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244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244A
KR20200094244A KR1020190011065A KR20190011065A KR20200094244A KR 20200094244 A KR20200094244 A KR 20200094244A KR 1020190011065 A KR1020190011065 A KR 1020190011065A KR 20190011065 A KR20190011065 A KR 20190011065A KR 20200094244 A KR20200094244 A KR 20200094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ubstrate
display area
touch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재
김한수
박경민
엄태종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1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94244A/ko
Priority to US16/743,965 priority patent/US11132096B2/en
Priority to CN202010057834.1A priority patent/CN111490074A/zh
Publication of KR20200094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244A/ko
Priority to US17/485,259 priority patent/US12014015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01L27/327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H01L27/3288
    • H01L51/5203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54High voltage adaptations; Electrical insulation details; Overvoltage 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Arrangements for regulating voltages or for using plural voltages
    • H05K1/0257Overvoltage protection
    • H05K1/0259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7Passive-matrix OLED displays
    • H10K59/179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7Pads along the edge of rigid circuit boards, e.g. for plugg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7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at least one of the printed circuits being bent or folded, e.g. by u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6Folded around rigid support or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69Apertured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818Shape or layout detail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5K2201/09009 - H05K2201/09809
    • H05K2201/09918Optically detected marks used for aligning tool relative to the PCB, e.g. for mounting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06Light emitting diode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영역에 위치하는 발광소자; 상기 제1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발광소자에 신호를 전달하는 표시신호선;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는 공통전압공급선;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드; 및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공통전압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압흔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압흔패드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상기 패드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보다 인접하여 위치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표시장치의 대표적인 예로서 액정표시장치와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있다. 이 중,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에 비하여 휘도 특성 및 시야각 특성이 우수하고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 및 표시영역 주변의 비표시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비표시영역에는 배선들이 위치할 수 있다.
표시장치의 가장자리와 인접한 비표시 영역은 정전기에 취약한 부분이다. 따라서 외부에서 표시장치로 강한 정전기가 유입되면, 정전기에 의해 배선들이 손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뢰도가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주변의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영역에 위치하는 발광소자;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발광소자에 신호를 전달하는 표시신호선;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는 공통전압공급선;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드; 및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공통전압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압흔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압흔패드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상기 패드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더 인접하여 위치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압흔패드는 광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압흔패드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더 인접하여 위치하는 얼라인 패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라인 패드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얼라인 패드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압흔패드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패드와 상기 압흔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더미패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패드는 상기 공통전압공급선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기판에 결합된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및 상기 압흔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압흔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연성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와 상기 구동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흔단자와 상기 구동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압흔패드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1기판의 가장자리에 보다 인접하여 위치하는 얼라인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얼라인 패드와 연결되는 얼라인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라인 단자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압흔패드와 직접 연결된 제1단자부분 및 상기 제1단자부분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단자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자부분은 상기 얼라인 패드와 중첩하고, 상기 제2단자부분은 상기 얼라인 패드와 비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부분은 상기 제1기판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상기 일부분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결합부재를 매개로 상기 제1기판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연성회로기판 상에 실장되고 상기 제1기판의 하측에 위치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표시영역과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감지 영역 및 상기 감지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2기판 상에 위치하는 터치센싱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센싱층은, 상기 감지 영역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부와,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전극부와 연결된 터치신호선과,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신호선과 이격된 정전기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신호선은, 상기 감지 영역과 상기 정전기 차단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정전기 차단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도전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신호선와 상기 정전기 차단부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층 바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 전극부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터치전극과,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터치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 및 상기 제2터치전극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정전기 차단부는 상기 제1터치전극 및 상기 제2터치전극과 다른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센싱층은 상기 정전기 차단부 상에 위치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 및 상기 제2터치전극은 상기 절연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터치 전극부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두개의 제1터치전극을 서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인접한 두개의 제2터치전극을 서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정전기 차단부와 다른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정전기 차단부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주변의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영역에 위치하는 발광소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발광소자에 신호를 전달하는 표시신호선;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는 공통전압공급선;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패드; 및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공통전압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얼라인 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얼라인 패드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부분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얼라인 패드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패드보다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더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공통전압공급선과 상기 표시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회로; 및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얼라인 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제2패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패드는 상기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신뢰도가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X1-X1'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X3-X3'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포함하는 표시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표시패널과 결합하는 연성회로기판의 일부분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소의 예시적인 등가회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화소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X5-X5'를 따라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Q1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X7-X7'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9-X9'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X11-X11'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제7패드와 제7단자 간의 얼라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구조에서, 외부에서 유입된 정전기의 개략적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포함하는 터치센서층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Q3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X13-X13'를 따라 절단한 터치센서층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X15-X15'를 따라 절단한 터치센서층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의 Q5부분을 확대한 평면도로서, 외부에서 유입된 정전기의 개략적 이동경로도 함께 표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X17-X17'를 따라 절단한 터치센서층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18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X1-X1'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X3-X3'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는 표시패널(DP), 표시패널(DP) 상에 위치하는 터치센싱층(300), 표시패널(DP)에 연결된 연성회로기판(5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터치센싱층(300)에 연결된 터치연성회로기판(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패널(DP)은 평면상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패널(DP)은 제1방향(x)으로 연장된 양 장변, 제1방향(x)과 교차하는 제2방향(y)으로 연장된 양 단변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패널(DP)의 장변과 단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직각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곡면을 이룰 수도 있다. 또는 표시패널(DP)의 모서리는 파손 위험을 줄이기 위해 모따기 처리(chamfering)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외에도 표시패널(DP)의 평면 형상은 예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고, 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표시패널(DP)은 평면 구조로 볼 때, 표시영역(DA)과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표시영역(DA)은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며,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영역(DA) 주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표시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상", "상측", "상부", "탑", "상면"은 도면을 기준으로 제1방향(x) 및 제2방향(y)과 교차하는 제3방향(z)의 화살표가 향하는 측을 의미하고, "하", "하측", "하부", "바텀", "하면"은 도면을 기준으로 제3방향(z)의 화살표가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패널(DP)은 리지드 표시패널 또는 플렉서블 표시패널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시패널(DP)은 자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자발광소자는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양자점 발광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 무기물 기반의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예컨대 Micro Light Emitting Diode), 무기물 기반의 나노 발광 다이오드(예컨대 Nano Light Emitting Dio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자발광소자가 유기발광소자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표시패널(DP)은 적층구조로 볼 때, 제1기판(110), 제1기판(110) 상에 위치하는 제2기판(210), 제1기판(110)과 제2기판(210) 사이에 위치하는 소자층, 제1기판(110) 상에 위치하는 패드부(PD)를 포함한다. 또한 제1기판(110)과 제2기판(210) 사이에 위치하되 제1기판(110)과 제2기판(210)의 가장자리측에 위치하고 제1기판(110)과 제2기판(210)을 결합하는 밀봉재(S)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기판(110)은 상기 소자층 및 상기 패드부(PD)를 지지하는 기판이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기판(110)은 유리, 석영,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기판일 수 있다.
상기 소자층은 제1기판(110) 상에 위치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소자층은 제1기판(110) 상에 위치하고 표시영역(DA)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화소 및 복수의 표시 신호선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는 후술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축전기(capacitor),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표시 신호선은 상기 각 화소에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주사선 및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자층은 제1기판(110) 상에 위치하되 비표시 영역(NDA) 내에 위치하는 소자들 및 배선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자들 및 배선들은 표시영역(DA)에 위치하는 화소들에 인가되는 각종 신호들을 생성하거나 해당 신호들을 상기 화소들에 전달할 수 있다.
패드부(PAD)는 제1기판(110) 상에 위치하고 비표시 영역(NDA) 내에 위치할 수 있다. 패드부(PAD)는 표시장치(1)의 일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패드부(PAD)는 외부로부터 신호들과 전압들을 전달할 수 있는 연성회로기판(500)과 연결될 수 있다.
제2기판(210)은 외부로부터 수분 및/또는 산소가 상기 표시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봉지기판(encapsulation substrate)일 수 있다. 제2기판(210)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고분자 필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기판(210)은 제1기판(110)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표시영역(DA)에서 제1기판(110) 및 표시영역(DA) 내에 위치하는 화소들을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기판(210)은 패드부(PAD)와는 비중첩할 수 있다. 즉, 제1방향(x)에서 제2기판(210)의 길이는 제1기판(110)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제1기판(110)과 제2기판(210) 사이에는 밀봉재(S)가 위치할 수 있다. 밀봉재(S)는 비표시 영역(NDA) 내에 위치하고 평면 상에서 표시영역(DA)을 완전히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밀봉재(S)는 제1기판(110)과 제2기판(210)을 합착시키며, 수분, 산소 등의 불순물이 외부에서 제1기판(110)과 제2기판(210)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밀봉재(S)는 글라스 프릿 등과 같은 밀봉 물질을 제1기판(110)과 제2기판(210) 사이에 배치하고,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밀봉 물질을 용융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DP) 상에는 터치센싱층(300)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치센싱층(20)은 정전용량 방식으로 터치입력지점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정전용량 방식은 자기 정전용량(self capacitance) 방식 또는 상호 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으로 터치된 지점의 좌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센싱층(300)이 상호 정전용량 방식의 구조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치센싱층(300)은 표시패널(DP) 중 제2기판(2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치센싱층(300) 중 표시영역(DA) 내에 위치하는 부분은 터치 전극(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센싱층(300) 중 비표시 영역(NDA) 내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터치 전극에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터치 신호선(도시되지 않음) 및 상기 터치 신호선과 연결된 터치패드부(TPAD)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치센싱층(300)의 상기 터치 전극, 상기 터치 신호선 및 터치패드부(TPAD)는 제2기판(21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터치센싱층(300)과 제2기판(210) 사이에는 별도의 결합층(예컨대 접착층 등)이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터치센싱층(300)의 상기 터치 전극, 상기 터치 신호선 및 터치패드부(TPA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2기판(210)의 바로 위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터치센싱층(300)과 제2기판(210) 사이에 별도의 절연막이 위치하는 경우, 터치센싱층(300)의 상기 터치 전극, 상기 터치 신호선 및 터치패드부(TPA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절연막 바로 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연성회로기판(500)은 표시패널(DP)에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성회로기판(500)은 패드부(PAD)와 대응하는 단자부(C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연성회로기판(500)의 단자부(CD)는 패드부(PA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500)은 표시패널(DP)의 하면 또는 제1기판(110)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벤딩될 수 있으며, 연성회로기판(500) 중 표시패널(DP)의 하면과 마주보는 부분은, 표시패널(DP)의 하면 또는 제1기판(11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성회로기판(500) 중 표시패널(DP)의 하면과 마주보는 부분은 결합부재(900)를 매개로 표시패널(DP)의 하면 또는 제1기판(110)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결합부재(90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결합부재(900)는 구리층을 포함하는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재(900)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경우, 외부에서 연성회로기판(500)으로 유입되는 정전기는 결합부재(900)로 분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패널(DP)로 유입되는 정전기를 차단하거나, 표시패널(DP)로 유입되는 정전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성회로기판(500) 중 표시패널(DP)의 하면과 마주보는 부분은 부분적으로 표시영역(DA)과 중첩할 수도 있다. 연성회로기판(500)이 표시패널(DP)의 하측으로 벤딩됨에 따라, 표시장치(1)의 베젤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성회로기판(500)에는 구동부(D-IC)가 집적 회로 칩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구동부(D-IC)는 구동 전원 및 구동 신호들을 출력하고, 구동 신호들은 연성회로기판(500)의 단자부(CD)와 표시패널(DP)의 패드부(PAD)를 통해 표시패널(DP)의 화소들에 제공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부(D-IC)는 표시영역(DA)의 화소에 데이터신호를 제공하는 데이터 구동회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부(D-IC)는 표시영역(DA)과 중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성회로기판(500)의 패드부(PAD)와 단자부(CD) 사이에는 이방성 도전필름(AD1)에 위치할 수 있으며, 패드부(PAD)와 단자부(CD)는 이방성 도전필름(AD1)을 매개로 서로 물리적/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방성 도전필름(AD1)은 회로 접속에 사용되는 접착필름으로, 한 방향(예컨대, 두께 방향)으로는 도전성을 갖지만 다른 방향(예컨대, 면 방향)으로는 절연성을 갖는 이방성이 있다. 이방성 도전필름(AD1)은 접착성을 갖는 절연층(예컨대, 열경화성 절연층)과 그 안에 위치하는 복수의 도전볼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성회로기판(500) 상에는 연결부(CT)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연결부(CT)는 후술할 터치연성회로기판(700)과 연결되는 부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부(CT)는 커넥터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연성회로기판(700)은 터치센싱층(300)에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치연성회로기판(700)은 터치패드부(TPAD)와 대응하는 터치단자부(TCD)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단자부(TCD)는 터치패드부(TPA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치연성회로기판(700)의 터치패드부(TPAD)와 터치센싱층(300)의 터치단자부(TPAD) 사이에는 이방성 도전필름(AD2)이 위치할 수 있으며, 터치단자부(TCD)와 터치패드부(TPAD)는 이방성 도전필름(AD2)을 매개로 서로 물리적/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치연성회로기판(700)은 표시패널(DP)의 하면 또는 제1기판(110)의 하면을 향해 벤딩될 수 있으며, 표시패널(DP)의 하측에서 터치연성회로기판(700)은 연성회로기판(500) 상에 마련된 연결부(CT)에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치연성회로기판(700) 중 표시패널(DP)의 하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부분적으로 표시영역(DA)과 중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치연성회로기판(700)에는 터치구동부(T-IC)가 집적 회로 칩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터치구동부(T-IC)는 터치구동신호를 출력하고, 출력된 터치구동신호는 터치연성회로기판(700)의 터치단자부(TCD) 및 터치패드부(TPAD)를 경유하여 터치센싱층(300)의 터치전극들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터치구동부(T-IC)는 터치센싱층(300)으로부터 터치센싱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 등의 터치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터치구동부(T-IC)는 표시영역(DA)과 중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3을 더 참고하여 표시패널(DP)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포함하는 표시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표시패널과 결합하는 연성회로기판의 일부분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화소의 예시적인 등가회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화소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도 4의 X5-X5'를 따라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8은 도 4의 Q1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9는 도 8의 X7-X7'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X9-X9'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1은 도 8의 X11-X11'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제7패드와 제7단자 간의 얼라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구조에서, 외부에서 유입된 정전기의 개략적 이동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패널(DP)은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영역(DA) 및 표시 영역(N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영역(DA)에서 제1기판(110) 상에는 복수 개의 주사선들(GL), 데이터선들(DL), 전원선들(PL) 및 복수 개의 화소들(PX)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비표시 영역(NDA)에서 제1기판(110) 상에는 패드부(PAD), 구동회로(GDC), 공통전압공급선((ESL), 구동전압공급선(EDL), 연결선들(11, 12, 13, 14, 15, 16), 표시영역(DA)을 둘러싸는 밀봉재(S)가 위치할 수 있다.
주사선들(G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되어 화소(PX)에 주사 신호를 전달한다.
데이터선들(D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 중 대응하는 화소(PX)에 각각 연결되어 화소(PX)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전원선(PL)은 복수 개의 화소들(PX)에 연결되어 화소(PX)에 구동전압을 전달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 주사선(GL)은 제2방향(y)을 따라 연장되고, 데이터선(DL)은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원선(PL)은 데이터선(DL)과 동일한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에는 어느 하나의 주사선(GL), 어느 하나의 데이터선(DL), 전원선(PL), 및 이들에 연결된 화소(PX)를 도시하였다. 화소(PX)의 구성은 도 5에 제한되지 않고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전면 발광형 다이오드이거나, 배면 발광형 다이오드일 수 있다. 화소(PX)는 유기 발광 소자(OLED)를 구동하기 위한 화소 구동회로로써 제1 트랜지스터(T1, 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제2 트랜지스터(T2, 또는 구동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제1 전원 전압(ELVDD)은 제2 트랜지스터(T2)에 제공되고, 제2 전원 전압(ELVSS)은 유기 발광 소자(OLED)에 제공된다. 제2 전원 전압(ELVSS)은 제1 전원 전압(ELVDD) 보다 낮은 전압일 수 있다.
제1 트랜지스터(T1)는 주사선(GL)에 인가된 주사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DL)에 인가된 데이터 신호를 출력한다. 커패시터(Cst)는 제1 트랜지스터(T1)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충전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유기 발광 소자(OLED)에 연결된다. 제2 트랜지스터(T2)는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하량에 대응하여 유기 발광 소자(OLED)에 흐르는 구동전류를 제어한다.
등가회로는 하나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소(PX)는 복수 개의 트랜지스터들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더 많은 캐수의 커패시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전원선(PL)과 제2 트랜지스터(T2) 사이에 접속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등가회로에 대응하는 표시패널(DP)의 부분 단면을 도시하였다.
제1기판(110) 상에는 버퍼막(BFL)이 배치될 수 있다.
버퍼막(BFL) 상에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반도체 패턴(OSP1: 이하 제1 반도체 패턴), 제2 트랜지스터(T2)의 반도체 패턴(OSP2: 이하 제2 반도체 패턴)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도체 패턴(OSP1) 및 제2 반도체 패턴(OSP2)은 아몰포스 실리콘, 폴리 실리콘, 금속 산화물 반도체에서 선택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반도체 패턴(OSP1)과 제2 반도체 패턴(OSP2) 중 어느 하나는 폴리 실리콘으로 이루어지고, 제1 반도체 패턴(OSP1)과 제2 반도체 패턴(OSP2) 중 다른 하나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반도체 패턴(OSP1) 및 제2 반도체 패턴(OSP2) 상에는 제1 중간 무기막(111)이 배치된다. 제1 중간 무기막(111) 상에는 제1 트랜지스터(T1)의 제어전극(GE1: 이하, 제1 제어전극) 및 제2 트랜지스터(T2)의 제어전극(GE2: 이하, 제2 제어전극)이 배치된다. 제1 제어전극(GE1)과 제2 제어전극(GE2)이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경우, 제1 제어전극(GE1) 및 제2 제어전극(GE2)은 주사선들(GL, 도 4 참조)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제어전극(GE1)과 제2 제어전극(GE2)은 서로 다른 층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제어전극(GE1)과 제2 제어전극(GE2) 중 어느 하나만이 주사선들(GL, 도 4 참조)과 동일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도 있다.
제1 중간 무기막(111) 상에는 제1 제어전극(GE1) 및 제2 제어전극(GE2)을 커버하는 제2 중간 무기막(112)이 배치된다. 제2 중간 무기막(112) 상에 제1 트랜지스터(T1)의 입력전극(DE1: 이하, 제1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SE1: 제1 출력전극), 제2 트랜지스터(T2)의 입력전극(DE2: 이하, 제2 입력전극) 및 출력전극(SE2: 제2 출력전극)이 배치된다.
제1 입력전극(DE1)과 제1 출력전극(SE1)은 제1 중간 무기막(111) 및 제2 중간 무기막(112)을 관통하는 제1 관통홀(CH1)과 제2 관통홀(CH2)을 통해 제1 반도체 패턴(OSP1)에 각각 연결된다. 제2 입력전극(DE2)과 제2 출력전극(SE2)은 제1 중간 무기막(111) 및 제2 중간 무기막(112)을 관통하는 제3 관통홀(CH3)과 제4 관통홀(CH4)을 통해 제2 반도체 패턴(OSP2)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트랜지스터(T1) 및 제2 트랜지스터(T2) 중 일부는 바텀 게이트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제2 중간 무기막(112) 상에 제1 입력전극(DE1), 제2 입력전극(DE2), 제1 출력전극(SE1), 및 제2 출력전극(SE2)을 커버하는 중간 유기막(113)이 배치된다. 중간 유기막은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중간 유기막(113) 상에는 화소 정의막(PDL) 및 유기 발광 소자(OLED)가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정의막(PDL)은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유기막(113) 상에 제1 전극(AE)이 배치된다. 제1 전극(AE)은 중간 유기막(30)을 관통하는 제5 관통홀(CH5)을 통해 제2 출력전극(SE2)에 연결된다. 화소 정의막(PDL)에는 개구부(OPN)가 정의된다. 화소 정의막(PDL)의 개구부(OPN)는 제1 전극(AE)의 적어도 일부분을 노출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소 정의막(PDL)은 생략될 수도 있다.
화소(PX)는 표시영역(DA)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영역(DA)은 발광영역(PXA)과 발광영역(PXA)에 인접한 비발광영역(NPXA)을 포함할 수 있다. 비발광영역(NPXA)은 발광영역(PXA)을 둘러 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영역(PXA)은 개구부(OPN)에 의해 노출된 제1 전극(AE)의 일부영역에 대응하게 정의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발광영역(PXA)은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T1, T2) 중 적어도 하나에 중첩할 수 있다. 개구부(OPN)가 더 넓어지고, 제1 전극(AE), 및 후술하는 발광층(EML)도 더 넓어질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은 발광영역(PXA)과 비발광영역(NPXA)에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정공 제어층(HCL)과 같은 공통층은 화소들(PX, 도 3 참조)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공 제어층(HCL) 상에 발광층(EML)이 배치된다. 발광층(EML)은 개구부(OPN)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발광층(EML)은 화소들(PX) 각각에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유기물질 및/또는 무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층(EML)은 소정의 유색 컬러광을 생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터닝된 발광층(EML)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발광층(EML)은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발광층(EML)은 백색 광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발광층(EML)은 텐덤(tandem)이라 지칭되는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발광층(EML) 상에 전자 제어층(ECL)이 배치된다.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제어층(ECL)은 화소들(PX, 도 4 참조)에 공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자 제어층(ECL) 상에 제2 전극(CE)이 배치된다. 제2 전극(CE)은 화소들(PX)에 공통적으로 배치된다.
제2 전극(CE) 상에는 제2기판(210)이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전극(CE)과 제2기판(21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기판(210) 상에는 상술한 터치센싱층(300)이 위치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회로(GDC)는 도 4를 기준으로 표시영역(DA)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는 구동회로(GDC)가 표시영역(D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회로(GDC)는 표시영역(DA)의 일측에만 위치할 수 있다.
구동회로(GDC)는 주사 구동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회로(GDC)는 주사선들(GL)과 연결될 수 있다. 구동회로(GDC)는 복수 개의 주사 신호들을 생성하고, 복수 개의 주사 신호들을 복수 개의 주사선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회로(GDC)는 화소들(PX)의 구동회로와 동일한 공정, 예컨대 LTPS(Low Temperature Polycrystaline Silicon) 공정 또는 LTPO(Low 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공정을 통해 형성된 복수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영역(DA)에서 제1기판(110) 상에는 구동회로(GDC)가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회로(GDC)는 도 4를 기준으로 표시영역(DA)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는 구동회로(GDC)가 표시영역(DA)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구동회로(GDC)는 표시영역(DA)의 일측에만 위치할 수 있다.
구동전압공급선(EDL)은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며, 패드부(PAD)와 표시영역(D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전압공급선(EDL)은 전원선(PL)과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제공된 구동전압은 구동전압공급선(EDL) 및 전원선(PL)을 경유하여 각 화소(PX)에 제공될 수 있다.
공통전압공급선(ESL)은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며, 화소(PX)의 유기발광소자(OLED)의 제2 전극(CE)에 공통전압을 제공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공통전압공급선(ESL)은 일측이 개방된 루프 형태로, 패드부(PAD)를 제외한 제1기판(110)의 가장자리(Ed)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공통전압공급선(ESL)의 적어도 일부는 밀봉재(S)와 중첩할 수 있다. 도 4에는 공통전압공급선(ESL)이 밀봉재(S)와 완전히 중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공통전압공급선(ESL)의 적어도 일부는 밀봉재(S)와 비중첩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공통전압공급선(ESL) 및 구동전압공급선(EDL)은 서로 등일한 층에 위치하고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공통전압공급선(ESL) 및 구동전압공급선(EDL)은 제1 입력전극(DE1) 및 제1 출력전극(SE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패드부(PAD)는 비표시 영역(NDA)에 배치되며, 구동전압공급선(EDL)을 사이에 두고 표시영역(DA)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패드부(PAD)는 제1패드(PD1), 제2패드(PD2), 제3패드(PD3), 제4패드(PD4), 제5패드(PD5), 제6패드(PD6) 및 제7패드(PD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패드(PD1)는 데이터선(D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부(D-IC)에서 제공되는 데이터 신호는 제1패드(PD1) 및 데이터선(DL)을 경유하여 화소(PX)에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패드(PD1)는 제2방향(y)을 따라 복수개 배열될 수 있다.
제2방향(y)을 따라 제1패드(PD1)의 일측(예시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에는 제2패드(PD2), 제3패드(PD3), 제4패드(PD4), 제5패드(PD5), 제6패드(PD6) 및 제7패드(PD7)가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패드(PD2), 제3패드(PD3), 제4패드(PD4), 제5패드(PD5), 제6패드(PD6) 및 제7패드(PD7)는 제2방향(y)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패드(PD2), 제3패드(PD3), 제4패드(PD4), 제5패드(PD5), 제6패드(PD6) 및 제7패드(PD7)의 배열 순서는 이외에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패드(PD2), 제3패드(PD3), 제4패드(PD4), 제5패드(PD5), 제6패드(PD6) 및 제7패드(PD7)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패드(PD1)의 타측(예시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에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제2패드(PD2)는 구동전압공급선(ED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에서 제공된 구동전압은 연성회로기판(500), 제2패드(PD2), 구동전압공급선(EDL) 및 전원선(PL)을 경유하여 화소(PX)에 제공된다.
제3패드(PD3)는 구동회로(GD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성회로기판(500)과 연결된 외부회로에서 생성된 제어신호(예시적으로 수직동기신호, 수평동기신호, 및 클럭신호 등)는 연성회로기판(500) 및 제3패드(PD3)를 경유하여 구동회로(GDC)에 제공될 수 있다.
제4패드(PD4)는 공통전압공급선(ESL)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외부에서 제공된 구동전압은 연성회로기판(500), 제4패드(PD4) 및 공통전압공급선(ESL)을 경유하여 화소(PX)에 제공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4패드(PD4)는 제2방향(y)을 따라 제2패드(PD2)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5패드(PD5)는 더미패드일 수 있다. 제5패드(PD5)는 후술할 연성회로기판(500)의 제5단자(CD5)와 결합될 수 있으며, 연성회로기판(500)과 표시패널(DP)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방향(y)에서 제5패드(PD5)는 제1패드(PD1), 제2패드(PD2), 제3패드(PD3) 및 제4패드(PD4)보다 상대적으로 표시패널의 가장자리(Ed)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5패드(PD5)는 공통전압공급선(ES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6패드(PD6)는 압흔을 검사하기 위한 압흔패드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6패드(PD6)는 광투과부(OP)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6패드(PD6)는 광투과부(OP) 및 광투과부(OP)를 둘러싸는 메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500)을 표시패널(DP)에 결합하는 이방성 도전필름(AD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BR) 및 절연층(BR)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도전볼(CB)을 포함하며, 도전볼(CB)을 매개로 패드부(PAD)와 단자부(CD)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패드부(PAD)의 각 패드와 단자부(CD)의 각 단자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볼(CB)의 개수는 패드부(PAD)와 단자부(CD)간의 접속 신뢰성과 연관성이 높다.
제6패드(PD6)에는 광투과부(OP)를 포함하는 바, 연성회로기판(500)과 표시패널(DP)을 결합한 상태에서, 제1기판(110)의 하측에서 상측을 바라본 경우 제6패드(PD6)와 후술할 제6단자(CD6) 사이에 배치된 도전볼(CB)의 개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드부(PAD)의 각 패드들과 단자부(CD)의 각 단자부들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볼의 개수를 추정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연성회로기판(500)과 표시패널(DP) 간의 접속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6패드(PD6)는 제5패드(PD5)와 마찬가지로 공통전압공급선(ES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6패드(PD6)는 제5패드(PD5)보다 상대적으로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예시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7패드(PD7)는 표시패널(DP)과 다른 구성간의 정확한 얼라인을 위한 패드, 즉 얼라인 패드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7패드(PD7)는 연성회로기판(500)과 표시패널(DP)간의 얼라인을 위한 패드일 수 있으며, 제7패드(PD7)는 연성회로기판(500)의 제7단자(CD7)와 얼라인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7패드(PD7)는 공통전압공급선(ES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7패드(PD7)는 제6패드(PD6)보다 상대적으로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예시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7패드(PD7)는 제2방향(y)을 따라 연장된 제1부분(PD7a) 및 제1부분(PD7a)과 연결되고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된 제2부분(PD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부분(PD7a)은 제6패드(PD6)와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제7패드(PD7)는 제6패드(PD6)를 매개로 공통전압공급선(ES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패드(PD1), 제2패드(PD2), 제3패드(PD3), 제4패드(PD4), 제5패드(PD5), 제6패드(PD6) 및 제7패드(PD7)는 제1 입력전극(DE1) 및 제1 출력전극(SE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연결선들(11, 12, 13, 14, 15, 16)은 비표시 영역(NDA)에 위치하며, 제1연결선(11), 제2연결선(12), 제3연결선(13), 제4연결선(14), 제5연결선(15) 및 제6연결선(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선(11)은 데이터선(DL) 및 제1패드(PD1)에 연결될 수 있으며, 데이터선(DL)과 제1패드(PD1)는 제1연결선(11)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연결선(12)은 구동전압공급선(EDL) 및 제2패드(PD2)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전압공급선(EDL)과 제2패드(PD2)는 제2연결선(12)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연결선(13)은 구동회로(GDC) 및 제3패드(PD3)에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회로(GDC)와 제3패드(PD3)는 제3연결선(13)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4연결선(14)은 공통전압공급선(ESL) 및 제4패드(PD4)에 연결될 수 있으며, 공통전압공급선(ESL)과 제4패드(PD4)는 제4연결선(14)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5연결선(15)은 공통전압공급선(ESL) 및 제5패드(PD5)에 연결될 수 있으며, 공통전압공급선(ESL)과 제5패드(PD5)는 제5연결선(15)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6연결선(16)은 공통전압공급선(ESL) 및 제6패드(PD6)에 연결될 수 있으며, 공통전압공급선(ESL)과 제6패드(PD6)는 제6연결선(16)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연결선들(11, 12, 13, 14, 15, 16)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입력전극(DE1) 및 제1 출력전극(SE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4연결선(14), 제5연결선(15) 및 제6연결선(16)은 제1 입력전극(DE1) 및 제1 출력전극(SE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1 입력전극(DE1) 및 제1 출력전극(SE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연결선(11), 제2연결선(12) 및 제3연결선(13)은 주사선(GL)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주사선(GL)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500)은 표시패널(DP)의 패드부(PAD)와 결합하는 단자부(CD)를 포함하며, 단자부(CD)는 제1단자(CD1), 제2단자(CD2), 제3단자(CD3), 제4단자(CD4), 제5단자(CD5), 제6단자(CD6) 및 제7단자(CD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자(CD1)는 이방성 도전필름(AD1)을 매개로 제1패드(PD1)와 접속할 수 있다. 제1단자(CD1)는 제1단자선(51)을 매개로 구동부(도 2의 D-IC)와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부(D-IC)로부터 데이터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2단자(CD2)는 이방성 도전필름(AD1)을 매개로 제2패드(PD2)와 접속할 수 있다. 제2단자(CD2)는 제2단자선(52)을 매개로 외부회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제3단자(CD3)는 이방성 도전필름(AD1)을 매개로 제3패드(PD3)와 접속할 수 있다. 제3단자(CD3)는 제3단자선(53)을 매개로 외부회로 또는 외부전원 등과 접속하여 구동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4단자(CD4)는 이방성 도전필름(AD1)을 매개로 제4패드(PD4)와 접속할 수 있다. 제4단자(CD4)는 제4단자선(54)을 매개로 외부회로 또는 외부전원 등과 접속하여 공통전압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제5단자(CD5)는 이방성 도전필름(AD1)을 매개로 제5패드(PD5)와 접속할 수 있다. 제5단자(CD5)는 외부회로 또는 구동부(도 2의 D-IC)등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5단자(CD5)는 더미단자일 수 있으며, 결합력 향상을 위해 제5패드(PD5)와 결합될 수 있고, 별도의 단자선과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6단자(CD6)는 이방성 도전필름(AD1)을 매개로 제6패드(PD6)와 접속할 수 있다. 제6단자(CD6)는 제6패드(PD6)와 유사하게, 압흔 또는 도전볼 관찰을 위한 압흔단자일 수 있다. 제6단자(CD6)는 별도의 단자선과는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제7단자(CD7)는 이방성 도전필름(AD1)을 매개로 제7패드(PD7)와 접속할 수 있다. 제7단자(CD7)는 제7패드(PD7)와 얼라인되는 얼라인 단자일 수 있다.
제7단자(CD7)는 제2방향(y)을 따라 연장된 제1단자부분(CD7a) 및 제1단자부분(CD7a)과 연결되고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되되 제7패드(PD7)의 제2부분(PD7b)과는 반대방향으로 연장된 제2단자부분(CD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단자부분(CD7a)은 제6단자(CD6)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제7단자(CD7)와 제7패드(PD7)가 얼라인 된 상태인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자부분(CD7a)은 제1부분(PD7a)과 중첩하고 제2단자부분(CD7b)은 제1부분(PD7a) 및 제2부분(PD7b)과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7단자(CD7)와 제7패드(PD7)가 얼라인 된 상태에서 이루는 형상은 십자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7단자(CD7)는 별도의 단자선과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더미패드인 제5패드(PD5), 압흔패드인 제6패드(PD6) 및 얼라인 패드인 제7패드(PD7)는 표시패널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 또는 신호들이 제공되는 다른 신호 패드들, 예시적으로 제4패드(PD4)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표시패널의 가장자리측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제4패드(PD4) 등에 비해 제5패드(PD5), 제6패드(PD6) 및 제7패드(PD7) 외부에서 정전기(ES)가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외부에서 제5패드(PD5), 제6패드(PD6) 및 제7패드(PD7) 등에 정전기(ES)가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정전기(ES)는 주변의 신호 패드들, 예시적으로 제4패드(PD4) 등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제4연결선(14) 등과 같은 신호선의 손상(또는 단선)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제5패드(PD5), 제6패드(PD6) 및 제7패드(PD7)를 공통전압공급선(ESL)과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외부에서 제5패드(PD5), 제6패드(PD6) 및 제7패드(PD7) 등으로 유입된 정전기(ES)는 공통전압공급선(ESL)으로 분산될 수 있다. 즉, 공통전압공급선(ESL)은 제5패드(PD5), 제6패드(PD6) 및 제7패드(PD7)로 유입된 정전기(ES)를 분산시키는 정전기 분산선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된 정전기(ES)로 인한 신호 패드들의 손상 또는 신호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표시장치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포함하는 터치센서층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15는 도 14의 Q3부분을 확대한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X13-X13'를 따라 절단한 터치센서층의 단면도, 도 17은 도 15의 X15-X15'를 따라 절단한 터치센서층의 단면도, 도 18은 도 14의 Q5부분을 확대한 평면도로서, 외부에서 유입된 정전기의 개략적 이동경로도 함께 표시한 도면, 도 19는 도 18의 X17-X17'를 따라 절단한 터치센서층의 단면도, 도 20은 도 18의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21은 도 18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센싱층(300)은 제2기판(210) 상에 위치한다.
터치센싱층(300)에는 감지 영역(SA) 및 주변 영역(NSA)이 정의된다. 감지 영역(SA)은 터치센싱층(300) 중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영역이고, 주변 영역(NSA)은 터치 입력을 감지하지 못하는 영역일 수 있다.
감지 영역(SA) 및 주변 영역(NSA)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1)의 표시영역(DA) 및 비표시 영역(NDA)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감지 영역(SA)은 표시영역(DA)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감지 영역(SA)에서 제2기판(210) 상에는 제1전극부(120) 및 제2전극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주변 영역(NSA)에서 제2기판(210) 상에는 터치패드부(TPAD), 터치신호선들(351, 353, 355) 및 정전기 차단부(370)가 위치할 수 있다.
이하 감지 영역(SA)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기판(210)상에는 제1전극부(310), 제1전극부(310)와 절연된 제2전극부(330)가 위치할 수 있다.
제1전극부(310)는 제1방향(x)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전극부(310)는 복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전극부(310)는 제1방향(x)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1터치전극(311) 및 제1방향(x)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1터치전극(31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연결"이라 함은 물리적 및/또는 전기적인 측면에서의 "연결"을 포괄적으로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터치전극(311)의 평면 형상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원형, 바(bar)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제1터치전극(311)은 투명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상기 투명 도전성 물질로는 은나노와이어(AgNW),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ntimony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ZnO(Zinc Oxide), 및 SnO2(Tin Oxide), 카본나노튜브(Carbon Nano Tube), 그래핀(graphene), PEDOT과 같은 전도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또는 제1터치전극(311)은 광투과성이 확보된다면 금속이나 이들의 합금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으로는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 백금(Pt) 등을 들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터치전극(311)이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급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터치전극(311)은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메쉬(mesh)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터치전극(311)이 메쉬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터치전극(311)은 도 6의 발광영역(PXA)과 비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연결부(313)는 제1방향(DR1)을 따라 이웃하는 제1터치전극(31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제1터치전극(311)과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313)는 브리지(bridge) 형태의 연결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313)는 제1터치전극(311)이 위치하는 층과 다른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연결부(313)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313)는 금(Au), 은(Ag),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크롬(Cr), 티타늄(Ti), 니켈(Ni), 네오디뮴(Nd), 구리(Cu), 백금(Pt) 등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연결부(313)는 단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층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연결부(313)는 티타늄/알루미늄/티타늄의 3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면에는 제1방향(x)을 따라 이웃하는 제1터치전극(311) 사이에 제1연결부(313)가 하나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1연결부(313)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연결부(31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제1방향(DR1)을 따라 이웃하는 제1터치전극(311) 사이에 두개 이상 배치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터치전극(311)과 제1연결부(313) 사이에는 절연층(320)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연결부(313)는 제2기판(210) 상에 위치하고, 제1연결부(313) 상에는 절연층(320)이 위치하고, 제1터치전극(311)은 절연층(3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연결부(313)와 제1터치전극(311)은 절연층(320)에 형성된 제1컨택홀(CNT1)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절연층(320)은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절연물질은 무기 절연물질 또는 유기 절연물질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절연물질은 알루미늄 옥사이드, 티타늄 옥사이드, 실리콘 옥사이드 실리콘옥시나이트라이드, 지르코늄옥사이드, 및 하프늄 옥사이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절연물질은 아크릴계 수지, 메타크릴계 수지, 폴리이소프렌, 비닐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실록산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페릴렌계 수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전극부(3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방향(y)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2전극부(330)는 복수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방향(x)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전극부(330)는 제2방향(y)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제2터치전극(331) 및 제2방향(y)을 따라 서로 이웃하는 제2터치전극(33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터치전극(331)은 제1터치전극(31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터치전극(331)은 절연층(3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터치전극(331)은 마름모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원형, 바(bar)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제2터치전극(331)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터치전극(31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부(333)는 제2방향(DR2)을 따라 이웃하는 제2터치전극(331)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제2터치전극(331)과 접촉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연결부(333)는 제1터치전극(311) 및 제2터치전극(331)과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연결부(333)는 제1터치전극(311) 및 제2터치전극(331)과 마찬가지로 절연층(32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연결부(333)는 절연층(320)을 매개로 제1연결부(313) 또는 제1터치전극(311)과 절연될 수 있다. 도면에는 제2연결부(333)가 제1연결부(313)와 중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연결부(333)는 제1연결부(313)와 중첩하지 않고 제1터치전극(311)과 중첩할 수도 있다.
제2연결부(333)는 제1터치전극(311) 및 제2터치전극(331)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전극부(310)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제공받는 구동전극부 일 수 있으며, 제2전극부(330)는 상기 구동신호에 응답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전극부 일 수 있다.
이하 주변 영역(NSA)에 대해 설명한다.
제2기판(210)의 주변 영역(NSA) 상에는 터치신호선들(351, 353, 355) 및 터치패드부(TPAD)가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터치신호선들(351, 353, 355)은 각각의 제1전극부(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터치신호선(351) 및 제2터치신호선(353)과, 각각의 제2전극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3터치신호선(355)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터치신호선(351)의 일단은 제1전극부(120)의 일단에 연결되고 제1터치신호선(351)의 타단은 터치패드부(TPAD)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터치신호선(353)의 일단은 제1전극부(120)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2터치신호선(353)의 타단은 터치패드부(TPAD)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전극부(120)에 연결되는 터치신호선은 더블 라우팅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전극부(120)의 저항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RC지연을 개선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전극부(120)의 일단은 절연층(320)을 관통하여 제1터치신호선(351)과 연결되고, 제1전극부(120)의 타단은 절연층(320)을 관통하여 제2터치신호선(353)에 연결될 수 있다.
제3터치신호선(355)의 일단은 제2전극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3터치신호선(355)의 타단은 터치패드부(TPAD)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전극부(330)의 일단은 절연층(320)을 관통하여 제3터치신호선(355)과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전극부(330)는 절연층(320)에 형성된 제2컨택홀(CNT2)을 통해 제3터치신호선(355)과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터치신호선(351), 제2터치신호선(353) 및 제3터치신호선(355)은 제1연결부(313)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1연결부(313)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터치신호선(351), 제2터치신호선(353) 및 제3터치신호선(355)은 제2기판(210)과 절연층(3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터치패드부(TPAD)는 주변 영역(NSA)에서 제2기판(21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터치신호선들(351, 353, 355)과 연결될 수 있다. 터치패드부(TPAD)는 각각의 터치신호선들(351, 353, 355)과 연결된 터치패드들(도면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드부(TPAD)는 이방성 도전필름(AD2) 등을 매개로 터치연성회로기판(700)의 터치단자부(TCD)와 연결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주변 영역(NSA)에서 제2기판(210) 상에는 정전기 차단부(370)가 위치할 수 있다. 정전기 차단부(370)는 터치신호선들(351, 353, 355)과 이격되고 터치신호선들(351, 353, 355)보다 상대적으로 제2기판(210)의 가장자리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터치신호선들(351, 353, 355)은 감지 영역(SA)과 정전기 차단부(37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싱예에서 정전기 차단부(370)는 대략적으로 일측이 개방된 루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터치패드부(TPAD)를 제외한 제2기판(2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터치신호선들(351, 353, 355)의 외측을 감쌀 수 있다.
터치신호선들(351, 353, 355)의 외측에 정전기 차단부(370)가 위치함에 따라, 외부에서 유입되는 정전기(ES)가 터치신호선들(351, 353, 355)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정전기로 인한 터치신호선들(351, 353, 35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정전기 차단부(370)는 도전성 물질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정전기 차단부(370)는 제1터치신호선(351), 제2터치신호선(353) 및 제3터치신호선(355)과 마찬가지로 제1연결부(313)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1연결부(313)와 동일한 층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정전기 차단부(370)는 평면상에서 제1터치신호선(351), 제2터치신호선(353) 및 제3터치신호선(355)과 비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정전기 차단부(370)는 별도의 신호 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상태, 즉 플로팅(floating)된 상태일 수 있다.
정전기 차단부(370)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도전패턴(371)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전패턴(371)은 제1방향(x) 및 제2방향(y)을 따라 서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도전패턴(371)의 제1방향(x)으로의 폭(W1) 및 제2방향(y)으로의 폭(W2)은 각각 25㎛ 내지 35㎛일 수 있으며, 도전패턴(371) 간의 이격 간격(D)은 3㎛ 내지 5㎛일 수 있다.
정전기 차단부(370)가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도전패턴(371)을 포함함에 따라, 외부에서 정전기(ES)가 유입되더라도, 정전기(ES)가 터치신호선들(351, 353, 355)로 유입되기 전에 복수의 도전패턴(371) 중 어느 하나에서 방전되거나 터질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정전기(ES)로 인해 터치신호선들(351, 353, 35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각 도전패턴(371)의 평면형상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삼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이외 도전패턴(371)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패턴(371a)은 원형 등으로 변형되거나 또는 타원형 등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패턴(371b)은 스트라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주변의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영역에 위치하는 발광소자;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발광소자에 신호를 전달하는 표시신호선;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는 공통전압공급선;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패드; 및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공통전압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압흔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압흔패드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상기 패드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더 인접하여 위치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흔패드는 광투과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압흔패드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더 인접하여 위치하는 얼라인 패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라인 패드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부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패드의 상기 제1부분은, 상기 압흔패드와 직접 연결된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패드와 상기 압흔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더미패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더미패드는 상기 공통전압공급선에만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에 결합된 연성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및 상기 압흔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압흔단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 상에 실장된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와 상기 구동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압흔단자와 상기 구동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압흔패드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제1기판의 가장자리에 보다 인접하여 위치하는 얼라인 패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얼라인 패드와 연결되는 얼라인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얼라인 단자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압흔패드와 직접 연결된 제1단자부분 및 상기 제1단자부분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단자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단자부분은 상기 얼라인 패드와 중첩하고,
    상기 제2단자부분은 상기 얼라인 패드와 비중첩하는 표시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일부분은 상기 제1기판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연성회로기판의 상기 일부분은 도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결합부재를 매개로 상기 제1기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회로기판 상에 실장되고 상기 제1기판의 하측에 위치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표시영역과 중첩하는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 상에 위치하고 감지 영역 및 상기 감지 영역의 주변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제2기판;
    상기 제2기판 상에 위치하는 터치센싱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센싱층은,
    상기 감지 영역에 위치하는 터치 전극부와,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 전극부와 연결된 터치신호선과, 상기 주변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터치신호선과 이격된 정전기 차단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선은, 상기 감지 영역과 상기 정전기 차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차단부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도전패턴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신호선와 상기 정전기 차단부는, 서로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동일한 층 바로 위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전극부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터치전극과, 상기 제2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터치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 및 상기 제2터치전극은 동일한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정전기 차단부는 상기 제1터치전극 및 상기 제2터치전극과 다른 층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싱층은 상기 정전기 차단부 상에 위치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터치전극 및 상기 제2터치전극은 상기 절연층 상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전극부는,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두개의 제1터치전극을 서로 연결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인접한 두개의 제2터치전극을 서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정전기 차단부와 다른 층에 위치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정전기 차단부와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표시장치.
  18.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의 주변의 비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영역에 위치하는 발광소자;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발광소자에 신호를 전달하는 표시신호선;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는 공통전압공급선;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패드; 및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공통전압공급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얼라인 패드; 를 포함하고,
    상기 얼라인 패드는,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과 직접 연결되고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부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얼라인 패드는,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패드보다 상기 기판의 가장자리에 더 인접하여 위치하는 표시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상기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공통전압공급선과 상기 표시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구동회로; 및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고 비표시영역에 위치하되 상기 제2방향을 따라 상기 제1패드와 상기 얼라인 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제2패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패드는 상기 구동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장치.
KR1020190011065A 2019-01-29 2019-01-29 표시장치 KR2020009424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065A KR20200094244A (ko) 2019-01-29 2019-01-29 표시장치
US16/743,965 US11132096B2 (en) 2019-01-29 2020-01-15 Display device
CN202010057834.1A CN111490074A (zh) 2019-01-29 2020-01-19 显示装置
US17/485,259 US12014015B2 (en) 2019-01-29 2021-09-24 Display device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portion in non-display ar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1065A KR20200094244A (ko) 2019-01-29 2019-01-29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244A true KR20200094244A (ko) 2020-08-07

Family

ID=71732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1065A KR20200094244A (ko) 2019-01-29 2019-01-29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132096B2 (ko)
KR (1) KR20200094244A (ko)
CN (1) CN1114900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9137B2 (en) 2020-02-14 2022-11-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68036A (zh) 2020-10-23 2023-03-28 三星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US20230180399A1 (en) * 2021-12-07 2023-06-08 Meta Platforms Technologies, Llc Design to protect chip-on-flex for dual bending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331B1 (ko) 2007-07-23 2008-05-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64098B1 (ko) 2010-12-28 2017-08-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KR101868473B1 (ko) * 2011-08-11 2018-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JP2016004183A (ja) * 2014-06-18 2016-01-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203281B1 (ko) * 2014-08-29 2021-01-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102427399B1 (ko) 2014-12-09 2022-08-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기 차폐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448570B1 (ko) * 2015-02-03 2022-09-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63840B1 (ko) * 2015-07-28 2022-0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표시 장치의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기판
KR102387632B1 (ko) * 2015-09-24 2022-04-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662654B1 (ko) 2015-12-18 2024-04-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70566B1 (ko) 2015-12-28 2022-11-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57140B1 (ko) * 2016-06-16 2023-07-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617273B1 (ko) * 2016-10-31 2023-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인셀 터치 표시 장치
JP2018128487A (ja) * 2017-02-06 2018-08-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パネル、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2482408B1 (ko) * 2017-05-19 2022-12-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39673B1 (ko) 2017-06-19 2022-09-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92735B1 (ko) * 2017-09-12 2023-0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79020B1 (ko) * 2017-11-28 2022-1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24043B1 (ko) * 2018-02-12 2023-04-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19184636A (ja) * 2018-04-02 2019-10-2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20200108152A (ko) * 2019-03-06 2020-09-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15749A (ko) * 2019-03-25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118316A (ko) * 2019-04-05 2020-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38544A (ko) * 2019-05-31 2020-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89137B2 (en) 2020-02-14 2022-11-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723227B1 (en) 2020-02-14 2023-08-0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11907A1 (en) 2022-01-13
US20200241704A1 (en) 2020-07-30
CN111490074A (zh) 2020-08-04
US12014015B2 (en) 2024-06-18
US11132096B2 (en)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580110A (zh) 包括触摸构件的显示装置
TWI825049B (zh) 觸控感測器及其顯示裝置
US11079890B2 (en) Touch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2014015B2 (en) Display device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portion in non-display area
US11507232B2 (en) Sensor modul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80038603A (ko) 터치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표시 장치
US11183555B2 (en) Display device
US11941219B2 (en) Touch sensor having improved sensing sensitivity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00102036A (ko) 표시장치 및 터치센서
US11928299B2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210141477A1 (en) Touch senso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57174B1 (ko) 전자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30046341A (ko) 터치 감지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129153A (ko) 표시 장치
KR20200120821A (ko) 터치 센서 및 표시 장치
US11579738B2 (en) Circuit board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221103941U (zh) 电子设备
US11010007B2 (en) Input sensing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220044044A (ko) 표시 장치
KR20240002841A (ko)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