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760B1 - 푸드 프로세서 - Google Patents

푸드 프로세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760B1
KR102433760B1 KR1020207022569A KR20207022569A KR102433760B1 KR 102433760 B1 KR102433760 B1 KR 102433760B1 KR 1020207022569 A KR1020207022569 A KR 1020207022569A KR 20207022569 A KR20207022569 A KR 20207022569A KR 102433760 B1 KR102433760 B1 KR 102433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ody
food
cup
hole
ent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2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103A (ko
Inventor
이 쑨
뤄위 메이
위안성 덩
융강 장
보펑 허
샤오카이 류
야 저우
산산 차오
Original Assignee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119036.X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115474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207651.1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551047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119037.4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115475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207649.4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42599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207013.X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371479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207014.4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58218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119391.7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115478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119389.X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115477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206536.2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425880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119388.5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115476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207650.7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55104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118965.9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115531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438278.5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464190A/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438371.6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464224B/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685998.7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905521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686836.5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692898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20685982.6U external-priority patent/CN208709296U/zh
Priority claimed from CN201810439192.4A external-priority patent/CN110464191B/zh
Application filed by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메이디 컨슈머 일렉트릭스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03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103A/ko
Publication of KR102433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3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cone or ream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2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 A47J19/025Citrus fruit squeezers; Other fruit juice extracting devices including a pressin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푸드 프로세서에 따르면, 홀더 모듈(1), 푸드 프로세싱컵(2), 재료 진입 모듈(3), 찌꺼기 수집 장치(4) 및 가스 펌핑 모듈(5)을 포함하되, 푸드 프로세싱컵(2)은 홀더 모듈(1)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컵 본체(22)와 회전 가능하게 컵 본체(22) 내에 장착된 작동 스크루(24)를 포함하고, 컵 본체(22)는 음식물 주스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고, 컵 본체(22) 상에 제1 찌꺼기 배출구(222)가 설치되거나, 또는 컵 본체(22) 내에 제2 찌꺼기 배출구가 설치되고; 재료 진입 모듈(3)은 컵 본체(22)의 개방된 단부 상에 밀폐 장착되고; 찌꺼기 수집 장치(4)는 제1 찌꺼기 배출구(222)에 밀폐 연결되거나, 컵 본체(22) 내에서, 제2 찌꺼기 배출구와 연결되고; 컵 본체(22), 재료 진입 모듈(3) 및 찌꺼기 수집 장치(4) 사이는 서로 연통된 밀폐 챔버를 형성하고; 가스 펌핑 모듈(5)은, 밀폐 챔버와 연통되어, 밀폐 챔버 내의 에어를 펌핑해낼 수 있다. 해당 방안은, 가스 펌핑 모듈(5)을 이용하여 컵 본체(22) 내부의 공기를 펌핑해낼 수 있으므로, 대체적으로 진공인 상태에서 식재료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가공된 음식물의 산화를 완화시켜, 음식물의 영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 주스의 색상과 입맛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주스이 직접 컵 본체(22) 내에 보존되므로, 별도로 주스 수집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푸드 프로세서
본 출원은 2018년 02월 06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10119388.5, 발명의 명칭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2월 06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20207649.4, 실용신안의 명칭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2월 06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10118965.9, 발명의 명칭 “재료 진입 시스템 및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2월 06일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20207651.1, 실용신안의 명칭 “재료 진입 시스템 및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2월 06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10119389.X, 발명의 명칭 “푸드 프로세싱컵 및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2월 06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20207014.4, 실용신안의 명칭 “푸드 프로세싱컵 및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2월 06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가 201810119037.4, 발명의 명칭 “재료 진입 보조 장치, 푸드 프로세싱컵 모듈 및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2월 06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20207013.X, 실용신안의 명칭 “재료 진입 보조 장치, 푸드 프로세싱컵 모듈 및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2월 06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10119036X, 발명의 명칭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2월 06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20206536.2, 실용신안의 명칭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2월 06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10119391.7, 발명의 명칭 “재료 진입 장치, 푸드 프로세싱컵 및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2월 06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20207650.7, 실용신안의 명칭 “재료 진입 장치, 푸드 프로세싱컵 및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5월 09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10438371.6, 발명의 명칭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5월 09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20685998.7, 실용신안의 명칭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5월 09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10438278.5, 발명의 명칭 “푸드 프로세싱컵 모듈 및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5월 09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20685982.6, 실용신안의 명칭 “푸드 프로세싱컵 모듈 및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5월 09일자로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10439192.4, 발명의 명칭 기존의 원즙기거나 저속 착즙기 제품은 비록 방법을 모색하여 과일과 채소의 압착 및 압착 후에 산화되는 문제점을 완화시킬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모두 상압에서 압착 효과가 현저하지 않다.
따라서, 과일과 채소가 압착 및 압착 후에 산화되는 문제점을 현저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 원즙기에 대한 설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컵 본체 모듈 및 푸드 프로세서", 2018년 05월 09일에 중국 특허국에 출원한 출원번호 201820686836.5, 실용신안의 명칭 “컵 본체 모듈 및 푸드 프로세서"인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은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가전 제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푸드 프로세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원즙기거나 저속 착즙기 제품은 비록 방법을 모색하여 과일과 채소의 압착 및 압착 후에 산화되는 문제점을 완화시킬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모두 상압에서 압착 효과가 현저하지 않다.
따라서, 과일과 채소가 압착 및 압착 후에 산화되는 문제점을 현저하게 완화시킬 수 있는 원즙기에 대한 설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에 따른 기술문제 중 적어도 하나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푸드 프로세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푸드 프로세서는, 홀더 모듈; 상기 홀더 모듈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컵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컵 본체 내에 장착된 작동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컵 본체는 음식물 주스를 수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컵 본체 상에 제1 찌꺼기 배출구가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컵 본체 내에 제2 찌꺼기 배출구가 설치되는 푸드 프로세싱컵; 상기 컵 본체의 개방된 단부 상에 밀폐 장착되는 재료 진입 모듈;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에 밀폐 연결되어 음식물 찌꺼기를 수집하거나, 상기 찌꺼기 수집 장치는 상기 컵 본체 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찌꺼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음식물 찌꺼기를 수집하는 찌꺼기 수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컵 본체, 상기 재료 진입 모듈 및 상기 찌꺼기 수집 장치 사이는 서로 연통된 하나의 밀폐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밀폐 챔버와 연통되어, 상기 밀폐 챔버 내의 에어를 펌핑해낼 수 있는 가스 펌핑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는, 홀더 모듈, 푸드 프로세싱컵, 재료 진입 모듈, 찌꺼기 수집 장치 및 가스 펌핑 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홀더 모듈은 제품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품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푸드 프로세싱컵, 재료 진입 모듈 및 찌꺼기 수집 장치 등에 대해 지지하여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푸드 프로세싱컵은 컵 본체와 작동 스크루의 협력을 통해 식재료를 분쇄하고, 식재료의 찌꺼기를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재료 진입 모듈은 식재료의 진입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즉, 식재료를 푸드 프로세싱컵 내에 투입하기 위한 것이며, 가스 펌핑 모듈은 전체적인 재료 진입 모듈, 컵 본체 및 찌꺼기 수집 장치로 형성된 밀폐 챔버에 대해 가스 펌핑을 수행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우선 가스 펌핑 모듈을 작동시켜 제품 내의 에어를 뽑아내어, 컵 본체 내부가 대체적으로 진공 상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고, 이후에 작동 스크루를 작동시켜 식재료를 처리함으로써, 대체적으로 진공인 상태에서 식재료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가공된 음식물의 산화를 완화시켜, 음식물의 영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 주스의 색상과 입맛을 확보하는 등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동시에, 본 출원에서, 컵 본체의 구조를 적절하게 구성하여, 컵 본체를 이용하여 음식물 주스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로 주스 수집 구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컵 본체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품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품의 전반적인 음식물 처리 작동 과정에서, 우선 음식물 주스를 컵 본체 내에 저장할 수 있으며, 즉 착즙과 동시에 음식물 주스를 배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반적인 음식물 처리 과정에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출즙구를 개방하여 주스를 배출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계의 공기가 전반적인 음식물 처리 과정에서 출즙구를 통해 컵 본체 내로 들어갈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컵 본체 내의 밀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컵 본체의 내부를 항상 진공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은, 컵 본체 상에 별도로 하나의 주스 수집 컵을 밀폐 장착하는 방안에 비해, 기존의 컵 본체를 이용하여 음식물 주스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컵 본체의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제품의 가공 비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컵 본체를 이용하여 음식물 주스를 수집하고, 압착이 완료된 후, 밀폐 챔버 내의 산소 함량이 낮아, 보다 효과적으로 음식물 주스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효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마시고 싶을 때에만 음식물 주스를 취출하면 되므로, 음용자가 가장 신선한 음식물 주스를 마실 수 있도록 확보한다. 찌꺼기 수집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찌꺼기 수집 장치가 푸드 프로세싱컵과 일체로 장착되도록 하거나 직접 찌꺼기 수집 장치를 컵 본체 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전반적인 음식물 처리 과정에서, 찌꺼기 배출구를 개방할 필요가 없이, 제품의 찌꺼기 배출 과정에서, 항상 찌꺼기 배출구가 밀폐되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르면, 모두 제품 밖에 별도로 찌꺼기 수집 부재를 설치하므로, 전반적인 제품의 착즙 과정에서, 찌꺼기 배출구가 항상 개방되어 있어, 제품의 산소가 항상 찌꺼기 배출구를 통해 밀폐 챔버 내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주스이 산화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제1 찌꺼기 배출구와 밀폐 장착되는 찌꺼기 수집 장치를 설치하거나 직접 찌꺼기 수집 장치를 컵 본체 내에 설치하므로, 제품의 작동 시, 찌꺼기 배출구에 대해 밀폐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찌꺼기도 수집할 수 있으며, 즉 본 출원은 제품의 작동 과정에서, 찌꺼기 배출구가 항상 밀폐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계의 공기가 제품의 작동 과정에서 밀폐 챔버 내로 들어갈 수 없게 되어, 진공 상태에서 식재료의 압착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진공 상태에서 음식물 주스의 수집이 이루어지므로, 음식물 주스의 산화를 현저히 완화시켜, 착즙된 음식물의 입맛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작동 스크루의 단면 면적은 작동 스크루에서 컵 본체의 컵 개구에 인접한 일단으로부터 작동 스크루의 타단까지 증가되고, 바람직하게는 점차적으로 증가되며, 이로써 컵 본체와 작동 스크루 사이의 간격이 컵 본체의 개구로부터 푸드 프로세싱컵의 저부까지 점차적으로 감소되므로, 식재료에 대한 압착력을 점착적으로 증가시켜, 식재료를 압착할수록 더욱 부서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므로, 출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찌꺼기 수집 장치는 식재료의 주스와 찌꺼기가 분리된 후, 음식물 찌꺼기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찌꺼기 수집 장치는 컵 본체 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컵 본체 밖에 장착될 수도 있다. 찌꺼기 수집 장치를 컵 본체 내에 설치함으로써, 찌꺼기 수집 장치를 컵 본체 내에 은닉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쑥 돌출되게 컵 본체 밖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찌꺼기 수집 장치를 컵 본체 내에 장착할 경우, 일부 공간만 차지하고, 컵 본체 내의 기타 공간은 모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으므로, 공간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찌꺼기 수집 장치가 컵 본체 내에 장착됨으로써, 찌꺼기 수집 장치와 컵 본체 사이의 연결 구조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컵 본체와 찌꺼기 수집 장치의 구조가 더 단순해질 수도 있다. 한편, 찌꺼기 수집 장치를 컵 본체 내에 장착함으로써, 컵 본체 상에 별도로 찌꺼기 배출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컵 본체의 밀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푸드 프로세서를 진공인 푸드 프로세서로 구성할 경우, 푸드 프로세서의 밀폐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식재료가 착즙 시 및 착즙 후에 산화되는 문제점을 현저히 완화시킬 수 있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컵 본체 상에 하나의 제1 찌꺼기 배출구를 설치하고, 찌꺼기 수집 장치를 컵 본체 밖에 장착하여, 제1 찌꺼기 배출구를 통해 컵 본체 내부와 연통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푸드 프로세서는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더 구비한다.
상술한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 모듈은 구동장치 및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작동 스크루와 연결되어, 상기 작동 스크루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한 것이고; 제어장치는 상기 구동장치 및 상기 가스 펌핑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가스 펌핑 모듈의 가스 펌핑을 제어하거나 상기 구동 장치의 작동을 제어, 및/또는 상기 가스 펌핑 모듈의 가스 펌핑을 제어하고, 상기 가스 펌핑 모듈의 가스 펌핑 완료 후에, 상기 구동장치의 작동이 시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구동장치를 통해 작동 스크루를 구동하여, 식재료에 대해 분쇄, 압착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장치는 구동장치와 가스 펌핑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장치는 단독적으로 구동장치 또는 가스 펌핑 모듈을 제어하여 단독적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우선 가스 펌핑 모듈이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제어하여, 가스 펌핑 조작이 완성되도록 한 후에, 구동장치가 작동하도록 작동시켜, 음식물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먼저 가스 펌핑을 수행한 후에 음식물을 처리하는 방식은, 가스 펌핑 완료 후에 식재료의 주스와 찌꺼기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든 식재료가 전부 대체적으로 진공인 상태에서 처리되므로, 모든 식재료들이 전부 쉽게 산화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음식물의 산화를 현저히 완화시킬 수 있다. 반대로, 가스 펌핑이 완료되기 전에, 식재료의 처리를 수행할 경우, 컵 본체 내에 일부 공기가 잔존하게 되므로, 먼저 처리된 식재료가 잔존하는 공기에 의해 산화되기 극히 쉬우므로, 부분 식재료가 산화되어, 음식물 주스 등의 산화를 현저히 완화시킬 수 없게 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푸드 프로세서는, 상기 제어장치와 연결되어, 기설정된 시간 후에,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구동장치와 상기 가스 펌핑 모듈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예약장치를 더 포함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제품 상에 하나의 예약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약장치를 통해 제품의 예약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예약장치는 사용자의 예약 파라미터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장치 및 예약 파라미터를 기초로 타이밍하기 위한 타이밍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타이밍 완료 후에, 제어장치가 작동을 시작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컵 본체 상에 출즙구가 설치되고, 상기 출즙구 위치에 하나의 출즙 덮개가 밀폐되게 덮혀져 장착되며, 상기 출즙 덮개는 상기 출즙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상기 출즙구와 상기 출즙 덮개 사이에 제1 밀폐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1 밀폐부재는 상기 출즙 덮개와 출즙구를 밀폐 연결시킨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컵 본체 상에 하나의 출즙구를 설치하고, 출즙구 위치에 하나의 제1 밀폐부재와 출즙 덮개를 설치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밀폐부재와 출즙 덮개는 제품의 작동 과정에서 출즙구에 대한 밀폐를 수행한다. 음식물의 처리가 완료된 후, 사용자가 음식물 주스를 꺼내려고 할 때, 출즙 덮개를 통해 출즙구를 개방하여, 출즙구를 통해 음식물 주스를 취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한 음식물 주스를 취출한 후, 또한 출즙 덮개를 통해 출즙구를 폐쇄하여, 남은 음식물 주스를 계속하여 컵 본체 내에 밀폐 저장할 수 있음에 따라, 남은 음식물 주스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기타 기술방안에서, 출즙구를 설치하지 않고, 음식물의 처리가 완료된 후, 직접 컵 본체의 컵 개구를 통해 음식물 주스를 쏟아낼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컵 본체 상에 출즙구가 설치되고, 상기 출즙구 위치에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밸브는 상기 출즙구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출즙구 위치에 하나의 밸브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밸브를 통해 출즙구의 개방 및 폐쇄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출즙구 위치에 하나의 수도꼭지와 유사한 밸브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써 마치 수도꼭지를 조작하는 것과 같이, 출즙구를 수시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주스의 취출이 보다 쉽게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 진입 모듈은 재료 진입통, 재료 진입 뚜껑 및 재료 진입 보조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재료 진입통의 일단은 상기 컵 본체의 컵 개구 단부에 밀폐 장착되고; 상기 재료 진입 뚜껑은 상기 재료 진입통의 타단 상에 밀폐되게 덮여져 장착되고, 상기 재료 진입통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상기 재료 진입통 내에 장착되어, 재료의 진입을 보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재료 진입 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 내에 장착될 수 있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재료 진입통은 재료 진입을 위한 것이고, 재료 진입 뚜껑은 재료 진입통의 개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바람직하게, 재료 진입통과 재료 진입 뚜껑 사이에 하나의 제3 밀폐부재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밀폐부재를 통해 재료 진입통과 재료 진입 뚜껑 사이의 밀폐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재료 진입통 내에 하나의 회전 가능한 재료 진입 보조 장치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회전을 통해 재료의 진입을 보조하여, 재료 진입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재료 진입 보조 장치를 통해 식재료를 미리 절삭하거나, 또는 재료 진입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재료 진입통 내에 미리 저장된 식재료를 컵 본체 내에 밀어넣는 등의 조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푸드 프로세서는 커버 및 제4 밀폐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재료 진입통 밖에 씌워져 장착되며, 상기 커버의 일단은 개방되고 일단은 폐쇄되며, 상기 커버의 개방된 일단이 상기 컵 본체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4 밀폐부재는 상기 커버와 상기 컵 본체의 연결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컵 본체의 연결 위치가 밀폐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컵 본체의 외측벽 상에 지지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커버의 개방된 일단이 상기 지지구조 상에 밀폐 장착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커버는 재료 진입통 밖에 씌워져 설치되며, 컵 본체에 밀폐 장착되어, 재료 진입통을 커버하여 밀폐되게 커버 내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품 전반에 대해 밀폐하여 진공 착즙을 수행할 때, 커버와 컵 본체 위치가 밀폐 연결되기만 하면, 컵 본체와 커버가 하나의 엄격히 밀폐된 폐쇄 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진공 착즙시 재료 진입통 상단의 개구에 대해 밀폐할 필요가 없게 되며, 재료 진입통과 컵 본체가 분리 타입의 구조일 경우에도, 재료 진입통과 컵 본체의 연결 위치에 대해 밀폐할 필요가 없으므로, 밀폐가 필요한 위치가 줄어들고, 밀폐 난이도가 감소되며, 밀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진공 착즙의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음식물 주스의 산화를 보다 현저하게 완화시켜, 착즙된 음식물의 입맛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는, 단순히 일반적인 푸드 프로세서 상에 별도로 하나의 커버가 설치되여 이루어짐에 따라, 일반적인 푸드 프로세서의 구조 형태를 유지하여, 제조 난이도를 감소시키고, 제품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진공 착즙이 불필요할 경우, 커버를 분리시키면 되며, 그 구조와 사용 방법이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원즙기의 사용 방식과 일치하므로, 푸드 프로세서가 진공 착즙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착즙도 가능하게 된다.
동시에, 컵 본체의 측벽 상에 하나의 지지구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컵 본체의 일부를 커버로 씌우며, 컵 바디의 측벽 상의 지지구조 상에 밀폐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커버가 지지구조에 밀폐 장착됨에 따라, 컵 본체 상단의 단면을 미리 남겨두어, 재료 진입통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재료 진입통과 커버를 각각 컵 본체의 상이한 부위 상에 고정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료 진입통과 커버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전체적인 구조 레이아웃이 보다 적합하고, 컴팩트해질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의 벽 상부와 상기 재료 진입통에서 상기 컵 본체와 멀리 떨어진 일단의 단면 사이에 간격이 설치되고; 및/또는 상기 커버의 측벽과 상기 재료 진입통의 측벽 사이에 간격이 설치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커버의 벽 상부와 재료 진입통에서 컵 본체에 멀리 떨어진 일단의 단면 사이에 간격이 설치되고, 및/또는 커버의 측벽과 재료 진입통의 측벽 사이에 간격이 설치되어, 커버의 상부와 측벽이 모두 재료 진입통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압착 시 재료 진입통에 인가되는 힘이 불균일하여 발생하는 변위의 경우, 쉽게 커버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커버의 전반적인 밀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커버가 항상 컵 본체와 안정적으로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컵 본체의 외측 벽면은 복수의 상기 컵 본체의 축향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 평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제1 평면은 상기 컵 본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여기서, 인접한 두 상기 제1 평면 사이는 제1 호형면을 통해 연결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컵 본체의 외측 벽면은 복수의 컵 본체의 축향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 평면을 포함하여, 컵 본체가 대체적으로 다각형을 형성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컵 본체가 보다 직사각형에 가깝도록 할 수 있으며, 인접한 두 제1 평면 사이는 제1 호형면을 통해 연결되어, 컵 본체의 측벽이 보다 매끈하게 과도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컵 본체는 직사각형에 더 가까우며, 일반적인 원형 또는 원추형 컵에 비해, 직사각형의 컵 본체는 컵 본체와 재료 진입통과 커버 사이의 로케이션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는 원형 또는 원추형은 대칭되는 구조로서, 장착 시 컵의 로케이션 방향을 신속히 식별해내기 어려우므로, 사용자가 자세히 분별하여야 로케이션 방향을 찾을 수 있지만, 직사각형 컵은 길이와 폭을 참조로 하므로, 로케이션 시 보다 신속하고 쉽게 로케이션 방향을 찾아, 컵 본체와 재료 진입통과 커버 사이의 로케이션이 보다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사용 시 보다 편의하게 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의 벽 상부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및/또는 상기 커버의 벽 상부의 외부 표면의 가장자리 상에 호형의 모따기가 설치되고; 및/또는 상기 커버의 측벽은 둘둘씩 대향되게 설치되고 상기 커버의 둘레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 네개의 제2 호형면을 포함하고, 상기 네개의 제2 호형면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인접한 두 상기 제2 호형면은 제3 호형면을 통해 연결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커버의 벽 상부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호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호면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커버가 내부 음압에 의한 변형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외벽을 통해 압착에 견딜 수 있으며, 내벽을 통해 인장에 견딜 수 있으므로, 제품의 작동 시 커버의 변형을 줄이고, 진공 음압이 커버 상에 인가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버의 측벽을 호형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커버의 전후좌우 네개의 면을 모두 제2 호형면으로 설치하고, 전후좌우의 네개의 모서리 상에 네개의 제3 호형면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써 커버 측벽의 압력 저항 능력을 향상시키고, 커버 측벽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의 벽 상부의 외부 표면의 가장자리 상에 호형의 모따기를 설치함으로써, 커버의 구조가 보다 매끈해도록 할 수 있으므로, 커버의 전반적인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의 벽 상부는 평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측벽은 복수의 상기 커버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 제2 평면을 포함하되, 인접한 두개의 상기 제2 평면 사이는 제4 호형면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4 호형면은 상기 커버의 벽 상부의 중심을 원심으로 하는 원호면이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커버의 상부를 평면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가 투명하게 구성될 경우, 광선이 평행되게 입사 및 반사되도록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커버를 통해 관찰할 때, 이미지가 변형되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관찰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버의 몇개의 측벽도 대체적으로 평면으로 설치하여, 광선이 측벽으로부터 평행되게 입사 및 반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커버를 통해 관찰할 때, 이미지가 변형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호면을 설치할 경우 커버의 각각 평면인 측벽 사이가 보다 매끈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의 구조가 더욱 매끈하도록 할 수 있으며, 측벽 상의 호면은 커버의 벽 상부의 중심을 원심으로 하는 원호로서, 커버의 상부를 투과하여 내부 착즙 과정을 관찰할 때 이미지가 완전하고 변형되지 않도록 더더욱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커버의 측벽은 바람직하게 호형 또는 호형과 유사한 구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의 구조가 보다 매끈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커버의 강도와 변형 저항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커버의 각 위치에서의 벽 두께가 동일하고; 및/또는 상기 커버는 투명커버이고; 및/또는 상기 커버의 벽 두께가 2 mm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4 mm보다 작거나 동일하고; 및/또는 상기 커버는 축대칭 구조이고; 및/또는 상기 커버의 개방된 일단의 단면은 호형 또는 원호형을 이룬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커버의 각 위치에서의 벽 두께가 동일하여, 커버의 각 위치의 힘을 받는 능력이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힘이 균일하게 인가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힘에 약한 부분이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버의 각 위치에서의 벽 두께가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또한 커버의 구조가 보다 간단하도록 하여, 커버가 보다 우수하게 가공될 수 있도록 한다. 커버는 바람직하게 투명한 커버로서,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유기 글라스 등의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여 커버를 가공해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작동 시, 사용자가 커버를 통해 커버 내부의 상황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의 벽 두께는 2 mm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4 mm보다 작거나 동일하여, 커버의 두께가 너무 두껍지도 않고 지나치가 얇지도 않도록 한다. 커버는 축대칭 구조로서, 커버의 구조를 더욱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커버의 강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커버의 개방된 일단의 단면은 호형이거나 원호형으로 이루어져, 커버의 개방된 일단의 단면이 보다 매끈하도록 함으로써, 커버에 대해 단면 밀폐할 때, 커버와 제1 밀폐부재가 보다 우수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음에 따라, 밀폐 효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폐부재가 커버에 찍혀서 파손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상기 작동 스크루에 구동 연결되어, 상기 작동 스크루의 작용에 의해 회전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재료 진입 보조 장치를 작동 스크루에 구동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동 스크루를 통해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구동을 실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별도로 재료 진입 보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품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물론,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작동 스크루와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때, 별도로 하나의 구동부재를 설치하여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구동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 진입통 내에 장착 플레이트와 재료 진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상기 재료 진입통의 내측벽에 장착되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 상에 제1 장착홀이 설치되고, 상기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일단이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서 상기 컵 본체에 멀리 떨어진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 스크루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서 상기 컵 본체에 가까운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타단이 상기 제1 장착홀 내에 삽입되며, 상기 작동 스크루와 구동 연결되며; 여기서, 상기 재료 진입구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거나 상기 재료 진입구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재료 진입통의 측벽이 둘러싸여 이루어진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재료 진입통 내에 하나의 장착 플레이트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장착 플레이트를 통해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지지 장착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장착 플레이트를 통해 부분 식재료를 저장할 수 있다. 이 외에, 장착 플레이트는 재료 진입 보조 장치와 함께 식재료를 절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재료를 미리 작은 조각으로 가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회전 과정에서, 식재료가 함께 움직이도록 할 수 있고, 가공된 식재료가 보다 클 경우, 식재료는 일부분이 재료 진입구 위치에 끼워지게 되며,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계속 회전하므로, 식재료를 재료 진입 보조 장치와 재료 진입구의 가장자리 사이로 압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식재료에 압착력을 인가하여, 식재료를 작은 조각이 되도록 압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식재료에 대한 초보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재료 진입 보조 장치 상에 절삭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절삭 블레이드를 통해 식재료의 절삭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재료 진입구는 직접 장착 플레이트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장착 플레이트와 재료 진입통의 측벽이 둘러싸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제1 재료 진입 보조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서 상기 컵 본체에 멀리 떨어진 일측에 장착되는 제1 젓음 부재; 일단이 상기 작동 스크루와 구동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장착홀을 삽입 및 관통하여 상기 제1 젓음 부재와 구동 연결되는 제1 동력 전달 축을 포함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장착 플레이트의 상방에 하나의 회전 가능한 젓음 팬, 젓음 로드 등의 제1 젓음 부재를 설치하고, 제1 동력 전달 축을 통해 이를 작동 스크루에 구동 연결시킴으로써, 작동 스크루의 회전 시, 제1 젓음 부재가 이를 따라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재료 진입통 내에 넣어진 식재료는 제1 젓음 부재의 젓음에 의해 재료 진입구로부터 컵 본체 내에 진입할 수 있고, 가공된 식재료가 보다 클 경우, 식재료는 일부분이 재료 진입구 위치에 끼워지며, 제1 젓음 부재는 계속 회전하므로, 식재료를 제1 젓음 부재와 재료 진입구의 가장자리 사이로 압착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식재료에 압착력을 인가하여, 식재료를 작은 조각이 되도록 압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식재료에 대한 초보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젓음 부재 상에 절삭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절삭 블레이드를 통해 식재료의 절삭을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젓음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식재료에 대한 절삭 젓음 등의 처리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식재료의 진입 속도를 증가시켜, 재료 진입통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식재료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젓음 부재 상에 제1 관통홀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동력 전달 축에서 상기 작동 스크루와 멀리 떨어진 일단은 순차적으로 상기 제1 장착홀, 상기 제1 관통홀을 삽입 및 관통하며, 상기 제1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상기 제1 동력 전달 축에서 상기 제1 관통홀로부터 노출된 일단 상에 장착되는 캡을 더 포함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제1 젓음 부재를 제1 관통홀을 통해 제1 동력 전달 축에서 제1 장착홀로부터 노출된 일단 상에 장착하고, 이가 제1 젓음 부재를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제1 젓음 부재와 제1 동력 전달 축 사이의 장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을 설치함으로써, 제1 동력 전달 축의 상단을 제1 젓음 부재의 상측에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동력 전달 축이 제1 관통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제1 젓음 부재와 제1 동력 전달 축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동력 전달 축 상에 적어도 하나의 구동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구동 돌기는 상기 작동 스크루와 결합되어, 상기 작동 스크루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제1 동력 전달 축의 하단면 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구동 돌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구동 돌기와 작동 스크루의 상단의 측부의 결합을 통해, 작동 스크루와의 구동 연결을 구현할 수 있으며, 물론, 제1 동력 전달 축은 기타 구조를 통해 작동 스크루와 구동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젓음 부재와 상기 제1 동력 전달 축은 분리형 구조이거나, 또는 상기 제1 젓음 부재와 상기 제1 동력 전달 축은 일체형 구조이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제1 젓음 부재와 제1 동력 전달 축은 분리형 구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두개의 부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독적으로 제1 젓음 부재와 제1 동력 전달 축 중 부품 각각에 대해 단독적인 유지 보수 및 교체가 가능하다. 물론, 기타 기술방안에 따르면, 제1 젓음 부재와 제1 동력 전달 축은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젓음 부재와 제1 동력 전달 축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켜, 제1 젓음 부재와 제1 동력 전달 축이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젓음 부재와 제1 동력 전달 축 사이의 끊김없는 연결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제1 젓음 부재와 제1 동력 전달 축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세척 편의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젓음 부재는 대칭되게 상기 제1 동력 전달 축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품의 구조가 보다 적절하고 컴팩트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제품의 구조가 보다 간단해진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 진입구는 상기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재료 진입통의 측벽이 둘러싸여 이루어지며, 상기 재료 진입구의 수량은 두개로서, 두개의 상기 재료 진입구와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모두 상기 재료 진입통의 축선을 기준으로 대칭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재료 진입구는 바람직하게 장착 플레이트와 재료 진입통의 측벽이 둘러싸여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장착 플레이트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시킨다. 재료 진입구의 수량은 바람직하게 두개로서, 이를 통해 각각의 재료 진입구가 보다 크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제품이 일부 큰 사이즈의 식재료를 처리하기에 편리하다. 두개의 재료 진입구와 장착 플레이트는 모두 재료 진입통의 축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며, 이를 통해 장착부는 마침 작동 스크루의 중심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또한 재료 진입통의 내부가 보다 적합하고 컴팩트해질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하나의 원형 플레이트와 원형 플레이트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 두개의 부채꼴 형상의 패널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장착홀은 원형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 진입통은 직통형이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재료 진입통은 바람직하게 원통형, 즉 재료 진입통은 절곡되지 않게 설치되며, 이를 통해 식재료는 위로부터 아래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물론, 재료 진입통은 절곡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재료 진입통의 내측벽과 외측벽은 모두 수직되게 설치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제1 젓음 부재는 젓음 로드거나 젓음 팬이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제1 젓음 부재의 형상은 임의로 설치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젓음 로드이거나 젓음 팬이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동력 전달 축 상에 제1 로케이션 오목홈과 제1 로케이션 돌기 중 하나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 스크루 상에 제1 로케이션 오목홈과 제1 로케이션 돌기 중 다른 하나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로케이션 돌기는 상기 제1 로케이션 오목홈 내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 스크루에 대해 로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1 로케이션 오목홈 내에 제1 내마모 부재가 설치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작동 스크루의 상단면 상에 하나의 제1 로케이션 돌기 또는 제1 로케이션 오목홈 또는 로케이션홀을 설치하고, 제1 동력 전달 축의 하단 상에 대응되게 하나의 제1 로케이션 돌기 또는 제1 로케이션 오목홈 또는 로케이션홀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로케이션 돌기와 로케이션홀 또는 제1 로케이션 돌기와 로케이션축의 결합을 통해 작동 스크루의 로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동 스크루가 장착된 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작동 스크루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로케이션 오목홈 내에 제1 내마모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제1 로케이션 돌기와 제1 로케이션 오목홈 사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서 상기 컵 본체에 가까운 일면 상에 양단이 개방된 중공 칼럼이 설치되고, 상기 중공 칼럼은 상기 재료 진입구와 연통되며; 상기 작동 스크루의 일단은 상기 재료 진입통의 저부로부터 상기 중공 칼럼 내에 진입되며, 상기 중공 칼럼의 측벽과 협력하여, 식재료를 분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중공 칼럼에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멀리 떨어진 일단은 상기 재료 진입통의 측벽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중공 칼럼에서 상기 장착 플레이트에 멀리 떨어진 일단은 허공에 떠있는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장착 플레이트의 하방에 하나의 재료 진입구와 연통될 수 있는 중공 칼럼을 설치하고, 상기 중공 칼럼을 작동 스크루의 상단에 끼움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재료가 재료 진입구로부터 장착 플레이트의 하방으로 진입한 후, 중공 칼럼의 측벽과 작동 스크루의 작용에 의해 압착 처리되거나 절삭 처리될 수 있으며, 즉 식재료가 컵 본체에 진입하기 전에, 식재료에 대해 하나의 분쇄 처리 공정을 더 수행함으로써, 식재료에 대한 제품의 처리 효과를 향상시켜, 출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공 칼럼을 설치함으로써, 재료 진입통 하단의 유효 내경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동 스크루와 재료 진입통의 하단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 통로가 더욱 작게 되므로, 식재료에 대한 처리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중공 칼럼에서 장착 플레이트에 멀리 떨어진 일단은 바람직하게 재료 진입통의 측벽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중공 칼럼은 또한 장착 플레이트에 대해 추가적인 지지 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착 플레이트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기술방안에 따르면, 중공 칼럼에서 장착 플레이트와 멀리 떨어진 일단은 허공에 떠있을 수 있는 바, 즉 재료 진입통의 측벽과 연결되지 않는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중공 칼럼은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스크루 등의 구조의 상단은 대체적으로 위로부터 아래로 점차적으로 증가하므로, 중공 칼럼을 대응되게 원뿔형으로 설치함으로써 중공 칼럼이 작동 스크루의 상단과 서로 매칭될 수 있도록 하여, 작동 스크루가 중공 칼럼과 보다 우수하게 매칭되도록 함으로써, 식재료의 처리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 플레이트는 탈착 가능하게 상기 재료 진입통의 내측벽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장착 플레이트와 상기 재료 진입통의 내측벽은 일체형 구조이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장착 플레이트를 탈착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 내에 장착함으로써, 재료 저장 플랫폼을 분리시키고 컵 본체와 재료 저장 플랫폼을 세척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장착 플레이트와 제2 젓음 부재 등을 일체로 설치하여 장착, 유지 보수, 판매 등을 할 수 있다. 물론, 장착 플레이트와 재료 진입통의 내측벽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즉 장착 플레이트는 직접 재료 진입통 상에 가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착 플레이트와 재료 진입통의 연결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 진입통은 탈착 가능하게 상기 컵 본체의 개방된 단부에 밀폐 장착되거나, 상기 재료 진입통과 상기 컵 본체는 일체형 구조이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재료 진입통과 컵 본체는 일체형 구조로서, 이를 통해 하나의 큰 컵을 통해 식재료의 진입 및 처리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한편으로는 별도로 컵 본체 상에 하나의 재료 진입통이거나 재료 진입통과 유사한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제품의 부품 수량을 줄일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구조는 하나의 컵 본체만 있으므로, 컵 본체의 개구인 하나의 개구부만 구비하게 되며, 따라서 해당 컵 본체를 밀폐할 때, 컵 본체의 개구 위치만 밀폐시키면 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컵 본체와 재료 진입통의 연결 지점 및 컵 본체의 개구를 모두 밀폐시켜야 하며, 적어도 두개의 지점을 밀폐시켜야 하므로, 이러한 구조는 종래기술에 비해 제품의 밀폐 난이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동시에, 종래기술에서, 컵 본체와 재료 진입통의 연결 지점 및 컵 본체의 개구 지점은 모두 누설될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본 발명은 재료 진입통의 사용을 생략하므로, 전체적인 컵 본체의 측벽 위치가 엄격히 밀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밀폐 성능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제품의 진공 착즙 시, 보다 효과적으로 산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재료 진입통과 컵 본체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컵 본체를 통해 식재료의 분쇄 및 식재료의 주스와 찌꺼기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 진입통을 통해 컵 본체 내로 식재료를 추가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진입과 처리가 두개의 컵 본체 각각에 나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컵 본체 각각의 높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제품의 가공 및 세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 스크루 상에 제1 동력 전달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제2 재료 진입 보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재료 저장 플랫폼 및 제2 젓음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재료 저장 플랫폼은 상기 재료 진입통 내에 장착되고, 상기 재료 저장 플랫폼 상에 재료 진입 통로가 설치되며; 상기 제2 젓음 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상기 재료 진입통 내에 장착되고, 상기 재료 저장 플랫폼에서 상기 작동 스크루에 멀리 떨어진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젓음 부재 상에 제2 동력 전달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동력 전달 구조는 상기 제1 동력 전달 구조와 결합되어, 상기 작동 스크루와 상기 제2 젓음 부재를 구동 연결시킬 수 있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재료 저장 플랫폼은 재료 진입통 내에 장착되어 식재료를 보존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젓음 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 내에서 재료 저장 플랫폼의 상방에 장착되며, 여기서, 제2 젓음 부재의 회전 시, 재료 저장 플랫폼 상에 보존되는 식재료에 대해 압착, 절삭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압착, 절삭 등의 처리 후에 이를 밀어 재료 진입 통로 내로 이동시켜, 식재료가 컵 본체 내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수동으로 식재료를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제로 제품 사용 시, 사용자가 한꺼번에 모든 식재료를 재료 진입통의 컵 개구를 통해 재료 진입통 내에 넣어, 이를 재료 저장 플랫폼 상에 보존할 수 있으며, 이후에 식재료가 제2 젓음 부재의 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점차적으로 진입될 수 있다. 제2 젓음 부재 상에 제1 동력 전달 구조를 설치하고, 작동 스크루 상에 제2 동력 전달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이를 통해 제1 동력 전달 구조와 제2 동력 전달 구조)의 협력을 통해, 제2 젓음 부재가 작동 스크루와 구동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작동 스크루의 구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 방식은 작동 스크루를 통해 제2 젓음 부재를 구동시켜, 제2 젓음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품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품의 비용을 절감시킨다. 또한, 이러한 구동 방식은, 작동 스크루와 제2 젓음 부재가 두개의 동력 전달 구조를 통해 직접 구동 연결되므로, 한편으로는 동력 전달이 보다 평온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기타의 그 어떤 연결축 등의 구조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구조를 더욱 단순화하고, 제품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컵 본체와 상기 재료 진입통은 일체형 구조이거나, 또는 상기 컵 본체와 상기 재료 진입통은 분리형 구조이다; 상기 컵 본체와 상기 재료 진입통이 일체형 구조일 경우, 상기 재료 저장 플랫폼은 탈착 가능하게 상기 재료 진입통 내에 장착되고; 상기 컵 본체와 상기 재료 진입통이 분리형 구조일 경우, 상기 재료 저장 플랫폼이 탈착 가능하게 상기 재료 진입통 내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재료 저장 플랫폼과 상기 재료 진입통이 일체형 구조이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재료 진입통과 컵 본체는 일체형 구조이며, 이를 통해 하나의 큰 컵 본체를 통해 식재료의 진입과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한편으로는 컵 본체 상에 하나의 재료 진입통과 유사한 구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부품 수량을 줄일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구조는 하나의 컵 본체만 구비하므로, 컵 본체의 개구인 이 하나의 개방부만 구비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컵 본체를 밀폐할 때, 컵 본체의 개구 위치만 밀폐시키면 되지만, 종래기술에 따르면, 컵 본체와 재료 진입통의 연결 지점 및 컵 본체의 개구는 모두 밀폐가 필요하므로, 적어도 두 지점을 밀폐하여야 되며,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종래기술에 비해 제품의 밀폐 난이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동시에, 종래기술에 따르면, 컵 본체와 재료 진입통의 연결 지점 및 컵 본체의 개구 지점은 모두 누설될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본 발명은 재료 진입통의 사용을 생략하므로, 전체적인 컵 본체의 측벽 위치가 엄격히 밀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밀폐 성능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제품의 진공 착즙 시, 보다 효과적으로 산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재료 진입통과 컵 본체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컵 본체를 통해 식재료의 분쇄 및 식재료의 주스와 찌꺼기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 진입통을 통해 컵 본체 내로 식재료를 추가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진입과 처리가 두개의 컵 본체 각각에 나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컵 본체 각각의 높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제품의 가공 및 세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동시에, 재료 진입통과 컵 본체가 하나의 큰 컵으로 설치될 경우, 재료 저장 플랫폼을 탈착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 내에 장착하여, 재료 저장 플랫폼을 분리시켜 컵 본체와 재료 저장 플랫폼의 세척이 편리하도록 한다. 한편, 재료 진입통과 컵 본체가 두개의 컵으로 설치될 경우, 재료 저장 플랫폼을 탈착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 내에 설치할 수 있고, 재료 저장 플랫폼을 재료 진입통 내에 일체로 장찰할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 저장 플랫폼 상에 제2 장착홀이 설치되되, 상기 제1 동력 전달 구조는 동력 전달 홀과 제2 동력 전달 축 중 하나이고, 상기 제2 동력 전달 구조는 상기 동력 전달 홀과 상기 제2 동력 전달 축 중 다른 하나이며, 상기 제2 동력 전달 축은 상기 제2 장착홀을 통해 상기 동력 전달 홀 내로 삽입되어, 상기 작동 스크루와 상기 제2 젓음 부재를 구동 연결시킬 수 있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재료 저장 플랫폼 상에 하나의 제2 장착홀을 설치하여, 작동 스크루와 젓음 부재가 제2 장착홀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제1 동력 전달 구조는 바람직하게 하나의 동력 전달 홀이거나 제2 동력 전달 축일 수 있으며, 즉 젓음 부재 상에 하나의 동력 전달 홀이거나 하나의 제2 동력 전달 축을 설치하고, 작동 스크루 상에 하나의 제2 동력 전달 축이거나 동력 전달 홀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력 전달 홀과 제2 동력 전달 축의 결합을 통해, 젓음 부재에 대한 작동 스크루의 직접적인 구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젓음 부재가 재료 진입통 내에서 재료 저장 플랫폼 상방에서 회전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식재료에 대한 절삭, 압착 또는 푸시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음므로, 재료의 자동적인 진입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 저장 플랫폼에서 상기 작동 스크루에 가까운 일면 상, 상기 제2 장착홀의 둘레에 한바퀴의 제1 장착홈이 설치되고, 상기 푸드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장착홈 내에 장착되고, 상기 제2 동력 전달 축 상에 끼워지며, 상기 작동 스크루와 상기 재료 저장 플랫폼이 서로 접촉하는 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내마모 부재를 더 포함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재료 저장 플랫폼의 하면 상에서 제2 장착홀을 따라 한바퀴의 제1 장착홈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장착홈을 통해 제2 내마모 부재에 대한 로케이션과 장착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제2 내마모 부재는 재료 저장 플랫폼과 작동 스크루의 상단면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 스크루와 재료 저장 플랫폼 사이의 상호 마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작동 스크루와 재료 저장 플랫폼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동력 전달 홀은 다각형 홀이고, 상기 제2 동력 전달 축은 다각형 홀과 매칭되는 다각형 축이고; 및/또는 상기 제1 동력 전달 구조는 제2 동력 전달 축이고, 상기 제2 동력 전달 구조는 동력 전달 홀이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동력 전달 홀은 다각형 홀이고, 제2 동력 전달 축은 다각형 홀과 서로 매칭되는 다각형 축이며, 이를 통해 비원호면을 통해 작동 스크루와 젓음 부재 사이의 구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력 전달 홀과 제2 동력 전달 축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구동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동력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동력 전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작동 스크루 상에 하나의 제2 동력 전달 축을 설치하고, 젓음 부재 상에 대응되게 하나의 동력 전달 홀을 설치하여, 이를 통해 작동 스크루와 젓음 부재가 보다 우수하게 매칭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재료 저장 홀더 및 제3 젓음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재료 저장 홀더는 상기 재료 진입통 내에 장착되고, 상기 작동 스크루에서 상기 컵 본체의 저부에 멀리 떨어진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재료 저장 홀더 내에 재료 저장 챔버가 마련되고, 상기 재료 저장 챔버에서 상기 작동 스크루에 멀리 떨어진 일단이 개방되고, 상기 재료 저장 홀더 상에 적어도 하나의 재료 진입 홀이 설치되고, 상기 재료 진입 홀과 상기 재료 저장 챔버와 상기 컵 본체는 연통되고; 상기 제3 젓음 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상기 재료 저장 챔버 내에 장착되고, 상기 제3 젓음 부재의 회전 가능한 각도는 30°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여기서, 상기 재료 저장 홀더는 식재료를 보존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3 젓음 부재는 상기 재료 저장 챔버 내의 식재료에 대한 절삭 및/또는 압착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재료 저장 챔버 내에 보존된 식재료를 재료 진입 홀 내에 밀어넣기 위한 것이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작동 스크루 상방에 위치하는 재료 저장 홀더, 및 회전 가능하게 재료 저장 홀더 내에 장착된 제3 젓음 부재를 포함한다. 재료 저장 홀더 상에 재료 진입 홀이 더 설치되므로, 실제 사용 시, 직접 식재료를 재료 저장 홀더 내에 넣어, 재료 저장 홀더를 이용하여 식재료를 보존할 수 있으며, 제3 젓음 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재료 저장 홀더 내에 장착되고, 재료 저장 홀더 상에 재료 저장 챔버와 연통되는 재료 진입 홀이 설치되므로, 제3 젓음 부재의 회전을 통해 재료 저장 홀더 상에 보존된 식재료가 회전하도록 푸싱할 수 있으며, 식재료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식재료와 식재료 사이의 상호 마찰과 압착 또는 식재료와 재료 진입통의 측벽 사이의 상호 마찰과 압착 또는 식재료와 제3 젓음 부재 사이의 상호 마찰과 압착을 통해 식재료의 초보적인 절삭 및/또는 압착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초보적인 절삭 및/또는 압착 가공된 보다 작은 식재료는 제3 젓음 부재의 작용에 의해, 재료 진입 홀로부터 재료 저장 홀더의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고, 보다 큰 식재료는 재료 진입 홀 위치에 끼워지며, 이때, 제3 젓음 부재의 회전이 멈춰지지 않고, 즉 제3 젓음 부재는 계속하여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3 젓음 부재는 재료 진입 홀의 측벽과 함께 식재료에 대해 하나의 조임 타격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재료 진입 홀 위치에 끼워진 식재료에 대해 하나의 압착 또는 절삭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재료를 보다 작은 조각으로 압착 또는 절삭할 수 있다. 이렇게 제3 젓음 부재의 지속적인 회전을 통해, 점차적으로 식재료를 압착하거나 절삭하여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만든 후, 순차적으로 재료 진입 홀을 통과시켜 컵 본체 내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으며, 컵 본체 내에 진입된 식재료는 작동 스크루와 컵 본체의 측벽의 이중 작용에 의해 압착되어 부서지거나 또는 절삭되어 부서지게 되며, 이 후에 여과망 또는 더블 컵 본체 더블 스크루의 방식으로 식재료의 주스와 찌꺼기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에 따르면, 실제 착즙 시, 사용자는 한꺼번에 모든 식재료를 재료 저장 홀더 내에 투입하고, 이를 재료 저장 홀더 내에 보존할 수 있으며, 이후에 식재료는 제3 젓음 부재의 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점차적으로 진입될 수 있으므로, 실제 착즙 시 사용자가 점차적으로 식재료를 투입할 필요가 없이, 한꺼번에 식재료를 투입할 수 있으므로, 실제 과정에서, 먼저 식재료를 모두 재료 저장 홀더 내에 투입한 후, 예약 모듈 등을 통해 제품이 일단 작동하지 않고,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작동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재료에 대해 사전에 예약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이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조는 제품의 예약 착즙 가능성을 제공하므로, 푸드 프로세서 상에 예약 모듈을 설치하여, 예약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한꺼번에 식재료를 투입한 후, 제3 젓음 부재의 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식재료를 진입시킬 수 있으며, 푸시 젓음 로드 등을 사용하여 수동적으로 식재료를 푸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조작량을 줄여, 제품의 착즙 기능이 보다 간편하고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푸시 젓음 로드 등의 구조를 생략하여, 푸시 젓음 로드를 사용함에 따른 일련의 문제점, 예를 들어 푸시 젓음 로드의 안착 문제점과 푸시 젓음 로드의 사용에 따른 안전 상의 우려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은 식재료가 재료 진입 홀을 통해 컵 본체 내에 낙하될 때, 제3 젓음 부재를 통해 미리 식재료에 대해 절삭 또는 압착 가공할 수 있으므로, 컵 본체 내에 진입되는 식재료의 알갱이가 모두 보다 작도록 하며, 따라서 작동 스크루의 난이도를 감소시키켜, 작동 스크루의 마모를 줄이고, 식재료의 처리 가공 효과를 향상시켜, 출즙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은 또한 작동 스크루가 로킹되는 것을 방지하고, 찌꺼기 배출구가 막히는 등의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재료 저장 홀더 내에 재료 저장 챔버를 설치함으로써,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 자체가 식재료 수용 작용을 구비하게 되며, 따라서 식재료 투입 시,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를 식재료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반드시 식재료를 제품 위치로 이동시켜 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식재료의 투입 조작이 보다 간편하고 편리해진다. 한편, 이러한 구성은 식재료를 절삭 및/또는 압착할 때, 직접 재료 저장 챔버의 측벽을 이용하여 식재료에 대해 차단 및 압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재료 진입통의 측벽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재료 저장 홀더에 대응되는 재료 진입통의 측벽 부분이 식재료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재료 진입통의 해당 지점 측벽의 가공 요구를 낮추어, 제품 비용을 절감시키고, 재료 진입통의 해당 지점의 청결도를 확보하여, 재료 진입통의 세척 난이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재료 저장 홀더 내에 재료 저장 챔버가 설치됨으로써, 재료 저장 홀더를 재료 저장 패널의 형태로 설치하는 방안에 비해, 식재료가 재료 저장패널과 재료 진입통의 측벽 사이에 끼이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젓음 부재의 회전 가능한 각도는 30°보다 크거나 동일하여, 제3 젓음 부재가 보다 적합한 회전 각도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재료 저장 홀더 상의 식재료를 충분히 분쇄한 후에 푸싱하여 재료 진입 홀 위치로 이동시켜, 제품의 식재료 진입 원활성을 향상시키고, 제3 젓음 부재의 회전 각도가 너무 작아서, 식재료의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 저장 홀더 상에 제3 장착홀이 더 설치되고, 상기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제3 동력 전달 축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3 동력 전달 축의 일단은 상기 재료 저장 챔버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3 젓음 부재와 구동 연결되며, 상기 제3 동력 전달 축의 타단은 상기 제3 장착홀 내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작동 스크루와 구동 연결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재료 저장 챔버 내에 하나의 회전 가능한 젓음 팬, 젓음 로드 등의 제3 젓음 부재를 설치하고, 제3 동력 전달 축을 통해 이를 작동 스크루에 구동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동 스크루의 회전 시, 제3 동력 전달 축을 통해 제3 젓음 부재를 회전시켜, 식재료에 대한 절삭 및/또는 압착 등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절삭 및/또는 압착 후의 식재료는 나아가 제3 젓음 부재의 작용에 의해 재료 진입 홀로부터 컵 본체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물론, 제3 젓음 부재는 기타 방식을 통해 작동 스크루에 구동 연결되거나, 또는 제3 젓음 부재는 작동 스크루에 연결되지 않고, 이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 구조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 저장 홀더의 외저벽 상에 수용홈이 설치되고, 상기 작동 스크루의 일단은 상기 수용홈 내에 진입할 수 있고, 상기 재료 저장 홀더의 내저벽 상에 장착 돌출턱이 설치되고, 상기 제3 장착홀은 상기 장착 돌출턱 및 상기수용홈을 관통하고, 상기 제3 동력 전달 축의 일단은 상기 수용홈 내에 위치되어, 상기 작동 스크루와 구동 연결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3 동력 전달 축의 타단은 상기 제3 장착홀을 통해 상기 재료 저장 챔버 내로 진입하며, 상기 제3 젓음 부재와 구동 연결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재료 저장 홀더의 내 저벽면 상에 장착 돌출턱이 설치되어, 한편으로는 상기 장착 돌출턱을 이용하여 제3 젓음 부재를 보다 높게 장착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재료 저장 홀더의 내벽의 면적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제3 젓음 부재는 더욱 큰 면적의 내벽과 협력하여, 식재료에 대한 절삭 및/또는 압착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작동 시, 식재료에 대한 압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재료의 처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장착 돌출턱을 설치한 후, 수용홈을 장착 돌출턱에 대응되게 설치함으로써, 재료 저장 홀더의 저벽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재료 저장 홀더의 저벽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재료 저장 홀더의 외저벽면 상에 수용홈을 설치하여, 재료 저장 홀더가 작동 스크루의 일단 상에 씌워지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동 스크루가 수용홈의 측벽과 협력하여 식재료에 대한 추가적인 절삭 및/또는 압착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처리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 진입 홀은 상기 장착 돌출턱에서 재료 저장 챔버의 일단에 멀리 떨어진 단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재료 저장 홀더의 저부까지 연장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재료 진입 홀은 장착 돌출턱에서 재료 저장 챔버의 일단에 멀리 떨어진 단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재료 저장 홀더의 저부까지 연장되어, 재료 진입 홀이 보다 크게 개구되도록 함으로써, 식재료의 진입 원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재료 진입 홀의 수량은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으며, 재료 진입 홀이 복수일 경우, 복수의 재료 진입 홀은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장착 돌출턱의 측벽면은 상기 장착 돌출턱에서 상기 재료 저장 홀더의 저벽에 멀리 떨어진 일단으로부터 상기 장착 돌출턱에서 재료 저장 홀더의 저벽에 가까운 일단까지 밖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및/또는 상기 수용홈의 형상과 상기 작동 스크루에서 상기 수용홈 내에 진입되는 일단의 형상이 서로 매칭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장착 돌출턱의 외측벽은 재료 저장 챔버의 개구로부터 재료 저장 챔버의 저벽을 향해 밖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이를 통해 식재료를 절삭 및/또는 압착한 후, 식재료는 장착 돌출턱의 외측벽을 따라 아래로 유동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아래로 가속 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식재료가 보다 원활하게 재료 진입 홀을 통해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용홈과 작동 스크루의 상단이 보다 우수하게 매칭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구조가 보다 합리적이도록 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 저장 홀더의 저벽은 상기 재료 저장 챔버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상기 수용홈과 상기 장착 돌출턱을 형성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재료 저장 홀더의 저벽을 재료 저장 홀더 내부를 향해 함몰되게 형성함으로써, 그 내저벽면 상에 장착 돌출턱을 형성하고, 및 외저벽면 상에 수용홈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재료 저장 홀더의 저벽 상에 장착 돌출턱과 수용홈을 가공해낼 수 있으므로, 가공 난이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젓음 부재는, 상기 장착 돌출턱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3 동력 전달 축에 장착되는 고정홀더; 일단이 상기 고정홀더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재료 저장 챔버의 저벽을 향해 연장되는 젓음 구조;를 포함하되, 상기 젓음 구조는 젓음 팬, 젓음 로드 또는 젓음 막대기이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제3 젓음 부재는 홀더와 젓음 구조를 포함하되, 홀더는 제3 동력 전달 축과 연결되고, 젓음 구조의 장착을 위한 것이며, 젓음 구조는 구체적으로 식재료를 절삭 및/또는 압착하고 식재료를 휘젖기 위한 것이다. 재료 저장 챔버 내에 장착 돌출턱이 설치될 경우, 제3 젓음 부재를 장착 돌출턱의 상부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3 젓음 부재의 일단을 보다 높게 장착하고, 동시에 제3 젓음 부재의 타단을 재료 저장 챔버의 저부를 향해 처지도록 함으로써, 제3 젓음 부재는 재료 저장 챔버 내의 높이가 다른 식재료 전체에 대해 절삭 및/또는 압착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처리 효과를 향상시켜, 출즙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재료 저장 챔버의 저벽에 장착 돌출턱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제3 젓음 부재는 재료 저장 챔버의 저벽 상에 장착될 수 밖에 없으므로, 식재료에 대해 처리할 수 있는 제3 젓음 부재의 높이가 젓음 구조의 높이의 제한을 받게 되며, 따라서 젓음 구조가 보다 낮게 설치될 경우, 식재료에 대한 처리 효과가 떨어지고, 젓음 구조를 전체적으로 보다 높게 설치하면, 젓음 구조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동시에 고정홀더를 높게 설치할 수 밖에 없으며, 이 경우 제3 젓음 부재의 구조가 비교적 복잡해지고, 제3 동력 전달 축과 그 사이의 연결 강도도 감소된다.
여기서, 젓음 구조는 블레이드 형태일 수 있으며, 막대 형태거나 젓음 로드 형태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젓음 구조의 형상은 실제 경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동력 전달 축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구동 돌기가 설치되며, 상기 제2 구동 돌기는 상기 작동 스크루와 결합되어, 상기 작동 스크루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제3 동력 전달 축의 하단면 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구동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제2 구동 돌기와 작동 스크루의 상단의 측부의 결합을 통해, 제3 동력 전달 축과 작동 스크루 사이의 구동 연결을 구현할 수 있으며, 물론, 제3 동력 전달 축은 기타 구조를 통해 작동 스크루와 구동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젓음 부재와 상기 제3 동력 전달 축은 분리형 구조이거나, 상기 제3 젓음 부재와 상기 제3 동력 전달 축은 일체형 구조이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제3 젓음 부재와 제3 동력 전달 축은 분리형 구조, 예를 들어 두개의 부품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독으로 제3 젓음 부재와 제3 동력 전달 축 중 부품 각각에 대해 단독적으로 유지 보수와 교체하기가 편리하다. 물론, 기타 기술방안에서, 제3 젓음 부재와 제3 동력 전달 축은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제3 젓음 부재와 제3 동력 전달 축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켜, 제3 젓음 부재와 제3 동력 전달 축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 젓음 부재와 제3 동력 전달 축 사이의 끊김없는 연결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제3 젓음 부재와 제3 동력 전달 축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세척이 용이해진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3 동력 전달 축 상에 제2 로케이션 오목홈과 제2 로케이션 돌기 중 하나가 설치되고, 상기 작동 스크루 상에 제2 로케이션 오목홈과 제2 로케이션 돌기 중 다른 하나가 설치되며, 상기 제2 로케이션 돌기는 상기 제2 로케이션 오목홈 내에 삽입되어, 상기 작동 스크루에 대해 로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로케이션 오목홈 내에 제3 내마모 부재가 설치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작동 스크루의 상단면 상에 하나의 제2 로케이션 돌기 또는 제2 로케이션 오목홈을 설치하고, 제3 동력 전달 축의 하단 상에 대응되게 하나의 제2 로케이션 돌기 또는 제2 로케이션 오목홈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2 로케이션 돌기 및 제2 로케이션 돌기와 로케이션축의 결합을 통해 작동 스크루에 대한 로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고, 나아가 작동 스크루의 장착 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작동 스크루의 유동을 줄일 수 있다. 제2 로케이션 오목홈 내에 제3 내마모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제2 로케이션 돌기와 제2 로케이션 오목홈 사이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탈착 가능하게 상기 재료 진입통 내에 장착되거나, 또는 상기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상기 재료 진입통 내에 배치되되, 상기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재료 저장 홀더와 상기 재료 진입통의 측벽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재료 진입통의 내측벽 상에 제3 버클이 설치되고, 상기 재료 저장 홀더의 외측벽 상에 제4 버클이 설치되어, 상기 재료 저장 홀더는 상기 제3 버클과 상기 제4 버클의 결합을 통해 상기 재료 진입통 내에 걸림 장착될 수 있고; 및/또는 상기 재료 저장 챔버의 측벽은 상기 재료 저장 챔버의 개구로부터 상기 재료 저장 챔버의 저부까지 상기 재료 저장 챔버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재료 진입통 내에서 작동 스크루의 상방에 장착되며, 이로써 재료 진입통을 통해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를 장착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이를 재료 진입통 내에 장착함으로써, 재료 진입통을 이용하여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 내의 식재료가 비산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동시에,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재료 저장 홀더와 재료 진입통은 일체형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고,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재료 저장 홀더를 탈착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 내에 장착할 수도 있다. 한편, 재료 진입통과 컵 본체를 하나의 큰 컵으로 병합할 경우, 바람직하게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를 탈착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 내에 장착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 재료 저장 홀더의 외측벽 상에 제4 버클을 설치하고, 재료 진입통의 내측벽 상에 제3 버클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3 버클과 제4 버클의 결합을 통해,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를 재료 진입통 내에 걸림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가 자유롭게 재료 진입통 내부로부터 탈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세척이 용이해지고,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푸드 프로세싱컵은, 상기 컵 본체와 상기 작동 스크루 사이에 설치된 여과망을 더 포함하되; 상기 재료 진입통의 내측벽 상에는 상기 여과망에 대응되게 상기 재료 진입통에 가까운 일단에 로케이션 계단면이 설치되고, 상기 로케이션 계단면은 상기 여과망과 결합되어, 상기 여과망에 대한 로케이션을 수행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푸드 프로세서가 단일 컵 본체와 단일 작동 스크루인 푸드 프로세서일 때, 컵 본체와 작동 스크루 사이에 하나의 여과망을 설치하여, 여과망을 이용하여 식재료가 분쇄된 후, 식재료의 주스와 찌꺼기를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재료 진입통의 내측벽 상에 여과망의 상단면에 대응되는 하나의 로케이션 계단면을 설치하여, 로케이션 계단면을 이용하여 여과망을 누름으로써, 여과망을 축방향으로 로케이션 장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여과망의 장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푸드 프로세서는, 상기 컵 본체, 상기 재료 진입 모듈 및 상기 찌꺼기 수집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상에 설치되며, 상기 밀폐 챔버와 연통될 수 있는 압력 릴리프 홀; 상기 압력 릴리프 홀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압력 릴리프 홀을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는 압력 릴리프 플러그를 더 포함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컵 본체, 재료 진입 모듈 및 찌꺼기 수집 장치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상에 밀폐 챔버와 연통되는 압력 릴리프 홀을 설치하고, 압력 릴리프 플러그를 통해 압력 릴리프 홀을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품의 작동 전에 압력 릴리프 플러그를 폐쇄하여, 압력 릴리프 홀을 밀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컵 본체 내부, 재료 진입 모듈 및 찌꺼기 수집 장치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가스 펌핑 모듈을 통해 진공이 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대체적으로 진공 또는 진공에 가까운 상태에서 식재료에 대해 처리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식재료에 대한 처리가 끝난 후, 압력 릴리프 플러그를 통해 압력 릴리프 홀을 개방하여, 제품 내부와 외계를 연통시켜, 컵 본체, 재료 진입 모듈 및 찌꺼기 수집 장치 내의 음압을 점차적으로 해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이하고 신속하게 감압할 수 있다. 물론, 기타 기술방안에서, 기타 방식을 통해 감압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가스 펌핑 모듈을 통해 내부로 공기를 수송하여 감압할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펌핑 모듈은 가스 펌프; 일단이 상기 가스 펌프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밀폐 챔버와 연통되는 배기통로를 포함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하나의 가스 펌프를 이용하여 공기를 펌핑해낼 수 있으며, 가스 펌핑 통로는 가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펌핑 모듈은, 상기 가스 펌프의 출구에 연결되어 배기하기 위한 배기통로; 상기 배기통로 상에 설치된 노이즈 저감 장치를 더 포함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하나의 배기통로를 설치하여 배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배기통로는 바람직하게 하나의 배기관이다. 노이즈 저감 장치는 가스 펌핑 모듈의 소음을 저감시켜,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펌프는 상기 홀더 모듈, 상기 컵 본체 및 상기 재료 진입 모듈 중 어느 하나 상에 설치되거나, 상기 가스 펌프는 상기 홀더 모듈, 상기 컵 본체 및 상기 재료 진입 모듈과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가스 펌프는 임의의 위치,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홀더 모듈, 컵 본체 또는 재료 진입 모듈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물론, 가스 펌프는 홀더 모듈, 컵 본체 및 재료 진입 모듈과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는 바, 즉 가스 펌프는 홀더 모듈, 컵 본체와 재료 진입 모듈에 외장될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펌핑 통로는 가스 펌핑 관이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가스 펌핑 통로는 바람직하게 가스 펌핑 관이며, 물론, 가스 펌핑 통로는 푸드 프로세서의 하우징 상에 설치된 기타 통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가스 펌프는 전동 펌프 또는 수동 펌프 또는 풋 펌프일 수도 있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가스 펌프는 바람직하게 전동 펌프이고, 이에 따라 전력 구동 가스 펌프와 함께 가스 펌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동적으로 가스 펌핑을 필요가 없으며, 물론, 가스 펌프는 수동 펌프 또는 풋 펌프(foot pump)일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 펌프는 진공 펌프이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가스 펌프는 바람직하게 진공 펌프이며, 진공 펌프는 흔히 사용하는 펌프로서, 쉽게 구입할 수 있으며, 한편 진공 펌프의 진공 형성 능력이 보다 강하므로, 푸드 프로세서 내부의 대량의 공기를 뽑아내여, 식재료 처리 시, 컵 본체 내의 진공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컵 본체 상에 제1 찌꺼기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찌꺼기 수집 장치가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에 밀폐 연결될 경우, 상기 찌꺼기 수집 장치는 찌꺼기 수집컵, 찌꺼기 수집 덮개 및 제2 밀폐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찌꺼기 수집컵은 탈착 가능하게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 위치에 밀폐 장착되고, 상기 찌꺼기 수집컵의 측벽 상에 찌꺼기 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찌꺼기 입구와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가 서로 연통되며; 상기 찌꺼기 수집 덮개는 상기 찌꺼기 수집컵의 개방된 단부 상에 밀폐되게 씌워져 장착되고; 상기 제2 밀폐부재는 상기 찌꺼기 수집 덮개와 상기 찌꺼기 수집컵의 연결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찌꺼기 수집 덮개와 상기 찌꺼기 수집컵을 밀폐 연결시키며; 여기서, 상기 찌꺼기 수집컵과 상기 컵 본체 중 하나에 장착 컬럼이 설치되고, 상기 찌꺼기 수집컵과 상기 컵 본체 중 다른 하나에 장착 슬리브가 설치되어, 상기 찌꺼기 수집컵은 상기 장착 컬럼과 상기 장착 슬리브의 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 위치에 밀폐 장착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컵 본체 상에 제1 찌꺼기 배출구가 설치되고, 찌꺼기 수집 장치가 컵 본체 외부에 장착될 때, 바람직하게 찌꺼기 수집 장치를 찌꺼기 수집컵과 찌꺼기 수집 덮개를 포함하는 구조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찌꺼기 수집컵을 통해 찌꺼기 수집 처리를 수행하고, 찌꺼기 수집 덮개를 통해 찌꺼기 수집컵을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다. 찌꺼기 수집컵과 컵 본체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찌꺼기 수집컵을 컵 본체 상으로부터 쉽게 분리시켜, 찌꺼기를 쏟아내거나 세척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동시에, 찌꺼기 수집컵과 컵 본체중 하나에 장착 슬리브를 설치하고, 다른 하나에 장착 컬럼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장착 슬리브와 장착 컬럼의 끼움 장착을 통해, 찌꺼기 수집컵과 컵 본체 사이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동시에, 장착 슬리브와 장착 컬럼 사이에 제2 밀폐부재를 설치하여, 장착 슬리브와 장착 컬럼이 밀폐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찌꺼기 수집 장치는 기타 유형의 구조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찌꺼기 수집 주머니이거나 또는 기타 챔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푸드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 위치의 찌꺼기 배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찌꺼기 배출 압력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제1 찌꺼기 배출구 위치에 하나의 찌꺼기 배출 압력 조절 모듈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찌꺼기 배출 압력 조절 모듈을 통해 제1 찌꺼기 배출구 지점의 찌꺼기 배출 압력을 조절하여, 찌꺼기 배출 압력을 합리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음식물 찌꺼기가 배출되기 전에 추가적으로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주스와 찌꺼기가 보다 철저히 분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찌꺼기 배출 압력 조절 모듈은 하나의 레벨의 압력만 구비할 수 있으며, 즉 찌꺼기 배출 압력은 고정값으로서, 제품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는 찌꺼기 배출 압력을 변경할 수 없다. 물론, 찌꺼기 배출 압력 조절 모듈은 복수의 레벨의 압력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즉 찌꺼기 배출 압력은 복수의 레벨값을 포함하여, 실제 과정에서, 사용자는 찌꺼기 배출 압력 조절 모듈을 조작하여, 제품이 복수의 찌꺼기 배출 압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이한 식재료를 처리할 때, 식재료의 종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찌꺼기 배출 압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보다 잘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찌꺼기 배출 압력을 합리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포도와 같은 일부 보다 유연한 식재료가 압착되어 너무 부서져, 영양이 유실되고, 입맛이 떨어지는 등의 상황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조섬유 식재료, 예를 들어 사탕수수, 생강, 당근 등의 식재료가 불충분하게 압착되어, 출즙율이 낮은 상황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영양과 입맛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출즙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하나의 댐핑 실리콘을 통해 찌꺼기 배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찌꺼기 배출 압력 조절 모듈의 구체적인 구조는 현재 기존의 원즙기, 착즙기 등에서 찌꺼기 배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 진입 모듈의 일단은 탈착 가능하게 상기 컵 본체의 개방된 단부 내에 걸림 결합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재료 진입 모듈, 예를 들어 재료 진입통의 하단 상에 제1 버클을 설치하고, 컵 본체의 상단의 내측벽 상에 제1 버클과 매칭될 수 있는 제2 버클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1 버클과 제2 버클의 걸림 결합을 통해 재료 진입 모듈의 일단을 밀폐되게 컵 본체의 개방된 단부 내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컵 본체는 분쇄컵과 압착컵을 포함하되, 상기 재료 진입 모듈은 밀폐되게 상기 분쇄컵의 개방된 단부 상에 덮여져 장착되고, 상기 분쇄컵의 타단 상에 연통구가 설치되어, 상기 압착컵과 상기 분쇄컵은 상기 연통구를 통해 연통되며; 상기 작동 스크루는 상기 분쇄컵 내에 장착된 분쇄 스크루와 상기 압착컵 내에 장착된 압착 스크루를 포함하되; 상기 컵 본체 상에 제1 찌꺼기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찌꺼기 수집 장치가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에 밀폐 연결될 경우,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가 상기 압착컵 상에 설치되고, 상기 찌꺼기 수집 장치와 상기 압착컵은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를 통해 연통되며; 상기 홀더 모듈 상에 제1 구동축과 제2 구동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축은 상기 분쇄 스크루와 구동 연결되어, 상기 분쇄 스크루가 식재료를 분쇄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구동축은 상기 압착 스크루와 구동 연결되어, 상기 압착 스크루가 식재료를 압착하여 식재료 주스와 찌꺼기를 분리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식재료가 분쇄컵 내에 넣어진 후, 분쇄 스크루는 제1 구동축의 구동에 의해 분쇄컵의 측벽과 협력하여 음식물을 분쇄하고, 분쇄된 후의 식재료는 분쇄 스크루의 작용에 의해 압착컵 내로 들어가며, 압착 스크루는 제2 구동축의 구동에 의해 식재료를 압착하여, 식재료의 주스와 찌꺼기가 분리되도록 한다. 해당 기술방안는 식재료의 분쇄 과정과 착즙 및 찌꺼기 배출 과정을 별도로 수행하며, 분쇄 과정에서, 착즙 및 찌꺼기 배출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분쇄컵 내에 여과망 및 회전 브러시 등의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분쇄컵 내의 식재료가 분쇄컵과 분쇄 스크루의 공통 작용에 의해 분쇄되며, 착즙 및 찌꺼기 배출 과정에서 압착 스크루를 대체적으로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착즙 및 찌꺼기 배출 시스템을 수평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식물의 주스와 찌꺼기의 분리가 용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푸드 프로세서의 출즙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망, 회전 브러시 등의 부품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푸드 프로세서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장착이 용이하며, 또한 여과망을 생략하므로, 사용자의 세척 난이도를 감소시키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압착컵의 축선과 상기 분쇄컵의 축선 사이는 75°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180°보다 작거나 동일한 끼인각을 이루거나, 또는 상기 압착컵의 축선과 상기 분쇄컵의 축선 사이는 90°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135°보다 작거나 동일한 끼인각을 이룬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압착컵과 분쇄컵 사이는 일 끼인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식재료가 압착컵으로부터 분쇄컵 내로 들어갈 수만 있으면 되며, 여기서, 바람직하게, 압착컵의 축선과 분쇄컵의 축선 사이는 75°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180°보다 작거나 동일한 끼인각을 이루고, 즉 압착컵은 수평 또는 아래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이를 통해 식재료가 압착컵 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압착컵 내에서 제1 찌꺼기 배출구로 유동할 때 적어도 식재료의 중력을 극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식재료의 유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더 나아가, 압착컵의 축선과 분쇄컵의 축선 사이는 90°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135°보다 작거나 동일한 끼인각을 이루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식재료는 압착 스크루의 압착력에 의해 밖으로 유출되는 것 외에, 식재료의 중력에 의해서도 유출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유동 속도를 증가시켜, 출즙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재료에 대해 충분히 압착함으로써, 출즙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직식 기기와 수평식 기기를 서로 결합하므로, 제품이 수직식 기기의 분쇄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식 기기의 압착이 충분한 장점도 구비하므로, 식재료가 충분히 분쇄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분히 압착되도록 할 수도 있으므로, 출즙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나아가, 바람직하게, 압착컵의 축선과 분쇄컵의 축선 사이는 90°의 끼인각을 이룬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상기 압착 스크루의 축선과 상기 분쇄 스크루의 축선 사이는 75°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180°보다 작거나 동일한 끼인각을 이루거나, 상기 압착 스크루의 축선과 상기 분쇄 스크루의 축선 사이는 90°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135°보다 작거나 동일한 끼인각을 이룬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압착컵이 수평 또는 아래로 경사지게 설치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식재료가 압착컵 내에 들어가거나 압착컵 내에서 제1 찌꺼기 배출구로 흐를 때 적어도 식재료의 중력을 극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식재료의 흐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나아가, 바람직하게, 상기 압착 스크루의 축선과 상기 분쇄 스크루의 축선 사이는 90°의 끼인각을 이룬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홀더 모듈은 홀더, 하우징 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 모듈은 상기 홀더 상에 장착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컵 본체 상에 제1 찌꺼기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찌꺼기 수집 장치가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에 밀폐 연결될 경우, 푸드 프로세서는, 일단이 상기 컵 본체와 연통되고, 타단은 외계와 연통되는 제1 감압통로; 일단이 상기 찌꺼기 수집 장치와 연통되고, 타단은 외계와 연통되는 제2 감압통로; 상기 제1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 및 상기 제2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 상에 장착되어, 상기 제1 감압통로와 상기 제2 감압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5 밀폐부재를 더 포함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찌꺼기 수집 장치가 컵 본체 외부에 장착될 때, 컵 본체와 연통되는 제1 감압통로를 설치하여, 제1 감압통로를 통해 진공 착즙이 끝난 후에 컵 본체에 대해 감압을 수행할 수 있고, 찌꺼기 수집 장치와 연통되는 제2 감압통로를 설치하여, 제2 감압통로를 통해 진공 착즙이 끝난 후에 찌꺼기 수집 장치에 대해 감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5 밀폐부재는 제1 감압통로 및 제2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에 밀폐 연결되어, 제5 밀폐부재의 개방 또는 폐쇄를 통해, 제1 감압통로 및 제2 감압통로의 외부와의 연통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진공 착즙시, 제1 감압통로 및 제2 감압통로를 폐쇄하여, 컵 본체가 밀폐될 수 있도록 확보하고, 착즙이 끝난 후, 제5 밀폐부재를 개방하여 제1 감압통로 및 제2 감압통로를 개방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컵 본체와 찌꺼기 수집 장치에 대해 동시에 감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컵 본체와 찌꺼기 수집 장치 모두에 대해 대응되는 감압통로가 설치되므로, 감압 시, 컵 본체와 찌꺼기 수집 장치 각각에 대해 감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컵 본체의 제1 찌꺼기 배출구가 음식물 찌꺼기에 의해 막힘 여부에 상관없이, 찌꺼기 수집 장치는 바로 감압될 수 있으므로, 착즙이 끝난 후에 찌꺼기 수집 장치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분리시켜 찌꺼기를 쏟아내거나 세척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찌꺼기 수집 장치가 음식물 찌꺼기에 의해 막혀 제때에 감압되지 못하여 초래되는 일련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제품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켜,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1 감압통로의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과 상기 제2 감압통로의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이 동일한 통로로 병합되고; 상기 컵 본체의 측벽 내에 하나의 연결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통로의 일단은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연결통로의 내측벽 상에 상기 컵 본체와 연통되는 제2 관통홀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통로의 외측벽 상에 제3 관통홀이 설치되며, 상기 제5 밀폐부재는 개방 또는 밀폐 가능하게 상기 제3 관통홀 위치에 장착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제1 감압통로와 제2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 즉 가스 유입단을 하나의 통로로 병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제5 밀폐부재만 설치하면 제1 감압통로와 제2 감압통로를 동시에 개방되거나 동시에 폐쇄할 수 있으므로, 컵 본체와 찌꺼기 수집 장치를 폐쇄하여 진공 착즙할 때, 제5 밀폐부재를 정위치에 장착하기만 하면 되고, 감압 시에도, 하나의 제5 밀폐부재만 개방하면 되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의 착즙과 감압 시의 조작을 단순화하고,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할 때의 작업량을 줄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바람직하게 컵 본체의 측벽 내에 하나의 연결통로를 설치하여, 제1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과 제2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을 동일한 통로로 병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통로의 일단이 제1 찌꺼기 배출구와 연통되어, 연결통로가 찌꺼기 수집 장치와 연통될 수 있도록 하고, 연결통로의 측벽 상에 제2 관통홀이 설치되어, 연결통로가 컵 본체와 연통될 수 있도록 하며, 이렇게 연결통로를 제1 감압통로와 제2 감압통로의 공통적인 통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컵 본체와 찌꺼기 수집 장치가 해당 연결통로를 통해 동시에 폐쇄 및 감압할 수 있다. 연결통로의 외측벽 상의 제3 관통홀은 연결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가스 유입구로서, 제3 관통홀의 개방 및 폐쇄를 통해, 컵 본체와 찌꺼기 수집 장치를 동시에 밀폐하거나 동시에 감압할 수 있다.
물론, 기타 구조를 통해 제1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과 제2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을 동일한 통로로 병합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컵 본체의 측벽 내에 미리 하나의 입구와 두개의 출구를 포함하는 분기관로를 매설하여, 해당 분기관로를 통해 컵 본체와 찌꺼기 수집 장치에 대해 동시에 감압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제5 밀폐부재는 하나의 실링 플러그이고, 상기 푸드 프로세서는 밸브 로드 및 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 로드의 일단은 상기 제3 관통홀 내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제3 관통홀의 축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 로드의 타단은 상기 컵 본체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 플러그는 상기 밸브 로드에서 상기 컵 본체 외부에 배치되는 일단 상에 끼워지며, 상기 밸브 로드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3 관통홀 위치에 밀폐 장착되거나 상기 제3 관통홀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복귀 스프링은 상기 컵 본체 내부 또는 상기 연결통로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밸브 로드의 이동 후에 상기 밸브 로드를 복귀시킨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제5 밀폐부재는 하나의 실링 플러그로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러버 플러그와 실리콘 플러그일 수 있고, 이 경우 하나의 실링 플러그를 통해 제3 관통홀을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으므로, 감압통로 전체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밸브 로드는 실링 플러그의 장착 및 제3 관통홀의 축방향을 따라 실링 플러그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 경우 밸브 로드의 이동을 통해 실링 플러그의 개방 및 폐쇄를 구현할 수 있다. 복귀 스프링은 감압이 완료된 후에 밸브 로드가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밸브 로드와 실링 플러그가 감압 후에 자동적으로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제3 관통홀을 밀폐시키고,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감압 후에 밸브 로드가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별도로 제3 관통홀을 밀폐하지 않아도 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작업량을 줄이고, 사용자가 다음번에 착즙할 때 밸브 로드를 복귀시키는 것을 잊어 제품이 밀폐되지 않아서, 진공 착즙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 로드에서 상기 제3 관통홀 내에 삽입된 일단은 상기 제2 관통홀로 삽입되고 상기 컵 본체 내에 진입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의 내측벽 상에 암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밸브 로드에서 상기 제2 관통홀과 결합되는 측벽 상에 수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밸브 로드는 상기 수나사산과 상기 암나사산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2 관통홀 내에 장착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제2 관통홀에 암나사산을설치하고, 밸브 로드에서 제2 관통홀과 결합되는 측벽 상에 대응되게 수나사산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밸브 로드는 나사산 연결 방식으로 컵 본체 상에 장착될 수 있고, 나아가 회전하는 방식을 통해 밸브 로드를 조이거나 풀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밸브 로드를 제3 관통홀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켜, 제3 관통홀에 대한 실링 플러그의 개방 및 폐쇄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나사산 연결 방식을 통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밸브 로드를 컵 본체 상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3 관통홀에 대한 실링 플러그의 개방 및 폐쇄 조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품의 전체적인 구조가 보다 간단해질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 로드에서 상기 제3 관통홀 내에 삽입된 일단은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컵 본체 내에 수용되며, 상기 밸브 로드에서 상기 컵 본체 내에 수용된 일단의 단부 상에 제2 장착홈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통로의 내측벽 상에 제4 관통홀이 더 설치되며, 상기 복귀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이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밸브 로드에서 상기 컵 본체 내에 수용된 일단 상에 끼움 설치되되,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제1 비틀림 스프링 암은 상기 제2 장착홈 내에 장착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제2 비틀림 스프링 암은 상기 제4 관통홀 내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제4 관통홀의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밸브 로드를 제3 관통홀에 삽입하고, 계속하여 제1 관통홀을 통과시켜 컵 본체 내에 수용시킬 수 있으며, 복귀 스프링은 바람직하게 비틀림 스프링이고, 이 경우 밸브 로드의 회전 후, 비틀림 스프링은 밸브 로드를 자동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이 밸브 로드에서 컵 본체 내에 수용된 일단 상에 끼움 설치됨으로써, 비틀림 스프링을 컵 본체 내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비틀림 스프링을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밸브 로드의 단부 상에 제2 장착홈이 설치됨에 따라, 해당 제2 장착홈과 제1 비틀림 스프링 암의 결합을 통해 비틀림 스프링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비틀림 스프링이 밸브 로드를 따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4 관통홀은 제2 비틀림 스프링 암을 고정 및 안내하여, 밸브 로드의 회전 시, 비틀림 스프링에 정상적으로 비틀림 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응한 탄성 에너지를 모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밸브 로드를 해제한 후, 밸브 로드는 탄성 에너지의 작용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 로드에서 상기 컵 본체 외부에 배치되는 일단 상에 압착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압착 플레이트는 상기 실링 플러그를 상기 제3 관통홀 위치에 압착 밀착할 수 있으며, 상기 압착 플레이트 상에 조작 핸들이 설치된다.
해당 기술방안에서, 밸브 로드의 말단에 압착 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압착 플레이트를 통해 실링 플러그를 제3 관통홀 위치에 밀착시켜, 실링 플러그가 제3 관통홀이 안정적으로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압착 플레이트 상에 조작 핸들이 설치되어, 사용 시 직접 조작 핸들을 통해 밸브 로드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상기 어느 하나의 기술방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상기 푸드 프로세서는 원즙기거나 착즙기이고, 물론, 푸드 프로세서는 원즙기와 착즙기 외의 기타 구조, 예컨대 주스기, 파벽기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측면과 이점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알 수 있으며, 일부분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시로부터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또는 부가적인 측면 및 이점은 아래 도면을 결합하여 기재된 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고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또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또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부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재료 진입 모듈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재료 진입 모듈의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재료 진입 모듈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료 진입 모듈의 제1 젓음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재료 진입 모듈의 또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재료 진입모듈의 또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재료 진입 모듈의 제5 구조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재료 진입 모듈의 일 단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제5 구조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푸드 프로세서의 A 위치의 부분 확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에서 푸드 프로세서의 부분 구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4에서 푸드 프로세서의 재료 진입 모듈의 부분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4에서 푸드 프로세서의 제2 젓음 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또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또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제5 구조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재료 저장 홀더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푸드 프로세싱컵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푸드 프로세싱컵의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푸드 프로세싱컵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찌꺼기 수집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재료 진입통 덮개와 감압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홀더 모듈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제6 구조도이다.
도 34는 도 33에서 푸드 프로세서의 B 위치의 부분 확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5는 도 33에서 푸드 프로세서의 부분 구조의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도 33에서 푸드 프로세서의 부분 구조의 다른 일 분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제7 구조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의 제8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이하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결합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히 설명하면, 서로 충돌되지 않는 한, 본 출원의 실시예 및 실시예에 따른 특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이하의 기재에서 여러 구체적인 세부 내용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기재된 것과 다른 기타 형태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에 개시된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3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푸드 프로세서는, 홀더 모듈(1), 푸드 프로세싱컵(2), 재료 진입 모듈(3), 찌꺼기 수집 장치(4) 및 가스 펌핑 모듈(5)을 포함하되, 푸드 프로세싱컵(2)은 홀더 모듈(1) 상에 장착될 수 있고, 푸드 프로세싱컵(2)은 컵 본체(22)와 회전 가능하게 컵 본체(22) 내에 장착된 작동 스크루(24)를 포함하고, 컵 본체(22)는 음식물 주스를 수용할 수 있으며, 여기서, 컵 본체(22) 상에 제1 찌꺼기 배출구(222)가 설치되거나, 또는 컵 본체(22) 내에 제2 찌꺼기 배출구가 설치되고; 재료 진입 모듈(3)은 컵 본체(22)의 개방된 단부 상에 밀폐 장착되고; 찌꺼기 수집 장치(4)는 제1 찌꺼기 배출구(222)에 밀폐 연결되어 음식물 찌꺼기를 수집하거나, 찌꺼기 수집 장치(4)는 컵 본체(22) 내에 위치되어, 제2 찌꺼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음식물 찌꺼기를 수집하고; 컵 본체(22), 재료 진입 모듈(3) 및 찌꺼기 수집 장치(4) 사이는 서로 연통된 하나의 밀폐 챔버를 형성하고; 가스 펌핑 모듈(5)은, 밀폐 챔버와 연통되어, 밀폐 챔버 내의 에어를 펌핑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드 프로세서는, 홀더 모듈(1), 푸드 프로세싱컵(2), 재료 진입 모듈(3), 찌꺼기 수집 장치(4) 및 가스 펌핑 모듈(5)을 포함한다. 여기서, 홀더 모듈(1)은 제품 전체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품 전체의 작동을 제어하고, 푸드 프로세싱컵(2), 재료 진입 모듈(3) 및 찌꺼기 수집 장치(4) 등에 대해 지지하여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푸드 프로세싱컵(2)은 컵 본체(22)와 작동 스크루(24)의 협력을 통해 식재료를 분쇄하고, 식재료의 주스와 찌꺼기를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재료 진입 모듈(3)은 식재료의 진입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즉, 식재료를 푸드 프로세싱컵(2) 내에 투입하기 위한 것이며, 가스 펌핑 모듈(5)은 전체적인 재료 진입 모듈(3), 컵 본체(22) 및 찌꺼기 수집 장치(4)로 형성된 밀폐 챔버에 대해 가스 펌핑을 수행하여, 진공을 형성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우선 가스 펌핑 모듈(5)을 작동시켜 제품 내의 에어를 뽑아내어, 컵 본체(22) 내부가 대체적으로 진공 상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고, 이후에 작동 스크루(24)를 작동시켜 식재료를 처리함으로써, 대체적으로 진공인 상태에서 식재료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가공된 음식물의 산화를 완화시켜, 음식물의 영양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고, 음식물 주스의 색상과 입맛을 확보하는 등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동시에, 본 출원에서, 컵 본체(22)의 구조를 적절하게 구성하여, 컵 본체(22)를 이용하여 음식물 주스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로 주스 수집 구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컵 본체(22)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품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품의 전반적인 음식물 처리 작동 과정에서, 우선 음식물 주스를 컵 본체(22) 내에 저장할 수 있으며, 즉 착즙과 동시에 음식물 주스를 배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반적인 음식물 처리 과정에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출즙구(224)를 개방하여 주스를 배출할 필요가 없으므로, 외계의 공기가 전반적인 음식물 처리 과정에서 출즙구(224)를 통해 컵 본체(22) 내로 들어갈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컵 본체(22) 내의 밀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컵 본체(22)의 내부를 항상 진공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은, 컵 본체(22) 상에 별도로 하나의 주스 수집 컵을 밀폐 장착하는 방안에 비해, 기존의 컵 본체(22)를 이용하여 음식물 주스를 수집할 수 있으므로, 컵 본체(22)의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제품의 가공 비용을 절감시킴과 동시에, 컵 본체(22)를 이용하여 음식물 주스를 수집하고, 압착이 완료된 후, 밀폐 챔버 내의 산소 함량이 낮아, 보다 효과적으로 음식물 주스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효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마시고 싶을 때에만 음식물 주스를 취출하면 되므로, 음용자가 가장 신선한 음식물 주스를 마실 수 있도록 확보한다. 찌꺼기 수집 장치(4)를 설치함으로써, 찌꺼기 수집 장치(4)가 푸드 프로세싱컵(2)과 일체로 장착되도록 하거나 직접 찌꺼기 수집 장치(4)를 컵 본체(22) 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전반적인 음식물 처리 과정에서, 찌꺼기 배출구를 개방할 필요가 없이, 제품의 찌꺼기 배출 과정에서, 항상 찌꺼기 배출구(222)가 밀폐되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르면, 모두 제품 밖에 별도로 찌꺼기 수집 부재를 설치하므로, 전반적인 제품의 착즙 과정에서, 찌꺼기 배출구가 항상 개방되어 있어, 제품의 산소가 항상 찌꺼기 배출구를 통해 밀폐 챔버 내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주스가 산화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제1 찌꺼기 배출구(222)와 밀폐 장착되는 찌꺼기 수집 장치(4)를 설치하거나 직접 찌꺼기 수집 장치(4)를 컵 본체(22) 내에 설치하므로, 제품의 작동 시, 찌꺼기 배출구에 대해 밀폐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찌꺼기도 수집할 수 있으며, 즉 본 출원은 제품의 작동 과정에서, 찌꺼기 배출구가 항상 밀폐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계의 공기가 제품의 작동 과정에서 밀폐 챔버 내로 들어갈 수 없게 되어, 진공 상태에서 식재료의 압착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진공 상태에서 음식물 주스의 수집이 이루어지므로, 음식물 주스의 산화를 현저히 완화시켜, 착즙된 음식물의 입맛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 스크루(24)의 단면 면적은 작동 스크루(24)에서 컵 본체(22)의 컵 개구에 인접한 일단으로부터 작동 스크루(24)의 타단까지 증가되고, 바람직하게는 점차적으로 증가되며, 이로써 컵 본체(22)와 작동 스크루(24) 사이의 간격이 컵 본체(22)의 개구로부터 푸드 프로세싱컵(2)의 저부까지 점차적으로 감소되므로, 식재료에 대한 압착력을 점착적으로 증가시켜, 식재료를 압착할수록 더욱 부서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므로, 출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찌꺼기 수집 장치(4)는 식재료의 주스와 찌꺼기가 분리된 후, 음식물 찌꺼기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 찌꺼기 수집 장치(4)는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본체(22) 내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본체(22) 밖에 장착될 수도 있다. 찌꺼기 수집 장치(4)를 컵 본체(22) 내에 설치함으로써, 찌꺼기 수집 장치(4)를 컵 본체(22) 내에 은닉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불쑥 돌출되게 컵 본체(22) 밖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찌꺼기 수집 장치(4)를 컵 본체(22) 내에 장착할 경우, 일부 공간만 차지하고, 컵 본체(22) 내의 기타 공간은 모두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으므로, 공간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찌꺼기 수집 장치(4)가 컵 본체(22) 내에 장착됨으로써, 찌꺼기 수집 장치(4)와 컵 본체(22) 사이의 연결 구조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컵 본체(22)와 찌꺼기 수집 장치(4)의 구조가 더 단순해질 수도 있다. 한편, 찌꺼기 수집 장치(4)를 컵 본체(22) 내에 장착함으로써, 컵 본체(22) 상에 별도로 찌꺼기 배출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며, 이에 따라 컵 본체(22)의 밀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푸드 프로세서를 진공인 푸드 프로세서로 구성할 경우, 푸드 프로세서의 밀폐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고, 식재료가 착즙 시 및 착즙 후에 산화되는 문제점을 현저히 완화시킬 수 있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컵 본체(22) 상에 하나의 제1 찌꺼기 배출구를 설치하고, 찌꺼기 수집 장치(4)를 컵 본체(22) 밖에 장착하여, 제1 찌꺼기 배출구를 통해 컵 본체(22) 내부와 연통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 내지 도 4,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모듈(1)은 구동장치(12) 및 제어장치(14)를 포함하되, 구동장치(12)는 작동 스크루(24)와 연결되어, 작동 스크루(24)의 회전을 구동하기 위한 것이고; 제어장치(14)는 구동장치(12) 및 가스 펌핑 모듈(5)와 연결되어, 가스 펌핑 모듈(5)의 가스 펌핑을 제어하거나 구동 장치(12)의 작동을 제어, 및/또는 가스 펌핑 모듈(5)의 가스 펌핑을 제어하고, 가스 펌핑 모듈(5)의 가스 펌핑 완료 후에, 구동장치(12)의 작동이 시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구동장치(12)를 통해 작동 스크루(24)를 구동하여, 식재료에 대해 분쇄, 압착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장치(14)는 구동장치(12)와 가스 펌핑 모듈(5)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장치(14)는 단독적으로 구동장치(12) 또는 가스 펌핑 모듈(5)을 제어하여 단독적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우선 가스 펌핑 모듈(5)이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하도록 제어하여, 가스 펌핑 조작이 완성되도록 한 후에, 구동장치(12)가 작동하도록 작동시켜, 음식물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먼저 가스 펌핑을 수행한 후에 음식물을 처리하는 방식은, 가스 펌핑 완료 후에 식재료의 주스와 찌꺼기를 분리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모든 식재료가 전부 대체적으로 진공인 상태에서 처리되므로, 모든 식재료들이 전부 쉽게 산화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음식물의 산화를 현저히 완화시킬 수 있다. 반대로, 가스 펌핑이 완료되기 전에, 식재료의 처리를 수행할 경우, 컵 본체(22) 내에 일부 공기가 잔존하게 되므로, 먼저 처리된 식재료가 잔존하는 공기에 의해 산화되기 극히 쉬우므로, 부분 식재료가 산화되어, 음식물 주스 등의 산화를 현저히 완화시킬 수 없게 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푸드 프로세서는, 제어장치(14)와 연결되어, 기설정된 시간 후에, 제어장치(14)가 구동장치(12)와 가스 펌핑 모듈(5)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기 위한 예약장치를 더 포함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품 상에 하나의 예약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예약장치를 통해 제품의 예약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예약장치는 사용자의 예약 파라미터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장치 및 예약 파라미터를 기초로 타이밍하기 위한 타이밍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타이밍 완료 후에, 제어장치(14)가 작동을 시작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3, 도 16 및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본체(22) 상에 출즙구(224)가 설치되고, 출즙구(224) 위치에 하나의 출즙 덮개(26)가 밀폐되게 덮혀져 장착되며, 출즙 덮개(26)는 출즙구(224)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것이고; 여기서, 출즙구(224)와 출즙 덮개(26) 사이에 제1 밀폐부재(28)가 더 설치되고, 제1 밀폐부재(28)는 출즙 덮개(26)와 출즙구(224)를 밀폐 연결시킨다.
해당 실시예에서, 컵 본체(22) 상에 하나의 출즙구(224)를 설치하고, 출즙구(224) 위치에 하나의 제1 밀폐부재(28)와 출즙 덮개(26)를 설치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밀폐부재(28)와 출즙 덮개(26)는 제품의 작동 과정에서 출즙구(224)에 대한 밀폐를 수행한다. 음식물의 처리가 완료된 후, 사용자가 음식물 주스를 꺼내려고 할 때, 출즙 덮개(26)를 통해 출즙구(224)를 개방하여, 출즙구(224)를 통해 음식물 주스를 취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한 음식물 주스를 취출한 후, 또한 출즙 덮개(26)를 통해 출즙구(224)를 폐쇄하여, 남은 음식물 주스를 계속하여 컵 본체(22) 내에 밀폐 저장할 수 있음에 따라, 남은 음식물 주스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출즙구(224)를 설치하지 않고, 음식물의 처리가 완료된 후, 직접 컵 본체(22)의 컵 개구를 통해 음식물 주스를 쏟아낼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해당 실시예는 미도시)컵 본체(22) 상에 출즙구(224)가 설치되고, 출즙구(224) 위치에 밸브가 설치되며, 밸브는 출즙구(224)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출즙구(224) 위치에 하나의 밸브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밸브를 통해 출즙구(224)의 개방 및 폐쇄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출즙구(224) 위치에 하나의 수도꼭지와 유사한 밸브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써 마치 수도꼭지를 조작하는 것과 같이, 출즙구(224)를 수시로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주스의 취출이 보다 쉽게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 내지 도 8 및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진입 모듈(3)은 재료 진입통(32), 재료 진입 뚜껑(34) 및 재료 진입 보조 장치(구체적으로, 제1 재료 진입 보조 장치(36) 또는 제2 재료 진입 보조 장치(38))를 포함하되, 재료 진입통(32)의 일단은 컵 본체(22)의 컵 개구 단부에 밀폐 장착되고; 재료 진입 뚜껑(34)은 재료 진입통(32)의 타단 상에 밀폐되게 덮여져 장착되고, 재료 진입통(32)을 개방하거나 폐쇄하기 위한 것이고;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재료 진입통(32) 내에 장착되어, 재료의 진입을 보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재료 진입 장치는 회전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32) 내에 장착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진입통(32)은 재료 진입을 위한 것이고, 재료 진입 뚜껑(34)은 재료 진입통(32)의 개구를 밀폐시키기 위한 것이며, 여기서, 바람직하게, 재료 진입통(32)과 재료 진입 뚜껑(34) 사이에 하나의 제3 밀폐부재(30)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밀폐부재(30)를 통해 재료 진입통(32)과 재료 진입 뚜껑(34) 사이의 밀폐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재료 진입통(32) 내에 하나의 회전 가능한 재료 진입 보조 장치가 설치되며, 이에 따라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회전을 통해 재료의 진입을 보조하여, 재료 진입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컨대 재료 진입 보조 장치를 통해 식재료를 미리 절삭하거나, 또는 재료 진입 보조 장치를 이용하여 재료 진입통(32) 내에 미리 저장된 식재료를 컵 본체(22) 내에 밀어넣는 등의 조작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4, 도 5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드 프로세서는 커버(72) 및 제4 밀폐부재(74)를 더 포함하되, 커버(72)는 재료 진입통(32) 밖에 씌워져 장착되며, 커버(72)의 일단은 개방되고 일단은 폐쇄되며, 커버(72)의 개방된 일단이 컵 본체(22) 상에 장착되고; 제4 밀폐부재(74)는 커버(72)와 컵 본체(22)의 연결 위치에 설치되어, 커버(72)와 컵 본체(22)의 연결 위치가 밀폐 연결되도록 하며; 컵 본체(22)의 외측벽 상에 지지구조(27)가 설치되고, 커버(72)의 개방된 일단이 지지구조(27) 상에 밀폐 장착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커버(72)는 재료 진입통(32) 밖에 씌워져 설치되며, 컵 본체(22)에 밀폐 장착되어, 재료 진입통(32)을 커버하여 밀폐되게 커버(72) 내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품 전반에 대해 밀폐하여 진공 착즙을 수행할 때, 커버(72)와 컵 본체(22) 위치가 밀폐 연결되기만 하면, 컵 본체(22)와 커버(72)가 하나의 엄격히 밀폐된 폐쇄 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진공 착즙시 재료 진입통(32) 상단의 개구에 대해 밀폐할 필요가 없게 되며, 재료 진입통(32)과 컵 본체(22)가 분리 타입의 구조일 경우에도, 재료 진입통(32)과 컵 본체(22)의 연결 위치에 대해 밀폐할 필요가 없으므로, 밀폐가 필요한 위치가 줄어들고, 밀폐 난이도가 감소되며, 밀폐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진공 착즙의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음식물 주스의 산화를 보다 현저하게 완화시켜, 착즙된 음식물의 입맛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조는, 단순히 일반적인 푸드 프로세서 상에 별도로 하나의 커버(72)가 설치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일반적인 푸드 프로세서의 구조 형태를 유지하여, 제조 난이도를 감소시키고, 제품 생산 효율을 향상시키고, 진공 착즙이 불필요할 경우, 커버(72)를 분리시키면 되며, 그 구조와 사용 방법이 기본적으로 일반적인 원즙기의 사용 방식과 일치하므로, 푸드 프로세서가 진공 착즙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착즙도 가능하게 된다.
동시에, 컵 본체(22)의 측벽 상에 하나의 지지구조(27)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72)를 부분 컵 본체(22)에 씌우며, 컵 바디(22)의 측벽 상의 지지구조(27) 상에 밀폐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커버(72)가 지지구조(27)에 밀폐 장착됨에 따라, 컵 본체(22) 상단의 단면을 미리 남겨두어, 재료 진입통(32)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재료 진입통(32)과 커버(72)를 각각 컵 본체(22)의 상이한 부위 상에 고정 장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료 진입통(32)과 커버(72)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등의 상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전체적인 구조 레이아웃이 보다 적합하고, 컴팩트해질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4, 도 5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2)의 벽 상부와 재료 진입통(32)에서 컵 본체(22)와 멀리 떨어진 일단의 단면 사이에 간격이 설치되고; 및/또는 커버(72)의 측벽과 재료 진입통(32)의 측벽 사이에 간격이 설치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커버(72)의 벽 상부와 재료 진입통(32)에서 컵 본체(22)에 멀리 떨어진 일단의 단면 사이에 간격이 설치되고, 및/또는 커버(72)의 측벽과 재료 진입통(32)의 측벽 사이에 간격이 설치되어, 커버(72)의 상부와 측벽이 모두 재료 진입통(32)과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압착 시 재료 진입통(32)에 인가되는 힘이 불균일하여 발생하는 변위의 경우, 쉽게 커버(72)에 전달되지 않으므로, 제품에 대한 커버(72)의 전반적인 밀폐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커버(72)가 항상 컵 본체(22)와 안정적으로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컵 본체(22)의 외측 벽면은 복수의 컵 본체(22)의 축향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 평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제1 평면은 컵 본체(2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여기서, 인접한 두 제1 평면 사이는 제1 호형면을 통해 연결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컵 본체(22)의 외측 벽면은 복수의 컵 본체(22)의 축향 방향을 따라 설치된 제1 평면을 포함하여, 컵 본체(22)가 대체적으로 다각형을 형성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컵 본체(22)가 보다 직사각형에 가깝도록 할 수 있으며, 인접한 두 제1 평면 사이는 제1 호형면을 통해 연결되어, 컵 본체(22)의 측벽이 보다 매끈하게 과도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컵 본체(22)는 직사각형에 더 가까우며, 일반적인 원형 또는 원추형 컵에 비해, 직사각형의 컵 본체(22)는 컵 본체(22)와 재료 진입통(32)과 커버(72) 사이의 로케이션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는 원형 또는 원추형은 대칭되는 구조로서, 장착 시 컵의 로케이션 방향을 신속히 식별해내기 어려우므로, 사용자가 자세히 분별하여야 로케이션 방향을 찾을 수 있지만, 직사각형 컵은 길이와 폭을 참조로 하므로, 로케이션 시 보다 신속하고 쉽게 로케이션 방향을 찾아, 컵 본체(22)와 재료 진입통(32)과 커버(72) 사이의 로케이션이 보다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 사용 시 보다 편의하게 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4, 도 5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2)의 벽 상부는 호형으로 형성되고; 및/또는 커버(72)의 벽 상부의 외부 표면의 가장자리 상에 호형의 모따기가 설치되고; 및/또는 커버(72)의 측벽은 둘둘씩 대향되게 설치되고 커버(72)의 둘레 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 네개의 제2 호형면을 포함하고, 네개의 제2 호형면은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인접한 두 제2 호형면은 제3 호형면을 통해 연결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커버(72)의 벽 상부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호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호면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이러한 구성을 통해 커버(72)가 내부 음압에 의한 변형을 효과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외벽을 통해 압착에 견딜 수 있으며, 내벽을 통해 인장에 견딜 수 있으므로, 제품의 작동 시 커버(72)의 변형을 줄이고, 진공 음압이 커버(72) 상에 인가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버(72)의 측벽을 호형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커버(72)의 전후좌우 네개의 면을 모두 제2 호형면으로 설치하고, 전후좌우의 네개의 모서리 상에 네개의 제3 호형면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써 커버(72) 측벽의 압력 저항 능력을 향상시키고, 커버(72) 측벽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72)의 벽 상부의 외부 표면의 가장자리 상에 호형의 모따기를 설치함으로써, 커버(72)의 구조가 보다 매끈해도록 할 수 있으므로, 커버(72)의 전반적인 강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커버(72)의 벽 상부는 평면으로 형성되고, 커버(72)의 측벽은 복수의 커버(7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 제2 평면을 포함하되, 인접한 두개의 제2 평면 사이는 제4 호형면을 통해 연결되며, 제4 호형면은 커버(72)의 벽 상부의 중심을 원심으로 하는 원호면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커버(72)의 상부를 평면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72)가 투명하게 구성될 경우, 광이 평행되게 입사 및 반사되도록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커버(72)를 통해 관찰할 때, 이미지가 변형되어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관찰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커버(72)의 몇개의 측벽도 대체적으로 평면으로 설치하여, 광이 측벽으로부터 평행되게 입사 및 반사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커버(72)를 통해 관찰할 때, 이미지가 변형 왜곡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호면을 설치할 경우 커버(72)의 각각 평면인 측벽 사이가 보다 매끈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72)의 구조가 더욱 매끈하도록 할 수 있으며, 측벽 상의 호면은 커버(72)의 벽 상부의 중심을 원심으로 하는 원호로서, 커버(72)의 상부를 투과하여 내부 착즙 과정을 관찰할 때 이미지가 완전하고 변형되지 않도록 더더욱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커버(72)의 측벽은 바람직하게 호형 또는 호형과 유사한 구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커버(72)의 구조가 보다 매끈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커버(72)의 강도와 변형 저항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커버(72)의 각 위치에서의 벽 두께가 동일하고; 및/또는 커버(72)는 투명커버이고; 및/또는 커버(72)의 벽 두께가 2 mm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4 mm보다 작거나 동일하고; 및/또는 커버(72)는 축대칭 구조이고; 및/또는 커버(72)의 개방된 일단의 단면은 호형 또는 원호형을 이룬다.
해당 실시예에서, 커버(72)의 각 위치에서의 벽 두께가 동일하여, 커버(72)의 각 위치의 힘을 받는 능력이 일치하도록 함으로써, 힘이 균일하게 인가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압착력에 취약한 부분이 발생하는 상황을 방지함과 동시에, 커버(72)의 각 위치에서의 벽 두께가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또한 커버(72)의 구조가 보다 간단하도록 하여, 커버(72)가 보다 우수하게 가공될 수 있도록 한다. 커버(72)는 바람직하게 투명한 커버(72)로서,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유기 글라스 등의 투명한 재질을 사용하여 커버(72)를 가공해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작동 시, 사용자가 커버(72)를 통해 커버(72) 내부의 상황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커버(72)의 벽 두께는 2 mm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4 mm보다 작거나 동일하여, 커버(72)의 두께가 너무 두껍지도 않고 지나치가 얇지도 않도록 한다. 커버(72)는 축대칭 구조로서, 커버(72)의 구조를 더욱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커버(72)의 강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커버(72)의 개방된 일단의 단면은 호형이거나 원호형으로 이루어져, 커버(72)의 개방된 일단의 단면이 보다 매끈하도록 함으로써, 커버(72)에 대해 단면 밀폐할 때, 커버(72)와 제1 밀폐부재(28)가 보다 우수하게 밀착되도록 할 수 있음에 따라, 밀폐 효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밀폐부재가 커버(72)에 찍혀서 파손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작동 스크루(24)에 구동 연결되어, 작동 스크루(24)의 작용에 의해 회전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진입 보조 장치를 작동 스크루(24)에구동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동 스크루(24)를 통해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구동을 실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별도로 재료 진입 보조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품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물론,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작동 스크루(24)와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때, 별도로 하나의 구동부재를 설치하여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구동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진입통(32) 내에 장착 플레이트(322)와 재료 진입구(324)가 설치되고, 장착 플레이트(322)는 재료 진입통(32)의 내측벽에 장착되고, 장착 플레이트(322) 상에 제1 장착홀(3222)이 설치되고,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일단이 장착 플레이트(322)에서 컵 본체(22)에 멀리 떨어진 일측에 배치되고, 작동 스크루(24)는 장착 플레이트(322)에서 컵 본체(22)에 가까운 일측에 배치되며, 제2 재료 진입 보조 장치(38)의 타단이 제1 장착홀(3222) 내에 삽입되며, 작동 스크루(24)와 구동 연결되며; 여기서, 재료 진입구(324)는 장착 플레이트(322) 상에 설치되거나 재료 진입구(324)는 장착 플레이트(322)와 재료 진입통(32)의 측벽이 둘러싸여 이루어진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진입통(32) 내에 하나의 장착 플레이트(322)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편으로는 장착 플레이트(322)를 통해 재료 진입 보조 장치의 지지 장착을 구현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장착 플레이트(322)를 통해 부분 식재료를 저장할 수 있다. 이 외에, 장착 플레이트(322)는 재료 진입 보조 장치와 함께 식재료를 절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재료를 미리 작은 조각으로 가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회전 과정에서, 식재료가 함께 움직이도록 할 수 있고, 가공된 식재료가 보다 클 경우, 식재료는 일부분이 재료 진입구(324) 위치에 끼워지게 되며,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계속 회전하므로, 식재료를 재료 진입 보조 장치와 재료 진입구(324)의 가장자리 사이로 압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식재료에 압착력을 인가하여, 식재료를 작은 조각이 되도록 압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식재료에 대한 초보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재료 진입 보조 장치 상에 절삭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절삭 블레이드를 통해 식재료의 절삭을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재료 진입구(324)는 직접 장착 플레이트(322)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장착 플레이트(322)와 재료 진입통(32)의 측벽이 둘러싸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제1 재료 진입 보조 장치(36)를 포함하되, 제1 재료 진입 보조 장치(36)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 플레이트(322)에서 컵 본체(22)에 멀리 떨어진 일측에 장착되는 제1 젓음 부재(362); 일단이 작동 스크루(24)와 구동 연결되고, 타단이 제1 장착홀(3222)을 삽입 및 관통하여 제1 젓음 부재(362)와 구동 연결되는 제1 동력 전달 축(364)을 포함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장착 플레이트(322)의 상방에 하나의 회전 가능한 젓음 팬, 젓음 로드 등의 제1 젓음 부재(362)를 설치하고, 제1 동력 전달 축(364)을 통해 이를 작동 스크루(24)에 구동 연결시킴으로써, 작동 스크루(24)의 회전 시, 제1 젓음 부재(362)가 이를 따라 회전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재료 진입통(32) 내에 넣어진 식재료는 제1 젓음 부재(362)의 젓음에 의해 재료 진입구(324)로부터 컵 본체(22) 내에 진입할 수 있고, 가공된 식재료가 보다 클 경우, 식재료는 일부분이 재료 진입구(324) 위치에 끼워지며, 제1 젓음 부재(362)는 계속 회전하므로, 식재료를 제1 젓음 부재(362)와 재료 진입구(324)의 가장자리 사이로 압착할 수 있으므로, 이에 의해 식재료에 압착력을 인가하여, 식재료를 작은 조각이 되도록 압착할 수 있으며, 이로써 식재료에 대한 초보적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젓음 부재(362) 상에 절삭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절삭 블레이드를 통해 식재료의 절삭을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제1 젓음 부재(362)를 설치함으로써 식재료에 대한 절삭 젓음 등의 처리를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식재료의 진입 속도를 증가시켜, 재료 진입통(32)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식재료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젓음 부재(362) 상에 제1 관통홀(3622)이 설치되고, 제1 동력 전달 축(364)에서 작동 스크루(24)와 멀리 떨어진 일단은 순차적으로 제1 장착홀(3222), 제1 관통홀(3622)을 삽입 및 관통하며, 제1 재료 진입 보조 장치(36)는, 제1 동력 전달 축(364)에서 제1 관통홀(3622)로부터 노출된 일단 상에 장착되는 캡(366)을 더 포함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1 젓음 부재(362)를 제1 관통홀(3622)을 통해 제1 동력 전달 축(364)에서 제1 장착홀(3222)로부터 노출된 일단 상에 장착하고, 이가 제1 젓음 부재(362)를 관통하도록 함으로써, 제1 젓음 부재(362)와 제1 동력 전달 축(364) 사이의 장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366)을 설치함으로써, 제1 동력 전달 축(364)의 상단을 제1 젓음 부재(362)의 상측에 제한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1 동력 전달 축(364)이 제1 관통홀(36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제1 젓음 부재(362)와 제1 동력 전달 축(364) 사이의 연결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력 전달 축(364)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구동 돌기(3644)가 설치되고, 제1 구동 돌기(3644)는 작동 스크루(24)와 결합되어, 작동 스크루(24)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1 동력 전달 축(364)의 하단면 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제1 구동 돌기(3644)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구동 돌기(3644)과 작동 스크루(24)의 상단의 측부의 결합을 통해, 작동 스크루(24)와의 구동 연결을 구현할 수 있으며, 물론, 제1 동력 전달 축(364)은 기타 구조를 통해 작동 스크루(24)와 구동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젓음 부재(362)와 제1 동력 전달 축(364)은 분리형 구조이거나, 또는 제1 젓음 부재(362)와 제1 동력 전달 축(364)은 일체형 구조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1 젓음 부재(362)와 제1 동력 전달 축(364)은 분리형 구조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두개의 부품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독적으로 제1 젓음 부재(362)와 제1 동력 전달 축(364) 중 부품 각각에 대해 단독적인 유지 보수 및 교체가 가능하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젓음 부재(362)와 제1 동력 전달 축(364)은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젓음 부재(362)와 제1 동력 전달 축(364)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켜, 제1 젓음 부재(362)와 제1 동력 전달 축(364)이 쉽게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젓음 부재(362)와 제1 동력 전달 축(364) 사이의 끊김없는 연결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해 제1 젓음 부재(362)와 제1 동력 전달 축(364)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세척 편의성을 제공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제1 젓음 부재(362)는 대칭되게 제1 동력 전달 축(364) 상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품의 구조가 보다 적절하고 컴팩트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제품의 구조가 보다 간단해진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진입구(324)는 장착 플레이트(322)와 재료 진입통(32)의 측벽이 둘러싸여 이루어지며, 재료 진입구(324)의 수량은 두개로서, 두개의 재료 진입구(324)와 장착 플레이트(322)는 모두 재료 진입통(32)의 축선을 기준으로 대칭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진입구(324)는 바람직하게 장착 플레이트(322)와 재료 진입통(32)의 측벽이 둘러싸여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장착 플레이트(322)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비용을 절감시킨다. 재료 진입구(324)의 수량은 바람직하게 두개로서, 이를 통해 각각의 재료 진입구(324)가 보다 크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제품이 일부 큰 사이즈의 식재료를 처리하기에 편리하다. 두개의 재료 진입구(324)와 장착 플레이트(322)는 모두 재료 진입통(32)의 축선을 기준으로 대칭되며, 이를 통해 장착부는 마침 작동 스크루(24)의 중심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또한 재료 진입통(32)의 내부가 보다 적합하고 컴팩트해질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장착 플레이트(322)는 하나의 원형 플레이트와 원형 플레이트의 양측에 대칭되게 설치된 두개의 부채꼴 형상의 패널로 구성되며, 여기서, 제1 장착홀(3222)은 원형 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진입통(32)은 직통형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진입통(32)은 바람직하게 원통형, 즉 재료 진입통(32)은 절곡되지 않게 설치되며, 이를 통해 식재료는 위로부터 아래로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물론, 재료 진입통(32)은 절곡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재료 진입통(32)의 내측벽과 외측벽은 모두 수직되게 설치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젓음 부재(362)는 젓음 로드거나 젓음 팬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1 젓음 부재(362)의 형상은 임의로 설치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젓음 로드이거나 젓음 팬이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동력 전달 축(364) 상에 제1 로케이션 오목홈(3642)과 제1 로케이션 돌기(242) 중 하나가 설치되고, 작동 스크루(24) 상에 제1 로케이션 오목홈(3642)과 제1 로케이션 돌기(242) 중 다른 하나가 설치되며, 제1 로케이션 돌기(242)는 제1 로케이션 오목홈(3642) 내에 삽입되어, 작동 스크루(24)에 대해 로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로케이션 오목홈(3642) 내에 제1 내마모 부재(37)가 설치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작동 스크루(24)의 상단면 상에 하나의 제1 로케이션 돌기(242) 또는 제1 로케이션 오목홈(3642) 또는 로케이션홀을 설치하고, 제1 동력 전달 축(364)의 하단 상에 대응되게 하나의 제1 로케이션 돌기(242) 또는 제1 로케이션 오목홈(3642) 또는 로케이션홀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1 로케이션 돌기(242)와 로케이션홀 또는 제1 로케이션 돌기(242)와 로케이션축의 결합을 통해 작동 스크루(24)의 로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나아가 작동 스크루(24)가 장착된 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작동 스크루(24)의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로케이션 오목홈(3642) 내에 제1 내마모 부재(37)를 설치함으로써, 제1 로케이션 돌기(242)와 제1 로케이션 오목홈(3642) 사이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6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플레이트(322)에서 컵 본체(22)에 가까운 일면 상에 양단이 개방된 중공 칼럼(326)이 설치되고, 중공 칼럼(326)은 재료 진입구(324)와 연통되며; 작동 스크루(24)의 일단은 재료 진입통(32)의 저부로부터 중공 칼럼(326) 내에 진입되며, 중공 칼럼(326)의 측벽과 협력하여, 식재료를 분쇄할 수 있으며; 여기서, 중공 칼럼(326)에서 장착 플레이트(322)에 멀리 떨어진 일단은 재료 진입통(32)의 측벽에 연결되거나, 또는 중공 칼럼(326)에서 장착 플레이트(322)에 멀리 떨어진 일단은 허공에 떠있는다.
해당 실시예에서, 장착 플레이트(322)의 하방에 하나의 재료 진입구(324)와 연통될 수 있는 중공 칼럼(326)을 설치하고, 상기 중공 칼럼(326)을 작동 스크루(24)의 상단에 끼움 설치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재료가 재료 진입구(324)로부터 장착 플레이트(322)의 하방으로 진입한 후, 중공 칼럼(326)의 측벽과 작동 스크루(24)의 작용에 의해 압착 처리되거나 절삭 처리될 수 있으며, 즉 식재료가 컵 본체(22)에 진입하기 전에, 식재료에 대해 하나의 분쇄 처리 공정을 더 수행함으로써, 식재료에 대한 제품의 처리 효과를 향상시켜, 출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중공 칼럼(326)을 설치함으로써, 재료 진입통(32) 하단의 유효 내경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동 스크루(24)와 재료 진입통(32)의 하단의 측벽 사이에 형성된 통로가 더욱 작게 되므로, 식재료에 대한 처리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중공 칼럼(326)에서 장착 플레이트(322)에 멀리 떨어진 일단은 바람직하게 재료 진입통(32)의 측벽에 연결되고, 이에 따라 중공 칼럼(326)은 또한 장착 플레이트(322)에 대해 추가적인 지지 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착 플레이트(322)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중공 칼럼(326)에서 장착 플레이트(322)와 멀리 떨어진 일단은 허공에 떠있을 수 있는 바, 즉 재료 진입통(32)의 측벽과 연결되지 않는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중공 칼럼(326)은 원뿔형으로 형성된다. 스크루 등의 구조의 상단은 대체적으로 위로부터 아래로 점차적으로 증가하므로, 중공 칼럼(326)을 대응되게 원뿔형으로 설치함으로써 중공 칼럼(326)이 작동 스크루(24)의 상단과 서로 매칭될 수 있도록 하여, 작동 스크루(24)가 중공 칼럼(326)과 보다 우수하게 매칭되도록 함으로써, 식재료의 처리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플레이트(322)는 탈착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32)의 내측벽에 장착되거나, 또는 도 1 내지 도 3, 도 7,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플레이트(322)와 재료 진입통(32)의 내측벽은 일체형 구조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장착 플레이트(322)를 탈착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32) 내에 장착함으로써, 재료 저장 플랫폼(382)을 분리시키고 컵 본체(22)와 재료 저장 플랫폼(382)을 세척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장착 플레이트(322)와 제2 젓음 부재(384) 등을 일체로 설치하여 장착, 유지 보수, 판매 등을 할 수 있다. 물론, 장착 플레이트(322)와 재료 진입통(32)의 내측벽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즉 장착 플레이트(322)는 직접 재료 진입통 상에 가공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장착 플레이트(322)와 재료 진입통(32)의 연결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진입통(32)은 탈착 가능하게 컵 본체(22)의 개방된 단부에 밀폐 장착되거나,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진입통(32)과 컵 본체(22)는 일체형 구조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진입통(32)과 컵 본체(22)는 일체형 구조로서, 이를 통해 하나의 큰 컵을 통해 식재료의 진입 및 처리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한편으로는 별도로 컵 본체(22) 상에 하나의 재료 진입통(32)이거나 재료 진입통(32)과 유사한 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제품의 부품 수량을 줄일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구조는 하나의 컵 본체(22)만 있으므로, 컵 본체(22)의 개구인 하나의 개구부만 구비하게 되며, 따라서 해당 컵 본체(22)를 밀폐할 때, 컵 본체(22)의 개구 위치만 밀폐시키면 되지만, 종래기술에서는, 컵 본체(22)와 재료 진입통(32)의 연결 지점 및 컵 본체(22)의 개구를 모두 밀폐시켜야 하며, 적어도 두개의 지점을 밀폐시켜야 하므로, 이러한 구조는 종래기술에 비해 제품의 밀폐 난이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동시에, 종래기술에서, 컵 본체(22)와 재료 진입통(32)의 연결 지점 및 컵 본체(22)의 개구 지점은 모두 누설될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본 발명은 재료 진입통(32)의 사용을 생략하므로, 전체적인 컵 본체(22)의 측벽 위치가 엄격히 밀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밀폐 성능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제품의 진공 착즙 시, 보다 효과적으로 산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재료 진입통(32)과 컵 본체(22)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컵 본체(22)를 통해 식재료의 분쇄 및 식재료의 주스와 찌꺼기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 진입통(32)을 통해 컵 본체(22) 내로 식재료를 추가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진입과 처리가 두개의 컵 본체(22) 각각에 나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컵 본체(22) 각각의 높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제품의 가공 및 세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스크루(24) 상에 제1 동력 전달 구조(244)가 설치되고,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제2 재료 진입 보조 장치(38)를 포함하고, 제2 재료 진입 보조 장치(38)는 재료 저장 플랫폼(382) 및 제2 젓음 부재(384)를 포함하되, 재료 저장 플랫폼(382)은 재료 진입통(32) 내에 장착되고, 재료 저장 플랫폼(382) 상에 재료 진입 통로(3822)가 설치되며; 제2 젓음 부재(384)는 회전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32) 내에 장착되고, 재료 저장 플랫폼(382)에서 작동 스크루(24)에 멀리 떨어진 일측에 배치되고, 제2 젓음 부재(384) 상에 제2 동력 전달 구조(3842)가 설치되고, 제2 동력 전달 구조(3842)는 제1 동력 전달 구조(244)와 결합되어, 작동 스크루(24)와 제2 젓음 부재(384)를 구동 연결시킬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저장 플랫폼(382)은 재료 진입통(32) 내에 장착되어 식재료를 보존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젓음 부재(384)는 회전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32) 내에서 재료 저장 플랫폼(382)의 상방에 장착되며, 여기서, 제2 젓음 부재(384)의 회전 시, 재료 저장 플랫폼(382) 상에 보존되는 식재료에 대해 압착, 절삭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압착, 절삭 등의 처리 후에 이를 밀어 재료 진입 통로(3822) 내로 이동시켜, 식재료가 컵 본체(22) 내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수동으로 식재료를 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실제로 제품 사용 시, 사용자가 한꺼번에 모든 식재료를 재료 진입통(32)의 컵 개구를 통해 재료 진입통(32) 내에 넣어, 이를 재료 저장 플랫폼(382) 상에 보존할 수 있으며, 이후에 식재료가 제2 젓음 부재(384)의 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점차적으로 진입될 수 있다. 제2 젓음 부재(384) 상에 제1 동력 전달 구조(244)를 설치하고, 작동 스크루(24) 상에 제2 동력 전달 구조(3842)를 설치함으로써, 이를 통해 제1 동력 전달 구조(244)와 제2 동력 전달 구조(3842))의 협력을 통해, 제2 젓음 부재(384)가 작동 스크루(24)와 구동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작동 스크루(24)의 구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동 방식은 작동 스크루(24)를 통해 제2 젓음 부재(384)를 구동시켜, 제2 젓음 부재(384)를 구동하기 위한 수단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품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품의 비용을 절감시킨다. 또한, 이러한 구동 방식은, 작동 스크루(24)와 제2 젓음 부재(384)가 두개의 동력 전달 구조를 통해 직접 구동 연결되므로, 한편으로는 동력 전달이 보다 평온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기타의 그 어떤 연결축 등의 구조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구조를 더욱 단순화하고, 제품의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컵 본체(22)와 재료 진입통(32)은 일체형 구조이거나, 또는 컵 본체(22)와 재료 진입통(32)은 분리형 구조이다; 컵 본체(22)와 재료 진입통(32)이 일체형 구조일 경우, 재료 저장 플랫폼(382)은 탈착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32) 내에 장착되고; 컵 본체(22)와 재료 진입통(32)이 분리형 구조일 경우, 재료 저장 플랫폼(382)이 탈착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32) 내에 장착되거나, 또는 재료 저장 플랫폼(382)과 재료 진입통(32)이 일체형 구조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진입통(32)과 컵 본체(22)는 일체형 구조이며, 이를 통해 하나의 큰 컵 본체(22)를 통해 식재료의 진입과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한편으로는 컵 본체(22) 상에 하나의 재료 진입통(32)과 유사한 구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품의 부품 수량을 줄일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구조는 하나의 컵 본체(22)만 구비하므로, 컵 본체(22)의 개구인 이 하나의 개방부만 구비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컵 본체(22)를 밀폐할 때, 컵 본체(22)의 개구 위치만 밀폐시키면 되지만, 종래기술에 따르면, 컵 본체(22)와 재료 진입통(32)의 연결 지점 및 컵 본체(22)의 개구는 모두 밀폐가 필요하므로, 적어도 두 지점을 밀폐하여야 되며,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종래기술에 비해 제품의 밀폐 난이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동시에, 종래기술에 따르면, 컵 본체(22)와 재료 진입통(32)의 연결 지점 및 컵 본체(22)의 개구 지점은 모두 누설될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본 발명은 재료 진입통(32)의 사용을 생략하므로, 전체적인 컵 본체(22)의 측벽 위치가 엄격히 밀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품의 밀폐 성능을 상대적으로 증가시켜, 제품의 진공 착즙 시, 보다 효과적으로 산화를 완화시킬 수 있다. 한편, 재료 진입통(32)과 컵 본체(22)는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써 컵 본체(22)를 통해 식재료의 분쇄 및 식재료의 주스와 찌꺼기의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 진입통(32)을 통해 컵 본체(22) 내로 식재료를 추가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진입과 처리가 두개의 컵 본체(22) 각각에 나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컵 본체(22) 각각의 높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제품의 가공 및 세척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동시에, 재료 진입통(32)과 컵 본체(22)가 하나의 큰 컵으로 설치될 경우, 재료 저장 플랫폼(382)을 탈착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32) 내에 장착하여, 재료 저장 플랫폼(382)을 분리시켜 컵 본체(22)와 재료 저장 플랫폼(382)의 세척이 편리하도록 한다. 한편, 재료 진입통(32)과 컵 본체(22)가 두개의 컵으로 설치될 경우, 재료 저장 플랫폼(382)을 탈착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32) 내에 설치할 수 있고, 재료 저장 플랫폼(382)을 재료 진입통(32) 내에 일체로 장찰할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저장 플랫폼(382) 상에 제2 장착홀(3824)이 설치되되, 제1 동력 전달 구조(244)는 동력 전달 홀과 제2 동력 전달 축 중 하나이고, 제2 동력 전달 구조(3842)는 동력 전달 홀과 제2 동력 전달 축 중 다른 하나이며, 제2 동력 전달 축은 제2 장착홀(3824)을 통해 동력 전달 홀 내로 삽입되어, 작동 스크루(24)와 제2 젓음 부재(384)를 구동 연결시킬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저장 플랫폼(382) 상에 하나의 제2 장착홀(3824)을 설치하여, 작동 스크루(24)와 제2 젓음 부재(384)가 제2 장착홀(3824)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며, 제1 동력 전달 구조(244)는 바람직하게 하나의 동력 전달 홀이거나 제2 동력 전달 축일 수 있으며, 즉 제2 젓음 부재(384) 상에 하나의 동력 전달 홀이거나 하나의 제2 동력 전달 축을 설치하고, 작동 스크루(24) 상에 하나의 제2 동력 전달 축이거나 동력 전달 홀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력 전달 홀과 제2 동력 전달 축의 결합을 통해, 제2 젓음 부재(384)에 대한 작동 스크루(24)의 직접적인 구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젓음 부재(384)가 재료 진입통(32) 내에서 재료 저장 플랫폼(382) 상방에서 회전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식재료에 대한 절삭, 압착 또는 푸시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재료의 자동적인 진입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저장 플랫폼(382)에서 작동 스크루(24)에 가까운 일면 상, 제2 장착홀(3824)의 둘레에 한바퀴의 제1 장착홈(3826)이 설치되고, 푸드 프로세서는 제1 장착홈(3826) 내에 장착되고, 제2 동력 전달 축 상에 끼워지며, 작동 스크루(24)와 재료 저장 플랫폼(382)이 서로 접촉하는 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내마모 부재를 더 포함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저장 플랫폼(382)의 하면 상에서 제2 장착홀(3824)를 따라 한바퀴의 제1 장착홈(3826)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장착홈(3826)을 통해 제2 내마모 부재에 대한 로케이션과 장착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제2 내마모 부재는 재료 저장 플랫폼(382)과 작동 스크루(24)의 상단면 사이에 설치되어, 작동 스크루(24)와 재료 저장 플랫폼(382) 사이의 상호 마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작동 스크루(24)와 재료 저장 플랫폼(382)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5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홀은 다각형 홀이고, 제2 동력 전달 축은 다각형 홀과 매칭되는 다각형 축이고; 및/또는 제1 동력 전달 구조(244)는 제2 동력 전달 축이고, 제2 동력 전달 구조(3842)는 동력 전달 홀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동력 전달 홀은 다각형 홀이고, 제2 동력 전달 축은 다각형 홀과 서로 매칭되는 다각형 축이며, 이를 통해 비원호면을 통해 작동 스크루(24)와 제2 젓음 부재(384) 사이의 구동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력 전달 홀과 제2 동력 전달 축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구동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동력 전달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동력 전달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작동 스크루(24) 상에 하나의 제2 동력 전달 축을 설치하고, 제2 젓음 부재(384) 상에 대응되게 하나의 동력 전달 홀을 설치하여, 이를 통해 작동 스크루(24)와 제2 젓음 부재(384)가 보다 우수하게 매칭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9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진입 보조 장치는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를 포함하고,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는 재료 저장 홀더(392) 및 제3 젓음 부재(394)를 포함하되, 재료 저장 홀더(392)는 재료 진입통(32) 내에 장착되고, 작동 스크루(24)에서 컵 본체(22)의 저부에 멀리 떨어진 일측에 배치되고, 재료 저장 홀더(392) 내에 재료 저장 챔버(3922)가 마련되고, 재료 저장 챔버(3922)에서 작동 스크루(24)에 멀리 떨어진 일단이 개방되고, 재료 저장 홀더(392) 상에 적어도 하나의 재료 진입 홀(3920)이 설치되고, 재료 진입 홀(3920)과 재료 저장 챔버(3922)와 컵 본체(22)는 연통되고; 제3 젓음 부재(394)는 회전 가능하게 재료 저장 챔버(3922) 내에 장착되고, 제3 젓음 부재(394)의 회전 가능한 각도는 30°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여기서, 재료 저장 홀더(392)는 식재료를 보존하기 위한 것이고, 제3 젓음 부재(394)는 재료 저장 챔버(3922) 내의 식재료에 대한 절삭 및/또는 압착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재료 저장 챔버(3922) 내에 보존된 식재료를 재료 진입 홀(3920) 내에 밀어넣기 위한 것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는 작동 스크루(24) 상방에 위치하는 재료 저장 홀더(392), 및 회전 가능하게 재료 저장 홀더(392) 내에 장착된 제3 젓음 부재(394)를 포함한다. 재료 저장 홀더(392) 상에 재료 진입 홀(3920)이 더 설치되므로, 실제 사용 시, 직접 식재료를 재료 저장 홀더(392) 내에 넣어, 재료 저장 홀더(392)를 이용하여 식재료를 보존할 수 있으며, 제3 젓음 부재(394)는 회전 가능하게 재료 저장 홀더(392) 내에 장착되고, 재료 저장 홀더(392) 상에 재료 저장 챔버(3922)와 연통되는 재료 진입 홀(3920)이 설치되므로, 제3 젓음 부재(394)의 회전을 통해 재료 저장 홀더(392) 상에 보존된 식재료가 회전하도록 푸싱할 수 있으며, 식재료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식재료와 식재료 사이의 상호 마찰과 압착 또는 식재료와 재료 진입통(32)의 측벽 사이의 상호 마찰과 압착 또는 식재료와 제3 젓음 부재(394) 사이의 상호 마찰과 압착을 통해 식재료의 초보적인 절삭 및/또는 압착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초보적인 절삭 및/또는 압착 가공된 보다 작은 식재료는 제3 젓음 부재(394)의 작용에 의해, 재료 진입 홀(3920)로부터 재료 저장 홀더(392)의 하방으로 낙하될 수 있고, 보다 큰 식재료는 재료 진입 홀(3920) 위치에 끼워지며, 이때, 제3 젓음 부재(394)의 회전이 멈춰지지 않고, 즉 제3 젓음 부재(394)는 계속하여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제3 젓음 부재(394)는 재료 진입 홀(3920)의 측벽과 함께 식재료에 대해 하나의 조임 타격력을 형성할 수 있으며, 재료 진입 홀(3920) 위치에 끼워진 식재료에 대해 하나의 압착 또는 절삭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재료를 보다 작은 조각으로 압착 또는 절삭할 수 있다. 이렇게 제3 젓음 부재(394)의 지속적인 회전을 통해, 점차적으로 식재료를 압착하거나 절삭하여 일정한 크기의 조각으로 만든 후, 순차적으로 재료 진입 홀(3920)을 통과시켜 컵 본체(22) 내에 진입하도록 할 수 있으며, 컵 본체(22) 내에 진입된 식재료는 작동 스크루(24)와 컵 본체(22)의 측벽의 이중 작용에 의해 압착되어 부서지거나 또는 절삭되어 부서지게 되며, 이 후에 여과망 또는 더블 컵 본체 더블 스크루의 방식으로 식재료의 주스와 찌꺼기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에 따르면, 실제 착즙 시, 사용자는 한꺼번에 모든 식재료를 재료 저장 홀더(392) 내에 투입하고, 이를 재료 저장 홀더(392) 내에 보존할 수 있으며, 이후에 식재료는 제3 젓음 부재(394)의 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점차적으로 진입될 수 있으므로, 실제 착즙 시 사용자가 점차적으로 식재료를 투입할 필요가 없이, 한꺼번에 식재료를 투입할 수 있으므로, 실제 과정에서, 먼저 식재료를 모두 재료 저장 홀더(392) 내에 투입한 후, 예약 모듈 등을 통해 제품이 일단 작동하지 않고, 소정 시간이 지난 후에 작동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재료에 대해 사전에 예약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대기 시간을 줄이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조는 제품의 예약 착즙 가능성을 제공하므로, 푸드 프로세서 상에 예약 모듈을 설치하여, 예약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동시에,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한꺼번에 식재료를 투입한 후, 제3 젓음 부재(394)의 작용에 의해 자동으로 식재료를 진입시킬 수 있으며, 푸시 로드 등을 사용하여 수동적으로 식재료를 푸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자의 조작량을 줄여, 제품의 착즙 기능이 보다 간편하고 편리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푸시 로드 등의 구조를 생략하여, 푸시 로드를 사용함에 따른 일련의 문제점, 예를 들어 푸시 로드의 안착 문제점과 푸시 로드의 사용에 따른 안전 상의 우려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은 식재료가 재료 진입 홀(3920)을 통해 컵 본체(22) 내에 낙하될 때, 제3 젓음 부재(394)를 통해 미리 식재료에 대해 절삭 또는 압착 가공할 수 있으므로, 컵 본체(22) 내에 진입되는 식재료의 알갱이가 모두 보다 작도록 하며, 따라서 작동 스크루(24)의 난이도를 감소시키켜, 작동 스크루(24)의 마모를 줄이고, 식재료의 처리 가공 효과를 향상시켜, 출즙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은 또한 작동 스크루(24)가 로킹되는 것을 방지하고, 찌꺼기 배출구가 막히는 등의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재료 저장 홀더(392) 내에 재료 저장 챔버(3922)를 설치함으로써,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 자체가 식재료 수용 작용을 구비하게 되며, 따라서 식재료 투입 시,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를 식재료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반드시 식재료를 제품 위치로 이동시켜 투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식재료의 투입 조작이 보다 간편하고 편리해진다. 한편, 이러한 구성은 식재료를 절삭 및/또는 압착할 때, 직접 재료 저장 챔버(3922)의 측벽을 이용하여 식재료에 대해 차단 및 압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재료 진입통(32)의 측벽을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재료 저장 홀더(392)에 대응되는 재료 진입통(32)의 측벽 부분이 식재료와 직접 접촉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재료 진입통(32)의 해당 지점 측벽의 가공 요구를 낮추어, 제품 비용을 절감시키고, 재료 진입통(32)의 해당 지점의 청결도를 확보하여, 재료 진입통(32)의 세척 난이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재료 저장 홀더(392) 내에 재료 저장 챔버(3922)가 설치됨으로써, 재료 저장 홀더(392)를 재료 저장 패널의 형태로 설치하는 방안에 비해, 식재료가 재료 저장패널과 재료 진입통(32)의 측벽 사이에 끼이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젓음 부재(394)의 회전 가능한 각도는 30°보다 크거나 동일하여, 제3 젓음 부재(394)가 보다 적합한 회전 각도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재료 저장 홀더(392) 상의 식재료를 충분히 분쇄한 후에 푸싱하여 재료 진입 홀(3920) 위치로 이동시켜, 제품의 식재료 진입 원활성을 향상시키고, 제3 젓음 부재(394)의 회전 각도가 너무 작아서, 식재료의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9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저장 홀더(392) 상에 제3 장착홀(39242)이 더 설치되고,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는 제3 동력 전달 축(396)을 더 포함하되, 제3 동력 전달 축(396)의 일단은 재료 저장 챔버(3922) 내에 위치되고, 제3 젓음 부재(394)와 구동 연결되며, 제3 동력 전달 축(396)의 타단은 제3 장착홀(39242) 내부로부터 돌출되고, 작동 스크루(24)와 구동 연결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저장 챔버(3922) 내에 하나의 회전 가능한 젓음 팬, 젓음 로드 등의 제3 젓음 부재(394)를 설치하고, 제3 동력 전달 축(396)을 통해 이를 작동 스크루(24)에 구동 연결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동 스크루(24)의 회전 시, 제3 동력 전달 축(396)을 통해 제3 젓음 부재(394)를 회전시켜, 식재료에 대한 절삭 및/또는 압착 등의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절삭 및/또는 압착 후의 식재료는 나아가 제3 젓음 부재(394)의 작용에 의해 재료 진입 홀(3920)로부터 컵 본체(22)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물론, 제3 젓음 부재(394)는 기타 방식을 통해 작동 스크루(24)에 구동 연결되거나, 또는 제3 젓음 부재(394)는 작동 스크루(24)에 연결되지 않고, 이가 회전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 구조를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재료 저장 홀더(392)의 외저벽 상에 수용홈(3926)이 설치되고, 작동 스크루(24)의 일단은 수용홈(3926) 내에 진입할 수 있고, 재료 저장 홀더(392)의 내저벽 상에 장착 돌출턱(3924)이 설치되고, 제3 장착홀(39242)은 장착 돌출턱(3924) 및 수용홈(3926)을 관통하고, 제3 동력 전달 축(396)의 일단은 수용홈(3926) 내에 위치되어, 작동 스크루(24)와 구동 연결되기 위한 것이며, 제3 동력 전달 축(396)의 타단은 제3 장착홀(39242)을 통해 재료 저장 챔버(3922) 내로 진입하며, 제3 젓음 부재(394)와 구동 연결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저장 홀더(392)의 내 저벽면 상에 장착 돌출턱(3924)이 설치되어, 한편으로는 상기 장착 돌출턱(3924)을 이용하여 제3 젓음 부재(394)를 보다 높게 장착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구성을 통해 재료 저장 홀더(392)의 내벽의 면적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제3 젓음 부재(394)는 더욱 큰 면적의 내벽과 협력하여, 식재료에 대한 절삭 및/또는 압착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의 작동 시, 식재료에 대한 압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식재료의 처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장착 돌출턱(3924)을 설치한 후, 수용홈(3926)을 장착 돌출턱(3924)에 대응되게 설치함으로써, 재료 저장 홀더(392)의 저벽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재료 저장 홀더(392)의 저벽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재료 저장 홀더(392)의 외저벽면 상에 수용홈(3926)을 설치하여, 재료 저장 홀더(392)가 작동 스크루(24)의 일단 상에 씌워지게 설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동 스크루(24)가 수용홈(3926)의 측벽과 협력하여 식재료에 대한 추가적인 절삭 및/또는 압착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처리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9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진입 홀(3920)은 장착 돌출턱(3924)에서 재료 저장 챔버(3922)의 일단에 멀리 떨어진 단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재료 저장 홀더(392)의 저부까지 연장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진입 홀(3920)은 장착 돌출턱(3924)에서 재료 저장 챔버(3922)의 일단에 멀리 떨어진 단면의 가장자리로부터 재료 저장 홀더(392)의 저부까지 연장되어, 재료 진입 홀(3920)이 보다 크게 개구되도록 함으로써, 식재료의 진입 원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재료 진입 홀(3920)의 수량은 하나 또는 복수일 수 있으며, 재료 진입 홀(3920)이 복수일 경우, 복수의 재료 진입 홀(3920)은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9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돌출턱(3924)의 측벽면은 장착 돌출턱(3924)에서 재료 저장 홀더(392)의 저벽에 멀리 떨어진 일단으로부터 장착 돌출턱(3924)에서 재료 저장 홀더(392)의 저벽에 가까운 일단까지 밖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및/또는 수용홈(3926)의 형상과 작동 스크루(24)에서 수용홈(3926) 내에 진입되는 일단의 형상이 서로 매칭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장착 돌출턱(3924)의 외측벽은 재료 저장 챔버(3922)의 개구로부터 재료 저장 챔버(3922)의 저벽을 향해 밖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이를 통해 식재료를 절삭 및/또는 압착한 후, 식재료는 장착 돌출턱(3924)의 외측벽을 따라 아래로 유동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아래로 가속 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식재료가 보다 원활하게 재료 진입 홀(3920)을 통해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용홈(3926)과 작동 스크루(24)의 상단이 보다 우수하게 매칭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의 구조가 보다 합리적이도록 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9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료 저장 홀더(392)의 저벽은 재료 저장 챔버(3922) 내부를 향해 함몰되어, 수용홈(3926)과 장착 돌출턱(3924)을 형성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저장 홀더(392)의 저벽을 재료 저장 홀더(392) 내부를 향해 함몰되게 형성함으로써, 그 내저벽면 상에 장착 돌출턱(3924)을 형성하고, 및 외저벽면 상에 수용홈(3926)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재료 저장 홀더(392)의 저벽 상에 장착 돌출턱(3924)과 수용홈(3926)을 가공해낼 수 있으므로, 가공 난이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제3 젓음 부재(394)는, 장착 돌출턱(3924) 상에 위치되고, 제3 동력 전달 축(396)에 장착되는 고정홀더(3942); 일단이 고정홀더(3942)에 연결되고, 타단이 재료 저장 챔버(3922)의 저벽을 향해 연장되는 젓음 구조(3944);를 포함하되, 젓음 구조(3944)는 젓음 팬, 젓음 로드 또는 젓음 막대기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3 젓음 부재(394)는 홀더와 젓음 구조(3944)를 포함하되, 홀더는 제3 동력 전달 축(396)과 연결되고, 젓음 구조(3944)의 장착을 위한 것이며, 젓음 구조(3944)는 구체적으로 식재료를 절삭 및/또는 압착하고 식재료를 휘젖기 위한 것이다. 재료 저장 챔버(3922) 내에 장착 돌출턱(3924)이 설치될 경우, 제3 젓음 부재(394)를 장착 돌출턱(3924)의 상부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3 젓음 부재(394)의 일단을 보다 높게 장착하고, 동시에 제3 젓음 부재(394)의 타단을 재료 저장 챔버(3922)의 저부를 향해 처지도록 함으로써, 제3 젓음 부재(394)는 재료 저장 챔버(3922) 내의 높이가 다른 식재료 전체에 대해 절삭 및/또는 압착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처리 효과를 향상시켜, 출즙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반면, 재료 저장 챔버(3922)의 저벽에 장착 돌출턱(3924)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제3 젓음 부재(394)는 재료 저장 챔버(3922)의 저벽 상에 장착될 수 밖에 없으므로, 식재료에 대해 처리할 수 있는 제3 젓음 부재(394)의 높이가 젓음 구조(3944)의 높이의 제한을 받게 되며, 따라서 젓음 구조(3944)가 보다 낮게 설치될 경우, 식재료에 대한 처리 효과가 떨어지고, 젓음 구조(3944)를 전체적으로 보다 높게 설치하면, 젓음 구조(3944)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동시에 고정홀더(3942)를 높게 설치할 수 밖에 없으며, 이 경우 제3 젓음 부재(394)의 구조가 비교적 복잡해지고, 제3 동력 전달 축(396)과 그 사이의 연결 강도도 감소된다.
여기서, 젓음 구조(3944)는 블레이드 형태일 수 있으며, 막대 형태거나 로드 형태일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젓음 구조(3944)의 형상은 실제 경우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9 내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동력 전달 축(396) 상에 적어도 하나의 제2 구동 돌기(3964)가 설치되며, 제2 구동 돌기(3964)는 작동 스크루(24)와 결합되어, 작동 스크루(24)의 구동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3 동력 전달 축(396)의 하단면 상에 하나 또는 복수의 제2 구동 돌기(3964)를 설치함으로써, 제2 구동 돌기(3964)와 작동 스크루(24)의 상단의 측부의 결합을 통해, 제3 동력 전달 축(396)과 작동 스크루(24) 사이의 구동 연결을 구현할 수 있으며, 물론, 제3 동력 전달 축(396)은 기타 구조를 통해 작동 스크루(24)와 구동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제3 젓음 부재(394)와 제3 동력 전달 축(396)은 분리형 구조이거나, 제3 젓음 부재(394)와 제3 동력 전달 축(396)은 일체형 구조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3 젓음 부재(394)와 제3 동력 전달 축(396)은 분리형 구조, 예를 들어 두개의 부품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독으로 제3 젓음 부재(394)와 제3 동력 전달 축(396) 중 부품 각각에 대해 단독적으로 유지 보수와 교체하기가 편리하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제3 젓음 부재(394)와 제3 동력 전달 축(396)은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제3 젓음 부재(394)와 제3 동력 전달 축(396)의 연결 강도를 증가시켜, 제3 젓음 부재(394)와 제3 동력 전달 축(396)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 젓음 부재(394)와 제3 동력 전달 축(396) 사이의 끊김없는 연결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제3 젓음 부재(394)와 제3 동력 전달 축(396)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세척이 용이해진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제3 동력 전달 축(396) 상에 제2 로케이션 오목홈(3962)과 제2 로케이션 돌기(246) 중 하나가 설치되고, 작동 스크루(24) 상에 제2 로케이션 오목홈(3962)과 제2 로케이션 돌기(246) 중 다른 하나가 설치되며, 제2 로케이션 돌기(246)는 제2 로케이션 오목홈(3962) 내에 삽입되어, 작동 스크루(24)에 대해 로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로케이션 오목홈(3962) 내에 제3 내마모 부재(398)가 설치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작동 스크루(24)의 상단면 상에 하나의 제2 로케이션 돌기(246) 또는 제2 로케이션 오목홈(3962)을 설치하고, 제3 동력 전달 축(396)의 하단 상에 대응되게 하나의 제2 로케이션 돌기(246) 또는 제2 로케이션 오목홈(3962)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2 로케이션 돌기(246) 및 제2 로케이션 돌기(246)와 로케이션축의 결합을 통해 작동 스크루(24)에 대한 로케이션을 구현할 수 있고, 나아가 작동 스크루(24)의 장착 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작동 스크루(24)의 유동을 줄일 수 있다. 제2 로케이션 오목홈(3962) 내에 제3 내마모 부재(398)를 설치함으로써, 제2 로케이션 돌기(246)와 제2 로케이션 오목홈(3962) 사이의 마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는 탈착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32) 내에 장착되거나, 또는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는 재료 진입통(32) 내에 배치되되,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의 재료 저장 홀더(392)와 재료 진입통(32)의 측벽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재료 진입통(32)의 내측벽 상에 제3 버클(228)이 설치되고, 재료 저장 홀더(392)의 외측벽 상에 제4 버클(3928)이 설치되어, 재료 저장 홀더(392)는 제3 버클(228)과 제4 버클(3928)의 결합을 통해 재료 진입통(32) 내에 걸림 장착될 수 있고; 및/또는 재료 저장 챔버(3922)의 측벽은 재료 저장 챔버(3922)의 개구로부터 재료 저장 챔버(3922)의 저부까지 재료 저장 챔버(3922) 내부를 향해 경사지게 설치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는 재료 진입통(32) 내에서 작동 스크루(24)의 상방에 장착되며, 이로써 재료 진입통(32)을 통해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를 장착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이를 재료 진입통(32) 내에 장착함으로써, 재료 진입통(32)을 이용하여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 내의 식재료가 비산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의 재료 저장 홀더(392)와 재료 진입통(32)은 일체형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고,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의 재료 저장 홀더(392)를 탈착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32) 내에 장착할 수도 있다. 한편, 재료 진입통(32)과 컵 본체(22)를 하나의 큰 컵으로 병합할 경우, 바람직하게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를 탈착 가능하게 재료 진입통(32) 내에 장착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 재료 저장 홀더(392)의 외측벽 상에 제4 버클(3928)을 설치하고, 재료 진입통(32)의 내측벽 상에 제3 버클(228)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제3 버클(228)과 제4 버클(3928)의 결합을 통해,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를 재료 진입통(32) 내에 걸림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가 자유롭게 재료 진입통(32) 내부로부터 탈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의 세척이 용이해지고,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39)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진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27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드 프로세싱컵(2)은, 컵 본체(22)와 작동 스크루(24) 사이에 설치된 여과망(29)을 더 포함하되; 재료 진입통(32)의 내측벽 상에는 여과망(29)에 대응되게 재료 진입통(32)에 가까운 일단에 로케이션 계단면(328)이 설치되고, 로케이션 계단면(328)은 여과망(29)과 결합되어, 여과망(29)에 대한 로케이션을 수행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푸드 프로세서가 단일 컵 본체(22)와 단일 작동 스크루(24)인 푸드 프로세서일 때, 컵 본체(22)와 작동 스크루(24) 사이에 하나의 여과망(29)을 설치하여, 여과망(29)을 이용하여 식재료가 분쇄된 후, 식재료의 주스와 찌꺼기를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재료 진입통(32)의 내측벽 상에 여과망(29)의 상단면에 대응되는 하나의 로케이션 계단면(328)을 설치하여, 로케이션 계단면(328)을 이용하여 여과망(29)을 누름으로써, 여과망(29)을 축방향으로 로케이션 장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여과망(29)의 장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1, 도 2, 도 31, 도 33, 도 37 및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드 프로세서는, 컵 본체(22), 재료 진입 모듈(3) 및 찌꺼기 수집 장치(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상에 설치되며, 밀폐 챔버와 연통될 수 있는 압력 릴리프 홀(62); 압력 릴리프 홀(62) 위치에 장착되어, 압력 릴리프 홀(62)을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는 압력 릴리프 플러그(64)를 더 포함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컵 본체(22), 재료 진입 모듈(3) 및 찌꺼기 수집 장치(4)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 상에 밀폐 챔버와 연통되는 압력 릴리프 홀(62)을 설치하고, 압력 릴리프 플러그(64)를 통해 압력 릴리프 홀(62)을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품의 작동 전에 압력 릴리프 플러그(64)를 폐쇄하여, 압력 릴리프 홀(62)을 밀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컵 본체(22) 내부, 재료 진입 모듈(3) 및 찌꺼기 수집 장치(4)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가스 펌핑 모듈(5)을 통해 진공이 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대체적으로 진공 또는 진공에 가까운 상태에서 식재료에 대해 처리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식재료에 대한 처리가 끝난 후, 압력 릴리프 플러그(64)를 통해 압력 릴리프 홀(62)을 개방하여, 제품 내부와 외계를 연통시켜, 컵 본체(22), 재료 진입 모듈(3) 및 찌꺼기 수집 장치(4) 내의 음압을 점차적으로 해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용이하고 신속하게 감압할 수 있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기타 방식을 통해 감압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가스 펌핑 모듈(5)을 통해 내부로 공기를 수송하여 감압할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펌핑 모듈(5)은 가스 펌프(52); 일단이 가스 펌프(52)에 연결되고, 타단이 밀폐 챔버와 연통되는 배기통로(56)를 포함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하나의 가스 펌프(52)를 이용하여 공기를 펌핑해낼 수 있으며, 가스 펌핑 통로(54)는 가수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펌핑 모듈(5)은, 가스 펌프(52)의 출구에 연결되어 배기하기 위한 배기통로(56); 배기통로(56) 상에 설치된 노이즈 저감 장치(58)를 더 포함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하나의 배기통로(56)를 설치하여 배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배기통로(56)는 바람직하게 하나의 배기관이다. 노이즈 저감 장치(58)는 가스 펌핑 모듈(5)의 소음을 저감시켜,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킨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펌프(52)는 홀더 모듈(1), 컵 본체(22) 및 재료 진입 모듈(3) 중 어느 하나 상에 설치되거나, 가스 펌프(52)는 홀더 모듈(1), 컵 본체(22) 및 재료 진입 모듈(3)과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가스 펌프(52)는 임의의 위치,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홀더 모듈(1), 컵 본체(22) 또는 재료 진입 모듈(3)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물론, 가스 펌프(52)는 홀더 모듈(1), 컵 본체(22) 및 재료 진입 모듈(3)과 별도로 설치될 수도 있는 바, 즉 가스 펌프(52)는 홀더 모듈(1), 컵 본체(22)와 재료 진입 모듈(3)에 외장될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가스 펌핑 통로(54)는 가스 펌핑 관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가스 펌핑 통로(54)는 바람직하게 가스 펌핑 관이며, 물론, 가스 펌핑 통로(54)는 푸드 프로세서의 하우징 상에 설치된 기타 통로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펌프(52)는 전동 펌프 또는 수동 펌프 또는 풋 펌프일 수도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가스 펌프(52)는 바람직하게 전동 펌프이고, 이에 따라 전력 구동 가스 펌프(52)와 함께 가스 펌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동적으로 가스 펌핑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물론, 가스 펌프(52)는 수동 펌프 또는 풋 펌프(foot pump)일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가스 펌프(52)는 진공 펌프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가스 펌프(52)는 바람직하게 진공 펌프이며, 진공 펌프는 흔히 사용하는 펌프로서, 쉽게 구입할 수 있으며, 한편 진공 펌프의 진공 형성 능력이 보다 강하므로, 푸드 프로세서 내부의 대량의 공기를 뽑아내여, 식재료 처리 시, 컵 본체(22) 내의 진공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본체(22) 상에 제1 찌꺼기 배출구(222)가 설치되고, 찌꺼기 수집 장치(4)가 제1 찌꺼기 배출구(222)에 밀폐 연결될 경우, 찌꺼기 수집 장치(4)는 찌꺼기 수집컵(42), 찌꺼기 수집 덮개(44) 및 제2 밀폐부재를 포함하되, 찌꺼기 수집컵(42)은 탈착 가능하게 제1 찌꺼기 배출구(222) 위치에 밀폐 장착되고, 찌꺼기 수집컵(42)의 측벽 상에 찌꺼기 입구(422)가 설치되고, 찌꺼기 입구(422)와 제1 찌꺼기 배출구(222)가 서로 연통되며; 찌꺼기 수집 덮개(44)는 찌꺼기 수집컵42의 개방된 단부 상에 밀폐되게 씌워져 장착되고; 제2 밀폐부재는 찌꺼기 수집 덮개(44)와 찌꺼기 수집컵(42)의 연결 위치에 설치되어, 찌꺼기 수집 덮개(44)와 찌꺼기 수집컵(42)을 밀폐 연결시키며; 여기서, 찌꺼기 수집컵(42)과 컵 본체(22) 중 하나에 장착 컬럼(226)이 설치되고, 찌꺼기 수집컵(42)과 컵 본체(22) 중 다른 하나에 장착 슬리브(424)가 설치되어, 찌꺼기 수집컵(42)은 장착 컬럼(226)과 장착 슬리브(424)의 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제1 찌꺼기 배출구(222) 위치에 밀폐 장착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컵 본체(22) 상에 제1 찌꺼기 배출구(222)가 설치되고, 찌꺼기 수집 장치(4)는 제1 찌꺼기 배출구(222)에 밀폐 연결되며, 즉 찌꺼기 수집 장치(4)가 컵 본체(22) 외부에 장착될 때, 바람직하게 찌꺼기 수집 장치(4)를 찌꺼기 수집컵(42)과 찌꺼기 수집 덮개(44)를 포함하는 구조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찌꺼기 수집컵(42)을 통해 찌꺼기 수집 처리를 수행하고, 찌꺼기 수집 덮개(44)를 통해 찌꺼기 수집컵(42)을 개방하거나 밀폐할 수 있다. 찌꺼기 수집컵(42)과 컵 본체(22)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찌꺼기 수집컵(42)을 컵 본체(22) 상으로부터 쉽게 분리시켜, 찌꺼기를 쏟아내거나 세척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동시에, 찌꺼기 수집컵(42)과 컵 본체(22)중 하나에 장착 슬리브(424)를 설치하고, 다른 하나에 장착 컬럼(226)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장착 슬리브(424)와 장착 컬럼(226)의 끼움 장착을 통해, 찌꺼기 수집컵(42)과 컵 본체(22) 사이를 탈착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동시에, 장착 슬리브(424)와 장착 컬럼(226) 사이에 제2 밀폐부재를 설치하여, 장착 슬리브(424)와 장착 컬럼(226)이 밀폐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찌꺼기 수집 장치(4)는 기타 유형의 구조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찌꺼기 수집 주머니이거나 또는 기타 챔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푸드 프로세서는 제1 찌꺼기 배출구(222) 위치에 설치되어, 제1 찌꺼기 배출구(222) 위치의 찌꺼기 배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찌꺼기 배출 압력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1 찌꺼기 배출구(222) 위치에 하나의 찌꺼기 배출 압력 조절 모듈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찌꺼기 배출 압력 조절 모듈을 통해 제1 찌꺼기 배출구(222) 지점의 찌꺼기 배출 압력을 조절하여, 찌꺼기 배출 압력을 합리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음식물 찌꺼기가 배출되기 전에 추가적으로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주스와 찌꺼기가 보다 철저히 분리되도록 한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찌꺼기 배출 압력 조절 모듈은 하나의 레벨의 압력만 구비할 수 있으며, 즉 찌꺼기 배출 압력은 고정값으로서, 제품의 조립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는 찌꺼기 배출 압력을 변경할 수 없다. 물론, 찌꺼기 배출 압력 조절 모듈은 복수의 레벨의 압력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즉 찌꺼기 배출 압력은 복수의 레벨값을 포함하여, 실제 과정에서, 사용자는 찌꺼기 배출 압력 조절 모듈을 조작하여, 제품이 복수의 찌꺼기 배출 압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상이한 식재료를 처리할 때, 식재료의 종류,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찌꺼기 배출 압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보다 잘 만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재료의 종류에 따라 찌꺼기 배출 압력을 합리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포도와 같은 일부 보다 유연한 식재료가 압착되어 너무 부서져, 영양이 유실되고, 입맛이 떨어지는 등의 상황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조섬유 식재료, 예를 들어 사탕수수, 생강, 당근 등의 식재료가 불충분하게 압착되어, 출즙율이 낮은 상황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영양과 입맛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출즙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하나의 댐핑 실리콘을 통해 찌꺼기 배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찌꺼기 배출 압력 조절 모듈의 구체적인 구조는 현재 기존의 원즙기, 착즙기 등에서 찌꺼기 배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재료 진입 모듈(3)의 일단은 탈착 가능하게 컵 본체(22)의 개방된 단부 내에 걸림 결합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재료 진입 모듈(3), 예를 들어 재료 진입통(32)의 하단 상에 제1 버클(320)을 설치하고, 컵 본체(22)의 상단의 내측벽 상에 제1 버클(320)과 매칭될 수 있는 제2 버클(220)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제1 버클(320)과 제2 버클(220)의 걸림 결합을 통해 재료 진입 모듈(3)의 일단을 밀폐되게 컵 본체(22)의 개방된 단부 내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컵 본체(22)는 분쇄컵과 압착컵을 포함하되, 재료 진입 모듈(3)은 밀폐되게 분쇄컵의 개방된 단부 상에 덮여져 장착되고, 분쇄컵의 타단 상에 연통구가 설치되어, 압착컵과 분쇄컵은 연통구를 통해 연통되며; 작동 스크루(24)는 분쇄컵 내에 장착된 분쇄 스크루와 압착컵 내에 장착된 압착 스크루를 포함하되; 컵 본체(22) 상에 제1 찌꺼기 배출구(222)가 설치되고, 찌꺼기 수집 장치(4)가 제1 찌꺼기 배출구(222)에 밀폐 연결될 경우, 제1 찌꺼기 배출구(222)가 압착 컵 상에 설치되고, 찌꺼기 수집 장치(4)와 압착컵은 제1 찌꺼기 배출구(222)를 통해 연통되며; 홀더 모듈(1) 상에 제1 구동축과 제2 구동축이 설치되고, 제1 구동축은 분쇄 스크루와 구동 연결되어, 분쇄 스크루가 식재료를 분쇄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이고, 제2 구동축은 압착 스크루와 구동 연결되어, 압착 스크루가 식재료를 압착하여 식재료 주스와 찌꺼기를 분리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해당 실시예에서, 식재료가 분쇄컵 내에 넣어진 후, 분쇄 스크루는 제1 구동축의 구동에 의해 분쇄컵의 측벽과 협력하여 음식물을 분쇄하고, 분쇄된 후의 식재료는 분쇄 스크루의 작용에 의해 압착컵 내로 들어가며, 압착 스크루는 제2 구동축의 구동에 의해 식재료를 압착하여, 식재료의 주스와 찌꺼기가 분리되도록 한다. 해당 실시예는 식재료의 분쇄 과정과 착즙 및 찌꺼기 배출 과정을 별도로 수행하며, 분쇄 과정에서, 착즙 및 찌꺼기 배출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분쇄컵 내에 여과망(29) 및 회전 브러시 등의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분쇄컵 내의 식재료가 분쇄컵과 분쇄 스크루의 공통 작용에 의해 분쇄되며, 착즙 및 찌꺼기 배출 과정에서 압착 스크루를 대체적으로 수평으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착즙 및 찌꺼기 배출 시스템을 수평식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식물의 주스와 찌꺼기의 분리가 용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푸드 프로세서의 출즙율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과망(29), 회전 브러시 등의 부품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푸드 프로세서의 구조가 단순화되고 장착이 용이하며, 또한 여과망(29)을 생략하므로, 사용자의 세척 난이도를 감소시키고,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압착컵의 축선과 분쇄컵의 축선 사이는 75°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180°보다 작거나 동일한 끼인각을 이루거나, 또는 압착컵의 축선과 분쇄컵의 축선 사이는 90°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135°보다 작거나 동일한 끼인각을 이룬다.
해당 실시예에서, 압착컵과 분쇄컵 사이는 일 끼인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식재료가 압착컵으로부터 분쇄컵 내로 들어갈 수만 있으면 되며, 여기서, 바람직하게, 압착컵의 축선과 분쇄컵의 축선 사이는 75°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180°보다 작거나 동일한 끼인각을 이루고, 즉 압착컵은 수평 또는 아래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이를 통해 식재료가 압착컵 내로 들어가거나 또는 압착컵 내에서 제1 찌꺼기 배출구(222)로 유동할 때 적어도 식재료의 중력을 극복할 필요가 없으므로, 식재료의 유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더 나아가, 압착컵의 축선과 분쇄컵의 축선 사이는 90°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135°보다 작거나 동일한 끼인각을 이루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식재료는 압착 스크루의 압착력에 의해 밖으로 유출되는 것 외에, 식재료의 중력에 의해서도 유출될 수 있으므로, 식재료의 유동 속도를 증가시켜, 출즙 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식재료에 대해 충분히 압착함으로써, 출즙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직식 기기와 수평식 기기를 서로 결합하므로, 제품이 수직식 기기의 분쇄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평식 기기의 압착이 충분한 장점도 구비하므로, 식재료가 충분히 분쇄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분히 압착되도록 할 수도 있으므로, 출즙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나아가, 바람직하게, 압착컵의 축선과 분쇄컵의 축선 사이는 90°의 끼인각을 이룬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압착 스크루의 축선과 분쇄 스크루의 축선 사이는 75°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180°보다 작거나 동일한 끼인각을 이루거나, 압착 스크루의 축선과 분쇄 스크루의 축선 사이는 90°보다 크거나 동일하고 135°보다 작거나 동일한 끼인각을 이룬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압착컵이 수평 또는 아래로 경사지게 설치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식재료가 압착컵 내에 들어가거나 압착컵 내에서 제1 찌꺼기 배출구(222)로 흐를 때 적어도 식재료의 중력을 극복하지 않아도 되므로, 식재료의 흐름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나아가, 바람직하게, 압착 스크루의 축선과 분쇄 스크루의 축선 사이는 90°의 끼인각을 이룬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 모듈(1)은 홀더(18), 하우징 모듈(16)을 더 포함하되, 하우징 모듈(16)은 홀더(18) 상에 장착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 본체(22) 상에 제1 찌꺼기 배출구(222)가 설치되고, 찌꺼기 수집 장치(4)가 제1 찌꺼기 배출구(222)에 밀폐 연결될 경우, 푸드 프로세서는, 일단이 컵 본체(22)와 연통되고, 타단은 외계와 연통되는 제1 감압통로; 일단이 찌꺼기 수집 장치(4)와 연통되고, 타단은 외계와 연통되는 제2 감압통로; 제1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 및 제2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 상에 장착되어, 제1 감압통로와 제2 감압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5 밀폐부재(84)를 더 포함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찌꺼기 수집 장치가 컵 본체(22) 외부에 장착될 때, 컵 본체(22)와 연통되는 제1 감압통로를 설치하여, 제1 감압통로를 통해 진공 착즙이 끝난 후에 컵 본체(22)에 대해 감압을 수행할 수 있고, 찌꺼기 수집 장치(4)와 연통되는 제2 감압통로를 설치하여, 제2 감압통로를 통해 진공 착즙이 끝난 후에 찌꺼기 수집 장치(4)에 대해 감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5 밀폐부재(84)는 제1 감압통로 및 제2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에 밀폐 연결되어, 제5 밀폐부재(84)의 개방 또는 폐쇄를 통해, 제1 감압통로 및 제2 감압통로의 외부와의 연통 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진공 착즙시, 제1 감압통로 및 제2 감압통로를 폐쇄하여, 컵 본체(22)가 밀폐될 수 있도록 확보하고, 착즙이 끝난 후, 제5 밀폐부재(84)를 개방하여 제1 감압통로 및 제2 감압통로를 개방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컵 본체(22)와 찌꺼기 수집 장치(4)에 대해 동시에 감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컵 본체(22)와 찌꺼기 수집 장치(4) 모두에 대해 대응되는 감압통로가 설치되므로, 감압 시, 컵 본체(22)와 찌꺼기 수집 장치(4) 각각에 대해 감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컵 본체(22)의 제1 찌꺼기 배출구(222)가 음식물 찌꺼기에 의해 막힘 여부에 상관없이, 찌꺼기 수집 장치(4)는 바로 감압될 수 있으므로, 착즙이 끝난 후에 찌꺼기 수집 장치(4)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분리시켜 찌꺼기를 쏟아내거나 세척 등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나아가 찌꺼기 수집 장치(4)가 음식물 찌꺼기에 의해 막혀 제때에 감압되지 못하여 초래되는 일련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제품의 전체적인 성능을 향상시켜,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33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감압통로의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과 제2 감압통로의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이 동일한 통로로 병합되고; 컵 본체(22)의 측벽 내에 하나의 연결통로(82)가 설치되고, 연결통로(82)의 일단은 제1 찌꺼기 배출구(222)까지 연장되어, 제1 찌꺼기 배출구(222)와 연통되고, 연결통로(82)의 내측벽 상에 컵 본체(22)와 연통되는 제2 관통홀(822)이 설치되고, 연결통로(82)의 외측벽 상에 제3 관통홀(824)이 설치되며, 제5 밀폐부재(84)는 개방 또는 밀폐 가능하게 제3 관통홀(824) 위치에 장착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제1 감압통로와 제2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 즉 가스 유입단을 하나의 통로로 병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하나의 제5 밀폐부재(84)만 설치하면 제1 감압통로와 제2 감압통로를 동시에 개방하거나 동시에 폐쇄할 수 있으므로, 컵 본체(22)와 찌꺼기 수집 장치(4)를 폐쇄하여 진공 착즙할 때, 제5 밀폐부재(84)를 정위치에 장착하기만 하면 되고, 감압 시에도, 하나의 제5 밀폐부재(84)만 개방하면 되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의 착즙과 감압 시의 조작을 단순화하고,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할 때의 작업량을 줄여, 사용자 체험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동시에, 바람직하게 컵 본체(22)의 측벽 내에 하나의 연결통로(82)를 설치하여, 제1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과 제2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을 동일한 통로로 병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통로(82)의 일단이 제1 찌꺼기 배출구(222)와 연통되어, 연결통로(82)가 찌꺼기 수집 장치(4)와 연통될 수 있도록 하고, 연결통로(82)의 측벽 상에 제2 관통홀(822)이 설치되어, 연결통로(82)가 컵 본체(22)와 연통될 수 있도록 하며, 이렇게 연결통로(82)를 제1 감압통로와 제2 감압통로의 공통적인 통로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컵 본체(22)와 찌꺼기 수집 장치(4)가 해당 연결통로(82)를 통해 동시에 폐쇄 및 감압할 수 있다. 연결통로(82)의 외측벽 상의 제3 관통홀(824)은 연결통로(82)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가스 유입구로서, 제3 관통홀(824)의 개방 및 폐쇄를 통해, 컵 본체(22)와 찌꺼기 수집 장치(4)를 동시에 밀폐하거나 동시에 감압할 수 있다.
물론, 기타 구조를 통해 제1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과 제2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을 동일한 통로로 병합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컵 본체(22)의 측벽 내에 미리 하나의 입구와 두개의 출구를 포함하는 분기관로를 매설하여, 해당 분기관로를 통해 컵 본체(22)와 찌꺼기 수집 장치(4)에 대해 동시에 감압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33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밀폐부재(84)는 하나의 실링 플러그이고, 푸드 프로세서는 밸브 로드(86) 및 복귀 스프링(88)을 더 포함하되, 밸브 로드(86)의 일단은 제3 관통홀(824) 내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제3 관통홀(824)의 축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밸브 로드(86)의 타단은 컵 본체(22) 외부에 배치되고, 실링 플러그는 밸브 로드(86)에서 컵 본체(22) 외부에 배치되는 일단 상에 끼워지며, 밸브 로드(86)의 작용에 의해 제3 관통홀(824) 위치에 밀폐 장착되거나 제3 관통홀(824)을 개방할 수 있다; 복귀 스프링(88)은 컵 본체(22) 내부 또는 연결통로(82) 내부에 설치되고, 밸브 로드(86)와 연결되어, 밸브 로드(86)의 이동 후에 밸브 로드(86)를 복귀시킨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5 밀폐부재(84)는 하나의 실링 플러그로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러버 플러그와 실리콘 플러그일 수 있고, 이 경우 하나의 실링 플러그를 통해 제3 관통홀(824)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으므로, 감압통로 전체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밸브 로드(86)는 실링 플러그의 장착 및 제3 관통홀(824)의 축방향을 따라 실링 플러그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이 경우 밸브 로드(86)의 이동을 통해 실링 플러그의 개방 및 폐쇄를 구현할 수 있다. 복귀 스프링(88)은 감압이 완료된 후에 밸브 로드(86)가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밸브 로드(86)와 실링 플러그가 감압 후에 자동적으로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제3 관통홀(824)을 밀폐시키고,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감압 후에 밸브 로드(86)가 자동적으로 복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별도로 제3 관통홀(824)을 밀폐하지 않아도 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의 작업량을 줄이고, 사용자가 다음번에 착즙할 때 밸브 로드(86)를 복귀시키는 것을 잊어 제품이 밀폐되지 않아서, 진공 착즙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33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로드(86)에서 제3 관통홀(824) 내에 삽입된 일단은 제2 관통홀(822)로 삽입되고 컵 본체(22) 내에 진입되며, 제2 관통홀(822)의 내측벽 상에 암나사산이 마련되고, 밸브 로드(86)에서 제2 관통홀(822)과 결합되는 측벽 상에 수나사산이 마련되어, 밸브 로드(86)는 수나사산과 암나사산의 결합을 통해 제2 관통홀(822) 내에 장착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제2 관통홀(822)에 암나사산을설치하고, 밸브 로드(86)에서 제2 관통홀(822)과 결합되는 측벽 상에 대응되게 수나사산을 설치할 수 있으며, 이렇게 밸브 로드(86)는 나사산 연결 방식으로 컵 본체(22) 상에 장착될 수 있고, 나아가 회전하는 방식을 통해 밸브 로드(86)를 조이거나 풀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밸브 로드(86)를 제3 관통홀(824)의 축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시켜, 제3 관통홀(824)에 대한 실링 플러그의 개방 및 폐쇄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나사산 연결 방식을 통해 간단하고 용이하게 밸브 로드(86)를 컵 본체(22) 상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제3 관통홀(824)에 대한 실링 플러그의 개방 및 폐쇄 조작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품의 전체적인 구조가 보다 간단해질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33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로드(86)에서 제3 관통홀(824) 내에 삽입된 일단은 제2 관통홀(822)에 삽입되고 컵 본체(22) 내에 수용되며, 밸브 로드(86)에서 컵 본체(22) 내에 수용된 일단의 단부 상에 제2 장착홈이 설치되고, 연결통로(82)의 내측벽 상에 제4 관통홀(826)이 더 설치되며, 복귀 스프링(88)은 비틀림 스프링이고, 비틀림 스프링은 밸브 로드(86)에서 컵 본체(22) 내에 수용된 일단 상에 끼움 설치되되, 비틀림 스프링의 제1 비틀림 스프링 암은 제2 장착홈 내에 장착되고, 비틀림 스프링의 제2 비틀림 스프링 암은 제4 관통홀(826) 내에 삽입 장착되며, 제4 관통홀(826)의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한다.
해당 실시예에서, 밸브 로드(86)를 제3 관통홀(824)에 삽입하고, 계속하여 제1 관통홀(3622)을 통과시켜 컵 본체(22) 내에 수용시킬 수 있으며, 복귀 스프링(88)은 바람직하게 비틀림 스프링이고, 이 경우 밸브 로드(86)의 회전 후, 비틀림 스프링은 밸브 로드(86)를 자동적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이 밸브 로드(86)에서 컵 본체(22) 내에 수용된 일단 상에 끼움 설치됨으로써, 비틀림 스프링을 컵 본체(22) 내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비틀림 스프링을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밸브 로드(86)의 단부 상에 제2 장착홈이 설치됨에 따라, 해당 제2 장착홈과 제1 비틀림 스프링 암의 결합을 통해 비틀림 스프링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비틀림 스프링이 밸브 로드(86)를 따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4 관통홀(826)은 제2 비틀림 스프링 암을 고정 및 안내하여, 밸브 로드(86)의 회전 시, 비틀림 스프링에 정상적으로 비틀림 변형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응한 탄성 에너지를 모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밸브 로드(86)를 해제한 후, 밸브 로드(86)는 탄성 에너지의 작용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도 33 내지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로드(86)에서 컵 본체(22) 외부에 배치되는 일단 상에 가압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가압 플레이트는 실링 플러그를 제3 관통홀(824) 위치에 가압 밀착할 수 있으며, 가압 플레이트 상에 조작 핸들이 설치된다.
해당 실시예에서, 밸브 로드(86)의 말단에 가압 플레이트를 설치함으로써, 가압 플레이트를 통해 실링 플러그를 제3 관통홀(824) 위치에 밀착시켜, 실링 플러그가 제3 관통홀(824)이 안정적으로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 상에 조작 핸들이 설치되어, 사용 시 직접 조작 핸들을 통해 밸브 로드(86)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해진다.
상기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푸드 프로세서는 원즙기거나 착즙기이고, 물론, 푸드 프로세서는 원즙기와 착즙기 외의 기타 구조, 예컨대 주스기, 파벽기 등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기재에서, "연결", "장착", "고정" 등의 용어는 모두 넓은 범위로 이해되어야 하는 바, 예컨대, "연결"은 고정적인 연결일 수 있고, 탈착 가능한 연결일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적인 연결일 수도 있다; 직접적인 상호 연결일 수 있으며,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상호 연결일 수도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구체적인 경우에 따라 상기 용어의 본 발명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기재에서, “하나의 실시예”, “일부 실시예”, “구체적인 실시예” 등의 기재는 해당 실시예 또는 예시적으로 기재되는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용어에 대한 예시적 표현이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 또는 실예를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재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재료 또는 특점은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실시예 또는 예시에서 적합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분야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본 발명은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과 원칙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 모든 수정, 동등한 치환, 개선 등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1 : 홀더 모듈 12 : 구동장치
14 : 제어장치 16 : 하우징 모듈
18 : 홀더 2 : 푸드 프로세싱컵
22 : 컵 본체 220 : 제2 버클
222 : 제1 찌꺼기 배출구 224 : 출즙구
226 : 장착 컬럼 228 : 제3 버클
24 : 작동 스크루 242 : 제1 로케이션 돌기
244 : 제1 동력 전달 구조 246 : 제2 로케이션 돌기
26 : 출즙 덮개 27 : 지지구조
28 : 제1 밀폐부재 29 : 여과망
3 : 재료 진입 모듈 30 : 제3 밀폐부재
32 : 재료 진입통 320 : 제1 버클
322 : 장착 플레이트 3222 : 제1 장착홀
324 : 재료 진입구 326 : 중공 칼럼
328 : 로케이션 계단면 34 : 재료 진입 뚜껑
36 : 제1 재료 진입 보조 장치 362 : 제1 젓음 부재
3622 : 제1 관통홀 364 : 제1 동력 전달 축
3642 : 제1 로케이션 오목홈 3644 : 제1 구동 돌기
366 : 캡 37 : 제1 내마모 부재
38 : 제2 재료 진입 보조 장치 382 : 재료 저장 플랫폼
3822 : 재료 진입 통로 3824 : 제2 장착홀
3826 : 제1 장착홈 384 : 제2 젓음 부재
3842 : 제2 동력 전달 구조 39 :제3 재료 진입 보조 장치
392 : 재료 저장 홀더 3920 : 재료 진입 홀
3922 : 재료 저장 챔버 3924 : 장착 돌출턱
39242 : 제3 장착홀 3926 : 수용홈
3928 : 제4 버클 394 : 제3 젓음 부재
3942 : 고정홀더 3944 : 젓음 구조
396 : 제3 동력 전달 축 3962 : 제2 로케이션 오목홈
3964 : 제2 구동 돌기 398 : 제3 내마모 부재
4 : 찌꺼기 수집 장치 42 : 찌꺼기 수집컵
422 : 찌꺼기 입구 424 : 장착 슬리브
44 : 찌꺼기 수집 덮개 5 : 가스 펌핑 모듈
52 : 가스 펌프 54 : 가스 펌핑 통로
56 : 배기통로 58 : 노이즈 저감 장치
62 : 압력 릴리프 홀 64 : 압력 릴리프 플러그
72 : 커버 74 : 제4 밀폐부재
82 : 연결통로 822 : 제2 관통홀
824 : 제3 관통홀 826 : 제4 관통홀
84 : 제5 밀폐부 86 : 밸브 로드
88 : 복귀 스프링

Claims (39)

  1. 푸드 프로세서로서,
    홀더 모듈;
    상기 홀더 모듈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컵 본체와 회전 가능하게 상기 컵 본체 내에 장착되는 작동 스크루를 포함하고, 상기 컵 본체는 음식물 주스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컵 본체 상에 제1 찌꺼기 배출구가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컵 본체 내에 제2 찌꺼기 배출구가 설치되는 푸드 프로세싱컵;
    상기 컵 본체의 개방된 단부 상에 밀폐 장착되는 재료 진입 모듈;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에 밀폐 연결되어 음식물 찌꺼기를 수집하거나, 또는 상기 컵 본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찌꺼기 배출구와 연결되어, 음식물 찌꺼기를 수집하기 위한 찌꺼기 수집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컵 본체, 상기 재료 진입 모듈과 상기 찌꺼기 수집 장치 사이에 서로 연통되는 하나의 밀폐 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밀폐 챔버와 연통될 수 있으며, 상기 밀폐 챔버 내의 공기를 펌핑하여,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가스 펌핑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푸드 프로세서는 상기 가스 펌핑 모듈을 작동시켜 상기 컵 본체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형성하고, 상기 작동 스크루를 작동시켜 음식물을 처리하고,
    상기 컵 본체 상에 제1 찌꺼기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찌꺼기 수집 장치가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에 밀폐 연결될 경우, 상기 푸드 프로세서는,
    일단이 상기 컵 본체와 연통되고, 타단은 외계와 연통되는 제1 감압통로;
    일단이 상기 찌꺼기 수집 장치와 연통되고, 타단은 외계와 연통되는 제2 감압통로; 및
    상기 제1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 및 상기 제2 감압통로에서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 상에 장착되어, 상기 제1 감압통로와 상기 제2 감압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제5 밀폐부재; 를 더 포함하는, 푸드 프로세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본체 상에 제1 찌꺼기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찌꺼기 수집 장치가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에 밀폐 연결될 경우, 상기 찌꺼기 수집 장치는 찌꺼기 수집컵, 찌꺼기 수집 덮개 및 제2 밀폐부재를 포함하되,
    찌꺼기 수집컵은 탈착 가능하게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 위치에 밀폐 장착되고, 상기 찌꺼기 수집컵의 측벽 상에 찌꺼기 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찌꺼기 입구와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가 서로 연통되며;
    찌꺼기 수집 덮개는 찌꺼기 수집컵의 개방된 단부 상에 밀폐되게 씌워져 장착되고;
    제2 밀폐부재는 상기 찌꺼기 수집 덮개와 상기 찌꺼기 수집컵의 연결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찌꺼기 수집 덮개와 상기 찌꺼기 수집컵을 밀폐 연결시키며;
    상기 찌꺼기 수집컵과 상기 컵 본체 중 하나에 장착 컬럼이 설치되고, 상기 찌꺼기 수집컵과 상기 컵 본체 중 다른 하나에 장착 슬리브가 설치되어, 상기 찌꺼기 수집컵은 상기 장착 컬럼과 상기 장착 슬리브의 결합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 위치에 밀폐 장착되는, 푸드 프로세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 위치의 찌꺼기 배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찌꺼기 배출 압력 조절 모듈을 더 포함하는, 푸드 프로세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컵 본체는 분쇄컵과 압착컵을 포함하되, 상기 재료 진입 모듈은 밀폐되게 상기 분쇄컵의 개방된 단부 상에 덮여져 장착되고, 상기 분쇄컵의 타단 상에 연통구가 설치되어, 상기 압착컵과 상기 분쇄컵은 상기 연통구를 통해 연통되며;
    상기 작동 스크루는 상기 분쇄컵 내에 장착된 분쇄 스크루와 상기 압착컵 내에 장착된 압착 스크루를 포함하되;
    상기 컵 본체 상에 제1 찌꺼기 배출구가 설치되고, 상기 찌꺼기 수집 장치가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에 밀폐 연결될 경우,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가 상기 압착컵 상에 설치되고, 상기 찌꺼기 수집 장치와 상기 압착컵은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를 통해 연통되며;
    상기 홀더 모듈 상에 제1 구동축과 제2 구동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구동축은 상기 분쇄 스크루와 구동 연결되어, 상기 분쇄 스크루가 식재료를 분쇄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구동축은 상기 압착 스크루와 구동 연결되어, 상기 압착 스크루가 식재료를 압착하여 식재료 주스와 찌꺼기를 분리하도록 구동하기 위한, 푸드 프로세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압통로의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과 상기 제2 감압통로의 외계와 연통되는 일단이 동일한 통로로 병합되고;
    상기 컵 본체의 측벽 내에 하나의 연결통로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통로의 일단은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찌꺼기 배출구와 연통되고, 상기 연결통로의 내측벽 상에 상기 컵 본체와 연통되는 제2 관통홀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통로의 외측벽 상에 제3 관통홀이 설치되며, 상기 제5 밀폐부재는 개방 또는 밀폐 가능하게 상기 제3 관통홀 위치에 장착되는, 푸드 프로세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밀폐부재는 하나의 실링 플러그이고, 상기 푸드 프로세서는 밸브 로드 및 복귀 스프링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밸브 로드의 일단은 상기 제3 관통홀 내에 삽입되어 장착되고, 상기 제3 관통홀의 축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밸브 로드의 타단은 상기 컵 본체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실링 플러그는 상기 밸브 로드에서 상기 컵 본체의 외부에 배치되는 일단상에 끼워지며, 상기 밸브 로드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제3 관통홀 위치에 밀폐 장착되거나 상기 제3 관통홀을 개방할 수 있고;
    복귀 스프링은 상기 컵 본체 내부 또는 상기 연결통로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밸브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밸브 로드의 이동 후에 상기 밸브 로드를 복귀시키는, 푸드 프로세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로드에서 상기 제3 관통홀 내에 삽입된 일단은 상기 제2 관통홀로 삽입되고 상기 컵 본체 내에 진입되며, 상기 제2 관통홀의 내측벽 상에 암나사산이 마련되고, 상기 밸브 로드에서 상기 제2 관통홀과 결합되는 측벽 상에 수나사산이 마련되어, 상기 밸브 로드는 상기 수나사산과 상기 암나사산의 결합을 통해 상기 제2 관통홀 내에 장착되고; 및/또는,
    상기 밸브 로드에서 상기 제3 관통홀 내에 삽입된 일단은 상기 제2 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컵 본체 내에 수용되며, 상기 밸브 로드에서 상기 컵 본체 내에 수용된 일단의 단부 상에 제2 장착홈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통로의 내측벽 상에 제4 관통홀이 더 설치되며, 상기 복귀 스프링은 비틀림 스프링이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은 상기 밸브 로드에서 상기 컵 본체 내에 수용된 일단 상에 끼움 설치되되,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제1 비틀림 스프링 암은 상기 제2 장착홈 내에 장착되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제2 비틀림 스프링 암은 상기 제4 관통홀 내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제4 관통홀의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및/또는,
    상기 밸브 로드에서 상기 컵 본체 외부에 배치되는 일단 상에 가압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 플레이트는 상기 실링 플러그를 상기 제3 관통홀 위치에 가압 밀착할 수 있으며, 상기 가압 플레이트 상에 조작 핸들이 설치되는, 푸드 프로세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KR1020207022569A 2018-02-06 2018-08-24 푸드 프로세서 KR102433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20207013.XU CN208371479U (zh) 2018-02-06 2018-02-06 辅助进料装置、食物处理杯组件及食物处理机
CN201810119391.7 2018-02-06
CN201820207013.X 2018-02-06
CN201810119388.5 2018-02-06
CN201820207014.4U CN208582180U (zh) 2018-02-06 2018-02-06 食物处理杯及食物处理机
CN201820207651.1 2018-02-06
CN201810119391.7A CN110115478B (zh) 2018-02-06 2018-02-06 进料装置、食物处理杯及食物处理机
CN201810119389.XA CN110115477B (zh) 2018-02-06 2018-02-06 食物处理杯及食物处理机
CN201820207014.4 2018-02-06
CN201810119036.X 2018-02-06
CN201810119389.X 2018-02-06
CN201820207649.4 2018-02-06
CN201820207651.1U CN208551047U (zh) 2018-02-06 2018-02-06 进料***及食物处理机
CN201810119388.5A CN110115476B (zh) 2018-02-06 2018-02-06 食物处理机
CN201810118965.9 2018-02-06
CN201810119036.XA CN110115474B (zh) 2018-02-06 2018-02-06 食物处理机
CN201810119037.4A CN110115475A (zh) 2018-02-06 2018-02-06 辅助进料装置、食物处理杯组件及食物处理机
CN201820207650.7 2018-02-06
CN201810119037.4 2018-02-06
CN201820206536.2 2018-02-06
CN201820206536.2U CN208425880U (zh) 2018-02-06 2018-02-06 食物处理机
CN201810118965.9A CN110115531A (zh) 2018-02-06 2018-02-06 进料***及食物处理机
CN201820207650.7U CN208551046U (zh) 2018-02-06 2018-02-06 进料装置、食物处理杯及食物处理机
CN201820207649.4U CN208425996U (zh) 2018-02-06 2018-02-06 食物处理机
CN201810438278.5 2018-05-09
CN201810438278.5A CN110464190A (zh) 2018-05-09 2018-05-09 食物处理杯组件及食物处理机
CN201820685998.7U CN208905521U (zh) 2018-05-09 2018-05-09 食物处理机
CN201820685982.6 2018-05-09
CN201820686836.5U CN208692898U (zh) 2018-05-09 2018-05-09 杯体组件及食物处理机
CN201820685998.7 2018-05-09
CN201820685982.6U CN208709296U (zh) 2018-05-09 2018-05-09 食物处理杯组件及食物处理机
CN201810439192.4 2018-05-09
CN201810439192.4A CN110464191B (zh) 2018-05-09 2018-05-09 杯体组件及食物处理机
CN201810438371.6A CN110464224B (zh) 2018-05-09 2018-05-09 食物处理机
CN201820686836.5 2018-05-09
CN201810438371.6 2018-05-09
PCT/CN2018/102328 WO2019153713A1 (zh) 2018-02-06 2018-08-24 食物处理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103A KR20200103103A (ko) 2020-09-01
KR102433760B1 true KR102433760B1 (ko) 2022-08-18

Family

ID=6754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2569A KR102433760B1 (ko) 2018-02-06 2018-08-24 푸드 프로세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86065B2 (ko)
EP (1) EP3733025B1 (ko)
JP (1) JP7018515B2 (ko)
KR (1) KR102433760B1 (ko)
WO (1) WO20191537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89316A1 (en) * 2019-10-22 2023-12-13 Hurom Co., Ltd. Juicer
CN113040629B (zh) * 2019-12-26 2022-05-03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机
CN113040630B (zh) * 2019-12-26 2022-06-1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食品加工机
CN113876175A (zh) * 2020-07-01 2022-01-04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随行原汁机
USD957207S1 (en) * 2020-07-13 2022-07-12 Midea Group Co., Ltd. Electric fruit juice extractor
USD958611S1 (en) * 2020-07-13 2022-07-26 Midea Group Co., Ltd. Electric fruit juice extractor
CN113729460B (zh) * 2021-09-06 2022-10-14 张家港江苏科技大学产业技术研究院 一种具有加热功能的破碎助食装置
CN114311802B (zh) * 2021-11-15 2023-11-21 青岛市市立医院 一种医用药液过滤设备
CN114797205B (zh) * 2022-04-20 2023-07-07 烟台东洁环保机械工程有限公司 一种可预除渣的污水处理设备及使用方法
CN114734218B (zh) * 2022-04-25 2023-01-17 安徽汇蔚新型环保包装材料有限公司 一种分子筛装配装置的量杯装置
KR20230002201U (ko) * 2022-05-11 2023-11-20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WO2023219333A1 (ko) * 2022-05-12 2023-11-16 주식회사 휴롬 착즙기
CN115057212B (zh) * 2022-06-30 2023-12-08 成都市科农动物无害化处置有限公司 一种病死及病害动物无害化输送设备
CN115213402B (zh) * 2022-07-18 2023-08-11 北京赛亿科技有限公司 一种硬质合金粉末供料接口组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4387A (ja) * 2014-06-18 2017-08-31 シーティーエムシ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Ctmc Co., Ltd. 真空ミキサーおよびその作動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75330D1 (en) 1981-05-07 1986-10-23 Arthur J Hunt Screw press with continuous slope feed screw
JPH0425054Y2 (ko) * 1985-04-26 1992-06-15
DE4428014C2 (de) * 1994-08-06 1996-11-07 Braun Ag Saftzentrifuge
US5613430A (en) 1995-01-09 1997-03-25 Lee; Mun-Hyon Grinder-type juicer
KR100307281B1 (ko) * 1999-04-17 2001-09-24 김종부 살균 전기 녹즙기
CN2868100Y (zh) 2005-12-20 2007-02-14 劳计元 果汁机
CN2904869Y (zh) 2006-03-14 2007-05-30 罗顺恒 一种榨汁机渣桶结构
CN201230809Y (zh) 2008-05-15 2009-05-06 谢宗钦 双轴式果菜机
CN201260596Y (zh) 2008-09-11 2009-06-24 林冠志 果汁机切刀结构
WO2010115306A1 (zh) 2009-04-09 2010-10-14 Peng Weijie 榨汁机
CN201530138U (zh) 2009-09-17 2010-07-21 九阳股份有限公司 榨汁机用粉碎装置及其榨汁机
US9066618B2 (en) 2011-03-07 2015-06-30 Tongyang Magic Inc.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N202312788U (zh) 2011-11-22 2012-07-11 江苏顺发电器有限公司 一种低噪音的榨汁机
CN103202654B (zh) * 2012-01-17 2015-07-15 唐锋机电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榨汁机
CN202653867U (zh) 2012-02-22 2013-01-09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榨汁机
CN102631153B (zh) 2012-03-28 2015-04-08 王晓东 带电动抽气泵的食品处理机及抽真空制取食料液的方法
KR101336733B1 (ko) 2012-04-19 2013-12-04 (주)모닉스동양 탈수겸용 믹서기
CN102613873B (zh) 2012-04-25 2014-10-01 王晓东 带抽气功能的榨汁机
CN202537099U (zh) 2012-04-25 2012-11-21 王晓东 带抽气功能的榨汁机
CN202760966U (zh) 2012-08-22 2013-03-06 江门市贝尔斯顿电器有限公司 一种改进型榨汁机
KR20170016021A (ko) 2012-10-05 2017-02-10 데스고무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조리기
CN103767046B (zh) 2012-10-19 2016-08-10 浙江养生堂实业发展有限公司 用于加工高花青素含量的果蔬的装置和方法
CN103110333B (zh) * 2012-12-06 2015-02-25 孙立峰 真空榨汁机
CN203074248U (zh) 2013-01-30 2013-07-24 宁波霈宸电器有限公司 挤压式慢速榨汁机
CN103976632A (zh) 2013-02-08 2014-08-13 郑文达 减缓果汁氧化的方法及其果汁机的抽气结构
CN103976630B (zh) 2013-02-08 2016-11-02 陈建荣 渣汁分离装置
KR101373608B1 (ko) * 2013-05-27 2014-03-12 김재원 찌꺼기 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CN104274057A (zh) 2013-07-09 2015-01-14 亚弘电科技股份有限公司 负压果菜汁机
CN103393339B (zh) 2013-08-17 2015-07-22 张若玮 旋转式榨汁机
CN203676816U (zh) * 2013-12-12 2014-07-02 中山市安品电器有限公司 一种原汁机
CN203693241U (zh) 2013-12-17 2014-07-09 亚弘电科技股份有限公司 食物调理器压力调节结构
CN204015918U (zh) 2014-06-06 2014-12-1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螺杆挤压式榨汁机
CN204683294U (zh) 2014-06-16 2015-10-07 深圳市联创三金电器有限公司 定量投料的慢速榨汁***
WO2016017949A1 (ko) 2014-07-30 2016-02-04 코웨이 주식회사 펄프배출 조절장치를 구비한 드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JP6383259B2 (ja) 2014-11-07 2018-08-29 株式会社テスコム 電動調理器
CN204260499U (zh) 2014-12-03 2015-04-15 宁波凯迪利电器有限公司 一种挤压式榨汁机
CN204274098U (zh) 2014-12-03 2015-04-22 胡秋雷 立式榨汁机
CN104367169A (zh) 2014-12-12 2015-02-25 徐丽君 一种挤压切割式大口径榨汁机
CN204336595U (zh) 2014-12-17 2015-05-20 陶志江 一种原汁机
CN204635938U (zh) 2015-03-18 2015-09-16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立式螺杆挤压榨汁机
CN104825045B (zh) 2015-05-20 2017-03-29 北京市农林科学院 果蔬榨汁机
CN204839065U (zh) 2015-06-09 2015-12-09 艾美特电器(深圳)有限公司 一种真空果汁机
CN204698307U (zh) 2015-06-19 2015-10-14 浙江爱仕达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大口径原汁机的进料结构
CN205162705U (zh) 2015-10-13 2016-04-20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榨汁机
CN105902131B (zh) 2015-11-02 2018-07-27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的大口径螺杆挤压榨汁机
CN205162707U (zh) 2015-11-02 2016-04-20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储料功能的螺杆挤压榨汁机
CN205306700U (zh) 2015-12-04 2016-06-15 莱克电气绿能科技(苏州)有限公司 无刷电机驱动的慢速榨汁机
CN205234236U (zh) * 2015-12-07 2016-05-18 刘捷 榨汁机
CN205338553U (zh) 2015-12-16 2016-06-2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的大口径螺杆挤压榨汁机
EP3395209A4 (en) * 2015-12-22 2019-07-17 Young Ki Kim JUICE PRESS
CN206371817U (zh) 2016-01-04 2017-08-04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安全的螺杆挤压榨汁机
CN106955009A (zh) 2016-01-12 2017-07-18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机
CN205457985U (zh) 2016-01-29 2016-08-17 李骏 手摇式果蔬榨汁机
CN107115002A (zh) 2016-02-24 2017-09-01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料理机
CN205903152U (zh) 2016-03-31 2017-01-25 广东艾诗凯奇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原汁机
CN205866572U (zh) 2016-05-06 2017-01-1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螺杆式预切结构及具有其的适于压榨甘蔗的慢榨机
CN205866577U (zh) 2016-05-13 2017-01-11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榨汁螺杆组件和榨汁机
CN205923686U (zh) 2016-06-08 2017-02-08 宁波霈宸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研磨和分离残渣功能的榨汁机
EP3459401B1 (en) 2016-07-06 2021-01-27 Guangdong Midea Consumer Electrics Manufacturing Co. Ltd. Drive component and food processor
CN206102351U (zh) 2016-07-19 2017-04-19 宁波泰尔斯电子实业有限公司 高速食物料理机及其真空搅拌杯
CN105962750A (zh) 2016-07-21 2016-09-28 江门市恒通高科有限公司 一种抽真空随行料理机
CN206565833U (zh) 2016-09-05 2017-10-2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隔音罩及食物料理机
CN106377181A (zh) 2016-10-30 2017-02-08 佛山市顺德区好生活电子科技有限公司 搅拌机
CN206491640U (zh) 2016-11-01 2017-09-15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挤压组件、杯体组件和食物料理机
CN206354851U (zh) 2016-11-02 2017-07-2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螺杆及食物处理机
CN206354850U (zh) 2016-11-02 2017-07-2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组合推料棒及食物处理机
CN206612693U (zh) 2016-11-02 2017-11-07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螺杆及食物料理机
CN206423953U (zh) 2016-11-21 2017-08-22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原汁机
CN206423954U (zh) * 2016-11-22 2017-08-22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榨汁杯组件和原汁机
CN107296474A (zh) 2016-11-30 2017-10-27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处理机
CN206761314U (zh) 2016-11-30 2017-12-19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螺旋头、粉碎桶及食物处理机
CN107569081B (zh) 2016-12-20 2020-11-24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排渣可调的榨汁机
CN106667227B (zh) 2016-12-28 2019-08-13 圆融健康科技(深圳)有限公司 榨汁机及其榨汁方法
CN107212771A (zh) 2017-06-27 2017-09-29 佛山市云米电器科技有限公司 静音型食物处理机
CN107213962A (zh) 2017-07-18 2017-09-29 成都言行果科技有限公司 一种果汁榨取装置
CN107374302A (zh) 2017-07-19 2017-11-2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原汁机
CN107440465B (zh) 2017-07-31 2020-06-02 九江华辰食品有限公司 一种安全卫生的液体食品加工装置
CN107319904B (zh) 2017-09-05 2019-10-11 重庆文理学院 一种猕猴桃压榨榨汁装置
CN208905521U (zh) 2018-05-09 2019-05-28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处理机
CN208371479U (zh) 2018-02-06 2019-01-15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辅助进料装置、食物处理杯组件及食物处理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524387A (ja) * 2014-06-18 2017-08-31 シーティーエムシ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Ctmc Co., Ltd. 真空ミキサーおよびその作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103A (ko) 2020-09-01
JP2021511912A (ja) 2021-05-13
JP7018515B2 (ja) 2022-02-10
US20210212498A1 (en) 2021-07-15
EP3733025A4 (en) 2020-12-23
EP3733025B1 (en) 2024-05-22
EP3733025A1 (en) 2020-11-04
WO2019153713A1 (zh) 2019-08-15
US11786065B2 (en) 202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760B1 (ko) 푸드 프로세서
TWI542308B (zh) 包含渣滓控制單元的榨汁機
CN101947071B (zh) 厨房器具
CN102595981A (zh) 具有稠状果汁制造功能的果汁机
KR20120050949A (ko) 세척장치가 구비되는 착즙기
WO2010063956A1 (fr)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de jus a rendement de pressage ameliore
KR20140002659U (ko) 압착 잔류물의 제어 배출 수단이 장착된 주스 제조용 가전 기구
KR101916747B1 (ko) 착즙기
WO2018006609A1 (zh) 挤压螺杆、挤压组件及食物料理机
KR20140001804A (ko) 찌꺼기개폐기구가 구비된 주스기
CN210340511U (zh) 一种餐厨垃圾用过滤、研磨、油脂提取一体机
KR102489976B1 (ko) 진공블렌더
CN208425996U (zh) 食物处理机
KR20190002097U (ko) 착즙기
KR102125788B1 (ko) 스파이럴 헤드, 분쇄모듈 및 푸드프로세서
CN110115477B (zh) 食物处理杯及食物处理机
CN110115483B (zh) 食物料理机
KR20200065330A (ko) 착즙기
CN110115474B (zh) 食物处理机
CN110115531A (zh) 进料***及食物处理机
CN208425881U (zh) 食物处理机
CN110115478B (zh) 进料装置、食物处理杯及食物处理机
CN110115479B (zh) 泄压组件及食物处理机
CN208551047U (zh) 进料***及食物处理机
KR200495526Y1 (ko) 즙 배출 캡, 즙 배출 어셈블리 및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