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8664B1 -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8664B1
KR101428664B1 KR1020130152810A KR20130152810A KR101428664B1 KR 101428664 B1 KR101428664 B1 KR 101428664B1 KR 1020130152810 A KR1020130152810 A KR 1020130152810A KR 20130152810 A KR20130152810 A KR 20130152810A KR 101428664 B1 KR101428664 B1 KR 101428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locking member
locking
contact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30152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6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664B1/ko
Priority to JP2016505423A priority patent/JP6196371B2/ja
Priority to US14/766,970 priority patent/US9980570B2/en
Priority to PCT/KR2014/011763 priority patent/WO2015088175A1/en
Priority to CN201480009092.8A priority patent/CN105142976B/zh
Priority to DE112014000517.7T priority patent/DE112014000517T5/de
Priority to BR112015019896A priority patent/BR112015019896A2/p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additional seat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height of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74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헤드레스트가 직립위치에 있을 때 제1부재와 경사면이 접촉하여, 직립상태에서 유격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구성요소가 단순하여 장치가 컴팩트해져 시트조립이 용이해지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폴딩장치{Headrest F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헤드레스트가 직립위치에 있을 때 제1부재와 경사면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 접촉하여, 직립상태에서 유격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구성요소가 단순하여 장치가 컴팩트해져 시트조립이 용이해지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8-0094385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종래의 헤드레스트의 폴딩장치는, 시트의 등판 내부에 장착하며 양측판(11)의 상측부 동일 위치에 각각 힌지공(13)을 동심원으로 하여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한 안내홈(12)을 구비하는 하우징(10)과, 각 후단은 수평부(21)의 양쪽에 고정하고 각 전단은 상기 각 힌지공에 힌지축(24)으로 각각 축 결합하는 힌지판(23)에 의해 상기 하우징에 회동하게 설치하는 스테이로드(20)와, 양쪽에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양 수직부(22)의 선단부를 삽입하는 안내공(3)이 서로 평행하게 관통형성된 지지판재(31)를 내부에 장착하는 받침부재와, 홀딩스프링(40a)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스테이로드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일측판의 내면에 홀딩축(40b)으로 축 설치하며 상부에는 상기 받침부재를 밀어올려 주면 상향회동하여 세워지는 스테이로드의 수평부를 홀딩하는 홀딩홈(41)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홀딩턱(42)이 형성되어 있는 홀딩부재(40)와, 제동스프링(50a)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홀딩부재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일측판의 내면 하부에 제동축(50b)으로 축 설치하며 상단에는 상기 홀딩부재가 세워진 스테이로드의 수평부를 홀딩하고 있을 때에는 홀딩턱을 걸어서 홀딩부재가 역회전하지 않게 제동하여 스테이로드가 세워진 상태로 있게 하는 제동턱(51)이 형성된 제동부재(50)와, 일단은 상기 제동부재의 후단에 결속하고 타단은 등판의 외측에 설치되는 레버(도시하지 않음)에 결속하여 설치하며 레버를 조작하면 제동부재를 당겨서 제동스프링의 반발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홀딩부재의 제동을 해제시켜 주는 와이어(60)와, 상기 힌지축에 결합하여 일단은 스테이로드의 수평부에 걸어주고 타단은 하우징의 타측판에 걸어주어 제동부재에 의한 홀딩부재의 제동이 해제되면 반발력이 작용하여 세워져 있는 상기 스테이로드를 전방으로 하향회동시켜 굽혀주는 메인스프링(70) 및 선단은 상기 지지판재의 하면 중간에 부설하는 힌지편(4)에 지축(81)으로 축 결합하고 후단은 상기 힌지축보다 후방 상측에 위치하게 하우징의 중간 후측에 설치한 브래킷(10a)의 상단에 지축(81')으로 축 결합하여 설치하는 링크(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 설명부호 14, 14'는 제동축(50b)의 축공이며, 17은 받침편이며, 16은 와이어(60)의 유통구이며, 15는 저면판이고, 11a는 지축(81')의 축공이며, 43은 받침턱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구조가 복잡하고 제동부재(50) 및 홀딩부재(40)가 잦은 사용으로 인해 마모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유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로킹부재의 전방에 고무 등을 설치하고 있으나, 고무도 잦은 마찰로 인해 마모되어 유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직립상태에서 헤드레스트와 로킹부재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구성요소가 단순하여 장치가 컴팩트해져 시트조립이 용이해지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부재와,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부재와,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헤드레스트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메인스프링과, 상기 제2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1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2위치의 반대방향에 상기 제1부재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헤드레스트를 제1위치로 고정시키는 로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위치와 상기 제1위치 중 하나는 상기 헤드레스트가 폴딩된 위치이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헤드레스트가 직립된 위치이고, 상기 로킹부재에서 상기 제1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레스트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킹부재와 상기 제1부재는 상기 경사면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로킹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로킹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로킹부재에 연결되어 로킹을 해제하는 와이어이거나,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로킹부재를 눌러서 로킹을 해제하는 버튼부일 수 있다.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제2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킹부재의 회동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부재의 회동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상기 로킹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회동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며, 상기 로킹부재의 회동축은 상기 제1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2위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제2부재에 상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킹부재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스프링안착홈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귀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형성되며,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로킹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에 상기 지지판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로킹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지지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헤드레스트가 직립위치에 있을 때 제1부재와 경사면이 접촉하여, 폴딩시 헤드레스트와 지지대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고 직립상태에서 유격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는 동시에 구성요소가 단순하여 장치가 컴팩트해져 시트조립이 용이해지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로킹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로킹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헤드레스트의 폴딩과 직립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로킹부재에 연결되어 로킹을 해제하는 와이어이거나,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로킹부재를 눌러서 로킹을 해제하는 버튼부여서, 시트와의 연결구조가 더욱 단순해질 수 있다.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제2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킹부재의 회동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부재의 회동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장치의 전후폭을 줄일 수 있어서 장치가 컴팩트해질 수 있으며, 지지대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어서 지지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로킹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회동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지지대의 형상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는 상기 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며, 상기 로킹부재의 회동축은 상기 제1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2위치쪽에 배치되어, 구동부재의 구동력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제2부재에 상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로킹부재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스프링안착홈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귀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형성되어, 구조가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로킹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에 상기 지지판은 형성되어, 상기 제2부재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제2부재가 안정적으로 보호 및 슬라이딩된다.
도 1은 종래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로킹부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2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측면도.
도 6은 도 2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후방 사시도.
도 7은 도 2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서 제2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8은 도 2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서 제2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9는 도 2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서 제2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10은 도 4의 A-A단면도(헤드레스트가 직립위치에 있을 때).
도 11은 헤드레스트가 폴딩위치에 있을 때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단면도.
도 12는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판이 형성된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배면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분리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결합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B-B 단면도(헤드레스트가 직립위치에 있을 때).
도 16은 도 14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저면도.
도 17은 도 14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서 제1판부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18은 도 14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서 제1판부를 분리한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19는 헤드레스트가 폴딩위치에 있을 때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분리 사시도.
도 21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버튼부 분리 사시도.
도 22는 도 20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결합 사시도.
도 23은 도 20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서 제1판부를 제거한 상태의 정면도.
도 24는 버튼부를 통해 로킹부재를 누를 때 도 20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서 제2판부를 제거한 상태의 배면도.
도 25는 헤드레스트가 폴딩위치에 있을 때 제 3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평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분리 사시도.
도 27은 도 26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결합 사시도.
도 28은 도 27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정면도.
도 29는 도 27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배면도.
도 30은 도 27의 C-C 단면도(헤드레스트가 직립위치에 있을 때).
도 31은 헤드레스트를 폴딩시키기 위해 와이어를 잡아당겨서 제 4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로킹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2는 헤드레스트가 폴딩위치에 있을 때 제 4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단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분리 사시도.
도 34는 도 33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결합 사시도.
도 35는 도 34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d-d 단면도(헤드레스트가 직립위치에 있을 때).
도 36은 도 34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e-e 단면도(헤드레스트가 직립위치에 있을 때).
도 37은 헤드레스트가 폴딩위치에 있을 때 제 5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도 34의 d-d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분리 사시도.
도 39는 도 38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결합 사시도.
도 40은 도 38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배면도.
도 41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분리 사시도.
도 42는 도 41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결합 사시도.
도 43은 도 42의 f-f 단면도(헤드레스트가 직립위치에 있을 때).
도 44는 헤드레스트를 폴딩시키기 위해 와이어를 잡아당겨서 제 5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로킹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5는 헤드레스트가 폴딩위치에 있을 때 제 7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예>
도 2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는 제1부재(100)와, 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부재(200)와, 상기 제1부재(100)와 상기 제2부재(200)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부재(100) 및 상기 제2부재(200)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헤드레스트를 제2위치(이하 전방:폴딩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메인스프링(300)과, 상기 제2부재(200)에 설치되며, 상기 제1부재(100)를 기준으로 상기 제2위치의 반대방향에 상기 제1부재(100)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헤드레스트를 제1위치(이하 직립된 위치)로 고정시키는 로킹부재(400)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부재(400)에서 상기 제1부재(100)와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경사면(411)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레스트가 직립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킹부재(400)와 상기 제1부재(100)는 상기 경사면(411)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부재(100)는 헤드레스트에 연결되어 회전된다.
제1부재(100)는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로드(102)와, 양측의 수직로드(102)의 하부를 연결하는 수평로드(103)를 포함한다.
수직로드(102)는 하부가 후방으로 절곡되고, 상부가 전방으로 절곡되며, 상단이 내측을 향하도록 수평하게 절곡된다.
상기 헤드레스트는 수직로드(102)의 상부에 설치되는 머리받침부(101)를 포함한다.
머리받침부(101)에는 수직로드(102)의 상부 및 상단이 끼워지는 홈이 형성되어 제1부재(100)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설치된다.
제2부재(200)는 판재로 구비되어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시트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제2부재(200)는 제1판부(210)와, 제1판부(2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판부(220)를 포함한다.
제1판부(210)는 상면(211)과, 상면(211)의 하부에 연속되게 형성되는 전면(212)과, 상면(211)과 전면(212)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벽(213)을 포함한다.
상면(211)과 전면(212) 사이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면(211)과 측벽(213)의 상부 및 상면(211)과 전면(212)의 상부 일부 사이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213)에는 제1부재(100)의 수평로드(103)가 관통하는 제1관통홈(214)이 형성된다. 제1관통홈(214)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213)에는 이러한 제1관통홈(214)의 상부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폴딩이 완료되면 수평로드(103)와 접촉하게 되어 더이상 수평로드(103)가 회전되지 않게된다. 이와 같이 상기 걸림부로 인해 상기 헤드레스트의 폴딩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1관통홈(214)은 후방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측벽(213)의 외측에는 수평로드(103)가 관통되는 제2관통홈이 형성되는 보조판부(230)가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판부(230)는 수평로드(103)에 용접 등에 의해 파이프에 일체로 설치된다.
보조판부(230) 상부에는 제1부재(100)의 회동축(301)이 체결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관통홈은 상기 체결공의 하부에 배치되며, 후방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보조판부(230)가 회동축(301)에 의해 설치될 수 있도록 측벽(213) 상부 전방에는 회동축(301)이 삽입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213) 전방 중간부에는 이하 서술되는 메인스프링(3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메인스프링(300)의 일단이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2판부(220)는 후면(221)과, 후면(221) 하부에 연속되게 형성되는 바닥면(222)을 포함한다.
후면(221)에는 전후방향으로 제1설치공과, 상기 제1설치공의 좌측 상부에 배치되는 제2설치공이 형성된다.
후면(221) 상단은 후방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있다.
후면(221)의 높이는 전면(21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후면(221) 후방 및 바닥면(222) 하부에는 와이어설치공(223)이 형성되어 있다.
바닥면(222) 양측에는 시트의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도록 체결볼트(240)가 관통되는 관통공(22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다르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벽(213) 양측에 시트의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도록 브라켓판(226)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판(226)에는 볼트등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판부(210)와 제2판부(220)의 가장자리에는 체결돌기(215)와 체결돌기(215)가 끼워지는 체결홈(225)이 형성되며 용접 등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메인스프링(300)은 제1부재(100)와 제2부재(200) 사이에 연결되어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00)에 탄성력을 가한다. 메인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00) 중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재는 회전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메인스프링(300)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일측에 배치되는 보조판부(230)에 체결되는 회동축(301)에 끼워져서 설치된다. 회동축(301)은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회동하는 제1부재(100)의 회동축이 된다. 회동축(301)은 헤드레스트가 직립상태에 있을 때 수평로드(103)보다 전방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메인스프링(300)은 측벽(213) 및 보조판부(230)의 내측에 배치된다.
메인스프링(300)의 일단은 상기 끼움공에 끼워져서 연결되고, 타단은 수평로드(103)에 연결된다.
로킹부재(400)는 제1부재(100)를 기준으로 전방의 반대방향에 제1부재(100)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헤드레스트를 직립된 위치로 고정시킨다.
상기 로킹부재(400)에서 상기 제1부재(100)와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경사면(411)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레스트가 직립된 위치에 있을 때 경사면(411)의 적어도 어느 한 부분에서 접촉한다. 경사면(411)과 제1부재(100)의 접촉은 점접촉 또는 선접촉 또는 면접촉 모두 가능하다.
로킹부재(400)는 제2부재(200)에 설치되며, 제1부재(100)에 상기 탄성력이 가해지는 방향의 반대방향에서 제1부재(100)에 직접 접촉하여 제1부재(100)를 지지하는 지지대(410)가 형성된다.
로킹부재(400)는 회동축(401)을 통해 상기 제2부재(200)의 후면(2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축(401)은 로킹부재(400)의 후방에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제2부재(200)의 회동축은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어, 본 실시예에서는 로킹부재(400)와 제2부재(200)의 회동축의 사이각은 수직이다.
로킹부재(400)는 두꺼운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우측 상부에 지지대(410)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대(410)의 좌측면은 로킹부재(400)의 좌측면에 연속되도록 수직하게 형성되며, 지지대(410)의 우측면과 로킹부재(400)의 상면 사이의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다.
로킹부재(400)의 하부 양측 모서리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다.
로킹부재(400)의 하부 좌측에는 회동축(401)이 끼워지는 체결공(407)이 형성된다.
회동축(401)은 전방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머리부에 제1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단차부의 후방에 외경이 작아지도록 제2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차부의 후방에 외경이 작아지도록 제3단차부가 형성된다. 상기 머리부는 상기 제1단차부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이하 서술되는 복귀스프링(420)의 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단차부는 체결공(407)을 관통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제3단차부는 제2부재(200)의 상기 제1설치공에 설치된다.
체결공(407)과 연통되도록 로킹부재(400)의 하부 좌측 전방에는 복귀스프링(420)의 후단이 안착되는 안착홈(406)이 형성된다.
또한, 로킹부재(400)의 후방에는 체결공(407)의 둘레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체결공(407) 주위를 보강하는 동시에 로킹부재(400) 설치시 로킹부재(400)를 제2부재(200)로부터 이격시켜서 로킹부재(400)의 회전시 마찰을 최소화한다.
로킹부재(400)는 좌측 하부(이하 서술되는 스토퍼와 마주보는 면)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헤드레스트 직립시에는 스토퍼(440)에 접촉되지 않고, 이하 서술되는 구동부재에 의해 로킹부재(400)가 최대허용각도까지 회전되었을 때 접촉되어 더이상 회전되지 않게 된다.
로킹부재(400)의 우측에는 와이어설치부(403)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와이어설치부(403)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와이어설치부(403)는 우측을 향할수록 상하두께가 얇아지도록 형성된다. 이와같이 상면이 형성되어 와이어(430) 설치후 와이어(430)가 자중에 의해 최하단으로 슬라이딩되어 와이어(43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와이어설치부(403)에는 상하방향으로 이하 서술되는 와이어(430)가 관통되는 와이어관통공(404)이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와이어설치부(403) 전방에는 와이어관통공(404)에 연통되도록 절개부(40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절개부(405)로 인해 와이어(43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지지대(410)에는 제1부재(100)와 마주하는 면(전면)에 경사면(411)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지지대(410)에서 상기 헤드레스트가 직립상태에 있을 때 지지대(410)와 제1부재(100)가 접촉하는 부분(지지대의 하부)을 향할 수록 지지대(410)는 전방으로 돌출된다. 즉, 경사면(411)은 복귀스프링(420) 및 메인스프링(30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더 쐐기 작용이 일어나도록 경사면(411)이 형성된다.
나아가, 로킹해제시 지지대(410)가 회전되는 방향의 반대면인 지지대(410)의 좌측면 상부에는 제1굴곡면(412)이 형성된다. 또한, 경사면(411)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지지대(410)의 전면 상부에도 제2굴곡면(413)이 형성된다.
제1,2굴곡면(412, 413)은 구의 일부분과 같이 위로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지지대(410)의 상부는 구의 일부분과 같이 형성되고, 상단으로 향할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복귀스프링(420)은 사용자가 로킹부재(400)를 구동시키지 않을 때 로킹부재(4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복귀스프링(420)의 일단은 로킹부재(4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부재(200)의 제2판부(220)에 연결된다.
복귀스프링(420)은 로킹부재(4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2부재(200) 내부에 배치된다.
구동부재는 로킹부재(400)를 구동시켜서 로킹을 해제시킨다. 즉, 로킹부재(400)를 이동(슬라이딩)시키거나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부재는 로킹부재(400)에 연결되는 와이어(430)로 구비된다.
와이어(430)는 끝단에 구형상의 걸림돌기가 형성된다. 와이어(430)는 절개부(405)를 통해 끼워져서 와이어관통공(404)에 삽입된다.
또한, 와이어(430)의 외주면은 가이드튜브(431)로 둘러싸진다.
가이드튜브(431)는 와이어(430)를 보호하는 동시에 와이어(430)를 가이드역할을 한다.
가이드튜브(431)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가이드튜브(431)를 제2부재(200)의 와이어설치공(223)에 끼워넣을 때 제2부재(200)가 상기 끼움홈에 끼워져서 가이드튜브(431)의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또한, 제2부재(200)의 상기 제2설치공에 스토퍼(440)가 설치된다. 스토퍼(440)는 전방을 향하도록 제2부재(200) 내부에 배치된다.
스토퍼(440)는 로킹부재(400)의 좌측에 배치된다. 즉, 와이어(430)와 같은 상기 구동부재가 배치된 방향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이러한 스토퍼(440)로 인해 로킹부재(400)가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스토퍼(440)는 로킹부재(400)가 일정 각도까지만 회전되도록 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와이어(430)에 연결된 레버 등을 통해 와이어(430)를 잡아당기면 로킹부재(4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부재(100)를 지지하던 지지대(410)도 회전하게 되어 로킹이 해제된다.
로킹이 해제되는 과정의 상세설명은 다음과 같다.
수평로드(103)는 지지대(410)의 경사면(411)의 하부부터 상부의 구면까지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된다. 이어서 수평로드(103)는 회전하는 지지대(410)로 인해 제1굴곡면(412)의 상부 구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어서 수평로드(103)와 지지대(410)는 분리된다.
이로써, 제1부재(100)에 연결되는 상기 헤드레스트는 메인스프링(300)에 의해 회동축(301)을 중심으로 회전(반시계방향)하여 전방으로 폴딩된다.
로킹부재(400)는 와이어(430)를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복귀스프링(420)에 의해 반대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폴딩전 로킹부재(400)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레스트가 폴딩된 상태에서는, 회동축(301)의 후방에 수평로드(103)가 배치되고, 수평로드(103)는 지지대(410)의 상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레스트가 폴딩된 상태에서는, 수평로드(103)와 지지대(410)의 경사면(411)은 비접촉된다.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를 직립시킬 경우에는 메인스프링(300)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상기 헤드레스트를 뒤로 밀면 수평로드(103)가 회동축(301)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수평로드(103)가 이동하는 원호형상의 이동경로의 바깥에 로킹부재(400)의 경사면(411)이 배치되어, 로킹부재(400)의 경사면(411)에 접촉한다. 계속적으로 상기 헤드레스트를 뒤로 밀면 수평로드(103)가 회동축(301) 하부에 위치하면서 수평로드(103)의 전방은 제1관통홈(214)의 전단에 위치하게 되어 측벽(213)에 걸리고, 수평로드(103)의 후방은 경사면(411)의 한 부분에 접촉하여 로킹이 완료된다. 즉, 로킹시 제1판부(210)의 측벽(213)의 후방에 수평로드(103)가 배치되고, 수평로드(103) 후방에 로킹부재(400)가 배치된다.
로킹과정의 상세설명은 다음과 같다.
수평로드(103)는 지지대(410)의 제2굴곡면(413)의 상부 구면에 접촉한다. 이어서, 하강하는 수평로드(103)에 의해 지지대(410)도 눌려서 로킹부재(4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수평로드(103)는 제1굴곡면(412)에 접촉하고, 이어서 경사면(411)의 하부까지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수평로드(103)는 지지대(410)에 의해 지지되어 로킹된다.
한편, 로킹부재(400)에 연결된 복귀스프링(420)에 의해 경사면(411)에서 슬라이딩이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레스트가 로킹상태에 있을 때 수평로드(103)는 회동축(301)의 후방 하부에 배치되고, 경사면(411)은 수평로드(103)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가 직립상태에 있을 때 제1부재(100)는 지지대(410)에서 경사면(411)의 적어도 한 부분과 접촉하게 되어 제1부재(100)와 지지대(410)는 밀착접촉 상태에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제1부재(100)와 지지대(41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대(410)는 복귀스프링(420)의 탄성력을 받고, 수평로드(103)는 메인스프링(300)으로 인해 후방상부로 탄성력을 받아서, 경사면(411)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과 제1부재(100)와의 밀착접촉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도 13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200')는 헤드레스트에 연결되어 회전되고, 제1부재(100')는 시트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제1부재(100')는 수직로드(102')와 수평로드(103')를 포함하는 스테이로드인 것이 특징이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2부재(200') 및 로킹부재(400')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구조 및 형상은 동일하되 상하가 바뀌도록 배치된다.
제1판부(210')는 전면과, 측벽과 바닥면을 포함한다.
제2판부(220')는 상면과 후면을 포함한다. 와이어(430')는 제2판부(220')의 상면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메인스프링(300)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며, 일측에 배치되는 보조판부(230)에 체결되는 회동축(301)에 끼워져서 설치된다. 회동축(301)는 헤드레스트가 직립상태에 있을 때 수평로드(103)보다 전방 하부에 배치된다.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로드(102')는 시트에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직로드(102') 상부는 전방을 향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다.
수직로드(102')는 상단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평로드(103')는 양측의 수직로드(102')의 상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와이어(430')는 수직로드(102')에 삽입되어, 가이드 및 보호될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지대(410')에는 전면 하부에 경사면(411')이 형성되고, 전면 하단 및 우측면 하단에 제2굴곡면(413')과 제1굴곡면(412')이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와이어(430')에 연결된 레버 등을 통해 와이어(430')를 잡아당기면 로킹부재(4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2부재(200')를 지지하던 지지대(410')도 회전하게 되어 로킹이 해제되어 제2부재(200')에 연결되는 헤드레스트는 메인스프링(300)에 의해 전방으로 폴딩된다.
로킹부재(400')는 와이어(430')를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복귀스프링(420)에 의해 반대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폴딩전 로킹부재(400')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레스트가 폴딩된 상태에서는, 회동축(301)의 후방에 수평로드(103')가 배치되고, 수평로드(103')는 지지대(410')의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헤드레스트가 폴딩된 상태에서는, 수평로드(103')와 지지대(410')의 경사면(411')은 비접촉된다.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를 직립시킬 경우에는 메인스프링(300)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상기 헤드레스트를 뒤로 밀면 제2부재(200')가 회동축(301)을 중심으로 반대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킹부재(400')의 경사면(411')이 이동하는 원호형상의 이동경로 안에 수평로드(103')가 배치되어, 로킹부재(400')의 경사면(411')에 수평로드(103')가 접촉한다. 제2부재(200')와 로킹부재(400')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계속적으로 상기 헤드레스트를 뒤로 밀면 수평로드(103')가 회동축(301') 상부에 위치하면서 경사면(411')에 접촉하여 로킹이 완료된다.
한편, 로킹부재(400')에 연결된 복귀스프링(420)에 의해 경사면(411')에서 슬라이딩이 일어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헤드레스트가 로킹상태에 있을 때 수평로드(103')는 회동축(301)의 후방 상부에 배치되고, 경사면(411')은 수평로드(103')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헤드레스트가 직립상태에 있을 때, 제1부재(100')는 지지대(410')에서 경사면(411')의 적어도 한 부분과 접촉하게 되어 제1부재(100')와 지지대(410')는 밀착접촉 상태에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제1부재(100')와 지지대(41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대(410')는 복귀스프링(420)의 탄성력을 받고, 지지대(410')는 메인스프링(300)으로 인해 전방상부로 탄성력을 받아서, 경사면(411')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과 제1부재(100')와의 밀착접촉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도 20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는 제2부재(200'')에 설치되어 로킹부재(400'')를 눌러서 회전시키는 버튼부(43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00'') 및 로킹부재(400'')는 제 2 실시예의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00') 및 로킹부재(4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로킹부재(400'')는 좌측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누름판(45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버튼부(430'')의 누르는 힘이 원활하게 전달된다.
제2부재(200'')의 제1판부(210'')의 측벽에는 버튼부(430'')가 관통되는 버튼부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버튼부(430'')는 버튼관통공에 삽입되어 제2부재(200'')에 설치되어 슬라이딩가능하게 된다. 버튼부(430'')는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버튼부(430'')를 조작하기에 용이하다.
버튼부(430'')는 로킹부재(400'')의 좌측에 배치된다.
버튼부(430'')는 헤드레스트의 측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마운팅부(431')와, 마운팅부(431')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437)과, 마운팅부(431)와 버튼 (437) 사이에 배치되어 버튼(437)을 복귀시키는 버튼복귀스프링(439)과, 버튼(437)의 누르는 힘을 전달하여 누름판(450)을 누르는 전달로드(434)를 포함한다.
마운팅부(431')는 일측은 개방되고 타측은 막히도록 형성된다.
마운팅부(431')는 외주면에 체결후크(432)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후크(432)로 인해 마운팅부(431')는 헤드레스트에 한번의 끼움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마운팅부(431')에서 타측에는 버튼로드관통공 및 스프링지지대관통공이 형성된다. 마운팅부(431')에서 타측에는 상기 스프링지지대관통공을 둘러싸는 제1스프링지지대가 형성된다. 상기 제1스프링지지대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는 버튼복귀스프링(439)의 타측에 끼워진다.
버튼(437)은 일측이 막히고 타측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버튼(437)은 중앙에 버튼복귀스프링(439)의 일측에 끼워지는 제2스프링지지대(438)가 십자형상으로 타측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스프링지지대(438)는 상기 스프링지지대관통공을 관통하여 전달로드(434)에 누르는 힘을 전달한다.
버튼(437)은 타단에 버튼로드(43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버튼로드(433)는 여러개 형성될 수 있으며, 여러개의 버튼로드(433) 중 적어도 하나에는 끝단에 후크돌기가 형성된다.
이러한 버튼로드(433)는 상기 버튼로드관통공을 관통한다.
버튼로드(433)로 인해 버튼(437)은 마운팅부(431')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버튼(437)의 슬라이딩동작이 가이드된다.
버튼(437)의 외주면에는 타측으로 향할수록 두께가 커지는 돌기가 형성되어 슬라이딩방향으로 형성된다.
전달로드(434)는 봉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측은 타측보다 외경이 크도록 형성되며, 일측과 타측 사이의 중간부분은 일측보다 외경이 크도록 형성된다.
전달로드(434)의 중간부분(435)은 상부 및 하부가 평편하게 형성되고,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이 형성된다.
전달로드(434)의 중간부분(435)은 제2부재(200'')의 상기 버튼부관통공에 삽입된다.
전달로드(434)의 중간부분(435)의 양단에는 걸림턱(436)이 형성되어 제2부재(200'')에 걸리게 된다. 이로 인해, 전달로드(434)는 제2부재(20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전달로드(434)의 타단 상하부에는 끝단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전달로드(434)의 타단은 반구형상으로 형성된다.
전달로드(434)의 타단은 헤드레스트가 직립상태일때 누름판(450)의 중간부분에 배치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헤드레스트에 배치되는 버튼(437)을 누르면, 전달로드(434)가 눌려지고, 로킹부재(400'')의 누름판(450)이 눌려진다. 따라서, 로킹부재(4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2부재(200'')를 지지하던 지지대(410')도 회전하게 되어 제2부재(200'')에 연결되는 헤드레스트는 메인스프링(300)에 의해 전방으로 폴딩된다.
로킹부재(400'')는 버튼(437)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복귀스프링(420)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복귀된다.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직립시킬 경우에는 메인스프링(300)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헤드레스트를 뒤로 밀면 이에 따라 로킹부재(400'')도 제2부재(200'')와 함께 뒤로 회전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로킹부재(400'')의 지지대(410'')의 경사면(411'')의 하단은 수평로드(103')에 접촉하게 된다. 이후, 상기 헤드레스트가 직립위치에 올때까지 경사면(411'')은 수평로드(103')에 접촉되어 슬라이딩된다. 상기 헤드레스트의 직립이 완료되면, 지지대(410')에서 경사면(411')의 적어도 한 부분과 제1부재(100')의 수평로드(103')가 접촉하게 되어 제1부재(100')와 지지대(410'')는 밀착접촉 상태에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제1부재(100')와 지지대(41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대(410'')는 복귀스프링(420)의 탄성력을 받아서, 지지대(4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과 제1부재(100')와의 접촉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제 4 실시예>
제 4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도 26 내지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재(500)와 제2부재(200''')의 회동축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부재(200''')는 상기 시트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100)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며, 상기 로킹부재(500)의 회동축은 상기 제1부재(100)를 기준으로 상기 제2위치쪽(전방)에 배치된다.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00''') 및 메인스프링(300)은 제 1 실시예의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00) 및 메인스프링(3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 및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참고하기로 이에 대해 생략하기로 한다.
제2부재(200''')는 제1판부(250)와, 제1판부(250)의 후방에 설치되는 제2판부(260)를 포함한다.
제1판부(250)는 상면(252)과, 상면(252)의 하부에 연속되게 형성되는 전면(253)과, 상면(252)과 전면(253)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벽(251)과, 전면(253)과 측벽(251)의 바닥에 형성되는 바닥면(254)을 포함한다.
전면(253)에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부(258)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251)에는 제1부재(100)의 수평로드(103)가 관통하는 제1관통홈(251)이 형성된다. 제1관통홈(251)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는 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수평하게 형성된다.
전면(253) 및 바닥면(254)에는 와이어설치공(256)이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설치공(256)은 절개부(258)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바닥면(254)에는 체결볼트(240)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2부재(200''')는 시트에 설치된다.
제2판부(260)는 후면(262)과, 후면(262)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벽(261)을 포함한다.
양쪽의 측벽(261)에는 체결편(263)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판부(260)는 제1판부(250)의 전면(253)의 배면에 설치된다.
측벽(261) 상부에는 수평로드(103)가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261) 상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은 상기 홈의 후방에 배치된다.
로킹부재(500)는 전후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로킹부재(500)의 회동축(501)은 제1부재(100) 또는 제2부재(200''')의 회동축에 평행하도록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회동축(501)은 제2판부(260)의 측벽(261)에 설치되어, 로킹부재(500)는 제2부재(2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로킹부재(500) 전방에는 회동축(501)이 끼워지는 체결공(507)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로킹부재(500)의 전방에는 체결공(507)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돌출부(508)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508)는 절개부(258)에 걸려서 스토퍼역할을 한다.
로킹부재(500)에는 후방에 경사면(511)이 형성된다.
경사면(511)과 체결공(507) 사이에는 상기 헤드레스트가 직립상태에 있을 때 수평로드(103)가 안착되는 로드안착홈(512)이 형성된다. 로드안착홈(512)은 아래로 오목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로킹부재(500)의 회동축은 상기 헤드레스트가 직립상태에 있을 때, 제1부재(100)의 수평로드(103)를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된다.
로킹부재(500) 하부에는 와이어설치부(503)가 형성된다. 와이어설치부(503)는 경사면(511) 하부에 배치된다.
회동축(501)에 복귀스프링(520)은 끼워지고, 복귀스프링(520)의 일단은 로킹부재(5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판부(260)의 측벽(261)에 연결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와이어(630)에 연결된 레버 등을 통해 와이어(630)를 잡아당기면 로킹부재(5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부재(100)를 지지하던 지지대(510)도 회동축(50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평로드(103)를 지지하고 있던 지지대(510)가 제거되어 로킹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1부재(100)에 연결되는 헤드레스트는 메인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폴딩된다.
로킹부재(500)는 와이어(530)를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복귀스프링(520)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 복귀된다.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를 직립시킬 경우에는 메인스프링(300)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상기 헤드레스트를 뒤로 밀면 이에 따라 상기 헤드레스트 및 수평로드(103)는 회동축(30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평로드(103)는 후방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 헤드레스트를 지속적으로 뒤로 밀면 수평로드(103)는 경사면(511)에 접촉하면서 경사면(511)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상기 헤드레스트의 직립이 완료되면, 지지대(510)에서 경사면(511)의 적어도 한 부분과 제1부재(100)의 수평로드(103)가 접촉하게 되어 제1부재(100)와 지지대(510)는 밀착접촉 상태에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제1부재(100)와 지지대(51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대(510)는 복귀스프링(520)의 탄성력을 받아서, 지지대(5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과 제1부재(100)와의 접촉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제 5 실시예>
제 5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도 33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재(600)는 제2부재(270)에 상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70) 및 메인스프링(300)은 제 1 실시예의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00) 및 메인스프링(3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 및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참고하기로 이에 대해 생략하기로 한다.
제2부재(270)는 전면(272)과, 전면(272)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측벽(271)을 포함한다.
측벽(271)에는 제1부재(100)의 수평로드(103)가 관통하는 제1관통홈(278)이 형성된다. 제1관통홈(278)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는 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도록 경사진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수평하게 형성된다.
측벽(271)에는 외측으로 체결편(27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편(276)을 통해 제2부재(270)는 상기 시트에 설치된다.
전면(272)의 중간 부분에는 후방으로 절곡되어 양측에 가이드측벽(273)이 형성되고, 양쪽 가이드측벽(273)의 후방을 연결하는 가이드후면(274)이 형성된다.
이와같이, 전면(272)에는 가이드측벽(273)과 가이드후면(274)이 형성되어, 로킹부재(600)를 상하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가이드측벽(273) 후방에도 제1관통홈(277)이 형성된다. 제1관통홈(277)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하부가 전방을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겨사진 모양으로 형성된다.
복귀스프링(620)과 마주하는 가이드측벽(273)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 하부에 배치되도록 복귀스프링(62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판(275)이 형성된다.
지지판(275)은 가이드측벽(273)의 일부가 절개되어 가이드측벽(273)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복귀스프링(620)과 마주하는 가이드측벽(273) 하부에는 양쪽의 가이드측벽(273) 사이에 배치되도록 와이어설치편이 형성된다. 상기 와이어설치편에는 와이어(630)가 설치되는 와이어설치공이 형성되어 있다.
로킹부재(600)는 상하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바형상으로 형성된다.
로킹부재(600)는 수평로드(103)의 하부에 배치된다.
로킹부재(600) 상부 후방에는 지지대(610)가 형성되며, 지지대(610)의 전방에는 경사면(611)이 형성된다.
로킹부재(600)의 양측에는 코일형상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복귀스프링(620)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홈(62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로킹부재(600)의 측부 후방에는 스프링안착홈(621)에 연통되도록 수평하게 인입홈(622)이 형성된다. 조립시 인입홈(622)으로 지지판(275)이 인입되어 지지판(275)이 스프링안착홈(62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로킹부재(600)의 하부에는 와이어(630)가 설치되는 와이어설치부가 형성된다.
로킹부재(600)는 제2부재(270)의 양쪽 가이드측벽(273)과 가이드후면(274)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되어, 상하방향 이동시 가이드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와이어(530)에 연결된 레버 등을 통해 와이어(530)를 잡아당기면 로킹부재(600)는 제1부재(100) 및 제2부재(270)에 대해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수평로드(103)를 지지하고 있던 지지대(610)가 제거되어 로킹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1부재(100)에 연결되는 헤드레스트는 메인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폴딩된다.
한편, 로킹부재(600)가 하강할 때, 지지판(275)과 복귀스프링(620)의 상단을 지지하는 로킹부재(600)의 부분과의 사이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복귀스프링(620)은 수축하게 된다. 로킹부재(600)는 와이어(630)를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복귀스프링(620)에 의해 위로 상승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를 직립시킬 경우에는 메인스프링(300)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상기 헤드레스트를 뒤로 밀면 이에 따라 상기 헤드레스트 및 수평로드(103)는 회동축(30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평로드(103)는 후방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 헤드레스트를 지속적으로 뒤로 밀면 수평로드(103)는 경사면(611)에 접촉하면서 경사면(611)을 따라 하부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헤드레스트의 직립이 완료되면, 지지대(610)에서 경사면(611)의 적어도 한 부분과 제1부재(100)의 수평로드(103)가 접촉하게 되어 제1부재(100)와 지지대(610)는 밀착접촉 상태에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제1부재(100)와 지지대(61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대(610)는 복귀스프링(620)의 탄성력을 받아서, 지지대(6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과 제1부재(100)와의 접촉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제 6 실시예>
제 6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도 38 내지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부재에는 상기 로킹부재(6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67')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브라켓(260')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260')에 상기 지지판(264)은 형성된다.
제1부재(100) 및 메인스프링(300) 및 로킹부재(600)는 제 5 실시예의 제1부재(100) 및 메인스프링(300) 및 로킹부재(600)와 동일 또는 유사하고, 제2부재는 제 4 실시예의 제2부재(200''')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 및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참고하기로 이에 대해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부재는 제1판부(250')와, 제1판부(250')의 후방에 설치되는 브라켓(260')을 포함한다.
제1판부(250')는 상면(252)과, 상면(252)의 하부에 연속되게 형성되는 전면(253)과, 상면(252)과 전면(253)의 양측에 배치되는 측벽(251)과, 측벽(251)과 전면(253)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면(254)을 포함한다.
측벽(251)에는 체결편(259)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부재는 시트에 연결된다.
바닥면(254)에는 와이어(630)가 설치되는 와이어설치공이 형성된다.
브라켓(260')은 양쪽의 가이드측벽(261')과 가이드측벽(261')의 후방을 연결하는 가이드후면(262')을 포함한다.
가이드측벽(261')과 가이드후면(262')으로 인해 브라켓(260')에는 로킹부재(6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67')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측벽(261')의 상부는 후방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높아지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가이드측벽(261')의 전방에는 체결편(263')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이를 통해 브라켓(260')은 전면(253)의 배면에 설치된다.
가이드측벽(261')에는 지지판(264')이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조립방법을 설명한다.
로킹부재(600)를 가이드측벽(261')과 가이드후면(262') 내측에 배치되도록 밀어넣는다. 밀어넣을 때 지지판(264')이 인입홈(622)을 통과하여 스프링안착홈(621) 내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브라켓(260')을 체결편(263')을 통해 제1판부(250')에 설치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작동방법은 전술한 제 5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7 실시예>
제 7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도 41 내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재(60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부재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고, 제1부재(100')는 시트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제2부재 및 로킹부재(600') 및 메인스프링(300)은 제 6 실시예의 상기 제2부재 및 로킹부재(600) 및 메인스프링(300)과 구조 및 형상은 동일하되 상하가 바뀌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제1부재(100')는 제 2 실시예의 제1부재(100')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동일한 부분 및 유사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를 참고하기로 이에 대해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부재는 제1판부(250'')와, 제1판부(250'')의 전면의 배면에 설치되는 브라켓(260'')을 포함한다.
와이어(630)는 제1판부(250'')의 상면에 설치된다.
로킹부재(600') 및 브라켓(260'')은 수평로드(103')의 상부에 배치되고, 지지대(610)가 후방하부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지지대(610)는 전면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부로 향할수록 전면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와이어(630)에 연결된 레버 등을 통해 와이어(630)를 잡아당기면 로킹부재(600')는 상기 제2부재 및 수평로드(103')에 대해 위로 상승하게 된다. 이로 인해, 수평로드(103')에 걸려 있던 지지대(610)가 제거되어 로킹이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제2부재에 연결되는 헤드레스트는 메인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폴딩된다.
한편, 로킹부재(600')가 상승할 때, 지지판(275)과 복귀스프링(620)의 상단을 지지하는 로킹부재(600')의 부분과의 사이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복귀스프링(620)은 수축하게 된다. 로킹부재(600')는 와이어(630)를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면 복귀스프링(620)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헤드레스트를 직립시킬 경우에는 메인스프링(300)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상기 헤드레스트를 뒤로 밀면 이에 따라 상기 헤드레스트 및 상기 제2부재는 회전되어 로킹부재(600')는 후방 하부로 이동된다. 상기 헤드레스트를 지속적으로 뒤로 밀면 경사면(611)은 수평로드(103')에 접촉하면서 경사면(611)을 따라 하부로 슬라이딩된다.
상기 헤드레스트의 직립이 완료되면, 지지대(610)에서 경사면(611)의 적어도 한 부분과 제1부재(100')의 수평로드(103')가 접촉하게 되어 제1부재(100')와 지지대(610)는 밀착접촉 상태에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제1부재(100')와 지지대(61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지지대(610)는 복귀스프링(620)의 탄성력을 받아서, 지지대(610)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부분과 제1부재(100')와의 접촉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부재 200 : 제2부재
300 : 메인스프링 400 : 로킹부재
410 : 지지대 411 : 제1경사면
412 : 제1굴곡면 420 : 복귀스프링
430 : 와이어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부재;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헤드레스트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메인스프링;
    상기 제2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1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2위치의 반대방향에 상기 제1부재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헤드레스트를 제1위치로 고정시키는 로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위치는 상기 헤드레스트가 폴딩된 위치이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헤드레스트가 직립된 위치이고,
    상기 로킹부재에서 상기 제1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레스트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킹부재와 상기 제1부재는 상기 경사면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 접촉하며,
    상기 로킹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로킹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제2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로킹부재의 회동축은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부재의 회동축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로킹부재에 연결되어 로킹을 해제하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상기 로킹부재를 눌러서 로킹을 해제하는 버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6. 삭제
  7. 삭제
  8.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부재;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1부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와 상기 제2부재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헤드레스트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는 메인스프링;
    상기 제2부재에 설치되며, 상기 제1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제2위치의 반대방향에 상기 제1부재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헤드레스트를 제1위치로 고정시키는 로킹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위치는 상기 헤드레스트가 폴딩된 위치이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헤드레스트가 직립된 위치이고,
    상기 로킹부재에서 상기 제1부재와 접촉하는 접촉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헤드레스트가 상기 제1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킹부재와 상기 제1부재는 상기 경사면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 접촉하며,
    상기 로킹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로킹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로킹부재는 상기 제2부재에 상하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재에는 상기 복귀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스프링안착홈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복귀스프링의 일단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로킹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브라켓에 상기 지지판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에는 상기 로킹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20130152810A 2013-12-10 2013-12-10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1428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810A KR101428664B1 (ko) 2013-12-10 2013-12-10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JP2016505423A JP6196371B2 (ja) 2013-12-10 2014-12-03 ヘッドレスト折り畳み装置
US14/766,970 US9980570B2 (en) 2013-12-10 2014-12-03 Headrest folding apparatus
PCT/KR2014/011763 WO2015088175A1 (en) 2013-12-10 2014-12-03 Headrest folding apparatus
CN201480009092.8A CN105142976B (zh) 2013-12-10 2014-12-03 头枕折叠装置
DE112014000517.7T DE112014000517T5 (de) 2013-12-10 2014-12-03 Kopfstützenklappvorrichtung
BR112015019896A BR112015019896A2 (pt) 2013-12-10 2014-12-03 aparelho dobrável de apoio para cabeç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810A KR101428664B1 (ko) 2013-12-10 2013-12-10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8664B1 true KR101428664B1 (ko) 2014-08-08

Family

ID=51750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810A KR101428664B1 (ko) 2013-12-10 2013-12-10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80570B2 (ko)
JP (1) JP6196371B2 (ko)
KR (1) KR101428664B1 (ko)
CN (1) CN105142976B (ko)
BR (1) BR112015019896A2 (ko)
DE (1) DE112014000517T5 (ko)
WO (1) WO2015088175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19B1 (ko) * 2015-11-18 2016-12-0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1769342B1 (ko) * 2016-04-26 2017-08-2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1845843B1 (ko) * 2017-08-10 2018-04-06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WO2019074186A1 (en) * 2017-10-11 2019-04-18 Woobo Tech Co., Ltd. HEADREST CONTROL APPARATUS
KR102138297B1 (ko) 2019-01-21 2020-07-27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7286B2 (en) * 2014-04-14 2019-08-13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 R.L. Folding head restraint mechanism
JP5902847B1 (ja) * 2015-05-14 2016-04-13 備前発条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JP6575597B2 (ja) 2015-08-04 2019-09-1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支持装置
KR101916916B1 (ko) * 2016-09-05 2018-11-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US20180326882A1 (en) * 2017-05-12 2018-11-15 CTC Acquisition Company LLC Cable assembly for vehicle seat headrest
KR101971148B1 (ko) * 2017-09-26 2019-04-22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385A (ko) * 2007-04-20 2008-10-23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KR20090047671A (ko) * 2007-11-08 2009-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레스트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7872Y2 (ko) * 1985-03-26 1990-12-17
JPH0711953U (ja) * 1993-07-31 1995-02-28 株式会社タチエス 格納式ヘッドレスト構造
FR2760416B1 (fr) 1997-03-10 1999-05-14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appui-tete rabattable, et vehicule comportant un tel siege
JP2004001599A (ja) * 2002-05-31 2004-01-08 Tachi S Co Ltd ヘッドレストの頭部衝撃吸収装置
US6935696B2 (en) 2003-08-04 2005-08-30 Gill Industries, Inc. Head restraint mechanism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543891B2 (en) 2004-04-26 2009-06-09 Woobo Tech Co., Ltd. Device for stooping car headrests
JP5083793B2 (ja) * 2006-05-02 2012-11-28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JP2008253333A (ja) * 2007-03-31 2008-10-23 T S Tec Kk ヘッドレスト及び該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5145858B2 (ja) * 2007-10-22 2013-02-2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US8226170B2 (en) * 2008-11-13 2012-07-24 Bae Industries, Inc. Pivoting headrest with cable operated release catch
US8851574B2 (en) * 2009-05-06 2014-10-07 Lear Corporation Folding vehicle head restraint assembly
US8348347B2 (en) * 2009-05-06 2013-01-08 Lear Corporation Folding vehicle head restraint assembly
US20110084534A1 (en) * 2009-10-13 2011-04-14 Woosung Tech Co., Ltd Headrest folding structure for a vehicle
US8197007B2 (en) * 2009-11-03 2012-06-12 Bae Industries, Inc. Combination pivotal and displaceable headrest assembly incorporated into a vehicle seat
US8382206B2 (en) * 2010-01-21 2013-02-26 Bae Industries, Inc. Forward incrementally adjustable ratchet headrest
JP5618604B2 (ja) * 2010-04-19 2014-11-05 株式会社東洋シート 車両用ヘッドレスト
KR101327394B1 (ko) * 2011-11-23 2013-11-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N202528879U (zh) * 2012-04-24 2012-11-14 上海岱美汽车内饰件股份有限公司 一种带按钮能向后折叠的汽车座椅头枕
CN202623994U (zh) * 2012-05-17 2012-12-26 上海岱美汽车内饰件股份有限公司 一种带按钮能t型向后折叠的汽车座椅头枕
US9475415B2 (en) * 2014-03-18 2016-10-25 Bae Industries, Inc. Headrest dump assembly with both cable and push button actuation
KR101684319B1 (ko) * 2015-11-18 2016-12-0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385A (ko) * 2007-04-20 2008-10-23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KR101080313B1 (ko) 2007-04-20 2011-11-04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KR20090047671A (ko) * 2007-11-08 2009-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274451B1 (ko) 2007-11-08 2013-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레스트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7572B2 (en) 2015-11-18 2019-10-01 Woobo Tech Co., Ltd. Headrest folding device
WO2017086600A1 (en) * 2015-11-18 2017-05-26 Woobo Tech Co., Ltd. Headrest folding device
KR101684319B1 (ko) * 2015-11-18 2016-12-0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1769342B1 (ko) * 2016-04-26 2017-08-2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WO2017188629A1 (en) * 2016-04-26 2017-11-02 Woobo Tech Co., Ltd. Headrest folding device
US10836289B2 (en) 2016-04-26 2020-11-17 Woobo Tech Co., Ltd. Headrest folding device
KR101845843B1 (ko) * 2017-08-10 2018-04-06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20190040579A (ko) *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101972509B1 (ko) 2017-10-11 2019-04-26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WO2019074186A1 (en) * 2017-10-11 2019-04-18 Woobo Tech Co., Ltd. HEADREST CONTROL APPARATUS
KR102138297B1 (ko) 2019-01-21 2020-07-27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WO2020153656A1 (en) * 2019-01-21 2020-07-30 Woobo Tech Co., Ltd. Vehicle headrest folding device
US11679705B2 (en) 2019-01-21 2023-06-20 Woobo Tech Co., Ltd. Vehicle headrest fold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80570B2 (en) 2018-05-29
US20150366353A1 (en) 2015-12-24
DE112014000517T5 (de) 2015-10-15
JP6196371B2 (ja) 2017-09-13
CN105142976B (zh) 2017-03-22
BR112015019896A2 (pt) 2017-07-18
WO2015088175A1 (en) 2015-06-18
CN105142976A (zh) 2015-12-09
JP2016517715A (ja)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664B1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117123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7168723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及びそのサイドプロテクション幅の調整機構
JP6611831B2 (ja) 引出しに正面パネルを着脱可能に固定する固定装置
US20090250981A1 (en) Headrest operating devices
KR101684319B1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US20170144573A1 (en) Headrest Moving Device
US9810008B2 (en) Lock section structure
CN215390283U (zh) 滑轨组件和花洒组件
US20100001561A1 (en) Vehicle seat
KR10187034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4134217B2 (ja) ロールペーパーホルダー
JP2007310233A (ja) プラガブル光トランシーバ
JP5548226B2 (ja) キャスタの制動構造
KR101972509B1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CN212827989U (zh) 儿童座椅和儿童座椅用固定单元
KR10104406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890113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장치
JPH09169235A (ja)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KR102138297B1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1593048B1 (ko) 헤드레스트 수평이동장치
JP2007153348A (ja) 蓋体付き容器
JP3201636U (ja) チャイルドシート
CN212979976U (zh) 儿童座椅
KR20110062426A (ko) 콘솔 암레스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