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3482B1 - 자재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재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3482B1
KR102093482B1 KR1020200001842A KR20200001842A KR102093482B1 KR 102093482 B1 KR102093482 B1 KR 102093482B1 KR 1020200001842 A KR1020200001842 A KR 1020200001842A KR 20200001842 A KR20200001842 A KR 20200001842A KR 102093482 B1 KR102093482 B1 KR 1020934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warehouse
support
support portion
suppor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호상사
한정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호상사, 한정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호상사
Priority to KR1020200001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34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3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3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이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창고에 적재된 자재를 자유롭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고안된 자재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재를 적재하여 두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창고; 상기 창고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에 적재된 자재를 이동시키 위한 호이스트; 및 상기 창고에 설치되며, 상측에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선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자재 이송 시스템{MATERIAL TRANSFERING SYSTEM}
본 발명은 자재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이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창고에 적재된 자재를 자유롭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고안된 자재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hoist)는 일반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장착되어 내부에 설치된 체인, 스프로켓, 로우프 등을 이용하여 자재를 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승강시키는 장치로서,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각종 산업현장에서 널리 이용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호이스트의 종류를 구분하자면 크게 체인 블록, 공기 호이스트, 전기 호이스트 등이 있다.
그러므로, 상기 호이스트를 이용하면 각종 자재를 운반 또는 하적하는 작업을 훨씬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호이스트가 설치된 장치물은 운반 자재의 중량과 규모에 따라 그 형태와 구성이 매우 다양하나, 일반적인 형태에 따라 대용량의 자재를 운반할 수 있는 대형 호이스트 장치와, 1톤 이하의 소형 자재를 운반할 수 있는 소형 호이스트 장치로 구분하기로 한다.
상기 대형 호이스트 장치는 일반적으로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갖도록 철재 프레임을 축조하여 견고한 구조물을 완성하고, 상기 구조물의 상단부에는 호이스트가 수평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자재를 지면으로부터 승강시켜 운반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소형 호이스트 장치는 일반적으로 임의적으로 설치 및 해체가 가능한 복수개의 지지 프레임을 지면상에 수직하게 설치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단에는 호이스트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호이스트를 이용해 자재를 지면으로부터 승강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최근에는 상기한 소형 호이스트 장치를 개량하여 지면상에서 구름운동하며 이동되도록 구성된 호이스트 장치가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78044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1993-000202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호이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창고에 적재된 자재를 자유롭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고안된 자재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평소에는 물건을 적재해 두기 위한 창고의 바닥면으로서 활용을 하고, 제1 적재부와 제2 적재부만으로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선반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제1 적재부와 제2 적재부사이의 공간으로 보조 선반을 승강시켜 선반면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현한 자재 이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은, 자재를 적재하여 두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창고; 상기 창고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에 적재된 자재를 이동시키 위한 호이스트; 및 상기 창고에 설치되며, 상측에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선반;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호이스트는, 상기 창고의 상부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1 사이드 레일; 상기 창고의 상부 다른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2 사이드 레일; 일측이 상기 제1 사이드 레일에 안착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사이드 레일에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권취기; 양 단부가 상기 권취기에 체결되며, 상기 권취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권취기로 권취되거나 상기 권취기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와이어 로프에 의하여 공중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가 상기 권취기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하강하거나, 상기 와이어 로프가 상기 권취기로 권취됨에 따라 승강하면서 자재를 하강 또는 승강시켜 주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재 선반은, 상기 창고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적재부; 및 상기 창고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적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은, 상기 제1 적재부와 상기 제2 적재부 사이의 상기 창고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수납되며,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제1 적재부와 상기 제2 적재부의 적재면까지 승강되어 상기 제1 적재부와 상기 제2 적재부 사이에서 적재면을 형성하는 보조 선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선반은, 상기 안착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수납되며,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제1 적재부와 상기 제2 적재부의 적재면까지 승강되어 상기 제1 적재부와 상기 제2 적재부 사이에서 적재면을 형성하는 적재 플레이트; 강기 적재 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제1 단차면; 강기 적재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제2 단차면;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승강 기둥;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제1 수납홈에 수납되며, 상기 적재 플레이트가 승강되면 하측으로 회동되어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1 보조 기둥; 및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제2 수납홈에 수납되며, 상기 적재 플레이트가 승강되면 하측으로 회동되어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2 보조 기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적재 플레이트가 내부 공간으로 안착되면 상기 제1 단차면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덮개가 회동하여 상기 제1 단차면을 체결하고, 상기 제2 단차면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덮개가 회동하여 상기 제2 단차면을 체결하여 상기 창고의 바닥면과 상기 보조 선반의 상측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보조 기둥은, "T"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수납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지지부; "Y"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중간 지지부; 및 "U"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중간 지지부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창고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중간 지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바아;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아바와의 이격 공간에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측이 안착되도록 하는 제2 지지바아; 상부 일측에 상기 제1 지지바아가 형성되고, 상부 다른 일측에 상기 제2 지지바아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3 지지바아; 상기 제1 지지바아의 상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가이드관;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상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부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가이드관; 및 상기 바디의 상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와의 간격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보조 기둥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고, 하부 양측이 상기 하부 지지부의 하부 양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지지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시키는 탄성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조절부는, 상기 상부 지지부의 전단에 형성되는 체결홈에 안착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체결홈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로 바아; 상기 가로 바아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지지부의 하부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세로 바아; 상기 가로 바아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지지부의 하부 다른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세로 바아; 상기 체결홈에서 상기 가로 바아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로 바아가 상기 체결홈에서 승강되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제1 유체 공급 탱크; 상기 체결홈에서 상기 가로 바아의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로 바아가 상기 체결홈에서 하강되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하는 제2 유체 공급 탱크; 및 상기 바디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측에 지지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유체 공급 탱크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면 신장되어 상기 지지 스프링을 승강시켜 상기 상부 지지부를 지지하는 탄성력을 증가시켜 주는 제1 탄성 조절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호이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창고에 적재된 자재를 자유롭게 이송시킴으로써, 창고로 이송되어 오는 강관 등의 자재를 선반 등의 장소에 적재하여 창고의 적재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평소에는 물건을 적재해 두기 위한 창고의 바닥면으로서 활용을 하고, 제1 적재부와 제2 적재부만으로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선반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제1 적재부와 제2 적재부사이의 공간으로 보조 선반을 승강시켜 선반면으로 활용함으로써, 창고의 적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적재 선반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보조 선반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도 5의 제1 보조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제1 보조 기둥이 신장 또는 축소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10)은, 창고(100), 호이스트(200) 및 적재 선반(300)을 포함한다.
창고(100)는, 자재(M)를 적재하여 두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에 호이스트(200) 및 적재 선반(300)이 설치된다.
호이스트(200)는, 창고(1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창고(100)에 적재된 자재를 들어 올리거나 다른 장소로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호이스트(200)는, 제1 사이드 레일(210), 제2 사이드 레일(220), 슬라이딩 레일(230), 권취기(240), 와이어 로프(250) 및 후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이드 레일(210)은, 제2 사이드 레일(220)과 대향하며 창고(100)의 상부 일측을 따라 설치되며, 슬라이딩 레일(230)의 일측이 연결 설치되어 이동한다.
제2 사이드 레일(220)은, 제1 사이드 레일(210)과 대향하며 창고(100)의 상부 다른 일측을 따라 설치되며, 슬라이딩 레일(230)의 다른 일측이 연결 설치되어 이동한다.
슬라이딩 레일(230)은, 일측이 제1 사이드 레일(210)에 안착되고, 다른 일측이 제2 사이드 레일(220)에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권취기(240)가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권취기(240)는, 슬라이딩 레일(230)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슬라이딩 레일(230)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와이어 로프(250)의 양 단부를 체결하며 권취 또는 권출시키면서 후크(260)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와이어 로프(250)는, 양 단부가 권취기(240)에 체결되며, 권취기(240)의 구동에 따라 권취기(240)로 권취되거나 권취기(240)로부터 권출된다.
후크(260)는, 와이어 로프(250)에 의하여 공중에 설치되며, 와이어 로프(250)가 권취기(240)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하강하거나, 와이어 로프(250)가 권취기(240)로 권취됨에 따라 승강하면서 자재를 하강 또는 승강시켜 준다.
적재 선반(300)은, 창고(100)에 설치되며, 상측에 물건을 적재한다.
일 실시예에서, 적재 선반(300)은, 제1 적재부(310) 및 제2 적재부(320)를 포함한다.
제1 적재부(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적재부(320)와의 사이에 공간(S)을 두고 이격되어 창고(100)의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제2 적재부(320)는, 제1 적재부(310)와의 사이에 공간(S)을 두고 이격되어 창고(100)의 다른 일측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10)은, 호이스트 장치를 이용하여 창고에 적재된 자재를 자유롭게 이송시킴으로써, 창고로 이송되어 오는 강관 등의 자재를 선반 등의 장소에 적재하여 창고의 적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다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20)은, 창고(100), 호이스트(200), 적재 선반(300) 및 보조 선반(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창고(100), 호이스트(200) 및 적재 선반(300)은, 도 1 내지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보조 선반(400)은, 제1 적재부(310)와 제2 적재부(320) 사이의 창고(10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안착홈(500)에 수납되며, 안착홈(500)으로부터 제1 적재부(310)와 제2 적재부(320)의 적재면까지 승강되어 제1 적재부(310)와 제2 적재부(320) 사이(S)에서 적재면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재 이송 시스템(20)은, 평소에는 물건을 적재해 두기 위한 창고의 바닥면으로서 활용을 하고, 제1 적재부(310)와 제2 적재부(320)만으로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선반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에는 제1 적재부(310)와 제2 적재부(320) 사이의 공간으로 보조 선반(400)을 승강시켜 선반면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의 보조 선반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선반(400)은, 적재 플레이트(410), 제1 단차면(420), 제2 단차면(430), 승강 기둥(440), 제1 보조 기둥(450) 및 제2 보조 기둥(460)을 포함한다.
적재 플레이트(410)는, 안착홈(50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안착홈(500)에 수납되며, 안착홈(500)으로부터 제1 적재부(310)와 제2 적재부(320)의 적재면까지 승강되어 제1 적재부(310)와 제2 적재부(320) 사이에서 적재면을 형성하며, 일측 테두리를 따라 제1 단차면(420)이 형성되고, 다른 일측 테두리를 따라 제2 단차면(430)이 형성되며, 하측에 설치되는 승강 기둥(440)에 의하여 승강 또는 하강된다.
제1 단차면(420)은, 강기 적재 플레이트(410)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단차를 형성되며, 안착홈(500)에서 제1 덮개(510)에 의하여 체결된다.
제2 단차면(430)은, 강기 적재 플레이트(410)의 다른 일측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단차를 형성되며, 안착홈(500)에서 제2 덮개(520)에 의하여 체결된다.
승강 기둥(440)은, 적재 플레이트(410)의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창고(100)의 바닥에 설치되는 실린더 등의 구동 장치의 구동력에 의하여 승강 또는 하강하면서 적재 플레이트(410)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준다.
제1 보조 기둥(450)은, 적재 플레이트(410)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제1 수납홈(450a)에 수납되며, 적재 플레이트(410)가 승강되면 하측으로 회동되어 바닥면을 지지한다.
제2 보조 기둥(460)은, 적재 플레이트(410)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제2 수납홈(460a)에 수납되며, 적재 플레이트(410)가 승강되면 하측으로 회동되어 바닥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홈(500)은, 적재 플레이트(410)가 내부 공간으로 안착되면 제1 단차면(42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덮개(510)가 회동하여 제1 단차면(420)을 체결하고, 제2 단차면(430)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덮개(520)가 회동하여 제2 단차면(430)을 체결하여 창고(100)의 바닥면과 보조 선반(400)의 상측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제1 보조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보조 기둥(450)은, 적재 플레이트(410)를 지지하여 적재 플레이트(41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적재 플레이트(410)의 하부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지지하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 플레이트(410)의 높낮이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축소되거나 신장되어 적재 플레이트(410)를 최적으로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하며, 상부 지지부(451), 중간 지지부(452) 및 하부 지지부(453)를 포함한다.
지지부(451)는, "T"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가 제1 수납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중간 지지부(452)는, "Y"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지지부(451)의 하측에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중간 지지부(452)는, 제1 지지바아(4521), 제2 지지바아(4522), 바디(4523), 제3 지지바아(4524), 제1 가이드관(4525), 제2 가이드관(4526) 및 지지 스프링(45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바아(4521)는, 상하 방향으로 제2 지지바아(4522)와 대향하면서 바디(4523)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제2 지지바아(4522)는, 제1 지지바아(4521)와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바디(4523)의 상부 다른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제1 지지아바와의 이격 공간(K)에 상부 지지부(451)의 하측이 안착되도록 한다.
바디(4523)는, 상부 일측에 제1 지지바아(4521)가 형성되고, 상부 다른 일측에 제2 지지바아(4522)가 형성되며, 하측에 제3 지지바아(4524)가 형성된다.
제3 지지바아(4524)는, 바디(4523)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하부 지지부(453)의 상부 공간에 안착된다.
제1 가이드관(4525)은, 제1 지지바아(4521)의 상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부 지지부(451)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부 지지부(451)와 중간 지지부(452)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제2 가이드관(4526)은, 제2 지지바아(4522)의 상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부 지지부(451)의 하부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부 지지부(451)와 중간 지지부(452)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 스프링(4527)은, 바디(4523)의 상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지지부(451)와의 간격을 지지한다.
하부 지지부(453)는, "U" 형태로 형성되어 중간 지지부(452)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창고(100)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여기서, 하부 지지부(453)는, 중간 지지부(452)와 상하 방향으로 열을 지어 연결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중간 지지부(452)의 각각의 구성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보조 기둥(450)은, 탄성 조절부(4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조절부(454)는, 상부가 상부 지지부(451)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고, 하부 양측이 하부 지지부(453)의 하부 양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부 지지부(451)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지지 스프링(4527)의 탄성력을 조절시킨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탄성 조절부(454)는, 가로 바아(4541), 제1 세로 바아(4542), 제2 세로 바아(4543), 제1 유체 공급 탱크(4544), 제2 유체 공급 탱크(4545) 및 제1 탄성 조절 실린더(4546)를 포함한다.
가로 바아(4541)는, 상부 지지부(451)의 전단에 형성되는 체결홈에 안착되며, 상부 지지부(451)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체결홈(P)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유체 공급 탱크(4544) 또는 제2 유체 공급 탱크(4545)를 압축시켜 준다.
제1 세로 바아(4542)는, 가로 바아(4541)의 일측으로부터 하부 지지부(453)의 하부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세로 바아(4543)는, 가로 바아(4541)의 다른 일측으로부터 하부 지지부(453)의 하부 다른 일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유체 공급 탱크(4544)는, 체결홈(P)에서 가로 바아(4541)의 상측에 설치되며, 가로 바아(4541)가 체결홈(P)에서 승강되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한다.
제2 유체 공급 탱크(4545)는, 체결홈(P)에서 가로 바아(4541)의 하측에 설치되며, 가로 바아(4541)가 체결홈(P)에서 하강되면 압축되어 내부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유체를 공급한다.
제1 탄성 조절 실린더(4546)는, 바디(4523)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측에 지지 스프링이 설치되며, 제1 유체 공급 탱크(4544)로부터 유체 공급 라인(L1)을 통해 유체가 공급되면 내측에 설치되는 피스톤(4547)이 신장되어 지지 스프링(4527)을 승강시켜 상부 지지부(451)를 지지하는 탄성력을 증가시켜 준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탄성 조절부(454)는, 제1 보조 기둥(450)로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힘이 증가됨에 따라 가로 바아(4541)에 의한 제1 유체 공급 탱크(4544)의 압축 정도가 증가되어 제1 탄성 조절 실린더(4546)의 신장 정도가 역시 증가되어 지지 스프링(4527)에 의한 탄성 지지력을 증가시켜 지지 성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20: 자재 이송 시스템
100: 창고
200: 호이스트
300; 적재 선반
400: 보조 선반
500: 안착홈

Claims (2)

  1. 자재를 적재하여 두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창고;
    상기 창고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창고에 적재된 자재를 이동시키 위한 호이스트; 및
    상기 창고에 설치되며, 상측에 물건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선반;을 포함하고,
    상기 호이스트는, 상기 창고의 상부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1 사이드 레일; 상기 창고의 상부 다른 일측을 따라 설치되는 제2 사이드 레일; 일측이 상기 제1 사이드 레일에 안착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제2 사이드 레일에 안착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레일; 상기 슬라이딩 레일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 레일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권취기; 양 단부가 상기 권취기에 체결되며, 상기 권취기의 구동에 따라 상기 권취기로 권취되거나 상기 권취기로부터 권출되는 와이어 로프; 및 상기 와이어 로프에 의하여 공중에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 로프가 상기 권취기로부터 권출됨에 따라 하강하거나, 상기 와이어 로프가 상기 권취기로 권취됨에 따라 승강하면서 자재를 하강 또는 승강시켜 주는 후크;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 선반은, 상기 창고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1 적재부; 및 상기 창고의 다른 일측에 설치되는 제2 적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적재부와 상기 제2 적재부 사이의 상기 창고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수납되며,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제1 적재부와 상기 제2 적재부의 적재면까지 승강되어 상기 제1 적재부와 상기 제2 적재부 사이에서 적재면을 형성하는 보조 선반;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 선반은, 상기 안착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홈에 수납되며, 상기 안착홈으로부터 상기 제1 적재부와 상기 제2 적재부의 적재면까지 승강되어 상기 제1 적재부와 상기 제2 적재부 사이에서 적재면을 형성하는 적재 플레이트; 강기 적재 플레이트의 일측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제1 단차면; 강기 적재 플레이트의 다른 일측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단차를 형성하는 제2 단차면;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 플레이트를 승강 또는 하강시켜 주는 승강 기둥;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제1 수납홈에 수납되며, 상기 적재 플레이트가 승강되면 하측으로 회동되어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1 보조 기둥; 및 상기 적재 플레이트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제2 수납홈에 수납되며, 상기 적재 플레이트가 승강되면 하측으로 회동되어 바닥면을 지지하는 제2 보조 기둥;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적재 플레이트가 내부 공간으로 안착되면 상기 제1 단차면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 덮개가 회동하여 상기 제1 단차면을 체결하고, 상기 제2 단차면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덮개가 회동하여 상기 제2 단차면을 체결하여 상기 창고의 바닥면과 상기 보조 선반의 상측면이 평면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제1 보조 기둥은, "T"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제1 수납홈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지지부; "Y"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는 중간 지지부; 및 "U"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중간 지지부의 하측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창고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하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지지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지지바아; 상기 제1 지지바아와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바아와의 이격 공간에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측이 안착되도록 하는 제2 지지바아; 상부 일측에 상기 제1 지지바아가 형성되고, 상부 다른 일측에 상기 제2 지지바아가 형성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하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제3 지지바아; 상기 제1 지지바아의 상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1 가이드관; 상기 제2 지지바아의 상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의 하부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제2 가이드관; 및 상기 바디의 상측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지지부와의 간격을 지지하는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조 기둥은, 상부가 상기 상부 지지부의 전단에 연결 설치되고, 하부 양측이 상기 하부 지지부의 하부 양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가 승강 또는 하강함에 따라 상기 지지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시키는 탄성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자재 이송 시스템.
  2. 삭제
KR1020200001842A 2020-01-07 2020-01-07 자재 이송 시스템 KR1020934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842A KR102093482B1 (ko) 2020-01-07 2020-01-07 자재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842A KR102093482B1 (ko) 2020-01-07 2020-01-07 자재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3482B1 true KR102093482B1 (ko) 2020-03-25

Family

ID=7000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842A KR102093482B1 (ko) 2020-01-07 2020-01-07 자재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34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024Y1 (ko) 1990-08-30 1993-04-23 금성기전 주식회사 호이스트의 로프 이중 감김 방지장치
JPH0812009A (ja) * 1994-06-27 1996-01-16 Daifuku Co Ltd 自動倉庫
KR20150078044A (ko) 2013-12-30 2015-07-08 우주기계 주식회사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호이스트장치 및 견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024Y1 (ko) 1990-08-30 1993-04-23 금성기전 주식회사 호이스트의 로프 이중 감김 방지장치
JPH0812009A (ja) * 1994-06-27 1996-01-16 Daifuku Co Ltd 自動倉庫
KR20150078044A (ko) 2013-12-30 2015-07-08 우주기계 주식회사 유압실린더를 이용하는 호이스트장치 및 견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0140B1 (en) Cantilevered, self-adjusting pneumatic pallet positioner
KR101848687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사이드롤러 슬라이드장치
CN106865084B (zh) 货叉式堆垛机及货物存取装置
CN101462666B (zh) 电梯曳引机的更换装置和更换方法
CN101665094A (zh) 车厢活动底板升降机构
KR102322021B1 (ko) 양방향 이송 대차
KR102093482B1 (ko) 자재 이송 시스템
KR20140086042A (ko) 화물차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선반장치
JP2007191257A (ja) 無動力降下搬送装置
JP4687659B2 (ja) スタッカークレーン
KR100447446B1 (ko) 적재판이 중량에 대응하여 승강하는 물품운반구
KR101275437B1 (ko) 차량과 적재함의 탈부착 장착
CN214611301U (zh) 一种堆垛机主动可控防坠落装置
KR102216186B1 (ko) 타이어 이송 장치
CN219488515U (zh) 一种超重报警的垂直升降货柜
CN218320626U (zh) 堆垛机
CN216071595U (zh) 一种具有多自由度的物流仓储机器人
CN211895888U (zh) 物料运输车
KR102597345B1 (ko) 차량용 리프트
CN107673187A (zh) 一种叉车式起重机
KR102133833B1 (ko) 사다리차의 운반카
KR102219968B1 (ko) 이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저장장치
CN214031523U (zh) 一种新型升降机吊篮
CN213387658U (zh) 一种用于叉车门架的下降缓冲装置
KR102628167B1 (ko) 수동형 중량물 수직이송 지지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