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3833B1 - 사다리차의 운반카 - Google Patents

사다리차의 운반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3833B1
KR102133833B1 KR1020190028682A KR20190028682A KR102133833B1 KR 102133833 B1 KR102133833 B1 KR 102133833B1 KR 1020190028682 A KR1020190028682 A KR 1020190028682A KR 20190028682 A KR20190028682 A KR 20190028682A KR 102133833 B1 KR102133833 B1 KR 102133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rail
ladder
transport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용
김영길
김도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룡
Priority to KR1020190028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3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다리차의 운반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다리 붐을 따라 이동되는 운반카의 2개의 이동체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좌우 유동을 방지하여 적재대 위해 무거운 짐을 올려도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정성이 요구되는 물건들도 탑재하여 승, 하강 작업이 가능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측면레일(211)의 상부는 상단레일(214)과 하부는 하단레일(215)에 의해 연결되는 사각 틀체 형상으로, 차량(1)에 탑재된 상태로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붐대(100)의 가이드판(101) 상부면과 하부면 접촉되도록 전방측 안내로울러(216)와 후방측 안내로울러(217)들이 구비되고, 가이드판(101)의 양쪽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사이드롤러(218)를 양쪽의 측면레일(211)에 회전 자유롭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 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후레임(210)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며, 윈치 와이어(2)에 연결되어 승강 이동되도록 윈치롤러(221)가 중앙 하부로 설치되고, 상단부 각 코너에는 적재대(300)에 힌지 연결되도록 브라켓트(222)들이 구비되는 가동 후레임(220);을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후레임(210)의 측면레일(211)은 "ㄷ" 형상으로 개구부(212)가 외부를 향하도록 하고, 상기 가동 후레임(220)에는 지지브라켓트(410)에 핀(420)을 축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지지로울러(400)를 구비하여, 상기 측면레일(211)의 양쪽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어 좌우 방향으로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다리차의 운반카{Carriage car of the ladder unit}
본 발명은 사다리차의 운반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다리 붐을 따라 이동되는 운반카의 2개의 이동체가 슬라이드 이동될 때 좌우 유동을 방지하여 적재대 위해 무거운 짐을 올려도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고, 안정성이 요구되는 물건들도 탑재하여 승, 하강 작업이 가능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가 사다리차는 다단의 붐을 길이방향으로 단계적으로 인출하여 소정 길이로 신장한 후 건물의 고소에 안착시키고, 다단의 붐을 따라 운반카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져, 이삿짐이나 화물 등의 중량물을 편리하게 상, 하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통상의 사다리차를 도시한 것으로, 사다리차(1)는 차량 위에서 다단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단의 붐대(100)들과, 다단의 붐을 타고 승강하는 운반카(200)가 도시하지 않은 윈치수단의 작동으로 드럼에 권취되어 있는 와이어(2)의 일단을 연결하여 화물을 적재시키는 적재대(300)와 함께 운반카(200)를 승강시키게 된다.
그리고, 붐대(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붐대 각도조절 실린더(4)가 구비되어 원하는 각도와 높이에서 건축물을 대상으로 운반카(200)를 승강시켜 적재물을 운반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국내 공개 특허공보 제10-2011-0032217 (2011년03월30일 공개)
국내 공개 특허공보 제10-2011-0112950 (2011년10월14일 공개)
국내 등록특허 제10-1592363호 (2016년02월01일 등록)
통상적으로, 붐대(100)를 따라 이동되는 운반카(200)의 상부에 적재대(300)를 탑재한 상태로 주로 최선단과 최하단 위치에서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이 수행된다.
종래, 운반카(200)는 주행의 안정성을 위해 상하 주행방향으로 길이를 가급적 크게 설계하고, 그 상단부와 하단부 양쪽 전, 후방으로 사이드롤러(216(217)들을 브라켓트들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최선단의 위치로 운반카(200)를 이동하여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적재대(300)가 운반카(200)의 중심으로부터 비교적 거리를 유지한 상태로 높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안정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운반카(200)의 후레임 자체 길이가 길게 제작되어 있으므로 최하단의 위치로 운반카(20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도 적재대(300)의 최하단에서의 작업 위치도 높아질 수 밖에 없으므로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데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 제10-1592363호 에서와 같이 운반카(200)를 사다리 붐대(100)를 따라 승강 이동되는 사각 틀체형상의 베이스 후레임과, 이 베이스 후레임의 양쪽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적재대와 연결되는 가동 후레임으로 분할되는 운반카의 구성이 알려져 있었다.
따라서, 운반카의 베이스 후레임은 최하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동 후레임은 지면을 향해 더 슬라이드 이동되는 것에 의해, 가동 후레임에 연결된 적재대는 지면에 최대한 근접되게 위치되어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상기한 국내 등록특허 제10-1592363호의 구성은 베이스 후레임의 양쪽 레일부의 개구부가 내측을 향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가동 후레임에 마련된 바퀴가 레일부의 바닥면에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드 되는 과정에서 구름 운동하게 된다.
그러나, 바퀴에 의해 가동 후레임이 직선으로 슬라이드 되는 방향으로의 저항을 줄일 수는 있었으나, 슬라이드 이동될 때 가동 후레임의 좌우 흔들림을 막아주는 별도의 지지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이와 같이 좌우방향 지지수단이 없는 구조에서 가동 후레임에 연결되는 적재대의 상부로 무거운 화물을 탑재하게 되면, 베이스 후레임의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때 가동 후레임과 함께 적재대가 심하게 흔들려서 화물이 낙하되어 2차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예로서 이삿짐의 운반 작업에 적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안정성이 요구되는 중요 작업 대상물들의 운반은 불가능한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가동 후레임이 슬라이드 이동될 때 좌우 흔들림을 막아주는 지지수단이 마련되어 주행 안정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사다리차의 운반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하단 위치에서 적재대를 지면에 근접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다리차의 운반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 후레임이 지면에 접촉되더라도 그 충격과 소음을 저감시켜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는 사다리차의 운반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측면레일(211)의 상부는 상단레일(214)과 하부는 하단레일(215)에 의해 연결되는 사각 틀체 형상으로, 차량(1)에 탑재된 상태로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붐대(100)의 가이드판(101) 상부면과 하부면 접촉되도록 전방측 안내로울러(216)와 후방측 안내로울러(217)들이 구비되고, 가이드판(101)의 양쪽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사이드롤러(218)를 양쪽의 측면레일(211)에 회전 자유롭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 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후레임(210)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며, 윈치 와이어(2)에 연결되어 승강 이동되도록 윈치롤러(221)가 중앙 하부로 설치되고, 상단부 각 코너에는 적재대(300)에 힌지 연결되도록 브라켓트(222)들이 구비되는 가동 후레임(220);을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후레임(210)의 측면레일(211)은 "ㄷ" 형상으로 개구부(212)가 외부를 향하도록 하고,
상기 가동 후레임(220)에는 지지브라켓트(410)에 핀(420)을 축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지지로울러(400)를 구비하여, 상기 측면레일(211)의 양쪽 내측면에 각각 면접촉되어 좌우 방향으로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지지브라켓트(410)는 "ㄷ" 형상으로 절곡되어 그 상하부에는 핀(420)이 끼워진 상태로 좌우로 일정 길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공(411)을 뚫고, 수직부에는 핀(420)의 이동 길이를 제한하도록 스터드볼트(430)를 나사 체결하게 된다.
또, 이 스터드볼트(430)의 풀림을 방지하는 너트(440)가 지지브라켓트(410)의 외측으로 나사 체결된다.
또, 이 스터드볼트(430)와 핀(420) 사이에는 압축스프링(450)이 개재되어 핀(42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지지로울러(400)에 탄력 지지하게 된다.
이때 스터드볼트(430)의 단부에는 돌기(431)를 돌출 성형하여 압축스프링(45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측면레일(211)의 개구부(212) 끝단부에는 하부를 향해 수직살(213)이 일체로 연장 성형되어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상기 가동 후레임(220)에는 상기 측면레일(211)의 개구부(212)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로울러(230)가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 후레임(210)의 하단레일(215)에는 완충댐퍼(500)가 설치된다.
이 완충댐퍼(500)는 고무 또는 실리콘재로 하단레일(215)의 외부를 감싸지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측면레일의 내측 양쪽에서 지지로울러들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과정에서 가동 후레임이 좌우로 유동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완전하게 방지하게 되어 무거운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도 좌우로 흔들림 없이 안정된 주행을 유도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운반카(200)가 최하단으로 이동될 때 적재대(300)의 설치 위치를 지면에 더욱 근접시킬 수 있어 화물의 탑재나 하역이 보다 용이해진다.
그리고, 가동 후레임이 지면에 먼저 접촉될 때 완충댐퍼에 의해 충격과 소음을 저감시켜 내구성과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사다리차에 운반카가 탑재된 상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운반카가 사다리차의 붐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운반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운반카 구성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베이스 후레임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가동 후레임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운반카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8의 B부 확대도.
도 10은 도 4의 C부 확대도
도 11은 지지브라켓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로울러가 측면레일에 접촉되는 상태를 보인 요부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2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반카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통상의 사다리차(1)에는 붐대(100)가 다단으로 도시하지 않은 윈치 수단에 의해 안테나식으로 신축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으며, 붐대(100)가 신장된 상태에서는 짐을 탑재하는 운반카(200)가 붐대(100)의 가이드판(101) 안내로 승강 이동된다.(도 2)
이 붐대(100)는 붐대 각도조절 실린더(4)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조절가능하게 된다.
각 붐대(100)들은 좌우 양측이 대칭되게 "ㄷ" 단면 형상으로 거리를 두고 내부를 향해 가이드판(101)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운반카(200)는 사각 틀체형상으로 짜여지는 베이스 후레임(210)의 안내로 붐대(100)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안내되는 가동 후레임(220)으로 분할되어 있다.
베이스 후레임(210)은 붐대(100)를 따라 양쪽으로 나란하게 위치되는 측면레일(211)의 상부는 상단레일(214)과, 하부는 하단레일(215)에 의해 연결되는 사각 틀체 형상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붐대(100)의 가이드판(101) 상부면과 하부면 접촉되도록 베이스 후레임(210)에는 전방측 안내로울러(216)와 후방측 안내로울러(217)들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 측면레일(211) 선단에는 가이드판(101)의 양쪽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사이드롤러(218)가 회전 자유롭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동 후레임(220)은 상기 베이스 후레임(210)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며, 윈치 와이어(2)에 연결되어 승강 이동되도록 윈치롤러(221)가 중앙 하부로 설치된다.
그리고, 가동 후레임(220)의 상단부 각 코너 위치에는 적재대(300)에 직접 힌지 연결되거나, 실린더(301)를 통해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브라켓트(222)들이 고정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운반카(200)는 가동 후레임(220)의 상부로 적재대(300)가 탑재되어 윈치수단에 의해 윈치 와이어(2)가 상부로 당길 때는 붐대(100)를 따라 전방측 안내로울러(216) 및 후방측 안내로울러(217)들과 사이드롤러(218)들이 가이드판(101)의 상하 좌우 양쪽에서 각각 접촉된 상태로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운반카(200)가 붐대(100)의 최선단에 윈치수단의 윈치 와이어(2) 구동으로 도달하게 되고, 하강할 때는 화물과 운반카(200)의 자중에 의해 최하단 위치까지 하강시킨 후 적재대(300)에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베이스 후레임(210)의 측면레일(211)이 "ㄷ" 형상으로 개구부(212)가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하게 된다.
또, 상기 가동 후레임(220)에는 지지브라켓트(410)에 핀(420)을 축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지지로울러(400)들을 구비하게 된다.
이 지지로울러(400)들은 탄성과 마찰력이 양호하고 강도가 높은 수지재로 성형되어 지되, 상기 수지재는 폴리아미드수지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로우러(400)은 핀(42)과 베어링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측면레일(211)의 양쪽 내측면에 각각 면 접촉된 상태이므로, 가동 후레임(220)이 베이스 후레임(2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될 때 좌우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무거운 이삿짐을 포함한 안정감이 요구되는 각종 화물을 안정되게 목적지 까지 상승 또는 하강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지브라켓트(410)는 강도가 우수한 철금속재로 "ㄷ" 단면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부와 하부 절곡부에는 핀(420)이 끼워진 상태로 좌우로 일정 길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공(411)이 뚫어진다.
그리고, 지지브라켓트(410)의 수직부에는 핀(420)의 이동 길이를 제한하도록 스터드볼트(430)를 나사 체결하게 된다.
이 스터드볼트(430)는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지지로울러(400)가 측면레일(211)의 내측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적절한 압력으로 가압되게 하여 가동 후레임(220)이 이동될 때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과 흔들림을 안정되게 제어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소음 발생도 방지하게 된다.
이 스터드볼트(430)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너트(440)를 지지브라켓트(410)의 외측으로 나사 체결하는 것이 안정적이다.
한편, 상기 스터드볼트(430)와 핀(420) 사이에는 압축스프링(450)이 개재되어 핀(42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지지로울러(400)를 측면레일(211)에 항상 일정한 탄력으로 밀착되어 유동되는 것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스터드볼트(430)의 단부에는 돌기(431)를 돌출 성형하여 압축스프링(4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측면레일(211)의 개구부(212) 끝단부에는 하부를 향해 수직살(213)이 일체로 연장 성형되어 강도를 보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 후레임(220)에는 상기 측면레일(211)의 개구부(212)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로울러(230)가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베이스 후레임(210)의 하단레일(215)에는 완충댐퍼(500)가 설치된다.
이 완충댐퍼(500)는 고무 또는 실리콘재로 하단레일(215)의 외부를 감싸지게 고정 설치되어 운반카(200)가 붐대(100)를 따라 하강 이동될 때 베이스 후레임(210)의 하단레일(215)이 먼저 지면에 닿게 되는데, 이때 완충댐퍼(500)에 의해 그 충격과 소음을 저감시켜 운반카(200)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 충격 소음으로 인한 각종 민원 발생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운반카(200)의 가동 후레임(220)은 지지로울러(400)에 의해 베이스 후레임(210)의 측면레일(211) 양쪽 내측면에 탄력적으로 구름 자유롭게 접촉되어 있으므로, 가동 후레임(220)이 슬라이드 이동될 때 좌우 유동되거나 소음발생을 방지하게 되므로 항상 안정된 주행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1 - 사다리차 2 - 윈치 와이어
100 - 붐대 101 - 가이드판
200 - 운반카 210 - 베이스 후레임
211 - 측면레일 212 - 개구부
220 - 가동 후레임 300 - 적재대
400 - 지지로울러 410 - 지지브라켓트
420 - 핀

Claims (9)

  1. 측면레일(211)의 상부는 상단레일(214)과 하부는 하단레일(215)에 의해 연결되는 사각 틀체 형상으로, 차량(1)에 탑재된 상태로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붐대(100)의 가이드판(101) 상부면과 하부면 접촉되도록 전방측 안내로울러(216)와 후방측 안내로울러(217)들이 구비되고, 가이드판(101)의 양쪽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사이드롤러(218)를 양쪽의 측면레일(211)에 회전 자유롭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 후레임(210)과;
    상기 베이스 후레임(210)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며, 윈치 와이어(2)에 연결되어 승강 이동되도록 윈치롤러(221)가 중앙 하부로 설치되고, 상단부 각 코너에는 적재대(300)에 힌지 연결되도록 브라켓트(222)들이 구비되는 가동 후레임(220);을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후레임(210)의 측면레일(211)은 "ㄷ" 형상으로 개구부(212)가 외부를 향하도록 하고,
    상기 가동 후레임(220)에는 지지브라켓트(410)에 핀(420)을 축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지지로울러(400)를 구비하여, 상기 측면레일(211)의 양쪽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어 좌우 방향으로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트(410)는 "ㄷ" 형상으로 절곡되어 그 상하부에는 핀(420)이 끼워진 상태로 좌우로 일정 길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공(411)을 뚫고, 수직부에는 핀(420)의 이동 길이를 제한하도록 스터드볼트(430)를 나사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볼트(430)의 풀림을 방지하는 너트(440)가 지지브라켓트(410)의 외측으로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볼트(430)와 핀(420) 사이에는 압축스프링(450)이 개재되어 핀(420)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지지로울러(400)에 탄력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볼트(430)의 단부에는 돌기(431)를 돌출 성형하여 압축스프링(4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레일(211)의 개구부(212) 끝단부에는 하부를 향해 수직살(213)이 일체로 연장 성형되어 강도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 후레임(220)에는 상기 측면레일(211)의 개구부(212)에 끼워져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로울러(230)가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후레임(210)의 하단레일(215)에는 완충댐퍼(5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완충댐퍼(500)는 고무 또는 실리콘재로 하단레일(215)의 외부를 감싸지게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다리차의 운반카.



KR1020190028682A 2019-03-13 2019-03-13 사다리차의 운반카 KR102133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682A KR102133833B1 (ko) 2019-03-13 2019-03-13 사다리차의 운반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8682A KR102133833B1 (ko) 2019-03-13 2019-03-13 사다리차의 운반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3833B1 true KR102133833B1 (ko) 2020-07-22

Family

ID=71893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8682A KR102133833B1 (ko) 2019-03-13 2019-03-13 사다리차의 운반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383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217A (ko) 2009-09-22 2011-03-30 주식회사 호룡 고가 사다리차용 운반카 하중 측정 안전장치
KR20110112950A (ko) 2010-04-08 2011-10-14 강희곤 사다리차의 자동이송제어시스템
KR101592363B1 (ko) 2015-09-15 2016-02-05 강희곤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KR20170113897A (ko) * 2016-03-29 2017-10-13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 운반카의 각도 제어장치
KR20170122884A (ko) * 2016-04-27 2017-11-07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적재대 슬라이드장치
KR101848687B1 (ko) * 2017-09-29 2018-04-13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운반카 사이드롤러 슬라이드장치
KR101849521B1 (ko) * 2017-10-23 2018-04-17 주식회사 제이에스엘 저소 작업이 가능한 사다리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2217A (ko) 2009-09-22 2011-03-30 주식회사 호룡 고가 사다리차용 운반카 하중 측정 안전장치
KR20110112950A (ko) 2010-04-08 2011-10-14 강희곤 사다리차의 자동이송제어시스템
KR101592363B1 (ko) 2015-09-15 2016-02-05 강희곤 사다리차용 운반대차 장치
KR20170113897A (ko) * 2016-03-29 2017-10-13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 운반카의 각도 제어장치
KR20170122884A (ko) * 2016-04-27 2017-11-07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적재대 슬라이드장치
KR101848687B1 (ko) * 2017-09-29 2018-04-13 주식회사 호룡 사다리차의 운반카 사이드롤러 슬라이드장치
KR101849521B1 (ko) * 2017-10-23 2018-04-17 주식회사 제이에스엘 저소 작업이 가능한 사다리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687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사이드롤러 슬라이드장치
US10501296B2 (en) Linkage system for a forklift truck
US20170369293A1 (en) Outrigger comprising an apparatus for reducing vibrations
CN105473489A (zh) 用于曳引机轿厢的支承设备
KR102055270B1 (ko) 적재판의 승강 조절이 용이한 핸드카트
KR102133833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JP2007076789A (ja) 門型リフター
KR100916934B1 (ko) 사다리차용 운반대 및 이를 이용한 사다리차
KR102105866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슬라이드장치
KR101275437B1 (ko)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장착
KR20160076199A (ko) 지게차의 포크 카메라 장착구조
KR102215267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윤활장치
KR101955609B1 (ko) 고소작업차의 버켓 레스트
KR101650889B1 (ko) 지게차 적재장치가 구비된 화물차
KR102476163B1 (ko) 사다리차의 붐대 유격 방지장치
KR20040094062A (ko) 파레트용 중량물 운반장치
JP5686500B2 (ja) 搬送台車
JPH1053140A (ja) 昇降荷受け部付き支持装置
KR102540048B1 (ko) 차량 아우트리거 받침판의 보관기구
KR200367791Y1 (ko) 적재물 중량에 대응하여 승강하는 적재부를 구비한운반대차
JP6335034B2 (ja) 荷受台昇降装置
CN216071595U (zh) 一种具有多自由度的物流仓储机器人
KR102216186B1 (ko) 타이어 이송 장치
KR102300106B1 (ko) 체인 구동소음이 저감된 특장차용 리프트 게이트
KR102093482B1 (ko) 자재 이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