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8544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8544A
KR20200138544A KR1020190064347A KR20190064347A KR20200138544A KR 20200138544 A KR20200138544 A KR 20200138544A KR 1020190064347 A KR1020190064347 A KR 1020190064347A KR 20190064347 A KR20190064347 A KR 20190064347A KR 20200138544 A KR20200138544 A KR 20200138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detection
layer
display area
detection line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수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4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8544A/ko
Priority to US16/809,188 priority patent/US11481054B2/en
Priority to CN202010474775.8A priority patent/CN112018155A/zh
Publication of KR20200138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H01L27/3276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1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of a solid bod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5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01L27/323
    • H01L51/0031
    • H01L51/5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70Testing, e.g. accelerated lifetime tes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02Flexible display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은 평면 표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벤딩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표시 패널은 적어도 하나의 벤딩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 같은 표시 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screen)이 위치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은 기판 위에 여러 층과 소자들을 형성하여 제조된다.
표시 패널의 기판으로서 유리(glass)가 사용되고 있다. 유리 기판은 무겁고 파손되기 쉬운 단점이 있고, 유리 기판은 경성(rigid)이기 때문에 표시 패널을 변형시키기가 어렵다. 최근에는 가볍고 충격에 강하며 변형이 쉬운 연성(flexible) 기판을 사용하는 연성 표시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연성 표시 패널은 벤딩될 수 있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의 벤딩 시 표시 패널에서 크랙(crack)이 발생할 수 있다. 크랙이 발생하면 표시 패널 내부로 수분 등이 침투할 수 있고, 크랙으로 인해 배선이 단선될 수 있으므로, 크랙은 제품 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표시 패널, 특히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display area)이나 벤딩 영역(bended area)에서 발생할 수 있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영역은 평면 표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벤딩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벤딩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크랙 검출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은 상기 크랙 검출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평면 표시 영역은 직사각형일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벤딩 표시 영역은 상기 평면 표시 영역의 네 변에 각각 인접하는 네 개의 벤딩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을 상기 네 개의 벤딩 표시 영역 중 세 개의 벤딩 표시 영역에 걸쳐 연장하는 제1 크랙 검출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을 상기 네 개의 벤딩 표시 영역 중 하나의 벤딩 표시 영역에서 연장하는 제2 크랙 검출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을 상기 네 개의 벤딩 표시 영역 중 상기 평면 표시 영역과 상기 패드부 사이의 벤딩 표시 영역에서 연장하는 제2 크랙 검출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봉지층, 그리고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부는 제1 도전체, 상기 제1 도전체 위에 위치하는 절연층, 그리고 상기 절연층 위에 위치하는 제2 도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도전체는 메시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은 상기 메시를 형성하는 선을 따라 지그재그로 연장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은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2 도전체는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도전체는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 중 인접하는 터치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봉지층과 상기 터치 센서부 사이에 위치하는 버퍼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은 상기 봉지층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은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그리고 상기 기판과 상기 트랜지스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과 중첩하는 광차단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은 상기 광차단층과 동일 층으로 위치하며 상기 광차단층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기판과 상기 트랜지스터 사이에 위치하는 버퍼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은 상기 기판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변 및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변을 포함하는 메인 패널 영역, 상기 제1 변에 접하며 벤딩되어 있는 제1 서브 패널 영역, 그리고 상기 제2 변에 접하며 벤딩되어 있는 제2 서브 패널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서브 패널 영역 및 상기 제2 서브 패널 영역은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크랙 검출선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 위에 위치하는 발광 다이오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위에 위치하는 봉지층, 그리고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크랙 검출선은 상기 터치 센서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부는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브리지, 상기 브리지 위에 위치하는 제1 절연층, 그리고 상기 제1 절연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브리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크랙 검출선은 상기 브리지와 동일층으로서 위치하며 상기 브리지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 위에 위치하는 발광 다이오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위에 위치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버퍼층, 그리고 상기 버퍼층 위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크랙 검출선은 상기 봉지층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버퍼층, 그리고 상기 버퍼층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크랙 검출선은 상기 기판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기판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과 중첩하는 광차단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크랙 검출선은 상기 광차단층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표시 패널 특히, 벤딩 표시 영역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표시 장치의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표시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에서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3에서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포함하는 터치 센서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서 영역 E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3에서 G-G'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평면상"은 대상 부분을 위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하며, "단면상"은 대상 부분을 수직으로 자른 단면을 옆에서 보았을 때를 의미한다.
도면에서, 방향을 나타내는데 사용되는 부호 x는 제1방향이고, y는 제1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이고, z는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표시 장치(1)는 윈도우(10) 및 윈도우(10)의 배면에 위치하는 표시 패널(20)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1)는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휴대 정보 단말기 같은 전자 장치이거나, 그러한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모듈일 수 있다. 윈도우(10)와 표시 패널(20)은 4개의 가장자리 영역(edge area)이 모두 벤딩되어 있다. 윈도우(10) 및 표시 패널(20)의 4개의 가장자리 영역 중 하나 또는 둘은 벤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윈도우(10)는 표시 패널(20)을 외부 환경,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일종의 커버이다. 윈도우(10)는 표시 패널(20)의 벤딩 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체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윈도우(10)는 표시 패널(20)의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볼 수 있도록, 유리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투명하고 단단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10)의 벤딩은 예컨대 유리판(glass plate), 플라스틱판(plastic plate) 등을 열 성형하여 수행될 수 있습니다.
표시 패널(20)은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적어도 일부분이 연성일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대부분이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DA)과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에는 화소들이 배열되어 있고, 화소들의 조합에 의해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영역에는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을 전달하는 신호선들이 배열되어 있다. 예컨대, 데이터 신호들을 전달하는 데이터선들이 제1 방향(x)으로 뻗어 있을 수 있고, 게이트 신호들을 전달하는 게이트선들이 제2 방향(y)으로 뻗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화소는 데이터선 및 게이트선과 연결되어 있는 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화소의 휘도를 제어하는 데이터 신호(전압)를 소정 타이밍에 인가받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패널(20)의 가장자리 부근에 위치할 수 있고, 표시 영역을 둘러 위치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에 인가되는 각종 신호들을 생성 및/또는 전달하기 위한 회로들 및/또는 배선들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패널(20) 외부로부터 신호들을 입력받거나 표시 패널(20) 외부로 신호들을 출력하기 위한 패드들을 포함하는 패드부가 위치할 수 있다. 패드부는 표시 패널(20)의 상측 또는 하측 가장자리의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할 수 있고, 패드부에는 연성 인쇄 회로막이 접합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시 패널(20)의 네 가장자리 영역이 벤딩되어 있으므로, 표시 장치(1)를 정면에서 볼 때 비표시 영역(NA)은 거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표시 패널(20)의 네 가장자리 영역이 벤딩됨에 따라, 표시 장치(1)를 정면에서 볼 때 보이는 대부분의 영역을 화면이 차지할 수 있고, 표시 장치(1)의 화면 비율(screen-to-body ratio)이 극대화될 수 있다.
표시 장치(1)에서 윈도우(10)와 표시 패널(20)은 벤딩 및 합착되어 있다. 윈도우(10)와 표시 패널(20)의 합착을 위해 광학적 투명 점착제(optically clear adhesive) 같은 점착제가 사용될 수 있고, 윈도우(10)와 표시 패널(20) 사이에는 점착층이 위치할 수 있다
윈도우(10)의 형상을 영역으로 나누면, 윈도우(10)는 실질적으로 평평한 메인 윈도우 영역(110), 그리고 메인 윈도우 영역(110)에 접하여 위치하는 제1 서브 윈도우 영역(121), 제2 서브 윈도우 영역(122), 제3 서브 윈도우 영역(123) 및 제4 서브 윈도우 영역(124)을 포함한다.
메인 윈도우 영역(110)은 대략 직사각형이고 네 변(111-114)을 포함한다. 메인 윈도우 영역(110)은 코너부들의 가장자리가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변(111) 및 제3 변(113)은 제1 방향(x)으로 연장하고, 제2 변(112) 및 제4 변(114)은 제2 방향(y)으로 연장한다. 제1 내지 제4 서브 윈도우 영역들(121-124)은 메인 윈도우 영역(110)에 대하여 소정의 곡률로 벤딩된 영역이다. 메인 윈도우 영역(110)의 제1 내지 제4 변들(111-114)은 제1 내지 제4 서브 윈도우 영역들(121-124)을 메인 윈도우 영역(110)에 대하여 벤딩하는 기준선이 된다. 메인 윈도우 영역(110)의 제1 내지 제4 변들(111-114)은 제1 내지 제4 서브 윈도우 영역들(121-124)의 벤딩 시작선이다.
윈도우(10)와 유사하게, 표시 패널(20)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메인 패널 영역(210), 그리고 메인 패널 영역(210)에 접하여 위치하는 제1 서브 패널 영역(221), 제2 서브 패널 영역(222), 제3 서브 패널 영역(223) 및 제4 서브 패널 영역(224)을 포함한다.
메인 패널 영역(210)은 대략 직사각형이고 네 변(211-214)을 포함한다. 메인 패널 영역(210)은 코너부들의 가장자리가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변(211) 및 제3 변(213)은 제1 방향(x)으로 연장하고, 제2 변(212) 및 제4 변(214)은 제2 방향(y)으로 연장한다.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은 메인 패널 영역(210)에 대하여 소정의 곡률로 벤딩된 영역이다. 메인 패널 영역(210)의 제1 내지 제4 변들(211-214)은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을 메인 패널 영역(210)에 대하여 벤딩하는 기준선이 된다. 메인 패널 영역(210)의 제1 내지 제4 변들(211-214)은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의 벤딩 시작선이다.
윈도우(10)의 제1 내지 제4 서브 윈도우 영역들(121-124)과 표시 패널(20)의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은 벤딩되어 있다. 제1 서브 윈도우 영역(121)은 제1 변(111)에 평행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있다. 제2 서브 윈도우 영역(122)은 제2 변(112)에 평행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있다. 제3 서브 윈도우 영역(123)은 제3 변(113)에 평행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있다. 제4 서브 윈도우 영역(124)은 제4 변(114)에 평행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있다. 제1 서브 패널 영역(221)은 제1 변(211)에 평행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있다. 제2 서브 패널 영역(222)은 제2 변(212)에 평행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있다. 제3 서브 패널 영역(223)은 제3 변(213)에 평행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있다. 제4 서브 패널 영역(224)은 제4 변(214)에 평행한 벤딩축을 중심으로 벤딩되어 있다.
제1 서브 윈도우 영역(121)의 벤딩축과 제1 서브 패널 영역(221)의 벤딩축은 동일할 수 있다. 제2 서브 윈도우 영역(122)의 벤딩축과 제2 서브 패널 영역(222)의 벤딩축은 동일할 수 있다. 제3 서브 윈도우 영역(123)의 벤딩축과 제3 서브 패널 영역(223)의 벤딩축은 동일할 수 있다. 제4 서브 윈도우 영역(124)의 벤딩축과 제4 서브 패널 영역(224)의 벤딩축은 동일할 수 있다. 메인 윈도우 영역(110)의 제1 내지 제4 변들(111-114)은 메인 패널 영역(210)의 제1 내지 제4 변들(211-214)과 중첩할 수 있고, 표시 장치(1)를 정면에서 볼 때 일치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의 테두리에 위치하는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패널(20)의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이 벤딩되어 있으므로 표시 장치(1)의 정면에서 보이지 않거나 거의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윈도우(10)는 메인 윈도우 영역(110)의 제1 내지 제4 변들(111-114)을 경계로, 그 내부의 메인 윈도우 영역(110)은 벤딩되지 않은 평면 영역(flat area)(FA)이고, 그 외부의 제1 내지 제4 서브 윈도우 영역들(121-124)은 벤딩 영역(bended area)(BA)이다. 마찬가지로, 표시 패널(20)은 메인 패널 영역(210)의 제1 내지 제4 변들(211-214)을 경계로, 그 내부의 메인 패널 영역(210)은 벤딩되지 않은 평면 영역(FA)이고, 그 외부의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은 벤딩 영역(BA)이다.
표시 패널(20)의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에서 가장자리 부근의 비표시 영역(NA)을 제외한 영역은 표시 영역(DA)에 해당한다. 따라서 표시 패널(20)의 표시 영역(DA)은 메인 패널 영역(210)에 대응하는 평면 표시 영역(FDA)과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에 대응하는 벤딩 표시 영역(BDA)을 포함한다. 평면 표시 영역(FDA)과 벤딩 표시 영역(BDA)은 그 사이에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지 않고 연속적이다.
제1 내지 제4 서브 윈도우 영역들(121-124)은 전체적으로 곡면일 수 있지만, 제1 내지 제4 변들(111-114)에 인접한 부분들이 곡면이고, 제1 내지 제4 변들(111-114)로부터 먼 부분들은 평면일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은 전체적으로 곡면일 수 있지만, 제1 내지 제4 변들(211-214)에 인접한 부분들은 곡면이고, 제1 내지 제4 변들(211-214)로부터 먼 부분들은 평면일 수도 있다.
표시 패널(20)은 윈도우(10)의 제1 내지 제4 서브 윈도우 영역들(121-124)의 벤딩 후 윈도우(10)에 합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의 합착 시, 표시 패널(20)의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이 벤딩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이 벤딩된 상태로 윈도우(10)에 합착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20)의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이 벤딩됨에 따라,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은 응력(stress)이 증가할 수 있다. 응력이 증가하면 표시 패널(20)에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크랙은 표시 패널(20)의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이 포함하는 여러 층 중 모듈러스(modulus)가 크고 취성(brittleness)이 큰 무기 절연층에서 발생하기 쉽지만, 무기 절연층이 아닌 층이나 배선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응력은 벤딩 시작선인 제1 내지 제4 변들(211-214)에 인접한 영역에서 더욱 증가할 수 있고, 따라서 제1 내지 제4 변들(211-214)에 인접한 영역에서 크랙이 발생하기 쉽다. 하지만, 벤딩되는 영역은 응력이 증가하므로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 전체에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벤딩 표시 영역(BDA)에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벤딩 표시 영역(BDA)에서의 크랙을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에서 B-B'선 및 C-C'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는 표시 장치(1)에서 윈도우(10)와 합착되기 전의 표시 패널(20)의 벤딩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20), 표시 패널(20)의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하는 집적회로 칩(30), 그리고 표시 패널(20)의 비표시 영역(NA)의 패드부(PP)에 접합(bonding)되어 있는 연성 인쇄 회로막(40)을 포함한다. 집적회로 칩(30)은 연성 인쇄 회로막(40) 등에 실장되어 표시 패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표시 장치(1)는 표시 패널(20)의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할 수 있는 구동 장치(driving unit)를 포함한다. 구동 장치는 표시 패널(20)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신호를 생성 및/또는 처리할 수 있다. 구동 장치는 데이터선들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data driver), 게이트선들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gate driver), 그리고 데이터 구동부 및 게이트 구동부를 제어하는 신호 제어부(signal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는 표시 패널(20)의 비표시 영역(NA) 집적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와 신호 제어부는 집적회로 칩(30)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제4 서브 패널 영역(224)과 패드부(PP) 사이에 벤딩부(BR)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부(BR)는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할 수 있다. 벤딩부(BR)는 집적회로 칩(30)과 연성 인쇄 회로막(40)이 표시 패널(20)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벤딩될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표시 패널(20)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하기 위한 크랙 검출선들(crack detection lines)을 포함한다. 크랙 검출선들은 그 위치에 따라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 제2 크랙 검출선(CD2a, CD2b), 제3 크랙 검출선(CD3a, CD3b), 그리고 제4 크랙 검출선(CD4a, CD4b)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크랙 검출선(CD1a, CD1b, CD2a, CD2b, CD3a, CD3b, CD4a, CD4b)은 양단이 크랙 검출 회로부(CDC)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루프 형태일 수 있다. 집적회로 칩(30)은 크랙 검출 회로부(CDC)를 포함할 수 있고, 각 크랙 검출선(CD1a, CD1b, CD2a, CD2b, CD3a, CD3b, CD4a, CD4b)은 집적회로 칩(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크랙 검출선들(CD1a, CD1b, CD2a, CD2b, CD3a, CD3b, CD4a, CD4b) 중 적어도 하나는 일단이 패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집적회로 칩(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크랙 검출 회로부(CDC)는 집적회로 칩(30)에 통합되지 않고 별도로 위치할 수도 있다.
크랙 검출 회로부(CDC)는 크랙 검출선(CD1a, CD1b, CD2a, CD2b, CD3a, CD3b, CD4a, CD4b)에 신호를 인가하고, 크랙 검출선(CD1a, CD1b, CD2a, CD2b, CD3a, CD3b, CD4a, CD4b)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크랙 발생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크랙 검출선이 배치된 위치에서 크랙이 발생하면 크랙 검출선이 단선되거나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크랙 검출 회로부(CDC)가 크랙 검출선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거나 약간 출력 신호를 수신하면, 크랙 검출선이 배치된 영역에서 크랙이 발생하였음을 검출할 수 있다.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은 제1 내지 제3 서브 패널 영역들(221-223)의 벤딩 표시 영역(BDA)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주로 제1 내지 제3 서브 패널 영역들(221-223)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은 크랙 검출 회로부(CDC)와 전기적 연결을 위해, 제4 서브 패널 영역(224)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서브 패널 영역(224)에 위치하는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의 부분은 벤딩 표시 영역(BDA)에 위치할 수 있고,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은 벤딩 시작선인 메인 패널 영역(210)의 제1 내지 제3 변들(211-213)을 따라 중첩하게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크랙이 표시 패널(20)의 좌측 영역에서 발생한 것인지 우측 영역에서 발생한 것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은 표시 패널(20)의 대략 중심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제1 크랙 검출선(CD1a)과 우측에 위치하는 제1 크랙 검출선(CD1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크랙 검출선(CD1a)과 제1 크랙 검출선(CD1b)은 제2 서브 패널 영역(222)에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제2 크랙 검출선(CD2a, CD2b)은 제4 서브 패널 영역(224)의 벤딩 표시 영역(BDA)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주로 제4 서브 패널 영역(224)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크랙 검출선(CD2a, CD2b)은 벤딩 시작선인 메인 패널 영역(210)의 제4 변(214)을 따라 중첩하게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과 같은 이유로, 제2 크랙 검출선(CD2a, CD2b)은 표시 패널(20)의 대략 중심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제2 크랙 검출선(CD2a)과 우측에 위치하는 제2 크랙 검출선(CD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크랙 검출선(CD2a)과 제2 크랙 검출선(CD2b)은 제4 서브 패널 영역(224)에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이 배치되고 연결된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 및 제2 크랙 검출선(CD2a, CD2b)에 의해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의 벤딩 표시 영역(BDA)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다.
제3 크랙 검출선(CD3a, CD3b)은 비표시 영역(NA)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3 크랙 검출선(CD3a, CD3b)은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221-224)에 위치하지만, 벤딩 표시 영역(BDA)이 아닌 표시 패널(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할 수 있다. 제3 크랙 검출선(CD3a, CD3b)은 표시 패널(20)의 대략 중심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제3 크랙 검출선(CD3a)과 우측에 위치하는 제3 크랙 검출선(CD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크랙 검출선(CD3a)과 제3 크랙 검출선(CD3b)은 제2 서브 패널 영역(222)에서 떨어져 있을 수 있다.
제4 크랙 검출선(CD4a, CD4b)은 제4 서브 패널 영역(224)과 패드부(PP) 사이, 특히 벤딩부(BR) 및 벤딩부(BR) 부근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한다. 제4 크랙 검출선(CD4a, CD4b)은 대략 제1 방향(x)으로 연장하는 부분과 대략 제2 방향(y)으로 연장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대략 제2 방향(y)으로 연장하는 부분은 제4 서브 패널 영역(224)과 벤딩부(BR)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벤딩부(BR)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4 크랙 검출선(CD4a, CD4b)은 표시 패널(20)의 대략 중심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제4 크랙 검출선(CD4a)과 우측에 위치하는 제4 크랙 검출선(CD4b)을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배치되고 연결된 제3 크랙 검출선(CD3a, CD3b) 및 제4 크랙 검출선(CD4a, CD4b)에 의해, 표시 패널(20)의 비표시 영역(NA)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다.
2개의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 2개의 제2 크랙 검출선(CD2a, CD2b), 2개의 제3 크랙 검출선(CD3a, CD3b), 그리고 2개의 제4 크랙 검출선(CD4a, CD4b)이 도시되어 있다. 크랙 발생 영역을 더욱 정밀하게 검출하기 위해, 표시 패널(20)은 2개 이상의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 2개 이상의 제2 크랙 검출선(CD2a, CD2b), 2개 이상의 제3 크랙 검출선(CD3a, CD3b) 및/또는 2개 이상의 제4 크랙 검출선(CD4a, CD4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표시 패널(20)의 구체적인 단면 구조와 함께 크랙 검출선의 위치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표시 패널(20)의 우측 영역의 단면 구조는 도시되는 좌측 영역의 단면 구조와 대칭일 수 있다.
표시 패널(20)은 기판(SB) 및 그 위에 형성된 여러 층, 배선들, 소자들을 포함한다.
기판(SB)은 연성 기판일 수 있고,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같은 폴리머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SB) 위에는 수분 등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층(BRR)이 위치한다. 배리어층(BRR)은 규소 산화물(SiOx), 규소 질화물(SiNx)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층(BRR) 위에는 버퍼층(BF)이 위치한다. 버퍼층(BF)은 반도체층(A)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기판(SB)으로부터 반도체층(A)으로 확산될 수 있는 불순물을 차단하고 기판(SB)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버퍼층(BF)은 규소 산화물, 규소 질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BF) 위에는 반도체층(A)이 위치한다. 반도체층(A)은 게이트 전극(G)과 중첩하는 채널 영역과 그 양측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을 포함한다. 반도체층(A)은 다결정 규소, 비정질 규소,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 위에는 규소 산화물, 규소 질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하는 제1 절연층(IN1)이 위치한다. 제1 절연층(IN1)은 게이트 절연층으로 불릴 수 있다.
제1 절연층(IN1) 위에는 게이트선, 게이트 전극(G)을 포함하는 게이트 도전체가 위치한다. 게이트 도전체는 몰리브덴(Mo),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크롬(Cr), 탄탈륨(Ta), 티타늄(Ti)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IN1) 및 게이트 도전체 위에는 제2 절연층(IN2)이 위치한다. 제2 절연층(IN2)은 규소 산화물, 규소 질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절연층(IN2)은 층간 절연층으로 불릴 수 있다.
제2 절연층(IN2) 위에는 데이터선,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을 포함하는 데이터 도전체가 위치한다.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은 제2 절연층(IN2) 및 제1 절연층(IN1)에 형성된 접촉 구멍들을 통해 반도체층(A)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도전체는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금(Au), 백금(Pt), 팔라듐(Pd), 니켈(Ni), 몰리브덴(Mo), 텅스텐(W), 티타늄(Ti), 크롬(Cr), 탄탈륨(Ta)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소스 전극(S) 및 드레인 전극(D)은 게이트 전극(G) 및 반도체층(A)과 함께 트랜지스터(TR)를 이룬다.
제2 절연층(IN2) 및 데이터 도전체 위에는 제3 절연층(IN3)이 위치한다. 제3 절연층(IN3)은 폴리이미드, 아크릴계 폴리머, 실록산계 폴리머 같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절연층(IN3) 위에는 발광 다이오드(LED)의 제1 전극(E1)이 위치한다. 제1 전극(E1)은 제3 절연층(IN3) 형성된 접촉 구멍을 통해 드레인 전극(D)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은(Ag), 니켈(Ni), 금(Au), 백금(Pt), 알루미늄(Al), 구리(Cu), 알루미늄네오듐(AlNd), 알루미늄니켈란타늄(AlNiLa)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인듐 아연 산화물(IZO) 같은 투명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ITO/은(Ag)/ITO, ITO/알루미늄(Al) 같은 다중층일 수 있다.
제3 절연층(IN3) 위에는 제1 전극(E1)과 중첩하는 개구(opening)를 가지는 제4 절연층(IN4)이 위치한다. 제4 절연층(IN4)의 개구는 각각의 화소 영역을 정의할 수 있고, 화소 정의층으로 불릴 수 있다. 제4 절연층(IN4)은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E1) 위에는 발광층(EL)이 위치하고, 발광층(EL) 위에는 제2 전극(E2)이 위치한다. 제2 전극(E2)은 칼슘(Ca), 바륨(Ba), 마그네슘(Mg), 알루미늄(Al), 은(Ag) 등의 일함수가 낮은 금속으로 얇게 층을 형성함으로써 광 투과성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제2 전극(E2)은 ITO, IZO 같은 투명 도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PX)의 제1 전극(E1), 발광층(EL) 및 제2 전극(E2)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같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이룬다.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 중 하나는 캐소드(cathode)가 되고 다른 하나는 애노드(anode)가 된다. 화소(PX)에 대응하는 발광 다이오드(LED)는 평면 표시 영역(FDA)뿐만 아니라 벤딩 표시 영역(BDA)에도 위치한다.
제2 전극(E2) 위에는 봉지층(EN)이 위치한다. 봉지층(EN)은 발광 다이오드(LED)를 밀봉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산소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봉지층(EN)은 제1 무기층(371), 유기층(372) 및 제2 무기층(373)을 포함하는 박막 봉지층일 수 있다. 제1 무기층(371) 및 제2 무기층(373)은 규소 질화물, 규소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AlOx)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층(372)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페릴렌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봉지층(EN) 위에는 규소 질화물, 규소 산화물 같은 무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는 버퍼층(380)이 위치한다. 버퍼층(38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버퍼층(380) 위에는 터치 센서부가 위치한다. 터치 센서부는 버퍼층(380) 위에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도전체, 제1 절연층(391), 제2 도전체 및 제2 절연층(392)을 포함한다. 제1 절연층(391)은 제1 도전체와 제2 도전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제2 절연층(392)은 제2 도전체를 덮어 제2 도전체를 보호할 수 있다.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는 화소들(PX)과 중첩하는 개구들을 가진 메시(mesh) 형상일 수 있다.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는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몰리브덴(Mo), 은(Ag), 크롬(Cr), 니켈(Ni)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체 및 제2 도전체는 은 나노와이어(silver nanowire),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등의 도전성 나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연층(391) 및 제2 절연층(392) 중 적어도 하나는 무기 절연 물질 및/또는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체는 브리지(bridge)(BD),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 및 제2 크랙 검출선(CD2a, CD2b)을 포함한다. 제1 도전체는 추가로 제1 크랙 검출선(CD1a') 및/또는 제2 크랙 검출선(CD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도전체는 터치 전극(TE)을 포함한다.
도 7을 참고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터치 전극(TE)은 상호 감지 축전기를 형성하는 제1 터치 전극들과 제2 터치 전극들을 포함한다. 브리지(BD)는 제1 터치 전극들 또는 제2 터치 전극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인접하면서 서로 분리되어 있는 제2 터치 전극들은 제1 절연층(391)에 형성된 접촉 구멍들을 통해 브리지(BD)에 연결되어, 브리지(BD)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 및 제2 크랙 검출선(CD2a, CD2b)은 이러한 브리지(BD)가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 그리고 화소(PX)와 중첩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 및 제2 크랙 검출선(CD2a, CD2b)은 브리지(BD)와 동일 공정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 및 제2 크랙 검출선(CD2a, CD2b)은 화소(PX)를 가리지 않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 및 제2 크랙 검출선(CD2a, CD2b)을 형성하는데 추가 공정을 요하지 않는다.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도전체는 터치 전극(TE)을 포함하고, 제2 도전체는 브리지(BD),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 및 제2 크랙 검출선(CD2a, CD2b)을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 센서부 위에는 외광 반사를 줄이기 위한 반사 방지층이 위치할 수 있고, 반사 방지층은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3에서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6을 참고하면,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이 형성된 위치에서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즉,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은 봉지층(EN)과 버퍼층(380) 사이에 위치한다.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은 표시 영역(DA)인 벤딩 표시 영역(BDA)에 위치하므로, 화소(PX)와 중첩하지 않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위치하는 제1 크랙 검출선(CD1a')은 봉지층(EN)과 버퍼층(380)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하는데 더욱 유효할 수 있다.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은 알루미늄(Al), 구리(Cu), 티타늄(Ti), 몰리브덴(Mo), 은(Ag), 크롬(Cr), 니켈(Ni)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서브 패널 영역(224)에 위치하는 제2 크랙 검출선(CD2a, CD2b) 또한 봉지층(EN)과 버퍼층(380) 사이에 화소(PX)와 중첩하지 않게 위치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포함하는 터치 센서부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영역 E의 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터치 센서부는 제1 터치 전극들(TE1)과 제2 터치 전극들(TE2)을 포함한다. 또한, 터치 센서부는 제2 방향(y)으로 배열된 제1 터치 전극들(TE1)을 연결하는 제1 브리지들(BD1), 그리고 제1 방향(x)으로 배열된 제2 터치 전극들(TE2)을 연결하는 제2 브리지들(BD2)을 포함한다. 터치 센서부는 또한 제1 터치 전극들(TE1)과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제1 터치 배선들(W10), 그리고 제2 터치 전극들(TE2)과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제2 터치 배선들(W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들(TE1)과 제2 터치 전극들(TE2)은 터치 감지 영역(TA)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 감지 영역(TA)은 물체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영역으로서 전술한 평면 표시 영역(FDA)과 벤딩 표시 영역(BDA)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DA)에 대응할 수 있다. 인접하는 제1 터치 전극(TE1)과 제2 터치 전극(TE2)은 함께 상호 감지 축전기를 형성하여 외부 물체의 터치에 의한 용량 변화를 감지해 터치 여부, 터치 위치 등의 터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에 의한 용량 변화 신호는 제1 터치 배선(W10) 및/또는 제2 터치 배선(W20)을 통해 터치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인접하는 제1 터치 전극(TE1)과 제2 터치 전극(TE2) 사이에는 플로팅 상태의 더미 전극이 위치할 수도 있다.
제1 터치 전극(TE1) 및 제2 터치 전극(TE2)은 메시 형상일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 및 화소(PX)에서 나오는 광이 제1 터치 전극(TE1) 및 제2 터치 전극(TE2)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제1 터치 전극(TE1) 및 제2 터치 전극(TE2)을 구성하는 메시는 발광 다이오드(LED) 및 화소(PX)와 중첩하지 않는다.
도 4에 도시된 표시 패널(20)의 단면도는 도 8에서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에 대응할 수 있다. 도 8과 도 4를 교차 참고하면, 제1 터치 전극들(TE1) 및 제2 터치 전극들(TE2)은 제1 절연층(391)과 제2 절연층(392)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도전체이다. 이웃하는 제1 터치 전극들(TE1)을 연결하는 제1 브리지(BD1)는 제1 터치 전극들(TE1)과 동일 층에 위치하는 제2 도전체이다.
이웃하는 제2 터치 전극들(TE2)을 연결하는 제2 브리지(BD2)는 버퍼층(380)과 제1 절연층(391)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도전체이다. 제2 브리지(BD2)는 제2 도전체인 제2 터치 전극들(TE2)과 다른 층에 위치하므로, 제2 터치 전극들(TE2)은 제1 절연층(391)의 접촉 구멍들을 통해 제2 브리지(BD2)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a')은 제2 브리지(BD2)와 동일 물질로 동일층에 형성된 제1 도전체이다.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a')은 제2 브리지(BD2)와 물리적으로 및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a')은 제1 터치 전극(TE1) 및/또는 제2 터치 전극(TE2)과 중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a')은 화소들(PX)과 중첩하는 개구들을 가진 메시 형상에서 메시를 형성하는 선을 따라 지그재그로 연장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a')은 제1 방향(x)에 약 -45°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과 약 45°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부분이 반복되면서, 전체적으로는 대략 제1 방향(x)으로 연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a')을 배치하면, 터치 센서부를 형성하는 공정에서 마스크나 공정 단계를 추가하지 않고 벤딩 표시 영역(BDA)에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a')을 형성할 수 있고, 벤딩 표시 영역(BDA)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벤딩 표시 영역(BDA)에 형성되는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a')으로 인해 화소(PX)가 가려지거나 터치 센서부의 설계 변경 예컨대, 터치 전극들(TE1, TE2)과 브리지들(BD1, BD2)의 배치 변경을 요하지 않는다.
도 8에서 제1 도전체(즉, 버퍼층(380)와 터치 센서부의 제1 절연층(391)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체)를 굵은 실선으로 도시하였다. 제1 도전체는 화소(PX)와 중첩하지 않지만, 제2 도전체와 중첩할 수 있다. 즉, 평면도에서 제1 도전체가 도시된 위치에 제2 도전체가 또한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달리, 제1 브리지(BD1)가 제1 도전체일 수 있고, 제2 브리지(BD2)가 제2 도전체일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TE1) 및 제1 브리지(BD1)가 제1 도전체이고 제2 터치 전극(TE2) 및 제2 브리지(BD2)가 제2 도전체일 수도 있고, 그 반대로 제2 터치 전극(TE2) 및 제2 브리지(BD2)가 제1 도전체이고 제1 터치 전극(TE1) 및 제1 브리지(BD1)가 제2 도전체일 수도 있다.
표시 패널(20)의 제1 서브 패널 영역(221)에 위치하는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a')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221-224)의 벤딩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크랙 검출선들(CD1a, CD1a', CD1b, CD2a, CD2a', CD2b) 중 하나 이상이 이와 같은 식으로 위치하고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3에서 G-G'선을 따라 취한 단면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를 참고하면, 벤딩 표시 영역(BDA)과 함께 비표시 영역(NA)의 단면이 도시된다. 도 4의 실시예와 다른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기판(SB) 또는 배리어층(BRR)과 버퍼층(BF) 사이에는 반도체층(A)과 중첩하는 광차단층(LB)이 위치할 수 있다. 광차단층(LB)은 트랜지스터(TR)의 반도체층(A)에 외부 광이 도달하는 것을 막아 반도체층(A)의 특성 저하를 막을 수 있다. 광차단층(LB)에 의해 트랜지스터(TR), 특히 발광 표시 장치에서 전류 특성이 중요한 구동 트랜지스터의 누설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광차단층(LB)은 차단할 파장대의 광을 투과시키지 않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광차단층(LB)은 알루미늄(Al), 구리(Cu), 은(Ag), 금(Au), 백금(Pt), 팔라듐(Pd), 니켈(Ni), 몰리브덴(Mo), 텅스텐(W), 티타늄(Ti), 크롬(Cr), 탄탈륨(Ta) 등의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SB) 또는 배리어층(BRR)과 버퍼층(BF) 사이에는 제1 크랙 검출선(CD1a)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크랙 검출선(CD1a)은 광차단층(LB)과 동일 공정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크랙 검출선(CD1a)을 형성하는데 추가 공정을 요하지 않는다. 배리어층(BRR)과 버퍼층(BF) 사이에 위치하는 제1 크랙 검출선(CD1a)은 배리어층(BRR)과 버퍼층(BF)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하는데 더욱 유효할 수 있다.
제1 서브 패널 영역(221)에 위치하는 제1 크랙 검출선(CD1a)을 예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221-224)의 벤딩 표시 영역(BDA)에 위치하는 크랙 검출선들(CD1a, CD1a', CD1b, CD2a, CD2a', CD2b) 중 하나 이상이 기판(SB) 또는 배리어층(BRR)과 버퍼층(BF)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광차단층(LB)과 동일 공정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에는 제3 크랙 검출선(CD3a, CD3a')이 위치할 수 있다. 제3 크랙 검출선(CD3a)은 제1 절연층(IN1)과 제2 절연층(IN2)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게이트 전극(G)과 동일 공정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크랙 검출선(CD3a)은 제2 절연층(IN2)과 봉지층(EN)의 제1 무기층(371)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제3 크랙 검출선(CD3a')은 버퍼층(380)과 터치 센서부의 제1 절연층(391)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터치 센서부의 제1 도전체와 동일 공정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크랙 검출선(CD3a')은 터치 센서부의 제1 절연층(391)과 제2 절연층(392)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벤딩 표시 영역(BDA)에서 버퍼층(380)과 터치 센서부의 제1 절연층(391) 사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크랙 검출선(CD1a')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크랙 검출선(CD1a')은 터치 센서부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하는데 더욱 유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에는 공통 전압을 전달하는 전압 전달선(177)이 위치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LED)의 제2 전극(E2)은 연결 부재(197)를 통해 전압 전달선(177)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에는 게이트 구동부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TRd)가 위치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에는 제2 절연층(IN2) 위로 댐 부재(DM)가 위치한다. 댐 부재(DM)는 봉지층(EN)의 유기층(372)을 형성할 때 모노머 같은 유기 물질이 흘러 넘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봉지층(EN)의 유기층(372)의 가장자리는 대체로 댐 부재(DM)보다 안쪽에, 즉 댐 부재(DM)와 표시 영역(D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봉지층(EN)을 구성하는 제1 무기층(371)과 제2 무기층(373)은 댐 부재(DM) 위로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무기층(371)과 제2 무기층(373)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제1 무기층(371)과 제2 무기층(373) 간의 부착력이 증가할 수 있다.
댐 부재(DM)는 제1 댐(D1) 및 제2 댐(D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댐(D1)은 제2 댐(D2)보다 표시 영역(DA)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댐(D2)은 제1 댐(D1)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댐(D1) 및 제2 댐(D2)은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댐(D1) 및 제2 댐(D2)은 제3 절연층(IN3) 및/또는 제4 절연층(IN4)과 동일 공정에서 동일 물질로 형성되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1)와 비교하여 표시 패널(20)의 네 코너 영역의 형상에서 차이가 있다. 즉, 표시 패널(20)의 코너 영역에 노치(notch)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형상 및 구조에서는 표시 패널(20)의 제1 내지 제4 서브 패널 영역들(221-224)의 벤딩 시 표시 패널(20)의 네 코너 영역에서 발생하는 응력이 줄어들 수 있고 벤딩이 좀더 용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 및 구조에서도 벤딩 시 응력으로 인해 벤딩 표시 영역(BDA)에서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패널(20)은 벤딩 표시 영역(BDA)에 위치하는, 전술한 것과 같은 제1 크랙 검출선(CD1a, CD1b)과 제2 크랙 검출선(CD2a, CD2b)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 장치(1)는 벤딩 표시 영역(BDA)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0)은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하는 제3 크랙 검출선(CD3a, CD3b)과 제4 크랙 검출선(CD4a, CD4b)을 포함할 수 있고, 비표시 영역(NA)에서 발생하는 크랙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표시 장치
10: 윈도우
20: 표시 패널
210: 메인 패널 영역
221, 222, 223, 224: 서브 패널 영역
30: 집적회로 칩
BA: 벤딩 영역
BDA: 벤딩 표시 영역
BD, BD1, BD2: 브리지
CD1a, CD1b, CD2a, CD2b, CD3a, CD3b, CD4a, CD4b: 크랙 검출선
CD1a', CD2a', CD3a': 크랙 검출선
CDC: 크랙 검출 회로부
DA: 표시 영역
EN: 봉지층
FA: 평면 영역 FDA: 평면 표시 영역
IN1, IN2, IN3, IN4: 절연층
LB: 광차단층
LED: 발광 다이오드
NA: 비표시 영역
PX: 화소
SB: 기판
TA: 터치 감지 영역
TE, TE1, TE2: 터치 전극

Claims (20)

  1.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영역은 평면 표시 영역 및 적어도 하나의 벤딩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벤딩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크랙 검출 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은 상기 크랙 검출 회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평면 표시 영역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벤딩 표시 영역은 상기 평면 표시 영역의 네 변에 각각 인접하는 네 개의 벤딩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을 상기 네 개의 벤딩 표시 영역 중 세 개의 벤딩 표시 영역에 걸쳐 연장하는 제1 크랙 검출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3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을 상기 네 개의 벤딩 표시 영역 중 상기 평면 표시 영역과 상기 패드부 사이의 벤딩 표시 영역에서 연장하는 제2 크랙 검출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1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덮는 봉지층, 그리고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부는
    제1 도전체,
    상기 제1 도전체 위에 위치하는 절연층, 그리고
    상기 절연층 위에 위치하는 제2 도전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제1 도전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제1 도전체는 메시 형상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은 상기 메시를 형성하는 선을 따라 지그재그로 연장하는 표시 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은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중첩하지 않은 표시 장치.
  10. 제7항에서,
    상기 제2 도전체는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체는 상기 복수의 터치 전극 중 인접하는 터치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브리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6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봉지층과 상기 터치 센서부 사이에 위치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은 상기 봉지층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은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중첩하지 않은 표시 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그리고
    상기 기판과 상기 트랜지스터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과 중첩하는 광차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은 상기 광차단층과 동일층으로 위치하며 상기 광차단층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14. 제13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기판과 상기 트랜지스터 사이에 위치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크랙 검출선은 상기 기판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5. 제1방향으로 연장하는 제1 변 및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변을 포함하는 메인 패널 영역,
    상기 제1 변에 접하며 벤딩되어 있는 제1 서브 패널 영역, 그리고
    상기 제2 변에 접하며 벤딩되어 있는 제2 서브 패널 영역
    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패널 영역 및 상기 제2 서브 패널 영역은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영역에 위치하는 크랙 검출선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 위에 위치하는 발광 다이오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위에 위치하는 봉지층, 그리고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랙 검출선은 상기 터치 센서부 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터치 센서부는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브리지,
    상기 브리지 위에 위치하는 제1 절연층, 그리고
    상기 제1 절연층 위에 위치하며 상기 브리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크랙 검출선은 상기 브리지와 동일층으로서 위치하며 상기 브리지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18. 제15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
    상기 트랜지스터 위에 위치하는 발광 다이오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위에 위치하는 봉지층,
    상기 봉지층 위에 위치하는 버퍼층, 그리고
    상기 버퍼층 위에 위치하는 터치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크랙 검출선은 상기 봉지층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19. 제15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기판,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는 버퍼층, 그리고
    상기 버퍼층 위에 위치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크랙 검출선은 상기 기판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20. 제19항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기판과 상기 버퍼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과 중첩하는 광차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크랙 검출선은 상기 광차단층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
KR1020190064347A 2019-05-31 2019-05-31 표시 장치 KR20200138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347A KR20200138544A (ko) 2019-05-31 2019-05-31 표시 장치
US16/809,188 US11481054B2 (en) 2019-05-31 2020-03-04 Display device
CN202010474775.8A CN112018155A (zh) 2019-05-31 2020-05-29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4347A KR20200138544A (ko) 2019-05-31 2019-05-31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544A true KR20200138544A (ko) 2020-12-10

Family

ID=7350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4347A KR20200138544A (ko) 2019-05-31 2019-05-3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81054B2 (ko)
KR (1) KR20200138544A (ko)
CN (1) CN11201815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244A (ko) * 2019-01-29 2020-08-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09872634A (zh) * 2019-03-28 2019-06-1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
KR20210004008A (ko) * 2019-07-02 2021-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1005057B2 (en) * 2019-09-25 2021-05-11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olding display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220038948A (ko) * 2020-09-21 2022-03-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KR20220096122A (ko) * 2020-12-30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N112905050B (zh) * 2021-02-18 2024-04-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显示装置
CN114967958A (zh) * 2021-02-24 2022-08-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触控装置
CN112863366B (zh) * 2021-03-12 2022-07-1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3113450B (zh) * 2021-03-16 2022-08-05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3113451B (zh) * 2021-03-17 2022-07-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22198448A1 (zh) * 2021-03-23 2022-09-2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和显示面板
CN113157137B (zh) * 2021-04-30 2023-05-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5346434A (zh) * 2021-05-14 2022-11-15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透光盖板、柔性显示面板、显示屏和电子设备
CN113590398B (zh) * 2021-07-28 2023-10-03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及其裂纹检测方法
EP4365880A1 (en) 2021-10-26 2024-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flexible display module and method for detecting damage to flexible display module
WO2023115443A1 (en) * 2021-12-23 2023-06-2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20230102974A (ko) * 2021-12-30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357B1 (ko) * 2005-03-18 2008-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와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6138480B2 (ja) * 2012-12-20 2017-05-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9430180B2 (en) * 2013-11-15 2016-08-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US9535522B2 (en) * 2014-12-22 2017-01-03 Lg Display Co., Lt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102282616B1 (ko) 2014-12-29 2021-07-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62189B1 (ko) * 2015-04-16 2022-02-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446857B1 (ko) * 2015-05-26 2022-09-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00302B1 (ko) * 2015-09-08 2022-05-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점등 검사선 형성 방법
US10217802B2 (en) * 2016-05-31 2019-02-26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with high resolution and high definition
KR20180065061A (ko) 2016-12-06 2018-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265542B1 (ko) 2017-05-31 2021-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432386B1 (ko) 2017-07-12 2022-08-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51977B1 (ko) 2017-07-18 2022-0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056678B1 (ko) * 2017-11-23 2019-12-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81054B2 (en) 2022-10-25
CN112018155A (zh) 2020-12-01
US20200379595A1 (en)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38544A (ko) 표시 장치
KR102626223B1 (ko) 표시 장치
KR102596956B1 (ko) 표시 장치
US11537226B2 (en) Touch display panel
US11594590B2 (en) Display device
CN113126806B (zh) 触摸显示装置
KR102625708B1 (ko) 표시 장치
KR102298367B1 (ko) 표시 장치
KR20150002118A (ko) 플렉서블 타입 유기전계 발광소자
US20200243781A1 (en) Display device
KR20220138851A (ko) 표시 장치
US20200203442A1 (en) Display panel
CN113126804B (zh) 触摸显示装置
KR20220061321A (ko) 표시 장치
CN113035908A (zh) 有机发光显示装置
KR20210106039A (ko) 표시 장치
KR20200072852A (ko) 표시 장치
US20240206305A1 (en) Display device
KR20240080912A (ko) 표시장치
KR20230026595A (ko) 표시 장치
KR20220026650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134801A (ko) 표시 장치
KR20230098960A (ko) 표시 패널
KR20220082366A (ko) 표시장치
KR20210008221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