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843B1 -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843B1
KR101845843B1 KR1020170101518A KR20170101518A KR101845843B1 KR 101845843 B1 KR101845843 B1 KR 101845843B1 KR 1020170101518 A KR1020170101518 A KR 1020170101518A KR 20170101518 A KR20170101518 A KR 20170101518A KR 101845843 B1 KR101845843 B1 KR 101845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eadrest
stay rod
ba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1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2155A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70101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843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와, 상기 하우징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에는 스테이로드가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조가 현저하게 단순화되며, 장치가 컴팩트해지고, 헤드레스트가 안정적으로 폴딩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폴딩장치{VEHICLE HEADREST FOLDED DEVIC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와, 상기 하우징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에는 스테이로드가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8845호에 나타나 있는 종래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시트프레임(10')에 대해 고정되는 인출부(13)와, 상기 인출부(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50)와, 헤드레스트(20)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부재(50)를 관통하는 스테이로드와, 연결부(30)와, 연결부(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스테이로드에 연결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연결부(30)에 나사결합되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모터(8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50)는 상기 인출부(13)에 대해 회전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연결부(30)에 대해 회전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회전부재(50)와 장착부를 엇갈리게 배치하여 연결부(30)가 승강함에 따라 헤드레스트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헤드레스트의 폴딩각도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회전부재(50)와 장착부의 이격거리를 크게 해야 하므로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넓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구조가 복잡하며 부품수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의 양측에서만 지지되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6884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구조가 단순하며 장치가 컴팩트하고 내구성이 향상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와, 상기 하우징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에는 스테이로드가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승강부재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측벽과 양쪽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벽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양쪽 상기 측벽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중간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는 양쪽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테이로드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바와, 상기 제1바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는 상기 승강부재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바는 상기 스크류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바의 양측이 상기 링크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제1바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승강 가이드봉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봉이 삽입되는 승강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승강부재를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차량의 시트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헤드레스트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구동력은 플랙시블 샤프트를 통해 상기 스크류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와, 상기 하우징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에는 스테이로드가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조가 현저하게 단순화되며, 장치가 컴팩트해지고, 헤드레스트가 안정적으로 폴딩될 수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는 스테이로드가 링크 및 승강부재에 의해 나누어 지지되어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승강부재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더욱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측벽과 양쪽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벽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는 양쪽 상기 측벽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중간벽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는 양쪽 상기 측벽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스테이로드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바와, 상기 제1바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는 상기 승강부재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바는 상기 스크류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바의 양측이 상기 링크에 각각 연결되어, 장치를 컴팩트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헤드레스트를 지지하는 힘이 스테이로드의 양측 및 가운데에 고르게 분산되어 장치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제1바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개방된 부분을 통해 승강부재에 스테이로드를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승강 가이드봉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봉이 삽입되는 승강가이드홈이 형성되어, 프레스를 통해 하우징을 성형할 수 있게 되어 하우징의 제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장치의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승강부재를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어, 승강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는 동시에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차량의 시트에 설치되어, 헤드레스트의 부피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하우징은 헤드레스트에 설치되어, 고장시 용이하게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구동력은 플랙시블 샤프트를 통해 상기 스크류에 전달되어, 모터를 다양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 되어 모터의 진동이나 소음 등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어, 장치를 모듈화할 수 있어서, 설치 등이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정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단면도.(직립 상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단면도.(폴딩 상태)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배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단면도.(직립 상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단면도.(폴딩 상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배면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배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분리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배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배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배면 사시도.
도 16은 종래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500)와, 상기 하우징(10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500)에는 스테이로드(300)가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재(200)에는 상기 스테이로드(300)가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100)은 전면(130)과, 전면(130)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는 측벽(110)과, 양쪽 상기 측벽(110)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벽(12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전면(130)과 측벽(110)과 중간벽(120)이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 및 이하의 실시예에서 전방은 헤드레스트가 폴딩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전면(130)은 평판으로 형성되며 상하길이가 좌우길이보다 더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측벽(110)은 평판으로 형성되며, 전면(13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연결된다.
측벽(110)은 전면(130)의 좌측 및 우측이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양쪽 측벽(110)의 상부 후방에는 스테이 가이드홈(111)이 양측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스테이 가이드홈(111)에는 스테이로드(300)가 삽입된다. 스테이 가이드홈(111)은 스테이로드(300)를 가이드한다.
스테이 가이드홈(111)은 원호형상으로 형성된다. 헤드레스트가 직립위치에 있을 때 스테이로드(300)는 스테이 가이드홈(111)의 최하단에 배치되고, 헤드레스트가 폴딩위치에 있을 때 스테이로드(300)는 스테이 가이드홈(111)의 최상단에 배치되도록 스테이 가이드홈(111)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스테이 가이드홈(111)은 스토퍼 역할도 동시에 한다.
또한, 측벽(110)의 상부에는 좌우방향으로 링크(500)의 힌지축(510)이 삽입되는 축삽입공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축삽입공은 스테이 가이드홈(111)의 전방에 배치된다.
측벽(110)에는 링크(500)와 마주하는 면에 상기 축삽입공 둘레가 엠보싱처리(돌출)되어, 측벽(110)과 링크(500) 사이에 간격이 생기게 된다. 이로 인해, 링크(500)가 측벽(110)에 대해 회전할 때 마찰이 감소되어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나아가, 측벽(110)의 하부 후방에는 브라켓(140)이 형성된다.
브라켓(140)은 측벽(110)의 하부 후방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브라켓(140)은 하우징(100)의 하부 후방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브라켓(140)에는 볼트나 리벳 등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브라켓(140)을 통해 하우징(100)을 차량의 시트의 프레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시트의 상부 중간에 배치된다.
또한, 한쪽 측벽(110)의 하부에는 이하 서술되는 모터(6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중간벽(120)은 양쪽 측벽(1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중간벽(120)은 전면(130)의 상부에 연결되어 형성된다.
중간벽(120)은 전면(130)의 상부가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중간벽(120)에는 스크류 삽입홈(121)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스크류 삽입홈(121)은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하우징(100)의 하부(중간벽의 반대면)는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프레스 가공을 통해 용이하게 성형될 수 있다. 하우징(100)을 금속 소재로 형성할 경우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스테이로드(300)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바(310)와, 제1바(3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바(350)와, 제1바(310)와 제2바(350)를 연결하는 제3바(330)를 포함한다.
스테이로드(300)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일체로 형성된다.
스테이로드(300)는 파이프 형태 또는 환봉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바(310)는 수평하게 배치된다.
헤드레스트가 직립상태로 있을 때 제2바(350)는 상단이 하단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제2바(350)의 상단은 제1바(310)의 전단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제2바(350)의 하단은 제1바(310)의 후단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3바(330)는 원호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제2바(350)의 상부는 시트의 외부로 노출되며, 제2바(350)의 상부에는 헤드레스트가 설치된다.
링크(5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링크(500)는 힌지축(510)을 통해 하우징(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링크(500)는 2개가 구비되어 하우징(100)의 양쪽 측벽(110)의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링크(500)는 전방에 힌지축(510)이 삽입되는 축삽입공이 좌우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후방에 스테이로드(300)의 제1바(310)가 안착되어 고정설치되는 축안착홈(501)이 형성된다. 즉, 축안착홈(501)은 상기 축삽입공의 후방에 배치된다. 축안착홈(501)은 상기 축삽입공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축안착홈(501)은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축안착홈(501)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축안착홈(501)으로 인해 스테이로드(300)를 링크(500)에 용이하게 고정설치할 수 있다.
축안착홈(501)은 전단이 후단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링크(500)에는 축안착홈(501) 주변의 상부 및 하부에 상부돌출부 및 하부돌출부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상부돌출부는 제1바(3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돌출부는 제1바(3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상부돌출부 및 하부돌출부는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출부 및 하부돌출부의 후단은 제1바(310)의 후단보다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헤드레스트가 직립상태에 있을 때 상기 상부돌출부는 제1바(310)의 최상단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강도 보강의 효과가 있다.
헤드레스트가 폴딩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하부돌출부는 제1바(310)의 최하단보다 상부로 돌출되어 강도 보강의 효과가 있다.
이러한 링크(500)로 인해 스테이로드(300)는 하우징(100)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링크(500)에는 스테이로드(300)의 제1바(310)의 양측이 직접 연결된다. 이와 다르게, 링크(500)와 스테이로드(300) 사이에 다른 부재를 구비하여 간접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승강부재(200)는 블럭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00)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승강부재(200)는 상하길이보다 좌우폭이 더 길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스테이로드(300)와 승강부재(200)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상부 및 하부에서 선접촉 또는 점접촉(이하 서술되는 바와 같이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하게 된다.
승강부재(200)는 양쪽 측벽(11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승강부재(200)는 중간벽(120)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승강부재(200)는 측벽(110)과 중간벽(120)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된다.
승강부재(200)에는 스테이로드(300)의 제1바(31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승강부재(200)의 후방에는 제1바(310)의 중간부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01)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승강부재(200)는 좌측에서 보았을 때 '⊂'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홈(201)은 양측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후방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가이드홈(201)에 제1바(310)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나아가, 승강부재(200)에서 스테이로드(300)와 맞닿는 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가이드홈(201)의 내부에 배치되며,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돌기로 인해 승강부재(200)와 스테이로드(300) 사이의 마찰이 감소하여 스테이로드(300)의 슬라이딩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나아가, 하우징(100)의 중간벽(1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모터(600)에 의해 구동되는 스크류(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400)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스크류(400)의 상단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밋밋한 부분이 형성된다.
스크류(400)의 상기 밋밋한 부분은 하우징(100)의 스크류 삽입홈(121)에 삽입된다. 따라서, 스크류(400)는 하우징(10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된다. 스크류(400)가 더욱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을 스크류(400)와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시킬 수 있다.
추가로 스크류 삽입홈(121)의 개방된 부분(후방)은 스크류(400) 조립 후에 스크류(400)가 이탈되지 않도록 막히도록 마감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마감처리를 하지 않더라도 조립후에 스크류(400)는 승강부재(200)에 끼워지고 승강부재(200)는 스테이로드(300)의 제1바(310)에 걸리므로 스크류 삽입홈(121)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스크류(400)에 연결되는 감속기어(610)가 하우징(100)에 고정설치되므로 스크류(400)는 하우징(1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고정되게 된다.
승강부재(200)에는 가이드홈(201)의 전방에 스크류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체결공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체결공에는 스크류(400)가 나사결합된다. 따라서, 스크류(400)가 모터(600)에 의해 하우징(100)에 대해 회전하면, 승강부재(200)는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게 된다.
따라서, 제1바(310)는 스크류(400)의 후방에 배치된다.
또한, 하우징(100)에는 승강 가이드봉(290)이 설치되고, 승강부재(200)에는 승강 가이드봉(290)이 삽입되는 승강가이드홈이 형성된다.
승강 가이드봉(290)의 상부에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조립시 상기 플랜지는 중간벽(120)의 하부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조립후 승강 가이드봉(290)은 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승강 가이드봉(290)은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상단이 중간벽(120)에 리벳팅 등을 통해 고정설치된다. 승강 가이드봉(290)은 스크류(4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즉, 승강 가이드봉(290)은 측벽(110)과 스크류(400) 사이에 배치된다.
승강 가이드봉(290)의 하부는 타 부재에 구속되지 않고 자유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승강가이드홈은 가이드홈(201)의 전방에 배치된다.
승강부재(200)의 상면에는 상기 승강가이드홈에 연통되도록 상기 플랜지가 안착되는 플랜지 안착홈이 형성된다.
모터(600)는 하우징(100)의 하부에 설치된다.
모터(600)의 축에는 감속기어(610)가 연결되고, 감속기어(610)에 스크류(400)의 하부가 연결된다.
감속기어(610)는 전면(130)의 배면에 설치된다. 감속기어(610)는 양쪽 측벽(110) 사이에 배치된다.
모터(600) 및 감속기어(610)는 승강부재(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헤드레스트 폴딩>
모터(600)가 사용자나 센서 등에 의해 작동되면 스크류(400)는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400)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부재(200)는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승강부재(200)가 상부로 이동되면 승강부재(200)에 의해 스테이로드(300)의 제1바(310)의 중심부도 들어올려지게 된다. 들어올려지는 스테이로드(300)에 의해 스테이로드(300)에 고정된 링크(500)는 하우징(100)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스테이로드(300)의 제1바(310)의 양측은 링크(500)의 후방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승강부재(200)는 하우징(100) 및 링크(500)의 힌지축(510)의 중심에 대해 승강이동만 하므로 승강부재(200)가 상부로 이동됨에 따라 스테이로드(300)는 승강부재(200)의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승강부재(200)의 상면이 중간벽(120)의 하면에 닿으면 헤드레스트의 폴딩이 완료된다.
헤드레스트의 폴딩이 완료되면 링크(500)의 힌지축(510)의 중심보다 승강부재(200)의 가이드홈(201)의 중심은 상부로 이동된다.
헤드레스트의 폴딩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스테이로드(300)는 승강부재(200)의 가이드홈(201)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헤드레스트의 폴딩완료나 직립완료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폴딩이나 직립이 완료되면 모터(600)의 작동이 멈추도록 제어부를 통해 제어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모터(600)가 일정 시간동안 작동된 후에 멈추도록 제어부를 통해 제어할 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폴딩완료나 직립완료되게 되면 승강부재(200)가 중간벽(120) 또는 스크류(400)의 하단에 걸리거나, 스테이로드(300)의 제1바(310)가 스테이 가이드홈(111)의 최상단 또는 최하단에 걸려서 모터(600) 자체에 과부하가 걸리면 멈추도록 할 수도 있다.
<헤드레스트 직립>
모터(600)가 사용자나 센서 등에 의해 작동되면 스크류(400)는 반대로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400)가 반대로 회전함에 따라 승강부재(200)는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승강부재(200)가 하부로 이동되면 승강부재(200)에 의해 스테이로드(300)도 아래로 눌리게 된다. 눌리는 스테이로드(300)에 의해 스테이로드(300)에 고정된 링크(500)는 하우징(100)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스테이로드(300)는 회전되는 링크(500)의 후방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테이로드(30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승강부재(200)는 하우징(100) 및 링크(500)의 힌지축(510)의 중심에 대해 승강이동만 하므로, 승강부재(200)가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스테이로드(300)는 승강부재(20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스테이로드(300)가 스테이 가이드홈(111)의 하단에 걸리면 헤드레스트의 직립이 완료된다. 헤드레스트의 직립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스테이로드(300)는 승강부재(200)의 가이드홈(201)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승강부재(200)가 승강시 힘은 스테이로드(300)에 전달되고, 스테이로드(300)는 링크(500)를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되는 링크(500)에 의해 스테이로드(300)도 회전되게 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모터(1600)의 구동력은 플랙시블 샤프트(1620)를 통해 스크류(1400)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터(1600)는 하우징(1100)에 설치되지 않고, 하우징(1100)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모터(1600)는 시트의 측부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모터(1600)는 하우징(1100)이 설치되는 시트의 상부 중앙이 아닌 다른 곳에도 자유롭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600)를 이물질이나 물로부터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모터(1600)를 사용자의 머리나 귀로부터 멀리 배치할 수 있게 되어 진동이나 소음등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모터(1600)의 축은 플랙시블 샤프트(1620)에 연결되고, 플랙시블 샤프트(1620)는 감속기어(1610)에 연결된다. 감속기어(1610)에는 스크류(1400)가 연결된다.
즉, 플랙시블 샤프트(1620)는 모터(1600)의 구동력을 감속기어(1610)에 전달한다.
감속기어(1610)는 하우징(1100)의 전면(1130)의 배면에 볼팅 등을 통해 고정 설치된다.
제 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작동은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하우징(2100)은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2100)은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2100)의 브라켓은 헤드레스트의 커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존의 다양한 시트에도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바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는 헤드레스트만 분리하면 되므로 교체 및 수리가 더욱 신속하고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가 모듈화가 되어 제조, 조립, 운반 등이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시트에 스테이로드가 이동하기 위한 별도의 절개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차량 시트의 외관이 미려해지며 절개부를 통해 시트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2100)의 중간벽(2120)은 하부에 배치된다.
모터(2600)는 하우징(2100)의 상부에 배치되고, 감속기어(2610)는 하우징(2100)의 전면(2130)에 설치된다.
승강부재(2200) 및 스크류(2400) 및 스테이로드(2300) 및 링크(2500)는 감속기어(2610)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스테이로드(2300)는 제2바(2350)가 제1바(2310)보다 하부에 배치되도록 배치된다.
제2바(2350)는 차량의 시트에 끼워진다. 제1바(2310)는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배치된다.
제1바(2310)는 상부가 하부보다 후방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다르게, 자동차 스킨 디자인에 따라서 스테이로드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2600)가 헤드레스트 내부에 배치될 경우에는 모터(2600)에 연결되는 전선은 스테이로드(2300)를 통해 차량전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작동상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헤드레스트 폴딩>
모터(2600)가 사용자나 센서 등에 의해 작동되면 스크류(2400)는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2400)가 회전함에 따라 승강부재(2200)는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승강부재(2200)가 하부로 이동되면 승강부재(2200)에 의해 스테이로드(2300)도 아래로 눌린다. 스테이로드(2300)는 시트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하우징(2100)이 스테이로드(2300)에 대해 들어올려지게 된다. 들어올려지는 하우징(2100)은 스테이로드(2300)에 링크(2500)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또한, 승강부재(2200)가 하부로 이동됨에 따라 스테이로드(2300)는 승강부재(2200)의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승강부재(2200)의 하면이 중간벽(2120)의 상면에 닿으면 헤드레스트의 폴딩이 완료된다.
<헤드레스트 직립>
모터(2600)가 사용자나 센서 등에 의해 작동되면 스크류(2400)는 반대로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2400)가 반대로 회전함에 따라 승강부재(2200)는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승강부재(2200)가 상부로 이동되면 승강부재(2200)에 의해 스테이로드(2300)도 들어올려지게 된다. 스테이로드(2300)는 시트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하우징(2100)이 스테이로드(2300)에 대해 눌린다. 눌리는 하우징(2100)은 링크(250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또한, 승강부재(2200)가 상부로 이동됨에 따라 스테이로드(2300)는 승강부재(2200)의 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스테이로드(2300)가 스테이 가이드홈(2111)의 상단에 걸리면 헤드레스트의 직립이 완료된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2, 3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하우징(3100)은 헤드레스트에 설치되며, 모터(3600)의 구동력은 플랙시블 샤프트(3620)를 통해 스크류(3400)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테이로드(3300)는 차량 시트 중앙에 고정설치되거나,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우징(3100)은 헤드레스트 내부에 배치되며, 설치된다.
감속기어(3610)는 하우징(3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모터(3600)는 하우징(3100)으로부터 이격되게 차량의 시트 등에 설치된다.
모터(3600)는 이동되는 하우징(3100)과 같이 이동될 수 있도록 차량의 시트에 유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모터(3600)는 감속기어(3610)에 플랙시블 샤프트(3620)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3600)의 구동력은 플랙시블 샤프트(3620)에 전달되고, 플랙시블 샤프트(3620)의 구동력은 감속기어(3610)에 전달되고, 감속기어(3610)의 구동력은 스크류(3400)에 전달된다.
플랙시블 샤프트(3620)는 제3바(3330)에 형성된 인입공에 삽입되고, 제2바(3350)를 통과한 후에 제2바(3350)의 하단에 형성된 인출공을 통해 빠져나와서 모터(3600)의 축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구조를 단순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플랙시블 샤프트(36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외관이 더욱 미려해질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는 시트에 절개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동시에 모터(3600)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소음이 사용자의 머리에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4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작동은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2, 3, 4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하우징(4100)에는 승강부재(4200)를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 돌출부(4150)가 형성된다.
하우징(4100)은 시트의 프레임 상부 중앙에 설치된다. 스테이로드(4300)의 상단에는 헤드레스트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4100)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사출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다.
하우징(4100)은 전면과 중간벽(4120)과 측벽(4110)이 모두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중간벽(4120)은 스크류(44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측벽(4110)은 링크(4500)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4100)의 전면의 배면에는 승강부재(4200)의 승강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 돌출부(4150)가 형성된다. 이러한 승강 가이드 돌출부(4150)가 하우징(4100)에 일체로 구비되어, 별도의 승강 가이드봉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수가 감소하게 되고,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전체 중량도 감소하게 되고, 장치도 더욱 컴팩하게 유지할 수 있다.
승강 가이드 돌출부(415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승강부재(4200)의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승강 가이드 돌출부(4150)는 측벽(4110)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링크(4500)는 승강 가이드 돌출부(4150)와 측벽(4110) 사이에 배치된다. 즉, 링크(4500)는 하우징(4100) 내부에 배치되어 장치가 더욱 컴팩트해지며 링크(4500)가 외부 부품에 간섭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링크(4500)가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하우징(4100)의 전면의 배면에는 지지편(4160)이 수평하게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지지편(4160)은 양쪽 측벽(4110) 및 전면을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지지편(4160)에는 스크류(4400)가 관통하는 스크류 관통공이 형성된다.
지지편(4160)은 승강부재(4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승강부재(4200)는 폴딩 완료시에는 중간벽(4120)에 걸리고, 직립완료시에는 지지편(4160)에 걸린다.
나아가, 승강부재(4200)에서 스테이로드(4300)와 맞닿는 면에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돌기(4202)가 형성된다.
돌기(4202)는 가이드홈(4201)의 내부에 배치되며, 다수개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4202)로 인해 승강부재(4200)와 스테이로드(4300) 사이의 마찰이 감소하여 스테이로드(4300)의 슬라이딩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작동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6>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2, 3, 4, 5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6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하우징(5100)에는 승강부재(5200)를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 돌출부(5150)가 형성되고, 모터(5600)의 구동력은 플랙시블 샤프트(5620)를 통해 스크류(5400)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우징(5100)은 시트의 프레임 상부 중앙에 설치된다. 스테이로드(5300)의 상단에는 헤드레스트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5100)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사출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다.
하우징(5100)의 전면의 배면에는 승강부재(5200)의 승강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 돌출부(5150)가 형성된다.
모터(5600)는 하우징(5100)에 설치되지 않고, 하우징(5100)으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된다.
모터(5600)의 축은 플랙시블 샤프트(5620)에 연결되고, 플랙시블 샤프트(5620)는 감속기어(5610)에 연결된다. 감속기어(5610)에는 스크류(5400)가 연결된다.
즉, 플랙시블 샤프트(5620)는 모터(5600)의 구동력을 감속기어(5610)에 전달한다.
감속기어(5610)는 하우징(5100)의 전면의 배면에 볼팅 등을 통해 고정 설치된다.
제 6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작동은 전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7>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2, 3, 4, 5, 6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7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하우징(6100)은 헤드레스트 내부에 배치되며, 하우징(6100)에는 승강부재(6200)를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6100)은 헤드레스트의 내부에 설치된다. 스테이로드(6300)의 하부는 차량의 시트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하우징(6100)은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며, 사출을 통해 일체로 성형된다. 하우징(6100)의 전면의 배면에 승강 가이드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경량화된 하우징(6100)이 헤드레스트에 설치되어, 헤드레스트의 중량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차량에도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바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모터(6600)는 하우징(6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모터(6600)는 링크(6500), 승강부재(6200), 스테이로드(6300)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제 7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작동은 전술한 제 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8>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2, 3, 4, 5, 6, 7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8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하우징(7100)은 헤드레스트 내부에 배치되며, 하우징(7100)에는 승강부재(7200)를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고, 모터(7600)의 구동력은 플랙시블 샤프트(7620)를 통해 스크류(7400)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테이로드(7300)는 차량 시트 중앙에 고정설치되거나, 상하방향으로 높이 조절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우징(7100)은 사출을 통해 플라스틱 소재로 일체로 형성된다.
모터(7600)는 하우징(7100)으로부터 이격되게 시트 내부 등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모터(7600)를 헤드레스트가 아닌 다른 부분에 설치하여 시트에 절개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는 동시에 헤드레스트의 중량을 경량으로 유지할 수 있다.
모터(7600)는 플랙시블 샤프트(7620)를 통해 감속기어(7610)에 연결된다.
스테이로드(7300)의 제2바와 제3바에는 플랙시블 샤프트(7620)가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따라서, 플랙시블 샤프트(7620)는 스테이로드(7300)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제 8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폴딩장치의 작동은 전술한 제 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우징 110 : 측벽
120 : 중간벽 130 : 전면
140 : 브라켓
200 : 승강부재 201 : 가이드홈
290 : 승강 가이드봉
300 : 스테이로드 310 : 제1바
330 : 제3바 350 : 제2바
400 : 스크류
500 : 링크 510 : 힌지축
600 : 모터 610 : 감속기어

Claims (4)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링크;
    상기 하우징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에는 스테이로드가 연결되며,
    상기 승강부재에는 상기 스테이로드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테이로드는 폴딩시 및 직립시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에 의해 헤드레스트는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양측 및 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는 상기 하우징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스테이로드의 양측이 상기 링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승강부재는 양쪽 상기 링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승강부재를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20170101518A 2017-08-10 2017-08-10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101845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518A KR101845843B1 (ko) 2017-08-10 2017-08-10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1518A KR101845843B1 (ko) 2017-08-10 2017-08-10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915A Division KR101769342B1 (ko) 2016-04-26 2016-04-26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155A KR20170122155A (ko) 2017-11-03
KR101845843B1 true KR101845843B1 (ko) 2018-04-06

Family

ID=6038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1518A KR101845843B1 (ko) 2017-08-10 2017-08-10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8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606Y1 (ko) 2017-12-14 2019-07-1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폴딩가능한 헤드레스트 장치
KR20190105700A (ko) 2018-03-06 2019-09-18 (주)대한솔루션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664B1 (ko) * 2013-12-10 2014-08-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664B1 (ko) * 2013-12-10 2014-08-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155A (ko) 2017-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9342B1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US7597303B2 (en) Vehicle power seat slide device
KR101845843B1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JP5970481B2 (ja) 車輌の座席のシート長を調節するための装置、及びこのような装置を備えた座席
US7963181B2 (en) Drive for adjusting parts of seating and reclining furniture
US6543852B2 (en) Headrest device
JP2019010954A (ja) 自動車のグリルシャッタ取付構造
JP5681164B2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
WO2018216606A1 (ja) 座った状態で操作盤の高さ位置を調整可能なプレスブレーキ
US20190001542A1 (en) Safety cover for mold clamping device
JP2012077527A (ja) ドアガラス昇降装置
CN114449805A (zh) 一种户外通讯柜
KR101362394B1 (ko) 너클프레스의 구동장치
JP5324086B2 (ja) スライダ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ライダ駆動装置
JP2008238769A (ja) 射出成形機の型締装置
JP5351643B2 (ja) スライドシート給電構造
KR20090001195U (ko) 붙박이 장의 슬라이딩 도어장치
JP7511818B1 (ja) エレベータのかご及びエレベータ
WO2014077390A1 (ja) シート装置
JP2005290700A (ja) 車両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のテンション機構
US20230107734A1 (en) Connector driving structure and power source apparatus having same
JP4183650B2 (ja) スライド扉用動力スライド装置
JP5815418B2 (ja) 電線配索装置
KR20230145429A (ko) 조절 기구와 지지 요소를 갖는 차량 서브어셈블리용 조절 장치
CN115946585A (zh) 一种车辆座椅用电动滑轨的驱动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