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0715B1 - 개선된 플랫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개선된 플랫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0715B1
KR101080715B1 KR1020087027647A KR20087027647A KR101080715B1 KR 101080715 B1 KR101080715 B1 KR 101080715B1 KR 1020087027647 A KR1020087027647 A KR 1020087027647A KR 20087027647 A KR20087027647 A KR 20087027647A KR 101080715 B1 KR101080715 B1 KR 101080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ductive
flat cable
contac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7422A (ko
Inventor
가즈야 다까하시
마사미 사사오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9000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7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0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0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2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 H01R4/028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flowing or wicking of solder or flux in parts not desir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는 내부에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구비한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하우징은 복수의 단자 리세스와, 플랫 케이블의 전도성 도선에 연결하기 위해 리세스 내에 배치된 복수의 전도성 단자를 갖는다. 단자는 납땜에 의해 전도성 패드에 부착하기 위한 납땜 연결 부분과 플랫 케이블 전도성 도선과 접촉하기 위한 접촉 부분을 구비한다. 단자 리세스는 내부에 수용되는 단자의 외부 표면과 대면하는 단자 보유 벽과, 단자 납땜 연결 부분 및 접촉 부분과 각각 대면하는, 단자 보유 벽 내의 부분들 사이에 형성된 절단 부분에 의해 그리고 넓은 폭 부분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케이블 커넥터, 플랫 케이블, 단자 리세스, 전도성 단자, 단자 납땜 연결 부분, 접촉 부분

Description

개선된 플랫 케이블 커넥터 {IMPROVED FLAT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플랫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개선된 장착 특성을 갖는 플랫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플랫 케이블 커넥터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27029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인쇄 회로(FPC), 가요성 플랫 케이블(FFC)로 불리는 편평한 가요성 케이블들을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도17은 이러한 종래의 케이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하우징(301)과, 하우징(301)에 의해 보유되는 복수의 전도성 단자(302)와, 액추에이터(303)가 하우징(301)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우징(301)에 고정된 액추에이터(303)를 포함하며, 액추에이터 역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다. 커넥터는 회로 보드와 같은 기판(304) 상에 장착되며, 하우징(301)의 개구에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305)은 케이블 커넥터에 연결된다. 각각의 단자(302)는 H형상을 가지며, 플랫 케이블(305)의 삽입 방향으로 단자(302)의 상부측 상에서 연장하는 상부 부분(306)과, 플랫 케이블(305)의 삽입 방향으로 단자(302)의 하부측 상에서 연장하는 하부 부분(307)과, 상부 부분(306)과 하부 부분(307)의 중간 부분들을 함께 연결하기 위한 얇고 긴 벨 트 형상의 연결 스프링 부분(308)을 포함한다. 하방으로 돌출된 미부(310)는 리플로우 납땜(reflow solder)을 이용하여 기판(304)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연결 패드(도시 생략)에 상기 미부를 납땜으로 고정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
액추에이터(303)가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단자 상부 부분(306)의 접촉 부분(311)과 각 단자(302)의 단자 하부 부분(307)의 접촉 부분(312)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플랫 케이블(305)이 하우징 개구로 삽입되거나 하우징 개구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팽창한다. 플랫 케이블(305)이 단자 접촉 부분들(311, 31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액추에이터(303)가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될 때, 난형 회전 샤프트(309)가 회전하고, 단자(302)의 상부 부분(306) 및 하부 부분(307)의 후방 부분들은 서로 이격되도록 가압된다. 그 결과, 단자 상부 부분(306)의 접촉 부분(311)과 단자 하부 부분(307)의 접촉 부분(312) 사이의 공간은 좁으며, 플랫 케이블(305)은 상기 접촉 부분들 사이에 개재된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305)의 전도성 도선(도시 생략)은 접촉 부분(311, 312)과 접촉하고 단자(302)에 연결된다. 이 경우, 접촉 스프링 부분(308)은 탄성적으로 변형되기 때문에, 단자 상부 부분(306)은 연결 스프링 부분(308)에 연결된 연결 지점 주위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부 부분(306)의 단자 접촉 부분(311)은 하방으로 이동하여, 하부 부분(307)의 접촉 부분(312)과의 사이에 플랫 케이블(305)을 개재한다.
하지만, 종래의 케이블 커넥터에서는 미부(310)가 리플로우 납땜을 사용하여 기판(304)의 표면상에서 접촉 패드에 연결될 때, 땜납 내에 포함된 플럭스 성 분(flux component)이 단자(302)의 측표면을 따라 타고 올라갈 수 있어, 플럭스 오름(flux-creep-up) 및 오염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플럭스가 단자 접촉 부분(311, 312)에 부착되면, 접촉 부분(311, 312)과 케이블 전도성 도선 사이에 연결 실패가 발생하며, 그 결과 단자(302)와 케이블 도선 사이의 전기 전도가 소실된다. 플럭스는 고화된 후 하우징(301)의 벽과 상부 부분(306)을 접착하여, 상부 부분(306)은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단자(302)가 하우징(301)의 수용 홈 내로 끼워질 때, 플럭스가 모세관 작용과 유사하게 타고 올라가서 단자(302)와 수용 홈 사이의 간극에 진입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용융된 플럭스는 용융된 땜납보다 높은 유동성을 가지기 때문에, 땜납이 통과할 수 없는 얇은 간극을 통해서도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땜납의 오름(creep-up)이 방지될 수 있는 경우에도, 플럭스의 오름 방지를 보장하기가 어려웠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를 갖는 매우 신뢰적인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케이블 커넥터는, 단자를 수용 및 보유하며 납땜되는 납땜 연결 부분을 각각 갖는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 및 플랫 케이블의 전도성 도선에 접촉하기 위한 접촉 부분을 포함하고, 납땜 접촉 부분과 접촉 부분 사이에서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의 단자 보유 벽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형성된 넓은 폭 부분 또는 절단 부분도 포함함으로써 얻어진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로도 플럭스 오름이 신뢰적으로 감소되며 단자의 접촉 부분은 플럭스에 의해 오염되지 않고 단자의 가동 부분은 플럭스에 의해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에 부착되지 않는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을 수용하는 개구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을 가지며, 단자들은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에 보유되어 플랫 케이블의 도선에 연결된다. 단자들은 납땜을 위한 납땜 연결 부분을 구비하며, 접촉 부분들은 케이블 도선과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은 단자의 외부 표면과 대면하는 보유 벽을 구비하고, 넓은 폭 부분 또는 절단 부분은 납땜 접촉 부분과 접촉 부분에 대응하는, 단자 보유 벽의 부분들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케이블 커넥터에서, 넓은 폭 부분 또는 절단 부분은 단자 보유 벽 내의 부분들 사이에 형성되고 이 부분들은 단자의 가동 부분과 납땜 연결 부분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케이블 커넥터에서, 넓은 폭 부분 또는 절단 부분은 단자 보유 벽 내의 부분들 사이에 형성되고 이 부분들은 단자의 가동 부분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케이블 커넥터는 플랫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위치와 케이블 도선과 단자가 서로 연결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단자는 케이블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및 제2 아암 부분과, 제1 및 제2 아암 부분을 함께 연결하는 얇고 긴 벨트형 연결 부분을 구비한다. 넓은 폭 부분 또는 절단 부분은 단자 보유 벽들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부분들은 납땜 연결 부분과 연결 부분에 대응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은 단자를 정 위치에 보유하기 위한 하우징을 구비한다. 각각의 단자는 납땜될 납땜 연결 부분과, 케이블 도선과 접촉하는 접촉 부분을 구비하며, 넓은 폭 부분 또는 절단 부분은 단자 납땜 접촉 부분과 접촉 부분 사이에서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의 단자 보유 벽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다. 그 결과, 플럭스 오름이 방지될 수 있으며, 단자의 접촉 부분은 플럭스에 의해 오염되지 않고, 단자의 가동 부분이 플럭스에 의해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에 부착되지 않아, 매우 신뢰적인 케이블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액추에이터가 상부 및 개방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구성된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3은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도1의 커넥터의 측면도이고,
도4는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도1의 커넥터의 후면도이고,
도5는 선 A-A를 따라 취해진,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도2의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6은 선 B-B를 따라 취해진,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도2의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7은 선 C-C를 따라 취해진, 액추에이터가 개방된 도4의 커넥터의 길이방향 단면도이고,
도8은 명확한 도시를 위해 액추에이터가 생략된 후방으로부터 취해진 도1의 커넥터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하우징의 제1 후방 사시도이고,
도10은 도9의 커넥터의 하우징의 제2 후방 사시도이고,
도11은 커넥터의 하우징의 후면도이고,
도12는 선 D-D를 따라 취해진, 도11의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고,
도13은 액추에이터가 폐쇄된 도1의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14는 도13의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15는 선 E-E를 따라 취해진, 도13의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16은 선 F-F를 따라 취해진, 도14의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17은 종래 케이블 커넥터의 주요 부품의 단면도이고,
도18은 도1의 커넥터의 저면의 사시도이고,
도19는 선 A-A을 따라 취해진, 도18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이 케이블 커넥터(10)는 회로 보드와 같은 기판(도시 생략) 상에 장착되며 가요성 인쇄 회로, 가요성 플랫 케이블 등으로 불리는 플랫 케이블(71)을 기판에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플랫 케이블(71)은 통상 FPC, FFC 등으로 불린다. 하지만, 케이블이 편평하고 전도성 도선을 갖는다면, 어떠한 유형의 케이블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10)의 각 구성물의 구조 및 배향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상방, 하방, 좌측, 우측, 전방 및 후방을 포함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표현은 절대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방향을 나타낸다.
커넥터(10)는 하우징(31)과 액추에이터(11)를 포함한다. 하우징(31)은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재료에 의해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고, 액추에이터(11)는 절연 재료에 의해 하나의 부품으로 형성되며 개방 위치(제1 위치)와 폐쇄 위치(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31) 상에 장착된다.
하우징(31)은 하부 부분(32), 상부 부분(35), 좌우측의 측면 부분(36) 및 플랫 케이블(71)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하부, 상부 및 측면 부분(36) 사이에서 하우징(31)의 전방에 형성된 케이블 삽입 개구(33)를 포함한다. 이 개구(33) 내에, 복수의 단자 보유 리세스(홈)가 단자를 보유하도록 형성된다.
단자는 별개인 제1 단자(41)와 제2 단자(51)를 포함하며, 단자 보유 리세스는 제1 단자(41)를 보유하기 위한 제1 단자 리세스 부분(34)과 제2 단자(51)를 보유하기 위한 제2 단자 리세스 부분(37)을 포함한다. 제1 단자(41) 및 제2 단자(51)는 금속이며, 제1 단자 리세스(34)와 제2 단자 리세스(37)의 수는 예컨대 15개이며, 이때 피치는 약 0.3㎜이다. 이들 리세스 또는 홈의 피치와 개수는 요구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 리세스(34)와 제2 단자 리세스(37)는 제1 단자(41)와 제2 단자(51)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교호식으로 배치된다. 제1 단자(41) 및 제2 단자(51)는 자신들 각각의 리세스 모두에 끼워질 필요가 없으며, 몇몇의 제1 단자와 제2 단자는 플랫 케이블(71) 내에 제공된 전도성 도선의 수와 위치에 따라 필요한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1)의 각각의 측면 부분(36)은 플랫 케이블(71)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는 네일(nail) 수용 리세스(36b)가 제공된다. 금속 네일(61)이 보조 커넥터 고정 브래킷으로 네일 수용 리세스(36b)에 수용된다. 각 각의 네일(61)은 주본체(62)와, 상부 비임 부분(63)과, 주본체(62)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플랫 케이블(71)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부 비임 부분(64)과, 주본체(62)의 상부 단부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제공된 상부 돌출 부분(65)과, 연결 부분(64b)을 거쳐 하부 비임 부분(64)의 저면 단부에 연결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제공된 하부 돌출 부분(66)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네일(61)은 하우징(31)의 후방측(도7의 우측)으로부터 좌우측 상의 네일 수용 리세스 부분(36b)으로 각각 삽입되어 끼워진다. 이 경우, 하부 비임 부분(64)의 첨단 부분(64a)은 네일 수용 리세스 부분(36b) 내로 완전하게 가압식으로 끼워지고, 첨단 부분(64a)의 저면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64c)는 각각의 네일 수용 리세스 부분(36b)의 바닥 표면 내로 강제로 결합된다. 이로 인해, 하부 비임 부분(64)과 하우징(31) 사이의 연결이 강화된다. 하부 돌출 부분(66)은 납땜 등에 의해 기판의 표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부 돌출 부분(65)은 하우징(31)의 각 측면 부분(36)의 상부 표면 위에 위치되어, 하우징(31)의 상향 이동을 제한한다. 그 결과, 기판에 대한 커넥터(10)의 부착이 견고해져, 기판으로부터 커넥터(10)가 탈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부 비임 부분(63)과 하부 비임 부분(64)은 후방 단부 부분에서 주본체(6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전방을 향해 개방된 대체로 U형 지지 홈(62a)을 형성한다. 이 지지 홈(62a) 내에, 액추에이터(11)의 양 측면에 위치된 제1 샤프트 부분(17a)이 샤프트 부분으로서 수용된다. 제1 샤프트 부분(17a)은 단면이 대략 원형이다. 또한, 하우징(31)의 측면 부분(36) 각각에 형성된 위치 설정 돌출부(36a)는 전방으 로부터 지지 홈(62a)에 진입하여 제1 샤프트 부분(17a)이 지지 홈(62a)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따라서, 제1 샤프트 부분(17a)은 지지 홈(62a)의 후방 단부에 위치되며 이 위치에서 회전한다. 이로 인해, 액추에이터(11)는 하우징(31)으로부터 후퇴되지 않고도 위치와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네일(61)은 액추에이터(11)용 지지 및 정지 부재로 작동할 수도 있다.
액추에이터(11)는 주본체(15)와, 주본체(15) 내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 수용 구멍(12)과, 샤프트 부분으로서 단자 수용 구멍(12) 내에 형성된 제2 샤프트 부분(17b)을 포함한다.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단자 수용 구멍(12)은 제1 단자(41)의 상부 아암 부분(44)의 작동 레버 부분(44b)과 제2 단자(51)의 상부 아암 부분(54)의 작동 레버 부분(54a)을 수용한다. 제2 샤프트 부분(17b)은 작동 레버 부분(44b, 54b)과 결합한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단자(41)는 대략적인 H 형상을 가지며, 제1 아암 부분으로서 하부 아암 부분(43)과 제2 아암 부분으로서 상부 아암 부분(44)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하부 아암 부분(43)과 상부 아암 부분(44) 사이를 연결하는 얇고 긴(벨트 형상의) 연결 부분(45)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상부 및 하부 아암은 모두 플랫 케이블(71)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한다. 연결 부분(45)은 하부 아암 부분의 대향 단부들 사이의 하부 아암 부분(43)의 중간에 연결되고, 상부 아암 부분의 대향 단부들 사이의 상부 아암 부분(44)의 중간 위치에도 연결된다. 또한, 연결 부분(45)에 대한 연결 지점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인 하부 아암 부분(43)의 연결 영역 부분(46)은 연결 부분(45)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성형된다.
여기서, 하부 아암 부분(43)의 첨단(도5의 좌측)에는 미부(42)가 형성된다. 이 미부(42)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기판의 표면상에 형성된 연결 패드에 납땜에 의해 연결되는 납땜 연결 부분이다. 또한, 하부 아암 부분(43)은 상기 첨단과 연결 영역 부분(46) 사이의 위치에서 상향 돌출하도록 배열된 케이블 지지 부분(43a)과, 연결 영역 부분(46)의 후방 단부(도5의 우측)에 연결되어 저면으로부터 제2 샤프트 부분(17b)을 지지하는 지지 부분(43b)과, 지지 부분(43b)의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측으로 연장된 후방 단부 돌출 부분(43c)을 구비한다. 상향 돌출한 돌출부(43d)가 후방 단부 돌출 부분(43c)의 상부 단부에 형성된다.
각각의 제1 단자(41)는 하우징(31)의 전방측 (도5의 좌측)으로부터 각각의 제1 단자 리세스 부분(34)으로 삽입된다. 하부 아암 부분(43)의 하부 단부 부분은 제1 단자 리세스(34)의 바닥 표면과 접촉하고, 후방 단부 부분(43c)은 제1 단자 리세스(34)의 깊은 구멍 부분에 끼워진다. 또한, 돌출부(43d)는 상기 구멍 부분 또는 리세스의 밀봉 표면 내로 긴밀하게 결합되고, 미부(42)의 돌출부(42a)는 하우징(31)의 하부 부분(32)의 전방 단부의 저면 내로 긴밀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각각의 제1 단자(41)는 하우징(31) 내에 견고하게 끼워진다.
또한, 상부 아암 부분(44)은 플랫 케이블(71)의 전도성 도선과 접촉하는 접촉 부품으로 작동한다. 상부 아암 부분(44)의 첨단은 접촉 부분으로서 돌출하는 접촉 부분(44a)을 갖는다. 상부 아암 부분(44)은 연결 부분(45)에 대한 연결 지점의 후방으로 연장하여 제2 샤프트 부분(17b)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액추에이 터(11)의 단자 수용 구멍(12)에 진입하는 작동 레버 부분(44b)을 구비한다.
제2 샤프트 부분(17b)은 단면이 대체로 난형(oval shape)이며, 지지 부분(43b)과 작동 레버 부분(44b) 사이에 위치되어, 작동 레버 부분(44b)을 밀어 올리도록 회전에 의해 캠으로서 작동한다. 작동 레버 부분(44b)이 밀어 올려지면, 연결 부분(45)과 연결 영역 부분(46)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전체 상부 아암 부분(44)은 상부 아암 부분(44)과 하부 아암 부분(43) 사이의 상대 각도가 변경되도록 회전하고, 상부 아암 부분(44)의 첨단은 하향 이동한다. 따라서, 접촉 부분(44a)은 케이블 지지 부분(43a)에 근접하게 이동하고 플랫 케이블(71)의 전도성 도선에 대해 가압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1)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2 샤프트 부분(17b)은 수평 위치에 대체로 근접한 위치에 있게 된다. 즉, 대체로 난형인 제2 샤프트 부분(17b)에서 단면의 장축은 거의 수평이다. 따라서, 작동 레버 부분(44b)은 밀어 올려지지 않고, 상부 아암 부분(44)의 첨단은 하향 이동되지 않는다. 따라서, 접촉 부분(44a)과 케이블 지지 부분(43a)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넓어져서, 삽입 개구(33)로부터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71)의 최전방 단부 부분은 삽입될 때 접촉 부분(44a)과 케이블 지지 부분(43a)으로부터 최소한의 접촉 압력만을 받거나 접촉 압력을 받지 않는다. 이는 실질적인 ZIF(제로 삽입력)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2 단자(51)는 대략적인 H자 형상을 가지며, 제1 아암 부분으로서 하부 아암 부분(53)과 제2 아암 부분으로서 상부 아 암 부분(54)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하부 아암 부분(53)과 상부 아암 부분(54) 사이를 연결하는 얇고 긴 벨트형 연결 부분(55)을 포함하며, 이때 상부 아암 부분과 하부 아암 부분 모두는 플랫 케이블(71)의 삽입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 연결 부분(55)은 하부 아암 부분(53)의 종방향 대향 단부들 사이의 하부 아암 부분(53)의 중간 위치에 연결되고, 상부 아암 부분의 종방향 단부들 사이의 상부 아암 부분(54)의 중간 위치에도 연결된다. 상부 아암 부분(54)은 상기 하부 아암 부분(54) 위에 배치된다. 또한, 연결 부분(55)에 대한 연결 지점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인 하부 아암 부분(53)의 연결 영역 부분(56)은 연결 부분(55)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성형된다.
여기서, 하부 아암 부분(53)은 하부 아암 부분(53)의 첨단(도6의 좌측 끝)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첨단 돌출 부분(53c)과, 첨단 돌출 부분(53c)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향 돌출되도록 제공된 케이블 지지 부분(53a)과, 연결 영역 부분(56)의 후방 단부(도6의 우측 단부)에 연결되어 저면으로부터 제2 샤프트 부분(17b)을 지지하는 지지 부분(53b)을 포함한다. 또한, 하향 돌출하고 기판의 표면상에 형성된 연결 패드에 연결되는 납땜 연결 부분을 형성하도록 미부(52)가 지지 부분(53b)의 후방 단부에 부착된다. 돌출부(53d)는 첨단 돌출부(53c)의 상부 단부로부터 상향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제2 단자(51)는 하우징(31)의 후방(도6의 우측)으로부터 각각의 제2 단자 리세스(37)에 끼워진다. 하부 아암 부분(53)의 하부 단부 부분은 제2 단자 리세스(37) 각각의 바닥과 접촉하고, 첨단 돌출 부분(53c)은 제2 단자 리세스(37) 각각의 첨단 단부에서 구멍 부분에 끼워져서, 돌출부(53d)는 구멍 부분의 천장 표면과 긴밀하게 결합된다. 돌출부(52a)는 하우징(31)에 제2 단자(51)를 고정하기 위해, 하우징(31)의 하부 부분(32)의 후방 단부 표면의 저면 단부와 긴밀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부 아암 부분(54)은 플랫 케이블(71)의 전도성 도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부품으로도 작동한다. 상부 아암 부분(54)의 첨단 부근에서, 접촉 부분(54a)은 접촉 부분으로서 하향 돌출된다. 또한, 상부 아암 부분(54)은 작동 레버 부분이 연결 부분(55)에 연결되는 접촉 지점의 후방측을 향해 연장하도록 제공되고 액추에이터(11)의 단자 수용 구멍(12)에 진입하여 제2 샤프트 부분(17b)의 상향 이동을 제한하는 작동 레버 부분(54b)을 구비한다.
제2 샤프트 부분(17b)은 단면이 대체로 난형이며, 지지 부분(53b)과 작동 레버 부분(54b) 사이에 위치된다. 제2 샤프트 부분(17b)은 회전될 때 캠으로 작동하여, 작동 레버 부분(54b)을 밀어 올린다. 작동 레버 부분(54b)이 밀어 올려지면, 연결 부분(55) 및 연결 영역 부분(56)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전체 상부 아암 부분(54)은 상부 아암 부분(54)과 하부 아암 부분(53) 사이의 상대 각도가 변하도록 회전되고, 상부 아암 부분(54)의 첨단은 하향 이동한다. 따라서, 접촉 부분(54a)은 케이블 지지 부분(53a)에 근접하게 이동하고 플랫 케이블(71)의 전도성 도선에 대해 가압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1)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2 샤프트 부분(17b)은 대체로 수평인 위치를 취한다. 그 결과, 액추에이터 레버 부분(54b)은 밀어 올려지지 않으며, 상부 아암 부분(54)의 첨단은 하방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접촉 부분(54a)과 케이블 지지 부분(53a)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넓어져서, 삽입 개구(33)로부터 삽입된 플랫 케이블(71)의 최전방 부분은 삽입 중에 접촉 부분(54a)과 지지 부분(53a)으로부터 접촉 압력을 받지 않거나 작은 접촉 압력만을 받는다. 이것은 사실상 ZIF 구조물이 구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자(51) 각각에는 지지 부분(53a)과 접촉 부분(54a)의 위치가 플랫 케이블(71)의 삽입 방향에 대해 하우징(31)의 하부 부분(32)의 전방 단부 표면에 인접하게 배열된다. 반면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자(41)의 각각에서, 케이블 지지 부분(43a)과 접촉 부분(44a)의 위치는 하우징(31)의 하부 부분(32)의 전방 단부 표면으로부터 플랫 케이블(71)의 삽입 방향에 대해 후방측을 향해 이격된다. 이러한 배열은 제1 및 제2 단자(41, 51)에 대해 동일한 전기 저항을 얻을 목적으로, 접촉 부분(44a)으로부터 미부(42)로 이어지는 전도성 경로의 길이와 접촉 부분(54a)으로부터 미부(52)로 이어지는 전도성 경로를 대체로 동일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71) 상에서 병렬된 전도성 도선과 제1 및 제2 단자(41, 51) 사이에 전기 접속이 형성되는 각 부분은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인접한 전도성 도선 사이에서 크로스토크의 발생이 방지된다.
케이블(71)의 삽입 방향에 대해 접촉 부분(44a)과 케이블 지지 부분(43a)의 위치는 서로 동일하도록 설정된다. 즉, 케이블 지지 부분(43a)과 접촉 부분(44a)이 서로 대면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블 지지 부분(53a)과 접촉 부분(54a)의 위치도 동일하다. 또한, 플랫 케이블(71)의 삽입 방향에 대한 케이블 지지 부분(43a)과 접촉 부분(44a)의 위치와, 케이블 지지 부분(53a)과 접촉 부분(54a)의 위치는 도5 및 도6의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단자(41) 각각의 지지 부분(43b)은 지지 부분(43b)의 전방 단부 부근에 상향 돌출한 돌출부를 구비한다. 이 돌출부는 제2 샤프트 부분(17b)의 전방 이동을 어느 정도 제한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각 제2 단자(51)의 지지 부분(53b)은 지지 부분(53b)의 후방 단부 부근에 상향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한다. 이 돌출부는 제2 샤프트 부분(17b)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데 효과적이다.
다음으로,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 각각의 단자 보유 벽의 구조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 중 하나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통상, 단자의 납땜 연결 부분이 납땜에 의해 기판의 표면상에 형성되는 접속 패드에 연결될 때, 땜납에 포함된 플럭스 성분이 용융되어 단자의 표면을 따라 올라가는 곳에서 "플럭스 오름"이 발생한다. 이 경우, 플럭스는 주로 단자의 측면을 따라 올라간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플럭스 오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넓은 폭 부분 또는 절단 부분(37g, cut-away portion)(도9 내지 도10) 중 어느 한 부분이 각각의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의 각각의 단자 보유 벽의 표면상에 형성되며, 이때 상술된 표면은 제2 단자(51)의 측면과 대면하도록 배치된다. 즉, 넓은 폭 부분 또는 절단 부분(37g)은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의 측벽에 형성된다.
도9 내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좁은 폭 부분(37a), 제1 넓은 폭 부분(37b), 제2 넓은 폭 부분(37c), 제3 넓은 폭 부분(37d), 제2 좁은 폭 부분(37e), 제3 좁은 폭 부분(37f) 및 상술한 절단 부분(37g)이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의 각각의 측벽에 형성된다. 제1 좁은 폭 부분(37a), 제2 좁은 폭 부분(37e) 및 제3 좁은 폭 부분(37f)은 일반적으로 좁은 폭 부분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제1 넓은 폭 부분(37b), 제2 넓은 폭 부분(37c) 및 제3 넓은 폭 부분(37d)은 일반적으로 넓은 폭 부분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6과 도12 간의 비교와 도8과 도9 간의 비교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좁은 폭 부분(37a)은 후방 단부 부근에서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의 저면에 형성되고, 미부(52)의 전방 저면 부분의 측면에 대응하고, 상기 측면 부근에 위치하거나 상기 측면과 접촉한다. 제1 넓은 폭 부분(37b)은 제1 좁은 폭 부분(37a) 위의 위치에 형성되고, 지지 부분(53b)의 측면과 대면하고, 지지 부분(53b)의 동일한 측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 넓은 폭 부분(37c)은 제1 넓은 폭 부분(37b) 위의 위치에 형성되고, 연결 부분(55)의 측면과 대면하고, 연결 부분(55)의 동일한 측면과 이격된다. 제3 넓은 폭 부분(37d)은 제2 넓은 폭 부분(37c) 위의 위치에 형성되고, 작동 레버 부분(54b)의 측면과 대면하고, 작동 레버 부분(54b)의 동일한 측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제2 좁은 폭 부분(37e)은 제3 넓은 폭 부분(37d)의 전면 상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부 아암 부분(54)의 측면과 대면하고, 상부 아암 부분(54)의 동일한 측면의 부근에 위치되거나 이 측면과 접촉한다. 제3 좁은 폭 부분(37f)은 제1 넓은 폭 부분(37b)의 전면 상의 위치에 형성되 고, 하부 아암 부분(53)의 측면과 대면하고, 하부 아암 부분(53)의 동일한 측면 부근에 위치되거나 이 측면과 접촉한다. 절단 부분(37g)은 제1 넓은 폭 부분(37b)의 전면 상의 위치에 형성되고, 연결 부분(55)에 대한 연결 지점의 후방측 상의 연결 영역 부분(56)의 측면과 대면한다.
상술된 좁은 폭 부분에서, 제1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 각각에서 양 측면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각각의 제2 단자(51)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간극의 치수량이 제2 단자(51)의 측면들 사이에 나타나는 치수 값, 즉 제2 단자(51)의 두께의 값과 유사하도록 좁아진다. 따라서, 좁은 폭 부분에서 제2 단자(51)의 측면과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의 측면들 사이에는 간극이 남지 않거나 극히 작은 간극만이 남는다.
반면에, 넓은 폭 부분에서 넓은 간극은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의 각각의 양 측면 사이에 형성되고, 간극의 치수량은 제2 단자(51)의 두께보다 오히려 넓다. 따라서, 넓은 폭 부분 각각에서 제2 단자(51)의 측면과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의 측면들 사이의 간극은 넓은 폭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각 단자의 부분의 전체 주변부를 따라 소정의 공간이 연장하도록 크다. 따라서, 납땜 중에 용융된 플럭스가 미부(52)의 측면을 따라 진행되는 경우에도, 모세관 현상의 방식에 의한 플럭스 오름이 넓은 폭 부분에서 발생하지 않는다. 즉, 제2 단자(51)의 측면과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의 측면들 사이에 넓은 간극이 존재하는 넓은 폭 부분으로 인해, 모세관 현상과 유사한 방식으로 플럭스가 이동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2 넓은 폭 부분(37c)에서의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의 양 측면들 사이의 간극은 인접한 제1 넓은 폭 부분(37b)과 제3 넓은 폭 부분(37d)에서의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의 양 측면들 사이의 간극보다 넓다. 즉, 제2 넓은 폭 부분(37c)은 간극이 인접한 제1 넓은 폭 부분(37b)과 제3 넓은 폭 부분(37d)에 의해 형성된 간극보다 넓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연결 부분(55)이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의 측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연결 부분(55)은 상부 아암 부분(54)이 회전할 때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분(55)의 측면과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의 측면들 사이의 간극이 상당히 커져서, 연결 부분(55)의 전체 주변부를 따라 상당한 공간이 남게 되며 그 결과 모세관 현상에 의한 플럭스의 이동이 방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플럭스가 연결 부분(55)의 측면을 따라 올라가지 않고 상부 아암 부분(54)에 도달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가동 상부 아암 부분(54)은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과 접착되지 않아서, 상부 아암 부분(54)의 회전 이동이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 아암 부분(54)의 접촉 부분(54a)이 플럭스에 의해 오염되지 않아서, 플랫 케이블(71)의 전도성 도선과 접촉 부분(54a) 사이에서 전기 접속의 실패가 발생하지 않는다.
절단 부분(37g)에서,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은 양 측면을 갖지 않는다. 그 결과, 절단 부분(37)에서는 제2 단자(51)의 측면과 대면하는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의 측면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용융된 플럭스가 납땜 중에 미부(52)의 측면을 따라 오르는 경우에도, 절단 부분(37g)에서 모세관 현상에 의한 더 이상의 플럭스 오름은 발생하지 않는다. 즉, 모세관 현상에 의한 플럭스의 이동이 절단 부분(37g)에 의해 방지된다. 절단 부분(37g)은 단자의 상부 표면까지 완전하게 노출되어, 각 단자의 보조 부분의 전체 주변부를 따라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단 부분(37g)은 연결 부분(55)에 대한 연결 지점의 후방측에서 연결 영역 부분(56)의 측면과 대면한다. 따라서, 가동 부분으로 작용하는 연결 부분(56)의 측면은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의 측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상부 아암 부분(54)이 회전할 때 연결 영역 부분(56)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절단 부분(37g)에는 연결 영역 부분(56)의 측면과 대면하는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의 측면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모세관 현상에 의한 플럭스의 이동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는 플럭스가 연결 영역 부분(56)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여 연결 부분(55)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며, 플럭스가 연결 부분(55)과의 접촉 지점의 전방측 상에 연결 영역 부분(56)의 일부에 도달하는 것도 방지한다. 따라서, 모두가 가동 부분으로서 작동하는 연결 부분(55)과 연결 영역 부분(56)은 플럭스에 의해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에 부착되지 않으며, 연결 영역 부분(56)과 연결 부분(55)의 변형이 방해되지 않는다. 또한, 상부 아암 부분(54)의 접촉 부분(54a)과 하부 아암 부분(53)의 케이블 지지 부분(53a)은 플럭스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다.
형성되는 절단 부분(37g)과 넓은 폭 부분의 위치와 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절단 부분(37g)과 넓은 폭 부분의 치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절단 부분(37g)과 넓은 폭 부분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이 예로서 사용되었지만, 각각의 제1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4)이 절단 부분(37g)과 넓은 폭 부분을 유사하게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부분(37g)에는 제1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4)의 측면이 존재하지 않으며, 제1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4)은 절단 부분(37g)에서 제1 단자(41)의 측면과 대면하는 측면을 갖지 않는다. 또한, 제2 넓은 폭 부분(37c)과 같은 넓은 부분이 제공되고, 절단 부분(37g) 또는 넓은 폭 부분에서 모세관 현상에 의한 플럭스 오름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플럭스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설명은 플럭스 오름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서만 기술되었지만, 땜납 오름도 플럭스 오름을 방지함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용융된 플럭스의 유동성이 용융된 땜납보다 높기 때문이며, 이는 용융된 플럭스가 용융된 땜납보다 빠르게 단자의 표면을 따라 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융된 땜납의 오름은 플럭스의 오름에 후속한다. 이는 플럭스 오름이 방지되면 땜납 오름도 방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플랫 케이블(71)을 커넥터(10)에 연결하는 작업이 설명된다.
도13은 액추에이터가 폐쇄된 위치에 있는 상태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14는 액추에이터가 폐쇄된 위치에 있는 상태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15는 액추에이터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인 도14의 화살표 E-E를 따라 취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16은 액추에이터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인 도14의 화살표 F-F를 따라 취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플랫 케이블(71)에는, 예컨대 15개의 복수의 포일형 전도성 도선이 전기 절연 특성을 갖는 절연층 상에서 소정의 피치, 예컨대, 약 0.3㎜의 피치로 서로 평행하게 병렬된다. 전도성 도선의 상부측은 다른 절연층으로 코팅된다. 커넥터(10)의 삽입 개구(33)로 삽입되는 플랫 케이블(71)의 단부에서, 전도성 도선의 상부 표면은 소정의 길이를 따르는 영역에서 노출된다. 도13 내지 도16에 도시된 예에서는, 전도성 도선은 플랫 케이블(71)의 상부측 상에서 노출되는 것으로 예측된다.
플랫 케이블(71)을 커넥터(10)에 연결하기 위해, 플랫 케이블(71)의 종방향 단부는 우선 하우징(31)의 삽입 개구(33) 내로 삽입된다. 이때,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1)는 미리 개방 위치가 된다. 그 결과, 작동자는 하우징(31)의 삽입 개구(33)를 향해 플랫 케이블(71)의 종방향 단부를 이동시킨다. 그 결과, 플랫 케이블(71)의 종방향 단부는 삽입 개구(33) 내로 삽입된다. 플랫 케이블(71)이 이동하는 동안 도전성 도선이 노출되는 표면은 상향된다(face up).
그 후, 플랫 케이블(71)의 첨단은 제1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4)의 각각에 수용되는 제1 단자(41) 각각의 하부 아암 부분(43)과 상부 아암 부분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며,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의 각각에 수용된 제2 단자(51) 각각의 하부 아암 부분(53)과 상부 아암 부분(54)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도 삽입된다. 이때,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71)의 첨단이 제2 단자(51)의 연결 부분(55)과 접촉하기 때문에, 플랫 케이블(71)의 종방향 위치는 적절한 위치에 설정 되고 플랫 케이블(71)의 삽입이 완료된다.
다음으로, 작동자는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위치의 액추에이터(11)가 도13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쇄 위치로 이동되도록 자신의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액추에이터(11)를 작동한다. 이때, 액추에이터(11)는 도5 내지 도7에서 시계 방향으로 액추에이터(11)의 자세 또는 위치를 변경하여 폐쇄 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11)의 주본체(15)가 회전하여 도13 내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 케이블(71)의 삽입 방향과 거의 평행하게 된다. 또한, 제2 샤프트 부분(17b)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의 수평이 되도록 회전된다. 즉, 제2 샤프트 부분(17b)의 난형 단면의 장축은 거의 수평이 된다.
따라서,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샤프트 부분(17b)은 지지 부분(43b)과 작동 레버 부분(44b) 사이의 간극이 팽창되도록 지지 부분(43b)과 작동 레버 부분(44b)을 밀치면서, 제2 샤프트 부분(17b)은 작동 레버 부분(44b)도 위로 민다. 그 결과, 연결 부분(45)과 연결 영역 부분(46)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상부 아암 부분(44)의 전체 부분이 회전되어 상부 아암 부분(44)과 하부 아암 부분(43) 사이의 상대 각도가 변경되고 상부 아암 부분(44)의 첨단부가 하향 이동된다. 그 결과, 접촉 부분(44a)은 케이블 지지 부분(43a)에 근접하게 이동하고 플랫 케이블(71)의 전도성 도선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71)의 표면상에서 노출된 전도성 도선은 접촉 부분(44a)과 접촉되어 전기 연결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전도성 도선은 제1 단자(4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미부(42)가 연결된 기 판의 표면상에서 연결 패드를 거쳐 기판의 전도성 경로에 전기적으로 전도된다.
상부 아암 부분(44)은 약간의 스프링 특성을 가지며 플랫 케이블(71)에 대해 가압됨으로써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그 결과, 전도성 도선과 접촉 부분(44a) 사이의 연결부가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하부 아암 부분(43)의 케이블 지지 부분(43a)은 접촉 부분(44a)과 대면하도록 위치되어, 플랫 케이블(71)이 케이블 지지 부분(44a)에 의해 지지되고 전도성 도선과 접촉 부분(44a) 사이의 연결부가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상술된 바와 유사하게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샤프트 부분(17b)은 지지 부분(53b)과 작동 레버 부분(54b) 사이의 간극이 팽창되도록 작동 레버 부분(54b)과 지지 부분(53b)을 밀면서, 제2 샤프트 부분(17b)은 작동 레버 부분(54b)을 위로 민다. 따라서, 연결 부분(55)과 연결 영역 부분(56)은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상부 아암 부분(54)의 전체 부분은 상부 아암 부분(54)과 하부 아암 부분(53) 사이의 상대 각도가 변형되고 상부 아암 부분(54)의 첨단부가 하향 이동하도록 회전한다. 그 결과, 접촉 부분(54a)은 케이블 지지 부분(53a)에 근접하게 이동하고 플랫 케이블(71)의 전도성 도선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플랫 케이블(71)의 표면상의 노출된 전도성 도선은 접촉 부분(54a)과 접촉하여 전기 연결 부분을 형성한다. 따라서, 전도성 도선은 제2 단자(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미부(52)가 연결된 기판 표면상의 연결 패드를 거쳐 기판의 전도성 경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부 아암 부분(54)은 약간의 스프링 특성을 가지며 플랫 케이블(71)에 대해 가압됨으로써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그 결과, 전도성 도선과 접촉 부분(54a) 사이 의 연결이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아암 부분(53)의 케이블 지지 부분(53a)이 접촉 부분(54a)과 대면하도록 위치되어, 플랫 케이블(71)이 케이블 지지 부분(53a)에 의해 지지되는 것과 전도성 도선과 접촉 부분(54a) 사이의 연결이 양호하게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제1 단자(41)는 미부(42)와 접촉 부분(44a)을 구비하고, 각각의 제2 단자(51)는 미부(52)와 접촉 부분(54a)을 구비한다. 또한, 제1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4)과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 각각은 미부(42)와 미부(52)에 대응하는 부분 사이에 그리고 접촉 부분(44a)과 접촉 부분(54a)에 대응하는 부분 사이에 제1 단자(41)와 제2 단자(51) 각각의 외부 표면과 대면하는 단자 보유 벽에 형성된 넓은 폭 부분 또는 절단 부분(37g)을 갖는다.
따라서, 플럭스 오름이 간단한 구조로도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접촉 부분(44a, 54a)은 플럭스에 의해 오염되지 않아서, 커넥터(10)의 신뢰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넓은 폭 부분 또는 절단 부분(37g)은 미부(42)와 미부(52)에 대응하는 부분 사이에 형성되고, 가동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은 제1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4)과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 각각에 형성된다. 그 결과, 제1 단자(41)와 제2 단자(51)의 가동 부분은 플럭스에 의해 제1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4)과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에 부착되지 않는다.
제1 단자(41)와 제2 단자(51)의 가동 부분은 예컨대, 상부 아암 부분(44, 54), 연결 부분(45, 55), 연결 영역 부분(46, 56) 등이다. 하지만, 액추에이터(11)의 자세가 변경될 때 이동하기만 한다면 제1 단자(41)와 제2 단자(51)의 어떠한 부분도 가동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넓은 폭 부분 또는 절단 부분(37g)은 제1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4)과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 각각의 가동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그 결과, 가동 부분이 제1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4)과 제2 단자 보유 리세스 부분(37) 각각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서, 가동 부분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골자에 기초한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은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청구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있다.

Claims (5)

  1. 케이블 커넥터이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플랫 케이블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개구와,
    복수의 단자 리세스와,
    플랫 케이블의 전도성 도선에 연결하기 위해 단자 리세스에 배치된 복수의 전도성 단자를 포함하고,
    각각의 전도성 단자는 납땜에 의해 전도성 패드에 부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납땜 연결 부분과, 전도성 도선과 접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촉 부분을 구비하며,
    각각의 단자 리세스는 내부에 수용된 전도성 단자의 외부 표면과 대면하는 하나 이상의 단자 보유 벽과, 하나 이상의 넓은 폭 부분과, 절단 부분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넓은 폭 부분과 절단 부분은 납땜 연결 부분과 접촉 부분에 각각 대면하는 단자 보유 벽의 소정 부분들 사이에 형성되고,
    절단 부분은 하우징을 통해 연장되는
    케이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넓은 폭 부분 또는 절단 부분 중 하나는 납땜 연결 부분 및 전도성 단자의 가동 부분과 각각 대면하는 단자 보유 벽의 소정 부분들 사이에 형성되는
    케이블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넓은 폭 부분 또는 절단 부분 중 하나는 전도성 단자의 가동 부분과 대면하는 단자 보유 벽의 소정 부분들 사이에 형성되는
    케이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플랫 케이블이 개구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제1 위치와, 전도성 단자가 전도성 도선과 접촉하도록 가압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하우징에 장착된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각각의 전도성 단자는 제1 아암 부분 및 제2 아암 부분과, 상기 아암 부분들을 연결하는 얇은 연결 부분을 더 포함하고, 두 아암 부분들 모두는 하우징 내에서 길게 연장하는
    케이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넓은 폭 부분 또는 절단 부분 중 하나는 납땜 연결 부분과 대면하는 단자 보유 벽의 소정 부분들 사이에 형성되는
    케이블 커넥터.
KR1020087027647A 2006-04-13 2007-04-13 개선된 플랫 케이블 커넥터 KR1010807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11223A JP4707597B2 (ja) 2006-04-13 2006-04-13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JP-P-2006-111223 2006-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7422A KR20090007422A (ko) 2009-01-16
KR101080715B1 true KR101080715B1 (ko) 2011-11-07

Family

ID=3829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647A KR101080715B1 (ko) 2006-04-13 2007-04-13 개선된 플랫 케이블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31491B2 (ko)
JP (1) JP4707597B2 (ko)
KR (1) KR101080715B1 (ko)
CN (1) CN101467307B (ko)
WO (1) WO20071207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22815B2 (ja) * 2007-04-27 2012-04-2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75402B2 (ja) * 2007-06-08 2010-11-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09266628A (ja) * 2008-04-25 2009-11-12 D D K Ltd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用いたコネクタ
KR100996095B1 (ko) * 2008-05-28 2010-11-22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JP4817466B2 (ja) * 2009-01-22 2011-11-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931261B2 (ja) * 2010-02-03 2012-05-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996705B2 (ja) * 2010-02-26 2012-08-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980438B2 (ja) * 2010-02-26 2012-07-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7854625B1 (en) * 2010-06-15 2010-12-2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4897917B1 (ja) * 2010-09-03 2012-03-14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2151021A (ja) * 2011-01-20 2012-08-09 D D K Ltd コネクタ
CN102324638A (zh) * 2011-05-23 2012-01-18 深圳市金盟友机电科技有限公司 Fpc电子连接器导电金属端子
CN102354827A (zh) * 2011-08-08 2012-02-15 昆山捷讯腾精密电子科技有限公司 软性电路板连接器及其导电端子
TWI413315B (zh) * 2011-08-30 2013-10-21 Wistron Corp 連接器及其電子裝置
JP5799679B2 (ja) * 2011-09-02 2015-10-2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651652B2 (ja) * 2012-08-22 2015-01-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DE102013004375A1 (de) * 2013-03-12 2014-09-18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orrichtung zum Übertragen von elektrischen Signalen an und/oder von einer beweglichen Komponente eines Kraftfahrzeugs,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derartigen Vorrichtung
KR101591666B1 (ko) 2014-06-24 2016-02-04 (주)우주일렉트로닉스 플럭스 유입 방지 구조를 구비한 플랫 케이블 커넥터
JP6467224B2 (ja) * 2014-12-26 2019-02-0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1552825B1 (ko) * 2015-03-18 2015-09-14 주식회사 기가레인 연성회로기판용 커넥터
WO2017033382A1 (ja) * 2015-08-26 2017-03-02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7228798B2 (ja) * 2017-08-09 2023-0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JP7033727B2 (ja) * 2017-08-09 2022-03-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543054B1 (ko) * 2017-12-27 2023-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케이블, 컨넥터, 그를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및 표시장치
CN108987970A (zh) * 2018-07-25 2018-12-11 瀚荃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低***力双面ffc连接器
JP6976230B2 (ja) * 2018-07-27 2021-12-08 京セラ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TWI751621B (zh) * 2020-07-23 2022-01-01 仁寶電腦工業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總成及其安裝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6732A1 (en) * 2003-12-19 2005-06-23 Ddk Lt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10581D0 (en) * 1988-05-05 1988-06-08 Amp Holland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for wire to board applications
JPH03107906U (ko) * 1990-02-21 1991-11-06
JP3356265B2 (ja) * 1997-07-29 2002-12-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159178B2 (ja) * 1999-04-30 2008-10-01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JP3574891B2 (ja) * 1999-08-17 2004-10-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Fpc用コネクタ
JP3446136B2 (ja) * 2000-06-05 2003-09-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3484659B2 (ja) 2001-03-09 2004-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3109695A (ja) * 2001-09-26 2003-04-11 Molex Inc Fpc用コネクタ
JP3903338B2 (ja) * 2001-11-08 2007-04-1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3666445B2 (ja) * 2001-11-13 2005-06-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Fpc用コネクタ
JP2003297465A (ja) * 2002-03-26 2003-10-17 Molex Inc Fpc用コネクタ
JP2004178959A (ja) 2002-11-27 2004-06-24 D D K Ltd コネクタ
US7044773B2 (en) * 2002-08-01 2006-05-16 Ddk Ltd. Connector
JP3665968B2 (ja) * 2002-10-24 2005-06-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79989B2 (ja) 2003-08-29 2010-06-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054741B2 (ja) * 2003-09-26 2008-03-05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低背型fpc用zifコネクタ
JP4093577B2 (ja) * 2004-01-30 2008-06-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の接続構造
WO2006016482A1 (en) * 2004-08-10 2006-02-16 Ddk Ltd. Connector
JP4388879B2 (ja) * 2004-10-26 2009-12-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CN2821903Y (zh) * 2005-07-20 2006-09-2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4437982B2 (ja) * 2005-08-08 2010-03-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429246B2 (ja) * 2005-09-30 2010-03-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JP4938303B2 (ja) * 2005-12-16 2012-05-2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US7179118B1 (en) * 2006-03-15 2007-02-20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JP4951429B2 (ja) * 2007-07-13 2012-06-13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6732A1 (en) * 2003-12-19 2005-06-23 Ddk Lt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31491B2 (en) 2011-04-26
JP2007287398A (ja) 2007-11-01
WO2007120783A1 (en) 2007-10-25
CN101467307B (zh) 2012-05-09
KR20090007422A (ko) 2009-01-16
US20090298319A1 (en) 2009-12-03
JP4707597B2 (ja) 2011-06-22
CN101467307A (zh) 200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0715B1 (ko) 개선된 플랫 케이블 커넥터
CN101971429B (zh) 电缆连接器
JP4954050B2 (ja) 端子及びコネクタ
JP4863317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953904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TWI687001B (zh) 電連接器
KR101001738B1 (ko) 커넥터
JP4722756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4707610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WO2009093586A1 (ja) 面実装部品及び電気コネクタ
US9252516B2 (en) Connector
JP2010073549A (ja) 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0050028A1 (ja) コネクタ
JP4028497B2 (ja) コネクタ
JP2008288004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348374B2 (ja) 電気コネクタ
JP3977636B2 (ja) 平型柔軟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6196356A (ja) コネクタ
JP2007265851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009301884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931441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JP4943486B2 (ja) トグルスイッチ
JP2009187899A (ja) 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JP200507890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