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5195B1 - 화물 적재 차량 - Google Patents

화물 적재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5195B1
KR102105195B1 KR1020190142877A KR20190142877A KR102105195B1 KR 102105195 B1 KR102105195 B1 KR 102105195B1 KR 1020190142877 A KR1020190142877 A KR 1020190142877A KR 20190142877 A KR20190142877 A KR 20190142877A KR 102105195 B1 KR102105195 B1 KR 102105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transfer
unit
load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휘영
Original Assignee
유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휘영 filed Critical 유휘영
Priority to KR1020190142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5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5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5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loading floor or a part thereof being movable to form the ra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4Loading land vehicles
    • B65G67/08Loading land vehicles using endless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화물도 안정적으로 운반 또는 이송할 수 있도록 구현한 화물 적재 차량에 관한 것으로, 차량;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적재함; 및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적재함 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물 적재 차량{CARGO LOADING VEHICLE}
본 발명은 화물 적재 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화물도 안정적으로 운반 또는 이송할 수 있도록 구현한 화물 적재 차량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소형 화물차량은 탑승 공간 후방에 각종 화물을 실어 운반할 수 있는 화물적재공간을 가진 적재함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적재함에는 양측에 사이드 게이트와 후방에 리어 게이트가 구비되어 화물을 싣고 내릴 때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소형화물차는 선단부에 구비된 탑승공간과 후방에 구비된 적재공간, 즉, 적재함으로만 구성된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업무목적상 항상 휴대하면서 수시로 사용해야 하는 각종, 공구나, 부품, 부피가 작은 자재나 물품 등을 따로 보관할 수 있는 사물함 등의 공간이 없어 관리 및 사용이 상당히 어렵고 어수선한 문제점이 따랐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82540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08258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다양한 종류의 화물도 안정적으로 운반 또는 이송할 수 있도록 차량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적재함을 구비할 수 있도록 구현한 화물 적재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작업자의 힘만으로 적재함으로 들어 올리거나, 적재함으로부터 바닥으로 하차하기 힘든 무게의 물품을 힘을 들이지 않고도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구현한 화물 적재 차량을 제공한다.
또한, 바닥면과 적재함 간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전체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면으로부터 적재함까지의 이송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한 가변형 이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한 화물 적재 차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차량은, 적재된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차량;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적재함; 및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적재함 도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차량은,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의 높이에 따라 또는 상기 적재함으로 적재하기 위한 물품의 이송 경사각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로 또는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로부터 바닥면으로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가변형 이송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형 이송 장치는, 전단이 바닥면을 향하고 후단이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물품을 상측 방향으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전달되는 물품을 바닥면으로 이송시키는 하부 이송부; 상기 하부 이송부의 전단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면에서 상기 하부 이송부의 전단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 전단이 상기 하부 이송부의 일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이송부의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후단이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에 안착되며, 상기 하부 이송부로부터 전달되는 물품을 상기 적재함으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전달되는 물품을 상기 하부 이송부로 이송시키는 제1 상부 이송부; 상기 하부 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상부 이송부와 이격 설치되어 대칭 구조를 이루며, 전단이 상기 하부 이송부의 다른 일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이송부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후단이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에 안착되며, 상기 하부 이송부로부터 전달되는 물품을 상기 적재함으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전달되는 물품을 상기 하부 이송부로 이송시키는 제2 상부 이송부; 상기 제1 상부 이송부의 후단과 상기 제2 상부 이송부의 후단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상부 이송부와 상기 제2 상부 이송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제1 상부 이송부 및 상기 제2 상부 이송부의 전단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제1 상부 이송부 및 상기 제2 상부 이송부의 전단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승하강부; 및 상기 제1 상부 이송부 및 상기 제2 상부 이송부의 후단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제1 상부 이송부 및 상기 제2 상부 이송부의 후단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승하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측에 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수평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에 안착 되는 하부 수평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상부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2 상부 이송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회동축이 관통 삽입되며, 상기 회동축을 지탱하기 위한 지탱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이 전단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면 하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방지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이송부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물품을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송시켜 주는 컨베이어 이송부; 및 상기 컨베이어 이송부의 양측에 각각 "ㅓ"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상부 이송부 또는 상기 제2 상부 이송부의 대향면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상부 이송부 또는 상기 제2 상부 이송부의 대향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상부 이송부 또는 상기 제2 상부 이송부는, 상기 하부 이송부와의 각 대향면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돌기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슬라이딩 이동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부는, 상기 하부 이송부의 전단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면에서 상기 하부 이송부의 전단을 지지하는 회동 지지대; 및 상기 회동 지지대의 후단 하측에 형성되는 안착 공간에 안착되며, 전단이 상기 안착 공간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 상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동 지지대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화물도 안정적으로 운반 또는 이송할 수 있도록 차량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적재함을 구비함으로써, 운전자의 화물 적재 또는 하차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 및 적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힘만으로 적재함으로 들어 올리거나, 적재함으로부터 바닥으로 하차하기 힘든 무게의 물품을 힘을 들이지 않고도 간편하게 수행함으로써, 작업자의 상하 작성의 능률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주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닥면과 적재함 간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전체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면으로부터 적재함까지의 이송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차량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차량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가변형 이송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가변형 이송 장치의 신장 또는 수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3의 하부 이송부과 제1 상부 이송부 또는 제2 상부 이송부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의 하부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9은 도 2의 가변형 이송 장치의 폴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차량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차량(10)은, 차량(100), 적재함(200) 및 적재함 도어(300)를 포함한다.
차량(100)은, 이동을 위한 교통 수단으로서 적재함(200)을 설치할 수 있는 일반적인 화물 차량이면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적용이 가능하다.
적재함(200)은, 차량(100)에 설치되어 물품(P)을 적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적재함 도어(300)은, 적재함(200)의 개구부(210)에 설치되어 개구부(210)를 개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차량(10)은, 다양한 종류의 화물도 안정적으로 운반 또는 이송할 수 있도록 차량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적재함을 구비함으로써, 운전자의 화물 적재 또는 하차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피로도 감소 및 적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차량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차량(20)은, 차량(100), 적재함(200), 적재함 도어(300) 및 가변형 이송 장치(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100), 적재함(200) 및 적재함 도어(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가변형 이송 장치(400)는, 적재함(200)의 개구부(210)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적재함(200)의 개구부(210)의 높이에 따라 또는 적재함(200)으로 적재하기 위한 물품(P)의 이송 경사각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적재함(200)의 개구부(210)로 또는 적재함(200)의 개구부(210)로부터 바닥면으로 물품(P)을 이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물 적재 차량(20)은, 작업자의 힘만으로 적재함(200)으로 들어 올리거나, 적재함(200)으로부터 바닥으로 하차하기 힘든 무게의 물품(P)을 힘을 들이지 않고도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가변형 이송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변형 이송 장치(400)는, 하부 이송부(410), 하부 지지부(420), 제1 상부 이송부(430), 제2 상부 이송부(440), 상부 지지부(450), 제1 승하강부(460) 및 제2 승하강부(470)를 포함한다.
하부 이송부(410)는, 전단이 바닥면을 향하고 후단이 적재함(200)의 개구부(210)(즉, 후단이 전단 보다 높을 곳에 위치하도록 경사지도록)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물품(P)을 상측 방향으로 이송시키거나, 적재함(200)으로부터 전달되는 물품(P)을 바닥면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후단이 제1 상부 이송부(430)와 제2 상부 이송부(440)의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이 하부 지지부(420)에 의하여 지지되고, 후단은 제1 승하강부(460)에 의하여 지지되어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이송 경사면이 조절된다.
하부 지지부(420)는, 하부 이송부(410)의 전단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면에서 하부 이송부(410)의 전단을 지지한다.
제1 상부 이송부(430)는, 전단이 하부 이송부(410)의 일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하부 이송부(410)의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후단이 적재함(200)의 개구부(210)에 안착되며, 하부 이송부(410)로부터 전달되는 물품(P)을 적재함(200)으로 이송시키거나, 적재함(200)으로부터 전달되는 물품(P)을 하부 이송부(410)로 이송시키며, 후단에 상부 지지부(45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이 제1 승하강부(460)에 의하여 지지되어 승강 또는 하강되며, 후단이 제2 승하강부(470) 에 의하여 지지되어 승강 또는 하강된다.
제2 상부 이송부(440)는, 하부 이송부(410)를 사이에 두고 제1 상부 이송부(430)와 이격 설치되어 대칭 구조를 이루며, 전단이 하부 이송부(410)의 다른 일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하부 이송부(410)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후단이 적재함(200)의 개구부(210)에 안착되며, 하부 이송부(410)로부터 전달되는 물품(P)을 적재함(200)으로 이송시키거나, 적재함(200)으로부터 전달되는 물품(P)을 하부 이송부(410)로 이송시키며, 후단에 상부 지지부(45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전단이 제1 승하강부(460)에 의하여 지지되어 승강 또는 하강되며, 후단이 제2 승하강부(470) 에 의하여 지지되어 승강 또는 하강된다.
상부 지지부(450)는, 제1 상부 이송부(430)의 후단과 제2 상부 이송부(440)의 후단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적재함(200)의 개구부(210)의 적재면(220)에 안착되어 제1 상부 이송부(430)와 제2 상부 이송부(440)를 지지한다.
제1 승하강부(460)는, 제1 상부 이송부(430) 및 제2 상부 이송부(440)의 전단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제1 상부 이송부(430) 및 제2 상부 이송부(440)의 전단의 설치 높이를 조절한다.
제2 승하강부(470)는, 제1 상부 이송부(430) 및 제2 상부 이송부(440)의 후단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제1 상부 이송부(430) 및 제2 상부 이송부(440)의 후단의 설치 높이를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변형 이송 장치(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과 적재함(200) 간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전체 길이가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닥면으로부터 적재함(200)까지의 이송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편의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도 5는 도 3의 상부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부 지지부(450)는, 수직 프레임(451), 상부 수평 프레임(452), 하부 수평 프레임(453), 지탱 프레임(454) 및 방지턱(455)을 포함한다.
수직 프레임(451)은,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측에 상부 수평 프레임(452)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측에 하부 수평 프레임(453)의 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면을 따라 지탱 프레임(454)이 설치되며, 전면 하측 테두리를 따라 방지턱(455)이 형성된다.
상부 수평 프레임(452)은, 수직 프레임(451)의 상측에 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적재면(220)과의 단차에 의해 제1 상부 이송부(430) 및 제2 상부 이송부(440)를 따라 승강된 물품(P)이 낙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451)과 적재면(220) 사이에 경사면을 형성한다.
하부 수평 프레임(453)은, 수직 프레임(451)의 하측에 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적재함(200)의 개구부(210)의 적재면(220)에 안착된다.
지탱 프레임(454)은, 수직 프레임(451)의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제1 상부 이송부(430)로부터 제2 상부 이송부(440)까지 연장 형성되는 회동축이 관통 삽입되며, 회동축을 지탱한다.
방지턱(455)은, 수직 프레임(451)이 전단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 프레임(451)의 전면 하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어 개구부(210)의 적재면(220)에 안착된다.
도 6은 도 3의 하부 이송부과 제1 상부 이송부 또는 제2 상부 이송부와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이송부(410)는, 컨베이어 이송부(411) 및 슬라이딩 돌기(412)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이송부(411)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물품(P)을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송시켜 주며, 양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돌기(412)가 연장 형성된다.
슬라이딩 돌기(412)는, 컨베이어 이송부(411)의 양측에 각각 "ㅓ"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제1 상부 이송부(430) 또는 제2 상부 이송부(440)의 대향면에 형성되는 슬라이딩 이동홈(431, 441)에 연결 설치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이송부(430) 또는 제2 상부 이송부(440)의 대향면의 슬라이딩 이동홈(431, 44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상부 이송부(430) 또는 제2 상부 이송부(440)는, 하부 이송부(410)와의 각 대향면을 따라 슬라이딩 돌기(412)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돌기(41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슬라이딩 이동홈(431, 441)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도 3의 하부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하부 지지부(420)는, 회동 지지대(421) 및 탄성 지지대(422)를 포함한다.
회동 지지대(421)는, 하부 이송부(410)의 전단 일측 또는 다른 일측에 상부가 볼트(B1) 등의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면에서 하부 이송부(410)의 전단(즉, 하측 부분)을 지지한다.
탄성 지지대(422)는, 회동 지지대(421)의 후단 하측에 형성되는 안착 공간(423)에 안착되며, 전단이 안착 공간(423)의 전단에 볼트(B2) 등의 연결 수단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후단 상측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424) 의한 탄성력을 이용하여 회동 지지대(421)를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지지부(420)는, 물품(P)의 이송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 인해 가변형 이송 장치(4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동 지지대(421)와 탄성 지지대(422) 간의 연결 구조를 이용하여 해당 진동이나 충격 등을 감쇄시킴으로써 가변형 이송 장치(4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변형 이송 장치(40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이송부(430)와 제2 상부 이송부(440)의 사이를 따라 하부 이송부(410)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이송부(430), 제2 상부 이송부(440) 및 하부 이송부(410)가 서로 대향하도록 수축시키며, 다음으로 도 10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승하강부(460) 및 제2 승하강부(470) 역시 제1 상부 이송부(430), 제2 상부 이송부(440) 및 하부 이송부(410)와 대향하도록 폴딩시키고, 상부 지지부(450)의 상부 수평 프레임(452)과 하부 수평 프레임(453) 역시 전단으로 폴딩함으로써 가변형 이송 장치(400)의 전체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로서는 물품의 상하차가 마무리되면 가변형 이송 장치(400)의 부피를 최소화시켜 적재함 등에 간단하게 보관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화물 적재 차량
100: 차량
200: 적재함
300: 적재함 도어
400: 가변형 이송 장치

Claims (2)

  1. 적재된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차량;
    상기 차량에 설치되어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적재함; 및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는 적재함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의 높이에 따라 또는 상기 적재함으로 적재하기 위한 물품의 이송 경사각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로 또는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로부터 바닥면으로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가변형 이송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변형 이송 장치는, 전단이 바닥면을 향하고 후단이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며, 바닥면으로부터 전달되는 물품을 상측 방향으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전달되는 물품을 바닥면으로 이송시키는 하부 이송부; 상기 하부 이송부의 전단 양측에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바닥면에서 상기 하부 이송부의 전단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 전단이 상기 하부 이송부의 일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이송부의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후단이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에 안착되며, 상기 하부 이송부로부터 전달되는 물품을 상기 적재함으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전달되는 물품을 상기 하부 이송부로 이송시키는 제1 상부 이송부; 상기 하부 이송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상부 이송부와 이격 설치되어 대칭 구조를 이루며, 전단이 상기 하부 이송부의 다른 일측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하부 이송부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후단이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에 안착되며, 상기 하부 이송부로부터 전달되는 물품을 상기 적재함으로 이송시키거나,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전달되는 물품을 상기 하부 이송부로 이송시키는 제2 상부 이송부; 상기 제1 상부 이송부의 후단과 상기 제2 상부 이송부의 후단 사이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 상부 이송부와 상기 제2 상부 이송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 상기 제1 상부 이송부 및 상기 제2 상부 이송부의 전단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제1 상부 이송부 및 상기 제2 상부 이송부의 전단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제1 승하강부; 및 상기 제1 상부 이송부 및 상기 제2 상부 이송부의 후단 외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제1 상부 이송부 및 상기 제2 상부 이송부의 후단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는 제2 승하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상측에 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수평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하측에 전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적재함의 개구부에 안착 되는 하부 수평 프레임; 상기 수직 프레임의 후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상부 이송부로부터 상기 제2 상부 이송부까지 연장 형성되는 회동축이 관통 삽입되며, 상기 회동축을 지탱하기 위한 지탱 프레임; 및 상기 수직 프레임이 전단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레임의 전면 하측 테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방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이송부는,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물품을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이송시켜 주는 컨베이어 이송부; 및 상기 컨베이어 이송부의 양측에 각각 "ㅓ"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 상부 이송부 또는 상기 제2 상부 이송부의 대향면에 연결 설치되어 제1 상부 이송부 또는 상기 제2 상부 이송부의 대향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부 이송부 또는 상기 제2 상부 이송부는, 상기 하부 이송부와의 각 대향면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돌기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슬라이딩 이동홈을 형성하는, 화물 적재 차량.
  2. 삭제
KR1020190142877A 2019-11-08 2019-11-08 화물 적재 차량 KR102105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877A KR102105195B1 (ko) 2019-11-08 2019-11-08 화물 적재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877A KR102105195B1 (ko) 2019-11-08 2019-11-08 화물 적재 차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5195B1 true KR102105195B1 (ko) 2020-04-27

Family

ID=7046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877A KR102105195B1 (ko) 2019-11-08 2019-11-08 화물 적재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51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913U (ko) * 2009-12-31 2011-07-07 임진우 도어록이 설치된 박스형 화물적재함
KR101082540B1 (ko) 2009-07-20 2011-11-10 이에프특장차 주식회사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KR20190082589A (ko) 2018-01-02 2019-07-10 씨제이대한통운 (주)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540B1 (ko) 2009-07-20 2011-11-10 이에프특장차 주식회사 윙바디 차량의 윙개폐보조장치
KR20110006913U (ko) * 2009-12-31 2011-07-07 임진우 도어록이 설치된 박스형 화물적재함
KR20190082589A (ko) 2018-01-02 2019-07-10 씨제이대한통운 (주) 윙바디 차량용 하차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05912A (en) Mechanism for transporting loads
KR101933858B1 (ko) 컨테이너
CN100431871C (zh) 飞机货物载运装置和输送货物进出飞机货舱的方法
KR20100063476A (ko) 도크 레벨러
JP4425276B2 (ja) 航空機の貨物室用の荷積みと荷降ろしのためのシステム
KR102105195B1 (ko) 화물 적재 차량
US10882434B2 (en) Payload carrying machine and dump body linkage
KR101211137B1 (ko) 수화물 이송장치
KR102481195B1 (ko) 자동차 루프레일에 구비되는 캐리어박스 승강장치
KR102195801B1 (ko) 탑재형 농산물 덤프 운반대
JP2015116920A (ja) トラックに積載可能なダンプ装置
KR102219968B1 (ko)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저장장치
JP2006176085A (ja) 吊下搬送装置
KR102216188B1 (ko) 수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보관장치
JPH0642399U (ja) 貨物自動車における積荷の搬送装置
JPH07228183A (ja) コンテナや車輌荷台用の荷役方法および荷役装置
KR102446761B1 (ko) 진입공간이 구비된 보관적재용 파렛트
JP7367648B2 (ja) 配送用車両
US376873A (en) Straw-stacker
US552145A (en) Grain dump and elevator
KR810002450Y1 (ko) 콘베이어 트럭
BE1018841A5 (nl) Laaddeur voor een laadbak van een voertuig.
JPH0348089B2 (ko)
JP3669654B2 (ja) リフター付き自動車
KR101726818B1 (ko) 차량화물 추락방지용 리프트 게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