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067B1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067B1
KR101044067B1 KR1020090087582A KR20090087582A KR101044067B1 KR 101044067 B1 KR101044067 B1 KR 101044067B1 KR 1020090087582 A KR1020090087582 A KR 1020090087582A KR 20090087582 A KR20090087582 A KR 20090087582A KR 101044067 B1 KR101044067 B1 KR 101044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rod
guide
hole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766A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090087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4067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조절부재는 노치가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장치의 조작이 용이해지며, 헤드레스트를 바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장치가 컴팩트해지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레스트, 이동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이동장치{Headrest Moving Devic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조절부재는 노치가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한국등록특허 제10-0790535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스테이폴(12)의 상부에는 고정브래킷(10)이 고정 설치되고, 한쌍의 전방브래킷(20) 및 후방브래킷(30)은 그 하단부가 고정브래킷(10)의 선.후단부 홀에 제1힌지(21)와 제1회동축(11)을 통해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한쌍의 좌측브래킷(40) 및 우측브래킷(50)은 상기 전방브래킷(20) 및 후방브래킷(30)의 상단부 홀에 제2회동축(51)과 제2힌지(31)를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전방브래킷(20)과 후방브래킷(30)의 사이에는 기어치(71)와 걸림턱(72) 및 만곡부 형성된 수직기어부(70) 의 하단부가 제1회동축(11)을 통해 고정브래킷(10)의 후단부 홀에 비틀림스프링(32)과 함께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제1회동축(11)과 대각관계에 있는 제2회동축(51)에 설치되는 하우징(60)내에서 슬라이딩 되게 설치되어, 제1힌지(21) 및 제1회동축(11)을 중심으로 하는 전방브래킷(20) 및 후방브래킷(30)의 회전운동시, 수직기어부(70)와 하우징(60)이 서로 슬라이딩 이격되면서 제3회동축(82)을 통해 하우징(60)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걸림쇠(80)가 해제스프링(83)의 탄발력에 의해 수직기어부(70)의 기어치(71)에 단계적으로 걸림에 따라 헤드레스트가 직선이송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만 이동할 수 있게 되며, 후방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헤드레스트를 최전방까지 이동시킨 후에 걸림쇠(80)를 기어치(71)로부터 이탈 시킨 후에 가능하게 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어린이나 노약자가 조작하기에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걸림쇠(80)를 기어치(71)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공간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어 장치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직기어부(70) 의 구멍 내부에 기어치(71), 걸림턱(72) 및 만곡부(73)를 성형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걸림쇠(80)가 기어치(71)를 타고 넘어갈 때에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치의 조작이 용이해지며, 헤드레스트를 바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장치가 컴팩트해지며, 성형이 용이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와 제3링크와,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3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링크와, 상기 제1링크 또는 상기 제3링크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4링크 또는 상기 제2링크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노치가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노치에 삽입되거나 이탈되어 상기 로드가 상기 가이드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3링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부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누름부를 누르는 제2누름부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와 상기 제2누름부는 접촉되는 부분의 넓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제1관통공보다 후방에 배치되도록 설치부가 형 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누름부의 일단에 형성된 두개의 돌출편과 두개의 상기 돌출편을 연결하는 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는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3링크를 연결하는 힌지가 상기 로드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4링크를 연결하는 힌지가 상기 가이드의 설치부에 삽입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링크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노치가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노치에 삽입되거나 이탈되어 상기 로드가 상기 가이드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는 노치가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장치의 조작이 용이해지며, 헤드레스트를 바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조절부재의 성형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장치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감소하게 된다.
누름부를 누르는 제2누름부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와 상기 제2누름부는 접촉되는 부분의 넓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누름 위치가 헤드레스트에 대해 움직이지 않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며, 헤드레스트에 장공을 형성하지않아도 되어 헤드레스트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제1관통공보다 후방에 배치되도록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누름부의 일단에 형성된 두개의 돌출편과 두개의 상기 돌출편을 연결하는 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는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3링크를 연결하는 힌지가 상기 로드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4링크를 연결하는 힌지가 상기 가이드의 설치부에 삽입되어, 장치가 더욱 컴팩트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조절부재 수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누름부를 누른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서 누름부를 누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6의 B-B단면도이며, 도 10은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제1링크(100)와, 상기 제1링크(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200)와 제3링크(300)와, 상기 제2링크(200)와 상기 제3링크(3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링크(400)와, 상기 제1링크(100) 또는 상기 제3링크(300)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4링크(400) 또는 상기 제2링크(200)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부재(50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500)는 노치(541)가 형성된 로드(540)와, 상기 로드(540)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511)이 형성되는 가이드(510)와, 상기 가이드(5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540)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524)이 형성되어 상기 노치(541)에 삽입되거나 이탈되어 상기 로드(540)가 상기 가이드(510)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누름부(520)와, 상기 누름부(520)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550)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100)는 바닥판(120)과, 바닥판(120)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측판(110, 130)을 포함한다.
측판(110, 130)에는 힌지가 삽입되는 힌지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1링크(100)는 스테이로드(미도시)에 연결되어 시트(미도시)에 연결된다.
제2링크(200)는 힌지를 통해 제1링크(100)에 설치되어, 제1링크(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링크(200)는 제1링크(100) 상부에 배치된다.
제2링크(200)는 연결판(220)과 연결판(220)의 양측에 수직하게 측판(210, 230)이 형성된다.
측판(210, 230)은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하부로 향할수록 폭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측판(210, 2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힌지가 삽입되는 힌지공이 형성된다.
제3링크(300)는 제1링크(100)의 상부에 제2링크(20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제1링크(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3링크(300)는 제2링크(200)와 유사하게, 연결면과, 연결면의 양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측면을 포함한다.
제3링크(300)의 양쪽 측면 상부 및 하부에는 힌지가 삽입되는 힌지공이 형성된다.
제3링크(300)는 제1링크(100)에 힌지를 통해 제1링크(100)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4링크(400)는 제2링크(200)와 제3링크(3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4링크(400)는 두개의 부재로 나뉘어 구비되며, 두개의 부재는 제2링크(200)와 제3링크(300) 상부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각각 설치된다.
헤드레스트는 제4링크(400)에 연결된다.
제4링크(400)는 제1판(410)과 제1판(410)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제2판(420)을 포함한다.
제1판(410)에는 접촉봉(531)이 삽입되는 삽입공(411)과, 힌지가 삽입되는 힌지공이 각각 형성된다.
조절부재(500)는 제1링크(100) 또는 제3링크(300)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4링크(400) 또는 제2링크(200)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절부재(500)의 일단은 제1링크(100)와 제3링크(300)를 연결하는 힌지에 동시에 설치된다. 또한, 조절부재(500)의 타단은 제2링크(200)와 제4링크(400)를 연결하는 힌지에 동시에 설치된다. 따라서, 조절부재(500)는 제1링크(100) 및 제3링크(300)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4링크(400) 및 제2링크(200)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절부재(500)는 제2링크(200)와 제3링크(300)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조절부재(500)는 노치(541)가 형성된 로드(540)와, 상기 로드(540)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511)이 형성되는 가이드(510)와, 상기 가이드(5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540)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524)이 형성되는 누름부(520)와, 상기 누름부(520)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550)을 포함한다.
로드(540)는 수평단면 형상이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한쪽 측면에 노치(541)가 여러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540)에서 노치(541)와 노치(541) 사이 에는 경사면(542)이 형성되어 있다.
로드(540)의 하단에는 좌우방향으로 관통공(543)이 형성되어 제1링크(100)와 제3링크(300)를 연결하는 힌지가 삽입된다.
가이드(51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중심부에 제1관통공(51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510)는 상단에 제1관통공(511)에 연통되도록 삽입공(512)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공(512)은 단차지게 형성되고, 삽입공(512)에 연통되도록 스프링(550)이 삽입되는 안착홈(515)이 제1관통공(511) 양측에 형성된다.
안착홈(515)은 가이드(510)에서 단차진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510)는 측부에 좌우방향으로 설치부(513)가 형성되어 있고, 설치부(513)에는 제2링크(200)와 제4링크(400)를 연결하는 힌지가 삽입되는 힌지공이 형성된다.
나아가, 가이드(510) 내벽에는 돌기(514)가 여러개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514)로 인해 가이드(510)와 로드(540) 사이의 접촉면적이 작아지게 되어 마찰력이 작아지게 되며 소음도 작아지는 이점이 있다.
스프링(550)은 누름부(520)를 자동으로 복귀시킨다.
누름부(520)는 가이드(510)의 삽입공(512)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누름부(52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 걸림턱(522)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턱(522)은 가이드(510)의 단차진 부분에 걸리게 된다.
또한, 누름부(520) 하부에는 돌출부가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누름부(520)와 가이드(510)가 선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제2관통공(524)은 누름부(520)의 일단에 형성된 두개의 돌출편(526)과 두개의 돌출편(526)을 연결하는 핀(525)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제2관통공(524)으로 인해 누름부(520)는 노치(541)에 삽입되거나 이탈되어 로드(540)가 가이드(510)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단속한다.
돌출편(526)의 끝단 상부에는 걸림돌기(527)가 후크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돌기(527)로 인해 누름부(520)가 가이드(51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누름부(520)를 가이드(510)에 삽입할 때에도 걸림돌기(527) 부분이 탄성변형되면서 삽입되고 삽입된 후에는 걸림돌기(527)가 가이드(510)에 걸리게 되어 누름부(520)를 가이드(510)에 한번의 작업공정으로 설치할 수 있다.
누름부(520)의 타단에는 접촉부(521)가 형성된다.
접촉부(521)는 넓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촉부(521)의 가장자리에는 걸림턱(522)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누름부(520)와 접촉되어 누름부(520)를 누르는 제2누름부(530)를 포함한다.
누름부(520)와 제2누름부(530)는 접촉되는 부분의 넓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제2누름부(530)는 누름버튼(532)과 누름버튼(532)에 설치되는 접촉봉(531)을 포함한다.
접촉봉(531)은 제4링크(400)의 제1판(410)의 삽입공(411)에 삽입된다.
접촉봉(531)은 누름부(520)의 접촉부(521)에 접촉되며, 접촉부(521)보다도 단면적이 작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접촉봉(531)이 접촉부(521)보다도 넓이가 넓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촉봉(531)과 접촉부(521)가 구비되어, 접촉부(521)가 접촉봉(531)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되더라도 접촉부(521)와 접촉봉(531)은 서로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누름 위치가 움직이지 않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며, 헤드레스트에 장공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어 헤드레스트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1링크(100)와 제3링크(300) 사이에 양단이 연결되는 스프링(6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제2누름부(530)를 누르면, 누름부(520)의 접촉부(521)에 접촉된 접촉봉(531)에 의해 누름부(520)도 눌린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520)가 눌리게 되면, 노치(541)에 삽입되어 있던 핀(525)이 노치(541)로부터 빠져나온다.
이와 같이 노치(541)로부터 핀(525)이 빠져나오게 되면, 로드(540)는 가이드(510)에 대해 이동가능해진다. 즉,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제4링크(400)와 제1링크(100) 사이의 거리가 조절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전후방향 슬라이딩 시켜서 어디로든지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제2누름부(530)를 누르던 힘을 제거하면, 제2누름부(530) 및 누름부(520)는 스프링(550)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이로 인해, 누름부(520)의 핀(525)은 노치(541)에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로드(540)는 가이드(510)에 대해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된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헤드레스트를 현재 위치에서 바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키는 방법도 용이하다. 로킹해제를 위한 구간이 필요없게 되어 장치가 컴팩트해진다.
헤드레스트의 위치 조절시, 누름부(520)와 로드(540)가 완전히 분리되어 소음 발생이 감소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분리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제1링크(100)와, 상기 제1링크(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200)와, 상기 제1링크(100)에 일단이 회동가능 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링크(200)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부재(500)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500)는 노치(541)가 형성된 로드(540)와, 상기 로드(540)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511)이 형성되는 가이드(510)와, 상기 가이드(5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540)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524)이 형성되어 상기 노치(541)에 삽입되거나 이탈되어 상기 로드(540)가 상기 가이드(510)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누름부(520)와, 상기 누름부(520)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550)을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로드(540)의 관통공(543)에 제1링크(100)와 제2링크(200)를 연결하는 힌지가 삽입되어 조절부재(500)의 일단이 제1링크(1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가이드(510)의 설치부(513)에 힌지가 삽입되어 조절부재(500)의 타단이 제2링크(2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한편, 제2링크의 측판(210)에는 접촉봉(531)이 삽입되는 삽입공(211)이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제2누름부(530)를 누르게 되면 로드(540)가 이동가능하게 되어 헤드레스트는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헤드레스트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제2링크(200)는 제1링크(1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틸팅된다. 헤드레스트를 원하는 위치로 틸팅 시킨 후에 제2누름부(53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헤드레스트는 그 위치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조절부재 수평단면도.
도 5는 도 2의 누름부를 누른 상태를 나타내는 수평단면도.
도 6은 도 2의 평면도.
도 7은 도 6의 A-A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누름부를 누른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6의 B-B단면도.
도 10은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분리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링크 110, 130 : 측판
120 : 바닥판 200 : 제2링크
210, 230 : 측판 220 : 연결판
300 : 제3링크 400 : 제4링크
410 : 제1판 411 : 삽입공
420 : 제2판 500 : 조절부재
510 : 가이드 511 : 제1관통공
512 : 삽입공 513 : 설치부
514 : 돌기 515 : 안착홈
520 : 누름부 521 : 접촉부
522 : 걸림턱 523 : 걸림돌출부
524 : 제2관통공 525 : 핀
526 : 돌출편 527 : 걸림돌기
530 : 제2누름부 531 : 접촉봉
532 : 누름버튼 540 : 로드
541 : 노치 542 : 경사면
543 : 관통공 550 : 스프링
600 : 스프링

Claims (4)

  1.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와 제3링크;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3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링크;
    상기 제1링크 또는 상기 제3링크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4링크 또는 상기 제2링크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노치가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노치에 삽입되거나 이탈되어 상기 로드가 상기 가이드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3링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누름부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누름부를 누르는 제2누름부가 구비되며,
    상기 누름부와 상기 제2누름부는 접촉되는 부분의 넓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에는 상기 제1관통공보다 후방에 배치되도록 설치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공은 상기 누름부의 일단에 형성된 두개의 돌출편과 두개의 상기 돌출편을 연결하는 핀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돌출편의 끝단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는 하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와 상기 제3링크를 연결하는 힌지가 상기 로드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제2링크와 상기 제4링크를 연결하는 힌지가 상기 가이드의 설치부에 삽입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4. 헤드레스트의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2링크에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부재는 노치가 형성된 로드와, 상기 로드가 관통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가 삽입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노치에 삽입되거나 이탈되어 상기 로드가 상기 가이드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단속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20090087582A 2009-09-16 2009-09-16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044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582A KR101044067B1 (ko) 2009-09-16 2009-09-16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582A KR101044067B1 (ko) 2009-09-16 2009-09-16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766A KR20110029766A (ko) 2011-03-23
KR101044067B1 true KR101044067B1 (ko) 2011-06-23

Family

ID=4393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582A KR101044067B1 (ko) 2009-09-16 2009-09-16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40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234B1 (ko) 2010-07-26 2012-08-06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90035292A (ko)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KR20190040579A (ko)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5036A (ja) 1999-02-05 2000-08-15 Ikeda Bussan Co Ltd 可動式ヘッドレスト装置
US7070235B2 (en) 2002-12-21 2006-07-04 Keiper Gmbh & Co. Kg Crash-active headrest
KR100685143B1 (ko) 2006-09-12 2007-02-22 정병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
KR20070097302A (ko) * 2006-03-28 2007-10-04 주식회사 우보테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5036A (ja) 1999-02-05 2000-08-15 Ikeda Bussan Co Ltd 可動式ヘッドレスト装置
US7070235B2 (en) 2002-12-21 2006-07-04 Keiper Gmbh & Co. Kg Crash-active headrest
KR20070097302A (ko) * 2006-03-28 2007-10-04 주식회사 우보테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0685143B1 (ko) 2006-09-12 2007-02-22 정병호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234B1 (ko) 2010-07-26 2012-08-06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90035292A (ko)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US11433793B2 (en) 2017-09-26 2022-09-06 Woobo Tech Co., Ltd.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KR20190040579A (ko)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766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123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3735935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
EP3254890B1 (en) Manual type seat cushion extension device and vehicle seat comprising the same
JP5852290B2 (ja) ヘッドレスト移動装置
JP2022186976A (ja) サイドプロテクション幅の調整機構およびチャイルドシート
US6045184A (en) Child seat
KR10157042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59246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N110869242B (zh) 头枕移动装置
KR200426959Y1 (ko) 의자 좌판의 길이 조절구조
US20070057546A1 (en) Tilt adjustment mechanism for child safety seat
KR10104406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071615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US10251486B2 (en) Headrest moving device
JP3893011B2 (ja) ラッチ受具
KR101672965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3001240B2 (ja) ヒンジ
CN212827989U (zh) 儿童座椅和儿童座椅用固定单元
JP6092598B2 (ja) ブラインド取付用ブラケット
JP4750248B2 (ja) 吊戸の走行体支持装置
JP7437925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593048B1 (ko) 헤드레스트 수평이동장치
KR101680974B1 (ko) 등받이 이동 의자
JP7260574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のバックル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7386684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