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251A - 크롤러 주행 장치 - Google Patents

크롤러 주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251A
KR20120080251A KR1020127014547A KR20127014547A KR20120080251A KR 20120080251 A KR20120080251 A KR 20120080251A KR 1020127014547 A KR1020127014547 A KR 1020127014547A KR 20127014547 A KR20127014547 A KR 20127014547A KR 20120080251 A KR20120080251 A KR 20120080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drive
crawler
drive sprocket
shape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3906B1 (ko
Inventor
유따까 아비꼬
가즈마 이시하라
모또나리 이나오까
다까시 고바야시
세쯔오 후지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120080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2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driving sprockets
    • B62D55/125Fina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53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having elements interconnected by one or more cables or lik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2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driving spr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4Tracks of continuously flexible type, e.g. rubber belts
    • B62D55/244Moulded in one piece, with either smooth surfaces or surfaces having projections, e.g. incorporating reinforc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크롤러 벨트(6)의 내주면측에 구동 스프로킷의 구동 갈고리체(31)와 결합하는 결합용 오목부(62)를 구비하고, 이 결합용 오목부(62)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단부면(62a)이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고, 구동 스프로킷은 좌우의 코어 돌기(63)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원반 형상 부재(30)의 외주측에 구동 갈고리체(31)를 구비하고, 원반 형상 부재(30)의 둘레 방향보다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동 갈고리체(31)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31a)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크롤러 주행 장치 {CRAWLER TRAVELING DEVICE}
본 발명은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벨트 본체에 코어(cored bar)를 벨트 둘레 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매설함과 함께, 각 코어의 벨트 폭 방향 중간 부위로부터 벨트 내주면측에 회전륜 안내용의 좌우 한 쌍의 코어 돌기를 돌출 설치하고 있는 크롤러 벨트와, 그 크롤러 벨트에 벨트 둘레 방향으로의 회전 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스프로킷을 구비한 크롤러 주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서는, 크롤러 벨트의 둘레 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매설된 코어끼리의 사이에서의 고무제 벨트 본체 부분에, 벨트 둘레 방향보다 벨트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결합용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크롤러 벨트를 구동하는 구동 스프로킷에는, 상기 결합용 오목부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동 갈고리체를 구비시키고, 구동 갈고리체와 결합용 오목부의 결합 개소에서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크롤러 벨트의 고무제 벨트 본체에 대하여 구동 갈고리체의 큰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한 구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상기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서는, 크롤러 벨트의 벨트 본체 부분에 형성된 결합용 오목부와, 그 결합용 오목부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동 갈고리체를 구비한 구동 스프로킷을 사용하여, 구동 갈고리체와 결합용 오목부의 접촉 면적을 크게 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이와 같이, 벨트 본체 부분에 형성된 결합용 오목부에, 그 결합용 오목부의 길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동 갈고리체를 결합시켜서 동력 전달을 행하는 구조에서는, 크롤러 벨트와 구동 스프로킷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기체 진행 방향으로의 좌우 방향이 경사진 노면인 경우 등에, 크롤러 벨트와 구동 스프로킷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고, 벨트 본체 부분에 형성된 결합용 오목부와 구동 갈고리체가 잘 결합되지 않는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회피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구동 갈고리체의 좌우 방향폭보다 결합용 오목부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치수를 충분히 여유가 있는 크기로 설정하여 결합하기 쉽게 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그와 같이 결합용 오목부의 벨트 폭 방향 치수를 크게 하면, 구동 갈고리체가 결합용 오목부 내에서 벨트 폭 방향에서의 어느 위치에서 결합할 지가 안정되지 않아, 결국 구동 갈고리체가 결합용 오목부의 일단부측 근방에서 빠지기 쉬워지거나, 쓸모없이 길어지는 결합용 오목부의 존재에 의해 크롤러 벨트의 강도가 저감한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78796호 공보(단락 [0031], [0041], 도 1, 도 2, 도 3, 도 5, 도 6)
본 발명의 목적은, 크롤러 벨트의 결합용 오목부와 구동 스프로킷의 구동 갈고리체의 결합을 행하기 쉽고, 또한 크롤러 벨트와 구동 스프로킷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되는 크롤러 주행 장치는, 다음과 같은 구성 상의 특징 및 작용 효과를 갖는다.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벨트 본체에 코어를 벨트 둘레 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매설함과 함께, 각 코어의 벨트 폭 방향 중간 부위로부터 벨트 내주면측에 회전륜 안내용의 좌우 한 쌍의 코어 돌기를 돌출 설치하고 있는 크롤러 벨트와, 그 크롤러 벨트에 벨트 둘레 방향으로의 회전 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스프로킷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크롤러 벨트의 내주면측에 구동 스프로킷의 구동 갈고리체와 결합하는 결합용 오목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결합용 오목부는 벨트 둘레 방향으로의 코어끼리의 사이에 위치하여 벨트 둘레 방향보다 벨트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또한 그 벨트 폭 방향으로의 단부면이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 스프로킷은 원반 형상 부재의 둘레 방향보다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동 갈고리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구동 갈고리체는, 상기 크롤러 벨트의 상기 좌우의 코어 돌기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원반 형상 부재의 외주측에, 둘레 방향으로의 소정 간격마다 형성된 결합용 오목부에 결합 삽입하고, 이 구동 갈고리체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결합용 오목부와 구동 갈고리체의 결합 삽입 상태에서의 접촉면이 벨트 폭 방향에서 길어지고 접촉 면적을 증대하여 접촉면에서의 면압을 비교적 낮게 유지하면서 큰 구동력에서의 크롤러 벨트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결합용 오목부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길이와 구동 갈고리체의 좌우 방향으로의 길이가 서로 동일하여도, 서로가 맞물리기 시작하는 시점에서는, 구동 갈고리체의 선단부의 폭이 좁은 개소가 결합용 오목부의 입구측의 폭이 넓은 개소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맞물림 개시 개소에서의 양자의 동일 방향 치수에 비교적 큰 차가 있어, 서로 맞물림이 쉽게 되어 있다. 결합용 오목부에 구동 갈고리체가 완전히 감입(嵌入)한 맞물림 완료 상태에서는, 맞물림 개시 시점보다 상기 동일 방향 치수의 차가 적어지고, 결합용 오목부와 구동 갈고리체의 상기 동일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된 상태에서의 안정된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결합용 오목부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길이를 구동 갈고리체의 동일 방향 길이보다 극단적으로 크게 형성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크롤러 벨트의 강도를 손상시키는 것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결합용 오목부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중심 위치와 구동 갈고리체의 좌우 방향으로의 중심 위치가 동일 방향에서 서로 위치가 어긋난 상태에서 맞물림을 개시한 경우에, 결합용 오목부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단부면과 구동 갈고리체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이 테이퍼면에 가이드되는 상태에서 양자의 중심 위치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안내되면서 맞물림을 깊게 해서 결합하게 되어, 소기대로 결합시키기 쉬워지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로는, 상기 결합용 오목부의 벨트 폭 방향의 단부면인 테이퍼면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구동 갈고리체의 좌우 방향의 단부면인 테이퍼면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와 동일한 경사 각도이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결합용 오목부측의 벨트 폭 방향의 단부면과 구동 갈고리체측의 좌우 방향의 단부면이 맞닿은 상태에서는, 서로가 동일한 경사의 테이퍼면끼리가 전체적으로 접촉하고, 접촉 개소의 전체의 면압이 거의 균일한 상태에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 단부면 개소에서의 접촉 부분의 면적을 최대한 크게 확보하고, 또한 거의 균일한 면압으로 함으로써, 이 개소에서의 면압도 비교적 낮게 할 수 있어, 경사지 등에서 구동 갈고리체측으로부터 작용하는 좌우 방향으로의 부하를 이에 대향하는 결합용 오목부의 단부면에서 받을 때, 최대한 면압을 낮게 유지하여 맞닿음 개소에서의 크롤러 벨트의 손모를 경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로는,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원반 형상 부재는 좌우의 코어 돌기 사이에 진입하는 외주측 부분의 좌우 방향으로의 폭이, 좌우의 코어 돌기의 내단부측의 간격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구동 갈고리체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이 결합용 오목부의 단부면에 맞닿은 후에, 상기 원반 형상 부재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이 코어 돌기의 내단부측의 면에 맞닿도록, 상기 원반 형상 부재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과 구동 갈고리체의 상대적인 좌우 방향 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크롤러 벨트의 결합용 오목부에 있어서의 벨트 폭 방향의 단부면과, 구동 스프로킷의 구동 갈고리체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부면이 맞닿을 뿐만 아니라, 크롤러 벨트의 코어 돌기의 내측의 면과 상기 원반 형상 부재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의 맞닿음에 의해서도, 구동 스프로킷에 대한 크롤러 벨트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크롤러 벨트의 결합용 오목부에 있어서의 벨트 폭 방향의 단부면과 구동 스프로킷의 구동 갈고리체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단부면의 맞닿음에 의해서만 크롤러 벨트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경우에 비해, 한층더 확실하게 크롤러 벨트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구동 스프로킷에 대한 크롤러 벨트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 우선 구동 갈고리체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이 크롤러 벨트의 결합용 오목부의 단부면에 맞닿고, 결합용 오목부의 단부면이 압축되어 탄성 변형한 후에 원반 형상 부재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이 코어 돌기의 내단부측의 면에 맞닿는다. 이러한 단계적으로 맞닿도록 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결합용 오목부의 탄성 변형을 수반하지 않고 금속제 원반 형상 부재의 단부면과 코어 돌기의 내단부측의 면이 직접 맞닿는 구조에 비해 소음의 크기를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동 갈고리체의 단부면과 맞닿아 압축 변형하게 하는 결합용 오목부는 크롤러 벨트의 코어 돌기가 원반 형상 부재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에 맞닿고, 그 이상의 크롤러 벨트와 구동 스프로킷의 상대 이동을 멈추게 함으로써, 결합용 오목부와 구동 갈고리체의 상대 이동도 규제되고, 결합용 오목부를 탄성 변형시키는 방향으로의 구동 갈고리체측으로부터의 가압력이 소멸하므로, 그 이상으로 압축 변형하게 하지 않으며, 이 점에서도 결합용 오목부의 손모 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합한 실시 형태 중 하나로는, 상기 크롤러 벨트의 내주면측에 맞닿도록 벨트 둘레 방향의 전후로 병치된 복수개의 회전륜과, 그 복수개의 회전륜의 전방측 위치와 후방측 위치의 각각에 배치된 아이들러 휠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의 아이들러 휠의 중간 위치에, 또한 상기 회전륜의 상방측 위치에 구동 스프로킷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크롤러 주행 장치는 구동 스프로킷을 전후의 아이들러 휠의 중간 위치에, 또한 상기 회전륜의 상방측 위치에 설치한, 소위 세미크롤러형의 크롤러 주행 장치에 적합화할 수 있다.
도 1은 트랙터의 전체 측면도.
도 2는 크롤러 주행 장치의 전체 측면도.
도 3은 크롤러 벨트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 있어서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크롤러 벨트의 벨트 둘레 방향에서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코어 돌기 부분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7은 구동 스프로킷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구동 스프로킷의 외주 부분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IX-IX선 단면도.
도 10은 도 8에 있어서의 화살표도.
도 11은 구동 갈고리체와 결합용 오목부 및 코어 돌기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2는 빠짐 방지 가이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
도 13은 크롤러 벨트에 대한 관련 부재의 작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로, (a)는 구동 스프로킷과의 관계를 도시하고, (b)는 아이들러 휠과의 관계를 도시하고, (c)는 빠짐 방지 가이드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빠짐 방지 가이드와 코어 돌기의 근접 규제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로, (a)는 기준 자세, (b)는 최대 근접 자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아이들러 휠과 크롤러 벨트의 맞닿은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16은 구동 갈고리체와 결합용 오목부 및 코어 돌기의 관계를 도시하는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를 도면의 기재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트랙터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크롤러 주행 장치(2)를 기체 후방부측에 설치한 세미크롤러형 트랙터를 도시한 것이다. 이 세미크롤러형 트랙터는 4륜 구동형 트랙터를 세미크롤러형으로 사양 변경한 것이며, 캐빈이 딸린 트랙터 본기(1)의 전방부에 조향 가능한 좌우 한 쌍의 전륜(10)을 구비함과 함께, 기체 후방부에 주추진 장치로서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2)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체 후방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3점 링크 기구를 개재하여 경운 장치나 수확 장치, 또는 각종 중간 관리용 작업 장치를 연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크롤러 주행 장치]
도 1,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크롤러 주행 장치(2)는 트랙터 본기(1)에 있어서의 후방부 미션 케이스(11)에 후륜 구동용으로서 구비된 후차축(12)에 연결한 직경이 큰 구동 스프로킷(3)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동 스프로킷(3)과, 트랙 프레임(20)의 전후에 구비된 아이들러 휠(4, 4), 및 트랙 프레임(20)의 길이 방향으로 병렬 배치된 복수의 회전륜(5)에 걸쳐서 크롤러 벨트(6)를 권회 장설(張設)하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3)이 전후의 아이들러 휠(4, 4)의 중간 위치에, 또한 상기 회전륜(5)의 상방측 개소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크롤러 주행 장치(2)의 좌우 방향의 트레드는, 밭으로 쓰는 땅에 있어서의 이랑 사이를 주행하기 위해 전륜(10)의 트레드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륜(5)은 전후 방향으로 3개가 병설되고, 최전단부측의 회전륜(5)은 트랙 프레임(20)에 대하여 고정 브래킷(21)을 개재하여 위치 고정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그의 후방측의 2개의 회전륜(5, 5)은 상기 트랙 프레임(20)에 장착된 지지 브래킷(22)에 대하여 중간부를 횡축심(x) 둘레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피벗 부착된 천칭 형상 부재(23)의 양 단부측에 할당 배치되어 있고, 시소 요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각 회전륜(5)과 크롤러 벨트(6)가 벨트 횡폭 방향으로 소정의 위치 관계를 유지하고, 또한 회전륜(5)으로부터 크롤러 벨트(6)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빠짐 방지 가이드(7)가 전후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전방측의 빠짐 방지 가이드(7)는 최전단부의 회전륜(5)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 브래킷(21)의 하단부측에 연속 설치되어 있고, 후방측의 빠짐 방지 가이드(7)는 천칭 형상 부재(23)의 하단부측에서, 최후단부 위치의 회전륜(5)의 전후에 걸치는 상태에서 연속 설치되어 있다.
[크롤러 벨트]
상기 크롤러 벨트(6)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이 크롤러 벨트(6)는 고무재로 무단 띠 형상으로 성형된 벨트 본체(60)에 코어(61)가 벨트 둘레 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매설되어 있음과 함께, 각 코어(61) 사이에서의 벨트 내주면측으로, 구동 스프로킷(3)의 구동 갈고리체(31)가 결합 삽입하여 크롤러 벨트(6)측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결합용 오목부(6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용 오목부(62)는 도 5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 둘레 방향으로의 코어(61)끼리의 사이에 위치하고, 또한 벨트 둘레 방향보다 벨트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결합용 오목부(62)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양 단부측의 단부면(62a)은,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롤러 벨트(6)가 수평면 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그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아닌, 소정의 벨트 경사 각도 β(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에 상당)를 갖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벨트 경사 각도 β를 갖는 경사면인 단부면(62a)이 벨트 폭 방향의 양 단부측에 형성된 결합용 오목부(62)는, 그의 좌우 양측의 단부면(62a)에 의해 내측(도면 중 하방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코어(61)는 벨트 폭 방향 중간 부위로부터 벨트 내주면측을 향하여 회전륜 안내용의 좌우 한 쌍의 코어 돌기(63)가 돌출 설치되고, 이 코어 돌기(63) 사이를 구동 스프로킷(3) 및 전후의 아이들러 휠(4, 4)이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각 코어 돌기(63)의 횡외측 개소에 위치하는 벨트 본체(60)의 내주면에는 회전륜(5)이 회전 운동 이동하는 편평한 회전륜 궤도면(64)이 형성됨과 함께, 벨트 본체(60)의 외주면측에는, 벨트 둘레 방향에서 상기 결합용 오목부(62)와 표리에서 중복하는 위치에, 코어 돌기(63) 부분을 제외한 벨트 본체(60)의 두께보다 두꺼운 추진 러그(65)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어(61)와 상기 결합용 오목부(62) 사이에서의 벨트 본체(60)의 내주면측에는, 결합용 오목부(62)에 결합 삽입한 구동 스프로킷(3)의 구동 갈고리체(31)의 구동력을 코어(61)에 전달하기 위한 수압용 블록부(66)가 설치되어 있다. 즉, 결합용 오목부(62)에 진입한 금속제 구동 갈고리체(31)에 의해 고무제 수압용 블록부(66)가 압축 작용을 받으면서 금속제 코어(61)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구동 갈고리체(31)와 코어(61)의 금속끼리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여 소음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압용 블록부(66)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수압용 블록부(66)의 내주면측에 아이들러 휠(4)이 접촉한 상태에서, 아이들러 휠(4)의 외주면과 코어(61)의 내주면 사이에, 아이들러 휠(4)과 코어(61)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하기 위한 소정의 간극(S3)을 형성하도록, 코어(61)의 내주면보다 벨트 내주면측으로 돌출시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어 돌기(63)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61)의 일부에 일체 형성된 벨트 내주면측으로 돌출된 금속제 돌기 부분(61a)을, 벨트 본체(60)를 구성하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산형 돌기부(67)로 덮음으로써 외형 형상이 거의 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코어 돌기(63)는, 도 4에 도시하는 벨트 폭 방향으로도, 도 5에 도시하는 벨트 둘레 방향으로도, 단면에서 보아 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어 돌기(63)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내방측을 향하는 면이, 아이들러 휠(4)이나 빠짐 방지 가이드(7)에 대한 안내면(C)이 되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산 형상의 코어 돌기(63)는 그의 정상부(63a)가 벨트 둘레 방향을 따르는 선과 그 선에 직교하도록 내측을 향하고 있는 선으로 평면에서 보아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산형 돌기부(67)의 상기 안내면(C)에 있어서의 상기 정상부(63a) 부근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내측에 위치하는 개소에 오목부(63b)를 구비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동 스프로킷]
상기 구동 스프로킷(3)은 도 2 및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후차축(12)에 연결한 직경이 큰 원반 형상 부재(30)와, 그 원반 형상 부재(30)의 외주연보다 직경 방향의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구동 갈고리체(31)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원반 형상 부재(30)는 구동축인 후차축(12)에 고정된 허브판(13)과, 그 허브판(13)의 외주측에 볼트 연결된 원환상의 외주 부재(14)(외주측 부분에 상당)로 구성되어 있고, 외주 부재(14)는 둘레 방향으로 3등분된 부분 원호 형상의 분할 원호 형상 부재(14a, 14b, 14c)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주 부재(14)는 반경 방향 내방측의 허브판(13)에 대한 장착 개소(15) 부근보다 반경 방향에서 외측의 외주 단부 가장자리(16) 부근이 두껍게 되어 있고, 이 외주 단부 가장자리(16)의 부근이 환상의 리브부(32)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외주 부재(14)의 외주 단부 가장자리(16)의 반경 방향으로의 외방측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상기 리브부(32)보다 좌우 방향으로의 외측으로 돌출시켜서 상기 구동 갈고리체(31)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리브부(32)의 좌우 방향으로의 두께 d1은 크롤러 벨트(6)의 좌우의 코어 돌기(63)끼리의 사이에서의 대향 간격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어 돌기(63)나 상기 구동 갈고리체(31)와의 상관에 의해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즉,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갈고리체(31)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31a)이 결합용 오목부(62)의 단부면(62a)에 맞닿은 후에, 상기 결합용 오목부(62)의 상기 단부면(62a)이 구동 갈고리체(31)의 가압력을 받아,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느 정도의 압축량 δ만큼 변형되면, 상기 리브부(32)의 단부 가장자리(32a)가 코어 돌기(63)의 내단부측의 면(63c)에 맞닿는다.
이와 같이, 구동 갈고리체(31)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31a)이 결합용 오목부(62)의 단부면(62a)에 맞닿아 어느 정도 탄성 변형한 후에, 상기 원반 형상 부재(30)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에 상당하는 리브부(32)의 좌우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32a)가 코어 돌기(63)의 내단부측의 면(63c)에 맞닿도록, 상기 리브부(32)의 좌우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32a)와 구동 갈고리체(31)의 상대적인 좌우 방향 위치가 결정되고 있다.
즉,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갈고리체(31)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31a)과 결합용 오목부(62)의 단부면(62a)이 맞닿는 면의 일부를 편의상 맞닿음 개소 P1로 한 경우에, 도 1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브부(32)의 단부 가장자리(32a)와 코어 돌기(63)의 내단부측의 면(63c)의 맞닿음 개소 P2가 맞닿을 때까지의 동안에 타임 래그를 발생하도록, 상기 구동 갈고리체(31)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31a)과 상기 리브부(32)의 좌우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32a)의 상대적인 좌우 방향 위치가 결정되고 있다.
즉, 이 위치 관계를 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구동 갈고리체(31)의 좌우 방향으로의 중심 위치가 벨트 폭 방향에서 결합용 오목부(62)의 중심선 CL 위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구동 갈고리체(31)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31a)과 결합용 오목부(62)의 단부면(62a)의 맞닿음 개소 P1, 및 상기 리브부(32)의 단부 가장자리(32a)와 코어 돌기(63)의 내단부측의 면(63c)의 맞닿음 개소 P2는 각각 맞닿아 있지 않은 상태에 있다.
이때, 맞닿음 개소 P1 중, 상기 중심선(CL)으로부터 결합용 오목부(62)의 단부면(62a)의 맞닿음 개소 P1까지의 거리 LP1-1과, 상기 중심선(CL)으로부터 구동 갈고리체(31)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31a)의 맞닿음 개소 P1까지의 거리 LP1-2 사이에 제1 간극 LP1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맞닿음 개소 P2 중, 상기 중심선(CL)으로부터 코어 돌기(63)의 내단부측의 면(63c)의 맞닿음 개소 P2까지의 거리 LP2-1과, 상기 중심선(CL)으로부터 상기 리브부(32)의 단부 가장자리(32a)의 맞닿음 개소 P2까지의 거리 LP2-2 사이에 제2 간극 LP2가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간극 LP1보다 제2 간극 LP2를, 상기 결합용 오목부(62)의 상기 단부면(62a)이 구동 갈고리체(31)의 가압력을 받아서 압축 변형했을 때의 압축량 δ에 상당하는 양만큼 크게 설정하고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용 오목부(62)의 단부면(62a)이 구동 갈고리체(31)의 가압력을 받아서 압축 변형하고, 리브부(32)의 단부 가장자리(32a)가 코어 돌기(63)의 내단부측의 면(63c)에 맞닿는 데 필요한 이동량에 도달할 때까지의 동안에 타임 래그를 발생한다.
구동 갈고리체(31)는, 도 7 내지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반 형상 부재(30)의 판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가로 방향(좌우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결합용 오목부(62)의 벨트 폭 방향의 길이보다 약간 짧고, 또한 좌우의 코어 돌기(63)의 양쪽에 걸치는 길이와 동일한 정도의 좌우 방향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구동 갈고리체(31)의 좌우 방향의 단부면(31a)은, 도 9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구동 갈고리체(31)의 외단부 가장자리가 수평면 위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그의 좌우 방향의 단부면(31a)은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이 아닌, 소정의 갈고리 경사 각도 α(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에 상당)를 갖는 경사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갈고리 경사 각도 α를 갖는 경사면인 단부면(31a)은 구동 갈고리체(31)의 좌우 양 단부측에 형성하고 있으며, 구동 갈고리체(31)는 그의 좌우 양측의 단부면(31a)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이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갈고리 경사 각도 α는 상기 결합용 오목부(62)에 있어서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단부면(62a)에 형성된 벨트 경사 각도 β와 동일한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구동 갈고리체(31)의 둘레 방향으로의 전후에 위치하는 전방향면(31b)(기체 전진 방향에서의 크롤러 벨트(6)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측의 면), 및 후방향면(31c)(기체 후진 방향으로의 크롤러 벨트(6)에 구동력을 부여하는 측의 면)은 대략 원반 형상 부재(3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법선을 따르는 방향이지만, 약간 회전 중심측에 가까운 부위(밑동 부분측)에 있어서의 둘레 방향폭 d2가 회전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외방측의 부위(갈고리 선단부측)의 둘레 방향폭 d3보다 넓게 구성하고 있으며, 구동 갈고리체(31)의 반경 방향 외방측일수록 조금 폭이 좁고 끝이 가는 형상의 테이퍼면으로 되어 있다.
구동 갈고리체(31)의 상기 단부면(31a)에는, 부분적인 훔침부(33)를 설치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원반 형상 부재(30)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있다.
[빠짐 방지 가이드]
상기 빠짐 방지 가이드(7)는 도 2, 도 12, 도 13의 (c)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최전단부 위치의 회전륜(5), 및 최후단부 위치의 회전륜(5)이 설치된 위치에서, 좌우의 코어 돌기(63, 63)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트랙 프레임(20)에 연속 설치된 고정 브래킷(21), 및 지지 브래킷(22)에 연속 설치된 천칭 형상 부재(23)에 연결 고정되는 각 빠짐 방지 가이드(7)는 전후 모두 동일한 것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 빠짐 방지 가이드(7)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가 측면에서 보아 배(舟)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전후 2개소에, 상기 고정 브래킷(21) 또는 지지 브래킷(22)에 연속 설치된 천칭 형상 부재(23)에 대한 연결 고정용 나사 구멍(71, 71)을 구비한 설치부(72, 72)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고정 브래킷(21) 또는 천칭 형상 부재(23)에 대한 장착 자세에서, 빠짐 방지 가이드(7)의 최하단부로 되는 위치는, 도 2 및 도 12의 (b)에 도시하는 회전륜(5)의 회전 중심 p로부터의 수선 y1과 교차하는 위치이다. 이 빠짐 방지 가이드(7)의 최하단부 위치는 좌우의 코어 돌기(63, 63) 사이에서 크롤러 벨트(6)의 내주면에 대하여 가장 근접하는 상태로 되는 것이지만, 이 빠짐 방지 가이드(7)의 상기 수선 y1과 교차하는 개소에서의 벨트 횡폭 방향으로의 폭 L1이 상기 크롤러 벨트(6)측의 코어 돌기(63)의 벨트 둘레 방향으로의 중심선 y2가 존재하는 개소에서의 코어 돌기(63)의 상부에서의 맞닿음 개소 P3에서의 횡폭 L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상기 빠짐 방지 가이드(7)의 벨트 횡폭 방향에서의 맞닿음 개소의 폭 L1은, 도 12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빠짐 방지 가이드(7)의 벨트 둘레 방향(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직선 형상 부분의 길이 L3의 범위에서 동일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직선 형상 부분 L3의 전후에는,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빠짐 방지 가이드(7)의 전후 단부가 평면에서 보아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서 보면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단부가 상측으로 휘어 올라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빠짐 방지 가이드(7)의 상기 직선 형상 부분 L3 중, 상기 수선 y1과 교차하는 개소의 부근에는,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선 y1에 대하여 직교하는 직교 아래 가장자리 부분(73)이 존재하는 직교 아래 가장자리 범위 L4가 형성되고, 그의 전후에 있어서의 상기 직선 형상 부분 L3 중, 상기 직교 아래 가장자리 범위 L4보다 전방의 전방측 아래 가장자리 부분(74)은 조금 앞쪽이 올라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직교 아래 가장자리 범위 L4보다 후방의 후방측 아래 가장자리 부분(75)은 조금 뒷쪽이 올라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빠짐 방지 가이드(7)의 아래 가장자리 형상을 형성하고 있는 것은 다음의 이유에 따른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든 회전륜(5)이 평탄지에 위치하는 경우를 상정한 경우, 그 모든 회전륜(5)에 대한 하방측의 접선보다, 크롤러 주행 장치(2)의 전단부측 및 후단부측의 아이들러 휠(4, 4)의 아래 가장자리가 높게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크롤러 벨트(6)가 최전단부의 회전륜(5)보다 전방측에서는 조금 앞쪽이 올라간 상태로 늘려 걸리고, 최후단부의 회전륜(5)보다 후방측에서는 조금 뒤쪽이 올라간 상태로 늘려 걸리므로, 빠짐 방지 가이드(7)의 아래 가장자리와 크롤러 벨트(6)의 내주면 사이에 필요한 간극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빠짐 방지 가이드(7)의 전단부측 및 후단부측이 평면에서 보아 끝이 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벨트 횡폭 방향으로의 폭 L1을 넓게 한 빠짐 방지 가이드(7)에 의한 안내 작용을 원활하게 행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빠짐 방지 가이드(7) 전후 단부가 평면에서 보아 끝이 가는 형상 외에 상측으로 휘어 올라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은, 전후 단부의 휘어 올라간 부분이 크롤러 벨트(6)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빠짐 방지 가이드(7)는, 도 14의 (a)에 도시하는 기준 자세(모든 회전륜(5)이 회전륜 궤도면(64)에 접하여 크롤러 벨트(6)가 전체적으로 평균적인 압력을 받고 있는 상태에서의 주행 자세)에서는, 빠짐 방지 가이드(7)의 최하단부가 되는 위치와 크롤러 벨트(6)의 내주면(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압용 블록부(66)의 내주측의 면) 사이에는, 충분히 큰 간격 S1을 구비하도록, 회전륜(5)의 접촉면과 빠짐 방지 가이드(7)의 하면의 상대 높이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그런데, 도 1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 근접 자세(볼록부에 올라앉은 등으로 하여 일부 회전륜(5)의 하방으로부터 집중적인 밀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는 상태에서의 주행 자세)에서는, 크롤러 벨트(6)가 부분적으로 압축 또는 굴곡하여, 빠짐 방지 가이드(7)가 상대적으로 크롤러 벨트(6) 내주면에 접근하는 상태로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빠짐 방지 가이드(7)의 횡폭 L1이 크롤러 벨트(6)측의 코어 돌기(63)의 상부에 있어서의 맞닿음 개소 P3에서의 벨트 횡폭 방향으로의 횡폭 L2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도시한 바와 같이, 빠짐 방지 가이드(7)와 크롤러 벨트(6)의 내주면(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압용 블록부(66)의 내주측의 면)의 접근 시에, 빠짐 방지 가이드(7)의 맞닿음 개소 P3과 코어 돌기(63)의 상부에 있어서의 맞닿음 개소 P3의 맞닿음에 의해, 그 이상의 접근이 저지되어, 양자의 접촉을 회피하도록 간격 S2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빠짐 방지 가이드(7)에 설정된 횡폭 L1을 갖는 상기 직선 부분 L3에 있어서의 범위의 맞닿음 개소 P3에 의해, 그 빠짐 방지 가이드(7)의 아래 가장자리가 크롤러 벨트(6)의 내주면측에 맞닿는 것을 저지하는 근접 규제부(A)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코어 돌기(63)의 상부에 있어서의, 상기 빠짐 방지 가이드(7)의 맞닿음 개소 P3과의 맞닿음 개소 P3은, 도 11의 (b)나 도 16에 도시한, 이 코어 돌기(63)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 스프로킷(3)의 리브부(32)의 좌우 방향의 단부 가장자리(32a)에 있어서의 맞닿음 개소 P2와의 맞닿음 개소 P2보다 상방으로 벗어난 위치에 설정되고 있다.
이것은 코어 돌기(63)의 외표면을 피복하는 고무재가 구동 스프로킷(3)의 리브부(32)나 빠짐 방지 가이드(7)의 양자에 대하여 동일한 개소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여, 고무재가 조기에 손모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빠짐 방지 가이드(7)의 근접 규제부(A)는 빠짐 방지 가이드(7)의 아래로 오므라드는 형상의 경사를 갖는 양 측면(B, B) 중, 상기 코어 돌기(63)의 안내면(C)의 상부에 있어서의 맞닿음 개소 P3에 대하여 맞닿는 개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양 측면(B, B)은 좌우의 코어 돌기(63)의 안내면(C, C)의 경사로 이루는 테이퍼의 각도보다 조금 각도가 큰 테이퍼가 되도록 경사 각도를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빠짐 방지 가이드(7)가 비교적 강하게 좌우의 코어 돌기(63, 63)의 사이에 꼭 들어맞더라도, 근접 규제부(A)에서의 접촉 면적은 비교적 작아 강하게 맞물려서 빠지기 어려워진다고 하는 사태를 피하기 쉽다.
[아이들러 휠]
아이들러 휠(4, 4)은, 도 2 및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코어 돌기(63, 63) 사이에 진입한 상태에서, 또한 크롤러 벨트(6)의 내주면에 접한 상태에서 공회전 회동한다.
이때, 아이들러 휠(4, 4)의 외주면은, 전술한 바와 같이, 크롤러 벨트(6)의 수압용 블록부(66)의 내주면측에 접촉한 상태에서 회전되므로, 이 개소에서의 소음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아이들러 휠(4, 4)의 양 측면은 좌우의 코어 돌기(63, 63)의 금속 부분과 접촉할 가능성은 있지만, 이 개소에서는 아이들러 휠(4, 4)과 크롤러 벨트(6)는 거의 상대 이동이 없는 상태로 회동하고 있으므로, 가령 금속 부분끼리 닿더라도, 이 개소에서는 그다지 큰 소음은 되지 않으며, 역시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형태의 1]
근접 규제부(A)로서는,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코어 돌기(63, 63)에 대한 빠짐 방지 가이드(7)의 맞닿음 개소 P3의 횡폭 L2의 설정에 의한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빠짐 방지 가이드(7)의 일부에, 기준 자세로는 접촉하지 않으며, 최대 근접 자세로, 코어 돌기(63, 63)의 최대 돌출 개소에 대하여 맞닿는 부분을 형성하여, 빠짐 방지 가이드(7)가 그 이상 크롤러 벨트(6) 내주면측으로 접근하는 것을 저지하도록 한 구조에 의해 간격 S2를 확보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2]
빠짐 방지 가이드(7)로서는,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전후 2개로 분리한 구조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전후 어느 한쪽만을 설치하거나, 또는 전단부측으로부터 후단부측에 걸치는 긴 빠짐 방지 가이드(7)를 설치하는 것이어도 된다.
[다른 실시 형태의 3]
빠짐 방지 가이드(7)의 근접 규제부(A)로서, 실시 형태에서는, 빠짐 방지 가이드(7)의 아래로 오므라드는 형상의 경사를 갖는 양 측면(B, B)을 좌우의 코어 돌기(63)의 안내면(C, C)의 경사로 이루는 테이퍼의 각도보다 조금 각도가 큰 테이퍼가 되도록 경사 각도를 설정한 것을 나타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빠짐 방지 가이드(7)의 아래로 오므라드는 형상의 경사를 갖는 양 측면(B, B)과 좌우의 코어 돌기(63)의 안내면(C, C)의 경사로 이루는 테이퍼의 각도를 동일한 각도로 설정해도 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각도로 설정하면, 맞닿음 개소 P3 부근의 면적을 넓게 하여 단위 면적당 면압을 낮출 수 있으므로, 맞닿음 개소 P3에서의 마모 정도를 경감시킬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함이 있다.
[다른 실시 형태의 4]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갈고리체(31)의 갈고리 경사 각도 α는 상기 결합용 오목부(62)에 있어서의 벨트 폭 방향으로의 단부면(62a)에 있어서의 벨트 경사 각도 β와 동일한 각도로 설정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갈고리 경사 각도 α를 벨트 경사 각도 β보다 큰 각도로 설정하거나, 또는 그 반대여도 된다.
이와 관련하여, 수평면에 대한 갈고리 경사 각도 α를 벨트 경사 각도 β보다 큰 각도로 설정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면, 결합용 오목부(62)측의 테이퍼면의 경사 각도보다, 구동 갈고리체(31)측의 테이퍼면의 경사 각도가, 수평면에 대한 큰 경사 각도이다. 이 때문에, 결합용 오목부(62)와 구동 갈고리체(31)는 서로가 맞물리기 시작하는 시점에서는, 구동 갈고리체(31)의 선단부의 폭이 좁은 개소가 결합용 오목부(62)의 입구측이 폭이 넓은 개소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결합용 오목부(62)와 구동 갈고리체(31)의 각각의 테이퍼면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서로 동일한 경우나, 결합용 오목부(62)측의 경사 각도 쪽이 구동 갈고리체(31)측의 경사 각도보다 큰 경우에 비해, 벨트 폭 방향에 있어서의 결합용 오목부(62)의 중심 위치로부터 테이퍼면까지의 거리와, 동일 방향으로의 구동 갈고리체(31)의 중심 위치로부터 테이퍼면까지의 거리의 차를, 서로가 맞물리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구동 갈고리체(31)의 선단부의 폭이 좁은 개소가 결합용 오목부(62)의 입구측이 폭이 넓은 개소에 대응함으로써 보다 큰 차로 할 수 있으며, 구동 갈고리체(31)의 선단부측이 결합용 오목부(62)의 입구측에서 빠질 가능성을 작게 하여, 보다 한층 맞물리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에서는, 결합용 오목부(62)측의 벨트 폭 방향의 단부면과 구동 갈고리체(31)측의 좌우 방향의 단부면이 맞닿았을 때, 결합용 오목부(62)의 내측에서의 면압이 높고, 결합용 오목부(62)의 입구측에서의 면압이 낮아지는 상태에서 맞닿아 있다.
이에 의해, 크롤러 벨트의 결합 오목부에 있어서의 구동 갈고리체(31)와의 접촉에 의한 마모는, 결합용 오목부(62)의 내측보다 입구측에서 천천히 진행하게 된다. 그 결과, 결합용 오목부(62)의 입구측에 있어서의 마모가 내측보다 빨리 진행하여, 조기에 결합용 오목부(62)로부터 구동 갈고리체(31)가 빠지기 쉽다는 문제를 피하기 쉽다.
본 발명의 크롤러 주행 장치는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트랙터 외에, 콤바인이나 건설 기계 등의 각종 차량의 추진 장치로서 사용할 수 있다.
2 : 크롤러 주행 장치
3 : 구동 스프로킷
5 : 회전륜
6 : 크롤러 벨트
30 : 원반 형상 부재
31 : 구동 갈고리체
31a : 단부면
32 : 리브부
32a : 단부 가장자리
60 : 벨트 본체
61 : 코어
62 : 결합용 오목부
62a : 단부면
63 : 코어 돌기
63c : 내단부측의 면
64 : 회전륜 궤도면
α : 갈고리 경사 각도(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
β : 벨트 경사 각도(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
d1 : 간격

Claims (4)

  1.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벨트 본체에 코어(cored bar)를 벨트 둘레 방향으로 일정 피치로 매설함과 함께, 각 코어의 벨트 폭 방향 중간 부위로부터 벨트 내주면측에 회전륜 안내용의 좌우 한 쌍의 코어 돌기를 돌출 설치하고 있는 크롤러 벨트와, 그 크롤러 벨트에 벨트 둘레 방향으로의 회전 동력을 부여하는 구동 스프로킷을 구비한 크롤러 주행 장치이며,
    상기 크롤러 벨트의 내주면측에 구동 스프로킷의 구동 갈고리체와 결합하는 결합용 오목부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용 오목부는 벨트 둘레 방향으로의 코어끼리의 사이에 위치하여 벨트 둘레 방향보다 벨트 폭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또한 그 벨트 폭 방향으로의 단부면이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고,
    상기 구동 스프로킷은 원반 형상 부재의 둘레 방향보다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구동 갈고리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갈고리체는, 상기 크롤러 벨트의 상기 좌우의 코어 돌기와의 사이에 끼워 넣어지는 원반 형상 부재의 외주측에, 둘레 방향으로의 소정 간격마다 형성된 결합용 오목부에 결합 삽입하고, 이 구동 갈고리체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오목부의 벨트 폭 방향의 단부면인 테이퍼면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가, 구동 갈고리체의 좌우 방향의 단부면인 테이퍼면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 각도와 동일한 경사 각도인 크롤러 주행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프로킷의 원반 형상 부재는 좌우의 코어 돌기 사이에 진입하는 외주측 부분의 좌우 방향으로의 폭이, 좌우의 코어 돌기의 내단부측의 간격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구동 갈고리체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이 결합용 오목부의 단부면에 맞닿은 후에, 상기 원반 형상 부재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이 코어 돌기의 내단부측의 면에 맞닿도록, 상기 원반 형상 부재의 좌우 방향으로의 단부면과 구동 갈고리체의 상대적인 좌우 방향 위치가 결정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롤러 벨트의 내주면측에 맞닿도록 벨트 둘레 방향의 전후로 병치된 복수개의 회전륜과, 그 복수개의 회전륜의 전방측 위치와 후방측 위치의 각각에 배치된 아이들러 휠이 구비되고,
    상기 전후의 아이들러 휠의 중간 위치에, 또한 상기 회전륜의 상방측 위치에 구동 스프로킷이 배치되어 있는 크롤러 주행 장치.
KR1020127014547A 2009-12-10 2010-08-10 크롤러 주행 장치 KR1013939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80368A JP5843422B2 (ja) 2009-12-10 2009-12-10 クローラ走行装置
JPJP-P-2009-280368 2009-12-10
PCT/JP2010/063565 WO2011070821A1 (ja) 2009-12-10 2010-08-10 クローラ走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251A true KR20120080251A (ko) 2012-07-16
KR101393906B1 KR101393906B1 (ko) 2014-05-12

Family

ID=44145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4547A KR101393906B1 (ko) 2009-12-10 2010-08-10 크롤러 주행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511163B1 (ko)
JP (1) JP5843422B2 (ko)
KR (1) KR101393906B1 (ko)
CN (1) CN102791567B (ko)
WO (1) WO2011070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44126B2 (ja) * 2010-05-31 2014-03-19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走行装置
JP5444080B2 (ja) * 2010-03-29 2014-03-19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走行装置
JP5444081B2 (ja) * 2010-03-29 2014-03-19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走行装置
JP5657333B2 (ja) * 2010-10-13 2015-01-2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クローラ組込体
US9352793B2 (en) * 2013-03-12 2016-05-31 Caterpillar Global Mining Llc Slide shoe for undercarriage frame assembly
JP6677137B2 (ja) * 2016-09-23 2020-04-08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車
USD941886S1 (en) 2019-11-21 2022-01-25 Caterpillar Inc. Slide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2563A (en) * 1967-11-22 1969-10-14 Outboard Marine Corp Vehicle track
JPS577570Y2 (ko) * 1978-08-10 1982-02-13
JPS5594866A (en) * 1979-01-12 1980-07-18 Yamaha Motor Co Ltd Sprocket for inner lug track
JPS6114944Y2 (ko) * 1980-01-21 1986-05-09
JPH0717215B2 (ja) * 1986-06-26 1995-03-01 井関農機株式会社 クローラー式走行装置
JPH02142388U (ko) * 1989-04-27 1990-12-03
JPH06107251A (ja) * 1992-09-22 1994-04-19 Bridgestone Corp ゴムクローラの構造及びその駆動装置
JPH0648973U (ja) * 1992-12-12 1994-07-05 孝 平根 溶接機の出力側ケーブル先端のジョイント装置
JP3349101B2 (ja) * 1998-10-09 2002-11-20 オーツタイヤ株式会社 弾性クローラ用芯体及び弾性クローラ
JP2000230511A (ja) * 1998-12-07 2000-08-22 Mitsubishi Electric Corp ベーン式油圧アクチュエータ
JP2001338940A (ja) * 2000-05-30 2001-12-07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icの樹脂モールド装置および樹脂モールド方法
JP2002002564A (ja) * 2000-06-28 2002-01-09 Komatsu Ltd 履帯走行装置
JP4688356B2 (ja) * 2001-07-03 2011-05-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弾性クローラ走行装置およびこの弾性クローラ走行装置に用いる履帯用スプロケット
JP2003081144A (ja) * 2001-09-14 2003-03-19 Kubota Corp 農用トラクタ
JP3795818B2 (ja) * 2002-03-27 2006-07-12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式走行装置
WO2005002952A1 (ja) * 2003-07-02 2005-01-13 Fukuyama Gomu Kogyo Kabushiki Gaisha ゴムクローラ及びゴムクローラ用芯金の製造方法
JP2007128930A (ja) * 2005-11-01 2007-05-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不要樹脂の除去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モールド済みリードフレーム
EP2030876B1 (en) * 2006-06-22 2010-10-06 Bridgestone Corporation Structure of rubber crawler track
EP2055616B1 (en) * 2006-08-25 2013-11-20 Bridgestone Corporation Rubber track
JP5097482B2 (ja) * 2007-09-04 2012-12-1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ゴムクローラおよびそのゴムクローラ用芯金
KR101032213B1 (ko) * 2007-09-04 2011-05-02 가부시키가이샤 브리지스톤 고무 크롤러 및 이에 적합한 스프로킷, 및 고무 크롤러용 코어
JP2009078796A (ja) * 2007-09-05 2009-04-16 Bridgestone Corp ゴムクローラ及びこれに適したスプロケット
JP5801530B2 (ja) * 2009-10-13 2015-10-28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走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91567A (zh) 2012-11-21
EP2511163B1 (en) 2016-11-09
EP2511163A1 (en) 2012-10-17
EP2511163A4 (en) 2015-05-27
JP2011121463A (ja) 2011-06-23
JP5843422B2 (ja) 2016-01-13
CN102791567B (zh) 2015-02-04
KR101393906B1 (ko) 2014-05-12
WO2011070821A1 (ja) 2011-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80251A (ko) 크롤러 주행 장치
EP2315695B1 (en) Sprocketed idler assembly
WO2011045993A1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5276619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WO2011040606A1 (ja) スプロケ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ゴムクローラ組込体
US5813733A (en) Metal core member for rubber crawler belt, the rubber crawler belt and method of winding the same
JP5801530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5444081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5563007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5643546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2011207317A5 (ko)
JP5444080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5451807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5939762B2 (ja) 弾性クローラ
JP2004131014A (ja) 弾性クローラ
JP2011207316A5 (ko)
JP5444126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6021735B2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2009067349A (ja) ゴムクローラ
JPH11198873A (ja) 内周駆動型ゴムクロ−ラ及びゴムクロ−ラ装置
CN116816916A (zh) 动力切换机构
JP4916359B2 (ja) 弾性クローラ
JPH07315265A (ja) 弾性クローラ
JPH08310459A (ja) ゴムクローラ
JP2013028185A (ja) スプロケット、弾性クローラ組込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