331583B2 (en) 2013-09-26 2019-06-25 Intel Corporation Executing distributed memory operations using processing elements connected by distributed channels
KR102144874B1 (ko) * 2013-10-24 2020-08-1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관통 비아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102103865B1 (ko) * 2013-11-05 2020-04-24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시스템
US9559040B2 (en) 2013-12-30 2017-01-3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ouble-sided segmented line architecture in 3D integration
KR102192546B1 (ko) * 2014-04-22 2020-12-1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9389972B2 (en) * 2014-05-13 2016-07-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retrieval from stacked computer memory
KR20150138703A (ko) * 2014-06-02 2015-12-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스택 패키지
KR20160025957A (ko) * 2014-08-28 2016-03-09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집적회로
KR20160029386A (ko) * 2014-09-05 2016-03-15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적층형 반도체 장치
SG11201701725QA (en) * 2014-09-17 2017-04-27 Toshiba Kk Semiconductor device
TWI556247B (zh) 2014-11-12 2016-11-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錯誤容忍穿矽孔介面及其控制方法
CN105023901B (zh) * 2015-08-13 2017-10-24 上海航天电子通讯设备研究所 一种基于铝基板的三维叠层芯片的封装结构及其制备方法
KR102373541B1 (ko) 2015-08-31 2022-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스택 반도체 장치 및 이의 테스트 방법
KR20170079544A (ko) * 2015-12-30 2017-07-10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래치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KR20170133043A (ko) * 2016-05-25 2017-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인덕터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형 반도체 장치
KR20180002939A (ko) * 2016-06-29 2018-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패키지, 및 그것을 포함하는 메모리 모듈
US10558575B2 (en) 2016-12-30 2020-02-11 Intel Corporation Processors, methods, and systems with a configurable spatial accelerator
US10572376B2 (en) 2016-12-30 2020-02-25 Intel Corporation Memory ordering in acceleration hardware
CN108267682B (zh) * 2016-12-30 2020-07-28 杭州广立微电子有限公司 一种高密度测试芯片及其测试***及其测试方法
US11243251B2 (en) * 2016-12-30 2022-02-08 Semitronix Corporation Addressable test system with address register
US10366041B2 (en) * 2017-01-27 2019-07-30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differential signal termination
JP6679528B2 (ja) * 2017-03-22 2020-04-15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10775431B2 (en) 2017-06-28 2020-09-15 Sandisk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uty cycle measurement, analysis, and compensation
JP2019008859A (ja) * 2017-06-28 2019-01-17 東芝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2395446B1 (ko) * 2017-09-28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형 반도체 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적층형 반도체 장치에서의 신호 전송 방법
US11086816B2 (en) 2017-09-28 2021-08-10 Intel Corporation Processors, methods, and systems for debugging a configurable spatial accelerator
US20190101952A1 (en) * 2017-09-30 2019-04-04 Intel Corporation Processors and methods for configurable clock gating in a spatial array
KR102455427B1 (ko) * 2017-12-20 2022-10-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565134B2 (en) 2017-12-30 2020-02-18 Inte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cast in a configurable spatial accelerator
KR20190087893A (ko) * 2018-01-17 2019-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클럭을 공유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전자 시스템
KR102578797B1 (ko) 2018-02-01 2023-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JP2019145186A (ja) * 2018-02-21 2019-08-29 東芝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10564980B2 (en) 2018-04-03 2020-02-18 Inte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conditional queues in a configurable spatial accelerator
US11307873B2 (en) 2018-04-03 2022-04-19 Inte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unstructured data flow in a configurable spatial accelerator with predicate propagation and merging
US11200186B2 (en) 2018-06-30 2021-12-14 Intel Corpo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operations in a configurable spatial accelerator
US10891240B2 (en) 2018-06-30 2021-01-1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for low latency communication in a configurable spatial accelerator
CN110061002B (zh) * 2018-08-31 2021-09-21 济南德欧雅安全技术有限公司 一种存储器件
US10678724B1 (en) 2018-12-29 2020-06-09 Intel Corpo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in-network storage in a configurable spatial accelerator
US10965536B2 (en) 2019-03-30 2021-03-30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insert buffers in a dataflow graph
US10817291B2 (en) 2019-03-30 2020-10-27 Intel Corpo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swizzle operations in a configurable spatial accelerator
US10915471B2 (en) 2019-03-30 2021-02-09 Intel Corpo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memory interface circuit allocation in a configurable spatial accelerator
US11029927B2 (en) 2019-03-30 2021-06-08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ct and annotate backedges in a dataflow graph
US11037050B2 (en) 2019-06-29 2021-06-15 Intel Corpo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memory interface circuit arbitration in a configurable spatial accelerator
KR20210029615A (ko) * 2019-09-06 2021-03-16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장치
US10916489B1 (en) * 2019-10-02 2021-02-09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core chip having TSVS
WO2021133741A1 (en) 2019-12-23 2021-07-01 Invensas Bonding Technologies, Inc. Electrical redundancy for bonded structures
US11721653B2 (en) * 2019-12-23 2023-08-08 Adeia Semiconductor Bonding Technologies Inc. Circuitry for electrical redundancy in bonded structures
US11907713B2 (en) 2019-12-28 2024-02-20 Intel Corporatio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fused operations using sign modification in a processing element of a configurable spatial accelerator
KR20210095009A (ko) * 2020-01-21 2021-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및 저전력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메모리 장치
US11295808B2 (en) * 2020-01-21 2022-04-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device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t high speed and low power
US20210311638A1 (en) * 2020-04-07 2021-10-07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ie replacement in stacked memory
US11587919B2 (en) * 2020-07-17 2023-02-21 Micron Technology, Inc. Microelectronic devices, related electronic systems, and methods of forming microelectronic devices
US11675731B2 (en) 2020-08-20 2023-06-13 Global Unichip Corporation Data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for 3D semiconductor device
US11687472B2 (en) 2020-08-20 2023-06-27 Global Unichip Corporation Interface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interfacing method thereof
US11031923B1 (en) 2020-08-20 2021-06-08 Global Unichip Corporation Interface device and interface method for 3D semiconductor device
CN114121083A (zh) * 2020-08-26 2022-03-01 长鑫存储技术(上海)有限公司 接口电路、数据传输电路以及存储器
US11226767B1 (en) * 2020-09-30 2022-01-18 Micron Technology, Inc. Apparatus with access control mechanism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JP6986127B1 (ja) 2020-10-21 2021-12-22 華邦電子股▲ふん▼有限公司Winbond Electronics Corp. メモリシステムおよびその操作方法
KR20220131402A (ko) 2021-03-18 2022-09-2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장치
TWI798931B (zh) * 2021-11-12 2023-04-11 鯨鏈科技股份有限公司 晶圓對晶圓技術之輸入及輸出電路與使用其之晶片裝置
KR20230078421A (ko) * 2021-11-26 2023-06-0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집적 회로 칩
CN113868065B (zh) * 2021-12-06 2022-05-06 珠海普林芯驰科技有限公司 一种测试和烧录叠封芯片的方法、叠封芯片
US20230206987A1 (en) * 2021-12-29 2023-06-29 Changxin Memory Technologies, Inc. Integrated circuit structure, memory, and integrated circuit layout
CN115842013B (zh) * 2023-02-13 2023-06-09 浙江力积存储科技有限公司 一种三维堆叠存储器及其数据处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3604B2 (ja) * 1998-07-29 2004-09-08 株式会社東芝 マルチチップ半導体装置及びメモリカード
JP2001084791A (ja) * 1999-07-12 2001-03-30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3959264B2 (ja) * 2001-09-29 2007-08-15 株式会社東芝 積層型半導体装置
KR100459730B1 (ko) * 2002-12-02 200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핀의 기생 부하를 최소화시키는 멀티 칩 패키지
JP4419049B2 (ja) 2003-04-21 2010-02-24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メモリモジュール及びメモリシステム
US7054202B2 (en) * 2003-06-03 2006-05-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gh burst rate write data paths for integrated circuit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7535772B1 (en) * 2003-06-27 2009-05-19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Configurable data path architecture and clocking scheme
JP4272968B2 (ja) 2003-10-16 2009-06-03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チップ制御方法
JP4068616B2 (ja) 2003-12-26 2008-03-26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4345705B2 (ja) * 2005-04-19 2009-10-14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メモリモジュール
JP4423453B2 (ja) 2005-05-25 2010-03-03 エルピーダメモリ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KR100843240B1 (ko) 2007-03-23 2008-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이퍼 레벨 스택을 위한 반도체 소자 및 웨이퍼 레벨스택을 위한 반도체 소자의 관통전극 형성방법
JP2008235838A (ja) 2007-03-23 2008-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装置、その製造方法、その実装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icカード
JP2008300469A (ja) * 2007-05-30 2008-12-11 Sharp Corp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
KR100909969B1 (ko) 2007-06-28 200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및 반도체 소자를 포함하는스택 모듈, 카드 및 시스템
KR101196483B1 (ko) 2007-07-16 2012-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택형 반도체 장치 및 이 장치의 신호 분배 방법
DE102007036989B4 (de) 2007-08-06 2015-02-26 Qimonda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peichervorrichtung, Speichereinrichtung und Speichervorrichtung
US7698470B2 (en) 2007-08-06 2010-04-13 Qimonda Ag Integrated circuit, chip stack and data processing system
KR101430166B1 (ko) * 2007-08-06 2014-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스택 메모리 장치
KR101448150B1 (ko) 2007-10-04 2014-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칩이 적층된 멀티 칩 패키지 메모리, 메모리 칩의적층 방법 및 멀티 칩 패키지 메모리의 동작 제어 방법
US7816934B2 (en) * 2007-10-16 2010-10-19 Micron Technology, Inc. Reconfigurable connections for stacked semiconductor devices
US8059443B2 (en) * 2007-10-23 2011-11-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hree-dimensional memory module architectures
US8031505B2 (en) 2008-07-25 2011-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tacked memory module and system
JP2011029535A (ja) * 2009-07-29 2011-02-10 Elpida Memory Inc 半導体装置
KR20140137668A (ko) * 2013-05-23 2014-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적층된 칩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5675A1 (en) * 2011-12-23 2013-06-27 Intel Corporation Dynamic memory performance throttling
CN104115229A (zh) * 2011-12-23 2014-10-22 英特尔公司 动态存储器性能调节
US9104540B2 (en) 2011-12-23 2015-08-11 Intel Corporation Dynamic memory performance throttling
CN104115229B (zh) * 2011-12-23 2017-03-08 英特尔公司 动态存储器性能调节
KR20130093342A (ko) * 2012-02-14 2013-08-22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집적회로
US9275984B2 (en) 2013-04-11 2016-03-01 SK Hynix Inc. Multi-chip package system
KR20140139786A (ko) * 2013-05-28 2014-12-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메모리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패키지
KR20150106024A (ko) * 2014-03-10 2015-09-21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다양한 경로로 신호 입력이 가능한 적층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시스템
US11755255B2 (en) 2014-10-28 2023-09-12 SK Hynix Inc. Memory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memories sharing a resistance for impedance matching
KR20160056043A (ko) * 2014-11-11 2016-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택 반도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US10804248B2 (en) 2015-04-08 2020-1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using temperature deviation in multi-chip package
US9711487B2 (en) 2015-04-08 2017-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using temperature deviation in multi-chip package
US10090281B2 (en) 2015-04-08 2018-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using temperature deviation in multi-chip package
US10593650B2 (en) 2015-04-08 2020-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using temperature deviation in multi-chip package
US11289457B2 (en) 2015-04-08 2022-03-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using temperature deviation in multi-chip package
US11640955B2 (en) 2015-04-08 2023-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 using temperature deviation in multi-chip
USRE49496E1 (en) 2015-07-30 2023-04-18 SK Hynix Inc. Semiconductor device
KR20170014567A (ko) * 2015-07-30 2017-02-08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KR20170050057A (ko) * 2015-10-29 201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칩 아이디(id) 발생 회로를 갖는 반도체 장치
US11347444B2 (en) 2015-12-24 2022-05-31 SK Hynix Inc. Memory device for controlling operations according to different access units of memory
KR20190114444A (ko) * 2018-03-30 2019-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관통 전극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샘플링하는 메모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48992A (ja) 2011-12-08
CN102354519A (zh) 2012-02-15
CN102354519B (zh) 2016-03-02
KR101751045B1 (ko) 2017-06-27
US8743582B2 (en) 2014-06-03
US20110292708A1 (en) 2011-12-01
TW201209842A (en) 2012-03-01
JP5735350B2 (ja) 2015-06-17
US9245827B2 (en) 2016-01-26
US20140233292A1 (en) 2014-08-21
TWI552161B (zh) 2016-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045B1 (ko) 3d 반도체 장치
US11960418B2 (en) Semiconductor memory systems with on-die data buffering
US8837191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US9584124B2 (en) Semiconductor device
KR20120136302A (ko) 반도체 디바이스
US9263371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rough-silicon via
US9153533B2 (en) Microelectronic elements with master/slave configurability
KR20150047292A (ko) 반도체 장치 및 이의 테스트 방법
US9569389B2 (en) Semiconductor system for tuning skew of semiconductor chip
KR102029594B1 (ko) 반도체 기억 장치, 그 제조 방법 및 데이터 스트로브 신호의 출력 방법
JP2014236186A (ja) 半導体装置
JP2010034436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20177720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システム
US11599484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plural signal buses for multiple purposes
KR102017809B1 (ko) 칩 다이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0175293B2 (en) Semiconductor device
KR20140088782A (ko) 3차원 적층 반도체 집적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