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2839A - 탄소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2839A
KR20120022839A KR1020117025706A KR20117025706A KR20120022839A KR 20120022839 A KR20120022839 A KR 20120022839A KR 1020117025706 A KR1020117025706 A KR 1020117025706A KR 20117025706 A KR20117025706 A KR 20117025706A KR 20120022839 A KR20120022839 A KR 20120022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composite material
lifepo
nanostructured
nano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샨 지
시바쿠마르 파슈파티
버나드 쟌 블레이더그로엔
블라디미르 미하일로비치 링코브
Original Assignee
유니버시티 오브 더 웨스턴 케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시티 오브 더 웨스턴 케이프 filed Critical 유니버시티 오브 더 웨스턴 케이프
Publication of KR20120022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2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3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 복합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탄소 나노구조 물질 (carbon nanostructured composite material)을 LiFePO4 입자의 표면에 제공하여 LiFePO4/탄소 나노구조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탄소 복합재료는 LiFePO4 입자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탄소 나노구조 물질이 제공된 LiFePO4/나노구조 복합재료를 포함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르면,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LiFePO4 입자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탄소 나노구조 물질이 제공된 LiFePO4/나노구조 복합재료를 가지는 탄소 복합재료를 포함한다.
상기 탄소 나노구조 복합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나노구조 복합재료를 합성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방법은 고상 반응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탄소 나노구조 복합재료는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나노구조 복합재료를 합성하여 상기 탄소 나노구조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Ni 염이 촉매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Ni 염은 고온에서 환원될 수 있다.
상기 나노구조 복합재료를 합성하여 상기 탄소 나노구조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탄화수소 기체가 탄소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Ni 연무용액(mist solution)을 Ni 원료로 사용하고 기체 상태의 탄소 원료를 사용하여 상기 나노구조 복합재료를 합성하여 상기 탄소 나노구조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소 나노구조 복합재료를 LiFePO4 입자의 표면에 제공하여 LiFePO4/탄소 나노구조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단계는 고온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탄소 복합재료는 고용량 캐소드 전극 활성물질일 수 있다.
상기 탄소 복합재료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탄소 복합재료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CARBON COMPOSITE MATERIAL}
본 발명은 탄소 복합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탄소 복합재료, 즉 대형 리튬이온 전지용 캐소드 (cathode) 전극 활성물질과 같은 고용량 LiFePO4/나노구조 탄소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 보호 관련규제가 계속 강화되고 유가의 급등이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 됨에 따라, 자동차산업 분야에서는 종래의 내연기관 자동차를 대신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EV),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 및 연료전지 자동차(FCV)의 도입이 더욱 시급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EV, HEV 및 FCV의 실제적인 사용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선된 자동차용 전지의 개발이 최우선 과제가 되었다. 미국, 일본, 유럽연합, 러시아, 인디아, 중국, 브라질,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등 세계 각국에서, 정부와 대기업의 주도 하에 전지 구동 자동차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위한 노력이 큰 성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전지구적인 노력들은 모두 에너지 안보의 강화와 환경적 불균형의 해소를 통한 에너지 안보의 확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전지 기술의 최전선에 리튬이온 이차전지가 자리하고 있다. 그러므로, 자동차 분야에서 리튬이온 전지의 사용이 증대된다면 석유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지게 될 것이다.
LiCoO2는 종래의 충전용 리튬이온 전지의 캐소드 물질로서, 휴대전화,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랩탑 컴퓨터, 미디어 플레이어 및 기타 휴대용 디지털 전자장치의 휴대용 전원으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 LiCoO2가 전기자동차(EV)나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와 같은 대형 충전용 리튬이온 전지의 캐소드 물질로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 밝혀졌다. 대형 리튬이온 전지의 경우, 작동온도가 50℃를 넘는 경우 LiCoO2 결정으로부터 산소가 유리되어 안전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또한, LiCoO2의 높은 가격으로 인해 충전용 리튬이온 전지에서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납 축전지가 아직도 전기자전거의 휴대용 전원으로서 사용되고 있지만, 고출력 또는 대용량 충전용 리튬이온 전지가 기준에 더 적합한 성능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EV 및 HEV에서 충전용 리튬이온 전지의 사용을 확대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보다 저렴하고 성능이 우수한 캐소드 물질을 발굴하는 것이 필요하다. LiFePO4는 낮은 가격과, 높은 에너지 밀도 및 우수한 안전성, 특히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의 우수한 열안정성으로 인해, 이상적인 고출력 또는 대용량 전지용 캐소드 물질 후보들 중 하나이다. 그러나, 이 물질은 전도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용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충방전 과정에서 분극화가 쉽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이 물질의 전도도를 높이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한 가지 방법은 격자 내에 적절한 원소를 도입함으로써 전도대(conduciton band)와 원자가 전자대(valence band) 사이의 간격, 즉 에너지 갭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 다른 방법은 LiFePO4 내에 전도성 물질을 도입하여 전도도를 높이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일부 진전이 있었으나, 용량이 급격히 낮아지므로 여전히 개선이 필요한 상태이다.
LiFePO4의 전도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세계적으로 여러 연구그룹에서 많은 노력이 있었다.
탄소 코팅된 LiFePO4는 일반적으로 고상 반응 (solid-state reaction)을 통해 제조되는데, 이때 500~850℃의 온도에서 장시간의 소결을 필요로 한다. 이때 탄소 원료로는 당 유래 탄소 겔, 카본블랙 및 수용성 젤라틴, 전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탄소원은 다른 전구체들과 반응하지 않고, 단지 소결 과정에서 분해되어 LiFePO4 입자 표면에 탄소를 형성하게 된다. LiFePO4/C 복합체 전극은 탄소 분말 존재 하에 LiH2PO4와 FeC2O4의 고상 반응을 통해 합성되었다. 제조 과정은 N2 분위기 하에서 2단계의 가열을 통해 수행된다. 먼저, 전구체들을 화학량론적 비율로 혼합하고 350~380℃에서 소결하여 분해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얻어진 혼합물을 고온에서 가열하여 LiFePO4 결정이 형성되도록 한다. 얻어진 복합체 캐소드의 용량은 탄소 분말의 비표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실온의 낮은 전류율(current rate) 조건에서, LiFePO4/C 복합체 전극은 159 mAh/g의 매우 높은 용량을 보인다. 그러나, LiFePO4 입자 표면에 형성된 탄소는 균일하지 못하여, 높은 전류율 조건에서는 복합체 캐소드의 전기화학적 성능이 저하된다.
미국 특허출원 제20020192197A1호는 레이저 열분해법을 이용한 나노크기 및 마이크로미터 이하 크기의 LiFePO4 입자의 제조를 개시하고 있다. 합성된 LiFePO4는 매우 우수한 전기화학적 성능을 보이나, 이 방법은 비교적 비용이 많이 드는 공정이므로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캐소드 물질은 EV나 HEV와 같이 다량의 캐소드 물질을 필요로 하는, 비용에 민감한 분야에는 적합하지 않다.
저렴한 FePO4를 철 원료로 사용하고 폴리프로필렌을 환원제 겸 탄소 원료로 사용하는, LiFePO4/C 재료의 인시튜 합성방법이 개발되었다. XRD 및 SEM 분석 결과,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LiFePO4/C는 미분의 입자와 균일한 탄소 코팅을 형성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LiFePO4/C 복합체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정전류 충방전 및 순환 전압전류 측정을 통해 확인한 결과, 0.1 C의 전류율에서 164 mAh/g의 높은 용량을 보였으며, 0.3 C 및 0.5 C에서 비교적 우수한 용량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높은 전류율 조건에서는 이 LiFePO4/C 복합체의 전기화학적 성능은 그렇게 우수하지 않은데, 이는 LiFePO4 표면 상에 형성되는 탄소 코팅이 불균일하기 때문이다.
두 가지 다른 방법에 의한 전기화학적 성능이 개선된 나노크기의 LiFePO4 복합체 및 전도성 탄소의 합성이 알려져 있다. 첫 번째 방법에서는, 레조시놀-포름알데히드 전구체로부터 인산염과 탄소 크세로겔의 복합체를 형성한다. 두 번째 방법에서는, 표면 산화된 탄소 입자를 핵제(nucleating agent)로 사용하여 인산염을 성장시킨다. 첫 번째 방법에 의해 합성된 복합체가 더 우수한 전기화학적 성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탄소와 LiFePO4 입자의 직접적인 접촉 때문이다. 얻어진 LiFePO4/C 복합체의 용량은 0.2 C로 이론적 용량의 최대 90%에 달한다. 그러나, 크세로겔과 에어로젤은 충진밀도가 매우 낮아서, 대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체적밀도를 낮추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의 해결에 도움이 되는 탄소 복합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첨부된 도면에서,
도 1은 LiFePO4/NCM의 XRD이고,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LiFePO4/NCM의 TEM이며,
도 3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LiFePO4/NCM의 TEM이고,
도 4는 다양한 속도에서 LiFePO4/CNT 및 LiFePO4/C의 사용기간이다.
본 발명은 고용량 캐소드(cathode) 전극 활성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캐소드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갖는 탄소 나노구조 물질(nanostructured carbon materials, 이하 NCM)을 LiFePO4 입자의 표면 위에 성장시켜, 신규한 LiFePO4/NCM 복합체 캐소드 전극을 고상 반응 solid-state reaction)에 의해 제조하였다. 전지의 캐소드는 집전체(current collector)와 상기 집전체 상에 코팅된 캐소드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캐소드 물질은 LiFePO4/NCM계 캐소드 활성물질, 전도성 첨가제 및 결합제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제는 결합력과 탄성이 우수하여 리튬 이차전지의 캐소드가 높은 균일성을 갖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LiFePO4/NCM계 캐소드는 개선된 어셈블리 밀도 (assembly density), 높은 용량 및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다. NCM에 의해 개질된 LiFePO4는 LiFePO4 단독에 비해 속도(1 C) 및 사용 기간 (cycle life)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NCM에 의해 개질된 LiFePO4는 효과적인 고성능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LiFePO4/NCM 복합체 전극 물질의 제조를 위한 새로운 방법과 제조규모의 변경이 용이한 공정을 개발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감람석 소재인 LiFePO4는 특히 전기자동차 및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용도의, 가장 유망한 리튬이온 전지용 캐소드 후보 물질 중 하나이다. LiFePO4는 저렴한 가격과, 장기간의 사용기간, 높은 에너지 밀도 및 환경 친화성으로 인해 더욱 더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이 물질은 고유 전기 전도도가 낮고 전기화학 확산도가 낮아 광범위한 분야에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LiFePO4는 고속으로 충전 및 방전하는 경우 용량이 급속도로 낮아진다. 현재, 이 물질의 전기 전도도를 높이는 방법으로서 두 가지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 하나는 LiFePO4의 표면에 탄소를 코팅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LiFePO4의 결정격자 내로 다른 금속이온을 도핑하는 것이다. 전자의 방법을 통해 전도도가 개선되기는 하지만, 결정립 (grains) 사이의 전도도만 향상될 뿐 고유 전기 전도도는 실제로 개선되지 않는다. 금속이온을 도핑하는 후자의 방법은 하소 (calcining) 과정에서 단결정의 과성장을 피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정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제한된 확산으로 인해 전기화학적 성능이 저하된다.
탄소섬유 또는 탄소 나노튜브와 같은 NCM은 축 방향으로 매우 우수한 전기 전도도를 가진다. 예컨대, 탄소 나노튜브의 표면에는 이동할 수 있는 자유전자가 다량으로 존재한다. 탄소섬유는 LiFePO4 캐소드의 고출력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LiFePO4가 고온에서 형성되는 동안 LiFePO4의 표면에 NCM을 합성함으로써 LiFePO4/NCM 복합체 전극을 제조한다. 제조된 복합체 전극은 고속 방전 과정에서 향상된 전기화학적 성능을 보인다. 또한, 이 복합체 전극은 고속 방전 과정에서 높은 비용량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고온에서 환원된 Ni 염을 촉매로 사용하고 탄화수소 기체를 유일한 탄소 원료로 사용하여 LiFePO4/NCM 복합체를 제조함으로써, 용이한 제어, LiFePO4 입자의 표면에서 NCM의 성장, 전자 전도도의 향상, 저렴한 비용, 캐소드 물질의 전력밀도 향상과 같은 다양한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Ni 연무용액(mist solution)을 Ni 원료로 사용하고 기체 상태의 탄소 원료를 사용하여 탄소 NCM을 합성함으로써, LiFePO4/NCM 복합체의 전기화학적 성능을 개선한다.
종래 LiFePO4 제조용 장비를 이용하여 높은 용량과 높은 전력밀도를 가지는 LiFePO4/NCM 복합체 캐소드 물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산업적 생산규모에 맞추어 쉽게 그 규모를 확장할 수 있다.
리튬이온 이차전지가 충전 및 방전되는 동안 전극 내에서 전자교환이 동시에 발생한다. 리튬이온과 전자의 이동도는 캐소드 활성물질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불행하게도, 유망한 캐소드 물질인 LiFePO4는 전자 전도도가 약 10-9 S/cm로 매우 낮다. LiFePO4의 전자 전도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표면 코팅 방법과 격자 도핑 방법이 널리 채택되었다. 일반적으로, 표면 코팅 방법이 전자 전도도 개선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문헌에 의하면, 아세틸렌블랙, 당, 전분, 수크로스 및 글루코스와 같은 고체 탄소 원료가 LiFePO4/C 복합체의 합성에 널리 이용되었다. 그러나, LiFePO4 입자는 크기가 작고 세공 구조를 가지므로, LiFePO4 입자 위에 균일한 탄소 코팅을 형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 탄소 나노튜브와 같은 NCM은 나노구조 형태의 탄소로서, 탄소원자들로 구성된 그래파이트 시트가 말려서 이음매가 없는, 중공 코어 (hollow core)를 갖는 실린더 형태의 구조를 형성한다. 탄소 나노튜브는 탄소원자들의 이러한 독특한 배열로 인해 높은 열 전도도 및 전기 전도도와 뛰어난 기계적 특성, 그리고 비교적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다. NCM은 LiFePO4/C 전극 물질에 사용되는 종래의 무정형 탄소에 비해, 예컨대 높은 전도도 및 튜브 형태와 같은 많은 장점을 가진다. 탄소 나노튜브의 전자 전도도는 나노튜브 축 방향으로 약 1~4×102 S/cm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한편, NCM에 의해 LiFePO4 입자들 사이의 전도도가 향상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NCM이 분리된 LiFePO4 입자를 서로 연결시켜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캐소드 전극 물질 내에 NCM을 도입하면 이웃하는 입자들 사이의 이러한 전도성 연결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기체 상태의 탄소 원료와, 고온에서 환원된 Ni 염을 촉매로 사용하여 NCM을 합성하며, 이를 이용하여 전기 전도도가 높은 LiFePO4/NCM 물질을 합성한다. 촉매가 도입된 후, LiFePO4는 도 1에서 보듯이 감람석 구조 (olive structure)를 형성한다. NCM과 촉매의 존재는 LiFePO4의 형성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개선된 전기화학적 성능을 가지는 LiFePO-4/NCM 캐소드 물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1) Fe, Li, 인산염 및 첨가제의 전구체를 화학량론적 비율로 볼 밀링 (ball-milled)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을 350~380℃에서 0.5~5 시간 동안 소결하여 분해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혼합물을 500~900℃의 온도범위에서 1~24 시간 동안 하소하여 LiFePO4 결정이 형성되도록 한다.
2) 고온로 (high temperature furnace)에서 LiFePO4 결정이 형성된 후, NCM 합성을 위한 탄소 원료인 기체 상태의 탄화수소, 예컨대 액화석유가스(LPG), 에틸렌, 벤젠, 프로필렌 또는 메틸벤젠을 고온 상태(650~1000℃)의 상기 고온로 내로 10~200 분 동안 공급하여 LiFePO4 표면에 NCM이 형성되도록 한다.
3) 한편, 고온에서 LiFePO4이 형성되기 전에 NCM을 성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Fe, Li, 인산염 및 촉매의 전구체를 화학량론적 비율로 볼 밀링하고 650~1000℃에서 소결한다. 이어, 기체 상태의 탄소 원료를 5~100 분 동안 노(furnace) 내로 공급한다. 이후, 얻어진 혼합물을 500~900℃의 온도범위에서 1~24 시간 동안 하소하여 LiFePO4 결정이 형성되도록 한다.
4) 단계 2) 및 단계 3)에서 합성된 LiFePO4/NCM을 아세틸렌블랙(acetylene black) 및 PVDF의 NMP 용액과 혼합하여 슬러리를 형성한 후, Al 포일 위에 캐스팅한다. 얻어진 전극을 건조한 다음 유압 프레스 (hydraulic press)를 사용하여 압착한다. 애노드 (anode) 및 분리막이 1.0 mol?L-1 LiPF6/EC+DMC[EC:DMC= 1:1] 용액 내에 침지된 전해질을 이용하여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작한다. 전지의 조립은 아르곤으로 보호된 글러브박스 내에서 수행한다.
단계 1)에서, 상기 첨가제는 Ni, Fe, Cr 및 Ti 입자일 수 있다.
단계 4)에서, LiFePO4와 아세틸렌블랙 또는 NCM 및 PVDF의 중량비는 60~95:5~25:5~20이다.
보다 최적화된 제조방법은 다음의 사항을 포함한다:
단계 1)에서, 상기 얻어진 혼합물을 700~800℃에서 하소하여 LiFePO4 결정이 형성되도록 한다.
단계 1)에서, LiFePO4의 형성을 위한 고상 반응의 반응시간은 20~26 시간이다.
단계 2)에서, LiFePO4 표면 상에서 NCM의 형성을 위한 최적화된 온도는 700~950℃이다.
단계 4)에서, 전극 내 아세틸렌블랙 함량은 중량비로 5% 내지 10% 범위이다.
단계 4)에서, 전극 내 PVDF 함량은 중량비로 1% 내지 20% 범위이다.
실시예 1
기체 상태의 탄화수소를 탄소 원료로 사용하여, 인시튜 화학기상증착법 (in-situ chemical vapour deposit method)에 의해 LiFePO4 입자 표면에 NCM을 형성하여 LiFePO4/NCM을 제조하였다. LiFePO4/NCM의 제조는 LiFePO4/NCM 복합체 내에 Fe2 +가 형성될 수 있도록, N2 분위기 하에서 2회의 소결단계를 거쳐 수행되었다. Li2CO3, NH4H2PO4 및 FeC2O4?2H2O를 혼합한 후 볼 밀링하였다. 예컨대 알코올과 같은 분산액을 가하여 슬러리가 형성되도록 한 후, 6 시간 동안 진동 및 회전을 통해 분쇄하였다. 밀링 후, 혼합된 슬러리를 50℃의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알코올을 증발시켰다. 이어, 혼합물을 노 안에 넣고 10~100 mL/min의 속도로 질소를 공급한 후, 정해진 온도까지 10~30℃/min의 속도로 승온하였다. 혼합물을 350~380℃에서 0.5~8 시간 동안 1차 하소한 후, 750℃로 승온하였다. 혼합물을 이 온도에서 15~20 시간 동안 유지한 후, Ni 연무용액을 노에 공급하였다. 연무용액은 0.1~2.0 M Ni 용액(NiCl2와 NiSO4의 혼합물)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아르곤 기체의 공급을 차단하고 에틸렌과 수소 기체를 100 mL/min의 속도로 동시에 각각 90 분 동안 노 안에 공급하였다. 최종 생성물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서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얻어진 화합물의 형태를 TEM으로 관찰하였다(도 2). 양극(positive electrode)은 80%의 LiFePO4/NCM, 결합제로서 10% 아세틸렌블랙 및 10%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그리고 집전체로서 Al 금속으로 구성하였다. 전해질 용액으로는 1.0 mol?L-1 LiPF6/EC+DMC[V(EC):V(DMC)= 1:1]를 사용하였다. 전기화학적 측정을 위한 상대전극으로는 리튬 금속포일을 사용하였다. 모든 전지는 아르곤이 충진된 글러브박스 내에서 조립하였다. 제조된 복합체의 충전/방전 특성을 BT2000 내에서 시험하였다.
실시예 2
Li2CO3, NH4H2PO4 및 FeC2O4?2H2O를 혼합한 후 볼 밀링하였다. 분산액으로서 알코올을 가하여 슬러리가 형성되도록 한 후, 6 시간 동안 진동 및 회전을 통해 분쇄하였다. 밀링 후, 혼합된 슬러리를 50℃의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알코올을 증발시켰다. 이어, 혼합물을 노 안에 넣고 50 mL/min의 속도를 질소를 공급한 후, 정해진 온도까지 30℃/min의 속도로 승온하였다. 650~1000℃의 정해진 온도에 도달한 후, 액화석유가스를 튜브형 오븐 내로, 20 mL/min의 속도로 5~60 분 동안 공급하였다. 이어, 전구체들을 질소 분위기 하, 500~900℃에서 10~23 시간 동안 하소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합성된 LiFePO4를 슬러리법에 의해 Ni 염과 혼합한 후 진공 하, 60℃에서 건조하였다. Ni 염은 NiSO4, NiCl2 및 Ni(NO3)2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NiSO4/LiFePO4 복합체 분말을 도가니에 넣고 노 내에 장입하였다. 에틸렌과 수소 기체를 100 mL/min의 속도로 함께 공급하면서 800℃에서 NCM이 성장하도록 하였다.
합성된 LiFePO4/NCM을 TEM으로 관찰하였다(도 3). 양극은 80%의 LiFePO4/NCM, 결합제로서 10% 아세틸렌블랙 및 10%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그리고 집전체로서 Al 금속으로 구성하였다. 전해질 용액으로는 1.0 mol?L-1 LiPF6/EC+DMC[V(EC):V(DMC)= 1:1]를 사용하였다. 전기화학적 측정을 위한 상대전극으로는 리튬 금속포일을 사용하였다. 모든 전지는 아르곤이 충진된 글러브박스 내에서 조립하였다. 제조된 복합체의 충방전 특성을 BT2000 내에서 시험하였다.
실시예 3
Li2CO3, NH4H2PO4, Ni 입자 및 FeC2O4?2H2O를 혼합한 후 플래니터리 마이크로밀 (planetary micro mill)과 ZrO2 볼을 사용하여 볼 밀링하였다. 분산액으로서 알코올을 가하여 슬러리가 형성되도록 한 후, 6 시간 동안 진동 및 회전을 통해 분쇄하였다. 밀링 후, 혼합된 슬러리를 50℃의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알코올을 증발시켰다. 이어, 혼합물을 노 안에 넣고 50 mL/min의 속도를 질소를 공급한 후, 정해진 온도까지 30℃/min의 속도로 승온하였다. 650~1000℃의 정해진 온도에 도달한 후, Ni 연무용액을 노에 공급하였다. 연무용액은 0.1~2.0 M Ni 용액(NiCl2와 NiSO4의 혼합물)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아르곤 기체의 공급을 차단하고 에틸렌과 수소 기체를 100 mL/min의 속도로 동시에 각각 90 분 동안 노 안에 공급하였다. 이어, 전구체들을 질소 분위기 하, 500~900℃에서 10~23 시간 동안 하소하였다. 얻어진 생성물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합성된 LiFePO4/NCM을 TEM으로 관찰하였다. 양극 (positive electrode)은 80%의 LiFePO4/NCM, 결합제로서 10% 아세틸렌블랙 및 10%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그리고 집전체로서 Al 금속으로 구성하였다. 전해질 용액으로는 1.0 mol?L-1 LiPF6/EC+DMC[V(EC):V(DMC)= 1:1]를 사용하였다. 전기화학적 측정을 위한 상대전극으로는 리튬 금속포일을 사용하였다. 모든 전지는 아르곤이 충진된 글러브박스 내에서 조립하였다. 제조된 복합체의 충전/방전 특성을 BT2000 내에서 시험하였다.
LiFePO4/NCM과 LiFePO4/C의 충전/방전 성능을 도 4에 비교하였다. LiFePO4/NCM의 경우 LiFePO4/C 입자가 NCM의 네트워크 내에 분산되어 있으므로, 전자가 전기화학 반응자리(reaction site)로 전달될 수 있어 Fe2 +가 Fe3 +로 가역적으로 변화된다. 또한, LiFePO4/NCM과 LiFePO4/C의 사이클 성능을 도 4에 도시하였다. LiFePO4/NCM이 여러 방전속도에서 훨씬 높은 방전용량과 훨씬 우수한 사이클 안정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종래의 LiFePO4/C의 경우, 특히 방전속도가 1 C일 때, 방전용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Claims (19)

  1. 하나 이상의 탄소 나노구조 물질 (carbon nanostructured material)을 LiFePO4 입자 표면에 제공하여 LiFePO4/탄소 나노구조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 복합 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구조 물질은 하나 이상의 나노구조 복합재료를 합성하여 얻어지는 탄소 복합 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고상 반응에서 수행되는 탄소 복합 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구조 물질이 높은 전기 전도도를 갖는 탄소 복합 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 제조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구조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Ni, Co 염을 촉매로 사용하여 상기 나노구조 복합재료를 합성하는 탄소 복합 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i 및 Co 염은 고온에서 환원되는 탄소 복합 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 제조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구조 물질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탄화수소 기체를 탄소 원료로 사용하여 상기 나노구조 복합재료를 합성하는 탄소 복합 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 제조방법.
  8.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i 연무용액(mist solution)을 Ni 원료로 사용하고 기체 상태의 탄소 원료를 사용하여 상기 나노구조 복합체 (nanostructured composite)를 합성하여 상기 탄소 나노구조 복합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 복합 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 제조방법.
  9. LiFePO4 입자 표면에서 탄소 나노구조 물질 (carbon nanostructured material)을 합성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온도는 500~900℃ 범위인 탄소 복합 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 제조방법.
  10. LiFePO4 입자 표면에서 탄소 나노구조 물질 (carbon nanostructured material)을 합성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기체 상태의 탄소 원료를 공급한 후 탄소 나노구조 물질을 합성하는 시간이 1~360 분 범위인 탄소 복합 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 제조방법.
  11. LiFePO4 입자 표면에서 탄소 나노구조 물질 (carbon nanostructured material)을 합성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Ni, Fe, Co 및 합금과 같은, 금속 분말이 LiFePO4 입자의 표면상에 탄소 나노구조 물질을 합성하기 위한 촉매로서 사용되는 탄소 복합 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 제조방법.
  12. LiFePO4 입자 표면에서 탄소 나노구조 물질 (carbon nanostructured material)을 합성하는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촉매가 가열처리 과정에서 LiFePO4의 결정격자 내로 도핑 (dope)되는 탄소 복합 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소 나노구조 물질을 LiFePO4 입자의 표면에 제공하여 LiFePO4/탄소 나노구조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단계는 고온에서 수행되는 탄소 복합 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 제조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복합재료가 고용량을 가지는 캐소드 전극 활성물질인 탄소 복합 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 제조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복합재료가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탄소 복합 재료 (carbon composite material) 제조방법.
  16. LiFePO4 입자 표면에 적어도 하나의 탄소 나노구조 물질이 합성된 LiFePO4/나노구조 복합재료를 포함하는 탄소 복합재료.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구조 복합재료는 전기 전도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탄소 나노구조 물질을 합성하여 얻어지는 탄소 복합재료.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고용량을 캐소드 전극 활성물질인 탄소 나노구조 재료.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탄소 나노구조 재료.
KR1020117025706A 2009-04-01 2009-04-01 탄소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KR201200228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09/051369 WO2010112977A1 (en) 2009-04-01 2009-04-01 Method for producing a carbon composite materi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2839A true KR20120022839A (ko) 2012-03-12

Family

ID=4282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706A KR20120022839A (ko) 2009-04-01 2009-04-01 탄소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120021291A1 (ko)
EP (1) EP2415107A1 (ko)
JP (1) JP2012523075A (ko)
KR (1) KR20120022839A (ko)
CN (1) CN102388489B (ko)
AU (1) AU2009343457A1 (ko)
CA (1) CA2757600A1 (ko)
RU (1) RU2501128C2 (ko)
WO (1) WO2010112977A1 (ko)
ZA (1) ZA2011062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8391A2 (ko) * 2009-12-04 2011-06-09 주식회사 루트제이제이 나노 중공 섬유형 탄소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전구체, 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CN102427130B (zh) * 2011-03-23 2013-11-06 上海中兴派能能源科技有限公司 磷酸铁锂-碳纳米管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2299319A (zh) * 2011-07-20 2011-12-28 彩虹集团公司 一种锂离子电池正极材料LiFePO4的制备方法
CA2859113C (en) 2011-11-15 2020-04-14 Denki Kagaku Kogyo Kabushiki Kaisha Composite particle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lectr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CN108767206A (zh) * 2011-11-15 2018-11-06 电化株式会社 复合粒子及其制造方法、二次电池用电极材料及二次电池
CN102867956A (zh) * 2012-09-24 2013-01-09 恒正科技(苏州)有限公司 电化学活性材料的制备方法
US8829993B2 (en) 2012-10-30 2014-09-09 Eta Devices, Inc. Linearization circuits and methods for multilevel power amplifier systems
US9755222B2 (en) * 2013-03-15 2017-09-05 Johnson Matthey Public Limited Company Alkali metal oxyanion electrode material having a carbon deposited by pyrolysi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2015064943A (ja) * 2013-09-24 2015-04-09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導電性粉体の製造方法
US11270850B2 (en) 2013-12-20 2022-03-08 Fastcap Systems Corporation Ultracapacitors with high frequency response
JP6026457B2 (ja) * 2014-03-31 2016-11-1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正極活物質、二次電池用正極、二次電池及び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CN113539696A (zh) 2014-10-09 2021-10-22 快帽***公司 用于储能装置的纳米结构化电极
WO2016074960A1 (en) * 2014-11-13 2016-05-19 Basf Se Electrode materials, their manufacture and use
JP2020501367A (ja) 2016-12-02 2020-01-16 ファーストキャップ・システムズ・コーポレイションFastCAP SYSTEMS Corporation 複合電極
US11557765B2 (en) 2019-07-05 2023-01-17 Fastcap Systems Corporation Electrodes for energy storag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05366C (zh) * 2002-05-24 2005-06-08 武汉大学 制备纳米碳纤维的方法
KR100595896B1 (ko) * 2003-07-29 2006-07-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그의 제조 방법
JP2005146406A (ja) * 2003-10-23 2005-06-09 Zenhachi Okumi 微粒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WO2006022254A1 (ja) * 2004-08-26 2006-03-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電極用複合粒子およびその製造法、ならびに二次電池
CN100399608C (zh) * 2005-06-28 2008-07-02 中国科学院物理研究所 一种橄榄石碳绒球复合材料及其用途
RU2282919C1 (ru) * 2005-09-30 2006-08-27 Александр Константинович Филиппов Углеродсодержащий материал для литий-ионного аккумулятора и литий-ионный аккумулятор
CN101415640B (zh) * 2006-04-06 2015-08-12 陶氏环球技术公司 锂二次电池正极材料的锂金属磷酸盐的纳米粒子的合成
CN100502103C (zh) * 2007-09-13 2009-06-17 广西师范大学 一种核壳型纳米级碳包覆磷酸铁锂复合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ATE539454T1 (de) * 2007-09-14 2012-01-15 Hongfujin Prec Ind Shenzhen Lithiumbatteri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node dafür
CN101229917A (zh) * 2007-11-16 2008-07-30 中南民族大学 锂离子电池正极材料LiFePO4的合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9343457A1 (en) 2011-10-13
JP2012523075A (ja) 2012-09-27
CN102388489B (zh) 2014-11-26
WO2010112977A1 (en) 2010-10-07
CA2757600A1 (en) 2010-10-07
RU2501128C2 (ru) 2013-12-10
ZA201106272B (en) 2012-11-28
CN102388489A (zh) 2012-03-21
US20120021291A1 (en) 2012-01-26
EP2415107A1 (en) 2012-02-08
RU2011144098A (ru) 2013-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01128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углеродного компози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Zhu et al. Self-assembled superstructure of carbon-wrapped, single-crystalline Cu3P porous nanosheets: one-step synthesis and enhanced Li-ion battery anode performance
KR101586816B1 (ko)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음극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
KR102293359B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1525121B (zh) 一种绒毛结构的硅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
EP2503626B1 (en) Positive-electrode material for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23130342A (ja) シリコン含有複合体、その製造方法、それを利用した炭素複合体、それを含んだ電極、該リチウム電池及び該電子素子
KR101649082B1 (ko) 정극활물질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정극, 비수전해질 이차전지
Ou et al. High performance of LiFePO4 with nitrogen-doped carbon layers for lithium ion batteries
KR20130004241A (ko) Lifepo4 분말 제조를 위한 수열 방법
Fan et al. Nonaqueous synthesis of nano-sized LiMnPO4@ C as a cathode material for high performance lithium ion batteries
Deng et al. A core-shell Si@ NiSi2/Ni/C nanocomposite as an anode material for lithium-ion batteries
CN110679017B (zh) 负极活性材料、包含所述负极活性材料的负极和包含所述负极的二次电池
JP2019067579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材料
Cao et al. Application and prospects for using carbon materials to modify lithium iron phosphate materials used at low temperatures
Gan et al. Lithium electrodeposited on lithiophilic LTO/Ti 3 C 2 substrate as a dendrite-free lithium metal anode
Song et al. Construction of high-performance LiMn0. 8Fe0. 2PO4/C cathode by using quinoline soluble substance from coal pitch as carbon source for lithium ion batteries
KR101227107B1 (ko) 2단계 결정화 공정을 통한 마이크로 크기의 다공성 LiFePO4/C복합체 제조방법 및 리튬이온전지 양극재로의 이용방법
CN115336043A (zh) 负极活性材料、包含所述负极活性材料的负极和包含所述负极的二次电池
Lou et al. Graphite-like structure of disordered polynaphthalene hard carbon anode derived from the carbonization of perylene-3, 4, 9, 10-tetracarboxylic dianhydride for fast-charging lithium-ion batteries
KR101470090B1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KR101578974B1 (ko)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용 정극 활물질, 그 제조 방법 및 비수 전해질 이차전지
Zeng et al. LiMn 0.8 Fe 0.2 PO 4@ C cathode prepared via a novel hydrated MnHPO 4 intermediate for high performance lithium-ion batteries
KR102473745B1 (ko) 실리콘/탄소나노튜브/그래핀 복합체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제조방법
Yan Silicon Li-ion Anode Materials via Spray Drying and Magnesiothermic Re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