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182A - 슬레이브와 노드 및 처리장치와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레이브와 노드 및 처리장치와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182A
KR20020089182A KR1020020027860A KR20020027860A KR20020089182A KR 20020089182 A KR20020089182 A KR 20020089182A KR 1020020027860 A KR1020020027860 A KR 1020020027860A KR 20020027860 A KR20020027860 A KR 20020027860A KR 20020089182 A KR20020089182 A KR 20020089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ve
information
controller
network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0110B1 (ko
Inventor
우에노신타로
이즈타니하지메
시게히사토시유키
시미즈히로시
오치나오야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9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0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0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3Input/out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network communi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1Pc I-O input output
    • G05B2219/21021Intelligent I-O, executes tasks independently from main cpu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1Pc I-O input output
    • G05B2219/21167Intelligent I-O monitors also local load, controlled objec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398Set start time and du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278Timer plus microprocess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계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보수 정보인 출력기기의 동작 시간을 정밀도 좋게 측정할 수 있는 슬레이브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수단으로, 필드 네트워크(12)에 접속된 Mix 슬레이브(13)에는 액추에이터(14)와 그 액추에이터의 동작 완료를 검출하는 센서(15)가 접속되어 있다. Mix 슬레이브는 타이머를 내장하고 그 타이머를 이용하여 액추에이터가 접속된 OUT 단자가 온으로 되었을 때부터 센서가 접속되는 IN 단자가 온으로 되기까지의 시간을 계측한다. 얻어진 시간이 출력기기의 동작시간이 된다. 이 동작시간과 설정치를 비교하여 액추에이터가 정상인지의 아닌지의 판정도 더불어 행한다.

Description

슬레이브와 노드 및 처리장치와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Apparatus of processing, slave, node, and network monitor system}
본 발명은, 슬레이브와 노드 및 처리장치와 네트워크 전원 모니터 시스템 및 입출력기기 전원 모니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팩토리 오토메이션(이하, 「FA」라고 칭한다)에 있어서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이하, 「PLC」라고 칭한다)에 직접 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I/O기기가 접속된다. PLC는 이러한 I/O기기의 일종인 스위치나 센서등의 입력기기로부터의 정보를 입력 데이터로서 취득하고, 미리 조립된 유저 프로그램에 따라, 이러한 취득한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산처리를 실행하여 I/O기기의 일종인 출력기기에의 제어 내용을 결정하고, 그 제어 내용에 대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밸브나 액추에이터, 모터 등의 출력기기에 출력함으로써, FA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PLC의 CPU 유닛에 있어서의 제어는, 입력 유닛에 접속된 입력기기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CPU 유닛의 I/O메모리에 받아들이고(IN 리프레시), 미리 등록된 래더 언어(Ladder Language)로 꾸며진 유저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논리연산을 하고(연산 실행), 그 연산 실행 결과를 I/O메모리에 기록하여 출력 유닛에 송출하고(OUT 리프레시), 그것에 의해, 출력 유닛은 출력기기를 구동이나 정지하는 제어를 행하고, 그 후,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처리하는 소위 주변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PLC는, IN 리프레시, 연산 실행, OUT 리프레시, 주변처리를 사이클릭으로 반복 처리한다.
이와 같은 PLC는,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된다. 즉, 전원 공급원의 전원 유닛, PLC 전체의 제어를 통솔하는 CPU 유닛, FA의 생산장치나 설비장치의 적소에 장착시킨 스위치나 센서의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유닛, 액추에이터 등에 제어 출력를 내는 출력 유닛, 입력과 출력을 더불어 갖는 입출력 유닛,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 유닛 등의 각종의 유닛을 적절히 조합하여 구성된다.
또한 리모트 I/O라고 불리는 네트워크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PLC에 마스터 유닛을 접속하고, 그 마스터 유닛에 디바이스네트(등록상표) 등을 통하여 슬레이브를 접속한다.
이 슬레이브는, 입력 신호를 받아들이는 IN 슬레이브,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OUT 슬레이브, 입출력을 하는 Mix 슬레이브 등이 있는데, 여기서는 슬레이브라고 칭하여 둔다. 그리고 슬레이브의 단자에 센서나 릴레이 그 밖의 각종 기기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마스터 유닛은, 상술한 바와 같이 PLC를 구성하는 유닛의 하나로서, PLC에 조립되어 있다. 이것으로서, 예를 들면 슬레이브에 접속된 입력기기(스위치나 센서 등)에서 검출된 센싱 정보가 필드 네트워크를 통하여 마스터 유닛에 시리얼 통신됨으로써 PLC에 받아들여진다. 그리고 PLC측에서는 취득된 센싱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그 실행 결과가 제어 명령 신호로서 마스터 유닛을 경유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슬레이브에 전하여지고, 슬레이브로부터 동작하여야 할 출력기기(릴레이나 밸브, 액추에이터 등)에 대하여 제어 명령을 보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슬레이브에 접속된 기기의 입력 신호나 출력 신호 등의 I/O 정보의 송수는, 슬레이브와 마스터 유닛과의 사이에서 미리 설정되는 통신 타이밍에서 행하고, PLC의 사이클릭한 처리와는 비동기로서, 별도의 타이밍에서 동작하고 있다. 그리고 PLC의 CPU 유닛과 마스터 유닛은, 버스 접속되어 있고, CPU 유닛에 있어서의 사이클릭한 처리중, IN 리프레시나 OUT 리프레시(I/O 리프레시) 또는 주변 서비스처리로 마스터 유닛과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송수가 행하여진다. 이로써, PLC의 CPU 유닛은, 리모트로 배치된 입력 또는 출력기기를 슬레이브에 접속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데이터의 송수가 행하여진다.
그런데 최근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현재의 제어 내용을 관리하거나 모니터하는 것에 더하여, 소위 보수(保守) 정보나 시스템상태 정보, 보수 정보 등의 비제어 정보를 적절히 감시하거나 모니터하고자 하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리모트 I/O를 포함하는 입력 데이터 및 출력 데이터가 PLC의 메모리에 존재하기 때문에 보수 정보는 전부 PLC측에서 프로그램을 꾸며서 취득하도록 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슬레이브에 접속되는 기기의 동작시간이나 I/O 정보가 다른 상태로 변화될 때까지 요하는 시간을 계측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그 계측을 행하는 유저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작성하고, PLC의 CPU 유닛에 그 프로그램을 실행 처리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PLC측에서 보수 정보를 얻게 하면, 2가지 문제점이 생긴다. 제1은, PLC의 프로그램 실행처리의 부하가 늘어나 버린다. 이것은 보수계의 정보 취득을 위한 프로그램 실행의 부담이 생기기 때문이다. 제2는, 마스터와 슬레이브와의 통신 부하가 늘어나 버린다. 이것은, 항상 새로운 정보를 슬레이브로부터 얻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PLC의 마스터와 슬레이브와의 통신 처리중에서, I/0 데이터로서의 제어 정보에 더하여, 보수 정보에 관한 기초 데이터도 통신할 필요가 생긴다. 이렇게 되면 통신 정보량이 늘어나게 되어 통신 처리 시간이 늘어나 마스터와 슬레이브 사이의 통신 사이클이 길어져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보수계의 정보를 얻는 경우에, PLC측의 제어계에 영향을 적게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수 정보 등의 비제어 데이터를 슬레이브에서 확보하고, 슬레이브에서 물리량(시간, 전압, 회수 등)을 계측하고, 그 결과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니터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에 비하여 PLC측의 제어 부하를 감하는 동시에 모니터의 편리성을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어서, 더욱 구체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서 추가 목적의 보충 설명을 이하에서 행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PLC 유닛(1)과 통신 기능을 구비한 마스터 유닛(2)을 일체화 하는 동시에, 그 마스터 유닛(2)을 제어계 데이터를 송수하기 위한 필드 네트워크(3)에 접속 한다. 또한 이 필드 네트워크(3)에는 복수의 슬레이브(4a, 4b, 4c)가 접속된다.
그리고 각 슬레이브(4a, 4b, 4c)에는 센서 등의 입력기기(5a)나 밸브, 모터 등의 출력기기(5b)가 접속된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는, 슬레이브(4a)는 입력기기(5a)만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IN 슬레이브라고도 칭하여지고, 슬레이브(4b)는 출력기기(5b)만이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OUT 슬레이브라고도 칭하여지고, 슬레이브(4c)는 입력기기(5a)와 출력기기(5b)가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Mix 슬레이브라고도 칭하여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특히 구별을 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단지 슬레이브라고 칭하는 동시에 부호 「4」를 붙인다. 또한 입력기기(5a)와 출력기기(5b)를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단지 기기라고 칭하는 동시에 부호 「5」를 붙인다.
이러한 구성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전원장치(6)를 설치하고, 그 네트워크 전원장치(6)로부터 필드 네트워크(3)를 경유하여 복수의 슬레이브(4)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된다. 그리고 각 슬레이브(4)에 접속된 기기(5)에 대한 전원 공급은, 상기한 네트워크 전원장치(6)로부터 슬레이브(4)에 대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슬레이브(4)를 경유하여 공급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각종 기기(5)에 대한 전원 공급원은, 상기한 네트워크 전원장치(6)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별도 마련한 입출력기기 전원장치(7)를 이용하는 것도 있다. 즉, 입출력기기 전원장치(7)의 전원 출력을 각 슬레이브(4)에 주고, 그 슬레이브(4)를 경연유하여 기기(5)에 전원 공급한다. 또한 이 경우의 입출력기기 전원장치(7)는, 기기(5)를 위한 전원으로서, 슬레이브(4)에 대한 전원 공급은 네트워크 전원장치(6)로부터 행하여진다.
그런데 상기한 네트워크 전원장치(6)로부터 각 슬레이브(4)에 대한 전원 공급을 생각하면, 각 슬레이브(4)에 대하여는 필드 네트워크(3)를 경유하여 행하여지지만, 이러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케이블의 저항치는 제로가 아니기 때문에 그 필드 네트워크(3)에서 전압 강하가 생긴다. 이 때문에 실제로 슬레이브(4)에 가해지는 전압은 네트워크 전원장치(6)에 있어서의 출력전압으로부터 전압 강하가 생긴다. 따라서 네트워크 전원장치(6)로부터 떨어져 있는 슬레이브(4)에 대하여서는 전압 강하가 커지고, 슬레이브(4) 내의 송수신 회로 칩이나, 슬레이브의 MPU 등에서 규정을 만족하는 적정한 전원전압이 얻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이 시스템을 정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필드 네트워크에 이용하는 케이블의 길이에 제한을 마련할 수도 있으나, 슬레이브(4)에 접속되는 기기(5)가 온 하는 것 등에 따르는 전압 강하까지 상정하여 케이블의 길이를 결정할 수는 없다. 또한 충분한 마진을 채용하여 케이블의 길이를 결정하여 버리면, FA 시스템을 구성하는 현장에서 케이블의 길이가 충분하지 않아서 배선을 할 수 없게 될 우려도 생긴다.
그래서 이 FA 시스템을 정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실제로 현장에서 시스템을 구축하는 동시에, 각 슬레이브(4)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규격을 만족하는 적정한 전압인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전원전압이 적정한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작업원이 현장으로 가서, 각 슬레이브의 전원전압을 전압계 등을 이용하여 직접 측정하는 이외에 방법은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은 대단히 시간이 걸릴뿐만 아니라 슬레이브의 설치 개소가 장치의 됫쪽 등의 측정하기 어려운 장소인 경우도 있어서 번잡하다.
또한 각 슬레이브에서의 전원전압의 전압치를 모니터하는 수단은 없었다. 이 때문에 가동중에 전압 강하에 의해, 슬레이브와 통신할 수 없게 되어서야 비로서 그 이상을 알아 차린다는 불합리함도 있었다.
또한 기기(5)의 전원 공급원이 입출력기기 전원장치(7)인 경우도,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가 생긴다. 즉, 입출력기기 전원장치(7)의 전원의 공급상태를 상위국(上位局)인 PLC(1)나 마스터 유닛(2), 또는 후술하는 모니터장치나 콘피규레이터에서 알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위국인 마스터 유닛(2) 나아가서는 PLC 유닛(1)에서는 이하에 나타내는 문제도 생기고 있었다.
슬레이브(4)로부터 필드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한 해당 슬레이브(4)에 접속된 입력기기(5a)로부터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비트 데이터가 0인 경우에, 실제로 해당 입력기기(5a)가 오프 동작하여 입력 신호가 0 데이터인지, 입력기기(5a)에의 공급 전원이 없어서 기기 자체가 동작 불능으로 되어 뉴트럴의 동작으로서 입력 신호가 0 데이터인지를 판별할 수가 없었다.
필드 네트워크(3)를 통하여 슬레이브(4)에 송신한 출력기기(5b)에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비트 데이터가 0인 경우에, 실제로 해당 출력기기(5b)에의 출력 신호가 오프 동작으로서 0 데이터가 출력되고 있어 출력기기(5b)가 정지하고 있는지, 출력기기(5b)에의 공급 전원이 없기 때문에 출력기기(5b) 자체가 동작 불능인 것인지를 판별할 수가 없다. 그 때문에 시스템의 신뢰성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마스터 유닛(2), PLC 유닛(1)으로부터 정기적으로 슬레이브(4)에 대하여 메시지를 보내고, 슬레이브(4)로부터의 리스폰스의 유무 등을 판단함으로써, 정상적인 전원 공급을 받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메시지 송신 및 리스폰스 수신에 따르는 판정처리를 PLC에서 행하게 되어, 원래의 기기(5)의 제어에 여양을 준다는 문제도 생긴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리모트 I/O의 슬레이브측의 공급 전원을 보수 정보로서 얻는 경우에, PLC측의 제어계에 영향을 적게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별도의 구체적인 시스템 구성으로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 있다. 즉, PLC 유닛(1)과, 통신기능을 구비한 마스터 유닛(2)을 일체화 하는 동시에, 그 마스터 유닛(2)을 필드 네트워크(3)에 접속한다. 또한 이 필드 네트워크(3)에는 OUT 슬레이브(4b)나 IN 슬레이브(4a)가 접속된다. 이러한 기본적인 네트워크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다.
그리고 이 예에서는, OUT 슬레이브(4b)에는 출력기기(5b)로서의 액추에이터가 접속되어 있다. 이 액추에이터(8)는, PLC 유닛(1)으로부터의 제어 명령(ON 신호)을 받은 OUT 슬레이브(4b)가 액추에이터(8)가 접속되어 있는 I/O 단자 (OUT단자)를 온으로 함으로써 이동체(8a)가 전진 이동한다.
한편, IN 슬레이브(4a)에는 입력기기(5a)로서의 센서(9)가 접속되어 있고 이 센서(9)에서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감시하고 있다. 즉, 액추에이터(8) 내의 이동체(8a)가 소정 위치(도면중 점선으로 도시한 위치)까지 이동되어 오면, 그 이동체(8a)를 센서(9)가 검출하고 검출 신호를 출력하게 되어 있다.
그 검출 신호가 IN 슬레이브(4a)에 주어지기 때문에 IN 슬레이브(4a)가 PLC 유닛(1)을 향해 검출 신호를 수신한 것을(소정의 I/O 단자(IN 단자)가 온으로 되었다고: 동작 완료 통지) 출력한다. 이로 인해, PLC 유닛(1)은 액추에이터(8)가 소정량 이동한 것을 알기 때문에 OUT 슬레이브(4b)에 대하여 정지명령(원점 복귀명령)을 보낸다.
그리고 상기 처리를 실제로 행하는데는, 각 슬레이브(4a, 4b)는 마스터 유닛(2)과의 사이에서 마스터-슬레이브간 통신을 행하여 상기한 각 신호(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따라서 PLC 유닛(1)은 이러한 마스터 유닛을 경유하여 각 슬레이브(4a, 4b)와 통신하게 된다.
또한 PLC 유닛(1)은 유저 프로그램에 따라 사이클릭하게 처리를 실행하고, 1회의 사이클마다 IN/OUT의 리프레시 처리가 행하여지고, 그 때에 OUT 슬레이브(4b)를 향하여 신호를 출력하거나, IN 슬레이브(4a)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거나 한다. 한편, 마스터-슬레이브간 통신에서는, 상기한 PLC 유닛(1)측에서의 사이클릭 처리와는 비동기로, 자기의 타이밍(통신 사이클)으로 소정의 슬레이브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액추에이터(8)의 동작시간, 즉, 이동체(8a)가 이동하고 있는 시간을 감시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이것은, 예를 들면 동작시간과 기준 시간과를 비교하여, 액추에이터(8)가 정상인지 여부의 판단이나, 액추에이터의 동작 열화에 따른 수명 판단을 하는데 사용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PLC 유닛(1)측에서 슬레이브(4a, 4b)로부터 취득한 ON/OFF 정보에 의거하여 시간을 계측할 필요가 있어서, 이러한 감시를 위한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PLC 유닛(1)의 유저 프로그램에 조립하여 실행하게 된다. 즉, PLC 유닛(1)이 OUT 슬레이브(4b)를 향하여 동작명령(ON 신호)을 출력하였을 때로부터 타이머를 시작하고, IN 슬레이브(4a)로부터의 IN 단자의 ON 신호(동작 완료 통지)를 수신한 때에 타이머를 스톱시킨다. 이로써, 타이머의 값을 취득하면 동작시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보수정로서의 동작시간 정보을 얻기 위해, PLC측에서 원래의 기기제어처리에 더하여 동작시간 계측처리를 행할 필요가 생긴다. 또한 이와 같은 것은, 입력기기의 동작시간의 감시인 경우에도 말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어떤 장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2개의 입력기기(센서)가 존재하는 경우에, 그 장치가 어떤 상태로 된 것을 한쪽의 센서에서 감지한 후, 다른쪽의 센서로 해당 장치가 별도의 어떤 상태로 된 것을 검지하기 까지의 시간(동작시간)을 감시함으로써, 장치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 등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FA 시스템 전체의 제어를 위한 PLC 유닛(1)측에서 사이클릭하게 행하는 연산처리 중에,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간을 구하는 연산처리를 추가하여 행하는 것은, 고속의 제어를 행하는데 장해가 된다. 더구나 처리 대상이 되는 기기가 불어날수록, PLC 유닛(1)측에서 동작시간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처리가 많아지기 때문에 PLC측의 처리 부하가 불어난다는 문제가 생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PLC 유닛(1)에서, 사이클릭하게 매회 연산처리를 하여 동작시간을 구하는 것으로 되어, 쓸데없는 처리를 행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PLC측의 제어계에 영향을 주지않고, 보수 정보로서 기기의 동작시간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슬레이브측에서, 슬레이브에 접속되는 출력기기 및 또는 입력기기의 동작시간, 대기 시간 등의 동작에 의거하여 시간을 정밀도 좋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최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슬레이브는, 제어기기가 접속되고, 컨트롤러에 대하여 리모트 회선를 통하여 I/O 통신하는 슬레이브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기기 또는 상기 슬레이브 자신에 관한 물리량을 계측하는 계측수단과, 소정의 조건에 합치한 경우에 상기 계측수단에서 계측한 계측치에 의거한 정보를 회선에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하였다.
여기서 소정의 조건이란, 예를 들면 일정한 시간 간격마다 이거나, 소정의 시각과 같이 정기적으로 합치하는 것이거나, 계측치가 미리 설정한 기준치를 초과한 때나, 외부로부터의 요구가 있었을 때나, 전원을 입력하여 동작 시작을 하는때 등 각종의 것이 있다. 또한 계측치에 의거한 정보란, 계측치 그 자체도 좋고, 예를 들면 그 계측치와 기준치를 비교한 판단 결과와 같이 가공 등을 한 것이라도 좋다. 또한 이러한 계측치에 의거한 정보를 출력하는 회선은, 상기 리모트 회선이라도 좋고, 무선을 포함하는 별도의 네트워크 회선이라도 좋다. 또한 회선은 실시의 형태에서는 네트워크라고 칭하고 있다.
또한 계측수단은, 슬레이브의 내부 신호나, 슬레이브에 입력되는 신호나, 신호로부터 출력되는 신호 등 각종의 것에 의거하여 계측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신호란, ON/OFF와 같은 디지털 신호나, 전압 등의 아날로그 신호의 어느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물리량이 디지털 신호인 경우에는 HIGH/LOW 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이라는 신호의 변화점을 검출하는 것이 물리량 계측의 한 형태이다.
또한 물리량의 계측의 기초가 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개념의 한 형태로서는, 슬레이브의 단자를 통하여 입력 및 또는 출력하는 신호를 포함하는 것이다. 즉, 예를 들면, 슬레이브의 입력기기가 이어지는 IN 단자의 신호, 슬레이브의 출력기기가 이어지는 OUT 단자의 신호, 전원이 이어지는 슬레이브의 단자의 신호, 네트워크가 이어지는 슬레이브의 인터페이스 단자의 신호 등이 있다. 그리고 각 단자의 신호이지만, 그 단자 또는 그것에 접속되는 신호 라인으로부터 직접 물리량을 계측하는 것은 물론이며, 예를 들면 IN 단자나 OUT 단자의 경우에는 그것에 관련된 I/O메모리의 값을 검출함으로써 각 단자의 상태(ON/OFF)를 계측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계측 대상의 물리량으로서는 각종의 것이 있다. 즉, 예를 들면 제4 실시 형태에서 실현되어 있는 리모트 회선을 경유하여 공급되는 네트워크 전원의 전압으로 하거나, 제5 실시 형태에서 실현되어 있는 슬레이브 경유로 상기 제어기기에 공급되는 공급전압으로 하거나,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 실현되어 있는 자기 또는 별도의 슬레이브에 접속된 제어기기에 대한 I/O 데이터의 변경을 트리거로 하여 계시되는 동작시간 등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입출력기기의 동작시간이나 전원전압으로 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계측 대상의 물리량은, 그들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물리량도 대상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슬레이브의 통전 시간이나 동작시간이 있다. 이것은, 전원이 ON으로 되어 있는 시간을 적산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입력기기나 출력기기의 통전 시간 등이라도 좋다. 또한 입력기기나 출력기기의 동작 회수, 즉, ON/OFF의 회수를 계수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마스터와의 통신 에러를 일으킨 회수나 통신 이상이 일어난 회수 등도 있다. 물론 이들 예시 열거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별도의 해결 구성으로서는, 제어기기가 접속되고, 컨트롤러에 대하여 리모트 회선을 통하여 I/O 통신하는 슬레이브로서, 상기 제어기기 또는 상기 슬레이브 자신에 관한 물리량을 계측하는 계측수단과, 그 계측수단에서 계측한 계측치와 기준치를 비교 판단하는 판단수단과, 그 판단수단에서 구한 판단 결과를 회선에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출력하는 기능은 상기 계측치를 함께 상기 회선에 출력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물론 이러한 기능은 필요하지는 않다.
상기한 2가지의 구성에 의하면, 계측수단에 의해 슬레이브 자신에서, 자기 또는 제어기기에 관한 물리량을 계측하여 계측치를 취득할 수 있다. 계측수단은, 보통의 리모트 회선을 통하여 컨트롤러(마스터 유닛)와 I/0 데이터를 송수하여 행하는 제어계의 처리와는 독립하여 행하여진다. 따라서 제어로의 영향은 가급적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계측수단에서 계측한 계측치에 의거한 정보인 보수 정보 등의 비제어 데이터(비I/0 데이터)는 슬레이브에서 확보하여 두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회선(네트워크)에 출력함으로써, 소정의 송신처에 통지할 수 있다. 이로써, 그 송신처는 계측치에 의거하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출력하는 기능의 출력처는, 컨트롤러로 할 수도 있고 회선에 접속된 모니터수단이나 슬레이브로 할 수도 있다. 물론 이 이외라도 좋다. 그리고 컨트롤러는 마스터 유닛이나 PLC 등을 포함하고, 또한 모니터수단은 모니터장치는 물론이고 콘피규레이터 등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력하는 기능은, 슬레이브 내부의 판단 결과, 전원 시작, 송신 타이머 등의 내부 트리거에 따라 출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외부 트리거에 의거하는 것이라도 좋다.
여기서 「내부 트리거」란, 슬레이브 자신의 소정의 처리 실행의 결과에 의거하는 것으로 슬레이브 내부에서 생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내부 트리거의 한 예를 나타내면 이하의 것이 있다. 즉, 슬레이브에서 계측한 계측치가 임계치에 달하였거나, 임계치를 초과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면 그 판단 결과가 생긴다. 그 생성 신호를 트리거 신호로서 이용하는 것이 있다. 또한 슬레이브의 전원을 넣어 초기 처리를 하는 경우, 그 처기 처리 중에서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한 정보를 회선에 내는 처리를 하거나, 초기 처리 중에서 트리거를 생성하는 것 등도 있다. 또한 슬레이브 내에서 시계를 갖게하여 놓고, 그 시계에 의해 소정 시간 경과마다 주기적으로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거나, 소정 시각에서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것도 있다. 또한 마스터와의 통신 트래픽의 상태에 의거하여, 통신처리에 여유가 있을 때에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거나, 전압 이상 등의 이상으로 되었을 때에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것 등이 있다.
한편, 「외부 트리거」란, 네트워크를 통하여 슬레이브가 받은 커맨드에 의거하는 것으로서, 슬레이브의 밖에서 생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외부 트리거의 한 예를 나타내면, 마스터로부터 슬레이브에의 정보 요구 커맨드, 모니터로부터 슬레이브에의 정보 요구 커맨드, 콘피규레이터로부터의 정보 요구 커맨드, 툴 발신에서 PLG 경유나 마스터 경유로 보내져 오는 커맨드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 수단으로서,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처리장치는, FA(팩토리 오토메이션)용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에 조립되고,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슬레이브에 접속된 출력기기의 동작시간을 구하는 처리장치로서, 상기 출력기기가 접속된 슬레이브의 OUT 단자가 변경된 때의 시작시간을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출력기기가 소정의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는 입력기기가 접속되는 슬레이브의 IN 단자가 변경된 때의 스톱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시작시간 정보와 상기 스톱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출력기기의 동작시간을 산출하는 수단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노드는, FA용의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슬레이브에 장착된 출력기기가 변경된 때의 시작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출력기기가 소정의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는 입력기기가 접속되는 슬레이브로부터, 그 입력기기가 접속된 IN 단자가 변경된 취지의 통지를 받았을 때의 스톱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시작시간 정보와 상기 스톱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출력기기의 동작시간을 산출하는 산출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였다. 이 노드로서는, 예를 들면 마스터이거나 슬레이브이거나 한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한 슬레이브는, 출력기기와, 그 출력기기가 소정의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는 입력기기가 접속 가능한 슬레이브로서, 상기 출력기기가 접속된 OUT 단자가 변경된 때의 시작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입력기기가 접속되는 IN 단자가 변경된 때의 스톱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시작시간 정보와 상기 스톱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출력기기의 동작시간을 산출하는 산출기능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Mix 슬레이브의 실시의 형태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슬레이브의 별도의 해결수단으로서는, 출력기기가 접속 가능한 슬레이브로서, 상기 출력기기가 접속된 OUT 단자가 변경된 때의 시작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출력기기가 소정의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는 입력기기가 접속되는 다른 슬레이브로부터 상기 입력기기가 접속된 IN 단자가 변경된 취지의 통지를 받은 때의 스톱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시작시간 정보와상기 스톱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출력기기의 동작시간을 산출하는 산출기능를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를 생략한 OUT 슬레이브의 실시의 형태에 대응한다.
또한 별도의 해결수단으로서는, 출력기기가 소정의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하는 입력기기가 접속 가능한 슬레이브로서, 상기 출력기기가 접속된 별도의 슬레이브로부터 그 출력기기를 접속하는 OUT 단자가 변경된 취지의 통지를 받은 때의 시작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입력기기가 접속되는 IN 단자가 변경된 때의 스톱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시작시간 정보와 상기 스톱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출력기기의 동작시간을 산출하는 산출기능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IN 슬레이브의 실시의 형태에 의해 실현된다.
또한 「OUT 단자나 IN 단자가 변경되었다」란, 「OFF로부터 ON으로 바뀌는 경우와, ON으로부터 OFF로 바뀌는 경우」가 있다. 환언하면, 신호의 상승 또는 하강이 있으면 변화된 것에 해당한다. 또한 엄밀히 말하면, 신호가 ON으로 된 것과, 신호의 상승을 검출한는 것은, 반드시 같은 의미는 아니다. 즉, 기준상태(정상상태)에서의 값이 High /Low에 의해 역으로 되는 것은 물론이고, 예를 들면, 단발의 ON 펄스(L→H→L)가 발생한 경우에, 이 단시간에 L→H→L로 변화되는 일련의 신호를 하나의 ON 신호로 취할 수 있으면, Low로부터 High로 되는 상승을 검지하여도 좋고, High로부터 Low로 되는 하강을 검지하여도 좋다(어느 경우나 ON으로 되었다고 판정한다). 한편, 단발의 ON 펄스에 대하여, 신호가 ON된 후에 바로 OFF되었다고 취하여지는 경우에는 OFF상태를 Low로 하면 신호가 ON으로 되는 것과 신호가 상승하는 것은 같은 의미이다. 신호가 OFF로 되는 것과 신호가 하강하는 것과의 관계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다.
따라서 신호의 ON, OFF에 주목하면, 「OUT 단자가 ON하고 나서 IN 단자가 ON하기까지의 시간」, 「OUT 단자가 ON하고 나서 IN 단자가 OFF하기 까지의 시간」, 「OUT 단자가 OFF하고 나서 IN 단자가 ON하기까지의 시간」, 「OUT 단자가 OFF하고 나서 IN 단자가 OFF하기까지의 시간」의 4종류의 패턴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패턴 나눔은, 펄스의 상승과 하강에 주목한 경우에, 예를 들면 ON을 상승으로 치환하고, OFF를 하강으로 치환함으로써 마찬가지의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해의 편의상, 단자가 ON으로 되는 것과 상승은 같은 의미로서 사용하고, 단자가 OFF로 되는 것과 하강하는 것은 같은 의미로서 사용한다.
또한 실제의 각 시간 정보는, 내장된 타이머, 카운터, 시계 등의 시간을 잴 수 있는 계시수단으로부터 취득한다. 즉, 시각 정보와 같이 절대적인 정보도 있다면, 타이머치, 카운터치와 같이 상대적인 정보도 있다. 시각 정보라면, 시작시각과 스톱시각 차를 구함으로써, 동작시간이 구하여진다. 또한 카운터치 등의 경우에는 시작시의 카운터치와 스톱시의 카운터치의 차분을 구함으로써, 동작시간을 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카운터치의 차분 그대로도 좋고, 카운터치가 하나 올라가는데 요하는 시간을 곱함으로써 몇초 등과 같이 구체적인 시간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시작시에 타이머, 카운터를 「0」으로 리셋한 후, 계시 시작하고, 스톱시에 이러한 계시를 정지하도록 스톱워치와 같은 기능을 갖게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시작시의 「0」과의 차분, 즉, 정지하였을 때의 값이 그대로 동작시간으로 됨으로 여산처리가 불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간 정보를 취득한다는 것은, 구체적인 시각이나 카운터치를 취득하는 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0」으로 세트하는 행위 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이러한 행위도, 간접적으로 「시작시간은 0이다」라는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하지만, 동작시간도, 구체적으로 「몇초」라고 하는 절대적인 단위계의 것은 물론이고, 카운터치와 같이 시간과 상관이 있는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취득하는 계기(트리거)는 소정의 단자가 「OFF로부터 ON」 또는 「ON으로부터 OFF」로 되는 것이다. 이러한 트리거의 유무의 판단은, 이러한 단자를 자기가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단자의 ON/OFF를 감시하거나, 그 단자에 명령(ON/OFF로 변경하는 명령)이 출력된 것에 의거하여 직접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단자가 다른 슬레이브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슬레이브로부터의 통지에 따라 변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노드가 마스터인 경우, 입력기기나 출력기기가 접속된 슬레이브로부터 소정의 단자가 변경된 것의 통지를 받도록 하여도 좋지만, 출력기기가 접속된 슬레이브에 대하여 OUT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그 송신 출력으로서 OUT 단자가 변경되었다고 간주하여, 그 때에 시작시간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출력기기는 실시의 형태에서는 액추에이터(14)에 대응하고, 입력기기는 실시의 형태에서는 센서(15, 15')에 대응한다. 그리고 입력기기가 검출하는 출력기기의 소정의 상태란, 예를 들면, 소정의 동작이 완로된 것으로서,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동체(14a)가 소정 위치까지 이동되어 온것이다.
상기한 각 발명에 있어서, 특히, 출력기기와 입력기기가 접속된 슬레이브인 경우, OUT 단자, IN 단자가 변경된 것을 직접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 사이클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고정밀도로 동작시간을 구할 수 있다. 각 기능은 실시의 형태에서는 MPU에 조립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각 슬레이브를 전제로 하여, 상기 출력기기나 입력기기의 정상 범위를 특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기억 보존하고, 상기 구하여진 동작시간과 상기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하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작시간을 비교적 정밀도 좋게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설정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출력기기나 입력기기가 정산인지의 여부나 교환시기가 가까와져 있다 등의 판정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각 발명은 어느것이나 출력기기의 동작에 주목한 것(감시 대상은 출력기기)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기기의 동작에 의거하여 시간을 검출하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슬레이브에 관한 발명에서는, 장치의 상태를 검출하는 제1, 제2 입력기기가 접속 가능한 슬레이브로서, 상기 제1 입력기기가 접속된 IN 단자가 변경된 때의 시작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제2 입력기기가 접속되는 IN 단자가 변경된 때의 스톱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시작시간 정보와 상기 스톱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장치의 동작시간을 산출하는 산출기능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기기가 접속 가능한 슬레이브로서, 상기 제1 입력기기가 접속된 IN 단자가 변경된 때의 시작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제1 입력기기가 접속되는 다른 슬레이브로부터 상기 제2 입력기기가 접속된 IN 단자가 변경된 때의 통지를 받은 때의 스톱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시작시간 정보와 상기 스톱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제2 입력기기에 의해 감시되는 장치의 동작시간을 산출하는 산출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것과는 반대로, 제2 입력기기가 접속 가능한 슬레이브로서, 제1 입력기기가 접속된 다른 슬레이브로부터 그 제2 입력기기가 접속되는 IN 단자가 변경된 취지의 통지를 받은 때의 시작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제2 입력기기가 접속되는 IN 단자가 변경된 때의 스톱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시작시간 정보와 상기 스톱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1, 제2 입력기기에 의해 감시되는 장치의 동작시간를 산출하는 산출기능을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레이브 또는 노드측에서 내장하는 계시수단 등을 이용하여 출력기기의 어떤 동작(일시 정지도 포함한다)이 시작하고 나서, 입력기기의 출력이 변화되기(출력기기가 소정의 상태로 된다)까지의 시간을 계측한다. 따라서 출력기기의 동작에 의거한 시간을 정확히 구할 수 잇다.
따라서 신호의 ON, OFF에 주목하면, 「IN 단자가 ON하고 나서 IN 단자가 ON하기 까지의 시간」, 「IN 단자가 ON하고 나서 IN 단자가 OFF하기 까지의 시간」, 「IN 단자가 OFF하고 나서 IN 단자가 ON하기 까지의 시간」, 「IN 단자가 OFF하고나서 IN 단자가 OFF하기까지의 시간」의 4종류의 패턴이 있을 수 있다. 상기한 패턴 나눔은, 펄스의 상승과 하강에 주목한 경우에, 예를 들면 ON을 상승으로 치환하고, OFF를 하강으로 치한함으로써 마찬가지 것을 말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2개의 IN 단자의 변화에 의거하여 동작시간을 구하는 각 발명을 전제로 하여, 상기 장치의 정상 범위를 특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기억 보존하고, 상기 구한 동작시간과 상기 설정 정보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동작시간과 상기 비교수단에서 구한 비교 결과중 적어도 한족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마스터에 통지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노드는, FA용의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노드로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슬레이브에 장착된 제1 입력기기가 접속된 IN 단자가 변경된 때의 시작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제2 입력기기가 접속되는 슬레이브로부터 그 제2 입력기기가 접속된 IN 단자가 변경된 취지의 통지를 받은 때의 스톱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과, 상기 시작시간 정보와 상기 스톱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출력기기의 동작시간를 산출하는 산출기능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처리장치는, FA용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마스터 또는 슬레이브에 조립되고, 소정 장치의 동작시간을 구하는 처리장치로서, 상기 장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1 입력기기가 접속된 슬레이브의 IN 단자가 변경된 때의 시작시간을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장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2 입력기기가 접속되는 슬레이브의 IN 단자가 변경된 때의 스톱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시작시간정보와 상기 스톱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장치의 동작시간를 산출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각 발명에 있어서, 장치란, 실시의 형태에서는 입력기기와 동일한 네트워크에 접속된 슬레이브의 OUT 단자에 접속된 출력기기(액추에이터(14))에 대응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슬레이브 등이 접속된 네트워크 이외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출력기기라도 좋고, 네트워크와는 별도의 장치라도 좋다.
그리고 감시 대상의 장치란, 물리적으로 동일하다고 인정되는 하나의 장치는 물론이고, 물리적으로 다른 복수의 장치라 하더라도, 그 복수의 장치가 협동 기타 관련하여 동작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경우, 이러한 시스템도 본 발명에서 말하는 장치에 해당한다.
또한 소정의 타이밍에서, 상기 동작시간과 상기 비교수단에서 구한 비교 결과중 적어도 한쪽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마스터에 통지하는 기능을 구비하여도 좋고. 이러한 기능을 실행함으로써, 마스터 나아가서는 PLC나 상위 컴퓨터 등에 동작시간 등을 통지함으로써, 경보를 발하거나 하는것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네트워크 전원 모니터 시스템에서는, 마스터 유닛과 복수의 슬레이브와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와 네트워크 전원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고, 상기 네트워크 전원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슬레이브에 대해 전원을 공급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전원 모니터 시스템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중의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에, 상기네트워크 전원장치로부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공급된 네트워크 전원의 상태를 감시하는 전원 감시수단를 마련하고, 상기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함으로써, 상기 전원 감시수단에서 감시한 슬레이브의 네트워크 전원의 상태를 수집하는 수단과 해당 수집한 슬레이브의 네트워크 전원의 상태를 일원화하여 관리하는 수단을 마련하도록 하였다.
바람직하기는, 상기한 전원 감시수단은, 상기 네트워크 전원 전압의 현재치를 차례로 검출하는 전압 검출수단과, 상기 전압 검출수단이 차례로 검출하는 상기 현재치 중에서 최소치를 선택하는 최소치 선택수단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검출수단에서 검술한 상기 현재치와, 상기 최소치 선택수단에서 선택한 상기 최소치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집하고, 해당 수집한 상기 네트워크 전원전압의 현재치를 상기 최소치과 함께 모니터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 상기 전원 감시수단은, 소망의 감시전압을 기억하는 감시전압 기억수단과, 상기 전압 검출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네트워크 전원전압의 현재치가 상기 감시전압 기억수단에 기억된 감시전압을 하회하면 경보정보를 기억하는 경보정보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보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보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집함으로써 상기 각 슬레이브의 전원 경보상태를 모니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감시수단은, 소망의 감시전압을 기억하는 감시전압 기억수단과, 상기 최소치 선택수단에서 검출한 상기 네트워크 전원전압의 최소치가 상기 감시전압 기억수단에 기억된 감시전압을 하회하면 경보정보를 기억하는 경보정보 기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보정보 기억수단에 기억된 경보정보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집함으로써 상기 각 슬레이브의 전원 경보상태를 모니터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입출력기기 전원 모니터 시스템에서는, 상위국과 복수의 슬레이브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네트워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에 접속되는 기기의 전원의 공급상태를 모니터하는 입출력기기 전원 모니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레이브 중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는, 그 슬레이브에 접속되는 기기의 전원의 공급상태를 감시하는 감시수단과, 상기 감시수단에 의해 검출된 검출 결과를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상위국에 통지하는 통지수단을 가지며, 상기 상위국은, 상기 통신수단에서 통지된 상기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슬레이브에 접속되는 기기의 전원의 공급상태를 모니터하는 모니터수단를 갖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슬레이브 및 노드 및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각 수단을 전용의 하드웨어 회로에 의해 실현할 수 있고, 프로그램된 컴퓨터에 의해 실현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예를 도시한 도.
도 2는 종래예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슬레이브의 내부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한 도.
도 5는 OUT 단자와 IN 단자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타이밍차트.
도 6은 MPU의 기능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7은 연산 결과을 송신하기 위한 송신 프레임의 한 예를 도시한 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
도 9는 OUT 슬레이브와 IN 슬레이브를 관련시키는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한 도.
도 10은 소정의 슬레이브에 대하여 OUT 슬레이브와 IN 슬레이브를 관련시킨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의 한 예를 도시한 도.
도 11은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
도 12는 제1 실시의 다른 변형예를 설명하는 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변형예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를 도시한 도.
도 16은 본 발명의 각 실시의 형태를 실장한 복합 타입의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
도 17은 2개의 슬레이브를 관련시키는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한 도.
도 18은 소정의 슬레이브에 대하여 2개의 슬레이브의 관련시키는 데이터를 설정하기 위한 메시지의 한 예를 도시한 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
도 20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슬레이브의 주요부 구성를 도시한 블록도.
도 21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2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의 처리를 도시한플로우차트.
도 23은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의 전원상태 표시처리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
도 24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의 전원상태 표시처리의 구체예를 도시한 도.
도 25는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 슬레이브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2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가 적용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
도 27은 제5 실시 형태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8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레이브의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9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레이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30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마스터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31은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레이브의 다른 구체적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32는 제5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슬레이브에 실장되는 입력용 전원 감시부의 구체적 회로예를 도시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PLC 유닛 11 : 마스터 유닛
12 : 필드 네트워크 13 : Mix 슬레이브
13a : 송수신회로 13b : MPU
13b' : 내부 휘발성 메모리 13b" : 처리부
13c : 출력회로 13d : 입력회로
13e : 외부 불휘발성 메모리 13f : 타이머(내부시계)
14 : 액추에이터 14a : 이동체
15 : 센서 16a : 제1 센서
16b : 제2 센서 20 : OUT 슬레이브
21, 21', 21" : IN 슬레이브 30 : 마스터 유닛
32 : 필드 네트워크 33 : 슬레이브
33a : 전압 감시부 33b : 최대치·최소치 보존부
33c : 현재치 기억부 33d : 감시전압 기억부
33e : 비교부 33f : 경보 상태 기억부
33g : 통신 제어부 34 : 입출력기기
35 : 네트워크 전원장치 36 :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
36a : 입력부 36b : 통신 제어부
36c : 표시부 37 : 표시화면
40 : 마스터 유닛 42 : 필드 네트워크
43 : 슬레이브 43a : 입출력기기 전원 감시부
43a' : 입력용 전원 감시부 43b : 입력부
43c : 통신 제어부 43d : 단락 보호회로
44 : 입출력기기 44a : 입력기기(센서)
44b : 출력기기(밸브) 45 : 입출력기기 전원장치
45a : 입력용 전원부 45b : 출력용 전원부
46 : 모니터 47 : 네트워크 전원장치
51 : 저항 52 : 포토커플러
52a : 발광다이오드 52b : 수광 트랜지스터
53 : 풀업 저항 54 : CPU
(발명의 실시의 형태)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PLC 유닛(10)과 통신기능을 구비한 마스터 유닛(11)을 일체화하는 동시에 그 마스터 유닛(11)을 필드 네트워크(리모트회선)(12)에 접속한다. 또한 이 PLC 유닛(10)과 마스터 유닛(11)은 버스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필드 네트워크(12)에는 입력기기와 출력기기를 접속 가능한 Mix 슬레이브(13)가 접속되어 있다.
PLC 유닛(10)은 CPU 유닛이라고도 칭하여지는 것으로, I/O 리프레시, 프로그램 실행, 주변처리를 사이클릭하게 처리하고 있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PLC 유닛(10) 이외로도 필요에 응해서 각종의 유닛이 연결되어 PLC를 구성하지만, 이러한 유닛 자체는 종래 공지의 것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마스터 유닛(11)은 Mix 슬레이브(13)와의 사이에서, 매스터-슬레이브간 통신을 행하여 마스터 유닛(11)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해서 Mix 슬레이브(13)에 접속된 입력기기, 출력기기의 I/O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그리고 PLC 유닛(10)과 마스터 유닛(11) 사이의 I/O 데이터 교환은, PLC 유닛(10)이 행하는 사이클릭한 처리에 있어서의 I/O 리프레시 처리로서, 버스를 통한 데이터 통신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상기한 매스터-슬레이브간 통신은 PLC 유닛(10)의 사이클릭 처리와는 비동기로 행하여진다.
이 Mix 슬레이브(13)는 도 2에 도시한 OUT 슬레이브(4b)와 IN 슬레이브(4a)의 기능이 조립된 혼재 타입의 것으로, OUT 단자에 액추에이터(14)가 접속되고, IN 단자에는 그 액추에이터(14)의 이동체(14a)의 위치를 감시하는 센서(15)가 접속되어 있다.
Mix 슬레이브(13)의 내부 구조의 한 예를 도시하면 도 4와 같이 되어 있다. 즉, 필드 네트워크(12)에 접속되고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는 송수신회로(13c)와, 그송수신회로(13a)에 접속된 MPU(13b)와, 출력기기에 접속되는 출력회로(13c)와, 입력기기에 접속되는 입력회로(13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외부 불휘발성 메모리(13e)나 타이머(내부시계)(13f)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송수신회로(13a)는, 필드 네트워크(12)상을 흐르는 프레임을 수신하고, 헤더부를 해석하여 자기앞의 프레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자기앞의 프레임만을 최종적으로 수신하여 MPU(13b)에 넘겨주는 기능과, MPU(13b)로부터 주어진 송신 프레임(예를 들면, 마스터 유닛(11)을 향한 IN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프레임)을 필드 네트워크(12)상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MPU(13b)는 송수신회로(13a)로부터 주어진 수신한 프레임의 데이터부 중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것으로, 기본 기능으로서는, 데이터부 중의 OUT 데이터에 따라 출력회로(13c)에 대하여 소정의 OUT 단자를 ON/OFF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한다. 또한 입력회로(13d)를 통하여 입력 단자의 ON/OFF 상태를 취득하고 그 취득한 정보를 IN 데이터로서 마스터 유닛(11)에 대하여 송신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고 송수신회로(13a)에 넘겨주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한 시스템에 있어서의 액추에이터(14)의 동작 제어는, PLC 유닛(10)에 실장된 유저 프로그램을 사이클릭하게 실행하고, 소정의 조건에 합치한 경우에 Mix 슬레이브(13)의 OUT 단자를 ON으로 하고자 마스터 유닛(11)에 대하여 통지하고, 마스터 유닛(11)은 통신 사이클에 따라 대응하는 Mix 슬레이브(13)를 향해 소정의 프레임(OUT 데이터)을 송신한다.
Mix 슬레이브(13)는 수신한 프레임(OUT 데이터)에 따라 액추에이터(14)에 접속되는 OUT 단자를 ON으로 한다. 이로써, 도시 생략하는 밸브가 ON(연다)으로 되어 이동체(14a)가 전진 이동한다.
한편, 종래 예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4)에 병설하여 센서(15)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체(14a)가 소정 위치(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동 완료위치)까지 이동되어 오면, 센서(15)가 ON, 즉, 센서(15)가 접속된 IN 단자가 ON으로 된다. 그와 같이 IN 단자가 ON으로 된 것은, 입력회로(13d)를 통하여 MPU(13b)가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의 프레임의 송신 타이밍이 왔을 때에, IN 데이터로서 마스터 유닛(11)을 향해 송신한다. 그러면 마스터 유닛(11)은 취득한 IN 데이터를 PLC 유닛(10)에 있어서의 리프레시 처리시에 넘겨준다.
상기한 각 처리 및 이러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각 처리부의 기능·구성은 종래의 것과 같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액추에이터의 동작시간을 계측하는 기능을 Mix 슬레이브(13)에 마련하였다.
즉, MPU(13b)는 자기가 보유하는 OUT 단자나 IN 단자의 상태를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OUT 단자가 ON으로 되고 나서 IN 단자가 ON으로 되기까지의 시간(t)을 타이머(내부시계)(13f)를 이용하여 계측하고, 그 계측 결과를 내부 휘발성 메모리(13b')에 저장한다. 또한 여기서는, OUT 단자, IN 단자가 ON으로 되는것과 신호가 상승하는 것은 같은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Mix 슬레이브(13)는 정상적인 동작시간에 관한 정보도 보존하고 있고, 상기 계측 결과가 정상적인 동작시간 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액추에이터(14)의상태를 판정하는 기능(판정 결과는 물론 내부 휘발성 메모리(13b')에 기억 유지된다)을 갖게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정상동작시간은, 예를 들면 10ms와 같이 하나의 임계치로 설정되는 것이라도 좋고, 90ms 및 100ms와 같이 2개의 임계치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것이라도 좋다. 이 정상동작시간을 특정하는 설정치는 외부 불휘발성 메모리(13e)에 저장되어 있고, 전원 투입시마다 내부 휘발성 메모리(13b')에 전개된다.
또한 구체적인 도시는 생략하지만, 감시 대상이 되는 OUT 단자와 IN 단자의 번호의 조합과, 상기한 설정치가 관련되어진 테이블 구조로서 외부 불휘발성 메모리(13e)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가 내부 휘발성 메모리(13b')에 전개되지만, 그 내부 휘발성 메모리(13b')에는, 또한 실제로 계측 결과나 판정 결과도 관련시켜 저장된 테이블 구조로 되어있다.
그리고 구체적으로는 MPU(13b)의 처리부(13b")가 도 6에 도시한 플로우차트를 실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연산 대상, 감시 대상의 동작시간(t)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OUT 단자 및 IN 단자의 어느것이나 OFF(Low)로부터 ON(High)으로 변화한 것, 즉, 신호의 상승끼리를 묶고, 그 OUT 신호의 상승으로부터 IN 신호의 상승까지의 시간을 동작시간(t)으로 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해당하는 OUT 단자(도 3의 경우, 액추에이터(14)가 접속되어 있는 OUT 단자)의 상승(ON 신호가 되었을 때)의 유무를 판단한다(ST 1).
그리고 상승을 검지하였으면 타이머(13f)로부터 그 때의 시작시간(카운트치)을 취득한다(ST 2).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동작시간을 계측할 뿐이기 때문에 타이머(counter)를 이용하였지만, 동작시간을 계측한 일시(日時) 데이터도 관련시켜서 취득하는 경우에는 내부시계를 이용하면 좋다.
다음에 해당하는 IN 단자의 상승(ON 신호가 되었을 때)의 유무를 판단한다(ST 3). 그리고 상승이 검지되면(스텝 3의 분기 판단에서 Yes), 타이머(13f)의 값(스톱시간)을 취득하고(ST 4), 스텝 2에서 취득한 시작시간과의 차분을 구하여 동작시간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결과 버퍼에 저장한다.
한편, 정상적인 액추에이터의 동작시간을 규정하는 설정치를 미리 보유하고 있고, 스텝 5에서 산출한 동작시간을 설정치와 비교하고 범위 내(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비교 결과도 합쳐서 결과 버퍼에 저장한다(ST 6).
그리고 설정된 감시 대상에 대하여 차례로 상기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하고, 모든 점에 대하여 처리를 실행하였으면(ST 7에서 Yes), 구한 동작시간과 비교 결과를 각 감시 대상(액추에이터(14) 등)의 상태 정보로서 내부 휘발성 메모리(13b')에 기억 유지된다(ST 8). 이러한 처리는 인터럽트 명령에 따라 실행되기 때문에 스텝 8까지의 처리가 실행되었으면 다음 명령이 오는 것을 기다린다.
한편, 상기 기억 유지된 동작시간이나 비교 결과는, 예를 들면, 마스터 유닛(11)이 소정의 타이밍에서 메시지를 출력하고, 그 메시지를 받은 Mix 슬레이브(13)가, 메시지로 지정된 대상기기(번지)의 동작시간 등을 메시지에 대한 리스폰스로서 반려함으로써 마스터 유닛(11) 나아가서는 PLC 유닛(10)에 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터 유닛(11)으로부터의 메시지를 이용하면, 마스터 유닛(11)측에서는, IO 데이터의 송신과는 독립된 통신으로서, 필요할 때에 필요한 감시 대상의 정보만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동작시간 등의 통지는, 상기한 메시지에 대한 리스폰스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마스터-슬레이브간 폴링처리에 의해 전달할 수도 있다. 즉, 각 슬레이브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IN 데이터를 마스터 유닛(11)에 대하여 송신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통의 입력 단자의 상태인 IN 데이터에, 그 슬레이브가 관리하는 연산 결과(동작시간이나 비교 결과 등)를 부가한 것을 데이터부에 구비한 송신 프레임을 생성하고 송신함으로써 통지할 수 있다. 이 방법에 의하면, 마스터 유닛(11)은 동작시간의 취득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더욱 별도의 방식으로서는, 슬레이브측이 주체가 되어 동작하는 스테이트의 변화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Mix 슬레이브(13)는 자기가 관리하여야 할 대상의 동작시간이나 비교 결과의 변화가 있은 경우에만 그 결과를 마스터 유닛(11)을 향해 송신한다. 이 방식을 취하면, 필드 네트워크(12)상에 쓸데 없는 데이터가 흐르지 않고 또한 필요할 때만 마스터 유닛(11)가 동작시간 등을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래픽이 경감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동작시간의 산출, 또한 상태의 판정처리까지 슬레이브측에서 실행되고 기억 보존되기 때문에 PLC 유닛(10)에 있어서의 사이클릭한 처리는 물론이고 필드 네트워크(12)에 있어서의 통신 사이클의 영향도 없고 필요한 정보가 얻어진다. 더구나 동작시간의 산출은 슬레이브 내에서 처리하기 때문에 사이클릭 처리에 있어서의 1사이클에 요하는 처리 시간보다 짧은 동작시간에도 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Mix 슬레이브 대신에 OUT 슬레이브(20)와 IN 슬레이브(21)를 필드 네트워크(12)에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슬레이브끼리로 피어 투 피어(peer to peer) 통신(슬레이브간 통신)을 행함으로써, OUT 슬레이브(20)로부터 소망의 OUT 단자의 ON/OFF 정보를 소정의 IN 슬레이브(21)(보통은, 센서(15)가 접속된 슬레이브)에 준다.
그리고 IN 슬레이브(21) 내의 MPU의 처리부에서는, 도 6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와 같은 처리를 실행하여, OUT 슬레이브(20)로부터 받은 OUT 단자의 ON/OFF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OUT 단자가 ON으로 되었을 때의 시작시간과 소정의 IN 단자가 ON으로 되었을 때의 스톱시간을 취득하고 그 차로부터 동작시간을 구하는 동시에 설정치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를 유지한다.
또한 OUT 슬레이브(20)로부터 IN 슬레이브(21)에의 데이터 송신은, 예를 들면 IN 슬레이브(21)측에 미리 대응하는 OUT 슬레이브의 노드 번호 및 OUT 단자의 비트 번호 등을 기억 보존시켜 두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IN 슬레이브(21)가 기억하고 있는 노드 번호의 OUT 슬레이브(20)에 대하여 비트 번호의 상태를 문의하고, 그 문의에 대한 리스폰스로서 OUT 슬레이브(20)가 해당 비트 번호의 ON/OFF 상태를 통지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OUT 슬레이브(20)는 송신 요구에 응답하면 좋기 때문에 대응하는 IN 슬레이브(21)에 관한 정보를 기억 보존할 필요가 없다. 또한 반대로 OUT 슬레이브(20)에도 대응하는 IN 슬레이브에 관한 정보를 기억 보존시켜 놓으면, 예를 들면, 소망의 OUT 단자가 ON으로 되었을 때에 해당 ON 정보를 대응하는 1N 슬레이브(21)에 통지하고, IN 슬레이브(21)에서는 이러한 ON 정보의 통지를 받았을 때의 시작시간을 취득하는 동시에, IN 단자가 ON으로 되었을 때의 스톱시간을 취득하고, 그들 양 시간으로부터 동작시간을 산출하는 동시에 설정치와의 비교 결과를 구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IN 슬레이브(21) 등에 동작시간을 계측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기억시키는데는, 예를 들면, 툴장치를 이용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관련시킨 데이터, 즉, 분할 No와 함께 「IN 슬레이브의 노드 번호(MAC ID)와 비트 번호」, 「OUT 슬레이브의 노드 번호(MACID)와 비트 번호」 및 「OUT 감시시간 단위」를 관련시킨 테이블을 작성하고, 이 테이블에 의거하여 기억 보존시키는 슬레이브에 대하여, 관계되는 정보를 데이터부에 포함하는 메시지(도 10 참조)를 작성하고 해당 툴장치 또는 마스터 유닛(11)을 통하여 필드 네트워크(12) 경유로 해당 슬레이브에 송신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OUT 감시시간 단위는, 다른 슬레이브의 상태를 감시하는 시간의 단위로서, 이러한 감시시간 간격으로 해당 비트의 상태의 문의를 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OUT 감시시간 단위가, 동작시간 계측기능의 최소단위가 된다.
또한 도 9, 도 10에서는, OUT 슬레이브(OUT 단자)와 IN 슬레이브(IN 단자)의 관련시킴의 설정에 관한 설명이지만, 슬레이브측에 구한 동작시간과 설정치를 비교하는 기능을 부가하는 경우에는 비교하기 위한 설정치도 관련시켜 송신하면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감시 대상의 액추에이터(14) 등의 출력기기와, 센서(15) 등의 입력기기는 다른 슬레이브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적어도 1회는 필드 네트워크(12)를 통한 통신이 행하여지지만, 타임 래그는 PLC 유닛(10)에 있어서의 유저 프로그램의 사이클릭 타임에 관계 없고, 통신 사이클만에 기인하고, 더구나 사이클릭 타임에 비하면 통신 사이클은 비상히 짧기 때문에 유저 프로그램측에서 동작시간을 관리하는 것에 비하면 실제의 동작시간에 가까운 값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입력기기인 센서(15)가 접속된 IN 슬레이브(21)에서 동작시간의 산출을 행하도록 하였지만, 이와는 반대로 IN 슬레이브(21)로부터 대응하는 OUT 슬레이브(20)에 대하여 IN 단자의 ON/OFF 정보를 보냄으로써, OUT 슬레이브(20)측에서 동작시간의 산출 및 설정치와의 비교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동작시간의 산출 등은, 반드시 동작시간을 구하는 대상의 출력기기나, 그 출력기기를 감시하는 센서 등의 입력기기가 접속된 슬레이브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슬레이브라도 좋다. 그 경우에는 OUT 슬레이브(20)와 IN 슬레이브(21)로부터 각각 OUT 단자의 ON/OFF 정보와 IN 단자의 ON/OFF 정보를 취득하고 산출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입출력기기가 접속되지 않은 슬레이브라도 동작시간 등을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산출기능(도 6에 도시한 플로우차트를 실시하는 기능)을 마스터 유닛(11)에 조립함으로써, 마스터 유닛(11)에서 구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에도, PLC 유닛(10)에서의 유저 프로그램의 사이클릭 타임의 영향은 받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정밀도 좋게 구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유닛(11)에서 구하는 경우에는 OUT 단자나 IN 단자의 ON/OFF 정보의 취득은, 별도의 슬레이브로 구하는 경우와 같이 대응하는 슬레이브에 대하여 문의를 하고, 그것에 따르는 응답에 의해 취득하거나, 대응하는 슬레이브측이 소정의 단자가 ON우로 되었을 때에 마스터 유닛(11)을 향해 통지를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마스터 유닛(11)은, I0 정보의 송수신을 관리하기 때문에 그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대응하는 OUT 데이터를 송신하였을 때에 시작시간을 취득하고, IN 데이터를 수신하였을 때에 스톱시간을 취득함으로써, 동작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나 변형예에서는, 어느것이나 출력 단자가 ON(상승)하고 나서, 입력 단자가 ON(상승)하기까지의 기간을 동작시간으로서 구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출력 단자가 변화되었을 때로부터 입력 단자가 변화되기까지의 기간을 동작시간으로서 구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실린더)(14)가 접속된 Mix 슬레이브(13)(OUT 슬레이브(20)라도 가능)의 OUT 단자에 대하여 ON 신호가 주어지면, 밸브가 열리어 이동체(실린더 헤드)(14a)가 전진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예에서는, 센서(15)로 이동체(14a)의 이동 완료위치를 검출하도록 하였지만, 도 11에 도시한 예에서는, 이동체(14a)의 이동 경로의 중간위치에 센서(15')를 마련하고, 이 센서(15')에서 이동체(14a)가 중간위치(X)를 통과한 것을 검지하고, 검지 신호를 출력(Mix 슬레이브(13)의 IN 단자가 ON)하는 시스템을 생각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Mix 슬레이브(13)에 적용한 예를 도시하였지만, 제2 실시 형태 등과 같이OUT 슬레이브(20)와 1N 슬레이브(21)로 분리된 구성의 시스템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 센서(15')는, 일정한 검출영역이 있기 때문에 센서(15')의 출력 신호(IN 단자에의 입력 신호)는, 이동체(14a)가 중간위치(X)에 도달하였을 때(센서의 검출영역에 진입하였을 때)에 ON으로 된다(상승). 그리고 그대로 더욱 이동체(14a)가 전진 이동되어, 검출영역 밖에 위치하면 OFF로 된다(하강한다).
그래서 이동체(14a)가 중간위치(X)를 통과하였을 때의 판단이지만, 센서(15')의 출력 신호가 ON으로 되었을 때(IN 단자의 상승)와, ON에서 OFF가 되었을 때(IN 단자의 하강)의 어느것이나 취할 수 있고, 어느쪽으로 할지는 구한 동작시간의 용도 등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전자의 상승에 따르는 동작시간(t)을 구하는 경우에는 각 신호의 상승끼리를 관련시킴(묶음)으로써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를 이용하여 동작시간(t)을 구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하강에 따르는 동작시간(t')을 구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플로우차트를 기본으로 하여, 스텝 3의 분기 판단을 「해당 IN이 ON→OFF인지」라는 처리로 바꿈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이것이, OUT 단자: ON(상승)→IN 단자 OFF(하강)에 대응하는 실시의 형태이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어느것이나 동작시간의 시작시점은, OUT 단자가 ON(상승)을 트리거로 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OUT 단자가 OFF로 되는것(하강)을 트리거로 할 수도 있다.
한 예를 나타내면, 상기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Mix 슬레이브(13)의OUT 단자가 ON으로 되고 밸브가 ON하면, 그것에 따른 기체 또는 유체가 흘러 들어와 이동체(14a)가 전진 이동하지만, OUT 단자가 OFF로되어 밸브도 OFF로 되면, 이동체(14a)가 후퇴 이동되어 원래의 위치로 자동 복귀하는 타입의 실린더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타입의 실린더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Mix 슬레이브(13)의 OUT 단자에 접속된 액추에이터(14)로 하여, 이러한 출력을 끊으면 되돌아가는 실린더를 장착하는 동시에, 이동체(14a)를 검지하는 센서(15')를 복귀 경로의 중간위치(Y)에 배치한다.
그리고 이동체(14a)가 후퇴 이동을 시작하고 나서, 중간위치(Y)에 달하기까지의 동작시간(t1, t1')을 구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OUT 단자가 OFF하였을 때의 트리거로서 시작시간을 취득한다. 또한 스톱시간의 취득을 위한 트리거는, IN 단자가 ON으로 되는 것(상승)으로 하거나, IN 단자가 OFF가 되는 것(하강)을 이용할 수 있다. IN 단자의 ON과 묶여진 경우에는 동작시간(t1)을 구할 수 있고, IN 단자의 OFF와 묶은 경우에는 동작시간(t1')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기능으로서는, 전자의 경우는 도 6에 도시한 플로우차트를 기본으로 하여, 스텝 1의 분기 판단을 「해당 OUT이 ON→OFF인지」로 변경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이것이, OUT 단자: OFF(하강)→IN 단자 ON(상승)에 대응하는 실시의 형태이다. 또한 후자의 경우는, 또한 스텝 3의 분기 판단을 「해당 IN이 ON→OFF인지」라는 처리로 바꿈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이것이, OUT 단자: OFF(하강)→IN 단자 OFF(하강)에 대응하는 실시의 형태이다.
또한 상기한 제2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산출한 동작시간은, 제1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발적 또는 상대로부터의 요구 등의 각종의 타이밍에서 상위의 마스터 유닛(11)이나 PLC 유닛(10)에 부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 및 변형예와 상위하여, 2개의 입력기기(센서)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장치(액추에이터(14))의 동작시간을 구하게 되어 있다.
즉,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Mix 슬레이브(13)의 OUT 단자에 액추에이터(14)가 접속되고, IN 단자에는 그 액추에이터(14)의 이동체(14a)의 위치를 감시하는 센서가 접속되어 있다. 단,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IN 단자에 접속하는 센서로서 제1, 제2 센서(16a, 16b)와 같이 2개의 센서를 준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1, 제2 센서(16a, 16b)는 각각 이동체(14a)의 이동경로의 도중(중간위치)(X, Y)에 배치되고 이동체(14a)가 이러한 중간위치(X, Y)를 통과한 것을 검지하게 되어 있다. 또한 Mix 슬레이브(13)의 내부 구조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다.
이 시스템에 의하면, OUT 데이터가 ON으로 되고 액추에이터(14)의 이동체(14a)가 원점 위치로부터 전진 이동한다. 그러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체(14a)가 중간위치(X)에 달하면 제1 센서(16a)의 출력이 ON으로 되고, 중간위치(X)를 통과하면 OFF로 된다. 이 출력이 그대로 Mix 슬레이브(13)의 제1 센서(16a)용의 IN 단자의 입력 신호로 된다.
또한 이동체(14a)가 전진 이동하면, 중간위치(Y)에 달하기 때문에 제2 센서(16b)의 출력이 ON으로 되고, 중간위치(Y)를 통과하면 OFF로 된다. 이 출력이 그대로 Mix 슬레이브(13)의 제1 센서(16a)용의 IN 단자의 입력 신호로 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이동체(14a)가 중간위치(X)로부터 중간위치(Y)까지 이동할 때까지 요하는 동작시간을 구하기 위해서는, 제1, 제2 센서(16a, 16b)의 출력, 즉, 대응하는 2개의 IN 단자의 신호를 관련시킴으로써(묶음), Mix 슬레이브(13)에서 동작시간을 구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IN 단자의 관련시킴이지만,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예와 같이, 동작시간의 시작시간의 취득 및 스톱시간의 취득은 IN 단자의 변화를 트리거로 하여 행하여지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는 OFF→ON(상승)과 ON→OFF(하강)의 어느것이나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센서(16a)의 출력 신호(IN 단자)의 상승과 제2 센서(16b)의 출력 신호(IN 단자)의 상승을 묶으면 시간(t1)이 동작시간으로 된다. 또한 제1 센서(16a)의 출력 신호(N 단자)의 상승과 제2 센서(16b)의 출력 신호(IN 단자)의 하강을 묶으면 시간(t2)이 동작시간으로 된다.
한편, 도 1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작시간의 취득의 트리거를 제1 센서(16a)의 출력 신호(IN 단자)의 하강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그 제1 센서(16a)의 신호의 하강과 제2 센서(16b)의 출력 신호(IN 단자)의 상승을 묶음으로써 시간(t3)을 동작시간으로서 구하게 되고, 제2 센서(16b)의 출력 신호(IN 단자)의 하강을 묶음으로써 시간(t4)을 동작시간으로서 구하게 된다.
물론 이동체(14a)의 후퇴 이동시의 동작시간을 구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로 제2 센서(16b)의 출력의 변화와 제1 센서(16a)의 출력의 변화를 묶고, 제2 센서(16b)에 의거하여 시작시간을 취득하고, 제1 센서(16a)에 의거하여 스톱시간을 취득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예에서는, 2개의 센서가 함께 이동체의 이동경로의 중간위치를 검출하는(통과됨에 따라서 신호가 OFF→ON→OFF로 변화된다)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한쪽이 이동 완료위치를 검출하는 것도 물론 좋다. 또한 2개의 센서의 감시는, 하나의 장치의 동작을 감시하는 것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장치의 동작상태를 감시하는 것이라도 좋다. 한 예로서는, 2개의 로봇의 동작을 각각 감시하는 센서를 마련하고, 한쪽의 로봇이 동작 시작(동작 완료)하고 나서, 다른쪽의 로봇이 동작 시작(동작 완료)하기까지의 타임 래그를 구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동작시간이란, 단독의 장치의 동작시간(정지 시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장치) 전체에 있어서의 동작시간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상기한 2개의 IN 단자의 변화에 의거하여 동작시간을 구하기 위한 MPU(13b)(처리부(13b"))의 기능이지만, 기본적으로는 도 6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와 같은 처리기능에 의해 실현된다. 그리고 이러한 도 6의 플로우차트중, 묶는 2개의 IN 단자가 ON/OFF의 어느것에 의거하여 각 시간의 취득을 하는지에 따라, 스텝 1, 3을 적절히 변경하게 된다. 즉, 시작시간의 취득이 OFF로부터 ON으로의 변화(상승)에 의거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스텝 1의 처리가 「해당 IN이 OFF→ON인지」와 같이 변경되고, ON으로부터 OFF로의 변화(하강)에 의거하여 행하는 경우에는 스텝 1의 처리가, 「해당 IN이 ON→OFF인지」와 같이 변경되게 된다. 또한 스톱시간의 취득이 ON으로부터 OFF로의 변화(하강)에 의거하는 경우에는 스텝 3의 처리가 「해당 IN이 ON→OFF인지」와 같이 변경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제2 센서(16a, 16b)를 접속하는 슬레이브를 Mix 슬레이브(13)로 하고, 액추에이터(14)의 동작 제어도 이 Mix 슬레이브(13)로부터 출력되는 OUT 데이터(OUT 단자의 ON/OFF 신호)에 의거하여 실행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액추에이터(14)에 대한 제어 명령은 동일한 슬레이브로부터 보내여지지 않아도 좋다. 그 경우에, 제1, 제2 센서(16a, 16b)가 접속되는 슬레이브는, 예를 들면, Mix 슬레이브 대신에 IN 슬레이브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예와 같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IN 단자끼리의 묶음에 의거하는 동작시간의 산출에 있어서도, 제1, 제2 센서(16a, 16b)가 각각 별도의 IN 슬레이브(21', 21")에 접속된 시스템 구성에서도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한쪽의 IN 슬레이브(21')에서 취득한 IN의 값(도면의 예에서는 시작시간)을 다른쪽의 IN 슬레이브(21")에 준다. 그리고 주어진 IN의 값과, 다른쪽의 IN 슬레이브(21")측에서 취득한 시간 정보(도면의 예에서는 스톱시간)에 의거하여 동작시간을 구하고 연산 결과를 마스터 유닛(11)측으로 보내게 된다.
물론 보내는측의 IN 슬레이브와 받는측의 IN 슬레이브의 관계는 임의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작시간을 보내도록 하여도 좋고, 스톱시간을 취한 IN 슬레이브로부터 시작시간을 취득한 별도의 IN 슬레이브로 보내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이들 2개의 센서가 접속되지 않은 별도의 슬레이브나, 마스터 유닛(11) 등의 각종의 노드에 대하여, 각각 취득한 시간정보를 보내고 거기에서 동작시간을 구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예와 같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제로의 슬레이브나 마스터 등의 동작시간을 연산처리하는 기능을 조립한 노드의 경우, 상기한 각 패턴의 어느것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싶다는 요구가 있다. 즉, OUT 단자의 변화가 있고 나서 IN 단자의 변화가 있기까지의 동작시간의 취득 패턴으로서 4종류의 패턴이 있고, IN 단자의 변화가 있고 나서 IN 단자의 변화가 있기까지의 동작시간의 취득 패턴으로서 4종류의 패턴이 있어, 합계 8종류의 패턴이 있다.
이러한 8종류의 패턴의 어느것에도 대응하기 위한 MPU(13b)(처리부(13b"))의 기능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한 플로우차트를 실현하도록 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우선, 전제로서 각 단자의 묶음의 관계를 설정 데이터로서 외부 불휘발성 메모리(13e) 등에 기억해 둔다. 이 설정데이터는, 제1 실시 형태 등과 같이, 툴장치를 이용하여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관련시킨 데이터, 즉, 분할 No와 함께 「시작 트리거가 발생하는 슬레이브의 노드 번호(MACID)와 비트 번호와 변화의 종별(상승/하강) 및 IN/OUT 단자의 구별」, 「스톱 트리거가 발생하는 IN 슬레이브의 노드 번호(MACID)와 비트 번호 및 변화의 종별(상승/하강)」 및 「감시시간 단위」를 관련시킨 테이블을 작성하고, 이 테이블에 의거하여, 기억 보존시키는 슬레이브에 대하여, 관계되는 정보를 데이터부에 포함하는 메시지(도 18 참조)를 작성하고, 해당툴장치 또는 마스터 유닛(11)을 통하여 필드 네트워크(12) 경유로 해당 슬레이브에 송신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또한 감시시간 단위는 다른 슬레이브의 상태를 감시하는 시간의 단위로서, 이러한 감시시간 간격으로 해당 비트의 상태의 문의를 행한다. 따라서 이러한 감시시간 단위가 동작시간 계측기능의 최소단위로 된다. 또한 시작 트리거의 IN/OUT 단자의 종별이지만, Mix 슬레이브의 경우에는 당연 I/O의 양쪽이 있다.
이러한 전제로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설정 판독을 행한다(ST 10). 이 설정에 의해, 자기가 감시하여야 할 단자(IN 단자/OUT 단자)의 비트 번호와 시간 취득의 트리거가 되어야 할 변화의 종별을 취득한다. 이어서, 해당 OUT/IN 단자가 변화되엇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T 11). 즉, 스텝 10에서 취득한 설정 데이터에 의거하여 시작시간 취득의 트리거가 되는 감시 대상의 단자가 상승/하강이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변화가 있은 경우(스텝 11의 분기 판단에서 Yes)에는 스텝 12로 진행하여 시작시간을 취득한다. 이어서 묵이여진 해당 IN 단자가 변화(상승/하강은 설정 데이터에 의해 결정된다)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T 13). 그리고 상승이 검지되면(스텝13의 분기 판단에서 Yes), 타이머(13f)의 값(스톱시간)을 취득하고(ST 14), 스텝 2에서 취득한 시작시간과의 차분을 구하고 동작시간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결과 버퍼에 저장한다.
한편, 정상적인 액추에이터의 동작시간을 규정하는 설정치를 미리 보유하고 있고, 스텝 15에서 산출한 동작시간을 설정치와 비교하고 범위 내(정상)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비교 결과도 합쳐서 결과 버퍼에 저장한다(ST 16).
그리고 설정된 감시 대상에 대하여 차례로 상기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하고, 모든 점에 대하여 처리를 실행하였으면(ST 17에서 Yes), 구한 동작시간과 비교 결과를 각 감시 대상(액추에이터(14) 등)의 상태 정보로서 내부 휘발성 메모리(13b')에 기억 유지된다(ST 18). 이러한 처리는 인터럽트 명령에 따라 실행되기 때문에 스텝 18까지의 처리가 실행되었으면 다음 명령이 오는것을 기다린다.
또한 상기한 제3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산출한 동작시간은, 제1, 제2 실시 형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발적 또는 상대로부터의 요구 등의 각종의 타이밍에서 상위의 마스터 유닛(11)이나 PLC 유닛(10)에 줄 수 있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출력기기가 접속된 슬레이브의 OUT 단자가 변화된 때의 시간 정보와, 그 출력기기를 감시하는 입력기기가 접속된 슬레이브의 IN 단자가 변화된 때의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그 차분으로부터 출력기기의 동작시간을 구하도록 하거나, 어떤 IN 단자가 변화되고 나서 별도의 IN 단자가 변화되기까지의 시간 간격으로부터 소정의 장치(시스템)의 동작시간을 구하도록 할 수 있다. 더구나 이러한 산출처리 등은, 네트워크에 접속된 슬레이브나 마스터 등의 노드측에서 행하기 때문에 PLC측의 사이클릭 타임의 영향을 받지 않고 출력기기의 동작시간을 정밀도 좋게 측정할 수 있다.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레이브에서 제어기기(입력기기 및/또는 출력기기)에 관한 물리량의 계측치인 동작시간을 구하는 동시에, 기준치와 비교하고, 소정의 조건에 합치한 경우에 기준치와의 비교 결과 및/또는 동작시간을 필드 네트워크(12)에 출력하고, 그 필드 네트워크(12)에 접속된 소정의 장치(노드)에 주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기준치와의 비교를 하는 일 없이, 소정의 타이밍에서 구한 동작시간을 출력하고, 판단은 PLC 유닛(10) 등에서 행하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송신처는, 마스터 유닛이나 슬레이브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PLC 그 밖의 컨트롤러는 물론이고 콘피규레이터나 모니터 등으로도 좋다.
또한 통지하는 정보도, 판단 결과 및/또는 동작시간에 더하여, 제어기기의 고유 정보(비제어 정보)를 보내도록 하면 좋다. 즉, 예를 들면 동작시간이 기준치보다 길게 된 경우에는 교환시기에 가까와진 것으로 설정하고 있으면, 이러한 기기의 ID를 나타내는 고유 정보(기기명, 제조자명, 형식, 제조번호) 등을 함께 출력함으로써, 유저는 고장난 기기에 관한 정보를 미리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 갈 때에는, 이러한 기기용의 교환부품이나, 교환하는 기기를 휴대하고 갈 수 있어, 보수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슬레이브에, 자기에 접속되어 있는 제어기기에 관한 고유 정보를 미리 기억 보존해 두고 필요에 응해서 판독하여 송신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계측 대상의 제어기기 또는 슬레이브 자신에 관한 물리량은, 상기한 동작시간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슬레이브에 공급되는 전원전압 기타 각종의 것이 있기 때문에 이하에 설명한다.
도 19는, 제4 실시 형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1대의 마스터 유닛(30)과 복수 개소에 분산 배치된 복수대의 슬레이브(33)가 필드 네트워크(32)를 경유하여 접속된 네트워크 시스템이다. 슬레이브(33)에는 입력기기나 출력기기 등의 기기(입출력기기(34))가 접속되고, 마스터 유닛(30)과의 사이에서 그 입출력기기(34)의 I/O 데이터의 송수가 행하여진다. 이 점은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도 같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이 마스터 유닛(30)에는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와 같이 PLC 유닛이 연결되어 PLC를 구성한다. 또한 PLC 유닛과 마스터 유닛(30)은 반드시 직접 접속하여 PLC를 구성할 필요는 없고, 마스터 유닛(30)을 PLC에서 독립시켜도 좋다. 그 경우에, 필드 네트워크(32) 또는 별도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I/O 데이터의 교환을 행하게 된다.
또한 마스터 유닛(30)의 부근에는 네트워크 전원장치(35)가 설치된다. 이 네트워크 전원장치(35)는, 필드 네트워크(32)에 접속되고, 이 필드 네트워크(32)를 경유하여 마스터 유닛(30)이나 슬레이브(33)에 대하여 전원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이 슬레이브(33)를 경유하여 입출력기기(34)에도 전원이 공급된다. 또한 이 필드 네트워크(32)에는,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가 접속되고, 이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에 대하여도, 네트워크 전원장치(35)로부터 전원 공급된다. 상기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는, 마스터 유닛(30), 슬레이브(33) 등의 네트워크 유닛의 상태를 모니터하거나, 파리미터의 판독이나 기록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슬레이브(33)는, 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리모트 I/O 터미널, 내환경(耐環境) 터미널, 리모트 어댑터, I/O 링 유닛, 센서 터미널, 아날로그 입력 터미널, 아날로그 출력 터미널, 온도 입력 터미널, RS232C 유닛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복수대의 슬레이브(33)는, 각각 네트워크 전원장치(35)로부터 필드 네트워크(32)를 통하여 공급되는 네트워크 전원을 이용하여 통신 등의 동작을 행하지만, 이 네트워크 전원은 네트워크 전원장치(35)로부터의 거리에 응해서 각각 다른 전압 강하를 받는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또한 네트워크 전원을 입출력기기(34)에도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입출력기기(34)가 전력을 소비할 때는 그 몫만큼 전압 강하가 증대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대의 슬레이브(33)는, 그 동작 보증전압이, 예를 들면, 24V 내지 11V와 같이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네트워크 전원의 슬레이브에 공급되는 위치에서의 전원전압이, 예를 들면, 11V 이하가 되면 통신 불능으로 된다.
그래서 이 실시의 형태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각 슬레이브(33)에 각각 가하여지는 네트워크 전원의 상태를 감시하는 전원 감시수단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전원 감시수단에서 감시한 각 슬레이브(33)의 네트워크 전원의 상태를 나타내는 전원상태 정보를,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와의 통신에 의해, 필드 네트워크(32)를 경유하여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에서 수집하고, 각 슬레이브(33)의 네트워크 전원의 상태를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에서 일원 관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PLC 시스템에 있어서의 각 슬레이브(33)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0에 있어서, 슬레이브(33)는, 전압 감시부(33a), 최대치·최소치 보존부(33b), 현재치 기억부(33c), 감시전압 기억부(33d), 비교부(53e), 경보 상태 기억부(33f), 통신 제어부(33g)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압 감시부(33a)는, 필드 네트워크(32)로부터 공급되는 네트워크 전원을 감시하고, 그 현재치 및 최대치, 최소치를 검출한다. 그리고 전압 감시부(33a)에서 검출된 네트워크 전원 전압의 최대치 및 최소치는, 최대치·최소치 보존부(33b)에 보존된다. 또한 전압 감시부(33a)에서 검출된 네트워크 전원 전압의 현재치는, 현재치 기억부(33c)에 기억된다.
이 슬레이브(33)는, 상기한 최대치·최소치 보존부(33b) 및 현재치 기억부(33c)에 저장된 I/O 데이터가 아닌 비제어계 정보의 하나인 전압 정보를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에 통신하고,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에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현재의 공급전압이 정상적인지 여부의 판정을 행하고, 그 판정 결과를 기억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또한 공급전압이 동작 불능으로 되는 완전한 이상 상태인 경우에는 장치 자체가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정상인지 여부의 판정도 할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공급전압이 저하하여, 공급전압이 동작 불능으로 되는 전압에 가까운 상태를 이상, 즉, 어떤한 경보가 필요한 상태로 하고, 이러한 상태가 된 것을 기록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은 경보가 필요한 상태, 즉, 동작하고는 있지만 동작 불능으로 될것같은 상태인지의 여부의 판단 기준이 되는 감시전압을, 감시전압 기억부(33d)에 저장하고 있다. 또한 이 감시전압은,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레이브(33)의 도시하지 않은 딥 스위치(DIP switch)에 의해 설정하고 있다.
이 감시전압 기억부(33d)에 기억되는 감시전압은, 예를 들면, 슬레이브(33)의 동작 보증전압이 24V 내지 11V이면, 그 하한의 전압인 11V보다 약간 높은 값에설정한다. 한 예에서는, 12V로 설정된다. 이러한 설정으로 하면, 전압 강하에 따르는 공급전압의 저하에 따르는 통신 불능이 되기 전에, 이 슬레이브(33)에 공급되는 네트워크 전원의 상태를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에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비교부(33e)는, 현재치 기억부(33c)에 기억된 네트워크 전원 전압의 현재치와, 감시전압 기억부(33d)에 기억된 감시전압을 비교하고, 네트워크 전원 전압의 현재치가 비교 기준치인 감시전압을 하회하면, 경보 상태를 출력한다.
이 비교부(33e)에서 출력된 경보 상태는, 경보 상태 기억부(33f)에 기억된다. 여기서 경보 상태 기억부(33f)에서의 경보 상태의 기억은, 에러-플래그로서 기억할 수 있다.
상기한 감시전압에 의거한 판단 결과인 경보 상태(에러-플래그)를 포함하는 공급전압에 관한 정보는 슬레이브(33)가 보존하고 있다. 이 슬레이브가 보존하고 있는 정보는,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로부터의 요구에 대응하여 발신하는 리스폰스로서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에 넘겨주도록 하고 있다. 즉, 최대치·최소치 보존부(33b)에 보존된 슬레이브(33)에 공급되는 네트워크 전원 전압의 최대치 및 최소치와, 현재치 기억부(33c)에 기억된 이 슬레이브(33)에 공급되는 네트워크 전원 전압의 현재치와, 경보 상태 기억부(33f)에 기억된 경보 상태는, 도 19에 도시한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로부터의 판독 커맨드에 의해 최대치·최소치 보존부(33b), 현재치 기억부(33c), 경보 상태 기억부(33f)로부터 통신 제어부(33g)로 판독되고, 이 통신 제어부(33g)로부터 필드 네트워크(32)를 경유하여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에 리스폰스로서 송신된다.
또한 이러한 전압에 관한 정보를 통신하는 타이밍은, 상기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로부터 발행되는 커맨드의 수신에 따라 발신하는 리스폰스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트리거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 트리거, 즉 판단 결과에 변화가 있은 것을 조건으로 슬레이브(33)가 자발적으로 송신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즉, 슬레이브(33)에 대한 공급전압을 감시하고, 일정한 임계치(감시전압) 이하로 된 경우에 경보 상태(에러-플래그) 및 그 밖의 전압 정보를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를 향해 송신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도 20에 도시한 전압 감시 구성은, 마스터 유닛(30) 내에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상기한 슬레이브(33)와 같이, 마스터 유닛(30)에 대한 네트워크 전원장치(35)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의 감시를 행할 수 있다.
도 21은 본 실시의 형태 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의 주요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는, 입력부(36a)와, 필드 네트워크(32)에 접속되는 통신 제어부(36b)와, 표시부(36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각 부의 구체적인 기능은 이하와 같다.
입력부(36a)는, 키보드, 포인팅 디바이스, 조작 패널 등의 맨 머신 인터페이스로서, 유저의 조작에 따라 수취한 이 시스템의 전압표시 지시를 통신 제어부(36b)에 넘겨주는 기능을 갖는다.
입력부(36a)로부터 주어진 전압표시 지시에 따라, 통신 제어부(36b)는, 각슬레이브(33)에 대하여 현재치 판독 커맨드, 최대치 판독 커맨드, 최소치 판독 커맨드, 경보 상태 판독 커맨드를 차례로 발행하고, 이들에 대한 슬레이브(33)로부터의 리스폰스 수신에 의해 각 슬레이브(33)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전원 전압의 현재치, 최대치, 최소치 및 경보 상태를 각각 수집한다. 그리고 수집한 정보를 표시부(36c)에 넘겨준다.
표시부(36c)는,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로서, 통신 제어부(36b)로부터 받은 각 슬레이브(33)의 네트워크 전원의 상태를 출력 표시한다. 이로써, 현재의 전압의 상태를 유저에게 통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LC 유닛의 사이클릭한 처리와는 별도 계통의 통신에 의해, 보통의 I/O 데이터의 송수와는 관계 없이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에서 각 슬레이브(33)의 상태를 수집할 수 있고, 유저는 집중관리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한 처리, 즉 각 슬레이브(33)가 보존하는 공급 전원 전압의 정보를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가 수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처리 절차에 관해 설명한다.
도 24는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의 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입력부(36a)로부터 각 슬레이브(33)의 전압표시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T 21). 전압표시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스텝 21의 분기 판단에서 NO) 때는, 다시 전압표시 지시가 입력되는 것을 기다리지만, 전압표시 지시가 입력되어 있다고 판단되면(스텝 21의 분기 판단에서 Yes) 슬레이브(33)의 유닛 번호(n)를 「1」로 설정한다(ST 22). 이어서, 유닛 번호(n)는 최후의 번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T 23). 또한 스텝 22의 다음에 실행되는 경우에는 n=1임으로 최후의 번호가 아니기 때문에 판단은 NO로 된다.
그리고 유닛 번호(n)가 최후가 아닌 경우(스텝 43에서 NO)는, 슬레이브(33)에 공급되는 네트워크 전원 전압의 현재치의 판독을 지령하기 위한 현재치 판독 커맨드를 유닛 번호(n)의 슬레이브에 대하여 발행한다(ST 24).
그리고 유닛 번호(n)의 슬레이브(33)로부터의 현재치 판독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ST 25), 리스폰스를 수신하지 않았으면(스텝 25에서 NO) 이 리스폰스를 기다린다. 리스폰스를 수신하면(스텝 25에서 YES), 슬레이브(33)의 네트워크 전원 전압의 최대치의 판독을 지령하는 최대치 판독 커맨드를 유닛 번호(n)의 슬레이브(33)에 대하여 발행한다(ST 26).
그리고 유닛 번호(n)의 슬레이브(33)로부터 이 최대치 판독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ST 27), 리스폰스를 수신하지 않았으면(스텝 27에서 NO) 이 리스폰스를 기다린다. 리스폰스를 수신하면(스텝 27에서 YES), 슬레이브(33)에 공급되는 네트워크 전원 전압의 최소치의 판독을 지령하는 최소치 판독 커맨드를 유닛 번호(n)의 슬레이브(33)에 대하여 발행한다(ST 28).
그리고 유닛 번호(n)의 슬레이브(33)로부터 이 최소치 판독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ST 29), 리스폰스를 수신하지 않았으면(스텝 29에서 NO) 이 리스폰스를 기다린다. 리스폰스를 수신하면(스텝 29에서 YES), 슬레이브(33)에 공급되는 네트워크 전원의 경보 상태의 판독을 지령하는 경보 상태 판독 커맨드를 유닛 번호(n)의 슬레이브에 대하여 발행한다(ST 30).
그리고 유닛 번호(n)의 슬레이브(33)로부터 이 경보 상태 판독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고(ST 31), 리스폰스를 수신하지 않았으면(스텝 31에서 NO) 이 리스폰스를 기다린다. 리스폰스를 수신하면(스텝 31에서 Yes), 유닛 번호(n)을 n+1로 인크리먼트한(ST 32) 후, 스텝 23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상기한 각 처리 스텝에서 리스폰스를 수신한 경우에는 그 리스폰스로서 보내여져 온 내용을 추출하고 기억 유지한다.
상기 처리를, 스텝 23에서, 유닛 번호(n)가 최후라고 판단될 때까지 반복하여 실행된다. 또한 유닛 번호(n)의 최후의 값은 미리 기억 보존해 둔다. 그리고 이 스텝 23의 「최후인지?」의 판단은, 엄밀히 말하면, 「최후의 번호를 넘었는지?」나 「최후까지 처리하였는지?」로 된다. 그리고 최후의 번호까지 처리를 실행하였으면(스텝 23에서 Yes), 상기한 각 처리를 실행하여 취득한 현재치, 최대치, 최소치, 경보 상태에 의거하여 각 슬레이브(33)의 네트워크 전원의 상태를 표시한다(ST 33). 이로써, 금회의 전압표시 지시의 입력에 따르는 커맨드 발행, 리스폰스 수신 및 리스폰스에 의해 취득한 정보의 표시라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커맨드의 발행은 슬레이브에 대하여 행하도록 하였지만, 유닛 번호에 마스터 유닛에 할당된 번호를 추가함으로써, 마스터 유닛에 공급되는 네트워크전압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이 스텝 33의 처리를 실행한 결과 얻어지는 표시부(36c)에의 전원상태의 표시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이 있다. 또한 여기서는, 마스터 유닛(30)에 공급되는 네트워크 전압에 관한 정보도 취득한 것으로 한다. 도 23에 도시한 표시화면(37)의 상단에는 마스터 유닛(30)(M), 각 슬레이브(33)(S1 내지 S6)로 이루어지는 이 FA 시스템의 접속 구성이 도시되어 있고, 하단에는 각 유닛에 공급되는 네트워크 전원의 최대치(L1), 현재치(L2), 최소치(L3)가 꺾은선 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다.
L4는 감시전압 기억부(33d)에 기억된 감시전압으로서, 최소치(L3) 또는 현재치(L2)가 감시전압(L4)보다 하회한 유닛이 있는 경우는, 이상이기 때문에 경보 상태에 응해서 소정의 경보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감시전압(L4)과 최소치(L3)와의 비교로 경보를 낼지, 현재치(L2)와의 비교로 경보를 낼지는, FA 시스템의 구성이나 슬레이브(33)에 접속된 외부기기의 전기특성 등에 응해서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한 최소치(L3), 현재치(L2)의 어느쪽의 비교치가 하회하였을 때에도 그 취지의 경보를 내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각 슬레이브(33)의 네트워크 전원의 상태를, 최대치(L1), 최소치(L3), 현재치(L2), 감시전압(L4)과의 관계로서 유저에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전원상태의 표시예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며, 별도의 예를 나타내면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할 수 있다. 즉, 도 24에 도시한 표시화면(37)의 상단에는, 마스터 유닛(30)(M), 슬레이브(33)(S1 내지 S6)로 이루어지는 FA 시스템의 접속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점에서는 상기한 것과 같다. 그리고 하단에는, 각 유닛에 공급되는 네트워크 전원의 최대치(L1'), 현재치(L2'), 최소치(L3')가 막대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다.
L4는 감시전압 기억부(33d)에 기억된 감시전압으로, 최소치(L3) 또는 현재치(L2)가 감시전압(L4)보다 하회한 유닛이 있는 경우는, 이상이기 때문에 경보 상태에 응해서, 소정의 경보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감시전압(L4)과 최소치(L3)와의 비교로 경보를 낼지, 현재치(L2)와의 비교로 경보를 낼지는, FA 시스템의 구성이나 슬레이브(33)에 접속된 외부기기의 전기특성 등에 응해서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한 최소치(L3), 현재치(L2)의 어느쪽의 비교치가 하회하였을 때에도 그 취지의 경보를 내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23, 도 24에서는, 경보 상태의 표시는 없지만, 이 경보 상태는, 각 도면에 도시한 FA 시스템의 접속 구성에 대응하여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한 각 도면의 표시화면과는 별도의 표시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그런데 네트워크 전원전압의 현재치는, 슬레이브(33)에 접속되는 모터 등의 외부기기의 작동상태나 네트워크 전원장치(35)로부터 슬레이브(33)에 달하는 네트워크의 전력 케이블의 도중에 접속된 다른 슬레이브 등의 부하 상황에 의해, 항상 변동한다. 그래서 극단(極短)시간의 전압 저하가 슬레이브(33)의 기능 정지나 성능 저하에 이르지 않는 것인 경우는, 전압 검출수단(전압 감시부)가 소정 시간 이상 지속하는 전압만을 이상이라고 검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네트워크 전원전압의 최대치, 최소치는, 전압 변동의 레인지를 파악하는데 유효하고, 현재치는 현상 파악에 유효하다. 네트워크 전원전압의 현재치가 감시전압보다 저하하였을 때 경보를 내면, 보다 안전측에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각 슬레이브(33)에 있어서의 처리는, 도 25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와 같이 되어 있다. 즉, 우선,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ST 51). 여기서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았으면(스텝 51에서 NO), 다시 스텝 51로 되돌아간다. 즉, 이 스텝 51의 처리에 의해 커맨드 수신을 기다리게 된다.
스텝 51에서,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고 있다고 판단하면(스텝 51에서 YES) 다음에 이 수신한 커맨드는 현재치 판독 커맨드인지를 판단한다(ST 52). 여기서 수신한 커맨드가 현재치 판독 커맨드인 경우(스텝 52에서 YES)에는 현재치 기억부(33c)에 저장된 이 슬레이브의 네트워크 전원의 현재치를 판독하는 동시에 그 현재치를 통신 제어부(33g)가 수신한 커맨드에 대한 리스폰스로서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에 반려한다(ST 53). 이로써, 금회의 커맨드 수신에 따르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수신한 커맨드가 현재치 판독 커맨드가 아닌 경우(스텝 52에서 NO)에는 스텝 54로 달려가서 수신한 커맨드는 최대치 판독 커맨드인지를 판단한다(ST 54). 그리고 이 수신한 커맨드가 최대치 판독 커맨드인(스텝 54에서 YES) 경우에는 최대치·최소치 보존부(33b)에 저장된 슬레이브(33)에 공급된 네트워크 전원의 최대치를 리스폰스로서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에 반려한다(ST 55). 이로써, 금회의 커맨드 수신에 따르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54의 분기 판단에서, 수신한 커맨드가 최대치 판독 커맨드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 56로 가서 수신한 커맨드는 최소치 판독 커맨드인지를 판단한다(ST 56). 그리고 이 수신한 커맨드가 최소치 판독 커맨드인(스텝 56에서 YES) 경우에는 최대치·최소치 보존부(33b)에 저장된 슬레이브(33)에 공급된 네트워크용원의 최소치를 리스폰스로서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에 반려한다(ST 57). 이로써, 금회의 커맨드 수신에 따르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56의 분기 판단에서, 수신한 커맨드가 최소치 판독 커맨드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 58로 달려가서 수신한 커맨드는 경보 상태 판독 커맨드인지를 판단한다(ST 58). 그리고 이 수신한 커맨드가 경보 상태 판독 커맨드이면(스텝 58에서 YES) 경보 상태 기억(33f)에 저장된 이 슬레이브의 네트워크 전원의 경보 상태를 리스폰스로서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에 반려한다(ST 59). 이로써, 금회의 커맨드 수신에 따르는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스텝 58의 분기 판단에서 NO, 즉, 수신한 커맨드가 경보 상태 판독 커맨드가 아닌 경우에는 금회에 수신한 커맨드는 네트워크전압에 관한 정보의 판독 요구의 커맨드가 아니기 때문에 그 수신한 커맨드에 대응하는 다른 처리를 실행한다(ST 60). 그 후, 스텝 51로 되돌아가 다음 커맨드의 수신을 기다린다.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감시전압의 설정은 각 슬레이브마다에 슬레이브상의 조작 스위치(딥스위치나 로터리스위치 등)로 수동으로 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감시전압의 설정은 필드 네트워크(32)를 통하여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로부터의 조작으로 행하여도 좋다. 그리고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로부터의 조작으로 감시전압을 설정하는 경우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개개의 슬레이브마다에 설정하거나, 또는 각 슬레이브의 작동전압이 동일한 경우는, 일괄해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전원장치(35)로부터 멀리에 배치된 슬레이브나, 접속된 외부기기의 부하 전류가 큰 슬레이브 등에만 네트워크 전원 감시 기능을 갖게 하고, 이 슬레이브의 네트워크 전원 감시 정보를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에 보내어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모든 슬레이브(33)에 네트워크 전원 감시기능을 갖게 한 경우에도,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가 특정한 슬레이브에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전원 감시 정보수집 커맨드를 보내어, 이들의 특정한 슬레이브의 네트워크 전원 감시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레이브(33)가 모두 전원 감시수단을 갖고 있는 경우로 설명하였다. 그런데 네트워크 시스템의 구성으로서는, 전원 감시수단을 갖고 있는 슬레이브와, 전원 감시수단을 갖지 않는 종래의 슬레이브가 혼재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로부터의 현재치 판독 커맨드에 대하여, 종래의 슬레이브는 에러 응답으로 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측에서는 해당 슬레이브가 전원 감시수단을 갖지 않는 종래의 슬레이브인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36)는, 필드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슬레이브의 기종 판별을 할수 있기 때문에 전원 감시수단을 갖고 있는 슬레이브에만 현재치 판독 커맨드 등을 발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원 감시수단을 갖고 있는 슬레이브와 전원 감시수단을 갖지 않는 종래의 슬레이브가 혼재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마스터 유닛은 한 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마스터 유닛을 접속한 PLC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시스템 구축시에, 네트워크 전원의 공급상태를 1개소에서 집중 모니터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구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가동중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전원의 공급상태를 수시 체크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보수 보수가 용이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이룬다.
또한 상기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집하는 장치를 네트워크 콘피규레이터로서 설명하였지만, 각 슬레이브에 저장된 정보를 필드 네트워크에 접속된 모니터에 보내어, 그 모니터에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마스터 유닛과의 사이에서 이러한 비I/O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하도록 하더라도 물론 좋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도, 슬레이브 등에 공급되는 전압에 관한 정보는, 슬레이브측에서 검출하는 동시에 기억 보존하고, 그 정보의 수집·표시는, 콘피규레이터로부터의 요구 등에 의거하여 행하기 때문에 PLC측의 사이클릭 처리에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26 이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계측 대상인 제어기기 또는 슬레이브 자신에 관한 물리량으로서 슬레이브에 접속되는 입출력기기에 대하여 공급되는 I/O 전원으로 한 것이다.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FA 시스템은 상위국인 1대의 마스터 유닛(40)과 복수 개소에 분산 배치된 복수대의 슬레이브(43)를 필드 네트워크(42)에 접속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와 같이, 마스터 유닛(40)과 복수의 슬레이브(43) 사이의 상호간의 네트워크인 필드 네트워크(42)로서는 필드 버스(예를 들면, DeviceNet(등록상표) 등)가 이용된다.
여기서 마스터 유닛(40)은 이 FA 시스템에 있어서의 PLC 마스터를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도 3 등과 같이 PLC유닛과 연휴(連携)되어 있다.
또한 슬레이브(43)는, 센서 등의 검출기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는 동시에, 밸브 등의 제어기에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이 FA 시스템에 의한 제어를 행하기 위해 소정의 입출력기기(44)가 접속되어 있다. 이 입출력기기(44)에는, 센서 등의 입력기기(44a)와, 밸브·모터 등의 출력기기(44b)가 있다. 그리고 각 슬레이브(43)에 입출력기기 전원장치(45)의 출력를 접속하고 그 입출력기기 전원장치(45)로부터 각 입출력기기(44)에 대한 전원 공급을 받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출력기기 전원장치(45)에는, 센서 등의 입력기기(44a)에 공급하는 입력용 전원부(45a)와 밸브 등의 출력기기(44b)에 공급하는 출력용 전원부(45b)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입력용 전원부(45a) 및 출력용 전원부(45b)로부터의 공급전압은, 입출력기기 전원 감시부(43a)에도 주어진다. 이로써, 입출력용 전원 감시부(43a)에서는 전압치를 감시하고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ON/OFF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슬레이브(43) 자체에 대한 전원 공급은, 도시 생략하지만, 상기한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필드 네트워크(32)에 접속된 네트워크 전원장치(35)로부터 공급을 받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네트워크를 통하지 않고서 슬레이브의 전원 단자에 단독으로 별도 전력 공급을 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의 슬레이브는, 입출력기기 전원용의 단자와 슬레이브용의 전원 단자를 독립적으로 따로따로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도, 별도 준비한 슬레이브용 전원이 전원 단자를 통하여 슬레이브에 입력되기 때문에 그 슬레이브용 전원의 단자 전압을 계측하는 동시에, 기준치와 비교하고, 그 비교 판단 결과를 네트워크을 통하여 마스터 유닛이나 모니터나 콘피규레이터 등에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복수대의 슬레이브(43)에는, 각각 입력용 전원부(45a)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전원 및 출력용 전원부(45b)로부터 공급되는 출력 전원이, 각각 ON인지 OFF인지를 감시하는 입출력기기 전원 감시부(43a)를 구비하고 있다(도 27 참조).
각 슬레이브(43)는, 이 입출력기기 전원 감시부(43a)에서 감시한 입력 전원 및 출력 전원의 ON OFF 상태를 나타내는 입출력기기 전원상태 정보를 보유한다. 그리고 이 입출력기기 전원상태 정보(I/O 전원 정보)는, 마스터 유닛(40)으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필드 네트워크(42)를 경유하여 마스터 유닛(40)에 송신한다. 이로써, 마스터 유닛(40)에서는 복수대의 슬레이브(43)의 입출력기기 전원(I/O 전원)의 상태를 모니터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마스터 유닛(40)에서는, 센서 등의 입력기기(44a)로부터 신호가 오지 않는 경우에, 그 원인이 슬레이브(43)의 입력용 전원이 OFF이기 때문인지, 실제로 센서 등의 입력기기(44a)의 고장 등에 의해 신호 입력되지 않는지를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고, 이로써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마스터 유닛(40)에서는, 슬레이브(43)에 밸브 등의 제어기(출력기기(44b))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였는데도, 이 밸브 등의 출력기기(44b)의 동작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 그 원인이 슬레이브(43)의 출력용 전원이 OFF이기 때문인지, 실제로 슬레이브(43)에 신호가 출력되지 않았기 때문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마스터 유닛(40)과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PLC 유닛(입력기기로부터의 정보를 받아들이고,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실행 결과를 출력기기에 출력한다)에 있어서는, 슬레이브(43)에 접속된 기기의 전원 공급상태를 마스터 유닛(40) 경유로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PLC 유닛(CPU 유닛)의 제어 프로그램(래더 언어 등에 의해 프로그래밍 된다)으로 슬레이브에 접속된 기기의 전원 OFF시의 대응이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한 슬레이브(43)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28에서는, 슬레이브(43)에 검출기인 센서(44a)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어기인 밸브 등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 및 검출기인 센서 등과 제어기인 밸브 등의 양자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단, 밸브 등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입력용 전원의 감시가 아니라 출력용 전원의 감시가 된다.
우선, 센서(44a)의 검지 신호는 입력부(43b)에 주어진다. 입력부(43b)가 취득한 센서(44a)로부터의 검지 신호, 즉, ON/OFF 정보는 통신 제어부(42c)를 통하여 필드 네트워크(42)를 경유하여 마스터 유닛(40)에 주어진다. 이렇게 하여 I/O 데이터가 송신되지만, 이러한 처리기능은 종래와 같다. 그리고 입력용 전원은슬레이브(43)를 경유하여 센서(44a)에 주어지지만, 그 입력용 전원 감시부(43a')에 주어진다. 입력용 전원 감시부(43c')는 상기 주어지는 입력용 전원의 전압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용 전원의 ON OFF를 항상 감시한다.
그리고 마스터 유닛(40)으로부터 필드 네트워크(42)를 경유하여 보내여져 온 요구를 통신 제어부(43c)에서 수신하면, 이 요구에 의거하여 입력용 전원 감시부(43a')가 감시한 입력용 전원의 ON, OFF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 제어부(43c)가 취득하고 이 정보를 필드 네트워크(42)를 경유하여 마스터 유닛(40)에 송신한다.
물론 도 28에서는 입력용 전원에 관한 감시기능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기기가 접속된 슬레이브인 경우에는 출력용 전원 감시부를 마련하고, 출력용 전원의 ON, OFF 정보를 감시하고, 마스터 유닛(40)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해서 그 ON, OFF 정보를 리스폰스로서 회신하게 된다. 그리고 그들 입력용 전원과 출력용 전원의 감시를 총칭하여 설명하였지만, 도 27에 도시한 입출력기기 전원 감시부(43a)이다. 즉, 이 도 27에서는 슬레이브(43) 내에는 입출력기기 전원 감시부(43a)만을 마련한 예를 도시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도 28과 같이 통신 제어부나 입출력기기의 I/O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입력부나 출력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입출력 전원의 ON, OFF 정보의 관리·송수신을 행하기 위한 마스터 유닛(40)과 슬레이브(43)의 처리 알고리즘의 한 예를 도시하면, 도 29, 도 30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와 같이 되어 있다.
도 29는 슬레이브(43)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입출력기기 전원 감시부(43a)에서 입력용 전원 및 출력용 전원이 ON인지를 판단한다(ST 61). 이 판단은, 0V에 가까운 임계치을 설정하고, 그 이상의 경우에는 ON이라고 판단하도록 하여도 좋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입력용 전원, 출력용 전원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전압에 인가하도록 구성하고, 트랜지스터가 ON한 경우에 전원이 ON이라고 판단하도록 하는 등, 각종의 수법이 채용될 수 있다. 어느 경우도, 어떤 판단 기준치와 비교하고, 판단 기준치 이상(異常)으로 된 경우에 전압이 ON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되어 있다.
입력용 전원이나 출력용 전원이 ON이면(스텝 61에서 YES) 대응하는 입력용 전원, 출력용 전원의 에러-플래그를 OFF로 설정한다(ST 62). 또한 입력용 전원, 출력용 전원이 OFF이면(스텝 61에서 NO) OFF로 된 입력용 전원, 출력용 전원에 대응하는 에러-플래그를 ON으로 설정한다(ST 63).
다음에 마스터 유닛(40)으로부터 필드 네트워크(42) 경유로 입출력기기 전원상태 정보의 요구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T 64). 여기서 입출력기기 전원상태 정보의 요구가 없으면(스텝 64에서 NO) 스텝 61로 되돌아가 다음 처리로 이행한다.
한편, 입출력기기 전원상태 정보의 요구가 수신된 경우(스텝 64에서 YES)에는, 마스터 유닛(40)에 대한 리스폰스로서 상기 에러-플래그를 입출력기기 전원상태 정보로서 필드 네트워크(42) 경유로 송신하고, 그 후, 스텝 61로 되돌아가 다음 처리로 이행한다.
도 30은 마스터 유닛(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입출력기기 전원의 체크 지시가 있는지를 판단한다(ST 71). 이 지시는, 예를 들면PLC 유닛측으로부터의 요구이거나 한다. 또한 마스터 유닛(40)에 입출력기기 전원의 체크 지시용의 조작 버튼 등을 마련하고, 그 조작 버튼을 누름으로서, 입출력기기 전원의 체크 지시가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다.
입출력기기 전원의 체크 지시가 없는(스텝 71에서 NO) 경우에는 스텝 71로 되돌아가 입출력기기 전원의 체크 지시를 기다린다. 그리고 입출력기기 전원의 체크 지시가 있다고 판단되면(스텝 71에서 YES), 다음에 슬레이브(43)의 유닛 번호(n)를 「1」로 설정한다(ST 72). 이어서, 유닛 번호(n)는 최후의 번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T 73). 또한 스텝 72의 다음에 실행되는 경우에는 n= 1임으로 최후의 번호가 아니기 때문에 분기 판단은 NO로 된다.
그리고 유닛 번호(n)가 최후가 아닌 경우(스텝 73에서 NO)는 유닛 번호(n)의 슬레이브에 대한 입출력기기 전원의 에러-플래그의 판독 요구를 발행하고(ST 74), 유닛 번호(n)의 슬레이브로부터의 입출력기기 전원의 에러-플래그의 판독을 행한다(스텝 75).
그리고 이 판독한 입출력기기 전원의 에러-플래그에 대응한 처리를 행하고(ST 76), 다음에 유닛 번호 n을 n+1로 인크리먼트하고(ST 77) 스텝 73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처리는, 스텝 73에서 유닛 번호(n)가 최후이다고 판단될 때까지 반복하여 실행된다. 또한 유닛 번호(n)의 최후의 값은 미리 기억 보존해 둔다. 그리고 이 스텝 73의 「최후인지?」의 판단은, 엄밀히 말하면 「최후의 번호를 넘었는지?」나 「최후까지 처리하였는지?」로 된다. 그리고 최후의 번호까지 처리를실행하였으면(스텝 73에서 YES) 금회의 입출력기기 전원의 체크 지시에 따르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스텝 76에서의 에러-플래그에 응한 처리는, 예를 들면, 마스터 유닛(40)에 인스톨되어 있는 래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행하여지고, 에러-플래그의 값에 응해서, 「입출력기기 전원 정상」, 「No.3-슬레이브 입력용 전원 OFF」 등의 통보를 행하고, 또한 운전 속행이 부적당한 경우에는 운전을 정지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거나 한다.
또한 도 30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에 있어서는, 이 시스템의 슬레이브의 입출력기기 전원의 체크를 모든 슬레이브에 대하여 차례로 행하도록 구성하였지만, 필요에 응해서 특정한 슬레이브의 입출력기기 전원에 대해서만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상기한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입출력기기에 대한 전원 공급을 입출력기기 전원장치(45)로부터 주는 타입의 시스템을 전제로 하였지만,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전원장치로부터 슬레이브 경유로 입출력기기에 전원 공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도, 입출력기기에의 전원 공급의 ON, OFF 상태를 슬레이브측에서 감시하고, 그 결과를 필드 네트워크(42)를 경유하여 마스터 유닛(40) 등에 통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 예를 나타내면, 슬레이브(43)의 내부 구성을 도 31과 같이 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도 31은 슬레이브(43)에 검출기인 센서(44a)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지만, 제어기인 밸브 등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 및 검출기인 센서 등과 제어기인 밸브 등의 양자가 접속되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단, 밸브 등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는 입력용 전원의 감시가 아니라 출력용 전원의 감시가 된다.
우선, 센서(44a)의 검지 신호는 입력부(43b)에 주어진다. 입력부(43b)가 취득한 센서(44a)로부터의 검지 신호, 즉, ON/OFF 정보는 통신 제어부(43c)를 통하여 필드 네트워크(42)를 경유하여 마스터 유닛(40)에 주어진다. 이와같이 하여 I/O 데이터가 송신되지만 이러한 처리기능은 종래와 같다. 그리고 입력용 전원은, 필드 네트워크(42)에 접속된 네트워크 전원장치(47)로부터, 이러한 필드 네트워크(42)를 경유하여 슬레이브(43)에 공급된다. 그리고 슬레이브(43)를 더욱 경유하여 센서(44a)에 주어진다. 이 슬레이브 내의 센서(44a)에의 전원 공급 라인의 도중에 단락 보호회로(43d)가 마련되어 있다. 이 단락 보호회로(43d)는, 예를 들면 센서(44a)측에서 단락이 생긴 것을 검지하면, 회로를 차단하는(스위치를 연다) 제어가 행하여진다. 즉, 네트워크 전원은, 센서(44a) 또한 그 센서(44a)가 접속된 슬레이브(43)는 물론이고, 필드 네트워크(42)에 접속된 다른 슬레이브 등으로도 전원 공급이 되어 있다. 따라서 가령 센서(44a)에서 단락이 발생하면, 그 상태 그대로로는 네트워크 전체의 전원 공급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단락 보호회로(43d)를 마련하고, 단락이 생긴 센서(44a)를 전원 공급계에서 떼어버리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단락 보호회로(43d) 자체의 구성은 종래 공지이기 때문에 그 내부 구성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단락 보호회로(43d)로부터 센서(44a)에의 공급 라인을 분기하여 입력용 전원 감시부(43a')에 주도록 하고 있다. 이 입력용 전원 감시부(43a')는, 상기 주어지는 입력용 전원의 전압에 의거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용 전원의 ON OFF를 항상 감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단락 보호회로(43d)의 동작상태를 포함한 입력용 전원의 ON OFF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즉, 입력용 전원 감시부(43a')는, 입력용 전원의 ON, OFF를 감시하고, 마스터 유닛(40) 등으로부터의 요구에 응해서 그 감시 결과인 전압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마스터 유닛(40) 등에 반려한다. 그래서 슬레이브(43)로부터 센서(44a)에의 공급 전원이 OFF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필드 네트워크(42)경유로 수신한 마스터 유닛(40)은, 해당 슬레이브(43)의 단락 보호회로(43d)가 동작 차단상태로 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슬레이브(43)도 네트워크 전원에 의해 동작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슬레이브로부터의 응답(정보의 통지)이 있었다는 것은, 적어도 슬레이브(43)에는 네트워크 전원이 공급되어 있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센서(44a)에의 공급 전원이 OFF라는 것은 단락 보호회로(43d)가 동작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유닛(40)으로부터 요구에 대한 슬레이브(43)로부터의 정보의 송신 처리는, 도 28에 있어서의 슬레이브와 같이, 통신 제어부(43c)를 통하여 행한다. 즉, 통신 제어부(43c)가 마스터 유닛(40)으로부터의 요구를 수신하면, 입력용 전원 감시부(43a')의 감시 결과를 취득하여 필드 네트워크(42)를 통하여 마스터 유닛(40)에 보내게 된다.
또한 단순히 ON, OFF를 판단하는 것은 아니고, 제4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각슬레이브의 네트워크 전원의 감시와 같이, 입출력용 전원의 전압치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입출력기기가 동작 가능하지만 하한에 가까운 상태인 등의 판단을 하고 그 판단 결과를 통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런데 상기한 입력 전원 감시부(43a')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회로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이 회로는 도 28, 도 3의 어느 입력 전원 감시부(43a')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도 32에서는 입력용 전원의 감시회로를 도시하고 있지만 출력용 전원에 대한 감시회로도 마찬가지로 구성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입력용 전원의 감시회로는, 입력기기(44a)에의 전원 공급 라인으로부터 분기된 경로에 대하여, 저항(51)과 포토커플러(52)를 구성하는 발광다이오드(52a)를 직렬 접속하여 어스로 떨어뜨리고 있다. 또한 포토커플러(52)를 구성하는 수광 트랜지스터(52b)와 전원전압(Vcc) 사이에 풀업 저항(53)을 직렬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풀업 저항(53)과 수광 트랜지스터(52b)의 접속점을 슬레이브(43)의 CPU(54)의 입력 단자에 접속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입력용 전원이 ON인 경우, 입력용 전원으로부터 저항(51)→포토커플러(52)의 발광다이오드(52a)를 경유하여 어스로 전류가 흘러, 발광다이오드(52a)가 점등된다. 이로써, 포토커플러(52)의 수광 트랜지스터(52b)가 ON으로 되고, CPU(54)의 입력 단자에는 어스로 떨어지기 때문에 로우 레벨의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입력용 전원이 OFF이면, 입력용 전원으로부터저항(51)→포토커플러(52)의 발광다이오드(52a)를 경유하여 어스로 흐르는 전류는 없어져, 발광다이오드(52a)는 소등된다. 이로써, 수광 트랜지스터(52b)는 OFF로 되고, CPU(54)의 입력 단자는 오픈으로 되기 때문에 풀업 저항(53)의 작용에 의해 CPU(54)의 입력 단자에는 하이 레벨의 신호가 입력된다.
따라서 CPU(54)는,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를 감시하고, 이것이 로우 레벨이면 입력용 전원이 ON, 하이 레벨이면 입력용 전원이 OFF로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수광 트랜지스터(52b)의 동작전압(ON으로 되는 전압)이 입력용 전압의 ON, OFF의 기준치로 된다.
또한 슬레이브에 접속되는 입력기기가 복수인 경우, 슬레이브로부터의 공급 전원의 감시는, 입력기기마다 개별로 행하여도 좋고 입력기기 전부를 일괄하여 행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슬레이브에 접속되는 출력기기가 복수인 경우도, 슬레이브로부터의 공급 전원의 감시는, 출력기기마다 개별로 행하여도 좋고 출력기기 전부를 일괄하여 행하여도 좋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같이, 단락의 유무 정보를 보내는 경우에는 입출력기기에 관한 정보도 함께 보내도록 하면 좋다. 즉, 단락이 생기고 있는 경우에는 그 단락되어 있는 입출력기기의 수리·교환 등의 보수가 발생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각 슬레이브에, 미리 자기에게 접속되어 있는 입출력기기에 관한 정보, 즉, 기기의 ID를 나타내는 정보(기기명, 제조자명, 형식, 제조번호) 등을 미리 기억 보존해 두고, 단락된 기기에 관한 1D를 타나내는 정보를 포함시켜 출력하면, 유저는 고장난 기기에 관한 정보를 미리 알 수 있다. 따라서 현장에 갈때에 이러한기기용의 교환부품이나, 교환하는 기기를 휴대하고 갈 수 있어, 보수를 신속히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제5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 의하면, 상위국이 각 슬레이브에 접속된 입출력기기용의 전원(I/O 전원)의 상태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슬레이브로부터 신호가 오지 않는 경우의 원인이, 입력기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인지, 실제로 신호가 입력 또는 출력되지 않기 때문인지를 상위국에서 신속히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서는, I/O 전원의 ON/OFF나, 전압치 등의 정보의 통지를 받는 상위국으로서 마스터 유닛의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밖의 컨트롤러라도 좋다. 또한 상위국이라는 개념과는 관계없이, 제4 실시 형태와 같이 콘피규레이터라도 좋고, 또는 모니터(46)라도 좋다. 또한 다른 슬레이브 등, 네트워크 접속된 각종 노드를 송신처로 할 수 있다.
이 것은, 제1 내지 제4 실시 형태에서도 말할 수 있다. 즉, 각 슬레이브에서 취득한 정보의 송신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각종의 노드에 보낼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각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슬레이브는, 마스터 유닛과의 사이에서 I/O 정보를 송수하고, 그 마스터 유닛을 경유하여 컨트롤러(PLC)와 이러한 I/O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여 시스템의 제어를 행하는 예를 나타내고, 마스터 유닛과 슬레이브와의 사이는, 마스터로부터의 요구에 대하여 소망의 슬레이브가 리스폰스를 반려하도록 행한 마스터-슬레이브방식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말하는슬레이브는, 매스터-슬레이브간 통신을 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슬레이브라고는 칭하여지지만, 통신방식은 임의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그 점에서는, 엄밀히 말하면 일반적으로 정의되고 잇는 슬레이브와는 다른 개념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바의 슬레이브는, 제어에 필요한 I/O 정보를 컨트롤러와 송수하는 기능이 있으면, 실제로 송신할 때의 통신 프로토콜은 임의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송신 대상으로 하는 비I/O 정보의 송신처는 마스터 유닛이나 컨트롤러에 한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에 접속된 콘피규레이터나 모니터나 다른 슬레이브 등, 각종의 노드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방식도, 외부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송신하기 위한 트리거도, 외부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행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내부 트리거(내부의 타이머, 일정한 조건에 합치한 때에 발생하는 이벤트 등)에 의거하여 송신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계측수단을 마련하고, 그 계측수단에 의해, 제어와는 관계 없이 제어기기나 슬레이브의 물리량을 계측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제어계에 영향 없이, 보수 정보 등의 비제어 데이터(비I/O 데이터)를 슬레이브에서 확보하여 두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회선(네트워크)에 출력하고, 소정의 송신처에 통지할 수 있다.

Claims (15)

  1. 제어기기가 접속되는 동시에 리모트 회선을 통하여 컨드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어기기의 입력 정보 또는 출력 정보를 통신하는 슬레이브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 또는 상기 슬레이브 자신에 관한 물리량을 계측하는 계측수단과,
    소정의 조건에 합치된 경우에 상기 계측수단에서 계측한 계측치에 의거한 정보를 회선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2. 제어기기가 접속되는 동시에, 리모트 회선을 통하여 컨트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어기기의 입력 정보 또는 출력 정보를 통신하는 슬레이브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 또는 상기 슬레이브 자신에게 관한 물리량을 계측하는 계측수단과,
    그 계측수단에서 계측한 계측치와 기준치를 비교하는 판단수단과,
    그 판단수단에서 구한 판단 결과 정보를 회선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3. 제어기기가 접속되는 동시에 리모트 회선을 통하여 컨트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어기기의 입력 정보 또는 출력 정보를 통신하는 슬레이브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기 또는 상기 슬레이브 자신에 관한 물리량를 계측하는 계측수단과,
    그 계측수단에서 계측한 계측치와 기준치를 비교하는 판단수단과,
    계측수단에서의 계측치 정보와 판단수단에서 구한 판단 결과 정보의 양쪽을 회선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이 회선을 통하여 정보를 통신하는 상대가, 회선에 접속되어 있는 컨트롤러 또는 모니터 또는 다른 슬레이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량은 상기 리모트 회선을 경유하여 슬레이브 자신에 공급되는 네트워크 전원의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량은 슬레이브가 받아들여, 슬레이브 경유로 상기 제어기기에 공급되는 공급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량은 자기 슬레이브 또는 별도의 슬레이브 중 어느 하나에 접속된제어기기에 대한 입력 정보 또는 출력 정보에 관한 데이터의 변경을 트리거로서 계시(計時)되는 동작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시간의 정상 범위를 특정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기억 보존하고,
    상기 계시되어 구해진 동작시간과 상기 설정 정보와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레이브.
  9. FA용의 네트워크에 접속 가능한 노드기기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된 제1 슬레이브에 부착된 제어기기가 동작 시작할 때의 시작 시간 정보를 제1 슬레이브로부터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제어기기가 소정의 상태로 되었을 때의 경과 시간 정보를, 상기 제어기기가 소정의 상태로 된 검출 신호를 받아들이는 제2 슬레이브로부터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시작시간 정보와 상기 스톱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기기의 동작시간를 산출하는 산출기능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드기기.
  10. 제어기기가 접속되는 동시에, FA용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드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어기기의 입력 정보 또는 출력 정보를 통신하는 슬레이브에 있어서의 제어기기의 동작시간을 구하는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와의 사이에서 입력 정보 또는 출력 정보를 통신하는 통신처리와는 독립된 처리로서,
    (a) 상기 제어기기가 동작 시작할 때의 시작 시간 정보를, 제어기기로의 출력 신호에 의거하여 취득하는 단계와,
    (b) 상기 제어기기가 소정의 상태로 된 때의 경과 시간 정보를, 상기 제어기기가 소정의 상태로 된 것을 검출한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취득하는 단계와.
    (c) 상기 시작 시간 정보와 상기 경과 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기기의 동작시간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기기의 동작시간을 구하는 처리방법.
  11. 제어기기가 접속되는 동시에, 리모트 회선을 통하여 컨트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어기기의 입력 정보 또는 출력 정보를 통신하는 슬레이브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와의 사이에서 입력 정보 또는 출력 정보를 통신하는 통신처리와는 독립된 처리로서,
    (a) 슬레이브 내에서 상기 제어기기 또는 상기 슬레이브 자신에게 관한 물리량을 계측하는 단계와,
    (b) 슬레이브 내에서 계측한 계측치와 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와,
    (c) 그 비교 결과 정보를 회선에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레이브의 처리방법.
  12. FA용 네트워크에 접속된 슬레이브 내 또는 모니터 내에 조립되고, 소정 장치의 동작시간을 구하는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정 장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1 입력기기가 접속된 슬레이브의 IN 단자의 신호상태가 변경된 때의 시작 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소정 장치의 상태를 감시하는 제2 입력기기가 접속되는 슬레이브의 lN 단자의 신호상태가 변경된 때의 경과 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시작 시간 정보와 상기 경과 시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 장치의 동작시간을 산출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처리장치.
  13. 컨트롤러와 슬레이브와 모니터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고, 상기 슬레이브 또는 슬레이브에 접속된 제어기기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의 모니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 내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기기의 입력 또는 출력 정보를 통신하는 통신수단과, 상기 전원의 상태를 감시하는 전원 감시수단과, 전원 감시수단에서의 감시상태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에 출력하는 출력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니터장치에,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슬레이브의 출력수단과 통신함으로써, 상기 전원 감시수단에서 감시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수단과, 수집한 전원상태를 일원(一元) 관리하는 수단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모니터 시스템.
  14. 컨트롤러와 슬레이브와 모니터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고, 상기 슬레이브 또는 슬레이브에 접속된 제어기기에 대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의 모니터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레이브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기기의 입력 또는 출력 정보를 통신하는 통신 처리와는 별도로, 상기 전원의 상태를 감시하는 처리와, 전원 감시수단에서의 감시상태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에 출력하는 처리를 행하는 단계와 함께,
    상기 모니터장치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슬레이브의 출력수단과 통신하는 처리와, 통신처리에 의하여 상기 전원 감시수단에서 감시한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처리와, 수집한 전원상태를 관리하는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모니터 방법.
  15. 컨트롤러와, 제어기기를 접속한 슬레이브와, 모니터 장치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모니터 방법에 있어서,
    슬레이브는, 리모트 회선을 통하여 컨트롤러와의 사이에서 상기 제어기기의 입력 정보 또는 출력 정보를 통신하는 처리를 행하는 한편, 상기 제어기기 또는 상기 슬레이브 자신에 관한 물리량을 계측하는 처리를 행하고, 계측한 계측치와 기준치를 비교하는 처리를 행하여, 그 비교 결과 정보를 회선에 출력하는 단계와,
    컨트롤러 또는 모니터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슬레이브의 비교 결과 정보를수신하는 처리를 하고, 수신한 비교 결과 정보를 관리하는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의 모니터방법.
KR1020020027860A 2001-05-21 2002-05-20 슬레이브와 노드 및 처리장치와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KR1008401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1538 2001-05-21
JP2001151538 2001-05-21
JPJP-P-2001-00151584 2001-05-21
JP2001151584 2001-05-21
JPJP-P-2001-00340450 2001-11-06
JP2001340450 2001-11-06
JP2002026174 2002-02-01
JPJP-P-2002-00026174 2002-02-01
JPJP-P-2002-00133121 2002-05-08
JP2002133121A JP4338354B2 (ja) 2001-05-21 2002-05-08 スレー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182A true KR20020089182A (ko) 2002-11-29
KR100840110B1 KR100840110B1 (ko) 2008-06-20

Family

ID=27531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860A KR100840110B1 (ko) 2001-05-21 2002-05-20 슬레이브와 노드 및 처리장치와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44575B2 (ko)
EP (2) EP1811350B1 (ko)
JP (1) JP4338354B2 (ko)
KR (1) KR100840110B1 (ko)
CN (4) CN101339424B (ko)
DE (2) DE60233449D1 (ko)
ES (2) ES2328076T3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578B1 (ko) * 2007-07-23 2009-03-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무선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5225A (ko) * 2018-05-02 2021-01-13 이와타니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경보 장치 및 정보 처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3008A (ja) * 2004-01-29 2005-09-08 Omron Corp 診断システムおよび診断方法ならびにツールおよびコンポ
US20050216101A1 (en) * 2004-03-15 2005-09-29 Omron Corporation Analog input slave and monitoring system
US20060010982A1 (en) * 2004-03-23 2006-01-19 Brinkman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icating an apparent error in the operation of a fluid-powered attachment
DE102004032687B3 (de) * 2004-07-06 2005-12-29 Siemens Ag Verfahren zur Überwachung der Funktion eines Slaves in einem Netzwerk nach der PROFIBUS DP- oder PROFInet I/O-Spezifikation
US7292954B2 (en) * 2004-07-28 2007-11-06 Hr Textron Inc. Acceptance testing of actuators using backlash and stiction measurements
JP2006252486A (ja) * 2005-03-14 2006-09-21 Omron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
DE602006017460D1 (de) 2005-03-14 2010-11-25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Programmierbares Steuersystem
EP1703347B1 (en) 2005-03-15 2018-10-17 Omron Corporation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device and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system
JP4795361B2 (ja) * 2005-11-14 2011-10-19 三菱電機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US8630934B2 (en) * 2006-06-20 2014-01-14 Omx Technology Ab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rading
JP5002316B2 (ja) * 2007-04-24 2012-08-15 パナソニック電工Sunx株式会社 シリアルバスシステム
JP4865656B2 (ja) * 2007-09-05 2012-02-01 三菱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自動機械のモニタ装置及び自動機械の運転装置
CN101408761B (zh) * 2007-10-09 2011-09-28 研华股份有限公司 输入/输出模块***利用图形操作设定的方法
JP4865682B2 (ja) * 2007-11-15 2012-02-01 三菱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自動機械のモニタ装置及び自動機械の運転装置
CN102047761A (zh) * 2008-05-29 2011-05-0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光传感器装置和光控制装置
JP5230545B2 (ja) * 2009-06-26 2013-07-10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装置
CN102468580A (zh) * 2010-11-04 2012-05-23 宋皓 智能电插座
JP5608051B2 (ja) * 2010-11-09 2014-10-15 株式会社ケーヒン 通信システム
JP5553910B2 (ja) * 2010-12-28 2014-07-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モーションコントローラ
USD667417S1 (en) * 2011-02-11 2012-09-18 Charles River Laboratories, Inc. Computer display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12198841A (ja) * 2011-03-23 2012-10-18 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 Corp フィールド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WO2013018190A1 (ja) 2011-08-01 2013-02-07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ナログ入力システム、アナログ出力システム、およびアナログ入出力システム
US8566415B2 (en) 2011-08-22 2013-10-22 Kollmorgen Corporation Safe torque off over network wiring
JP6022908B2 (ja) * 2012-01-16 2016-11-0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処理装置及びバルブ動作確認方法
JP5132844B1 (ja) * 2012-02-22 2013-01-30 株式会社 エニイワイヤ 故障検出方式およびその方式に使用する子局ターミナル
JP5181402B1 (ja) * 2012-03-09 2013-04-10 株式会社 エニイワイヤ インターロック異常検出方式およびその方式に使用する子局ターミナル
WO2013150595A1 (ja) * 2012-04-02 2013-10-10 株式会社エニイワイヤ インターフェース故障検出方式およびその方式に使用する子局ターミナル
CN103810033B (zh) * 2012-11-15 2018-01-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检测用程序启动的方法和装置
JP6046467B2 (ja) * 2012-11-29 2016-12-14 株式会社ダイヘン ロボットシステム
CN104133460A (zh) * 2014-08-16 2014-11-05 泉州天梭电气有限公司 一种消防设备电源监控***
KR101520340B1 (ko) * 2014-09-22 2015-05-14 주식회사 거송시스템 안전 자가진단 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장치
CN104483916B (zh) * 2014-11-04 2017-08-29 中国广核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电源集中监控方法、装置及***
SG10201408352XA (en) * 2014-12-15 2016-07-28 Iia Technologies Pte Ltd A system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multiple machines for producing diamonds and a method thereof
US9958927B2 (en) 2015-06-02 2018-05-01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Selecting active power supplies based on power supply cable length
JP6977265B2 (ja) 2017-01-27 2021-12-08 オムロン株式会社 マスタースレーブ制御システム、およびマスタースレーブ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6969371B2 (ja) * 2017-12-28 2021-11-24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装置
JP7172126B2 (ja) * 2018-05-14 2022-11-16 オムロン株式会社 モータ制御装置
US10754406B1 (en) * 2019-12-27 2020-08-25 Capital One Services, Llc Techniques for monitoring power device alarms
CN117157594A (zh) * 2021-05-06 2023-12-01 三菱电机株式会社 输入输出模块以及控制***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97373B1 (fr) * 1980-12-30 1986-09-05 Bull Sa Systeme d'alimentation microprogrammable pour systeme de traitement de donnees comportant un panneau de service destine aux operations de maintenance et procedes d'exploitation de ce panneau de service
EP0129398A3 (en) * 1983-06-21 1987-09-30 Ripaults Limited A remot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US4675664A (en) * 1983-10-26 1987-06-23 Hydro-Quebec Alarm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roximity of an object to electrical power lines
US4635195A (en) 1984-09-25 1987-01-06 Burroughs Corporation Power control network using reliable communications protocol
JPS6286406A (ja) * 1985-10-11 1987-04-20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ラ
JPS63163501U (ko) * 1987-04-14 1988-10-25
JPS63311508A (ja) * 1987-06-15 1988-12-20 Toshiba Corp シ−ケンス制御回路
FR2627916B1 (fr) * 1988-02-25 1990-08-17 Jaeger Dispositif de commande de moteur a courant continu
US4937811A (en) * 1989-02-24 1990-06-26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Communication network
US5030939A (en) * 1989-09-14 1991-07-09 Elsag International B.V. Multiple input signal checking circuit
JPH04128903A (ja) * 1990-09-20 1992-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US5555269A (en) 1993-10-29 1996-09-10 Carrier Corporation Error detection for HVAC systems
JPH07160314A (ja) * 1993-12-03 1995-06-23 Nippon Steel Corp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の入出力信号動作診断装置
JPH08335103A (ja) * 1995-06-07 1996-12-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ント進行状態表示システム
CN1153351A (zh) * 1995-08-28 1997-07-02 大宇电子株式会社 检测通信状态的电路
JPH09128015A (ja) * 1995-11-02 1997-05-16 Omron Corp Plcのリモートi/oシステム
FR2743642B1 (fr) * 1996-01-11 1999-05-21 Toshiba Kk Procede et appareil de diagnostic d'anomalies d'une installation
JP3493613B2 (ja) * 1996-02-02 2004-02-03 オムロン株式会社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システム統合モニタツール
JPH1055497A (ja) * 1996-08-09 1998-02-24 Yazaki Corp 故障予知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制御ユニット並びに負荷制御システム
JP3825107B2 (ja) * 1996-11-18 2006-09-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設備の異常監視装置、及びその異常監視方法
JPH10214107A (ja) * 1997-01-29 1998-08-11 Toshiba Corp プラント制御装置
JPH10262085A (ja) * 1997-03-18 1998-09-29 Omron Corp ケーブル配設システム
FR2763180B1 (fr) * 1997-05-09 1999-06-04 Schneider Electric Sa Procede et appareil de commande d'un depart-moteur communiquant avec un bus
JPH11184509A (ja) * 1997-12-22 1999-07-09 Canon Inc 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H11212605A (ja) * 1998-01-29 1999-08-06 Omron Corp プログラマブルロジックコントローラ
JP2988918B1 (ja) 1998-08-31 1999-12-13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の複数バッテリパックの監視システム
JP2001100810A (ja) * 1999-09-29 2001-04-13 Omron Corp コントロー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578B1 (ko) * 2007-07-23 2009-03-2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원격 무선 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05225A (ko) * 2018-05-02 2021-01-13 이와타니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경보 장치 및 정보 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44575B2 (en) 2005-09-13
EP1811350A2 (en) 2007-07-25
CN101339424B (zh) 2012-01-25
EP1811350B1 (en) 2009-08-19
KR100840110B1 (ko) 2008-06-20
ES2328076T3 (es) 2009-11-06
JP4338354B2 (ja) 2009-10-07
CN100346245C (zh) 2007-10-31
EP1260893A3 (en) 2004-05-26
US20030004686A1 (en) 2003-01-02
CN101339424A (zh) 2009-01-07
EP1260893B1 (en) 2007-04-11
CN100456184C (zh) 2009-01-28
DE60219388D1 (de) 2007-05-24
CN102004462A (zh) 2011-04-06
DE60233449D1 (de) 2009-10-01
JP2003295914A (ja) 2003-10-17
EP1260893A2 (en) 2002-11-27
DE60219388T2 (de) 2007-12-20
CN1811631A (zh) 2006-08-02
CN1396498A (zh) 2003-02-12
ES2281473T3 (es) 2007-10-01
EP1811350A3 (en)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0110B1 (ko) 슬레이브와 노드 및 처리장치와 네트워크 모니터 시스템
JP4569832B2 (ja) ネットワーク電源モニタシステム
JP3925495B2 (ja) スレーブ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並びにスレーブの処理方法及び機器情報収集方法
US7098798B2 (en) Process device with loop override
KR102062429B1 (ko) 제조 라인의 생산 관리 시스템, 생산 관리 장치 및 생산 관리 방법
US20040210620A1 (en) Safety network system and safety slave
US7840430B2 (en) Risk evaluation support device, program produc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fety network risk evaluation support device
US7162311B2 (en) Safety network system, safety slaves unit, safety controller and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 and monitoring method for the safety network system
EP2942680B1 (en) Process control system and process control method
JP5915627B2 (ja) プロセス制御システム
KR101178186B1 (ko) Pc 기반 시스템에서 피엘씨 신호 패턴을 이용하여 다수의 설비로 구성된 자동화 라인의 비정상 상태 알람 방법.
US9014865B2 (en) Method for monitoring an installation
JP2003150211A (ja) 制御システム及びスレーブ並びに制御情報収集装置及び制御情報収集方法
JP2005302006A (ja) アナログ入力スレーブおよび監視システム
EP1652160B1 (en) Process device with loop override
JP4131134B2 (ja) 制御装置、その入力回路及び制御装置の信号入力方法
CN106153103B (zh) 用于确定测量参量的现场设备和用于传递的方法
JP4716184B2 (ja) 4線式フィールド機器
JP4386186B2 (ja) 信号入力装置
US20230274631A1 (en) Measuring device
CN116242426A (zh) 一种大跨度空间结构健康监管***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