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9396A - 적층박리용기 - Google Patents

적층박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9396A
KR20180089396A KR1020187013414A KR20187013414A KR20180089396A KR 20180089396 A KR20180089396 A KR 20180089396A KR 1020187013414 A KR1020187013414 A KR 1020187013414A KR 20187013414 A KR20187013414 A KR 20187013414A KR 20180089396 A KR20180089396 A KR 20180089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inlet
outside air
air introduction
introduc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스케 타루노
테츠아키 에구치
타츠로 아오키
Original Assignee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36867A external-priority patent/JP68232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4124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71548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52673A external-priority patent/JP6775132B2/ja
Application filed by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9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38Integral frangible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3Neck construction
    • B65D1/0246Closure retaining means, e.g. beads, screw-thr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32Containers adapted to be temporar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ure to expel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16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 B65D41/18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non-metallic, e.g. made of paper or plastics
    • B65D41/185Snap-on caps or cap-like covers non-metallic, e.g. made of paper or plastics with integral internal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65D51/2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25Pressure relief-valves incorporated in a container wall, e.g. valves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06Upper closure
    • B65D2251/0025Upper closure of the 47-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003Two or more closures
    • B65D2251/0068Lower closure
    • B65D2251/0093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용기본체 내부에 대한 외기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는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되는 타전식 캡을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이며, 상기 용기본체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개구부를 갖는 입구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입구부는 외층과 내층을 구비하고, 상기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층에 의해 구성된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구부는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입구부측 계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캡은 상기 캡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된 캡측 계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입구부측 계합부와 상기 캡측 계합부는 상기 캡이 상기 입구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계합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캡과 상기 입구부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캡이 상기 입구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캡측 계합부보다 상기 개구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상기 입구부와 상기 캡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여 상기 입구부에 대한 상기 캡의 경사를 억제하는 경사 억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적층박리용기
본 발명은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에 의해 구성된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제 1 관점)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으로 구성된 내측 주머니가 수축함으로써 용기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는 적층박리용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5). 적층박리용기는 일반적으로 체크 밸브를 가지는 캡을 용기본체의 입구에 장착하여 사용된다.
(제 2 관점)
특허문헌 2의 적층박리용기는 용기본체의 외각에 형성된 외기도입공에 밸브 부재를 장착하고 이 밸브 부재가 용기본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함으로써 외기도입공이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3 관점)
특허문헌 3에 개시되는 적층박리용기는 용기본체의 입구에 설치한 캡에 밸브가 내장되어 있다. 특허 문헌 4에 개시된 적층박리용기는 외각의 몸통 내측에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적층박리용기는 내측 주머니의 내용물이 공기에 접촉하지 않는 장점이 있고, 이 때문에 내용물의 주출(注出) 후 내측 주머니에 공기가 역류하지 않도록 캡에 체크 밸브를 설치하고 나아가 보존 시의 밀폐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입구부를 알루미늄으로 밀봉할 것도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5 참조).
특허문헌 5에는 산소 비투과성과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튜브본체의 입구부를 산소 비투과성의 밀봉재료로 폐쇄하고 주출공을 가진 마개 통체를 입구부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고 이 마개 통체의 주출공을 튜브본체 내의 부압으로 폐쇄되는 밸브본체로 개폐하도록 함과 동시에 캡을 마개 통체에 씌우고 밀봉재료를 제거하고 입구부를 개봉할수 있도록 한 튜브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3650175호 공보 WO/2015/080015 일본 특개 2013-35557호 공보  일본 특개평 4-267727호 공보  일본 특개평 7-112749호 공보
(제 1 관점)
그런데 본 발명자가 적층박리용기의 용기본체에 타전(打栓)식 캡을 장착하여 실험한 결과 용기본체와 캡 사이의 간극을 통해 용기본체의 내부에 외기가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용기본체 내부에 외기가 들어가면 내용물의 열화(劣化)가 촉진되기 때문에 용기본체 내부로의 외기의 침입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용기본체 내부로의 외기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는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2 관점)
특허문헌 2의 구성에서는 내측 주머니에 의해 밸브 부재가 외각을 향해 눌림으로써 밸브 부재의 움직임이 방해되는 경우가 있다. 밸브 부재의 움직임이 방해되면 내용물의 토출 후 외기도입공을 통해 외각과 내측 주머니 사이의 공간에 외기를 도입해야 할 타이밍에 외기가 적절하게 도입되지 않기 때문에 외각의 복원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내용물의 토출 후 외각과 내측 주머니 사이의 공간에 외기를 신속하게 도입할 수 있는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 3 관점)
그런데, 특허문헌 5에 기재된 것과 같은 밀봉재료에 의한 폐쇄는 저장성의 확보의 관점에서 효과적인 수단이지만 그 개봉을 특허문헌 5에 기재된 것과 같은 통 형상의 절단 칼날로 실시하면 여러가지 불편함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절단 후 밀봉 재료의 파편이 그대로 절단 칼날에 부착되어 유로를 막아 버릴 우려가 있다. 또한 통 형상의 절단 칼날로 밀봉재료를 개봉한 경우, 밀폐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개봉 후에도 밀폐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절단 칼날의 외주면을 입구부의 내주면에 밀착시킬 필요가 있지만 그러기 위위해서는 절단 칼날의 성형 정밀도를 높일 필요가 있어 코스트가 증가된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은 이러한 종래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보존 시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고 개봉 시의 불편함을 해소 할 수 있어 개봉 후에도 밀폐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상기 제 1 ~ 제 3 관점의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 제시하는 제 1 ~ 제 3 관점의 해결 수단은 서로 조합 가능하다.
(제 1 관점)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의하면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되는 타전식 캡을 구비한 적층박리용기이며, 상기 용기본체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입구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입구부는 외층과 내층을 구비하고, 상기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층에 의해 구성된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입구부는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입구부측 계합(係合)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된 캡측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 측 계합부와 상기 캡측 계합부는 상기 캡이 상기 입구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캡과 상기 입구부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캡이 상기 입구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캡측 계합부보다 상기 개구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상기 입구부와 상기 캡사이의 간극을 좁히고 상기 입구부에 대한 상기 캡의 경사를 억제하는 경사 억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이 외기 침입의 원인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용기본체의 입구부의 형상과 타전식 캡의 형상에 따라서는 입구부에 대해 캡이 경사지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고, 캡이 기울면 캡과 입구부 사이에 간극이 쉽게 생기는 것이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입구부에 대한 상기 캡의 경사를 억제하는 경사 억제부를 설치함으로써 용기본체 내부로의 외기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의 완성에 이르렀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관점의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다음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 억제부는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돌출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구부측 계합부 보다 상기 수용부 측에 상기 입구부의 내측쪽으로 수축하는 수축부가 설치되고 상기 입구부측 돌출부는 상기 수축부의 윗벽과 상기 입구부측 계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 억제부는 상기 캡의 내주면에 설치된 캡측 돌출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층과 상기 내층 사이의 중간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외기도입공이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어 있다.
(제 2 관점)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르면 외각과 내측 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로서, 상기 외각은 상기 용기본체의 외부 공간에 연통하는 외기도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주머니는 상기 외기도입공에 대향하는 부위의 표면적이 상기 외기도입공의 개구면적보다 큰 적층박리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적층박리용기의 내측 주머니는 외기도입공에 대향하는 부위의 표면적이 외각에 형성된 외기도입공의 개구 면적보다 크다. 따라서 외기도입공에 장착되는 밸브 부재에 의해 내측 주머니가 눌릴 때 내측 주머니에 발생하는 장력이 종래 기술보다 감소되고, 그 결과 밸브 부재를 내측 주머니가 외각을 향해 누르는 힘이 약해진다. 따라서 밸브 부재의 움직임이 방해되지 않고, 내용물의 토출 후에 외기도입공을 통해 외각과 내측 주머니 사이의 공간에 외기가 신속하게 도입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관점의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다음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주머니는 상기 외기도입공에 대향하는 부위에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을 향해 움푹 들어간 오목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단면적이 대략 일정한 통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목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을 항하여 움푹 들어간 만곡면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기본체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입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기도입공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기도입공에는 밸브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외기도입공의 변두리와 상기 밸브 부재 사이의 간극을 상기 밸브 부재의 이동에 의해 개폐하는 것을 통하여 상기 외기도입공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외기도입공에 삽입되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상기 중간 공간 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축부보다 단면적이 큰 뚜껑부와, 상기 축부의 상기 외부 공간 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중간 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용융 상태의 적층 파리손을 블로우 성형함으로써 서로 박리 가능한 외각과 내측 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상기 외각 및 상기 내측 주머니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지는 용기본체를 제조하고,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볼록부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상기 외각에 외기도입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제 3 관점)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 관점의 적층박리용기는, 외각과 내측 주머니를 가지고 내측 주머니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 주머니가 외각에서 박리하여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이며, 입구부가 밀봉부재로 밀봉되는 동시에 입구에 체크 밸브를 갖춘 캡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캡은 밀봉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갖는 마개 부재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선단이 끝이 뾰족한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중도 위치로부터 마개 부재의 유출 측으로 관통하는 내용물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캡을 비틀어 넣음으로써 상기 마개 부재의 돌출부가 상기 밀봉부를 돌파하여 개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입구부를 밀봉부재로 밀봉함으로써 저장할 때의 밀폐성이 확실하게 보장된다. 또한 선단이 끝이 뾰족한 형상으로 되어 그 중도 위치에서 마개 부재의 유출 측에 관통하는 내용물 유로가 형성된 돌출부에 의해 밀봉부재를 개봉함으로써, 파편의 부착에 의한 유로의 폐쇄 등의 장애가 억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할 때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개봉할 때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되어, 개봉 후에도 밀폐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박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관점의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다음에 나타내는 실시예는 서로 조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부재는 주위가 상기 입구부와 내부 캡에 끼인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내측 캡은 상기 돌출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구멍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을 비틀어 넣을 때에 끝이 뾰족한 형상의 돌출부의 주면(周面)이 상기의 내부 캡의 구멍부의 변두리에 당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내용물 유로의 유출 측의 개구부를 개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봉부재는 폴리프로필렌층, 알루미늄층, 폴리프로필렌층이 차례로 적층된 다층막이다.
(본 발명의 제 1 관점 실시예의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적층박리용기(1)를 나타내고, 도 1A는 용기본체(2)에 캡(23) 및 밸브 부재(5)를 장착 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1B는 용기본체(2)만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의 도 2A는 도 1A 중의 A-A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캡(23)의 캡커버(23i)를 연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2C는 도 2A 에서 입구부(9)를 뽑아낸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의 도 3A ~ 3B는 입구부(9)에 캡(23)을 장착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 2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4의 도 4A는 밸브 부재(5)의 사시도이고, 도 4B ~도 4C는 밸브 부재(5)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내층(13)의 층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서 입구부(9)와 캡(23)을 나타내는 도 2A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의 도 7A ~도7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입구부(9)와 캡(23)을 나타내는 도 2A ~도 2B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 실시예의 도면)
도 8의 도 8A ~도 8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에서 내측 주머니(14)에 오목부(16)를 설치함으로써 내측 주머니(14)가 밸브 부재(5)를 외각(19)에 누르는 힘이 약해지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9의 도 9A ~도 9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의 도 10A ~도 10E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고, 외기도입공(15)을 형성하는 영역의 근방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1의 도 11A ~도 11E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 10A ~도 10E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2의 도 12A ~도 12E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 11A ~도 11E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의 도 13A ~도 13E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도 11A ~도 11E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관점 실시예의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캡 장착부의 개략 단면도이며 밀봉부재가 미개봉 상태의 도면이다.
도 16은 마개 부재에 설치된 돌출부의 개략 저면도이다.
도 17은 캡 장착부의 개략 단면도이며 밀봉부재가 개봉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음에 나타내는 실시예 중에서 나타내는 각종 특징 사항은 서로 조합 가능하다. 또한 각 특징에 대해 독립적으로 발명이 성립한다. 제 1 ~ 제 2 실시형태는 주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관련된다. 제 3 ~ 제 6 실시형태는 주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관련된다. 제 7 실시형태는 주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관련된다.
1. 제 1 실시형태
도 1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적층박리용기(1)는, 용기본체(2)와, 밸브 부재(5)와 용기본체(2)에 장착되는 타전식 캡(23)을 구비한다. 용기본체(2)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7)와, 수용부(7)에서 내용물을 토출하는 개구부(9g)를 가지는 입구부(9)를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2)는, 수용부(7)와 입구부(9)에서 외층(17)과 내층(13)을 구비하고 있고, 외층(17)에 의해 외각(19)이 구성되고, 내층(13)에 의해 내측 주머니(14)가 구성된다. 내용물의 감소에 의해 내층(13)이 외층(17)에서 떨어지는 것에 의해, 내측 주머니(14)가 외각(19)으로부터 떨어져 수축한다. 또한, 수용부(7)에 내용물을 수용하기 전에 내층(13)을 외층(17)으로부터 박리하는 예비 박리공정을 실시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예비 박리 후 수용부(7) 내에 공기를 불어넣거나 또는 내용물을 수용하여 내층(13)을 외층(17)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내층(13)이 외층(17)으로부터 떨어진다. 한편, 예비 박리공정을 실시하지 않을 경우 내용물의 토출 시 내층(13)이 외층(17)으로부터 박리되어 외층(17)으로부터 떨어진다.
입구부(9)에는 입구부(9)의 외주면에 따라 계합부(9d)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구부(9)에는 타전식 캡(23)이 장착되어 있다고 가정되고, 계합부(9d)는 캡(23)의 계합부(23c)에 결합 가능한 환상의 돌기가 있다.
또한 입구부(9)에는 계합부(9d)보다 수용부(7) 측에 입구부(9)의 내측을 항하여 수축하는 수축부(9c)가 설치되어 있다. 수축부(9c)의 윗벽(9e)은 입구부(9)의 중심축 C에 대하여 대략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 ~도 3을 이용하여 입구부(9)에 캡(23)을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장착하는 캡(23)은,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본체(23a)와 캡커버(23i)를 가진다. 캡본체(23a)와 캡커버(23i)는 연결부(23j)로 연결되어 있고, 캡커버(23i)가 개폐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캡본체(23a)는, 상단(23t)과 상단(23t)에 설치된 토출구(23b)와, 상단(23t)의 외주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연장되는 통부(23f)와, 통부(23f)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된 계합부(23c)와, 통부(23f)의 내측에서 상단(23t)으로부터 원통 형상으로 연장된 이너링(23d)과, 이너링(23d)의 내측에 설치되고 또한 토출구(23b)에 연통하는 유통로(23g)와, 유통로(23g)에 설치된 체크 밸브(23e)를 구비한다. 계합부(23c)는 입구부(9)의 계합부(9d)에 결합 가능한 환상의 돌기이다. 캡(23)이 입구부(9)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용부(7)의 내용물은 유통로(23g)를 통하여 토출구(23b)로부터 토출된다. 한편, 체크 밸브(23e)가 토출구(23b)로부터의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때문에 용기본체(2)의 내측 주머니(14)에는 외기가 침입하지 않고 내용물의 열화가 억제된다. 또한, 여기에 표시된 캡(23)의 구조는 일례로는 다른 구성의 체크 밸브를 가지는 캡(23)을 채용해도 된다.
캡(23)을 장착할 때에는, 먼저 캡(23)을 장착할 때의 충격에 의해 수용부(7)가 변형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도 3A와 같이 수축부(9c)의 윗벽(9e)의 아래면에 지지구(10)를 당접시키고, 그 상태에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23)의 계합부(23c)를 입구부(9)의 계합부(9d)에 당접시키고, 이 상태로부터 캡(23)을 더 누름으로써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합부(23c)가 계합부(9d)를 극복하여 계합부(23c)와 계합부(9d)가 계합된다. 도 3B의 상태에서 계합부(23c)가 계합부(9d)를 극복할 때에는, 캡(23)의 통부(23f)가 확경하도록 휨과 동시에 입구부(9)가 축경하도록 휘기 때문에 입구부(9)가 휘기 쉬운 편이 캡(23)의 장착이 쉽고, 본 실시형태의 입구부(9)에는 일본 특개평 11-29211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서포트 링이 설치되어 있지 않고, 수축부(9c)의 윗벽(9e)의 아래면에 지지구(10)를 당접시켜 입구부(9)를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입구부(9)가 휘기 쉽고 캡(23)의 장착이 쉽다. 또한 입구부(9)가 휘기 쉽기 때문에 내측 주머니(14)가 용기 출구 가까이까지 휘기 쉽고 내용물을 끝까지 소진하기 쉽다.
또한 입구부(9)에는 이너링(23d)의 외면이 당접하게 되는 당접부(9a)가 설치되어 있고, 이너링(23d)의 외면이 입구부(9)의 당접부(9a)에 당접하여 내용물의 누출 및 용기본체(2) 내로의 외기 도입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입구부(9)의 선단에는 확경부(9b)가 설치되어 있고, 확경부(9b)의 내경은 당접부(9a)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이너링(23d)의 외면은 확경부(9b)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입구부(9)에 확경부(9b)가 없으면 입구부(9)의 내경이 제조 시의 편차에 의해 조금이라도 작아질 경우에는 이너링(23d)이 외층(17)과 내층(13) 사이로 비집고 들어가 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지만, 입구부(9)에 확경부(9b)가 있을 경우 입구부(9)의 내경이 약간 편차가 생겨도 그러한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또한 입구부(9)에 확경부(9b)를 설치한 경우에도, 이너링(23d)과 당접부(9a)와의 마찰에 의해 내층(13)이 외층(17)으로부터 박리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당접부(9a)보다 수용부(7)와 가까운 위치에 수축부(9c)가 설치되어 있고 수축부(9c)가 내층(13)이 엇갈려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내측 주머니(14)가 외각(19) 내로 탈락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수축부(9c)는 내층(13)이 엇갈려 떨어지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캡(23)을 장착할 때 지지구(10)에 의한 입구부(9)의 지지 부분으로서의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계합부(9d)보다 개구부 (9g)로부터 떨어진 위치(수용부(7)에 가까운 위치)에 돌출부(9f)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9f)는 수축부(9c)의 윗벽(9e)과 계합부(9d)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표현으로는 돌출부(9f)는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캡(23)이 입구부(9)에 장착된 상태에서 캡(23)의 계합부(23c)보다 개구부 (9g)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9f)는 수축부(9c)의 윗벽(9e)과 계합부(9d) 사이의 부위가 확경되어 형성된다.
도 6의 비교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축부(9c)의 윗벽(9e)과 계합부(9d) 사이에 돌출부(9f)가 없는 경우에는 통부(23f)의 선단부(23h)와 입구부(9) 사이에 큰 간극 G가 생길 수 있고, 간극 G가 존재하기 때문에 캡(23)의 경사가 생기기 쉽고 캡(23)의 경사 때문에 이너링(23d)이 당접부(9a)로부터 떨어져 용기본체(2)의 내부에 외기가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축부(9c)의 윗벽(9e)과 계합부(9d) 사이에 돌출부(9f)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통부(23f)의 선단부(23h)와 입구부(9) 사이의 간극이 작아지거나 또는 간극이 없어져 입구부(9)에 대한 캡(23)의 경사가 억제되어 용기본체(2) 내부로의 외기의 침입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돌출부(9f)는 특허청구범위의 "경사 억제부"로서 기능한다. 돌출부(9f)는 선단부(23h)와 접촉하여도 되고 접촉하지 않아도 된다. 돌출부(9f)와 선단부(23h)가 접촉하면 캡(23)의 경사가 더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돌출부(9f)와 선단부(23h)가 비(非)접촉이면 캡(23)을 입구부(9)에 장착할 때 선단부(23h)와 돌출부(9f)의 간섭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수용부(7)에는 경사진 평면으로 이루어진 밸브부재 설치오목부(7a)가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7a)에는 외기도입공(15) 이 설치되어 있다. 외기도입공(15)은 외각(19)에만 설치된 관통공이며 외각(19) 과 내측 주머니(14) 사이의 중간 공간(21)과 용기본체(2)의 외부 공간 S를 연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기도입공(15)에는 중간 공간(21)과 외부 공간 S 사이의 공기의 출입을 조절하는 밸브 부재(5)가 장착되어 있다. 오목부(7a)는 수용부(7)를 수축 필름으로 덮을 때 밸브 부재(5)와 수축 필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7a)가 수축 필름에 의해 밀봉되어 버리지 않도록 오목부(7a)로부터 입구부(9)의 방향으로 뻗은 공기유통홈(7b)이 설치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부재(5)는 외기도입공(15) 내에 배치되는 축부(5a)와 축부(5a)의 중간 공간(21) 측에 설치되고, 또한 축부(5a)보다 단면적이 큰 뚜껑부(5c)와 축부(5a)의 외부 공간 S 측에 설치되고, 또한 밸브 부재(5)가 중간 공간(21)에 들어 가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부(5b)를 구비한다. 밸브 부재(5)는 뚜껑부(5c)가 외기도입공(15)을 확대하면서 뚜껑부(5c)에 중간 공간(21) 내에 삽입하여 용기본체(2)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뚜껑부(5c)의 선단은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밸브 부재(5)는 용기본체(2)의 외부에서 뚜껑부(5c)를 중간 공간(21) 내에 밀어 넣는 것만으로 장착 가능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뛰어나다.
뚜껑부(5c)는 외각(19)을 압축할 때 외기도입공(15)을 실질적으로 폐쇄시키도록 구성되어, 축부(5a)에 가까워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계지부(5b)는 외각(19)이 압축된 후 복원할 때 중간 공간(21)에 공기가 도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외각(19)을 압축하면 중간 공간(21) 내의 압력이 외압보다 높아져 중간 공간(21) 내의 공기가 외기도입공(15)에서 외부로 누출된다. 이 압력 차이와 공기의 흐름에 의해 뚜껑부(5c)가 외기도입공(15)을 향해 이동하고,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부(5c)가 외기도입공(15)을 폐쇄한다. 뚜껑부(5c)가 축부(5a)에 가까워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이기 때문에 뚜껑부(5c)가 쉽게 외기도입공(15)에 끼어 외기도입공(15)을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외각(19)을 더 압축하면 중간 공간(21) 내의 압력이 높아지고, 그 결과 내측 주머니(14)가 압축되어 내측 주머니(14)의 내용물이 토출된다. 또한 외각(19)에 대한 압축력을 해제하면 외각(19)이 자신의 탄성에 의해 복원하려고 한다. 이때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부(5c)가 외기도입공(15)으로부터 떨어져 외기도입공(15)의 폐쇄가 해제되어 중간 공간(21) 내에 외기가 도입된다. 또한 계지부(5b)가 외기도입공(15)을 막지 않도록 계지부(5b)에는 유통로(5e)가 설치되어 있고, 계지부(5b)가 외각(19)에 맞닿은 상태에서도 유통로(5e) 및 외기도입공(15)을 통해 외기가 중간 공간(21) 내에 도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기도입공(15)의 변두리와 밸브 부재(5) 사이의 간극을 밸브 부재(5)의 이동에 의해 개폐하는 것으로써 밸브 부재(5)가 외기도입공(15) 을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 밸브 부재 자체에 관통공 및 개폐 가능한 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이 밸브의 작동에 의해 관통공을 개폐함으로써 외기도입공(15)을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용기본체(2)의 층 구성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용기본체(2)는 외층(17)과 내층(13)을 구비한다.
외층(17)은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 등으로 구성된다. 외층(17)은 복수층구성 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리플로우층의 양측을 원소재로 하여 형성된 층 사이에 끼인 구성 이어도 된다. 여기서 리플로우층은 용기의 성형 시에 나온 버(burr)를 재활용하여 사용한 층을 말한다. 또한 외층(17)은 복원성이 높아지도록 내층(13)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층(13)은 용기 외면 측에 설치된 EVOH층(13a)와 EVOH층(13a)의 용기 내면 측에 설치된 내면층(13b)과, EVOH층(13a)과 내면층(13b)의 사이에 설치한 접착층(13c)을 구비한다. EVOH층(13a)을 설치하는 것으로 가스 배리어성 및 외층(17)으로부터의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접착층(13c)은 생략해도 된다.
EVOH층(13a)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 (EVOH) 수지로 이루어진 층이며, 에틸렌과 초산 비닐 공중합물의 가수 분해에 의해 얻을수 있다. EVOH 수지의 에틸렌 함량은 예를 들어 25 ~ 50mol%이고 산소 배리어성의 관점으로부터 32mol% 이하가 바람직하다. 에틸렌 함량의 하한은 특별히 규정되지 않지만 에틸렌 함량이 적을수록 EVOH층(13a)의 유연성이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25mol% 이상이 바람직하다.
내면층(13b)은 적층박리용기(1)의 내용물과 접촉하는 층이며,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 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및 그 혼합물 등의 폴리올레핀으로 이루어지며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층(13c)은 EVOH층(13a)과 내면층(13b)과 접착하는 기능을 가지는 층이며, 예를 들면 상술한 폴리올레핀에 카르복실기를 도입한 산변성 폴리올레핀(예: 무수말레인산 변성폴리에틸렌)을 첨가한 것이나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이다. 접착층(13c)의 예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산변성 폴리에틸렌의 혼합물이다.
2. 제 2 실시형태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하고 경사 억제부가 캡(23)에 설치되어 있는 점이 주요한 차이점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6의 비교예와 마찬가지로 입구부(9)는 돌출부(9f)가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캡(23)의 구성은 도 6의 비교예와는 다르며, 선단부(23h)에 돌출부(23k)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부(23h)에서 캡(23)과 입구부(9) 사이의 간극 G 가 좁아지고 입구부(9)에 대한 캡(23)의 경사가 억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부(23k)가 특허청구범위의 "경사 억제부"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캡(23)을 입구부(9)에 장착한 상태에서 돌출부(23k)가 입구부(9)에 접촉하지 않지만 돌출부(23k)가 입구부(9)에 접촉하도록 구성하여도 된다.
·제 2실시형태에서는 입구부(9)에는 돌출부(9f)가 존재하지 않지만, 입구부(9)에 돌출부(9f)를 설치하고 또한 캡(23)에 돌출부(23k)에 설치해도 된다.
· 밸브 부재(5)는 생략 가능하다. 이 경우 외기도입공(15)을 손가락 등으로 폐쇄한 상태에서 외각(19)을 압축 변형시켜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다.
· 외기도입공(15)은 입구부(9)에 설치해도 된다.
3. 제 3 실시형태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유사하고 내측 주머니(14)에 오목부(16)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 주요한 차이점이다.
여기서, 도 8A ~도 8B 및 도 4B ~도 4C를 이용하여 내측 주머니(14)에 오목부(16)를 설치하는 기술적 의미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B ~도 4C의 적층박리용기의 과제를 설명한다. 도 4B ~도 4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용물의 첫 토출시에는 내측 주머니(14)는 내용물에 의해 팽창되어 내측 주머니(14)가 밸브 부재 (5)의 뚜껑부(5c)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외각(19) 및 내측 주머니(14)를 압축하여 내측 주머니(14)의 내용물을 토출시킨 후 압축력을 해제하면 외각(19)이 자신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뚜껑부(5c)로부터 떨어지려고 한다. 또한 내측 주머니(14)도 자신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려고 하기 때문에 뚜껑부(5c)를 외각(19)에 누르는 방향의 힘이 내측 주머니(14)에 의해 뚜껑부(5c)에 가해진다. 내측 주머니(14)의 강성이 충분히 작은 경우에는 외각(19)과 뚜껑부(5c) 사이에 쉽게 간극이 형성되어 외각(19)이 신속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다. 한편, 내측 주머니(14)의 강성이 커질수록 힘이 커지고 뚜껑부(5c)가 외각(19)에 강하게 눌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외각(19)과 뚜껑부(5c)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기 어렵고 외각(19)의 복원성이 악화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8A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도입공(15)에 대향하는 부위에서 용기본체(2)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된 오목부(16)를 내측 주머니(14)에 설치하여 외기도입공(15)에 대향하는 부위에서 내측 주머니(14)의 표면적이 외기도입공(15)의 개구면적보다 커지도록 하고 있다. 밸브 부재(5)와 오목부(16) 사이에 간극(16s)이 형성되어 있고 밸브 부재(5)와 내측 주머니(14)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밸브 부재(5)가 내측 주머니(14)에 접촉하는 부위에서 내측 주머니(14)가 밸브 부재(5)에 눌리울 때 내측 주머니(14)에 발생하는 장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내측 주머니(14)가 밸브 부재(5)를 외각(19)에 누르는 방향의 힘 F가 도 4B ~도 4C에 나타내는 형태보다 작아져 내용물의 첫 토출 후 외각(19)과 뚜껑부(5c) 사이에 쉽게 간극이 형성되어 외기도입공(15)을 통해 중간 공간(21)에 외기가 신속하게 도입되고 외각(19)이 신속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16)는 용기본체(2)의 내측을 향하여 단면적이 대략 일정한 통부(16a)를 가진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오목부(16)의 형상은 힘 F를 감소시킬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조 할 용기본체(2)에 해당하는 적층 구조를 가지는 용융 상태의 원통형상의 적층 파리손(232)을 압출 장치(231)로부터 압출하여 적층 파리손(232)을 블로우 성형용의 분할 금형(233), (234) 사이에 넣은 상태에서 분할 금형(233),(234)을 닫는다. 분할 금형(233), (234)에는 용기본체(2)에 대응하는 형상의 캐비티 (233a), (234a)가 설치되어 있다. 분할 금형(233)의 캐비티(233a)에는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도입공(15) 을 형성할 예정 위치에 돌기(233b)가 설치되어 있다. 적층 파리손(232)은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각(19)으로 되는 층(19a)과 내측 주머니(14)가 되는 층(14a)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2)의 입구부(9) 측의 개구부에 블로우 노즐(236)을 삽입하고 클램핑을 실시한 상태에서 분할 금형(233), (234)의 캐비티(233a), (234a)에 공기를 불어 넣어 블로우 성형을 실시한다. 이 때 적층 파리손(232)이 캐비티(233a), (234a)의 내면에 눌러진다. 따라서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파리손(232)을 구성하는 층(19a), (14a)에는 돌기(233b)에 따른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9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금형(233), (234)을 열고 블로우 성형된 용기본체(2)를 취출한다.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2)의 외각(19) 및 내측 주머니(14)에는 돌기(233b)에 따른 형상의 오목부(18), (16)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0C ~도 10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8)를 포함하는 영역 A에서 외각(19)을 제거함으로써 외각(19)에 외기도입공(15)을 형성한다. 이 때 내측 주머니(14)의 오목부(16)는 그대로 남겨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기(233b)가 기둥 형상이기 때문에, 오목부(16)에는 용기본체(2)의 내측을 향해 단면적이 대략 일정한 통부(16a)가 형성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외기도입공(15)에 마주하는 부위에서 내측 주머니(14)에 오목부(16)가 형성된 용기본체(2)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도 10D ~도 10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도입공(15) 내에 밸브 부재(5)를 삽입하여 외기도입공(15)에 밸브 부재(5)를 장착한다. 다음 입구부(9)에 캡(23)을 장착하여 도 1A에 나타내는 적층박리용기(1)가 얻어진다.
4. 제 4 실시형태
도 11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 3 실시형태와 유사하고 오목부(16)가 만곡면(16b)을 구비하는 점이 주요한 차이점이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1A ~도 11E는 각각 도 10A ~ E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233b)가 만곡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층(19a), (14a)에는 돌기(233b)에 따른 만곡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도 1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2)의 외각(19) 및 내측 주머니(14)에는 만곡 형상의 오목부(18), (16)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1C ~도 1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8)를 포함하는 영역 A에서 외각(19)을 제거함으로써 외각(19)에 외기도입공(15)을 형성하면 만곡면(16b)을 가지는 오목부(16)가 남겨진다.
다음으로 도 11D ~도 11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도입공(15) 내에 밸브 부재(5)를 삽입하여 외기도입공(15) 에 밸브 부재(5)를 장착한다. 밸브 부재(5)와 오목부(16) 사이에 간극(16s)이 형성되어 있고 밸브 부재(5)와 내측 주머니(14)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도 오목부(16)를 설치함으로써 내측 주머니(14)가 밸브 부재(5)를 외각(19)에 누르는 방향의 힘 F가 도 4B ~도 4C가 나타내는 형상보다 작아지고, 내용물의 첫 토출 후 외각(19)과 뚜껑부(5c) 사이에 쉽게 간극이 형성되어 외기도입공(15)을 통해 중간 공간(21)에 외기가 신속하게 도입되고 외각(19)이 신속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다.
5. 제 5 실시형태
도 1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 4 실시형태와 유사하고 분할 금형(233)이 만곡 형상의 오목부(233c)를 가지고 있는 점이 주요한 차이점이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A ~도 12E는 각각 도 11A ~도 11E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분할 금형(233)이 만곡 형상의 오목부(233c)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층(19a), (14a)은 오목부(233c)에 따라 만곡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2)의 외각(19) 및 내측 주머니(14)에는 만곡 형상의 돌출부(22), (20)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2C ~도 12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22)를 포함하는 영역 A에서 외각(19)을 제거함으로써 외각(19)에 외기도입공(15)을 형성하면 만곡면을 가지는 돌출부(20)가 남겨진다.
다음으로 도 12D ~도 12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도입공(15) 내에 밸브 부재(5)를 삽입하여 외기도입공(15)에 밸브 부재(5)를 장착한다. 이 때 돌출부(20)가 밸브 부재(5)에 의해 밀리기 때문에 반전된 오목부(16)가 생기고 도 12E에 도시된 형상이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도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내측 주머니(14)가 밸브 부재(5)를 외각(19)에 누르는 방향의 힘 F가 감소된다.
6. 제 6 실시형태
도 13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제 4 실시형태와 유사하고, 영역 A는 오목부(18)의 전체를 포함하는 영역인 반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영역 A는 오목부(18)의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인 점이 주요한 차이점이다.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3A ~도 13E는 각각 도 11A ~도 11E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기(233b)가 제 4 실시형태보다 넓은 영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층(19a), (14a)에는 돌기(233b)에 따라 넓은 영역에 걸쳐 오목부가 형성되고 도 1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2)의 외각(19) 및 내측 주머니(14) 는 넓은 영역에 걸쳐 오목부(18), (16)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3C ~도 1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18)의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 A에서 외각(19)을 제거함으로써 외각(19)에 외기도입공(15)을 형성하면 오목부(16)의 일부가 외기도입공(15) 측에 노출된다.
다음으로 도 13D ~도 13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도입공(15) 내에 밸브 부재(5)를 삽입하여 외기도입공(15)에 밸브 부재(5)를 장착한다. 밸브 부재(5)와 오목부(16)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고 밸브 부재(5)와 내측 주머니(14)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도 오목부(16)를 설치함으로써 내측 주머니(14)가 밸브 부재(5)를 외각(19)에 누르는 방향의 힘 F가 도 4B ~도 4C가 나타내는 형상보다 작아지고, 내용물의 첫 토출 후 외각(19)과 뚜껑부(5c) 사이에 쉽게 간극이 형성되어, 외기도입공(15)을 통하여 중간 공간(21)에 외기가 신속하게 도입되고 외각(19)이 신속하게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한다.
7. 제 7 실시형태
도 14 ~도 17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적층박리용기(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적층박리용기(1)는 용기본체(2)를 주체(主體)로 하며, 용기본체(2)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3)와 수용부 (3)로부터 내용물을 토출하는 입구부(4)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부(7a), 공기유통홈(7b) 및 밸브 부재(5)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용기본체(2)에 있어서는 입구부(4)에 숫나사부가 설치되어 있고, 숫나사부에는 암나사를 가지는 캡(30)이 장착된다. 이하 캡(30)의 장착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캡(30)은 용기본체(2)의 입구부(4)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2)의 입구부(4)에 직접 고정된 내부 캡(31)과, 내부 캡(31)의 외주면에 설치된 수나사부(31a)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캡본체(32)와, 체크 밸브(33), 주출구를 갖는 노즐부(34) 및 힌지 등을 통해 상기 주출구(注出口)를 덮는 뚜껑부(도시는 생략)로 구성된다.
내부 캡(31)은, 용기본체(2)의 입구부(4)에 대하여 나사로 고정되었거나 또는 마개에 의해 장착되어 있으며, 입구부(4)를 덮는 천판부(天板部)(31b)를 가지고 있으며, 해당 천판부(31b)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구멍(31c)이 설치되어 있다. 이 원형의 구멍(31c)의 내주면은 캡본체(32)의 마개 부재에 설치된 돌출부의 주면의 원추 형상에 대응하여 위를 향하여 확경하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내부 캡(31)의 천판부(31b)와 용기본체(2)의 입구부(4)의 선단면 사이에 밀봉부재(40)가 개재되고, 용기본체(2)의 입구부(4)는 밀봉부재(40)에 의해 봉인된 상태로 되어 있다. 밀봉부재(40)는 예를 들어, 미리 내부 캡(31)의 천판부(31b)의 아래면에 붙여 두고, 내부 캡(31)을 용기본체(2) 입구부(4)에 장착한 상태에서 초음파를 인가함으로써 입구부(4)에 고정되어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고주파 밀봉 등의 수법에 의해 밀봉부재(40)를 입구부(4)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밀봉부재(40)는 내용물이 충전된 적층박리용기(1)를 밀폐하여 저장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입구부(4)를 봉인하는 것이며, 가스 배리어 성이나 수증기 배리어 성 등 외기 등에 대해 배리어 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밀봉부재(40)는 알루미늄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밀봉부재(40)를, 폴리 프로필렌 층, 알루미늄 층, 폴리 프로필렌 층을 이 순서로 적층한 3 층 구조로 하고 있다. 밀봉부재(40)를 3 층 구조로 하여 밀봉부재(40)를 초음파 용착 등에 의해 용기본체(2)의 입구부(4)를 밀봉할 수 있다.
캡본체(32)는 내주면에 암나사부(32a)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내부 캡(31)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부(31a)에 비틀어 넣어 고정하고 있다. 또한 캡본체(32)에는 내부 캡(31)의 상방 위치에 유로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마개 부재(41)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에 돌출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42)는 밀봉부재를 향해(하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이 끝이 뾰족한 형상 (원추 형상)인 동시에 그 중도 위치에서 마개 부재의 유출 측에 관통하는 내용물 유로(4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6은 이 돌출부(42)를 하방으로부터 본 평면도(즉, 저면도)이며, 본 예의 경우 선단(42b)으로부터 기단부 사이의 원추 형상의 주면의 2 개 부분에 개구하는 형태로 내용물 유로(42a)의 개구부(4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42)에 형성된 내용물 유로(42a)는 마개 부재(41)의 유출 측에 관통하고 있지만 그 유출 측의 개구부(42d)에는 체크 밸브(33)의 밸브 (33a)가 당접하여 개폐 조작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캡본체(32)의 내용물 유출 측에는 상기 체크 밸브(33)를 덮으며 주출구(34a)를 가지는 노즐부(34)가 설치되어 있어 내용물이 이 주출구(34a)로부터 취출된다. 또한, 노즐부(34)의 주출구(34a)를 덮는 힌지 캡이 장착되는데 여기에서 도시는 생략한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캡 설치부는 보존시에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2)의 입구부(4)가 밀봉부재(40)에 의해 밀봉되어 밀폐 상태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내용물의 열화 등이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한편, 개봉 시에는 캡본체(32)를 비틀어 넣어 마개 부재(41)의 중앙부에 형성된 돌출부(42)를 밀봉부재(40)를 향해 전진시켜 그 선단으로 밀봉부재(40)를 돌파함으로써 개봉한다. 따라서 상기 캡본체(32)는 저장 시에는 상기의 캡(31)에 돌출부(42)의 선단이 밀봉부재(40)에 부딪히지 않는 위치까지 비틀어 넣고 개봉 시에 더 비틀어 넣어 개봉 조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저장 시에는 캡본체(32)의 비틀어 넣음이 상기 돌출부(42)의 선단이 밀봉부재(40)에 부딪히지 않는 위치에서 멈추도록 내부 캡(31)의 수나사부(31a)에 스토퍼 부재 등을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두면 보존 시에 캡본체(32)가 비틀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실수로 개봉될 수 없게 된다. 사용 시에는 상기 스토퍼 부재를 제거하고 캡본체(32)를 비틀어 넣으면 된다.
도 17은 밀봉부재(40)의 개봉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개봉 시에는 밀봉부재(40)는 마개 부재(41)에 설치된 돌출부(42) 의 선단부에 의해 돌파되어 개봉된다. 이때 돌출부(42)의 선단이 끝이 뾰족한 형상(원추 형상)이며 또한 내용물 유로(42a)의 개구부(42c)가 돌출부(42)의 외주면의 중도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밀봉부재(40)의 절단 편이 부주의로 상기 개구부(42c)를 막지 않고 유로가 확실하게 확보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42)로 밀봉부재(40)를 개봉한 상태에서 돌출부(42)의 원추 형상의 외주면이 내부 캡(31)의 구멍(31c)의 내주면에 당접한 상태로 된다. 돌출부(42)의 기단부의 지름을 내부 캡(31)의 구멍(31c)의 최대 지름보다 크게 설정해두면, 돌출부(42)의 지름과 내부 캡(31)의 구멍(31c)의 지름의 성형 정밀도가 불충분하여도 확실히 돌출부(42)의 원추 형상의 외주면을 내부 캡(31)의 구멍(31c)의 개구부 변두리에 당접시킬 수 있으며 이 부분의 밀폐성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층박리용기에서는 용기 내로의 공기의 역류는 가능한 피할 것이 요구되는 경우가 많으며 개봉 후에도 개봉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의 밀폐성이 보장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밀봉부재(40)가 개봉된 상태에서는 용기본체(2)의 입구부(4)에 있어서 돌출부(42)에 설치된 내용물 유로(42a)와 노즐부(34)의 주출구(34a)를 통하여 외부와 연통 가능한 상태로 되어 내용물의 주출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외각(11)을 압축하면 용기본체(2)의 내압이 상승하고 내용물 유로(42a)의 개구부(42c)에 당접하여 있던 체크 밸브(33)의 밸브 (33a)가 개구부(42c)로부터 이간하여 내용물 유로(42a)의 개구부(42c)가 개방된다. 그 결과 내용물은 밀봉부재(40)를 돌파하는 돌출부(42)의 내용물 유로(42a)를 지나 노즐부(34)의 주출구(34a)로부터 외부로 주출된다. 외각(11)의 압축을 해제하면 용기본체(2)의 내압이 낮아져 내용물 유로(42a)의 개구부(42c)에 체크 밸브(33)의 밸브(33a)가 당접하여 밀폐 상태로 된다.
1 : 적층박리용기, 2 : 용기본체, 3 : 수용부, 4 : 입구부분, 5 : 밸브 부재, 5a : 축부, 5b : 계지부, 5c : 뚜껑부, 5e : 유통로 7 : 수용부, 7a : 밸브부재 설치오목부, 7b : 공기유통홈, 9 : 입구부분, 9a : 당접부, 9b : 확경부, 9c : 수축부, 9d : 계합부 , 9e : 윗벽, 9f : 돌출부, 9g : 개구부, 10 : 지지구, 11 : 외각, 13 : 내층, 13a : EVOH층, 13b : 내면층, 13c : 접착층, 14 : 내측 주머니, 14a : 층, 15 : 외기도입공, 16 : 오목부, 16a : 통부, 16b : 만곡면, 16s : 간극, 17 : 외층, 18 : 오목부, 19 : 외각, 19a : 층, 20 : 돌출부, 21 : 중간 공간, 22 : 돌출부, 23 : 캡, 23a : 캡본체, 23b : 토출구, 23c : 계합부, 23d : 이너링, 23e : 체크 밸브, 23f : 통부, 23g : 유통로, 23h : 선단부, 23i : 캡 커버, 23j : 연결부, 23k : 돌출부, 23t : 상단, 30 : 캡, 31 : 내부 캡, 31a : 수나사부, 31b : 천판부, 31c : 구멍, 32 : 캡본체, 32a : 암나사부, 33 : 체크 밸브, 33a : 밸브, 34 : 노즐부, 34a : 주출구, 40 : 밀봉부재, 41 : 마개 부재, 42 : 돌출부, 42a : 내용물 유로, 42b : 선단, 42c : 개구부, 42d : 개구부, 231 : 압출 장치, 232 : 적층 파리손, 233 : 분할 금형, 233a : 캐비티, 233b : 돌기, 233c : 오목부, 234 : 분할 금형, 234a : 캐비티, 236 : 블로우 노즐

Claims (17)

  1.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에 장착되는 타전식 캡을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이며,
    상기 용기본체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는 개구부를 가지는 입구부를 구비하고, 또한 상기 수용부 및 상기 입구부가 외층과 내층을 구비하고, 상기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층에 의해 구성되는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구부는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입구부측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캡은 상기 캡의 내주면을 따라 설치된 캡측 계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구부측 계합부와 상기 캡측 계합부는 상기 캡이 상기 입구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계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캡과 상기 입구부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캡이 상기 입구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캡측 계합부보다 상기 개구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상기 입구부와 상기 캡 사이의 간극을 좁게 하여 상기 입구부에 대한 상기 캡의 경사를 억제하는 경사 억제부가 설치되어 있는 적층박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억제부는 상기 입구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입구부측 돌출부인 적층박리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부측 계합부보다 상기 수용부 측에 상기 입구부의 내측으로 수축하는 수축부가 설치되고,
    상기 입구부측 돌출부는 상기 수축부의 윗벽과 상기 입구부측 계합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적층박리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억제부는 상기 캡의 내주면에 설치된 캡측 돌출부인 적층박리용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층과 상기 내층 사이의 중간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외기도입공이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어 있는 적층박리용기.
  6. 외각과 내측 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는 용기본체를 구비한 적층박리용기이며,
    상기 외각은 상기 용기본체의 외부 공간에 연통하는 외기도입공을 구비하고,
    상기 내측 주머니는 상기 외기도입공에 마주하는 부위의 표면적이 상기 외기도입공의 개구면적보다 큰 적층박리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주머니는 상기 외기도입공에 대향하는 부위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된 오목부를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을 향해 단면적이 대략 일정한 통부를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된 만곡면을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상기 내용물을 배출하는 입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기도입공은 상기 수용부에 설치되는 적층박리용기.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도입공에는 밸브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외기도입공의 변두리와 상기 밸브 부재 사이의 간극을 상기 밸브 부재의 이동에 의해 개폐함으로써 상기 외기도입공을 개폐하도록 구성된 적층박리용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외기도입공에 삽입된 축부와, 상기 축부의 상기 중간 공간 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축부보다 단면적이 큰 뚜껑부와, 상기 축부의 상기 외부 공간 측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중간 공간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계지부를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
  13. 용융 상태의 적층 파리손을 블로우 성형하는 것에 의해 서로 박리 가능한 외각과 내측 주머니를 가지고 또한 상기 외각 및 상기 내측 주머니에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가지는 용기본체를 제조하고,
    상기 오목부 또는 상기 돌출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외각에 외기도입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적층박리용기의 제조 방법.
  14. 외각과 내측 주머니를 가지고 내측 주머니에 수용되는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상기 내측 주머니가 수축하는 적층박리용기이며,
    입구부가 밀봉부재로 밀봉되는 동시에 입구에 체크 밸브를 가지는 캡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캡은 밀봉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된 돌출부를 가지는 마개 부재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는 선단이 끝이 뾰족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그 중도 위치로부터 마개 부재의 유출 측에 관통하는 내용물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캡을 비틀어 넣음으로써 상기 마개 부재의 돌출부가 상기 밀봉부를 찢어 개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박리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주위가 상기 입구부와 내부 캡에 끼인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내부 캡은 상기 돌출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구멍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을 비틀어 넣을 때 끝이 뾰족한 형상의 돌출부의 주면이 상기 내부 캡의 구멍부의 변두리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박리용기.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내용물 유로의 유출 측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박리용기.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부재는 폴리 프로필렌 층, 알루미늄 층, 폴리 프로필렌 층이 차례로 적층된 다층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박리용기
KR1020187013414A 2015-12-03 2016-12-02 적층박리용기 KR201800893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36867A JP6823245B2 (ja) 2015-12-03 2015-12-03 積層剥離容器
JPJP-P-2015-236867 2015-12-03
JPJP-P-2016-041243 2016-03-03
JP2016041243A JP2017154802A (ja) 2016-03-03 2016-03-03 積層剥離容器
JPJP-P-2016-052673 2016-03-16
JP2016052673A JP6775132B2 (ja) 2016-03-16 2016-03-16 二重容器
PCT/JP2016/085883 WO2017094880A1 (ja) 2015-12-03 2016-12-02 積層剥離容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9396A true KR20180089396A (ko) 2018-08-08

Family

ID=5879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414A KR20180089396A (ko) 2015-12-03 2016-12-02 적층박리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22135B2 (ko)
EP (1) EP3385181B1 (ko)
KR (1) KR20180089396A (ko)
CN (1) CN108367830B (ko)
TW (1) TWI704090B (ko)
WO (1) WO201709488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4880A1 (ja) * 2015-12-03 2017-06-08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JP7092980B2 (ja) * 2017-01-30 2022-06-29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積層剥離容器
EP3597562B1 (en) * 2017-03-15 2021-10-13 Kyoraku Co., Ltd. Delamination container
JP7004898B2 (ja) 2017-08-21 2022-02-10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及び積層剥離容器のエアリーク検査方法
JP7231818B2 (ja) * 2017-12-21 2023-03-02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積層剥離容器
USD863590S1 (en) * 2018-04-17 2019-10-15 Jbl Radical Innovations, Llc Dispensing vial
WO2020142698A1 (en) * 2019-01-05 2020-07-09 Foremost Technologies and Products, Inc. High pressure processing of foods and supplements
CN109760938B (zh) * 2019-01-29 2023-09-19 中山市华宝勒生活用品有限公司 一种可调节倒式定量出液容器
CN114007756B (zh) * 2019-06-14 2023-08-22 株式会社大造 排出装置
US11613397B2 (en) 2019-09-12 2023-03-28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Ring pull cap rim for glass containers
US11873159B2 (en) * 2020-08-19 2024-01-16 Mark Steele Package having a hingeable valve mechanism
CN114834771A (zh) * 2021-02-02 2022-08-02 塞舌尔商日勤包装科技股份有限公司 积层剥离容器
CN114955209A (zh) * 2021-02-25 2022-08-30 叙事有限公司 具有可拆卸的开口封闭件及密封装置的袋式容器
US11591151B2 (en) 2021-07-02 2023-02-28 Owens-Brockway Glass Container Inc. Pressure relief blow-out plugs and related packag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7727A (ja) 1991-02-05 1992-09-24 Keisuke Ito 多層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12749A (ja) 1993-08-23 1995-05-02 Yoshino Kogyosho Co Ltd チューブ容器
JP3650175B2 (ja) 1995-09-13 2005-05-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013035557A (ja) 2011-08-05 2013-02-21 Kikkoman Corp 吐出容器
WO2015080015A1 (ja) 2013-11-27 2015-06-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そのピンホールチェック方法、及びその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144Y2 (ko) 1986-05-23 1992-07-21
JPH0245967A (ja) * 1988-08-08 1990-02-15 Hitachi Cable Ltd 半導体装置用リー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H069977Y2 (ja) 1988-09-27 1994-03-1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クリーム状物吐出容器
US5301838A (en) * 1991-01-23 1994-04-12 Continental Pet Technologies, Inc. Multilayer bottle with separable inner laye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JP2557246Y2 (ja) 1991-03-29 1997-12-10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ボトル
DE69634313T2 (de) 1995-03-10 2005-12-22 Yoshino Kogyosho Co., Ltd. Behälter aus laminiertem leicht trennbarem Material
JP4535259B2 (ja) * 2004-09-30 2010-09-0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ブロー成形容器
JP4800117B2 (ja) 2006-06-05 2011-10-26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ボトル
WO2008117866A1 (ja) * 2007-03-28 2008-10-02 Fujimori Kogyo Co., Ltd. シー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インナーシール付き容器の製造方法、インナーシール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キャップ付き容器のシール方法
CN201217541Y (zh) 2008-05-12 2009-04-08 广州华根包装产品有限公司 一种改进的密封瓶
JP5288175B2 (ja) 2008-11-28 2013-09-1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合成樹脂製二重容器
JP5477721B2 (ja) * 2010-09-30 2014-04-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付き容器
KR20120058706A (ko) * 2010-11-30 2012-06-08 이정민 이종물질 배출장치
JP5830333B2 (ja) 2011-09-29 2015-12-0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JP5771496B2 (ja) 2011-09-29 2015-09-0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
CH708556A2 (de) * 2013-09-05 2015-03-13 Deltona Innovations Ag Selbstöffnender Kunststoffverschluss.
JP6780911B2 (ja) 2013-11-27 2020-11-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KR102136665B1 (ko) 2013-11-27 2020-07-22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적층박리용기
CN105764797B (zh) 2013-11-27 2018-06-08 京洛株式会社 层叠剥离容器、其针孔检查方法、及其加工方法
CN105764798B (zh) * 2013-11-27 2018-07-10 京洛株式会社 层叠剥离容器
JP6249220B2 (ja) 2014-01-14 2017-12-20 株式会社型システム 流量調整でき、液垂れしない注出ノズル付き容器
KR102183292B1 (ko) * 2014-05-14 2020-11-26 도쿄 라이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JP6421458B2 (ja) * 2014-05-29 2018-11-1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WO2016056385A1 (ja) * 2014-10-07 2016-04-1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の製造方法、積層剥離容器のエアリーク検査方法
JP6761159B2 (ja) * 2014-11-19 2020-09-23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KR101969919B1 (ko) * 2015-01-23 2019-04-17 교라꾸 가부시끼가이샤 적층박리용기
JP6489851B2 (ja) * 2015-01-30 2019-03-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6548440B2 (ja) * 2015-04-15 2019-07-24 東京ライト工業株式会社 容器及びキャップ
WO2017094880A1 (ja) * 2015-12-03 2017-06-08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
US10752395B2 (en) * 2016-04-15 2020-08-25 Kyoraku Co., Ltd. Delaminatable container
JP6559097B2 (ja) * 2016-06-30 2019-08-14 株式会社クボタ エンジンのオイル冷却構造
JP7092980B2 (ja) * 2017-01-30 2022-06-29 キョーラク株式会社 キャップ及び積層剥離容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7727A (ja) 1991-02-05 1992-09-24 Keisuke Ito 多層成形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112749A (ja) 1993-08-23 1995-05-02 Yoshino Kogyosho Co Ltd チューブ容器
JP3650175B2 (ja) 1995-09-13 2005-05-18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013035557A (ja) 2011-08-05 2013-02-21 Kikkoman Corp 吐出容器
WO2015080015A1 (ja) 2013-11-27 2015-06-04 キョーラク株式会社 積層剥離容器、そのピンホールチェック方法、及びその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22790A (zh) 2017-07-01
US20180370673A1 (en) 2018-12-27
EP3385181B1 (en) 2020-05-27
CN108367830B (zh) 2022-12-23
WO2017094880A1 (ja) 2017-06-08
EP3385181A4 (en) 2019-03-13
TWI704090B (zh) 2020-09-11
EP3385181A1 (en) 2018-10-10
CN108367830A (zh) 2018-08-03
US10822135B2 (en)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9396A (ko) 적층박리용기
JP5477721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KR101995407B1 (ko) 적층박리용기 및 적층박리용기로의 캡의 장착 방법
JP6710462B2 (ja) 吐出容器
CN114834719B (zh) 层叠剥离容器
US9676531B2 (en) Membrane, and a neck including such membrane
TWI780286B (zh) 層疊剝離容器
JP2013014341A (ja) 吐出容器
JP2019116308A (ja) 積層剥離容器
JP2007320644A (ja) 合成樹脂製ボトル
JP6775132B2 (ja) 二重容器
CN110831864B (zh) 层叠剥离容器及层叠剥离容器的漏气检查方法
JP6663554B2 (ja) 積層剥離容器
JP2005153950A (ja) スリット式逆止弁付き容器
JP5918513B2 (ja) 口栓および、これを備えた柔軟な容れ物
JP6651416B2 (ja) 二重容器
JP7104875B2 (ja) 二重容器
JP2020023352A (ja) 二重容器
CN112770978B (zh) 带盖容器
JP4480475B2 (ja) キャップ付き容器
JP7089156B2 (ja) 積層剥離容器
JP2004231273A (ja) 合成樹脂製容器
JP2021020698A (ja) 二重容器
JP2001180709A (ja) 容器口部及びスクリュー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