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59456A - 워크 반송 설비 - Google Patents

워크 반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59456A
KR20120059456A KR1020117029944A KR20117029944A KR20120059456A KR 20120059456 A KR20120059456 A KR 20120059456A KR 1020117029944 A KR1020117029944 A KR 1020117029944A KR 20117029944 A KR20117029944 A KR 20117029944A KR 20120059456 A KR20120059456 A KR 20120059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bogie
work
path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7700B1 (ko
Inventor
마사히로 오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120059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12Systems with propulsion devices between or alongside the rails, e.g. pneumatic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Relays Between Conveyor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워크 지지 대차(2)와 그 주행방향 전후의 적어도 일방에 인접하는 보조 대차(3)로 구성된 워크 반송용 주행체(1), 워크 지지 대차(2)와 보조 대차(3)가 일체로 주행하는 제1 반송경로(L1), 및 워크 지지 대차(2)만이 제1 반송경로(L1)에 있어서의 주행방향에 대해 직각 횡방향으로 주행하는 제2 반송경로(L3)를 구비하고, 제1 반송경로(L1)에서 제2 반송경로(L3)로의 분기점(P1)에는, 워크 지지 대차(2) 를 보조 대차(3)로부터 분리시켜 제2 반송경로(L3)로 직각 횡방향으로 분기시키는 대차 분기수단이 설치된 워크 반송 설비.

Description

워크 반송 설비{WORKPIECE CONVEYING EQUIPMENT}
본 발명은 워크 반송경로가 제1 반송경로와 당해 제1 반송경로에 대하여 직각 횡방향으로 분기하는 제2 반송경로를 구비하고 있는, 워크 반송 설비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워크 반송 설비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조립 라인 등에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의 조립 라인에 있어서는, 반송 대차 상에 지지된 자동차 바디의 주위의 비교적 낮은 부분에 대한 작업을 행하는 트림 라인이나 파이널 라인을 구성하는 제1 반송경로에서는, 지지하는 자동차 바디의 전후방향과 평행한 종방향으로 반송 대차를 주행시키고, 자동차 바디의 하측에서 엔진이나 차축 유니트 등을 조립하는 작업을 행하는 샤시 라인을 구성하는 제2 반송경로에서는, 지지하는 자동차 바디의 전후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횡방향으로 반송 대차를 주행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반송경로에서는, 자동차 바디를 지지하는 반송 대차 상으로 작업자가 탑승하여, 지지하는 자동차 바디의 주위를 돌아다니면서 소요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지지하는 자동차 바디의 전후로도 반송 대차 상의 작업 플로어가 튀어나오는 대형의 반송 대차가 필요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반송경로에서는, 엔진이나 차축 유니트 등의 중량물을 탑재한 부착 부품 탑재 대차를 자동차 바디의 전후 하측으로 진입시켜서, 소요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므로, 이 제2 반송경로에서 횡방향으로 주행하는 반송 대차에는, 자동차 바디의 전후에서 대차 주행 방향의 좌우로 튀어나오는 작업 플로어가 없는 소형의 반송 대차의 쪽이, 대중량의 부착 부품 탑재 대차를 반송 대차 상에 대하여 승강시킬 필요가 없게 되어, 바람직하다.
상기의 관점으로부터, 반송 대차로서는, 상기 제1 반송경로를 횡방향으로 주행할 때는 전후방향 길이가 큰 장대 반송 대차로서 주행시킬 수 있지만, 상기 제2 반송경로를 횡방향으로 주행할 때는, 그 횡방향 주행방향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 되는 대차의 전후방향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는, 길이 가변의 반송 대차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반송경로 전용의 전후방향 길이가 큰 장대 반송대차와, 상기 제2 반송경로 전용의 전후방향 길이가 짧은 단소 반송 대차를 이용하고, 이 장대 반송 대차와 단소 반송 대차의 사이에서, 자동차 바디를 옮겨 싣는 것이 고려된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자동차 조립 라인에서 이용가능한 종래의 길이 가변의 반송 대차로서는, 반송 대차 본체의 전후로 출퇴 슬라이드 자유로운 보조대를 설치한 반송 대차(특허문헌1 등에 기재된 반송 대차)나, 반송 대차 본체의 전후에 보조대를 기복 자유로이 축 지지한 반송 대차 등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개 평4-362459호 공보
특허문헌1 등에 기재된 길이 가변의 반송 대차를 이용하는 경우, 단순히 반송 대차 전체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코스트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보조대를 대차 본체에 수납 또는 수하 자세로 전환하는 것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보조대의 크기가 제한되어 당해 보조대의 유효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제1 반송경로에서 제2 반송경로로의 분기점이나 제2 반송경로에서 제1 반송경로로의 합류점에 있어서, 보조대를 대차 본체에 대하여 출입하기 위한 수단과 당해 수단을 자동 운전하기 위한 제어가 필요하게 되고, 설비 전체로서도 코스트가 높게 되는 것을 면할 수 없다. 더욱이, 후자의 2종류의 반송 대차를 이용하여 자동차 바디를 옮겨 싣는 방식에서는, 자동차 바디를 옮겨 싣는 수단과 당해 수단을 자동 운전하기 위한 제어가 필요하게 되고, 설비 전체의 대폭적인 코스트 업을 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동차 바디를 옮겨 싣는 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 전체의 사이클 타임이 길게 되고, 생산효율이 저하하는 것으로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워크 반송 설비를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관한 워크 반송 설비는, 후술하는 실시형태의 참조부호를 붙여 나타내면, 워크 반송경로는, 제1 반송경로(L1)와 당해 제1 반송경로(L1)에 대하여 직각 횡방향으로 분기하는 제2 반송경로(L3)를 구비하고, 워크 반송용 주행체(1)는, 워크 지지 대차(2)와, 이 워크 지지 대차(2)의 제1 반송경로(L1)에 있어서의 주행방향 전후의 적어도 일방에 인접하는 보조 대차(3)로 구성되고, 제1 반송경로(L1)에는, 워크 지지 대차(2)와 보조 대차(3)를 일체로 주행시키는 워크 반송용 주행체 구동수단(마찰 구동장치(22))이 병설되고, 제1 반송경로(L1)에서 제2 반송경로(L3)로의 분기점(P1)에는, 보조 대차(3)를 제1 반송경로(L1) 상에 남기고 워크 지지 대차(2)만을 제2 반송경로(L3)로 직각 횡방향으로 분기 도입되는 대차 분기수단(승강 가이드 레일(24a,24b), 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 승강장치(27))이 배설되고, 제2 반송경로(L3)에는, 워크 지지 대차(2)를, 제1 반송경로(L1)에서 당해 워크 지지 대차(2)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각 횡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워크 지지 대차 구동수단(마찰 구동장치(29))이 병설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제1 반송경로를 자동차 조립 라인의 트림 라인이나 파이널 라인으로서 이용하고, 제2 반송경로를 샤시 라인으로서 이용함으로써, 제1 반송경로와 제2 반송경로의 사이의 워크(자동차 바디)의 옮겨 싣기가 불필요하게 된다. 게다가, 워크를 전후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종으로 이송하는 제1 반송경로에서는, 워크 지지 대차와 이것에 인접하는 보조 대차가 일체로 된 장대한 워크 반송용 주행체로 워크를 반송하는 것으로 되므로, 이 워크 반송용 주행체 상에서는, 워크의 주위 전역에 걸쳐서 충분히 넓은 작업 플로어를 확보하고, 제1 반송경로에서의 워크의 주위에 대하여 소요 작업을 워크 반송용 주행체에 답승한 작업자에 의해 안전 또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반송경로에서 제2 반송경로로의 분기점에서는, 보조 대차를 남기고 워크 지지 대차만을 대차 분기수단에 의해 제2 반송경로로 직각 횡방향으로 분기 도입되면 되고, 이 제2 반송경로에서는, 보조 대차가 제거된 전후 길이가 짧은 워크 지지 대차만이 횡방향으로 워크를 지지 반송하므로, 당해 워크의 전후 하측으로 진입되는 부착 부품 탑재 대차를 반송 대차 상에 대하여 승강되지 않도록 하여 작업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제1 반송경로로부터 제2 반송경로로의 분기점에, 보조 대차를 남기고 워크 지지 대차만을 제2 반송경로로 직각 횡방향으로 분기 도입시키기 위한 대차 분기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이 대차 분기수단은, 제1 반송경로와 제2 반송경로에서 공통의 반송 대차를 사용하여, 워크(자동차 바디)의 옮겨 싣기를 불필요하게 한 설비에서는, 당연히 필요한 수단으로서, 이와 같은 대차 분기 수단을 필요로 하는 설비에서도, 별도로 보조대를 대차 본체에 대하여 출입하는 수단이나 그 제어가 불필요로 되는 만큼, 설비 전체로서 대폭적인 코스트 다운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대차 본체에 대하여 수납 혹은 수하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보조대를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대차는, 대차 본체인 워크 지지 대차의 사이즈나 강도 등에 의해 사이즈가 제약되는 것은 아니고, 당해 워크 지지 대차와 동일 폭으로 필요 충분한 전후방향 길이를 가지는 대형의 보조 대차가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반송경로에서 횡으로 이송되는 워크 지지 대차는, 워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필요 최소한의 사이즈로 억제되므로, 제1 반송경로에서 보조 대차와 조합되어 워크를 종으로 이송할 때에는, 워크의 주위, 특히 전후로 필요 충분한 작업 플로어를 확보할 수 있는 대형 장대한 워크 반송용 주행체를 구성시켜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워크 반송 설비 전체에 사용되는 모든 워크 지지 대차의 1대씩에 전용의 보조 대차를 준비하고, 제2 반송경로로부터 분기한 워크 지지 대차가 다시 제1 반송경로에 합류한 때, 대기되어 있던 당해 워크 지지 대차 전용의 보조 대차를, 제1 반송경로에 합류한 워크 지지 대차에 인접시켜서, 원래의 워크 반송용 주행체를 구성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반송경로(L3)의 종단(복행측 제2 반송경로(L4)의 종단)을, 상기 분기점(P1)과 인접하도록 설정한 합류점(P2)에서 제1 반송경로(L2)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속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분기점(P1)과 합류점(P2) 사이에, 상기 분기점(P1)에서 제1 반송경로(L1) 상에 남겨진 보조 대차(3)를, 상기 합류점(P2)에 진입하는 워크 지지 대차(2)에 대한 전후 인접위치까지 이동시켜서 대기시키는 보조 대차 구동수단(보조 대차 구동용 마찰 구동장치(28))을 병설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적어도 제1 반송경로 상에 자리잡은 대수의 워크 지지 대차와 조합할 수 있는 보조 대차를 준비하면 되고, 최대, 제2 반송경로 상에 자리잡은 워크 지지 대차의 대수 분 만큼 보조 대차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설비 전체의 코스트를 내릴 수 있다. 물론, 분기점과 합류점의 사이의 보조 대차만을 주행시키는 경로 상에서, 워크 지지 대차 1대 분 또는 복수대 분의 보조 대차를 스토리지시키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워크 반송용 주행체(1)는, 워크 지지 대차(2)와, 이 워크 지지 대차(2)의 제1 반송경로(L1)에서의 주행방향 전후 어느 한쪽에만 인접하는 1대의 보조 대차(3, 또는 4)로 구성할 수 있는데, 워크 지지 대차(2)의 제1 반송경로(L1)에서의 주행방향 전후 양측으로 인접하는 2대의 보조 대차(3,4)를 조합시켜서 워크 반송용 주행체(1)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반송경로 상에서 종으로 이송되는 워크의 주위에 확보할 수 있는 워크 반송용 주행체 상의 작업 플로어, 특히 워크의 전후 양측에 확보할 수 있는 작업 플로어를 각별히 증대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2 반송경로 상에서 횡으로 이송되는 워크의 전후 양단부를 워크 지지 대차의 전후 양단에서 크고 좌우 양측으로 튀어나오게 할 수 있고, 이 제2 반송경로에서의 워크의 전후 양단부에 대한 작업에 워크 지지 대차가 간섭하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대차 구동수단(보조 대차 구동용 마찰 구동장치(28))은, 각 보조 대차(3,4)에 설치된 마찰 구동면(종동용 마찰 구동면(18a,18b))의 전장보다 길지않은 간격으로 상기 분기점(P1)과 합류점(P2)의 사이의 경로에 따라서 배치된 마찰 구동장치(28)로 구성하고, 전후로 벌려 위치하는 2대의 보조 대차(3,4)를, 양 보조 대차(3,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분기점(P1)으로부터 합류점(P2)까지 마찰구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분기점으로부터 합류점까지의 보조 대차만을 주행시키는 경로에서, 중간위치의 워크 지지 대차에서 분리된 전후 2대의 보조 대차를, 그 간격을 유지한 채 합류점까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확실히 주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워크 지지 대차와 보조 대차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필수의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종래의 자동차조립 라인에서 트림 라인이나 파이널 라인에서 채용되는 워크 반송용 주행체의 구동방식, 즉, 전후의 워크 반송용 주행체 끼리가 서로 당접하는 연속상태에서 밀어서 구동되는 방식의 경우, 워크 지지 대차와 보조 대차가 서로 연결되지않아도, 당해 워크 지지 대차와 보조 대차가 서로 인접하는 상태를 유지시켜서 워크 반송용 주행체를 문제없이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반송경로에서 각 워크 반송용 주행체를 일정 간격을 두고 정속으로 주행시키는 경우나, 분기점에 1대씩 워크 반송용 주행체를 송입하는 경우도, 서로 인접하는 워크 지지 대차와 보조 대차가, 항상 마찰 구동륜에 의해 추력을 받는 간격으로 마찰 구동장치를 배설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워크 지지 대차(2)와 보조 대차(3)를 굳이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불필요하고, 워크 지지 대차(2)와 보조 대차(3)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15a)을 설치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워크 지지 대차와 보조 대차로 구성되는 워크 반송용 주행체를, 종래의 1대의 대차로 이루어지는 것과 동일하게 취급할 수 있고, 가령 워크 반송용 주행체를 일정 간격을 두고 정속으로 주행시키는 경우나, 분기점에 1대씩 워크 반송용 주행체를 송입하기 위해 마찰 구동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1대의 워크 반송용 주행체에 대하여 한개의 마찰 구동장치를 적용하면 되고, 설비 코스트를 내릴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상기 분기점(P1)에서, 연결수단(15a)에 의한 워크 지지 대차(2)와 보조 대차(3)의 연결을 어떤 수단으로 해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결을 해제하는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연결수단에 설치된 연결해제용 조작부를 분기점에 워크 반송용 주행체가 도달한 때에 조작하는 캠이나 각종 액추에이터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워크 지지 대차(2)와 보조 대차(3)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15a)으로서는, 여하한 구성의 것도 되는데, 예를 들면, 상기 분기점(P1)에서 워크 지지 대차(2)와 보조 대차(3)의 사이의 횡방향의 상대이동을 허락하는 상태에서 서로 상하방향으로 계합하는 워크 지지 대차(2)측의 계합부재(17)와 보조 대차(3)측의 피계합부재(16)로 연결수단(15a)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분기점에서 워크 지지 대차가 보조 대차에 대하여 동일 레벨인 채 제2 반송경로측으로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도, 그때의 워크 지지 대차의 횡동을 이용하여, 연결을 자유로이 해제할 수 있으므로, 연결 해제수단으로서 상기한 캠이나 액추에이터를 별도 추가할 필요가 없게 되고, 저렴하게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구성의 연결수단(15a)을 채용하는 경우, 상기 대차 분기수단은 워크 지지 대차(2)를 제2 반송경로(L3)에서의 주행방향으로 지지 안내하는 승강자유로운 승강 가이드 레일(24a,24b)과, 이 승강 가이드 레일(24a,24b)에 의해 들어 올려진 워크 지지 대차(2)를 제2 반송경로(L3) 내로 추진시키는 워크 지지 대차 분기 구동장치(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로 구성하고, 승강 가이드 레일(24a,24b)에 의해 워크 지지 대차(2)가 들어 올려진 때, 연결수단(15a)의 계합부재(17)와 피계합부재(16)가 서로 상하로 이탈하거나 또는 계합 깊이가 얕게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분기점에서 워크 지지 대차를 보조 대차에 대하여 제2 반송경로측으로 횡방향으로 횡동시킬 때, 이 횡동 전용의 승강 가이드 레일과 당해 승강 가이드 레일로 지지되는 횡동 전용의 차륜으로, 워크 지지 대차를 지지 안내할 수 있어서, 제1 반송경로 상에서 분기점에 진입할 때의 워크 반송용 주행체(워크 지지 대차와 보조 대차)의 주행 레벨과, 워크 지지 대차를 보조 대차에 대하여 제2 반송경로측으로 횡방향으로 횡동시킬 때의 주행 레벨을 동일로 구성하는 경우보다도, 제1 반송경로측의 주행 가이드수단(가이드 레일과 차륜)과, 제2 반송경로측으로 워크 지지 대차를 횡동시킬 때의 주행 가이드수단(가이드 레일과 차륜)이, 서로 간섭하지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용이하다.
도 1은 워크 반송용 주행체가 제1 반송경로 상에 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2A는 동상의 측면도, 도 2B는 워크 반송용 주행체에서 워크 지지 대차와 보조 대차의 연결수단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C는 워크 지지 대차의 차륜 유니트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워크 반송용 주행체에서 워크 지지 대차가 제1 반송경로 상에 있을 때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워크 반송 설비 전체의 레이아웃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제1 반송경로에서 제2 반송경로로의 분기점에 워크 반송용 주행체가 도달한 상태에서의 구성의 요부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분기점으로부터 워크 반송용 주행체의 워크 지지 대차가 제2 반송경로로 송출되는 상태에서의 구성의 요부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7A는 도 5에 도시하는 상태에서의 종단 측면도, 도 7B는 도 7A의 상태로부터 워크 지지 대차가 승강 가이드 레일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8A는 도 5에 도시하는 생태에서의 정면도, 도 8B는 도 8A의 상태로부터 워크 지지 대차가 승강 가이드 레일로 들어 올려진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9는 제2 반송경로 상에 있는 워크 지지 대차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제2 반송경로 상에 있는 워크 지지 대차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2 반송경로 상에 있는 워크 지지 대차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워크 반송용 주행체(1)는, 워크 지지 대차(2)와, 이 워크 지지 대차(2)의 제1 반송경로(L1)에 있어서의 주행방향 전후로 인접 배치된 2대의 보조 대차(3,4)로 구성되어 있다. 워크 지지 대차(2)는, 제1 반송경로(L1)에 있어서의 주행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좌우 횡폭이 큰 횡장 구형의 평면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그 상면에는 워크(자동차 바디)(W)를 지지하는 워크 지지수단(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워크 지지수단(5)은, 워크(W)의 좌우 양측변을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승강 지지암(6a,6b)이 각각 지주(7a,7b)에 승강 지유로이 지지된 것으로, 이 워크 지지수단(5)에 의해 지지된 워크(W)는, 그 전후 양단부가 워크 지지 대차(2)로부터 전후로 튀어나와 있다. 또한, 평면에서 보아서, 워크(W)의 좌우 양외측에 위치하는 워크 지지수단(5)과 워크 지지 대차(2)의 좌우 양측변과의 사이에는, 작업자가 보행할 수 있을 정도의 폭의 작업 플로어가 확보되어 있다.
전후 2대의 보조 대차(3,4)는, 서로 동일 사이즈의 것으로, 그 횡폭은, 워크 지지 대차(2)의 횡폭과 같고, 제1 반송경로(L1)에 있어서의 주행방향의 길이에 관해서는, 평면에서 보아, 워크 지지 대차(2)로부터 전후로 튀어나오는 워크(W)의 전후 양단 보다도 더 전후 외측으로 돌출하고, 당해 워크(W)의 전후 양단의 외측을 작업자가 보행할 수 있는 정도의 작업 플로어가 확보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더욱이, 도시예에서는, 전후 2대의 보조 대차(3,4)의 길이는, 워크 지지 대차(2)의 길이보다 작고 짧은데, 워크 지지 대차(2)의 길이와 동일 또는 역으로 워크 지지 대차(2)의 길이보다 길게 구성할 수도 있다.
워크 지지 대차(2)와 전후 2대의 보조 대차(3,4)의 저부 4 코너에는, 종동용 차륜 유니트(8a~8d, 9a~9d, 및 10a~10d)가 배설되어 있다. 각 종동용 차륜 유니트(8a~10d)는, 제1 반송경로(L1)에 부설된 좌우 한쌍의 가이드 레일(11a,11b) 상을 전동하는 차륜(12)을 구비한 것인데, 편측의 가이드 레일(11a) 상을 전동하는 차륜(12)을 구비한 각 차륜 유니트(8a,8b,9a,9b, 및 10a,10b)에는, 도 2C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가이드 레일(11a)을 좌우 양측으로부터 끼우는 주행방향 규제용의 좌우 한쌍의 수직축 롤러(13)가 설치되어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좌우 한쌍의 수직축 롤러(13)를 병용하는 대신에, 각 차륜 유니트(8a,8b,9a,9b, 및 10a,10b)의 차륜(12) 대신에, 가이드 레일(11a)에 감합하는 양 플랜지 부착 차륜을 사용할 수도 있고, 모든 차륜(12)에 한쪽 플랜지 부착 차륜을 사용하여, 각 대차(2~4)의 주행방향을 규제할 수도 있다.
워크 지지 대차(2)에는, 상기 종동용 차륜 유니트(8a~8d) 외에, 이들 각 종동용 차륜 유니트(8a~8d)에 대하여 내측 중앙 가까운 위치에, 제1 반송경로(L1)에서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각 횡방향으로 주행하기 위해서 횡동용 차륜 유니트(14a~14d)가 배설되어 있다. 이들 횡동용 차륜 유니트(14a~14d)는,종동용 차륜 유니트(8a~8d)와 방향이 90도 다른 것 뿐으로 모두 동일 구조의 것으로서, 차륜(12)을 구비하는 것과 함께, 횡동방향의 편측에 위치하는 횡동용 차륜 유니트(14a~14d)에는, 주행방향 규제용의 좌우 한쌍의 수직축 롤러(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워크 지지 대차(2)와 보조 대차(3,4)의 서로 인접하는 단부에는, 도 2B에 도시하는 연결수단(15a,15b)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연결수단(15a,15b)은, 보조 대차(3,4)의 단부에서 그 전폭에 걸쳐서 돌설된 종단면 L자형의 피계합부재(16)와, 워크 지지 대차(2)의 양단에서 그 전폭에 걸쳐서 돌설되고 또한 보조 대차(3,4) 측의 피계합부재(16)에 위로부터 감합하는 종단면 도립L자형의 계합부재(17)로 구성되고, 계합부재(17)는, 피계합부재(16)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계합 이탈자유로운 것과 함께 각 대차(2~4)의 좌우 폭방향에도 상대적으로 감합 이탈자유로이 구성되어 있다.
워크 지지 대차(2) 및 보조 대차(3,4)의 제1 반송경로(L1)에 있어서의 주행방향과 평행한 좌우 양측면은, 종동용 마찰 구동면(18a,18b)으로 되어 있고, 이 종동용 마찰 구동면(18a,18b)과는 별도로, 워크 지지 대차(2)의 저부 중앙에는, 제1 반송경로(L1)에 있어서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각 횡방향의 띠판형상 부재(19)가 돌설되고, 이 띠판형상 부재(19)의 수직한 양측면이 횡동용 마찰 구동면(20a,20b)을 형성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워크 반송용 주행체(1)가 주행하는 워크 반송경로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 워크 반송경로는, 동일 직선상에서 직렬하는 상측 제1 반송경로(L1)와 하측 제1 반송경로(L2), 상측 제1 반송경로(L1)의 종단에서 직각 횡방향으로 분기된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 및 당해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의 종단에 접속되고 또한 하측 제1 반송경로(L2)의 시단에 직각 방향으로 합류하는 복행측 제2 반송경로(L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측 제1 반송경로(L1)에서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로의 분기점(P1)과, 복행측 제2 반송경로(L4)에서 하측 제1 반송경로(L2)로의 합류점(P2)의 사이에, 직선상의 보조 대차 주행경로(L5)가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자동차 조립 라인으로서 이용할 때는, 상측 제1 반송경로(L1)는 트림 라인으로서 이용하고,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 및 복행측 제2 반송경로(L4)는 샤시 라인으로서 이용하고, 그리고 하측 제1 반송경로(L2)는 파이널 라인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하측 제1 반송경로(L2)의 종단과 상측 제1 반송경로(L1)의 시단은, 직선상으로 연속하는 복행측 제1 반송경로(L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상측 제1 반송경로(L1), 하측 제1 반송경로(L2), 및 복행측 제1 반송경로(L6)에는, 워크 반송용 주행체(1)의 각 대차(2~4)의 종동용 차륜 유니트(8a~8d, 9a~9d, 및 10a~10d)가 구비되는 차륜(12)이 전동하는 좌우 한쌍의 가이드 레일(11a,11b)이 부설되고,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 및 복행측 제2 반송경로(L4)에는, 워크 지지 대차(2)의 횡동용 차륜 유니트(14a~14d)가 구비되는 차륜(12)이 전동하는 좌우 한쌍의 가이드 레일(21a,21b)이 부설되어 있다. 또한, 상측 제1 반송경로(L1), 하측 제1 반송경로(L2), 및 복행측 제1 반송경로(L6)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워크 반송용 주행체(1)의 전장에 걸쳐서 연속하는 각 대차(2~4)의 종동용 마찰 구동면(18a,18b)을 통해서 당해 워크 반송용 주행체(1)를 추진하는 마찰 구동장치(22)가 병설되어 있다. 이 마찰 구동장치(22)는, 좌우 양측의 종동용 마찰 구동면(18a,18b) 각각에 압접하는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22a,22b)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찰 구동장치(22)는, 종래 주지와 같이, 전후의 워크 반송용 주행체(1)가 서로 당접하는 줄줄이 묶은 상태에서 워크 반송용 주행체(1)를 주행시키거나 또는 워크 반송용 주행체(1)를 1대씩, 소정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주행시킴에 따라, 주행경로방향의 설치 간격이 설정된다. 그리하여, 이 마찰 구동장치(22)의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22a,22b)에 의해 구동되는 워크 반송용 주행체(1)가 상측 제1 반송경로(L1)를 분기점(P1)으로 향해서 주행하고, 분기점(P1)에 워크 지지 대차(2)가 위치하는 정위치에서 정지하는 것으로 된다. 이 분기점(P1)에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위치에 정지한 워크 반송용 주행체(1)의 워크 지지 대차(2)에서 횡동용 차륜 유니트(14a~14d)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승강 가이드 레일(24a,24b)과, 띠판형상 부재(19)의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에 가까운 측의 단부 근방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승강 자유로운 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가 배설되어 있다. 이 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는, 띠판형상 부재(19)의 양 측면인 횡동용 마찰 구동면(20a,20b)에 압접 가능한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25a,25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24a,24b)과 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는, 분기점(P1)의 바로 아래의 플로어 아래 피트(26) 내에 설치된 승강장치(27)의 승강대(27a) 상에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치(27)는, 승강 가이드 기구에 의해 수직 평행하게 승강자유로이 지지한 승강대(27a)를 적당한 액추에이터에 의해 하강한과 상승한의 사이에서 승강 구동하는 것이고, 하강한까지 내려진 승강 가이드 레일(24a,24b)과 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는, 도 7A 및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기점(P1)에 진입해 오는 워크 지지 대차(2)의 횡동용 차륜 유니트(14a~14d)나 띠판형상 부재(19) 보다 하측에 있어, 이들과 간섭하지 않는다. 또한, 이 분기점(P1)으로부터 합류점(P2)까지의 보조 대차 주행경로(L5)에는, 분기점(P1)에서 정위치에 정지한 워크 반송용 주행체(1)의 보조 대차(3,4)를, 양 보조 대차(3,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 채 합류점(P2)까지 구동하는 복수 대의 보조 대차 구동용 마찰 구동장치(28)가 병설되어 있다. 각 보조 대차 구동용 마찰 구동장치(28)는, 마찰 구동장치(22)와 동일한 구조의 것이고, 각 대차(3,4)의 종동용 마찰 구동면(18a,18b)에 압접하는 좌우 한쌍의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28a,28b)을 구비하고, 보조 대차(3,4)의 주행방향의 전장(각 대차(3,4)의 종동용 마찰 구동면(18a,18b)의 전장) 보다 길지 않은 간격으로, 보조 대차 주행경로(L5)에 따라서 복수 대가 병설 배치되어 있다.
워크 반송용 주행체(1)가 분기점(P1)에 도달하여 정지했다면, 승강장치(27)를 가동시켜 승강 가이드 레일(24a,24b)과 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를 하강한 위치로부터 상승한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이 결과, 승강 가이드 레일(24a,24b)이, 분기점(P1)의 정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는 워크 지지 대차(2)의 횡동용 차륜 유니트(14a~14d)의 각 차륜(12)을 통해서 당해 워크 지지 대차(2)를 수직 평행하게 들어 올림과 동시에, 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의 한쌍의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25a,25b) 사이에 워크 지지 대차(2)의 띠판형상 부재(19)가 상대적으로 감입하고, 당해 띠판형상 부재(19)의 좌우 양 횡동용 마찰 구동면(20a,20b)에 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의 한쌍의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25a,25b)이 압접하는 것으로 된다.
더욱이, 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의 한쌍의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25a,25b)은, 상승한 위치에 달할 때까지는 좌우로 열린 상태를 유지하고, 상승한 위치에 도달함과 동시에 닫혀서 띠판형상 부재(19)의 좌우 양 횡동용 마찰 구동면(20a,20b)에 압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는, 한쌍의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25a,25b)의 내, 제1 반송경로(L1)의 하측에 위치하는 마찰 구동륜(25a)이, 분기점(P1)의 정위치에 정지하는 워크 지지 대차(2)의 띠판형상 부재(19)를 받아 멈출 수 있는 높이로 되도록, 승강대(27a) 상에서는 아니고 고정 프레임 상에 설치하고, 제1 반송경로(L1)의 상측에 위치하는 마찰 구동륜(25b)은, 마찰 구동륜(25a)과의 사이에서 띠판형상 부재(19)를 끼워 넣은 작용 위치와, 상측 제1 반송경로(L1)의 주행방향의 띠판형상 부재(19)의 이동경로보다 하방의 퇴피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여하튼, 분기점(P1)에서 승강 가이드 레일(24a,24b)에 의해 워크 지지 대차(2)가 일정 레벨까지 들어 올려진 때, 도 7B 및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당해 승강 가이드 레일(24a,24b)의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측의 단부는, 분기점(P1)을 횡단하고 있는 상측 제1 반송경로(L1)의 가이드 레일(11a,11b)의 내,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에 가까운 측의 가이드 레일(11b)에 설치된 절결 분단부를 통과하여,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에 부설된 좌우 한쌍의 가이드 레일(21a,21b)과 접속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워크 지지 대차(2)가 일정 레벨까지 들어 올려지는 것으로 되고, 보조 대차 주행경로(L5)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설되어 있는 보조 대차 구동용 마찰 구동장치(28)의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28a,28b)의 내, 분기점(P1)으로부터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로 향해서 분기 횡동하는 워크 지지 대차(2)의 횡동 경로와 겹쳐지는 위치에 있는 마찰 구동륜(28b) 보다도 워크 지지 대차(2)가 상방으로 이간하는 것으로 된다. 더욱이, 워크 지지 대차(2)와 보조 대차(3,4)의 사이의 연결수단(15a,15b)은, 워크 지지 대차(2) 측의 계합부재(17)가 보조 대차(3,4) 측의 피계합부재(16)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한 연결해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의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25a,25b)을 가동함으로서, 일정 레벨까지 들어 올려진 워크 지지 대차(2)가 띠판형상 부재(19)를 통해서 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로부터 추진력을 받고, 분기점(P1)으로부터 직각 횡방향으로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로 향해서 횡동하는 것으로 된다. 더욱이, 이 때의 워크 지지 대차(2)의 횡동 경로와 겹쳐지는 위치에 있는 보조 대차 구동용 마찰 구동장치(28)의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28b)은,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로 향해서 워크 지지 대차(2)가 횡동할 때에, 당해 워크 지지 대차(2)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종동용 차륜 유니트(8a~8d), 횡동용 차륜 유니트(14a~14d), 및 띠판형상 부재(19) 등과 간섭하지 않고, 당해 워크 지지 대차(2)의 하측을 상대적으로 통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 및 복행측 제2 반송경로(L4)에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워크 지지 대차(2)의 띠판형상 부재(19)를 통해서 당해 워크 지지 대차(2)를 구동하는 마찰 구동장치(29)가 병설되어 있다. 이 마찰 구동장치(29)는, 띠판형상 부재(19)의 양측의 횡동용 마찰 구동면(20a,20b)에 압접하는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29a,29b)을 구비하는 것으로, 제1 반송경로(L1,L2,L6)에 병설되는 마찰 구동장치(22)와 동일하게, 전후의 워크 지지 대차(2)가 서로 당접하는 줄줄이 묶인 상태에서 워크 지지 대차(2)를 주행시키거나, 또는 워크 지지 대차(2)를 1대씩, 소정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주행시키는가에 따라, 주행경로 방향의 설치간격이 설정된다. 그리하여, 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에 의해 분기점(P1)에서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에 워크 지지 대차(2)가 송입될 때, 그 띠판형상 부재(19)(횡동용 마찰 구동면(20a,20b))에서 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의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25a,25b)이 벗어나기 전에, 최초의 마찰 구동장치(29)의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29a,29b) 사이에 띠판형상 부재(19)가 진입하고, 그 이후는, 이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가 구비되는 마찰 구동장치(29)에 의해 워크 지지 대차(2)가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를 횡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으로 된다.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에서 복행측 제2 반송경로(L4)로 옮겨진 워크 지지 대차(2)는, 당해 복행측 제2 반송경로(L4)에 병설된 마찰 구동장치(29)에 의해 구동되어,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를 주행할 때는 역방향으로 당해 복행측 제2 반송경로(L4)를 주행한다. 그리고, 이 워크 지지 대차(2)가, 당해 복행측 제2 반송경로(L4)에 병설된 최종의 마찰 구동장치(29)에 의해 하측 제1 반송경로(L2)로의 합류점(P2)에 송출된다.
한편, 분기점(P1)에서 남겨진 전후 2대의 보조 대차(3,4)는, 이 분기점(P1)에서 워크 지지 대차(2)가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에 송출된 후, 보조 대차 구동용 마찰 구동장치(28)에 의해 보조 대차 주행경로(L5) 상을 하측의 합류점(P2)까지 보내진다. 즉, 보조 대차 구동용 마찰 구동장치(28)는, 보조 대차(3,4)의 주행방향의 전장(각 대차(3,4)의 종동용 마찰 구동면(18a,18b)의 전장) 보다 길지 않은 간격으로, 보조 대차 주행경로(L5)에 따라서 복수 대가 병렬 설치되어 있으므로, 당해 보조 대차 구동용 마찰 구동장치(28)를 가동시켜서, 보조 대차(3,4)의 좌우 양 종동용 마찰 구동면(18a,18b)에 압접하는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28a,28b)에 의해 각 보조 대차(3,4)를 합류점(P2)으로 향해서 구동하면, 전후 양 보조 대차(3,4)는, 사이에 워크 지지 대차(2)의 상측 제1 반송경로(L1)에 있어서의 주행방향의 길이 만큼의 공간을 유지한 채, 보조 대차 주행경로(L5) 상을 아래의 합류점(P2)으로 향해서 주행하는 것으로 된다. 보조 대차 구동용 마찰 구동장치(28)는, 합류점(P2)의 전후 양 정위치까지 2대의 보조 대차(3,4)를 송입하도록 배설되어 있고, 2대의 보조 대차(3,4)는, 복동측 제2 반송경로(L4)에서 하측 제1 반송경로(L2)로의 합류점(P2)의 전후 정위치까지 송입되어 정지한다.
한편, 합류점(P2)에는, 도시 생략되어 있는데, 분기점(P1)에 설치된 승강 가이드 레일(24a,24b)과 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 및 이들을 승강 구동하는 승강장치(27)와 모두 동일의, 승강 가이드 레일과 합류용 마찰 구동장치, 및 이들을 승강 구동하는 승강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하측 제1 반송경로(L2)에서 합류점(P2)의 전후 2개소의 정위치에 보조 대차(3,4)가 대기하고 있는 상태에서, 복행측 제2 반송경로(L4)에서 최종의 마찰 구동장치(29)에 의해 합류점(P2)에 워크 지지 대차(2)가 송출될 때, 이 합류점(P2)에 설치되어 있는 승강 가이드 레일과 합류용 마찰 구동장치, 및 이들을 승강 구동하는 승강장치를, 분기점(P1)에서 승강 가이드 레일(24a,24b)과 분기용 마찰 구동장치(25), 및 이들을 승강 구동하는 승강장치(27)의 동작과 역의 동작을 사용해서 가동시키므로써, 복행측 제2 반송경로(L4)에서 송출되는 워크 지지 대차(2)를 합류용 마찰 구동장치에 의해 상승한 위치의 승강 가이드 레일로 이어 받고, 합류점(P2)의 정위치까지 송입한다. 이 후, 승강 가이드 레일을 강하시켜서, 워크 지지 대차(2)의 종동용 차륜 유니트(8a~8d)를 하측 제1 반송경로(L2)의 좌우 양 가이드 레일(11a,11b)에 옮겨 싣는 것과 함께, 합류용 마찰 구동장치를 워크 지지 대차(2)의 띠판형상 부재(19)에서 하방으로 놓아주고, 더욱이, 연결수단(15a,15b)의 워크 지지 대차(2) 측의 계합부재(17)를 보조 대차(3,4) 측의 피계합부재(16)로 위로부터 감합한다.
상기와 같은 합류점(P2)에서, 대기한 전후 2대의 보조 대차(3,4) 사이에 워크 지지 대차(2)를 복행측 제2 반송경로(L4)에서 송입하여, 각 대차(2~4)가 하측 제1 반송경로(L2)의 가이드 레일(11a,11b) 상에서 연결수단(15a,15b)에 의해 연결되어, 원래의 워크 반송용 주행체(1)에 복원되면, 당해 하측 제1 반송경로(L2)에 배설되어있는 마찰 구동장치(22)를 가동시키고, 그 워크 반송용 주행체(1)를 구동하여 당해 하측 제1 반송경로(L2) 상을 주행시킬 수 있다. 하측 제1 반송경로(L2)의 종단에 도달한 워크 반송용 주행체(1)는, 복행측 제1 반송경로(L6)를 경유하여 원래의 상측 제1 반송경로(L1)에 송입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워크 지지 대차(2)의 전후 양측에 보조 대차(3,4)가 연결된 상태의 워크 반송용 주행체(1)가, 상측 제1 반송경로(L1), 하측 제1 반송경로(L2), 및 복행측 제1 반송경로(L6)로 이루어지는 순환경로를 주행할 때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의 워크 지지 대차(2)에 워크 지지수단(5)을 통해서 지지된 워크(자동차 바디)(W)는, 그 반송방향의 전후 양 단부의 하측에 보조 대차(3,4)가 존재하므로, 작업자는, 전후 주행방향으로 나란히 3대의 대차(2~4)에 의해 형성되는, 워크(자동차 바디)(W)의 전주위에서 튀어나오는 넓은 작업 플로어를 활용하여, 워크(자동차 바디)(W)의 둘레 측부에 대한 각종 작업을 워크 반송용 주행체(1)상에 탑재한 상태에서 용이 또한 안전하게 행할 수 있다. 물론, 이때, 워크 지지수단(5)의 승강 지지암(6a,6b)을 승강시켜서, 지지하는 워크(자동차 바디)(W)의 높이를 작업내용에 따른 최적의 높이로 조정할 수 있다.
상측 제1 반송경로(L1)의 종단(분기점(P1))에 달한 워크(자동차 바디)(W)는, 당해 워크(자동차 바디)(W)를 지지하는 워크 지지 대차(2)만에 의해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로 직각 횡방향으로 송출되고, 그리고 당해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와 이것에 이어지는 복행측 제2 반송경로(L4) 상을 횡방향으로 반송되는데, 이때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워크(자동차 바디)(W)의 전후 양단부가, 워크 지지 대차(2) 상에서 반송방향에 대하여 좌우 양측으로 크게 튀어나온 상태로 된다. 따라서,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 및 복행측 제2 반송경로(L4)의 좌우 양측에 워크 지지 대차(2)의 플로어 면과 대략 동일 레벨로 고정 작업 플로어(30)를 부설해두고, 워크 지지 대차(2) 상의 워크(자동차 바디)(W)는, 워크 지지수단(5)의 승강 지지암(6a,6b)을 상승시켜서 그 지지 높이를 최대로 올려두고, 엔진이나 차륜 유니트 등의 대형 조립부품(p)을 탑재한 작업대차(C)를, 상기 고정 작업 플로어(30)상에서 워크(자동차 바디)(W)의 전후 양단부의 하측 위치까지 주행시키고, 당해 작업 대차(C) 상의 대형 조립부품(p)을 워크(자동차 바디)(W)의 전후 양단부의 저부에 부착하는 작업 등을, 안전한 고정 작업 플로어(30) 상에서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있어서, 상측 제1 반송경로(L1), 하측 제1 반송경로(L2), 및 복행측 제1 반송경로(L6)로 이루어지는 순환경로에서 워크 반송용 주행체(1)를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방식,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 및 복행측 제2 반송경로(L4)에서 워크 지지 대차(2)를 횡방향으로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방식, 분기점(P1)에서 왕행측 제2 반송경로(L3)로 워크 지지 대차(2)를 송출하기 위한 구동방식, 복행측 제2 반송경로(L4)에서 합류점(P2)에 워크 지지 대차(2)를 송입하기 위한 구동방식, 및 보조 대차 주행경로(L5)에서 전후 2대의 보조 대차(3,4)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면서 분기점(P1)에서 합류점(P2)까지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 방식 등은,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마찰 구동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찰 구동방식을 채용하는 경우에도, 실시예의 마찰 구동장치(22,25,28,29)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동 상대측의 마찰 구동면(18a,18b,20a,20b) 각각에 압접하는 한쌍의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22a,22b,25a,25b,28a,28b,29a,29b)을 구비한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과 백업 롤러로 구동 상대를 끼우는 구조의 것으로도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구동 상대측의 편측의 마찰 구동면에만 압접하는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보조 대차 주행경로(L5)에서 보조 대차(3,4)를 분기점(P1)에서 합류점(P2)까지 구동하는 구동장치의 구성에 의해서는, 승강 가이드 레일(24a,24b)에 의해 워크 지지 대차(2)를 들어 올리는 양정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승강 가이드 레일(24a,24b)에 의해 워크 지지 대차(2)를 들어 올리는 양정을 작게 할 때는, 연결수단(15a,15b)의 피계합부재(16)와 계합부재(17)를 완전하게 이탈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조 대차(3,4)에 대하여 워크 지지 대차(2)가 직각 횡방향으로 횡동하는 것으로 되고, 연결수단(15a,15b)의 피계합부재(16)와 계합부재(17)가 상하방향으로 계합하고 맞춘 상태에서 좌우 횡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미끄럼 이동하므로서, 예를 들면, 연결수단(15a,15b)의 계합부재(17)의 내측에 계합하는 피계합부재(16)를, 계합부재(17)의 길이방향으로 병렬하는 복수의 수직축 롤러로 구성하여, 연결수단(15a,15b)의 연결이 해제될 때의 마찰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물론, 연결수단(15a,15b)은, 본 발명에 필수의 것은 아니고, 설치하는 경우에도 그 구조는 한정되지 않는데, 상측 제1 반송경로(L1), 하측 제1 반송경로(L2), 및 복행측 제1 반송경로(L6)으로 이루어지는 순환경로에서 워크 반송용 주행체(1)를 주행시키기 위한 구동장치의 구성에 따라서는, 워크 지지 대차(2)의 전후 양측으로 보조 대차(3,4)를 인접시킨 상태에서 일체로 주행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때는 연결수단(15a,15b)은 없어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워크 반송 설비는, 자동차 바디의 둘레 측부에 대한 작업을 행하는 트림 라인이나 파이널 라인과, 자동차 바디의 전후 양단부의 하측에 대한 엔진이나 차륜 유니트 등의 대차 반송되는 대형 조립 부품의 조립 작업을 행하는 샤시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 조립 라인으로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1 워크 반송용 주행체
2 워크 지지 대차
3,4 보조 대차
5 워크 지지수단
8a~8d, 9a~9d, 10a~10d 종동용 차륜 유니트
11a, 11b, 21a, 21b 가이드 레일
12 차륜
13 수직축 롤러
14a~14d 횡동용 차륜 유니트
15 연결수단
16 피계합부재
17 계합부재
18a, 18b 종동용 마찰 구동면
19 띠판형상부재
20a, 20b 횡동용 마찰 구동면
22, 25, 28, 29 마찰 구동장치
22a, 22b, 25a, 25b, 28a, 28b, 29a, 29b 모터 구동의 마찰 구동륜
24a, 24b 승강 가이드 레일
26 플로어 아래 피트
27 승강장치
30 고정 작업 플로어
C 작업 대차
L1 상측 제1 반송경로
L2 하측 제1 반송경로
L3 왕행측 제2 반송경로
L4 복행측 제2 반송경로
L5 보조 대차 주행경로
L6 복행측 제1 반송경로
p 대형 조립 부품
P1 분기점
P2 합류점
W 워크(자동차 바디)

Claims (7)

  1. 워크 반송경로는, 제1 반송경로와 당해 제1 반송경로에 대하여 직각 횡방향으로 분기하는 제2 반송경로를 구비하고, 워크 반송용 주행체는, 워크 지지 대차와, 이 워크 지지 대차의 제1 반송경로에 있어서의 주행방향 전후의 적어도 일방에 인접하는 보조 대차로 구성되고, 제1 반송경로에는, 워크 지지 대차와 보조 대차를 일체로 주행시키는 워크 반송용 주행체 구동수단이 병설되고, 제1 반송경로와 제2 반송경로의 분기점에는, 보조 대차를 제1 반송경로 상에 남기고 워크 지지 대차만을 제2 반송경로로 직각 횡방향으로 분기 도입시키는 대차 분기수단이 배설되고, 제2 반송경로에는, 워크 지지 대차를, 제1 반송경로에 있어서의 당해 워크 지지 대차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직각 횡방향으로 주행시키는 워크 지지 대차 구동수단이 병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제2 반송경로의 종단은, 상기 분기점과 인접하도록 설정된 합류점에서 제1 반송경로에 대하여 직각으로 접속되고, 서로 인접하는 상기 분기점과 합류점 사이에는, 상기 분기점에서 제1 반송경로 상에 남겨진 보조 대차를, 상기 합류점에 진입하는 워크 지지 대차에 대한 전후 인접위치까지 이동시켜서 대기시키는 보조 대차 구동수단이 병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워크 반송용 주행체는, 워크 지지 대차와, 이 워크 지지 대차의 제1 반송경로에 있어서의 주행방향 전후 양측으로 인접하는 2대의 보조 대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설비.
  4. 제 2 항에 있어서, 워크 반송용 주행체는, 워크 지지 대차와, 이 워크 지지 대차의 제1 반송경로에 있어서의 주행방향 전후 양측으로 인접하는 2대의 보조 대차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 대차 구동수단은, 각 보조 대차에 설치된 마찰 구동면의 전장보다 길지 않은 간격으로 상기 분기점과 합류점 사이의 경로를 따라 배치된 마찰 구동장치로 구성되고, 전후로 떨어져 위치하는 2대의 보조 대차를, 양 보조 대차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여 분기점에서 합류점까지 마찰 구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설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워크 지지 대차와 보조 대차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수단이 병설되고, 이 연결수단의 연결을 상기 분기점에서 해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연결수단은, 상기 분기점에서 워크 지지 대차와 보조 대차 사이의 횡방향의 상대 이동을 허용하는 상태에서 서로 상하방향으로 감합하는 워크 지지 대차측의 계합부재와 보조 대차측의 피계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설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 분기수단은, 당해 워크 지지 대차를 제2 반송경로에서의 주행방향으로 지지 안내하는 승강 자유로운 승강 가이드 레일과, 이 승강 가이드 레일에 의해 들어 올려진 워크 지지 대차를 제2 반송경로 내로 추진시키는 워크 지지 대차 분기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승강 가이드 레일에 의해 워크 지지 대차가 들어 올려진 때, 상기 연결수단의 계합부재와 피계합부재가 서로 상하로 이탈하거나 또는 감합 깊이가 앝게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크 반송 설비.
KR1020117029944A 2009-09-15 2010-09-06 워크 반송 설비 KR101477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12765 2009-09-15
JP2009212765A JP5212836B2 (ja) 2009-09-15 2009-09-15 ワーク搬送設備
PCT/JP2010/065257 WO2011033959A1 (ja) 2009-09-15 2010-09-06 ワーク搬送設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456A true KR20120059456A (ko) 2012-06-08
KR101477700B1 KR101477700B1 (ko) 2014-12-31

Family

ID=43758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944A KR101477700B1 (ko) 2009-09-15 2010-09-06 워크 반송 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312979B2 (ko)
JP (1) JP5212836B2 (ko)
KR (1) KR101477700B1 (ko)
CN (1) CN102020099B (ko)
BR (1) BRPI1013092B1 (ko)
WO (1) WO20110339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70699B2 (ja) * 2011-06-24 2013-12-18 株式会社ダイフク 摩擦駆動の台車式搬送装置
US9946245B2 (en) 2011-07-25 2018-04-17 Celeritive Technologies, Inc. Non-concentric milling
US10022833B2 (en) 2012-05-03 2018-07-17 Celeritive Technologies, Inc. High performance multi-axis milling
CN102849423B (zh) * 2012-09-29 2015-08-12 厦门思尔特机器人***有限公司 重型有轨自由穿梭小车
RU2518146C1 (ru) * 2013-01-09 2014-06-10 Денис Владимирович Шувалов Конвейерная система перемещения прицепов в складских условиях
JP2014190114A (ja) * 2013-03-28 2014-10-06 Daifuku Co Ltd 搬送用走行体の走行経路構造
WO2015030059A1 (ja) * 2013-08-28 2015-03-05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組立ライン
CN105292977B (zh) * 2015-10-21 2017-10-10 天津百利阳光环保设备有限公司 有机垃圾喷爆处理工艺全自动储料输运***换轨小车
JP6478055B2 (ja) * 2016-02-12 2019-03-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搬送設備
DE102018109584A1 (de) * 2018-04-20 2019-10-24 Eisenmann Se Förderanlage mit einem Förderwagen
DE102018109934A1 (de) * 2018-04-25 2019-10-31 Eisenmann Se Behandlungsanlage zum Behandeln von Werkstücken
JP7303636B2 (ja) * 2019-01-30 2023-07-05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組立設備
CN110950047B (zh) * 2019-12-11 2021-03-19 哈尔滨学院 一种可自动进行对接工作的产品生产线用输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2333A (en) * 1968-01-23 1971-07-13 Rapistan Inc Cargo-handling system and method
US3690435A (en) * 1970-04-16 1972-09-12 John W King Article conveyor system
JPH0175020U (ko) * 1987-11-06 1989-05-22
JP2762179B2 (ja) 1991-06-07 1998-06-04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搬送台車の自動搬送装置
JPH05246538A (ja) * 1992-03-05 1993-09-24 Daifuku Co Ltd パレット体使用の搬送設備
JPH0741161A (ja) * 1993-07-29 1995-02-10 Toyota Motor Corp コンベヤにおける移動体搬送方向変換装置及び移動体連結確認装置
JP2000229727A (ja) * 1999-02-09 2000-08-22 Uni Harts Kk 台車移送装置
JP3687834B2 (ja) * 1999-07-26 2005-08-24 株式会社ダイフク 作業用台車式搬送装置
JP4066576B2 (ja) * 1999-10-26 2008-03-26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再生装置及び方法
JP3879967B2 (ja) * 2000-09-14 2007-0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パレット搬送組立ライン
US7127997B2 (en) * 2003-06-27 2006-10-31 Daifuku Co., Ltd. Friction drive conveyor
US7284651B2 (en) * 2005-06-20 2007-10-23 Durr Systems, Inc. Conveyor system and method of conveying elements
EP2143842A1 (en) * 2008-07-07 2010-01-13 ROFA Rosenheimer Förderanlagen GmbH Rail system for a powered pallet convey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20099A (zh) 2011-04-20
WO2011033959A1 (ja) 2011-03-24
JP5212836B2 (ja) 2013-06-19
KR101477700B1 (ko) 2014-12-31
US20120160635A1 (en) 2012-06-28
JP2011063044A (ja) 2011-03-31
BRPI1013092B1 (pt) 2020-08-11
BRPI1013092A2 (pt) 2016-04-05
CN102020099B (zh) 2013-07-03
US8312979B2 (en) 201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9456A (ko) 워크 반송 설비
CN109607014B (zh) 一种车轮调节装置及其四向搬运车
TWI655144B (zh) Lifting and handling device
US8459438B2 (en) Workpiece conveyance device
CN105253512B (zh) 一种带移载小车的立体仓库
TWI558632B (zh) 物品保管設備及物品保管設備之維修方法
CN102923427A (zh) 物品运送设备
JP5206020B2 (ja) 搬送装置
JP6024827B2 (ja) 搬送装置
JP2016175711A (ja) 昇降搬送装置
KR101354200B1 (ko) 자동차 조립 라인 시스템
JP6531626B2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2016098069A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ベア装置
JP2013237511A (ja) カゴ台車用移載装置
CN112977235B (zh) 用于调度穿梭车的设备及***
JP3906900B2 (ja) 自動車の組立用搬送装置
KR20130115138A (ko) 반송 장치
CN212981488U (zh) 一种离散型输送货架
JP3616733B2 (ja) 搬送装置
JP5633957B2 (ja) 部品搬送システム
JP6066107B2 (ja) 搬送台車昇降装置付き搬送装置
CN211003246U (zh) 一种物料升降输送装置
WO2024070927A1 (ja) 搬送設備(transport facility)
JP7289209B2 (ja) 機械式駐車装置
CN220536740U (zh) 一种双向行驶的工件运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