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386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386A
KR20180028386A KR1020170114089A KR20170114089A KR20180028386A KR 20180028386 A KR20180028386 A KR 20180028386A KR 1020170114089 A KR1020170114089 A KR 1020170114089A KR 20170114089 A KR20170114089 A KR 20170114089A KR 20180028386 A KR20180028386 A KR 20180028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ain body
arm portions
contact conducto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이치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8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3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5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cables except for 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8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crimping or by crimping ferr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100)는,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110)와, 절연 하우징(120)과, 신호 컨택트 도체(130)를 구비한다.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110)는, 그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L)이 마련된 통 형상의 본체부(111)와, 본체부(111) 중 슬릿(SL)을 이루는 각 단연으로부터 본체부(11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한쌍의 아암부(113)와, 한쌍의 아암부(113)를 외측으로부터 조이는 고정부(116)를 갖는다. 고정부(116)에는, 아암부(113)를 향해 돌출하며 또한 그 돌출한 방향에서 고정부(116)의 중앙에 위치하는 돌기(119A)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부(116)에 의해 아암부(113)가 조여져 있는 상태에서, 돌기(119A)는 아암부(113)에 맞닿아 있으며, 돌기(119A)의 존재에 의해 아암부(113)와 고정부(116)는 이격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개시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 등의 소형 단말의 내부에는, 배선 기판 사이에서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다수의 동축 케이블이 배선되어 있다. 동축 케이블의 선단에는 플러그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다. 배선 기판에는, 리셉터클 커넥터가 실장되어 있다. 이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끼워맞춰짐으로써, 동축 케이블과 배선 기판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3-222685 호 공보는 플러그 커넥터의 일 예를 개시하고 있다. 해당 플러그 커넥터는, 도전성의 신호 컨택트 도체와, 도전성의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와, 절연 재료로 구성된 절연 하우징을 구비한다. 신호 컨택트 도체에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접속된다.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에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접속된다. 절연 하우징은 신호 컨택트 도체와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 사이를 절연한다. 절연 하우징은, 원통 형상을 나타내는 동시에 신호 컨택트 도체를 내부에 보지하는 절연 본체부와, 절연 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절연 본체부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다.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는, 절연 하우징의 절연 본체부를 수납 가능한 통 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의 주연(周緣)으로부터 본체부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한쌍의 아암부와, 본체부의 통축 방향에서 본체부의 테두리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덮개부와, 덮개부로부터 연장되는 판 형상의 한쌍의 고정부를 갖는다. 한쌍의 아암부의 사이에는, 절연 하우징의 돌출부가 위치하고 있다. 한쌍의 고정부는, 한쌍의 아암부를 돌출부도 포함해서 외측으로부터 조여서, 덮개부를 한쌍의 아암부에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한쌍의 고정부가 한쌍의 아암부를 조일 때에는, 한쌍의 고정부는 대략 전체가 한쌍의 아암부에 맞닿는다.
그런데,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와 끼워맞춰질 때, 플러그 커넥터의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의 본체부가 리셉터클 커넥터의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에 의해 확경된다. 이때, 본체부의 확경에 수반하여, 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아암부도 돌출부로부터 멀어지도록 변형된다. 그렇지만, 한쌍의 고정부가 본체부 쪽에 위치할수록, 한쌍의 아암부의 굴곡 가능 부분이 짧아지므로, 본체부가 충분히 확경되기 어려워져 버린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사이에 적절한 삽발력(揷拔力)을 확보하기 위해서, 한쌍의 고정부를 본체부로부터 멀어지게 하여, 한쌍의 아암부의 굴곡 가능 부분을 길게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 플러그 커넥터의 사이즈가 전체적으로 커져 버릴 수 있다. 한편, 한쌍의 고정부의 위치는 변경하지 않고, 한쌍의 고정부의 폭(아암부의 연장 방향에 있어서의 고정부의 폭)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의 사이즈를 유지하면서, 한쌍의 아암부의 굴곡 가능 부분을 길게 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그렇지만, 한쌍의 고정부의 폭이 작아지면, 한쌍의 고정부의 강성(한쌍의 고정부의 한쌍의 아암부에 대한 고정 강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덮개부를 파지하여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발거(拔去)할 때에, 한쌍의 고정부의 한쌍의 아암부에 대한 고정이 해제되어 버릴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3-222685 호 공보
그래서, 본 개시는, 강성의 확보 및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상대측 커넥터에 대한 삽발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를 설명한다.
[1] 본 개시의 하나의 관점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배선 기판에 실장된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로서,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접속되는 도전성의 신호 컨택트 도체와,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접속되는 도전성의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와, 신호 컨택트 도체와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하우징을 구비한다.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는, 그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마련된 통 형상의 본체부와, 본체부 중 슬릿을 이루는 각 단연(端緣)으로부터 본체부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한쌍의 아암부와, 한쌍의 아암부를 외측으로부터 조이는 고정부를 갖는다. 한쌍의 아암부 및 고정부 중 적어도 한쪽에는, 다른쪽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가 마련되어 있다. 돌기는, 한쌍의 아암부가 돌출한 방향에서, 고정부의 본체부 쪽의 단연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하고 있다. 고정부에 의해 한쌍의 아암부가 조여져 있는 상태에서, 한쌍의 아암부 및 고정부 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어 있는 돌기는 다른쪽에 맞닿아 있으며, 돌기의 존재에 의해 한쌍의 아암부와 고정부는 이격되어 있다.
본 개시의 하나의 관점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서는, 한쌍의 아암부 및 고정부 중 적어도 한쪽에 돌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돌기는 다른쪽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다. 고정부에 의해 한쌍의 아암부가 조여져 있는 상태에서, 한쌍의 아암부 및 고정부 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어 있는 돌기는 다른쪽에 맞닿아 있으며, 돌기의 존재에 의해 한쌍의 아암부와 고정부는 이격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고정부에 의해 한쌍의 아암부가 조여져 있는 상태에서 본체부가 확경되면, 한쌍의 아암부 중 돌기의 위치보다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의 본체부 쪽의 부분이 굴곡된다. 또한, 본 개시의 하나의 관점에 따른 전기 커넥터에서는, 돌기는, 한쌍의 아암부가 돌출한 방향에서, 고정부의 본체부 쪽의 단연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일본 특허 공개 제 2013-222685 호 공보에 기재된 플러그 커넥터와 비교하여, 한쌍의 아암부 중 변형 가능한 부분이 길어진다. 따라서, 한쌍의 아암부가 탄성체로서 기능하기 쉬워지므로, 고정부의 폭을 작게 하거나, 플러그 커넥터의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아도, 상대방 커넥터에 대한 삽발력이 향상된다. 그 결과, 강성의 확보 및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상대측 커넥터에 대한 삽발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상기 제 1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한쌍의 아암부 및 고정부 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어 있는 돌기는, 한쌍의 아암부가 돌출한 방향에서, 고정부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한쌍의 아암부 중 변형 가능한 부분이 보다 길어진다. 그 때문에, 한쌍의 아암부가 보다 탄성체로서 기능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상대측 커넥터에 대한 삽발력의 추가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상기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절연 하우징은, 내부에 신호 컨택트 도체를 보지하는 통 형상의 절연 본체부와, 절연 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절연 본체부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돌출부는, 한쌍의 아암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한쌍의 아암부와 맞닿아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한쌍의 아암부가 돌출부에 의해 보강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고정부가 절연 하우징의 돌출부와 함께 한쌍의 아암부를 조일 때에, 고정부와 한쌍의 아암부 사이에 위치하는 돌기로부터, 한쌍의 아암부에 대하여, 힘이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체부의 확경시, 한쌍의 아암부가 돌기에 대해 어긋나기 어려워지므로, 플러그 커넥터가 상대방의 커넥터에 대해 복수회 삽발된 경우라도, 충분한 삽발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4] 상기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는, 본체부 중 배선 기판과는 멀어진 측의 단연으로부터 연장되는 덮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고정부는 덮개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한쌍의 아암부 중 배선 기판에 면하는 단연에 이르기까지 감겨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고정부가, 한쌍의 아암부를 조이는 기능에 부가하여, 덮개부를 한쌍의 아암부에 대해 고정하는 기능을 겸유할 수 있다.
도 1은 커넥터 조립체를 상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커넥터 조립체를 하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는 저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Ⅵ-Ⅵ선 단면도,
도 7은 도 3의 Ⅶ-Ⅶ선 단면도,
도 8은 플러그 커넥터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플러그 커넥터의 개방 상태를 도시하는 상면도,
도 10은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11은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가 변형된 형태를 커넥터 조립체의 하측으로부터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참고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를 도 7과 마찬가지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도,
도 13은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의 다른 예를 개방 상태로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에 설명하는 본 개시에 따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의 내용에 한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커넥터 조립체]
커넥터 조립체(1)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의 일종인 플러그 커넥터(100)가 동축 케이블(200)의 선단 부분에 접속된 조립체이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110)와, 절연 하우징(120)과, 신호 컨택트 도체(130)를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100)는 휴대전화 등의 소형 단말에 내장되는 배선 기판(도시 생략)의 주면(主面)에 실장된 상대방 커넥터(예컨대, 리셉터클 커넥터)(도시 생략)와 끼워맞춤 및 발거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배선 기판의 주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플러그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근접하면, 플러그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와 끼워맞춰진다. 한편, 배선 기판의 주면에 대해 대략 직교하는 방향에서, 플러그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이격되면, 플러그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발거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0)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방향(삽입하는 방향), 즉 플러그 커넥터(100)가 배선 기판에 접근하는 방향을 「하방향」이라 칭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0)를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발거하는 방향, 즉 플러그 커넥터(100)가 배선 기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향」이라 칭한다.
[동축 케이블]
동축 케이블(200)은, 예컨대, 휴대전화 등의 소형 단말에 내장되는 각종 배선 기판 사이에서 고주파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해당 소형 단말 내에서 이용되는 배선이다. 동축 케이블(200)은, 도 2,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도체(201)와, 절연체(202)와, 외부 도체(203)와, 보호 피막(204)을 구비한다.
내부 도체(201)는 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금속선(예컨대 구리선)이다. 내부 도체(201)는 1개의 금속선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복수 개의 금속 세선이 꼬인 편조선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내부 도체(201)는, 고주파 신호 등의 전기 신호가 흐르는 신호선으로서 기능한다. 절연체(202)는,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절연 재료(예컨대, 폴리에틸렌 등)로 구성되어 있다. 절연체(202)의 통 내에는 내부 도체(201)가 관통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절연체(202)는 내부 도체(201)의 둘레면을 피복하고 있다.
외부 도체(203)는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복수 개의 금속 세선(예컨대 구리 세선)이 꼬인 편조선(망 형상 또는 스파이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도체(203)의 통 내에는 절연체(202)가 관통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외부 도체(203)는 절연체(202)의 외주면을 피복하고 있으며, 절연체(202)에 의해 내부 도체(201)와는 절연되어 있다. 외부 도체(203)는 그라운드(GND)로서 기능한다. 보호 피막(204)은 원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절연 재료(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등)로 구성되어 있다. 보호 피막(204)의 통 내에는 외부 도체(203)가 관통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보호 피막(204)은 외부 도체(203)의 외주면을 피복하고 있으며, 외부 도체(203)가 다른 도전체와 도통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동축 케이블(200)이 플러그 커넥터(100)와 접속될 때에는, 동축 케이블(200)의 가공이 실행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00)의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부 도체(203), 절연체(202) 및 내부 도체(201)가 이 순서로 계단 형상으로 노출된다.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110)는 프레스 가공된 금속 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110)는 도전성을 갖는다.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110)는 본체부(111)와 덮개부(112)를 갖는다.
본체부(111)는 통 형상체이다. 본체부(111)의 둘레면에는, 본체부(111)의 연장 방향(통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L)이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4 및 도 7 내지 도 10 참조). 즉, 본체부(111)는 통축 방향에서 보아 원호 형상을 나타낸다. 본체부(111)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외측을 덮도록 리셉터클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하다. 또한, 본체부(111)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덮이도록 리셉터클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해도 좋다. 본체부(111)가 리셉터클 커넥터와 끼워맞춰질 때에는, 본체부(111) 중 배선 기판과 대향하는 측의 단연인 하단연(111a)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본체부(111) 중 슬릿(SL)을 이루는 각 단연에는 각각, 도 2 내지 도 4 및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암부(113)가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각 아암부(113)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본체부(111) 중 슬릿(SL)을 이루는 각 단연으로부터 본체부(111)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본체부(111)의 상단연(111b)(본체부(111) 중 후술하는 연결부(114)가 위치하는 측의 단연)에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 형상을 나타내는 한쌍의 절결부(111c)가 마련되어 있다.
덮개부(112)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쉘부(115)와 한쌍의 고정부(116~118)를 갖는다. 쉘부(115)는, 도 1, 도 3, 도 5, 도 8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114)를 거쳐서 본체부(111)와 연결되어 있다. 그 때문에, 쉘부(115)(덮개부(112))는, 연결부(114)가 굴곡됨으로써, 연결부(114)를 기점으로 해서 요동하여, 본체부(111)에 대해 근접 및 이격 가능하다.
동축 케이블(200)을 플러그 커넥터(100)에 장착하기 전은, 연결부(114)는 굴곡되지 않으며,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112)는 본체부(111)에 대해 기립한 상태(덮개부(112)가 본체부(111)로부터 이격된 기립 상태)이다. 한편, 덮개부(112)가 연결부(114)를 거쳐서 절곡되면, 연결부(114)가 굴곡되고,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112)가 본체부(111)에 대해 대향한 상태(덮개부(112)가 본체부(111)에 근접한 복와(伏臥) 상태)가 된다. 덮개부(112)의 복와 상태에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쉘부(115)는 본체부(111) 및 각 아암부(113)를 덮는다.
한쌍의 고정부(116~118)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는 판 형상체이다. 한쌍의 고정부(116~118)는 쉘부(115) 중 연결부(114)측으로부터 선단측을 향하는 방향에서 이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한쌍의 고정부(116~118)는 각각 외팔보 형상의 판 부재이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0)의 조립 전에, 한쌍의 고정부(116~118)는 각각 쉘부(115)의 양 측연(側緣)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면서 쉘부(115)에 대해 기립하고 있으며, 대략 L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고정부(116)는, 쉘부(115)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기단부(116a)와, 기단부(116a)로부터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선단부(116b)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부(116)가 아암부(113)에 고정되어 있는 고정 상태(고정부(116)에 의해 아암부(113)가 조여져 있는 상태)(이하, 간단히 「고정 상태」라 함)에서, 기단부(116a)는 아암부(113)의 측면과 대향하고 있다. 한편, 도 2, 도 4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상태에서, 선단부(116b)는 기단부(116a)로부터 내측을 향해 굴곡되며, 아암부(113) 중 배선 기판에 면하는 단연 및 절연 하우징(120)의 돌출부(122)(상세하게는 후술함)에 이르기까지 감겨 있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부(116a)에는 접촉부(119)가 마련되어 있다. 접촉부(119)는 기단부(116a) 중 본체부(111) 쪽의 단연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환언하면, 접촉부(119)는, 한쌍의 아암부(113)가 돌출한 방향에서, 기단부(116a) 중 본체부(111) 쪽의 단연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접촉부(119)는 기단부(116a)의 해당 단연보다 본체부(111)로부터 멀어지는 측에서(기단부(116a)의 해당 단연보다 아암부(113)의 선단측에서), 아암부(113)의 측면과 맞닿아 있다.
접촉부(119)는 기단부(116a) 중 그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혹은, 접촉부(119)는 기단부(116a) 중 해당 중앙보다 쉘부(115)의 선단 쪽(고정부(117, 118) 쪽)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환언하면, 고정 상태에서, 접촉부(119)는, 한쌍의 아암부(113)가 돌출한 방향(연장된 방향)에서, 고정부(116)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접촉부(119)는, 예컨대, 기단부(116a)를 프레스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접촉부(119)는 돌기(119A)와 함몰부(119B)로 구성되어 있다. 돌기(119A)는, 도 2 및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상태에서, 기단부(116a)의 내측면으로부터 아암부(113)의 외측면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돌기(119A)는, 고정 상태에서, 아암부(113)의 외측면에 맞닿는다. 그 때문에, 기단부(116a)의 내측면 중 돌기(119A) 이외의 영역은 통상 아암부(113)의 외측면과 이격되어 있다. 돌기(119A)의 높이(기단부(116a)의 내측면으로부터의 돌출 길이)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사이즈 등에 의해 여러 가지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 후의 높이가 1㎜ 이하인 소형 플러그 커넥터(100)의 경우에는, 돌기(119A)의 높이는, 예컨대, 0.02㎜~0.03㎜ 정도라도 좋다. 함몰부(119B)는, 도 1 내지 도 3, 도 6, 도 8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단부(116a)의 외측면 중 돌기(119A)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함몰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
절연 하우징(120)은, 도 2 및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컨택트 도체(130)를 내부에 보지하는 동시에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110)와 신호 컨택트 도체(130) 사이를 절연하기 위한 절연체이다. 절연 하우징(120)은, 예컨대,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절연 하우징(120)은, 도 4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 본체부(121)와, 돌출부(122)와, 가압부(123)를 갖는다.
절연 본체부(121)는 통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내부에 신호 컨택트 도체(130)를 보지 가능하다. 절연 본체부(121)의 외경은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110)의 본체부(111)의 내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절연 본체부(121)는 본체부(111) 내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절연 본체부(121)의 외주면은 본체부(111)에 의해 덮인다.
절연 본체부(121)의 외주면에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결합편(124)이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한쌍의 결합편(124)은 절연 본체부(121)의 연장 방향(통축 방향)에 있어서의 절연 본체부(121)의 상단연(절연 본체부(121) 중 배선 기판과는 반대측의 단연)에 위치하고 있다. 한쌍의 결합편(124)은 절연 본체부(121)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한쌍의 결합편(124)이 본체부(111)의 절결부(111c)와 결합함으로써, 절연 본체부(121)가 본체부(111)에 대해 걸린다. 이에 의해, 절연 본체부(121)는 본체부(111) 내에 보지된다.
돌출부(122)는, 도 2, 도 4, 도 5 및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 본체부(121)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절연 본체부(121)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돌출부(122)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한쌍의 아암부(11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돌출부(122) 중 한쌍의 외측면은 한쌍의 아암부(113)의 각 내면과 각각 맞닿아 있다.
돌출부(122)의 상면(돌출부(122) 중 배선 기판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홈(125)은 돌출부(122)의 연장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절연 본체부(121)의 내부와 연통되어 있다. 오목홈(125)의 내부는 절연 본체부(121)로부터 돌출부(122)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계단 형상으로 커져 있다. 오목홈(125) 중 절연 본체부(121) 쪽의 부분은 동축 케이블(200)의 내부 도체(201)와 동일한 정도의 크기이며, 내부 도체(201)를 보지하고 있다. 오목홈(125) 중 돌출부(122)의 선단 쪽의 부분은 동축 케이블(200)의 절연체(202) 및 외부 도체(203)와 동일한 정도의 크기이며, 절연체(202) 및 외부 도체(203)를 보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돌출부(122)는 동축 케이블(200)의 내부 도체(201), 절연체(202) 및 외부 도체(203)를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가압부(123)는, 도 5 및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126)를 거쳐서 절연 본체부(121)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압부(123)는, 연결부(126)가 굴곡됨으로써, 연결부(126)를 기점으로 해서 요동하여, 절연 본체부(121)에 대해 근접 및 이격 가능하다. 동축 케이블(200)을 플러그 커넥터(100)에 장착하기 전은,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부(123)는 절연 본체부(121) 및 돌출부(122)에 대해 기립한 상태(가압부(123)가 절연 본체부(121) 및 돌출부(122)로부터 이격된 기립 상태)이다. 한편, 가압부(123)가 연결부(126)를 거쳐서 절곡되면, 연결부(126)가 굴곡되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부(123)가 절연 본체부(121) 및 돌출부(122)에 대해 대향한 상태(가압부(123)가 절연 본체부(121) 및 돌출부(122)에 근접한 복와 상태)가 된다. 가압부(123)의 복와 상태에서, 가압부(123)는 쉘부(115) 중 연결부(114) 쪽의 부분에 의해 덮이고, 절연 본체부(121) 및 돌출부(122) 중 절연 본체부(121) 쪽의 부분과 대향한다.
[신호 컨택트 도체]
신호 컨택트 도체(130)는 프레스 가공된 금속 박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신호 컨택트 도체(130)는 도전성을 갖는다. 신호 컨택트 도체(130)는, 도 5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편(131)과, 협지편(132)과, 한쌍의 접속편(133)을 갖는다.
베이스편(131)은 직사각형 형상을 나타내는 판 형상체이다. 협지편(132)은 외팔보 형상의 판 부재이다. 협지편(132)은 베이스편(131)의 단연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협지편(132)은 베이스편(131)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협지편(132)은 베이스편(131)에 접근하는 측으로 볼록해지도록 굴곡된 굴곡부를 갖고 있다.
한쌍의 접속편(133)은 각각 베이스편(131)의 각 측연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베이스편(131)의 하방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한쌍의 접속편(133)은 대략 L자 형상을 나타내는 외팔보 형상의 판 부재이다. 한쌍의 접속편(133)은 리셉터클 커넥터의 신호 컨택트 도체와 끼움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한쌍의 접속편(133)이 리셉터클 커넥터의 도체 컨택트와 끼움 장착될 때에는, 한쌍의 접속편(133)이 해당 도체 컨택트에 의해 넓혀져서, 해당 도체 컨택트와 탄성적으로 끼움 장착된다.
[조립 방법]
이어서,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110), 절연 하우징(120) 및 신호 컨택트 도체(130)를 조립하고, 동축 케이블(200)의 선단부에 플러그 커넥터(100)를 장착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동축 케이블(200)을 가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동축 케이블(200)의 선단측을 향함에 따라서, 외부 도체(203), 절연체(202) 및 내부 도체(201)가 이 순서로 계단 형상으로 노출되도록, 절연체(202), 외부 도체(203) 및 보호 피막(204)을 제거한다.
다음에,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부(112)가 기립 상태에 있는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110)의 본체부(111) 내에, 가압부(123)가 기립 상태에 있는 절연 하우징(120)을 배치한다. 이때, 절연 하우징(120)의 돌출부(122)가 한쌍의 아암부(113) 사이에 위치하며, 절연 하우징(120)의 한쌍의 결합편(124)이 각각 본체부(111)의 한쌍의 절결부(111c)와 결합하도록, 절연 하우징(120)이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110)에 대해 조립된다.
다음에,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컨택트 도체(130)를 절연 하우징(120)의 절연 본체부(121)에 탑재한다. 이때, 신호 컨택트 도체(130)는, 접속편(133)이 절연 본체부(121) 내에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절연 본체부(121)에 지지된다.
다음에, 가공 후의 동축 케이블(200)의 내부 도체(201)를 베이스편(131) 상에 배치한다(도 5 내지 도 9 참조). 이때, 내부 도체(201) 중 절연체(202) 쪽의 부분은 오목홈(125) 중 절연 본체부(121) 쪽의 부분 내에 수용되며, 내부 도체(201) 중 절연체(202)로부터 멀어진 부분은 베이스편(131) 상에 겹친다. 동축 케이블(200)의 절연체(202)와, 동축 케이블(200)의 외부 도체(203)의 선단의 부분은, 오목홈(125) 중 돌출부(122)의 선단 쪽의 부분 내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덮개부(112)를 복와 상태까지 본체부(111)를 향해 밀어 넘어뜨린다. 이때, 절연 하우징(120)의 가압부(123)도 덮개부(112)에 의해 밀리고, 가압부(123)가 복와 상태가 될 때까지 절연 본체부(121)를 향해 밀린다. 이에 의해, 신호 컨택트 도체(130)의 협지편(132)이 가압부(123)에 의해 밀려서, 협지편(132)이 베이스편(131)에 근접한다. 이때, 협지편(132)의 볼록 형상의 굴곡부는 가압부(123)와 동축 케이블(200)의 내부 도체(201)에 의해 협압되므로, 협지편(132)이 전체적으로 평탄 형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축 케이블(200)의 내부 도체(201)가 협지편(132)과 베이스편(131)에 의해 협지된다. 그 결과, 신호 컨택트 도체(130)와 동축 케이블(200)의 내부 도체(201)가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신호 회로가 구성된다.
다음에, 한쌍의 고정부(116)가 한쌍의 아암부(113)를 외측으로부터 덮는 동시에 아암부(113) 중 배선 기판측의 단연 및 돌출부(122) 중 하면(배선 기판과 대향하는 측의 면)에 감기도록, 한쌍의 고정부(116)가 한쌍의 아암부(113)에 대해 절곡된다. 이에 의해, 한쌍의 아암부(113) 및 돌출부(122)가 한쌍의 고정부(116)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조여지고, 덮개부(112)가 한쌍의 아암부(113) 및 돌출부(122)에 고정된다. 이때, 한쌍의 고정부(116)의 돌기(119A)는 한쌍의 아암부(113)에 맞닿아 있으며, 한쌍의 아암부(113)는 돌출부(122)에 맞닿아 있다. 그 때문에, 돌기(119A)는 이들을 가압하고 있다. 한편, 돌기(119A)의 존재에 의해, 기단부(116a)와 아암부(113)는 이격되어 있다.
다음에, 한쌍의 고정부(117)가 동축 케이블(200)의 외부 도체(203)의 일부(보호 피막(204) 쪽의 부분)를 덮도록, 한쌍의 고정부(117)가 절곡된다. 이에 의해, 외부 도체(203)가 한쌍의 고정부(117)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조여지고, 한쌍의 고정부(117)가 외부 도체(203)에 고정된다. 즉,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110)와 동축 케이블(200)의 외부 도체(203)가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그라운드 회로가 구성된다.
다음에, 한쌍의 고정부(118)가 동축 케이블(200)의 보호 피막(204)을 덮도록, 한쌍의 고정부(118)가 보호 피막(204)에 대해 절곡된다. 이에 의해, 보호 피막(204)이 한쌍의 고정부(118)에 의해 외측으로부터 조여지고, 한쌍의 고정부(118)가 보호 피막(204)에 고정된다.
이상에 의해, 동축 케이블(200)이 덮개부(112)에 의해 보지되고, 동축 케이블(200)에 플러그 커넥터(100)가 장착된다. 이로써, 커넥터 조립체(1)가 완성된다. 이때, 쉘부(115)는 동축 케이블(200) 중 내부 도체(201)로부터 보호 피막(204)의 선단에 이르기까지를 덮는다. 그 후, 커넥터 조립체(1)의 플러그 커넥터(100)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춤으로써, 동축 케이블(200)의 내부 도체(201)가 배선 기판의 신호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동축 케이블(200)의 외부 도체(203)가 배선 기판의 그라운드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작용]
그런데,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본 특허 공개 제 2013-222685 호 공보에 기재된 커넥터 조립체(1A)에서는, 기단부(116a)에 접촉부(119)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기단부(116a)가 아암부(113)에 맞닿아 아암부(113) 및 돌출부(122)를 직접 가압하고 있는 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와 상위하다. 커넥터 조립체(1A)에서는,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110)의 본체부(111)가 리셉터클 커넥터와 끼워맞춰지고 본체부(111)가 확경될 때에, 본체부(111)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아암부(113)도 돌출부(122)로부터 멀어지도록 변형된다. 구체적으로는, 아암부(113)는 고정부(116)(기단부(116a))의 대략 전체와 맞닿아 있다. 그 때문에, 아암부(113) 중 고정부(116)보다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110)의 본체부(111) 쪽의 부분이, 도 12에 도시하는 위치(P0)를 지점으로 하여, 돌출부(122)로부터 멀어지도록 굴곡된다(도 12의 이점쇄선 참조). 커넥터 조립체(1A)에서는, 고정부(116)에 의한 고정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고정부(116)가 어느 정도의 폭을 요한다. 그 때문에, 위치(P0)는 비교적 본체부(111) 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아암부(113) 중 변형 가능한 부분이 비교적 짧아지므로, 본체부(111)가 충분히 확경되기 어려워져 버린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에서는, 고정부(116)(기단부(116a))에 돌기(119A)가 마련되어 있으며, 돌기(119A)가 아암부(113)를 향해 돌출하고 있다. 고정부(116)에 의해 아암부(113)가 조여져 있는 상태(고정 상태)에서, 돌기(119A)는 아암부(113)에 맞닿아 있으며, 돌기(119A)의 존재에 의해 아암부(113)와 기단부(116a)는 이격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고정 상태에서, 본체부(111)가 확경되면, 아암부(113) 중 돌기(119A)보다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110)의 본체부(111) 쪽의 부분이, 도 7 및 도 11에 도시하는 위치(P1)를 지점으로 하여 굴곡된다(도 7의 이점쇄선 및 도 11 참조).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에서는, 돌기(119A)는, 한쌍의 아암부(113)가 돌출한 방향에서, 고정부(116)의 본체부(111) 쪽의 단연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커넥터 조립체(1A)와 비교하여, 아암부(113) 중 변형 가능한 부분이 길어진다. 따라서, 아암부(113)가 탄성체로서 기능하기 쉬워지므로, 고정부(116)(기단부(116a))의 폭을 작게 하거나 플러그 커넥터(100)의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아도,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삽발력이 향상된다. 그 결과, 강성의 확보 및 소형화를 도모하면서,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삽발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에서는, 돌기(119A)는, 한쌍의 아암부(113)가 돌출한 방향에서, 고정부(116)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아암부(113) 중 변형 가능한 부분이 보다 길어진다. 그 때문에, 아암부(113)가 보다 탄성체로서 기능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한 삽발력의 추가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에서는, 절연 하우징(120)의 돌출부(122)가 한쌍의 아암부(113)의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한쌍의 아암부(113)와 맞닿아 있다. 즉, 한쌍의 아암부(113)가 돌출부(122)에 의해 보강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한쌍의 고정부(116)가 돌출부(122)와 함께 한쌍의 아암부(113)를 조일 때에, 고정부(116)와 한쌍의 아암부(113) 사이에 위치하는 돌기(119A)로부터, 한쌍의 아암부(113)에 대하여, 힘이 보다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체부(111)의 확경시, 한쌍의 아암부(113)가 돌기(119A)에 대해 어긋나기 어려워지므로, 플러그 커넥터(100)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대해 복수회 삽발된 경우라도, 충분한 삽발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에서는, 덮개부(112)에 마련된 한쌍의 고정부(116)는 한쌍의 아암부(113) 중 배선 기판에 면하는 단연에 이르기까지 감겨 있다. 그 때문에, 고정부(116)는, 아암부(113)를 조이는 기능에 부가하여, 덮개부(112)를 아암부(113)에 대해 고정하는 기능을 겸유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이상, 본 개시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을 상기의 실시형태에 부가해도 좋다. 예컨대, 다른 전기 커넥터(예컨대, 리셉터클 커넥터)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부(119)는, 고정부(116)(기단부(116a))가 아니라, 아암부(113)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돌기(119A)는 고정 상태에서 아암부(113)로부터 기단부(116a)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하고 있다. 돌기(119A)는 고정 상태에서 기단부(116a)의 내측면에 맞닿는다. 그 때문에, 아암부(113) 중 돌기(119A) 이외의 영역은 통상 기단부(116a)의 내측면과 이격되어 있다. 함몰부(119B)는 아암부(113)의 내측면 중 돌기(119A)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함몰되어 있다.

Claims (5)

  1. 배선 기판에 실장된 상대방 커넥터와 끼워맞춤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접속되는 도전성의 신호 컨택트 도체와,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접속되는 도전성의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와,
    상기 신호 컨택트 도체와 상기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는,
    그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 마련된 통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 중 상기 슬릿을 이루는 각 단연(端緣)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한쌍의 아암부와,
    상기 한쌍의 아암부를 외측으로부터 조이는 고정부를 갖고,
    상기 한쌍의 아암부 및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한쪽에는, 다른쪽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돌기는, 상기 한쌍의 아암부가 돌출한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의 상기 본체부 쪽의 단연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한쌍의 아암부가 조여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아암부 및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돌기는 다른쪽에 맞닿아 있으며, 상기 돌기의 존재에 의해 상기 한쌍의 아암부와 상기 고정부는 이격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아암부 및 상기 고정부 중 적어도 한쪽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돌기는, 상기 한쌍의 아암부가 돌출한 방향에서, 상기 고정부의 중앙으로부터 멀어지는 측에 위치하고 있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신호 컨택트 도체를 보지하는 통 형상의 절연 본체부와,,
    상기 절연 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절연 본체부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한쌍의 아암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한쌍의 아암부와 맞닿아 있는
    전기 커넥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은,
    내부에 상기 신호 컨택트 도체를 보지하는 통 형상의 절연 본체부와,
    상기 절연 본체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절연 본체부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한쌍의 아암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한쌍의 아암부와 맞닿아 있는
    전기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컨택트 도체는 상기 본체부 중 상기 배선 기판과는 멀어진 측의 단연으로부터 연장되는 덮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덮개부에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아암부 중 상기 배선 기판에 면하는 단연에 이르기까지 감겨 있는
    전기 커넥터.
KR1020170114089A 2016-09-08 2017-09-06 전기 커넥터 KR201800283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75686 2016-09-08
JP2016175686A JP6447596B2 (ja) 2016-09-08 2016-09-08 電気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386A true KR20180028386A (ko) 2018-03-16

Family

ID=5952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089A KR20180028386A (ko) 2016-09-08 2017-09-06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997864B2 (ko)
EP (1) EP3293829A1 (ko)
JP (1) JP6447596B2 (ko)
KR (1) KR20180028386A (ko)
CN (1) CN107809021B (ko)
TW (1) TW2018132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8041B1 (ko) * 2016-05-04 2017-10-19 주식회사 기가레인 동축 케이블 커넥터
JP7049919B2 (ja) * 2018-05-29 2022-04-07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固定装置および人工呼吸器
JP6981388B2 (ja) * 2018-10-04 2021-12-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雄型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6780689B2 (ja) * 2018-11-21 2020-11-04 I−Pex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CN113196591B (zh) * 2018-12-19 2023-07-2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L型同轴连接器中的绝缘性部件的定位构造
JP6844760B1 (ja) * 2019-05-10 2021-03-1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同軸コネクタセットにおけるグランド接続構造
CN112448203A (zh) * 2019-08-30 2021-03-05 爱沛股份有限公司 电连接器和制造电连接器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9046A (ja) * 2010-11-15 2012-06-07 Smk Corp L型同軸コネクタ
CN103066406A (zh) * 2013-01-18 2013-04-24 昆山科信成电子有限公司 具有两段式包线结构的rf同轴连接器
JP2015106558A (ja) * 2013-12-03 2015-06-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付き同軸ケーブル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付き同軸ケーブル
KR20160034974A (ko) * 2013-08-22 2016-03-3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동축 커넥터 및 접속부
KR20160066515A (ko) * 2014-12-02 2016-06-10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불연속 부분을 갖는 외부 도체 쉘을 가진 동축 케이블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9400A (en) * 1993-01-15 1995-04-25 The Whitaker Corporation Shielding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5358428A (en) * 1993-10-12 1994-10-25 Molex Incorpora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3229272B2 (ja) * 1998-10-21 2001-11-1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JP2003331997A (ja) * 2002-05-08 2003-11-21 Honda Tsushin Kogyo Co Ltd ミニ同軸コネクタ
JP2010080262A (ja) * 2008-09-26 2010-04-08 Murata Mfg Co Ltd L型同軸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5757153B2 (ja) * 2011-05-17 2015-07-29 第一精工株式会社 同軸コネクタ装置
CN103843206A (zh) * 2011-10-19 2014-06-04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同轴连接器
CN104126255B (zh) * 2012-04-02 2017-06-09 第一电子工业株式会社 插塞式连接器及由该插塞式连接器构成的同轴连接器
JP5615319B2 (ja) 2012-04-19 2014-10-2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CN102842838B (zh) * 2012-08-01 2015-01-07 番禺得意精密电子工业有限公司 线缆连接器的制造方法及其线缆连接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09046A (ja) * 2010-11-15 2012-06-07 Smk Corp L型同軸コネクタ
CN103066406A (zh) * 2013-01-18 2013-04-24 昆山科信成电子有限公司 具有两段式包线结构的rf同轴连接器
KR20160034974A (ko) * 2013-08-22 2016-03-30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동축 커넥터 및 접속부
JP2015106558A (ja) * 2013-12-03 2015-06-0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付き同軸ケーブルの製造方法及びコネクタ付き同軸ケーブル
KR20160066515A (ko) * 2014-12-02 2016-06-10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불연속 부분을 갖는 외부 도체 쉘을 가진 동축 케이블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3829A1 (en) 2018-03-14
JP2018041650A (ja) 2018-03-15
TW201813221A (zh) 2018-04-01
JP6447596B2 (ja) 2019-01-09
US20180069335A1 (en) 2018-03-08
CN107809021B (zh) 2020-06-02
US9997864B2 (en) 2018-06-12
CN107809021A (zh) 2018-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8386A (ko) 전기 커넥터
KR101911177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전기 커넥터
KR101375039B1 (ko) 동축 커넥터 장치
US9172194B2 (en) Coaxial connector plug
JP4865848B2 (ja) アンテナ設置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同軸コネクタ
US6837743B2 (en) Cable end connector having good insulation function
TW201817100A (zh) 同軸電纜連接器及連接器系統
CN104737387A (zh) 用于电缆的端子连接结构
JP6446729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電気コネクタ
JP2015130266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JP6241597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JP2015015174A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用の中心端子
JP5867872B2 (ja) 基板用同軸コネクタ
JP2010097823A (ja) 同軸コネクタ組立体
CN115732961A (zh) 电子部件
JP2015015175A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2017147108A (ja) プラグコネクタ
JP6135147B2 (ja) 同軸コネクタ
JP5754593B2 (ja) 同軸コネクタ装置
CN109643874B (zh) 同轴连接器、高频单元和接收装置
JP2001283999A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そのインピーダンス調整方法
JP7363228B2 (ja) コネクタ装置、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
JP2017174626A (ja) 同軸コネクタ
TW202243336A (zh) 同軸連接器
TW201916507A (zh) 同軸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