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848B1 -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 - Google Patents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848B1
KR101364848B1 KR1020127016672A KR20127016672A KR101364848B1 KR 101364848 B1 KR101364848 B1 KR 101364848B1 KR 1020127016672 A KR1020127016672 A KR 1020127016672A KR 20127016672 A KR20127016672 A KR 20127016672A KR 101364848 B1 KR101364848 B1 KR 101364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ositioning
support member
hold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9089A (ko
Inventor
히데히사 다까하시
Original Assignee
케논 콤포넨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논 콤포넨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케논 콤포넨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99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the photodetectors having a one-to-one and optically positive correspondence with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e.g. linear contact sensors
    • H04N1/0318Integral pick-up heads, i.e. self-contained heads whose basic elements are a light-source, a lens array and a photodetector array which are supported by a single-piece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2815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pick-up head
    • H04N1/0282Using a single or a few point light sources, e.g. a laser diode
    • H04N1/02835Using a single or a few point light sources, e.g. a laser diode in combination with a light guide, e.g. optical fibre, glass 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27Element positioned
    • H04N2201/02435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39Positioning method
    • H04N2201/02445Positioning method using clip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52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elements within a scanning head
    • H04N2201/02454Element mounted or supported
    • H04N2201/02456Scanning element, e.g. CCD array, photo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52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elements within a scanning head
    • H04N2201/02454Element mounted or supported
    • H04N2201/02458Lens or optical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52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elements within a scanning head
    • H04N2201/02454Element mounted or supported
    • H04N2201/02462Illumin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52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elements within a scanning head
    • H04N2201/02454Element mounted or supported
    • H04N2201/02464Transparent cover or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52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elements within a scanning head
    • H04N2201/02466Mounting or supporting method
    • H04N2201/02472Mounting or supporting method using cl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52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elements within a scanning head
    • H04N2201/02466Mounting or supporting method
    • H04N2201/02474Clasping; Clamp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52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elements within a scanning head
    • H04N2201/02479Mounting or supporting means
    • H04N2201/02483Housing or part of the housing, e.g. bottom 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52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elements within a scanning head
    • H04N2201/02479Mounting or supporting means
    • H04N2201/02485Dedicated element, e.g. bracket or a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8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220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 H04N2201/031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deleted
    • H04N2201/03104Integral pick-up heads, i.e. self-contained heads whose basic elements are a light source, a lens and a photodetector supported by a single-piece frame
    • H04N2201/03108Components of integral heads
    • H04N2201/03112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8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220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 H04N2201/031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deleted
    • H04N2201/03104Integral pick-up heads, i.e. self-contained heads whose basic elements are a light source, a lens and a photodetector supported by a single-piece frame
    • H04N2201/03108Components of integral heads
    • H04N2201/03125Light guide upstream of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8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220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 H04N2201/031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deleted
    • H04N2201/03104Integral pick-up heads, i.e. self-contained heads whose basic elements are a light source, a lens and a photodetector supported by a single-piece frame
    • H04N2201/03108Components of integral heads
    • H04N2201/03129Transparent cover or transparent document support mounted on the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8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220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 H04N2201/031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deleted
    • H04N2201/03104Integral pick-up heads, i.e. self-contained heads whose basic elements are a light source, a lens and a photodetector supported by a single-piece frame
    • H04N2201/03108Components of integral heads
    • H04N2201/03141Photodetector l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8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220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 H04N2201/031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deleted
    • H04N2201/03104Integral pick-up heads, i.e. self-contained heads whose basic elements are a light source, a lens and a photodetector supported by a single-piece frame
    • H04N2201/03108Components of integral heads
    • H04N2201/03145Photo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acsimile Head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Optical Systems Of Projection Type Copiers (AREA)
  • Light Sources And Details Of Projection-Printing Device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은, 원고 조명용의 광원(10)과, 상기 광원(10)으로부터의 광을 원고로 유도하기 위한 막대 형상의 도광체(11)와, 상기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전 변환 소자에 결상하는 결상 소자(12)와, 상기 광전 변환 소자가 실장된 센서 기판(14)과, 이들을 장착함과 함께 상기 도광체(11)를 장착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200)를 갖는 프레임(15)과, 상기 도광체(11)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 부재(16)를 구비하고 있다. 접착재를 사용하지 않고, 도광체(11)를 프레임(15)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도광체(11)의 변형이나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의 휨 등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CONTACT-TYPE IMAGE SENSOR UNIT AND IMAGE READING DEVICE USING SAME}
본 발명은, 이미지 스캐너, 팩시밀리 및 복사기 등에 적합한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및 화상 판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원고면을 조명하기 위하여 광원이 막대 형상의 도광체로 이루어지는 조명 장치를 구비한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미지 스캐너, 복사기 등의 화상 판독 장치에서는, 원고의 화상 정보를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로서, 원고에 근접하여 등배로 판독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이 사용되고 있다.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은, 화상 판독 장치에 있어서 원고를 지지하는 투명한 원고 지지체의 하방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화상 판독 장치 내에 있어서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의 설치 방법식에는, 주로 하기의 2가지가 있다.
(1) 화상 판독 장치의 원고 지지체 상에 원고를 고정하고, 이미지 센서 유닛을 이동시켜 판독을 행하는 플랫 베드형
(2) 화상 판독 장치에 이미지 센서 유닛을 고정하고, 원고 지지체 상의 원고를 이동시켜 판독을 행하는 시트 피드형
이들 예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에 사용되는 종래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의 구성예에 있어서는, 프레임에, 원고를 조명하기 위한 LED를 사용한 광원과 도광체로 이루어지는 조명 장치가 장착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조명 장치는,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받아들여, 원고 판독부의 1라인의 길이에 걸쳐 조명광량이 대략 균일해지도록 출사하는 도광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에는, 원고의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광전 변환하는 수광부를 복수 구비한 광전 변환 소자를 라인 배치하여 형성한 센서 어레이를 탑재한 센서 기판이나 원고의 광학상을 센서 어레이 상에 결상하는 렌즈 어레이도 구비되어 있다. 또한, 센서 기판에는, 센서 어레이와 외부 기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은, 상술한 (1)의 형식에서는, 원고 지지체인 투명 유리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2)의 형식에서는, 원고 지지체인 투명 유리판이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의 프레임에 도광체를 접착제 등으로 고정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프레임과 도광체의 재질이 상이하게 됨으로써, 환경의 온실도 변화에 의한 열팽창, 및/또는, 수축에 의한 도광체의 변형 등이나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의 휨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프레임과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도광체에서 발생하는 열팽창 차나 열수축 차에 대응하기 위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미지 센서가 제안되고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이미지 센서(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400)는, 라인 조명 디바이스로부터의 광을 원고에 조사함으로써 조사된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렌즈 어레이(결상 소자)(401)로 수광 소자 어레이(광전 변환 소자)(402)에 결상하여, 화상의 판독을 행하는 것이다. 또한, 라인 조명 디바이스(조명 장치)는 발광 소자(광원)와 도광체(403)로 구성되어 있다. 도광체(403)는 탄성 유지부(404)의 선단에 설치한 갈고리부(405)에 의해 프레임(406)에 가압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로 인해, 라인 조명 디바이스와 프레임(406) 사이에 열팽창 차 또는 열수축 차가 있던 경우에도, 양자간에 응력이 발생하지 않아, 이미지 센서(400)에 휨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탄성 유지부(404)에 의해 라인 조명 디바이스를 이미지 센서(400)의 프레임(406)에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라인 조명 디바이스의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서는, 프레임(406)과 그것과는 상이한 탄성 특성의 재질이고 또한 도광체(403) 등의 형상이나 제거성을 고려한 복잡한 형상이 요구되는 탄성 유지부(404)를 일체 성형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생산의 생산 관리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내장 작업이나 관계하는 주변 부품의 공통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프레임의 외형 치수를 통일시키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그러나,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에 사용하는 도광체의 사양, 형상이나 설치 위치, 출사광의 방향 등은 다양하다. 예를 들어, 밀착형 이미지 센서와 원고까지의 거리 등의 차이에 의해 조명 각도 또는 방향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도광체를 준비하거나, 도광체의 프레임에의 설치 위치·각도가 여러 변경 등에 대응하거나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의 생산에 있어서는, 도광체의 형상이나 설치 위치·각도의 차이에 대응한 개개의 프레임을 다종, 준비해야 하므로, 생산 관리상의 노동력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한, 상술한 특허문헌 2의 도 12에는, 중앙에 배치한 렌즈 어레이에 대하여 거의 좌우 대칭으로 2개 라인 조명 디바이스를 배치한 CIS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라인 조명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도광체 및 도광체를 수납하는 케이스의 구조는 2개 모두 동일하다. 또한 특허문헌 1에 있어서, 조명 심도를 크게 하기 위하여 좌우 2개의 도광체는, 중앙의 렌즈 어레이에 대한 조사 각도나 위치를 상이하도록 구성하고, 원고에 대한 조명 심도나 조명광량 면에서의 이미지 센서 유닛의 고품질화를 실현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3885088호 공보 국제 공개 WO2006/137263호 팜플렛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밀착형 CIS 유닛에 있어서의 휨이나 도광체의 변형 등을 방지함으로써 품질의 향상을 도모한다. 또한, 프레임의 용이한 성형성과 소 종류화를 도모함으로써, 생산 관리상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은, 원고 조명용의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원고로 유도하기 위한 막대 형상의 도광체와, 상기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전 변환 소자에 결상하는 결상 소자와, 상기 광전 변환 소자가 실장된 센서 기판과, 이들을 장착함과 함께 상기 도광체를 장착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도광체를 착탈 가능하면서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위치 결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도광체의 길이 방향의 일부분을 착탈 가능하면서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도광체를 지지하고 있는 부분을 주주사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도광체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연결부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도광체 수용부와 아암이 설치되고, 상기 도광체 수용부와 상기 아암으로 상기 도광체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암은, 상기 도광체를 파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주사 방향으로 보아, 상기 도광체 수용부와 상기 아암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체 수용부는, 상기 아암을 사이에 두고 주주사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가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커버 유리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위치 결정부의 저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가압부 본체와, 상기 가압부 본체로부터 대략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갈고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정상부는,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위치 결정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면보다 돌출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가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위치 결정부의 한쪽의 내벽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위치 결정부의 다른 쪽의 내벽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에는, 걸림 갈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 결정부에는, 상기 걸림 갈고리를 거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걸림 갈고리가 상기 걸림 돌기에 스냅 피트로 걸림으로써 상기 위치 결정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연결부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도광체 수용부와 아암이 설치되고, 상기 도광체 수용부는, 상기 아암을 사이에 두고 주주사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 갈고리는, 2개의 상기 도광체 수용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 돌기는, 그 주주사 방향의 길이가, 2개의 상기 도광체 수용부 사이의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 갈고리와 걸림으로써 상기 지지 부재를 주주사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에는, 상기 지지 부재에 접촉하고, 상기 지지 부재를 주주사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에는, 저면 및 상기 저면에 인접하는 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부를 주주사 방향으로 보아, 상기 저면의 폭 치수와 상기 내벽의 높이 치수가 대략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원과 상기 도광체를 2조 구비하고, 각 조의 상기 도광체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고, 주주사 방향으로 보아, 2개의 상기 위치 결정부의 단면 형상은, 각각 식별 가능하게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 결정부에는, 상기 지지 부재가 장착되는 걸림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에는, 걸림 갈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 홈에는, 상기 걸림 갈고리를 거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걸림 갈고리가 상기 걸림 돌기에 스냅 피트로 걸림으로써 상기 걸림 홈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자기 윤활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고체 윤활제를 포함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가 1개이고, 하나의 도광체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가 복수 개이고, 하나의 도광체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광체에는, 상기 광원의 측의 단부면 근방에 상기 프레임과 지지하는 고정 핀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 판독 장치는, 원고 조명용의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원고로 유도하기 위한 막대 형상의 도광체와, 상기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전 변환 소자에 결상하는 결상 소자와, 상기 광전 변환 소자가 실장된 센서 기판과, 이들을 장착함과 함께 상기 도광체를 장착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도광체를 착탈 가능하면서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위치 결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광체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위치 결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도광체를 프레임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도광체의 변형이나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의 휨 등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광체의 형상에 맞게 지지 부재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을 용이하게 성형할 수 있음과 함께 소 종류화를 도모하여, 생산 관리상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플랫 베드 방식의 화상 판독 장치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시트 피드 방식의 화상 판독 장치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장착한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4)의 부분의 일례를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4)의 내부에 있어서의 광학 구성 부품과 광로의 관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4)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의 밀착형 CIS 유닛(4)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홀더(16)의 일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도광체(11)를 홀더(16)가 보유 지지하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도광체(11)를 홀더(16)가 보유 지지하는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을 적용할 수 있는 프레임(15)과 홀더(16)의 장착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0a는 실시예 1을 적용할 수 있는 프레임(15), 홀더(16) 및 커버 유리(17)의 관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0b는 실시예 1을 적용할 수 있는 프레임(15), 홀더(16) 및 커버 유리(17)의 관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2를 적용할 수 있는 프레임(515)과 홀더(16)의 장착 상태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2a는 실시예 2를 적용할 수 있는 프레임(515), 홀더(16) 및 커버 유리(17)의 관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2b는 실시예 2를 적용할 수 있는 프레임(515), 홀더(16) 및 커버 유리(17)의 관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3a는 실시예 2를 적용할 수 있는 프레임(515), 홀더(16) 및 커버 유리(17)의 관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3b는 실시예 2를 적용할 수 있는 프레임(515), 홀더(16) 및 커버 유리(17)의 관계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종래의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의 일례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이하 CIS 유닛이라고 칭한다)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광체를 프레임에 장착할 때에, 도광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사용하여 프레임에 장착한다. 특히, 로드 렌즈 어레이를 사이에 둔 양측에 2계통의 조명 장치를 구비한 CIS 유닛에 사용한 경우에도 효과적이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예 1 및 2에서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플랫 베드 방식의 스캐너(화상 판독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참조 부호 1은 하우징이다. 하우징(1)은, 원고 적재부로서의 유리제의 투명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래튼 유리(2)와, 이 플래튼 유리(2) 상에 적재된 원고를 덮도록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플래튼 커버(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의 내부에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CIS 유닛(4)이 저장되어 있다. 참조 부호 5는 CIS 유닛(4)을 둘러싸도록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부재이다. 참조 부호 6은 보유 지지 부재(5)를 플래튼 유리(2)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샤프트이다. 참조 부호 7은 구동 모터이다. 참조 부호 8은 와이어이다.
이 구성에 의해, 구동 모터(7)를 구동하여 보유 지지 부재(5)에 설치된 와이어(8)를 기계적으로 움직이게 함으로써, CIS 유닛(4)을 슬라이드 샤프트(6)를 따라 판독 방향(부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시트 피드 방식의 스캐너(화상 판독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즉, 참조 부호 9는 원고 반송 롤러이며, 이 원고 반송 롤러(9) 사이에 원고를 끼워 반송하는 것이다. 또한 커버 유리(17)가, CIS 유닛(4)의 원고측 상면에 구비되어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CIS 유닛(4)의 부분을 확대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CIS 유닛을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를 예시한 것이지만, 이들 형식의 화상 판독 장치에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CIS 유닛(4)의 내부에 있어서의 광학 구성 부품과 광원으로부터의 광로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에서는, 도시를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광원(10)과 도광체(11)로 이루어지는 조명 장치가 1조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참조 부호 10은 원고 조명용의 광원의 일례이다. 이 광원(10)에는 각각 적어도 적녹청 3색(이하, RGB로 생략한다)의 발광 파장을 갖는 LED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10r, 10g, 10b)가 구비되어 있다. 광원(10)은, 이들 발광 소자(10r, 10g, 10b)를 순차 점등 구동함으로써 광을 조사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발광 소자(10r, 10g, 10b)는 적, 녹, 청의 각 색을 발광하는 LED 소자를 사용했다.
참조 부호 11은 광원(10)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원고로 유도하는 도광체이다. 이 도광체(11)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면에는, 광원(10)이 배치되어 있다. 이들 광원(10) 및 도광체(11)의 조합에 의해 조명 장치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참조 부호 12는 결상 소자로서의 로드 렌즈 어레이이다. 로드 렌즈 어레이(12)는, 정립 등배 결상형 렌즈 소자가 복수 배열된 것이며,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전 변환 소자(13)에 결상하는 것이다. 또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결상 소자로서 사용할 수 있다.
참조 부호 13은 로드 렌즈 어레이(12)로 결상된 반사광(원고 화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변환 소자이다. 광전 변환 소자(13)는 판독하는 원고 폭에 대응할 수 있는 수가 배열되어 있다. 참조 부호 14는, 배열한 광전 변환 소자(13)가 실장된 센서 기판이다.
이상의 구성이, 플랫 베드 방식 및 시트 피드 방식의 화상 판독 장치의 어디에든 장착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적용한 CIS 유닛(4)의 광학적 부품의 구성의 일례이다. 이들 광학적 구성 부품은, 구조적 부재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CIS 유닛으로서 조립할 수 있다.
도광체(11)는, 유기 유리라고 불리는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르보네이트 등의 투명 플라스틱으로 성형한 것이 사용된다. 본 실시예의 도광체(11)는 아크릴계의 수지를 성형한 것이다.
참조 부호 101은, 도광체(11)의 길이 방향(주주사 방향)의 한쪽의 단부면이며, 광원(10)으로부터의 광이 입광되는 입광면이다. 광원(10)은, 그 광이 효율적으로 도광체(11)에 입광할 수 있도록, 이 입광면(101)에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참조 부호 102는, 도광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또한 원고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면이며, 광이 출사되는 출사면이다. 출사면(102)에서는, 출사면(102)에 대향하여 설치된 반사면(103)에 의해 확산된 광을 주로 출사하여 원고를 조명하는 것이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CIS 유닛(4)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는 CIS 유닛(4)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그 CIS 유닛(4)의 일부 확대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광원(10) 및 도광체(11)로 이루어지는 조명 장치를 2조 내장하고 있지만, 1조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화살표로 표시한 X 방향을 주주사 방향, Y 방향을 부주사 방향, Z 방향을 상측 방향, Z 방향의 역방향을 하측 방향이라고 정의하고 이하의 설명에 사용한다.
참조 부호 15는 CIS 유닛(4)의 구성 부품을 장착 또는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이 프레임(15) 내에는, 광원(10), 도광체(11), 로드 렌즈 어레이(12), 광전 변환 소자(13)가 실장된 센서 기판(14)의 구성 부품이 소정의 위치 관계로 각각 설치 지지되어 있다.
프레임(15)에는 도광체 실장부로서 도광체(11)를 수납하는 위치 결정부(2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부(200)에는 복수의 걸림 홈(201l)(l은 1부터 4의 자연수)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 홈(201l)은, 위치 결정부(200)의 저면 방향 및 이 저면에 인접하는 양측의 내벽 방향에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걸림 홈(201)의 수는 4개이지만, 걸림 홈(201)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걸림 홈(201)은, 예를 들어 광원(10)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광이 입광하는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양단부로부터 입광하는 경우에는 중앙부)을 향하여 서서히 간격을 길게 하는 배치이어도 상관없다.
참조 부호 16은 도광체(11)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홀더이다. 이 홀더(16)는, 도광체(11)와 프레임(15)에 형성된 걸림 홈(201) 사이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도광체(11)를 보유 지지하면서, 도광체(11)를 프레임(15)의 위치 결정부(200) 내에 설치 지지하는 것이다.
홀더(16)는, 자기 윤활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으로 형성된다. 혹은, 고체 윤활제를 포함한 합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며, 예를 들어 불소 수지, 이황화몰리브덴 등을 코팅한 합성 수지로 형성된다.
여기서, 자기 윤활성이란, 자신이, 예를 들어 이황화몰리브덴 등의 고체 윤활제와 동일 정도(또는 그 이하)의 마찰 계수를 가짐으로써, 다른 윤활제를 사용하지 않고 마찰·마모를 저감시킬 수 있는 성질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레임(15)을 폴리카르보네이트 수지로 성형하고, 홀더(16)를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수지의 재료로 성형했다.
참조 부호 17은, 원고와 대향하는 측인 CIS 유닛(4)의 상부에 설치한 커버 유리이다. 이 커버 유리(17) 표면에 판독하는 원고가 가압되는 것이다. 물론 커버 유리(17)는, 프레임(15) 내로의 먼지의 진입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버이기도 하다. 커버 유리(17)가 미리 조립되어 있는 CIS 유닛(4)은, 주로 시트 피드형의 화상 판독 장치에 사용된다. 한편, 플랫 베드형의 CIS 유닛(4)은, 화상 판독 장치에 구비한 원고를 적재하기 위한 플래튼 유리(2) 뒤에 배치되므로, 커버 유리(17)를 구비하지 않고 있어도 좋다.
또한, 커버 유리(17)의 재질은 유리에 한하지 않고, 동등한 강도를 갖는 다른 투명 부재이어도 상관없다.
도 7은 홀더(16)의 상세한 형상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참조 부호 300은 홀더(16)에 설치된 탄성력을 갖는 아암이다. 참조 부호 301은 아암(300)의 선단에 형성한 굴곡부이다. 굴곡부(301)는 본 실시예에서는 도광체(11)의 출사면(102)의 일부를 억제하고 있다. 참조 부호 305는 홀더(16)의 하부에 설치되고, 도광체(11)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도광체 수용부이다. 아암(300)과 도광체 수용부(305)는, 연결부(306)를 개재하여 연결된 구조이며, 비스듬한 상측 방향(도광체의 출사면(102)에 닿는 부분)을 개구한 끼워 맞춤부(A)(도 8a 참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아암(300)은 끼워 맞춤부(A)에 도광체(11)가 끼워 맞추어졌을 때, 끼워 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탄성력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끼워 맞춤부(A)는 내측에 만곡한 내면을 가짐과 함께, 그 내부 치수을 도광체(11)의 외형보다 작도록 형성함으로써, 아암(300)이 상방으로 탄성 변형됨으로써 도광체(11)를 끼워 넣도록 끼워 맞추는 것이다(도 8a 및 도 8b를 참조).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I-I선을 따라 절단한 도면이다. 도 8a는 도광체(11)가 끼워 맞춤부(A)에 끼워 맞추어지기 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는 도광체(11)가 끼워 맞춤부(A)에 끼워 맞추어져, 아암(300)과 도광체 수용부(305)에 의해 파지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8a에서는, 도광체(11)를 끼워 맞추는 끼워 맞춤부(A)에 있어서의 굴곡부(301)를 제외한 개구부의 내부 치수 「a」가, 도광체(11)의 외경 「b」보다 작아, 「a」<「b」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 인해, 도광체(11)의 외형 형상에 끼워 맞추는 아암(300)의 형상에 기인하는 탄성력에 의해, 도광체(11)를 고정할 수 있는 점에서, 홀더(16)에의 도광체(11)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홀더(16)로부터의 도광체(11)의 제거도 용이하게 된다. 또한, 아암(300)이 도광체(11)를 파지하는 방향의 탄성력에 의해, 도광체(11)를 홀더(16)에 가압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착탈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설계상 필요로 한 여유분이 불필요하게 되어,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출사면(102)은, 굴곡부(301)에서 유지되기 때문에, 굴곡부(301)의 투영 면적분 출사면(102)의 개구 면적이 감소하여, 조사광이 손실되게 된다. 이로 인해, 출사면(102)의 개구 면적의 감소를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굴곡부(301)의 투영 면적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프레임(15)과 그것에 장착하는 홀더(16)의 관계를 나타내는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참조 부호 202는 걸림 홈(201)에 형성된 스냅 피트 형상을 한 걸림 돌기이다.
참조 부호 302는 걸림 돌기(202)와 걸리는 스냅 피트 형상을 한 걸림 갈고리이며, 홀더(16)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걸림 갈고리(302)와 걸림 돌기(202)를, 스냅 피트 형상(예를 들어, 부품의 한쪽에 돌기를, 다른 쪽에 돌기·절결·홈·갈고리 형상 등을 갖게 하여, 탄성 걸림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도광체(11)를, 프레임(15)의 위치 결정부(200)에 위치 결정한 상태에 설치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홀더(16)에는, 걸림 갈고리(302)의 이측과 아암(3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걸림 갈고리(302)가 걸림 돌기(202)를 타고 넘을 때에, 걸림 갈고리(302)가 공간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걸림 갈고리(302)가 걸림 돌기(202)를 타고 넘은 후에는 걸림 갈고리(302)의 형상이 원래대로 돌아가, 걸림 돌기(202)에 탄성 걸림된다.
다음에 커버 유리(17)를 이용한 홀더(16)의 위치 결정부(200)에의 장착에 관한 발명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6)의 아암(300)을 사이에 두고 주주사 방향의 양측에, 아암(300)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되는 형상의 가압부(303)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303)는, 아암(300)로부터 연결부(306)를 개재하여 연결된 가압부 본체(307)와, 가압부 본체(307)로부터 대략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갈고리부(308)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 본체(307)는, 연결부(306)로부터 상방을 따라 세워 설치되고, 아암(300)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갈고리부(308)는, 가압부 본체(307)의 상부로부터 주주사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아암(300)을 끼운 2개의 갈고리부(308)는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돌출한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 본체(307)의 측면 중, 걸림 홈(201)의 내벽(203)에 대향하는 면의 상방에는, 외측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309)가 테이퍼면(310)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09)는, 아암(300)의 외벽(311)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술한 갈고리부(308)의 상부에는 돌기(30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304)의 높이는, 홀더(16)를 걸림 홈(201)에 설치했을 때에 프레임(15)의 상면보다 돌출된 높이이다(도 10a를 참조). 도 10a는, 도 7에 도시한 홀더(16)를 화살표B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홀더(16) 및 프레임(15)의 단면도이다.
이 구성에 의해, 프레임(15)에 커버 유리(17)를 설치한 경우, 커버 유리(17)의 이면에 의해 돌기(304)가 눌려 내려가고, 그에 따라 좌우의 가압부(303)의 갈고리부(308)가 탄성 변형되면서 각각 눌려 내려간다. 이 결과, 가압부(303)의 갈고리 형상에 기인하는 탄성력에 의해 홀더(16)를 하방으로 압입하는 가압력이 발생하여, 프레임(15)의 소정의 위치에 가압한 상태에서 홀더(16)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홀더(16)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점에서, 위치 결정 정밀도의 향상이 한층 더 도모된다(도 10b를 참조).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커버 유리(17)를 설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홀더(16)가 프레임(15)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가압부 본체(307)는, 돌출부(309)를 개재하여 걸림 홈(201)의 한쪽의 내벽(203)으로부터 가압된다(도 9를 참조). 그 결과, 홀더(16)를 걸림 홈(201)의 다른 쪽의 내벽(205)측에 압입하는 가압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걸림 갈고리(302)와 걸림 돌기(202)가 깊게 걸림으로써 홀더(16)를 걸림 홈(201)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광체(11)는, 홀더(16)에 의해 그 양단부 및 중앙부 2개소의 총 4개소에 의해 프레임(15)의 위치 결정부(200)에 설치 지지되는 것이다.
다음에 도 9에 있어서의 한쪽의 위치 결정부(200)에의 도광체(11)의 착탈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광체(11)를 프레임(15)에 설치할 때에는, 우선 4개의 홀더(16)를 대응하는 걸림 홈(201)에 삽입하여 걸림 갈고리(302)가 걸림 돌기(202)에 의해 걸려질 때까지 밀어 내린다. 계속해서, 도광체(11)를 전체 4개의 홀더(16)의 끼워 맞춤부(A)에 각각 끼워 맞추게 함으로써, 도광체(11)를 소정의 위치에 설치한다. 마지막으로, 커버 유리(17)를 프레임(15)에 고정한다. 이때, 돌기(304) 및 가압부(303)가 커버 유리(17)의 이면에 의해 눌려 내려가는 점에서, 가압부(303)의 탄성력에 의해 홀더(16)는 4개 모두가 위치 결정부(200)의 하방(저면)으로 가압된다. 이로 인해, 각각의 홀더(16)가 프레임(15)의 소정의 걸림 홈(201)의 위치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설치가 종료된다.
프레임(15)으로부터 도광체(11)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우선, 커버 유리(17)를 제거한다. 계속해서, 홀더(16)의 아암(300)을 상방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도광체(11)를 각각의 홀더(16)의 끼워 맞춤부(A)로부터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홀더(16)를 로드 렌즈 어레이(12)측에 기울이면서 인상함으로써 걸림 갈고리(302)와 걸림 돌기(202)의 탄성 걸림(스냅 피트)을 해제할 수 있어, 홀더(16)의 제거를 할 수 있다. 이 동작을 모든 홀더(16)에 대하여 반복하여 제거가 종료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냅 피트로 걸기 위한 걸림 돌기(202)와 걸림 갈고리(302)의 조합은, 홀더(16)마다 1조의 구성으로 했지만, 복수 조에 의해 각 홀더(16)와 프레임(15)을 결합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이다.
이에 의해, 홀더(16)는 프레임(15) 및 도광체(1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광체(11)의 착탈을, 홀더(16)를 통하여 자유롭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접착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도광체(11)의 변형 등이나 CIS 유닛(4)의 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CIS 유닛(4)의 제조 시 및 조립 후에 먼지 등의 혼입이 발생한 경우에도 수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상황에 따라 도광체(11)의 형상을 변경해도, 도광체(11)의 형상에 맞춘 끼워 맞춤부(A)를 구비한 홀더(16)를 준비함으로써 프레임(15)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도광체(11)만을 용도에 맞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광체(11)를 홀더(16)에 설치된 아암(300)의 탄성력에 의해, 프레임(15)의 소정의 위치에 가압한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착탈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설계상 필요한 여유분이 불필요하게 되어, 위치 결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가압부(303)가 커버 유리(17)의 이면에 의해 눌려 내려감으로써, 가압부(303)의 탄성력에 의해 홀더(16)를 프레임(15)(걸림 홈(201))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게 되어, 위치 결정 정밀도의 향상이 한층 더 도모된다.
나아가, 홀더(16)를, 자기 윤활성을 갖는 합성 수지로 형성하고, 끼워 맞춤부(A)에 도광체(11)를 끼워 맞추는 점에서, 도광체(11)를 주주사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환경 온도의 변화에 따른 열팽창, 및/또는, 수축에 의한 도광체(11)의 변형 및 도광체(11)의 착탈 시의 마찰 등에 의해, 도광체(11) 표면에 발생하는 흠집을 저감시킬 수 있다.
혹은, 홀더(16)를, 고체 윤활제를 포함한 합성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저비용으로, 도광체(11)의 변형 시 및 착탈 시의 마찰 등에 의해, 도광체(11) 표면에 발생하는 흠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16)(걸림 갈고리(302)) 및 걸림 홈(201)(걸림 돌기(202))의 형상은, 서로 걸 수 있는 걸림 수단을 갖는 형상으로 하면 되는데, 어떠한 형상이든 상관없다.
또한, 홀더(16)는 도광체(11)의 고정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LED 어레이 기판 등 다른 광원을 선택하여 고정할 수 있는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사용 상황에 따라서 광원의 선택, 및/또는, 좌우의 광원의 조합 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다.
위치 결정부(200)에 있어서, 프레임(15)과 LED 어레이 기판을, 예를 들어 스냅 피트 형상에 의해 직접 고정할 수 있는 형상으로 하고, LED 어레이 기판의 고정과 홀더(16)에 의한 도광체(11)의 고정의 조합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위치 결정부(200)에 설치된 LED 어레이 기판의 고정용의 스냅 피트 형상과, 홀더(16)의 고정용의 스냅 피트 형상을 공통화해도 좋다. 이에 의해, 위치 결정부(200)에는 1종류의 스냅 피트 형상을 설치함으로써 대응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프레임(15) 구조의 간략화가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실시예 1과 같이 위치 결정부(200)에 걸림 홈(201)을 형성하지 않고, 도광체(11)를 파지하여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서의 홀더(16)를 위치 결정부(500)에 착탈 가능하고 장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이하, 실시예 2의 발명의 상세를 실시예 1의 설명에 사용한 도면 외에 도 11 내지 도 13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에서의 설명과 동일 요소는 동일 부호를 붙여 대응시키고 있다. 단, 프레임과 그것에 직접 관련된 부분이나 요소는, 걸림 홈을 형성하지 않는 점에 특징이 있고, 새롭게 500번대의 부호를 부여하였다. 조명 장치를 구성하는 도광체(11)나 광원(10)은, 실시예 1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홀더(16)도 그 자체의 기본 기능과 구성은 실시예 1과 비교하여 특별한 사양은 불필요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했다. 물론, 걸림 홈이 없는 위치 결정부(500)에 직접 장착하기 위해, 치수 등은 실시예 2의 위치 결정부(500)의 안쪽 치수에 맞게 변경된다.
도 11은, 실시예 2의 CIS 유닛(4)의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의 일례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홀더(16)는, 도 7에 도시한 I-I선을 절단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프레임(515)에 설치한 도광체(11)를 수납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500)는, 실시예 1의 걸림 홈이 없는 형상이다. 또한, 위치 결정부(500)의 내면인 내벽(503)의 높이와 저면(504)의 폭(부주사 방향)은, 홀더(16)가 장착될 수 있는 영역 또는 도광체(11)의 길이에 상당하는 영역에서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도광체(11)가 수납되어 장착되는 부분인 위치 결정부(500)를 부주사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내벽(503)의 높이와 저면(504)의 폭이 대략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부(500)에 장착되는 홀더(16)의 외형이 내벽(503)과 저면(504)에 충분히 접촉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결과, 홀더(16)는, 위치 결정부(500)의 도광체(11)가 수납되는 어느 위치에서든 내벽(503)과 저면(504)에 대하여 위치 정밀도 높게 장착할 수 있는 것이다. 단 후술하는 위치 결정 돌기에의 대응은, 예시 3에 기술했다.
도 11에서는, 로드 렌즈 어레이(12)를 중앙에 끼워 좌우 양측에 2개의 위치 결정부(500)를 배치하고, 이 좌우의 위치 결정부(500) 각각에 형상이 상이한 도광체(11)를 파지한 홀더(16)의 장착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구성이나 부품 중, 좌측에 배치한 것의 부호에는 a를 부여하고, 우측에 배치한 것의 부호에는 b를 부여하고 있다.
홀더(16)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며, 도광체(11)를 상측으로부터 누르는 아암(300)과 도광체(11)를 하측으로부터 지지하는 도광체 수용부(305)가 연결부(306)를 개재하여 연결된 구조이다. 홀더(16)는, 아암(300)과 도광체 수용부(305)에 의해 도광체(11)를 파지함으로써 지지한다. 또한, 아암(300)의 선단에 형성된 굴곡부(301)는, 도광체(11a, 11b)와 같은 단면 형상의 도광체가 출사광 방향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물론, 굴곡부(301)와 도광체 수용부(305)의 도광체(11)의 파지 여유분은 출사면(102)과 접촉하는 면적이 극소해지도록 배려하여 홀더(16)를 설계하고 있다.
또한, 홀더(16)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300)과 도광체 수용부(305)로 둘러싸이는 환상의 내부 치수 「a」가, 도광체(11)의 외경 「b」보다 약간 작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홀더(16)가 도광체(11)를 파지할 때에는, 아암(300)이 이 환상이 넓어지는 방향의 탄성 변형에 기인하는 탄성력에 의해, 도광체(11)를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광체(11b)를 파지한 홀더(16b)를 위치 결정부(500b)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위치 결정부(500)와 아암(300) 사이에 아암(300)이 충분히 탄성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휨용 간극(312)을 확보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위치 결정부(500)와 아암(300) 사이에, 휨용 간극(312)을 확보함으로써, 도광체(11)를 홀더(16)에 끼워 넣을 때의 작업이 충분히 가능하게 된다.
도광체(11)의 형상은, 출사광량의 길이 방향의 분포의 균일화를 도모하기 위해, 광원(10) 또는 입광면(101)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가늘게 형성하는 예나 반사면(103)의 폭(부주사 방향)을 입광면(101)으로부터의 거리에 관련하여 광협시키는 예가 있다. 그들의 치수 변화는 도광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도 8a에 도시하는 홀더(16)의 내부 치수 「a」의 치수는, 사용하는 도광체(11)마다 도광체(11)의 길이 방향 중, 홀더(16)가 파지하는 위치의 단면 형상(도 8a에 나타내는 외경 「b」)에 맞추어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술한 홀더(16)의 탄성 변형에 의한 파지력이,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범위이면, 홀더(16)의 내경의 치수는 동일한 내부 치수 「a」이어도 좋다.
이러한 홀더(16)의 탄성력에 의한 도광체(11)의 파지는, 환경 변화로 발생하는 선팽창 차에 의한 도광체(11)의 신축에 대하여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광체(11)의 측면이 홀더(16)의 환상의 내면에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홀더(16)가 도광체(11)를 파지하고 있다. 따라서, 도광체(11)가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했다고 해도, 홀더(16) 내를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기 때문에, 홀더(16)나 프레임(15)은 도광체(11)로부터의 응력을 받는 일이 없다. 또한, 도 6에 예시하는 도광체(11)에는, 광원(10)측의 단부면 근방에 프레임(15)과 걸리는 고정 핀(104)이 설치되어 있다. 즉, 도광체(11)의 광원(10)측이 프레임(15)에 고정되는 점에서, 도광체(11)는 광원(10)측을 기준으로 하여 효과적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따라서, 선팽창 차에 기인하는 프레임(15)이나 도광체(11)에 발생하는 응력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다.
홀더(16)의 재질은, 탄성 변형이나 미끄럼 이동성의 관점에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라고 불리는 합성 수지로부터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 2의 홀더(16)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수지로 성형했다. 물론 금속제의 홀더이어도 좋다.
또한, 홀더(16)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도 7에 도시하는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보아, 아암(300)을 사이에 두고 주주사 방향의 양측에, 2개의 도광체 수용부(305)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주사 방향으로 보아 도광체 수용부(305)의 도광체(11)에 접촉하는 면과, 아암(300)의 도광체(11)에 접촉하는 면이, 거의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물론 도광체 수용부(305)의 도광체(11)에 접촉하는 면은, 장착하는 도광체(11)의 위치 정밀도를 확정하는 면이기 때문에 도광체(11)의 형상이나 설치 위치의 지정값에 따라 정확하게 형성되어 있다.
홀더(16)에는 주주사 방향으로 배열하여 2개의 도광체 수용부(305)가 설치되어 있는 점에서, 주주사 방향으로 신장한 막대 형상의 도광체(11)를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결정부(500)에 장착해야 할 홀더(16)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어, CIS 유닛(4)의 생산 관리상의 비용 저감에 공헌하는 것이다.
다음에 홀더(16)의 위치 결정부(500)에의 장착에 관하여 기술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6)가 위치 결정부(50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홀더(16)의 가압부 본체(307)와 위치 결정부(500)의 한쪽의 내벽(503)이 거의 밀접하고, 홀더(16)의 도광체 수용부(305)와 위치 결정부(500)의 다른 쪽의 내벽(505)이 거의 밀접한다. 동일하게, 홀더(16)의 하면과 위치 결정부(500)의 저면(504)이 거의 밀접한다. 이렇게 홀더(16)의 형상을 위치 결정부(500)에 거의 밀접하여 장착되는 치수로 형성했다. 이 결과, 홀더(16)는 프레임(515)의 위치 결정부(500)에 대하여 위치 정밀도가 높게 장착되고, 도광체(11)는 홀더(16)의 도광체 수용부(305)에 대하여 위치 정밀도가 높게 장착된다. 특히, 홀더(16)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압부 본체(307)가 돌출부(309)를 개재하여 위치 결정부(500)의 한쪽의 내벽(503)으로부터 가압된다. 그 결과, 홀더(16)를 위치 결정부(500)의 다른 쪽의 내벽(505)에 압입하는 가압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홀더(16)를 위치 결정부(50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2의 형태로서, 홀더(16)와 프레임(515)에 설치한 위치 결정부(500)의 구조에 기초한 4개의 도광체의 장착의 예시를 설명한다.
(예시 1)
예시 1은, 커버 유리를 설치한 시트 피드형의 화상 판독 장치에 사용하는 CIS 유닛에 대응하는 것이다. 특히 작은 원고 폭의 화상 판독 장치용 CIS 유닛이며, 도광체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에 유리하다. 이러한 CIS 유닛에서의 도광체는, 부주사 방향의 단면 형상이 길이 방향의 위치와 상관없이 차이가 적거나, 거의 전체 길이에 걸쳐 동일한 단면 형상이다. 이러한 단면 형상이어도, 도광체의 길이 방향의 조도 분포의 차가 작은 것이다. 이하 예시 1의 상세를 설명한다.
예시 1에서는, 동일한 홀더(16)를 3개 제작했다. 홀더(16)는, 외형 치수가 위치 결정부(500)에 내접하도록 형성되고, 도 8에 도시하는 환상의 내부 치수 「a」가 각각 동일하다. 3개 홀더(16)에는, 위치 결정부(500)에 장착하는 1개의 도광체(11)를 파지시킨다. 이때, 홀더(16)의 방향 및 도광체(11)의 입광면(101)이나 출사면(102)의 위치 관계를 정확하게 확인한다.
다음에 3개의 홀더(16)를 도광체(11)의 측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시켜, 도광체(11)의 길이 방향의 양쪽 단부 근방 및 중앙의 위치를 목표로 이동시킨다. 이 3개의 홀더(16)와 파지한 도광체(11)를 조립한 세트를, 도광체(11)의 입광면(101)이 광원(10)과 대면하도록 위치 결정부(500)에 삽입한다. 다음에 커버 유리(17)를 소정 방법에 의해 프레임(515)에 설치한다.
도 12a는, 커버 유리(17)를 설치하기 전의 CIS 유닛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b는, 커버 유리(17)를 설치한 CIS 유닛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2a에서는 도광체(11)를 생략하고, 도 12b에서는 도광체(11)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515)에 설치한 커버 유리(17)의 이면에 의해 돌기(304)가 눌려 내려가고, 그에 따라 좌우의 가압부(303)의 갈고리부(308)가 탄성 변형되어 각각 눌려 내려간다. 이 결과, 가압부(303)에 발생한 탄성력에 의해 홀더(16)를 저면(504)측에 압입하는 가압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홀더(16)는 프레임(515)의 저면(504)에 가압되어 있던 상태에서 고정되고, 도광체(11)는 홀더(16)에 파지된 상태에서 프레임(515)에 장착되는 것이다.
반대로, 도광체(11)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커버 유리(17)를 프레임(515)으로부터 제거한 후, 3개의 홀더(16)와 파지되어 있는 도광체(11)의 세트를 위치 결정부(500)로부터 인상한다. 다음에 도광체(11)를 각 홀더(16)로부터 제거함으로써, 도광체(11)의 제거가 완료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6)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부(303)는, 도광체(11)를 파지하고 있는 아암(300)이나 도광체 수용부(305)에 대하여 가압력이 작용하는 영향을 적게 하기 위해서, 연결부(306)에 연결되는 형상으로 했다.
이 예시 1에 있어서의 프레임(515)에 대하여 도광체(11)의 착탈의 작업은, 특별한 도구나 측정기 또는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제거한 도광체(11)나 홀더(16)는, 착탈의 작업에 의해 품질의 열화나 저하가 발생하는 일이 없으므로, 재이용이 가능하다.
또한, 예시 1에서는, 위치 결정부(500)의 어느 위치에서든, 홀더(16)를 장착 할 수 있도록 위치 결정부(500)를 설계하고 있으므로, 주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홀더(16)의 위치에 배려하지 않고 도광체(11)를 위치 결정부(500)에 조립이 가능하다.
(예시 2)
예시 2는, 도광체를 파지한 홀더를 끝이 가는 갈고리 타입의 스냅 피트(barbed-leg-type snap-fits)로 위치 결정부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예시 1까지의 설명과 상이한 특징적인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더(16)에는 선단이 끝이 가는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된 걸림 갈고리(302)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 갈고리(302)가, 이 걸림 갈고리(30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내벽(505)에 형성된 걸림 돌기(502)와 걸림으로써, 홀더(16)가 저면(504)에 가압되어 고정된다. 걸림 돌기(502)의 하면의 형상을, 걸림 갈고리(302)의 갈고리 형상 선단에 적정하게 걸 수 있는 형상으로 함으로써, 갈고리 타입의 스냅 피트를 실현하고 있다.
또한, 걸림 돌기(502)의 주주사 방향의 길이가 도 7에 도시한 홀더(16)의 2개의 도광체 수용부(305) 사이의 내부 치수 「c」에 맞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홀더(16)를 위치 결정부(500)에 장착할 때, 2개의 도광체 수용부(305) 사이에 걸림 돌기(502)가 삽입되도록 홀더(16)를 장착한다. 이렇게 홀더(16)를 장착함으로써, 홀더(16)는 위치 결정부(500) 내에서 주주사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게 고정되고, 홀더(16)에 의해 파지한 도광체(11)가 프레임(515)에 위치 정밀도가 높게 장착된다. 즉, 스냅 피트 형상의 걸림 돌기(502)를 사용하여, 홀더(16)의 주주사 방향의 위치 결정을 하고 있다.
홀더(16)를 제거하는 경우, 우선, 홀더(16)가 위치 결정부(50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아암(300)을 상측으로 펴 도광체(11)를 각 홀더(16)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에 홀더(16)를 로드 렌즈 어레이(12)측에 기울여 걸림 갈고리(302)와 걸림 돌기(502)의 탄성 걸림(스냅 피트)을 해제하고, 인상함으로써, 홀더(16)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예시 2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홀더(16)에 대하여 1조의 스냅 피트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복수 조의 스냅 피트를 설치해도 좋다.
(예시 3)
예시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걸림 홈에 의해 홀더를 고정하는 기능을, 위치 결정부(500) 내에 설치한 복수의 위치 결정 돌기로 대용하는 것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프레임(515)을 주주사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3a는, 커버 유리(17)를 설치하기 전의 CIS 유닛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b는, 커버 유리(17)를 설치한 CIS 유닛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위치 결정부(500)의 저면(504)에는, 2개의 도광체 수용부(305)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접촉하는 위치 결정 돌기(506)가 주주사 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위치 결정 돌기(506)가 도광체 수용부(305)에 접촉함으로써, 홀더(16)가 위치 결정부(500) 내에서 주주사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게 고정된다.
또한, 위치 결정부(500)의 내벽(503)에는, 2개의 가압부(303)를 양측으로부터 끼우도록 접촉하는 위치 결정 돌기(507)가 각각 주주사 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위치 결정 돌기(507)가 가압부(303)에 접촉함으로써, 홀더(16)가 위치 결정부(500) 내에서 주주사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게 고정된다.
또한, 위치 결정 돌기(506, 507)는, 홀더(16)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위치 결정부(500)로부터 제거할 때에 장해가 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위치 결정 돌기의 수, 형상 및 설치 위치는, 고정력이나 프레임 성형의 간편성을 생각하여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또한, 도광체(11)의 제거는 예시 2와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예시 4)
예시 4는, 광원과 도광체로 이루어지는 조명 장치가 도 11과 같이 중앙의 로드 렌즈 어레이(12)의 좌우로 2계통 설치한 CIS 유닛에 관한 것이다. 특히, 도광체의 출사 방향의 설치 각도, 도광체의 형상이나 재질 등이 좌우로 상이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홀더의 아암과 도광체 수용부의 도광체를 파지하여 접하는 면의 형상이, 약간이기는 하지만 세밀하게 좌우로 상이한 경우가 있다. 특히, 사용하는 막대 형상의 도광체의 외경이 수 ㎜ 이하인 경우, 육안으로 이 세밀한 차이를 인식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이, 좌우로 상이한 CIS 유닛은, 생산 관리상의 번잡성이 증가하여, 혼란을 발생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생산 공정에 있어서는, 좌측용과 우측용의 홀더는 혼란없이 용이하게 식별하여 관리하고, 실수없이 조립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예시 4에서는, 2개의 위치 결정부(500)의 부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을 좌우로 식별 가능하게 상이하게 하여 형성했다. 또한, 2개의 위치 결정부(500)에 장착되는 홀더(16)의 형상도 좌측용, 우측용으로 식별 가능하게 상이하게 하여 형성했다. 따라서, 잘못하여 장착한 홀더(16)는, 위치 결정부(500)에 있어서의 장착 상태를 본 시점에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물론 좌측용, 우측용의 홀더(16)의 아암(300)과 도광체 수용부(305)의 형상은, 좌우 각각 파지하는 도광체(11)에 맞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위치 결정부(500b)의 내벽(503)의 높이는, 좌의 위치 결정부(500a)의 내벽(503)의 높이에 비하여, 작도록 형성했다. 또한, 위치 결정부(500a, 500b)의 형상에 맞게, 대응하는 우측용 홀더(16b)의 높이는, 좌측용 홀더(16a)의 높이에 비하여, 작도록 형성했다. 따라서, CIS 유닛의 조립 작업 시에 있어서의 좌측용, 우측용의 홀더(16)의 식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결과, 도광체(11)의 조립에 있어서의 오작업이 삭감되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예시 4에서의 도광체의 장착 또는 제거하는 방법은, 예시 2 또는 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이용하면 되며, 그들과 마찬가지로 용이하다.
이와 같이, 실시예 2의 예시 1 내지 4의 CIS 유닛은, 모두 프레임(515)으로부터의 도광체의 착탈의 작업을, 특별한 도구나 측정기 또는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한 홀더와 도광체는, 장착이나 제거의 작업에 의한 품질의 열화나 저하가 없어, 재사용 가능하다.
또한, 예시 1의 CIS 유닛은, 도광체(11)를 프레임(515)에 장착하여 고정하는 경우에 커버 유리(17)를 필요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시 1의 CIS 유닛은, 시트 피드형의 화상 판독 장치에 내장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예시 2 내지 4의 CIS 유닛은, 커버 유리(17)가 없어도 충분히 도광체(11)를 장착할 수 있지만, 커버 유리(17)를 설치한 경우에, 도광체(11)와 그것을 파지한 홀더(16)가, 프레임(515)에 의해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 2 내지 4의 CIS 유닛은, 플랫 베드형, 시트 피드형 어디에든 탑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CIS 유닛에 있어서는, 도광체(11)의 프레임에 대한 위치 정밀도는 조립 시나 그 후의 온실도 변화에 대하여 고정밀도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하는 프레임의 성형은, 종래의 프레임 성형에 비해 특별한 곤란성이나 복잡함이 요구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의하면,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도광체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하는 홀더를 개재하여 위치 결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CIS 유닛의 제조 시 및 조립 후에, 홀더 및 도광체를 착탈할 수 있으므로, 도광체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CIS 유닛의 제조 시 및 조립 후에 먼지 등의 혼입이 발생한 경우에도, 홀더 및 도광체를 착탈할 수 있으므로, 수정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상황에 따라서 도광체의 형상을 변경해도, 도광체의 형상에 맞춘 홀더를 준비함으로써 프레임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도광체만을 용도에 맞게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홀더는 자기 윤활성을 갖는 합성 수지, 또는 고체 윤활제를 포함한 합성 수지로 성형하고 있다. 따라서, 홀더에 파지되는 도광체는, 환경 온도의 변화에 의한 열팽창, 및/또는 수축에 의해 도광체가 변형되어, 홀더 내를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해도, 도광체 표면에 발생하는 흠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홀더에 대하여 도광체를 착탈의 마찰 등이 발생해도 도광체 표면에 발생하는 흠집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홀더는 도광체를 도광체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파지하고 있다. 따라서, 환경 변화에 의해 도광체가 신축되어도, 길이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므로, 홀더 및 프레임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홀더는 도광체의 여러 형상이나 설치 각도 등에 맞춘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점에서, 도광체의 형상과 관계없이, 프레임을 동일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을 통일시킬 수 있는 점에서, 생산 관리상의 효율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판독 장치에 상술한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을 사용한 경우, 도광체가 원인인 문제에 대해서는 도광체만을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어, 도광체의 성능 상승이나 설치 위치 또는 각도의 변경에 대해서는 홀더와 도광체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에 및 그것을 사용하는 스캐너, 팩시밀리, 복사기 등의 화상 판독 장치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3)

  1. 원고 조명용의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원고로 유도하기 위한 막대 형상의 도광체와,
    상기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전 변환 소자에 결상하는 결상 소자와,
    상기 광전 변환 소자가 실장된 센서 기판과,
    이들을 장착함과 함께 상기 도광체를 장착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도광체를 착탈 가능하면서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위치 결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2. 원고 조명용의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원고로 유도하기 위한 막대 형상의 도광체와,
    상기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전 변환 소자에 결상하는 결상 소자와,
    상기 광전 변환 소자가 실장된 센서 기판과,
    이들을 장착함과 함께 상기 도광체를 장착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도광체를 착탈 가능하면서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위치 결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막대 형상의 상기 도광체의 길이 방향의 일부분을 착탈 가능하면서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도광체를 지지하고 있는 부분을 주주사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도광체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연결부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도광체 수용부와 아암이 설치되고,
    상기 도광체 수용부와 상기 아암으로 상기 도광체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은, 상기 도광체를 파지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주주사 방향으로 보아, 상기 도광체 수용부와 상기 아암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체 수용부는, 상기 아암을 사이에 두고 주주사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가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커버 유리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위치 결정부의 저면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가압부 본체와, 상기 가압부 본체로부터 갈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갈고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정상부는, 상기 지지 부재가 상기 위치 결정부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면보다 돌출된 높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탄성 변형 가능한 가압부가 설치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위치 결정부의 한쪽의 내벽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상기 지지 부재를 상기 위치 결정부의 다른 쪽의 내벽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걸림 갈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위치 결정부에는, 상기 걸림 갈고리를 거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걸림 갈고리가 상기 걸림 돌기에 스냅 피트로 걸림으로써 상기 위치 결정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연결부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도광체 수용부와 아암이 설치되고,
    상기 도광체 수용부는, 상기 아암을 사이에 두고 주주사 방향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 갈고리는, 2개의 상기 도광체 수용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 돌기는, 그 주주사 방향의 길이가 2개의 상기 도광체 수용부 사이의 치수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 갈고리와 걸림으로써 상기 지지 부재를 주주사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에는, 상기 지지 부재에 접촉하여, 상기 지지 부재를 주주사 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에는, 저면 및 상기 저면에 인접하는 내벽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 결정부를 주주사 방향으로 보아, 상기 저면의 폭 치수와 상기 내벽의 높이 치수가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상기 도광체를 2조 구비하고,
    각 조의 상기 도광체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고,
    주주사 방향으로 보아, 2개의 상기 위치 결정부의 단면 형상은, 각각 식별 가능하게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에는, 상기 지지 부재가 장착되는 걸림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에는, 걸림 갈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걸림 홈에는, 상기 걸림 갈고리를 거는 걸림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걸림 갈고리가 상기 걸림 돌기에 스냅 피트로 걸림으로써 상기 걸림 홈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자기 윤활성을 갖는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고체 윤활제를 포함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1개이고, 하나의 도광체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가 복수 개이고, 하나의 도광체를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체에는, 상기 광원의 측의 단부면 근방에 상기 프레임과 지지하는 고정 핀을 설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23. 원고 조명용의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원고로 유도하기 위한 막대 형상의 도광체와,
    상기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광전 변환 소자에 결상하는 결상 소자와,
    상기 광전 변환 소자가 실장된 센서 기판과,
    이들을 장착함과 함께 상기 도광체를 장착하기 위한 위치 결정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도광체를 착탈 가능하면서 또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위치 결정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 부재를 구비한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을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판독 장치.
KR1020127016672A 2009-12-28 2010-11-02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 KR1013648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6777 2009-12-28
JPJP-P-2009-296777 2009-12-28
PCT/JP2010/069500 WO2011080962A1 (ja) 2009-12-28 2010-11-02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それら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089A KR20120099089A (ko) 2012-09-06
KR101364848B1 true KR101364848B1 (ko) 2014-02-19

Family

ID=44226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6672A KR101364848B1 (ko) 2009-12-28 2010-11-02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53359B2 (ko)
EP (1) EP2521346A4 (ko)
JP (2) JP4865935B2 (ko)
KR (1) KR101364848B1 (ko)
CN (1) CN102696216B (ko)
TW (1) TWI465103B (ko)
WO (1) WO20110809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6332B2 (en) 2009-04-27 2023-08-15 Digilens Inc. Diffractive projection apparatus
US9335604B2 (en) 2013-12-11 2016-05-10 Milan Momcilo Popovich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
WO2011080962A1 (ja) 2009-12-28 2011-07-07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それら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US8724128B2 (en) * 2010-10-04 2014-05-13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39507B2 (ja) 2010-12-10 2013-02-06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5204207B2 (ja) 2010-12-17 2013-06-05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5244952B2 (ja) 2010-12-21 2013-07-24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5384471B2 (ja) 2010-12-28 2014-01-08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5400188B2 (ja) 2011-05-11 2014-01-29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KR101600207B1 (ko) * 2011-08-09 2016-03-04 케논 콤포넨트 가부시키가이샤 이미지 센서 유닛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
JP5384707B2 (ja) 2011-08-09 2014-01-08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5536150B2 (ja) 2011-08-09 2014-07-02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5518953B2 (ja) 2011-08-09 2014-06-11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WO2016020630A2 (en) 2014-08-08 2016-02-11 Milan Momcilo Popovich Waveguide laser illuminator incorporating a despeckler
EP2748670B1 (en) 2011-08-24 2015-11-18 Rockwell Collins, Inc. Wearable data display
WO2013102759A2 (en) 2012-01-06 2013-07-11 Milan Momcilo Popovich Contact image sensor using switchable bragg gratings
JP5977643B2 (ja) * 2012-10-25 2016-08-24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導光棒の固定構造
US9933684B2 (en) * 2012-11-16 2018-04-03 Rockwell Collins, Inc. Transparent waveguide display providing upper and lower fields of view having a specific light output aperture configuration
JP2014123941A (ja) 2012-11-21 2014-07-03 Canon Inc 照明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WO2014129152A1 (ja) 2013-02-21 2014-08-28 三菱電機株式会社 導光体及び画像読取装置
WO2015015138A1 (en) 2013-07-31 2015-02-05 Milan Momcilo Popovich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 image sensing
US20150177454A1 (en) * 2013-12-23 2015-06-25 Pixon Technologies Corp. Coverless linear light source light guide with light reflecting patterned surface
US9316782B2 (en) * 2013-12-23 2016-04-19 Pixon Technologies Corp. Coverless linear light source light guide with hooded bracket
WO2016042283A1 (en) 2014-09-19 2016-03-24 Milan Momcilo Popovich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put images for holographic waveguide displays
US10437064B2 (en) 2015-01-12 2019-10-08 Digilens Inc. Environmentally isolated waveguide display
US9632226B2 (en) 2015-02-12 2017-04-25 Digilens Inc. Waveguide grating device
US10591756B2 (en) * 2015-03-31 2020-03-17 Digile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act image sensing
JP6625125B2 (ja) * 2015-06-04 2019-12-25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紙葉類識別装置、画像読取装置
US10690916B2 (en) 2015-10-05 2020-06-23 Digilens Inc. Apparatus for providing waveguide displays with two-dimensional pupil expansion
CN108780224B (zh) 2016-03-24 2021-08-03 迪吉伦斯公司 用于提供偏振选择性全息波导装置的方法和设备
US20170295287A1 (en) * 2016-04-08 2017-10-12 Canon Components, Inc. Manufacturing method of sensor unit and reading apparatus
CN106331421B (zh) * 2016-08-22 2019-04-09 威海华菱光电股份有限公司 图像传感器及图像扫描设备
TWI628946B (zh) * 2016-11-11 2018-07-01 東友科技股份有限公司 支撐裝置
WO2018129398A1 (en) 2017-01-05 2018-07-12 Digilens, Inc. Wearable heads up displays
JP7003646B2 (ja) * 2017-12-26 2022-01-2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発光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EP3710893A4 (en) 2018-01-08 2021-09-22 Digile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IGH RATE RECORDING OF HOLOGRAPHIC NETWORKS IN WAVEGUIDE CELLS
WO2019138750A1 (ja) * 2018-01-11 2019-07-18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7218135B2 (ja) * 2018-09-28 2023-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2022520472A (ja) 2019-02-15 2022-03-30 ディジレ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統合された格子を使用してホログラフィック導波管ディスプレイ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22525165A (ja) 2019-03-12 2022-05-11 ディジレ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ホログラフィック導波管バックライトおよび関連する製造方法
EP3980825A4 (en) 2019-06-07 2023-05-03 Digilens Inc. WAVEGUIDES INCORPORATING TRANSPARENT AND REFLECTIVE GRATINGS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EP4022370A4 (en) 2019-08-29 2023-08-30 Digilens Inc. VACUUM BRAGG GRATING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JP2022166462A (ja) * 2021-04-21 2022-11-02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5330A (ja) * 1997-04-11 1998-10-23 Rohm Co Ltd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JP2005223424A (ja) 2004-02-03 2005-08-18 Canon Components Inc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その実装方法
JP4720831B2 (ja) 2008-01-29 2011-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用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87584T2 (de) 1986-07-07 1994-02-17 Canon Kk Projektionsapparat und Bildleseapparat, fähig zum Lesen eines projizierten Bildes.
US5263077A (en) 1988-11-15 1993-11-16 Medrad, Inc. Film changer having film-receiving, nondriven cassette with spiral-shaped guide plate
GB8914707D0 (en) 1989-06-27 1989-08-16 Britax Geco Sa Exterior view mirror for a motor vehicle
FR2655799A1 (fr) 1989-12-11 1991-06-14 Edery Aime Dispositif d'analyse de documents.
JPH0470053A (ja) 1990-07-09 1992-03-05 Mitsubishi Electric Corp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JPH04150454A (ja) 1990-10-12 1992-05-22 Seiko Epson Corp 画像読み取り装置
US5119232A (en) 1990-12-17 1992-06-02 Hughes Aircraft Company Infrared-transmissive optical window
EP0557891A1 (en) 1992-02-28 1993-09-01 Kabushiki Kaisha Toshiba Contact-type image sensor for generating electric signals corresponding to an image formed on a document
DE69329186T2 (de) 1993-01-01 2001-04-05 Canon Kk Bildlesevorrichtung
US6426807B1 (en) 1993-01-19 2002-07-30 Canon Kabushiki Kaisha Light guide, illuminating device having the light guide, and image read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illuminating device
JPH07225434A (ja) 1994-02-14 1995-08-2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読取装置
JPH08223417A (ja) 1995-02-10 1996-08-30 Fuji Xerox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
JPH0974465A (ja) 1995-07-04 1997-03-18 Ricoh Co Ltd 原稿読取装置
JP3012794B2 (ja) 1995-10-02 2000-02-28 日立ソフトウエア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スキャナ装置
KR0182048B1 (ko) 1995-10-12 1999-04-15 김광호 밀착형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3710822B2 (ja) 1995-12-26 2005-10-26 ローム株式会社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JP3666969B2 (ja) 1996-02-08 2005-06-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光源ユニット
US6567543B1 (en) 1996-10-01 2003-05-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for storing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nvironment light measurement apparatus
US6191873B1 (en) 1996-11-25 2001-02-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device,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3999315B2 (ja) 1997-08-29 2007-10-31 ローム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基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イメージセンサ
JPH1175015A (ja) 1997-08-29 1999-03-16 Mitsubishi Electric Corp イメージセンサ
JPH1184544A (ja) 1997-09-04 1999-03-26 Micro Opt:Kk ライン照明装置
FR2782779B1 (fr) * 1998-05-15 2002-06-07 Rohm Co Ltd Dispositif de lecture d'images et dispositif d'eclairage utilise pour celui-ci
JP2000307819A (ja) 1999-04-26 2000-11-02 Glory Ltd 多波長光源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0324308A (ja) 1999-05-14 2000-11-24 Stanley Electric Co Ltd Led線状光源
JP2001005122A (ja) 1999-06-18 2001-01-12 Canon Inc 照明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イメージセンサ、原稿読取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
US6791721B1 (en) 1999-07-30 2004-09-14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ading device
US6538243B1 (en) 2000-01-04 2003-03-25 Hewlett-Packard Company Contact image sensor with light guide having least reflectivity near a light source
JP2001272677A (ja) 2000-03-27 2001-10-05 Canon Inc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液晶装置
JP3392117B2 (ja) 2000-12-01 2003-03-31 キヤノン株式会社 読取装置用導光体及び読取装置
TW581850B (en) 2001-02-21 2004-04-01 Nippon Sheet Glass Co Ltd Light-guided plate, planar light source device, and image reading device
US7382500B2 (en) 2001-03-15 2008-06-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ariable reflectance cover
JP2003037717A (ja) 2001-07-23 2003-02-07 Ricoh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046726A (ja) 2001-07-30 2003-02-1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紙葉類の印刷パターン読取装置
JP2003087531A (ja) 2001-09-12 2003-03-20 Seiko Epson Corp 画像読み取り装置及び画像読み取り方法
JP2003134307A (ja) 2001-10-26 2003-05-09 Canon Inc 画像読取装置
JP2003281913A (ja) 2002-03-22 2003-10-03 Nippon Sheet Glass Co Ltd 照明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装置
JP2004056425A (ja) 2002-07-19 2004-02-19 Nippon Sheet Glass Co Ltd ライン照明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2004104480A (ja) * 2002-09-10 2004-04-02 Canon Inc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
JP2004146870A (ja) 2002-10-21 2004-05-20 Nippon Sheet Glass Co Ltd ライン照明装置およびこのライン照明装置を組み込んだ画像読取装置
JP2004326624A (ja) 2003-04-25 2004-11-18 Aruze Corp 識別センサ
JP2005014588A (ja) 2003-06-06 2005-01-20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印刷方法およ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EP1511289B1 (en) 2003-08-19 2011-11-23 Ricoh Company, Ltd. Lighting device, image reading apparatus ,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885088B2 (ja) 2003-11-27 2007-02-21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ー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2005198106A (ja) 2004-01-08 2005-07-21 Nippon Sheet Glass Co Ltd ライン照明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05269108A (ja) * 2004-03-17 2005-09-29 Nippon Sheet Glass Co Ltd ライン照明装置およびライン照明装置を組み込んだ画像読取装置
JP4625279B2 (ja) 2004-07-09 2011-02-02 株式会社リコー 照明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593143B2 (en) 2005-03-31 2009-09-22 Xerox Corporation Compound curved concentrator based illuminator
JP2006311232A (ja) 2005-04-28 2006-11-09 Seiko Epson Corp 撮像ユニット、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12893A (ko) 2005-05-12 2008-02-12 닛본 이따 가라스 가부시끼가이샤 도광체 및 화상 판독 장치
US7760403B2 (en) 2005-06-14 2010-07-20 Ricoh Co., Ltd. Optical irradiation apparatus, image rea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06137263A1 (ja) 2005-06-21 2006-12-28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イメージセンサ、画像読取装置及びイメージセンサの製造方法
JP4123266B2 (ja) 2005-10-24 2008-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
WO2007077760A1 (ja) 2006-01-05 2007-07-12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ライン照明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4522952B2 (ja) 2006-01-18 2010-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2007221360A (ja) * 2006-02-15 2007-08-30 Rohm Co Ltd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249475A (ja) 2006-03-15 2007-09-27 Mitsubishi Electric Corp 画像読取装置及び紙幣読取方法
US20070252069A1 (en) 2006-04-03 2007-11-01 Seiko Epson Corporation Torque limiter,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ulti-function machine
JP2007281565A (ja) 2006-04-03 2007-10-25 Seiko Epson Corp 画像読取装置および複合機
US20070285740A1 (en) 2006-05-02 2007-12-13 Rohm Co., Ltd. Image sensor module
JP2007300536A (ja) 2006-05-02 2007-11-15 Rohm Co Ltd 画像読取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042425A (ja) 2006-08-04 2008-02-21 Rohm Co Ltd 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
JP4259543B2 (ja) * 2006-05-16 2009-04-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WO2008013234A1 (fr) 2006-07-27 2008-01-31 Canon Components, Inc. Appareil d'éclairage linéaire, capteur d'image et lecteur d'image utilisant le capteur d'image
JP4807205B2 (ja) 2006-09-19 2011-11-02 オムロン株式会社 面光源装置
JP4785690B2 (ja) 2006-09-19 2011-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の制御方法
JP5030530B2 (ja) 2006-10-30 2012-09-19 株式会社ヴィーネックス 発光素子アレイおよび紙葉類の認識装置
JP2008124788A (ja) 2006-11-13 2008-05-29 Brother Ind Ltd 画像読取装置
JP4894489B2 (ja) 2006-12-07 2012-03-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US20100014315A1 (en) * 2007-02-26 2010-01-21 Rohm Co., Ltd Linear light source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KR101279034B1 (ko) 2007-07-11 2013-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너 모듈 및 이를 채용한 화상독취장치
KR101356649B1 (ko) 2007-07-24 2014-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독취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
EP2026556B1 (en) * 2007-07-31 2013-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ulti-functional device having scanner module and image scanning apparatus employing the scanner module
US8379275B2 (en) * 2007-07-31 2013-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canner module and image scann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JP2009053316A (ja) 2007-08-24 2009-03-12 Ricoh Co Ltd 照明装置,原稿読取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画像送受信装置
JP2009081644A (ja) 2007-09-26 2009-04-16 Rohm Co Ltd 導光体、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
JP2009086488A (ja) 2007-10-02 2009-04-23 Rohm Co Ltd 線状光源装置、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
US7796310B2 (en) 2007-10-31 2010-09-14 Canon Denshi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s well as storage medium
US8530911B2 (en) 2007-11-08 2013-09-10 Rohm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module and image reader using the same
JP4913075B2 (ja) 2008-01-16 2012-04-11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JP4609531B2 (ja) 2008-06-11 2011-01-12 三菱電機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US8310737B2 (en) 2008-08-21 2012-11-13 Rohm Co., Ltd. Image reading apparatus
JP5233625B2 (ja) 2008-12-04 2013-07-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TWM358310U (en) * 2009-01-13 2009-06-01 Asia Tech Image Inc Light guiding system for contact image sensor
JP2010213039A (ja) 2009-03-11 2010-09-24 Fuji Xerox Co Ltd 画像読取装置
JP4436895B1 (ja) 2009-03-18 2010-03-24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み取り装置
EP2246825B1 (en) 2009-04-28 2014-10-08 Banqit AB Method for a banknote detector device, and a banknote detector device
JP5235805B2 (ja) 2009-07-13 2013-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色処理方法、色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1059582A (ja) 2009-09-14 2011-03-24 Sony Corp 撮像装置
JP4868062B2 (ja) 2009-12-10 2012-02-01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WO2011080962A1 (ja) 2009-12-28 2011-07-07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それら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5073776B2 (ja) 2010-04-26 2012-11-1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画像データ出力処理装置、および画像読取方法
JP5139507B2 (ja) 2010-12-10 2013-02-06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5204207B2 (ja) 2010-12-17 2013-06-05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5244952B2 (ja) 2010-12-21 2013-07-24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5384471B2 (ja) 2010-12-28 2014-01-08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5400188B2 (ja) 2011-05-11 2014-01-29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5384707B2 (ja) 2011-08-09 2014-01-08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5536150B2 (ja) 2011-08-09 2014-07-02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画像読取装置
JP5518953B2 (ja) 2011-08-09 2014-06-11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5596803B2 (ja) 2012-01-17 2014-09-24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製造方法
JP5529318B2 (ja) 2012-04-04 2014-06-25 キヤノン・コンポーネンツ株式会社 照明装置、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画像読取装置、および、紙葉類鑑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5330A (ja) * 1997-04-11 1998-10-23 Rohm Co Ltd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
JP2005223424A (ja) 2004-02-03 2005-08-18 Canon Components Inc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及びその実装方法
JP4720831B2 (ja) 2008-01-29 2011-07-13 三菱電機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用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0962A1 (ja) 2011-07-07
TW201143351A (en) 2011-12-01
US20130009037A1 (en) 2013-01-10
US9253359B2 (en) 2016-02-02
EP2521346A4 (en) 2015-07-29
TWI465103B (zh) 2014-12-11
KR20120099089A (ko) 2012-09-06
EP2521346A1 (en) 2012-11-07
JP4865935B2 (ja) 2012-02-01
JP4908658B1 (ja) 2012-04-04
CN102696216B (zh) 2015-08-12
JP2012070411A (ja) 2012-04-05
JPWO2011080962A1 (ja) 2013-05-09
CN102696216A (zh)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848B1 (ko) 밀착형 이미지 센서 유닛, 및 그것을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
EP2395738B1 (en) Multi-functional device having scanner module and image scanning apparatus employing the scanner module
US8599445B2 (en) Image sensor unit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8755092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illuminating a document with point light sour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394750B2 (ja) 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と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読取装置
KR20090006304A (ko) 스캐너 모듈 및 이를 채용한 이미지 스캐닝장치
EP2538653B1 (en) Image sensor unit, image rea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40048958A (ko) 이미지 센서 유닛 및 이것을 사용한 화상 판독 장치
US8817344B2 (en) Scanner apparatus
JP4333681B2 (ja) フィルムホルダ及びフラットベッド型イメージスキャナ
US10764460B2 (en) Image sensor unit,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rod-shaped light guide
JP2009104032A (ja) 照明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200708635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86356A (ja) 画像形成装置
JPH0969899A (ja) 画像読取装置
JP6245854B2 (ja) 画像読取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9338322B2 (en)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n illuminating unit and an aligning portion for positioning an original
JP2018160781A (ja) 発光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42129A (ja) 原稿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2016225737A (ja) 光照射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07491A (ja) 導光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画像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