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5503A -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5503A
KR20010055503A KR1019990056718A KR19990056718A KR20010055503A KR 20010055503 A KR20010055503 A KR 20010055503A KR 1019990056718 A KR1019990056718 A KR 1019990056718A KR 19990056718 A KR19990056718 A KR 19990056718A KR 20010055503 A KR20010055503 A KR 20010055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ctive material
amorphous carbon
crystalline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6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0535B1 (ko
Inventor
심규윤
윤상영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90056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535B1/ko
Priority to US09/710,689 priority patent/US6440610B1/en
Priority to JP2000344597A priority patent/JP4266509B2/ja
Publication of KR20010055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5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01M4/587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34Fullerenes, i.e. graphene-based structures, such as nanohorns, nanococoons, nanoscrolls or fullerene-like structures, e.g. WS2 or MoS2 chalcogenide nanotubes, planar C3N4, etc.
    • Y10S977/742Carbon nanotubes, C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84Manufacture, treatment, or detection of nanostructure
    • Y10S977/842Manufacture, treatment, or detection of nanostructure for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Y10S977/843Gas phase catalytic growth, i.e. chemical vapor de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84Manufacture, treatment, or detection of nanostructure
    • Y10S977/842Manufacture, treatment, or detection of nanostructure for carbon nanotubes or fullerenes
    • Y10S977/844Growth by vaporization or dissociation of carbon source using a high-energy heat source, e.g. electric arc, laser, plasma, e-be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90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 Y10S977/932Specified use of nanostructure for electronic or optoelectronic application
    • Y10S977/948Energy storage/generating using nanostructure, e.g. fuel cell, battery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음극 활물질은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 코어 및 상기 코어 위에 형성된 촉매 층과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탄소 나노 튜브를 포함한다.
상기 음극 활물질은 표층에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탄소 나노 튜브가 형성되어 있어 활물질 사이에 미세한 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웃한 활물질끼리의 전도도가 향상되어 고율 및 수명 특성이 향상된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NEGATIV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우수한 고율 특성 및 수명 특성을 갖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리튬 이차 전지의 음극 재료로 사용하는 탄소 재료는 결정도에 따라 크게 비정질 탄소와 결정질 흑연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중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결정질 흑연은 다시 인조 흑연과 천연 흑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인조 흑연으로는대표적으로 메조카본 마이크로비드(mesocarbon microbeads, MCMB), 메조카본섬유(mesocarbon fiber, MCF)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모두 리튬 이차 전지에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음극 재료이다.
이중, 천연 흑연은 결정도가 매우 뛰어나 초기 방전 용량이 매우 뛰어나지만 높은 결정도에 의해 분쇄 공정 중 플레이크(flake) 현상을 지닌 재료를 얻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에지(edge)면에서 발생하는 비가역 용량의 증가와 더불어 극판 제조시 발생하는 압착 현상이 심해 인조 흑연계 활물질에 비해 활물질 입자 사이의 전해액 침투 경로(path)를 확보하기가 매우 어렵고 리튬 이온의 전달로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수명 특히, 고율에서의 수명 특성은 구형이나 섬유형 혹은 무정형을 갖는 인조 흑연에 비해 매우 불량하다.
일본 특허 공개 평 9-161776 호, 평 8-7895 호 및 평 8-69797 호에는 활물질간의 전도도를 증가시켜 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기술되어 있다. 이 방법은 무전해 도금으로 Cu 입자 등의 금속 입자를 흑연 표층에 형성시키거나, Ni, Fe 등의 미립자를 흑연 활물질에 혼합하여 음극 극판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금속 미립자의 흑연 표면 도금 방식으로는 활물질 형상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적어 고용량을 내기 위한 고밀도의 극판상에서는 전도도 향상에 한계가 있으며, 흑연 및 탄소 분말과 금속 미립자를 혼합하는 방식은 대량의 슬러리 제조시 각 물질간의 밀도차로 균일한 혼합이 사실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활물질간의 전도도를 향상시켜 높은 극판 밀도상에서도 우수한 고율 특성 및 수명 특성을 갖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 활물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극 활물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표면에 촉매가 도핑 또는 분산되고,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탄소 나노 튜브가 생장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와 촉매 원소 또는 그의 화합물을 혼합하여 표면에 촉매 원소 또는 그의 화합물이 도핑 또는 분산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촉매 원소 또는 그의 화합물이 도핑 또는 분산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를 탄화하는 단계; 및 상기 탄화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를 탄소 함유 가스 존재 하에 300 내지 1500℃에서 기상 증착하여 탄화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 표면에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탄소 나노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은 활물질 표면에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나노 튜브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나노 튜브는 활물질 사이에 미세한 통로를 형성함으로 이웃한 활물질끼리의 전도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음극 활물질은 고율 특성 및 수명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극 활물질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음극 활물질은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1)와 상기 탄소의 표면에 형성된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탄소 나노 튜브(3)을 포함한다. 상기 탄소의 표면에는 촉매도 도핑 또는 분산되어 있다. 상기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나노 튜브의 길이는 0.1 내지 1000㎚가 바람직하다.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나노 튜브의 길이가 0.1㎚ 미만이면,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나노 튜브 형성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며, 10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밀도가 너무 낮아져서 최종 활물질을 이용한 극판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기상 성장 섬유는 탄소 섬유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섬유 내에 상기 촉매를 더욱 포함할 수 도 있다. 상기 나노 튜브는 단중벽(single wall), 다중벽(multi wall) 또는 코일(coil)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의 표면에는 비정질 탄소 전구체로부터 형성된 비정질 탄소층을 더욱 포함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비정질 탄소층을 더욱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 코어(1)와 이 코어 위에 형성되고, 비정질 탄소 및 촉매를 포함하는 층(5)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탄소 나노 튜브는 상기 층(5)에서 생장된다.
이러한 구조의 본 발명의 음극 활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비정질 탄소 전구체 사용 유·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비정질 탄소 전구체를 사용 안하는 경우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와 촉매 원소 또는 그의 화합물을 혼합한다. 촉매 원소 또는 그의 화합물은 액상으로 사용할 수 도 있고, 고상으로 사용할 수 도 있다. 액상으로 사용할 경우 용매로는 물, 유기 용매 또는 그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 용매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톨루엔, 벤젠, 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 : 촉매 원소와의 혼합 비율은 99 내지 90 : 1 내지 10 중량%이다. 촉매 원소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 화합물 내에 존재하는 촉매 원소의 중량이 상기 범위에 속하는 양으로 사용한다. 촉매 원소의 양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촉매 원소를 첨가하는 효과가 미미하며,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촉매 원소의 이종(理種) 화합물이 형성되어 리튬 이온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촉매 원소로는 전이 금속, 반금속, 비금속,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Ni, Co, Fe, Mo 또는 Cr의 전이 금속, B, Al, Ga, Si, Sn, Bi 또는 P의 반금속, F, P, S, Se, Br, Kr, I 또는 Xe의 비금속, Na 또는 K의 알칼리 금속 또는 Mg 또는 Ca의 알칼리 토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촉매 원소의 화합물로는 상술한 촉매 원소를 포함하기만 하면 어떠한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 산화물, 탄화물, 질화물 등일 수 있다. 촉매 원소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니켈 나이트레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로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코크스, 소프트 카본 또는 하드 카본을 사용할 수 있다. 이중에서 결정질 탄소를 사용하는 것이 전압 평탄성이 우수하며, 특히, 천연 흑연을 사용하는 것이 초기 방전 용량이 매우우수하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천연 흑연과 인조 흑연의 형상은 플레이크(flake), 무정형, 판상, 구형 또는 섬유형일 수 있다.
상기 혼합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 유동층 혼합법 또는 미케니컬 혼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방법으로 스프레이법 또는 유동층 혼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방법들이 혼합과 함께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건조 공정을 실시할 필요는 없다. 이에 반하여, 상기 혼합 방법으로 미케니컬 혼합법, 특히 습식 미케니컬 혼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혼합물 건조 공정을 더욱 실시한다.
이와 같이 혼합 및 건조 공정이 완료되면, 표층에 촉매 원소 또는 그의 화합물이 도핑 또는 분산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가 제조된다.
표층에 촉매 원소 또는 그의 화합물이 도핑되거나 분산된 결정질 입자 또는 비정질 탄소 입자를 탄화한다. 탄화 공정은 800 내지 1200℃에서 2 내지 24시간 동안 실시한다.
촉매 원소 화합물로 질화물이나 탄화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탄화 공정 이후에 산화 공정을 더욱 실시한다. 이 산화 공정은 이후 공정인 환원 공정을 실시하기 위하여, 촉매 원소 화합물이 환원될 수 있는 조건으로 만들기 위한 공정이므로, 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실시할 필요가 없다. 산화 공정은 공기 중에서 실시하며, 본 발명에서 사용한 촉매 원소의 질화물이나 탄화물이 산화될 수 있는 온도에서 실시하며, 예를 들어 촉매 원소 화합물로 니켈 나이트레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약 400℃에서 실시한다. 이 산화 공정에서, 촉매 원소 화합물인 질화물, 탄화물은 산화물로 전환된다.
이어서, 얻어진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를 환원 분위기에서 열처리한다. 열처리는 수소 분위기의 환원 분위기에서, 300℃ 이상에서 실시할 수 있다. 이 열처리 공정에 따라, 산화된 촉매 원소 화합물은 환원되어, 결과적으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의 표면에 촉매 원소만이 남게 된다.
이어서, 촉매 원소층이 표면에 형성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를 탄소 함유 가스 분위기 하에서 기상 증착을 실시한다. 탄소 함유 가스로는 탄소 원료(carbon source)로 지방족 또는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유래되는 가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메탄, 에탄, 프로판, 벤젠, 톨루엔, 폴리비닐알콜, 아세틸렌으로부터 유래되는 가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증착 단계는 300∼1500℃에서 실시할 수 있다. 증착 시간은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나노 튜브가 형성되기에 충분한 시간동안 실시하며, 너무 오랜 시간 실시하는 경우에는 섬유 또는 나노 튜브가 과도하게 길어지면 최종 활물질의 밀도가 낮아져서 이 물질을 이용한 극판 제조가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기상 또는 이온 증착 단계는 열화학 기상 증착(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 또는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가스 분위기, 온도 및 시간의 조건하에서 증착을 실시하면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의 표면에 도핑 또는 분산된 촉매상에서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나노 튜브가 생장된다. 이와 같이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의 표면에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나노 튜브가 형성되면,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나노 튜브의 상호 연결 및 꼬임에 의해 활물질 사이에 미세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리튬 이온의 이동이 용이해지고, 또한 기상 성장 섬유 또는 나노 튜브가 전도도가 우수함에 따라 이웃한 활물질끼리의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탄소 기상 성장 섬유란 열분해 과정을 통해 유입된 탄소 원료가 촉매상에서 촉매와 탄소 모재와의 화학적인 전위차(chemical potential) 차이로 일종의 섬유 형태로 자란 것을 말한다. 나노 튜브란 상기 성장 섬유 형성과 동일한 방법으로 촉매와 그 조건을 조절하여 형성된, 탄소가 튜브 혹은 실린더와 같은 모양을 갖고 있는 형태로서, 튜브의 직경이 보통 1 나노미터 정도이므로 나노 튜브라고 칭한다. 나노 튜브는 말린 형태에 따라서 단중벽 나노 튜브(single-wall nanotube), 다중벽 나노 튜브(multi-wall nanotube) 또는 코일형 나노 튜브(coil nanotube)로 구별된다.
열화학 기상 증착 방법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를 세라믹 보트 등의 반응 용기에 투입한 후, 300 내지 1500℃에서 탄소 함유 가스를 유입하여 실시할 수 있다.
기상 성장 섬유 또는 나노 튜브 성장 증착 공정이 완결되면, 가스 분위기를 탄소 함유 가스에서 불활성 가스로 치환하고 냉각한다.
2) 비정질 탄소 전구체를 사용하는 경우
결정질 탄소, 촉매 원소 또는 그의 화합물과 비정질 탄소 전구체를 혼합한다. 비정질 탄소 전구체는 액상으로 사용할 수 도 있고, 고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비정질 탄소 전구체를 액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비정질 탄소 전구체와 촉매원소 또는 그의 화합물을 용매에 용해한 후, 이 용액과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와 혼합한다. 상기 용매로는 물 또는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유기 용매로는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톨루엔, 벤젠, 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사용할 다. 이때, 비정질 탄소 또는 결정질 탄소와 비정질 탄소 전구체의 혼합 중량 : 촉매 원소 또는 그의 화합물 중량의 비율은 99 내지 80 : 1 내지 20이다. 비정질 탄소 또는 결정질 탄소와 비정질 탄소 전구체의 혼합 비는 최종 생성물의 원하는 물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 유동층 혼합법 또는 미케니컬 혼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혼합 방법으로 스프레이법 또는 유동층 혼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방법들이 혼합과 함께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건조 공정을 실시할 필요는 없다. 이에 반하여, 상기 혼합 방법으로 미케니컬 혼합법, 특히 습식 미케니컬 혼합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혼합물 건조 공정을 더욱 실시한다.
이와 같이, 혼합 및 건조 공정을 실시하면, 표층에 비정질 탄소 전구체와 촉매 원소 또는 그의 화합물이 혼합된 코팅막이 형성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가 형성된다. 제조된 코팅막이 형성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를 500 내지 1500℃에서 열처리하여 표면이 비정질 탄소로 코팅되고, 촉매 원소 또는 그의 화합물이 도핑 또는 분산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를 형성한다. 얻어진 결정질 탄소 또는 비정질 탄소를 이용하여 상술한 비정질 탄소 전구체를 사용하지 않은 방법과 동일하게 탄화, 산화, 환원 및 증착 공정을 실시하여 비정질 탄소가 코팅되고, 촉매 원소가 도핑 또는 분산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를 제조한다.
상술한 공정으로 제조된 음극 활물질은 그 표면에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나노 튜브 형성 촉매 원소가 도핑되거나 분산되어 있으며, 또한,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나노 튜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표면에 비정질 탄소막이 더욱 형성되어 있을 수 도 있고, 이 비정질 탄소막으로 인하여 결정질 탄소 코어인 흑연의 에지면을 보호할 수 있으므로 흑연과 전해액과의 비가역 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용량을 내기 위해서는 극판 밀도가 1.4g/cc 이상이 되도록 음극을 제조하여야 하는데, 천연 흑연을 사용하여 이와 같이 높은 극판 밀도를 갖도록 음극을 제조하면 전해액 침투가 어렵고, 리튬 이온간의 전달로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즉, 활물질 입자간의 전도도가 감소되어 수명 특성, 특히 고율에서의 수명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초기 방전 용량이 매우 우수한 천연 흑연보다 수명 특성이 우수한 인조 흑연이 음극 활물질로 더 선호되어 왔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음극 활물질은 표면에 전도도가 우수한 나노 튜브 및 기상 성장 섬유가 형성됨에 따라 매우 높은 전도도를 갖고, 나노 튜브 및 기상 성장 섬유의 상호 연결 및 꼬임에 의해 활물질사이에 미세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어 극판상의 활물질 밀도가 높아도 판상의 흑연계 활물질의 고율 특성 및 수명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니켈 나이트레이트 20g을 물에 용해한 후 천연 흑연 200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스프레이 드라이하여 표층에 니켈 나이트레이트 입자가 형성된 흑연 물질을 얻었다. 얻어진 흑연 물질을 800℃에서 탄화하고, 이 탄화물을 400℃에서 4시간 정도 공기 중에서 산화시켜 니켈 산화물이 형성된 흑연 재료를 얻었다. 얻어진 흑연 재료를 500℃에서 수소를 사용한 환원 과정을 20시간 정도 거쳐 Ni 입자가 표층에 형성된 천연 흑연 분말을 얻었다. 얻은 분말을 세라믹 보트에 넣고 약 600℃에서 아세틸렌 가스를 유입하여 열화학 기상 증착 방법으로 Ni 촉매상에 기상 성장 섬유를 생장시켰다. 약 30분간의 반응 후, 아세틸렌 가스를 아르곤으로 치환하고, 기상 성장 섬유가 형성된 분말을 상온까지 서냉하였다.
(실시예 2)
증착 온도를 600℃에서 900℃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폴리비닐알콜 20g과 니켈 나이트레이트 20g을 용해한 물과 천연 흑연 200g을 혼합한 후 스프레이 드라이하여 폴리비닐알콜과 니켈 나이트레이트 입자가 혼합된 코팅막을 흑연 표층에 형성하였다. 얻어진 흑연을 900℃에서 열처리하여 비정질 피막을 형성하였다. 비정질 피막이 형성된 흑연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탄화, 산화, 환원 및 증착 공정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촉매로 코발트 나이트레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천연 흑연만을 음극 활물질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2)
금속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탄소 함유가스만을 사용하여 900℃에서 흑연 활물질 표면에 증기 증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1, 4 및 비교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활물질의 전도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전도도(S/㎝)
실시예 1 59.3
실시예 4 62.1
비교예 1 23.5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 및 4의 음극 활물질의 전도도가 비교예 1의 천연 흑연보다 2 내지 3배 더 높다. 이와 같이 전도도가 우수함에 따라 전지의 고율 특성과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다음 전지의 특성 실험에서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의 방법으로 제조된 활물질 분말을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바인더와 혼합하여 슬러리로 만들고 Cu 포일 집전체에 캐스팅하여 음극 극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음극 극판은 바인더를 포함한 슬러리 밀도가 1.65㎝/g 이상이었다. 이 음극 극판을 120℃의 오븐에서 건조하였다. 제조된 음극 활물질 극판은 리튬 금속 포일을 대극으로 사용하고 전해액으로서 1M LiPF6/에틸렌 카보네이트/디메틸 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코인형 리튬 이차 반쪽 전지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리튬 이차 반쪽 전지의 0.2C의 속도의 충방전시 첫 번째 사이클때의 방전 용량, 충전 용량 및 전지 효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1.C의 속도로 충방전시 첫 번째 사이클 때의 방전 용량과 초기 용량에 대한 100번째 사이클 때 방전 용량의 비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첫 번째 사이클 방전 용량(0.2C)[mAh/g] 첫 번째 사이클 충전 용량(0.2C)[mAh/g] 첫 번째 사이클 전지 효율(0.2C)[%] 첫 번째 사이클 방전 용량(1.0C)[mAh/g] 100 사이클 1.0C 초기 용량대 방전 용량 효율[%]
실시예 1 345 383 90 340 83
실시예 2 348 382 91 342 85
실시예 3 361 384 94 358 82
실시예 4 352 383 92 345 83
비교예 1 322 398 81 268 51
비교예 2 330 440 75 308 59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방법으로 제조된 음극 활물질을 이용한 전지는 0.2C의 충방전 속도로 충방전시 첫 번째 사이클 방전 용량, 충전 용량 및 전지 효율이 초기 용량이 우수한 천연 흑연을 사용한 비교예 1보다도 우수하다. 특히, 고율 충방전(1.0C)시에 비교예 1의 음극 활물질을 이용한 전지는 방전 용량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반면에 실시예 1 내지 4의 음극 활물질을 이용한 전지는 방전 용량 감소가 매우 적다. 이는 비교예 1의 천연 흑연은 플레이크 형상을 가지므로 압연 공정에 의해 높은 극판 밀도를 갖게 되어 전해액 침투가 더디어지고, 이에 따라 이온 전달 속도 및 전도도가 떨어져 고율 특성 및 수명 특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1 내지 4의 음극 활물질은 표면에 탄소 기상 성장 섬유나 탄소 나노 튜브가 형성되어 활물질 사이에 미세한 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웃한 활물질끼리의 전도가 향상되어 고율 특성과 수명 특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기상 증착 공정만 실시한 비교예 2의 경우에는 첫 번째 충전 용량은(0.2C 충방전시) 실시예 1 내지 4의 경우보다 우수하나, 방전 용량 및 전지 효율은 실시예 1 내지 4보다 현저하게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의 음극 활물질을 이용한 전지는 고율(1.0C) 충방전시 방전 용량도 비교예 2보다 우수하다.
아울러, 실시예 1 내지 4의 활물질을 이용한 전지가 비교예 1 내지 2의 활물질을 이용한 전지에 비해 고율(1.0C) 충방전시 초기 용량 대비 100번째 사이클때의 방전 용량 효율도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4의 활물질의 고율 수명 특성이 비교예 1 및 2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극 활물질은 표층에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탄소 나노 튜브가 형성되어 있어 활물질 사이에 미세한 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이웃한 활물질끼리의 전도도가 향상되어 고율 및 수명 특성이 향상된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표면에 촉매가 도핑 또는 분산되고,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탄소 나노 튜브가 생장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
    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성장 섬유는 촉매를 더욱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전이 금속, 반금속, 비금속,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물질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금속은 Ni, Co, Fe, Mo 및 Cr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상기 반금속은 B, Al, Ga, Si, Sn, Bi 및 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이며, 상기 비금속은 F, P, S, Se, Br, Kr, I 및 X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알칼리 금속은 Na 또는 K이며, 상기 알칼리 토금속은 Mg 또는 Ca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은 표면에 비정질 탄소쉘을 더욱 포함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상 성장 섬유 또는 나노 튜브는 0.1 내지 1000㎚의 길이를 갖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튜브는 단중벽, 다중벽 또는 코일 형태를 갖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8.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와 촉매 원소 또는 그의 화합물을 혼합하여 표면에 촉매 원소 또는 그의 화합물이 도핑 또는 분산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촉매 원소 또는 그의 화합물이 도핑 또는 분산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를 탄화하는 단계; 및
    상기 탄화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를 탄소 함유 가스 존재 하에 300 내지 1500℃에서 기상 증착하여 탄화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 표면에 탄소 기상 성장 섬유 또는 탄소 나노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 단계 후 및 증착 단계 전에, 탄화된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를 환원하는 단계를 더욱 실시하는 것인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질계 또는 비정질계 탄소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코크스, 소프트 카본 및 하드 카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제조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질 또는 비정질 탄소와 촉매 원소 또는 그의 화합물의 혼합물에 비정질 탄소 전구체를 더욱 혼합하는 것인 제조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 방법은 화학적 기상 증착 및 플라즈마 기상 증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제조 방법.
KR1019990056718A 1999-12-10 1999-12-10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350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718A KR100350535B1 (ko) 1999-12-10 1999-12-10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US09/710,689 US6440610B1 (en) 1999-12-10 2000-11-10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JP2000344597A JP4266509B2 (ja) 1999-12-10 2000-11-13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6718A KR100350535B1 (ko) 1999-12-10 1999-12-10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5503A true KR20010055503A (ko) 2001-07-04
KR100350535B1 KR100350535B1 (ko) 2002-08-28

Family

ID=19625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6718A KR100350535B1 (ko) 1999-12-10 1999-12-10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440610B1 (ko)
JP (1) JP4266509B2 (ko)
KR (1) KR100350535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141B1 (ko) * 2000-11-24 2004-08-09 주식회사 동운인터내셔널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를 이용한 음극판 및이차전지
KR100450029B1 (ko) * 2001-10-17 2004-09-24 (주) 나노텍 탄소나노튜브 또는 탄소나노섬유의 표면처리 방법 및그것을 위한 장치
KR100733580B1 (ko) * 2005-08-22 2007-06-28 코칩 주식회사 활성탄-탄소나노섬유 복합체를 함유한 전극활물질 및 이의제조방법
KR100794192B1 (ko) * 2006-09-08 2008-01-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리튬 이차 전지용 탄소 피복 실리콘-흑연 복합 음극 소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KR100805206B1 (ko) * 2005-12-28 2008-02-21 한국전기연구원 전극 활물질, 이를 구비한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16604B1 (ko) * 2004-08-26 2008-03-2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극용 복합 입자 및, 그 제조법, 및 이차전지
KR100835883B1 (ko) * 2006-07-14 2008-06-0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탄소나노섬유를 혼성화시킨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KR100840459B1 (ko) * 2004-12-22 2008-06-2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복합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법 및 비수전해질 2차전지
KR100859687B1 (ko) * 2007-03-21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0905691B1 (ko) * 2007-06-20 2009-07-03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탄소나노섬유를 혼성화시킨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KR100915968B1 (ko) * 2007-01-29 2009-09-10 (주)썬텔 탄소재료-탄소나노섬유 복합 소재를 전극 재료로 사용한전기이중층 캐패시터
WO2010147404A3 (ko) * 2009-06-18 2011-03-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252044B1 (ko) * 2011-08-09 2013-04-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재 표면 기능화기 방법에 의한 mcmb표면에 cnt를 증착 시킨 리튬이온 2차 전지 음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US8574764B2 (en) 2006-11-27 2013-11-05 Samsung Sdi Co., Ltd. Negative active material including silicon active particles surrounded by copper, aluminum and tin metal matrix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WO2014014274A1 (ko) * 2012-07-20 2014-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실리콘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US8669008B2 (en) 2009-04-13 2014-03-11 Lg Chem, Ltd. Negative-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8835051B2 (en) 2007-04-05 2014-09-16 Samsung Sdi Co., Ltd.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same
US8835053B2 (en) 2007-03-21 2014-09-16 Samsung Sdi Co., Ltd. Negative active material containing an intermetallic compound of silicon and a first metal and a metal matrix containing copper and aluminum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containing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WO2023080367A1 (ko) * 2020-11-03 2023-05-11 주식회사 나노신소재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용 슬러리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1432A1 (en) * 2000-11-14 2002-05-23 Fullerene Usa, Inc. Fuel cell
US6885022B2 (en) 2000-12-08 2005-04-26 Si Diamond Technology, Inc. Low work function material
JP4140222B2 (ja) * 2001-04-09 2008-08-27 ソニー株式会社 負極、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負極の製造方法
TW583153B (en) * 2001-09-25 2004-04-11 Showa Denko Kk Carbon material, production method and use thereof
US7085125B2 (en) * 2002-03-21 2006-08-01 Chien-Min Sung Carbon nanotube devices and uses therefor
US7674555B2 (en) * 2002-11-26 2010-03-09 Showa Denko K.K. Electrode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and use thereof
TWI236778B (en) 2003-01-06 2005-07-21 Hon Hai Prec Ind Co Ltd Lithium ion battery
JP4543618B2 (ja) * 2003-04-14 2010-09-15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
JP2005014201A (ja) * 2003-06-03 2005-01-20 Hosokawa Funtai Gijutsu Kenkyusho:Kk 炭素複合粒子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炭素複合粒子
WO2004109825A2 (en) * 2003-06-05 2004-12-16 Showa Denko K.K. Carbon material for battery electrode and production method and use thereof
JP4040606B2 (ja) * 2003-06-06 2008-01-30 Jfeケミカル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4331538B2 (ja) * 2003-07-30 2009-09-16 日鉱金属株式会社 銅被覆黒鉛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JP4785341B2 (ja) * 2003-12-02 2011-10-05 Jfeケミカル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材料、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813485B1 (ko) * 2003-10-31 2008-03-13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지 전극용 탄소 재료 및 그 제조방법
US7785661B2 (en) * 2003-12-19 2010-08-31 Conocophillips Company Methods of preparing composite carbon-graphite-silicon particles and using same
US7618678B2 (en) * 2003-12-19 2009-11-17 Conocophillips Company Carbon-coated silicon particle powders as the anod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US9466837B1 (en) * 2005-07-05 2016-10-11 Quallion Llc Battery having negative electrode including amorphous carbon
KR100908371B1 (ko) * 2004-08-27 2009-07-20 제이에프이 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흑연질 재료와 그 제조방법,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재료,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음극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738054B1 (ko) * 2004-12-18 2007-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 활물질,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채용한 음극과 리튬전지
CN100511775C (zh) * 2005-01-26 2009-07-08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锂离子电池负极材料改性方法
WO2006106782A1 (ja) * 2005-03-31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US20070092429A1 (en) * 2005-10-24 2007-04-26 Conocophillips Company Methods of preparing carbon-coated particles and using same
CN100456533C (zh) * 2005-11-14 2009-01-28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非水电解质二次电池用负极及其制造方法、以及二次电池
KR100728160B1 (ko) * 2005-11-30 2007-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796687B1 (ko) 2005-11-30 2008-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활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5162825B2 (ja) * 2005-12-13 2013-03-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と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7207699A (ja) * 2006-02-06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20070190422A1 (en) * 2006-02-15 2007-08-16 Fmc Corporation Carbon nanotube lithium metal powder battery
JP4208034B2 (ja) * 2006-02-17 2009-01-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導電性複合粒子の製造方法
JP5200339B2 (ja) * 2006-06-16 2013-06-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EP1879247B1 (en) 2006-07-14 2011-09-21 Korea Kumho Petrochemical Co. Ltd. An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hybridized with carbon nano fibres
EP2125212A2 (en) 2007-03-23 2009-12-02 Lydall, Inc. Substrate for carrying catalytic particles
US8021496B2 (en) 2007-05-16 2011-09-20 Fmc Corporation Stabilized lithium metal powder for Li-ion application, composition and process
KR100998618B1 (ko) * 2007-06-29 2010-12-07 (주)넥센나노텍 탄소 나노 섬유를 혼성화시킨 실리콘계 리튬 이차전지용음극 활물질
JP5223281B2 (ja) * 2007-09-28 2013-06-26 Tdk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又はリチウム二次電池の正極用複合粒子、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又は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075028B1 (ko) * 2008-04-24 2011-10-20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이차전지용 탄소 음극재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JPWO2009133807A1 (ja) * 2008-04-30 2011-09-0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用炭素材、その製造方法、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166147B1 (ko) * 2008-05-08 2012-07-18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초고용량 커패시터용 복합 전극물질, 복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JP5518317B2 (ja) * 2008-07-02 2014-06-11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ーボンブラック複合体及びその用途
WO2010005118A1 (ja) * 2008-07-10 2010-01-14 財団法人大阪産業振興機構 カーボンナノコイル製造用触媒及び該触媒を用いたカーボンナノコイルの製造方法
JP5518316B2 (ja) * 2008-09-26 2014-06-11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カーボンブラック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48397A (ja) * 2009-04-17 2010-11-04 Denki Kagaku Kogyo Kk カーボンブラック複合体の製造方法
US8715875B2 (en) * 2009-05-26 2014-05-06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or an electrochemical energy generation device using thermal conductivity materials based on mobile device states and vehicle states
US20100304258A1 (en) * 2009-05-26 2010-12-02 Chan Alistair K System and method of altering temperature of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or an electrochemical energy generation device us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materials
US9065159B2 (en) * 2009-05-26 2015-06-23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ystem and method of altering temperature of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or an electrochemical energy generation device using microchannels
US20100304259A1 (en) * 2009-05-26 2010-12-02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Method of operating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or an electrochemical energy generation device us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materials during charge and discharge
US8101293B2 (en) * 2009-05-26 2012-01-2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ystem for altering temperature of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or an electrochemical energy generation device us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materials based on states of the device
US8802266B2 (en) * 2009-05-26 2014-08-12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ystem for operating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or an electrochemical energy generation device using microchannels based on mobile device states and vehicle states
WO2011049199A1 (ja) * 2009-10-22 2011-04-28 昭和電工株式会社 黒鉛材料、電池電極用炭素材料、及び電池
JP5482094B2 (ja) * 2009-10-23 2014-04-2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用炭素材、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用炭素材の製造方法
KR101156532B1 (ko) 2009-11-27 2012-06-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전지용 음극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전지
US20110135810A1 (en) * 2009-12-03 2011-06-09 Marina Yakovleva Finely deposited lithium metal powder
KR101226245B1 (ko) * 2010-10-04 2013-02-07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JP5440488B2 (ja) * 2010-12-24 2014-03-12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二次電池用炭素材
CN102299308B (zh) * 2011-09-03 2014-05-07 深圳市贝特瑞新能源材料股份有限公司 锂离子电池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锂离子电池
US8568924B2 (en) * 2011-11-30 2013-10-29 CNano Technology Limited Modified battery anode with carbon nanotubes
JP6045860B2 (ja) * 2012-09-06 2016-12-14 デンカ株式会社 炭素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非水系二次電池
TWI520422B (zh) * 2012-11-26 2016-02-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鋰電池電極粉體與鋰電池極板
KR20140095810A (ko) * 2013-01-25 2014-08-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03199254B (zh) 2013-04-03 2016-08-10 深圳市贝特瑞新能源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石墨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380023B1 (ko) * 2015-01-07 2022-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895A (ja) 1994-06-24 1996-01-12 Japan Energy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電極用炭素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69797A (ja) 1994-06-24 1996-03-12 Japan Energy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電極用炭素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61776A (ja) 1995-12-08 1997-06-20 Yuasa Corp 非水二次電池
US6280697B1 (en) * 1999-03-01 2001-08-28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Chapel Hill Nanotube-based high energy material and method
US6333016B1 (en) * 1999-06-02 2001-12-25 The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Oklahoma Method of producing carbon nanotubes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141B1 (ko) * 2000-11-24 2004-08-09 주식회사 동운인터내셔널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이를 이용한 음극판 및이차전지
KR100450029B1 (ko) * 2001-10-17 2004-09-24 (주) 나노텍 탄소나노튜브 또는 탄소나노섬유의 표면처리 방법 및그것을 위한 장치
KR100816604B1 (ko) * 2004-08-26 2008-03-24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전극용 복합 입자 및, 그 제조법, 및 이차전지
KR100840459B1 (ko) * 2004-12-22 2008-06-2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복합음극활물질 및 그 제조법 및 비수전해질 2차전지
KR100733580B1 (ko) * 2005-08-22 2007-06-28 코칩 주식회사 활성탄-탄소나노섬유 복합체를 함유한 전극활물질 및 이의제조방법
KR100805206B1 (ko) * 2005-12-28 2008-02-21 한국전기연구원 전극 활물질, 이를 구비한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35883B1 (ko) * 2006-07-14 2008-06-09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탄소나노섬유를 혼성화시킨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KR100794192B1 (ko) * 2006-09-08 2008-01-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리튬 이차 전지용 탄소 피복 실리콘-흑연 복합 음극 소재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US8574764B2 (en) 2006-11-27 2013-11-05 Samsung Sdi Co., Ltd. Negative active material including silicon active particles surrounded by copper, aluminum and tin metal matrix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0915968B1 (ko) * 2007-01-29 2009-09-10 (주)썬텔 탄소재료-탄소나노섬유 복합 소재를 전극 재료로 사용한전기이중층 캐패시터
KR100859687B1 (ko) * 2007-03-21 2008-09-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US8835053B2 (en) 2007-03-21 2014-09-16 Samsung Sdi Co., Ltd. Negative active material containing an intermetallic compound of silicon and a first metal and a metal matrix containing copper and aluminum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containing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US8835051B2 (en) 2007-04-05 2014-09-16 Samsung Sdi Co., Ltd.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same
KR100905691B1 (ko) * 2007-06-20 2009-07-03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탄소나노섬유를 혼성화시킨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US8669008B2 (en) 2009-04-13 2014-03-11 Lg Chem, Ltd. Negative-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US9413000B2 (en) 2009-04-13 2016-08-09 Lg Chem, Ltd. Negative-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WO2010147404A3 (ko) * 2009-06-18 2011-03-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US9391321B2 (en) 2009-06-18 2016-07-12 Lg Chem, Ltd. Negative-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1252044B1 (ko) * 2011-08-09 2013-04-1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탄소재 표면 기능화기 방법에 의한 mcmb표면에 cnt를 증착 시킨 리튬이온 2차 전지 음극활물질의 제조 방법
WO2014014274A1 (ko) * 2012-07-20 2014-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실리콘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US10263249B2 (en) 2012-07-20 2019-04-16 Lg Chem, Ltd. Carbon-silicon composit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anode active material including the carbon-silicon composite
WO2023080367A1 (ko) * 2020-11-03 2023-05-11 주식회사 나노신소재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용 슬러리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66509B2 (ja) 2009-05-20
JP2001196064A (ja) 2001-07-19
KR100350535B1 (ko) 2002-08-28
US6440610B1 (en) 2002-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0535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US6355377B1 (en) Negativ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and method of preparing same
KR100835883B1 (ko) 탄소나노섬유를 혼성화시킨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KR102084496B1 (ko)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및 이차전지
JP2023130342A (ja) シリコン含有複合体、その製造方法、それを利用した炭素複合体、それを含んだ電極、該リチウム電池及び該電子素子
JP5500047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電気化学キャパシタ
KR20160089858A (ko) 리튬 이온 전지용 나노 실리콘 복합 음극 활성 재료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전지
KR20180031585A (ko) 다공성 실리콘 복합체 클러스터, 그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전계 방출 소자, 바이오센서, 반도체 소자 및 열전소자
KR20180056395A (ko) 다공성 실리콘 복합체 클러스터 구조체, 이를 포함한 탄소 복합체,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한 전극, 및 리튬 전지, 소자
JP2018519648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20050013841A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90066596A (ko)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525121A (zh) 一种绒毛结构的硅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US20160118655A1 (en)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KR20170044360A (ko)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2025556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22839A (ko) 탄소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US20230238514A1 (en) Silicon-based carbon composite,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node active material comprising same
JP2004300631A (ja) カーボンナノファイ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31566A (ko) 다공성 실리콘 복합체 클러스터, 이를 이용한 탄소 복합체, 이를 포함한 전극, 리튬 전지, 전계 방출 소자, 바이오센서, 반도체 소자 및 열전소자
KR20160076060A (ko)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용 음극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KR100529069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40029046A (ko) 탄소나노섬유 복합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KR20210149970A (ko) 규소계-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KR100566028B1 (ko) 리튬 2차전지 음극 활물질용 탄소나노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