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062A -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 - Google Patents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062A
KR20090050062A KR1020097004081A KR20097004081A KR20090050062A KR 20090050062 A KR20090050062 A KR 20090050062A KR 1020097004081 A KR1020097004081 A KR 1020097004081A KR 20097004081 A KR20097004081 A KR 20097004081A KR 20090050062 A KR20090050062 A KR 20090050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lm
polypropylene
biaxially oriented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틀레프 부쉐
틸로 모르
요아킴 피비그
프랑크 야콥스
이보 다니엘스
Original Assignee
트레오판 저머니 게엠베하 앤 코. 카게
보레알리스 테크놀로지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734844&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90050062(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트레오판 저머니 게엠베하 앤 코. 카게, 보레알리스 테크놀로지 오와이. filed Critical 트레오판 저머니 게엠베하 앤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050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06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14Organic dielectrics
    • H01G4/18Organic dielectrics of synthetic material, e.g. derivatives of cellulo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678Of metal
    • Y10T428/31692Next to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Insulating Bodi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 P1과, P1과 다른 폴리프로필렌 P2의 혼합을 포함하는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P1은 선형의 폴리프로필렌이며, 5를 초과하는 Mw/Mn과 적어도 95%의 메소펜타덴 이소택시를 갖으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P2는 긴사슬형 측쇄를 갖는다.

Description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BIAXIALLY ORIENTED ELECTRICAL INSULATING FILM}
본 발명은, 콘덴서 내에서 전기 절연 필름으로서의 사용을 위하여 개선된 특성을 구비한,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관한 것이다.
유럽 특허 EP-A-0 776 926은 콘덴서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축 배향 필름(biaxially-oriented film)을 기술하고 있으며, 이 이축 배향 필름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120℃에서 1~4%의 총 수축량을 갖는다. 상기 필름은 높은 아이소택틱성(highly isotactic)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98~99.5%의 아이소택틱성 및 99% 보다 큰 아이소택틱 펜타드 분율(isotactic pentad fraction)을 갖는다.
국제 공보 WO97/05634에서, 1500 MPa 보다 큰 탄성 모듈러스, 110℃ 보다 높은 유동 온도, 및 150℃보다 큰 비캣(vicat) 연화점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구성된 절연체를 구비한, 콘덴서가 기술되었다. 다른 것들 중에서, 상기 필름은 100℃ 내지 150℃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개선된 수축 특성을 갖는다. 횡방향에서의 상기 수축 특성은 기술되지 않는다.
유럽 특허 EP 1 398 344 A1은, 이축 배향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제작하는 방법을 기술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선택된 MFI와 결합하여, 특별한 용융강도(melt strenth)를 갖는다. 패키징(packaging) 영역에 상기 필름을 삽입하는 것이 기술된다. 다른 용도는 언급되지 않는다.
일본 특허 JP 2006-63186은, 좁은 분자량 분포 및 높은 아이소택틱성을 구비한,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필름을 기술한다. 이러한 가르침에 따라, Mw/Mn이 5 미만인 높은 아이소택틱성 폴리프로필렌은, 이로부터 제작된 필름의 온도 안정성에 대해서는 유리하지만, 증가된 결정성으로 인해 연신이 어려워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높은 아이소택틱성 폴리프로필렌 원료를 HMS 폴리프로필렌과 혼합한다. 매우 아이소택틱화 되며, 좁게-분포된 원료의 이점은 유지되고, 혼합물의 연신성은 실질적으로 더욱 나아지며, 필름은 더 양호한 두께 일관성을 갖는다. 게다가 이 혼합물로 만들어진 필름은, 더 양호한 브레이크다운 전압(breakdown voltage)을 갖는다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전기 브레이크다운 전압은, 전기 절연 필름의 중요한 품질 기준이다. 상기 브레이크다운 전압은 콘덴서가 부하될 수 있는, 최대의 전압이다. 브레이크다운 전압에 도달하면, 브레이크다운이 필름 내에서 발생하는데, 브레이크다운은 정전용량에 악영향을 주어, 콘덴서의 완전한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소정의 온도에서 최대의 전기 브레이크다운 전압은, 필름 두께와 온도 안정성 모두에 의존한다. 온도가 높아지면, 성취 가능한 브레이크다운 전압은 낮아진다. 이러한 이유로, 콘덴서는 특정한 최대 취급 온도로 구성되며, 이 온도는 초과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취급 온도가 초과되면, 브레이크다운 전압으로 인하여, 콘덴서 내의 브레이크 다운이 발생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라, 이러한 결함은 필름 두께의 증가에 의하여 보상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필름 증가에 수반하여, 소자 크기의 감소를 위한 경계면 이 설정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그로부터 만들어진 콘덴서의 개선된 취급 특성에 기여하는, 이축 배향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작으로 구성된다. 특히, 콘덴서의 더욱 양호한 안정성을 수반하는, 전기 브레이크다운 전압의 개선(증가)은 전문 영역에서는 불변의 요건이다.
필름 콘덴서를 제작하기 위해서, 필름은 일반적으로 처음에 금속화되고, 계속해서 와인딩(winding)된다. 필름 자체의 금속화는 이미, 필름이 반드시 견뎌야 하는 온도 부하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즉, 필름의 치수의 변화가 금속화동안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고전압용의 소위 고성능(performance) 콘덴서에서, 매우 높은 온도, 소위 핫-스팟(hot-spot) 온도는, 흐르는 전류 또는 방전 프로세스를 통해 콘덴서의 내부에 국부적으로, 국부적인 영역에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다. 여기에서, 유효한 연구에 따라, 정확하게 120℃보다 크며, 최대 140℃의 온도가 적소에 도달한다. 이것에 의하여, 필름은 금속화된 릴(reel)을 취급하는 동안 및 콘덴서의 취급 동안, 증가된 온도에 종종 종속된다.
이 상기 정의된 목적은, 하나의 폴리프로필렌 P1과, 다른 폴리프로필렌P2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이축 배향된 전기절연 필름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성취되며, 여기에서 폴리프로필렌 P1은 5 보다 큰 Mw/Mn과, 적어도 95%의 메소펜타덴(mesopentadene) 분율을 갖는 선형의 폴리프로필렌이며, 폴리프로필렌 P2는 긴-사슬형 측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필름은 적어도 두개의 다른 폴리머 P1과 P2, 그리고 필요시, 예를 들면, 안정화제 및 중화제와 같은 소량의 통상적인 첨가제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첫 번째 구성요소인 P1은 폴리프로필렌으로, 특유의 순도(낮은 재 및 염소 함유량)로 인해, 전기 절연 필름을 제작하는데 적합하다. 이 폴리프로필렌은 높은 아이소택틱성과 결합하여 넓은 분자량 분포로 구분된다. 구조적으로, 이 물질은, 폴리프로필렌에서 주로 통상적인 선형의 사슬 구조를 갖는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프로필렌 폴리머 P2는, 구조적으로 P1과 다르며, 긴-사슬형 측쇄를 갖는다.
상기 필름은 일반적으로, 각 경우에, 필름에 대하여 또는 더 정확히는 층에 대하여, 적어도 95~100중량%,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0중량% 미만의 폴리머 혼합물을 포함한다. 혼합물의 조성은 광범위 내에서 기본적으로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폴리머 P1을 혼합물의 주 구성요소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경우에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P1의 비율은 50 보다 크고 100중량% 미만이며, P2는 이에 상응하여 0 보다 크고 50중량% 미만이다. 70~99중량%의 P1과 1~30중량%의 P2, 바람직하게는 80~98중량%의 P1과 2~20중량%의 P2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90~97중량%의 P1과 3~10중량%의 P2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전기절연 필름의 제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통상적인 폴리프로필렌 원료는, 5 보다 큰 Mw/Mn의 분자량 분포와 적어도 95%의 메소펜타덴 이소택시(isotaxy)를 충족시킨다면, 상기 혼합물의 프로필렌 폴리머 원료 P1으로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프로필렌 폴리머 P1은 적어도 98~100중량%, 특히 99~100중량%의 프로필렌을 포함한다. 적어도 2중량%, 또는 더 정확히는 특히 0~1중량% 함유량의 대응 코모노머(comonomer)는, 필요시, 일반적으로 에틸렌으로 구성된다. 각 중량% 내의 수치는 프로필렌 폴리머를 나타내며, 프로필렌 호모폴리머(homopolymer)가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P1은, 본 발명에 따라, 5 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5 보다 크고 12이하의, 특히 5.5~10의 Mw/Mn을 갖는다. Mw/Mn은, 수 평균 Mn에 대한 중량 평균 Mw의 비율로서 표현되는, 프로필렌 폴리머의 분자량 분포(GPC에 의하여 결정)에 대한 값이다. 메소펜타덴 이소택시는 바람직하게 95~99.8%이며, 특히 96.5~99.5%이다. 놀랍게도, 만일 넓게 분포된 폴리머 P1의 메소펜타덴 이소택시가 적어도 95%의 최소값을 갖는다면, 넓게 분포된 폴리머에 긴-사슬형 측쇄인 P2를 혼합하는 것을 통하여, 필름의 브레이크다운 전압의 온도 안정성이 향상된다. 중합체 P1의 넓은 분포는, 긴-사슬형 측쇄를 갖는 중합체 P2의 첨가가 악영향(adverse effect)을 더 이상 보상할 수 없을 정도로, 이 온도 안정성에 악영향을 준다는 것이 근본적으로 기대되었다. 놀랍게도, 만일 동시에 높은 이소택시가 주어진다면, 상기 첨가는, 넓게 분포된 폴리프로필렌과의 혼합에 요구된 향상을 여전히 초래한다. 만일 넓게 분포된 폴리머의 메소펜타덴 이소택시가 95% 미만에 있다면, 긴-사슬형 측쇄 폴리머 P2의 첨가로 인해 브레이크다운 전압의 향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폴리프로필렌 P1은 일반적으로 155~170℃, 바람직하게는 160~167℃의 융점과, 0.7~15g/10min, 바람직하게는 1.0~8.0g/10min의 용융 유동 지수(melt flow index)(2.16Kg 하중과 230℃에서 ISO 1133에 따라 측정)를 갖는다. 폴리머 P1의 n-헵탄-용해 부분은, 생성(output) 폴리머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0.2~4중량%, 바람직하게는 1~2중량%이며, 이 생성 폴리머는 96~99.8%, 바람직하게는 98~99%의 아이소택틱 부분(여기에서 이로 인해 n-헵탄 불용해 부분이 아이소택틱 부분으로서 채택)에 상응한다. GPC를 통해 결정된, 폴리머 P1의 평균 분자량 Mw(중량 평균)은 200,000~800,000, 바람직하게는 400,000~650,000의 범위 내이다.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P1의 13C-NMR-분광계{삼중합체 방법(triad method), 이제부터 "삼중합체 값"이라 불림}를 통해 결정된 사슬 이소택시 지수는, 95%보다 크며, 바람직하게는 95 보다 크고 99.9%이하, 바람직하게는 97 보다 크고 99.5%이하이다.
폴리머 P1은 구조적으로 폴리머 P2와 다르다. 폴리머 P2의 사슬형 측쇄를 갖는 구조와 달리, 폴리머 P1은 선형 구조이다. 따라서 P1의 측쇄 지수 g'=1이다.
콘덴서 필름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름의 의도된 취급 목적에 관하여, 프로필렌 호모폴리머 P1은 50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40ppm의 재(ash) 함유량과, 최대 10ppm, 바람직하게는 0 보다 크고 5ppm 이하의 염소 함유량을 가져야만 한다.
상기 혼합물의 프로필렌 폴리머 P2는 특유의 긴-사슬형 측쇄 구조로 구별된다. 프로필렌 폴리머 P2는, 적어도 98~100중량%, 특히 99~100중량%의 프로필렌 단위체를 포함한다. 최대 2중량%, 또는 더욱 정확히, 특히 0~1중량%의 대응 모노머는, 가능하면, 일반적으로 에틸렌 단위체로 구성된다. 각 중량% 내의 수치는 프로필렌 폴리머를 나타내며, 프로필렌 호모폴리머가 바람직하다.
프로필렌 폴리머 P2는 일반적으로 155~170℃, 바람직하게는 160~167℃의 융점과, 0.7~20g/10min, 바람직하게는 1.5~15g/10min의 용융 유동 지수(2.16Kg 하중과 230℃에서 ISO 1133에 따라 측정)를 갖는다. n-헵탄-용해 부분은, 생성 폴리머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1~3중량%, 바람직하게는 1~2중량%인데, 이 생성 폴리머는 97~99중량%, 바람직하게는 98~99중량%의 아이소택틱 부분에 상응한다. GPC에 의해 결정된, P2의 평균 분자량 Mw(중량 평균)은 200,000~800,000, 바람직하게는 400,000~650,000이다. 수 평균 Mn에 대한 중량 평균 Mw의 비율로서 표현된, 프로필렌 폴리머 P2의 분자량 분포(GPC에 의해 결정)는 일반적으로 2~11, 바람직하게는 5~10이다.
프로필렌 폴리머 P2의 13C-NMR-분광계(삼중합체 방법, 이후 "삼중합체 값"이라 불림)에 의해 결정된 사슬 이소택시 지수는 적어도 92~99%, 바람직하게는 93~98%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하여, 삼중합체 값 95~99%를 갖는 높은 아이소택틱성 프로필렌 폴리머 P2와, 삼중합체 값이 92 이상 95% 미만의 범위내에 있는 낮은 이소택시 값을 갖는 프로필렌 폴리머가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름의 의도된 취급 목적에 관하여, 콘덴서로서, 프로필렌 P2는 50ppm 미만, 바람직하게는 10~40ppm의 재 함유량과, 최대 10ppm, 바람직하게 0 보다 크고 5ppm 이하의 염소 함유량을 갖아야만 하고, 여기에서 만일 P2가 비교적 소량으로 첨가된다면, 필요시, 더 높은 불순도가 허용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개별 구성요소의 불순도는, P1과 P2의 혼합물이 지정된 상한인, 50ppm 미만의 재 함유량 및 최대 10ppm의 염소 함유량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긴-사슬형 P2는 특유의 구조, 즉 긴-사슬형 측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측쇄의 정도는 측쇄형 폴리머의 중량-평균 측쇄 지수 g'를 사용함으로써 결정된다. 상기 중량-평균 측쇄 지수 g'는 g'= [IV]br/[IV}lin│Mw로 정의되며, 식 중에서 g'는 중량-평균 측쇄 지수를 나타내며, [IV]br은 측쇄형 폴리프로필렌의 경계점도(border viscosity)이고, [IV]lin은 측쇄형 폴리프로필렌과 동일한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선형의 폴리프로필렌의 경계점도를 나타낸다. 종래 기술에서, g'값이 감소하면, 측쇄가 증가한다는 것이 잘 알려져있다. B.H. Zimma 및 W.H. Stockmayer의 "J.Chem.Phys." {17,1301(1949)}를 참조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을 위해 사용된 프로필렌 폴리머 P2의 측쇄 지수 g'는 0.6~0.9의 범위 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을 위해 사용된 프로필렌 폴리머 P2의 측쇄 지수 g'는 바람직하게 0.88미만, 더욱 바람직하게 0.85미만, 특히 바람직하게 0.80미만이다.
0.90이하의 g'를 갖는 프로필렌 폴리머 P2의 제작.
상기 프로필렌 폴리머 P2는, 예를 들면, 열적으로 분해된 래디컬(radical) 형성자를 구비한 선형의 프로필렌 폴리머의 처리 및/또는 이온화된 방사선을 이용한 처리에 의한 일련의 방법에 따라 얻어질 수 있으며, 여기에서 두 가지 방법 모두, 예를 들면 부타디엔, 이소프렌, 디메틸부타디엔, 디비닐벤젠 또는 트리비닐벤젠의 이원(bi-) 또는 다중 기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모노머에 의한 처리가 수반되거나 또는 뒤를 이어 계속될 수 있다. 다른 방법은, 프로필렌 폴리머 P2가 g'에 관하여 요구된 특성을 구비할 경우에만, 프로필렌 폴리머 P2의 제작에 적합할 수 있다. 긴-사슬 측쇄형 폴리프로필렌은, 메탈로센(metallocene) 촉매의 사용에 의한 중합반응을 통하여 또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견지 내에서, "이원 기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또는 "이원 기능성"은 예를 들면, 디비닐벤젠 또는 시클로펜타디엔 내에서와 같은 두개의 비-방향족 이중 결합의 존재로서 이해된다. 자유 래디컬의 도움으로 폴리머화될 수 있기 때문에, 오직 상술된 이원 기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화합물이 사용된다. 이원 기능성, 불포화 모노머의 두 이중결합이, 선형의 폴리프로필렌의 폴리머 사슬에 공유결합을 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이원 기능성, 불포화 모노머는 그 화학적 결합 조건에서, 실제로 "불포화"인 것은 아니다.
g'가 0.90이하인, 프로필렌 폴리머가 얻어질 수 있는 방법의 특정한 예는:
융해된 비스말레익 이니미도 화합물에 의해 변형된 폴리프로필렌을 통한 변환(유럽특허 EP 0 574 801 및 EP 0 574 804)에 의하여,
이온화된 방사선에 의해 변형된, 폴리프로필렌을 통한 변환(유럽 특허 EP 0 190 889 A2)에 의하여,
고체상 내에서의 과산화물(유럽 특허 EP 0 384 431 A2), 더욱 정확히는 융해된 중의 변형된 폴리프로필렌(유럽 특허 EP 0 142 724 A2)을 이용한 처리에 의하여,
이온화된 방사선에 의해 변형된 폴리프로필렌의 효과 하에서, 이원 기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모노머를 이용한 처리(유럽 특허 EP 0 678 527)에 의하여,
융해 중에 변형된 폴리프로필렌 과산화물의 존재 중에, 이원 기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모노머를 이용한 처리(유럽 특허 EP 0 688 817 및 EP 0 450 342)에 의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긴-사슬형 측쇄를 갖는 프로필렌 폴리머 P2는, 선형의 프로필렌 폴리머를 주원료로 하여 제작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30~100℃의 온도에서 효과적인 용량의 유기 과산화물을 입자(particle) 형태의 선형의 프로필렌 폴리머와 혼합하는 것에 의해, 긴-사슬형 측쇄를 갖는 프로필렌 폴리머의 제작이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과산화물은 고온에서 반드시 분해 가능해야 하며, 래디컬 형성자로서 작용해야한다. 바람직한 과산화물은, 아크릴 퍼옥사이드, 알킬 퍼옥사이드,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퍼에스테르 및/또는 퍼옥시카보네이트이다. 상기 과산화물은 유기 용제 내에 용매 내, 원형(pure form)으로 첨가될 수 있거나, 마스터 배치(master batch)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폴리머의 중량에 대한 과산화물의 양은, 바람직하게 0.05~3중량%이다.
휘발성, 이원 기능성, 에틸렌계 불포화 모노머는, 20~120℃ 및 바람직하게는 70~90℃의 온도에서 기체상으로부터 입자 형태의 폴리머에 의하여 흡착된다. 폴리머의 중량에 대한 이원 기능성, 불포화 모노머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01~10 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2 중량%이다.
과산화물과 이원 기능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혼합물은 210℃의 온도까지 가열되며, 바람직하게는 불활성 기체 및/또는 휘발성, 이원 기능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대기에서 융해된다. 상기 과산화물은 분해하고, 발생하는 래디컬, 폴리머 사슬 및 이원 기능성 모노머 사이에서 반응이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변환되지 않은 모노머 및 분해 생성물의 제거를 위하여, 융해물을 220~250℃로 가열한다. 가열 및 융해 단계는, 연속-작동하는 반죽기(kneader) 또는 압출기(extruder), 바람직하게는 이축 스크류 압출기(twin-screw extruder)에서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그런 후에, 융해된 긴-사슬형 측쇄를 갖는 프로필렌 폴리머는 냉각되며, 결정화된다.
입자 형태의 폴리머에, 휘발성 이원 기능성 모노머의 평균 수착 시간은, 유리하게 10~1000s, 바람직하게 20~800s 및 특히 바람직하게 60~600s이다.
적합한 유기 과산화물의 예는:
벤젠 퍼옥사이드, 4-클로로벤젠 퍼옥사이드, 3-메톡시벤조일 퍼옥사이드 및/또는 메틸벤조일 퍼옥사이드와 같은 아크릴 퍼옥사이드;
알릴-테르트-부틸 퍼옥사이드, 2,2-비스(테르트-부틸퍼옥시부탄), 1,1-비스(테르트-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n-부티-4,4-비스(테르트-부틸퍼옥시)발레레이트, 디이소프로필아미노메틸-테르트-아밀퍼옥사이드, 디메틸아미노메틸-테르트아밀퍼옥사이드, 디에틸아미노메틸-테르트-부틸퍼옥사이드, 디메틸아미노메틸-테르트-부틸퍼옥사이드, 1,1-디(테르트-아밀퍼옥시)시클로헥산, 테르트-아밀퍼옥시, 테르트-부틸큐밀퍼옥사이트, 테르트-부틸퍼옥사이드, 및/또는 1-하이드록시부틸-n-부틸퍼옥사이드와 같은, 알킬 퍼옥사이드;
부틸퍼아세테이트, 큐밀퍼아세테이트, 큐밀퍼프로피오네이트, 시클로헥실퍼아세테이트, 디-테르트-부틸퍼아디페이트, 디-테르트-부틸세바제이트, 4-나이트로큐밀퍼프로피오네이트, 1-페닐에틸퍼벤조에이트, 페닐에틸나이트로퍼벤조에이트, 테르트-부틸바이시클로-(2,2,1)헵탄퍼카르복실레이트, 테르트-부틸-4-카르보메톡시퍼부틸레이트, 테르트-부틸시클로부탄퍼카르복실레이트, 테르트-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카르복실레이트, 테르트-부틸시클로펜틸퍼카르복실레이트, 테르트-부틸시클로프로판퍼카르복실레이트, 테르트-부틸디메틸퍼시나메이트, 테르트-부틸-2-(2,2-디페닐비닐)퍼벤조에이트, 테르트-부틸-4-메톡시퍼벤조에이트, 테르트-부틸퍼벤조에이트, 테르트-부틸카르복시시클로헥산, 테르트-부틸퍼나프토에이트, 테르트-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테르트-부틸퍼톨루에이트, 테르트-부틸-1-페닐시클로프로필퍼카르복실레이트, 테르트-부틸-2-프로필퍼펜텐-2-오에이트, 테르트-부틸-1-메틸시클로프로필퍼카르복실레이트, 테르트-부틸-4-나이트로페닐퍼아세테이트, 테르트-부틸나이트로페닐퍼옥시카르바메이트, 테르트-부틸-N-숙신이미도퍼카르복실레이트, 테르트-부틸퍼옥토에이트, 테르트-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테르트 부틸퍼이소부티레이트, 테르트-부틸퍼아크릴레이트 및/또는 테르트-부틸퍼프로피오네이트와 같은 퍼에스테르 및 퍼옥시카보네이트;
및 이러한 퍼옥사이드의 혼합물이다.
긴-사슬형 측쇄를 갖는 프로필렌 폴리머의 제작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휘발성, 이원 기능성 모노머는, 그 중에 특히:
디비닐아닐린, m-디비닐벤젠, p-디비닐벤젠, 디비닐펜탄 및/또는 디비닐프로판과 같은 디비닐 화합물;
알릴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알릴메틸말레에이트 및/또는 알릴비닐에테르와 같은 알릴 화합물;
부탄디엔, 클로로프렌, 시클로헥사디엔, 시클로펜타디엔, 2,3-디메틸부타디엔, 헵타디엔, 헥사디엔, 이소프렌 및/또는 1,4-펜타디엔과 같은 디엔;
및 이들 모노머의 혼합물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부타디엔, 이소프렌, 디메틸부타디엔 및 디비닐벤젠이다.
본 발명의 견지 내에서, 폴리머 P1이 비교적 넒은 분자량 분포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폴리머 P1 내로의 폴리머 P2의 혼합은, 전기절연 필름의 전기 브레이크다운 전압의 향상에 놀랍도록 기여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폴리머 혼합물로 만들어진 필름은 콘덴서 필름에 매우 적합하다. 통상적인 폴리프로필렌으로 만들어진, 알려진 콘덴서 필름과의 비교에서, 본 발명에 따라 상술된 혼합물로 만들어진 필름은 더 높은 전기 브레이크다운 전압을 나타내며, 브레이크다운 전압은 또한 상승된 온도에서 매우 안정성을 유지하며, 종래 기술에 따른 콘텐서 필름에서 보다 확실히 더 높다.
상기 필름은 일반적으로, 각 경우에, 필름의 중량에 대하여, 95~100 중량%, 특히 98 이상 100 중량% 미만의 상술된 혼합물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필요시, 예를 들면, 중화제 및 안정화제의 통상적인 첨가제 각각을 적량으로 포함한다. 패키징 필름부분에서, 점착방지제(anti-blocking agent), 대전 억제제, 윤활제 및 안료와 같은 통상적인 첨가제는, 일반적으로 콘덴서 필름으로서의 사용에 관하여 첨가되지 않는다.
안정화 효과를 구비한 화합물은, 에틸렌, 프로필렌 및 다른 α-올레핀 폴리머를 위한 안정화제로 사용될 수 있다. 안정화제의 첨가량은 0.05~2 중량%이다. 페놀류 안정화제, 알칼리/알칼리 토류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알카리/알칼리 토류 카르보네이트가 특히 적합하다. 페놀류 안정화제는 0.05~0.6 중량%, 특히 0.1~0.5 중량%의 양과, 500g/mol 보다 큰 몰질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펜타에리써리-테트라키스-3-(3,5-디-테르티어리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Irganox 1010) 또는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테르티어리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Irganox 1330) 또는 3,5-디-테르트-부틸-4-하이드록시톨루올(BHT)가 특히 유리하다.
중화제는 바람직하게 칼슘 스테아르에이트인데, 여기에 필요시 필름의 절 연 특성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다른 통상적인 중화제가 또한 도입된다. 중화제는 일반적으로 0.001~0.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0.1 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각 중량% 내의 숫자는 기저층의 중량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총 두께는, 넓은 범위 내에서 달라질 수 있고, 의도된 용도에 의존한다. 상기 총 두께는 바람직하게 1~20㎛, 바람직하게는 2.5~15㎛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물로부터 제작될 수 있는 가장 얇은 필름은, 5㎛ 미만, 바람직하게는 3㎛ 미만의 두께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개선된 브레이크다운 전압은, 필름의 두께가, 일정한 전기 캐패시턴스를 가지면서 더욱 얇아질 수 있게 한다. 이것으로, 콘덴서 구성성분의 소형화가 더욱 촉진된다. 통상적인 두께를 갖는 사용에서, 증가된 브레이크다운 전압도 마찬가지로, 중요한 이점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그들 자체로 알려져 있는 압출법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작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의 견지 내에서, 진행절차는, 필름에 해당하는 융해물(들)을 편평한 주형(die)을 통과하여 공압출하며, 이 방법으로 얻어진 필름은, 하나 또는 여러 롤러(들)로 경화하기 위하여 당겨지며, 계속해서 상기 필름은 이축 연신되며(배향되며), 이축-연신된 필름은 열고정(heat-set)되며, 필요에 따라서 금속화를 위해 제공된 표면 층(들) 위에 코로나- 또는 플레임-처리 된다는 것이다.
이축 연신(배향)은 일반적으로 순차적으로 수행되며, 연신은 우선 종방향으로(기계 방향으로), 그런 후에 횡방향으로(기계 방향에 수직으로) 수행되는 순차적인 이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종 및 횡방향에서 동시에 일어나는 연신도, 기본적으로 가능하다.
우선, 압출법에서 통상적인 대로, 폴리머, 또는 더욱 정확히는 폴리머 혼합물은 압출기 내에서 압착되며 액화되는데, 여기에서 필요시 첨가되는 첨가제는 폴리머 또는 폴리머 혼합물에 이미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런 후에, 융해물이 편평한 주형(시트 압출 주형)을 통과하여 압축되며, 압축된 필름은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배출 롤러로 뽑아져 나오며, 냉각되고 경화된다.
그렇게 얻어진 필름은, 계속해서 압출의 방향에 대하여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연신되어, 분자 사슬의 배향을 유도한다. 종방향 연신은 요구된 연신비율에 대응하는 다른 속도로 작동하는 두개의 롤러의 도움으로 유리하게 수행되고, 횡방향 연신은 대응하는 클립 프레임의 도움으로 유리하게 수행될 것이다. 종방향 연신 비율은 3.0~8.0, 바람직하게는 4.0~6.5의 범위 내이다. 횡방향 연신 비율은 6.0~10.0, 바람직하게는 7~9.5의 비율이다.
이축연신 다음에는 열 고정(열 처리)이 계속되는데, 여기에서 상기 필름은 100~160℃의 온도에서 약 0.1~10s 동안 유지된다. 계속해서, 상기 필름은 와인딩 디바이스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와인딩된다.
압축된 필름이 이를 통해 냉각되고 경화되는, 배출 롤러 또는 롤러들이, 가열 및 냉각 회로에 의하여 30~120℃, 바람직하게는 60~100℃의 온도에서 유지되는 것이 특히 유용하다고 증명되었다. 상승된 배출 롤러 온도가, 프레필름(prefilm) 내에서 β 구정(spheulite)의 형성을 촉진시킨다. 이러한 β 구정는, 유럽특허 EP-A-0 497 160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은 방법을 위하여 요구되는, 콘덴서 필름을 위해 필요한 표면 거칠기(surface roughness)를 발생시킨다.
냉각된 프레필름이 종방향 연신 유닛(unit)안으로 공급되기 전에, 통상적으로 110~160℃, 바람직하게는 120~150℃의 온도로 예열한다. 이 예열은 가열된 롤러에 의해 수행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또한 예를 들면, IR 방열기, 가열된 공기 등과 같은 다른 종래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종방향 및 횡방향 연신이 수행되는 온도는 필요한 특성에 따르는데, 특히 형성될 필름의 표면 거칠기에 따른다. 일반적으로, 종방향 연신은 120~160℃, 바람직하게는 130~160℃의 온도에서 수행되고, 횡방향 연신은 140~180℃, 바람직하게는 150~17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이축 연신 후에, 상기 알려진 방법 중 하나에 따라 필름의 한 또는 두 표면은 코로나-, 플라즈마- 또는 플레임-처리된다. 처리 강도는 일반적으로 34~50mN/m, 바람직하게는 36~45mN/m의 범위 내이다.
코로나 처리에서, 유리한 절차순서는, 전극으로서 작용하는 전도 요소 사이에 상기 필름을 공급하고, 여기에 전압, 대부분 교류 전압(5~20kV 및 5~30kHz 사이에서 임의의)이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데, 이러한 교류 전압은 충분히 높아서 분사 또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분사 또는 코로나 방전의 결과에 따라, 상기 필름 표면 위의 공기는 이온화되며, 필름 표면의 분자와 반응하여, 본질적으로 무극성인 폴리머 매트릭스 내에서, 극성의 형성(build up)이 발생한다.
극성화된 플레임을 이용한 플레임 처리의 경우(예를 들어 미국 특허 US-A-4,622,237), 버너(burner)(음극)와 냉각 롤러 사이에 직류 전압이 인가된다. 인가되는 전압의 레벨은 400~3000V이며, 바람직하게는 500~2000V의 범위이다. 이온화된 원자는, 인가된 전압을 통하여 증가된 가속을 얻고, 더 큰 운동 에너지로 폴리머 표면과 충돌한다. 폴리머 분자 내의 화학 결합은 더 깨지기 쉽고, 래디컬 형성이 더욱 빠르게 발생한다. 여기에서 폴리머의 열 부하는, 전압의 인가 없이 표준 플레임 처리에서보다 훨씬 작고, 표면의 전처리에 또한 적합하다.
하기의 측정 방법들은 원료 및 필름의 특성화를 위하여 사용되었다:
용융 유동 지수:
용융 유동 지수는, 2.16kg 부하 및 230℃온도에서 ISO 1133에 따라 측정되었다.
융점:
DSC 측정, 융해 곡선의 최대값, 가열 속도 10K/min.
수축량:
종방향 및 횡방향 수축 값은, 수축 공정 전 필름 길이의 특정한 확장도와 관련된다(종방향 L0 및 횡방향 Q0). 종방향은 기계 방향이며, 횡방향은 기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대응적으로 정의된다. 10*10㎠의 실험체(test body)는 특정한 온도(100~140℃)에서 15분을 초과하는 시간 동안 순환식 공기 오븐 내에서 수축되었다. 계속해서, 실험체 길이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의 나머지 확장도가 다시 한번 측정된다(L1 및 Q1). % 단위의 수축량은, 원래 길이 L0 및 Q0에 대한 길이에서의 확장도의 차이의 100배로서 주어진다.
종방향 수축률 Ls[%]=(L0-L1)/L0*100[%]
횡방향 수축률 Qs[%]=(Q0-Q1)/Q0*100[%]
종항향 및 횡방향 수축률을 결정하는 이 방법은 DIN 40634에 상응한다.
유전 손실 인자(Dielectric loss factor):
유전 손실 인자(tan α)의 측정은 VDE 0303, part 4에 따라 수행된다. 필름 테스트는, 측정 전에 진공 금속화 디바이스 내에서, 양면이 알루미늄으로 금속화된다. 측정 표면{F(=금속화된 표면)} 크기는 필름 두께 d에 따른다:
10㎛ 이하의 필름 두께 d의 경우, 1㎠의 표면
10㎛를 초과하는 필름 두께 d의 경우, 5㎠의 표면
테스트될 시료 각각에 이중 측정이 수행되며, 평균값이 산출된다. 테스트는 건조한 컵보드(cupboard)에서 수행된다. 하부 전극판은 놋쇠(brass)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의 전극판은 원통형이며, 마찬가지로 놋쇠로 구성되어 있다. 테스트 전압은 1V이다. 측정은 0.1Khz, 1Khz 및 10Khz의 세 주파수에서 수행된다.
잔여 재 함유량(Residual ash content):
잔여 재 함유량 측정의 경우, 불연소성 필터의 부분이 양적으로 측정된다. 잔여 재 함유량(발화시 손실)은 시료 및 발화 잔여물의 배출 무게로부터 산출된다. 측정된 결과는 ppm 단위로 주어진다. 테스트될 재료(결정체, 재생체 등)로부터 약1Kg의 대표 제어 시료를 취한다. 재료는 반드시 깨끗해야 하며, 완전하게 건조해야한다; 약 80℃의 순환식 공기 오븐에서 사전-건조(pre-drying)가 요구될 수 있다. 세 개의 빈 자기 도가니가, 도가니 퍼니스(furnace)에서 650℃의 온도로 적어도 1시간 동안 가열되고, 건조기 내에서 상온까지 냉각한 후에, 0.1mg의 정밀도 내에서 무게를 잰다. 두개의 무게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일정한 무게가 성취될 때까지 가열을 반복한다. 그런 후에, 각 도가니에 재료의 50g(±0.1g)의 무게를 재서 넣은 후에, 650℃의 머플(muffel) 퍼니스 내에 넣는다. 오븐내의 온도를 이제 1000℃까지 올리고, 이 온도에서 적어도 1시간동안 가열한다. 도가니를 건조기 내에서 냉각한 후에, 0.1mg의 정밀도 내에서 무게를 잰다. 재 함유량이 ppm(100만 분의 1)=mg/㎥의 측정 단위로 주어진다. 모든 세 도가니는 하기의 식에 따라 평가되며, 두개의 가장 근접한 값을 합하여 평균값을 낸다:
ppm: 배출무게(g)/투입무게(g)x1000000
염소 함유량(Chlorine content)
폴리올레핀 내에 염소의 함유량은, DIN 51 001, par1에 따라 방사선 형광 분석(RFA)을 통하여, 양적으로 측정된다. 정제는 결정/분말로 압착되고, 이것은 교정 곡선에 대하여 RFA를 이용하여 교정된다. 교정 곡선은 10개의 교정 시료의 도움으로 설정되며, 여기에서 염소의 함유량은 독립적인 방법(습식 기술)에 따라 결정된다. (5ppm 미만의 염소 함유량의 값은, 정밀도 때문에 수치적으로 주어지지 않는다, 값<5ppm).
경계점도(Boundary viscosity)
경계점도의 결정은, 135℃에서 데칼린(dekalin)으로 ISO 1628-3에 따라 수행된다.
분자량의 결정
평균 몰질량 및 평균 몰질량 분산은,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한 DIN 55 672, part 1에 의하여 결정된다. THF 대신, 오쏘디클로로벤젠이 용리제로 사용되었다. 조사될 호모폴리머가 상온에서 융해되지 않기 때문에, 총 측정은 상승된 온도(135℃에서)에서 수행된다.
아이소택틱 부분(Isotactic portion)
호모폴리머의 아이소택틱 부분은 n-헵탄 내의 원료의 불용해 파편에 의하여 대략적으로 특성화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속슬레(soxlet) 압출은 n-헵탄을 비등하면서 수행되고, 여기에 결정 대신 프레싱(pressing)을 속슬레에 채우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에서 프레싱의 두께는 500㎛를 초과할 수 없다. 8~24시간의 충분한 압출 시간을 보장하는 것은, 호모폴리머의 n-헵탄 불용해 부분의 양적인 확립에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백분율 단위의 아이소택틱 부분 PPiso의 작용적 정의는, 투입 무게에 대한, 건조된 n-헵탄 불용해 파편의 무게의 비율로 주어진다:
PPiso=100x(n-헵탄 불용해 파편/투입 무게)
건조된 n-헵탄 추출의 분석은, 일반적으로, 순수한 아택틱 프로필렌 호모폴리머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추출시, 알리파틱 및 올레핀 올리고머, 특히 아이소택틱 올리고머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수화된 하이드로카본 수지 및 밀랍과 같은 가능한 첨가제도 또한 확립될 수 있다.
삼중합체-연계 사슬 이소택시 지수 Ⅱ(삼중합체)의 결정
시료 제조 및 측정
10mm-NMR 테스트 튜브에 60~100mg의 폴리프로필렌을 무게를 재서 넣는다. 헥사클로로부타디엔(C4Cl6)과 중수소화된 테트라클로로에탄(C2D2Cl4)으로 만들어진 용매 혼합물의 첨가 이후에, 상기 현탁액은 약 140℃에서 동질의 용액이 발생할 동안 유지된다. 융해 방법은 유리 막대로 저음으로써 촉진된다. 13C-NMR-스펙트럼의 사용은, 표준 측정 조건(절반의 양적으로)하에서 상승된 온도(일반적으로, 373K)로 수행된다.
13 C-NMR-스펙트럼의 평가
폴리프로필렌의 배열 통계{클락 타임(clock time)}의 기술의 경우, 세 개의 모노머 단위체가 삼중합체로 결합된 것이다. 삼중합체 내에서, 이웃하는 메틸기의 배열이 중앙의 메틸기 바깥쪽에서 관찰된다. 만일 모든 세 개의 메틸기가 동일한 배열을 갖는다면, 그것은 mm-삼중합체다.
만일 전과 후의 메틸기의 배열은 동일하지만, 중앙의 CH3기가 다르다면, 그것은 rr-삼중합체다.
두개의 다른 배열, mr 및 rm이 가능하다. 하지만 mr 및 rm은, 폴리머 사슬에 따른 두 배열의 방향이 동일한 값이기 때문에, 구분되지 않는다. 그들은 mr-삼중합체로 결합된다.
13C-NMR-스펙트럼 내에서 폴리프로필렌의 다른 화학적 치환을 통해 다양한 삼중합체가 구분될 수 있다.
mm-삼중합체의 범위는 약 20.8~22.2ppm
mr-삼중합체의 범위는 약 20.0~20.8ppm
rr-삼중합체의 범위는 약 19.2~20.0ppm
삼중합체 신호의 강도는, 소위 삼중합체-연계 사슬 이소택시 지수Ⅱ의 산출을 위하여 비교된다:
Ⅱ(삼중합체)=(Imm+0.5Imr)/(Imm+mr+Irr)*100
식중에서, Imm, Imr 및 Irr은 배정된 신호기의 적분이다.
참조:
"NMR-spectroscopy and polymer microstructure" {Alan E. Tonelli, 1989, VCH}
메소펜타덴 이소택시(또한 메소펜타덴 파편(mmmm)이라 불리는)의 결정
메소펜타덴 이소택시는 하기의 저서에서와 같이 수행된다: T. Hayashi, Y.Inoue, R. Chujo와 T.Askura의 "Polymer 29 138-43(1988)"뿐만 아니라, Chujo R 외의 "Polymer 35 339(1994)". 130℃에서 Bruker 400MHz 분광계를 이용하여, 13C-NMR-스펙트럼이 측정되었다. 시료는 1,2,4-트리클로로벤젠/벤젠-D6(90/10 w/w)에 융해되었다.
본 발명은 이제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기술된다:
실시예 1
7.0㎛의 총 두께를 갖는 투명한 단층의 필름이, 압출되고, 계속해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향되어 제작되었다. 상기 층은 하기의 조성을 갖는다:
Borealis company社의 약 95중량%의 높은 아이소택틱성 폴리프로필렌 P1(제품명: Borcelan(R) HB 300Bf)
약 5중량%의 P2(HMS)
0.45중량%의 페놀계 안정화제 Irganox 1010
0.0075 중량%의 중화제 Ca 스테아르산염.
높은 아이소택틱성 폴리프로필렌 P1은, 13C-NMR-분광계를 통해 측정된 97.4의 메소펜타덴 이소택시(mmmm)와, 5ppm 미만의 염소 함유량과 20ppm의 재 함유량을 갖는다. 폴리프로필렌의 n-헵탄 불용해 부분은 1.7%이다(아이소택틱 부분 PP iso 98.3%). 6.07의 분자량 분포 Mw/Mn에 상응하는, 평균 분자량 Mn은 64,600g/mol이며, Mw는 392,150g/mol(GPC를 통해 측정)이다. 용융 유동 지수 MFI(230℃ 및 2.16kp)는 1.45g/10min이며, 융점은 165℃이다.
0.90이하의 측쇄 지수를 갖는 프로필렌 폴리머 P2의 제작
첫 번째 단계로, 고리형 버블 칼럼(loop-type bubble column)에서 단일한 단계의 프로필렌 중합반응에서, 선형의 프로필렌 폴리머가 제작된다.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가 사용되며; 반응 온도는 70℃이다. 프로필렌과 수소의 농도는, MFI230/2.16가 5.0g/10min이 되도록 선정된다.
상기 중합반응 방법에서 얻어진 분말이, 0.25중량%의 테르트-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와 0.5중량%의 부타디엔과 함께 15분동안 100℃의 온도에서 주입된다. 혼합물은 불활성 대기(질소)에서 200℃의 온도로 가열된 후에, 계속해서 230℃로 가열되며, 그 후에 결정화된다. 수득된 폴리머 P2는, 7.2g/10min의 MFI230/2.16와 0.8의 측쇄 지수 g'를 나타낸다.
이축 배향된 필름의 제작을 위한, 개별 방법론적인 단계에서 제작 조건은:
압출: 온도 250℃
배출 롤러의 온도: 86℃
종방향 연신: 예열 온도: 136℃
종방향 연신 온도: 148℃
종방향 연신 비율: 5.0
횡방향 연신: 온도: 163℃
횡방향 연신 비율: 9.6
설정: 온도: 130℃
수렴:12.5%
이다.
상기 소정의 횡방향 연신 비율은 유효한 값이다. 이 유효한 값은, 종방향-연신된 필름의 폭으로 나누어진, 가장자리 밴드 폭의 두 배만큼 감소된, 필름의 말단영역에서 산출될 수 있는데, 상기 종방향-연신된 필름은 마찬가지로, 가장자리 밴드 폭의 두 배만큼 감소된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기술된 것과 마찬가지로 필름이 제작된다. 오직 층의 조성만이 변화되었다. 상기 층에 대하여 P2의 비율은 10중량% 증가되었고, P1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90중량%가 되었다. 필름의 제작 조건은 변하지 않았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기술된 것과 마찬가지로 필름이 제작된다. 오직 층의 조성만이 변화되었다. 상기 층은 오직 안정화제와 중화제를 갖는 높은 아이소택틱성 폴리프 로필렌 P1으로 구성되었다. 필름의 제작 조건은 변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기술된 것과 마찬가지로 필름이 제작된다. 6.07의 Mw/Mn을 갖는 높은 아이소택틱성 폴리프로필렌 P1 대신에, 폴리프로필렌은 약 93%의 메소펜타덴 이소택시와 약 6의 Mw/Mn을 갖는다. 구성 성분 P1과 P2의 양적인 비율은 변하지 않았다. 필름의 제작 조건은 이와 마찬가지로 변하지 않았다.
[표1]
BDV V/㎛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전압 온도 교류전압 직류전압 교류전압 직류전압 교류전압 직류전압
23℃ 550 855 537 825 459 835
100℃ 514 813 415 746 374 664
125℃ 356 734 310 615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축 배향된 전기 절연 필름은 콘덴서에서 절연 필름으로 이용가능하다.

Claims (12)

  1.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으로서,
    폴리프로필렌 P1과, 다른 폴리프로필렌 P2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P1은 선형의 폴리프로필렌이며, 5 보다 큰 Mw/Mn과 적어도 95%의 메소펜타덴 이소택시를 갖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P2는 긴-사슬형 측쇄를 갖는,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P2의 측쇄 지수 g'는 0.6 내지 0.9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혼합물의 95 내지 1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50 보다 크고 100중량% 미만의 P1과, 0 내지 50중량% 미만의 P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70 내지 99중량%의 P1과 1 내지 30중량%의 P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P1은 95%를 초과하는, 바람직하게는 95 보다 크고 99.9% 이하의 사슬 이소택시 지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1과 P2의 혼합물이 50ppm 미만의 재(ash) 함유량과 최대 10ppm의 염소 함유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P1과 P2의 혼합물이 10 내지 40ppm의 재 함유량과 0 보다 크고 5ppm 이하의 염소 함유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 표면에 금속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이 최대 2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또는 여러 항에 따른, 이축 배향 전기절 연 필름의 사용방법으로서, 콘덴서에서 절연 필름으로서의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의 사용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또는 여러 항에 따른, 이축 배향 전기 절연 필름을 포함하는 콘덴서.
KR1020097004081A 2006-08-31 2007-08-29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 KR200900500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060119894 EP1894715B8 (de) 2006-08-31 2006-08-31 Biaxial orientierte Elektroisolierfolie
EP06119894.1 2006-08-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062A true KR20090050062A (ko) 2009-05-19

Family

ID=37734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081A KR20090050062A (ko) 2006-08-31 2007-08-29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163845B2 (ko)
EP (1) EP1894715B8 (ko)
JP (1) JP5558819B2 (ko)
KR (1) KR20090050062A (ko)
CN (1) CN101511587B (ko)
AT (1) ATE475534T1 (ko)
CA (1) CA2662211C (ko)
DE (1) DE502006007538D1 (ko)
EA (1) EA016729B1 (ko)
ES (1) ES2362508T3 (ko)
MX (1) MX2009002365A (ko)
WO (1) WO200802579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632A (ko) * 2014-03-31 2016-12-07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KR20170023876A (ko) * 2014-06-30 2017-03-06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KR20190004770A (ko) * 2016-06-24 2019-01-14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금속화 필름 및 콘덴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02006008283D1 (de) * 2006-08-31 2010-12-23 Treofan Germany Gmbh & Co Kg Biaxial orientierte Elektroisolierfolie
EP2410539B1 (en) * 2009-03-17 2019-02-20 Prime Polymer Co., Ltd. Polypropylene for film capacitor, polypropylene sheet for film capacitor, methods for producing same, and uses of same
DE102009060446A1 (de) * 2009-12-22 2011-06-30 Treofan Germany GmbH & Co. KG, 66539 Mikroporöse Separator-Folie für Doppelschichtkondensatoren
DE102010018374A1 (de) * 2010-04-26 2011-10-27 Treofan Germany Gmbh & Co. Kg Hochporöse Separator-Folie
KR20150027234A (ko) * 2010-05-12 2015-03-11 보레알리스 아게 특수 커패시터용 특정 칼슘 스테아레이트 함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RU2013145308A (ru) 2011-03-10 2015-04-20 Торэй Индастриз, Инк. Двуосноориентированная полипропиленовая пленка, металлизированная пленка и пленочный конденсатор
EP2701165B1 (en) 2011-04-19 2016-04-06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stretched polypropylene film for capacitor, metallized film, and film capacitor
EP2565221B2 (en) * 2011-08-30 2018-08-08 Borealis AG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 capacitor film
ES2599456T3 (es) 2012-06-28 2017-02-01 Borealis Ag Polipropileno de resistencia elevada a la fusión de calidad mejorada
CN102751091B (zh) * 2012-07-06 2014-12-03 江苏中立方实业有限公司 电容器用耐高温超薄聚丙烯金属化电容膜
MX366376B (es) * 2012-07-25 2019-07-05 Borealis Ag Pelicula con bajo indice de gel ocs.
US9290600B2 (en) 2012-07-25 2016-03-22 Borealis Ag Foam produced from polypropylene with low gel content
CN102769115B (zh) * 2012-08-02 2015-05-13 常州大学 一种由聚丙烯混合物制备的锂离子电池隔膜及其制备方法
CN102964658B (zh) * 2012-10-31 2014-07-16 安徽省易达电子有限公司 一种以低密度聚乙烯为基体的电容器薄膜及其制备方法
CN102924814A (zh) * 2012-11-12 2013-02-13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用于制备具有高撕裂强度双轴取向聚丙烯膜的组合物
JP6052032B2 (ja) * 2013-04-15 2016-12-2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EP2810961B1 (en) * 2013-06-05 2016-04-13 Borealis AG One-step production of a polypropylene composition
DE102014003603B4 (de) 2014-03-17 2016-08-04 Treofan Germany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olyolefinfolie, Polyolefinfolie sowie deren Verwendung als Elektroisolierfolie in Kondensatoren
KR101854070B1 (ko) * 2014-07-31 2018-05-02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콘덴서 필름용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콘덴서 필름
CN106574092B (zh) * 2014-07-31 2019-03-29 三井化学株式会社 电容器膜用丙烯均聚物组合物及其制造方法、以及电容器膜
ES2771153T3 (es) * 2014-09-11 2020-07-06 Borealis Ag Composición de polipropileno para película de capacitor
SG11201706055UA (en) * 2015-03-31 2017-10-30 Prime Polymer Co Ltd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biaxially-stretched fil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capacitor film for film condenser
SG11201708596XA (en) 2015-04-28 2017-11-29 Borealis Ag Polypropylene film structure
WO2017064224A1 (en) 2015-10-16 2017-04-20 Borealis Ag Biaxially oriented films made of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s
AU2016366521A1 (en) 2015-12-11 2018-06-21 Regeneron Pharmaceuticals, Inc. Methods for reducing or preventing growth of tumors resistant to EGFR and/or ErbB3 blockade
EP3431530A4 (en) * 2016-03-17 2019-11-20 Toray Industries, Inc. BIAXIALLY POSITIONED POLYPROPYLENE FOIL, METAL FOIL LAMINATE FOIL AND FILM CONDENSER
JP6742044B2 (ja) * 2017-09-21 2020-08-19 株式会社Tbm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てなる成形品
JP6515986B2 (ja) * 2017-12-12 2019-05-2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コンデンサ用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EP3795331A1 (de) * 2019-09-20 2021-03-24 Technische Universität Dortmund Methode zur erzeugung von orientierten polyolefinen für die anwendung in elektrischen netzbetriebsmitteln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3608A (ja) * 1982-10-05 1984-04-11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絶縁破壊電圧の高い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よりなる電気絶縁材料
JPS6090229A (ja) 1983-10-24 1985-05-21 Japan Styrene Paper Co Ltd ポリエチレン系樹脂発泡粒子
IT1229054B (it) 1984-06-22 1991-07-17 Esseci S R L Societa Costruzio Metodo fisico per trattare le superfici di laminati plastici poliolefinici, politetrafluorcetilenici, cartoni e fogli metallici come alluminio e banda stagnata, mediante una fiamma prodotta dalla combustione di una miscela di aria con idrocarburi gassosi arricchita con ossigeno, metalli alcalini, vapore di acqua e/o ionizzata
CA1280543C (en) 1985-01-31 1991-02-19 B. Joseph Scheve Polypropylene with free-end long chain branching, process for making it, and use thereof
US5047485A (en) 1989-02-21 1991-09-10 Himont Incorporated Process for making a propylene polymer with free-end long chain branching and use thereof
IT1242305B (it) 1990-03-09 1994-03-04 Ausimont Srl Composizioni di polipropilene reticolato atte alla preparazione di materiali espansi
DE4101650A1 (de) 1991-01-22 1992-07-23 Hoechst Ag Biaxial gestreckte polypropylenmonofolie
DE4219863A1 (de) 1992-06-17 1993-12-23 Basf Ag Maleinsäurebisimidvernetzte, weiche Polyolefinmischungen
DE4219861A1 (de) 1992-06-17 1993-12-23 Basf Ag Mit Bismaleinimidoverbindungen teilvernetzte Olefinpolymerisate
DE4337250A1 (de) * 1993-09-27 1995-03-30 Hoechst Ag Biaxial orientierte Polypropylenfolie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hinsichtlich Mechanik und Barriere
JP3171422B2 (ja) 1994-04-20 2001-05-28 日本原子力研究所 改質ポリプロピレン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成形品
JPH0873546A (ja) 1994-06-23 1996-03-19 Basf Ag 不飽和エステルで部分的に架橋された合成樹脂材料
JP3654541B2 (ja) 1995-11-29 2005-06-02 東レ株式会社 耐熱性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FR2737339B1 (fr) 1995-07-28 1997-10-17 Bollore Technologies Condensateur a dielectrique en polypropylene et film metallise pour la realisation d'un tel condensateur
JP3508515B2 (ja) * 1997-11-18 2004-03-22 王子製紙株式会社 粗面化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420052A1 (en) * 2000-08-22 2002-02-2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 films
TWI295963B (ko) 2001-05-11 2008-04-21 Toray Industries
US20030176555A1 (en) * 2002-01-08 2003-09-18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Polypropylene-based resin composition and its injection molded article
JP2004161799A (ja) * 2002-11-08 2004-06-10 Toray Ind Inc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4145639B2 (ja) * 2002-11-27 2008-09-03 株式会社プライムポリマー ポリプロピレン樹脂、該樹脂から得られるシートおよびフィルム
JP2005089683A (ja) * 2003-09-19 2005-04-07 Mitsui Chemicals Inc ポリプロピレン樹脂、それから得られるシートおよびフィルム
JP2006093688A (ja) * 2004-08-26 2006-04-06 Toray Ind Inc コンデンサー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コンデンサー
JP2006063186A (ja) * 2004-08-26 2006-03-09 Toray Ind Inc 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2006143975A (ja) * 2004-11-25 2006-06-08 Prime Polymer:Kk ポリプロピレン及び該ポリプロピレンの電気材料への応用
JP4940986B2 (ja) * 2006-02-17 2012-05-30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CN101374891B (zh) * 2006-02-17 2011-11-30 东丽株式会社 双轴取向聚丙烯薄膜
JP4962082B2 (ja) * 2006-03-28 2012-06-27 東レ株式会社 金属化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及びこれからなるコンデンサ
DE502006008283D1 (de) * 2006-08-31 2010-12-23 Treofan Germany Gmbh & Co Kg Biaxial orientierte Elektroisolierfoli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0632A (ko) * 2014-03-31 2016-12-07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KR20170023876A (ko) * 2014-06-30 2017-03-06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콘덴서용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KR20190004770A (ko) * 2016-06-24 2019-01-14 오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금속화 필름 및 콘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11587B (zh) 2012-06-27
JP2010501712A (ja) 2010-01-21
WO2008025796A1 (de) 2008-03-06
EP1894715A1 (de) 2008-03-05
EP1894715B1 (de) 2010-07-28
US8163845B2 (en) 2012-04-24
CN101511587A (zh) 2009-08-19
EP1894715B8 (de) 2010-11-10
US20100047544A1 (en) 2010-02-25
CA2662211A1 (en) 2008-03-06
CA2662211C (en) 2014-08-19
DE502006007538D1 (de) 2010-09-09
ATE475534T1 (de) 2010-08-15
JP5558819B2 (ja) 2014-07-23
MX2009002365A (es) 2009-06-22
ES2362508T3 (es) 2011-07-06
EA016729B1 (ru) 2012-07-30
EA200970232A1 (ru) 200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0062A (ko) 이축 배향 전기절연 필름
KR20090054970A (ko) 이축 배향된 전기절연 필름
KR100634963B1 (ko) 상승된 온도에서 수축이 향상되는 전기 절연용 이축 배향시트
KR100444622B1 (ko) 2축배향폴리프로필렌필름및이를사용한콘덴서
US11851552B2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with improved breakdown strength
EP2519550B1 (en) Bopp-film
JPH10119127A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コンデンサー
EP3898237B1 (en)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film with improved surface properties
JP2002154187A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ー
WO2024058078A1 (ja)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化フィルム、及び、コンデンサ
JPH10119126A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化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コンデンサー
JP3469315B2 (ja) 電気絶縁部材
KR100634224B1 (ko) 증착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용 수지조성물
JP2000235815A (ja) 電気絶縁材料および電気絶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