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8581B1 - 스트링 세트, 경사용 스트링 및 위사용 스트링 - Google Patents

스트링 세트, 경사용 스트링 및 위사용 스트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8581B1
KR102668581B1 KR1020187030667A KR20187030667A KR102668581B1 KR 102668581 B1 KR102668581 B1 KR 102668581B1 KR 1020187030667 A KR1020187030667 A KR 1020187030667A KR 20187030667 A KR20187030667 A KR 20187030667A KR 102668581 B1 KR102668581 B1 KR 102668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warp
weft
surface friction
friction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2457A (ko
Inventor
카츠토시 오키
신이치로 치바
케이스케 오자와
타쿠미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요넥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넥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요넥스 씨오.,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90022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2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1/00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 A63B51/02Strings; String substitutes; Products applied on strings, e.g. for protection against humidity or wea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1/00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 A63B51/001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using string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n the same frame, e.g. gut and nyl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1/00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 A63B51/002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using strings with different cross-sections on the same frame, e.g. with different thickn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69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natural or synthetic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1/00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 A63B51/005Devices for measuring the tension of 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1/00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 A63B51/02Strings; String substitutes; Products applied on strings, e.g. for protection against humidity or wear
    • A63B51/023Strings having characteristics varying along the length of the string, e.g. diameter or elastic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ven Fabrics (AREA)
  •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헤어핀 성능 및 컷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트링 세트를 제공하는 것. 스트링 세트(20)는, 라켓에 대해 경사(warp, 날실) 및 위사(weft, 씨실)로 짜여지는 스트링 세트에 있어서,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로 짜여지는 마찰력이 작고 소경(작은 지름)인 제1 스트링(22)과,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다른 하나로 짜여지는 상기 제1 스트링보다도 마찰력이 크고 대경(큰 지름)인 제2 스트링(2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제1 스트링 및 제2 스트링으로 기능을 분배하여,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 및 외경이 큼으로써 향상되는 헤어핀 성능과,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 및 외경이 작음으로써 향상되는 컷 성능을 양립시키도록 했다.

Description

스트링 세트, 경사용 스트링 및 위사용 스트링
본 발명은, 라켓에 짜여지는 스트링 세트, 경사용 스트링 및 위사용 스트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드민턴 라켓에는, 경사(warp, 날실)용 스트링과 위사(weft, 씨실)용 스트링이 교차하도록 짜여지고, 셔틀콕을 받아치는 페이스면이 형성되어 있다. 각 스트링으로서는, 멀티 필라멘트의 코어실(Core yarn) 주위에 사이드실(Side yarn)을 말거나 혹은 편조(띠모양으로 짬)하여 외면을 코팅한 것이 알려져있다. 이와 같은 스트링은, 내구성 등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스트링은, 코팅제에 티탄 등의 금속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스트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제3166031호(2001.03.09)
그런데, 배드민턴의 샷으로, 헤어핀이라 불리는 샷이나 컷이라 불리는 샷이 알려져 있다. 헤어핀은 네트 앞에 떨어진 셔틀콕을 상대 코트로 가볍게 쳐서 넘기는 샷이고, 컷은 머리위로 날아온 셔틀콕을 라켓의 페이스면으로 비스듬하게 받아쳐서(cut) 상대 코드의 네트 앞에 떨어뜨리는 샷이다. 이들의 샷은 스트링에 요구되는 기능이 다르고, 헤어핀 성능(스핀 성능)과 컷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이 어려워졌다.
본 발명은 상기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헤어핀 성능 및 컷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트링 세트, 경사용 스트링 및 위사용 스트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트링 세트는, 라켓에 대해 경사(warp, 날실) 및 위사(weft, 씨실)로 짜여지는 스트링 세트에 있어서,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로 짜여지는 표면 마찰력이 작고 소경(작은 지름)인 제1 스트링과,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다른 하나로 짜여지는 상기 제1 스트링보다도 표면 마찰력이 크고 대경(큰 지름)인 제2 스트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으로 인해, 제2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이 크고 대경이기 때문에, 셔틀콕에 대한 마찰력이 커짐과 동시에 접촉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헤어핀 때에 튕겨진 셔틀콕에 스핀이 걸리기 쉬워져 헤어핀 성능이 향상된다. 또, 제1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이 작고 소경이기 때문에, 제1 스트링과 제2 스트링의 마찰력이 작아짐과 동시에 접촉 면적이 작아진다. 따라서, 컷 때에 제1 스트링과 제2 스트링이 상대적으로 이동하기 쉬워져서 컷 성능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제1 스트링 및 제2 스트링으로 성능을 분배하여,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 및 외경(바깥 지름)이 큼으로써 향상되는 헤어핀 성능과,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 및 외경이 작음으로써 향상되는 컷 성능을 양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링 세트에 있어서, 제1 스트링이 위사용 스트링이며, 제2 스트링이 경사용 스트링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헤어핀 성능과 컷 성능의 양립에 더해, 경사용 스트링의 외경이 커짐에 따른 타구감(튕겨지는 느낌)의 부족을, 위사용 스트링의 외경을 작게 함으로써 보완할 수 있다. 또, 가장자리 손상(edge break)이 되기 쉬운 경사용 스트링의 외경을 크게 함으로써, 가장자리 손상 확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링 세트에 있어서는, 제1 스트링에 대해 제2 스트링이 움직일 때의 마찰력이 2.2[N] 이하이다. 이 구성으로 인해, 제2 스트링이 제1 스트링에 대해 이동하기 쉬워져서 컷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링 세트에 있어서는, 제1 스트링의 외경이 제2 스트링의 외경의 94% 이하이다. 이 구성으로 인해, 제2 스트링을 대경으로 하여 헤어핀 성능을 향상시켜도, 제1 스트링에 대해 제2 스트링을 이동시키기 쉽게 하여 컷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링 세트에 있어서는, 제1 스트링 및 제2 스트링으로 형성되는 라켓의 페이스면의 표면 마찰력이 9[N] 이상이다. 이 구성으로 인해, 페이스면의 표면 마찰력이 커지기 때문에, 페이스면에서 튕겨진 셔틀콕에 스핀이 걸리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스트링 세트에 있어서는, 제2 스트링에는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 스트링의 코팅막의 적어도 표층이 막두께의 증가에 따라 그립력을 크게 하는 성능을 갖는다. 이 구성으로 인해, 제2 스트링의 코팅막의 적어도 표층의 막두께에 의해 그립력이 커지기 때문에, 제2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트링 세트에 있어서는, 제2 스트링의 코팅막의 적어도 표층이,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인해, 간이한 구성으로 제2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사용 스트링은, 라켓에 경사용 스트링에 교차하여 매어지는 위사용 스트링에 있어서, 경사용 스트링보다도 표면 마찰력이 작고 소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으로 인해, 위사용 스트링을 경사용 스트링보다도 표면 마찰력을 작게 함과 동시에 소경으로 함으로써, 스트링끼리의 마찰력이 작아짐과 동시에 접촉 면적이 작아진다. 따라서, 컷 때에 위사용 스트링에 대해 경사용 스트링이 움직이기 쉬워져서 컷 성능이 향상된다. 또, 표면 마찰력이 크고 대경인 경사용 스트링에 의해 스핀을 걸리기 쉽게 하여 헤어핀 성능을 향상시켜도, 위사용 스트링에 대해 경사용 스트링이 충분히 이동하기 때문에 컷 성능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경사용 스트링 및 위사용 스트링으로 기능을 분배하여,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 및 외경이 큼으로써 향상되는 헤어핀 성능과,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 및 외경이 작음으로써 향상되는 컷 성능을 양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사용 스트링은, 라켓에 위사용 스트링에 교차하여 매어지는 경사용 스트링에 있어서, 위사용 스트링보다도 표면 마찰력이 크고 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으로 인해, 경사용 스트링을 위사용 스트링보다도 표면 마찰력을 크게 함과 동시에 대경으로 함으로써, 셔틀콕과 경사용 스트링의 마찰력이 커짐과 동시에 접촉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헤어핀 때에 튕겨진 셔틀콕에 스핀이 걸리기 쉬워져서 헤어핀 성능이 향상된다. 또, 표면 마찰력이 작고 소경인 위사용 스트링에 의해 경사용 스트링을 이동하기 쉽게 하여 컷 성능을 향상시켜도, 경사용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이 충분히 크기 때문에 헤어핀 성능이 저하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경사용 스트링 및 위사용 스트링으로 기능을 분배하여,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 및 외경이 큼으로써 향상되는 헤어핀 성능과,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 및 외경이 작음으로써 향상되는 컷 성능을 양립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 마찰력이 작은 소경인 제1 스트링과 표면 마찰력이 큰 대경인 제2 스트링을 조합하여 이용함으로써, 헤어핀 성능 및 컷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스트링이 짜여진 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비교예의 헤어핀 성능 및 컷 성능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헤어핀 성능 및 컷 성능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스트링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폴리우레탄의 막두께와 스트링 게이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위사 게이지와 경사 이동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위사 게이지와 경사 이동시의 마찰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위사의 마찰력과 경사 이동시의 마찰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타구감과 가장자리 손상 확률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위사 게이지와 위사를 끼울 시의 마찰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형태의 표면 마찰력의 측정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실시형태의 경사가 움직일 때의 마찰력의 측정방법의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스트링 세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스트링이 짜여진 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비교예의 헤어핀 성능 및 컷 성능의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헤어핀 성능 및 컷 성능의 설명도이다. 또한, 비교예는 경사와 위사에 동일한 스트링을 사용하고, 본 실시형태는 경사와 위사에 다른 스트링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드민턴의 라켓(50)의 프레임(53)에는, 경사용 스트링(21)과 위사용 스트링(22)이 교차하도록 짜여지고, 셔틀콕을 치는 페이스면(54)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용 스트링(21)과 위사용 스트링(22)은 교차 위치에서 스트링의 상하가 바뀌도록 교차하고 있으며, 이 교차 위치에서만 경사용 스트링(21)과 위사용 스트링(22)이 접촉하고 있다. 페이스면(54)에 셔틀콕이 닿으면, 교차 위치를 통해 충격이 경사용 스트링(22)과 위사용 스트링(21)으로 분산되고, 각 스트링(21, 22)의 반발력으로 셔틀콕이 튕겨져 나가고 있다.
배드민턴의 샷으로는, 헤어핀이라 불리는 샷이나, 컷이라 불리는 샷이 알려져 있다. 헤어핀은, 라켓(50)의 페이스면(54)으로 셔틀콕을 가볍게 튕겨서 상대 코트의 네트 앞으로 되돌리는 샷이다. 이 경우, 라켓(50)의 페이스면(54)을 대략 수평으로 하여 셔틀콕을 치며, 스치듯이 친 경우, 튕겨진 셔틀콕은 스핀이 걸려 바로 위에 가까운 궤도로 상대 코트로 되돌려진다. 컷은, 페이스면(54)으로 셔틀콕을 비스듬하게 맞춰서 상대 코트의 네트 앞에 떨어뜨리는 샷이다. 이 경우, 셔틀콕에 대해 페이스면(54)을 비스듬하게 맞추고, 셔틀콕에 의해 경사용 스트링(21)이 움직여, 되돌아올 때에 셔틀콕에 회전을 주어, 날카롭게 떨어지는 궤도를 그리며 상대 코트로 되돌아간다.
그런데, 도 2a에 도시하는 비교예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라켓의 경사 및 위사에 동일한 스트링(41, 42)이 사용된다. 이 경우, 헤어핀 성능을 결정짓는 요소로서는, 헤어핀을 쳤을 때의 스핀이 걸리는 정도가 중요하다. 스핀은 스트링(41, 42)의 표면과 셔틀콕의 코르크 레더의 마찰력에 의해 좌우된다. 이 때문에, 헤어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링(41, 42)의 스트링 게이지(외경) 및 표면 마찰력을 크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헤어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스트링(41, 42)의 스트링 게이지 및 표면 마찰력을 크게 하면, 경사용 스트링(41)이 이동하기 어려워져서 컷 성능이 저하된다.
한편, 도 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컷 성능을 결정짓는 요소로서는, 경사용 스트링(41)이 움직이기 쉽다는 것이 중요하다. 경사용 스트링(41)의 움직이기 쉬운 정도는 스트링끼리의 마찰력이나 접촉 면적에 의해 좌우된다. 이 때문에, 컷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링(41, 42)의 스트링 게이지 및 표면 마찰력을 작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컷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스트링(41, 42)의 스트링 게이지 및 표면 마찰력을 작게 하면, 셔틀콕에 대해 스핀이 걸리기 어려워져서 헤어핀 성능이 저하된다.
이와 같이, 스트링(41, 42)의 스트링 게이지 및 마찰력을 크게 하면, 헤어핀 성능은 향상되지만 컷 성능이 저하된다. 또, 스트링(41, 42)의 스트링 게이지 및 표면 마찰력을 작게 하면, 컷 성능은 향상되지만 헤어핀 성능이 저하된다. 헤어핀 성능 및 컷 성능이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경사 및 위사에 동일한 스트링(41, 42)을 이용한 경우에는 헤어핀 성능 및 컷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은 어려웠다. 그리고, 스트링 게이지를 크게 하면 타구감이 악화되고, 반대로 스트링 게이지를 작게 하면 가장자리 손상이 되기 쉬워지고, 또한 표면 마찰력을 크게 하면 매기 어려워진다는 단점도 생긴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표면 마찰력이 크고 대경인 경사용 스트링(21)(제2 스트링)과, 표면 마찰력이 작고 소경인 위사용 스트링(22)(제1 스트링)에, 헤어핀 성능 및 컷 성능의 기능을 분배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경사용 스트링(21)의 스트링 게이지 및 표면 마찰력이 커짐으로써 생기는 단점을, 위사용 스트링(22)의 스트링 게이지 및 표면 마찰력을 작게 함으로써 개선하도록 하고 있다. 반대로, 위사용 스트링(22)의 스트링 게이지 및 표면 마찰력이 작아짐으로써 생기는 단점을, 경사용 스트링(21)의 스트링 게이지 및 표면 마찰력을 크게 함으로써 개선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트링 세트(20)는, 위사용 스트링(22)보다도 표면 마찰력이 크고 대경인 경사용 스트링(21)과, 경사용 스트링(21)보다도 표면 마찰력이 작고 소경인 위사용 스트링(22)으로 구성되어 있다. 경사용 스트링(21)은 표면 마찰력이 크고 대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용 스트링(21)의 표면과 셔틀콕의 마찰력 및 접촉 면적이 커져서 셔틀콕에 대해 스핀이 걸리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경사에 표면 마찰력이 크고 대경인 스트링(21)을 이용함으로써, 위사에 표면 마찰력이 작고 소경인 스트링(22)을 이용해도 헤어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사용 스트링(22)은 표면 마찰력이 작고 소경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트링(21, 22)끼리의 접촉 면적 및 표면 마찰력이 작아져서, 위사용 스트링(22)에 대해 경사용 스트링(21)이 움직이기 쉬워진다. 경사용 스트링(21)이 셔틀콕에 의해 크게 움직여져서, 경사용 스트링(21)이 원래로 돌아오는 힘이 셔틀콕에 작용하여 컷이 적용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위사에 표면 마찰력이 작고 소경인 스트링(22)을 이용함으로써, 경사에 표면 마찰력이 크고 대경인 스트링(22)을 이용해도 컷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경사용 스트링(21)의 스트링 게이지가 커짐으로써 생기는 타구감(튕겨지는 느낌)의 부족을, 위사용 스트링(22)의 스트링 게이지를 작게 함으로써 보완하고 있다. 한편으로, 위사용 스트링(22)의 스트링 게이지가 작아짐으로써 생기는 가장자리 손상이 되기 쉬운 정도를, 특별히 가장자리 손상이 발생하기 쉬운 경사용 스트링(21)의 스트링 게이지를 크게 함으로써 보완하고 있다. 또한, 경사용 스트링(21)의 표면 마찰력이 커짐으로써 발생하는 매기 어려움을, 위사용 스트링(22)의 표면 마찰력을 작게 함으로써 보완하고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스트링 세트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스트링의 단면 모식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스트링의 단면 구조는 도 4에 도시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트링(21)은, 코어실(11) 및 사이드실(12a, 12b)로 이루어지는 실 형상의 구조체(13)의 주위에 코팅막(16)을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 실 형상의 구조체(13)는, 멀티 필라멘트의 코어실(11)의 주위에 사이드실(12a, 12b)을 편조하여 구성되어 있다. 사이드실(12a, 12b)은 복수개의 사이드실로 한 세트가 되어 있고, S 방향의 8 세트, Z 방향의 8 세트가 코어실(11)을 감싸도록 편조되어 있다.
실 형상의 구조체(13)의 주위에는, 내측에 폴리아미드 등이 코팅된 후에, 표층에 폴리우레탄이 코팅되어 소정의 막두께의 코팅막(16)이 형성되어 있다. 즉, 코팅막(16)은, 내측의 코팅층(내층)과 외측의 코팅층(표층)의 2층 구조로 구성되고, 내측의 코팅층보다도 외측의 코팅층의 마찰력(마찰 계수)이 높다. 또한, 코팅막(16)은, 폴리우레탄만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경사용 스트링(21)의 코팅막(16)의 막두께(t)는, 실 형상의 구조체(13)의 최외면으로부터의 두께를 나타내고 있다.
또, 상세하게는 도시하지 않으나, 위사용 스트링(22)은 코팅막이 폴리아미드만으로 형성된 점, 실 형상의 구조체의 외경이 작은 점을 제외하고, 경사용 스트링(21)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위사용 스트링(22)은, 경사용 스트링(21)과는 다르게, 코팅막의 표층도 폴리아미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용 스트링(21)보다도 표면 마찰력이 작아진다. 또한, 경사용 스트링(21) 및 위사용 스트링(22)의 코어실 및 사이드실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이 사용된다.
다음으로, 헤어핀 성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폴리우레탄의 막두께와 스트링 게이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가로축은 코팅막의 표층의 폴리우레탄의 막두께, 세로축은 스트링 게이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코팅막은,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및 폴리아미드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내측의 폴리아미드의 막두께를 줄임으로써 표층의 폴리우레탄의 막두께를 늘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게이지는 25 폰드 견인 시의 외경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을 바꾸면서 헤어핀의 시타를 거듭한 결과, 플레이어는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이 9[N] 이상에서 셔틀콕에 스핀이 걸리기 쉽고, 12[N] 이상에서 셔틀콕에 스핀이 보다 걸리기 쉽다고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이 9[N] 이상, 12[N] 이상이 되는 코팅막의 막두께와 스트링 게이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여기서는,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이 9[N] 이상을 스핀 영역, 12[N] 이상을 하이 스핀 영역으로 설명한다.
도 5의 가로축에 나타내는 폴리우레탄의 막두께가 0[㎛]일 때는, 스트링 게이지가 약 0.80[㎜]-0.94[㎜]의 범위 R1은 스핀 영역이 되고, 스트링 게이지가 약 0.94[㎜] 이상의 범위 R2는 하이 스핀 영역이 된다. 또, 폴리우레탄의 막두게가 8[㎛]일 때는, 스트링 게이지가 약 0.50[㎜]-0.65[㎜]의 범위 R3은 스핀 영역이 되고, 스트링 게이지가 약 0.65[㎜] 이상의 범위 R4는 하이 스핀 영역이 된다. 즉, 폴리우레탄의 막두께가 커짐에 따라 스핀이 걸리기 쉬운 영역이 넓어져서, 스트링 게이지가 작아도 9[N] 이상의 표면 마찰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게이지는 25 폰드 견인 시의 외경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세로축에 나타내는 스트링 게이지가 0.50[㎜]일 때는, 막두께가 8[㎛] 이상의 범위 R5는 스핀 영역이 된다. 또, 스트링 게이지가 0.80[㎜]일 때는, 폴리우레탄의 막두께가 0[㎛]-2[㎛]의 범위 R6는 스핀 영역이 되고, 폴리우레탄의 막두께가 2[㎛] 이상의 범위 R7은 하이 스핀 영역이 된다. 즉, 스트링 게이지가 커짐에 따라 스핀이 걸리기 쉬운 영역이 넓어져서, 폴리우레탄의 막두께가 작아도 9[N] 이상의 마찰력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폴리우레탄의 막두께 및 스트링 게이지가 커질수록, 스핀이 걸리기 쉬운 영역이 넓어진다. 또, 위사용 스트링(22) 및 경사용 스트링(21)으로 형성되는 라켓(50)의 페이스면(54)의 표면 마찰력은, 표면 마찰력이 큰 쪽의 스트링(제2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의 영향을 받기 쉽다.
폴리우레탄의 막두께가 큰 경우에는, 셔틀콕에 대한 그립력이 증가함으로써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이 증가한다. 또, 스트링 게이지가 큰 경우에는, 스트링의 표면과 셔틀콕의 코르크 레더의 접촉 면적이 커짐으로써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이 증가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우레탄의 막두께와 스트링 게이지를 조정함으로써, 스트링의 표면에 적절한 마찰력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스트링의 마찰력은, 예를 들면, 라켓에 매어진 스트링면 위를 접촉면에 코르크 레더를 붙인 추를 미끄러지게 해서, 오토 그래프 AG-IS(주식회사 시마즈 제작소 회사 제품)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평의 테이블(60) 위에 스트링(21, 22)이 세로, 가로로 매어진 라켓(50)이 올려지고, 코르크 레더(31)가 부착된 판 형상의 추(32)(1[kg])가 올려진다. 추(32)에는 선재(線材)(33)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고, 선재(33)의 타단은 활차(71)를 통해 인장시험기(70)(오토 그래프 AG-IS)의 척(72)에 설치되어 있다. 척(72)의 상승으로 인해, 스트링(21)의 표면상의 추(32)가 인장되어, 스트링(21, 22)과 코르크 레더(31)에 생기는 마찰력이 인장시험기(70)의 인장력으로 측정된다. 즉, 스트링(21)의 표면 마찰력이란, 스트링(21, 22)에 대해 코르크 레더(31)가 달린 무게 1[kg]의 추(32)를 미끄러지게 했을 때의 마찰력이다.
다음으로, 최적 재료를 선택하기 위해, 테르펜 수지를 첨가한 폴리아미드, 생산안정성이 뛰어난 폴리우레탄, 마찰성이 뛰어난 고무의 3종류로 코팅막의 표층을 형성하여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을 측정하고, 폴리아미드로 코팅막(16)의 표층을 형성한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과 비교했다. 또, 공통 조건으로서는, 스트링 게이지를 0.67[㎜]로 하고, 코팅막(16)의 표층의 막두께를 10[㎛]로 했다. 이 결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테르펜 수지란 테르빈유나 오렌지 오일을 원료로 가공한 점착부여성 수지이다.
코팅막의 표층 표면 마찰력
폴리아미드 기준
(6.3N)
폴리아미드+테르펜 수지
(7.6N)
폴리우레탄
(12.5N)
고무
(21.4N)
테르펜 수지를 첨가한 폴리아미드를 이용한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은 7.6[N]이며, 폴리아미드를 이용한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의 6.3[N]보다도 크지만, 스핀이 걸리기 쉬워지는 9[N] 미만이었다. 이에 대해, 폴리우레탄, 고무를 이용한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은 각각 12.5[N], 21.4[N]이며, 폴리아미드를 이용한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의 6.3[N]보다도 크고, 더욱 스핀이 걸리기 쉬워지는 9[N] 이상이었다. 이로 인해, 폴리우레탄, 고무를 코팅제로서 이용함으로써 충분한 마찰력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스트링으로 셔틀콕에 스핀을 거는데 있어서, 코팅막(16)의 표층의 재료로서는,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가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공안정성의 관점에서, 폴리우레탄을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코팅막의 표층의 재료로서는 상기 재료에 한정되지 않고,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을 9[N] 이상으로 하는 재료라면 된다.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 테르펜 수지를 첨가한 폴리아미드여도, 코팅막(16)의 막두께 및 스트링 게이지의 크기를 조정하여,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을 9[N] 이상으로 함으로써, 코팅막의 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이 9[N] 이상이라면, 코팅막의 내측과 같은 재료, 예를 들면 폴라아미드로 표층을 형성해도 좋다.
다음으로, 컷 성능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위사 게이지와 경사 이동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위사 게이지와 경사 이동시의 마찰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위사의 마찰력과 경사 이동시의 마찰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가로축은 위사 게이지의 크기, 세로축은 경사의 이동량, 도 7에 있어서 가로축은 위사 게이지의 크기, 세로축은 경사가 움직일 때의 마찰력, 도 8에 있어서 가로축은 위사의 마찰력, 세로축은 경사가 움직일 때의 마찰력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또, 이하에서는 적절하게, 경사용 스트링을 경사, 위사용 스트링을 위사, 경사의 스트링 게이지를 경사 게이지, 위사의 스트링 게이지를 위사 게이지라고 칭하고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게이지 0.67[㎜], 폴리우레탄의 막두께 10[㎛]의 경사에 대해, 위사 게이지를 변화시켜 컷 성능을 확인했다. 여기서는, ARC8DX(요넥스 주식회사 제품)의 라켓에 25 폰드로 경사 및 위사를 매고, 스매시 머신을 이용하여 타격 각도 30°, 스윙 스피드 200[km/h]로 타격했다. 위사 게이지가 0.65[㎜]인 경우에는 경사 이동량이 약 5.50[㎜]이며, 위사 게이지가 0.63[㎜]로 경사 이동량이 6.00[㎜] 이상이 되어 이다. 이로 인해, 위사 게이지가 작아질수록, 경사 이동량이 증가하여 셔틀콕에 컷이 적용되기 쉬워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여기서, 위사 게이지를 바꾸면서 시타를 거듭한 결과, 플레이어는 경사 이동량이 6.0[㎜] 이상으로 컷이 적용되기 쉽다고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때의 경사가 움직일 때의 마찰력을 측정한 결과 2.2[N] 이하였다. 그래서, 경사가 움직일 때의 마찰력이 2.2[N] 이하가 되는 위사 게이지 및 위사의 마찰력을 확인한 결과,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경사가 움직일 때의 마찰력은, 예를 들면, 1000g의 하중을 주고 고정된 경사에 위사를 짜넣어, 위사에 300g의 하중을 주어 포스게이지 FG-5005(사토상사 제품)에 설치하고, 전동 슬라이더로서의 로보실린더 RCP2(IAI Corporation 제품)으로 포스게이지를 이동시켜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롤러핀(91a)에 60[㎝]의 경사(82)가 사행하듯 말려져 있으며, 경사(82)의 일단이 고정핀(91a)에 고정되고, 경사(82)의 타단이 활차(92)를 통해 1000[g]의 추(94)에 설치되어 있다. 또, 경사(82)를 꿰듯이 하여 복수의 롤러핀(91c)에 90[㎝]의 위사(81)가 말려져 있으며, 위사(81)의 일단이 포스게이지(97)의 후크(96)에 설치되고, 위사(81)의 타단이 활차(93)를 통해 300[g]의 추(95)에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위사(81)와 경사(82)가 복수의 교차 부분(85)(본 실시형태에서는 15 군데)에서 접촉하고 있다.
또, 포스게이지(97)는 전동 슬라이더(98)에 설치되고, 인장 속도 600[㎜/min], 이동 거리 100[㎜]로 슬라이드시켜 활성(滑性)이 측정된다. 즉, 경사가 움직일 때의 마찰력이란, 1000[g]의 추가 설치된 경사(82)에 대해, 300[g]의 추가 설치된 위사(81)를 복수의 교차 부분(85)(본 실시형태에서는 15 군데)에서 접촉시킨 상태에서 미끄러지게 한 경우의 상대적인 마찰력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게이지 0.67[㎜], 폴리우레탄의 막두께 10[㎛]의 경사에 대해, 위사 게이지를 변화시켜 경사가 움직일 때의 마찰력을 확인했다. 위사 게이지가 0.65[㎜]인 경우에는 경사가 움직일 때의 마찰력이 약 2.6[N]이 되어, 경사가 움직이기 어렵고 컷이 적용되기 어려워진다. 또, 위사 게이지가 0.63[㎜] 이하가 되면 경사가 움직일 때의 마찰력이 2.2[N] 이하가 되어, 경사가 움직이기 쉽고 컷이 적용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경사 게이지 0.67[㎜]에 대해 위사 게이지 0.63[㎜] 이하, 즉 위사 게이지가 경사 게이지의 94% 이하에서 컷 성능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게이지 0.67[㎜], 표면 마찰력이 4.3[N]의 경사에 대해, 위사 게이지 0.61[㎜]의 위사의 표면 마찰력을 변화시켜 경사가 움직일 때의 마찰력을 확인했다. 위사의 표면 마찰력이 2.3[N]인 경우에는 경사가 움직일 때의 마찰력이 약 2.8[N]이 되어, 경사가 움직이기 어렵고 컷이 적용되기 어려워진다. 또, 위사의 마찰력이 2.0[N] 이하가 되면 경사가 움직일 때의 마찰력이 2.2[N] 이하가 되어, 경사가 움직이기 쉬워져서 컷이 적용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경사의 표면 마찰력 4.3[N]에 대해 위사의 표면 마찰력 2.0 이하에서 컷 성능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타구감과 가장자리 손상 확률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의 타구감과 가장자리 손상 확률의 설명도이다. 도 9a는 타구감의 설명도이며, 도 9b는 가장자리 손상 확률의 설명도이다.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게이지와 위사 게이지가 동일한 경우와, 경사 게이지를 크게 하고 위사 게이지를 작게 한 경우에서 셔틀콕을 쳐서 비교하여 타구감을 확인했다. 경사 게이지와 위사 게이지가 모두 0.67[㎜]인 경우에는, 셔틀콕의 튕겨지는 느낌이 줄었다. 또, 경사 게이지 및 위사 게이지가 모두 0.63[㎜]인 경우에는, 셔틀콕의 튕겨지는 느낌이 늘었다. 이와 같이, 경사 게이지와 위사 게이지가 동일한 경우에는, 경사 게이지와 위사 게이지를 모두 작게 함으로써 튕겨지는 느낌이 향상된다.
이에 대해, 경사 게이지가 0.67[㎜]이고 위사 게이지가 0.61[㎜]인 경우에는, 경사 게이지와 위사 게이지가 모두 0.63[㎜]인 경우와 동등한 튕겨지는 느낌을 얻을 수 있었다. 즉, 경사 게이지와 위사 게이지가 모두 0.67[㎜]로 한 경우보다도 뛰어난 튕겨지는 느낌을 얻을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경사 게이지를 크게한 경우라도, 위사 게이지를 작게 함으로써 충분한 튕겨지는 느낌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 게이지와 위사 게이지가 동일한 경우와, 경사 게이지를 크게 하고 위사 게이지를 작게 한 경우에서 셔틀콕을 쳐서 비교하여 타구감을 확인했다. 여기서는, 30~32 폰드로 라켓에 경사 및 위사를 매어 시타 시험을 실시했다. 또한, 가장자리 손상이란, 프레임의 가장자리에서 스트링이 절단되는 것이며, 가장자리 손상 확률이란, 라켓에 매어진 경사 또는 위사가 가장자리 손상되는 확률이다. 경사 게이지와 위사 게이지가 모두 0.67[㎜]인 경우에는, 가장자리 손상 확률이 약 68%였다.
이에 대해, 경사 게이지가 0.67[㎜]이고 위사 게이지가 0.61[㎜]인 경우에는, 가장자리 손상 확률이 약 32%까지 감소했다. 경사 게이지를 크게 하고, 위사 게이지를 작게 함으로써 가장자리 손상 확률이 대폭으로 저하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가장자리 손상이 경사에서 일어나기 쉬우며, 가장자리 손상 확률에 대해서는 위사 게이지의 크기보다도 경사 게이지의 크기가 영향을 주기 쉽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위사 게이지를 작게 한 경우라도, 경사 게이지를 크게 함으로써 가장자리 손상 확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상기 도 9a 및 도 9b의 결과에서, 경사 게이지를 크게 하는 한편으로 위사 게이지를 작게 함으로써, 셔틀콕에 대한 타구감을 저하시키지 않고 가장자리 손상 확률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헤어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사 게이지를 크게 하는 것에 따른 튕겨지는 느낌의 부족을, 위사 게이지를 작게 함으로써 보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컷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위사 게이지를 작게 함에 따른 가장자리 손상 확률의 증가를, 경사 게이지를 크게 함으로써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매기 쉬운 정도에 대해 설명한다. 통상적으로, 라켓에 경사와 위사를 매는 경우에는, 라켓에 경사를 맨 후에 위사를 꿰듯이 경사를 끼워서 매고 있다. 이 때문에, 라켓에 경사를 맨 상태에서 경사에 대한 위사의 끼우기 쉬운 정도에 따라 매기 쉬운 정도가 변화된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의 위사 게이지와 위사를 끼울 때의 마찰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가로축은 위사 게이지의 크기, 세로축은 위사를 끼울 때의 마찰력을 나타내고 있다. 위사를 끼울 때의 마찰력이 3.0N 이상이면 매끄럽지 못하고, 매기 어려움을 느끼는 영역이 된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을 코팅(막두께 10[㎛])한 위사를 사용한 경우와, 나일론을 코팅한 위사를 사용한 경우에서, 경사 게이지 0.67[㎜], 폴리우레탄의 막두께 10[㎛]의 경사에 대한 위사의 끼우기 쉬운 정도를 확인했다. 폴리우레탄을 코팅한 위사를 사용한 경우에는, 위사 게이지가 0.55-0.70[㎜]의 범위에서 경사에 위사를 끼울 때의 마찰력이 3.0[N] 이상이 되어 위사가 매끄럽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경사와 위사의 양방에 폴리우레탄을 코팅하여 표면 마찰력을 높이면 매기 쉬운 정도가 저하된다.
이에 대해, 나일론을 코팅한 위사를 사용한 경우에는, 위사 게이지가 0.55-0.70[㎜]의 범위에서 경사에 위사를 끼울 때의 마찰력이 3.0[N] 이하가 되어 위사의 매끄러움이 양호하다. 따라서, 위사에 통상적인 나일론을 코팅하여 표면 마찰력을 억제함으로써 매기 쉬운 정도가 향상된다. 이와 같이, 헤어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경사의 표면 마찰력을 크게 함에 따른 매기 쉬운 정도의 저하를, 위사의 표면 마찰력을 작게 함으로써 보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욱 상세하게 서술하지만, 이들은 설명을 위해 기술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스트링 게이지가 0.67[㎜]이고 폴리우레탄의 막두께가 0[㎛], 4[㎛], 6[㎛]인 스트링을 마련하여 헤어핀의 시타 평가를 실시했다. 20-50대 중상급자 10명으로 스핀의 걸리는 정도를, '잘 걸린다', '걸린다', '약간 걸린다', '보통', '약간 걸리지 않는다', '걸리지 않는다'의 6단계로 나눠 평가했다. 이 결과,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폴리우레탄
막두께
[㎛]
스핀이 걸리는 정도

걸린다
걸린다 약간
걸린다
보통 약간
걸리지 않는다
걸리지
않는다
0 0 0 0 10 0 0
4 0 9 0 0 0 1
6 4 3 2 0 1 0
폴리우레탄의 막두께가 0[㎛]인 것을 기준(보통)으로 평가했다. 이에 대해, 폴리우레탄의 막두께가 4[㎛]인 경우, 9명이 '걸린다'고 평가하고, 1명만이 '걸리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또, 폴리우레탄의 막두께가 6[㎛]인 경우, 4명이' 잘 걸린다', 3명이 '걸린다', 2명이 '약간 걸린다'고 평가하고, 1명만이 '약간 걸리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즉, 폴리우레탄의 막두께가 4[㎛], 6[㎛]의 스트링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10명 중 9명이 '보통'보다도 스핀이 걸린다고 평가했다. 이와 같이, 폴리우레탄의 막두께가 4[㎛], 6[㎛], 즉 표면 마찰력이 9[N] 이상(도 5 참조)에서 스핀이 걸리기 쉽다는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 위사 게이지가 0.65[㎜], 0.63[㎜], 0.61[㎜], 0.58[㎜]인 위사, 경사 게이지가 0.67[㎜], 폴리우레탄의 막두께가 10[㎛]인 경사를 마련하여 컷의 시타 평가를 실시했다. 여기서는, NR900(요넥스 주식회사 제품)의 라켓에 23 폰드로 경사 및 위사를 매고, 20-50대 중상급자 10명으로 컷의 걸리는 정도를, '걸린다', '약간 걸린다', '보통', '약간 걸리지 않는다', '걸리지 않는다'의 5단계로 나눠 평가했다. 이 결과, 표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위사
게이지[㎜]
걸린다 약간
걸린다
보통 약간
걸리지 않는다
걸리지 않는다
0.65 2 2 2 4 0
0.63 2 4 3 1 0
0.61 2 5 2 1 0
0.58 7 3 0 0 0
위사 게이지의크기가 0.65[㎜]인 경우, 2명이 '걸린다', 2명이 '약간 걸린다'고 평가하고, 2명이 '보통', 4명이 '약간 걸리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위사 게이지의 크기가 0.63[㎜]인 경우, 2명이 '걸린다', 4명이 '약간 걸린다'고 평가하고, 3명이 '보통', 1명이 '약간 걸리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위사 게이지의 크기가 0.61[㎜]인 경우, 2명이 '걸린다'고 평가하고, 5명이 '약간 걸린다'고 평가하고, 2명이 '보통', 1명이 '약간 걸리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위사 게이지의 크기가 0.58[㎜]인 경우, 7명이 '걸린다', 3명이 '약간 걸린다'고 평가해다. 즉, 위사 게이지의 크기가 0.63[㎜], 0.61[㎜], 0.58[㎜]인 스트링의 어느 것에 대해서도, 과반수 이상이 '보통'보다도 높게 평가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트링 세트(20)에서는, 위사용 스트링(22)보다도 표면 마찰력이 크고 대경인 경사용 스트링(21)을 이용함으로써, 셔틀콕과 경사용 스트링(21)의 마찰력이 커짐과 동시에 접촉 면적이 커진다. 따라서, 헤어핀 때에 튕겨진 셔틀콕에 스핀이 걸리기 쉬워져 헤어핀 성능이 향상된다. 또, 경사용 스트링(21)보다도 표면 마찰력이 작고 소경인 위사용 스트링(22)을 이용함으로써, 경사용 스트링(21)과 위사용 스트링(22)의 마찰력이 작아짐과 동시에 접촉 면적이 작아진다. 따라서, 컷 때에 위사용 스트링(22)에 대해 경사용 스트링(21)이 이동하기 쉬워져서 컷 성능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경사용 스트링(21) 및 위사용 스트링(22)으로 성능을 분배하여,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 및 외경이 큼으로써 향상되는 헤어핀 성능과,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 및 외경이 작음으로써 향상되는 컷 성능을 양립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크기나 형상, 방향 등에 대해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 형상의 구조체(13)가 코어실(11)의 주위에 사이드실(12a, 12b)이 편조된 구조로 했지만, 코어실(11)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코어실(11)의 주위에 사이드실(12a, 12b)이 편조된 구성으로 했지만, 코어실(11)의 주위에 사이드실이 한층만 말려지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사이드실을 2층으로 말아도 좋고, 첫번째 층과 두번째 층의 사이드실의 스트링 게이지(외경)는 달라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어실(11) 및 사이드실(12a, 12b)은, 멀티 필라멘트 및 모노 필라멘트 중 어느 것으로 구성되어도 좋으며,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 코어실(11)이 모노 필라멘트인 경우에는, 단면이 원형상인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단면이 다각형(예를 들면, 5각형)이어도 좋다. 또한, 코어실(11) 및 사이드실(12a, 12b)에 중공실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트링(21, 22)의 합성섬유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트링(21, 22)의 실 형상의 구조체(13)는, 양의 위나 고래 힘줄 등의 천연섬유로 만들어진 네추럴 스트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사용 스트링(22)에 폴리아미드가 코팅되어 있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경사용 스트링(21)보다도 마찰력이 작고, 경사용 스트링(21)을 이동하기 쉽게 하여 컷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위사용 스트링(22)의 코팅막이 어떻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위사에 마찰력이 작고 소경인 스트링을 사용하고, 경사에 마찰력이 크고 대경인 스트링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경사에 마찰력이 작고 소경인 스트링을 사용하고, 위사에 마찰력이 크고 대경인 스트링을 사용해도, 헤어핀 성능과 컷 성능을 양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출원은, 2016년 4월 27일 출원된 특원 2016-089286에 기초한다. 이 내용은, 모두 여기에 포함시켜둔다.

Claims (10)

  1. 라켓에 대해 경사 및 위사로 짜여지는 스트링 세트에 있어서,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로 짜여지는 제1 스트링;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다른 하나로 짜여지는 상기 제1 스트링보다도 큰 지름인 제2 스트링;을 구비하고,
    라켓에 매어져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코르크 레더가 부착된 무게 1[kg]의 추를 미끄러지게 했을 때에 측정되는 상기 제2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은, 상기 제2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과 같은 조건에서 측정되는 상기 제1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보다도 크고,
    상기 제1 스트링이 위사용 스트링이며,
    상기 제2 스트링이 경사용 스트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 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링 및 상기 제2 스트링으로 형성되는 상기 라켓의 페이스면에서, 상기 제2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과 같은 조건에서 측정되는 표면 마찰력이 9[N]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 세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링에는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스트링의 코팅막의 적어도 표층이 막두께의 증가에 따라 그립력을 크게 하는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 세트.
  4. 라켓에 대해 경사 및 위사로 짜여지는 스트링 세트에 있어서,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하나로 짜여지는 제1 스트링;
    경사 및 위사 중 어느 다른 하나로 짜여지는 상기 제1 스트링보다도 큰 지름인 제2 스트링;을 구비하고,
    라켓에 매어져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코르크 레더가 부착된 무게 1[kg]의 추를 미끄러지게 했을 때에 측정되는 상기 제2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은, 상기 제2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과 같은 조건에서 측정되는 상기 제1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보다도 크고,
    상기 제1 스트링 및 상기 제2 스트링으로 형성되는 상기 라켓의 페이스면에서, 상기 제2 스트링의 표면 마찰력과 같은 조건에서 측정되는 표면 마찰력이 9[N] 이상이며,
    상기 제2 스트링에는 코팅막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스트링의 코팅막의 적어도 표층이 막두께의 증가에 따라 그립력을 크게 하는 성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 세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링이 위사용 스트링이며,
    상기 제2 스트링이 경사용 스트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 세트.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링의 코팅막의 적어도 표층이, 폴리우레탄 또는 고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 세트.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링에 대해 상기 제2 스트링이 움직일 때에, 1000[g]의 추가 달린 상기 제2 스트링에 대해, 300[g]의 추가 달린 상기 제1 스트링을 15 군데의 교차 부분에서 접촉시킨 상태에서 미끄러지게 했을 때에 측정되는 마찰력이 2.2[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 세트.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트링의 외경이 상기 제2 스트링의 외경의 94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링 세트.
  9. 라켓에 경사용 스트링에 교차하여 매어지는 위사용 스트링에 있어서,
    라켓에 매어져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코르크 레더가 부착된 무게 1[kg]의 추를 미끄러지게 했을 때에 측정되는 표면 마찰력이 상기 경사용 스트링보다도 작고, 그리고, 상기 경사용 스트링보다도 소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사용 스트링.
  10. 라켓에 위사용 스트링에 교차하여 매어지는 경사용 스트링에 있어서,
    라켓에 매어져 수평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코르크 레더가 부착된 무게 1[kg]의 추를 미끄러지게 했을 때에 측정되는 표면 마찰력이 상기 위사용 스트링보다도 크고, 그리고, 상기 위사용 스트링보다도 대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용 스트링.
KR1020187030667A 2016-04-27 2017-02-22 스트링 세트, 경사용 스트링 및 위사용 스트링 KR102668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89286 2016-04-27
JP2016089286A JP6812053B2 (ja) 2016-04-27 2016-04-27 ストリングセット、縦糸用のストリング及び横糸用のストリング
PCT/JP2017/006675 WO2017187742A1 (ja) 2016-04-27 2017-02-22 ストリングセット、縦糸用のストリング及び横糸用のストリン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457A KR20190022457A (ko) 2019-03-06
KR102668581B1 true KR102668581B1 (ko) 2024-05-24

Family

ID=6016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667A KR102668581B1 (ko) 2016-04-27 2017-02-22 스트링 세트, 경사용 스트링 및 위사용 스트링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118045A1 (ko)
EP (1) EP3449983A4 (ko)
JP (1) JP6812053B2 (ko)
KR (1) KR102668581B1 (ko)
CN (1) CN109069907B (ko)
MY (1) MY191299A (ko)
WO (1) WO20171877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3039B2 (ja) * 2020-02-19 2023-08-24 ヨネックス株式会社 ラケット用ストリング
CN111622129B (zh) * 2020-06-08 2021-08-24 浙江万里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锁定锚栓及应用锁定锚栓的山崖桥台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8880A1 (en) * 1991-11-07 1993-05-13 Ferrari Importing Co Sports racquet with hybrid stringing arrangement
JP2007282661A (ja) 2006-04-12 2007-11-01 Gosen:Kk ラケット用ストリングに適した海島型複合延伸モノフィラメント及びラケット用ストリング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1749Y1 (ko) * 1966-06-02 1969-01-23
US3920658A (en) * 1972-01-20 1975-11-18 Martin James Benson Coated tennis string and process for coating
JPS5041631A (ko) * 1973-08-14 1975-04-16
US4238262A (en) * 1978-07-26 1980-12-09 Fishel Clark W Applying particles and adhesive to racquet strings
JPS5650461U (ko) * 1979-09-27 1981-05-06
US4391088A (en) * 1982-01-13 1983-07-05 United States Tennis Gut Association, Inc. String for sports rackets
US4449353A (en) * 1982-08-06 1984-05-22 United States Tennis Gut Association, Inc. Gut string for sports rackets
FR2544347B3 (fr) * 1983-04-14 1986-01-24 Cousin Freres Sa Procede de fabrication d'une corde composite
JPH0428606Y2 (ko) * 1988-07-20 1992-07-10
US5090188A (en) * 1990-01-26 1992-02-25 Lin Tseng Y Ridged racquet string
US5327714A (en) * 1992-07-30 1994-07-12 Prince Manufacturing, Inc. Synthetic string for sporting application
US5536005A (en) * 1993-03-09 1996-07-16 Koff; Steven G. Means for racket to return strings to original position after ball impact
US5913730A (en) * 1993-08-18 1999-06-22 Johnson; Berthuld T. Golf putter
US5601762A (en) * 1993-12-14 1997-02-11 Ferrari Importing Company Method for enhancing the properties of a string used in a stringing device
CA2127324C (en) * 1994-07-04 1998-08-04 Julius S. Csabai Sport racket with string stabilization and friction coating
CN1161660A (zh) * 1994-09-26 1997-10-08 陶氏化学公司 包囊的活性物质及其制备方法
JPH08112376A (ja) * 1994-10-14 1996-05-07 Ube Ind Ltd ラケット用ガット
CN2205220Y (zh) * 1994-11-24 1995-08-16 刘继志 球拍
US5913740A (en) * 1997-07-25 1999-06-22 Miklos; Edward J. Flat beam aerodynamic tennis racquet
US6835454B1 (en) * 1999-08-24 2004-12-28 Stuart Karl Randa Fluoropolymer modification of strings for stringed sports equipment and musical instruments
JP2002085599A (ja) * 2000-09-19 2002-03-26 Yonex Co Ltd ラケット用ストリング
JP2003260152A (ja) * 2002-03-07 2003-09-16 Hiroshi Ueda ラケット用ガットの耐久性と性能アップ
US20060084532A1 (en) * 2004-10-20 2006-04-20 Chaokang Chu Strings for racquets
TW200918124A (en) * 2007-10-30 2009-05-01 Univ Nat Chunghsing Method for increasing friction force of tennis racket
US7714217B2 (en) * 2007-12-21 2010-05-11 Innovatech, Llc Marked precoated string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101576509B1 (ko) * 2008-03-17 2015-12-10 가부시키가이샤 와이.지.케이 단섬유를 포함하는 심초구조의 낚시줄
BE1018245A3 (nl) * 2008-08-14 2010-07-06 Luxilon Ind Nv Monofilament snaar.
BE1018246A3 (nl) * 2008-08-14 2010-07-06 Luxilon Ind Nv Kunststofsnaar.
KR20120034068A (ko) * 2009-06-30 2012-04-09 가부시키가이샤 고센 라켓용 스트링과 그 제조 방법 및 이것을 장설한 라켓
TW201350172A (zh) * 2012-06-01 2013-12-16 guo-liang Zhao 球拍
US9089743B2 (en) * 2012-07-24 2015-07-28 Wilson Sporting Goods Co. Racquet configured with fewer cross strings than main strings
JP6058493B2 (ja) * 2012-07-24 2017-01-11 ウィルソン・スポーティング・グッズ・カンパニーWilson Sporting Goods Company 縦ストリングよりも少数の横ストリングを有するラケット
WO2016050795A1 (en) * 2014-09-29 2016-04-07 Monsma Research Bv Sports racket and fila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3008880A1 (en) * 1991-11-07 1993-05-13 Ferrari Importing Co Sports racquet with hybrid stringing arrangement
JP2007282661A (ja) 2006-04-12 2007-11-01 Gosen:Kk ラケット用ストリングに適した海島型複合延伸モノフィラメント及びラケット用ストリン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2457A (ko) 2019-03-06
CN109069907A (zh) 2018-12-21
EP3449983A4 (en) 2020-01-22
JP2017196148A (ja) 2017-11-02
US20190118045A1 (en) 2019-04-25
MY191299A (en) 2022-06-14
WO2017187742A1 (ja) 2017-11-02
JP6812053B2 (ja) 2021-01-13
CN109069907B (zh) 2021-08-06
EP3449983A1 (en)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0321B1 (en) Racquet string
EP0652986B1 (en) Synthetic string for sporting application
KR102668581B1 (ko) 스트링 세트, 경사용 스트링 및 위사용 스트링
TWI593446B (zh) Racket str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4168606A (en) Process for forming string
US5090188A (en) Ridged racquet string
JP6812052B2 (ja) ラケット用ストリング
JP2016077743A (ja) ラケット用ストリング
JP7280096B2 (ja) ラケット用ストリング
EP0583668A1 (en) Method for making balls for sports
JPS6077776A (ja) ガツト
JP3117768B2 (ja) ガット
KR102400548B1 (ko) 스포츠용 방호네트, 이를 이용한 골프용 방호네트, 축구용 방호네트, 야구용 방호네트, 테니스용 방호네트, 및 배구용 방호네트
WO2011001805A1 (ja) ラケット用ストリング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張設したラケット
JP2873419B2 (ja) ゴムボール
JP2003154039A (ja) ストリング
WO1994011064A1 (en) Hybrid stringing arrangement of main and cross strings with enhance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for use in a sports racket
KR101214874B1 (ko) 라켓의 제조 방법 및 라켓
US20140329623A1 (en) String for sports racquet and sports racquet with improved string
JP2548848B2 (ja) ラケット用ガット
JPH0443242Y2 (ko)
JP2001000588A (ja) 中空フィラメントを用いたストリング
CN108474146A (zh) 防静电游戏表面
WO1994021332A1 (en) Sports racket string
US20060182959A1 (en) Synthetic strings for racket and method for mak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