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6014A - 휴대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휴대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6014A
KR20110036014A KR1020110010004A KR20110010004A KR20110036014A KR 20110036014 A KR20110036014 A KR 20110036014A KR 1020110010004 A KR1020110010004 A KR 1020110010004A KR 20110010004 A KR20110010004 A KR 20110010004A KR 20110036014 A KR20110036014 A KR 20110036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unit
display
rotation
rotary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7868B1 (ko
Inventor
히로키 이토
다카유키 야지마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88717A external-priority patent/JP471923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88715A external-priority patent/JP47241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1632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2678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41748A external-priority patent/JP47092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4442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290847A/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36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6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04W8/245Transfer of terminal data from a network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 다이얼부를 구비함으로써, 직감적인 조작이 가능한 휴대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휴대 전화기(1)는 조작부측 케이스(2)와, 표시부측 케이스(3)와, 조작부측 케이스(2)와 표시부측 케이스(3)를 개폐축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기구(4A)를 갖는 케이스와, 케이스에 회전축(Z)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표준 위치를 갖게 부착되는 회전 다이얼부(41)와,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의 쌍방의 상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위치에 마련되고,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에 대한 표시가 되는 표시(42)와,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에 기초해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제어부(74)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휴대 전자 기기{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회전 다이얼을 가진 휴대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자 기기로서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보다 직감적인 유저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힌지부를 갖는 폴더 타입의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힌지부에 볼륨 전환 등에 이용하는 회전 다이얼을 마련한 휴대 전화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을 참조).
최근, 휴대 전화기는 통신·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텔레비젼이나 라디오를 시청하는 기능도 탑재되어 다기능화되어 있다.
여기서,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텔레비젼 시청 기능 등의 기능이 선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통화의 대기 화면이 탑 화면으로 표시된다.
그리고, 유저가 소정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대기 화면으로부터 다른 기능을 선택하는 메뉴 선택 화면으로 이행하고, 또한 상기 선택 메뉴 화면에 있어서 유저가 소정의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원하는 기능을 기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메뉴 선택 화면에는 다수의 기능이 나열되어 기재되기 때문에 익숙하지 않은 유저에게는 원할한 조작이 곤란해서, 휴대 전화기 자체의 사용에 대해 저항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다.
그런데,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는 회전 다이얼에 의해서 메뉴 선택을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회전 다이얼에는 무비 기능(동화를 기록하는 기능)이나, 연사 기능(정지 화면 촬영을 단시간에 복수 행하는 기능) 등의 촬영 작업을 보조하는 메뉴가 선택 가능하게 할당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2를 참조).
일본 특허 공개 평 6-9020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1 -245189호 공보
현재,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는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되고 있는 것 같은 회전 다이얼에 의한 복수 메뉴의 선택 방식은 채용되고 있지 않다.
또한, 휴대 전화기에는 디지털 카메라에는 없는 특유한 기능(통신·통화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서, 탑 화면에서의 통신·통화의 대기 화면이 표시된다고 하는 차이점이 있다.
더욱이는, 통신·통화 기능과는 다른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킨 후, 상기 소정의 기능을 종료한 경우에는 통신·통화의 대기 화면이 표시되는 등의 사양 상의 차이점도 존재한다.
따라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기술을 휴대 전화기에 단지 응용한 것 만으로는 휴대 전화기의 조작상 및 사용상 부적당함이 일어난다.
본 발명은 회전 다이얼부를 구비함으로써, 직감적인 조작이 가능한 휴대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자 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표시부와, 소정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회전 다이얼부와, 상기 회전 다이얼부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와, 상기 회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회전 상태에 따른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상기 기동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휴대 전자 기기에서는, 상기 케이스는 상기 표시부를 갖는 제 1 케이스와, 조작부를 갖는 제 2 케이스와, 힌지 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 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태를 상대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스를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로 변이하는 구성이고, 상기 케이스가 닫힘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검출부에 의해 상기 회전 다이얼부의 회전의 검출이 생겼을 때, 상기 개폐 검출부에 의해 상기 케이스가 닫힘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되고 있는 경우에는 회전 상태에 따른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또한 상기 기동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개폐 검출부에 의해 상기 케이스가 닫힘 상태라고 검출되고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전자 기기에서는, 제 1 면을 갖는 제 1 케이스편과, 제 2 면을 갖는 제 2 케이스편과,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이 대향하도록 근접해서 배치되는 닫힘 상태와 상기 제 1 면과 상기 제 2 면이 서로 이격해서 배치되는 열림 상태로, 상기 제 1 케이스편과 상기 제 2 케이스편을 개폐축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기구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상기 열림 상태 및 상기 닫힘 상태의 쌍방의 상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회전 다이얼부의 회전 위치에 대한 표시가 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다이얼부는 상기 케이스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고 표준 위치를 갖게 부착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다이얼부의 회전 위치에 기초해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전자 기기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회전 다이얼부에서의 회전 위치에 기초해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전자 기기에서는, 상기 회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량과 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규정 순서로서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를 참조해서 상기 회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량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표시 오브젝트 선택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오브젝트 선택부는 상기 회전 다이얼부가 회전되었을 때에, 상기 회전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량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하고, 특정된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상기 규정 순서에 따라서 상기 특정된 애플리케이션에 이웃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 오브젝트를 선택하며,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상기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전자 기기에서는, 상기 회전 다이얼부의 표면에는 회전하는 방향에 있어서 소정 간격마다 각각 식별 가능한 추상적인 기호가 붙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전자 기기에서는, 소정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하는 방향에 있어서 소정 간격마다 복수의 지표가 마련되어 있는 상기 회전 다이얼부가 회전되었을 때, 상기 복수의 지표 중 상기 회전에 의해 특정되는 지표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여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결정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 결정부에서 결정되는 애플리케이션이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인 경우에, 상기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의 소정 처리를 실행하는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상기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은 복수 존재하며, 상기 복수의 지표 중 복수의 상기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지표가 각각 이웃끼리 상기 회전 다이얼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전자 기기에서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일 때에, 상기 디바이스를 동작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전자 기기에서는, 상기 회전 다이얼부에의 접촉을 검출하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에 의해 상기 회전 다이얼부에의 접촉이 검출된 경우, 상기 회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회전에 기초해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휴대 전자 기기에서는, 상기 회전 검출부는 상기 터치 센서에 의해 접촉이 검출된 후, 상기 회전 다이얼부에서의 회전을 검출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회전 다이얼부를 구비함으로써, 직감적인 조작이 가능한 휴대 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휴대 전화기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표시부측 케이스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휴대 전화기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부측 케이스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회전 다이얼부 부근을 확대했을 때의 도면,
도 5는 회전 다이얼부의 기능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6은 회전 다이얼부에 있어서의 이면에서 본 평면도,
도 7은 회전 다이얼부에 형성된 위치 포인트와 카운트부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 8은 휴대 전화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9는 처리부에 있어서의 기능 블록도,
도 10은 휴대 전화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11은 열림 상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메뉴 화상(M)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닫힘 상태에 있어서 서브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메뉴 화상(M1)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표시부측 케이스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표시부측 케이스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케이스의 열림 상태에 있어서 일정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킬 때의 제어부의 동작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흐름도,
도 17은 케이스의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 중 어떤 상태에 있어서도 일정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킬 때의 제어부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에 제공하는 흐름도,
도 18은 회전 다이얼부의 회전과 표시부의 표시 양태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19는 회전 다이얼부에 붙어 있는 각 기호와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20은 회전 다이얼부에 붙어 있는 각 기호와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관계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도면,
도 21은 휴대 전화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22는 휴대 전화기에 구비되어 있는 처리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23은 휴대 전화기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부터 도 7에 의해,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전화기의 일례인 휴대 전화기(1)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휴대 전화기(1)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표시부측 케이스(3)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은 휴대 전화기(1)의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부측 케이스(2)로부터 보았을 때의 외관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4는 회전 다이얼부 부근의 확대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5는 회전 다이얼부의 기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회전 다이얼부에서의 이면(41C)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회전 다이얼부(41)에 형성된 위치 포인트(43)와 카운트부(44)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
휴대 전화기(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면으로서의 제 1 표면부(10A)를 갖는 제 1 케이스편으로서의 조작부측 케이스(2)와, 제 2 면으로서의 제 2 표면부(20A)를 갖는 제 2 케이스편으로서의 표시부측 케이스(3)를 구비한다. 조작부측 케이스(2)의 상단부와 표시부측 케이스(3)의 하단부는, 연결부(4)에 배치되어 개폐축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한 힌지 기구(4A)를 통해서 연결된다.
휴대 전화기(1)는 힌지 기구(4A)를 통해서 연결된 조작부측 케이스(2)와 표시부측 케이스(3)를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조작부측 케이스(2)에 있어서의 제 1 표면부(10A)와 표시부측 케이스(3)에 있어서의 제 2 표면부(20A)가 서로 이격된 열림 상태와, 조작부측 케이스(2)에 있어서의 제 1 표면부(10A)와 조작부측 케이스(2)에 있어서의 제 2 표면부(20A)가 서로 대향해서 근접 배치된 닫힘 상태로 개폐축을 중심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개폐 상태는 조작부측 케이스(2)에 배치되는 도시 생략한 자석과, 조작부측 케이스(2)에 배치되는 도시 생략한 홀 소자로 구성되는 개폐 센서(300)(도 8 참조)에 의해 검출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1)는 힌지 기구(4A)와 대략 동축으로 설정된 회전축(Z)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회전 다이얼부(41)가 배치된다.
연결부(4)는 조작부측 케이스(2)의 일부와, 표시부측 케이스(3)의 일부로 구성된다. 연결부(4)를 구성하는 조작부측 케이스(2)의 일부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의 쌍방에 있어서 외부로 노출하는 노출부(120)를 갖는다. 노출부(120)에는 후술하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에 대한 표시가 되는 표시(42)가 형성된다. 표시부로서의 표시(42)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에 대한 표시가 된다.
조작부측 케이스(2)는 제 1 표면부(10A)와 제 1 이면부(10B)를 갖는다. 조작부측 케이스(2)에 있어서의 제 1 표면부(10A)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닫힘 상태에서 보이지 않는 조작부(11)와, 사용자가 통화시에 내는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12)가 배치된다. 조작부측 케이스(2)에 있어서의 제 1 이면부(10B)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사체를 촬상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등에 의해 구성되는 촬상부(17)와, 일정한 광량을 출력하는 발광부(18)가 형성된다.
조작부(11)는 각종 설정이나 전화 번호부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기 위한 키, 오프 후크키나, 온 후크키를 포함하는 기능 설정 조작 버튼(13)과, 전화 번호의 숫자나 메일 등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조작 버튼(14)과, 각종 조작에 있어서의 결정이나 스크롤 등을 행하는 결정 조작 버튼(15)과, 볼륨 컨트롤 등을 행하는 컨트롤 버튼(16)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휴대 전화기(1)에는 소정의 기능(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조작 부재로서 상술한 기능 설정 조작 버튼(13) 외에, 이후에 상술하는 회전 다이얼부(41)가 배치된다.
또한, 조작부측 케이스(2)는 키 구조부와, 키 기판과, 케이스체와, 기준 전위 패턴층 및 휴대 전화기용 RF(Radio Frequency) 모듈 등의 각종 전자 부품을 구비하는 회로 기판과, 안테나부와, 충전지(80)와, 후술하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을 검출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카운트부(44)(도 7 참조)를 수용한다.
표시부측 케이스(3)에 있어서의 제 2 표면부(20A)에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표시부로서의 디스플레이(21)와, 통화 상대측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22)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21)는 탑 화면으로서 통신·통화 대기 화상을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21)는 기능의 내용을 나타내는 화상을 포함하는 메뉴 화상(M)(도 11 참조)이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21)에는 후술하는 터치 센서(200)가 회전 다이얼부(41)에 손가락 등의 전도체가 접촉한 것을 검출한 경우, 메뉴 화상(M)이 표시된다.
메뉴 화상(M)은 표시(42)의 옆으로 나열되는 선택 위치(S)에 배치된 후술하는 아이콘(I)에 대응하는 기능(애플리케이션)의 내용을 나타내는 화상(문자를 포함한다)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메뉴 화상(M)은 열림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11) 및 디스플레이(21)측으로부터 본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기능 표시부(41B)의 표시 양태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메뉴 화상(M)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기능의 명칭(약칭)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메뉴 화상(M)은 기능 표시부(41B)에서의 아이콘(I)과 같은(예컨대, 유사한) 화상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21)는 소정의 기능을 동작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디스플레이(21)는 닫힘 상태에 있어서 보이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카메라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21)에는 촬상부(17)에 의해 촬상되는 화상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다. 메일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21)에는 수신된 전자 메일의 일람이나 메일 작성 화면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다. 캘린더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21)에는 각 달의 캘린더 화면이나 스케쥴 화면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다. 툴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21)에는 복수의 툴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다. 텔레비젼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21)에는 수신한 방송 신호 중 선택된 채널에 대응하는 방송 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다. 메모장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21)에는 문자 입력이 가능한 입력 화면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다. 주소록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21)에는 도시 생략한 메모리에 기억되는 복수의 어드레스 정보가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들의 애플리케이션은 온 후크 키(줄여서 통화키)를 누름으로서 종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 디스플레이(21)는 탑 화면으로서의 통신·통화의 대기 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어부(74)는 전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고 있다. 그리고, 조작부(11)는 숫자를 입력하는 기능이 할당된 입력 조작 버튼(14)이 눌리는 것으로 발호할 전화 번호의 입력을 접수한다.
표시부측 케이스(3)에 있어서의 제 2 이면(20B)(제 2 표면부(20A)와 반대측의 면)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서브디스플레이(23)가 닫힘 상태여도 외부에 노출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서브디스플레이(23)는 디스플레이(21)와 마찬가지로 상술한 각종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열림 상태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1)에 애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화상이 표시되고, 닫힘 상태인 경우에는 서브디스플레이(23)에 애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서브디스플레이(23)는 디스플레이(21)에 비교해서 화면이 작기 때문에,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부나, 유사한(작게 한) 화상이 표시된다. 또한, 서브디스플레이(23)에는 각종 기능 중 휴대 전화기(1)가 닫힘 상태인 경우에는 기동되지 않는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화상은 표시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21) 및 서브디스플레이(23) 각각은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액정 패널의 배면측에서 광을 조사하는 백 라이트 등의 광원부를 갖고 구성된다.
회전 다이얼부(41)는 회전축(Z)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다이얼부(41)는 케이스의 일부인 연결부(4)에 있어서의 폭 방향(X)으로 힌지 기구(4A)와 대략 동축의 회전축(Z)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회전 다이얼부(4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가 열림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11) 및 디스플레이(21)를 보면서 회전 조작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회전 다이얼부(4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가 닫힘 상태에 있어서, 서브디스플레이(23)를 보면서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회전 다이얼부(41)는 당접부(41A)와, 기능 표시부(41B)를 구비한다.
당접부(41A)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측면이고, 상기 회전 다이얼부(41)가 부착된 상태로 폭 방향(X)에서의 단부측에 배치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당접부(41A)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고 회전 다이얼부(41)를 회전 동작시키기 쉽게 구성된다.
기능 표시부(41B)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측면이고, 상기 회전 다이얼부(41)가 부착된 상태로 당접부(41A)보다 폭 방향(X)에서의 중앙측에 배치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기능 표시부(41B)에는 표면에 기능을 나타내는 기호 혹은 그림인 아이콘(I)(지표)이 표시된다. 기능 표시부(41B)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예컨대, 45도)마다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I)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능 표시부(41B)에는 표준 위치로서의 뉴트럴을 나타내는 원표시의 아이콘(Ia)이 표시된다. 또한, 기능 표시부(41B)에는 45도(뉴트럴을 기준으로 한 경우의 회전 a 방향의 각도를 나타낸다. 이하 동일함)의 위치에 형성되는 카메라 기능을 나타내는 카메라의 아이콘(Ib)이 표시된다. 또한, 기능 표시부(41B)에는 90도의 위치에 형성된 메일 기능을 나타내는 편지의 아이콘(Ic)이 표시된다. 또한, 기능 표시부(41B)에는 135도에 형성된 캘린더 기능을 나타내는 캘린더의 아이콘(Id)이 표시된다. 또한, 기능 표시부(41B)에는 180도의 위치에 형성된 툴 기능을 나타내는 툴의 아이콘(Ie)이 표시된다. 또한, 기능 표시부(41B)에는 225도의 위치에 형성된 텔레비젼 기능을 나타내는 텔레비젼의 아이콘(If)이 표시된다. 또한, 기능 표시부(41B)에는 270도의 위치에 형성되어 메모장 기능을 나타내는 펜의 아이콘(Ig)이 표시된다. 또한, 기능 표시부(41B)에는 315도의 위치에 형성되어 어드레스 기능을 나타내는 수첩의 아이콘(Ih)이 표시된다.
기능 표시부(41B)는 회전 조작이 부가된 당접부(41A)의 회전에 동반해서 회전된다. 휴대 전화기(1)가 열림 상태에 있어서의 조작부(11) 및 디스플레이(21)측에 표시되는 아이콘(I)은 당접부(41A)에 의한 회전에 동반해서 변경된다. 더욱이, 연결부(4)의 외면이고 휴대 전화기(1)가 열림 상태에 있어서 조작부(11) 및 디스플레이(21)측을 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표시(42)와 폭 방향(X)으로 나열된 위치인 선택 위치(S)에 배치되는 아이콘(I)은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에 동반해서 변경된다. 선택 위치(S)에 배치되는 아이콘(I)은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위치는 표준 위치를 기준으로 한 회전량을 말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준 위치란 기능 표시부(41B)에서의 원 표시의 아이콘(Ia)이 선택 위치(S)에 배치된 상태를 말한다.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연결부(4)측에는 연결부(4)에 형성된 도시 생략한 삽통부에 삽입되는 회전축부(45)가 형성된다.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연결부(4)측의 면인 이면(41C)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 방향(회전 방향)을 따라서 돌기 형상의 위치 포인트(43a부터 43h)가 형성된다. 위치 포인트(43a부터 43h)는 원주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위치 포인트(43a부터 43h)는 원주 방향에 있어서, 각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I) 끼리의 사이에 형성된다.
연결부(4)에는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된 상태에 있어서의 위치 포인트(43a부터 43h)의 이동 궤적상에 설편(舌片)(44a)이 위치하는 카운트부(44)가 배치된다.
카운트부(44)는 설편(44a)이 회전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통과한 위치 포인트(43a부터 43h)의 수를 카운트한다. 구체적으로는 설편(44a)이 회전 a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있어서는 카운트수를 가산하여, 회전 b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카운트수를 감산한다. 표준 위치를 기준으로 한 카운트수에 따라, 후술하는 회전량 검출부(72)(도 9 참조)에 의해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이 검출되고, 그 결과 회전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회전 다이얼부(41)는 회전축(Z)이 힌지 기구(4A)의 개폐축과 동축이 되도록 조작부측 케이스(2)에 부착된다. 회전 다이얼부(41)는 조작부측 케이스(2)에 있어서의 노출부(120)에 인접하는 위치에 부착된다. 즉, 회전 다이얼부(41)는 노출부(120)에 배치된 표시(42)와 인접해서 배치된다.
또한, 회전 다이얼부(41)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제 또는 도전성을 갖도록 처리된 수지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회전 다이얼부(41)의 내부에는 상기 회전 다이얼부(41)에의 접촉을 검출하는 터치 센서(200)가 배치된다. 터치 센서(200)(터치 센서 검출부(71))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유저의 손가락의 당접에 의한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상기 회전 다이얼부(41)에의 접촉을 검출한다.
터치 센서(200)(터치 센서 검출부(71))에 의한 회전 다이얼부(41)에 관한 접촉 검출은 회전량 검출부(72)나 제어부(74)에 대한 트리거로 된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센서(200)에 의해 회전 다이얼부(41)에의 접촉이 검출된 경우, 후술하는 회전량 검출부(72)(도 9 참조)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이 검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회전량 검출부(72)는 터치 센서(200)에 의해 접촉이 검출된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제어부(74)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해 검출된 회전량에 기초해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 가능한 상태이다.
이 경우, 회전량 검출부(72)가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을 검출 가능한 상태로 된 것 및 선택되어 기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내용을 통지하는 메뉴 화상(M)이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된다. 후술한 바와 같이, 기동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내용을 나타내는 화상(문자)을 포함하는 메뉴 화상(M)을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다(도 12 참조).
또한, 터치 센서(200)(터치 센서 검출부(71))에 의한 회전 다이얼부(41)에의 접촉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74)는 기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터치 센서(200)(터치 센서 검출부(71))에 의한 회전 다이얼부(41)에의 접촉이 검출되지 않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 제어부(74)는 접촉이 검출되지 않은 시점에서 기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여기서, 회전 다이얼부(41)의 조작 및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전 다이얼부(4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의 손가락에 의해 당접부(41A)에 회전 방향(도 4 중 화살표의 회전 a 방향 및 화살표의 회전 b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짐으로써 회전하도록 케이스에 있어서의 연결부(4)에 부착된다. 회전 다이얼부(41)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아이콘(I)(아이콘(Ia부터 Ih)가 붙어 있다. 아이콘(I)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때에 유저에 있어서 이해(이미지)하기 쉬운 기호나 도면에 의해서 그려져 있다.
유저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당접부(41A)에 손가락을 두고, 회전 다이얼부(41)를 회전시키기 위한 준비 상태에 들어간다. 이 경우,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에, 터치 센서(200)는 회전 다이얼부(41)에의 접촉을 검출한다. 이로써, 후술한 회전량 검출부(72)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을 검출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유저는 아이콘(I)을 단서로 해서, 소망하는 기능(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아이콘(I)을 선택 위치(S)까지 이동시킨다. 이로써, 제어부(74)는 선택 위치(S)에 배치되는 아이콘(I)에 대응하는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 가능한 상태로 한다.
유저는 원하는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한 아이콘(I)이 선택 위치(S)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당접부(41A)에 두고 있던 손가락을 이격시킨다. 당접부(41A)로부터 유저의 손가락이 이격되어 터치 센서(200)가 접촉을 검출하지 않게 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한 후, 제어부(74)는 터치 센서(200)에 의해 접촉이 검출되지 않게 된 시점에 특정되는 회전 위치에 기초해서 기동 가능한 상태에 있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이렇게 해서, 회전 다이얼부(41)는 물리적인 회전 다이얼의 조작에 의해, 각종 기능을 발휘하는 메뉴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다이얼부(41)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무조작시(뉴트럴(N))를 기준으로 해서, 회전 a 방향으로 45도(회전 b 방향으로 315도)±22.5도 회전됨으로써, 촬상부(17)의 카메라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유저의 손가락이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이격해서 소정 시간(예컨대, 2부터 3초간) 경과한 후, 촬상부(17)의 카메라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다.
또한, 유저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a 방향으로 90도(회전 b 방향으로 270도)±22.5도 회전됨으로써, 메일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유저의 손가락이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이격해서 소정 시간(예컨대, 2부터 3초간) 경과한 후, 메일의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다.
또한, 유저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a 방향으로 135도(회전 b 방향으로 225도)±22.5도 회전됨으로써, 캘린더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유저의 손가락이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이격해서 소정 시간(예컨대, 2부터 3초간) 경과한 후, 캘린더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다.
또한, 유저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a 방향으로 180도(회전 b 방향으로 180도)±22.5도 회전됨으로써, 툴 메뉴(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소리 출력 등에 대한 각종 설정을 행하는 메뉴)를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유저의 손가락이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이격해서 소정 시간(예컨대, 2부터 3초간) 경과한 후, 툴 메뉴(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소리 출력 등에 대한 각종의 설정을 하는 메뉴)를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다.
또한, 유저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a 방향으로 225도(회전 b 방향으로 135도)±22.5도 회전됨으로써, 텔레비젼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유저의 손가락이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이격해서 소정 시간(예컨대, 2부터 3초간) 경과한 후, 텔레비젼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다.
또한, 유저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a 방향으로 270도(회전 b 방향으로 90도)±22.5도 회전됨으로써, 메모장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유저의 손가락이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이격해서 소정 시간(예컨대, 2부터 3초간) 경과한 후, 메모장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다.
또한, 유저의 회전 조작에 의해서,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a 방향으로 315도(회전 b 방향으로 45도)±22.5도 회전됨으로써, 주소록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유저의 손가락이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이격해서 소정 시간(예컨대, 2부터 3초간) 경과한 후, 주소록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1)가 닫힘 상태에 있어서, 열림 상태의 경우에 비교해서 기동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제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휴대 전화기(1)는 열림 상태에 있어서 기동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중 한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만 기동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 다이얼부(41)는 예컨대, 닫힘 상태에 있어서 기동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회전 위치에의 회전이 제한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닫힘 상태에서 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규제하는 방법으로는 2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제 1 로, 구조적으로 규제하는 경우이다.
닫힘 상태시에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가능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하고, 회전 다이얼부(41)에의 아이콘(I)(지표)의 할당에 있어서, 규제 대상이 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아이콘(I)을, 제한되는 회전 위치에 할당하면 된다. 그리고,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천이했을 때에는 힌지부 내의 도시하지 않은 캠의 이동 등에 의해,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이 규제되면, 유저는 규제 대상이 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아이콘으로 회전시킬 수 없게 된다. 이로써, 닫힘 상태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일부 규제가 가능하다.
또한, 제 2 로, 소프트적으로 규제하는 경우이다.
닫힘 상태시에 기동 가능/기동 규제를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마다 파악하는 규제 테이블을 미리 기억부(100)에 보존해 둔다. 그리고, 닫힘 상태에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을 검출하면, 제어부(74)는 특정된 회전 위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동 가능한 것인지 아닌지, 규제 테이블을 참조해서 특정한다. 규제 대상이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지 않고, 회전 발생전의 상태를 유지해서, 기동 가능하면 대응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이로써, 닫힘 상태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일부 규제가 가능하다. 이들, 규제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대상으로서는, 닫힘 상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사용에 적합하지 않은 툴 메뉴나, 인터넷 접속 등이 바람직하다.
표시(42)는 조작부측 케이스(2)의 일부로 연결부(4)를 구성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표시(42)는 연결부(4)에 있어서의 노출부(120)에 형성된다. 표시(42)는 휴대 전화기(1)가 열림 상태에 있어서도, 닫힘 상태에 있어서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노출된다. 즉, 열림 상태에서도 닫힘 상태에서도 노출하는 위치에 복수의 지표(아이콘(I)) 중 어느 하나를 가리키는 표시(4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다이얼부(41)도 마찬가지로, 열림 상태에 있어서도, 닫힘 상태에 있어서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노출된다. 이로써, 유저는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에 있어서, 외부에서 표시(42) 및 표시(42)와 함께 선택 위치(S)에 배치되는 아이콘(I)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유저는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에 있어서, 외부에서 표시(42) 및 표시(42)와 함께 선택 위치(S)에 배치되는 아이콘(I)을 보면서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 및 도 9에 의해,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기능적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휴대 전화기(1)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9는 처리부(70)에 있어서의 기능 블록도이다.
휴대 전화기(1)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1)와,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서브디스플레이(23)와, 유저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다이얼부(41)와, 터치 센서(200)와, 외부의 단말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60)와,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70)와, 소정 용량을 갖는 충전지(80)와, 충전지(80)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전압을 통신부(60)나 처리부(70) 등에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90)와, 기억부(100)를 구비한다.
통신부(60)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메인 안테나(61)와, 변조 처리 또는 원상 회복 처리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통신 처리부(62)를 구비한다.
메인 안테나(61)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예컨대, 800MHz)로 외부 장치(기지국)와 통신을 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로서, 800MHz로 했지만, 이외의 주파수대여도 된다. 또한, 메인 안테나(61)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 외에, 제 2 사용 주파수대(예컨대, 2 GHz)에 대응할 수 있다, 이른바 듀얼 밴드 대응 형에 의한 구성이여도 되고, 더욱이는 제 3 사용 주파수대 이상에도 대응할 수 있는 복수 밴드 대응형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신 처리부(62)는 메인 안테나(61)에 의해서 수신한 신호를 원상 회복 처리하고, 처리후의 신호를 처리부(70)에 공급하며, 한편 처리부(70)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변조 처리하여, 메인 안테나(61)를 통해서 외부 장치(기지국)에 송신한다.
전원 회로부(90)는 충전지(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소정의 전압치로 변압하고, 변압 후의 전원 전압을 통신부(60)나 처리부(70) 등에 공급한다.
기억부(100)는 처리부(70)에서 실행되는 다수의 프로그램 및 파라미터나 각종 테이블 등이 기억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억부(100)는 제어부(74)에서 기동, 종료, 중단 등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이들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파라미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기 위한 OS 프로그램 외에, 회전량 검출부(72)에서 검출되는 회전량(카운트수)과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의 대응 관계(도 5 참조)를 나타내는 테이블(110)을 기억하고 있다.
한편,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는 기준 애플리케이션, 뮤직·플레이어, 카메라, 메일 등의 휴대 전화기(1)가 갖는 애플리케이션마다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처리부(70)는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량에 따라 각종 기능에 대한 기동 처리를 행한다.
여기서, 처리부(70)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처리부(7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다이얼부(41)에 전도체(예컨대, 유저의 손가락)이 접촉된 것을 검출하는 터치 센서 검출부(71)와,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회전량 검출부(72)와, 휴대 전화기(1)에 있어서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73)와, 회전량 검출부(72)에 의해 검출된 회전량에 따른 기능을 동작시키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상기 기동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1) 또는 서브디스플레이(23)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4)를 구비한다.
터치 센서 검출부(71)는 회전 다이얼부(41)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치 센서(200)에 의해 검출되는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회전 다이얼부(41)에 소정의 전도체가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터치 센서(200)에 의해 검출되는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서 소정의 전도체가 회전 다이얼부(41)에 접촉하고 있다는 것을 검출한 경우, 터치 센서 검출부(71)는 회전량 검출부(72) 및 제어부(74)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회전량 검출부(72)는 터치 센서 검출부(71)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하는 것으로,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을 검출 가능한 상태로 된다.
회전량 검출부(7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운트부(44)에 카운트된 위치 포인트(43a부터 43h)의 수에 의해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을 검출한다. 예컨대, 회전 a 방향을 +로 한 경우에 있어서, 카운트부(44)에 있어서의 위치 포인트의 카운트수가 「+1」인 경우, 회전량 검출부(72)는 회전량을 22.5도로부터 67.5도인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회전량 검출부(72)는 일정 시간(예컨대, 1부터 2초) 카운트부(44)에 있어서의 위치 포인트의 카운트수가 변화하지 않는 경우, 상기 회전량을 제어부(74)에 통지한다. 그리고, 이로써 회전 위치를 특정한다.
여기서, 회전량 검출부(72)는 터치 센서 검출부(71)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수신되지 않게 될 때까지,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을 검출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개폐 검출부(73)는 상술한 개폐 센서(30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해서, 휴대 전화기(1)가 열림 상태인지 혹은 닫힘 상태인지를 검출한다. 개폐 검출부(73)는 휴대 전화기(1)가 닫힘 상태라는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제어부(74)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74)는 터치 센서 검출부(71)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회전량 검출부(72)에 의해 검출된 회전량에 따른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 가능한 상태로 한다.
또한, 제어부(74)는 유저가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손가락을 이격시키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 기동 가능한 상태에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74)는 터치 센서 검출부(71)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수신되지 않게 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검출 신호가 수신되지 않게 된 시점에 회전량 검출부(72)에 의해 검출된 회전량에 대응해서 기동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제어부(74)는 회전량 검출부(72)에 의해 회전량이 검출되면, 복수의 지표(아이콘(I)) 중, 표시(42)에 의해 지시되는 지표(아이콘(I))에 대응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또한, 제어부(74)는 터치 센서 검출부(71)가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 회전 다이얼부(41)에 전도체가 접촉한 것을 검출한 경우, 기동 가능한 상태에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화상을 포함하는 메뉴 화상(M)(화면)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74)는 터치 센서 검출부(71)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회전량 검출부(72)에 의해 검출된 회전량에 기초해서 기동 가능한 상태에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화상을 포함하는 메뉴 화상(M)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킨다(도 11 참조).
여기서, 메뉴 화상(M)은 회전량 검출부(72)가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을 검출 가능한 상태가 된 것을 나타내는 기능도 갖는다. 즉, 디스플레이(21)에 메뉴 화상(M)이 표시됨으로써 유저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선택이 가능한 상태로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어부(74)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이 일어날 때마다, 기억부(100)의 애플리케이션 대응 관계의 테이블(110)을 참조해서, 회전량(카운트수)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한다.
제어부(74)는 휴대 전화기(1)가 전원 ON되면, 우선 OS 프로그램을 기동시켜서, OS 관리하에서 기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함으로써 디스플레이(21)에 대기 화면을 표시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후, 기동할 애플리케이션이 발생할 때마다, OS 관리하에서 기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 또는 중단하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이 처리에 의해, 제어부(74)는 디스플레이(21) 상에, 대기 화면 대신에 기동한 애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화면을 표시시킨다.
한편, 입력 조작 버튼(14)에 포함되는 통화 종료 키(온 후크 키)가 조작되면, OS의 관리하에서 실행되고 있던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나서 기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재기동한다. 그리고 제어부(74)는 종료한 애플리케이션의 화면으로부터 대기 화면으로 표시를 천이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메라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I)이 표시(42)의 옆(선택 위치(S))에 배치되도록 회전 다이얼부(41)를 회전 이동시킨 후,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손가락을 이격시킨다. 그리고,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손가락을 이격시켜 소정 시간 경과 후, 제어부(74)는 예컨대, 테이블(110)을 참조해서, 상기 회전량(22.5도로부터 67.5도)에 할당된 카메라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또한, 촬상부(17)를 기동한다.
또한, 제어부(74)는 카메라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21)에는 촬상부(17)를 통해서 촬상 가능한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된다.
제어부(74)는 회전량 검출부(72)에 의해 소정의 회전량이 검출된 후, 일정 시간(예컨대, 1부터 2초) 내에 카운트부(44)에 있어서의 위치 포인트의 카운트수가 변화된 경우,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되기 전에 기동되고 있던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제어부(74)는 회전량 검출부(72)에 의해 카운트된 위치 포인트(43a부터 43h)의 수가 결과적으로 「0」이 된 경우,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되기 전에 동작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제어부(74)는 휴대 전화기(1)가 닫힘 상태인 경우, 열림 상태인 경우에 비교해서 기동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제한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74)는 열림 상태에서 기동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중 한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만 기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제어부(74)는 개폐 검출부(73)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열림 상태에서 기동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중, 한정된 하나 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만을 기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닫힘 상태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조작을 행할 수 없는 기능 등은 제한된다.
또한, 제어부(74)는 휴대 전화기(1)가 열림 상태인 경우에는 기동된 애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21)에 출력시키고, 또한 휴대 전화기(1)가 닫힘 상태인 경우에는 기동된 애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화상을 서브디스플레이(23)에 표시시킨다. 제어부(74)는 상술한 메뉴 화상(M)도 같이 개폐 상태에 따라 디스플레이(21) 또는 서브디스플레이(23)에 표시시킨다. 여기서, 서브디스플레이(23)에 표시되는 메뉴 화상(M1)은 닫힘 상태에서 기동 가능한 애플리케이션(기능)을 나타내는 화상(문자를 포함)만을 포함해서 구성된다.
이어서, 도 10부터 도 12에 의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전화기(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휴대 전화기(1)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열림 상태에 있어서의 메뉴 화상(M)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메뉴 화상(M1)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유저는 회전 다이얼부(41)를 회전하기 위해서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당접부(41A)에 손가락을 둔다(ST1). 터치 센서(200)에 의해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의 변화가 검출된다. 이로써, 터치 센서 검출부(71)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전도체로서의 손가락이 접촉한 것을 검출한다. 그리고, 터치 센서 검출부(71)는 회전량 검출부(72) 및 제어부(74)에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회전량 검출부(72)는 검출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을 검출 가능한 상태가 된다.
개폐 검출부(73)는 휴대 전화기(1)가 열림 상태인지, 또는 닫힘 상태인지를 검출한다. 그리고, 휴대 전화기(1)가 열림 상태인 경우(ST2), 제어부(74)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림 상태에 있어서 기동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화상을 포함하는 메뉴 화상(M)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킨다(ST3). 디스플레이(21)에 메뉴 화상(M)이 표시됨으로써 휴대 전화기(1)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해 기능(애플리케이션)이 선택 가능하게 된 것을 유저에 통지하고, 또한 기능을 선택할 때의 지표로서 유저의 선택 동작을 보조한다.
유저는 열림 상태에 있어서 노출되는 표시(42)를 선택 위치(S)의 표시로서, 선택 위치(S)에 소정의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I)이 배치되 도록 회전 다이얼부(41)를 회전 이동시키는 (ST4).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을 검출 가능한 상태에 있는 회전량 검출부(72)는 유저에 의해 회전된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을 검출한다(ST5).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메뉴 화상(M)은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에 대응하고 표시내용이 변경된다.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된 메뉴 화상(M)을 보면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 후, 유저는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손가락을 이격시키면, 터치 센서(200)에 의해, 정전 용량의 변화를 또한 검지한다(ST6).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손가락이 이격해서(즉 정전 용량의 변화가 생기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한 후(ST7), 제어부(74)는 선택 위치(S)에 배치된 아이콘(I)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ST8). 구체적으로는, 제어부(74)는 회전량 검출부(72)에 의해 검출된 회전량에 의해 특정되는 회전 위치에 대응하여 할당된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손가락이 이격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 전에 다시 회전 다이얼부(41)에 유저의 손가락이 배치된 경우(ST8), 제어부(74)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지 않는다(ST1).
제어부(74)는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킨다(ST9). 제어부(74)는 도 11에 있어서의 상태에서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손가락을 이격시킨 경우, 카메라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74)는 기동시킨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는 화상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시킨다. 예컨대, 카메라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화상으로서, 촬상부(17)를 통해서 촬상 가능한 피사체의 화상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유저는 기능 종료 키(예컨대, 통화 종료 키, 온 후크 키)를 눌러서 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킨다(ST11).
기능 종료 키가 눌려서 기동되고 있던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 예컨대 카메라 기능에 관한 표시가 종료되고, 디스플레이(21)에는 탑 화면으로서의 통신·통화의 대기 화면이 표시된다(ST11).
또한, 휴대 전화기(1)가 열림 상태가 아닌(닫힘 상태) 경우(ST2), 제어부(74)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닫힘 상태에 있어서 기동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화상을 포함하는 메뉴 화상(M1)을 서브디스플레이(23)에 표시시킨다(ST12). 서브디스플레이(23)에 메뉴 화상(M1)이 표시됨으로써 휴대 전화기(1)는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해 기능(애플리케이션)이 선택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을 유저에 통지하고, 또한 기능을 선택할 때의 지표로서 유저의 선택 동작을 보조한다. 또한, 휴대 전화기(1)는 닫힘 상태에 있어서 선택 가능한 애플리케이션(기능)을 통지할 수 있다.
유저는, 닫힘 상태에서 노출되는 표시(42)를 선택 위치(S)의 표시로서, 선택 위치(S)에 소정의 기능을 나타내는 아이콘(I)이 배치되도록 회전 다이얼부(41)를 회전 이동시킨다(ST13).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을 검출 가능한 상태에 있는 회전량 검출부(72)는 유저에 의해 회전된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을 검출한다(ST14). 서브디스플레이(23)에 표시되는 메뉴 화상(M1)은 회전 다이얼부(41)에 있어서의 회전량에 대응해서 표시 내용이 변경된다.
서브디스플레이(23)에 표시된 메뉴 화상(M)을 보면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 후, 유저는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손가락을 이격시키면, 터치 센서(200)에 의해, 정전 용량의 변화를 더 검지한다(ST15).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손가락이 이격해서(즉 정전 용량의 변화가 생기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한 후(ST16), 제어부(74)는 선택 위치(S)에 배치된 아이콘(I)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ST17). 구체적으로는 제어부(74)는 회전량 검출부(72)에 의해 검출된 회전량에 의해 특정되는 회전 위치에 대응해서 할당된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손가락이 이격되고 나서 소정 시간 경과전에 다시 회전 다이얼부(41)에 유저의 손가락이 배치된 경우(ST16), 제어부(74)는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지 않는다(ST1).
제어부(74)는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화상을 서브디스플레이(23)에 표시시킨다(ST18). 제어부(74)는 도 12에 있어서의 상태로 회전 다이얼부(41)로부터 손가락을 이격시킨 경우, 카메라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킨다. 그리고, 제어부(74)는 기동시킨 애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화상을 서브디스플레이(23)에 표시시킨다. 예컨대, 카메라 기능을 동작시키는 애플리케이션에 근거하는 화상으로서, 촬상부(17)를 통해서 촬상 가능한 피사체의 화상을 서브디스플레이(23)에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유저는 닫힘 상태시에 노출되는 사이드 키 등에 할당된 기능 종료 키를 눌러서 기동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킨다(ST19).
기능 종료 키가 눌려서 기동되고 있던 애플리케이션이 종료된 경우, 예컨대 카메라 기능에 대한 표시가 종료되고, 서브디스플레이(23)에는 탑 화면으로서의 통신·통화의 대기의 화면이 표시된다(ST20).
본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 다이얼부(41)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일정 조건하에서, 회전 다이얼부(41)에 할당되고 있는 각종 기능을 직접적으로 기동시킬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메인 메뉴를 경유할 필요없이, 간이하게 소망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의 쌍방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하는 위치에 표시(42)를 형성했기 때문에,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의 쌍방에 있어서, 표시(42)를 표시로 해서 회전 다이얼부(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의 쌍방에 있어서, 표시(42)를 선택 위치의 표시로해서 회전 다이얼부(4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로써, 사용성이 향상된 휴대 전화기(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닫힘 상태에서 제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표시(42) 및 서브디스플레이(23)에 표시되는 메뉴 화상(M1)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이로써, 유저는 닫힘 상태에서 기동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인식하면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로써, 닫힘 상태에서 기동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닫힘 상태에서 적합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 전화기(1)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PHS(등록상표; Personal Handy 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네비게이션 장치 등이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결부(4)에 의해 접기 가능한 휴대 전화기(1)를 설명했지만, 이러한 접이식이 아니라, 조작부측 케이스(2)와 표시부측 케이스(3)의 겹침 상태로부터 한쪽 케이스를 한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한 슬라이드식이나, 조작부측 케이스(2)와 표시부측 케이스(3)가 서로 겹쳐진 방향을 따라 축선을 중심으로 한쪽 케이스를 회전시키도록 한 회전(턴)식이나, 조작부측 케이스(2)와 표시부측 케이스(3)가 하나의 케이스에 배치되고 연결부를 갖지 않는 형식(스트레이트 타입)이여도 된다. 또한, 휴대 전화기(1)는 개폐 및 회전 가능한 이른바 2축 힌지 타입이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다이얼부(41)는 힌지 기구(4A)에서의 개폐축과 대략 동축의 회전축(Z)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저의 조작에 의해서 회전 자재인 구성이면 된다. 예컨대, 회전 다이얼부(41)는 회전축(Z)과 직교하는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해 선택 가능한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유저 자신이 빈번히 사용하는 메뉴를 등록 가능한 구성이여도 되고, 또한 원하는 웹 어드레스를 등록해 두고, 상기 웹 어드레스를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해 선택함으로써, 웹브라우저가 기동해서 상기 웹 어드레스의 웹 페이지를 열람할 수 있는 구성이여도 된다. 또한, 메뉴의 수도 상술한 수(7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량 검출부(72)는 카운트부(44)에 의해 카운트된 위치 포인트의 수에 따라서 회전량을 검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의 센서에 의해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각도의 변화량을 회전량으로 해서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량 검출부(72)는 예컨대, 저항율의 변화 등에 의해 회전량을 검출해서 회전 위치를 특정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42)는 조작부측 케이스(2)에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측 케이스(3)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로서의 제 1 표시(42A) 및 제 2 표시(42B)는 표시부측 케이스(3)의 일부로 연결부(4)를 구성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 1 표시로서의 제 1 표시(42A)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측 케이스(3)부에서의 연결부(4)를 구성하는 부분이고, 열림 상태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되는 제 1 노출부(120A)에 형성된다. 또한, 제 2 표시로서의 제 2 표시(42B)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측 케이스(3)에 있어서의 연결부(4)를 구성하는 부분으로, 닫힘 상태에 있어서 외부에 노출되는 제 2 노출부(120B)에 형성된다. 즉, 열림 상태에 있어서는 제 1 표시(42A)가 소정 위치에 배치되고, 닫힘 상태에 있어서는 제 2 표시(42B)가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회전 다이얼부(41)는 조작부측 케이스(2)에 있어서의 연결부(4)를 구성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제 1 노출부(120A) 및 제 2 노출부(120B)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된다. 환언하면, 회전 다이얼부(41)는 조작부측 케이스(2)에 있어서의 연결부(4)를 구성하는 부분을 사이에 두고 제 1 표시(42A) 및 제 2 표시(42B)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된다.
여기서, 닫힘 상태에 있어서 모든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지 않는 경우,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림 상태에서는 제 1 표시(42A)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아이콘(I)이, 닫힘 상태에서는 제 2 표시(42B)에 나란하지 않게(어긋나게) 배치되도록, 제 2 표시(42B)가 형성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 1-변형예>
이어서, 상술한 실시예 1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처리부(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가 닫힘 상태인지 여부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73)를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74)는 회전량 검출부(72)에 의해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이 검출되었을 때에, 개폐 검출부(73)에 의해 상기 케이스가 닫힘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되고 있는 경우에는 회전 상태에 따른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또한 상기 기동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하여, 개폐 검출부(73)에 의해 케이스가 닫힘 상태라고 검출되고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가 닫힘 상태일 때에는 회전 다이얼부(41)가 조작되어도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행하지 않고, 케이스가 열림 상태일 때에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에 따라 각종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어부(74)는 회전량 검출부(72)에 의해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이 검출되었을 때에, 개폐 검출부(73)에 의해 케이스가 닫힘 상태라고 검출되고 있는 경우에는 회전 상태에 따른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하고, 그 후, 개폐 검출부(73)에 의해 케이스가 닫힘 상태가 아닌 상태로 천이했다고 검출된 경우에는 특정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상기 기동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유저가 닫힘 상태에 있어서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을 닫힘 상태에 있어서 특정하고, 그 후 케이스가 열림 상태로 이행했을 때에,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하기 때문에, 소망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시간이 다른 사용 방법(케이스를 열림 상태로 해서 애플리케이션의 선택을 행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행한다)에 비해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회전량 검출부(72)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이 생기면, 이 때의 회전 상태가 일정 시간(예컨대, 1 내지 2초) 계속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회전 상태를 제어부(74)에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회전량 검출부(72)는 회전 다이얼부(41)를 도 5에 나타내는 a 방향으로 45° 회전하고, 이 45°의 회전 상태를 1 내지 2초간 계속 유지한 것을 조건으로 회전량(45°)을 제어부(74)에 통지한다. 제어부(74)는 상기 회전량(45°)에 따라, 촬상부(17)의 카메라 기능을 기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가 소망하지 않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방지할 수 있어서, 전력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회전량 검출부(72)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이 생기면, 이 때의 회전 상태가 일정 시간 계속된 것을 조건으로 상기 회전 상태를 제어부(74)에 통지하고, 제어부(74)는 회전량 검출부(72)에 의해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상태를 통지받았을 때에, 개폐 검출부(73)에 의해 케이스가 닫힘 상태가 아니라고 검출되고 있는 경우에는 회전 상태에 따른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상기 기동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가 닫힘 상태에 있을 때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열림 상태시에 기동되고 있던 애플리케이션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4)는 통화 대기 상태시에 소정의 대기 화면이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가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천이했을 때에,
1. 해당 닫힘 상태에서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조작이 행해지지 않고 다시 열림 상태가 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1)에는 대기 화면을 표시시키고,
2. 해당 닫힘 상태에서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조작이 행해지고 나서 다시 열림 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회전 조작에 의한 회전 상태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 화면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가 닫힘 상태로부터 열림 상태로 상태 변이하는 경우에, 닫힘 상태시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상태에 따라서 열림 상태에 있어서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상태를 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망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시간이 다른 사용 방법(케이스를 열림 상태로 해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행한다)에 비해서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4)는 케이스가 닫힘 상태인 경우에 회전량 검출부(72)에 의한 회전이 검출되고, 그 회전 상태에 따라서 기동 대상이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했을 때에,
1. 케이스가 닫힘 상태에 있어서도 기동할 수 있는 제 1 애플리케이션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고,
2. 케이스가 닫힘 상태에 있어서 기동할 수 없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4)는 케이스가 닫힘 상태에 있어서 기동할 수 없는 제 2 애플리케이션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행하지 않고, 그 후 개폐 검출부(73)에 의해 케이스가 열림 상태라고 검출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74)는 케이스의 상태와 회전량 검출부(72)에 의한 회전량에 기초해서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이 각각 할당되어 있는 테이블을 참조해서 기동 대상이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가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에 따라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별해서 이용할 수 있어서, 예컨대, 케이스가 열림 상태인 경우에는 메일의 열람을 행하고, 한편, 케이스가 닫힘 상태(닫힘 상태에 있어서는 메일의 기능은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한다)인 경우에는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뮤직·플레이어)에 의한 음악의 재생을 행할 수 있어, 케이스의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의 변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4)는 통신의 대기 상태일 때에 소정의 대기 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기준 애플리케이션과, 그 밖의 애플리케이션을 전환해서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74)에 의하면, 기준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회전량 검출부(72)에 의해 회전이 검출되면, 검출된 회전 상태에 따른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기준 애플리케이션 대신 기동하고, 상기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한 화면을 대기 화면 대신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케이스가 열림 상태에 있어서 촬상부(17)의 카메라 기능을 기동시킬 때의 제어부(74)의 동작에 대해서 도 16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스텝 ST31에 있어서, 제어부(74)는 개폐 검출부(73)로부터 공급되는 검출치에 기초해서 케이스(이하, 폴더라고 한다)가 열림 상태, 즉 닫힘 상태가 아닌 상태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폴더가 열림 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예), 스텝 S32으로 진행하고, 폴더가 닫힘 상태라고 판단한 경우에는(아니오), 스텝 ST31의 공정을 반복한다. 한편, 폴더가 열림 상태도 닫힘 상태도 아닌 어중간한 상태에 있어서는 폴더가 닫힘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해서 스텝 ST31의 공정을 반복한다. 그리고, 열림 상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74)는 OS 관리하에서 기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21)에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스텝 S32에 있어서, 제어부(74)는 회전량 검출부(72)로부터 회전량의 통지가 있는지 여부, 즉 회전이 발생해서, 선택되고 있는 기능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변화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예), 스텝 S33으로 진행하고, 변화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아니오), 스텝 S32의 공정을 반복한다.
스텝 S33에 있어서, 제어부(74)는 회전량 검출부(72)로부터의 일정량의 회전량의 통지를 일정 시간 계속 검출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정 시간 계속 검출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예), 스텝 S34로 진행하고, 일정 시간 계속 검출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아니오), 스텝 S33의 공정을 반복한다.
스텝 S34에 있어서, 제어부(74)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촬상부(17)의 카메라 기능)을 기동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21)에서는 제어부(74)에 의해, 대기 화면 대신 새롭게 기동한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뮤직·플레이어)에 기초한 조작 화면 등을 표시시킨다. 그리고, 제어부(74)는 상기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음악 처리 디바이스를 기동해서 음악 재생 등을 시작한다. 한편, 입력 조작 버튼에 포함되는 통화 종료 키(온 후크 키)(입력 조작 버튼(14))이 조작되면, OS의 관리하에서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종료 또는 중단시키고 나서 기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시 기동한다. 그리고, 제어부(74)에 의해, 뮤직·플레이어의 화면으로부터 대기 화면으로 표시를 천이시킨다.
이어서, 케이스가 열림 상태 및 닫힘 상태 중 어떤 상태에서도 일정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뮤직·플레이어)을 기동시킬 때의 제어부(74)의 동작에 대해서 도 17에 나타내는 흐름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스텝 S41에 있어서, 제어부(74)는 개폐 검출부(73)로부터 공급되는 검출치에 따라서 폴더가 열림 상태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폴더가 열림 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예), 스텝 S43으로 진행하고, 폴더가 열림 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아니오), 스텝 S42의 공정으로 진행한다.
스텝 S42에 있어서, 제어부(74)는 개폐 검출부(73)로부터 공급되는 검출치에 기초해서 폴더가 닫힘 상태로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폴더가 닫힘 상태로 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예), 스텝 S43으로 진행하고, 폴더가 닫힘 상태로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아니오), 스텝 S41의 공정으로 되돌아간다. 본 공정에서는 폴더가 열림 상태도 닫힘 상태도 아닌 어중간한 상태에 있어서는 폴더가 열림 상태로 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하여 스텝 S41의 공정으로 되돌아가는 것을 뜻하고 있다. 그리고, 열림 상태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74)는 OS 관리하에서 기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따라서 디스플레이(21)에 대기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스텝 S43에 있어서, 제어부(74)는 회전량 검출부(72)로부터 회전량의 통지가 있는지 여부, 즉 선택되고 있는 기능에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변화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예), 스텝 S44로 진행하고, 변화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아니오), 스텝 S43의 공정을 반복한다.
스텝 S44에 있어서, 제어부(74)는 회전량 검출부(72)로부터의 일정량의 회전량의 통지를 일정 시간 계속 검출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정 시간 계속 검출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아니오), 스텝 S44의 공정을 반복한다.
또한, 일정 시간 검출을 계속한 경우에는(예), 제어부(74)는 테이블(110)을 참조해서, 회전량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한다. 그리고, 회전량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했을 때의 케이스의 상태가 열림 상태인 경우에는 스텝 S45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이 때의 케이스 상태가 닫힘 상태인 경우에는 특정된 애플리케이션이, 닫힘 상태여도 기동 가능한 제 1 애플리케이션인지, 닫힘 상태에서는 기동 불가능한 제 2 애플리케이션인지 여부를 더 판정한다. 제 2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판정되면 스텝 S14의 처리를 반복하고, 제 1 애플리케이션이라고 판정되면 스텝 S45로 향한다.
스텝 S45에 있어서, 제어부(74)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뮤직·플레이어)을 기동한다.
그리고, 제어부(74)는 상기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음악 처리 디바이스를 기동해서 음악 재생 등을 시작한다. 또한, 열림 상태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21)로, 닫힘 상태인 경우에는 서브디스플레이(23)로, 대기 화면 대신 새롭게 기동한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한 조작 화면 등을 제어부(74)의 제어에 따라 표시시킨다. 한편, 입력 조작 버튼에 포함되는 통화 종료 키(온 후크 키)(입력 조작 버튼(14))가 조작되면, OS의 관리하에서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을 종료 또는 중단시키고 나서 기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다시 기동한다. 그리고, 제어부(74)에 의해, 뮤직·플레이어의 화면으로부터 대기 화면으로 표시를 천이시킨다.
한편, 스텝 S41의 공정에서, 제어부(74)는 열림 상태 또는 기동되고 있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기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아니라, 다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기동되고 있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그리고, 제어부(74)는 앞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근거하는 화면으로부터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근거하는 화면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이렇게 해서, 본 발명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일정 조건 하에서, 회전 다이얼부(41)에 할당되고 있는 각종 기능을 직접적으로 기동시킬 수 있어, 종래와 같이 메인 메뉴를 경유할 필요가 없이, 간이하게 소망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일정한 회전량이 일정 시간 계속되고 있지 않으면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지 않기 때문에, 유저가 습관적으로 몇번 회전시키는 경우 등에, 매번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쓸데 없는 전력 소비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이 조금이여도 검출되어 즉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유저는 뉴트럴 위치로부터 180°에 위치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것을 희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45°, 90°와 같이 도중에 경유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기동, 종료를 반복해야 하는 경우로 되어 버리는 문제가 생각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일정한 회전량이 일정 시간 계속되지 않으면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지 않는 구성으로 했기 때문에, 180°의 위치까지 빠르게 회전시키면 도중에서 경유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개폐 가능한 케이스 구성을 갖는 경우에는, 대개의 경우에 있어서, 메인이 되는 디스플레이(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스플레이(21)에 상당한다), 또는 메인 조작부(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입력 조작 버튼(14)에 상당한다)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닫힘 상태에 있어서는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즉, 닫힘 상태에 있어서는 조작성이 제한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닫힘 상태는 손에 들고 이동하는 형태인 것도 많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열림 상태에서는 회전 동작에 의해서 모든 애플리케이션을 기동 가능하게 하고, 닫힘 상태에서는 기동 불능 또는 일부 애플리케이션만을 기동 가능하게 하는 구성예도 나타내었다. 이러한 구성이면, 닫힘 상태에 있어서 조작성이 제한되고 있고, 기동하더라도 조작을 정확하게 행할 수 없는 애플리케이션을, 닫힘 상태에 있어서 기동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이동중 등에 의도하지 않게 회전 다이얼부(41)를 회전시켜 버린 경우에 있어서, 통상적으로는 조작하는 일이 없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일이 없어져서, 쓸데 없는 전력 소비를 더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닫힘 상태에 있어서 다이얼 회전이 발생하고, 그 후 열림 상태로 천이했을 때에 처음으로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키는 구성이면, 조작 가능한 상태로 되어 처음으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는 것이 된다. 즉, 닫힘 상태에 있어서는 몇번이나 다이얼이 회전하고 있어도, 최종적으로 열림 상태로 천이했을 때에만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 행해지게 되어,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의 회수를 대폭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전력 소비의 저감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량에 기초해서, 기동해야 할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예를 게시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어떤 회전 상태인지만 판정할 수 있으면 되고, 변동량을 검출하는 것 외에, 예컨대, 최종적인 회전 위치만을 검출하는 구성이여도 된다. 그리고, 테이블(110)에 최종적인 회전 위치에 각각 애플리케이션을 대응시켜서 기억해 두면, 이것을 참조함으로써 특정된 위치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회전이 일어나고 나서 최종적인 회전 위치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빠른 회전인지, 느린 회전인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에 따라 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변화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테이블(110)에 회전 시간마다의 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대응시켜서 기억해 두고, 회전이 생기고 나서 회전이 정지되기까지의 시간을 테이블 참조함으로써, 예컨대 같은 위치까지의 회전이여도 회전 속도의 차이에 따라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회전 다이얼부(41)에는 회전 방향에 있어서 소정 간격마다 각각 식별 가능한 복수가 추상적인 기호(예컨대, 원, 삼각형, 사각형 등)(I)가 붙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회전 다이얼부(41)에 붙어 있는 각 기호는 회전 다이얼부(41)에 붙어 있는 기호를 유저가 육안에 의해 확인할 필요가 없도록, 손가락의 촉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가공(예컨대, 입체적인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가 열림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회전 다이얼부(41)를 조작해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할 때에,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되는 상태를 표시 오브젝트에 의해 모식적으로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회전 다이얼부(41)의 조작을 디스플레이(21)의 표시에 의해서 어시스트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에 대한 조작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 있어서는 현재 선택 위치(표시)(S)에 결려 있는 회전 다이얼부(41)의 아이콘(I)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표시 오브젝트를, 그 전후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따른 표시 오브젝트보다 커지도록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고 있다. 또한, 도 18 중 Y에 회전 다이얼부(41)를 확대 표시하고 있다.
이어서, 회전 다이얼부(41)에 추상적인 기호가 붙어 있을 때의 이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컨대, 회전 다이얼부(41)의 조작에 의해서 메일 기능이 기동되고, 열람하고 있는 메일의 본문 중에 소정의 웹 페이지에 액세스 가능한 기능(이른바, 하이퍼링크 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기능을 선택해서 상기 소정의 웹 페이지를 열람한 경우에는 브라우저 기능이 활성화되어, 메일에 의한 기능은 종료 또는 논 액티브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회전 다이얼부(41)에 기동 대상이 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바로 연결되는 지표(예컨대, 도면에 나타낸 아이콘)가 붙어 있는 경우에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표시(메일 기능)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브라우저기능)의 사이에 불일치가 생겨서, 유저에 대해서 위화감을 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에는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바로 연결되는 기호가 아니라, 추상적인 기호가 붙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사태가 생겨도 유저에 대해서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이하에, 도 1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다이얼부(41)에 붙어 있는 각 기호와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컨대, 도 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 위치(표시)(S)에 회전 다이얼부(41)의 삼각 기호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삼각 기호에 뉴트럴(N), 즉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a 방향으로 45° 회전시킨 위치에 붙어 있는 별 기호에 카메라의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b 방향으로 45° 회전시킨 위치에 붙어 있는 원 기호에 주소록의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b 방향으로 90° 회전시킨 위치에 붙어 있는 사각 기호에 메모장의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b 방향으로 135° 회전시킨 위치에 붙어 있는 ×(엑스) 기호에 텔레비젼 기능이 할당된다(도 19(b)를 참조). 또한,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라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 동작되고, b 방향으로 45° 회전되어, 소정의 조작이 행해짐으로써, 원 기호에 할당되어 있는 주소록이 기동한다.
그리고, 유저에 의한 주소록의 종료 조작(예컨대, 온 후크 키의 누름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 주소록 기능이 종료하고, 대기 화면으로 돌아간다(도 19(c)를 참조). 이 경우에는 원 기호에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이 할당되고, a 방향으로 45° 회전시킨 위치에 붙어 있는 삼각 기호에 카메라의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a 방향으로 90° 회전시킨 위치에 붙어 있는 별 기호에 메일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b 방향으로 45° 회전시킨 위치에 붙어 있는 사각 기호에 주소록의 기능이 할당된다. 또한, b 방향으로 90° 회전시킨 위치에 붙어 있는 ×(엑스) 기호에 메모장 기능이 할당된다(도 19(d), (e)를 참조).
또한, 휴대 전화기(1)는 도 19(b), (d)에 도시한 바와 같은 추상적인 지표와, 그 기능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해서, 디스플레이(21)나 서브디스플레이(23)에 표시시키는 구성이여도 된다.
또한, 도 20에는 회전 다이얼부(41)에 붙어 있는 각 기호에 최초로 할당되어 있던 애플리케이션과의 관계와, 온 후크 조작후에 있어서, 각 기호에 할당된 애플리케이션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대기 화면이 표시되고 있을 때의 선택 위치(표시) S에 위치하고 있는 기호에 대해서, 대기 화면을 표시하는 기능이 할당되기 때문에, 선택 위치(표시)(S)에 있는 기호의 종류에 관계없이, 항상 대기 화면으로부터의 일정한 조작에 따라서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이 가능해져서,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1)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1)와,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서브디스플레이(23)와, 유저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 다이얼부(41)와, 외부 단말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60)와, 소정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70)와, 소정 용량을 갖는 충전지(80)와, 충전지(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 후의 전압을 통신부(60)나 처리부(70) 등에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90)를 구비하고 있다.
통신부(60)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에 의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메인 안테나(61)와, 변조 처리 또는 원상 회복 처리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는 통신 처리부(62)를 구비한다.
메인 안테나(61)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예컨대, 800MHz)로 외부 장치(기지국)와 통신을 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로서, 800MHz로 했지만, 이외의 주파수대여도 된다. 또한, 메인 안테나(61)는 소정의 사용 주파수대 외에, 제 2 사용 주파수대(예컨대, 2 GHz)에 대응할 수 있다, 이른바 듀얼 밴드 대응형에 의한 구성이여도 되고, 또한 제 3 사용 주파수대 이상에도 대응할 수 있는 복수 밴드 대응형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통신 처리부(62)는 메인 안테나(61)에 의해서 수신한 신호를 원상 회복 처리하고, 처리후의 신호를 처리부(70)에 공급하며, 한편, 처리부(70)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변조 처리하여, 메인 안테나(61)를 통해서 외부 장치(기지국)에 송신한다.
전원 회로부(90)는 충전지(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 전압을 소정의 전압치로 변압하고, 변압후의 전원 전압을 통신부(60)나 처리부(70) 등에 공급한다.
처리부(70)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되었을 때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회전량 검출부(701)와, 회전량 검출부(701)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량과 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규정 순서로 대응시켜서 기억하는 기억부(702)와, 기억부(702)를 참조해서 회전량 검출부(701)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량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하고, 특정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표시 오브젝트 선택부(703)와,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704)를 구비한다.
또한,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되었을 때에, 표시 오브젝트 선택부(703)는 회전량 검출부(701)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량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하고, 특정된 애플리케이션과 함께 규정 순서에 따라서 상기 특정된 애플리케이션에 이웃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 오브젝트를 선택한다. 또한, 제어부(704)는 소정의 대기 화면 대신, 선택된 표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량 검출부(701)는 회전 다이얼부(41)의 각도의 변화량을 회전량으로서 검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에 따른 변화를 검출할 수 있으면 되어서, 예컨대 저항율의 변화 등을 회전량으로서 검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 모양을 디스플레이(21)에 의해 확대 표시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전 다이얼부(41)에 의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 다이얼부(41)의 표면에는 회전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마다 추상적인 기호가 붙어 있다. 또한, 처리부(70)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량 기억부(705)와, 치환부(706)를 구비한다.
회전량 기억부(705)는 회전량 검출부(701)에 의해 회전량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량을 기억한다.
치환부(706)는 회전량 기억부(705)에 기억되어 있는 회전량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그 후 회전량 기억부(705)에 기억되어 있는 회전량에 기초하지 않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된 경우, 기억부(702)를 참조해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회전량을 판독해서, 회전량 기억부(705)에 기억되어 있는 회전량을 상기 판독한 회전량으로 치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에 붙어 있는 기호는 추상적인 것(예컨대, 원, 삼각형, 사각형 등)이므로, 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저에 대해서 기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회전 다이얼부(41)의 기호의 불일치에 따른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처리부(70)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 검출부(707)와, 결정부(708)를 구비한다.
개폐 검출부(707)는 케이스의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를 검출한다. 결정부(708)는 개폐 검출부(707)의 검출 결과에 따라서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의 개수를 결정한다. 또한, 제어부(704)는 결정부(708)에 의해 결정된 개수의 표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실제로 유저의 시각에 비치는 회전 다이얼부(41)의 외관적인 이미지가 모식적으로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된다. 예컨대, 시각에 비치는 회전 다이얼부(41)의 수가 3개이면,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표의(表意) 오브젝트의 수도 3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작에 있어서 유저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다.
또한, 회전 다이얼부(41)는 힌지 기구(4A)의 힌지축과 동일축으로 회동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704)는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고 있는 표시 오브젝트를 힌지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즉 회전 다이얼부(41)에 붙어 있는 아이콘(I)이 회전하는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동 방향과, 디스플레이(21)에 표시되는 표시 오브젝트의 스크롤 방향을 싱크로시키기 때문에, 조작에 있어서 유저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변형예>
이어서, 상술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음악을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과, 화상을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디바이스가 공용되는 구성에 있어서, 한쪽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에 기인해서 상기 디바이스가 ON 상태가 되고, 그리고, 한쪽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이 종료하고, 그 후, 다른쪽 애플리케이션이 기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디바이스의 ON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가짐으로써, 상기 디바이스의 ON 상태와 OFF 상태가 빈번하게 실시되는 사태를 회피하여, 전력 소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에 있어서, 메인 프로세서(801)와 코프로세서(802)를 협조해서 동작시킴으로써, 전력 소비를 저감하는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회전 다이얼부(41)에는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지표)(Ia) 내지 아이콘(Ih)이 붙어 있는 것으로 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 간격마다 각각 식별 가능한 복수가 추상적인 기호(예컨대, 원, 삼각형, 사각형 등)(I)가 붙어 있는 형태여도 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처리부(70)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프로세서(801)와 코프로세서(802)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메인 프로세서(801)는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되었을 때에 기준이 되는 위치로부터 각 아이콘까지의 거리를 회전량으로서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로서의 기능과, 회전량이 검출되었을 때에 기억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110)을 참조해서 상기 회전량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하는 애플리케이션 결정부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또한, 코프로세서(802)는 복수의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예컨대,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 등에 상당한다)에 있어서의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메인 프로세서(801)는 애플리케이션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애플리케이션이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일 때에 디바이스(코프로세서(802))에 소정의 전력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는 디바이스의 슬립 모드를 해제한다.
또한, 기억부(100)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110)은 회전 다이얼부(41)가 회전하는 방향에 있어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끼리가 인접하도록 각 애플리케이션과 회전량이 각각 대응되어 있다. 또한, 회전 다이얼부(41)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방향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아이콘(Ia) 내지 아이콘(Ih)이 붙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예컨대, 음악의 재생을 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 후에, 화상을 열람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 경우에, 이미 디바이스(코프로세서(802))는 기동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것을 계속해서, 화상을 열람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 직후에 민첩하게 화상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디바이스(코프로세서(802))의 ON(비 슬립) 상태와 OFF(슬립) 상태가 빈번하게 바뀌지 않기 때문에, 전력의 증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코프로세서(802)가 동작중일 때에는 메인 프로세서(801)는 대기(슬립) 상태로 이행할 수 있어, 소비 전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이 생기면, 끼어들기에 의해 메인 프로세서(801)의 슬립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801)는 주전원이 투입되어 OS(Operating System)를 기동한 후,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량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량에 기초해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했을 때, 기본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이용해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은 OS가 탑재되어 있으면 어떠한 전자 기기에도 인스톨할 수 있어, 범용성을 갖는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801)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있을 때에,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량을 검출하고, 상기 회전량에 기초해서 현재 기동되고 있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과는 다른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했을 때에는 디바이스(코프로세서(802)에 상당한다)로의 전력의 공급을 계속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예컨대 음악의 재생을 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 후에, 화상을 열람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한 경우에, 이미 코프로세서(802)는 기동 상태에 있기 때문에 이것을 계속해서, 화상을 열람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 직후에 민첩하게 화상의 표시가 가능해진다. 또한, 코프로세서(802)의 ON(비 슬립) 상태와 OFF(슬립) 상태가 빈번하게 바뀌지 않기 때문에, 전력의 증가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코프로세서(802)는 일례로서, 부호화되어 있는 데이터를 복호하는 처리부이다. 또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은 적어도, 코프로세서(802)를 이용해서 복호된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코프로세서(802)를 이용해서 복호된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상당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코프로세서(802)에의 전원 공급을 정지하지 않기 때문에, 예컨대, 음악 데이터를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되어 있던 후에, 화상 데이터를 재생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선택된 경우에, 민첩하게 기동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화 종료 지시에 이용되고, 또한 기본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이용해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종료 지시에 이용되는 통화 종료 버튼(14a)을 구비한다. 한편, 통화 종료 버튼(14a)은 이른바 온 후크 키에 상당한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801)는 주 전원이 투입되어 OS를 기동한 후, 소정의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하고, 회전 다이얼부(41)의 회전 동작에 따라 회전량을 검출하며, 상기 회전량에 기초해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결정했을 때, 해당 대기 화면 대신 기본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이용해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하여, 디바이스(코프로세서(802))로의 소정의 전력의 공급을 제어한다. 그 후, 메인 프로세서(801)는 통화 종료 버튼(14a)이 눌림 조작되었을 때에,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을 종료하고, 디바이스(코프로세서(802))로의 소정의 전력의 공급을 차단한 후, 소정의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있을 때에는 다른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코프로세서(802)의 기동 상태를 ON(비 슬립) 상태로 계속 유지한다. 또한, 통화 종료 버튼(14a)의 눌림 조작을 확인했을 때에, 코프로세서(802)를 OFF 상태로 해서 소정의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21)에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의 종료와 함께 일률적으로 코프로세서(802)를 OFF 상태로 하지 않고, 계속 사용되는 경우에는 ON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코프로세서(802)의 전원 관리를 적응적으로 행하는 수 있어, 전력 절약 효과를 높일 수 있다.
1 : 휴대 전화기 2 : 조작부측 케이스
3 : 표시부측 케이스 4 : 연결부
4A : 힌지 기구 11 : 조작부
21 : 디스플레이 23 : 서브디스플레이
41 : 회전 다이얼부 41A : 당접부
41B : 기능 표시부 42 : 표시
70 : 처리부 71 : 터치 센서 검출부
72 : 회전량 검출부 73 : 개폐 검출부
74 : 제어부 100 : 기억부
120 : 노출부 200 : 터치 센서
300 : 개폐 센서 701 : 회전량 검출부
702 : 기억부 703 : 표시 오브젝트 선택부
704 : 제어부 705 : 회전량 기억부
706 : 치환부 707 : 개폐 검출부
708 : 결정부
801 : 메인 프로세서(회전량 검출부, 애플리케이션 결정부, 제어부)
802 : 코프로세서(디바이스) M : 메뉴 화상
M1 : 메뉴 화상

Claims (11)

  1. 소정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회전 다이얼부와,
    상기 회전 다이얼부가 회전되었을 때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회전량 검출부와,
    상기 회전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량마다 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규정 순서에 따라 대응시켜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회전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회전량을 기억하는 회전량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회전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량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하고, 특정된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규정 순서에 따라 상기 특정된 애플리케이션에 이웃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각각에 대응하는 표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회전량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회전량에 대응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되고, 그 후에, 상기 회전 다이얼부의 회전에 근거하지 않고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기동된 경우,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회전량을 판독하고, 상기 회전량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회전량을 상기 판독한 회전량으로 치환하는 치환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2. 소정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회전 다이얼부와,
    상기 회전 다이얼부가 회전되었을 때의 회전량을 검출하는 회전량 검출부와,
    상기 회전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량마다 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규정 순서에 따라 대응시켜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회전 다이얼부가 회전되면, 상기 기억부를 참조하여 상기 회전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회전량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하고, 특정된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규정 순서에 따라 상기 특정된 애플리케이션에 이웃하는 애플리케이션의 각각에 대응하는 표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회전 다이얼부와는 독립하여 입력을 받는 조작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다이얼부가 회전되어 회전량에 대응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특정된 후에, 상기 소정의 애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조작부에 의해 기동 지시된 경우에, 상기 규정 순서를 유지한 채, 상기 기동 표시된 때의 상기 회전 다이얼부의 위치를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위치로 되도록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회전량과 애플리케이션의 대응 관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3.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는 회전 다이얼부와,
    상기 회전 다이얼부가 회전되는 때마다, 그 회전량에 대응하여, 기동 대상으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규정 순서에 따라 순차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회전 다이얼부와는 독립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지시를 받을 수 있는 조작부와,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 다이얼부가 회전되어 회전량에 대응하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이 특정된 후에, 상기 소정의 애플리케이션과는 상이한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조작부에 의해 기동 지시된 경우에, 상기 규정 순서를 유지한 채, 상기 기동 표시된 때의 상기 회전 다이얼부의 위치를 상기 다른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위치로 되도록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회전량과 애플리케이션의 대응 관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를 갖는 제 1 케이스와, 조작부를 갖는 제 2 케이스와, 힌지 기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 기구에 의해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태를 상대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케이스를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로 변이하는 구성이고,
    상기 열림 상태와 상기 닫힘 상태를 검출하는 개폐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 검출부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각각의 상태에서 시인 가능한 상기 회전 다이얼부의 지표와 일치하는 개수의 상기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다이얼부는, 상기 힌지 기구의 힌지축과 동일축에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부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상기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힌지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6. 표시부와,
    소정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있는 회전 다이얼부와,
    상기 회전 다이얼부의 회전에 근거하는 위치에 대하여 기동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규정 순서로 대응시켜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회전 다이얼부의 회전이 생기면, 그 회전에 근거하는 위치에 대하여 상기 기억부에 대응지어져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특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회전 다이얼부와는 독립하여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또는 종료 지시를 받을 수 있는 조작부
    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또는 종료가 행해졌을 때, 상기 기동 또는 종료 지시되었을 때의 상기 회전 다이얼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규정 순서를 유지한 채, 상기 기동 또는 종료의 지시를 받은 상기 회전 다이얼부의 위치가 상기 기동 또는 종료된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위치로 되도록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회전량과 애플리케이션의 대응 관계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7.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메일 열람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제어부가 메일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메일에 붙은 소정의 웹(web) 페이지로의 링크 기능을 선택함으로써, 브라우저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의 기동 지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8. 제 2 항, 제 3 항, 또는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대기하는 화면인 대기 화면을 표시하게 하는 요구를 받기 위한 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종료시키고,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대기하는 화면인 대기 화면을 표시하게 하는 요구를 받기 위한 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다이얼부에의 접촉을 검출하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에 의해 상기 회전 다이얼부에의 접촉이 검출된 경우, 상기 회전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회전량에 기초해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기동 가능한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에 의한 접촉이 검출된 후, 상기 회전량 검출부는, 상기 회전 다이얼부에 있어서의 회전이 검출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자 기기.
KR1020110010004A 2008-03-28 2011-02-01 휴대 전자 기기 KR101377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88717A JP4719238B2 (ja) 2008-03-28 2008-03-28 携帯電子機器
JPJP-P-2008-088717 2008-03-28
JP2008088715A JP4724198B2 (ja) 2008-03-28 2008-03-28 携帯電子機器
JPJP-P-2008-088715 2008-03-28
JP2008116324A JP2009267857A (ja) 2008-04-25 2008-04-25 携帯電子機器
JPJP-P-2008-116324 2008-04-25
JP2008141748A JP4709250B2 (ja) 2008-05-29 2008-05-29 携帯電子機器
JPJP-P-2008-141748 2008-05-29
JP2008144421A JP2009290847A (ja) 2008-06-02 2008-06-02 携帯電子機器
JPJP-P-2008-144421 2008-06-0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5014A Division KR101089021B1 (ko) 2008-03-28 2009-03-24 휴대 전자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6014A true KR20110036014A (ko) 2011-04-06
KR101377868B1 KR101377868B1 (ko) 2014-03-25

Family

ID=4205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004A KR101377868B1 (ko) 2008-03-28 2011-02-01 휴대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3) US8185170B2 (ko)
KR (1) KR1013778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5170B2 (en) * 2008-03-28 2012-05-22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US8433376B2 (en) * 2009-01-29 2013-04-30 Darrel Self Small form factor communication device
JP2010283442A (ja) * 2009-06-02 2010-12-16 Panasonic Corp 携帯端末装置
KR101608799B1 (ko) * 2009-11-04 2016-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객체 출력이 가능한 다이얼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장치 및 방법
KR101660746B1 (ko) * 2010-08-24 2016-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애플리케이션 지시자 설정 방법
KR101735836B1 (ko) * 2010-12-13 2017-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메뉴실행 장치 및 방법
US9383000B2 (en) * 2011-11-11 2016-07-05 Volkswagen Ag Gearshift knob and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DE102012200129A1 (de) * 2012-01-05 2013-07-11 SONOTEC Dr. zur Horst-Meyer & Münch oHG Mobile Einrichtung zur computergestützten Ein- und Ausgabe von Daten mit einer integrierten Bildschirmausgabeeinheit und Verfahren zur Visualisierung ihrer Bedienung
US9342362B2 (en) * 2012-06-15 2016-05-17 Nvidia Corporation Service-processor-centric computer architectur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715251B2 (en) * 2012-08-28 2017-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device
KR20140145301A (ko) * 2013-06-13 2014-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 모드 중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EP2891942B1 (en) * 2014-01-02 2018-08-22 LG Electronics Inc. Wearable terminal
US9651995B2 (en) * 2014-12-30 2017-05-16 Tronxyz Technology Co., Ltd. Foldable electronic device
JP2018147265A (ja) * 2017-03-06 2018-09-20 オンキヨー株式会社 電子機器
CN207196002U (zh) * 2017-09-25 2018-04-06 深圳市商汤科技有限公司 认证设备
US11016575B2 (en) * 2018-03-30 2021-05-25 Lenovo (Singapore) Pte. Ltd. Input tool
US10921862B2 (en) * 2018-05-22 2021-02-16 Compal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8467B2 (ja) 1992-09-08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機
JPH0746520A (ja) 1993-07-29 1995-02-14 Hitachi Ltd カメラ一体型記録装置
US6097964A (en) * 1997-09-04 2000-08-0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Navigation key for a handset
JP2000253106A (ja) 1999-03-03 2000-09-14 Denso Corp 通信端末装置
JP3714116B2 (ja) * 1999-08-09 2005-11-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操縦安定性制御装置
JP4230635B2 (ja) 2000-02-29 2009-02-25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2001298514A (ja) 2000-04-12 2001-10-26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式携帯通信機
JP2001296960A (ja) 2000-04-14 2001-10-26 Sony Corp ジョグダイヤル
JP2002041227A (ja) 2000-07-24 2002-02-08 Alpine Electronics Inc 入力装置
JP4045067B2 (ja) 2000-08-08 2008-02-1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入力方法、情報入力装置及び携帯端末
JP2002063018A (ja) 2000-08-23 2002-02-28 Alps Electric Co Ltd コンピュータのアプリケーション・ウィンドウ切り替え装置
JP2003037664A (ja) 2001-07-25 2003-02-07 Sony Corp 折り畳み式電子機器
JP3778277B2 (ja) 2002-01-31 2006-05-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3338870A (ja) 2002-05-17 2003-11-28 Sharp Corp 検索装置
JP3949048B2 (ja) 2002-11-18 2007-07-25 京セラ株式会社 重ね型携帯端末装置
EP1510911A3 (en) 2003-08-28 2006-03-2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JP4361842B2 (ja) 2004-07-09 2009-11-11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
JP2006191300A (ja) 2005-01-05 2006-07-20 Toshiba Corp デジタルカメラ及び電子機器
JP2006215935A (ja) 2005-02-07 2006-08-17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JP2007121963A (ja) 2005-10-31 2007-05-17 Sharp Corp 電子機器
US7539487B2 (en) * 2006-01-09 2009-05-26 Microsoft Corporation Interfacing I/O devices with a mobile server
JP2007251670A (ja) 2006-03-16 2007-09-27 Sanyo Electric Co Ltd 文字入力装置
KR101144804B1 (ko) 2006-07-03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터리 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제어방법
JP4719238B2 (ja) 2008-03-28 2011-07-06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8185170B2 (en) * 2008-03-28 2012-05-22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28865A1 (en) 2016-01-28
US20120268401A1 (en) 2012-10-25
US9438711B2 (en) 2016-09-06
US9182792B2 (en) 2015-11-10
US20100081478A1 (en) 2010-04-01
US8185170B2 (en) 2012-05-22
KR101377868B1 (ko) 201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868B1 (ko) 휴대 전자 기기
JP5356713B2 (ja) 携帯電話機
RU2660141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ортатив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и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го
EP2207076B1 (en) Mobile terminal having foldable display and operation method for the same
EP2966638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0035878A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における表示方法
US8854306B2 (en) Mobile terminal
JP2011070474A (ja) 携帯端末装置
JP2009124449A (ja) 移動体端末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JP2010231464A (ja) 電子機器
KR101089021B1 (ko) 휴대 전자 기기
WO2010098107A1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起動制御方法
JP2010232905A (ja) 携帯電子機器
JP5244543B2 (ja) 携帯電子機器
JP4709250B2 (ja) 携帯電子機器
JP5140550B2 (ja) 携帯電子機器
JP2010231451A (ja) 携帯電子機器
WO2010098108A1 (ja) 携帯電子機器
JP2010109587A (ja) 携帯電子機器
JP4724198B2 (ja) 携帯電子機器
KR10221411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후면 입력부 운용방법
JP4719238B2 (ja) 携帯電子機器
JP2010232925A (ja) 携帯電子機器
JP5514706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9290847A (ja) 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