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533B1 -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533B1
KR102114533B1 KR1020177017529A KR20177017529A KR102114533B1 KR 102114533 B1 KR102114533 B1 KR 102114533B1 KR 1020177017529 A KR1020177017529 A KR 1020177017529A KR 20177017529 A KR20177017529 A KR 20177017529A KR 102114533 B1 KR102114533 B1 KR 102114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quest
rotor
pad
electric motor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2871A (ko
Inventor
미치하루 오카다
시게유키 우에하라
다츠로 고부네
와타루 요코야마
기미오 니시노
겐이치로 마츠바라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02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2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6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 B60T8/1761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responsive to wheel or brake dynamics, e.g. wheel slip, wheel acceleration or rate of change of brake fluid pressure
    • B60T8/17613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responsive to wheel or brake dynamics, e.g. wheel slip, wheel acceleration or rate of change of brake fluid pressure based on analogue circuits or digital circuits comprised of discrete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5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 hydraulic system, e.g. a master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6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 B60T8/1761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responsive to wheel or brake dynamics, e.g. wheel slip, wheel acceleration or rate of change of brake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16D65/183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with force-transmitting members arranged side by side acting on a spot type force-apply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10ABS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6/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working conditions, e.g. wear, temperature
    • F16D2066/003Position, angle o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44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rotation
    • F16D2125/46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 F16D2125/50Rotating members in mutual engagement with parallel non-stationary axes, e.g. planetary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패드와 로터를 원하는 위치 관계로 유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한다. 그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 시작 후,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음을 검지할 때까지 사이에 릴리스 요구를 수령한 경우, 그 릴리스 요구를 실행하지 않고,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음을 검지한 후, 상기 릴리스 요구를 실행한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후,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할 때까지 사이에 어플라이 요구를 수령한 경우, 상기 어플라이 요구를 실행하지 않고,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한 후, 상기 어플라이 요구를 실행한다.

Description

브레이크 장치{BRAKE DEVICE}
본 발명은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장치로서, 전동 모터의 구동에 기초하여 작동하는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지닌 브레이크 장치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3-209041호 공보
특허문헌 1은, 패드와 로터를 원하는 위치 관계로 유지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패드와 로터를 원하는 위치 관계로 유지할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는,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를 압박함으로써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패드와, 상기 패드를, 상기 로터로 향한 또는 상기 로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스톤과,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전동 모터와, 상기 차량의 제동력에 관한 제1 요구 및 제2 요구를 생성하는 요구 생성부와, 상기 요구 생성부가 생성한 요구를 수령하고, 이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전동 모터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요구를 실행하는 실행부와, 상기 패드와 상기 로터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실행부는, 상기 제1 요구의 실행 시작 후, 상기 패드와 상기 로터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할 때까지 사이에 상기 제2 요구를 수령한 경우, 상기 제2 요구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패드와 상기 로터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후, 상기 제2 요구를 실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브레이크 장치에 따르면, 패드와 로터를 원하는 위치 관계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가 탑재된 차량의 개념도.
도 2는 도 1에서의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1에서의 후륜측에 설치된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지닌 디스크 브레이크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4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의한 어플라이(제동 부여)의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5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의한 접촉 판정·어플라이 완료 판정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6은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의한 릴리스(제동 해제)의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7은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의한 차량 정지일 때를 위한 분리 판정·릴리스 완료 판정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8은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의한 차량 주행 시에 있어서의 분리 판정·릴리스 완료 판정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9는 어플라이 동작이 완료된 후에 릴리스 요구가 있었던 경우의 각 부의 상태의 시간 변화의 일례를 도시하는 특성선도.
도 10은 릴리스 동작 중에 액압이 높은 경우의 각 부의 상태의 시간 변화의 일례를 도시하는 특성선도.
도 11은 릴리스 동작 중에 공전 이상이 발생한 경우의 각 부의 상태의 시간 변화의 일례를 도시하는 특성선도.
도 12는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 중에 릴리스 요구가 있었던 경우의 각 부의 상태의 시간 변화의 일례를 도시하는 특성선도.
도 13은 릴리스 요구의 실행 중에 어플라이 요구가 있었던 경우의 각 부의 상태의 시간 변화의 일례를 도시하는 특성선도.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의한 어플라이의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 15는 제2 실시형태에 의한 릴리스의 제어 처리를 도시하는 흐름도.
이하, 실시형태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를, 사륜자동차에 탑재한 경우를 예로 들어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은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차량의 보디를 구성하는 차체(1)의 하측(노면측)에는, 4개의 차륜, 예컨대 좌우의 전륜(2)(FL, FR)과 좌우의 후륜(3)(RL, RR)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전륜(2) 및 각 후륜(3)에는, 각각의 차륜(각 전륜(2), 각 후륜(3))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회전 부재)로서의 디스크 로터(4)가 설치되어 있다. 즉, 각 전륜(2)은, 액압식의 디스크 브레이크(5)에 의해 각 디스크 로터(4)가 협지되고, 각 후륜(3)은, 후술하는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지닌 액압식의 디스크 브레이크(31)에 의해 각 디스크 로터(4)가 협지된다. 이에 따라, 차륜(각 전륜(2), 각 후륜(3))마다 제동력이 부여된다.
차체(1)의 프론트 보드측에는 브레이크 페달(6)이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6)은, 차량의 브레이크 조작 시에 운전자에 의해서 답입 조작되고, 이 조작에 기초하여, 상용 브레이크(서비스 브레이크)로서의 제동력의 부여, 제동력의 해제가 이루어진다. 브레이크 페달(6)에는, 브레이크 램프 스위치, 페달 스위치, 페달 스트로크 센서 등의 브레이크 조작 센서(브레이크 센서)(6A)가 설치되어 있다. 브레이크 조작 센서(6A)는, 브레이크 페달(6)의 답입 조작의 유무 내지 그 조작량을 검출하여, 그 검출 신호를 후술하는 액압 공급 장치용 컨트롤러(13)에 출력한다. 또한, 브레이크 조작 센서(6A)의 신호(정보)는, 예컨대, 후술하는 차량 데이터 버스(16), 또는 액압 공급 장치용 컨트롤러(13)와 후술하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를 접속하는 신호선(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전송된다(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 출력된다).
브레이크 페달(6)의 답입 조작은 배력 장치(7)를 통해 마스터 실린더(8)에 전달된다. 배력 장치(7)는, 브레이크 페달(6)과 마스터 실린더(8) 사이에 설치된 부압 부스터나 전동 부스터 등으로 이루어지며, 브레이크 페달(6)의 답입 조작 시에 답력을 증가시켜 마스터 실린더(8)에 전한다. 이 때, 마스터 실린더(8)는, 마스터 리저버(9)로부터 공급되는 브레이크액에 의해 액압을 발생시킨다. 마스터 리저버(9)는 브레이크액이 수용된 작동액 탱크를 구성하고 있다. 또, 브레이크 페달(6)에 의해 액압을 발생하는 기구는, 상기에 한하지 않고, 브레이크 바이 와이어 방식의 기구 등이라도 좋다.
마스터 실린더(8)에 발생한 액압은, 예컨대 한 쌍의 실린더측의 액압 배관(10A, 10B)을 통해 액압 공급 장치(11)(이하, ESC(11)라고 한다)에 보내진다. 이 ESC(11)는, 마스터 실린더(8)로부터의 액압을 브레이크측의 배관부(12A, 12B, 12C, 12D)를 통해 각 디스크 브레이크(5, 31)에 분배,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것과 같이 차륜(각 전륜(2), 각 후륜(3))마다 제동력이 부여된다.
ESC(11)는 각 디스크 브레이크(5, 31)와 마스터 실린더(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ESC(11)는 그 작동을 제어하는 액압 공급 장치용 컨트롤러(13)(이하, 컨트롤 유닛(13)이라고 한다)를 갖고 있다. 컨트롤 유닛(13)은, ESC(11)을 구동 제어함으로써, 브레이크측의 배관부(12A~12D)로부터 각 디스크 브레이크(5, 31)에 브레이크액을 공급함으로써, 각 디스크 브레이크(5, 31)의 브레이크 액압을 증압, 감압 또는 유지하는 제어를 한다. 이에 따라, 예컨대 배력 제어, 제동력 분배 제어, 브레이크 어시스트 제어, 안티록 브레이크 제어(ABS), 트랙션 제어, 사이드슬립 방지를 포함하는 차량 안정화 제어, 언덕길 발진 보조 제어, 자동 운전 제어 등의 브레이크 제어가 실행된다.
컨트롤 유닛(13)은, 마이크로 컴퓨터 등에 의해 구성되며, 배터리(14)로부터의 전력이 전원 라인(15)을 통하여 급전된다. 또한, 컨트롤 유닛(13)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차량 데이터 버스(16) 등에 접속되어 있다. 또, ESC(11) 대신에, 공지된 ABS 유닛을 이용하여도 좋다. 나아가서는, ESC(11)를 설치하지 않고서(생략하고), 마스터 실린더(8)로부터 직접 브레이크측의 배관부(12A~12D)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차량 데이터 버스(16)는, 차체(1)에 탑재된 시리얼 통신부로서의 CAN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에 탑재된 다수의 전자 기기, 컨트롤 유닛(13) 및 후술하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 등과의 사이에서 차량 탑재용의 다중 통신을 행하는 것이다. 이 경우, 차량 데이터 버스(16)에 보내지는 차량 정보로서는, 예컨대 압력 센서(17), 브레이크 조작 센서(6A), 이그니션 스위치, 시트 벨트 센서, 도어락 센서, 도어 개방 센서, 착좌 센서, 속도 센서(차륜 속도 센서, 차속 센서), 시프트 센서(트랜스미션 센서), 조타각 센서, 액셀러레이터 센서(액셀러레이터 조작 센서), 스로틀 센서, 엔진 회전 센서, 경사 센서, G 센서(가속도 센서), 스테레오 카메라, 밀리파 레이더 등으로부터의 검출 신호 등의 정보를 들 수 있다.
여기서, 압력 센서(17)는, 브레이크측의 배관부(12A, 12B, 12C, 12D)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의 관로 내 압력(액압), 바꿔 말하면, 상기 관로 내 압력에 대응하는 후술하는 캘리퍼(34)(실린더부(36)) 내의 액압(실린더액압)을 개별로 검출하는 것이다. 또, 압력 센서(17)는 하나 또는 2개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예컨대 마스터 실린더(8)와 ESC(11) 사이의 실린더측의 액압 배관(10A, 10B)에만 설치하는(마스터 실린더액압을 검출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차체(1)에는, 운전석(도시하지 않음) 근방에 위치하여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파킹 스위치)(18)가 설치되고, 이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는 차량의 운전자에 의해서 조작된다.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는, 운전자로부터의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요구(어플라이 요구, 릴리스 요구)에 대응하는 신호(작동 요구 신호)를, 후술하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 전달하는 것이다. 즉,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는, 후술하는 전동 모터(43B)의 구동(회전)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패드(33)를 어플라이 작동 또는 릴리스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어플라이 요구 신호, 릴리스 요구 신호)를,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 대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운전자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가 제동측(주차 브레이크 ON측)으로 조작되었을 때, 즉,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어플라이 요구(유지 요구, 구동 요구)가 있었을 때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로부터 어플라이 요구 신호가 출력된다. 이 경우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를 통해 후륜(3)측의 디스크 브레이크(31)에, 전동 모터(43B)를 제동측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전력이 급전된다. 이에 따라, 후륜(3)측의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주차 브레이크(혹은 보조 브레이크)로서의 제동력이 부여된 상태, 즉, 어플라이 상태가 된다.
한편, 운전자에 의해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가 제동 해제측(주차 브레이크 OFF측)으로 조작되었을 때, 즉, 차량의 제동력을 해제하기 위한 릴리스 요구(해제 요구)가 있었을 때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로부터 릴리스 요구 신호가 출력된다. 이 경우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를 통해 디스크 브레이크(31)에, 전동 모터(43B)를 제동측과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전력이 급전된다. 이에 따라, 후륜(3)측의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주차 브레이크(혹은 보조 브레이크)로서의 제동력의 부여가 해제된 상태, 즉, 릴리스 상태가 된다.
또, 주차 브레이크는, 예컨대 차량이 미리 정해진 시간 정지했을 때(예컨대, 주행 중에 감속에 따라 차속 센서의 검출 속도가 4 km/h 미만인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계속되었을 때에 정지라고 판단)나, 엔진이 정지(엔진 스톱)했을 때, 시프트 레버(셀렉트 레버, 셀렉트 스위치)를 P(파킹)에 조작했을 때, 도어가 개방되었을 때, 시트 벨트가 해제되었을 때 등,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서의 주차 브레이크의 어플라이 판단 논리에 의한 자동적인 어플라이 요구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제동력을 부여(오토 어플라이)할 수 있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는, 예컨대 차량이 주행했을 때(예컨대, 정차에서부터 증속에 따라 차속 센서의 검출 속도가 5 km/h 이상인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 계속되었을 때에 주행이라고 판단)나, 액셀 페달이 조작되었을 때, 클러치 페달이 조작되었을 때, 시프트 레버가 P, N(뉴트럴) 이외로 조작되었을 때 등,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서의 주차 브레이크의 릴리스 판단 논리에 의한 자동적인 릴리스 요구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제동력을 해제(오트 릴리스)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시에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에 의한 어플라이 요구가 있었던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행 중에 긴급하게 주차 브레이크를 보조 브레이크로서 이용하는 등의 동적 주차 브레이크(동적 어플라이)의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 의해 차륜(각 후륜(3))이 로크(슬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차륜의 상태(로크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른 어플라이 요구와 릴리스 요구에 기초하여, 자동적으로 제동력의 부여와 해제(ABS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후술하는 좌측, 우측 한 쌍의 디스크 브레이크(31)와 함께 전동 브레이크 시스템(브레이크 장치)을 구성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에 의해서 구성되는 연산 회로(CPU)(20)를 가지고,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는 배터리(14)로부터의 전력이 전원 라인(15)을 통하여 급전된다.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제어 수단(컨트롤러, 컨트롤러 유닛)을 구성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디스크 브레이크(31)의 전동 모터(43B)를 제어하여, 차량의 주차, 정차 시(필요에 따라서 주행 시)에 제동력(주차 브레이크, 보조 브레이크)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즉,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전동 모터(43B)를 구동함으로써, 디스크 브레이크(31)를 주차 브레이크(필요에 따라서 보조 브레이크)로서 작동(어플라이·릴리스)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운전자의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의 조작에 의한 작동 요구(어플라이 요구, 릴리스 요구)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전동 모터(43B)를 구동하여, 디스크 브레이크(31)의 어플라이(유지) 또는 릴리스(해제)를 행한다. 이에 더하여,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상술한 주차 브레이크의 어플라이·릴리스의 판단 논리에 의한 작동 요구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43B)를 구동하여, 디스크 브레이크(31)의 어플라이 또는 릴리스를 행한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ABS 제어에 의한 작동 요구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43B)를 구동하여, 디스크 브레이크(31)의 어플라이 또는 릴리스를 행한다. 이 때, 디스크 브레이크(31)에서는, 전동 모터(43B)의 구동에 기초하여, 압박 부재 유지 기구(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에 의한 피스톤(39) 및 브레이크 패드(33)의 유지 또는 해제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의 제동력에 관한 요구, 즉, 릴리스 요구와 어플라이 요구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에 의해 생성되는 수동의 것과,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어플라이·릴리스의 판단 논리나 ABS 제어에 의해 생성되는 자동의 것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 및/또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가, 차량의 제동력에 관한 요구, 즉, 제1 요구 또는 제2 요구로서의 릴리스 요구와, 제2 요구 또는 제1 요구로서의 어플라이 요구를 생성하는 요구 생성부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요구 생성부가 생성하는 요구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요구, 어플라이·릴리스의 판단 논리에 의한 요구에 더하여, ABS를 제어하는 ABS 제어부에 의한 요구(후륜(3)이 로크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른 어플라이 요구, 릴리스 요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요구 생성부가 생성한 요구를 수령하여, 그 요구에 따라서 전동 모터(43B)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요구를 실행하는 실행부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입력측이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에 접속되고, 출력측은 디스크 브레이크(31)의 전동 모터(43B)에 접속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연산 회로(CPU)(20)에는, 후술하는 기억부(메모리)(21)에 더하여,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 차량 데이터 버스(16), 후술하는 전압 센서부(22), 모터 구동 회로(23), 전류 센서부(24) 등이 접속되어 있다. 차량 데이터 버스(16)로부터는, 주차 브레이크의 제어(작동)에 필요한 차량의 각종 상태량, 즉, 상술한 각종 차량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 차량 데이터 버스(16)로부터 취득하는 차량 정보는, 상술한 각종 센서를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연산 회로(20))에 직접 접속함으로써 취득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연산 회로(20)는, 차량 데이터 버스(16)에 접속된 다른 제어 장치(예컨대 컨트롤 유닛(13))로부터 상술한 판단 논리나 ABS 제어에 기초한 작동 요구가 입력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상술한 판단 논리에 의한 주차 브레이크의 어플라이·릴리스의 판정이나 ABS의 제어를,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 대신에, 다른 제어 장치, 예컨대 컨트롤 유닛(13)으로 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컨트롤 유닛(13)에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제어 내용을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예컨대 플래시 메모리, ROM, RAM, EEPROM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메모리)(21)(도 2 참조)를 가지고, 이 기억부(21)에는, 상술한 주차 브레이크의 어플라이·릴리스의 판단 논리나 ABS 제어의 프로그램에 더하여, 후술하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처리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억부(21)에는, 어플라이의 제어 처리에 이용하는 처리 프로그램(도 4), 디스크 로터(4)와 브레이크 패드(33)의 접촉 판정과 어플라이 완료 판정의 처리에 이용하는 처리 프로그램(도 5), 릴리스의 제어 처리에 이용하는 처리 프로그램(도 6), 차량 정지 시의 디스크 로터(4)와 브레이크 패드(33) 간의 분리(이격) 판정과 릴리스 완료의 판정 처리에 이용하는 처리 프로그램(도 7), 차량 주행 시의 디스크 로터(4)와 브레이크 패드(33) 간의 분리(이격)의 판정과 어플라이 허가의 판정과 릴리스 완료의 판정 처리에 이용하는 처리 프로그램(도 8) 등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21)에는, 각 처리 프로그램에서 이용하는 각종 판정치(어플라이 완료 임계치, 접촉 판정 임계치, 제2 산 임계치, 추력 제로 임계치, 간극 임계치, 최소 복귀량 등)도 저장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21)에는, 전동 모터(43B)의 전류치, 전류 미분치, 접촉 플래그의 상태(ON 또는 OFF), 어플라이 완료 플래그의 상태(ON 또는 OFF), 분리 플래그의 상태(ON 또는 OFF), 어플라이 허가 플래그의 상태(ON 또는 OFF), 릴리스 완료 플래그의 상태(ON 또는 OFF) 등이 갱신 가능(다시쓰기 가능)하게 기억된다.
또, 제1 실시형태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를 ESC(11)의 컨트롤 유닛(13)과 별개의 부재로 했지만,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를 컨트롤 유닛(13)과 일체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좌측, 우측에서 2개의 디스크 브레이크(31)를 제어하도록 하고 있지만, 좌측, 우측의 디스크 브레이크(31)마다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 경우에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를 디스크 브레이크(31)에 일체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이,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는, 전원 라인(15)으로부터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센서부(22), 좌측, 우측의 전동 모터(43B, 43B)를 각각 구동하는 좌측, 우측의 모터 구동 회로(23, 23), 좌측, 우측의 전동 모터(43B, 43B)의 각각의 모터 전류를 검출하는 좌측, 우측의 전류 센서부(24, 24) 등이 내장되어 있다. 이들 전압 센서부(22), 모터 구동 회로(23), 전류 센서부(24)는 각각 연산 회로(20)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연산 회로(20)에서는, 어플라이 또는 릴리스를 행할 때에, 전동 모터(43B)의 전류의 변화에 기초하여, 디스크 로터(4)와 브레이크 패드(33) 간의 접촉·분리의 판정, 전동 모터(43B)의 구동 정지의 판정(어플라이 완료의 판정, 릴리스 완료의 판정) 등을 행할 수 있다. 즉, 전류 센서부(24)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 또는 분리(이격)되었음을 검지하는 검지부를 구성하는 것이다.
그런데, 브레이크 패드의 위치나 추력 등을 검출하기 위한 위치 센서나 추력 센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브레이크 장치에 있어서는, 제동력을 부여하는 어플라이와 제동력을 해제하는 릴리스가 짧은 주기(간격)로 행해진 경우에,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 로터의 위치 관계를 알 수 없게 될(위치 검지의 정밀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어플라이가 완료되기 전에 릴리스 요구가 있었던 경우, 또는 릴리스가 완료되기 전에 어플라이 요구가 있었던 경우에, 그 요구에 따라서 전동 모터를 구동하면, 전동 모터의 모터 전류의 변화에 기초한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 로터 간의 접촉·분리의 판정이나 전동 모터의 구동 정지의 판정의 정밀도가 저하할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와 디스크 로터가 원하는 위치 관계로부터 틀어질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실행부, 즉, 릴리스 요구, 어플라이 요구를 실행하는 실행부는, 제1 요구(릴리스 요구 또는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 시작 후, 검지부가 되는 전류 센서부(24)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검지할 때까지 사이에 제2 요구(어플라이 요구 또는 릴리스 요구)를 수령한 경우, 상기 제2 요구를 즉시 실행하지 않는다. 이 경우에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실행부는, 전류 센서부(24)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검지한 후, 상기 제2 요구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33)의 위치나 추력 등을 검출하기 위한 위치 센서나 추력 센서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의 위치 관계를, 접촉 또는 분리를 기준으로 하여 고정밀도로 규제(관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후술하는 도 4 등에 도시한 것과 같이,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 시작 후, 전류 센서부(24)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음을 검지할 때까지 사이에 릴리스 요구를 수령한 경우, 그 릴리스 요구를 실행하지 않고, 전류 센서부(24)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음을 검지한 후, 상기 릴리스 요구를 실행한다(단계 5 등 참조). 이 경우,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후술하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어플라이 요구 실행 시작 직후(전동 모터(43B)의 구동 시작 직후)에 흐르는 돌입 전류가 수습된 후에 흐르는 무부하 전류의 평균치와 현재의 전류의 차분을 계산하여, 상기 차분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으로 된 경우,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음을 검지한다(단계 14, 15 참조).
한편,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후술하는 도 6 등에 도시한 것과 같이,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후, 전류 센서부(24)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할 때까지 사이에 어플라이 요구를 수령한 경우, 그 어플라이 요구를 실행하지 않고, 전류 센서부(24)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한 후, 상기 어플라이 요구를 실행한다(단계 27 등 참조). 이 경우,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후술하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직후에 흐르는 돌입 전류가 수습된 후, 현재의 전류가 미리 정해진 전류치까지 내려갔음을 검지하고, 이 검지 후, 현재의 전류의 시간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변화량 이하가 된 경우,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한다(도 7의 단계 34, 35 및 도 8의 단계 54, 55 참조).
또한, 후술하는 도 9 및 도 13에 부호 「25」와 「26」를 붙여 나타낸 것과 같이,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직후(전동 모터(43B)의 구동 시작 직후)의 돌입 전류에 의한 전류의 변화(증감)를 제1 산(25)으로 하고, 이 제1 산(25)에 이어지는 전류의 변화(증감)를 제2 산(26)으로 한다. 본원에서 「산」이란, 전류가 일단 증가한 후, 감소로 전환되는 거동을 말한다. 여기서, 제2 산(26)은, 예컨대, 전동 모터(43B)의 구동 시작 직후의 돌입 전류가 수습된 후에, 전동 모터(43B)의 동력이 후술하는 직동 부재(42)에 전달됨(직동 부재(42)가 움직이기 시작함)에 따라 생기는 전류의 변화에 상당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후술하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2 산(26)을 검지하지 않은 채로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한 경우,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실행부)는, 요구 생성부가 생성하는 요구와는 관계없이 어플라이 요구를 실행한다(단계 33 및 단계 39 참조). 이에 따라, 전동 모터(43B)의 동력(회전)이 전달되고 있는지 여부(공전하고 있는지 여부)의 이상을 판정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서 행해지는 어플라이 제어 처리, 릴리스 제어 처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 간의 접촉·분리의 판정 처리 등에 관해서는 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이어서, 좌측, 우측의 후륜(3, 3)측에 설치되는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지닌 디스크 브레이크(31, 31)의 구성에 관해서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도 3에서는, 좌측, 우측의 후륜(3, 3)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된 좌측, 우측의 디스크 브레이크(31, 31) 중 한쪽만을 나타내고 있다.
차량의 좌측, 우측에서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전동식의 주차 브레이크 기능이 부설된 액압식의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구성되어 있다.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와 함께 브레이크 시스템(브레이크 장치)을 구성하는 것이다.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차량의 후륜(3)측의 비회전 부분에 부착되는 부착 부재(32)와, 패드(마찰 부재)로서의 내측, 외측의 브레이크 패드(33)와, 후술하는 전동 액츄에이터(43)가 설치된 브레이크 기구로서의 캘리퍼(3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디스크 브레이크(31)는, 브레이크 패드(33)를 브레이크 페달(6)의 조작 등에 기초한 액압에 의해 후술하는 피스톤(39)으로 추진함으로써, 브레이크 패드(33)를 디스크 로터(4)에 압박하여, 차륜(후륜(3))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한 작동 요구나 상술한 주차 브레이크의 어플라이·릴리스의 판단 논리, ABS 제어에 기초한 작동 요구에 따라서, 전동 모터(43B)에 의해(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를 통해) 피스톤(39)을 추진함으로써, 브레이크 패드(33)를 디스크 로터(4)에 압박하여, 차륜(후륜(3))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부착 부재(32)는, 디스크 로터(4)의 외주에 걸쳐지도록 디스크 로터(4)의 축 방향(즉, 디스크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디스크 원주 방향에서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아암부(도시하지 않음)와, 이 각 아암부의 기단측을 일체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디스크 로터(4)의 내측이 되는 위치에서 차량의 비회전 부분에 고정되는 두꺼운 지지부(32A)와, 디스크 로터(4)의 외측이 되는 위치에서 상기 각 아암부의 선단측을 상호 연결하는 보강 빔(32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내측, 외측의 브레이크 패드(33)는, 디스크 로터(4)의 양면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고, 부착 부재(32)의 상기 각 아암부에 의해 디스크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내측, 외측의 브레이크 패드(33)는, 후술하는 캘리퍼(34)(캘리퍼 본체(35), 피스톤(39))에 의해 디스크 로터(4)의 양면측에 압박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33)는, 차륜(후륜(3))과 함께 회전하는 디스크 로터(4)를 압박함으로써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한다.
부착 부재(32)에는, 디스크 로터(4)의 외주측에 걸쳐지도록 휠 실린더로서의 캘리퍼(34)가 배치되어 있다. 캘리퍼(34)는, 부착 부재(32)의 상기 각 아암부에 대하여 디스크 로터(4)의 축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캘리퍼 본체(35)와, 이 캘리퍼 본체(35) 내에 설치된 피스톤(39)에 의해 대략 구성되어 있다. 캘리퍼(34)에는 후술하는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와 전동 액츄에이터(43)가 설치되어 있다. 캘리퍼(34)는, 브레이크 패드(33)를 브레이크 페달(6)의 조작에 기초하여 피스톤(39)으로 추진하는 브레이크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다.
캘리퍼 본체(35)는, 실린더부(36)와 브릿지부(37)와 클로부(38)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부(36)는, 축 방향의 일측이 격벽부(36A)가 되어 폐색되고, 디스크 로터(4)에 대향하는 타측이 개구 단부로 된 바닥을 지닌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브릿지부(37)는, 디스크 로터(4)의 외주측에 걸쳐지도록 상기 실린더부(36)로부터 디스크축 방향으로 연장되여 형성되어 있다. 클로부(38)는, 브릿지부(37)를 사이에 두고서 실린더부(36)의 반대쪽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캘리퍼 본체(35)의 실린더부(36)는, 도 1에 도시하는 브레이크측의 배관부(12C 또는 12D)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6)의 답입 조작 등에 따른 액압이 공급된다. 이 실린더부(36)에는, 후술하는 전동 액츄에이터(43)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격벽부(36A)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격벽부(36A)의 내주측에는 전동 액츄에이터(43)의 출력축(43C)이 회전 가능하게 장입(裝入)되어 있다.
캘리퍼 본체(35)의 실린더부(36) 내에는, 압박 부재로서의 피스톤(39),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가 피스톤(39)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에 의해서 피스톤(39)이 추진되도록 되어 있으면, 반드시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가 피스톤(39) 내에 수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피스톤(39)은, 브레이크 패드(33)를 디스크 로터(4)로 향한 또는 디스크 로터(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피스톤(39)은, 개구측이 되는 축 방향의 일측이 실린더부(36) 내에 삽입되고, 내측의 브레이크 패드(33)에 대면하는 축 방향의 타측이 덮개부(39A)로 되어 폐색되어 있다. 피스톤(39)은, 전동 액츄에이터(43)(전동 모터(43B))에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이동하는 것에 더하여, 브레이크 페달(6)의 답입 등에 기초하여 실린더부(36) 내에 액압이 공급됨에 의해서도 이동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전동 액츄에이터(43)(전동 모터(43B))에 의한 피스톤(39)의 이동은 후술하는 직동 부재(42)에 압박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실린더부(36) 내에는,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가 피스톤(39)의 내부에 수용하여 설치되고, 피스톤(39)은, 상기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에 의해 실린더부(36)의 축 방향으로 추진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압박 부재 유지 기구를 구성하는 것으로, 실린더부(36) 내에의 상기 액압 부가와는 별도로, 캘리퍼(34)의 피스톤(39)을 외력, 즉, 전동 액츄에이터(43)(전동 모터(43B))에 의해 추진시키고, 추진한 피스톤(39) 및 브레이크 패드(33)를 유지함으로써, 주차 브레이크를 어플라이 상태(유지 상태)로 한다. 한편,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전동 액츄에이터(43)(전동 모터(43B))에 의해 피스톤(39)을 추진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후퇴시켜, 주차 브레이크를 릴리스 상태(해제 상태)로 한다. 그리고, 좌측, 우측의 후륜(3)에 대응하여 좌측, 우측의 디스크 브레이크(31)를 각각 설치하므로,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 및 전동 액츄에이터(43)도 차량의 좌측, 우측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사다리꼴 나사 등의 수나사가 형성된 막대 형상체로 이루어지는 나사 부재(41)와, 사다리꼴 나사로 이루어지는 암나사 구멍이 내주측에 형성된 직동 부재(4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직동 부재(42)는, 전동 액츄에이터(43)(전동 모터(43B))에 의해 피스톤(39)으로 향한 또는 피스톤(3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구동 부재(추진 부재)로 되는 것이다. 즉, 직동 부재(42)의 내주측에 나사 결합한 나사 부재(41)는, 후술하는 전동 액츄에이터(43)에 의한 회전 운동을 직동 부재(42)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나사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직동 부재(42)의 암나사와 나사 부재(41)의 수나사는, 불가역성이 큰 나사, 실시형태에서는, 사다리꼴 나사를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압박 부재 유지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이 압박 부재 유지 기구(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전동 모터(43B)에 대한 급전을 정지한 상태라도, 직동 부재(42)(즉, 피스톤(39))를 임의의 위치에서 마찰력(유지력)에 의해서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압박 부재 유지 기구는, 전동 액츄에이터(43)(전동 모터(43B))에 의해 추진된 위치에 피스톤(39)을 유지할 수 있으면 되며, 예컨대, 사다리꼴 나사 이외의 불가역성이 큰 통상의 삼각 단면의 나사나 웜 기어로 하여도 좋다.
직동 부재(42)의 내주측에 나사 결합하여 설치된 나사 부재(41)는, 축 방향의 일측에 대직경의 플랜지부가 되는 플랜지부(41A)가 형성되고, 축 방향의 타측이 피스톤(39)의 덮개부(39A)측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나사 부재(41)는, 플랜지부(41A)측에서 후술하는 전동 액츄에이터(43)의 출력축(43C)에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직동 부재(42)의 외주측에는, 직동 부재(42)를 피스톤(39)에 대하여 회전 방지(상대 회전을 규제)하여, 축 방향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계합 돌출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전동 액츄에이터(43)는 캘리퍼(34)의 캘리퍼 본체(35)에 고정되어 있다. 전동 액츄에이터(43)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의 작동 요구 신호나 상술한 주차 브레이크의 어플라이·릴리스의 판단 논리, ABS 제어에 기초하여, 디스크 브레이크(31)를 작동(어플라이·릴리스)시키는 것이다. 전동 액츄에이터(43)는, 격벽부(36A)의 외측에 부착된 케이싱(43A)과, 이 케이싱(43A) 내에 위치하며 스테이터, 로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피스톤(39)을 이동시키는 전동 모터(43B)와, 이 전동 모터(43B)의 토크를 증폭하는 감속기(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감속기에 의한 증폭 후의 회전 토크를 출력하는 출력축(43C)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출력축(43C)은, 실린더부(36)의 격벽부(36A)를 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연장되어, 실린더부(36) 내에서 나사 부재(41)의 플랜지부(41A)측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출력축(43C)과 나사 부재(41)의 연결 수단은, 예컨대 축 방향으로는 이동 가능하지만 회전 방향은 회전 방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예컨대 스플라인 감합(嵌合)이나 다각형 기둥에 의한 감합(비원형 감합) 등의 공지된 기술이 이용된다. 또, 감속기로서는, 예컨대 유성 기어 감속기나 웜 기어 감속기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웜 기어 감속기 등, 역작동성이 없는(불가역성의) 공지된 감속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볼 나사나 볼 램프 기구 등, 가역성이 있는 공지된 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예컨대, 가역성의 회전 직동 변환 기구와 불가역성의 감속기에 의해 압박 부재 유지 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를 조작했을 때에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를 통해 전동 모터(43B)에 급전되어, 전동 액츄에이터(43)의 출력축(43C)이 회전된다. 이 때문에,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의 나사 부재(41)는, 예컨대 한 방향으로 출력축(43C)과 일체로 회전되고, 직동 부재(42)를 통해 피스톤(39)을 디스크 로터(4)측으로 추진(구동)한다. 이에 따라, 디스크 브레이크(31)는, 디스크 로터(4)를 내측, 외측의 브레이크 패드(33) 사이에서 협지하여, 전동식의 주차 브레이크로서 제동력을 부여한 상태, 즉, 어플라이 상태(유지 상태)가 된다.
한편,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가 제동 해제측으로 조작되었을 때에는, 전동 액츄에이터(43)에 의해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의 나사 부재(41)가 다른 방향(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에 따라, 직동 부재(42)가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를 통해 디스크 로터(4)로부터 멀어지는(이격되는) 방향으로 구동되어,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주차 브레이크로서의 제동력의 부여가 해제된 상태, 즉, 해제 상태(릴리스 상태)가 된다.
이 경우,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에서는, 나사 부재(41)가 직동 부재(42)에 대하여 상대 회전되면, 피스톤(39) 내에서의 직동 부재(42)의 회전이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직동 부재(42)는, 나사 부재(41)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한다. 이에 따라,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직동 부재(42)에 의해 피스톤(39)이 추진된다. 또한, 이와 함께,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직동 부재(42)를 임의의 위치에서 나사 부재(41)와의 마찰력에 의해서 유지함으로써, 피스톤(39) 및 브레이크 패드(33)를 전동 액츄에이터(43)에 의해 추진된 위치에 유지한다.
실린더부(36)의 격벽부(36A)에는, 나사 부재(41)의 플랜지부(41A)와의 사이에 트러스트 베어링(4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트러스트 베어링(44)은, 나사 부재(41)로부터의 트러스트 하중을 격벽부(36A)와 함께 떠받쳐, 격벽부(36A)에 대한 나사 부재(4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실린더부(36)의 격벽부(36A)에는, 전동 액츄에이터(43)의 출력축(43C)과의 사이에 시일 부재(45)가 마련되고, 이 시일 부재(45)는, 실린더부(36) 내의 브레이크액이 전동 액츄에이터(43)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양자 사이를 시일하고 있다.
또한, 실린더부(36)의 개구 단부측에는, 상기 실린더부(36)와 피스톤(39) 사이를 시일하는 탄성 시일로서의 피스톤 시일(46)과, 실린더부(36) 안으로 이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는 더스트 부츠(47)가 설치되어 있다. 더스트 부츠(47)는, 가요성을 지닌 주름상자형의 시일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실린더부(36)의 개구 단부와 피스톤(39)의 덮개부(39A)측의 외주와의 사이에 부착되어 있다.
또, 전륜(2)측의 디스크 브레이크(5)는, 후륜(3)측의 디스크 브레이크(31)와 주차 브레이크 기구를 제외하면 거의 같은 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전륜(2)측의 디스크 브레이크(5)는, 후륜(3)측의 디스크 브레이크(31)와 같이,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어플라이·릴리스)을 행하는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 및 전동 액츄에이터(43) 등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이 밖의 점에서는 전륜(2)측의 디스크 브레이크(5)도 디스크 브레이크(31)와 거의 같은 식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디스크 브레이크(5) 대신에, 전륜(2)측에도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지닌 디스크 브레이크(31)를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액츄에이터(43)가 설치된 액압식의 캘리퍼(34)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31)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전동 캘리퍼를 갖는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 전동 액츄에이터에 의해 슈우를 드럼에 꽉 눌러 제동력을 부여하는 전동식 드럼 브레이크, 전동 드럼식의 주차 브레이크를 갖는 디스크 브레이크, 전동 액츄에이터로 케이블을 잡아당김으로써 주차 브레이크를 어플라이 작동시키는 구성 등, 전동 액츄에이터(전동 모터)의 구동에 기초하여 패드(슈우를 포함한다)를 로터(드럼을 포함한다)에 압박(추진)하여, 그 압박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 기구라면, 그 구성은 상술한 실시형태의 브레이크 기구가 아니라도 좋다.
실시형태에 의한 사륜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는,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을 갖는 것이며, 이어서 그 작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차량의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6)을 답입 조작하면, 그 답력이 배력 장치(7)를 통해 마스터 실린더(8)에 전달되어, 마스터 실린더(8)에 의해서 브레이크액압이 발생한다. 마스터 실린더(8)에서 발생한 액압은, 실린더측의 액압 배관(10A, 10B), ESC(11) 및 브레이크측의 배관부(12A, 12B, 12C, 12D)를 통해 각 디스크 브레이크(5, 31)에 분배, 공급되어, 좌우의 전륜(2)과 좌우의 후륜(3)에 각각 제동력이 부여된다.
이 경우, 후륜(3)측의 디스크 브레이크(31)에 관해서 설명하면, 캘리퍼(34)의 실린더부(36) 내에 브레이크측의 배관부(12C, 12D)를 통해 액압이 공급되고, 실린더부(36) 내의 액압 상승에 따라서 피스톤(39)이 내측의 브레이크 패드(33)로 향해서 미끄럼 이동 변위한다. 이에 따라, 피스톤(39)은, 내측의 브레이크 패드(33)를 디스크 로터(4)의 일측면에 압박하고, 이 때의 반력에 의해서 캘리퍼(34) 전체가 부착 부재(32)의 상기 각 아암부에 대하여 디스크 로터(4)의 내측으로 미끄럼 이동 변위한다.
이 결과, 캘리퍼(34)의 외측 레그부(클로부(38))는, 외측의 브레이크 패드(33)를 디스크 로터(4)에 압박하도록 동작하고, 디스크 로터(4)는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33)에 의해서 축 방향의 양측에서 협지되어, 액압 부여에 따른 제동력이 발생된다. 한편, 브레이크 조작을 해제했을 때에는, 실린더부(36) 안으로의 액압 공급이 해제, 정지됨으로써, 피스톤(39)이 실린더부(36) 안으로 후퇴하도록 변위하여, 내측과 외측의 브레이크 패드(33)가 디스크 로터(4)로부터 이격함으로써, 차량은 비제동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어서,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를 제동측(온)으로 조작했을 때에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로부터 디스크 브레이크(31)의 전동 모터(43B)에 급전이 이루어져, 전동 액츄에이터(43)의 출력축(43C)이 회전 구동된다.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지닌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전동 액츄에이터(43)의 회전을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의 나사 부재(41)와 직동 부재(42)를 통해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고, 직동 부재(42)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피스톤(39)을 추진함으로써, 한 쌍의 브레이크 패드(33)를 디스크 로터(4)의 양면에 압박한다.
이 때, 직동 부재(42)는, 피스톤(39)으로부터 전달되는 압박 반력을 수직 항력으로 한, 나사 부재(41)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유지력)에 의해 제동 상태로 유지되고, 후륜(3)측의 디스크 브레이크(31)는 주차 브레이크로서 작동(어플라이)된다. 즉, 전동 모터(43B)에의 급전을 정지한 후에도, 직동 부재(42)의 암나사와 나사 부재(41)의 수나사에 의해, 직동 부재(42)(즉, 피스톤(39))를 제동 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가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를 제동 해제측(오프)으로 조작했을 때에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로부터 전동 모터(43B)에 대하여 모터 역회전 방향으로 급전되어, 전동 액츄에이터(43)의 출력축(43C)은,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 시(어플라이 시)에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회전 직동 변환 기구(40)는, 나사 부재(41)와 직동 부재(42)에 의한 제동력의 유지가 해제됨과 더불어, 전동 액츄에이터(43)의 역회전에 대응한 이동량으로 직동 부재(42)를 실린더부(36) 내로 복귀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차 브레이크(디스크 브레이크(31))의 제동력을 해제한다.
이어서,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연산 회로(20)에서 행해지는 제어 처리에 관해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4의 어플라이 제어 처리 및 도 6의 릴리스 제어 처리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 통전되어 있는 동안 소정의 제어 주기로, 즉, 미리 정해진 시간(예컨대, 10 ms)마다 반복해서 실행된다.
우선, 어플라이 시에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서 행해지는 제어 처리에 관해서 도 4 및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액세서리 ON, 이그니션 ON, 전원 ON 등의 시스템 기동(차량 시스템의 기동,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기동)에 의해, 도 4의 처리 동작이 스타트하면, 연산 회로(20)는, 단계 1에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나 상술한 판단 논리, ABS 제어에 의한 어플라이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단계 1에서는, 요구 생성부에서 생성된 어플라이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단계 1에서 「NO」, 즉, 어플라이 요구 없음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1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1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1에서 「YES」, 즉, 어플라이 요구 있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로 진행한다.
단계 2에서는, 전동 모터(43B)가 현재 릴리스 방향으로 구동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2에서 「NO」, 즉, 전동 모터(43B)가 현재 릴리스 방향으로 구동 중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 이어지는 단계 3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2에서 「YES」, 즉, 전동 모터(43B)가 현재 릴리스 방향으로 구동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2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2의 처리를 반복한다(전동 모터(43B)의 정지를 대기한다). 이 이유는, 전동 모터(43B)가 릴리스 방향으로 구동 중일 때는, 이 구동이 정지하고 나서, 즉, 적어도 후술하는 분리 플래그의 ON 또는 어플라이 허가 플래그의 ON에 의해 전동 모터(43B)의 구동이 정지하고 나서 단계 3의 처리를 행하기(전동 모터(43B)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구동을 시작하기) 때문이다.
단계 3에서는, 전동 모터(43B)를 어플라이 방향으로 구동하여(어플라이 방향으로 통전하여), 단계 4로 진행한다. 단계 4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나 상술한 판단 논리, ABS 제어에 의한 릴리스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단계 4에서는, 요구 생성부에서 생성된 릴리스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단계 4에서 「NO」, 즉, 릴리스 요구 없음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5로 진행한다. 단계 5에서는, 후술하는 도 5의 접촉 판정·어플라이 완료 판정 처리에 의한 어플라이 완료 플래그가 ON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5에서 「NO」, 즉, 어플라이 완료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있지 않다(아직 OFF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4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4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4에서 「YES」, 즉, 릴리스 요구 있음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6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는,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 시작 후,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할 때까지 사이에, 릴리스 요구를 수령한 경우일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 경우에 릴리스 요구가 즉시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계 6으로 진행하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후술하는 도 5의 접촉 판정·어플라이 완료 판정 처리에 의한 접촉 플래그가 ON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6에서 「NO」, 즉, 접촉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있지 않다(아직 OFF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6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6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6에서 「YES」, 즉, 접촉 플래그가 ON으로 되었다(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다)고 검지(판정)된 경우는, 단계 7로 진행하여, 어플라이 방향으로 구동 중인 전동 모터(43B)의 구동을 정지한다. 한편, 단계 5에서 「YES」, 즉, 어플라이 완료 플래그가 ON으로 되었다(전동 모터(43B)의 구동에 기초한 제동력이 정차에 필요한 제동력으로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도, 단계 7로 진행하여, 어플라이 방향으로 구동 중인 전동 모터(43B)의 구동을 정지한다. 단계 7에 이어지는 단계 8에서는, 플래그를 OFF(접촉 플래그를 OFF, 어플라이 완료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있으면 어플라이 완료 플래그도 OFF)로 한다. 그리고, 리턴을 통해 시작으로 되돌아가, 단계 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어서, 도 4의 어플라이의 제어 처리와 병행하여 행해지는 도 5의 접촉 판정·어플라이 완료 판정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도 5의 판정 처리에서는, 전류 센서부(24)에 의해 검출되는 전동 모터(43B)의 전류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는지 여부의 판정(접촉 판정)과, 디스크 로터(4)를 압박하는 브레이크 패드(33)의 힘(추력)이 차량의 정지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추력(=주차 브레이크로서 필요한 추력)으로 될 때까지 전동 모터(43B)가 구동되었는지 여부의 판정(어플라이 완료 판정)을 행한다. 도 5의 판정 처리에서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다고 판정되면, 접촉 플래그가 ON으로 되고, 차량의 정지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추력으로 될 때까지 전동 모터(43B)가 구동되었다(전동 모터(43B)의 구동에 기초한 제동력이 정차에 필요한 제동력으로 되었다)고 판정되면, 어플라이 완료 플래그가 ON으로 된다.
즉, 액세서리 ON, 이그니션 ON, 전원 ON 등의 시스템 기동(차량 시스템의 기동,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기동) 등에 의해, 도 5의 처리 동작이 스타트하면, 연산 회로(20)는, 단계 11에서,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이 시작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11에서 「YES」, 즉,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이 시작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12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11에서 「NO」, 즉,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이 시작되지 않았다(전동 모터(43B)가 정지되어 있거나 또는 릴리스 방향으로 구동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11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11의 처리를 반복한다(전동 모터(43B)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구동의 시작을 대기한다). 이 이유는, 단계 12 이후의 처리, 즉, 접촉 판정, 어플라이 완료 판정을, 전동 모터(43B)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구동의 시작과 함께 시작하기 위해서이다.
전동 모터(43B)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구동이 시작되면(단계 11에서 「YES」라고 판정되면), 단계 12에서는, 마스크 시간 경과의 판정(마스크 판정)을 행한다. 이 마스크 시간 경과의 판정은, 전류 센서부(24)에 의해 검출되는 전동 모터(43B)의 전류에 기초하여 접촉 판정, 어플라이 완료 판정을 행함에 있어서, 전동 모터(43B)의 구동 시작 직후에 흐르는 돌입 전류(27)(후술하는 도 9 내지 도 13 참조)가 수습되는 것을 대기하기 위해서 행하는 것이다. 즉, 마스크 시간은, 돌입 전류(27)가 수습되는 것을 대기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 되는 것이다.
단계 12에서 「NO」, 즉, 마스크 시간(대기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12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12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12에서 「YES」, 즉, 마스크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13으로 진행한다. 단계 13에서는, 마스크 시간 경과 후의 무부하 전류의 평균치를 산출한다. 즉, 단계 13에서는, 마스크 시간의 경과 후부터 미리 설정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의 전류치의 평균치를 산출한다. 이 산출은, 예컨대 소정의 간격으로 소정 횟수 전류치를 검출하여, 그 검출치의 평균치를 산출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 소정의 간격, 소정 횟수는 평균치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해 놓는다.
단계 13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내의 전류치의 평균치를 산출하면, 단계 14로 진행하여, 전류치의 차분을 산출한다. 즉, 단계 14에서는, 현재의 검출치로부터 단계 13에서 산출한 평균치를 감산함으로써 현재치와 평균치의 차분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어지는 단계 15에서는, 단계 14에서 산출한 차분이 미리 설정한 접촉 판정 임계치보다도 큰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접촉 판정 임계치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치가 되는 것이다. 즉,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하기 시작하면, 전동 모터(43B)의 전류가 증대된다. 그리고, 전류가 증대되면, 단계 13의 평균치와 현재의 전류치의 차분이 커진다. 그래서, 단계 15에서는, 단계 14에서 산출한 차분이 접촉 판정 임계치보다도 커진 경우에,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에, 접촉 판정 임계치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는지 여부를 적절히 판정할 수 있도록, 미리 실험, 시뮬레이션, 계산 등에 의해 그 값을 구하여, 기억부(21)에 기억시켜 둔다.
단계 15에서 「NO」, 즉, 차분이 접촉 판정 임계치 이하라고 판정된 경우는, 아직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하지 않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단계 14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14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15에서 「YES」, 즉, 차분이 접촉 판정 임계치보다도 크다고 판정된 경우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는, 단계 16으로 진행하여, 접촉 플래그를 ON으로 한다. 이와 같이, 도 5의 접촉 판정 처리에서는, 돌입 전류(27)가 수습된 후에 흐르는 무부하 전류의 평균치와 현재의 전류의 차분을 계산하여, 그 차분이 미리 정해진 값(접촉 판정 임계치) 이상으로 된 경우,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음을 검지하여, 접촉 플래그를 ON으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음의 검지는, 전동 모터(43B)에 의해 구동되는 직동 부재(42)의 위치가,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 되었음의 검지를 포함하고 있다. 즉,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도 5의 단계 15의 처리, 즉, 전류 센서부(24)에 의해 검출되는 전동 모터(43B)의 전류 변화(차분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으로 되었음)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음을 검지한다. 이 경우에, 예컨대, 브레이크 페달(6)이 밟혀 있으면, 즉,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이 시작되었을 때에, 디스크 브레이크(31)에의 액압의 공급에 기초하여 피스톤(39)이 변위(추진)하고 있으면(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스톤(39)의 변위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이미 접촉하고 있으면),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하는 타이밍(시점)과 전류가 변화되는(차분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으로 되는) 타이밍(시점)이 1대1로 대응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의 분리의 검지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액압에 기초하여 피스톤(39)이 변위하고 있음을 가미하여 검지한다. 즉, 예컨대,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에 앞서서, 액압의 공급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이미 접촉하고 있는 경우는, 전동 모터(43B)의 전류 변화(차분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으로 되었음)의 검지는, 전동 모터(43B)에 의해 구동되는 직동 부재(42)와 피스톤(39)이 접촉했음의 검지가 된다. 이 경우는, 이 검지를,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음의 검지로 할 수 있다. 즉, 피스톤(39)에 높은 액압이 가해지고 있을 때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음을, 직동 부재(42)가 피스톤(39)에 접촉했음에 의한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검지할 수 있다. 어떻든 간에 (액압의 공급 유무에 상관없이), 단계 15에서 「YES」라고 판정되면,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다(혹은 직동 부재(42)와 피스톤(39)이 접촉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단계 16으로 진행하여, 접촉 플래그를 ON으로 한다.
단계 16에 이어지는 단계 17에서는, 전동 모터(43B)의 전류치가 미리 설정한 어플라이 완료 임계치 이상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도 9~도 11, 도 13에 부호 「28」을 붙여 도시한 것과 같이, 어플라이 완료 임계치(28)는, 직동 부재(42)에 의해 피스톤(39)을 압박하는 힘(추력), 바꿔 말하면, 브레이크 패드(33)가 디스크 로터(4)를 압박하는 힘(추력)이 차량의 정지를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추력(=주차 브레이크로서 필요한 추력)으로 될 때까지 전동 모터(43B)를 구동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판정치가 되는 것이다. 어플라이 완료 임계치(28)는, 전류치와 추력의 관계에 기초하여 적절한 타이밍에 전동 모터(43B)의 구동을 정지할 수 있도록 미리 실험, 시뮬레이션, 계산 등에 의해 그 값을 구하여, 기억부(21)에 기억시켜 놓는다.
단계 17에서 「NO」, 즉, 전동 모터(43B)의 전류치가 어플라이 완료 임계치(28) 이상으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17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17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17에서 「YES」, 즉, 전동 모터(43B)의 전류치가 어플라이 완료 임계치(28) 이상으로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18로 진행하여, 어플라이 완료 플래그를 ON으로 한다. 도 4의 어플라이의 제어 처리에서는, 어플라이 방향으로 구동을 시작한 전동 모터(43B)는, 접촉 플래그가 ON으로 되었음, 또는 어플라이 완료 플래그가 ON으로 되었음을 조건으로 그 구동이 정지된다.
이어서, 릴리스 시에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서 행해지는 제어 처리에 관해서 도 6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의 어플라이 제어 처리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액세서리 ON, 이그니션 ON, 전원 ON 등의 시스템 기동(차량 시스템의 기동,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기동)에 의해, 도 6의 처리 동작이 스타트하면, 연산 회로(20)는, 단계 21에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나 상술한 판단 논리, ABS 제어에 의한 릴리스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단계 21에서는, 요구 생성부에서 생성된 릴리스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단계 21에서 「NO」, 즉, 릴리스 요구 없음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21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21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21에서 「YES」, 즉, 릴리스 요구 있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22로 진행한다.
단계 22에서는, 전동 모터(43B)가 현재 어플라이 방향으로 구동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22에서 「NO」, 즉, 전동 모터(43B)가 현재 어플라이 방향으로 구동 중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는, 이어지는 단계 23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22에서 「YES」, 즉, 전동 모터(43B)가 현재 어플라이 방향으로 구동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22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22의 처리를 반복한다(전동 모터(43B)의 정지를 대기한다). 이 이유는, 전동 모터(43B)가 어플라이 방향으로 구동 중일 때는, 이 구동이 정지하고 나서, 즉, 적어도 접촉 플래그의 ON에 의해 전동 모터(43B)의 구동이 정지하고 나서, 단계 23의 처리를 행하기(전동 모터(43B)의 릴리스 방향으로의 구동을 시작하기) 위해서이다.
단계 23에서는, 전동 모터(43B)를 릴리스 방향으로 구동하여(릴리스 방향으로 통전하여), 단계 24로 진행한다. 단계 24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나 상술한 판단 논리, ABS 제어에 의한 어플라이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단계 24에서는, 요구 생성부에서 생성된 어플라이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단계 24에서 「NO」, 즉, 어플라이 요구 없음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25로 진행한다. 단계 25에서는, 후술하는 도 7 또는 도 8의 분리 판정·릴리스 완료 판정 처리에 의한 릴리스 완료 플래그가 ON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25에서 「NO」, 즉, 릴리스 완료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있지 않다(아직 OFF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24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24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24에서 「YES」, 즉, 어플라이 요구 있음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26으로 진행한다. 이 경우는,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후,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될 때까지 사이(또는 최소 복귀량 이상의 클리어런스가 확보될 때까지 사이)에, 어플라이 요구를 수령한 경우일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 경우에 어플라이 요구가 즉시 실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단계 26의 처리 및 이것에 이어지는 단계 27 또는 단계 28의 처리를 행한다. 즉, 단계 26에서는, 차량이 정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예컨대 차량에 부착된 속도 센서(차속 센서, 차륜 속도 센서)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행할 수 있다.
단계 26에서 「YES」, 즉, 차량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27로 진행하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도 7 또는 도 8의 분리 판정·릴리스 완료 판정 처리에 의한 분리 플래그가 ON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27에서 「NO」, 즉, 분리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있지 않다(아직 OFF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27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27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27에서 「YES」, 즉, 분리 플래그가 ON으로 되었다(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다)고 검지(판정)된 경우는, 단계 29으로 진행하여, 릴리스 방향으로 구동 중인 전동 모터(43B)의 구동을 정지한다.
한편, 단계 26에서 「NO」, 즉, 차량이 정지하지 않았다고(주행 중이라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28로 진행하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 사이에 최소 복귀량 이상의 클리어런스(간극)가 확보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도 8의 분리 판정·릴리스 완료 판정 처리에 의한 어플라이 허가 플래그가 ON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28에서 「NO」, 즉, 어플라이 허가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있지 않다(아직 OFF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28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28의 처리를 반복한다. 단계 28에서 「YES」, 즉, 어플라이 허가 플래그가 ON으로 되었다(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 사이에 최소 복귀량 이상의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었다)고 검지(판정)된 경우는, 단계 29으로 진행하여, 릴리스 방향으로 구동 중인 전동 모터(43B)의 구동을 정지한다.
또한, 단계 25에서 「YES」, 즉, 릴리스 완료 플래그가 ON으로 되었다(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 사이에 간극 임계치 이상의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도, 단계 29로 진행하여, 릴리스 방향으로 구동 중인 전동 모터(43B)의 구동을 정지한다. 단계 29에 이어지는 단계 30에서는, 플래그를 OFF(분리 플래그를 OFF, 어플라이 허가 플래그가 ON 되어 있으면 어플라이 허가 플래그도 OFF, 또한 릴리스 완료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있으면 릴리스 완료 플래그도 OFF)로 한다. 그리고, 리턴을 통해 시작으로 되돌아가, 단계 21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어서, 도 6의 어플라이의 제어 처리와 병행하여 행해지는 도 7 및 도 8의 분리 판정·릴리스 완료 판정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도 7은 차량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 이용되는 판정 처리(차량 정지일 때를 위한 분리 판정·릴리스 완료 판정 처리)이고, 도 8은 차량이 주행 중일 때에 이용되는 판정 처리(차량 주행일 때를 위한 분리 판정·릴리스 완료 판정 처리)이다.
우선, 도 7의 판정 처리에서는, 전류 센서부(24)에 의해 검출되는 전동 모터(43B)의 전류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는지 여부의 판정(분리 판정)과,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 사이에 소정의 간극(간극 임계치 이상의 클리어런스)이 확보되었는지 여부의 판정(릴리스 완료 판정)을 행한다. 도 7의 판정 처리에서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다고 판정되면, 분리 플래그가 ON으로 되고,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 사이에 간극 임계치 이상의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었다고 판정하면, 릴리스 완료 플래그가 ON으로 된다.
즉, 액세서리 ON, 이그니션 ON, 전원 ON 등의 시스템 기동(차량 시스템의 기동,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기동) 등에 의해, 도 7의 처리 동작이 스타트하면, 연산 회로(20)는, 단계 31에서 릴리스 방향으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이 시작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 도 7의 판정 처리는, 예컨대 차량에 부착된 속도 센서(차속 센서, 차량 속도 센서)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차량이 정지하고 있다고 판정되고 있을 때에 단계 31 이후의 처리가 행해진다.
단계 31에서 「YES」, 즉, 릴리스 방향으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이 시작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32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31에서 「NO」, 즉, 릴리스 방향으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이 시작되지 않았다고(전동 모터(43B)가 정지하고 있거나 또는 어플라이 방향으로 구동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31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31의 처리를 반복한다(전동 모터(43B)의 릴리스 방향으로의 구동의 시작을 대기한다). 이 이유는, 단계 32 이후의 처리, 즉, 분리 판정, 릴리스 완료 판정을, 전동 모터(43B)의 릴리스 방향으로의 구동의 시작과 함께 시작하기 위해서이다.
차량이 정지하고 있고, 전동 모터(43B)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구동이 시작되면(단계 31에서 「YES」라고 판정되면), 단계 32에서는 마스크 시간 경과의 판정(마스크 판정)을 행한다. 이 마스크 시간 경과의 판정은, 전동 모터(43B)의 전류에 기초하여 분리 판정, 릴리스 완료 판정을 행함에 있어서, 전동 모터(43B)의 구동 시작 직후에 흐르는 돌입 전류, 즉,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하는 제1 산(25)이 수습되는 것을 대기하기 위해서 행하는 것이다. 즉, 마스크 시간은, 돌입 전류의 변화인 제1 산(25)이 수습되는 것을 대기하기 위한 대기 시간이다.
단계 32에서 「NO」, 즉, 마스크 시간(대기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32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32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32에서 「YES」, 즉, 마스크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33으로 진행한다. 단계 33에서는, 릴리스 시의 공전 판정(공전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의 판정)을 행한다. 즉,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직후의 돌입 전류에 의한 전류의 변화를 제1 산(25)으로 하여, 이 제1 산(25)에 이어지는 전류의 변화,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43B)의 동력이 직동 부재(42)에 전달됨(직동 부재(42)가 움직이기 시작함)에 따라서 생기는 전류의 변화를 제2 산(26)으로 한 경우에, 제2 산(26)이 검지되지 않는 경우는, 전동 모터(43B)의 동력(회전)이 직동 부재(42)에 전달되지 않았을, 즉, 전동 모터(43B)가 공전하고 있을(동력 전달 톱니바퀴나 동력 전달 벨트 등에 이상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단계 33에서는, 마스크 시간 경과 후에 전류치가 제2 산 임계치(29)(도 9 내지 도 13 참조) 이하인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2 산 임계치(29)는, 단계 33의 공전 판정에 더하여, 후술하는 단계 34의 추력 제로 사전 판정 및 단계 35의 추력 제로 판정의 판정치가 되는 것이다. 제2 산 임계치(29)는, 이들 판정을 적절히 행할 수 있도록 미리 실험, 시뮬레이션, 계산 등에 의해 그 값을 구하여, 기억부(21)에 기억시켜 놓는다. 또한, 미리 정해진 시간에 관해서도, 단계 33의 공전 판정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판정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시간으로서 미리 설정해 놓는다.
단계 33에서 「NO」, 즉, 마스크 시간의 경과 후에, 전류치가 미리 정해진 시간 계속되어 제2 산 임계치(29) 이하로 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는, 전동 모터(43B)가 공전하지 않았다(공전의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에는 단계 34로 진행한다. 단계 34와 계속되는 단계 35에서는, 추력, 즉, 직동 부재(42)에 의해 피스톤(39)을 압박하는 힘, 바꿔 말하면, 브레이크 패드(33)가 디스크 로터(4)를 압박하는 힘이 제로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34는 후술하는 단계 35의 추력 제로 판정에 앞서서 행하는 추력 제로 사전 판정이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34에서는, 전류치가 제2 산 임계치(29) 이상인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하고 또한 그 후 전류치가 제2 산 임계치(29) 이하인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미리 정해진 시간은, 단계 34의 추력 제로 사전 판정을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도록, 필요한 판정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시간으로서 미리 설정해 놓는다.
단계 34에서 「NO」, 즉, 전류치가 제2 산 임계치(29) 이상인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및/또는 전류치가 제2 산 임계치(29) 이하인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34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34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34에서 「YES」, 즉, 전류치가 제2 산 임계치(29) 이상인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하고 또한 그 후 전류치가 제2 산 임계치(29) 이하인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35로 진행한다.
단계 35는 추력이 제로가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추력 제로 판정이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35에서는, 전류의 시간 변화량인 전류 미분치가 미리 설정한 추력 제로 임계치 이하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추력이 제로가 되면 전류가 일정치로 수습되고, 이에 따라 전류 미분치가 작아진다. 그래서, 단계 35에서는, 전류 미분치가 미리 설정한 추력 제로 임계치 이하가 된 경우에, 추력이 제로가 되었다고 판정한다. 이 경우에, 추력 제로 임계치는, 추력이 제로가 되었는지 여부를 적절히 판정할 수 있도록 미리 실험, 시뮬레이션, 계산 등에 의해 그 값을 구하여, 기억부(21)에 기억시켜 놓는다.
단계 35에서 「NO」, 즉, 전류 미분치가 추력 제로 임계치 이하로 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35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35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35에서 「YES」, 즉, 전류 미분치가 추력 제로 임계치 이하가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는, 추력이 제로가 되어,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이격)되었다고 생각된다. 이 경우에는, 단계 36으로 진행하여, 분리 플래그를 ON으로 한다. 이와 같이, 도 7의 정지 시 분리 판정에서는, 단계 32, 34, 35의 처리에 의해, 돌입 전류(제1 산(25))가 수습된 후, 현재의 전류가 미리 정해진 전류치까지 내려갔음(제2 산 임계치(29) 이하가 되었음)을 검지하고, 이 검지 후, 현재의 전류의 시간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변화량 이하(추력 제로 임계치 이하)로 된 경우,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다(추력 제로가 되었다)고 판정(검지)하여, 분리 플래그를 ON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단계 36에 이어지는 단계 37에서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소정의 클리어런스가 되었는지 여부, 즉, 도 3에 도시하는 X1과 X2의 합으로서 나타내어지는 클리어런스(X1+X2)가 미리 설정한 간극 임계치 이상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클리어런스는, 예컨대, 전류치와 전압치와 전동 모터(43B)의 회전량과의 관계 및 상기 회전량과 브레이크 패드(33)(피스톤(39), 직동 부재(42))의 변위량(후퇴량)과의 관계에 기초하여, 추력이 제로(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로 판정되고 나서의 변위량, 즉, 분리 플래그 ON으로부터의 변위량으로서 구할 수 있다. 간극 임계치는, 적절한 클리어런스로 릴리스의 완료를 행할 수 있도록 미리 실험, 시뮬레이션, 계산 등에 의해 그 값을 구하여, 기억부(21)에 기억시켜 놓는다.
단계 37에서 「NO」, 즉, 소정의 클리어런스로 되지 않았다(클리어런스가 간극 임계치 미만이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37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37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37에서 「YES」, 즉, 클리어런스가 간극 임계치 이상으로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38로 진행하여, 릴리스 완료 플래그를 ON으로 한다. 도 6의 릴리스의 제어 처리에서는, 릴리스 방향으로 구동을 시작한 전동 모터(43B)는, 분리 플래그가 ON으로 되었음, 릴리스 완료 플래그가 ON으로 되었음, 후술하는 어플라이 허가 플래그가 ON으로 되었음을 조건으로 그 구동이 정지된다.
한편, 단계 33에서 「YES」, 즉, 마스크 시간의 경과 후에, 전류치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계속해서 제2 산 임계치(29) 이하로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39로 진행한다. 이 경우에는, 제2 산(26)을 검지하지 않는 채로,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한 것으로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분리를 판정하기 위한 하나의 조건인 전류치가 제2 산 임계치(29) 이하인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했음을 만족한 것으로 된다. 이 경우에는, 전동 모터(43B)의 동력(회전)이 직동 부재(42)에 전달되지 않았을, 즉, 전동 모터(43B)의 공전 이상일 가능성이 생각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동 모터(43B)의 공전 이상이거나, 브레이크 페달(6)이 밟혀 있거나(캘리퍼(34)의 실린더부(36) 내의 액압이 높고, 피스톤(39)에 액압이 가해지고 있거나), 어플라이 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에 기초한 추력이 작은 것의 어느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단계 39에서는, 전동 모터(43B)가 공전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기위해서, 요구 생성부가 생성한 릴리스 요구와는 관계없이(즉, 요구 생성부에서 릴리스 요구가 생성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어플라이를 실행하도록 전동 모터(43B)를 어플라이 방향으로 구동한다(어플라이 방향으로 급전한다). 이어지는 단계 40에서는, 어플라이 시의 공전을 판정한다. 즉, 전동 모터(43B)를 어플라이 방향으로 구동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전동 모터(43B)의 공전 이상을 정밀도 좋게 판정할 수 있도록, 필요한 판정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시간으로서 미리 설정해 놓는다.
단계 40에서 「NO」, 즉,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41로 진행한다. 단계 41에서는 추력 기립 판정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41에서는, 전류치가 기립 임계치 이상인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전동 모터(43B)의 공전 이상이 아니라면, 전동 모터(43B)를 어플라이 방향으로 구동하면, 직동 부재(42)에 의해 피스톤(39)을 압박하는 힘(브레이크 패드(33)가 디스크 로터(4)를 압박하는 힘)으로 되는 추력이 발생하여, 이 추력에 따른 전류치의 상승(기립)을 검출(검지)할 수 있다. 그래서 단계 41에서는, 전류치의 상승(기립)이 있는 경우에, 공전 이상이 아니라고(브레이크 페달(6)이 밟혀 있거나 어플라이 시의 추력이 작은 것 중 어느 것으로) 판정한다.
단계 41에서 「YES」, 즉, 전류치가 기립 임계치 이상인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했다고 판정된 경우는, 공전 이상이 아니기 때문에, 단계 42로 진행하여, 전동 모터(43B)를 릴리스 방향으로 구동하고(릴리스 방향으로 급전하고), 단계 35로 진행한다. 한편, 단계 41에서 「NO」, 즉, 전류치가 기립 임계치 미만이거나 또는 전류치가 기립 임계치 이상이지만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40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40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이 단계 40에서 「YES」, 즉, 전류치의 기립이 없고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단계 43으로 진행하여, 공전 이상을 확정으로 한다. 이 경우에는, 전동 모터(43B)의 구동을 정지함과 더불어, 분리 판정·릴리스 완료 판정 처리를 종료하고, 공전 이상이 있다는 취지(전동 주차 브레이크에 이상이 있다는 취지)를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등의 이상에 대처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이어서, 차량이 주행 중일 때에 이용되는 도 8의 분리 판정·릴리스 완료 판정 처리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의 판정 처리는, 전류 센서부(24)에 의해 검출되는 전동 모터(43B)의 전류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는지 여부의 판정(분리 판정)과, 차량 주행 중의 어플라이를 허가하는지 여부의 판정, 바꿔 말하면,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 사이에 (제1의) 소정의 간극(최소 복귀량 이상의 클리어런스)이 확보되었는지 여부(어플라이 허가 판정)와,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 사이에 (제2의) 소정의 간극(간극 임계치 이상의 클리어런스)이 확보되었는지 여부(릴리스 완료 판정)를 판정한다. 도 8의 판정 처리에서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다고 판정하면, 분리 플래그가 ON으로 되고,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 사이에 최소 복귀량 이상의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었다고 판정하면, 어플라이 허가 플래그가 ON으로 되고,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 사이에 간극 임계치 이상의 클리어런스가 확보되었다고 판정하면, 릴리스 완료 플래그가 ON으로 된다.
즉, 액세서리 ON, 이그니션 ON, 전원 ON 등의 시스템 기동(차량 시스템의 기동,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의 기동) 등에 의해, 도 8의 처리 동작이 스타트하면, 연산 회로(20)는, 단계 51에서, 릴리스 방향으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이 시작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 도 8의 판정 처리는, 예컨대 차량에 부착된 속도 센서(차속 센서, 차량 속도 센서)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행하고 있다고 판정되고 있을 때에 단계 51 이후의 처리가 행해진다.
도 8의 단계 51에서부터 단계 56까지의 처리는, 도 7의 단계 31에서부터 단계 36의 처리와 마찬가지다. 즉, 도 8의 주행 시 분리 판정에서도, 단계 52, 54, 55의 처리에 의해, 돌입 전류(제1 산(25))가 수습된 후, 현재의 전류가 미리 정해진 전류치까지 내려갔음(제2 산 임계치(29) 이하가 되었음)을 검지하고, 이 검지 후, 현재의 전류의 시간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변화량 이하(추력 제로 임계치 이하)로 된 경우,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다(추력 제로가 되었다)고 판정(검지)하여, 분리 플래그를 ON으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단계 53에서 「YES」, 즉, 마스크 시간의 경과 후에, 전류치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계속해서 제2 산 임계치(29) 이하로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61로 진행한다. 여기서, 상술한 도 7의 차량 정지 시에 있어서의 분리 판정·릴리스 완료 판정 처리에서는, 단계 33에서 「YES」라고 판정되면, 전동 모터(43B)의 공전 이상을 판정하도록 단계 39에서 어플라이 방향으로 전동 모터(43B)를 구동한다. 이에 대하여, 도 8의 차량 주행 시에 있어서의 분리 판정·릴리스 완료 판정 처리에서는, 전동 모터(43B)를 어플라이 방향으로 구동하지 않는다. 즉, 단계 61에서는, 추력 제로 추정 시간 경과 판정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릴리스 시작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제2 산(26)을 검지하지 않는 채로,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한(전류치가 제2 산 임계치(29) 이하인 상태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했음을 만족한) 경우는, 공전 이상이거나, 브레이크 페달(6)이 밟혀 있거나(피스톤(39)에 액압이 가해지고 있거나), 어플라이 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에 기초한 추력이 작은 것 중 어느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경우에, 공전 이상일 확률은 그 이외일 확률에 비해서 낮다.
그래서, 도 8의 주행 시 분리 판정 처리에서는, 주행 중에 긴급하게 주차 브레이크를 보조 브레이크로서 이용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음을 고려하여, 공전 이상인지를 판정하기 위한 전동 모터(43B)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구동은 행하지 않고, 릴리스 시작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의 경과를 대기한다. 즉, 단계 61에서는, 브레이크 페달(6)이 밟혀 있는(피스톤(39)에 액압이 가해지고 있는) 경우, 또는 어플라이 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에 기초한 추력이 작은 경우에, 릴리스 시작에서부터 추력이 제로가 된다고 생각되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미리 정해진 시간은, 릴리스 시작에서부터 추력이 제로가 되는 시간으로서 미리 실험, 시뮬레이션, 계산 등에 의해 그 값을 구하여, 기억부(21)에 기억시켜 놓는다.
단계 61에서 「NO」, 즉, 릴리스 시작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는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61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61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61에서 「YES」, 즉, 릴리스 시작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56으로 진행하여, 분리 플래그를 ON으로 한다. 이와 같이, 도 8의 주행 시 분리 판정에서는, 피스톤(39)에 액압이 가해지고 있거나 하여, 단계 53에서 「YES」라고 판정되었을 때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음을, 전동 모터(43B)의 구동을 시작하고 나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검지한다.
단계 56에 이어지는 단계 57에서는 최소 복귀량 판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와의 클리어런스(X1+X2)가 미리 설정한 최소 복귀량 이상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최소 복귀량은, 예컨대, 주행 중에 긴급하게 주차 브레이크를 보조 브레이크로서 이용하는 등의 동적 주차 브레이크(동적 어플라이)가 행해진 경우에 필요한 최소 복귀량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단계 57에서 「NO」, 즉, 클리어런스가 미리 설정한 최소 복귀량 이상으로 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57 앞으로 되돌아가, 단계 57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단계 57에서 「YES」, 즉, 클리어런스가 미리 설정한 최소 복귀량 이상으로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는, 단계 58로 진행하여, 어플라이 허가 플래그를 ON으로 한다. 이에 따라, 예컨대 동적 어플라이 중에 ABS 제어 등이 행해진 경우, 즉, 차량 주행 시에 릴리스 동작 중의 어플라이 요구가 있었던 경우는, 적어도 어플라이 허가 플래그가 ON으로 될 때까지 릴리스 동작(릴리스 방향으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이 계속된다. 이 때문에, ABS 제어에 의해 짧은 간격으로 릴리스 요구와 어플라이 요구가 반복될 때에도,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 사이에 최소 복귀량 이상의 클리어런스를 확보할 수 있어, 차륜(후륜(3))의 로크(슬립)룰 억제할 수 있다. 또, 단계 59와 단계 60의 처리는 도 7의 단계 37과 단계 38과 마찬가지다.
이어서,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에 의해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처리를 행했을 때의 타임챠트를, 도 9 내지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통상의 어플라이와 릴리스가 행해진 경우, 즉, 어플라이 동작의 완료 후에 릴리스 요구를 수령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PKB SW)(18)의 조작에 기초한 어플라이 요구가 있으면, 도 4의 단계 1에서부터 단계 2, 3, 4, 5로 처리가 진행된다. 이 처리와 병행하여, 도 5의 단계 11에서부터 18의 처리가 행해진다. 즉, 단계 11에서 전동 모터(43B)의 어플라이 방향의 구동 시작이라고 판정되면, 단계 12에 의한 마스크 판정, 단계 13, 14, 15에 의한 접촉 판정, 단계 17의 어플라이 완료 판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도 5의 단계 18에서 어플라이 완료 플래그가 ON으로 되면, 도 4의 단계 5에서 「YES」라고 판정되고, 단계 7에서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이 정지한다(어플라이 동작이 완료된다).
그 후,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의 조작에 기초한 릴리스 요구가 있으면, 도 6의 단계 21에서부터 단계 22, 23, 24, 25로 처리가 진행된다. 이 처리와 병행하여, 도 7 또는 도 8의 처리도 행해진다. 예컨대, 차량이 정지하고 있을 때는, 도 7의 단계 32에 의한 마스크 판정, 단계 33, 34에 의한 제2 산 판정, 단계 35에 의한 추력 제로 판정(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 간의 분리 판정), 단계 37에 의한 클리어런스 판정이 행해진다. 그리고, 도 7의 단계 38에서 릴리스 완료 플래그가 ON으로 되면, 도 6의 단계 25에서 「YES」라고 판정되고, 단계 29에서 릴리스 방향으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이 정지한다(릴리스 동작이 완료된다).
도 10도 도 9와 마찬가지로 어플라이 동작의 완료 후에 릴리스 요구를 수령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단, 도 10은, 릴리스 동작 중에 액압이 높다는 점에서 도 9와 상이하다. 즉, 도 10에서는, 릴리스일 때에 액압이 높기 때문에, 도 7의 단계 33에서 「YES」라고 판정되어, 단계 39에서부터 단계 42의 처리가 행해진다. 이 때문에, 릴리스를 행하고 있는 도중에,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재(再)어플라이)이 이루어진다. 이 때, 도 10에서의 「제2 산 판정」은 도 7의 단계 33의 처리에 대응하고, 도 10에서의 「재어플라이」는 도 7의 단계 39, 40, 41의 처리에 대응하고, 도 10에서의 「재(再)릴리스」는 도 7의 단계 42, 35, 36, 37, 38의 처리에 대응한다.
도 11도 도 9와 마찬가지로 어플라이 동작의 완료 후에 릴리스 요구를 수령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단, 도 11은, 릴리스 동작 중에 공전 이상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도 9와 상이하다. 즉, 도 11에서는, 릴리스일 때에 공전 이상이 발생했기 때문에, 도 7의 단계 33에서 「YES」라고 판정되고, 단계 40에서 「YES」라고 판정되고, 단계 43에서 공전 이상이 확정된다. 이 경우는, 릴리스일 때에, 전동 모터(43B)의 동력(회전)이 직동 부재(42)에 전달되지 않아, 추력과 클리어런스가 어플라이 완료일 때의 값으로부터 변화하고 있지 않다. 또, 도 11에서의 「제2 산 판정」은 도 7의 단계 33의 처리에 대응하고, 도 11에서의 「재어플라이」 및 「공전 이상 판정」은 도 7의 단계 39, 40의 처리에 대응하고, 도 11에서의 「공전 이상 확정」은 단계 43의 처리에 대응한다.
도 12는,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 시작 후,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할 때까지 사이에, 릴리스 요구를 수령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는, 도 12의 시간축의 (a)의 시점에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의 조작에 기초한 어플라이 요구가 있으면, 전동 모터(43B)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구동이 시작된다. 도 12의 시간축의 (b)의 시점에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의 조작에 기초한 릴리스 요구가 있더라도,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릴리스 요구가 즉시 실행되지 않는다. 즉, 도 4의 단계 6의 처리에 의해, 접촉 플래그가 ON으로 될 때까지는, 전동 모터(43B)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구동이 계속된다.
도 12의 시간축의 (c)의 시점에서, 전동 모터(43B)의 전류의 변화(기립)에 기초하여, 즉, 도 5의 단계 13, 14, 15에 의한 접촉 판정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음을 검지하면, 접촉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전동 모터(43B)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구동이 정지한다. 그리고, 도 12의 시간축의 (d)의 시점에서, 전동 모터(43B)의 릴리스 방향으로의 구동이 시작된다. 또, 도 12는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2의 릴리스는, 도 8의 단계 53에 의한 제2 산 판정, 단계 61에 의한 추력 제로 경과 시간 판정, 단계 57의 최소 복귀량 판정, 단계 59의 클리어런스 판정을 통해 단계 60에서 릴리스 완료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전동 모터(43B)의 릴리스 방향으로의 구동이 정지한다(릴리스 동작이 완료된다). 또한, 도 12에서는, 릴리스 요구가 즉시 실행된 경우의 상태 변화를, 굵은 2점쇄선의 특성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릴리스가 완료되었을 때의 클리어런스가 과잉으로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굵은 실선의 특성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릴리스가 완료되었을 때의 클리어런스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3은,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후,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이격)될 때까지 사이에, 어플라이 요구를 수령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는, 도 13의 시간축의 (e)의 시점에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의 조작에 기초한 릴리스 요구가 있으면, 전동 모터(43B)의 릴리스 방향으로의 구동이 시작된다. 도 13의 시간축의 (f)의 시점에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의 조작에 기초한 어플라이 요구가 있더라도,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 어플라이 요구가 즉시 실행되지 않는다. 즉, 차량 정지 시라고 하면, 도 6의 단계 27의 처리에 의해, 분리 플래그가 ON으로 될 때까지는, 전동 모터(43B)의 릴리스 방향으로의 구동이 계속된다. 또, 차량 주행 시라면, 도 6의 단계 28의 처리에 의해, 어플라이 허가 플래그가 ON으로 될 때까지는, 전동 모터(43B)의 릴리스 방향으로의 구동이 계속된다.
도 13의 시간축의 (g)의 시점에서, 전동 모터(43B)의 전류의 변화(전류치의 저하, 시간 변화량의 저하)에 기초하여, 즉, 도 7의 단계 33, 34에 의한 제2 산 판정, 단계 35에 의한 추력 제로 판정(분리 판정)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하면, 분리 플래그가 ON으로 되어, 전동 모터(43B)의 릴리스 방향으로의 구동이 정지한다. 그리고, 도 13의 시간축의 (h)의 시점에서, 전동 모터(43B)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구동이 시작된다. 여기서, 도 13에서는, 어플라이 요구가 즉시 실행된 경우의 상태 변화를, 굵은 2점쇄선의 특성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는, 어플라이가 완료되었을 때의 추력이 과잉으로 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굵은 실선의 특성선으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어플라이가 완료되었을 때의 추력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를 원하는 위치 관계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 시작 후에 릴리스 요구를 수령하면, 도 4의 단계 6의 처리에 의해, 접촉 플래그가 ON으로 되고 나서, 단계 7의 처리에 의해,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을 정지하고, 이 정지 후, 도 6의 단계 22, 23의 처리를 통해 릴리스 요구를 실행한다. 또한,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후에 어플라이 요구를 수령하면, 도 6의 단계 27의 처리에 의해, 분리 플래그가 ON으로 되고 나서, 단계 29의 처리에 의해, 릴리스 방향으로의 전동 모터(43B)의 구동을 정지하고, 이 정지 후, 도 4의 단계 2, 3의 처리를 통해, 어플라이 요구를 실행한다. 바꿔 말하면,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제1 요구(어플라이 요구 또는 릴리스 요구)의 실행 중에 이 제1 요구와 반대의 요구가 되는 제2 요구(릴리스 요구 또는 어플라이 요구)가 있더라도, 접촉 플래그가 ON 또는 분리 플래그가 ON으로 될 때까지는, 제1 요구의 실행을 계속하고, 제2 요구의 실행을 시작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접촉플래그 또는 분리 플래그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기준으로 하여, 이들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의 위치 관계(직동 부재(42)의 위치)를 원하는 것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스톤(39) 내지 브레이크 패드(33)의 추력에 대응하는 전동 모터(43B)의 부하 정도는, 전동 모터(43B)의 전류의 변화에 기초하여, 예컨대, 전류치나 그 시간 변화량(미분치)에 기초하여 검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전동 모터(43B)의 전류치나 그 시간 변화량(미분치)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의 위치 관계, 즉,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검지할 수 있다.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 간의 접촉 또는 분리에 대응하는 전동 모터(43B)의 전류의 변화를 검지했음을 조건으로, 실행 중인 제1 요구의 실행을 종료하고, 다음 요구인 제2 요구의 실행을 시작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패드(33)의 위치나 추력 등을 검출하기 위한 위치 센서나 추력 센서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의 위치 관계를, 접촉 또는 분리를 기준으로 하여 높은 정밀도로 규제(관리)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도 5의 단계 12~18의 처리에 의해, 어플라이 요구 실행 시작 직후에 흐르는 돌입 전류(27)가 수습된 후에 흐르는 무부하 전류의 평균치와 현재의 전류의 차분을 계산하여, 이 차분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으로 된 경우,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음을 검지한다. 이 경우에는, 예컨대 전류의 미분치에 기초하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음을 검지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전류의 시간적 변화(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의 접촉 검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도 7의 단계 32, 34, 35, 36의 처리에 의해, 또는 도 8의 단계 52, 54, 55, 56의 처리에 의해,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직후에 흐르는 돌입 전류인 제1 산(25)이 수습된 후, 현재의 전류가 미리 정해진 전류치까지 내려갔음을 검지하고, 이 검지 후, 현재의 전류의 시간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변화량 이하가 된 경우,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한다. 이 때문에, 전류치와 전류의 시간 변화량과의 2개의 조건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 간의 분리를 정밀도 좋게 검지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19)는, 도 7의 단계 33의 처리에 의해, 제1 산(25)에 이어지는 제2 산(26)의 전류 변화를 검지하지 않는 채로,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한 경우, 즉, 제1 산(25)의 전류 변화가 수습된 후에 전류치가 미리 정해진 시간 제2 산 임계치(29) 이하가 되었음을 검지한 경우, 도 7의 단계 39의 처리에 의해, 릴리스 요구를 실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어플라이를 실행한다. 이 경우에는, 어플라이를 실행 후의 전류의 변화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43B)의 동력(회전)이 전달되었지 여부(공전하고 있는지 여부)의 이상을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지닌 액압식의 디스크 브레이크(31)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어플라이 요구, 릴리스 요구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요구뿐만 아니라, ABS 제어에 의한 요구도 포함한다. 이 때문에, 차륜(후륜(3))의 로크(슬립)를 억제할 수 있다. 즉, ABS 제어의 릴리스 요구의 실행 중에 어플라이 요구가 있더라도,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고, 또한 클리어런스가 최소 복귀량으로 될 때까지는, 릴리스 요구의 실행이 계속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를 확실히 분리(이격)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이 분리(이격)에 의해 제동력이 해제되어, 차륜(후륜(3))의 로크를 억제할 수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액압에 기초하여 피스톤(39)이 변위하고 있음을 가미하여 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피스톤(39)에 액압이 가해지고 있을 때는, 도 5의 단계 17의 처리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음을, 직동 부재(42)가 피스톤(39)에 접촉함으로 인한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검지한다. 또한, 예컨대, 차량 주행 중에, 피스톤(39)에 액압이 가해지고 있을 때는, 도 8의 단계 61의 처리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음을, 전동 모터(43B)의 릴리스 방향으로의 구동을 시작하고 나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검지한다. 이 때문에, 브레이크 페달(6)의 답입 등에 의한 액압의 공급에 기초하여 피스톤(39)이 변위하고 있을 때에도,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적정하게 검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4 및 도 15는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특징은, 제1 요구의 실행 시작 후, 패드와 로터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검지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제2 요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한 데에 있다. 즉,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 시작 후, 패드와 로터가 접촉했음을 검지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릴리스 요구를 실행한다. 또한,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후, 패드와 로터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어플라이 요구를 실행한다. 여기서, 제2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의 어플라이 제어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어플라이 제어 처리에서는, 단계 6 다음에, 단계 71의 처리, 즉, 접촉 플래그 ON 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의 경과를 대기하기 위한 처리를 두고 있다. 이 단계 71의 처리를 마련함에 따라, 단계 6에서 「YES」, 즉, 접촉 플래그 ON이라고 판정된 후에는, 단계 71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고 나서 단계 7로 진행하여, 전동 모터(43B)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구동이 정지한다. 이에 따라,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하고 나서부터의 전동 모터(43B)의 어플라이 방향으로 구동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접촉 플래그 ON 후에 실행되는 릴리스 요구 시의 전동 모터(43B)의 전류의 변화를 현저하게 하기 위해서 두는 것이다. 즉, 제2 실시형태의 어플라이 제어 처리에서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하고 나서도 전동 모터(43B)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구동을 미리 정해진 시간 계속함으로써, 전동 모터(43B)의 구동에 기초한 추력을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릴리스 시작 시의 전동 모터(43B)의 부하를 높게 할 수 있어, 릴리스에 의한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의 분리 시의 전류의 변화를 현저하게(예컨대, 제2 산(26)의 출현을 현저하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릴리스 시작 후의 분리 판정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도 15는 제2 실시형태의 릴리스 제어 처리를 도시하고 있다. 제2 실시형태의 릴리스 제어 처리에서는, 단계 27 다음에 단계 81의 처리, 즉, 분리 플래그 ON 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의 경과를 대기하기 위한 처리를 두고 있다. 이 단계 81의 처리를 마련함에 따라, 단계 27에서 「YES」, 즉, 분리 플래그 ON이라고 판정된 후에는, 단계 81에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고 나서 단계 29로 진행하여, 전동 모터(43B)의 릴리스 방향으로의 구동이 정지한다. 이에 따라,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고 나서부터의 전동 모터(43B)의 릴리스 방향으로 구동하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시간은, 분리 플래그 ON 후에 실행되는 어플라이 요구 시에 전류치의 필요한 계산을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두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미리 정해진 시간은, 어플라이 요구 실행 시작 직후에 흐르는 돌입 전류(27)가 수습된 후에 흐르는 무부하 전류의 평균치를 계산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미리 정해진 시간은, 전동 모터의 미리 정해진 회전수(회전량)에 대응하는 시간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라이 시작 후의 접촉 판정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는, 상술한 것과 같은 단계 71, 81에 의해, 접촉 또는 분리의 검지 후에 미리 정해진 시간의 경과를 대기하는 것으로, 그 기본적 작용에 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의한 것과 현저한 차이는 없다.
특히, 제2 실시형태에서는,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 시작 후, 도 14의 단계 71의 처리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했음을 검지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릴리스 요구가 실행된다. 이에 따라, 릴리스 시작 시의 전동 모터(43B)의 부하를 높일 수 있어, 릴리스 시작 후의 분리 판정의 정밀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후, 도 15의 단계 81의 처리에 의해,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어플라이 요구가 실행된다. 이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 간의 분리 거리(이격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을 시작했을 때에,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할 때까지, 전동 모터(43B)의 구동 초기의 전류의 변화(돌입 전류(27)의 변화)를 검지할 수 있다. 즉,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을 시작한 후의 전류의 변화를, 전동 모터(43B)의 구동 초기에 의한 변화와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의 접촉에 의한 변화로 나눌 수 있다(전류 변화를 명확히 할 수 있다). 이 결과,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을 시작한 후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의 접촉의 검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을, 어플라이 요구 실행 시작 직후에 흐르는 돌입 전류(27)가 수습된 후에 흐르는 무부하 전류의 평균치를 계산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에 대응하는 시간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을 시작한 후에, 돌입 전류(27)를 검지하는 데에 더하여, 그 후의 무부하 전류의 평균치도 확실하게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을 시작한 후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의 접촉의 검지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미리 정해진 시간을, 전동 모터(43B)의 미리 정해진 회전수(회전량)에 대응하는 시간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전동 모터(43B)에 공급되는 전류치에 변화가 있더라도(예컨대, 전동 모터(43B)의 회전 속도에 변화가 있더라도), 이 변화에 상관없이 무부하 전류의 평균치를 계산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균치의 계산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ABS 제어를 행하고 있을 때에, 릴리스 중의 어플라이 요구가 있더라도,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 어플라이 요구를 실행한다. 이 경우, 그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은,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분리(이격)된 상태가 유지되어, 제동력을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륜(후륜(3))이 로크되지 않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어, ABS 제어 중의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의 어플라이 제어 처리와 도 15의 릴리스 제어 처리 양쪽의 제어 처리에서,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검지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의 경과를 대기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어느 한쪽의 제어 처리에서만 미리 정해진 시간의 경과를 대기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요구 생성부가 생성하는 요구는,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18)에 의한 요구(운전자에 의한 요구)와, 상술한 판단 논리에 의한 요구와, ABS 제어에 의한 요구의 3 종류의 요구에 의해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상기한 3 종류의 요구 중 두 개의 요구, 또는 하나의 요구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즉, 상기한 3 종류(또는 그 중 두개)의 요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3 종류 이외의 요구를 생성하는 요구 생성부를 갖춘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의 접촉의 판정을, 돌입 전류가 수습된 후에 흐르는 무부하 전류의 평균치와 현재의 전류의 차분에 기초하여 행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다른 판정 기준을 이용하여도 좋다. 예컨대, 전류치가 미리 정해진 값 이상으로 된 것이나 전동 모터의 구동 시작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을 경과한 것 등에 기초하여, 패드와 로터의 접촉 판정(피구동 부재와 피스톤의 접촉 판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브레이크 패드(33)와 디스크 로터(4)의 분리의 판정(추력 제로의 판정)을, 돌입 전류가 수습된 후, 현재의 전류가 미리 정해진 전류치까지 내려갔음을 검지하고, 이 검지 후, 현재의 전류의 시간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변화량 이하로 되었음에 기초하여 행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다른 판정 기준을 이용하여도 좋다. 예컨대, 전류치가 미리 정해진 값 이하로 되었음이나 전동 모터의 구동 시작에서부터 미리 정해진 시간을 경과했음 등에 기초하여, 패드와 로터의 분리의 판정(피구동 부재와 피스톤의 분리 판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좌우의 후륜측의 브레이크를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지닌 디스크 브레이크(31)로 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모든 차륜(사륜 전부)의 브레이크를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지닌 디스크 브레이크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즉, 차량의 적어도 한 쌍의 차륜의 브레이크를, 전동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지닌 디스크 브레이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주차 브레이크를 지닌 액압식 디스크 브레이크(31)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그러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액압의 공급이 불필요한 전동식 디스크 브레이크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디스크 브레이크식의 브레이크 장치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드럼 브레이크식의 브레이크 장치로서 구성하여도 좋은 것이다. 또한, 예컨대, 디스크 브레이크에 드럼식의 전동 주차 브레이크를 설치한 드럼 인 디스크 브레이크, 전동 모터로 케이블을 잡아당김으로써 주차 브레이크를 유지하는 구성 등, 브레이크 기구는 각종의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패드와 로터를 원하는 위치 관계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실시형태에 따르면, 실행부는, 제1 요구의 실행 시작 후, 요구 생성부로부터 제2 요구를 수령하면, 검지부가 패드와 로터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검지하고 나서 제2 요구를 실행한다. 바꿔 말하면, 실행부는, 제1 요구의 실행 중에 제2 요구가 있더라도, 패드와 로터가 접촉 또는 분리될 때까지는, 제1 요구의 실행을 계속하고, 제2 요구의 실행을 시작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행부는, 패드와 로터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기준으로 하여, 패드와 로터를 원하는 위치 관계로 유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드와 로터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피스톤에 대한 전동 모터의 부하의 정도)은, 전동 모터의 전류의 변화에 기초하여, 예컨대, 전류치나 시간 변화량(미분치)에 기초하여 검지할 수 있다. 실행부는, 이 전류의 변화를 검지했음을 조건으로, 실행 중인 제1 요구의 실행을 종료하고, 다음 요구인 제2 요구의 실행을 시작한다. 이 때문에, 패드의 위치나 추력 등을 검출하기 위한 위치 센서나 추력 센서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패드와 로터의 위치 관계를, 접촉 또는 분리를 기준으로 하여 높은 정밀도로 규제(관리)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요구는,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어플라이 요구이고, 제2 요구는, 차량의 제동력을 해제하기 위한 릴리스 요구이며, 실행부는,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 시작 후, 검지부가 패드와 로터가 접촉했음을 검지할 때까지 사이에 릴리스 요구를 수령한 경우, 상기 릴리스 요구를 실행하지 않고, 검지부가 패드와 로터가 접촉했음을 검지한 후, 상기 릴리스 요구를 실행한다. 즉, 실행부는,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 중에 릴리스 요구가 있더라도, 패드와 로터가 접촉할 때까지는,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을 계속하고, 릴리스 요구의 실행을 시작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행부는, 패드와 로터가 접촉했음을 기준으로 하여, 패드와 로터를 원하는 위치 관계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요구는, 차량의 제동력을 해제하기 위한 릴리스 요구이고, 제2 요구는,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어플라이 요구이며, 실행부는,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후, 검지부가 패드와 로터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할 때까지 사이에 어플라이 요구를 수령한 경우, 상기 어플라이 요구를 실행하지 않고, 검지부가 패드와 로터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한 후, 상기 어플라이 요구를 실행한다. 즉, 실행부는, 릴리스 요구의 실행 중에 어플라이 요구가 있더라도, 패드와 로터가 분리될 때까지는, 릴리스 요구의 실행을 계속하고,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을 시작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실행부는, 패드와 로터가 분리되었음을 기준으로 하여, 패드와 로터를 원하는 위치 관계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실행부는,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후, 검지부가 패드와 로터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어플라이 요구를 실행한다. 이 경우에는,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함으로써, 패드와 로터의 분리 거리(이격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을 시작했을 때에, 패드와 로터가 접촉할 때까지, 전동 모터의 구동 초기의 전류의 변화(돌입 전류의 변화)를 검지할 수 있다. 즉,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을 시작한 후의 전류의 변화를, 전동 모터의 구동 초기에 의한 변화와 패드와 로터의 접촉에 의한 변화로 나눌 수 있다(전류 변화를 명확히 할 수 있다). 이 결과,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을 시작한 후에 있어서의 패드와 로터의 접촉의 검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시간이란, 실행부에 의한 어플라이 요구 실행 시작 직후에 흐르는 돌입 전류가 수습된 후에 흐르는 무부하 전류의 평균치를 계산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에 대응한다. 이 경우에는,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을 시작한 후에, 돌입 전류를 검지하는 데에 더하여, 그 후의 무부하 전류의 평균치도 확실하게 계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을 시작한 후에 있어서의 패드와 로터의 접촉의 검지 정밀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시간이란, 전동 모터의 미리 정해진 회전수에 대응하는 시간으로서 설정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전동 모터에 공급되는 전류치에 변화가 있더라도(예컨대, 전동 모터의 회전 속도에 변화가 있더라도), 이 변화에 상관없이 무부하 전류의 평균치를 계산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균치 계산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검지부는, 실행부에 의한 어플라이 요구 실행 시작 직후에 흐르는 돌입 전류가 수습된 후에 흐르는 무부하 전류의 평균치와 현재의 전류의 차분을 계산하여, 상기 차분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으로 된 경우, 패드와 로터가 접촉했음을 검지한다. 이 경우에는, 예컨대 전류의 미분치에 기초하여 패드와 로터가 접촉했음을 검지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전류의 시간적 변화(노이즈)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드와 로터의 접촉의 검지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검지부는,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직후에 흐르는 돌입 전류가 수습된 후, 현재의 전류가 미리 정해진 전류치까지 내려갔음을 검지하고, 이 검지 후, 현재의 전류의 시간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변화량 이하가 된 경우, 패드와 로터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한다. 이 경우에는, 현재의 전류가 미리 정해진 전류치까지 내려갔을 뿐만 아니라, 이에 더하여, 전류의 시간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변화량 이하로 되었음을 조건으로, 패드와 로터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한다. 이 때문에, 전류치와 전류의 시간 변화량의 2개의 조건을 이용하여, 패드와 로터의 분리의 검지를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직후의 돌입 전류에 의한 전류의 변화를 제1 산으로 하고, 이 제1 산에 이어지는 전류의 변화를 제2 산으로 한 경우에, 검지부가 제2 산을 검지하지 않는 채로 패드와 로터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한 경우, 실행부는, 요구 생성부가 생성하는 요구와는 관계없이 어플라이를 실행한다. 이 경우에는, 어플라이를 실행한 후의 전류의 변화에 기초하여, 전동 모터의 동력(회전)이 전달되었는지 여부(공전하고 있는지 여부)의 이상을 판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 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요구 생성부가 생성하는 요구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요구 또는 ABS를 제어하는 ABS 제어부에 의한 요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이 경우에는, 차륜의 로크(슬립)를 억제할 수 있다. 즉, 릴리스 요구의 실행 중에 어플라이 요구가 있더라도, 패드와 로터가 분리될 때까지는, 릴리스 요구의 실행이 계속됨으로써, 패드와 로터를 확실히 분리시킬 수 있다. 이 분리에 의해, 제동력이 해제되어, 차륜의 로크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패드와 로터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에 어플라이 요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그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은, 패드와 로터가 분리된 상태가 유지되어, 제동력을 확실하게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륜이 로크되지 않는 시간을 길게 할 수 있어, ABS 제어 중의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피스톤은, 전동 모터에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이동하는 데에 더하여 액압이 공급됨으로써도 이동하는 것이며, 검지부는, 패드와 로터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액압에 기초하여 피스톤이 변위되어 있는 것을 가미하여 검지한다. 이 경우에는, 상용 브레이크(서비스 브레이크)의 사용 등에 의한 액압의 공급에 기초하여 피스톤이 변위하고 있을 때에도, 패드와 로터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적정하게 검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피스톤은, 전동 모터에 의해 피스톤으로 향한 또는 피스톤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피구동 부재에 의해서 이동하는 것으로, 검지부는, 피스톤에 액압이 가해지고 있을 때는, 패드와 로터가 접촉했음을, 피구동 부재가 피스톤에 접촉함으로 인한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검지한다. 이 경우에는, 피스톤에 액압이 가해지고 있을 때에도, 패드와 로터가 접촉했음을 적정하게 검지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르면, 검지부는, 피스톤에 액압이 가해지고 있을 때는, 패드와 로터가 분리되었음을, 전동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고 나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검지한다. 이 경우에는, 피스톤에 액압이 가해지고 있을 때에도, 패드와 로터가 분리되었음을 적정하게 검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개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해 왔지만, 상술한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서 변경, 개량될 수 있음과 더불어, 본 발명에는 그 균등물이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할 수 있는 범위 또는 효과의 적어도 일부를 발휘하는 범위에서, 특허청구범위 및 명세서에 기재된 각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또는 생략이 가능하다.
본원은, 2014년 12월 27일 출원의 일본 특허출원번호 2014-266815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2014년 12월 27일 출원의 일본 특허출원번호 2014-266815호의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모든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전체적으로 본원에 삽입된다.
2: 전륜(차륜), 3: 후륜(차륜), 4: 디스크 로터(로터), 6: 브레이크 페달, 18: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요구 생성부), 19: 주차 브레이크 제어 장치(요구 생성부, 실행부, 검지부), 24: 전류 센서부(검지부), 33: 브레이크 패드(패드), 39: 피스톤, 42: 직동 부재(피구동 부재), 43B: 전동 모터

Claims (13)

  1. 브레이크 장치로서,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를 압박함으로써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패드와,
    상기 패드를, 상기 로터로 향한 또는 상기 로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피스톤과,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전동 모터와,
    상기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어플라이 요구 및 상기 차량의 제동력을 해제하기 위한 릴리스 요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요구 생성부와,
    상기 요구 생성부가 생성한 요구를 수령하여, 그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전동 모터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요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실행부와,
    상기 패드와 상기 로터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검지하도록 구성된 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 시작 후, 상기 패드와 상기 로터가 접촉되었음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할 때까지 사이에 상기 릴리스 요구를 수령한 경우, 상기 릴리스 요구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패드와 상기 로터가 접촉되었음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후, 상기 릴리스 요구를 실행하는, 브레이크 장치.
  2. 브레이크 장치로서,
    차륜과 함께 회전하는 로터를 압박함으로써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된 패드와,
    상기 패드를, 상기 로터로 향한 또는 상기 로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피스톤과,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전동 모터와,
    상기 차량의 제동력을 해제하기 위한 릴리스 요구 및 상기 차량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어플라이 요구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요구 생성부와,
    상기 요구 생성부가 생성한 요구를 수령하여, 그 요구에 따라서 상기 전동 모터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요구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실행부와,
    상기 패드와 상기 로터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검지하도록 구성된 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후, 상기 패드와 상기 로터가 분리되었음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할 때까지 사이에 상기 어플라이 요구를 수령한 경우, 상기 어플라이 요구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패드와 상기 로터가 분리되었음을 상기 검지부가 검지한 후, 상기 어플라이 요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부는, 상기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후, 상기 패드와 상기 로터가 분리되었음이 상기 검지부에 의해 검지되고 나서 미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어플라이 요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실행부에 의한 상기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 시작 직후에 상기 전동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가 수습된 후에 흐르는 무부하 전류의 평균치를 계산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에 대응하는, 브레이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시간은, 상기 전동 모터의 미리 정해진 회전수에 대응하는 시간으로서 설정되는, 브레이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실행부에 의한 상기 어플라이 요구의 실행 시작 직후에 상기 전동 모터에 흐르는 돌입 전류가 수습된 후에 흐르는 무부하 전류의 평균치와 현재의 전류의 차분을 계산하여, 상기 차분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으로 된 경우, 상기 패드와 상기 로터가 접촉되었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크 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직후에 흐르는 돌입 전류가 수습된 후, 현재의 전류가 미리 정해진 전류치까지 내려갔음을 검지하고, 이 검지 후, 현재의 전류의 시간 변화량이 미리 정해진 변화량 이하가 된 경우, 상기 패드와 상기 로터가 분리되었다고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요구의 실행 시작 직후의 상기 돌입 전류에 의한 전류의 변화를 제1 산(山)으로 하고, 이 제1 산에 이어지는 전류의 변화를 제2 산으로 한 경우에,
    상기 검지부가 상기 제2 산을 검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패드와 상기 로터가 분리되었음을 검지한 경우, 상기 실행부는, 상기 요구 생성부가 생성하는 요구와는 관계없이 어플라이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브레이크 장치.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생성부가 생성하는 요구는, 운전자의 조작에 의한 요구 또는 ABS를 제어하는 ABS 제어부에 의한 요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브레이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전동 모터에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이동하는 데에 더하여, 액압이 공급됨으로써도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패드와 상기 로터가 접촉 또는 분리되었음을, 상기 액압에 기초하여 상기 피스톤이 변위하고 있는 것을 가미하여 검지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피스톤으로 향한 또는 상기 피스톤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이동하는 피구동 부재에 의해서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검지부는, 상기 피스톤에 상기 액압이 가해지고 있을 때는, 상기 패드와 상기 로터가 접촉되었음을, 상기 피구동 부재가 상기 피스톤에 접촉함으로 인한 전류 변화에 기초하여 검지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지부는, 상기 피스톤에 상기 액압이 가해지고 있을 때는, 상기 패드와 상기 로터가 분리되었음을, 상기 실행부가 상기 전동 모터의 구동을 시작하고 나서부터의 경과 시간에 기초하여 검지하도록 구성된 브레이크 장치.
  13. 삭제
KR1020177017529A 2014-12-27 2015-12-25 브레이크 장치 KR102114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66815 2014-12-27
JP2014266815 2014-12-27
PCT/JP2015/086181 WO2016104680A1 (ja) 2014-12-27 2015-12-25 ブレーキ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2871A KR20170102871A (ko) 2017-09-12
KR102114533B1 true KR102114533B1 (ko) 2020-06-26

Family

ID=56150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529A KR102114533B1 (ko) 2014-12-27 2015-12-25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232834B2 (ko)
JP (1) JP6466473B2 (ko)
KR (1) KR102114533B1 (ko)
CN (1) CN107249941B (ko)
DE (1) DE112015005830T5 (ko)
WO (1) WO20161046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31065A1 (en) * 2016-07-27 2018-02-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and method
DE102016219241A1 (de) * 2016-10-05 2018-04-05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tomatisierten Feststellbremse
DE102016012617A1 (de) * 2016-10-20 2018-04-26 Lucas Automotive Gmbh System mit getrennten Steuereinheiten für die Stelleinheiten einer elektrischen Parkbremse
KR101937461B1 (ko) 2017-03-09 2019-01-11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전자식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9011848A (ja) * 2017-06-30 2019-01-24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用ブレーキ
DE112018005520T5 (de) * 2017-09-27 2020-07-09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Bremsvorrichtung und Fahrzeugsteuervorrichtung
US20210078557A1 (en) * 2018-02-21 2021-03-18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Electric brake device and electric brake control device
US10647306B2 (en) * 2018-04-23 2020-05-12 Goodrich Corporation Measurement of contact maintaining control valve current for a hydraulic actuator
DE102018213284A1 (de) * 2018-08-08 2020-02-1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em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20220032885A1 (en) * 2018-09-26 2022-02-03 Hitachi Astemo, Ltd. Electric brake, and control device
US10927910B2 (en) 2019-02-18 2021-02-23 Akebono Brake Industry Co., Ltd Brak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371573B2 (en) * 2020-03-09 2022-06-2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EMI assessment for brake pad wear estimation
WO2021192449A1 (ja) * 2020-03-26 2021-09-30 日立Astemo上田株式会社 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装置
JP7431972B2 (ja) 2020-07-07 2024-02-15 日立Astemo株式会社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装置
WO2022009730A1 (ja) 2020-07-07 2022-01-13 日立Astemo株式会社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制御装置
JP7424265B2 (ja) 2020-09-30 2024-01-30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JP7424264B2 (ja) 2020-09-30 2024-01-30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JP7424263B2 (ja) 2020-09-30 2024-01-30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の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CN112373454B (zh) * 2020-11-09 2021-09-07 恒大新能源汽车投资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驻车释放方法和装置
CN115366864A (zh) * 2021-05-18 2022-11-22 沃尔沃汽车公司 机动车制动摩擦片损耗监测***
FR3124467B1 (fr) * 2021-06-28 2024-03-01 Hitachi Astemo France Dispositif de commande d’un frein électro-mécanique fonctionnant en frein de secou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093A (ja) * 1998-07-31 2000-02-22 Tokico Ltd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3175816A (ja) * 2001-12-13 2003-06-24 Nissan Motor Co Ltd 電動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8250A (ja) * 1998-03-26 1999-10-12 Toyota Motor Corp 電動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GB2342967A (en) * 1998-10-21 2000-04-26 Rover Group Vehicle parking brake
GB2376990B (en) * 2001-06-28 2004-10-20 Ford Global Tech Inc Electric parking brake
FR2841199B1 (fr) * 2002-06-20 2004-08-27 Renault Sa Dispositif et procede de desserrage automatique du frein de parking automatique au demarrage
DE102004039866B3 (de) * 2004-08-17 2006-02-09 Siemens Ag Steuersystem für die Feststellbremse einer Bremsanlage eines Kraftfahrzeuges
JP4363428B2 (ja) * 2006-08-31 2009-1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動ブレーキ装置および自動車
FR2920376B1 (fr) * 2007-08-31 2009-12-18 Renault Sas Systeme de commande du desserrage d'un dispositif de frein de parking automatique, embarque a bord d'un vehicule automobile
JP4985448B2 (ja) * 2008-02-13 2012-07-25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JP5320931B2 (ja) * 2008-09-24 2013-10-23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JP5333114B2 (ja) * 2009-09-18 2013-11-06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191493B1 (ko) * 2010-06-01 2012-10-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제어 방법
JP6017162B2 (ja) 2012-03-30 2016-10-2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5764111B2 (ja) 2012-11-22 2015-08-1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ブレーキ圧制御装置
JP6182314B2 (ja) 2013-01-08 2017-08-16 Ntn株式会社 電動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5093A (ja) * 1998-07-31 2000-02-22 Tokico Ltd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3175816A (ja) * 2001-12-13 2003-06-24 Nissan Motor Co Ltd 電動ブレー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66473B2 (ja) 2019-02-06
US10232834B2 (en) 2019-03-19
DE112015005830T5 (de) 2017-11-02
CN107249941B (zh) 2019-12-27
US20170355356A1 (en) 2017-12-14
CN107249941A (zh) 2017-10-13
KR20170102871A (ko) 2017-09-12
WO2016104680A1 (ja) 2016-06-30
JPWO2016104680A1 (ja)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533B1 (ko) 브레이크 장치
KR102142028B1 (ko) 브레이크 시스템
KR102110624B1 (ko) 브레이크 장치
US10442413B2 (en) Brake control apparatus
JP6297883B2 (ja) 電動ブレーキ装置
JP6129553B2 (ja) ブレーキシステム
JP6457260B2 (ja) ブレーキ装置
JP6392664B2 (ja) 電動ブレーキシステム
WO2016104682A1 (ja) 電動ブレーキシステム
JP6205620B2 (ja) ブレーキ装置
JP6346028B2 (ja) 駐車ブレーキシステム
JP6189144B2 (ja) 電動ブレーキシステム
JP6478617B2 (ja) ブレーキ装置
JP6498579B2 (ja) ブレーキ装置
JP2016089903A (ja) ブレーキ装置
JP6418639B2 (ja) ブレーキ装置
JP6393184B2 (ja) ブレーキ装置
JP6649149B2 (ja) ブレーキ装置
JP6366035B2 (ja) ブレーキ装置
JP2016124404A (ja) 電動ブレー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