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969B1 -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969B1
KR101310969B1 KR1020060120789A KR20060120789A KR101310969B1 KR 101310969 B1 KR101310969 B1 KR 101310969B1 KR 1020060120789 A KR1020060120789 A KR 1020060120789A KR 20060120789 A KR20060120789 A KR 20060120789A KR 101310969 B1 KR101310969 B1 KR 101310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alarm
magnitude
vibrating
enviro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0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0042A (ko
Inventor
소병석
김규용
김연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0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969B1/ko
Priority to US11/898,782 priority patent/US8131252B2/en
Priority to JP2007287228A priority patent/JP5538674B2/ja
Priority to EP07120315.2A priority patent/EP1928162B1/en
Priority to CNA2007101963196A priority patent/CN101193391A/zh
Priority to CN201410427888.7A priority patent/CN104243696B/zh
Publication of KR20080050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 H04M19/04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with variable loudness of the ringing tone, e.g. variable envelope or amplitude of ring signal according to the level of ambient noi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schedules, e.g. using calenda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 진동부,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 패턴에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의 환경 유형을 판별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알람, 디바이스, 진동

Description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Method and for analyzing circumstance of a device and devic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측정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알람 처리부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발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이벤트 점검부 120 : 진동부
130 : 감지부 140 : 분석부
150 : 알람 처리부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바이스가 놓인 환경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서 적절한 알람을 제공하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 통신 기술과 디지털 처리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휴대폰이나 PDA(Portable Digital Assistants)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사용 목적에 따라서 전화 수신이나 일정 도래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며, 이벤트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하여 사전에 설정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그런데, 출력되는 오디오는 타인에게 소음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진동 모드로 설정하여 두기도 한다. 진동 모드에서, 모바일 디바이스는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을 알리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서는, 진동의 강도가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를 소지하고 있는 상황에 따라서 진동 모드가 불편함을 초래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가 주머니 안에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진동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으며, 모바일 디바이스가 책상 위에 놓여있는 경우에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진동으로 인하여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기도 한다. 즉, 사용자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발생한 이벤트에 적절히 응답하지 못하거나, 진동으로 인하여 불쾌감을 느끼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모바일 디바이스의 환경에 따라서, 적절한 형식의 알람으로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벤트 발생시 디바이스가 놓인 환경 유형을 분석하고, 분석된 환경 유형에 따라서 적절한 알람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 진동부,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 패턴에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의 환경 유형을 판별하는 판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은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디바이스의 진동 패턴에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의 환경 유형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 패턴에 대응하는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적 알람 발생 방법은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 패턴에 대응하는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디바이스(100)는 이벤트 점검부(110), 진동부(120), 감지부(130), 분석부(140), 및 알람 처리부(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디바이스(100)는 컨텐츠 재생, 스케줄 관리, 전화 통화, 영상 캡쳐 등과 같은 데이터 연산 능력을 갖는 컴퓨팅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 가능하다. 디바이스(100)의 예로써,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들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100)가 모바일 디바이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벤트 점검부(110)는 디바이스(100)에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한다. 이벤트의 예로서 통화 신호의 수신, 사전에 설정된 일정이나 기념일의 도래, 특정 작업의 완료(예를 들어 파일 전송이나 다운로드의 종료, 컨텐츠 재생의 완료 등)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이벤트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바이스(100)의 기능이나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이벤트가 존재할 수 있다.
진동부(120)는 디바이스(100)를 진동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진동부(120)는 디바이스(100)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진동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진동은 사전에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부(120)는 두 가지 용도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첫번째로, 진동부(120)는 디바이스(100)의 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의 진동 강도는 사용자에 의해 쉽게 감지되지 않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번째로, 진동부(120)는 이벤트 발생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의 진동 강도는 디바이스(100)의 환경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진동 강도는 디바이스(100)의 종류나 사용 환경에 따라서 적절한 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진동부(120)는 선형 진동기(linear vibrator), 편심 모터(eccentric motor)와 같은 진동 발생기나 force reactor와 같은 충격 발생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부(130)는 디바이스(100)의 진동 패턴을 감지한다. 감지부(130)는 진동부(120)가 진동을 발생시키는 동안 감지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감지부(130)는 진동부(120)와 동기화되어 있을 수 있다. 감지부(130)가 감지하는 진동 패턴의 일 예로서 진동의 크기와 진동 주파수를 들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진동 패턴을 감지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감지부(130)는 소정의 기준축을 기준으로 하여 디바이스(100)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 다. 디바이스(100)가 진동하는 중에 측정되는 가속도의 크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하지 않다. 여기서, 측정된 가속도의 상하 피크(peak) 값들 간의 차이(DIFF1, DIFF2, DIFF3, DIFF4)가 진동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가속도는 복수의 기준축에 대해서 측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감지부(130)는 서로 직각을 이루는 세 개의 기준축 각각에 대해서 디바이스(100)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서 디바이스(100)의 진동 패턴이 보다 정밀하게 감지될 수 있다.
감지부(130)는 가속도계(accelerometer), 자이로스코프(gyroscope), 충격 센서(shock sensor), 기울기 센서(tilt sensor) 등의 관성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감지부(130)는 디바이스(100)의 진동 패턴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유형의 센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분석부(140)는 감지부(130)의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가 놓여진 환경 유형을 결정한다. 이를 위하여 분석부(140)는 복수의 기준 패턴 중에서 감지부(130)에 의해 감지된 진동 패턴과 가장 유사한 기준 패턴을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패턴은 디바이스(100)가 놓여진 환경 유형에 따라서 사전에 측정된 진동 패턴에 대한 표준을 나타낸다. 즉, 기준 패턴은 사전 실험을 통하여 디바이스(100)의 생산 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감지부(130)로부터 전달 받은 진동 패턴과 가장 유사한 기준 패턴이 검색되면, 분석부(140)는 검색된 기준 패턴에 대응하는 환경 유형이 현재의 디바이스(100)의 환경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가 놓여진 환경 유형은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를 소지하고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손에 쥐어진 상태, 책상 위에 놓여진 상태, 사용자의 점퍼 주머니 안에 있는 상태, 사용자의 바지 뒷주머니에 삽입된 상태 등이 환경 유형이 될 수 있다. 어떠한 환경 유형들을 적용할 것인지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경 유형 별 기준 패턴을 그래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기준 패턴들은 각 환경 유형에서 진동부(120)가 디바이스(100)를 진동시킬 경우, 감지부(130)가 서로 직각인 세 개의 기준 축 X, Y, Z에 대해서 감지한 진동의 크기와 진동 주파수의 표준을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a 내지 도 3c는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손에 쥐어진 경우의 기준 축 X, Y, Z에 대한 기준 패턴들을 나타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디바이스(100)가 사용자의 점퍼 주머니 속에 있는 상태에서의 기준 축 X, Y, Z에 대한 기준 패턴을 나타낸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c는 디바이스(100)가 책상 위에 놓여있는 상태에서의 기준 축 X, Y, Z에 대한 기준 패턴을 나타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디바이스(100)가 보행 중인 사용자의 바지 뒷주머니에 있는 상태에서의 기준 축 X, Y, Z에 대한 기준 패턴을 나타낸다. 디바이스(100)가 보행 중인 사용자의 바지 뒷주머니에 있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으로 인하여 디바이스(100)가 영향을 받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환경 유형에 비하여 불규칙적인 패턴을 나타낸다.
기준 패턴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감지부(130)가 감지하는 디바이스(100) 의 진동 패턴은 디바이스(100)의 환경에 따라서 다른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감지부(130)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패턴을 기준 패턴과 비교하면, 현재의 디바이스(100)의 환경 유형을 구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알람 처리부(150)는 분석부(140)의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알람을 제공한다. 알람의 유형으로서 진동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진동의 강도는 디바이스(100)의 환경 유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유형이 '사용자의 손'이거나 '책상 위'인 경우에는 약한 진동을, 환경 유형이 '사용자의 점퍼 주머니 안'인 경우에는 강한 진동을, 환경 유형이 '사용자의 바지 뒷주머니 안'인 경우에는 중간 강도의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진동의 강도뿐만 아니라 진동 발생 패턴도 환경 유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유형이 '보행 중인 사용자의 바지 뒷주머니 안'인 경우에는 진동의 강도를 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으며, 환경 유형이 '정지 상태의 사용자의 바지 뒷주머니 안'인 경우에는 일정한 강도의 진동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알람의 유형은 진동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알람을 위하여 소리나 램프 점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알람을 위하여 소리가 사용되는 경우, 소리의 크기 또한 환경 유형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진동, 소리, 램프 점등 중 둘 이상의 조합을 이용하여 알람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환경 유형이 '책상 위'인 경우, 알람 처리부(150)는 약한 진동과 함께 소리를 출력시킬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알람을 사용할 것인가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요소가 아니며, 분석부(140)에 의해 판단된 디바이스(100)의 환경 유형 별로 그에 적합한 서로 다른 알람이 제공되는 실시예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각 환경 유형에 대응하는 알람 제공 형식(진동의 강도, 소리의 크기, 알람의 유형 등)은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알람 제공 형식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디바이스(100)는 키패드, 터치패드, 터치 스크린과 같은 사용자 입력부(도시하지 않음)나,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과 같은 디스플레이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람 처리부(150)는 진동 발생을 위한 진동기(710), 소리 발생을 위한 스피커(720), 램프(7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알람 처리부(150)는 진동기(710), 스피커(720), 및 램프(730)를 제어하는 알람 제어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알람 제어부(740)는 디바이스(100)의 환경 유형에 따른 알람 제공 형식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적절한 알람이 제공될 수 있도록 기능한다.
도 7에 도시된 것과는 다른 실시예로서, 알람을 제공하기 위하여 진동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알람 처리부(150)는 진동기(71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을 이용한 알람은 도 1의 진동부(120)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다. 즉, 알람을 제공하기 위하여 알람 제어부(740)는 진동부(120)에게 적절한 강도의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요청하고, 진동부(120)는 알람 제어부(740)의 요청에 따라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진동부(120)가 발생시키는 진동 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제1 진동은 디바이스(100)의 환경 유형을 확인하는데 사용될 진동으로서, 이벤트 발생시 진동부(120)가 일정 시간 동안 제공할 수 있다. 제2 진동은 이벤트의 발생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진동으로서, 제1 진동을 통해서 디바이스(100)의 환경 유형이 결정된 경우, 알람 제어부(740)의 요청에 따라서 진동부(120)가 발생시키게 된다. 물론, 진동부(120)가 제2 진동을 발생시키는 동안 감지부(130)가 디바이스(100)의 진동 패턴을 감지할 필요는 없다.
이상의 설명에서 디바이스(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들은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람 발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의 각 과정들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바이스(100)에 의해 수행된다.
먼저, 이벤트 점검부(110)가 디바이스(100) 이벤트가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면(S810), 진동부(120)는 디바이스(100)를 진동시킨다(S820).
디바이스(100)가 진동하면, 감지부(130)는 디바이스(100)의 진동 패턴을 감지한다(S830).
그 후, 분석부(140)는 감지부(130)가 감지한 디바이스(100)의 진동 패턴을 사용하여 디바이스(100)의 환경 유형을 결정한다(S84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과정 S840의 수행을 위해서 분석부(140)는 진동 패턴을 기 설정된 기준 패턴과 비교할 수 있다.
그 후, 알람 처리부(150)는 분석부(140)에 의해 결정된 환경 유형에 대응하는 알람을 제공한다(S850). 물론, 알람 처리부(150)는 알람을 직접 제공하지 않고, 디바이스(100)를 구성하고 있는 다른 구성 요소를 제어하여 알람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알람 처리부(150)는 진동부(120)에게 소정의 강도의 진동 발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진동부(120)는 알람 처리부(150)의 요청에 따라서 특정 강도로 디바이스(10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 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에 따르면, 이벤트 발생시 디바이스가 놓인 환경 유형에 따라서 적절한 알람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소정의 연산 능력을 갖는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 진동부;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 크기 또는 진동 주파수에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의 환경 유형을 판별하는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데, 해당 진동은 알람과는 다른 상기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진동이며,
    상기 감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측정하고, 상기 가속도 측정 결과를 사용하여 상기 진동 크기 또는 진동 주파수를 추출하는, 디바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관성 센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 센서는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충격센서, 및 틸트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임계 시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 디바이스.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된 상기 디바이스의 가속도의 상하 피크값 간의 차이인, 디바이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된 환경 유형에 대응하는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처리부는 기 저장된 기준 패턴들 중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 크기 또는 진동 주파수와 가장 유사한 기준 패턴에 대응하는 알람을 제공하는, 디바이스.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의 유형은 진동, 소리, 램프 점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처리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 크기 또는 진동 주파수에 따라서 상기 알람으로서 제공되는 진동의 강도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처리부는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 크기 또는 진동 주파수에 따라서 결정되는 강도로 상기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도록 상기 진동부를 제어하는, 디바이스.
  14.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디바이스의 진동 크기 또는 진동 주파수에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의 환경 유형을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시키는 단계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해당 진동은 알람과는 다른 상기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진동이며,
    상기 감지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디바이스에 가해지는 가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가속도를 사용하여 상기 진동 크기 또는 진동 주파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15. 삭제
  16. 삭제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시키는 단계는,
    임계 시간 동안 상기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18. 삭제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된 상기 디바이스의 가속도의 상하 피크값 간의 차이인,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된 환경 유형에 대응하는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는,
    기 저장된 기준 패턴들 중에서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 크기 또는 진동 주파수와 가장 유사한 기준 패턴에 대응하는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의 유형은 진동, 소리, 램프 점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 크기 또는 진동 주파수에 따라서 복수의 강도 중 어느 한 강도로 상기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24. 소정의 데이터 연산 능력을 갖는 디바이스로서,
    상기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 진동부; 및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 크기 또는 진동 주파수에 대응하는 알람을 제공하는 알람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부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데, 해당 진동은 알람과는 다른 상기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진동인, 디바이스.
  25.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의 진동 크기 또는 진동 주파수에 대응하는 알람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시키는 단계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디바이스를 진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데, 해당 진동은 알람과는 다른 상기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진동인, 동적 알람 발생 방법.
KR1020060120789A 2006-12-01 2006-12-01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KR101310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789A KR101310969B1 (ko) 2006-12-01 2006-12-01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US11/898,782 US8131252B2 (en) 2006-12-01 2007-09-14 Method and medium for analyzing environment of device and device using the same
JP2007287228A JP5538674B2 (ja) 2006-12-01 2007-11-05 デバイスの環境を分析する方法およびこれを利用したデバイス
EP07120315.2A EP1928162B1 (en) 2006-12-01 2007-11-09 Method and medium for analyzing environment of device and device using the same
CNA2007101963196A CN101193391A (zh) 2006-12-01 2007-11-30 用于分析装置环境的方法和介质以及使用该方法的装置
CN201410427888.7A CN104243696B (zh) 2006-12-01 2007-11-30 用于分析装置环境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0789A KR101310969B1 (ko) 2006-12-01 2006-12-01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042A KR20080050042A (ko) 2008-06-05
KR101310969B1 true KR101310969B1 (ko) 2013-09-23

Family

ID=3896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0789A KR101310969B1 (ko) 2006-12-01 2006-12-01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31252B2 (ko)
EP (1) EP1928162B1 (ko)
JP (1) JP5538674B2 (ko)
KR (1) KR101310969B1 (ko)
CN (2) CN1042436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9545B2 (ja) 2007-08-27 2010-03-2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筐体の支持状態を推定する方法及び電子機器
US20090312049A1 (en) * 2008-06-12 2009-12-17 Nokia Corporation Context determin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JP4885170B2 (ja) * 2008-06-27 2012-02-29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8351958B2 (en) * 2008-07-15 2013-01-08 Panasonic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location thereof
KR101000789B1 (ko) 2008-08-04 2010-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용자 인식 장치 및 사용자 인식 방법
TWI493957B (zh) * 2008-10-17 2015-07-21 Chi Mei Comm Systems Inc 測試手機震動功能的系統及方法
JP5229110B2 (ja) * 2009-05-22 2013-07-03 ソニー株式会社 携帯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487759B2 (en) * 2009-09-30 2013-07-16 Apple Inc. Self adapting haptic device
US8552859B2 (en) 2009-09-30 2013-10-08 Apple Inc. Self adapting alert device
US9288305B2 (en) * 2010-02-09 2016-03-1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characteristic of an object in mechanical contact with a mobile terminal
US8793094B2 (en) 2010-06-04 2014-07-29 Apple Inc. Vibrator motor speed determin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JP5707892B2 (ja) * 2010-11-17 2015-04-30 株式会社ニコン 電子機器及び通信システム
JP5605841B2 (ja) * 2010-11-24 2014-10-15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バイブレータ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53112B2 (ja) * 2010-12-27 2014-07-16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制御方法
KR101340051B1 (ko) * 2012-01-10 2013-12-10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물질 검출 방법 및 장치
JP2013150201A (ja) * 2012-01-20 2013-08-01 Nec Access Technica Ltd 端末装置、報知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1402383B1 (ko) * 2012-05-02 2014-07-01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기기의 진동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401694B1 (ko) * 2012-05-02 2014-07-01 한국과학기술원 모바일 기기의 진동을 이용한 물체 판별 방법 및 장치
KR101442341B1 (ko) * 2012-10-05 2014-09-24 한국과학기술원 사용자 단말 접촉 강도 센싱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WO2013191491A1 (ko) * 2012-06-20 2013-12-27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센싱 장치 및 방법
KR101402535B1 (ko) * 2012-06-20 2014-06-02 한국과학기술원 터치 센싱 장치 및 방법
US20140260642A1 (en) * 2013-03-15 2014-09-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system with surface detec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20150037456A (ko) * 2012-07-26 201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면감지 메커니즘을 갖춘 전자 시스템과 그 작동 방법
US10504339B2 (en) 2013-02-21 2019-12-10 Immersion Corporation Mobile device with instinctive alerts
JP6070419B2 (ja) * 2013-05-31 2017-02-0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携帯端末、携帯端末状態判定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367078B2 (en) * 2013-09-27 2016-06-14 Intel Corporation Modification of indicators corresponding to alerts
CN106687792B (zh) * 2014-09-10 2020-10-30 三菱电机株式会社 振动模式测定装置
CN104244182A (zh) * 2014-09-13 2014-12-24 北京智谷技术服务有限公司 移动设备位置确定方法及确定装置、移动设备
KR101572941B1 (ko) * 2014-12-16 2015-11-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벤트 알림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331214B2 (en) 2015-09-08 2019-06-25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14631071A (zh) * 2019-10-18 2022-06-14 全球人寿担保服务有限公司 检测电子设备上是否存在保护壳的方法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4390A (ja) * 2002-01-08 2003-07-18 Ricoh Co Ltd 携帯移動電話装置
JP2005006206A (ja) * 2003-06-13 2005-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イブレータ振動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098B2 (ja) * 1995-02-27 2000-04-24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端末および該携帯端末を用いた携帯電話システム
JP2000275097A (ja) * 1999-03-24 2000-10-06 Yanmar Diesel Engine Co Ltd 振動モニタ装置
KR100397373B1 (ko) 2001-02-17 2003-09-13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자세 감지에 의해 진동 호출신호의 강도를 자동조절하는이동통신 단말기
JP2002305564A (ja) 2001-04-04 2002-10-18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バイブレータ付き移動体電話機
JP2002319997A (ja) * 2001-04-20 2002-10-31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JP2003271301A (ja) * 2002-03-15 2003-09-26 Hitachi Ltd 携帯端末装置
JP3988608B2 (ja) 2002-10-07 2007-10-10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イブレータ制御機能付き無線電話機及び無線電話機のバイブレータ制御方法
JP2004236202A (ja) * 2003-01-31 2004-08-19 Nec Commun Syst Ltd 携帯電話機、該携帯電話機に用いられる着信通知制御方法及び着信通知制御プログラム
TWI221068B (en) * 2003-03-27 2004-09-11 Benq Corp Communication apparatus for demonstrating non-audio message by decoded vibrations
JP2004328100A (ja) * 2003-04-22 2004-11-18 Fujitsu Ltd 携帯端末
KR20050019171A (ko) * 2003-08-18 2005-03-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움직임을 감지하여 벨소리/진동량을 조절하는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WO2005085981A1 (en) * 2004-02-03 2005-09-1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implementing vibration output commands in mobile terminal devices
JP2005269024A (ja) 2004-03-17 2005-09-29 Toshiba Corp 携帯電話、及び携帯電話の振動制御方法
KR20050110374A (ko) 2004-05-18 2005-11-23 주식회사 팬택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진동 모드 운용 회로
KR20060008006A (ko) 2004-07-23 2006-01-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 제어 장치 및 방법
US7469155B2 (en) 2004-11-29 2008-12-23 Cisco Technology, Inc. Handheld communications device with automatic alert mode selection
KR20060061618A (ko) 2004-12-02 2006-06-08 주식회사 팬택 기울기 센서를 포함하는 개인휴대단말기 및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KR100688296B1 (ko) 2004-12-21 2007-03-02 주식회사 팬택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US7430439B2 (en) * 2005-01-31 2008-09-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User hand detection for wireless devices
DE602005000818T2 (de) 2005-01-31 2008-01-10 Research In Motion Ltd., Waterloo Benutzerhanderkennung für drahtloses Endgerät
JP2006303565A (ja) * 2005-04-15 2006-11-02 Nec Saitama Ltd 携帯通信端末
JP2007300346A (ja) * 2006-04-28 2007-11-15 Fujitsu Ltd 着信動作制御装置、着信動作制御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プログラム
US7702282B2 (en) * 2006-07-13 2010-04-20 Sony Ericsoon Mobile Communications Ab Conveying commands to a mobile terminal through body ac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4390A (ja) * 2002-01-08 2003-07-18 Ricoh Co Ltd 携帯移動電話装置
JP2005006206A (ja) * 2003-06-13 2005-01-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イブレータ振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32196A1 (en) 2008-06-05
JP2008139293A (ja) 2008-06-19
CN104243696B (zh) 2016-12-07
EP1928162A1 (en) 2008-06-04
CN101193391A (zh) 2008-06-04
US8131252B2 (en) 2012-03-06
CN104243696A (zh) 2014-12-24
KR20080050042A (ko) 2008-06-05
JP5538674B2 (ja) 2014-07-02
EP1928162B1 (en)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0969B1 (ko) 디바이스의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JP5903797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制御方法
US20060022958A1 (en) Touch-panel input device having a function for providing vibr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vibration in response to input operation
US20140024414A1 (en) Electronic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and operation control program
KR20140107788A (ko) 이벤트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2008503816A (ja) 電子装置の制御
WO2006049158A1 (ja) 運動検知装置および運動検知方法
KR101958255B1 (ko) 전자장치에서 상황인식에 따라 진동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08122848A1 (en) Adjustment of screen text size
JP6096854B1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動作方法
KR101475354B1 (ko) 압력 센서가 내장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압력 측정 방법
CN104238728B (zh) 状态判断方法和装置
WO2013191491A1 (ko) 터치 센싱 장치 및 방법
JP2012004715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08920126B (zh) 铃声音量的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CN110417931B (zh) 域名解析记录获取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JP6416995B1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携帯型情報処理装置のコマンド入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KR101226845B1 (ko) 휴대단말기에서 착신 알림세기 조절 방법 및 장치
KR101442341B1 (ko) 사용자 단말 접촉 강도 센싱 방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단말 제어방법
CN107102838A (zh) 一种实现屏幕控制的方法及装置
KR101551030B1 (ko) 입력 패드 및 그 제어 방법
JP2018014111A (ja) 電子機器
CN112565284B (zh) 对应用程序内组件的访问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2301546B1 (ko) 전자 기기 제어 방법 및 전자 기기 제어 방법을 적용한 전자 기기
JP4805891B2 (ja) 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