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3302B1 - 관로의 누수방지방법 및 누수방지용 피복체 - Google Patents

관로의 누수방지방법 및 누수방지용 피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3302B1
KR950003302B1 KR1019900012477A KR900012477A KR950003302B1 KR 950003302 B1 KR950003302 B1 KR 950003302B1 KR 1019900012477 A KR1019900012477 A KR 1019900012477A KR 900012477 A KR900012477 A KR 900012477A KR 950003302 B1 KR950003302 B1 KR 950003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leeve
injection material
tub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2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4979A (ko
Inventor
다까유끼 가와후지
Original Assignee
도아구라우또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오까 신기찌
가부시기가이샤 이세끼가이하쯔고오기
스즈끼 유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아구라우또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오오오까 신기찌, 가부시기가이샤 이세끼가이하쯔고오기, 스즈끼 유끼오 filed Critical 도아구라우또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4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3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4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sealing material being introduced inside the pipe by means of a tool moving in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ewage (AREA)
  • Pipeline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관로의 누수방지방법 및 누수방지용 피복체
제 1 도는 본 발명 피복재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2 도는 슬리브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제 3 도는 베이스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제 4 도는 피복체를 확개기(擴開機)에 의하여 확대시킨 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제 5 도는 돌출부가 탄성변형된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제 6 도는 암결합부와 숫결합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 7 도의 (A), (B), (C), (D) 및 (E)는 각기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형상을 도시한 설명도.
제 8 도는 베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 9 도의 (A), (B) 및 (C)는 각각 암결합부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제10도는 결합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1도는 베이스의 또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12도 내지 제14도는 각각 베이스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5도는 베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절개도.
제16도는 제15도의 16-16선에서 본 확대측면도.
제17도는 제15도에 도시한 베이스의 결합부를 결합시키기 이전의 상태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18도는 제15도에 도시한 베이스의 결합부를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복체 12 : 슬리브
14 : 베이스 18,20,22,24 : 돌출부
26,28 : 결합부 30,32 : 절입부
34 : 구멍 40 : 확개기
52 : 관 64,66,68,70,72 : 돌출부
74 : 베이스 76,78 : 돌출부
80,84,88 : 베이스 82,86,90,92 : 돌출부
94,104,114,124,136,146 : 베이스
96,98,100,102,106,108,110,112,116,118,120,122,126,128,130,132,134,138,140,142,144 : 결합부
150 : 절입부 152 : 톱니형부
본 발명은 유동성 및 고화성을 가진 주입재에 의하여 하수도관과 같은 관로에서 물의 유출 또는 관로내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위 누수방지방법 및 이와같은 것에 이용되는 피복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하수도관, 상수도관, 전선용 관 등의 관로에 있어서의 누수방지방법의 하나로서 유동성 및 고화성을 가진 주입재를 누수방지처리를 하고자 하는 관의 내측에서 누수되는 곳의 주위 지반에 주입하여, 누수되는 곳을 주입재로 막는 방법이 있다.
이 공지의 방법은 관내를 구획수단에 의하여 누수되는 곳에 대응하는 공간부와 다른 공간부로 구획한 상태에서 주입재를 누수되는 곳에 대응하는 공간부에 공급하고, 이 주입재를 누수되는 곳으로부터 이 관의 주위에 주입하고 이 관의 주위에 주입된 주입재를 고화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공지의 방법에서는 주입재가 고화되기 이전에 구획수단을 관에서 철거하면, 누수되는 곳의 주위지반에 주입된 주입재가 관내로 역류할 우려가 있다. 이때문에 공지의 방법에서는 주입재의 고화를 촉진시키는 약제를 주입재에 다량 첨가하여야만 하였다.
본 발명은 주입재가 관내로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관의 누수방지방법 및 누수방지용 피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유동성 및 고화성의 주입재를 사용하여 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법은 상기 관로를 규정하는 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탄성변형 가능한 슬리브로서 그 외주면에 축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또 주위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다수의 돌출부를 갖는 슬리브와, 확개가능하게 와권상(渦卷狀)으로 감겨진 상태로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배치된 시이트상의 베이스와, 이 베이스가 상기 슬리브내에서 확개되었을때 이 베이스를 대략 원통상으로 유지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베이스가 확개되었을때 상기 슬리브와 상기 베이스에 의하여 규정되는 역지변수단으로서 상기 주입재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으로부터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역지변수단을 구비한 피복체를 상기 관내에 배치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관의 내면에 밀어눌려져서 탄성변형될 때까지 상기 슬리브를 탄성변형되도록 상기 베이스를 확개시키고 상기 돌출부를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상기 주입재를 상기 역지변수단을 통하여 상기 슬리브와 상기 관 사이로 공급하고, 상기 돌출부를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유지되게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를 확개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슬리브와 관 사이로 유출된 주입재는 균일한 곳, 이음매 등을 통하여 관주위의 지반에 주입된다. 피복체가 관의 내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역지변수단은 효과있게 기능하여, 그 결과 슬리브와 관 사이로 유출된 주입재가 베이스의 내측으로 역류되는 것은 피복체에 의하여 방지된다. 이때문에 관주위의 지반에 주입된 주입재는 관내로 역류되지 않는다. 슬리브와 관사이로 유출된 주입재 및 관 주위로 유출된 주입재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고화하여, 그 결과 균열된 곳, 이음매 등을 통한 누수가 방자된다.
본 발명의 누수방지방법에 의하면, 베이스를 확개시키는 수단 및 주입재를 공급하는 수단을 철거하여도 피복체가 관 내면에 장착되어있는 것과 역지변수단이 효과있게 기능하기 때문에 슬리브와 관 사이로 유출된 주입재 및 관의 주위로 유출된 주입재는 베이스의 내측으로 역류하지 않는다. 또 피복체 자체가 누수방지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화된 주입재가 기간이 지남에 따른 변환에 의하여 열화되어도 누수를 방지할 수가 있어 누수를 방지하는 기간이 길다.
피복체 내측의 역지변수단에 연통하는 공간부를 베이스를 확개시키는 확개수단에 의하여 다른 공간부와 구획하는 동안, 상기 주입재를 관 주위에 공급하기 위해 주입재를 역지변수단에 연통하는 공간부에 공급하면 주입재의 주입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확개수단은 고정수단에 의하여 베이스를 확개시킨 상태로 유지시킨 후에 제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누수방지 방법에 있어서, 관로를 규정하는 관의 소정장소에 상기 관의 내면에 따라 환상의 요입부(凹入部)를 형성하도록 상기 관을 절삭하고, 상기 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탄성변형가능한 슬리브로서 외주면에 축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또 주위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다수의 돌출부를 갖는 슬리브와, 확개가능하게 와권상으로 감겨진 상태로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배치된 시이트상의 베이스와, 이 베이스가 상기 슬리브내에서 확개되었을때, 이 베이스를 대략 원통상으로 유지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베이스가 확개되었을때 상기 슬리브와 상기 베이스에 의하여 규정되는 역지변수단으로서 상기 주입재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으로부터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역지변수단을 구비한 피복체를 상기 요입부에 배치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관의 내면에 밀어눌러져서 탄성변형할 때까지 상기 슬리브를 탄성변형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를 확개시켜, 상기 돌출부를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상기 주입재를 상기 역지변수단을 통하여 상기 슬리브와 상기 관 사이에 공급하고, 상기 돌출부를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유지되게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를 확개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누수방지방법에 의하여 피복체가 요입부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하수도관에 적용하였을 경우에 이물질이 피복체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누수방지용 피복체는 탄성변형 가능한 슬리브로서 그 외주면에 축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또 주위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탄성변형가능한 다수의 돌출부를 갖는 슬리브와, 확개가능하게 와권상으로 감겨진 상태로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배치된 시이트 형태의 베이스와, 이 베이스가 상기 슬리브내에서 확개되었을때 이 베이스를 대략 원통상으로 유지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베이스가 확개되었을때 상기 슬리브와 상기 베이스에 의하여 규정된 역지변수단으로서 유동성을 가지고 주입재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으로부터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역지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피복체에 의하면 베이스가 고정수단에 의하여 확개된 상태로 유지되는 한 역지변수단의 기능이 효과있게 작용하기 때문에 베이스를 확개시키는 수단 및 주입재를 공급하는 수단을 철거하여도 관 주위로 유출된 주입재 및 슬리브와 관 사이로 유출된 주입재는 베이스의 내측으로 역류하지 않는다.
역지변수단은 슬리브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쌍의 절입부로서 슬리브를 이것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절입부와, 베이스의 절입부 사이의 부위에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고, 베이스를 이것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역지변수단의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피복체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를 참조하여, 피복체(10)는 탄성변형 가능한 슬리브(12)와, 탄성변형 가능한 시이트 형상의 베이스(14)를 포함한다. 슬리브(12)는 고무, 합성수지와 같이 불투수성(不透水性)을 가진 고분자 재료제가 바람직하다. 이에 대하여 베이스(14)는 스테인레스, 동, 동합금과 같이 내식성을 갖는 금속재료제가 바람직하다.
슬리브(12)는 그 원통상부(16)의 축선방향의 각 단부에 대응하는 단부 외주면상을 주위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하도록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8),(20),(22),(24)를 갖는다. 돌출부(18),(20),(22),(24)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직각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되어있고, 또 직각삼각형의 저변에 대응하는 부위가 원통상부(16)의 측부로 되도록 형성되어있다. 모든 돌출부 또는 중간의 돌출부(20),(22)를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는 합성수지제로 하여도 된다.
베이스(14)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는 암결합부(26)가 형성되어있다. 암결합부(26)는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Z자형상의 단면형상을 가지며 베이스(14)에 고정된 긴 금구로 된 것이다. 암결합부(26)는 베이스(14)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장된다. 암결합부(26)에 받아들여져서 이 암결합부와 결합하는 숫결합부(28)는 도시한 예에서는 베이스(14)의 타단부이지만 다른 형상의 결합부, 예를들면 암결합부(26)와 유사한 금구로 된 결합부이어도 좋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리브(12)는 이 슬리브의 두께방향의 한쪽 측부에서 다른쪽 측부에 도달하는 3쌍의 절입부(30),(32)를 갖는다. 절입부(30),(32)는 슬리브(12)의 축선방향 중앙부에 있어 주위방향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베이스(14)는 제 3 도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14)를 이것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3개의 구멍(34)을 갖는다. 구멍(34)은 결합부(26),(28)가 결합하는 상태로 베이스(14)가 원통상으로 변형되었을때, 즉 와권상으로 감겨졌을때 등각도 간격으로 되는 부위에 형성되어있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14)는 숫결합부(28)가 암결합부(26)의 내측이 되며, 또 중앙에 위치한 1개의 구멍(34)이 슬리브(12)의 한쌍의 절입부(30),(32)사이의 부위(36)와 대향하도록 와권상으로 감겨진 후, 슬리브(12)의 내측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베이스(14)는 슬리브(12)에 구속되어서 확개하는 것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특수한 금구를 사용하는일 없이 슬리브(12)의 축선에 따른 방향으로의 슬리브(12)와 베이스(14)의 상대적인 이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베이스(14)는 이것을 슬리브(12)내에 넣을 수가 있도록 미리 와권상으로 감겨져 있어도 좋다.
슬리브(12)의 내경, 슬리브(12)의 축선방향길이, 원통상부(16)의 두께, 돌출부의 높이, 돌출부의 단면형상, 돌출부의 두께는 그들 서로간의 관계, 누수방지 처리를 하여야 할 관의 크기, 처리되는 곳의 크기 등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할 수가 있다. 그러나 슬리브(12)의 외경은 누수방지처리를 해야할 관의 내경보다 작다. 또 슬리브(12)의 내경은 베이스(14)를 그 결합부(26),(28)가 결합하는 상태로 확개시켰을때의 베이스(14)의 외경보다 작다.
도시된 예에서는 돌출부(18),(24)의 높이는 원통상부(16)의 두께보다 크고, 돌출부(20),(22)의 높이는 돌출부(18),(24)의 그것보다 크다. 그러나 돌출부(18),(24)의 높이를 원통상부(16)의 두께보다 작게하여도 좋으며, 원통상부(16)의 두께와 같게 하여도 좋다. 또 돌출부(18),(20),(22),(24)의 높이를 같게하여도 된다.
예를들면 호칭경이 250㎜의 하수도관용 슬리브의 경우, 슬리브(12)의 내경 슬리브(12)의 원통상부(16)의 두께, 돌출부(18),(24)의 높이 및 돌출부(20),(22)의 높이는 각각 180-220㎜, 0.5-1㎜, 2-5㎜ 및 5-10㎜로 할 수가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베이스(14)의 폭, 즉 축선 방향길이는 슬리브(12)의 축선방향 길이와 대략 동일하지만, 슬리브(12)의 축선방향 최단에 위치하는 양 돌출부(18)의 외단 사이의 거리이상이면 된다. 베이스(14)의 길이는 슬리브(12)의 내면에 따른 길이보다 크게되어 있지만, 누수방지 처리를 해야할 관의 내경에 따라서 다르다. 베이스(14)의 두께는 슬리브(12)의 그것보다 작아도 되며, 예를들면 0.5-3㎜로 할 수가 있다.
다음은 피복체(10)를 사용하는 누수방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우선 피복체(10)는 이것을 확개시키는 확개기(40)에 배치된다.
확개기(40)는 축부(42)와 이 축부에 이것의 축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며 압력공기와 같은 압력유체에 의하여 부륜상으로 팽창되는 1쌍의 팽창부(44)와, 압축공기와 같은 압력유체를 받는 니플(46)과, 유동성 주입재를 받는 니플(48)를 구비한다. 니플(46)과 양 팽창부(44)는 축부(42)에 형성된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연통되어 있다. 축부(42)는 양 팽창부(44)사이의 부위 외주면에 개방된 주입재분출구(50)를 가지며, 분출구(50)는 축부(42)에 형성된 다른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니플(48)에 연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확개기(40)로서는 예를들면 본 발명의 출원인의 한사람인 일본 도아크라우트 공업주식회사에서 「팍커」라는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공지의 지수재 주입기를 사용할 수가 있다. 확개기(40)는 팽창부(44)가 수축된 상태에서 피복체(10)내, 즉 베이스(14)의 내측에 받아들여진다.
피복체(10)는 베이스(14)의 구멍(34)이 양 팽창부(44)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확개기(40)에 배치된다.
이어서 팽창부(44)는 니플(46) 및 축부(42)를 개재하여 팽창부(44)에 공급되는 압력유체에 의하여 피복체(10)가 확개기(40)에 대해 변위하지 않을 정도로 팽창되어, 그 상태로 유지된다. 압력유체는 지상에 배치된 유체원으로부터 호스를 통하여 니플(46)에 공급한다.
제 4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누수방지 처리를 해야할 관(52)내의 처리되는 곳에는 피복체(10)를 배치하기 위한 요입부(54)가 미리 형성되어 있다. 요입부(54)는 관(52)의 내벽면을 주위방향 전체에 걸쳐서 연장된다. 요입부(54)의 축선방향 길이는 피복체의 그것과 대략 동일하지만 요입부(54)의 깊이는 돌출부(20)의 높이를 포함한 피복체(10)의 두께보다 약간 작다. 처리되는 곳은 제 4 도의 경우, 관(52)의 균열(56)이 있는 부위이지만, 인접된 관의 연결부라도 된다.
이어서 피복체(10) 및 확개기(40)는 관(52)내를 이것의 일단부로부터 요입부(54)부위까지 이동한다. 피복체(10) 및 확개기(40)에 연결된 로프(58)를 관(52)의 타단부측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관(52)내를 이동시킬 수가 있다. 피복체(10) 및 확개기(40)는 관(52)내를 촬영하는 TV 카메라를 피복체(10) 및 확개기(40)와 함께 이동시키면서, TV 카메라에 의한 영상을 모니터로 감시하므로서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피복체(10) 및 확개기(40)가 관(52)내의 소정의 위치로 이동되면 팽창부(44)가 니플(46)에 공급되는 압력유체에 의하여 다시 팽창된다. 이것에 의하여 피복체(10)는 베이스(14)의 양 단부가 약간 겹치는 정도로, 즉 양 결합부(26),(28)가 결합가능하게 되는 정도로 확개되어, 요입부(54)에 배치된다.
베이스(14)가 확개되면, 피복체(10)는 관(52)의 내면에 밀어눌려지고, 그 결과 슬리브(12)는 압축된다. 그러나 돌출부(18),(20),(22),(24)의 단면형상이 삼각형이기 때문에 피복체(10)가 관(52)의 내면에 밀어눌려질때, 돌출부(18),(20),(22),(24)가 주로 탄성변형된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돌출부(18),(20),(22),(24)는 각각 돌출부(20)측과 반대측으로, 돌출부(22)측으로 돌출부(24)측으로 및 돌출부(22)측과 반대의 축으로 절곡되고, 다시 압축된다. 그 결과 각 돌출부는 그 복원력에 의하여 관(52)의 내면에 밀어눌려진다.
각 돌출부가 슬리브(12)와 일체이기 때문에 돌출부(18),(20),(22),(24)가 압축되어도 돌출부(18),(20),(22),(24)의 원통상부(16)의 측부위는 슬리브(12)의 축선방향으로 팽창하지 않아 그 결과 돌출부(18),(20),(22),(24)는 관(52)의 내면으로 확실하게 밀어눌려진다.
베이스(14)가 소정의 크기로 확개되면 구멍(34)은 슬리브(12)의 절입부(30),(32)사이의 부위(36)와 대향하며, 대향하는 부위(36)에 의하여 폐쇄된다. 또 확개기(40)의 팽창부(44)가 슬리브(12)를 관(52)의 내면에 밀어 눌려지도록 베이스(14)의 내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관(52)의 내부공간중, 팽창부(44) 사이의 공간(60)이 팽창부(44)에 의하여 다른 공간(62)으로 부터 구획된다.
이어서 슬러리상의 시멘트와 같은 유동성 및 고화성을 가지는 주입재가 지상에 설치된 주입재원에서 확개기(40)의 니플(48)에 관(52)의 주위의 토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공급된다. 주입재로서는 가루상태, 액체상태, 슬러리상태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또 응결성, 경화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플(48)에 공급된 주입재는 확개기(40)의 분출구(50)로부터 공간(60)으로 분출된다. 공간(60)에 도달한 주입재는 베이스(14)의 구멍(34)으로부터 슬리브(12)의 부위(36)를 밀어서 슬리브(12)의 절입부(30),(32)를 밀어서 열고, 다시 절입부(30),(32)에서 피복체(10)와 관(52)사이를 통하여 관(52)의 균열(56) 또는 인접하는 관의 이음매를 통해 관(52)의 주위로 유출된다.
관(52)주위에 소정량의 주입재가 주입되면, 니플(48)로의 주입재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공간(60)내의 압력이 저하되며 관(52)주위의 토압이 슬리브(12)의 외주면에 작용하기 때문에 베이스(14)의 구멍(34)은 슬리브(12)의 부위(36)에 의하여 폐쇄된다. 이때문에 공간(60)의 압력이 피복체(10)주위의 압력보다 저하하여도 피복체(10)주위의 주입재는 베이스(14)의 구멍(34)으로 부터 공간(60)으로 역류하지 않는다.
팽창부(44)내의 압력유체가 제거된 후, 확개기(40)가 TV 카메라와 함께 관(52)에서 제거된다. 팽창부(44)내의 압력유체가 제거되면 슬리브(12)가 베이스(14)를 축소시키는 힘을 베이스(14)에 작용시키기 때문에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14)의 숫결합부(28)가 암결합부(26)에 끼워맞춰진다. 이것에 의해서 슬리브(12)는 확개된 상태로 유지된다.
베이스(14)의 암결합부(26)와 숫결합부(28)가 결합하면 베이스(14)는 약간 축소하지만 이 축소분은 돌출부(18),(20),(22),(24)가 약간 복원하는 것에 의해 흡수되지기 때문에 슬리브(12)의 돌출부는 제 4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관(52)의 내면에 밀어눌려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문에 베이스(14)의 구멍(34)은 슬리브(12)의 부위(36)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 4 도 및 제 5 도에서는 인접된 돌출부간에 간격이 형성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간격은 돌출부의 변형량에 따라서는 형성되지 않는 일도 있다. 또 제 6 도에서는 각 돌출부가 탄성변형되지 않게 표시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각 돌출부는 상기와 같이 변형된다.
확개기(40)의 철거시, 공간(60)에 남아있는 다량의 주입재는 확개기(40)와 함께 제거된다. 그후 관(52)내는 물 등에 의하여 세정된다. 이것에 의하여 관(52)내에 남아있는 주입재는 세정시에 청소수에 의하여 제거된다. 청소수는 그 압력이 관(52)의 주위의 토압보다 높아지지 않는한 피복체(10)의 주위로 유출되지 않는다.
피복체(10)주위의 주입재, 균열(56)부위내 또는 이음매내의 주입재 및 관(52)주위의 주입재는 시간의 경과와 함께 응결 고화된다. 이것에 의하여 관(52)내로의 누수 또는 관(52)으로부터의 누수가 방지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피복체(10)가 요입부(54)에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관(52)내를 흐르는 유체중의 이물질이 피복체(10)에 걸리게 될 우려가 적다. 그러나 요입부(54)는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피복체(10)를 관(52)내에 배치하기전에 관(52)내를 청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보수하는 동안 하수 등의 유체가 관(52)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관(52)으로의 유체의 유입구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의 단면형상은 상기한 형상이외의 형상이어도 된다. 제 7 도(A)에 도시한 돌출부(64)는 이등변삼각형의 단면형상을 하고 제 7 도(B) 및 제 7 도(C)에 도시한 돌출부(66),(68)는 붓끝과 같은 단면형상을 하고 있으며, 제 7 도(D)에 도시한 돌출부(70)는 역W자상의 단면형상을 하고 있다. 이들 돌출부에 의하면 관의 내면에 요철이 있어도 돌출부가 관 내면에 밀어눌려지는 것에 의하여 피복체와 관 사이의 수밀성이 유지된다. 그러나 돌출부의 단면형상을 사다리꼴 등 다른 형상으로 하여도 된다. 제7도(E)에 도시한 돌출부(72)는 튜브형의 단면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돌출부(72)를 갖는 피복체의 경우도 이 피복체가 관의 내면에 밀어눌려지면 돌출부(72)가 주로 탄성변형된다.
베이스(14)를 확개된 상태로 유지하는 공정수단으로서의 결합부는 베이스(14)의 폭방향으로 연속하고 있을 필요는 없으며 또 상기 한 실시예 이외의 형상 및 종류의 결합부이어도 좋다.
제 8 도에 도시한 베이스(74)는 그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있어 폭방향으로 간격을 둔 여러곳에 암결합부(76)가 있다. 암결합부(76)는 z자형상의 단면형상으로 된 금구로 되어있으며, 이 금구는 베이스(74)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베이스(74)에 고정되어 있다. 암결합부(76)에 받아들여져 이 암결합부와 결합하는 숫결합부(78)도 도시한 예에서는 베이스(74)의 타단부이지만 다른 형상의 결합부이어도 된다.
암결합부 제 9 도(A)에 도시한 베이스(80)와 같이 베이스(80)의 일부를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하여 베이스(8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출된 절곡편으로 된 암결합부(82)이어도 되고, 제 9 도(B)에 도시한 베이스(84)와 같이 베이스(84)의 일단부를 Y자형상으로 절곡하므로서 형성된 암결합부(86)이어도 좋으며 또 제 9 도(C)에 도시한 베이스(88)와 같이 베이스(88)의 일단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으로 되는 암결합부(90)이어도 괜찮다. 제 9 도(C)에 도시한 숫결합부(90)를 사용하는 경우는 암결합부(90)에 끼워맞춤 가능하게 베이스(88)의 타단부에 형성된 돌기를 숫결합부(92)로 할 수가 있다.
베이스를 확개된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수단으로서, 다수의 암결합부 또는 다수의 숫결합부를 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여도 된다. 이와같이 하면 숫결합부 및 암결합부의 한쪽을 다른쪽의 어느하나에 결합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서로 결합시킬 결합부를 관으로의 피복체의 밀어누르는 힘에 따라서 선택할 수가 있다.
제10도에 도시한 베이스(94)의 고정수단은 베이스(94)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둔 다수의 가상적인 선의 각각에 따라서 다수의 암결합부(96),(98),(100)와, 이 암결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숫결합부(102)를 갖는다. 암결합부(96),(98),(100)는 베이스(94) 일단부의 소정부위에 고정된 Z자형상의 금구로 된다.
이에 대하여 숫결합부(102)는 베이스(94)의 타단부이며, 또 다른부위에 대하여 약간 절곡되어있다. 베이스(94)에 의하여 숫결합부(102)를 어느하나의 암결합부(96),(98) 또는 (100)에 결합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숫결합부(102)를 결합시킬 암결합부를 관으로의 피복체의 밀어누르는 힘에 따라서 선택할 수가 있다.
제11도에 도시한 베이스(104)의 고정수단은 베이스(104)의 일단부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암결합부(106),(108),(110)와 베이스(104)의 타단부인 숫결합부(112)를 갖는다. 암결합부(106),(108),(110)는 베이스(104)의 일부를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하여 베이스(104)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타출시킨 절곡편으로 된다. 숫결합부(112)는 다른 부위에 대하여 약간 절곡되어 있다.
제12도에 도시한 베이스(114)의 고정수단은, 베이스(114)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베이스의 폭방향으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다수의 암결합부(116),(118),(120)와 이 암결합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된 숫결합부(122)를 갖는다. 암결합부(116),(118),(120)는 베이스(114)일단부의 소정부위에 고정된 Z자형상의 금구로 되며, 또 베이스(114)의 폭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이에대하여 숫결합부(122)는 베이스(114)의 타단부이며 또, 다른 부위에 대하여 약간 절곡되어 있다.
제13도에 도시한 베이스(124)의 고정수단은 베이스(124)의 일단부에 있어 베이스(124)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둔 다수의 결합부(126),(128),(130),(132)와 이 결합부의 어느 하나에 결합하는 결합부(134)를 갖는다. 결합부(126),(128),(130),(132)는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가진 부재로 되며, 또 베이스(124)에 고정되어 있다. 결합부(134)는 베이스(124)의 타단부이여, 또 결합부(126),(128),(130),(132)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가 있도록 절곡되어 있다. 결합부(126),(128),(130),(132)의 각각은 베이스(124)의 폭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되어 있어도 된다.
제14도에 도시한 베이스(136)의 고정수단은 베이스(136)의 일단부에 매트릭스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직사각형 구멍으로 되는 결합부(138),(140),(142) 와 베이스(136)의 타단부에 설치된 다수의 돌출부로 되는 결합부(144)를 갖는다. 각 돌출부(144)는 매트릭스 열(列)에 대응하는 구멍(138),(140),(142)에 대응되어 있고, 대응하는 구멍의 하나에 결합된다. 구멍(138),(140),(142)은 베이스(136)를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고 있으며, 또 직사각형의 대향하는 한쌍의 변이 베이스(136)의 폭방향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대하여 결합부(144)는 직각삼각형의 단면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 직각삼각형의 직각에 교차하는 2개의 변에 대응하는 2개의 면의 한쪽이 베이스(136)의 타단 가장자리 축이 되고, 다른쪽이 베이스(136)축이 되도록 베이스(136)에 고정되어 있다.
제15도 내지 제18도에 도시한 베이스(146)의 고정수단은 베이스(146)의 일단가장자리가 베이스(146)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연장되는 한쌍의 띠형태의 연장부(148)를 갖는다. 베이스(146)의 연장부(148)와 반대측 단부는 다른 부위에서 베이스(146)의 두께방향의 한쪽으로 베이스(146)의 두께보다 약간 크게 변형되어있다.
베이스(146)의 변형된 부위에는 베이스(146)의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길고 가느다란 한쌍의 절개부(150)가 형성되어있다. 절개부(150)는 연장부(148)에 대응되어 있으며, 또 대응하는 연장부(128)를 받아들이도록 베이스부(146)의 폭방향 단가장자리로부터 중앙을 향하여 연장하고 있다. 절개부(150)의 길이는 대응하는 연장부(148)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연장부(148)의 선단부 내측에는 톱니형부(152)가 형성되어 있다. 톱니형부(152)의 각 톱니는 베이스(146)의 절개부(150)를 규정하는 부위에 결합 가능하다.
베이스(146)는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연장부(148)가 절개부(150)에 베이스(146)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통해져 연장부(148)의 대부분이 베이스(146)의 외측이 되도록 감겨진 상태로 슬리브의 내측에 배치된다. 또 베이스(146)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톱니형부(152)의 어느하나의 톱니가 베이스(146)의 절개부(150)를 규정하는 부위와 결합하므로써 원통상으로 확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결과 베이스(146)에서는 톱니형부(152)의 톱니와 베이스(146)의 절개부(150)를 규정하는 부위가 베이스(146)를 확개된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실제로 누수되고 있는 곳의 누수방지처리 뿐만 아니라 누수는 되고 있지 않지만 균일이 형성되어있는 곳과 같이 누수가 생길 우려가 있는 곳의 누수방지처리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Claims (7)

  1. 유동성 및 고화성이 있는 주입재를 사용하여 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로를 규정하는 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탄성변형 가능한 슬리브로서 그 외주면상에 축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또 주위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복수의 돌출부가 있는 슬리브와, 확개가능하게 와권상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배치된 시이트상의 베이스와, 이 베이스가 상기 슬리브내에서 확개되었을때 이 베이스를 대략 원통상으로 유지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베이스가 확개되었을때 이 베이스를 대략 원통상으로 유지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베이스가 확개되었을때 상기 슬리브와 상기 베이스에 의하여 규정되는 역지변수단으로서 상기 주입재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으로부터 축선방향의 상기 돌출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출하는 것을 허용하는 역지변수단을 구비하는 피복체를 상기 관내에 배치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관의 내면에 말어눌러져서 탄성변형하기까지 상기 슬리브를 탄성변형되도록 상기 베이스를 확개시키고, 상기 돌출부를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상기 주입재를 상기 역지변수단을 통하여 상기 슬리브와 상기 관 사이에 공급하고, 상기 돌출부를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를 확개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관로의 누수방지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역지변수단은 슬리브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쌍의 절입부로서 상기 슬리브를 이것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절입부와, 상기 베이스의 절입부 사이의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를 이것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누수방지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피복체의 내측에 있어서 역지변수단에 연통하는 공간부를 베이스를 확개시키는 확개수단에 의하여 다른 공간부와 구획하는 동안 주입재를 관의 주위에 공급되게 상기 주입재를 역지변수단에 연통하는 상기 공간부로 공급하는 누수방지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에 의하여 베이스를 확개시킨 상태로 유지시킨후, 확개수단을 제거하는 것을 포함하는 누수방지방법.
  5. 유동성 및 고화성을 가진 주입재를 사용하여 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관로를 규정하는 관의 소정의 장소에 관의 내벽면에 따르는 환형의 요입부를 형성하도록 관을 절삭하고, 상기 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탄성변형 가능한 슬리브로서 그 외주면에 축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또 주위방향에 연속하여 연장하는 탄성변형가능한 다수의 돌출부를 갖는 슬리브와, 확개가능하게 와권형상으로 감겨진 상태로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배치된 시이트형의 베이스와, 이 베이스가 상기 슬리브내에서 확개되었을때 이 베이스를 대략 원통형으로 유지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베이스가 확개되었을때 상기 슬리브와 상기 베이스에 의하여 규정되는 역지변수단으로서 주입재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서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역지변수단을 구비하는 피복체를 상기 요입부에 배치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관의 내면에 밀어눌러져서 탄성변형하기까지 상기 슬리브를 탄성변형되도록 상기 베이스를 확개시키고, 상기 돌출부를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동안 상기 주입재를 상기 역지변수단을 통하여 상기 슬리브와 상기 관 사이로 공급하고, 상기 돌출부를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를 확개시킨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관로의 누수방지방법.
  6. 탄성변형 가능한 슬리브로서 그 외주면에 축선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또 주위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탄성변형 가능한 다수의 돌출부가 있는 슬리브와, 확개가능하게 와권형상으로 감겨진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의 내측에 배치된 시이트형의 베이스와, 이 베이스가 상기 슬리브내에서 확개되었을때 이 베이스를 원통형으로 유지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베이스가 확개되었을때 상기 슬리브와 상기 베이스에 의하여 규정되는 역지변수단으로 유동성을 가진 주입재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으로부터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 사이의 공간으로 유출되는 것을 허용하는 역지변수단을 포함하는 관로의 누수방지용 피복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역지변수단은 슬리브에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쌍의 절입부로서 상기 슬리브를 이것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절입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기 절입부 사이의 부위에 대응하는 곳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를 이것의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누수방지용 피복체.
KR1019900012477A 1989-08-15 1990-08-14 관로의 누수방지방법 및 누수방지용 피복체 KR9500033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09531 1989-08-15
JP1209531A JPH0830555B2 (ja) 1989-08-15 1989-08-15 管路の漏水防止方法および漏水防止用被覆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4979A KR910004979A (ko) 1991-03-29
KR950003302B1 true KR950003302B1 (ko) 1995-04-10

Family

ID=1657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2477A KR950003302B1 (ko) 1989-08-15 1990-08-14 관로의 누수방지방법 및 누수방지용 피복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096332A (ko)
EP (1) EP0413494B1 (ko)
JP (1) JPH0830555B2 (ko)
KR (1) KR950003302B1 (ko)
AT (1) ATE100920T1 (ko)
AU (1) AU630729B2 (ko)
CA (1) CA2022179C (ko)
DE (1) DE69006289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981B1 (ko) * 2005-03-11 2006-11-27 김의석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36455B2 (en) * 1990-02-15 1993-04-29 Kabushiki Kaisha Iseki Kaihatsu Koki Method of water stopping in pipeline, construction of connecting portion of pipeline and water stop material
JP2845345B2 (ja) * 1990-11-22 1999-01-13 東亜グラウト工業株式会社 管路の止水方法
US5351720A (en) * 1992-03-10 1994-10-04 Link-Pipe, Inc. Apparatus for repairing conduits
DE9302285U1 (de) * 1993-02-17 1993-10-14 JT Elektronik GmbH, 88131 Lindau Vorrichtung zum Reparieren unterirdischer Rohrleitungen mit Hilfe eines aufblasbaren Körpers aus gummiartigem Material
DE19644466A1 (de) * 1996-10-25 1998-04-30 Herbert Dietrich Sanierungsgerät
DE19835034C1 (de) * 1998-07-23 1999-12-09 Berliner Wasser Betriebe Verfahren zur Auswechselung schadhafter Teile von mit Einbauteilen versehenen Entwässerungskanälen
US7987873B2 (en) * 2008-02-06 2011-08-02 Lmk Enterprises, Inc.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pipe
US9890879B2 (en) 2008-02-26 2018-02-13 Gates Corporation Hose anti-collapse ribs, systems and methods
US9052051B2 (en) * 2009-04-20 2015-06-09 Link-Pip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al repair of conduits
DE102012023972A1 (de) * 2012-12-07 2014-06-12 Wabco Gmbh Elastisches Dichtungselement für einen Fluiddurchgang, fluidführende Vorrichtung, Druckluftanlage und Kraftfahrzeug damit sowie Verwendung des elastischen Dichtungselements
US20160146396A1 (en) * 2014-11-26 2016-05-26 Smart Lock Pty Ltd. Expandable Pipeline Point-Repair Device
EP3239584A1 (en) * 2016-04-28 2017-11-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sealing a pipe
DE102016006561B4 (de) * 2016-05-25 2022-07-28 Uhrig Kanaltechnik Gmbh Dichtungsmanschette für Rohrversätze
RU177308U1 (ru) * 2017-04-04 2018-02-15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Уфим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нефтяно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несения полимерного покрытия на внутреннюю поверхность трубопровода
CN110388745A (zh) * 2019-07-18 2019-10-29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防冻裂阀体及应用其的热水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00119A (en) * 1916-03-02 1916-10-03 Morris H Keeler Machine for laying pipes.
US3700265A (en) * 1972-02-04 1972-10-24 Northern Illinois Gas Co Internal pipe sealing device
US4091630A (en) * 1977-05-03 1978-05-30 Kubota, Ltd. Intermediate sleeve for installing pipeline by propelling pipes underground
US4346922A (en) * 1980-03-21 1982-08-31 Hisao Ohtsuga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at pipe joints
JPS5723757A (en) * 1980-07-16 1982-02-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olar heat collector
DE3503799A1 (de) * 1985-02-05 1986-08-07 Hans 4938 Schieder-Schwalenberg Müller Verfahren zum sanieren von beschaedigten abschnitten eines im erdreich verlegten kanals
US4815896A (en) * 1986-09-22 1989-03-28 Fox Nelson C Deep sea shark cable protectors
JPH01131794A (ja) * 1987-11-18 1989-05-24 Iseki Poly Tech Inc 管路構築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シールド型トンネル掘削機
US4921374A (en) * 1988-08-17 1990-05-01 Stutzman Henry G Method for repairing underground sewer lines
CA2022301C (en) * 1989-08-14 1996-08-06 Takayuki Kawafuji Liner for pipeline repair and method for repairing pipelin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981B1 (ko) * 2005-03-11 2006-11-27 김의석 도수관 보수용 슬리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E100920T1 (de) 1994-02-15
US5096332A (en) 1992-03-17
DE69006289D1 (de) 1994-03-10
AU5995990A (en) 1991-02-21
AU630729B2 (en) 1992-11-05
KR910004979A (ko) 1991-03-29
JPH0374699A (ja) 1991-03-29
CA2022179C (en) 1996-08-06
DE69006289T2 (de) 1994-05-19
EP0413494B1 (en) 1994-01-26
JPH0830555B2 (ja) 1996-03-27
CA2022179A1 (en) 1991-02-16
EP0413494A1 (en) 1991-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3302B1 (ko) 관로의 누수방지방법 및 누수방지용 피복체
KR970009021B1 (ko) 관로보수용 피복체 및 관로보수 방법
AU749874B2 (en) Tube coupling
US4647072A (en) Repair sleeve for piping
EP0686799A1 (en) A device for sealing an annular space
KR20000016764A (ko) 홈관용 회전방지 신속 연결 커넥터
US4546789A (en) Valved access fitting
KR970001692B1 (ko) 관로의 지수방법과 관로의 연결부 구조체 및 지수재
JPH04191595A (ja) 管路の止水方法
PL175353B1 (pl) Złączka rurowa
LT3292B (en) Device for essembling of pipework and using the same
JP2582991B2 (ja) 既設管きょの更生工法及び既設管きょの更生用被覆体
EP0225305A1 (en) Pipe connector device
US5556679A (en) Flexible dual wall hose or pipe assembly
KR100521238B1 (ko) 금속관 연결장치
JP2589191B2 (ja) 止水用被覆体
WO2002040910A1 (en) Sewer pipe coupling
KR200424711Y1 (ko) 윤활제 저장부를 구비하는 실링재
JP2565405B2 (ja) 管路の漏水防止用被覆体
JPH0545729B2 (ko)
JP3600292B2 (ja) 管接続口装置
JP4711996B2 (ja) 切管端面の防食塗装方法
US5388868A (en) Circular coupling system
KR200243755Y1 (ko) 각도 변경이 가능한 오니 파이프 연결장치
JP2022110386A (ja) マンホールの下水バイパス装置用止水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