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8356B1 - 고상물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 Google Patents

고상물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8356B1
KR100238356B1 KR1019930030126A KR930030126A KR100238356B1 KR 100238356 B1 KR100238356 B1 KR 100238356B1 KR 1019930030126 A KR1019930030126 A KR 1019930030126A KR 930030126 A KR930030126 A KR 930030126A KR 100238356 B1 KR100238356 B1 KR 100238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extrusion rod
case body
plu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754A (ko
Inventor
요시가즈 다니이
Original Assignee
호소에이사오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888993U external-priority patent/JP254521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4888893U external-priority patent/JP2545212Y2/ja
Application filed by 호소에이사오,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filed Critical 호소에이사오
Publication of KR950007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7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3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카트리지(C)와 케이스몸체(10)는 회전구동 구멍(24a)을 축(14)에 맞물림으로써 상대회전하여 압출봉을 회전시킨다. 압출봉(13)은 그 축선에 따라서 케이스몸체(10)의 외부케이스(11)에 대해서 전후진 이동한다.
압출봉(l3)의 축의 선단이 압출봉(13)의 전후진 이동에 의해서 카트리지몸체(20)내에서 스프링(25)력에 대항하여 코어처크(21)를 민다.
따라서 코어처크에 의해서 보지된 스틱형 고상화장품(22)이 카트리지몸체(20)의 선단 개구부에서 공급된다. 압출봉(l3)은 케이스 몸체(10)내에 위치하는 탄성링(39)에 삽입되어 있다.

Description

고상물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고상물이 장착된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 형 공급케이스의 수직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고상물이 돌출된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 형 공급케이스의 수직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사용되는 카트리지(C)의 측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나타낸 압출봉(13)의 부분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압출봉(13)의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의 단부측에서 본 정면도.
제6도는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의 기부에서 본 플러그(30)의 이면도.
제7도는 방향(B)에서 본 선(A-A)에 따른 제6도에 나타낸 플러그(30)의 부분단면도.
제8도는 방향(A)에서 본 선(B-B)에 따른 제6도에 나타낸 플러그(30)의 부분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고상물이 장착된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 형 공급케이스의 수직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고상물이 돌출된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 형 공급케이스의 수직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고상물이 장착된 고상물 공급케이스의 수직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고상물이 돌출된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 형 공급케이스의 수직단면도.
제13도는 제11도에 나타낸 카트리지 형 공급케이스의 선(XIII-XIII)에 따른 횡단면도.
제14도는 카트리지 형 공급케이스의 기부에서 본 제11도의 플러그(80)의 이면도.
제15도는 방향(B)에서 본 선(C-C)에 따른 제14도에 나타낸 플러그(80)의 부분단면도.
제16도는 방향(C)에서 본 선(D-D)에 따른 제14도에 나타낸 플러그(80)의 부분단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고상물이 장착된 고상물용 카트리형 공급케이스의 수직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고상물이 돌출된 고상물용 카트리지 형 공급케이스의 수직단면도.
제19도는 제17도에 나타낸 카트리지 형 공급케이스의 선(A-A)에 따른 횡단면도.
제20도는 제14도에 나타낸 카트리지(C)의 측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고상물이 장착된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의 수직 단면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고상물이 돌출된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 형 공급케이스의 수직 단면도.
제23도는 제21도에 나타낸 카트리지 형 공급케이스의 선(A-A)에 따른 횡단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고상물이 장착된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 형 공급케이스의 수직 단면도.
제25도는 제24도에 나타낸 카트리지 형 공급케이스의 선(A-A)에 따른 횡단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고상물이 장착된 고상물 공급케이스의 수직 단면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고상물이 장착된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 형 공급케이스의 수직단면도.
제28도는 제27도에 나타낸 카트리지(C)의 측면도.
제29도는 제28도에 나타낸 인장스프링의 측면도.
제30도는 제28도에 나타낸 카트리지 형 공급케이스의 선(A-A)에 따른 횡단면도.
제31도는 종래의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 형 공급케이스의 수직단면도.
본 발명은 카트리지에서 스틱형 고상물을 공급하는 공급케이스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스틱형 고상 화장품을 공급하기 위하여 스틱형 고상화장품을 수납하고 카트리지 밖으로 돌출시켜 스틱형 고상 화장품을 공급하는 카트리지가 설비된 공급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급케이스는 케이스 몸체와 고상물, 예를들면 고상화장품을 공급하기 위하여 밖으로 돌출시키는 케이스 몸체에 장착된 착탈가능한 카트리지를 구비하고 있다. 제31도는 본 발명자에 의해서 제안된 일본국 실용신안 실공평 2-38689호 공보에 개시된 공급 케이스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용신안 공보에 개시된 바와같이 공급케이스들의 기본구성중의 하나는 원통형 케이스몸체(1)와 내부에 스틱형 고상화장품(3)을 돌출가능하게 보지하는 카트리지(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카트리지(2)는 원통형케이스(1)에 착탈가능하다. 카트리지(2)내에는 고상화장품(3)이 보지구인 코어처크(4)에 고정된다. 코어처크(4)는 카트리지(2)내에 보지되고 카트리지(2)의 축선방향에 따라 전후 이동한다.
카트리지(2)의 후단은 후부플러그(7)에 의해서 폐쇄되어 있다. 후부플러그(7)은 그 주연면 둘레에 환상 결합홈을 갖고 있다. 후부플러그(7)는 그 축선에 형성된 개구부를 갖고 있다. 이 개구부에는 스프로켓, 톱니 등의 비원형홈이 설비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8)이 카트리지 내부의 전면과 보지구인 코어처크간에 통상 기부단(도면의 우측)을 향하여 코어처크(4)을 힘주게 장착되어 있다. 코어처크(4)가 코일스프링의 미는힘에 대항하여 단부를 향하여 밀려 나올 때에 코어처크(4)에 의해서 분지되어 있는 고상화장품(3)이 카트리지(2)에서 돌출된다.
고상화장품(3)을 사용한 후에 고상화장품(3)은 코일스프링(8)의 스프링력 때문에 카트리지(2)내에 수용된다.
케이스몸체(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케이스몸체(1)에는 그 개방부에 플러그(6)가 설비되어 있다. 플러그(6)는 소정의 위치에 카트리지(2)를 넣어두기 위하여 사용된다. 플러그(6)는 케이스몸체(1)의 개방단의 내면에 끼워 맞추어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2)는 플러그(6)를 거쳐서 케이스몸체(1)에 착탈된다. 플러그(6)에는 그 후단의 내면에 환상의 凸형태를 갖는 제한리브(6a)가 설비되어 있다. 이 제한리브(6a)는 카트리지(2)의 후단에 배치된 후부플러그(7)의 면위에 형성된 환상凹홈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2)가 플러그(6)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고, 플러그(6)의 축선방향에 따라 접동할 수 없다.
봉보지구(9)는 케이스몸체(1)의 내부에 동심보지되어 있다. 이 봉보지구(9)는 그 중심선부에 압출봉(5)을 보지하기 위한 보지하는 구멍(9c)을 갖고 있다. 이 보지하는 구멍(9c)의 내면에는 단부에 있는 스톱퍼(9b)를 제외하고 암나사 명태의 나선면이 형성되어 있다.
압출봉(5)은 이 보지하는 구멍내에 보지 된다. 압출봉(5)은 보지하는 구멍(9c)의 내경, 즉 스톱퍼(9b) 보다도 약간 작은 외경을 갖고 있다. 숫나사 형태를 갖는 나선돌출부(5a)는 압출봉(5)의 외면에 형성되어 나선면(9a)과 나사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봉보지구(9)와 압출봉(5)은 나선이동으로 상대회전하여 압출봉(5)이 그 축선방향에 따라 전후진이동을 한다. 나선돌출부(5a)는 스톱퍼(9b)의 내경보다도 약간 크다. 따라서 이 나선돌출부(5a)가 스톱퍼(9b)에 접촉하여 압출봉(5)이 더이상 압출하는 것을 방지 한다. 압출봉(5)의 단면은 후부플러그(7)의 개구부와 같은 모양을 갖는다. 따라서 카트리지(2)와 압출봉(5)은 상호회전 불가능하고, 카트리지(2)의 축선방향에 따라서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여 서로 지지된다.
종래의 공급케이스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카트리지(2)는 압출봉(5)을 후부 플러그(7)의 개구부내에 삽입하여 케이스몸체(1)내에 장착되어 카트리지(2)가 케이스몸체(1)에 대해서 상대회전한다. 카트리지(2)의 회전은 압출봉(5)으로 전달되어 압출봉(5)이 케이스몸체(1)에 대해서 (즉, 봉보지구(9)에 대해서)회전된다. 그 결과 압출봉(5)은 케이스몸체(1)에 대해서 나선이동에 의해서 축선방향에 따라 전후진 이동된다. 후부플러그(7)가 압출봉(5)과 결합되어 압출봉(5)의 축선방향에 따라 전후진이동되고 플러그(6)과 결합되어 플러그(6)의 축선방향을 따라 전후진이동하지는 않는다. 따라서 압출봉(5)이 카트리지(2)의 축선방향에 따라 케이스몸체(1)에 대해서 카트리지(2)를 이동시킬 수 없다.
압출봉(5)이 단부로 즉, 코어처크(4)를 향하여 이동되면 압출봉(5)의 선단은 코어처크(4)의 기부단과 접속한다. 압출봉(5)이 코어처크(4)를 향하여 더 이동하면 코어처크(4)는 압축스프링(8)에 의한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압출된다. 동시에 고상화장품(3)이 카트리지(2)의 선단의 개구부에서 돌출된다. 공급케이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카트리지(2)를 회전시키는 양을 조절하여 고상화장품의 적절한 길이를 돌출시켜 고상화장품을 사용한다.
고체상화장품(3)의 사용후에 돌출된 고상화장품(3)의 남어 있는 부분은 카트리지(2)내에 수용할 필요가 있다. 상기한 것과 반대로 카트리지(2)를 케이스몸체에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출봉(5)는 기부단을 향하여 후진 이동한다. 압출봉(5)의 이동에 수반되어 코어처크(4)는 압축코일스프링(8)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기부단을 향하여 이동한다. 그리하여 고상화장품(3)이 카트리지내로 후퇴된다.
고상화장품의 소비량이 증가됨에 압출봉(5)의 압출량이 증가한다. 따라 압출봉(5)의 압출량이 증가한다. 그러나 이동스트로크 즉, 압출봉(5)의 최대 압출량은 나선돌출부(5a)가 스톱퍼(9b)와 접촉함으로써 제한된다. 따라서 압출봉(5)이 더이상 압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구성의 고상물을 공급하는 종래의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에 관해서 해결해야 할 문제점들이 있다.
종래의 공급케이스의 제1문제점은 고상화장품(3)이 카트리지(2)내로 후퇴할 때, 또는 고상화장품(3)의 압출량을 적절한 양으로 돌출되도록 미세조정 할 때에 압축코일스프링(8)의 스프링력 때문에 압출봉(5)이 갑작스럽게 후진하거나 불필요하게 압출량을 많이 돌출시키는 것이다. 돌출방향으로 압출봉(5)을 이동하는 상태에 있어서 압축코일스프링(8)의 스프링력이 코어처크(4)를 거쳐서 압출봉(5)에 압출봉(5)을 후퇴이동시키는 반발력으로써 가해진다.
소정비율의 분력은 나선돌출부(5a)와 나선면(9a)의 리이드(lead)로 정의된다. 이 분력은 나선돌출부(5a)와 나선면(9a)에 의해서 회전력으로 변환되어 압출봉(5)과 카트리지(2)를 회전시킨다. 이 회전력이 압출봉(5)과 카트리지(2)의 토오크들을 초과하면 압출봉(5)이 회전하는 동시에 케이스몸체내로 후퇴 한다는 것이다.
제2문제점은 그 케이스몸체의 내부구성에서 생성되는 과도변형 때문에 공급케이스가 용이하게 파손된다는 것이다. 압출봉(5)의 나선돌출부(5a)가 스톱퍼(9b)와 접촉하여 압출봉(5)이 전진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때에 그것은 코어처크(4)가 카트리지(2)의 단부에 도달함을 뜻하고, 이 상태는 고상화장품을 최단 길이로 소모함을 뜻한다. 실제에 있어서 사용자가 카트리지(2)를 회전하여 고상화장품(3)을 돌출시켜 나선돌출부(5a)가 스톱퍼(9b)에 접촉하여 더이상 돌출부(5a)가 돌출되지 않게 할 때에 수간적으로 카트리지(2)와 케이스몸체(1)의 상대회전이 접촉에 의하여 매우 강한 힘으로 가해진다.
그리하여 카트리지(2)에 가해지는 토오크가 급작스럽게 상승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토오크의 증가를 의식함으로써 고상화장품(3)을 완전히 소모함을 알수 있다. 그러나 서로 접촉함으로써 직접 부딪치는 나선돌출부(5a)와 스톱퍼(9b)를 포함하는 내부구성이 과도변형되고, 이 과도변형이 공급케이스를 파손시켜 재사용을 할 수 없게 한다는 것이다.
제3문제점은 그 공급케이스가 다수의 부품을 갖는다는 것이다. 상기 종래의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에는 압출봉(5)의 스트로크를 제어하는 스톱퍼(9b)와 카트리지(2)를 회전가능하게 또한 카트리지(2)의 축선방향에 따라 이동할 수 없게 보지하는 플러그(6)가 설비되어 있다. 이 스톱퍼(9b)와 플러그(6)가 별개 부품으로써 케이스몸체(1)내에 각각 배치되므로 케이스몸체내의 부품수가 증가하여 복잡해지고 제조공정수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스틱형 고상물이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여 좋은 조작감을 주는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고상화장품이 완전히 소모된 것을 인식하게 하고, 케이스몸체의 내부구성이 과도변형을 가져오는 공급회전에 의해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부품수와 제조 공정수를 감소시킨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고상물을 상기 카트리지의 관통구멍을 통하여 돌출가능하게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이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보지하는 케이스몸체를 구비하고, 카트리지가 상기 케이스몸체에서 장착될 때에 상기 고상물을 압출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몸체내에 일체로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몸 체내에서 전후진 이동할 수 있는 압출봉,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케이스몸체에 대하여 회전시켜 생기는 회전운동을 상기 케이스몸체에 대한 상대접동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 및 상기 케이스몸체에 대한 상기 압출봉의 상대 전후진운동에 접동저항을 가하는 저항수단을 구비하는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본 발명은 내부관통구멍내로 고상물을 돌출가능하게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게 보지하는 개구부를 갖는 케이스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몸체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가능하게 또한 상기 카트리지가 축선방향에 따라 전후진 이동할 수 없게 보지하는 플러그, 상기 케이스몸체에 장착되고, 스틱형축과 이 스틱형축 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큰 직경부를 구비하고, 카트리지가 상기 케이스몸체에 장착될 때에 상기 케이스몸체내에서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고상물을 압출하는 압출봉,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케이스몸체에 대해서 상대회전시켜 생성되는 회전운동을 상기 케이스몸체에 대한 접동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 및 상기 스틱형축이 삽입되고, 상기 큰 직경부가 삽입되지 않는 개구부를 갖고, 상기 압출봉의 상기 카트리지로 향한 최대 이동점을 한정하는 스톱퍼를 구비하는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부관통구멍내로 고상물을 돌출가능하게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보지하는 개구부를 갖는 케이스몸체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 몸체내에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몸체에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에 상기 케이스몸체에서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여 상기 고상물을 압출하는 압출봉,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케이스 몸체에 대해서 회전하므로써 생성되는 회전운동을 상기 케이스몸체에 대한 접동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 및 상기 압출봉에 의한 상기 카트리지를 향한 최대 이동위치에서 상기 변환수단에 의한 변환을 취소하는 취소수단을 구비한 고상화장품 공급용 A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를 제공한다.
후술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각종 형태 예를들면 고상물은 화장품, 지우개 또는 연필심에 실시가능하다. 카트리지는 고상물을 직접 보지하거나 보지구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보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는 케이스 몸체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별개의 플러그에 의해서 케이스몸체에 연결될 수 있다. 변환수단의 구성은 나사, 기어, 예를들어 랙 및 피니온 또는 웜기어 또는 캠을 사용할 수 있다. 나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나사가 압출봉과 캐이스몸체간에 배치되어 카트리지의 회전을 압출봉으로 전달하여 케이스몸체에 대해서 회전하여 압출봉을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압출봉은 카트리지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지 않는다. 다른 방법으로는 나사가 압출봉과 카트리지간에 배치되어 카트리지의 회전에 의해서 압출봉을 케이스 몸체에 대하여 회전시키지 않고 이동한다. 압출봉의 이동범위에 대해서는 스톱퍼가 압출봉이 범위를 넘어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치되거나 또는 변환수단이 압출봉이 범위를 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동력 변환을 취소할 수 있다. 또 사용자로 하여금 압출봉이 범위에 도달한 것을 알게 하기 위하여 압출봉이 범위에 도달했을 때에 조작 감각을 바꿀수 있다. 스톱퍼는 압출봉에 대해서 배치된 큰 직경부로 이동함으로써 압출봉의 이동을 한정지울수 있다. 이 경우에는 스톱퍼는 압출봉이 삽입되는 링부제 또는 링형태가 아닌 아암부재이다. 스톱퍼는 플러그와 일체로 되거나 플러그와 별개의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저항수단은 고무등의 탄성중합체 부재를 압출봉에 압착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탄성중합체 부재는 압출봉에 부착되는 탄성중합체 링일 수 있고, 다른 방법으로는 저항수단은 압출봉의 표면을 거칠게 마무리하거나 너얼링하여 마찰계수를 증가시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제1도를 참조하면 공급케이스가 원통형케이스몸체(10)와 카트리지(C)를 구비하고 있다. 카트리지(C)는 원통형 케이스몸체(10)의 단부(distal end) (도면의 좌측)에서 원통형 케이스몸체(10)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카트리지(C)의 측면의 외관을 제3도에 나타냈다. 제1 및 3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카트리지몸체(20)는 카트리지(C)의 요부이고, 단부에서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 외면을 갖고 있다. 한편 카트리지 몸체(20)는 기부단(proximal end)에 원통형삽입부(23)를 갖고 있다. 이 원통형 삽입부(23)는 기부단에서의 외경이 단부에서의 외경보다도 작다. 환상결합홈(26)이 원통형 삽입부(23)의 기부단 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카트리지몸체(20)는 그 중심축선에 관통구멍(20a)을 갖고 있다. 이 관통구멍(20a)은 카트리지몸체(20)의 선단에 소직경부(20b)를 갖고 있다. 소직경부(20b)는 기타 부분들 보다도 약간 작은 내경을 갖고 있다. 이 관통구멍(20a)은 복수의 직선홈(20c)을 관통구멍(20a)의 내면의 원주에 배치된 복수의 부분에 축선방향에 따라 구비하고 있다.
코어처크(21)가 카트리지(C)의 관통구멍(20a)에 접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코어처크(21)는 그 선담의 대직경부(21a)와 그 후단의 소직경부(21b)로 되어 있다. 대직경부(21a)는 관통구멍(20a)의 내면과 대략 같은 외경을 갖고 있다. 따라서 코어처크(21)는 흔들리지 않게 관통구멍내에 보지된다. 또, 대직경부(21a)는 그 외면에 배치된 핀(21d)을 가져 직선홈(20c)과 접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코어처크(21)가 카트리지몸체(20)에 대해 회전되는 것이 저지된다. 대직경부(21a)는 고상물인 고상화장품(22)을 보지하는 구멍(21c)을 갖고 있다.
고상화장품(22)은 아이라이너(eye liner) 등의 스틱형 화장품이다. 고상화장품(22)은 관통구멍(20a)의 소직경부(20b)보다도 약간 작은외경을 갖고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몸체(20)에서 고상화장품(22)의 선단이 돌출되어도 고상화장품(22)의 돌출된 부분이 소직경부(21b)에 의해서 지지된다. 따라서 고상화장품(22)이 휘이거나 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고상화장품(22)이 카트리지몸체(20)내로 후퇴할 때에 소직경부에 의해서 고상화장품이 물리는 것이 방지된다.
후부플러그(24)는 소외경부(24b)를 가지며 그것이 관통구멍(20a)의 기부단 개구부내로 삽입되어 소외경부(24b)에 의해서 개구부를 폐쇄한다. 후부플러그(24)는 삽입부(23)의 외경과 같은 대외경부(24c)를 갖고 있다.
후부플러그(24)는 그 중심축선에 형성된 회전 구동구멍(24a)을 갖고 있다. 이 회전구동 구멍(24a)은 비원형단면을 갖고 있다.
후부플러그(24)와 코어처크(21)는 그들 사이에 코일스프링등의 스프링(25)를 갖는다. 다시말하면 스프링(25)은 관통구멍(20a)과 코어처크(21)의 소직경부(21b)간의 간극내에 배치된다. 스프링(25)은 코어처크(21)의 단진부 둘레에 고정된 선단과 후부플러그(24)의 선단둘레에 고정된 후단을 갖는다. 따라서 코어처크(21)에 의해서 보지된 고상화장품(22)은 스프링(25)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단부(도면의 우측)를 향하여 코어처크(21)를 밀므로써 카트리지(C)에서 돌출된다.
사용후에 고상화장품(22)은 코일스프링(25)의 스프링력 때문에 코어처크(21)와 함께 후퇴되어 카트리지(C)내에 수용된다.
케이스몸체(10)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겠다. 케이스몸체(10)은 저부를 갖는 원통형인 외부실린더(11)를 갖는다. 외부 실린더(11)는 작은 구멍을 갖는 저판(11a)을 갖는다. 이 작은구멍은 이 실린더 성형시에 코어핀을 지지하는데 사용되었던 가이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암나사형태를 갖는 나선홈(12)은 적절한 범위로 외부 실린더(11)의 내면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이 경우에 외부실린더(11)는 나사홈(12)과 외부실린더(l1)의 기단부간에 소내경부와 나사홈(12)과 외부실린더(11)의 단부간에 대직경부를 갖고 있다.이 소내경부는 나사홈(12)의 상부직경과 같은 크기이고, 이 대내경부는 나사홈(12)의 저부직경과 같은 크기를 갖는다.
플러그(30)는 외부실린더(11)의 선단개구부(11b)에 배치되고 카트리지(C)와 케이스몸체(10)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플러그(30)의 구성은 제6도∼제8도에 나타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것과같이 플러그(30)는 대체로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태를 갖고 있다. 이 플러그(30)의 외경은 외부실린더(11)의 내경과 같거나 약간 크다. 따라서 플러그(30)는 케이스몸체(10)의 외부실린더의 선단개구부내로 플러그(30)의 기부단을 삽입함으로써 케이스몸체(10)의 외부실린더(11)에 끼워맞추어지는 간섭(interference)이다. 고정을 확보하고, 더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상돌출부들(31,32)이 플러그(30)의 외면의 중앙부둘레에 형성되어 있다. 환상돌출부들(31, 32)은 개구부(11)내부의 환상홈부내에 박혀 외부실린더(11)의 선단개구부(11b)에 결합된다. 환상돌출부들(31,32)와 떨어진 플러그(30)의 선단부는 외부실린더(11)의 선단 개구부 밖으로 노출되는 캡이 씌워지는 부분(33)으로 된다. 캡을 씌우는 부분(33)의 외면은 카트리지(C)에 씌우는 캡(40)에 의해서 분리가능하게 씌워진다,
카트리지몸체(20)의 후부의 단지워진 얇은 부분으로 형성된 삽입부(23)는 플러그(30)의 내면(30a)내로 원활하게 삽입되고 분리된다. 이 삽입부(23)는 플러그(30)의 선단을 삽입부(23)의 단지워진 부분과 접촉함으로써 플러그(30)에 대해서 위치맞춤된다. 플러그(30)의 내경은 삽입부(23)의 외경과 같은 크기를 가지므로 삽입부(23)가 흔들리지 않게 삽입된다.
돌출부들(31, 32)이 있는 플러그(30)의 후부는 외부실린더(11)의 선단의 내면에 끼워 맞추어지는 고정부이다. 플러그(30)의 더 후부는 실린더에 끼워맞추어진 플러그(30)의 후부보다도 작은 외경을 가지며 거기에는 서로 90°각의 간격으로 배치된 4개의 슬릿(36)이 설비되고 플러그(30)의 더 후부는 제6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4개 부분으로 분할된다. 축선에 대칭배치된 4개 부분중 2개 부분은 카트리지 보지편(34)이다. 이 카트리지보지편들(34)은 플러그가 탄성재료로 제조되기 때문에 슬릿(36)을 배치함으로써 가요성을 갖는다. 이 카트리지보지편(34)는 내면에 연하여 원호형을 갖는 보지리브(35)를 갖고 있다. 이 보지리브(35)는 삽입부(23)가 플러그(30)의 최내부에 삽입될 때에 제1도에 나타낸 카트리지몸체(20)의 삽입부에 형성된 환상결합홈(26)에 끼워진다. 또, 보지리브(35)는 삽입부(23)가 짤가닥 빠져 들어가지 않는다. 따라서 카트리지(20)는 플러그(30)를 거쳐서 외부실린더(11)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지지될수 있고, 작은 힘으로 플러그(30)의 축선방향에 따라 접동할수 없다. 한편 슬릿들(36)에 의해서 분할된 4개의 부분중 카트리지 보지편들(34)를 제외한 다른 부분들을 슬릿(36)의 위치, 즉 카트리지 보지편들(34)의 위치보다도 더 뒤로 연장되고 , 이들 부분들의 단부들이 스톱퍼(37)를 지지한다. 스톱퍼(37)는 그 중앙축선에 관통구멍(3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37a)은 원형이고, 플러그(30)의 내면(30a)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고 있다. 스톱퍼(37)은 플러그(30)와 합쳐짐으로써 형성된다.
제1도에 돌아가면 외부실린더(11)은 외부실린더(11)의 중간부에 삽입된 압출봉(13)을 갖는다. 압출봉(13)의 형태를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냈다. 제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압출봉(13)은 소직경축(14)을 돌출형성부(15)와 동심으로 일체화하여 제조된다. 이 돌출형성부(15)의 외경은 나선홈(12)의 상부직경과 같은 크기를 갖고 있다. 또 돌출 형성부(15)는 나선홈(12)에 맞추어 나사낸 숫나사의 형태를 갖는 나선돌출부(15a)를 갖고 있다. 이 돌출형성부(15)는 나선홈(12)를 나선돌기들(15a, 15a)에 키워 외부실린더(11)에 대해서 회전시킴으로써 압출봉(13)의 축선방향에 따라 전후진 이동한다. 그러나 외부실린더(11)의 기부단에서 이 돌출형성부(15)는 나선돌기(15a)가 나선홈(12)과 접촉함으로써 더 이상의 이동이 방지된다. 제1도는 이 방지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돌출형성부(15)는 단부에는 단부측면(15b)을 갖고 있다. 스톱퍼(37)는 그 기부측에 기부측면(37b)을 가지며 외부실린더(11)의 단부에서 단부측면(15b)이 기부측면(37b)과 상호작용하므로 돌출 형성부(15)의 단부측면(15b)이 기부측면(37b)과 접촉하는 상호작용위치를 돌출형성부(15)가 넘어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제5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나선돌기들(15a)이 압출봉(13)의 중심축선에 축선대칭으로 대향한 위치들에 90°각 범위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2개의 나선돌기들(15a, 15a)간의 부분에는 돌출형성부(15)의 주연면이 각각 부분적으로 절삭되어 있다. 이 절삭부는 압출봉(13) 성형시에 금형의 공동으로 부터 압출형성부를 당겨내게 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금형은 축선방향에 따라 2개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축선방향에 따른 돌출형성부(15)의 길이는 나선홈(12)의 단부로 부터 스톱퍼(37)의 기부측면(37b)까지의 거리보다도 짧다.
제4 및 제5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축(14)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단면 형태를 갖고 있다. 축(14)은 그 주연부에 동일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凹형 리브(14a)를 갖고 있다. 이 凹형 리브들(14a)는 압출봉(13)의 길이 방향에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와같은 단면을 갖는 압출봉(13)의 축은 리브들(14a)를 포함한 축(l4)의 전체 직경보다도 큰 내경을 갖는 스톱퍼(37)의 관통구멍(37a)을 제1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관통한다. 또 카트리지(C)가 케이스몸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축(14)의 단부는 후부플러그(24)의 회전구동구멍(24a)내로 접촉삽입된다. 후부 플러그(24)의 회전구동구멍(24)은 압출봉(13)의 단면형태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압출봉(13)은 회전구동구멍(24a)과 축(14)간의 접동접촉에 의해서 후부플러그(24)의 회전구동구멍(24a)을 통하여 카트리지(C)로 부터 회전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되어 압출봉(13)은 후부플러그(24)에 대해서 축선방향에 따라 접동가능하다.
축(14)은 그 기부에 가까운 돌출형성부(15)에 인접하는 부분에 그다른 부분의 외경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클러치부(16)를 갖고 있다.
제1도를 참조하면 축(14)은 스톱퍼(37)로 부터 단부를 향하여 돌출된 부분에 있는 탄성링(39)내로 삽입된다. 이 탄성링(39)은 고무로 제조된다. 이 탄성링(39)의 내경은 통상 축(14)의 외경보다도 작고 클러치부(16)의 외경보다도 크다. 따라서 탄성링(39)이 케이스몸체(10)로 부터 카트리지(C)를 빼내는 상태에서도 축(14)과 탄성링(39)간의 마찰저항 때문에 축으로 부터 멀어져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또, 케이스몸체(10)에 카트리지(C)가 삽입되는 상태하에서도 탄성링(39)이 스톱퍼(37)와 후부플러그(24)간에 끼워져 있어 탄성링(39)의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압출봉(13)에 탄성링(39)과 축(14)의 외면간의 접동에 의해서 탄성링(39)의 탄성으로 인한 접동저항이 가해진다.
압출봉(13)의 돌출형성부(l5)가 스톱퍼(37)와 나선홈(12)간에 위치된 상태에 있어서 탄성링(39)은 상기한 클러치부(l6)에 위치된 것과같이 그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탄성링(39)과 압출봉(13)간의 결합이 자유롭게 벗겨져 축(14)에 대한 접동저항이 해재된다(제2도 참조). 그 상태하에 압출봉(13)은 돌출형성부(15)의 나선돌기(15a)와 나선홈(12)간의 결합을 벗김으로써 압출봉(13)에는 탄성링(39)과의 관계 뿐만 아니라 축선방향에 따른 이동이 해제된다(제2도 참조).
축(14)에 클러치부(16)와 같은 소직경부를 제공함으로써 후부플러그(24)의 회전구동구멍(24a)와 압출봉(13)의 축(14)간의 결합이 압출봉(13)의 돌출형성부(15)가 스톱퍼(37)과 나선홈(12)간에 위치한 상태화에 벗겨질 수 있다. 그리하여 카트리지(C)의 회전이 압출봉(13)으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접동저항 또는 이동이 해제된 상태라는 것은 압출봉(13)이 끝까지 전진한 최대 스트로크의 상태 또는 고상화장품(22)이 최대로 공급 또는 완전히 소모된 상태를 의미한다.
제1 및 2도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의한 공급케이스의 동작 및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제1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케이스몸체(10)가 캡(40)으로 씌어지고 케이스몸체(10)내에 카트리지(C)가 폴리그(30)을 거쳐서 장착된 보호상태에 있어서는 그 동작에 있어서 첫째로 캡(40)이 캡이 씌워지는 부분(33)으로 부터 벗겨져 별개로 되어 카트리지기 사용할 수 있게 노출된다. 그런후 카트리지(C)내에 수용된 고상화장품(22)이 적당 길이로 돌출된다. 이 고상화장품(22)을 돌출시키기 위해서는 케이스몸체(10)의 외부실린더(11)를 회전시킬때는 카트리지몸체(20)를 보지하고 또는 케이스몸체(10)의 외부실린더(11)를 보지하여 고정할 때에는 카트리지(20)를 회전시킨다. 카트리지(C)과 케이스몸체의 외부실린더(11)는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압출봉(13)의 축은 축(13) 의 주연부의 전체길이에 배치된 복수의 회전리브들(14a)를 갖고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C)와 케이스몸체(10)간의 회전이 후부플러그(24)의 회전 구동구멍(24a)과 축(14)간의 결합에 의해서 압출봉(13)으로 전달된다. 이 회전은 압출봉(13)으로 전달되어 돌출형성부(15)의 나선돌기(15a)와 나선홈(12)간의 나선이동에 의해서 케이스몸체(10)의 외부실린더(11)에 대해서 압출봉(13) 을 축선 방향으로 전후진 이동시킨다.
이 경우에 축(14)과 회전구동구멍(24a)은 전후진이동 할 수 있다. 후부플러그(24)와 축(14)간의 결합에 의해서 회전력을 압출봉(13)에 가함으로써 카트리지(C)의 토오크가 케이스몸체에 관계되어 압출봉(13)으로 가해진다. 따라서 카트리지 단부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케이스몸체에 대해서 카트리지(C)가 회전될 때에 압출봉(13)은 단부방향으로 이동한다.
후부플러그(24)와 카트리지몸체(20)는 플러그(30)내로 즉, 케이스몸체(10)내로 끼워져 작은 힘으로는 케이스몸체(l0)의 축선방향에 따라 접동할 수 없다. 따라서 압출봉(13)이 카트리지(C)를 케이스몸체(10) 밖으로 이동할 수 없다.
코어처크(21)는 스프링(25)력에 대항하여 압출봉(13)의 축(14)의 선단으로 밀린다. 제2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코어처크(14)에 지지된 스틱형 고상화장품(22)이 카트리지몸체(20)의 선단개구부로 부터 공급된다.
고상화장품(22)의 사용후에 고상화장품(22)은 카트리지몸체(20)로 상기 공급시와 반대로 상대 역회전에 의해서 후퇴수용된다. 다시 말하면 카트리지(C)는 반대 방향으로 압출봉(13)은 외부실린더의 기부단으로 회전하고 후퇴 이동하여 스프링(25)에 대항하여 공급했던 코어처크(21)가 스프링(25)의 수축력에 의해서 카트리지몸체(20)내의 소정위치로 후퇴이동되는 동시에 고상화장품(22)이 케이스몸체(20)의 소정의 장소에 수용된다.
탄성링(39)은 압출봉(13)이 전진할 때, 즉 고상화장품(22)이 공급될 때에 압출봉(13)의 이동에 대해서 접동저항을 가한다. 사용자는 스프링(25)의 스프링력이 바뀌어 공급됨으로써 적절한 조작감각을 받는다. 탄성스프링(39)은 압출봉(13)의 후진이동에 대해 접동저항을 가하여 급작스러운 복귀를 감소시킨다.
압출봉(13)의 전지스트로크는 화장품 소모에 의해서 고상화장품(22)이 짧아진 후일때마다 길어진다. 돌출형성부(15)의 단부측면(15b)는 후부플러그(30)의 후부에 있는 스톱퍼(37)의 기부측면(37b)에 접촉하게 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이 단계에서는 압출봉(13)의 기부단에 있는 돌출형성부의 나선돌기(15a)는 외부실린더(11)의 나선홈(12)과의 결합에서 벗어난다. 따라서 압출봉(13)은 축선방향에 따른 전후진 이동의 전달로 부터 벗어난다. 동시에 압출봉(13)이 탄성링(39)이 클러치부(16)에 위치하기 때문에 탄성링(39)에 의한 접동저항으로 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점에서 사용자는 접동저항의 감소로 상대회전이 겉도는 것을 인식할수 있다. 사용자가 카트리지를 더 회전시켜도 돌출형성부(15)의 단부측면(15b)이 플러그(30)의 후부에 있는 스톱퍼(37)의 기부측면(37b)를 밀지 않으므로 카트리지몸체(20)와 외부실린더(11)간의 상대회전의 무리가 없어 공급 케이스가 보호된다. 고상화장품(22)이 카트리지몸체(20)로 부터 불필요한 길이로 돌출되면 사용자는 카트리지(C)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거나 새로운 고상화장품(22)를 코어처크(21)에 재장착한다.
새로운 카트리지(C)를 필요에 따라 장착할 때에는 카트리지몸체(20)의 원통형삽입부(23)는 플러그(30)를 거쳐서 케이스몸체(10)의 외부실린더(11)내로 장착된다. 삽입후에 카트리지몸체(20)의 환상결합홈(26)이 플러그(30)의 카트리지보지편(34)의 보지리브(35)에 결합된다. 그리하여 카트리지몸체(20)가 회전가능하게 제자리에 보지되어 전후진이동이 방지된다.
[제2실시예]
제9 및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9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급케이스는 제1실시예와 거의 같은 카트리지(C)와 캡(40)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카트리지(C)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원통형 케이스몸체(58)의 단부(도면의 좌측)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공급케이스는 케이스몸체(58)와 카트리지(C)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몸체(58)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이 케이스몸체(58)는 케이스몸체의 외부케이스인 저부가 있는 원통형의 외부실린더(56)를 갖고 있다. 원통형인 나사실린더(50)은 외부실린더(58)의 내부중앙부내로 삽입하여 맞추어진다. 나선홈(51)은 나사실린더(50)의 내면내에 형성된 암나사형을 갖고 있다.
이 나선홈의 상부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스톱퍼부(52)는 나선홈의 상부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는 스톱퍼부(52)가 나사실린더(50)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57)가 외부실린더(56)내의 나사실린더(5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스페이서(57)은 나사실린더(50)의 내경보다도 작은 내경을 갖고 있다.
플러그(60)는 카트리지(C)와 케이스몸체(58)간에 개재시키기 위하여 개구부단(56b)에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60)의 구성은 기부단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플러그(30)의 구성과 거의 같다. 플러그(60)의 기부단은 그 다른 부분 보다도 작은 직경을 갖고 있고, 그 축선에 대해서 축대칭으로 위치하는 2개의 부분에 슬릿들(도시하지않음)이 설비되어 있다. 이 슬릿들에 의해서 한정되는 돌출부들은 카트리지(C)를 보지하기 위한 카트리지 보지편들(64)이다.
따라서 플러그(60)는 제1실시예에 의한 플러그(30)의 스톱퍼(37)와 같은 스톱퍼를 갖지 앉는다. 플러그(60)의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플러그(30)의 다른 구성과 같으므로 생략한다.
압출봉(53)은 외부실린더(56)의 중앙부내에 장착된다. 제9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ㄴ출봉(53)은 소직경축(54)과 이축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돌출형성부(55)를 포함하고있다. 이 돌출형성부(55)의 외경은 나선홈(51)의 상부직경과 거의 같다. 이 돌출형성부(55)는 그 주연부둘레에 설비된 나선홈(51)에 끼워맞추기 위한 숫나사형태를 갖는나선돌기(55a)를 갖고 있다. 이 돌출형성부(55)는 나선홈(51)과 나선돌기(55a)를 나사맞춤함으로서 회전하면 외부실린더(56)의 축선방향에 따라 외부실린더(56)내에서 전후진한다. 돌출형성부(55)는 그 기부단에 기부측면(55c)를 갖고 있다. 이 기부측면(55c)은 돌출형성부(55)의 외경보다도 작은 내경을 갖는 스페이서(57)과 상호작동 한다.
따라서 기부측면(55c)이 기부측면(37b)과 접촉하는 상호작동 위치를 넘어서 기부측면(55c)이 후진 이동할 수 없다. 이 돌출형성부(55)는 그 단부쪽에 단부측면(55b)을 갖고 있다. 이 단부측면(55b)은 돌출형성부(55)의 외경보다도 작은 내경을 갖는 스톱퍼부(52)와 상호작동을 한다. 따라서 단부측면(55b)이 스톱퍼부(52)와 접촉하는 상호작동 위치를 넘어서 단부측면(55b)이 전진 이동할 수 없다. 나선돌기들(55a,55a)이 압 출봉(53)의 중심축선에 대향한 2개의 위치에 90°의 각 범위로 서로 축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54)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단면을 갖고 있다. 이 축(54)은 제1실시예에 의한 축(14)과 같이 축(54)의 주연부에 형성된 복수의 凸형 회전리브들(54a)을 갖고 있다.
이 회전리브들(54a)은 압출봉(53)의 길이 방향에 따라 직선연장되어 있다. 단면도에서 압출봉(53)의 축(54)은 스톱퍼부(52)의 관통구멍(52a)을 관통한다. 또, 케이스몸체(58)내에 카트리지(C)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축(54)의 단부는 후부플러그(24)의 회전구동구멍(24a)내에 접촉 삽입되어 있다. 후부플러그(24)의 회전구동구멍(24a)는 압출봉의 단면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압출봉(53)은 회전구동구멍(24a)와 축(54)간의 접동접촉에 의해서 후부플러그(24)의 회전구동구멍(24a)을 통하여 카트리지(C)로 부터의 회전이 가해질수 있다. 또, 압출봉(53)은 후부플러그(24)에 대해서 축선방향에 따라 접동가능하다.
축(54)은 스톱퍼부(52)로 부터 단부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탄성링(39)은 제1실시예의 것과같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몸체(58)내에 카트리지(C)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탄성링(39)은 스톱퍼부(52)와 후부플러그(24)간에 끼워져 있어 탄성링(39)의 이동을 한정지운다. 따라서 압출봉(53)에는 탄성링(39)의 내면과 축(54)의 외면간의 접동접촉에 의해서 탄성링(39)의 탄성으로 인한 접동저항이 가해진다.
상기 구성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급케이스를 조작하는 경우 각부품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첫째로 제1실시예와 같이 카트리지(C)와 케이스몸체(58)가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이 회전은 후부플러그(24)와 축(54)간의 결합에 의해서 압출봉(53)으로 전달된다. 이 회전이 압출봉(53)에 전달되어 돌출형성부(55)와 나선홈(51)간의 나선이동에 의해서 케이스몸체(58)의 외부실린더(56)에 대해서 압출봉(53)이 축선방향으로 전후진 이동한다.
코어처크(21)는 후부에 있는 압출봉(53)의 축(54)의 단부에 의해서 스프링(25)력에 대항하여 밀린다. 제10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코어처크에 지지된 스틱형고상화장품(22)이 카트리지몸체(20)의 선단개구부로 부터 공급된다.
고상화장품(22)을 사용한 후에는 상기공급시와 역으로 반대 방향의 상대회전에 의해서 고상화장품(22)이 후퇴되어 카트리지몸체(20)내에 수용된다. 다시말하면 카트리지(C)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압출봉(53)이 외부실린더(56)의 기부단으로 후진이동한다. 스프링(25)력에 대항하여 전진했던 코어처크(21)가 스프링(25)의 수축력에 의해서 카트리지몸체(20)내의 제자리로 후퇴되는 동시에 고상화장품도 케이스몸체(20)의 제자리에 수용된다.
탄성링(39)은 압출봉(53)이 전진할 때, 즉 고상화장품(22)이 공급될 때에 압출봉(53)이 이동하는데 접동저항을 가한다. 사용자는 스프링(25)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좋은 조작감을 받는다. 한편, 압출봉(53)이 스프링(25)력에 의해서 후진 이동할 때에는 탄성링(39)이 압출봉(53)이 후진이동하는데 접동저항을 가하여 갑작스러운 복귀를 감소시킨다.
[제3실시예]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11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이 제3실시예에 의한 공급케이스는 제1실시예의 카트리지(C)와 캡의 구성과 거의 같은 카트리지(C)와 캡(40)을 갖고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C)와 캡(40)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카트리지(C)의 후부플러그(77)의 관통구멍(77a)은 제13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톱니모양등의 스프로켓과 같은 끼워맞추는 단면형태를 갖는다. 그리하여 카트리지(C)는 카트리지(C)가 케이스몸체(70)내에 장착될 때에 압출봉(73)에 대한 카트리지(C)의 상대회전 위치의 수가 제1실시예의 것 보다도 크기때문에 카트리지(C)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카트리지(C)는 원통형 케이스몸체(70)의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접촉 삽입되어 있다. 공급케이스는 케이스몸체(70)와 카트리지(C)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몸체(7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이 케이스몸체(70)는 그 외부 케이스로서 제1실시예의 외부케이스(11)와 같은 구성의 외부실린더(71)를 갖고 있다. 암나사형태를 갖는 나선홈(72)이 외부실린더(71)의 내면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80)는 카트리지(C)와 케이스몸체(70)간에 개재시키기 위하여 외부실린더(71)의 개구부단(71a)에 배치되어 있다. 플러그(80)의 구성은 제1실시예의 플러그(30)의 구성과 거의 같다. 그러나 플러그(80)의 스톱퍼(87)를 위한 지지부의 형태는 플러그(30)의 것과 약간 다르다. 제14도∼제16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스톱퍼(87)를 지지하는 돌출편들은 슬릿들(86)이 넓게 형성되기때문에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80)의 다른 구성에 대한 설명은 그들이 플러그(30)의 구성과 같기 때문에 생략한다.
제11도에 있어서, 압출봉(73)이 외부실린더(71)의 중앙부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 압출봉(73)은 소직경축(74)과 대직경의 돌출형성부(75)와의 동심결합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돌출형성부(75)의 외경은 나선홈(72)의 상부의 내경과 대략 같다. 이 돌출형성부(75)는 나선홈(72)에 나사맞춤하기 위하여 돌출형성부(75)의 주연부 둘레에 형성된 나선돌기(75a)를 갖고 있다. 나선홈(72)과 나선돌기(75a)를 나사맞춤함으로써 돌출형성부(75)는 회전하면 축선방향에 따라 외부실린더(71)내에서 전후진 이동을 한다. 나선홈(72)의 기부단에서 돌출형성부(75)는 나선돌기(75a)가 나선홈(72)의 단부와 접촉하여 더 이상의 후진 이동을 할 수 없다. 제11도는 이 이동방지 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또 스톱퍼(87)의 기부측면(87b)에서 돌출형성부(75)가 스톱퍼(87)와 접촉하여 더이상의 전진이동을 할 수 없다.
제13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축(74)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태의 단면을 갖는다. 축(74)의 주면부에는 4개의 凸형 회전리브들(74a)이 동일각의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리브(74a)는 압출봉(73)의 길이방향에 따라 연장된다. 회전리브(74a)의 각각은 후부플러그(77)의 관통구멍(77a)의 내면에 형성된 12개의 스포로켓 또는 톱니중의 임의의 하나와 물린다. 스프로켓 또는 톱니의 모든 凸부에 대응한 다수의 회전리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와같은 단면형태를 갖는 압출봉(73)의 축(74)은 압출봉(73)의 리브들(74a)를 포함한 전체 외경보다도 큰 내경의 스톱퍼(87)의 관통구멍(87a)을 관통한다. 또, 카트리지(C)가 케이스몸체내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축(74)의 단부가 후부플러그(77)의 회전구동 구멍(77a)내로 접촉삽입되어 있다. 제13도는 이상태에서의 공급케이스의 단면을 나타내고있다. 압출봉(73)에는 회전구동구멍(77a)과 축(74)간의 접동접촉에 의해서 후브플러그(77)의 회전구동구멍(77a)을 통하여 카트리지(C)로 부터 회전력이 가해진다. 압출봉(73)은 후부플러그(77)에 대해서 축선방향에 따라 접동가능하다.
축(74)은 스톱퍼(87)로 부터 단부쪽을 향하여 돌출된 축(74)의 일부에 있는 탄성링(39)내로 삽입된다. 이 탄성링(39)은 제1실시예의 것과같이 형성된다. 카트리지(C)가 케이스몸체(70)내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이 탄성링(39)은 스톱퍼(87)와 후부플러스(77)간에 끼워져 탄성링(39)의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압출봉(73)에는 탄성링(39)과 축(74)의 외경간의 접동접촉에 의해서 탄성링(39)의 탄성으로 인한 접동저항이 가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제3실시예에 의한 공급케이스의 조작과 기능에 대한 설명은 제2실시예에 의한 공급케이스와 거의 같으므로 생략한다. 그러나 플러그(80)가 그 내부에 카트리지를 보지하는 기능과 플러그(80)가 스톱퍼(87)와 일체로 되기 때문에 압출봉(73)의 전진이동을 한정지우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부품수와 제조공정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4실시예]
제17도 ∼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2실시예에의한 장치와 비교하면 제4실시예에 의한 장치에는 플러그(147)에 결합하기 위하여 후부플러그(124)의 주연부 둘레에 원주방향의 홈이 설비된 것이 특징이다.
케이스몸체(141)는 원통형형태이고, 그 단부에 개구부를 갖고 있다. 나선실린더(143)는 나선실린더(143)의 내면에 형성된 나선홈(142)을 갖고 있다. 이 나선실린더(143)는 케이스몸체(141)내에 나사맞춤하여 장착된다. 압출봉(144)은 나선실린더(143)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압출봉(144)은 그 기부단에 배치된 돌기(145)를 갖고 있다. 이 돌기(145)는 나선홈(142)내로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나선실린더(143)가 압출봉(144)에 대해서 상대회전 될때에 돌기(145)와 나선홈(142)에 의해서 밀려 나선실린더(143)의 축선방향에 따라 케이스몸체(141)의 단부로 부터 전후진 이동한다. 압출봉(144)에는 그 축선방향에 따라 4개의 돌기(146)가 설비되어 있고, 각각의 돌기(146)는 제19도에 나타낸 것과같은 3각형 단면을 갖고 있다.
연결파이프(147)는 케이스몸체(141)의 단부내에 나사맞춤으로 장착된다. 제19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연결파이프(147)에는 4개의 슬릿(148)이 설비되어 4개의 카트리지 지지편(149)이 실질적으로 환상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결합갭(110)이 배치되고 각각의 카트리지 지지편(149)의 내면에서 돌출되고, 실질적으로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각각의 카트리지 지지편(149)은 탄성을 갖고 있다. 카트리지(12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제20도를 참조하면 카트리지(120)는 테이퍼진 원통형태를 갖고 케이스몸체(141)의 단부쪽에 배치된 연결파이프(147)내로 장착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 카트리지몸체(121)를 포함하고 있다. 홈이 파인 파이프(121a)는 카트리지몸체(121)내에 장착된다. 코어처크(122)는 홈이파인 파이프(121a)내에 접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홈이파인 파이프(121a)의 홈(121b)에서 돌출된 돌기(122a)를 갖고 있다. 코일스프링(123)이 홈이 파인 파이프(121a) 둘레에 감겨 있고, 돌기(122a)와 카트리지몸체(121)의 단부간에 배치되어 있어 이 코일스프링(123)에 의해서 카트리지몸체(121)의 기부단쪽을 향하여 힘주어져 있다.
스틱형고상화장품은 코어처크(122)의 단부에 지지되어있다. 카트리지몸체(121)는 그 기부단에 결합된 코어처크(122)가 카트리지몸체(121) 밖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한 후부플러그(124)를 갖고 있다. 이 후부플러그(124)는 그 주연부에 배치된 환상결합부(125)를 갖고 있다. 이 환상결합부(125)는 카트리지지지편(149)의 내면에 배치된 결합갭들(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후부플러그(124)에는 케이스몸체(141)내에 카트리지(120)가 장착된 후에 압출봉(144)이 통과하는 관통구멍(126)이 설비되어 있다. 이 관통구멍(126)은 압출봉(144)의 회전을 멈추게 하여 카트리지(120)를 압출봉(144)에 결합하기 위하여 기어로 된 부분(127)을 갖고 있어서, 카트리지(120)는 압출봉(144)와 함께 회전한다. 이 기어로 된 부분(127)은 돌기들(146)와 맞물리게 하는 별형태의 홈이다.
압출봉(144)은 나선실린더(143)로 부터 단부를 향하여 돌출된 부분에서 0링(139)내에 삽입되어 있다. 이 0링 (139)의 내경은 통상 압출봉(144)의 외경 보다도 작다. 따라서 0링(139)이 압출봉(144)으로 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캡(131)은 연결파이프(147)에 결합될 수 있어서 카트리지(120)를 덮어 씌울수 있다.
카트리지(120)는 케이스몸체(141)의 단부내에 삽입되어 후부플러그(124)를 환상으로 형성된 카트리지지지편들(149)내로 삽입한다. 카트리지지지편들(149)의 결합기어 들(110) 은 환상결합부(125)내에 결합된다. 따라서 카트리지(120)가 케이스몸체(141)내에 장착된다. 이 경우에 압출봉(144)의 단부는 관통구멍(126)내에 장착되고 돌기들(146)은 기어로 된 부분(127)과 맞물린다.
이 상태에서 0링(139)는 나선실린더(143)와 나선실린더(143)와 후부플러그(124)간에 끼워진다. 따라서 0링(139)의 이동이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몸체(141)를 잡고, 카트리지(120)를 회전시킴으로서 압출봉이 케이스몸체(141)의 나선실린더(143)와 함께 회전되고, 압출봉(144)의 돌기(145)가 나선실린더(142)에 의해서 밀려 케이스몸체(141)밖으로 전진이동한다.
따라서 압출봉(144)의 단부가 카트리지몸체(121)내에 배치된 코어처크(122)를 밀어 코어처크(122)에 지지된 스틱형고상화장품(130)을 카트리지(121)의 단부로 부터 공급한다.
이 고상화장품(122)은 상기 공급시와 역으로 상대역회전에 의해서 카트리지몸체(120)내로 후퇴수용된다.
사용자가 압출봉(144)을 전후진 시키는 동안에 0링(139)에 의해서 압출봉(126)이 전후진이동화는데 접동저항이 가해지므로 압출봉(144)이 과이동될 수 없고,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기부단쪽으로 향하여 압출봉(144)이 멋대로 과도하게 전후진 이동될 수 없다.
제4실시예의 장치에는 제1실시예의 것과 같은 클러치부(16)가 설비되어 있다.
제4실시예에 의하면 카트리지(120)는 카트리지(120)를 케이스몸체(141)내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카트리지 지지편들에 장착될 수 있다. 또 카트리지(120)를 뽑아내는 것만으로 카트리지(120)를 카트리지 지지편들(149)로 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120)의 착탈을 단번에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카트리지지지편들(149)은 그 탄성에 의해서 후부플러그(124)를 지지한다. 또 카트리지지지편들(149)은 카트리지(120)가 회전될 때 그 탄성의 소정조작저항 때문에 과도히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스틱형고상 화장품(130)이 적당한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
카트리지(120)의 후부플러그(124)는 압출봉(144)과 그것을 결합 회전되도록 압출봉의 회전을 멈추게 하는 기어로 된 부분(127)을 갖고 있다. 따라서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조립을 간단화 한다.
[제5실시예]
제4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비교하면 제5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카트리지 지지편들(149)이 제21도∼제23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연결파이프(147)에 형성되지 않은 나선실린더(143)의 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카트리지지지편(149)은 실린더에 슬릿을 설비하여 형성된다. 제5실시예의 장치의 다른 부분들은 제4실시예의 장치의 것들과 같다.
[제6실시예]
제4실시예에 의한 장치와 비교하면 제6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제24도 및 제25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한쌍의 카트리지지지편(149)이 연결파이프(147)없이 나선실린더(143)의 단부에 설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카트리지지지편(149)은 케이스몸체(141)의 단부로 부터의 돌출을 위한 선단을 갖고 있어, 이 카트리지 지지편들(149)도 연결파이프(147)와 같은 기능을 갖는다. 제6실시예의 다른 부분들은 제4실시예의 장치와 같다.
[제7실시예]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장치는 카트리지몸체(121)의 기부단의 주연부에 배치된 환상결합부(125)를 구비하고 있다. 이 환상결합부(125)는 카트리지지지편들(149)의 결합갭(110)과 결합된다. 제7실시예의 장치의 다른 부분들은 제4실시예의 장치의 것들과 같다.
따라서 후부플러그(124)는 카트리지가 분리될 때에 카트리지몸체(121)로 부터 떨어져나가는 것이 방지되게 카트리지 지지편(149)에 의해서 끌어내린다.
[제8실시예]
제27도∼제30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8실시예의 목적은 인장코일 스프링을 카트리지내로 용이하게 장착는데 있다. 카트리지의 회전은 플러그인 로터리실린더(166)를 거쳐서 전달된다.
제27도∼제30도는 제8실시예에 의한 공급케이스를 나타내고 카트리지(151)와 그것이 장착되는 케이스몸체(161)를 구비하고 있다.
카트리지(151)는 그 단부와 그 기부단에 개구부를 각각 갖는 원통형 카트리지몸체(152)를 갖고 있다. 카트리지몸체(152)는 카트리지몸체(152)의 기부단 주연부 둘레에 환상홈(153)을 갖고 있다. 또, 카트리지몸체(152)의 기부단쪽의 개구부는 압출봉(144)이 장착되는 후부플러그(154)에 결합하기 위한 큰 구멍부를 갖고 있다.
코어처크(155)는 카트리지몸체(152)내에 접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코어처크(155)는 그 단부에 스틱형 고상화장품의 기부단을 지지하고 있다. 코어처크(155)는 그 기부단에 배치된 보지돌기(157)를 갖고 있다. 이 보지돌기(157)는 카트리지몸체(152)의 기부단을 향해서 테이퍼진 원추형태를 갖고 있다.
이 보지돌기(157)는 그것과 코어처크(155)간의 연결부에 병목부(158)를 갖고 있다. 이 병목부(158)는 스프링을 고정하는 단진부(158a)를 갖는다. 또 보지돌기(157)는 카트리지(151)의 축선방향에 따라 배치된 슬릿(159)에 의해서 분할되어 있다. 인장스프링의 한쪽에 형성된 소직경부가 병목부(158)의 주연부에 끼워 맞추어지고 이 소직경부(160b)는 스프링을 고정하는 단진부(158a)에 고정된다.
인장스프링(160)의 다른쪽에 형성된 대직경부(160c)는 단진부(152a)와 접촉되어 있다. 이 단진부(152a)는 카트리지몸체(152)의 기부단에 형성된 후부플러그(154)에 결합되는 큰 구멍부를 배치하여 형성된다. 인장스프링(160)의 대직경부(160c)는 카트리지몸체(152)내에 끌리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후부플러그(154)는 카트리지 몸체(152)의 기부단에 있는 큰구멍부내로 장착되어 후부플러그(154)를 카트리지몸체(152)에 결합된다. 후부플러그(154)를 멈추기 위하여 큰 구멍내에 형성된 凹홈이 후부플러그(154)내에 형성된 환상凸부와 결합되어 인장스프링(160)의 대직경부(160c)가 카트리지몸체(152) 밖으로 미끌려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케이스몸체(161)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케이스몸체(161)는 그 단부에서 개방되고 그 기부단에서 폐쇄된 외부실린더(162)를 갖고 있다. 이 외부실린더(162)는 그 내면에 배치된 나선홈(163)을 갖고 있다. 압출봉(144)이 이 외부실린더(162)내로 삽입된다. 압출봉(144)은 외부실린더(162)의 축선방향에 따라 전후진 이동하여 외부실린더(162)의 단부로 부터 압출봉(144)이 출입될 수 있다. 압출봉(144)은 비원형단면인 3각형 단면을 갖고 있고, 압출봉(144)의 단부에 배치된 돌기(165)는 나선홈(163)과 맞물려 있다. 회전실린더(166)는 외부실린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회전실린더(166)는 외부실린더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스톱퍼(167)는 회전실린더(166)의 기부단에 배치되어 있다. 압출봉(144)이 스톱퍼(167)를 관통하여 회전실린더(166)에 대해서 압출봉(144)의 회전을 멈주게 한다. 스톱퍼(167)에는 압출봉(144)의 단면과 같은 비원형형태인 3각형 형태를 갖는 구멍이 설비 되어 있다. 회전실린더(166)는 스톱퍼(167) 근방에 형성된 슬릿(169)을 갖고 있다. 슬릿(169)은 탄성을 갖는 잔유부를 갖고 있다. 이 잔류부의 내면에 배치된 환상갭(170)은 카트리지의 기부단에 배치된 환상 凹부(153)에 결합된다.
압출봉(144)은 스톱퍼(167)로 부터 단부쪽을 향하여 돌출된 부분에 있는 0링 (139)내에 삽입된다. 0링(139)의 내경은 통상 압출봉(144)의 외경보다도 작다. 따라서 0링 (139)이 압출봉(144)에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카트리지(151)의 기부단은 회전실린더(166)의 단부내에 장착되어 있다. 동시에 압출봉(144)의 단부는 압출봉(144)의 단부를 코어처크(155)의 기부단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인장스프링(160)의 스프링몸체(160a)를 통과한다.
이 상태에서 0링(139)은 스톱퍼(167)와 후부플러그(154)간에 잡혀 있다. 따라서 0링의 이동이 저지된다.
제8실시예에 의한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의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전실린더(166)의 단부내로 카트리지(151)가 삽입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로터리 실린더(166)를 잡고 외부실린더(162)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돌기(165)가 나선홈(163 )으로 안내되므로 압출봉(144)은 외부실린더(162)와 회전실린더(166)로 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향하여 이동한다. 카트리지(151)내의 코어처크(155)는 인장스프링(160) 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밀린다. 그러면 스틱형 고상화장품(156)이 카트리지(151)로 부터 돌출된다. 상기 공급시와 역으로 외부실린더(162)를 회전시킴으로써 고상화장품(156)은 카트리지(151)의 몸체내에 후퇴 수용된다.
코어처크(155)에 배치된 보지돌기(157)는 테이퍼진 원추형태를 갖고 있다. 이 보지돌기(157)는 스프링을 고정하는 단진부(158a)를 형성하기 위하여 보지돌기(157)의 기단부에 병목부(158)를 갖고 있다. 인장스프링(160)의 한쪽에 형성된 소직경부(160b)는 병목부(158)의 주연부와 결합되고, 이 소직경부(160b)는 스프링을 고정하는 단진부(158a)와 연결됨으로써 고정된다.
따라서 인스프링(160)의 소직경부(160b)를 원추형 단부를 갖는 돌기(157)를 잡고 병목부(158)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소직경부(160b)는 스프링을 고정시키는 단진부(158a)와 접촉함으로써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인장스프링(160)의 다른쪽에 형성된 대직경부(160c)는 후부플러그(154)가 결합되는 카트리지몸체(152)의 기부단에 위치한 단진부(152a)와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코어처크(155)에 장착된 인장스프링(160)을 부드럽게 카트리지몸체(152)로 삽입하는 것 만으로 인장스프링(160)의 대직경부(160c)가 단진부분(152a)와 접촉한다. 그리하여 후부플러그(154)가 인장스프링(160)이 카트리지몸체(152) 밖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사용자가 압출봉(144)을 전후진 이동시키는 동안에 0링에 의해서 압출봉(144)의 전후진 이동에 대해서 접동마찰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압출봉(144)의 과도안 이동과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기부단을 향한 제멋대로의 압출봉의 후퇴를 방지할 수 있다.
제8실시예의 장치에는 제1실시예의 것과 같은 클러치부(16)이 설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해서 스프링력에 의한 고상물의 전후진 이동에 대해서 어느저항을 가함으로써 더좋은 조작감을 제공하도록 고상물을 공급하는 압출봉의 주연부에 접동저항력을 가하는 저항수단을 구비한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고상물을 공급화기 위한 압출봉의 기단부에 소외경을 갖는 클러치를 구비한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가 제공된다. 따라서 압출봉이 고상물을 완전히 소비했을 때에 클러치에 의해서 회전을 받는 것으로 부터 벗어나 사용자가 고상물이 완전히 소모됨을 인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공급회전의 과도변형 때문에 파손되는 것으로 부터 케이스를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제자리에서 상대회전 가능한 플러그를 거쳐서 외부실린더내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된 카트리지와 압출봉의 전후진 스트로크를 한정지우기 위하여 플러그의 후단에 일체로 배치된 스톱퍼를 구비한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가 제공된다. 따라서 부품을 줄일수 있고, 조립을 간단화하고, 제조공정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로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그와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것이 아니고 당업자에 의한 그와같은 개변은 다음 청구범위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29)

  1. 관통구멍내에 돌출가능하게 고상물을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고, 회전가능하게 보지하는 케이스 몸체를 구비한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 공급케이스이고,
    카트리지가 상기 케이스몸체에 장착되었을때에 상기 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몸체를 전후진 이동 가능한 상기 고상물을 압출하는 압출봉,
    상기 케이스몸체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회전운동을 상기 케이스몸체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상대 접동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 및
    상기 케이스몸체에 대한 상기 압출봉의 전후진 운동에 대해서 접동저항을 가하는 저항수단을 구비한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봉이 상기 카트리지의 관통구멍내로 삽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관통구멍에 결합되어 상기 관통구멍내에서 전후진이동 가능한 상기 고상물을 보지하는 보지구 및
    상시수용방향으로 상기 보지구를 힘주는 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수단이 상기 상기 카트리지의 회전을 상기 압출봉으로 전달하는 회전전달수단 및
    상기 압출봉의 회전에 의해서 그 축선방향에 따라 상기 압출봉을 이동하는 나사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전달수단이 상기 카트리지의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내에 삽입된 상기 압출봉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구멍의 단면형태와 상기 압출봉의 단면형태가 그들의 축선방향내에서 상호 변위 가능하고, 그들간의 상호회전이 불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 공급케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의 단면형태와 상기 압출봉의 단면 형태가 각각 비원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의 단면형태와 상기 압출봉의 단면형태가 각각 같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가 내부구멍을 갖고, 상기 나사수단이 상기 케이스몸체의 내부구멍의 내면에 배치된 숫나사와 상기 숫나사에 나사맞춤되도록 상기 압출봉의 주연부에 배치된 암나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봉이 대외경을 갖는 대직경부를 가지며, 상기 숫나사가 상기 대직경부에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향한 상기 압출봉의 최대 이동위치를 한정지우는 스톱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나사수단의 결합이 상기 압출봉이 최대 이동위치에 이르기 직전에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수단이 상기 압출봉에 장착되는 탄성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링이 상기 케이스몸체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맞춤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르리지형 공급케이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수단이 상기 카트리지를 향한 상기 압출봉의 최대 이동위치에서 상기 압출봉에 가해지는 접동저항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수단이 상기 압출봉에 장착되는 탄성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링이 상기 케이스몸체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위치맞춤하는 위치맞춤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봉이 두가지 외경을 가지며, 그 하나는 소정의 응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기 탄성링의 내경보다도 크고, 다른 하나는 상기 최대 이동위치에서 소정의 응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기 탄성링의 내경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향한 상기 압출봉의 최대 이동위치를 한정 지우는 스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회전 가능하고, 착탈가능하게 보지하는 관통 구멍을 갖는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플러그의 상기 관통구멍의 내면내로 삽입되는 원통형 삽입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상기 관통구멍의 내면 또는 상기 카트리지의 상기 원통형 삽입부의 외면중의 하나가 원주형 홈을 가지며, 그들중의 나머지 하나가 상기 원주형홈의 다른면에 결합 가능한 원주형 돌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와 일체로 되어 상기 카트리지로 향한 상기 압출봉의 최대 이동위치를 한정지우는 스톱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봉이 소직경부와 대직경부를 갖고 상기 대직경부가 그와 동심으로 형성된 축과 상기축이 회전가능하게 삽입가능하고, 상기 대직경부가 삽입불가한 내경을 갖는 관통구멍을 갖는 스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축이 상기 스톱 수단을 통과하고, 상기 저항수단이 상기 탄성링내로 삽입되는 부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24. 내부관통구멍내로 고상물을 돌출가능하게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카트리지를 착탈가능하게 보지하는 개구부를 갖는 케이스 몸체를 구비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이고, 상기 케이스몸체의 개구부에 배치되어 그 축선방향에 따라서 전후진 이동이 불가능한 카트리지를 회전 가능하게 보지하는 플러그,
    상기 케이스몸체와 결합되어 카트리지가 상기 케이스몸체에 장착되었을때, 상기 케이스몸체내에서 전후진 이동이 가능하고 스틱타입축과 상기 스틱타입축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대직경부를 구비하여 상기 고상물을 압출하는 압출봉,
    상기 케이스몸체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회전운동을 상기 케이스몸체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상대접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 및
    상기 축이 삽입되고, 상기 대직경부가 삽입되지 않고, 상기 플러그와 일체로 되고, 상기 카트리지를 향한 상기 압출봉의 최대 이동점을 한정지우는 스톱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25. 내부관통구멍내에 고상물을 돌출가능하게 수용하는 카트리지와 착탈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카트리지를 보지하는 개구부를 갖는 케이스몸체를 구비한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이고,
    상기 케이스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에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몸체 내에서 전후진 이동가능하여 상기 고상물을 압출하는 압출봉,
    상기 케이스몸체에 대한 상기 카트리지의 회전운동을 상기 케이스몸체의 접동운동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 및
    상기 카트리지를 향한 상기 압출봉의 최대 이동위치에서 상기 변환수단에 의한 변환을 해소하는 해소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26. 케이스몸체로써 암나사형태의 나선 凹홈을갖는 외부실린더,
    상기 외부실린더의 선단개구부로 부터 착탈가능하고, 스프링부재에 대항하여 소정의 위치로 부터 고상물을 공급할수있는 카트리지, 및
    상기 외부실린더내의 나선凹홈에 맞물리는 숫나사 형태의 돌출부에 의해서 전후진 이동하고, 상기 카트리지내에서 고상화장품을 밀어서 압출하는 압출봉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실린더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대 회전하여 회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회전력이 상기 압출봉으로 전달되어 전후진 운동으로 변환되고, 상기 외부실린더의 선단개구부로 부터 내면에 내부 고정된 원통형 플러그를 갖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플러그를 거쳐서 상기 외부실린더에 착탈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카트리지가 소정위치내에서 상대회전 가능하고, 상기 플러그는 압출봉을 삽입하여 상기 돌출부에 접촉하는 상기 플러그의 후단에 스톱퍼를 일체로 갖고, 상기 압출봉이 상기 돌출부를 상기 스톱퍼에 접촉함으로써 전진 스트로크를 한정지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27. 케이스몸체로써 암나사 형태의 나선凹홈을 갖는 외부실린더, 상기 외부실린더의 선단 개구부로 부터 착탈가능하고, 그안에 고상물을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외부실린더내의 나선凹홈에 맞물리는 숫나사 형태의 돌출부에 의해서 전진하는 나사에 의해서 전후진 하고, 상기 카트리지내에서 고상화장품을 밀어서 압출하는 압출봉을 구비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압출봉이 삽입되는 후단을 갖고, 상기 카트리지의 후단은 상기 압출봉에 회전 및 전후진 방향에 따른 직선운동을 가할수 있는 형태를 갖고, 상기 외부실린더와 상기 카트리지는 회전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대 회전하고, 상기 압출봉이 상기 회전에 의해서 전후진 이동하고,
    탄성링이 상기 카트리지의 후단과 접촉 하는 위치에 있는 상기 압출봉의 주연부에 접촉 삽입되고, 상기 압출봉이 기부단을 갖고, 상기 기부단은 소직경의 크러치로 되어 상기 탄성링의 접동접촉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28.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그 기부단에 배치되어 상기 압출봉이 통과하는 관통구멍을 갖는 카트리지플러그를 갖고, 상기 원주홈이 상기 카트리지 플러그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2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가 개구부를 갖고, 플러그가 상기 케이스몸체의 상기 개구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는 상기 카트리지를 보지하는 대직경부와 상기 압출봉을 통과하는 관통구멍을 갖는 상기 플러그의 기부단에 배치된 소직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전달수단은 상기 플러그의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내에 삽입되는 상기 압출봉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구멍과 상기 압출봉은 각각 축선방향에 따라 상호변위는 가능하나 상대회전이 방지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물 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KR1019930030126A 1993-09-08 1993-12-28 고상물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KR1002383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48888 1993-09-08
JP4888993U JP2545213Y2 (ja) 1993-09-08 1993-09-08 カートリッジ式固形化粧料の繰出容器
JP4888893U JP2545212Y2 (ja) 1993-09-08 1993-09-08 カートリッジ式固形化粧料の繰出容器
JP93-48889 1993-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754A KR950007754A (ko) 1995-04-15
KR100238356B1 true KR100238356B1 (ko) 2000-01-15

Family

ID=2638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0126A KR100238356B1 (ko) 1993-09-08 1993-12-28 고상물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836708A (ko)
KR (1) KR100238356B1 (ko)
DE (1) DE4401882A1 (ko)
FR (1) FR2709646B1 (ko)
IT (1) IT12729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00103A1 (fr) 1999-10-22 2001-04-27 Caillebotis France Caillebotis a cadre depourvu d'elements rapportes au treillis et procede de realisation d'un tel caillebotis
JP3959277B2 (ja) * 2002-01-10 2007-08-15 株式会社壽 棒状物繰り出し具
US7044667B2 (en) * 2004-03-31 2006-05-16 Tokiwa Corporation Stick-shaped cosmetic material feeding container
US20070067951A1 (en) * 2005-09-16 2007-03-29 Cosmopak Int.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cosmetic product applicator assembly and handle for cosmetic product applicator
DE202011003088U1 (de) * 2011-02-23 2012-05-30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Auftraggerät
US9474348B2 (en) * 2013-07-29 2016-10-25 Tokiwa Corporation Applying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DE202019004256U1 (de) 2019-10-15 2021-01-19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Stift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8877A (en) * 1939-08-08 Method of fabricating cosmetic
US1458281A (en) * 1922-04-03 1923-06-12 Howard E Everett Dauber
US2395710A (en) * 1943-02-27 1946-02-26 John W Anderson Expellant holder with telescopic screw core
US2506984A (en) * 1944-05-16 1950-05-09 John W Anderson Cosmetic applicator with shrinkproof fit
FR1060087A (fr) * 1952-05-16 1954-03-30 Ile D Etudes Pour La Fabricati Perfectionnements aux distributeurs de fard
US2839029A (en) * 1954-03-04 1958-06-17 Melnikoff Zachary Pencil lead connecting mechanism
US2789692A (en) * 1956-04-17 1957-04-23 Geno M Ferri Self-adjusting cosmetic stick container
US3132743A (en) * 1962-01-19 1964-05-12 Risdon Mfg Co Cosmetic container
US3230960A (en) * 1962-09-17 1966-01-25 Max Factor & Co Lipstick holder having a drive carriage with detachable cosmetic cup
GB1163542A (en) * 1965-08-31 1969-09-10 Sebec Lipstick containers
US3511575A (en) * 1967-07-27 1970-05-12 Guild Molders Lipstick case
US3995648A (en) * 1974-09-12 1976-12-07 Kuryla Michael A Toothbrush and toothpaste supply container
US4180163A (en) * 1977-11-18 1979-12-25 Libero Grioni Cylindrical container
JPS5614726A (en) * 1979-07-18 1981-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Interface circuit
JPS589535A (ja) * 1981-07-06 1983-0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軸方向空隙形回転電機の巻鉄心
JPS6232483A (ja) * 1985-08-05 1987-02-12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ツジ及びこのカートリツジ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JPH0238669Y2 (ko) * 1986-04-04 1990-10-18
IT1190531B (it) * 1986-04-24 1988-02-16 Ennio Cardia Perfezionamenti negli astucci per cosmetici in stick,quali rossetti per labbra e simili,e relativi procedimenti per la formazione dello stick e il controllo visivo della qualita'
US4770556A (en) * 1987-05-01 1988-09-13 Specialty Packaging Licensing Company, Inc. Lipstick case
JPS6411137A (en) * 1987-07-04 1989-01-13 Nisshin Steel Co Ltd Surface modification of steel plate coated with polyvinyl chloride sol
DE3728427C1 (de) * 1987-08-26 1988-12-01 Schwan Stabilo Schwanhaeusser Auftragsgeraet mit einer Mine aus einer streichfaehigen Masse
JPH0238669A (ja) * 1988-07-28 1990-02-08 Mitsui Constr Co Ltd 構造物の制振構造及び制振方法
JP2682029B2 (ja) * 1988-07-29 1997-11-26 株式会社島津製作所 X線管フィラメント加熱装置
DE3835680C3 (de) * 1988-10-20 1997-09-04 Hempel Matthias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Mine, insbesondere für Kosmetikstifte und dgl. und Mine für einen Kosmetikstift
FR2642676B1 (fr) * 1989-02-07 1991-06-21 Oreal Distributeur a piston pour produit pateux ou solide
FR2648810B1 (fr) * 1989-06-22 1992-02-28 Rhone Poulenc Chimie Procede de preparation de phenols
JPH0325705A (ja) * 1989-06-22 1991-0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US4961663A (en) * 1989-11-13 1990-10-09 Kanebo, Ltd. Cartridge type cosmetic bar container
US4997299A (en) * 1989-11-21 1991-03-05 Suzuno Kasei Co., Ltd. Cosmetic container
JPH043618A (ja) * 1990-04-20 1992-01-08 Nec Corp 入力バッファ回路
CA2048038C (en) * 1990-11-13 1995-02-28 J. Richard Cox Applicator for soft materials
US5230577A (en) * 1990-11-13 1993-07-27 Maybelline, Inc. Applicator for soft materials
US5172993A (en) * 1992-02-10 1992-12-22 Risdon Corporation Lipstick case with resilient friction tab
JP2559897Y2 (ja) * 1992-07-10 1998-01-19 鈴野化成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式捧状化粧品繰出容器
DE4222759C2 (de) * 1992-07-10 1995-04-27 Dieter Bakic Design S R I Kosmetikstift mit Austauschteil
JP2598183Y2 (ja) * 1992-10-30 1999-08-03 株式会社ヒダン 棒状化粧料容器
FR2698249B1 (fr) * 1992-11-24 1998-11-20 Suzuno Kasei Co Ltd Mécanisme de fourniture de produits cosmétiques du type en bâton, conteneur l'employant et cartouche qui y est employée.
JP3270779B2 (ja) * 1992-12-15 2002-04-02 竹内工業株式会社 口紅等の収納容器
US5547302A (en) * 1994-07-29 1996-08-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wist-up product dispenser having conformable apertured applicator surfa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401882A1 (de) 1995-03-09
US5836708A (en) 1998-11-17
FR2709646B1 (fr) 2001-08-03
ITRM940016A1 (it) 1995-07-13
FR2709646A1 (fr) 1995-03-17
ITRM940016A0 (it) 1994-01-13
KR950007754A (ko) 1995-04-15
IT1272946B (it) 1997-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1818A (ko) 스틱형상 화장재료 공급용기
US5653338A (en) Cosmetic extrusion case
KR101881664B1 (ko) 조출 펜슬
KR100238356B1 (ko) 고상물공급용 카트리지형 공급케이스
US5549404A (en) Stick-shaped material drive container and supply cassette
JP4509577B2 (ja) 液体容器
JP3960979B2 (ja) 移動体繰出装置
JP4739847B2 (ja) 充填物押出容器
US5884638A (en) Cartridge type feeding container for cosmetics stick
JP5035793B2 (ja) 棒状化粧料容器
JP5650954B2 (ja) 棒状化粧料繰出容器
KR100578785B1 (ko) 막대형 화장재료 조출 용기
EP0617905B1 (en) Stick-shaped piece drive container and stick-shaped piece supplying cassette
JP2003159119A (ja) 棒状化粧材繰出容器
JP2000135116A (ja) 化粧材容器および化粧材容器のカートリッジ
JPH07177930A (ja) カートリッジ式化粧料加圧容器
JP3950394B2 (ja) 化粧料繰出容器
JP2600292Y2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化粧品繰出容器
JP3565722B2 (ja) 化粧材容器のカートリッジおよび化粧材容器
EP0510181A1 (en) Applicator for soft materials
JP5498303B2 (ja) 棒状化粧料繰出し容器
JP2545212Y2 (ja) カートリッジ式固形化粧料の繰出容器
JPH0331232Y2 (ko)
JP2545213Y2 (ja) カートリッジ式固形化粧料の繰出容器
JP3852813B2 (ja) カートリッジ式棒状繰出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