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188B1 -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188B1
KR102216188B1 KR1020200130998A KR20200130998A KR102216188B1 KR 102216188 B1 KR102216188 B1 KR 102216188B1 KR 1020200130998 A KR1020200130998 A KR 1020200130998A KR 20200130998 A KR20200130998 A KR 20200130998A KR 102216188 B1 KR102216188 B1 KR 102216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vertical
moun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기
Original Assignee
장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승기 filed Critical 장승기
Priority to KR1020200130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4Applications of loading and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8Impact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을 안정적으로 수송할 수 있도록 구현한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수송하기 위한 수송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Transport Device And Article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품을 안정적으로 수송할 수 있도록 구현한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벌크화물은 시멘트, 석탄, 모래, 석회석, 철광석 등과 같이 산적된 상태에서 규격화된 포장 없이 그대로 운송되는 화물을 말한다. 이러한 벌크화물은 포장하여 운송할 경우 포장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므로 별도의 포장을 하지 않은 채 운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호퍼화차는 벌크화물을 운반하는 수단으로서 적재함과 대차가 일체로 부착된다.
종래 호퍼화차를 이용해 벌크화물을 운송하기 위해서는 산지에서 덤프트럭에 벌크화물을 적재하고 이를 화차 근처로 이송 후, 덤프트럭에 적재된 벌크화물을 덤핑 및 야적한다. 그리고, 하역된 벌크화물은 적재 후 보관되다가 포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벌크화물을 호퍼화차에 상차하여 목적지로 이동 후 야드 혹은 저장 창고에 하차된다. 또한, 필요시 덤프 트럭에 다시 상차 후 최종 목적지로 이동해야 한다.
즉, 종래 호퍼화차를 이용해 벌크화물을 운송하기 위해서는 벌크화물을 덤핑, 적재, 하차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므로 시간 및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벌크화물을 야적할 장소의 확보도 어려우며 환경적인 문제도 대두되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7098호 한국등록특허 제10-135902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물품을 안정적으로 수송할 수 있도록 구현한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는, 물품을 수송하기 위한 수송장치;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송장치는, 물품 보관 시실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되어 물품 보관 시설의 다른 층으로 물품을 수송시키는 수송부; 및 상기 레일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송부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는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출시키면서 상기 수송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송부는, 내부 공간에 물품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에 상기 와이어가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의 내부 공간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물품을 수송하는 승강 박스부; 수송 중인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기 승강 박스부의 내측면을 따라 거치되는 적재 선반부; 및 상기 적재 선반부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박스부의 내측 천장면과 상기 적재 선반부 사이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선반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반 거치부는, 전단이 상측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
Figure 112020107194424-pat00001
"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이 상기 승강 박스부의 내측 천장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거치 프레임; 후단이 하측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
Figure 112020107194424-pat00002
"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이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내측에 맞물려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후단 하측이 상기 적재 선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적재 선반부를 거치하는 제2 거치 프레임; 및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내측에 체결되는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의 전단 하측을 지지하며,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을 통해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는 프레임간 지지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간 지지구조는,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의 전단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 및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지지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부는, 제1 받침대, 제2 받침대, 제3 받침대 및 제4 받침대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 수직 지지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2 수직 지지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3 수직 지지대;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4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4 수직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부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 블록부; 상기 안착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상기 고정 블록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안착홈; 상기 제1 수직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안착홈; 상기 제2 수직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프레임 안착홈; 상기 제3 수직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3 수직 지지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 프레임 안착홈; 및 상기 제4 수직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4 수직 지지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 프레임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는,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 안착홈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 및 상기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와 대칭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 안착홈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후단 지지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직 프레임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직 프레임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하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와 상기 상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에 의해 거치되는 플레이트 연결 지지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레이트 연결 지지구조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원판; 상기 지지 원판의 외측에 설치되는 연결 베어링; 상기 연결 베어링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지지 원판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밀착 휠; 상기 제1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원판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지지 원판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원판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전단홈; 상기 전단홈에 안착된 상기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단홈에서 상기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전단 지지 탄성체; 상기 제2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원판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전단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원판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원판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후단홈; 및 상기 후단홈에 안착된 상기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후단홈에서 상기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후단 지지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프레임 안착홈은, 상기 수직 프레임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지주 안착홈; 상기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주 안착홈의 전단에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상기 수직 프레임가 상기 지주 안착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연결 지지구조가 벽면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되는 전단 안착홈; 및 상기 전단 안착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주 안착홈의 후단에 형성되는 후단 안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송장치는,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선반으로 수송될 물품을 내부 공간에 적재할 수 있도록 상측 및 전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대차 본체; 상기 대차 본체의 전단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대차 본체의 전단 개구부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전면 게이트; 및 상기 대차 본체의 이동을 위해 상기 대차 본체의 하부 각 모서리에 설치되는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면 게이트는,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대차 본체의 전단 개구부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대차 본체의 전단 개구부의 하측 절반을 덮는 하부 프레임;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대차 본체의 전단 개구부의 상측 절반을 덮으며, 상기 대차 본체에 적재되어 있는 물품을 상기 대차 본체로부터 하차시 임시로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측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물품이 적재될 적재 선반에 안착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적재 선반에의 안착 시 상기 상부 프레임과 적재 선반 간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단 상측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격 완충부; 및 상기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의 일측 및 다른 일측과 상기 대차 본체의 전단 개구부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체결하기 위한 체결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충격 완충부는, 하측이 밀폐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는 완충 케이스; 및 상측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단에 밀착되고 하측이 상기 완충 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완충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완충 케이스가 적재 선반이 안착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케이스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 지지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단에 밀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단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의 하부에 120°의 각도로 서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지지대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대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 제2 지지 프레임 및 제3 지지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제2 지지대; 및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1 간격 프레임,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의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2 간격 프레임, 및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의 하부와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의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3 간격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완충 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완충 케이스의 내측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3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대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의 전단에 밀착되는 밀착 원판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밀착 원판부의 하측에 설치되는 지지 기둥부; 상기 제1 지지 프레임, 상기 제2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의 각 상부가 서로 120° 간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삼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지지 기둥부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기둥 안착홈을 형성하는 삼각 기둥부; 및 상기 기둥 안착홈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기둥부를 지지하기 위한 기둥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 프레임은, 상기 삼각 기둥부의 일 측면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되,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 지지대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상부 지지 프레임;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이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 지지대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이 내부 공간으로 슬라이딩 인 또는 내부 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아웃되도록 하여 상기 제2 지지대의 지지 높이를 조절하는 중간 지지 프레임;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의 내부 공간의 단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지지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지지체;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일측이 바닥면에 안착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의 하부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의 하부를 거치시켜 지지하는 하부 지지 프레임; 및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1 간격 프레임 및 상기 제3 간격 프레임에 의해 상기 제2 지지 프레임의 하측 또는 상기 제3 지지 프레임의 하측과의 간격이 지지되며, 상부에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바닥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 프레임은, 다른 일측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의 하부 상측면과 대향하는 하측 경사면을 형성하는 돌출턱; 및 상기 돌출턱의 하측 경사면과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의 하부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돌출턱과 상기 중간 지지 프레임의 하부 상측면 사이의 간격을 지지하는 간격 지지 탄성체;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물품을 안정적으로 수송함으로써, 물품 보관 장치의 적재 효율성은 물론 물품의 수송 효율성을 향상시켜 물품의 재고 관리의 편의성 역시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수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도 2의 수송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선반 거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프레임간 지지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상부 지지부와 및 하부 지지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제1 수직 지지대와 제1 프레임 안착홈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플레이트 연결 지지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수송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전면 게이트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는 도 12의 충격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케이스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제2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5의 제1 지지 프레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1)는, 수송장치(10,20)를 포함한다.
수송장치(10, 20)는, 복수의 층(F1, F2)으로 이루어지는 물품보관 시설에 설치되어 물품(P)을 해당 층에서 해당 층으로, 또는 해당 층에서 상층 또는 하층으로 물품(P)을 수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1)는, 물품(P)을 안정적으로 수송함으로써, 물품 보관 장치의 적재 효율성은 물론 물품의 수송 효율성을 향상시켜 물품의 재고 관리의 편의성 역시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수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장치(10)는, 레일부(100), 수송부(200) 및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레일부(100)는, 물품 보관 시실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며, 내측에 수송부(200)가 설치되어 내측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구동되며, 상측에 구동부(300)가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레일부(100)는, 수송부(200)의 승강 또는 하강을 위한 구동부(300)의 와이어(310)를 권취 또는 권출의 요청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 장치(110)를 상부 또는 하측의 일측에 형성할 수 있다.
수송부(200)는, 레일부(1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측에 설치되는 와이어(310)에 의해 들어올려 레일부(100)를 따라 시설의 2층(F2)으로 도 2의 20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되거나, 또는 하강되어 물품(P) 보관 시설의 1층(F1)으로 물품(P)을 수송시킨다.
구동부(300)는, 레일부(100)의 상측에 설치되며, 수송부(200)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는 와이어(310)를 권취 또는 권출시키면서 수송부(200)를 승강 또는 하강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수송장치(10)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물품 보관 시설에서 가장 효율적인 상하 직선 방향으로 수송 이동 통로를 형성하여 보다 많은 짐은 안정적으로 수송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수송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수송부(200)는, 승강 박스부(210), 적재 선반부(220) 및 다수 개의 선반 거치부(230)를 포함한다.
승강 박스부(210)는, 내부 공간에 물품(P)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에 와이어(310)가 설치되어 레일부(100)의 내부 공간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물품(P)을 수송한다.
적재 선반부(220)는, 수송 중인 물품(P)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직선형 선반 또는 도 4의 절곡형 선반 등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되어 승강 박스부(210)의 내측면을 따라 선반 거치부(230)에 의해 거치된다.
선반 거치부(230)는, 적재 선반부(220)를 거치할 수 있도록 승강 박스부(210)의 내측 천장면(211)과 적재 선반부(220) 사이를 따라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송부(200)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물품 보관 시설에서 가장 효율적인 상하 직선 방향으로 보다 많은 짐은 안정적으로 수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적재 선반부(220)에 물품(P)을 임시로 올려 놓도록 함으로써 승강 박스부(210)의 바닥면을 물품(P)을 올려 놓고 들어 올림에 따라 소요되는 불필요한 노동력을 감소시켜 수송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선반 거치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선반 거치부(230)는, 제1 거치 프레임(231), 제2 거치 프레임(232) 및 프레임간 지지구조(233)를 포함한다.
제1 거치 프레임(231)은, 전단이 상측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
Figure 112020107194424-pat00003
"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이 승강 박스부(210)의 내측 천장면에 고정 설치되며, 내측 공간(2311)에 프레임간 지지구조(233)이 설치되고, 제2 거치 프레임(232)의 전단이 내측 공간(2311)에서 프레임간 지지구조(233)에 의해 지지되면서 거치된다.
제2 거치 프레임(232)은, 후단이 하측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
Figure 112020107194424-pat00004
"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이 제1 거치 프레임(231)의 내측에 맞물려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후단 하측이 적재 선반부(2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221)되어 적재 선반부(220)를 거치한다.
프레임간 지지구조(233)는, 제1 거치 프레임(231)의 내측(2311)에 설치되어 제1 거치 프레임(231)의 내측에 체결되는 제2 거치 프레임(232)의 전단 하측을 지지하며, 제2 거치 프레임(232)을 통해 제1 거치 프레임(231)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선반 거치부(230)는, 제1 거치 프레임(231)과 제2 거치 프레임(232) 간의 탈부착 구조를 이용하여 적재 선반부(220)가 필요 없는 경우에는 제2 거치 프레임(232)을 제1 거치 프레임(231)으로부터 분리시켜 적재 선반부(220)을 승강 박스부(210)로부터 분리시켜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적재 선반부(220)에 물품(P)을 올려 놓음에 따라 제2 거치 프레임(232)으로부터 제1 거치 프레임(231)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프레임간 지지구조(233)를 이용하여 감쇄시킴으로써 승강 박스부(210)의 승하강 중에 승강 박스부(210)의 흔들림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고 전체 장치의 내구성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프레임간 지지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400)는, 상부 지지부(410) 및 하부 지지부(42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부(410)는, "+" 형태로 형성되어 제2 거치 프레임(232)의 전단 하측을 지지하며, 하부 지지부(420)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다.
하부 지지부(420)는, 제1 거치 프레임(231)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안착되는 상부 지지부(410)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다른 프레임 지지부(400)는, 제1 거치 프레임(231)과 제2 거치 프레임(232) 사이에 설치되어 제2 거치 프레임(232)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효과적으로 감쇄시켜 본 발명에 따른 전주(P)의 체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의 상부 지지부와 및 하부 지지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 지지부(410)는, 안착 프레임(411), 제1 수직 지지대(412), 제2 수직 지지대(413), 제3 수직 지지대(414) 및 제4 수직 지지대(415)를 포함한다.
안착 프레임(411)은, 프레임 안착홈(422)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받침대(4111), 제2 받침대(4112), 제3 받침대(4113) 및 제4 받침대(4114)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며, 각 받침대의 선단부에 제1 수직 지지대(412), 제2 수직 지지대(413), 제3 수직 지지대(414) 및 제4 수직 지지대(415)의 각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1 수직 지지대(412)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1 받침대(4111)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프레임 안착홈(423)에 안착되어 제1 받침대(4111)를 지지한다.
즉, 제1 수직 지지대(412)는, 후술하는 제1 프레임 안착홈(423)에 안착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제1 받침대(4111)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제1 받침대(4111)를 지지하는 동시에 제1 받침대(411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킬 수 있다.
제2 수직 지지대(413)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2 받침대(4112)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2 프레임 안착홈에 안착되어 제2 받침대(4112)를 지지한다.
제3 수직 지지대(414)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3 받침대(4113)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3 프레임 안착홈에 안착되어 제3 받침대(4113)를 지지한다.
제4 수직 지지대(415)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4 받침대(4114)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4 프레임 안착홈에 안착되어 제4 받침대(4114)를 지지한다.
여기서, 제2 수직 지지대(413), 제3 수직 지지대(414) 및 제4 수직 지지대(415)는, 제1 수직 지지대(412)와 설치되는 위치만 다른 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하부 지지부(420)는, 고정 블록부(421), 프레임 안착홈(422), 제1 프레임 안착홈(423), 제2 프레임 안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제3 프레임 안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및 제4 프레임 안착홈(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고정 블록부(421)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프레임 안착홈(422)이 형성된다.
프레임 안착홈(422)은, 안착 프레임(411)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고정 블록부(421)의 상부에 형성된다.
제1 프레임 안착홈(423)은, 제1 수직 지지대(4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 받침대(4111)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프레임 안착홈(422)의 일 단부로부터 제1 수직 지지대(412)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프레임 안착홈(423)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 안착홈(4231), 전단 안착홈(4232) 및 후단 안착홈(4233)을 포함한다.
지주 안착홈(4231)은, 수직 프레임(412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4121)의 형태에 대응하여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전단에 전단 안착홈(4232)이 형성되고, 후단에 후단 안착홈(4233)이 형성된다.
전단 안착홈(4232)은,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412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주 안착홈(4231)의 전단에 형성되되, 외력에 의해 수직 프레임(4121)이 지주 안착홈(4231)에서 상하 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후술하는 플레이트 연결 지지구조(530)가 벽면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아치 형태로 형성된다.
후단 안착홈(4233)은, 전단 안착홈(4232)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지주 안착홈(4231)의 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수직 지지대(412)는, 수직 프레임(4121),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4122) 및 프레임 후단 지지구조(4123)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4121)는,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제1 받침대(4111)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에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4122)가 연결 설치되고, 후단에 프레임 후단 지지구조(4123)가 연결 설치된다.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4122)는, 수직 프레임(4121)의 전단에 설치되며, 전단 안착홈(4232)의 벽면에 밀착되어 제1 프레임 안착홈(423)에서 수직 프레임(4121)를 지지한다.
프레임 후단 지지구조(4123)는,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4122)와 대칭되도록 수직 프레임(4121)의 후단에 설치되며, 후단 안착홈(4233)의 벽면에 밀착되어 제1 프레임 안착홈(423)에서 수직 프레임(4121)를 지지한다.
제2 프레임 안착홈은, 제2 수직 지지대(413)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받침대(4112)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프레임 안착홈(422)의 일 단부로부터 제2 수직 지지대(413)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제3 프레임 안착홈은, 제3 수직 지지대(414)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3 받침대(4113)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프레임 안착홈(422)의 일 단부로부터 제3 수직 지지대(414)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제4 프레임 안착홈은, 제4 수직 지지대(41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4 받침대(4114)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프레임 안착홈(422)의 일 단부로부터 제4 수직 지지대(415)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여기서, 제2 프레임 안착홈, 제3 프레임 안착홈, 및 제4 프레임 안착홈은, 제1 프레임 안착홈(423)과 방향만을 달리하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직 프레임(4121)는, 제1 프레임 안착홈(423)의 바닥면까지 하강되지 아니하고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4122)와 프레임 후단 지지구조(4123)에 의해 제1 프레임 안착홈(423)에서 부양된 상태로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외력이 전달되는 경우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4122)와 프레임 후단 지지구조(4123)가 전단 안착홈(4232) 및 후단 안착홈(4233)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됨에 따라 전달되는 외력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500)는, 제1 지지 플레이트(510), 제2 지지 플레이트(520) 및 플레이트 연결 지지구조(530)를 포함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510)은, 제2 지지 플레이트(520)과 상하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하측으로 갈수록 수직 프레임(4121)으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수직 프레임(4121)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에 플레이트 연결 지지구조(5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지지 플레이트(520)은, 제1 지지 플레이트(510)과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제1 지지 플레이트(510)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수직 프레임(4121)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수직 프레임(4121)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부에 플레이트 연결 지지구조(5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플레이트 연결 지지구조(530)는, 제1 지지 플레이트(510)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511)과 제2 지지 플레이트(520)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521)에 각각 안착되며, 하부 안착홈(51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512)와 상부 안착홈(521)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522)에 의해 거치되며, 전단 안착홈(4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됨에 따라 전달되는 외력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500)는, 플레이트 연결 지지구조(530)가 전단 안착홈(4232)의 벽면을 따라 안착된 뒤, 수직 프레임(4121)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전달되면 플레이트 연결 지지구조(530)가 전단 안착홈(4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지지 롤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플레이트 연결 지지구조(530)는, 지지 원판(531), 연결 베어링(532), 밀착 휠(533), 전단홈(534), 전단 지지 탄성체(535-1, 535-2), 후단홈(536) 및 후단 지지 탄성체(537-1, 537-2)을 포함한다.
지지 원판(531)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외측에 연결 베어링(532)이 연결 설치된다.
연결 베어링(532)는, 지지 원판(531)의 외측에 설치되고, 외측에 밀착 휠(533)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밀착 휠(533)은, 연결 베어링(532)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지지 원판(531)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전단홈(534)은, 제1 거치 바아(512)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원판(531)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지지 원판(531)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지지 원판(531)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전단 지지 탄성체(535-1, 535-2)은, 전단홈(534)에 안착된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전단홈(534)에서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후단홈(536)은, 제2 거치 바아(522)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원판(531)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전단홈(534)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지지 원판(531)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지지 원판(531)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된다.
후단 지지 탄성체(537-1, 537-2)은, 후단홈(536)에 안착된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설치되어 후단홈(536)에서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플레이트 연결 지지구조(530)는, 제1 거치 바아(512)와 제2 거치 바아(522)에 의해 지지되는 구성으로서, 외력이 없는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단 안착홈(4232)의 중심 부위에 안착되어 있다가, 수직 프레임(4121)를 통해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전달되면 제1 거치 바아(512) 또는 제2 거치 바아(522)를 지지하고 있는 전단 지지 탄성체(535-1, 535-2) 또는 후단 지지 탄성체(537-1, 537-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전단 안착홈(4232)의 벽면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수직 프레임(4121)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수송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송장치(20)는, 대차 본체(600), 전면 게이트(700) 및 바퀴(800)를 포함한다.
대차 본체(600)는, 물품(P)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선반(S)으로 수송될 물품(P)을 내부 공간에 적재할 수 있도록 직선형 프레임 또는 곡선형 프레임 등의 다수 프레임들을 이용하여 박스 형태로 제작되되, 상측 및 전단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하측 각 모서리에 바퀴(800)가 설치된다.
전면 게이트(700)는, 대차 본체(600)의 전단 개구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이 대차 본체(600)의 전단 개구부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바퀴(800)는, 대차 본체(600)의 이동을 위해 대차 본체(600)의 하부 각 모서리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송장치(20)는, 물품 보관 시설의 해당 층에서 해당 층의 수평 방향으로 물품(P)을 수송하기 이한 장치로서, 안정적인 물품(P)의 수송이 가능하도록 하여 물품 보관 시설의 보관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도 11의 전면 게이트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전면 게이트(700)는, 하부 프레임(710), 상부 프레임(72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격 완충부(730) 및 체결 클램프(740)를 포함한다.
하부 프레임(710)은,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711a, 711b)이 대차 본체(600)의 전단 개구부의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대차 본체(600)의 전단 개구부의 하측 절반을 덮는다.
상부 프레임(720)은, 하부 일측 및 다른 일측(721a, 721b)이 하부 프레임(710)의 상부 일측 및 다른 일측에 볼트(B) 및 너트(N)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한 힌지 구조 등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대차 본체(600)의 전단 개구부의 상측 절반을 덮으며, 대차 본체(600)에 적재되어 있는 물품(P)을 대차 본체(600)로부터 하차시 임시로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측이 하측으로 회동되어 물품(P)이 적재될 적재 선반에 안착된다.
충격 완충부(730)는, 상부 프레임(720)의 적재 선반에의 안착 시 상부 프레임(720)과 적재 선반 간의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720)의 전단 상측을 따라 설치된다.
체결 클램프(740)는, 하부 프레임(710) 및 상부 프레임(720)의 일측 및 다른 일측과 대차 본체(600)의 전단 개구부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체결하여 하부 프레임(710) 및 상부 프레임(720)가 대차 본체(600)의 개구부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체결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면 게이트(700)는, 상부 프레임(720)을 체결하고 있는 체결 클램프(740)만을 분리시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720)를 회동시켜 적재 선반(S2)에 안착시켜 물품(P)을 해당 적재 선반(S2)으로 상부 프레임(720)의 상측에 안착시키면서 간편하게 이동시킴으로써, 낮은 적재 선반(S1) 또는 높은 적재 선반(S2) 선택적으로 하부 프레임(710) 또는 상부 프레임(720)을 개폐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2의 충격 완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충격 완충부(730)는, 완충 케이스(731) 및 케이스 지지부(732)를 포함한다.
완충 케이스(731)는, 하측이 밀폐된 주름관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이 상부 프레임(720)의 전단에 설치되며, 내측에 케이스 지지부(732)가 설치된다.
케이스 지지부(732)는, 상측이 상부 프레임(720)의 전단에 밀착되고 하측이 완충 케이스(731)의 내측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완충 케이스(73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완충 케이스(731)가 적재 선반이 안착됨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충격 완충부(730)는, 상부 프레임(720)이 적재 선반(S1)에 안착됨에 있어 상부 프레임(720)과 적재 선반(S1) 간의 충격에 의해 상부 프레임(720) 또는 적재 선반(S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부 프레임(720)의 상측에 안착되면서 수송되는 물품(P)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적재 선반(S1)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케이스 지지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케이스 지지부(900)는, 제1 지지대(910), 제2 지지대(920) 및 제3 지지대(93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대(910)는, 상부 프레임(720)의 전단에 밀착되어 상부 프레임(720)의 전단을 지지하며, 제2 지지대(920)에 의해 지지된다.
제2 지지대(920)는, 제1 지지대(910)의 하부에 120°의 각도로 서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되며, 하측으로 갈수록 제1 지지대(91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제1 지지대(910)를 지지하는 제1 지지 프레임(921), 제2 지지 프레임(922) 및 제3 지지 프레임(923)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제1 지지대(9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준다.
제3 지지대(930)는, 제1 지지 프레임(921)의 하부와 제2 지지 프레임(922)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지지 프레임(921)의 하부와 제2 지지 프레임(922)의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1 간격 프레임(931), 제2 지지 프레임(922)의 하부와 제3 지지 프레임(923)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2 지지 프레임(922)의 하부와 제3 지지 프레임(923)의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2 간격 프레임(932), 및 제1 지지 프레임(921)의 하부와 제3 지지 프레임(923)의 하부 사이에 설치되어 제1 지지 프레임(921)의 하부와 제3 지지 프레임(923)의 하부 사이를 지지하는 제3 간격 프레임(933)으로 이루어지며, 완충 케이스(731)의 내측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완충 케이스(731)의 내측 바닥면을 지지함으로써, 제1 지지 프레임(921), 제2 지지 프레임(922) 및 제3 지지 프레임(923)에 의해 형성되는 삼각 구조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케이스 지지부(900)는, 상부 프레임(720)을 지지하여 상부 프레임(72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킴으로써, 상부 프레임(720)이 적재 선반(S1)에 안착됨에 있어 상부 프레임(720)과 적재 선반(S1) 간의 충격에 의해 상부 프레임(720) 또는 적재 선반(S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부 프레임(720)의 상측에 안착되면서 수송되는 물품(P)에 의한 진동 또는 충격 등이 적재 선반(S1)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제2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지지대(910)는, 밀착 원판부(911), 지지 기둥부(912), 삼각 기둥부(913) 및 기둥 지지부(914)를 포함한다.
밀착 원판부(911)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기둥부(912)에 의해 지지되며, 상부 프레임(720)의 전단에 밀착되어 상부 프레임(720)의 전단을 지지한다.
지지 기둥부(912)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밀착 원판부(911)의 하측에 설치되며, 삼각 기둥부(913)의 기둥 안착홈(913a)에 안착되어 기둥 지지부(914)에 의해 하측이 지지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
삼각 기둥부(913)은, 제1 지지 프레임(921), 제2 지지 프레임(922) 및 제3 지지 프레임(923)의 각 상부가 서로 120° 간격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3 개의 측면을 형성하는 삼각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에 지지 기둥부(912)가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기 위한 기둥 안착홈(913a)을 형성한다.
기둥 지지부(914)는, 기둥 안착홈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 기둥부(912)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지지대(910)는, 상부 프레임(72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기둥 지지부(914)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쇄시키는 1차 완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7 내지 도 19는 도 15의 제1 지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제1 지지 프레임(921)은, 상부 지지 프레임(9211), 중간 지지 프레임(9212), 프레임 지지체(9213), 하부 지지 프레임(9214) 및 바닥 지지대(92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지지 프레임(922) 및 제3 지지 프레임(923)은, 제1 지지 프레임(921)의 구성요소가 동일하게 적용되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해당하는 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 지지 프레임(9211)은, 삼각 기둥부(913)의 일 측면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H1)되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제1 지지대(910)의 중심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중간 지지 프레임(9212)의 내부 공간(9212a)에 안착되어 프레임 지지체(9213)에 의해 단부가 지지된 상태로 삼각 기둥부(913)이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내부 공간(9212a)에서 슬라이딩 이동된다.
중간 지지 프레임(9212)은, 상부 지지 프레임(9211)이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9212a)을 형성하며, 제2 지지대(920)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부 지지 프레임(9211)이 내부 공간(9212a)으로 슬라이딩 인 또는 내부 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아웃되도록 하여 제2 지지대(920)의 지지 높이를 조절한다.
프레임 지지체(9213)는, 중간 지지 프레임(9212)의 내부 공간의 단부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지지 프레임(9211)을 지지하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상측이 하부 지지 프레임(9214)의 다른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H2)되어 거치된다.
하부 지지 프레임(9214)은,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일측이 바닥 지지대(9215)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H3)되며, 다른 일측이 중간 지지 프레임(9212)의 하부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H2)되어 중간 지지 프레임(9212)의 하부를 거치시켜 지지한다.
바닥 지지대(9215)는, 바닥면에 안착되어 제1 간격 프레임(931) 및 제3 간격 프레임(933)에 의해 제2 지지 프레임(922)의 하측 또는 제3 지지 프레임(923)의 하측과의 간격이 지지되며, 상부에 하부 지지 프레임(9214)의 일측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H3)된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지지 프레임(9214)은, 돌출턱(9216) 및 간격 지지 탄성체(9217)를 구비할 수 있다.
돌출턱(9216)은, 다른 일측의 하측에 설치되며, 중간 지지 프레임(9212)의 하부 상측면과 대향하는 하측 경사면을 형성하며, 간격 지지 탄성체(9217)가 하측 경사면에 설치된다.
간격 지지 탄성체(9217)는, 돌출턱(9216)의 하측 경사면과 중간 지지 프레임(9212)의 하부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돌출턱(9216)와 중간 지지 프레임(9212)의 하부 상측면 사이의 간격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지지 프레임(921)은, 제1 지지대(91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제1 지지대(910)에 의한 1차 완충 이후에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91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 또는 이동함에 따라 상부 지지 프레임(9211)이 중간 지지 프레임(9212)의 내부 공간(9212a)으로 삽입됨에 따라 제1 지지대(9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 등을 2차 완충 기능을 수행하고, 중간 지지 프레임(9212)과 하부 지지 프레임(9214) 간의 경사 각도가 줄어듦에 따라 3차 완충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제1 지지대(910)로부터 플레이트 지지대(531)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수송장치
100: 레일부
200: 수송부
300: 구동부
400: 프레임간 지지구조
500: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
600: 대차 본체
700: 전면 게이트
800: 바퀴
900: 케이스 지지부

Claims (2)

  1. 물품을 수송하기 위한 수송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수송장치는, 물품 보관 시실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부를 따라 승강 또는 하강되어 물품 보관 시설의 다른 층으로 물품을 수송시키는 수송부; 및 상기 레일부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수송부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는 와이어를 권취 또는 권출시키면서 상기 수송부를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송부는, 내부 공간에 물품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에 상기 와이어가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의 내부 공간을 따라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물품을 수송하는 승강 박스부; 수송 중인 물품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상기 승강 박스부의 내측면을 따라 거치되는 적재 선반부; 및 상기 적재 선반부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승강 박스부의 내측 천장면과 상기 적재 선반부 사이를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선반 거치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반 거치부는, 전단이 상측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
    Figure 112020130707587-pat00005
    "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이 상기 승강 박스부의 내측 천장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거치 프레임; 후단이 하측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
    Figure 112020130707587-pat00006
    " 형태로 형성되며, 전단이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내측에 맞물려 탈부착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후단 하측이 상기 적재 선반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적재 선반부를 거치하는 제2 거치 프레임; 및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내측에 체결되는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의 전단 하측을 지지하며,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을 통해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감쇄시키는 프레임간 지지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간 지지구조는, "+"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거치 프레임의 전단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 및 상기 제1 거치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안착되는 상기 상부 지지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는, 제1 받침대, 제2 받침대, 제3 받침대 및 제4 받침대가 서로 직각이 되도록 중심으로부터 4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 형태로 형성되는 안착 프레임;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1 수직 지지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2 수직 지지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3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3 수직 지지대; 및 상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4 받침대를 지지하는 제4 수직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지지부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 블록부; 상기 안착 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여 "+" 형태로 상기 고정 블록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안착홈; 상기 제1 수직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1 수직 지지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 프레임 안착홈; 상기 제2 수직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2 수직 지지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2 프레임 안착홈; 상기 제3 수직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3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3 수직 지지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3 프레임 안착홈; 및 상기 제4 수직 지지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4 받침대의 선단부와 대향하는 상기 프레임 안착홈의 일 단부로부터 상기 제4 수직 지지대의 형대에 대응하여 하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4 프레임 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직 지지대는, 사각 기둥 형태로 연장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받침대의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 안착홈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 및 상기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와 대칭되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후단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 안착홈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 후단 지지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 전단 지지구조는, 하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직 프레임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상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와 상하 방향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과 대향하는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수직 프레임로부터 멀어지게 전단 방향으로 경사지고, 하부가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과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에 각각 안착되며, 상기 하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1 거치 바아와 상기 상부 안착홈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제2 거치 바아에 의해 거치되는 플레이트 연결 지지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 연결 지지구조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원판; 상기 지지 원판의 외측에 설치되는 연결 베어링; 상기 연결 베어링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지지 원판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밀착 휠; 상기 제1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원판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지지 원판의 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원판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전단홈; 상기 전단홈에 안착된 상기 제1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단홈에서 상기 제1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전단 지지 탄성체; 상기 제2 거치 바아가 관통하고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원판을 관통하고 형성되되, 상기 전단홈과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원판의 후단 하측으로부터 상기 지지 원판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후단홈; 및 상기 후단홈에 안착된 상기 제2 거치 바아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후단홈에서 상기 제2 거치 바아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후단 지지 탄성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

  2. 삭제
KR1020200130998A 2020-10-12 2020-10-12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 KR102216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98A KR102216188B1 (ko) 2020-10-12 2020-10-12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0998A KR102216188B1 (ko) 2020-10-12 2020-10-12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188B1 true KR102216188B1 (ko) 2021-02-15

Family

ID=74560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998A KR102216188B1 (ko) 2020-10-12 2020-10-12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1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237A (ja) * 1996-01-29 1997-08-05 Zeon Kasei Co Ltd 部品用コンテナ台車
KR101217098B1 (ko) 2011-02-01 2013-01-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호퍼형 일관수송 용기
KR101359020B1 (ko) 2012-05-29 2014-02-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탱크형 수송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2237A (ja) * 1996-01-29 1997-08-05 Zeon Kasei Co Ltd 部品用コンテナ台車
KR101217098B1 (ko) 2011-02-01 2013-01-0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호퍼형 일관수송 용기
KR101359020B1 (ko) 2012-05-29 2014-02-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탱크형 수송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2562B1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4688824B2 (ja) 天井走行車システム及び天井走行車システムの周囲の処理装置の搬出入方法
NL2018723B1 (en) Vehicle for moving a container and system allowing such vehicle to move the container
TWI477425B (zh) Upwind buffer and transfer system for elevated transport vehicles
KR101823931B1 (ko) 차량 적재 운반용 자동차의 리프트 적재 장치
KR102216188B1 (ko)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
KR102219968B1 (ko)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저장장치
KR101422672B1 (ko)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AU20083302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acking loads in vehicles
JP3166108U (ja) 輸送用のコンテナ
RU2007139278A (ru) Вагон для перевозки дорожных автомобилей с подвижными опорными плоскостями между позицией перевозки и позицией между вагонами, а также поезд, составленный из таких вагонов
JP2013103712A (ja) 線材コイル等積載用可動ラック装置、及びトラック又はトレーラー
KR102216186B1 (ko) 타이어 이송 장치
KR20130052244A (ko)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장착
KR101155086B1 (ko) 카 캐리어 차량의 리어 게이트 접철구조
KR102105195B1 (ko) 화물 적재 차량
KR200476662Y1 (ko) 트럭 적재함용 이동식 펜스 장치
JP5821823B2 (ja) 物品収納設備
CN220298535U (zh) 大屏幕生产用运送车组合结构、装载车、辅助推车
JP3173308U (ja) 線材コイル等積載用可動ラック装置、及びトラック又はトレーラー
KR102529320B1 (ko) 내진(耐震)컨테이너
KR102133833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JP2003165444A (ja) 搬送台車
CN216332241U (zh) 一种稳定性高的物流仓储转运装置
KR102093482B1 (ko) 자재 이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