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6916B1 -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6916B1
KR101916916B1 KR1020160113836A KR20160113836A KR101916916B1 KR 101916916 B1 KR101916916 B1 KR 101916916B1 KR 1020160113836 A KR1020160113836 A KR 1020160113836A KR 20160113836 A KR20160113836 A KR 20160113836A KR 101916916 B1 KR101916916 B1 KR 101916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bracket
plate
locking portion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6908A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60113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916B1/ko
Priority to PCT/KR2017/009356 priority patent/WO2018044009A1/en
Publication of KR2018002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44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6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6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 B60N2/859Tiltable movable to an inoperative or stowed position specially adapted for rear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94Head-rests with rods solidly attached to the back-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제1잠금부에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는 제2잠금부의 회동중심과 스테이가 상기 제2잠금부에 연결되는 위치는 이격되어,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헤드레스트나 시트에 절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제1잠금부가 걸리는 제2잠금부를 스테이와 별도로 구비하여 다양한 모양의 스테이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폴딩장치{The folding device of the headres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제1잠금부에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는 제2잠금부의 회동중심과 스테이가 상기 제2잠금부에 연결되는 위치는 이격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레스트는 높낮이 및 전·후 위치는 조절할 수 있는 반면에 완전히 눕혀줄 수는 없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 특히 뒷좌석과 같이 평상시에 거의 탑승자가 없는 상태로 운행하는 경우에도 받침부재가 그대로 세워져 있으므로 앞좌석의 운전자나 그 옆좌석 탑승자의 후방 시야를 가리게 됨은 물론 안전운전에도 방해가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종래에는, 탑승자가 없는 좌석의 헤드레스트를 눕혀줌으로써 탑승자의 시야를 최대한 넓혀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헤드레스트 장치(미국특허 제6,302,485호)가 발명되었는데, 상기 헤드레스트 장치(4)는 도 1에서와 같이 스테이로드(5)에 의해 좌석 등받이(2)의 내부 프레임(3)에 지지되는 머리의 받침부재(1)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부재는 스테이로드의 수평부(6)를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시에는 직립상태로 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눕혀진 상태(가상선 위치)로 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폴딩장치는 받침부재(1)가 스테이로드(5)의 수평부(6)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받침부재(1)에 형성되는 절개부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98279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헤드레스트나 시트에 절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다양한 모양의 스테이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는 제1잠금부와, 상기 브라켓에 대해 회동가능하며, 상기 제1잠금부에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는 제2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에 연결되는 스테이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과 상기 스테이 중 하나에는 헤드레스트가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시트가 연결되며, 상기 제2잠금부의 회동중심과 상기 스테이가 상기 제2잠금부에 연결되는 위치는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잠금부는 제1래칫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잠금부는 상기 브라켓에 대해 회동가능하며, 상기 제2잠금부는 제2래칫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가 언폴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스테이는 상기 제2잠금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잠금부의 회동중심과 상기 스테이가 상기 제2잠금부에 연결되는 위치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부는 제2잠금부 샤프트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잠금부는 제1잠금판과, 상기 제1잠금판의 양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잠금판과 제3잠금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잠금판에는 상기 스테이의 수평로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2잠금판과 상기 제3잠금판에는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2래칫은 상기 제2잠금판과 상기 제3잠금판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에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은 상기 제1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제2잠금부를 상기 브라켓에 대해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브라켓은 제1브라켓판과, 상기 제1브라켓판의 양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브라켓판과 제3브라켓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잠금판과 상기 제1브라켓판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판과 상기 제3잠금판에는 스토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잠금부가 상기 제1잠금부에 잠금될 때, 상기 스토퍼돌기는 상기 브라켓에 걸릴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제1잠금부에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는 제2잠금부의 회동중심과 스테이가 상기 제2잠금부에 연결되는 위치는 이격되어, 구조를 단순화하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헤드레스트나 시트에 절개되는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제1잠금부가 걸리는 제2잠금부를 스테이와 별도로 구비하여 다양한 모양의 스테이에 공용으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를 제2잠금부 외측에 설치할 수 있게 되어 기존의 다양한 모양의 스테이에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에 브라켓이나 리턴스프링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스테이의 수평로드에 각 부품을 조립한 뒤 수평로드와 수직로드를 용접 등을 통해 접합시켜 주는 공정이 필요없게 되어 제조공정이 단순해진다.
상기 제1잠금부는 제1래칫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잠금부는 상기 브라켓에 대해 회동가능하며, 상기 제2잠금부는 제2래칫으로 구비되어, 잠금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더욱 안정적으로 잠금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헤드레스트가 언폴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스테이의 수평로드는 상기 제2잠금부 및 브라켓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잠금부의 회동중심과 상기 스테이가 상기 제2잠금부에 연결되는 위치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절개되는 부분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2잠금부는 제2잠금부 샤프트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잠금부는 제1잠금판과, 상기 제1잠금판의 양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잠금판과 제3잠금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잠금판에는 상기 스테이의 수평로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2잠금판과 상기 제3잠금판에는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2래칫은 상기 제2잠금판과 상기 제3잠금판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에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은 상기 제1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제2잠금부를 상기 브라켓에 대해 회전시켜서, 장치의 모듈화가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으며, 상기 스테이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판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제2잠금부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장치의 강도가 향상된다.
상기 브라켓은 제1브라켓판과, 상기 제1브라켓판의 양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브라켓판과 제3브라켓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잠금판과 상기 제1브라켓판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조공정이 더욱 단순화되며 원가가 효과적으로 절감될 수 있으며, 장치가 컴팩트해진다.
상기 제2잠금판과 상기 제3잠금판에는 스토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잠금부가 상기 제1잠금부에 잠금될 때, 상기 스토퍼돌기는 상기 브라켓에 걸려서, 언폴딩시 제1,2래칫에만 힘이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며, 헤드레스트가 스토퍼돌기에 의해 양측에서 지지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를 언폴딩위치로 이동시킬 때 언폴딩위치에 오게 되면 스토퍼돌기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더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과도하게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키기 않게 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와 종래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절개길이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좌측에서 본 사시도(브라켓 생략).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언폴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폴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부분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배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가 설치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이는 바로 다른 부분의 위에 있을 수 있거나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수반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어느 부분이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다고 언급하는 경우, 그 사이에 다른 부분이 개재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아래", "위" 등의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에서 도시된 한 부분의 다른 부분에 대한 관계를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도면에서 의도한 의미와 함께 사용중인 장치의 다른 의미나 동작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면, 도면중의 장치를 뒤집으면, 다른 부분들의 "아래"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 어느 부분들은 다른 부분들의 "위"에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따라서 "아래"라는 예시적인 용어는 위와 아래 방향을 전부 포함한다. 장치는 90도회전 또는 다른 각도로 회전할 수 있고, 상대적인 공간을 나타내는 용어도 이에 따라서 해석된다.
"연결"이라고 하는 용어는 연결된 부품 사이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연결을 전부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브라켓(110)과, 상기 브라켓(110)에 연결되는 제1잠금부(120)와, 상기 브라켓(110)에 대해 회동가능하며, 상기 제1잠금부(120)에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는 제2잠금부(130)와, 상기 제2잠금부(130)에 연결되는 스테이(10)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110)과 상기 스테이(10) 중 하나에는 헤드레스트(h)가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시트(s)가 연결되며, 상기 제2잠금부(130)의 회동중심과 상기 스테이(10)가 상기 제2잠금부(130)에 연결되는 위치는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라켓(110)과 스테이(10) 중 하나에는 헤드레스트(h)가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시트(s)가 연결된다.
스테이(10)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로드(11)와, 수평로드(11)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로드(1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평로드(11)와 수직로드(12)는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110)에는 시트(s)가 연결된다.
브라켓(110)은 시트(s)의 상측 내부에 배치되는 프레임(미도시)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브라켓(110)은 제1브라켓판(111)과, 상기 제1브라켓판(111)의 양측에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을 포함한다.
제1브라켓판(111)은 상하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의 후단에는 외측(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된 체결부(115)가 형성된다. 체결부(115)는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의 후단 일부가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체결부(115)에는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체결부(115)를 통해 브라켓(110)은 시트(s)의 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브라켓판(111)과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과 체결부(115)는 일체로 형성되어 부품수가 감소되어 제조공정이 더욱 단순해지며 원가가 효과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제1잠금부(120)는 브라켓(110)에 연결된다.
제1잠금부(120)는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에 양측이 설치되는 제1잠금부 샤프트(125)에 의해 브라켓(110)의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1잠금부(120)는 브라켓(110)에 대해 회동가능하다.
제1잠금부(12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잠금부(120)에는 제1잠금부 샤프트(125)가 끼워지는 제1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잠금부 샤프트(125)에는 끝단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 반대쪽에 고정부재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제2브라켓판(112)의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제2브라켓판(112)에서 제1잠금부(120)와 마주하는 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로 인해 제2브라켓판(112)과 제1잠금부(120) 사이에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제1잠금부 샤프트(125)의 상기 머리부의 반대쪽에는 인접한 부분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제1단차부와, 상기 제1단차부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제2단차부와, 상기 제2단차부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제3단차부가 형성된다. 제1잠금부(120)는 상기 제2단차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3단차부에는 제2브라켓판(112)이 끼워진다. 따라서, 제1잠금부(120)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포함되는 샤프트에는 제1잠금부 샤프트(125)와 같이 머리부 및 단차부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되는 부재와 면이 마주할 때에는 회전되는 부재 또는 마주하는 면에 마찰 감소를 위한 돌출부가 형성된다.
제1잠금부(120)의 외주면에는 제1래칫(121)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1래칫(121)은 외측으로 향할수록 전후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제1잠금부(120)의 외주면에는 제1래칫(121)에 연속되게 오목한 제1굴곡부(122)가 형성된다. 제1굴곡부(122)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잠금부(120)의 외주면에는 제1래칫(121)에 연속되게 외측으로 돌출된 제1잠금해제 걸림부(126)가 형성된다.
또한, 제1잠금부(120)의 외주면에는 제1잠금부 스프링(124)의 일단이 걸리는 스프링 걸림부(123)가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잠금부 스프링(124)은 제1잠금부(12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잠금부 스프링(124)은 제1잠금부(120)를 잠금위치로 복귀시킨다. 제1잠금부 스프링(124)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제1잠금부 스프링(124)은 제1잠금부 샤프트(125)의 상기 제1단차부에 끼워진다. 따라서, 제1잠금부 스프링(124)은 제1잠금부(120)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1잠금부 스프링(124)의 타단은 제2브라켓판(112)에 형성된 제2잠금부 스프링 걸림부(114)에 걸린다. 제2잠금부 스프링 걸림부(114)는 제2브라켓판(112)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절곡시켜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제1굴곡부(122), 제1래칫(121), 제1잠금해제 걸림부(126), 스프링 걸림부(123)는 우측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2잠금부(130)는 브라켓(110)에 대해 회동가능하며, 제1잠금부(120)에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된다.
제2잠금부(130)는 제1잠금판(131)과, 상기 제1잠금판(131)의 양측에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잠금판(132)과 제3잠금판(133)을 포함한다. 제1,2,3잠금판(131, 132, 133)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2잠금부(130)가 형성되어, 제2잠금부(130)의 강도가 향상된다.
제1잠금판(131)과 제1브라켓판(111)은 마주보도록 제2잠금부(130)는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1브라켓판(111)은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고, 제1잠금판(131)은 장치의 후방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장치가 컴팩트해지고, 장치의 각 부품이 브라켓(110)과 제2잠금부(130) 사이에 배치되어 장치가 보호된다.
제2잠금부(130)는 제1잠금부(120)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제2잠금부(130)는 제2잠금부 샤프트(160)에 의해 브라켓(1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제2잠금부 샤프트(160)의 중심축이 제2잠금부(130)의 회동중심이 된다.
제2잠금판(132)과 제3잠금판(133)에는 제2잠금부 샤프트(160)가 끼워지는 제2관통공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2잠금부 샤프트(160)는 제2잠금판(132)과 제3잠금판(133)에 설치된다.
제2잠금부 샤프트(160)의 양측은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에 설치된다. 즉, 제2잠금부 샤프트(160)는 제3브라켓판(113), 제3잠금판(133), 제2잠금판(132), 제2브라켓판(112)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제2잠금부 샤프트(160)에는 끝단에 머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 반대쪽에 고정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 및 상기 고정부재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의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안착홈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어 제2브라켓판(112)과 제3브라켓판(113)에서 제2잠금부(130)와 마주하는 면에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로 인해 제2브라켓판(112) 및 제3브라켓판(113)과 제2잠금부(130) 사이에 마찰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제2잠금부 샤프트(160)의 상기 머리부의 반대쪽에는 인접한 부분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제1단차부와, 상기 제1단차부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는 제2단차부가 형성된다. 제2잠금부(130)의 제2잠금판(132)은 상기 제1단차부에 끼워지고, 상기 제2단차부에는 제2브라켓판(112)이 끼워진다. 따라서, 제2잠금부(130)가 좌우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잠금부(130)의 제2잠금판(132)과 상기 제3잠금판(133)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가장자리)에는 제1래칫(121)에 치합되는 제2래칫(13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래칫(134)은 제2잠금판(132)에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장치의 구조가 더욱 단순화될 수 있다.
제2래칫(134)은 제1래칫(121)이 삽입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래칫(121)과 제2래칫(134)이 치합되면 잠금상태가 되어 언폴딩 상태가 유지되며, 치합이 해제되면 잠금해제 상태가 되어 폴딩 상태가 된다.
제2잠금판(132)의 외주면에는 제2래칫(134)에 연속되게 볼록한 제2굴곡부(136)가 형성된다. 제2굴곡부(136)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굴곡부(136)는 폴딩시 제1굴곡부(122)에 접촉된다.
제2잠금판(132)의 외주면에는 제2굴곡부(136)에 연속되게 스토퍼돌기(137)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3잠금판(133)에도 스토퍼돌기(137)가 형성된다. 스토퍼돌기(137)는 제1래칫(121)과 제2래칫(134)이 치합될 때(언폴딩 상태일 때) 제1절개부(111a) 및 제2절개부(111b)에 삽입되어 브라켓(110)에 걸린다. 따라서,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헤드레스트(h)를 이동시킬 때 언폴딩 위치에 도달하면 헤드레스트(h)가 더이상 뒤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여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헤드레스트(h)가 언폴딩 상태에 있을 때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힘이 제1,2래칫(121, 134) 및 제2잠금판(132)의 스토퍼돌기(137) 및 제3잠금판(133)의 스토퍼돌기(137)로 분산되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내구성도 향상된다.
제2래칫(134), 제2굴곡부(136), 스토퍼돌기(137)는 시계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제2잠금부 샤프트(160)에는 리턴스프링(150)이 설치되어, 장치의 모듈화가 더욱 효과적으로 될 수 있으며,
리턴스프링(150)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된다.
리턴스프링(150)의 중심부(코일부)는 제2잠금부 샤프트(160)에 끼워져서, 제2잠금판(132)과 상기 제3잠금판(133) 사이에 배치된다. 리턴스프링(150)의 일단은 제2잠금부(130)의 제1잠금판(131)의 하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리턴스프링 걸림부(135)에 걸리며, 타단은 제1잠금부 샤프트(125)에 걸린다.
리턴스프링(150)은 상기 제1잠금부(120)와 상기 제2잠금부(130)의 잠금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제2잠금부(130)를 상기 브라켓(110)에 대해 언폴딩 위치로 회전시킨다.
제1잠금판(131)의 후방에는 스테이(10)의 수평로드(11)가 좌우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스테이(10)가 제1잠금판(131)의 배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스테이(10)는 제2잠금부(130)에 직접 설치되어 제2잠금부(13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스테이(10)의 수평로드(11)는 제2잠금부(130)의 외측에 설치된다. 또한, 수평로드(11)는 제2잠금부(130)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면에 설치되어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스테이(10)의 수평로드(11)의 중앙에 밀집되어 설치된다.
스테이(10)의 수평로드(11) 양측에 상부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수직로드(12)의 상부에는 헤드레스트(h)가 설치된다.
또한, 제2잠금부(130)의 회동중심과 스테이(10)가 제2잠금부(130)에 연결 또는 설치되는 위치는 이격된다. 즉, 제2잠금부(130)의 회동중심과 스테이(10)의 수평로드(11)가 동축선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제2잠금부(130)의 회동중심과 수평로드(11)의 중심축이 엇갈리게 배치된다.
헤드레스트(h)가 언폴딩 상태에 있을 때, 스테이(10)의 수평로드(11)는 제2잠금부(13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제2잠금부(130)의 회동중심과 스테이(10)가 제2잠금부(130)에 연결되는 위치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장치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절개되는 부분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폴딩시 헤드레스트(h)가 시트(s)의 전방으로 회전되므로, 수평로드(11)는 제2잠금부(130)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제2잠금부(130)의 회동중심에 대해 스테이(10)가 제2잠금부(130)에 연결되는 위치는 후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5에는 제2잠금부의 회동중심과 스테이가 제2잠금부에 연결되는 위치가 동일할 때(a)와 이격될 때(b) 시트(s)에 형성되는 절개길이(c, c')가 나타나 있다. 도5에도 나타난 바와 같이 제2잠금부가 스테이의 수평로드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45mm)보다 제2잠금부(130)의 회동중심과 스테이(10)가 제2잠금부(130)에 연결되는 위치가 이격될 때(39.9mm)의 절개길이가 짧다.
브라켓(110)에는 제1잠금부(120)와 제2잠금부(130)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해제부(140)가 설치된다.
잠금해제부(140)는 제1브라켓판(111)의 배면에 잠금해제부 샤프트(143)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해제부(14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잠금해제부 샤프트(143)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잠금해제부(140)는 제1잠금부(120) 및 제1잠금부 샤프트(125)의 전방에 배치된다.
잠금해제부(140)는 좌측에 제2잠금해제 걸림부(142)가 좌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제2잠금해제 걸림부(142)는 제1잠금부(120)의 제1잠금해제 걸림부(126)에 걸린다. 제2잠금해제 걸림부(142)는 잠금해제부 샤프트(143)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2잠금해제 걸림부(142)와 제1잠금해제 걸림부(126)는 제2절개부(111b)를 통해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잠금해제부(140)는 좌측에 와이어 설치부(141)가 형성된다. 와이어 설치부(141)는 제2잠금해제 걸림부(142) 및 잠금해제부 샤프트(143)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와이어 설치부(141)는 잠금해제부(140)의 좌측 하단이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와이어 설치부(141)에는 와이어(145)의 끝단이 끼워지는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해제부(140)는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잠금해제부 스프링(144)이 구비된다. 잠금해제부 스프링(144)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된다. 잠금해제부 스프링(144)의 중심부(코일부)는 잠금해제부 샤프트(143)에 끼워지고, 잠금해제부(140)의 후방에 배치된다. 잠금해제부 스프링(144)의 일단은 잠금해제부(140)에 걸리고, 타단은 브라켓(110)의 제3브라켓판(113)에 걸린다. 잠금해제부(140)에는 제2잠금해제 걸림부(142)와 와이어 설치부(141) 사이에 배치되도록 잠금해제부 스프링(144)의 일단이 끼워지는 제1끼움공이 형성된다. 제3브라켓판(113)에는 잠금해제부 스프링(144)의 타단이 끼워지는 제2끼움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나아가, 제1브라켓판(111)에는 잠금해제부 스프링(144)의 일단과 브라켓(110)이 간섭되지 않도록 제3절개부(111c)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잠금해제부(140)의 전면에는 잠금해제부 샤프트(143)가 끼워지는 제3관통공 둘레에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로 인해 잠금해제부(140)와 브라켓(110) 사이의 마찰이 최소화된다.
나아가, 브라켓(110)의 하부에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와이어 케이스 설치부(116)가 형성된다. 와이어 케이스 설치부(116)는 와이어 설치부(141)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와이어 케이스 설치부(116)는 제1브라켓판(111)의 하단을 후방으로 절곡하여 형성된다. 와이어 케이스 설치부(116)에는 와이어(145)를 둘러싸는 와이어 케이스의 끝단이 설치되는 케이스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 케이스 설치부(116)가 구비되어 와이어(145)가 꼬이는 것이 방지되고, 브라켓(110) 내부에 배치되는 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언폴딩 상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래칫(121)이 제2래칫(134)에 치합되어, 헤드레스트(h)가 시트(s)에 세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폴딩 상태>
사용자 또는 센서 또는 시트(s)의 폴딩에 의해 와이어(145)가 잡아당겨지면, 장치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잠금해제부(1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잠금해제부(140)가 회전함에 따라 제2잠금해제 걸림부(142)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회전하는 제2잠금해제 걸림부(142)에 제1잠금부(120)의 제1잠금해제 걸림부(126)가 걸리게 되어 장치를 우측에서 보았을 때 제1잠금부(1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래칫(121)이 제2래칫(134)으로부터 이탈하게 되어 잠금해제 된다. 제2잠금부(130) 및 스테이(10) 및 헤드레스트(h)는 리턴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제2잠금부 샤프트(160)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전방으로 폴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잠금부(130)의 상면이 제1브라켓판(111)의 배면에 걸려서 폴딩이 완료된다. 폴딩이 완료되면 제2굴곡부(136)와 제1굴곡부(122)는 접촉되게 된다. 제2굴곡부(136)와 제1굴곡부(122)가 접촉되는 위치는 제1잠금부(120)의 회전중심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폴딩된 헤드레스트(h)를 언폴딩시키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헤드레스트(h)를 들어올려서 후방으로 밀게 되면 제2잠금부(130) 및 스테이(10) 및 헤드레스트(h)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1잠금부(120)는 제1잠금부 스프링(124)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제1래칫(121)이 제2래칫(134)에 치합되어, 헤드레스트(h)의 언폴딩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제1래칫(121)이 제2래칫(134)이 치합되게 되면 제2잠금부(130)의 스토퍼돌기(137)가 브라켓(110)에 걸리게 되어 헤드레스트(h)를 사용자가 더 밀더라도 헤드레스트(h)는 멈추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버튼부재(270)를 통해 잠금해제부(240)가 회전되어 제1잠금부(220)와 제2잠금부(230)의 잠금이 해제된다.
본 실시예의 브라켓(210)은 시트에 고정 설치되고, 제2잠금부(230)에 스테이(10)의 수평로드(11)가 설치된다. 스테이(10)의 수직로드(12)의 상부에는 헤드레스트가 설치된다.
버튼부재(270)는 버튼(271a)을 포함하는 버튼부(271)와, 버튼(271a)을 누르는 힘을 잠금해제부(240)에 전달하는 전달부(272)를 포함한다.
버튼부(271)는 시트에 설치된다.
버튼부(271)는 버튼(271a)과, 버튼(271a)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베젤(271b)과, 버튼(271a)을 복귀시키는 버튼 스프링(271c)을 포함한다.
버튼(271a)은 시트의 측부 등을 통해 노출된다. 버튼(271a)과 베젤(271b)은 버튼(271a)에 형성된 후크를 통해 체결되며, 베젤(271b)에는 후크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장공이 형성된다.
버튼 스프링(271c)은 버튼(271a)과 베젤(271b) 사이에 배치된다.
버튼(271a)과 전달부(272)는 분리되게 구비된다. 이와 다르게 버튼(271a)과 전달부(272)는 연결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전달부(272)는 굴곡지게 형성되는 굴곡부(273)와, 굴곡부(273)의 일측에 형성되는 직선형상의 로드부(274)를 포함한다. 전달부(272)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굴곡부(273)는 상부굴곡부와 상기 상부굴곡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굴곡부를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굴곡부(273)로 인해 버튼(271a)의 높이와 잠금해제부(240)의 높이가 차이나더라도 힘이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다.
로드부(274)의 일측에는 플랜지(275)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로드 걸림돌기(276)가 형성된다. 로드 걸림돌기(276)는 로드부(274)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브라켓(210)의 제2브라켓판에는 로드부(274)가 관통되는 로드관통공(212a)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로드관통공(212a)은 제1잠금부(2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로드관통공(212a)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는 로드관통공(212a)에 연통되게 돌기관통공(212b)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조립시 로드 걸림돌기(276)는 돌기관통공(212b)을 통해 브라켓(210) 내부에 삽입된다.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전달부(272)의 자중에 의해 로드 걸림돌기(276)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조립이 완료된 후 로드 걸림돌기(276)는 돌기관통공(212b)과 엇갈리게 배치되어 로드 걸림돌기(276)는 돌기관통공(212b)를 통해 빠져나가지 않게 된다.
플랜지(275)는 브라켓(210)의 외측에 배치되고, 로드 걸림돌기(276)는 브라켓(2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나아가, 플랜지(275)와 제2브라켓판 사이에 전달부(27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전달부 복귀 스프링(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잠금해제부(24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브라켓(2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잠금해제부(240)의 좌측 하부에는 로드부(274)에 접촉되어 로드부(274)에 의해 눌리는 눌림부(241)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눌림부(241)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잠금해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버튼(271a)을 누르면 버튼(271a)에 의해 전달부(272)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로 인해, 로드부(274)가 눌림부(241)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잠금해제부(24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된 잠금해제부(240)는 제1잠금부(220)를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회전시키게 되어 제1잠금부(220)와 제2잠금부(230)의 잠금은 해제된다.
사용자가 버튼(271a)을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버튼(271a) 및 전달부(272)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헤드레스트(h)에 브라켓(310)이 설치되고, 스테이(10')의 수직로드(12')의 하부에 시트(s)가 설치되고, 와이어(345)를 통해 제1잠금부와 제2잠금부(330)의 잠금이 해제된다.
스테이(10')의 수평로드(11')는 제2잠금부(330)의 제2잠금부 샤프트보다 후방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제1잠금부의 제1잠금부 샤프트(325)는 제2잠금부(330)의 제2잠금부 샤프트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잠금부보다 와이어 케이스가 설치되는 와이어 케이스 설치부(316)가 상부에 배치된다.
나아가, 스테이(10')에는 와이어(345)가 인입되는 구멍 및 인출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와이어(345)가 시트(s)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 >===================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2,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헤드레스트(h)에 브라켓(410)이 설치되고, 스테이(10')의 수평로드(11')의 양측 하부에 형성된 수직로드(12')의 하부에 시트(s)가 설치되고, 버튼부재(470)를 통해 제1잠금부와 제2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된다.
본 실시예의 각 부품의 배치는 전술한 제3실시예의 각 부품의 배치구조와 유사하다.
버튼부재(470)는 헤드레스트(h)의 측부를 통해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테이
11 : 수평로드 12 : 수직로드
110 : 브라켓 111 : 제1브라켓판
111a : 제1절개부 111b : 제2절개부
111c : 제3절개부 112 : 제2브라켓판
113 : 제3브라켓판 114 : 제2잠금부 스프링 걸림부
115 : 체결부 116 : 와이어 케이스 설치부
120 : 제1잠금부 121 : 제1래칫
122 : 제1굴곡부 123 : 스프링 걸림부
124 : 제1잠금부 스프링 125 : 제1잠금부 샤프트
126 : 제1잠금해제 걸림부
130 : 제2잠금부 131 : 제1잠금판
132 : 제2잠금판 133 : 제3잠금판
134 : 제2래칫 135 : 리턴스프링 걸림부
136 : 제2굴곡부 137 : 스토퍼돌기
140 : 잠금해제부 141 : 와이어 설치부
142 : 제2잠금해제 걸림부 143 : 잠금해제부 샤프트
144 : 잠금해제부 스프링 145 : 와이어
150 : 리턴스프링
160 : 제2잠금부 샤프트

Claims (6)

  1.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는 제1잠금부;
    상기 브라켓에 대해 회동가능하며, 상기 제1잠금부에 잠금되거나 잠금해제되는 제2잠금부;
    상기 제2잠금부에 연결되는 스테이를 포함하며,
    상기 브라켓과 상기 스테이 중 하나에는 헤드레스트가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시트가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로드와, 상기 수평로드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잠금부의 회동중심과 상기 수평로드가 상기 제2잠금부에 연결되는 위치는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잠금부는 제1래칫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잠금부는 상기 브라켓에 대해 회동가능하며,
    상기 제2잠금부는 제2래칫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가 언폴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스테이는 상기 제2잠금부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2잠금부의 회동중심과 상기 스테이가 상기 제2잠금부에 연결되는 위치는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부는 제2잠금부 샤프트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잠금부는 제1잠금판과, 상기 제1잠금판의 양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잠금판과 제3잠금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잠금판에는 상기 수평로드가 설치되며,
    상기 제2잠금판과 상기 제3잠금판에는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가 설치되고,
    상기 제2래칫은 상기 제2잠금판과 상기 제3잠금판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제2잠금부 샤프트에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리턴스프링은 상기 제1잠금부와 상기 제2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제2잠금부를 상기 브라켓에 대해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제1브라켓판과, 상기 제1브라켓판의 양측에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브라켓판과 제3브라켓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잠금판과 상기 제1브라켓판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잠금판과 상기 제3잠금판에는 스토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2잠금부가 상기 제1잠금부에 잠금될 때, 상기 스토퍼돌기는 상기 브라켓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20160113836A 2016-09-05 2016-09-05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1916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36A KR101916916B1 (ko) 2016-09-05 2016-09-05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PCT/KR2017/009356 WO2018044009A1 (en) 2016-09-05 2017-08-28 Folding device of headr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36A KR101916916B1 (ko) 2016-09-05 2016-09-05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908A KR20180026908A (ko) 2018-03-14
KR101916916B1 true KR101916916B1 (ko) 2018-11-08

Family

ID=61301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836A KR101916916B1 (ko) 2016-09-05 2016-09-05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16916B1 (ko)
WO (1) WO20180440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8297B1 (ko) 2019-01-21 2020-07-27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1964A (ja) * 2010-09-16 2012-03-29 Nhk Spring Co Ltd 車両用ヘッドレス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529B1 (ko) * 2005-04-25 2006-05-22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굽힘장치
JP2008272270A (ja) * 2007-04-28 2008-11-13 Bizen Hatsujo Kk 車両用ヘッドレスト
KR20100058017A (ko) * 2008-11-24 2010-06-03 동광리어유한회사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의 폴딩장치
KR101585262B1 (ko) * 2009-11-18 2016-01-13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폴딩 장치
KR101428664B1 (ko) * 2013-12-10 2014-08-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20160067346A (ko) * 2014-12-04 2016-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61964A (ja) * 2010-09-16 2012-03-29 Nhk Spring Co Ltd 車両用ヘッドレス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908A (ko) 2018-03-14
WO2018044009A1 (en)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9881B2 (en) Head rest
JP3571646B2 (ja) 車両用シート
US9446695B2 (en) Head rest
US9457700B2 (en) Head rest
US10011203B2 (en) Cable apparatus
US8113576B2 (en) Cable connecting devices
WO2014192824A1 (ja) 車両用シート
JP2006021747A (ja) ダブルフォールディングシート
JP2007145219A (ja) 車両用ウォークイン装置
EP2902255A1 (en) Head rest
JP2005029151A (ja) 第1の要素を第2の要素にロック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このロックシステムを備えたシート
US8714650B2 (en) Seat assembly having a moveable head restraint assembly
US20150251575A1 (en) Head rest
US20050269854A1 (en) Vehicle seat latch assembly having a pivoting anti-chuck hook for engaging a floor-mounted striker plate
KR101916916B1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187034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N111328311B (zh) 头枕控制装置
US10821867B2 (en) Headrest support device
JP2011255860A (ja) 自動車のシートバックの支持構造
KR101995345B1 (ko)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CN212827989U (zh) 儿童座椅和儿童座椅用固定单元
US10843589B2 (en) Locking device for vehicle seat
KR10116871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80040951A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N212979976U (zh) 儿童座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