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425B1 -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425B1
KR100787425B1 KR1020040098747A KR20040098747A KR100787425B1 KR 100787425 B1 KR100787425 B1 KR 100787425B1 KR 1020040098747 A KR1020040098747 A KR 1020040098747A KR 20040098747 A KR20040098747 A KR 20040098747A KR 100787425 B1 KR100787425 B1 KR 100787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ituted
group
carbon atoms
unsubstituted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9613A (ko
Inventor
황석환
김영국
이창호
이석종
양승각
김희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40098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425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1/286,421 priority patent/US8021764B2/en
Priority to EP05111348A priority patent/EP1661888B1/en
Priority to JP2005342448A priority patent/JP4589223B2/ja
Priority to DE602005010961T priority patent/DE602005010961D1/de
Priority to CN2005101217327A priority patent/CN1978441B/zh
Publication of KR20060059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613A/ko
Priority to US11/806,039 priority patent/US8188315B2/en
Priority to US11/979,267 priority patent/US802176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425B1/ko
Priority to JP2010068464A priority patent/JP2010222355A/ja
Priority to US13/439,586 priority patent/US8974922B2/en
Priority to US14/607,326 priority patent/US9478754B2/en
Priority to US15/266,959 priority patent/US9917258B2/en
Priority to US15/871,007 priority patent/US10211406B2/en
Priority to US16/260,111 priority patent/US10573821B2/en
Priority to US16/742,844 priority patent/US11482678B2/en
Priority to US17/968,388 priority patent/US1195050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56Ring systems containing three or more rings
    • C07D209/80[b, c]- or [b, d]-condensed
    • C07D209/82Carbazoles; Hydrogenated carbazoles
    • C07D209/88Carbazoles; Hydrogenated carb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ring syste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6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more than one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rings, e.g. bis-anthr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6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hetero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Indole Compound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과 상기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막을 채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은 우수한 전기적 특성 및 전하 수송 능력을 갖고 있어 적색, 녹색, 청색, 흰색 등의 모든 칼라의 형광과 인광 소자에 적합한 정공 주입 재료, 정공 수송 재료 및/또는 발광 재료로 유용하며, 이를 이용하여 고효율, 저전압, 고휘도, 장수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Phenylcarbazole-based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employ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얻은 화합물 1의 UV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얻은 화합물 1의 DSC 및 TGA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얻은 화합물 2의 UV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얻은 화합물 2의 DSC 및 TGA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 따라 얻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전류 밀도에 따른 휘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에 따라 얻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휘도에 따른 전류 효율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적인 안정성과 높은 전하 수송 능력을 갖고 있고 유리전이온도가 높고 결정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재료인 페닐카바졸계 화합물과 이를 포함한 유기막을 채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전계 발광 소자 (electroluminescent device)는 자발광형 표시소자로 시야각이 넓으며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시간이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커다란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는 발광층(emitting layer)에 무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무기 전계 발광 소자와 유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유기 EL 소자가 있고, 이 중에서 특히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무기 전계 발광 소자에 비하여 휘도, 구동전압 및 응답속도 특성이 우수하고 다색화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유기 전계발광 소자는 일반적으로 애노드/유기 발광층/캐소드의 적층구조를 갖고, 상기 애노드와 발광층 사이 또는 발광층과 캐소드 사이에 정공 주입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을 더 적층하여 애노드/정공 수송층/유기 발광층/캐소드 및, 애노드/정공 수송층/유기 발광층/전자 주입층/캐소드 등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정공 수송층 형성 재료로서 폴리페닐 탄화수소 또는 안트라센 유도체가 알려져 있다 (미국 특허 제6,596,415호 및 제6,465,115호).
그런데 지금까지 알려진 정공 수송층 형성 재료로 이루어진 정공 수송층을 구비한 유기 전계 발광소자는 수명, 효율 및 소비전력 특성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이르지 못하여 개선의 여지가 많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적인 안정성과 높은 전하 수송 능력을 가지며 유리전이온도가 높고 결정화를 방지 할 수 있는 재료의 개발에 관한 것으로서, 적색, 녹색, 청색, 흰색 등의 모든 칼라의 형광과 인광 소자에 적합한 유기막 재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페닐카바졸계 화합물로 된 유기막을 채용하여 고효율, 저전압, 고휘도, 장수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4055995180-pat00001
상기식중,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헤테로고리를 나타내고,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축합 다환기,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R1, R2, R3중 인접한 기가 서로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 탄소 고리를 형성 할 수 있고,
Ar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C2-C30 헤테로아릴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제1전극 및 제2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막을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이 상술한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기막은 정공주입층 또는 정공수송층이거나 또는 정공주입 및 정공수송 기능을 동시에 갖는 단일막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기막이 정공 주입층 또는 정공수송층이고, 상기 소자가 제1전극/정공주입층/발광층/제2전극, 제1전극/정공수송층/발광층/전자수송층/제2전극, 제1전극/정공주입층/정공수송층/발광층/전자수송층/제2전극, 또는 제1전극/정공주입층/정공수송층/발광층/전자수송층/전자주입층/제2전극 구조를 갖는다.
상기 유기막은 발광층이고, 이 때 상기 발광층은 인광 또는 형광 재료로 이 루어진다.
상기 발광층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이 형광 또는 인광 호스트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분자 내 적어도 2개 이상의 페닐카바졸 유도체를 측쇄로 가지는 신규한 구조의 화합물 및 그 제조 방법과, 이들 화합물을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발광층 등의 유기막 형성 재료로 사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4055995180-pat00002
상기식중,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헤테로고리를 나타내고,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축합 다환기,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R1, R2, R3중 인접한 기가 서로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 탄소 고리를 형성 할 수 있고,
Ar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C2-C30 헤테로아릴기이다.
상기 Ar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로서, 페닐기, 에틸페닐기, 에틸비페닐기, o-, m- 및 p-플루오로페닐기, 디클로로페닐기, 디시아노페닐기, 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닐기, o-, m-, 및 p-토릴기, o-, m- 및 p-쿠메닐기, 메시틸기, 페녹시페닐기, (α,α-디메틸벤젠)페닐기, (N,N'-디메틸)아미노페닐기, (N,N'-디페닐)아미노페닐기, 펜타레닐기, 인데닐기, 나프틸기, 메틸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아즈레닐기, 헵타레닐기, 아세나프틸레닐기, 페나레닐기, 플루오레닐기, 안트라퀴놀일기, 메틸안트릴기, 페난트릴기, 트리페닐렌기, 피레닐기, 크리세닐기, 에틸-크리세닐기, 피세닐기, 페릴레닐기, 클로로페릴레닐기, 펜타페닐기, 펜타세닐기, 테트라페닐레닐기, 헥사페닐기, 헥사세닐기, 루비세닐기, 코로네릴기, 트리나프틸레닐기, 헵타페닐기, 헵타세닐기, 피란트레닐기, 오바레닐기, 카바졸릴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페닐기, 저급알킬페닐기, 저급알콕시페닐기, 시아노페닐기, 페녹시페닐기, 할로페닐기, 나프틸기, 저급알킬나프틸기, 저급알콕시나프틸기, 시아노나프틸기, 할로나프틸기, 플루오레닐기, 카바졸릴기, 저급알킬카바졸릴기, 비페닐기, 저급알킬비페닐기, 저급알콕시비페닐기, 티오페닐기, 인돌일기 또는 피리 딜기이다. 상술한 저급 알킬 및 저급알콕시의 탄소수는 1 내지 5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Ar은 플루오레닐기, 카바졸릴기, 페닐기, 나프틸기, 페난트레닐기에서 선택되는 1 내지 3환의 아릴기 또는 이들의 방향족 고리에 탄소수 1 내지 3의 저급알킬, 탄소수 1내지 3의 저급알콕시, 시아노, 페녹시, 페닐 또는 할로겐이 1 내지 3개, 바람직하게는 1개가 치환한 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에서 Ar이 가질 수 있는 치환기로는 C1-C10 알킬기, C1-C10 알콕시기, 니트로기, 할로겐 원자, 아미노기, C6-C10 아릴기, C2-C10 헤테로아릴기, 시아노기, 하이드록시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은 강직한 카바졸기를 구조 중에 가지기 때문에 유리전이점이나 융점이 높아진다. 따라서 전계발광시에 있어서의 유기층 중, 유기층 사이 내지는, 유기층과 금속전극간에서 발생하는 줄 열에 대한 내열성 및 고온 환경 하에서의 내성이 증가되므로, 이들 화합물을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정공 주입층, 정공수송층이나 발광재료, 발광층의 호스트 재료로 사용한 경우, 높은 발광휘도를 나타내고 장시간 발광시킬 때에도 유리하다. 특히 분자 내에 이 강직한 카바졸기를 2개 이상 가지기 때문에 상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112004055995180-pat00003
상기식중, R1 내지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시아노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이고,
R은 수소, 시아노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이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발광 소자는 보존시 및 구동시의 내구성이 높다. 이것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페닐 카바졸 유도체의 Tg가 높기 때문이다.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들은 정공주입재료, 정공수송재료 및 발광재료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신규화합물들의 대표적인 구조들을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이들 화 합물들로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Figure 112004055995180-pat00004
Figure 112004055995180-pat00005
Figure 112004055995180-pat00006
이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1의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은 카바졸 (B')과 디아민 화합물 (C')을 반응하여 얻어진다.
[반응식 1]
Figure 112004055995180-pat00007
(C') (B') [화학식 1]
상기식중,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C30 알킬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알케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C30 헤테로고리를 나타내고,
R1, R2,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축합 다환기,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를 나타내고, R1, R2, R3중 인접한 기가 서로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 탄소 고리를 형성 할 수 있고,
Ar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C30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의 C2-C30 헤테로아릴기이고,
Y는 할로겐 원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은 카바졸 (B')과 디아민 화합물 (C')을 반응하여 얻는다.
Figure 112007070513300-pat00031

(C') (B')
상기식중, X는
Figure 112007070513300-pat00032
이고,
Ar은
Figure 112007070513300-pat00033
이고,
Y는 할로겐 원자이고,
R1 내지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시아노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이고,
R은 수소, 시아노기, 불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07070513300-pat00034

상기식중, R1 내지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시아노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이고,
R은 수소, 시아노기, 불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이다.
상기 반응시 Pd2(dba)3(dba = dibenzylideneacetone), 소듐 터트부톡사이드 및 트리(터트부틸)포스핀 존재하에서 실시되며, 반응온도는 5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대하여 살펴보면, 화학식 1의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유기막은 정공주입층 또는 정공수송층일 수 있고, 정공주입 및 정공수송 기능을 동시에 갖는 단일막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막이 정공 주입층 또는 정공수송층이고, 상기 소자가 제1전극/정공주입층/발광층/제2전극, 제1전극/정공수송층/발광층/전자수송층/제2전극, 제1전극/정공주입층/정공수송층/발광층/전자수송층/제2전극, 또는 제1전극/정공주입층/정공수송층/발광층/전자수송층/전자주입층/제2전극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발광층은 인광 또는 형광 재료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은 발광층이다.
상기 발광층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이 형광 또는 인광 호스트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소자의 제조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기판 상부에 높은 일함수를 갖는 애노드 전극용 물질을 증착법 또는 스퍼터링법에 의해 형성하고 애노드(Anode)으로 사용한다. 여기에서 기판으로는 통상적인 유기 전계발광(EL) 소자에서 사용되는 기판을 사용하는데 기계적 강도, 열적 안정성, 투명성,표면 평활성, 취급용이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유기기판 또는 투명 플라스틱 기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애노드 전극용 물질로는 투명하고 전도성이 우수한 산화인듐주석(ITO), 산화인듐아연(IZO), 산화주석(SnO2), 산화아연(ZnO) 등을 사용한다.
다음으로 이 애노드 전극 상부에 정공 주입층(EIL) 물질을 진공증착법, 스핀코팅법, 캐스트법, LB법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지만, 균일한 막질을 얻기 쉽고, 또한 핀홀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등의 점에서 진공증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증착법에 의해 정공주입층을 형성하는 경우, 그 증착조건은 정공주입층의 재료로서 사용하는 화합물, 목적으로 하는 정공주입층의 구조 및 열적 특성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증착온도 50 내지 500℃, 진공도 10-8 내지 10-3 torr, 증착속도 0.01 내지 100Å/sec, 막 두께는 통상 10Å 내지 5㎛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공주입층 물질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의한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미국특허 제4,356,429호에 개시된 구리프탈로시아닌 등의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또는 Advanced Material, 6, p.677(1994)에 기재되어 있는 스타버스트형 아민 유도체류인 TCTA, m-MTDATA, m-MTDAPB 등을 정공주입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 정공주입층 상부에 정공수송층(ETL) 물질을 진공증착법, 스핀코팅법, 캐스트법, LB법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지만, 균일한 막질을 얻기 쉽고, 또한 핀홀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등의 점에서 진공증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증착법에 의해 정공수송층을 형성하는 경우, 그 증착조건은 사용하는 화합물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정공주입층의 형성과 거의 동일한 조건범위 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정공수송층 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을 사용하거나, 정공수송층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것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페닐카바졸, 폴리비닐카바졸 등의 카바졸 유도체, N,N'-비스(3-메틸페닐)-N,N'-디페닐-[1,1-비페닐]-4,4'-디아민(TPD), N,N'-디(나프탈렌-1-일)-N,N'-디페닐 벤지딘(α-NPD) 등의 방향족 축합환을 가지는 통상적인 아민 유도체 등이 사용된다.
다음으로 상기 정공수송층 상부에 발광층(EML) 물질을 진공증착법, 스핀코팅법, 캐스트법, LB법 등과 같은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지만, 균일한 막질을 얻기 쉽고, 또한 핀홀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등의 점에서 진공증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진공증착법에 의해 발광층을 형성하는 경우, 그 증착조건은 사용하는 화합물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정공주입층의 형성과 거의 동일한 조건범위 중에서 선택된다.
발광층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형광 또는 인광 호스트로서 화학식 1의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고, 이밖에 형광 호스트로서는 공지의 물질인 Alq3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펀트의 경우 형광 도펀트로서는 이데미츠사(Idemitsu사)에서 구입 가능한 IDE102, IDE105 및 하야시바라사에서 구입 가능한 C545T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인광 도펀트로서는 녹색 인광 도판트 Ir(PPy)3(PPy=2-phenylpyridine), 청색 인광 도펀트인 F2Irpic, UDC사의 적색 인광 도펀트 RD 61 등이 공통 진공 증착(도핑) 될 수 있다.
도핑농도는 특별히 제한 되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호스트와 도펀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도펀트의 함량은 0.01 ~ 15 중량부이다.
발광층에 인광 도펀트와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삼중항 여기자 또는 정공이 전자수송층으로 확산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공저지재료(HBL)를 추가로 진공증착법 또는 스핀코팅법에 의해 적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정공저지물질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정공저지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것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해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옥사디아졸 유도체나 트리아졸 유도체, 페난트롤린 유도체, 또는 JP 11-329734(A1)에 기재되어 있는 정공저지재료 등을 들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Balq, BCP등이 사용된다.
다음으로 전자 수송층(ETL)이 진공증착법, 또는 스핀코팅법, 캐스트법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며, 진공증착법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자 수송층 재료는 전자주입전극(Cathode)로부터 주입된 전자를 안정하게 수송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퀴놀린 유도체, 특히 트리스(8-퀴놀리노레이트)알루미늄(Alq3)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수송층 상부에 음극으로부터 전자의 주입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는 물질인 전자주입층(EIL)이 적층될 수 있으 며 이는 특별히 재료를 제한하지 않는다.
전자 주입층으로서는 LiF, NaCl, CsF, Li2O, BaO 등의 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정공저지층(HBL), 전자수송층(ETL), 전자주입층(EIL)의 증착조건은 사용하는 화합물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정공주입층의 형성과 거의 동일한 조건범위 중에서 선택된다.
마지막으로 전자주입층 상부에 캐소드 형성용 금속을 진공증착법이나 스퍼터링법 등의 방법에 의해 형성하고 캐소드(Cathode)으로 사용한다. 여기에서 캐소드 형성용 금속으로는 낮은 일함수를 가지는 금속, 합금, 전기전도성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리튬(Li),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알루미늄-리튬(Al-Li), 칼슘(Ca), 마그네슘-인듐(Mg-In), 마그네슘-은(Mg-Ag)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면 발광소자를 얻기 위하여 ITO, IZO를 사용한 투과형 캐소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기 전계발광소자는 도1에 도시된 애노드(Anode), 홀주입층(HIL), 홀수송층(HTL), 발광층(EML), 전자수송층(ETL), 전자주입층(EIL), 캐소드(Cathode) 구조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가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한층 또는 2층의 중간층을 더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들은 발광특성 및 정공 전달 특성이 우수한 발광재료로서 특히 호스트로서 유용하며, 이밖에 청색, 녹색, 적색 형광 및 인광 소자의 정공 주입 및/또는 정공 수송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화학식 1에서 사용된 그룹중 대표적인 그룹의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치환기인 비치환된 C1-C30의 알킬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펜틸, iso-아밀, 헥실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C1-C30의 알킬기, C1-C30의 알콕시기, 저급 알킬아미노기, 히드록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진, 히드라존,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인산기 등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치환기인 비치환된 C2-C30의 알케닐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부틸렌기, 비닐기, 알릴기(allyl) 등이 있고, 상기 알케닐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 C1-C30의 알킬기, C1-C30의 알콕시기, 저급 알킬아미노기, 히드록시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아미노기, 아미디노기, 히드라진, 히드라존,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인산기 등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사용되는 치환기인 비치환된 C1-C30의 알콕시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부틸옥시, sec-부틸옥시, 펜틸옥시, iso-아밀옥시, 헥실옥시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알킬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상술한 C1-C20의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상기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사용되는 치환기인 아릴기는 하나 이상의 고리를 포함하는 카보사이클 방향족 시스템을 의미하며, 상기 고리들은 펜던트 방법으로 함께 부착되거나 또는 융합(fused)될 수 있다. 아릴이라는 용어는 페닐, 나프틸, 테트라히드로나프틸과 같은 방향족 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릴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상술한 C1-C20의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사용되는 치환기인 헤테로아릴기는 N, O, P 또는 S 중에서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고리 원자가 C인 고리원자수 2 내지 30의 1가 모노사이클릭 고리 화합물 또는 상기 고리들은 펜던트 방법으로 함께 부착되거나 또는 융합(fused)될 수 있다. 상기 헤테로아릴기의 예로는 피리딜, 티에닐, 퓨릴 등이 있다.
상기 헤테로고리기는 N, O, P 또는 S 중에서 선택된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고, 나머지 고리원자가 C인 고리원자수 1 내지 30의 1가 모노사이클릭을 의미하며, 상기 사이클로알킬기의 수소원자 일부가 저급 알킬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사이클로알킬기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는 상술한 C1-C20의 알킬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치환기로 치환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화합물 1, 화합물 2의 바람직한 합성예 및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예시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화합물 1의 제조
하기 반응식 2의 반응 경로를 거쳐 화합물 1을 합성하였다.
[반응식 2]
Figure 112004055995180-pat00008
중간체 A의 합성
카바졸 (16.7g, 100mmol), 요오도벤젠 (26.5g, 130mmol), CuI (1.9g, 10mmol), K2CO3 (138g, 1mol), 및 18-크라운-6 (530mg, 2mmol)을 DMPU (1,3-Dimethyl-3,4,5,6-tetrahydro-(1H)-pyrimidinone) (500 mL)에 녹인 후 170oC에서 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힌 후 고체물질을 여과하고 여과액에 암모니아수 소량을 첨가한 후 디에틸에테르 (300 mL) 로 세번 세척하였다. 세척된 디에틸에테르층을 MgSO4로 건조시킨 후 감압 건조하여 조생성물을 얻고 실리 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중간체 A를 흰색 고체로 22g(수율 90%)을 얻었다.
1H NMR (CDCl3, 400MHz) δ (ppm) 8.12 (d, 2H), 7.58-7.53 (m, 4H), 7.46-7.42 (m, 1H), 7.38 (d, 4H), 7.30-7.26 (m, 2H); 13C NMR (CDCl3, 100MHz) δ (ppm) 141.0, 137.9, 130.0, 127.5, 127.3, 126.0, 123.5, 120.4, 120.0, 109.9.
중간체 B의 합성
중간체 A 2.433g(10mmol)을 80% 아세트산 100mL에 넣은 후, 여기에 요오드(I2) 1.357g(5.35mmol)과 오르토-페리오디닉산(H5IO6) 0.333g(1.46mmol)을 고체상태에서 부가한 후, 질소분위기에서 80℃, 2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후, 에틸에테르(50mL)으로 세번 추출한다. 모아진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용매를 증발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중간체 B를 흰색 고체로 3.23g (수율 87%)을 얻었다.
1H NMR (CDCl3, 300MHz) δ (ppm) 8.43 (d, 1H), 8.05 (d, 1H), 7.62 (dd, 1H), 7.61-7.75 (m, 2H), 7.51-7.43 (m, 3H), 7.41-7.35 (m, 2H), 7.27 (dd, 1H), 7.14 (d, 1H)
중간체 C의 합성
4,4'-디브로모디페닐 3.12g (10 mmol), 아닐린 2.3mL (25 mmol), t-BuONa 2.9g (30 mmol), Pd2(dba)3 183mg (0.2 mmol), P(t-Bu)3 20mg(0.1 mmol)을 톨루엔 30mL에 녹인 후 90oC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힌 후 증류수와 디에틸에테르 30mL로 3번 추출하였다. 유기층에 존재하는 침전물을 필터 한 후 아세톤과 디에틸에테르로 닦아주고 진공건조하여 중간체 C를 0.3g (수율 90%) 얻었다. 중간체 C의 구조는 1H NMR로 확인 하였다.
1H NMR (DMSO-d6, 400MHz) δ (ppm) 8.22 (s, 2H), 7.48 (d,4H), 7.23 (t, 4H), 7.10 (dd, 8H), 6.82 (t, 2H); 13C NMR (DMSO-d6, 100MHz) δ (ppm) 145.7, 144.3, 133.7, 131.4, 128.7, 121.2, 119.2, 118.9.
화합물 1의 합성
중간체 B 912mg (2.47 mmol), 중간체 C 336.4mg (1 mmol), t-BuONa 300mg (3 mmol), Pd2(dba)3 40mg (0.02 mmol), P(t-Bu)3 3mg(0.01 mmol)을 톨루엔 5mL에 녹인 후 90oC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이 완결된 후, 상온으로 식히고, 이를 증류수와 디에틸에테르 30mL로 3번 추출하였다. 모아진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용매를 증발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젤관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 1을 노란색 고체로 570mg (수율 70%)을 얻었다.
1H NMR (CDCl3, 300MHz) δ (ppm) 7.99 (d, 2H), 7.95 (s, 2H), 7.61-7.57 (m, 8H), 7.48-7.32 (m, 12H), 7.27-7.19 (m, 8H), 7.18-7.10 (m, 8H), 6.96 (t, 2H); 13C NMR (CDCl3, 100MHz) δ (ppm) 148.4, 147.3, 141.3, 140.4, 138.0, 137.6, 133.9, 129.9, 129.1, 127.4, 127.1, 127.0, 126.1, 125.6, 124.3, 123.0, 122.9, 122.8, 121.7, 120.5, 119.9, 118.5, 110.7, 109.9.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 1을 CHCl3 에 0.2mM 농도로 묽혀서 UV Spectrum 을 얻고 최대흡수파장 351nm를 관찰하였다 (도 2).
또한, 화합물 1에 대한 TGA(Thermo Gravimetric Analysis) 및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를 이용한 열분석 (N2 분위기, 온도구간 : 상온~ 600℃ (10℃/min)-TGA ,상온에서 400℃까지-DSC, Pan Type : Pt Pan in 일회용 Al Pan(TGA) , 일회용 Al pan(DSC)) 을 통해서 Td 494oC, Tg 153oC를 얻었다 (도 3 및 도 4).
UV 흡수 스펙트럼 및 이온화 퍼텐셜 측정기인 AC-2 를 통해서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준위 5.16eV 와 LUMO(Low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준위 2.16eV 를 얻었다.
합성예 2. 화합물 2의 제조
하기 반응식 3의 반응 경로를 거쳐 화합물 2를 합성하였다.
[반응식 3]
Figure 112004055995180-pat00009
중간체 D의 합성
중간체 B 3.69g (10 mmol), 4-아미노벤조니트릴 1.42g (12 mmol), t-BuONa 1.44g (15 mmol), Pd2(dba)3 183mg (0.2 mmol), P(t-Bu)3 40mg(0.2 mmol)을 톨루엔 50mL에 녹인 후 90oC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이 완결된 후, 이를 상온으로 식히고 증류수와 디에틸에테르 50mL로 3번 추출한다. 모아진 유기층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용매를 증발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중간체 D 1.8g (수율 50%)을 얻었다.
화합물 2의 합성
중간체 D 222mg (0.61 mmol), 4,4'-디브로모디페닐 78mg (0.25 mmol), t-BuONa 80mg (0.75 mmol), Pd2(dba)3 10mg (0.01 mmol), P(t-Bu)3 2mg(0.01 mmol)을 톨루엔 5mL에 녹인 후 90oC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결된 후, 반응 혼합물을 상온으로 식힌 후 증류수와 디에틸에테르 10mL로 3번 추출하였다. 이렇게 모아진 유기층을 마그네슘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용매를 증발하여 얻어진 잔류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화합물 2를 노란색 고체로 186mg (수율 86%)을 얻었다.
1H NMR (CDCl3, 300MHz) δ (ppm) 8.02 (d, 2H), 7.97 (d, 2H), 7.64-7.48 (m, 14H), 7.43-7.39 (m, 10H), 7.29-7.22 (m, 8H), 7.03 (d, 4H); 13C NMR (CDCl3 , 100MHz) δ (ppm) 152.1, 145.6, 141.5, 138.9, 138.2, 137.3, 136.3, 133.2, 130.0, 127.9, 127.8, 127.0, 126.6, 125.8, 125.5, 124.6, 122.7, 120.5, 120.2, 119.9, 119.4, 118.9, 111.2, 110.1, 101.8.
상기 과정에 따라 얻은 화합물 2를 CHCl3에 0.2mM 농도로 묽혀서 UV Spectrum 을 얻고 최대흡수파장 351nm를 관찰하였다. (도 5)
또한, 화합물 2에 대한 TGA(Thermo Gravimetric Analysis) 및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를 이용한 열분석 (N2 분위기, 온도구간 : 상온~ 600℃ (10℃ /min)-TGA ,상온에서 400℃ 까지-DSC, Pan Type : Pt Pan in 일회용 Al Pan(TGA) , 일회용 Al pan(DSC))을 통해서 Td 490oC, Tg 178oC, Tm 263 oC를 얻었다 (도 6, 도 7).
UV 흡수 스펙트럼 및 이온화 퍼텐셜 측정기인 AC-2 를 통해서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준위 5.30eV와 LUMO(Low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 에너지준위 2.37eV 를 얻었다.
실시예 1
애노드는 코닝(corning) 15Ω/cm2 (1200Å) ITO 유리 기판을 50mm x 50mm x 0.7mm크기로 잘라서 이소프로필 알코올과 순수를 이용하여 각 5분 동안 초음파 세정한 후, 30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고 오존에 노출시켜 세정하고 진공증착장치에 이 유리기판을 설치하였다.
상기 기판 상부에 우선 정공주입층으로서 화합물 1을 진공 증착하여 600Å 두께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정공 수송성 화합물로서 4,4'-비스[N-(1-나프틸)-N-페닐아미노]비페닐 (이하, NPB)을 300Å의 두께로 진공증착하여 정공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정공수송층 상부에 공지의 청색 형광 호스트인 IDE140(이데미츠사)과 공지의 청색 형광 도펀트인 IDE105(이데미츠사)를 중량비 98 : 2로 동시 증착하여 200Å의 두께로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발광층 상부에 전자수송층을 Alq3를 300Å의 두께로 증착한 후, 이 전자수송층 상부에 할로겐화 알칼리금속인 전자주입층으로 LiF를 10Å의 두께로 증착하고, Al를 3000Å (음극 전극)의 두께로 진공 증착하여 LiF/Al 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 하였다.
이 소자는 전류밀도 50mA/㎠에서 구동전압 7.1V, 발광 휘도 3,214cd/㎡의 고휘도를 나타냈으며, 색좌표는 (0.14, 0.15)이고 발광 효율은 6.43cd/A이었다.
비교예 1
정공주입층 형성시 상기 화합물 1 대신 IDE406(이데미츠사)을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이 소자는 전류밀도 50mA/㎠에서 구동전압 8.0V, 발광 휘도 3,024cd/㎡를 나타냈고, 색좌표는 (0.14, 0.15)로 동일했으며 발광 효율은 6.05cd/A이었다.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 1을 정공주입층 형성 재료로 사용한 결과, 전하의 주입 능력이 향상됨으로 인해 동일전류치에서 구동전압이 1V 정도 낮아졌으며, 전류효율(Current Efficiency)값이 향상되었고 이에 따른 휘도값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 전류밀도하에서의 휘도치 및 전류효율치의 비교결과를 도 8과 도 9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애노드는 코닝(corning) 15Ω/cm2 (1200Å) ITO 유리 기판을 50mm x 50mm x 0.7mm 크기로 잘라서 이소프로필 알코올 과 순수속에서 각 5분 동안 초음파 세정한 후, 30분 동안 자외선을 조사하고 오존에 노출시켜 세정하고 진공증착장치에 이 유리기판을 설치하였다.
상기 기판 상부에 우선 정공주입층으로서 IDE406을 진공 증착하여 600Å 두 께로 형성하였다. 이어서 화합물 1을 300Å의 두께로 진공증착하여 정공수송층을 형성한 후, 이 정공수송층 상부에 청색 형광 호스트인 IDE140과 청색 형광 도펀트인 IDE105를 98:2 중량비로 동시 증착하여 200Å의 두께로 발광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전자수송층으로 Alq3를 300Å의 두께로 증착한 후, 이 전자수송층 상부에 할로겐화 알칼리금속인 LiF를 10Å의 두께로 증착하여 전자주입층을 형성하고, Al를 3000Å (음극 전극)의 두께로 진공 증착하여 LiF/Al 전극을 형성하여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 하였다.
이 소자는 전류밀도 50mA/㎠에서 구동전압 8.2V, 발광 휘도 2,546cd/㎡를 나타냈으며, 색좌표는 (0.14, 0.15)이고 발광 효율은 5.09cd/A이었다.
본 발명에 의한 화합물 1을 정공주입층 형성재료로 이용한 결과, 전류효율이나 구동전압값이 다소 떨어지지만 비교예 1에 거의 근접하는 우수한 정공수송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은 우수한 전기적 특성 및 전하 수송 능력을 갖고 있어 적색, 녹색, 청색, 흰색 등의 모든 칼라의 형광과 인광 소자에 적합한 정공 주입 재료, 정공 수송 재료 및/또는 발광 재료로 유용하며, 이를 이용하여 고효율, 저전압, 고휘도, 장수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화학식 2]
    Figure 112007022472660-pat00024
    상기식중, R1 내지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시아노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이고,
    R은 수소, 시아노기, 불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이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선택된 하나이거나 또는 상기 화학식 2에서 R1 내지 R3은 수소이고, R은 불소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Figure 112007022472660-pat00012
    Figure 112007022472660-pat00013
    Figure 112007022472660-pat00025
    Figure 112007022472660-pat00026
  5. 카바졸 (B')과 디아민 화합물 (C')을 반응하여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을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112007022472660-pat00027
    (C') (B')
    상기식중, X는
    Figure 112007022472660-pat00028
    이고,
    Ar은
    Figure 112007022472660-pat00029
    이고,
    Y는 할로겐 원자이고,
    R1 내지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시아노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이고,
    R은 수소, 시아노기, 불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07022472660-pat00030
    상기식중, R1 내지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시아노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이고,
    R은 수소, 시아노기, 불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시 Pd2(dba)3(dba = dibenzylideneacetone), 소듐 터트부톡사이드 및 트리(터트부틸)포스핀 존재하에서 실시되며,
    반응 온도는 50 내지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의 제조방법.
  7. 제1전극 및 제2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막을 구비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이 제1항 또는 제4항의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이 정공주입층 또는 정공수송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이 정공주입 및 정공수송 기능을 동시에 갖는 단일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이 정공 주입층 또는 정공수송층이고,
    상기 소자가 제1전극/정공주입층/발광층/제2전극, 제1전극/정공수송층/발광
    층/전자수송층/제2전극, 제1전극/정공주입층/정공수송층/발광층/전자수송층/제2전극, 또는 제1전극/정공주입층/정공수송층/발광층/전자수송층/전자주입층/제2전극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이 발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이 인광 또는 형광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에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페닐카바졸계 화합물이 형광 또는 인광 호스트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화학식 2]
    Figure 112007070513300-pat00035
    상기식중, R1 내지 R3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시아노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이고,
    R은 수소, 시아노기, 불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탄소수 4 내지 30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고리,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미노기이다.
  14. 삭제
  15. 삭제
KR1020040098747A 2004-04-02 2004-11-29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87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747A KR100787425B1 (ko) 2004-11-29 2004-11-29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11/286,421 US8021764B2 (en) 2004-11-29 2005-11-25 Phenylcarbazole-based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mploying the same
EP05111348A EP1661888B1 (en) 2004-11-29 2005-11-28 Phenylcarbazole-based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mploying the same
JP2005342448A JP4589223B2 (ja) 2004-11-29 2005-11-28 フェニルカルバゾール系化合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有機電界発光素子
DE602005010961T DE602005010961D1 (de) 2004-11-29 2005-11-28 Phenylcarbazole basierte Verbindungen und deren Verwendung als organische Elektroluminiszierende Vorrichtung
CN2005101217327A CN1978441B (zh) 2004-11-29 2005-11-29 基于苯基咔唑的化合物以及使用所述化合物的有机电致发光器件
US11/806,039 US8188315B2 (en) 2004-04-02 2007-05-29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1/979,267 US8021765B2 (en) 2004-11-29 2007-10-31 Phenylcarbazole-based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mploying the same
JP2010068464A JP2010222355A (ja) 2004-11-29 2010-03-24 フェニルカルバゾール系化合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有機電界発光素子
US13/439,586 US8974922B2 (en) 2004-04-02 2012-04-04 Phenylcarbazole-based compounds and fluorene-based compoun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4/607,326 US9478754B2 (en) 2004-04-02 2015-01-28 Phenylcarbazole-based compounds and fluorene-based compoun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5/266,959 US9917258B2 (en) 2004-04-02 2016-09-15 Phenylcarbazole-based compounds and fluorene-based compoun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5/871,007 US10211406B2 (en) 2004-04-02 2018-01-14 Phenylcarbazole-based compounds and fluorene-based compoun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6/260,111 US10573821B2 (en) 2004-04-02 2019-01-29 Phenylcarbazole-based compounds and fluorene-based compoun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6/742,844 US11482678B2 (en) 2004-04-02 2020-01-14 Phenylcarbazole-based compounds and fluorene-based compoun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17/968,388 US11950501B2 (en) 2004-04-02 2022-10-18 Phenylcarbazole-based compounds and fluorene-based compound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747A KR100787425B1 (ko) 2004-11-29 2004-11-29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613A KR20060059613A (ko) 2006-06-02
KR100787425B1 true KR100787425B1 (ko) 2007-12-26

Family

ID=35709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747A KR100787425B1 (ko) 2004-04-02 2004-11-29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21764B2 (ko)
EP (1) EP1661888B1 (ko)
JP (2) JP4589223B2 (ko)
KR (1) KR100787425B1 (ko)
CN (1) CN1978441B (ko)
DE (1) DE602005010961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126B1 (ko) * 2014-04-11 2015-03-13 주식회사 청화사 높은 삼중항 에너지를 가지는 장수명 oled용 정공수송물질 및 이를 함유하는 ole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Z505371A (en) * 1997-12-24 2001-11-30 Duphar Internat Res B A discontinuous process for growing cells in which part of a preproduction batch is transferred to a production batch and the remainder is used for a subsequent preproduction batch
US8188315B2 (en) * 2004-04-02 2012-05-29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0787425B1 (ko) 2004-11-29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846586B1 (ko) * 2006-05-29 2008-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WO2006043647A1 (en) * 2004-10-19 2006-04-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arbazole derivative, and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carbazole derivative
US8021765B2 (en) 2004-11-29 2011-09-2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Phenylcarbazole-based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mploying the same
US9142783B2 (en) * 2004-11-30 2015-09-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 emitting device
KR20070094817A (ko) 2004-12-28 2007-09-21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안트라센 유도체, 이를 사용하는 발광 소자 및 이를사용하는 발광 디바이스
US7649197B2 (en) * 2005-03-23 2010-01-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omposite material, and light emitting element and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composite material
EP1896413B1 (en) 2005-03-28 2015-04-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nthracene derivative, material for light emitting element, light emitting element,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WO2007015407A1 (en) * 2005-08-04 2007-02-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arbazole derivative, light-emitting element material obtained by using carbazole derivative, light-emitting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KR101288588B1 (ko) * 2005-08-12 2013-07-2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아릴아민 화합물 및 그의 합성 방법
WO2007043484A1 (ja) * 2005-10-07 2007-04-19 Toyo Ink Manufacturing Co., Ltd. カルバゾール含有アミン化合物及びその用途
US7858207B2 (en) * 2005-12-21 2010-12-28 Lg Display Co., Ltd. Host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s
KR101381365B1 (ko) 2006-01-26 2014-04-0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유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반도체장치
KR101415018B1 (ko) 2006-04-28 2014-07-0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안트라센 유도체, 및 안트라센 유도체를 사용하는 발광 소자, 발광 장치 및 전자 기기
CN101506163B (zh) * 2006-08-30 2012-05-02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合成蒽衍生物的方法和蒽衍生物、发光元件、发光装置、电子装置
US7825587B2 (en) 2006-08-31 2010-11-0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Charge transporting layer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JP2008127290A (ja) * 2006-11-16 2008-06-05 Bando Chem Ind Ltd 新規なカルバゾール誘導体とその利用
JP5133259B2 (ja) 2006-11-24 2013-01-30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863905B1 (ko) * 2007-01-15 2008-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함불소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US7723722B2 (en) 2007-03-23 2010-05-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Organic compound, anthracene derivative, and light-emitting element, light-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anthracene derivative
KR100846607B1 (ko) * 2007-05-16 2008-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US20080286445A1 (en) * 2007-05-17 2008-11-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omposition, and method of fabricating light-emitting element
KR101407578B1 (ko) 2007-07-24 2014-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페닐페녹사진 또는 페닐페노시아진계 화합물 및 이를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00038193A (ko) * 2007-08-06 2010-04-13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100981968B1 (ko) * 2007-11-16 2010-09-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장치
KR20130058086A (ko) 2007-12-03 2013-06-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카바졸 유도체, 및 카바졸 유도체를 사용하는 발광 소자, 발광 장치 및 전자 기기
KR100964223B1 (ko) * 2008-02-11 2010-06-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KR100922758B1 (ko) 2008-02-20 2009-10-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20090120699A (ko) * 2008-05-20 2009-11-2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및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WO2010005066A1 (en) * 2008-07-08 2010-01-14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Carbazole derivative, light-emitting element material, light-emitting element, and light-emitting device
KR101026175B1 (ko) * 2008-07-17 2011-04-05 덕산하이메탈(주) 플루오렌카바졸계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042954B1 (ko) * 2008-07-30 2011-06-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아민계 화합물,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러한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EP2332911B1 (en) * 2008-08-22 2015-06-24 LG Chem, Ltd. Material for organic electronic device, and organic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TE517088T1 (de) * 2008-09-19 2011-08-15 Semiconductor Energy Lab Carbazolderivat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EP2364980B1 (en) 2008-11-25 2017-01-04 Idemitsu Kosan Co., Ltd. Aromatic amine derivativ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DE102009005746A1 (de) 2009-01-23 2010-07-29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DE102009009277B4 (de) 2009-02-17 2023-12-07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nische Vorrichtung,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von Verbindungen
DE102009014513A1 (de) 2009-03-23 2010-09-30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KR101603070B1 (ko) * 2009-03-31 2016-03-14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신규한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채용하고 있는 유기 전계발광 소자
DE102009017064A1 (de) 2009-04-09 2010-10-14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JP2012530819A (ja) 2009-06-22 2012-12-06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導電性調合物
DE102009034625A1 (de) 2009-07-27 2011-02-03 Merck Patent Gmbh Neu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JP4523992B1 (ja) 2009-07-31 2010-08-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EP2462203B1 (en) 2009-08-04 2016-03-02 Merck Patent GmbH Electronic devices comprising multi cyclic hydrocarbons
WO2011024451A1 (ja) 2009-08-28 2011-03-03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ルバゾール環構造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2477999B1 (de) 2009-09-16 2019-01-23 Merck Patent GmbH Formulierungen zur herstellung von elektronischen vorrichtungen
DE102009041289A1 (de) 2009-09-16 2011-03-17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DE102009042693A1 (de) 2009-09-23 2011-03-24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DE102009042680A1 (de) 2009-09-23 2011-03-24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JP5585044B2 (ja) * 2009-10-20 2014-09-10 東ソー株式会社 カルバゾール化合物及びその用途
CN102666487B (zh) 2009-10-20 2014-11-05 东曹株式会社 咔唑化合物及其用途
JP5716270B2 (ja) * 2009-10-20 2015-05-13 東ソー株式会社 カルバゾール化合物およびその用途
KR101869670B1 (ko) 2009-10-23 2018-06-20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소자
WO2011048821A1 (ja) 2009-10-23 2011-04-28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DE102009053191A1 (de) 2009-11-06 2011-05-12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DE102009052428A1 (de) 2009-11-10 2011-05-12 Merck Patent Gmbh Verbindung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WO2011076314A1 (en) 2009-12-22 2011-06-30 Merck Patent Gmbh Electroluminescent formulations
JP5897472B2 (ja) 2009-12-22 2016-03-30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機能性界面活性剤
WO2011076323A1 (en) 2009-12-22 2011-06-30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s comprising phase-separated functional materials
CN102668151B (zh) 2009-12-23 2015-06-17 默克专利有限公司 包含有机半导体化合物的组合物
US9178156B2 (en) 2009-12-23 2015-11-03 Merck Patent Gmbh Compositions comprising polymeric binders
WO2011083515A1 (ja) 2010-01-08 2011-07-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および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JPWO2011090149A1 (ja) 2010-01-21 2013-05-23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DE102010010481A1 (de) 2010-03-06 2011-09-08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DE102010010631A1 (de) 2010-03-09 2011-09-15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US9373807B2 (en) 2010-03-11 2016-06-21 Merck Patent Gmbh Radiative fibers
JP6246468B2 (ja) 2010-03-11 2017-12-13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治療および化粧品におけるファイバー
KR101823602B1 (ko) 2010-03-25 2018-01-30 유니버셜 디스플레이 코포레이션 용액 처리 가능한 도핑된 트리아릴아민 정공 주입 물질
US20130026421A1 (en) 2010-04-12 2013-01-31 Merck Patent Gmbh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ation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US9379323B2 (en) 2010-04-12 2016-06-28 Merck Patent Gmbh Composition having improved performance
DE102010020044A1 (de) 2010-05-11 2011-11-17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EP2576724B1 (en) 2010-05-27 2019-04-24 Merck Patent GmbH Method for preparation of organic electronic devices
JP5944380B2 (ja) 2010-05-27 2016-07-05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量子ドットを含む組成物
KR101202349B1 (ko) 2010-06-21 2012-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JP5807011B2 (ja) 2010-06-30 2015-11-10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ルバゾール環構造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729641B1 (ja) * 2010-07-05 2011-07-2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JP4741028B1 (ja) * 2010-07-09 2011-08-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CN103026525B (zh) 2010-07-26 2016-11-09 默克专利有限公司 在器件中的纳米晶体
CN103038215B (zh) 2010-07-30 2016-12-07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具有茚并咔唑环结构的化合物和有机电致发光器件
TWI480279B (zh) 2010-08-16 2015-04-11 Novel carbazole derivative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evices for their applications
DE102010048074A1 (de) 2010-10-09 2012-04-12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DE102010048607A1 (de) 2010-10-15 2012-04-19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WO2012070087A1 (ja) 2010-11-24 2012-05-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および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US8847217B2 (en) 2010-11-24 2014-09-30 Panasonic Corporation Organic EL panel, display device us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EL panel
US8907329B2 (en) 2010-11-24 2014-12-09 Panasonic Corporation Organic el panel, display device us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el panel
US8916862B2 (en) 2010-11-24 2014-12-23 Panasonic Corporation Organic EL panel, display device us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EL panel
CN102702132B (zh) * 2010-11-29 2015-04-29 中国石油化学工业开发股份有限公司 咔唑衍生物及其应用的有机发光二极管装置
EP2663567B1 (de) 2011-01-13 2016-06-01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US9492681B2 (en) 2011-02-14 2016-11-15 Merck Patent Gmbh Device and method for treatment of cells and cell tissue
WO2012126566A1 (en) 2011-03-24 2012-09-27 Merck Patent Gmbh Organic ionic functional materials
EP2690681B1 (en) 2011-03-25 2019-09-11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GB201105582D0 (en) * 2011-04-01 2011-05-18 Cambridge Display Tech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and method
WO2012149992A1 (de) 2011-05-04 2012-11-08 Merck Patent Gmbh Vorrichtung zur aufbewahrung von frischwaren
WO2012152366A1 (en) 2011-05-12 2012-11-15 Merck Patent Gmbh Organic ionic compounds, compositions and electronic devices
KR102021273B1 (ko) * 2011-05-27 2019-09-1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카바졸 화합물, 발광 소자,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WO2012163464A1 (en) 2011-06-01 2012-12-06 Merck Patent Gmbh Hybrid ambipolar tfts
DE102011104745A1 (de) 2011-06-17 2012-12-20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WO2013013754A1 (en) 2011-07-25 2013-01-31 Merck Patent Gmbh Copolymers with functionalized side chains
KR101983019B1 (ko) 2011-08-03 2019-05-28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소자용 물질
US9403795B2 (en) 2011-08-05 2016-08-02 Samsung Display Co., Ltd. Carbazole-based compound an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comprising the same
DE102012016192A1 (de) 2011-08-19 2013-02-21 Merck Patent Gmbh Neue Materialien für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en
WO2013026515A1 (de) 2011-08-22 2013-02-28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vorrichtung
JP6271434B2 (ja) 2011-10-06 2018-01-31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4011022B (zh) 2011-10-26 2016-08-24 东曹株式会社 4-氨基咔唑化合物及其用途
DE102011117422A1 (de) 2011-10-28 2013-05-02 Merck Patent Gmbh Hyperverzweigte Polymer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in elektronischen Vorrichtungen
DE102012022880A1 (de) 2011-12-22 2013-06-27 Merck Patent Gmbh Elektronische Vorrichtungen enthaltend organische Schichten
US9871201B2 (en) 2012-03-15 2018-01-16 Merck Patent Gmbh Electronic devices
KR101973166B1 (ko) * 2012-03-27 2019-04-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EP3809482A3 (en) 2012-06-01 2021-10-27 Idemitsu Kosan Co.,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material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KR101994837B1 (ko) * 2012-07-26 2019-07-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규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DE112013007782B3 (de) 2012-08-03 2022-02-1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chtemittierende Vorrichtung
JP2014043437A (ja) 2012-08-03 2014-03-1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有機化合物、発光素子、発光装置、電子機器、及び照明装置
DE102013214661B4 (de) * 2012-08-03 2023-01-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cht emittierendes Element, Licht emittierende Vorrichtung und Beleuchtungsvorrichtung
KR102196594B1 (ko) 2012-08-30 2020-12-30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이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WO2014044344A1 (de) 2012-09-18 2014-03-27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KR102086546B1 (ko) 2012-10-19 2020-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WO2014067614A1 (de) 2012-10-31 2014-05-08 Merck Patent Gmbh Elektronische vorrichtung
KR20140058755A (ko) 2012-11-05 2014-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KR102096047B1 (ko) * 2012-11-05 2020-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규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KR101716069B1 (ko) 2012-11-12 2017-03-13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소자용 재료
KR20140071897A (ko) 2012-11-26 2014-06-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소자,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US10065959B2 (en) 2012-11-30 2018-09-04 Merck Patent Gmbh Electronic device
WO2014106524A2 (de) 2013-01-03 2014-07-10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KR102197749B1 (ko) 2013-01-03 2021-01-04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소자용 재료
WO2014106523A1 (de) 2013-01-03 2014-07-10 Merck Patent Gmbh Elektronische vorrichtung
KR102220954B1 (ko) 2013-02-14 2021-02-26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CN107963972B (zh) 2013-02-22 2021-09-03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器件
JP6083282B2 (ja) * 2013-03-25 2017-02-22 東ソー株式会社 4−アミノカルバゾール化合物及びその用途
US20160126464A1 (en) 2013-06-12 2016-05-05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N105452255A (zh) 2013-06-14 2016-03-30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二咔唑衍生物和有机电致发光器件
KR102147840B1 (ko) * 2013-06-19 2020-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아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KR101627761B1 (ko) * 2013-07-10 2016-06-07 제일모직 주식회사 유기 화합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KR20160030109A (ko) 2013-07-12 2016-03-16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CN105408449B (zh) 2013-07-30 2018-06-29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电子器件的材料
US11588117B2 (en) 2013-07-30 2023-02-21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electronic devices
KR20150022529A (ko) * 2013-08-23 2015-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181235B1 (ko) * 2013-08-30 2020-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축합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US20160301003A1 (en) 2013-12-06 2016-10-13 Merck Patent Gmbh Compositions containing a polymeric binder which comprises acrylic and/or methacrylic acid ester units
EP3077382B1 (de) 2013-12-06 2018-12-26 Merck Patent GmbH Substituierte oxepine
KR102232692B1 (ko) * 2014-03-13 2021-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축합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WO2015165563A1 (de) 2014-04-30 2015-11-05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KR20150126526A (ko) * 2014-05-02 2015-1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2230191B1 (ko) 2014-05-14 2021-03-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DE102014008722A1 (de) 2014-06-18 2015-12-24 Merck Patent Gmbh Zusammensetz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KR102316844B1 (ko) 2014-06-26 2021-10-22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소자
EP3168887A4 (en) 2014-07-09 2018-03-14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EP2978040B1 (en) * 2014-07-22 2017-12-27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JP5875742B1 (ja) 2014-07-25 2016-03-02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7078224B (zh) 2014-07-29 2020-02-28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器件
US10615343B2 (en) 2014-09-05 2020-04-07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s and electronic devices
US10276800B2 (en) 2014-11-14 2019-04-30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having at least an a node, a hole injection layer, a first hole transport layer. A second hole transport layer a luminous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nd a cathode
JP6038387B2 (ja) 2014-11-18 2016-12-07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7004773A (zh) 2014-12-05 2017-08-01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器件
EP3240057B1 (en) 2014-12-24 2021-04-07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WO2016107663A1 (de) 2014-12-30 2016-07-07 Merck Patent Gmbh Formulierungen und elektronische vorrichtungen
EP3244462B1 (en) 2015-01-06 2020-11-11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WO2016111270A1 (ja) 2015-01-07 2016-07-14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7408635B (zh) 2015-01-08 2019-07-23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器件
WO2016111301A1 (ja) 2015-01-08 2016-07-14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7532013A (zh) 2015-01-30 2018-01-02 默克专利有限公司 具有低粒子含量的制剂
JP6827938B2 (ja) 2015-01-30 2021-02-10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電子素子のための材料
US10566540B2 (en) 2015-02-03 2020-02-18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N107207550B (zh) 2015-02-03 2020-06-05 默克专利有限公司 金属络合物
KR102388727B1 (ko) 2015-03-30 2022-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570137B1 (ko) 2015-03-30 2023-08-23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실록산 용매를 포함하는 유기 기능성 재료의 제형
CN107534093B (zh) 2015-04-27 2020-06-30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器件
KR102628064B1 (ko) 2015-06-11 2024-01-22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아릴아민 화합물 및 유기 전계발광 소자
CN107690720B (zh) 2015-06-12 2020-04-03 默克专利有限公司 作为用于oled制剂的溶剂的含有非芳族环的酯
JP6282614B2 (ja) * 2015-06-22 2018-02-21 ユニバーサル ディスプレイ コーポレイション 溶液加工可能な、ドープされたトリアリールアミン正孔注入材料
CN107836046B (zh) 2015-07-15 2020-08-04 默克专利有限公司 包含有机半导体化合物的组合物
GB201513037D0 (en) 2015-07-23 2015-09-09 Merck Patent Gmbh Phenyl-derived compound for use in organic electronic devices
CN107949561B (zh) 2015-08-14 2021-11-02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有机电致发光器件的吩噁嗪衍生物
JP2018527733A (ja) 2015-08-28 2018-09-20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エポキシ基含有溶媒を含む有機機能性材料の調合物
EP3341448B1 (en) 2015-08-28 2020-02-12 Merck Patent GmbH Compounds for electronic devices
KR102500272B1 (ko) 2015-09-16 2023-02-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CN108292708B (zh) 2015-09-25 2020-03-03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器件
EP3370272A4 (en) 2015-10-29 2019-07-10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1888758B1 (ko) * 2015-11-30 2018-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카바졸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CN108369994B (zh) 2015-12-08 2020-05-19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元件
JP7106451B2 (ja) 2015-12-10 2022-07-26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非芳香族環を含むケトンを含む調合物
WO2017102048A1 (en) 2015-12-15 2017-06-22 Merck Patent Gmbh Esters containing aromatic groups as solvents for organic electronic formulations
US11407916B2 (en) 2015-12-16 2022-08-09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s containing a mixture of at least two different solvents
CN108431143A (zh) 2015-12-16 2018-08-21 默克专利有限公司 含固体溶剂的制剂
JP6810710B2 (ja) 2016-01-14 2021-01-06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3411455B1 (de) 2016-02-05 2020-10-21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WO2017138569A1 (ja) 2016-02-12 2017-08-17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3417033B1 (en) 2016-02-17 2021-02-24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 of an organic functional material
KR20170101128A (ko) 2016-02-26 2017-09-05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유기 화합물, 발광 소자,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DE102016003104A1 (de) 2016-03-15 2017-09-21 Merck Patent Gmbh Behälter umfassend eine Formulierung enthaltend mindestens einen organischen Halbleiter
JP2019523997A (ja) 2016-06-16 2019-08-29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機能材料の調合物
KR102552251B1 (ko) 2016-06-17 2023-07-06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WO2017216128A1 (en) 2016-06-17 2017-12-21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 of an organic functional material
TW201815998A (zh) 2016-06-28 2018-05-0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有機功能材料之調配物
EP3481796B1 (en) 2016-07-08 2021-02-17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102427363B1 (ko) 2016-08-04 2022-07-29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유기 기능성 재료의 제형
KR20180024710A (ko) 2016-08-31 2018-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 소자 및 그를 이용한 표시 장치
US11629126B2 (en) 2016-10-06 2023-04-18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TWI764942B (zh) 2016-10-10 2022-05-2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電子裝置
WO2018077662A1 (en) 2016-10-31 2018-05-03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 of an organic functional material
JP7046938B2 (ja) 2016-10-31 2022-04-04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機能材料の調合物
US11302870B2 (en) 2016-11-02 2022-04-12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electronic devices
KR102440766B1 (ko) 2016-11-16 2022-09-05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TW201833118A (zh) 2016-11-22 2018-09-16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用於電子裝置之材料
US11584753B2 (en) 2016-11-25 2023-02-21 Merck Patent Gmbh Bisbenzofuran-fused 2,8-diaminoindeno[1,2-b]fluorene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unds as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OLED)
EP3544985B1 (en) 2016-11-25 2021-05-12 Merck Patent GmbH Bisbenzofuran-fused indeno[1,2-b]fluorene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unds as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oled)
JP7196072B2 (ja) 2016-12-06 2022-12-26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電子デバイスの調製方法
CN110168047B (zh) 2016-12-13 2023-08-08 默克专利有限公司 有机功能材料的制剂
JP7114596B2 (ja) 2016-12-22 2022-08-08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少なくとも2種の有機機能性化合物を含む混合物
CN110177855A (zh) 2017-01-23 2019-08-27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有机电致发光器件的材料
TWI763772B (zh) 2017-01-30 2022-05-1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電子裝置之有機元件的形成方法
KR20190115034A (ko) 2017-02-02 2019-10-10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디바이스용 재료
EP3367456A1 (en) * 2017-02-28 2018-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EP3590141A1 (en) 2017-03-01 2020-01-08 Merck Patent GmbH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N110325524A (zh) 2017-03-02 2019-10-11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有机电子器件的材料
KR20190128149A (ko) 2017-03-15 2019-11-15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US11158813B2 (en) 2017-03-15 2021-10-26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N117677263A (zh) 2017-03-28 2024-03-08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元件
JP2020522876A (ja) 2017-04-13 2020-07-30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有機電子デバイス用組成物
US11649249B2 (en) 2017-04-25 2023-05-16 Merck Patent Gmbh Compounds for electronic devices
KR102062953B1 (ko) 2017-05-29 2020-0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163202B (zh) * 2017-06-09 2019-05-28 北京石油化工学院 聚n-乙烯基咔唑和聚异丁烯的三嵌段共聚物及其制备方法
US11767299B2 (en) 2017-06-23 2023-09-26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WO2019002198A1 (en) 2017-06-26 2019-01-03 Merck Patent Gmbh HOMOGENEOUS MIXTURES
KR20240059634A (ko) 2017-06-28 2024-05-07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디바이스용 재료
TWI813576B (zh) 2017-07-03 2023-09-0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具有低含量苯酚類雜質的調配物
EP3649123B1 (de) 2017-07-05 2023-03-15 Merck Patent GmbH Zusammensetzung für organische elektronische vorrichtungen
WO2019007867A1 (de) 2017-07-05 2019-01-10 Merck Patent Gmbh Zusammensetzung für organische elektronische vorrichtungen
WO2019016184A1 (en) 2017-07-18 2019-01-24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 OF AN ORGANIC FUNCTIONAL MATERIAL
TWI776926B (zh) 2017-07-25 2022-09-1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金屬錯合物
JP7413252B2 (ja) 2017-07-28 2024-01-15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電子デバイスに使用するためのスピロビフルオレン誘導体
KR20200051722A (ko) 2017-09-08 2020-05-13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디바이스용 재료
KR20200051720A (ko) 2017-09-13 2020-05-13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US11605785B2 (en) 2017-09-25 2023-03-14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KR102462422B1 (ko) 2017-10-12 2022-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아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CN108675975A (zh) 2017-10-17 2018-10-19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有机电致发光器件的材料
US20200328355A1 (en) 2017-11-06 2020-10-15 Hodogaya Chemical Co., Ltd. Compound having indenocarbazole ring structur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TWI785142B (zh) 2017-11-14 2022-12-0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用於有機電子裝置之組成物
WO2019098234A1 (ja) 2017-11-16 2019-05-23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3714022B1 (de) 2017-11-23 2023-06-07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US11639339B2 (en) 2017-11-24 2023-05-02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TWI820057B (zh) 2017-11-24 2023-11-0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用於有機電致發光裝置的材料
WO2019111844A1 (ja) 2017-12-05 2019-06-13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アリールアミン化合物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TWI791701B (zh) 2017-12-13 2023-02-1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金屬錯合物
WO2019115577A1 (en) 2017-12-15 2019-06-20 Merck Patent Gmbh Substituted aromatic amines for use i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CN111418081A (zh) 2017-12-15 2020-07-14 默克专利有限公司 有机功能材料的制剂
US11871656B2 (en) 2018-01-26 2024-01-09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and monoamine compound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JP7465062B2 (ja) 2018-01-26 2024-04-10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有機電界発光素子用モノアミン化合物
CN108299282A (zh) * 2018-01-30 2018-07-20 瑞声科技(南京)有限公司 一种对称取代的芳香胺化合物及在oled器件中的应用
CN111699192B (zh) 2018-02-13 2024-03-08 Udc爱尔兰有限公司 金属络合物
CN111670506B (zh) 2018-02-15 2023-06-09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元件
CN111712551A (zh) 2018-02-26 2020-09-25 默克专利有限公司 有机功能材料的制剂
TW201938761A (zh) 2018-03-06 2019-10-0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用於有機電致發光裝置的材料
TWI802656B (zh) 2018-03-06 2023-05-2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用於有機電致發光裝置之材料
US20210020843A1 (en) 2018-03-16 2021-01-21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102508497B1 (ko) 2018-03-26 2023-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KR20210016423A (ko) 2018-05-30 2021-02-15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유기 전자 디바이스용 조성물
US20220336754A1 (en) * 2018-06-07 2022-10-20 Merck Patent Gmbh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s
KR102630640B1 (ko) 2018-06-08 2024-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및 아민계 화합물
WO2019238782A1 (en) 2018-06-15 2019-12-19 Merck Patent Gmbh Formulation of an organic functional material
KR20210024995A (ko) 2018-06-25 2021-03-08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트리아릴아민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KR102628848B1 (ko) 2018-08-10 2024-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축합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TWI823993B (zh) 2018-08-28 2023-12-0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用於有機電致發光裝置之材料
KR20210052487A (ko) 2018-08-28 2021-05-10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유기 전계 발광 디바이스용 재료
KR20210052486A (ko) 2018-08-28 2021-05-10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유기 전계 발광 디바이스용 재료
KR20210057092A (ko) 2018-09-12 2021-05-20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유기 전계발광 디바이스용 재료
JP2022502829A (ja) 2018-09-24 2022-01-11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粒状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TW202030192A (zh) 2018-10-31 2020-08-16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有機電致發光裝置用材料
KR20200052503A (ko) 2018-11-06 2020-05-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아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US20220013724A1 (en) 2018-11-06 2022-01-13 Merck Patent Gmbh Method for forming an organic element of an electronic device
EP3890042A4 (en) 2018-11-29 2022-08-17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CENT ELEMENT
CN109608383A (zh) * 2018-12-10 2019-04-12 北京燕化集联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材料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9608384A (zh) * 2018-12-10 2019-04-12 北京燕化集联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材料及其制备方法与其在电致发光器件中的应用
CN109608386A (zh) * 2018-12-10 2019-04-12 北京燕化集联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材料及其在器件中的应用
CN109608385A (zh) * 2018-12-10 2019-04-12 北京燕化集联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材料及其制备与应用
EP3922695A4 (en) 2019-02-07 2022-11-16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TW202043247A (zh) 2019-02-11 2020-12-0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金屬錯合物
KR20200099249A (ko) 2019-02-13 2020-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EP3928360A1 (de) 2019-02-18 2021-12-29 Merck Patent GmbH Zusammensetzung für organische elektronische vorrichtungen
US20220127286A1 (en) 2019-03-04 2022-04-28 Merck Patent Gmbh Ligands for nano-sized materials
KR20200110578A (ko) * 2019-03-15 2020-09-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한 표시 장치
KR20200113057A (ko) 2019-03-20 2020-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아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KR20200113084A (ko) 2019-03-21 2020-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모노아민 화합물
EP3935063A1 (en) 2019-04-11 2022-01-12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KR20200145889A (ko) 2019-06-19 2020-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아민 화합물
KR20210032601A (ko) 2019-09-16 2021-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JP2022549204A (ja) 2019-09-19 2022-11-24 メルク パテント ゲーエムベーハー 2種のホスト材料の混合物、およびこれを含む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デバイス
KR20210038736A (ko) 2019-09-27 2021-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축합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KR20210042215A (ko) 2019-10-08 2021-04-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20220086562A (ko) 2019-10-23 2022-06-23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CN112745339B (zh) * 2019-10-30 2021-12-21 北京绿人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含咔唑啉结构的有机化合物及其应用和一种有机电致发光器件
EP4055642A1 (en) 2019-11-04 2022-09-14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TW202130783A (zh) 2019-11-04 2021-08-16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有機電致發光裝置
TW202134252A (zh) 2019-11-12 2021-09-16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有機電致發光裝置用材料
JP2023504723A (ja) 2019-12-04 2023-02-06 メルク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金属錯体
TW202136181A (zh) 2019-12-04 2021-10-0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有機電致發光裝置用的材料
CN111153894B (zh) * 2020-01-05 2021-05-14 浙江大学 一种芳胺类化合物及其在光电器件中的应用
EP3855524A1 (en) 2020-01-21 2021-07-28 Samsung Display Co., Ltd. Light emitting diod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20130673A (ko) 2020-01-21 2022-09-27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아릴아민 화합물 및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WO2021149773A1 (ja) 2020-01-22 2021-07-29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21172452A1 (ja) 2020-02-26 2021-09-02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アリールアミン化合物およびそれを用いる電子機器
WO2021177022A1 (ja) 2020-03-03 2021-09-10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4118696B1 (de) 2020-03-11 2023-12-20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ierende vorrichtung
EP4118695B1 (de) 2020-03-11 2024-05-01 Merck Patent GmbH Organische elektrolumineszierende vorrichtung
TW202200529A (zh) 2020-03-13 2022-01-0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有機電致發光裝置
US20230337537A1 (en) 2020-03-23 2023-10-19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CN115700058A (zh) 2020-04-21 2023-02-03 默克专利有限公司 包含有机功能材料的乳液
US20230255106A1 (en) 2020-05-29 2023-08-10 Merck Patent Gmbh Organic electroluminescent apparatus
JPWO2021256515A1 (ko) 2020-06-19 2021-12-23
WO2021259824A1 (de) 2020-06-23 2021-12-30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ischung
KR20220011258A (ko) 2020-07-20 2022-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용 아민 화합물
EP4186113A1 (en) 2020-07-22 2023-05-31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WO2022017997A1 (en) 2020-07-22 2022-01-27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20230247850A1 (en) 2020-08-05 2023-08-03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WO2022039106A1 (ja) 2020-08-17 2022-02-24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4222155A1 (de) 2020-09-29 2023-08-09 Merck Patent GmbH Mononukleare tripodale hexadentate iridium komplexe zur verwendung in oleds
WO2022080490A1 (ja) 2020-10-16 2022-04-21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アリールアミン化合物、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電子機器
KR20230098799A (ko) 2020-11-06 2023-07-04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TW202237797A (zh) 2020-11-30 2022-10-0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用於有機電致發光裝置之材料
KR20230114756A (ko) 2020-12-08 2023-08-01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잉크 시스템 및 잉크젯 인쇄를 위한 방법
EP4320649A1 (en) 2021-04-09 2024-02-14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EP4320648A1 (en) 2021-04-09 2024-02-14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TW202309243A (zh) 2021-04-09 2023-03-01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用於有機電致發光裝置之材料
EP4079742A1 (de) 2021-04-14 2022-10-26 Merck Patent GmbH Metallkomplexe
CN117355364A (zh) 2021-05-21 2024-01-05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连续纯化至少一种功能材料的方法和用于连续纯化至少一种功能材料的装置
WO2023012084A1 (en) 2021-08-02 2023-02-09 Merck Patent Gmbh A printing method by combining inks
JPWO2023013575A1 (ko) 2021-08-03 2023-02-09
KR20240052050A (ko) 2021-08-31 2024-04-22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조성물
JPWO2023038006A1 (ko) 2021-09-07 2023-03-16
KR20240058919A (ko) 2021-09-13 2024-05-03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유기 전계 발광 디바이스용 재료
WO2023052313A1 (de) 2021-09-28 2023-04-06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WO2023052314A1 (de) 2021-09-28 2023-04-06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WO2023052272A1 (de) 2021-09-28 2023-04-06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WO2023052275A1 (de) 2021-09-28 2023-04-06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TW202349760A (zh) 2021-10-05 2023-12-16 德商麥克專利有限公司 電子裝置之有機元件的形成方法
WO2023094412A1 (de) 2021-11-25 2023-06-01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WO2023117837A1 (de) 2021-12-21 2023-06-29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uterierten organischen verbindungen
WO2023152346A1 (de) 2022-02-14 2023-08-17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KR20230127061A (ko) 2022-02-24 2023-08-31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아릴아민 화합물,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및 전자 기기
WO2023208899A1 (en) 2022-04-28 2023-11-02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WO2023222559A1 (de) 2022-05-18 2023-11-23 Merck Pat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deuterierten organischen verbindungen
WO2023237458A1 (en) 2022-06-07 2023-12-14 Merck Patent Gmbh Method of printing a functional layer of an electronic device by combining inks
WO2023247663A1 (de) 2022-06-24 2023-12-28 Merck Patent Gmbh Zusammensetzung für organische elektronische vorrichtungen
WO2023247662A1 (de) 2022-06-24 2023-12-28 Merck Patent Gmbh Zusammensetzung für organische elektronische vorrichtungen
WO2024013004A1 (de) 2022-07-11 2024-01-18 Merck Patent Gmbh Materiali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WO2024033282A1 (en) 2022-08-09 2024-02-15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CN115448842B (zh) * 2022-08-29 2024-04-19 江苏南大光电材料股份有限公司 联苯二胺型芳胺化合物的制备方法
CN117998922A (zh) 2022-11-04 2024-05-07 默克专利有限公司 用于有机电致发光器件的材料
WO2024105066A1 (en) 2022-11-17 2024-05-23 Merck Patent Gmbh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443A (ja) 1996-12-17 1998-06-23 Sanyo Shinku Kogyo Kk 有機発光素子の正孔または電子輸送層等に用いられるフェニルカルバゾール誘導体
JPH11329737A (ja) 1998-03-13 1999-11-30 Taiho Ind Co Ltd 有機多層型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有機多層型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構造体の合成方法
WO2003008515A1 (en) * 2001-07-17 2003-01-30 Cdt Oxford Limited Tertiary diamines containing heterocyclic groups and their use i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WO2004101491A1 (ja) 2003-05-15 2004-11-25 Idemitsu Kosan Co. Ltd. アリールアミン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050097670A (ko) * 2004-04-02 2005-10-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루오렌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6429A (en) 1980-07-17 1982-10-26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cell
JP2501198B2 (ja) 1986-05-30 1996-05-2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感光体
JP3443145B2 (ja) 1993-11-30 2003-09-02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JPH07234415A (ja) 1994-02-21 1995-09-05 Tomoegawa Paper Co Ltd 光半導体素子
JP2846571B2 (ja) 1994-02-25 1999-01-13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3139321B2 (ja) 1994-03-31 2001-02-26 東レ株式会社 発光素子
JP3579730B2 (ja) 1995-06-28 2004-10-20 チッソ株式会社 キノキサリン誘導体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JP3564859B2 (ja) 1996-04-01 2004-09-15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H10199674A (ja) 1996-11-15 1998-07-31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駆動方法、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及び表示装置
DE69804529T2 (de) 1997-05-19 2002-10-02 Canon Kk Organisches Material und elektrolumineszente Vorrichtung dasselbe nutzend
JP3508984B2 (ja) 1997-05-19 2004-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化合物及び該有機化合物を用いた発光素子
JP3985311B2 (ja) 1997-10-20 2007-10-03 チッソ株式会社 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電界発光素子
JP3838766B2 (ja) 1997-11-06 2006-10-25 三井化学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JPH11329734A (ja) 1998-03-10 1999-11-30 Mitsubishi Chemical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
US6465115B2 (en) 1998-12-09 2002-10-15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anthracene derivatives hole transport layer
EP1009043A3 (en) 1998-12-09 2002-07-03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polyphenyl hydrocarbon hole transport layer
JP2001209331A (ja) 2000-01-27 2001-08-03 Tdk Corp 薄膜表示装置
JP2002252089A (ja) 2001-02-26 2002-09-06 Bando Chem Ind Ltd 両面発光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1289015B1 (en) * 2001-08-28 2012-05-23 Konica Corporation Multicolor light emission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477799B2 (ja) 2001-09-03 2010-06-09 三井化学株式会社 アミン化合物および該化合物を有する有機電界発光素子
DE10203328A1 (de) 2002-01-28 2003-08-07 Syntec Ges Fuer Chemie Und Tec Neue Triarylamin-Derivate mit raumfüllenden Flügelgruppen und ihre Einsatz in elektro-fotografischen und organischen elektrolumineszenten Vorrichtungen
KR20030093016A (ko) 2002-06-01 2003-1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소자
JP4122901B2 (ja) 2002-08-28 2008-07-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JP4221973B2 (ja) 2002-08-28 2009-02-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JP4239523B2 (ja) 2002-08-28 2009-03-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有機電界発光素子
US20040140757A1 (en) 2003-01-17 2004-07-22 Eastman Kodak Company Microcavity OLED devices
JP3877692B2 (ja) 2003-03-28 2007-02-07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049741B2 (en) 2004-01-27 2006-05-23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with improved light emission through substrate
KR100537621B1 (ko) 2004-02-02 2005-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리듐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05294504A (ja) 2004-03-31 2005-10-20 Nippon Chemicon Corp 固体電解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4585786B2 (ja) 2004-04-01 2010-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KR100669716B1 (ko) 2004-07-14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페닐카르바졸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8188315B2 (en) 2004-04-02 2012-05-29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0787425B1 (ko) 2004-11-29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721554B1 (ko) 2004-07-22 2007-05-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JP4782791B2 (ja) 2004-09-22 2011-09-28 ドーサン・コーポレーション 三原色光を利用する白色有機電界発光素子
WO2006045199A1 (en) 2004-10-28 2006-05-04 Zheng-Hong Lu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with multiple hole injection layers containing fullerene
US8021765B2 (en) 2004-11-29 2011-09-2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Phenylcarbazole-based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mploying the same
JP5311712B2 (ja) 2004-12-28 2013-10-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アントラセン誘導体とそれを用いた発光素子、発光装置
JP5089063B2 (ja) 2005-03-23 2012-12-0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複合材料および複合材料を用いた発光素子並びに発光装置
WO2007043484A1 (ja) 2005-10-07 2007-04-19 Toyo Ink Manufacturing Co., Ltd. カルバゾール含有アミン化合物及びその用途
US20070134512A1 (en) 2005-12-13 2007-06-14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containing an anthracene derivative
KR100964223B1 (ko) 2008-02-11 2010-06-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68443A (ja) 1996-12-17 1998-06-23 Sanyo Shinku Kogyo Kk 有機発光素子の正孔または電子輸送層等に用いられるフェニルカルバゾール誘導体
JPH11329737A (ja) 1998-03-13 1999-11-30 Taiho Ind Co Ltd 有機多層型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有機多層型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構造体の合成方法
WO2003008515A1 (en) * 2001-07-17 2003-01-30 Cdt Oxford Limited Tertiary diamines containing heterocyclic groups and their use i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WO2004101491A1 (ja) 2003-05-15 2004-11-25 Idemitsu Kosan Co. Ltd. アリールアミン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050097670A (ko) * 2004-04-02 2005-10-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루오렌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2126B1 (ko) * 2014-04-11 2015-03-13 주식회사 청화사 높은 삼중항 에너지를 가지는 장수명 oled용 정공수송물질 및 이를 함유하는 ol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78441B (zh) 2013-06-05
CN1978441A (zh) 2007-06-13
DE602005010961D1 (de) 2008-12-24
JP2006151979A (ja) 2006-06-15
EP1661888A1 (en) 2006-05-31
US20060115680A1 (en) 2006-06-01
US8021764B2 (en) 2011-09-20
JP4589223B2 (ja) 2010-12-01
EP1661888B1 (en) 2008-11-12
KR20060059613A (ko) 2006-06-02
JP2010222355A (ja) 201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425B1 (ko)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573137B1 (ko) 플루오렌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669716B1 (ko) 페닐카르바졸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846586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KR101022649B1 (ko)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장치
KR101097312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0863905B1 (ko) 함불소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101117722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1193183B1 (ko)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101050459B1 (ko) 플루오렌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장치
KR100696528B1 (ko) 트리아릴아민계 화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표시 소자
KR101137385B1 (ko) 헤테로아릴아민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20090089073A (ko) 실란일아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막을 구비한 유기발광 소자
JP4787277B2 (ja) イミダゾピリミジン系化合物及びそれを含む有機膜を備えた有機発光素子
KR100822212B1 (ko) 실란일아민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막을 구비한 유기발광 소자
KR100670254B1 (ko) 트리아릴아민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863906B1 (ko) 카바졸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막을 구비한 유기발광 소자
KR20090098588A (ko) 신규한 유기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101193182B1 (ko) 유기 발광 소자
KR100846608B1 (ko)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KR20090018503A (ko) 옥사디아졸 유도체 화합물 및 이를 구비한 유기 발광 소자
KR100787451B1 (ko) 칼렉스아렌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