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554B1 -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554B1
KR100721554B1 KR1020040057383A KR20040057383A KR100721554B1 KR 100721554 B1 KR100721554 B1 KR 100721554B1 KR 1020040057383 A KR1020040057383 A KR 1020040057383A KR 20040057383 A KR20040057383 A KR 20040057383A KR 100721554 B1 KR100721554 B1 KR 100721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hole transport
transport layer
pixel
pixel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7899A (ko
Inventor
류승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7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554B1/ko
Priority to JP2005081258A priority patent/JP4587852B2/ja
Priority to US11/185,850 priority patent/US7400088B2/en
Priority to CNB2005100874209A priority patent/CN100482025C/zh
Publication of KR2006000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7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554B1/ko
Priority to US12/132,779 priority patent/US766738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9/87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2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a resonant cavity structure, e.g. Bragg reflector pai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6Hole transporting layers comprising a multi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 1 화소 영역,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절연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화소 영역마다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층, 기판 전면에 걸쳐 상기 제 1 전극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정공 주입층, 상기 제 1 전극층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화소 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정공 수송층, 상기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정공 수송층,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3 정공 수송층,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정공 수송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유기 발광층, 제 2 유기 발광층 및 제 3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 1 유기 발광층, 제 2 유기 발광층 및 제 3 유기 발광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화소 영역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광 파장 차이의 1/3 내지 2/3이고, 상기 제 3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화소 영역과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광 파장의 차이의 1/3 내지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최적의 공진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 정공 수송층, 고정세 마스크, 공진 구조

Description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도 1은 통상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적의 공진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박막트랜지스터를 구비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능동 발광형 표시 소자로서 시야각이 넓고 콘트라스트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응답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차세대 표시 소자로서 주목받고 있다.
한편,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발광층(emitting layer) 형성용 물질에 따라 무기 EL 소자와 유기 EL 소자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유기 EL 소자는 무기 EL 소자에 비하여 휘도, 구동 전압 및 응답 속도 특성이 우수하고 다색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다수개의 스캔 라인과 이와는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데이터 라인에 의하여 정의되는 화소 영역이 각각 적색, 녹색, 청색을 구현함으로써 풀칼라 평판 표시 소자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통상의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유기 EL 소자는 적색(R), 녹색(G), 청색(B)을 구현하도록 각각 적색 화소 영역, 녹색 화소 영역, 및 청색 화소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기판(10) 상부에 각각 소정 패턴의 제 1 전극층(12)이 형성되어 있다. 전면 발광 구조의 경우에는 반사 전극인 금속 전극으로 형성하거나 또한, 반사막을 포함하는 투명 전극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각 화소 영역을 절연하여 화소를 정의하기 위하여 절연 물질로 적층한 후 패턴하여 개구부를 포함하는 화소 정의막(14)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전극층 상부에는 정공 주입층(16), 정공 수송층(18)이 공통층으로 기판 전면에 걸쳐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18) 상부에 각각 화소 영역에 해당하는 발광 물질을 적층하여 R, G, B 발광층을 형성한다.
필요에 따라, 정공 억제층(21), 전자 수송층(22), 및 전자 주입층(23)이 순차적으로 기판 전면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전자 주입층(23)의 상면에는 소정 패턴의 제 2 전극층(2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정공 주입층(16), 정공 수송층(18), 발광층, 정공 억제층(21), 전자 수송층(22), 전자 주입층(23)은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유기 박막들이다.
그러나,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경우 각 화소마다, 즉, 각 색별로 그 발광 효율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즉, 녹색 발광 물질의 경우 적색 및 청색 발광 물질보다 발광 효율이 우수하며 또한, 적색 발광 물질은 청색 발광 물질보다 발광 효율이 우수하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유기 박막들의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최대의 효율과 휘도를 얻으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특개평 제4-137485호에는 양극, 홀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음극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의 막 두께를 30 내지 60 nm로 설정함으로써 발광의 효율을 향상시키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개평 제4-328295호에는 전자 수송층의 막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발광층에서 발생한 빛과 음극으로부터 반사되어 오는 빛이 간섭하는 경우에 빛의 휘도가 실질적으로 증가되도록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개평 제7-240277호에는 광학적 막 두께를 제어함으로써, 휘도를 향상시키고, 특히 청색 발광의 색순도를 높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휘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칼라별로 광학적 두 께가 다르게 형성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양산 공정에서 칼라별로 공정을 전면적으로 달리하여 광학적 두께가 칼라별로 다르도록 형성하는 것은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RGB 화소마다 최적의 공진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 화소 영역,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절연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화소 영역마다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층;
상기 기판 전면에 걸쳐 상기 제 1 전극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정공 주입층;
상기 제 1 전극층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화소 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정공 수송층;
상기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정공 수송층;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3 정공 수송층;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정공 수송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유기 발광층, 제 2 유기 발광층 및 제 3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 1 유기 발광층, 제 2 유기 발광층 및 제 3 유기 발광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화소 영역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광 파장 차이의 1/3 내지 2/3이고, 상기 제 3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화소 영역과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광 파장의 차이의 1/3 내지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부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상부 전극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제 1 화소 영역,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화소 영역 중 서로 인접하는 두 화소 영역의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사이의 거리의 차이는 상기 서로 인접하는 두 화소 영역의 광 파장 차이의 1/3 내지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제 1 전극층을 패턴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극 상에 화소 정의막을 기판 전면에 걸쳐 형성하고, 발광 영역이 개구되도록 상기 화소 정의막을 패턴하여 제 1 화소 영역,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의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걸쳐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공 주입층 상부에 제 1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의 상부에만 제 2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상부에만 제 3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화소 영역에 제 1, 제 2 및 제 3 발광물질을 패턴하여 제 1 발광층, 제 2 발광층 및 제 3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화소 영역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광 파장 차이의 1/3 내지 2/3이고, 상기 제 3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화소 영역과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광 파장의 차이의 1/3 내지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제 1 전극층을 패턴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극 상에 화소 정의막을 기판 전면에 걸쳐 형성하고, 발광 영역이 개구되도록 상기 화소 정의막을 패턴하여 제 1 화소 영역,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의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걸쳐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화소 영역의 정공 수송층을 패턴하여 형성하고, 연속해서 상기 제 1 발광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정공 수송층을 패턴하여 형성하고, 연속해서 상기 제 2 발광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정공 수송층을 패턴하여 형성하고 연속해서 상기 제 3 발광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화소 영역에 제 1, 제 2 및 제 3 발광물질을 패턴하여 제 1 발광층, 제 2 발광층 및 제 3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정공 수송층의 두께와 상기 제 1 화소 영역의 정공 수송층의 두께의 차이는 상기 제 1 화소 영역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광 파장 차이의 1/3 내지 2/3이고,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정공 수송층의 두께와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화소 영역과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광 파장의 차이의 1/3 내지 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먼저 제 1 화소 영역(100), 제 2 화소 영역(200) 및 제 3 화소 영역(300)을 구비하고 있는 기판(10) 위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화소 영역(100, 200, 300)마다 각각 제 1 전극층(12)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화소 영역(100), 제 2 화소 영역(200) 및 제 3 화소 영역(300)은 각각 서로 다른 색을 구현하며, 또한, 각각의 화소 영역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구현한다. 즉, 예를 들어, 제 1 화소 영역이 적색이고, 제 2 화소 영역은 녹색이면 제 3 화소 영역은 청색이 되며, 제 1 화소 영역이 녹색이고, 제 2 화소 영역이 청색이면, 제 3 화소 영역은 적색을 구현한다. 이 이외에도 이와 같은 조합으로 각 화소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제 1 화소 영역(100)은 청색, 제 2 화소 영역(200)은 녹색, 제 3 화소 영역(300)은 적색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판으로는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 등과 같이 투명 절연 기판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극층(12)은 반사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전극으로는 Al, Al의 합금, Ag 위에 ITO, IZO 등의 이중 반사막 아노드, 또는 Ag 와 ITO 등의 3중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 1 전극층(12) 상부에 화소 정의막(14)을 형성하고, 발광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화소 정의막(14)을 패턴한다. 상기 화소 정의막(14)으로는 BCB, 아크릴 수지 등 유기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제 1 전극층(12) 상부에 정공 주입층(16)이 형성된다. 상기 정공 주입층(16)은 기판 전면에 걸쳐 각 화소영역에 공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공 주입층(16)으로는 프탈로시아닌 구리(copper phthalocynine; CuPc) 또는 4,4',4"-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4,4',4"-tris(N-(3-methylphenyl)-N-phenylamino)triphenylamine)(MTDATA) 등의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정공 주입층(16) 상부에 기판 전면에 걸쳐 제 1 정공 수송층(18-1)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18-1)은 공통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의 두께(18-1)는 300 내지 500 Å가 되거나, 상기 정공 주입층과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의 합이 1300Å 내지 1500Å이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100)을 제외하고, 제 2 화소 영역(200) 및 제 3 화소 영역(300)에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18-1) 상부에 제 2 정공 수송층(18-2)을 고정세 마스크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 1 및 제 2 화소 영역(100, 200)을 제외하고, 제 3 화소 영역(300)에만 고정세 마스크를 사용하여 제 3 정공 수송층(18-3)을 형성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 1, 제 2 및 제 3 화소 영역(100, 200, 300) 각각에 서로 다른 두께의 정공 수송층(18)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각 적색, 녹색, 청색의 최대 강도(intensity)일 때의 파장대는 서로 각각 차이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청색의 최대 강도일 때의 파장대는 460 nm, 녹색의 경우 520 nm, 적색의 경우 630 nm이고, 이 때, 상기 제 1 전극(12)과 발광층 사이의 광패스(예를 들어, 제 1 화소 영역(100)의 경우의 a)와 발광층과 제 1 전극 사이의 거리, 즉 광학적 두께(예를 들어, 제 1 화소 영역(100)의 경우 a/2)가 각 색상별로 동일하다고 하면, 파장에 따른 광의 이동 거리에 차이가 발생하여 최적의 광학적 특성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각 색상의 최대 강도일 때의 파장대의 차이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전극(12)과 발광층 사이의 광패스(a), 즉 광학적 두께(a/2)를 각 색상별로 차이를 두어 최적의 광학적 공진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최적의 광학적 공진 구조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인접하는 두 화소 영역의 제 1 전극(12)과 발광층(20-1, 20-2) 사이의 광 패스의 차이, 즉 광학적 두께의 차이는 두 화소 영역의 색상의 최대 강도를 가질 때의 파장 차이의 1/3 내지 2/3가 되도록 하고, 바람직하기로는 1/2이 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화소 영역(100)의 색상이 최대 강도를 가질 때의 파장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200)의 색상이 최대 강도를 가질 때의 파장 차이를 2x라 하면, 상기 제 1 화소 영역(100)의 제 1 전극(12)과 발광층(20-1) 사이의 광패스와 상기 제 2 화소 영역(200)의 제 1 전극(12)과 발광층(20-1) 사이의 광패스의 차이가 2x가 되게 한다. 즉, 상기 제 1 화소 영역(100)의 광패스가 a이면, 상기 제 2 화소 영역(200)의 광패스는 a+2x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100)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200)의 광학적 두께, 즉, 발광층(20-1, 20-2)과 상기 제 1 전극(12) 사이의 두께의 차이는 x가 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18-2)의 두께는 x가 되도록 형성하면 최적의 광학적 공진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x는 300 내지 500 Å가 되거나, 상기 정공 주입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정공 수송층의 합이 1300Å 내지 1500Å이면 바 람직하다.
이와 동일하게, 인접하는 상기 제 2 화소 영역(200)과 상기 제 3 화소 영역(300)의 각 색상이 최대 강도를 가질 때의 파장 차이를 2y라 하면, 두 화소 영역의 제 1 전극(12)과 발광층(20-2, 20-3) 사이의 광패스의 차이는 2y가 되고, 광학적 두께의 차이는 2y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정공 수송층(18-3)의 두께를 y로 형성하면 최적의 광학적 공진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y는 300 Å 내지 500 Å이 거나, 상기 정공 주입층과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정공 수송층의 합이 2100Å 내지 2300Å이면 바람직하다.
이상의 예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 광학적 두께의 차이는 두 화소 영역의 색상의 최대 강도를 가질 때의 파장 차이의 1/2이 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1/3 내지 2/3이 되어도 최적이 광학적 공진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18-2)과 상기 제 3 정공 수송층(18-3)은 각각 개별적으로 각 화소 영역마다 형성할 수 있으나 공정의 단순화를 위하여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18-2)은 상기 제 2 화소 영역(200) 및 제 3 화소 영역(300)에 공통층으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정공 수송층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로는 각각 독립적으로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NPD) 또는 PEDOT등이 있다.
즉,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 제 2 정공 수송층 및 제 3 정공 수송층은 각각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 제 2 정공 수송층 및 제 3 정공 수송층 중 2개의 층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 제 2 정공 수송층 및 제 3 정공 수송층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각 화소 영역의 소자 특성에 맞도록 정공 주입층이 1000Å이라면 제 1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대략 300Å 내지 500Å이고, 청색의 최적효율, 색좌표의 파장대가 460nm 즉 4600Å이므로 광패스를 고려하여 그 절반인 대략 정공 주입층(HIL)과 정공 수송층(HTL)의 두께 합이 1300Å 근처에서 최적의 보강간섭으로 최적효율 및 색좌표를 갖는다.
계속해서, 상기 정공 수송층 상부에 각각 제 1 발광물질, 제 2 발광물질, 제 3 발광물질을 패턴하여 제 1, 제 2(20-2) 및 제 3 발광층(20-1, 20-2, 20-3)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경우,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현하기 위해서, 제 1, 제 2, 제 3 화소 영역 각각이 적색, 녹색, 청색을 구현하여 한다. 그런데, 소자 특성 특히, 발광 효율을 고려하면, 적색이 가장 장파장이고, 그 다음이 녹색, 청색의 순이므로 정공 수송층의 전체 두께가 얇은 영역이 청색을 구현하는 영역이 되어야 하고, 그 다음이 녹색을 구현하는 영역, 그리고, 적색을 구현하는 영역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 1 화소 영역(100)에 청색 발광층(20-1)이 형성되고, 제 2 화소 영역(200)에 녹색 발광층(20-2)이 형성되고, 마지막으로 제 3 화소 영역(300)에 적색 발광층(20-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색 발광층은 호스트 물질로서 CBP(carbazole biphenyl) 또는 mCP를 포함하며, 도판트 물질로서 PIQIr(acac) (bis(1-phenylisoquinoline)acetylacetonate iridium), PQIr(acac) (bis(1-phenylquinoline)acetylacetonate iridium ), PQIr (tris(1-phenylquinoline) iridium) 및 PtOEP(octaethylporphyrin platinu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광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적색 발광층은 PBD:Eu(DBM)3(Phen) 또는 페릴렌(Perylene)과 같은 형광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녹색 발광층은 호스트 물질로서 CBP 또는 mCP를 포함하며, 도판트 물질로서 Ir(ppy)3 (fac tris(2-phenylpyridine) iridium)를 포함하는 인광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녹색 발광층은 Alq3(tris(8-hydroxyquinolino)aluminum)와 같은 형광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청색 발광층은 DPVBi, 스피로-DPVBi, 스피로-6P, 디스틸벤제(DSB), 디스티릴아릴렌(DSA), PFO계 고분자 및 PPV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형광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청색 발광층을 인광물질로 형성하는 경우 광 특성이 불안정하여 상기한 형광재료들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이상과 같은 발광층은 LITI(Laser Induced Thermal Imaging)법, 잉크젯 법, 진공 증착법 등 통상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층은 투과성 금속 전극으로 형성되며, 투과성 금속 전극으로는 Ca,Ca/Ag 또는 Mg/Ag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상기 발광층 상부에 공통층으로 정공 억제층(21), 전자 수송층(22) 및 전자 주입층(23) 중 1 이상의 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공 억제층(21), 전자 수송층(22) 및 전자 주입층(23)으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하며, 정공 억제층(21)으로는 비페녹시-비(8-퀴놀리토라토)알루미늄(Balq), 전자 수송층(22)으로는 폴리사이클릭 하이드로 카본 계열 유도체, 헤테로사이클릭화합물, 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Alq3), 전자 주입층(23)으로는 LiF,Liq,NaF,Naq 등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2 전극층(24) 상부에 보호막층(도시하지 않음)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층으로는 SiNx 또는 SiO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정공 수송층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한 구성 요소를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먼저 제 1 화소 영역(100), 제 2 화소 영역(200) 및 제 3 화소 영역(300)을 구비하고 있는 기판(10) 위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화소 영역(100, 200, 300)마다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화소 영역(100), 제 2 화소 영역(200) 및 제 3 화소 영역(300)은 각각 서로 다른 색을 구현하며, 또한, 각각의 화소 영역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구현한다. 즉, 예를 들어, 제 1 화소 영역이 적색이고, 제 2 화소 영역은 녹색이면 제 3 화소 영역은 청색이 되며, 제 1 화소 영역이 녹색이고, 제 2 화소 영역이 청색이면, 제 3 화소 영역은 적색을 구현한다. 이 이외에도 이와 같은 조합으로 각 화소 영역이 정의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제 1 화소 영역(100)은 청색, 제 2 화소 영역(200)은 녹색, 제 3 화소 영역(300)은 적색을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기판으로는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 등과 같이 투명 절연 기판을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극층(12)은 반사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사 전극으로는 Al, Al의 합금, Ag 위에 ITO, IZO 등의 이중 반사막 아노드, 또는 Ag 와 ITO 등의 3중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 1 전극층(12) 상부에 화소 정의막(14)을 형성하고, 발광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화소 정의막(14)을 패턴한다. 상기 화소 정의막(14)으로는 BCB, 아크릴 수지 등 유기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제 1 전극층(12) 상부에 정공 주입층(16)이 형성된다. 상기 정공 주입층(16)은 기판 전면에 걸쳐 각 화소영역에 공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공 주입층(16)으로는 프탈로시아닌 구리(copper phthalocynine; CuPc) 또는 4,4',4"-트리스(N-(3-메틸페닐)-N-페닐아미노)트리페닐아민(4,4',4"-tris(N-(3- methylphenyl)-N-phenylamino)triphenylamine)(MTDATA) 등의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상기 정공 주입층(16) 상부에 상기 제 1 화소 영역(100)에만 제 1 정공 수송층(18-1)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18-1)을 형성한 후 상기 제 2 화소 영역(200)에만 제 2 정공 수송층(18-2)을 형성하고, 이어서 상기 제 3 화소 영역(300)에 제 3 정공 수송층(18-3)을 형성한다.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정공 수송층을 복수의 층으로 구성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각 해당 화소 영역에만 하나의 층으로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정공 수송층(18-1, 18-2, 18-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적의 광학적 공진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인접하는 두 화소 영역의 제 1 전극(12)과 발광층(20-1, 20-2) 사이의 광 패스의 차이, 즉 광학적 두께의 차이는 두 화소 영역의 색상의 최대 강도를 가질 때의 파장 차이의 1/3 내지 2/3가 되도록 하고, 바람직하기로는 1/2이 되도록 한다.
즉, 도 3에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100)의 색상이 최대 강도를 가질 때의 파장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200)의 색상이 최대 강도를 가질 때의 파장 차이를 2x라 하면, 상기 제 1 화소 영역(100)의 제 1 전극(12)과 발광층(20-1) 사이의 광패스와 상기 제 2 화소 영역(200)의 제 1 전극(12)과 발광층(20-1) 사이의 광패스의 차이가 2x가 되게 한다. 즉, 상기 제 1 화소 영역(100)의 광패스가 a이면, 상기 제 2 화소 영역(200)의 광패스는 a+2x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100)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200)의 광학적 두께, 즉, 발광층(20-1, 20-2)과 상기 제 1 전극(12) 사이의 두께의 차이는 x가 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18-2)와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의 두께의 차이가 x가 되도록 형성하면 최적의 광학적 공진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x는 300 내지 500 Å가 된다.
이와 동일하게, 인접하는 상기 제 2 화소 영역(200)과 상기 제 3 화소 영역(300)의 각 색상이 최대 강도를 가질 때의 파장 차이를 2y라 하면, 두 화소 영역의 제 1 전극(12)과 발광층(20-2, 20-3) 사이의 광패스의 차이는 2y가 되고, 광학적 두께의 차이는 2y가 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정공 수송층(18-3)의 두께와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18-2)의 두께의 차이를 y로 형성하면 최적의 광학적 공진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y는 300 Å 내지 500 Å이 된다.
한편, 최적의 광학적 공진 구조를 고려하면 상기 정공 주입층(16)과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18-1)의 합이 1300Å 내지 1500Å이고, 상기 정공 주입층(16)과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18-2)의 합이 1700Å 내지 1900Å이고, 상기 정공 주입층(16)과 상기 제 3 정공 수송층(18-3)의 합이 2100Å 내지 2300Å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예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 광학적 두께의 차이는 두 화소 영역의 색상의 최대 강도를 가질 때의 파장 차이의 1/2이 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1/3 내지 2/3이 되어도 최적이 광학적 공진 구조를 갖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 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정공 수송층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로는 각각 독립적으로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NPD) 또는 PEDOT등이 있다.
즉,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 제 2 정공 수송층 및 제 3 정공 수송층은 각각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 제 2 정공 수송층 및 제 3 정공 수송층 중 2개의 층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 제 2 정공 수송층 및 제 3 정공 수송층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정공층, 제2 정공수송층, 제3 정공수송층 증착 후 고정세 마스크를 써서 RGB 물질을 각각 증착 해도 되고, 제1 정공수송층 증착 후 바로 청색 발광층을 한 고정세 마스크로 증착 하고, 제2 정공수송층 증착 후 바로 녹색 발광층을, 제3 정공수송층 증착 후 연이어 바로 적색 발광층을 증착해도 무방하다.
계속해서, 상기 정공 수송층 상부에 각각 제 1 발광물질, 제 2 발광물질, 제 3 발광물질을 패턴하여 제 1, 제 2(20-2) 및 제 3 발광층(20-1, 20-2, 20-3)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경우,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구현하기 위해서, 제 1, 제 2, 제 3 화소 영역 각각이 청색, 녹색, 적색을 구현하여 한다. 그런데, 소자 특성 특히, 발광 효율을 고려하면, 적색이 가장 장파장이고, 그 다음이 녹색, 청색의 순이므로 정공 수송층의 전체 두께가 얇은 영역이 청색을 구현하는 영역이 되어야 하고, 그 다음이 녹색을 구현하는 영역, 그리고, 적색을 구현하는 영역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 1 화소 영역(100)에 청색 발광층(20-1)이 형성되고, 제 2 화소 영역(200)에 녹색 발광층(20-2)이 형성되고, 마지막으로 제 3 화소 영역(300)에 적색 발광층(20-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색 발광층은 호스트 물질로서 CBP(carbazole biphenyl) 또는 mCP를 포함하며, 도판트 물질로서 PIQIr(acac) (bis(1-phenylisoquinoline)acetylacetonate iridium), PQIr(acac) (bis(1-phenylquinoline)acetylacetonate iridium ), PQIr (tris(1-phenylquinoline) iridium) 및 PtOEP(octaethylporphyrin platinum)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광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적색 발광층은 PBD:Eu(DBM)3(Phen) 또는 페릴렌(Perylene)과 같은 형광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녹색 발광층은 호스트 물질로서 CBP 또는 mCP를 포함하며, 도판트 물질로서 Ir(ppy)3 (fac tris(2-phenylpyridine) iridium)를 포함하는 인광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녹색 발광층은 Alq3(tris(8-hydroxyquinolino)aluminum)와 같은 형광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청색 발광층은 DPVBi, 스피로-DPVBi, 스피로-6P, 디스틸벤제(DSB), 디스티릴아릴렌(DSA), PFO계 고분자 및 PPV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물질을 포함하는 형광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청색 발광층을 인광물질로 형성하는 경우 광 특성이 불안정하여 상기한 형광재료들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이상과 같은 발광층은 LITI(Laser Induced Thermal Imaging)법, 잉크젯 법, 진공 증착법 등 통상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전극층은 투과성 금속 전극으로 형성되며, 투과성 금속 전극으로는 Ca,Ca/Ag 또는 Mg/Ag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상기 발광층 상부에 공통층으로 정공 억제층(21), 전자 수송층(22) 및 전자 주입층(23) 중 1 이상의 층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공 억제층(21), 전자 수송층(22) 및 전자 주입층(23)으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사용하며, 정공 억제층(21)으로는 비페녹시-비(8-퀴놀리토라토)알루미늄(Balq), 전자 수송층(22)으로는 폴리사이클릭 하이드로 카본 계열 유도체, 헤테로사이클릭화합물, 트리스(8-퀴놀리노라토)알루미늄(Alq3), 전자 주입층(23)으로는 LiF,Liq,NaF,Naq 등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 2 전극층(24) 상부에 보호막층(도시하지 않음)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막층으로는 SiNx 또는 SiO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박막트랜지스터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의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각 화소마다 RGB 별로 정공 수송층의 두께를 다르게 하여 최적의 광학적 공진 구조를 만족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5)

  1. 제 1 화소 영역,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절연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화소 영역마다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 1 전극층;
    상기 기판 전면에 걸쳐 상기 제 1 전극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정공 주입층;
    상기 제 1 전극층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화소 영역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정공 수송층;
    상기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의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정공 수송층;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3 정공 수송층;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정공 수송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유기 발광층, 제 2 유기 발광층 및 제 3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 1 유기 발광층, 제 2 유기 발광층 및 제 3 유기 발광층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 2 전극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300 Å 내지 500 Å 또는 상기 정공 주입층과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의 합이 1300Å 내지 1500Å이고,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300 내지 500 Å 또는 상기 정공 주입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정공 수송층의 합이 1700Å 내지 1900Å이며, 상기 제 3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300 Å 내지 500 Å 또는 상기 정공 주입층과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정공 수송층의 합이 2100Å 내지 2300Å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화소 영역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광 파장 차이의 1/2이고, 상기 제 3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화소 영역과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광 파장의 차이의 1/2인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은 각각 서로 다른 색을 구현하며,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구현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은 청색, 제 2 화소 영역은 녹색, 제 3 화소 영역은 적색을 구현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은 서로 인접하고 있고 상기 제 2 화소 영역과 상기 제 3 화소 영역이 인접하고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 제 2 정공 수송층 및 제 3 정공 수송층은 각각 다른 물질로 형성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 제 2 정공 수송층 및 제 3 정공 수송층 중 2개의 층 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 제 2 정공 수송층 및 제 3 정공 수송층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은 공통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층은 반사 전극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층은 투명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층은 반사막을 포함하는 투명전극이고, 상기 제 2 전극층은 투과성 금속 전극으로 형성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성 금속 전극은 Ca, Ca/Ag 또는 Mg/Ag 중 하나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 상부에 공통층으로 정공 억제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1 이상의 층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층 상부에 보호막층을 더욱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 제 2 정공 수송층 및 제 3 정공 수송층은 N,N'-디(1-나프틸)-N,N'-디페닐벤지딘(NPD) 또는 PEDOT으로 형성되어 있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19. 하부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상부 전극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제 1 화소 영역,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화소 영역 중 서로 인접하는 두 화소 영역의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사이의 거리의 차이는 상기 서로 인접하는 두 화소 영역의 광 파장 차이의 1/3 내지 2/3이며, 상기 제 1 화소 영역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은 서로 인접하고 있고 상기 제 2 화소 영역과 상기 제 3 화소 영역이 인접하며, 상기 제 1 화소 영역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사이의 거리의 차이는 300 내지 500 Å이고, 상기 제 2 화소 영역과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사이의 거리의 차이는 300 Å 내지 500 Å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 중 서로 인접하는 두 화소 영역의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사이의 거리의 차이는 상기 서로 인접하는 두 화소 영역의 광 파장 차이의 1/2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은 각각 서로 다른 색을 구현하며,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구현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은 청색, 제 2 화소 영역은 녹색, 제 3 화소 영역은 적색을 구현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전계 발광 소자는 상기 하부 전극과 유기 발광층 사이에 정공 주입층 및 정공 수송층을 포함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층은 상기 제 1 화소 영역,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에 공통층으로 형성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 상기 제 2 화소 영역 및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정공 수송층의 두께가 서로 다른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제 3 화소 영역, 제 2 화소 영역, 제 1 화소 영역의 순으로 두꺼운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0.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 사이의 정공 수송층의 두께의 차이는 300 내지 500 Å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1.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소 영역과 상기 제 3 화소 영역 사이의 정공 수송층의 두께의 차이는 300 Å 내지 500 Å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2.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정공 수송층은 2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정공 수송층은 2층 또는 3층으로 형성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
  33.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제 1 전극층을 패턴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극 상에 화소 정의막을 기판 전면에 걸쳐 형성하고, 발광 영역이 개구되도록 상기 화소 정의막을 패턴하여 제 1 화소 영역,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의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걸쳐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정공 주입층 상부에 제 1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의 상부에만 제 2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상부에만 제 3 정공 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화소 영역에 제 1, 제 2 및 제 3 발광물질을 패턴하여 제 1 발광층, 제 2 발광층 및 제 3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발광층 상부에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300 Å 내지 500 Å 또는 상기 정공 주입층과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의 합이 1300Å 내지 1500Å이고,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300 내지 500 Å 또는 상기 정공 주입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정공 수송층의 합이 1700Å 내지 1900Å이며, 상기 제 3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300 Å 내지 500 Å 또는 상기 정공 주입층과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정공 수송층의 합이 2100Å 내지 2300Å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화소 영역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광 파장 차이의 1/2이고, 상기 제 3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화소 영역과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광 파장의 차이의 1/2인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35.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정공 수송층은 고정세 마스크를 사용하여 패터닝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은 공통층으로 형성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37.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은 청색, 제 2 화소 영역은 녹색, 제 3 화소 영역은 적색을 구현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38.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 제 2 정공 수송층 및 제 3 정공 수송층은 각각 다른 물질로 형성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39.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 제 2 정공 수송층 및 제 3 정공 수송층 중 2개의 층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40.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 제 2 정공 수송층 및 제 3 정공 수송층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41.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제 1 전극층을 패턴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전극 상에 화소 정의막을 기판 전면에 걸쳐 형성하고, 발광 영역이 개구되도록 상기 화소 정의막을 패턴하여 제 1 화소 영역, 제 2 화소 영역 및 제 3 화소 영역의 발광 영역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기판 전면에 걸쳐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화소 영역의 정공 수송층을 패턴하여 형성하고, 연속해서 상기 제 1 발광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화소 영역의 정공 수송층을 패턴하여 형성하고, 연속해서 상기 제 2 발광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3 화소 영역의 정공 수송층을 패턴하여 형성하고 연속해서 상기 제 3 발광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화소 영역에 제 1, 제 2 및 제 3 발광물질을 패턴하여 제 1 발광층, 제 2 발광층 및 제 3 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 2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300 Å 내지 500 Å 또는 상기 정공 주입층과 상기 제 1 정공 수송층의 합이 1300Å 내지 1500Å이고, 상기 제 2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300 내지 500 Å 또는 상기 정공 주입층과 상기 제 1 및 제 2 정공 수송층의 합이 1700Å 내지 1900Å이며, 상기 제 3 정공 수송층의 두께는 300 Å 내지 500 Å 또는 상기 정공 주입층과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정공 수송층의 합이 2100Å 내지 2300Å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영역 중 서로 인접하는 두 화소 영역의 상기 하부 전극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사이의 거리의 차이는 상기 서로 인접하는 두 화소 영역의 광 파장 차이의 1/2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43.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은 청색, 제 2 화소 영역은 녹색, 제 3 화소 영역은 적색을 구현하는 것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영역과 상기 제 2 화소 영역 사이의 정공 수송층의 두께의 차이는 300 내지 500 Å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45.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화소 영역과 상기 제 3 화소 영역 사이의 정공 수송층의 두께의 차이는 300 Å 내지 500 Å인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40057383A 2004-07-22 2004-07-22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21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383A KR100721554B1 (ko) 2004-07-22 2004-07-22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5081258A JP4587852B2 (ja) 2004-07-22 2005-03-22 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11/185,850 US7400088B2 (en) 2004-07-22 2005-07-21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CNB2005100874209A CN100482025C (zh) 2004-07-22 2005-07-22 有机电致发光显示器及其制造方法
US12/132,779 US7667388B2 (en) 2004-07-22 2008-06-04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383A KR100721554B1 (ko) 2004-07-22 2004-07-22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7899A KR20060007899A (ko) 2006-01-26
KR100721554B1 true KR100721554B1 (ko) 2007-05-23

Family

ID=35656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383A KR100721554B1 (ko) 2004-07-22 2004-07-22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400088B2 (ko)
JP (1) JP4587852B2 (ko)
KR (1) KR100721554B1 (ko)
CN (1) CN100482025C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7627B2 (en) 2015-11-12 2017-12-0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hole auxiliary lay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10332939B2 (en) 2016-05-11 2019-06-2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910653B2 (en) 2020-08-05 2024-02-20 Samsung Displa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configured to emit the same col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8315B2 (en) 2004-04-02 2012-05-29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0846586B1 (ko) * 2006-05-29 2008-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KR100787425B1 (ko) 2004-11-29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US8021765B2 (en) 2004-11-29 2011-09-2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Phenylcarbazole-based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mploying the same
US8729795B2 (en) * 2005-06-30 2014-05-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100708714B1 (ko) * 2005-09-30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635583B1 (ko) * 2005-10-21 2006-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07265763A (ja) * 2006-03-28 2007-10-11 Canon Inc フルカラー有機elパネル
JP2008027722A (ja) * 2006-07-21 2008-02-07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658877B2 (ja) 2006-08-07 2011-03-23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有機発光表示装置
KR100796602B1 (ko) * 2006-08-08 2008-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RU2449511C2 (ru) * 2006-08-14 2012-04-27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Электролюминесцен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меющее точку переменного цвета
KR100823511B1 (ko) 2006-11-10 2008-04-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080157659A1 (en) * 2006-12-28 2008-07-03 Shiva Prakash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organic device layer
JP4899929B2 (ja) * 2007-02-28 2012-03-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0858816B1 (ko) * 2007-03-14 2008-09-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안트라센 유도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막을 구비하는유기 발광 소자
KR100813850B1 (ko) 2007-03-29 2008-03-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 장치
KR100829761B1 (ko) * 2007-05-16 2008-05-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US8034465B2 (en) * 2007-06-20 2011-10-11 Global Oled Technology Llc Phosphorescent oled having double exciton-blocking layers
JP5007170B2 (ja) * 2007-07-20 2012-08-2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有機el表示装置
JP2009026986A (ja) * 2007-07-20 2009-02-05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電子機器
JP2009043466A (ja) * 2007-08-07 2009-02-26 Seiko Epson Corp 有機el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879476B1 (ko) * 2007-09-28 2009-01-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JP4450051B2 (ja) * 2007-11-13 2010-04-1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090050369A (ko) 2007-11-15 2009-05-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0918401B1 (ko) 2007-12-24 2009-09-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0894066B1 (ko) 2007-12-28 2009-04-24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0964223B1 (ko) 2008-02-11 2010-06-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KR100898075B1 (ko) 2008-03-04 2009-05-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KR100922763B1 (ko) 2008-03-13 2009-10-2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938898B1 (ko) * 2008-04-17 2010-01-2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풀칼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42954B1 (ko) * 2008-07-30 2011-06-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아민계 화합물,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러한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한 평판 표시 장치
EP2178133B1 (en) 2008-10-16 2019-09-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Flexible Light-Emitting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Flexible-Light Emitting Device
US7897419B2 (en) * 2008-12-23 2011-03-01 Cree, Inc. Color correction for wafer level white LEDs
JP2010232163A (ja) 2009-03-03 2010-10-14 Fujifilm Corp 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発光表示装置、及び発光ディスプレイ
JP6294370B2 (ja) * 2009-03-03 2018-03-14 ユー・ディー・シー アイルランド リミテッド 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発光表示装置、及び発光ディスプレイ
US8183561B2 (en) * 2009-06-24 2012-05-22 Au Optronics Corporation OLED panel with broadened color spectral components
JP5303036B2 (ja) 2009-09-29 2013-10-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光素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1084177B1 (ko) * 2009-11-30 2011-11-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08160B1 (ko) * 2009-12-10 2012-01-3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035356B1 (ko) * 2009-12-10 2011-05-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1083515A1 (ja) 2010-01-08 2011-07-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および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156436B1 (ko) * 2010-01-19 2012-06-18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광학필름 및 이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82442B1 (ko) * 2010-01-27 2012-09-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5783780B2 (ja) * 2010-06-03 2015-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193197B1 (ko) 2010-07-07 2012-10-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3229B1 (ko) * 2010-07-23 2019-05-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46617B1 (ko) 2010-09-24 2017-06-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8916862B2 (en) * 2010-11-24 2014-12-23 Panasonic Corporation Organic EL panel, display device us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organic EL panel
KR101884199B1 (ko) * 2011-06-29 2018-08-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구조물, 발광 구조물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799077B1 (ko) 2011-06-30 2017-1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9105860B2 (en) 2011-06-30 2015-08-11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WI508279B (zh) * 2012-01-19 2015-11-11 Joled Inc 顯示器及其製造方法,單元,轉印方法,有機電致發光單元及其製造方法,以及電子裝置
KR101952706B1 (ko) * 2012-07-24 2019-0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40024977A (ko) * 2012-08-17 2014-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469486B1 (ko) 2012-09-04 2014-12-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990116B1 (ko) * 2012-10-22 2019-10-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장치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2019063B1 (ko) * 2012-11-12 2019-09-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장치
KR102037819B1 (ko) * 2012-12-24 2019-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33612B1 (ko) * 2012-12-27 2019-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09881B1 (ko) * 2013-03-26 2019-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178256B1 (ko) 2013-03-27 2020-11-1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소자,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KR102139577B1 (ko) 2013-10-24 2020-07-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122335B1 (ko) * 2013-12-27 2020-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JP6656817B2 (ja) * 2014-04-25 2020-03-0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CN104091895B (zh) * 2014-06-30 2016-10-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基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KR102310902B1 (ko) 2014-09-15 2021-10-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299838B1 (ko) * 2014-10-31 2021-09-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552276B1 (ko) 2015-02-24 2023-07-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745491B1 (ko) * 2015-03-12 2017-06-13 덕산네오룩스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및 유기발광 표시장치
US9911270B2 (en) 2015-06-03 2018-03-06 Get Out Ahead LLC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multiple exchange of multiple iterations of the same online wager transaction
KR102322083B1 (ko) 2015-07-28 2021-1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06606B1 (ko) * 2015-10-08 2022-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7072812A (ja) * 2015-10-09 2017-04-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1702570B1 (ko) * 2015-10-30 2017-02-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투명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397823B1 (ko) 2015-11-30 2022-05-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170521B2 (en) * 2015-12-30 2019-01-01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TWI569493B (zh) * 2016-02-23 2017-02-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顯示面板及其檢測以及補償方法
US11276835B2 (en) * 2016-03-01 2022-03-15 Pioneer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 emitting device
CN105789466B (zh) * 2016-04-07 2018-01-30 江苏三月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以提升pm‑oled面板生产效率的oled器件
CN106531775A (zh) * 2016-12-30 2017-03-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基板及其显示装置与制备方法
US10529780B2 (en) * 2017-02-28 2020-01-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N107507917B (zh) * 2017-08-15 2020-02-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oled器件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US11362306B2 (en) * 2018-03-06 2022-06-14 Sony Semiconductor Solutions Corporation Light emitting element unit
KR102597673B1 (ko) * 2018-05-16 2023-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WO2019220283A1 (ja) 2018-05-18 2021-07-0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素子、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CN108717941B (zh) 2018-05-28 2020-11-06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面板及有机发光显示装置
JP2023011953A (ja) * 2019-11-08 2023-01-25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WO2021142715A1 (zh) * 2020-01-16 2021-07-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以及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US11223030B2 (en) * 2020-03-04 2022-01-11 Db Hitek Co., Ltd. Organic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reflective metal layers on different levels above red, green and blue pixel region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15117268A (zh) * 2021-03-19 2022-09-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发光器件及其制造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3277A (ja) 1999-05-12 2000-11-24 Pioneer Electronic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多色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67787A (ja) 2001-06-05 2002-12-20 Tohoku Pioneer Corp 有機el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42277A (ja) 2001-10-31 2003-05-16 Tohoku Pioneer Corp 有機elカラー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58155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기발광소자
KR20050051061A (ko) * 2003-11-26 2005-06-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풀칼라 유기전계발광소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7485A (ja) 1990-09-28 1992-05-12 Ricoh Co Ltd 電界発光素子
JP3065705B2 (ja) 1991-04-26 2000-07-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846571B2 (ja) * 1994-02-25 1999-01-13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6091195A (en) * 1997-02-03 2000-07-18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Displays having mesa pixel configuration
JPH11317289A (ja) * 1997-12-15 1999-11-16 Tdk Corp 有機el素子のシミュレ―ション方法、シミュレ―ション装置および有機el素子
JP3687953B2 (ja) 2000-02-22 2005-08-24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表示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714179B2 (ja) * 2001-03-23 2005-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El素子、elディスプレイ、並びに電子機器
JP2002305078A (ja) * 2001-04-04 2002-10-18 Honda Motor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
TWI257828B (en) * 2001-05-31 2006-07-01 Seiko Epson Corp EL device, EL display, EL illumination apparatus, liquid crystal apparatus using the EL illumination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477746B1 (ko) 2002-06-22 2005-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다층 구조의 애노드를 채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573110B1 (ko) 2003-07-31 2006-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와, 이를 이용한 평판 표시 장치와,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JP4507718B2 (ja) * 2004-06-25 2010-07-21 京セラ株式会社 カラー有機el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US7075231B1 (en) * 2005-01-03 2006-07-11 Eastman Kodak Company Tandem OLEDs having low drive volta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3277A (ja) 1999-05-12 2000-11-24 Pioneer Electronic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多色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367787A (ja) 2001-06-05 2002-12-20 Tohoku Pioneer Corp 有機el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42277A (ja) 2001-10-31 2003-05-16 Tohoku Pioneer Corp 有機elカラー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58155A (ko) * 2001-12-29 2003-07-07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기발광소자
KR20050051061A (ko) * 2003-11-26 2005-06-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풀칼라 유기전계발광소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37627B2 (en) 2015-11-12 2017-12-0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aving hole auxiliary lay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10332939B2 (en) 2016-05-11 2019-06-2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910653B2 (en) 2020-08-05 2024-02-20 Samsung Display Co., Ltd. Light-emitting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pixels configured to emit the same col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82025C (zh) 2009-04-22
US7667388B2 (en) 2010-02-23
CN1725921A (zh) 2006-01-25
US7400088B2 (en) 2008-07-15
JP4587852B2 (ja) 2010-11-24
US20080252206A1 (en) 2008-10-16
KR20060007899A (ko) 2006-01-26
US20060017377A1 (en) 2006-01-26
JP2006041471A (ja)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554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11756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058109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8349632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783727B2 (ja)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83229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822781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0932940B1 (ko)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
US8274211B2 (en) Whit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KR20160050996A (ko) 유기 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40094119A (ko) 고효율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74808B1 (ko) 청색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KR20130047200A (ko) 유기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685847B1 (ko) 풀칼라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86291B1 (ko) 전면발광형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685846B1 (ko) 풀칼라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712094B1 (ko) 광시야각이 우수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0923354B1 (ko) 유기전계발광조명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