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4027A -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4027A
KR20050004027A KR1020040049445A KR20040049445A KR20050004027A KR 20050004027 A KR20050004027 A KR 20050004027A KR 1020040049445 A KR1020040049445 A KR 1020040049445A KR 20040049445 A KR20040049445 A KR 20040049445A KR 20050004027 A KR20050004027 A KR 20050004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er
case
chamber
throttl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8421B1 (ko
Inventor
이시카와유즈루
기노시타요시테루
구도다카시
하나이도시노리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04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8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8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16Fuel injectors; Fuel pipes or rails; Fuel pumps or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4Air cleaners specially arranged with respect to engine, to intake system or specially adapted to vehicle; Mounting thereon ; 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9/00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 F02D9/02Controlling engines by throttling air or fuel-and-air induction conduits or exhaust conduits concerning induction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26Plenum chambers
    • F02M35/10039Intake ducts situated partly within or on the plenum chamber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26Plenum chambers
    • F02M35/10052Plenum chambers special shapes or arrangements of plenum chambers; 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72Intake run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15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type
    • F02M35/10177Engines having multiple fuel injectors or carburettors per cylind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6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in vehicles
    • F02M35/162Motorcycles; All-terrain vehicles, e.g. quads, snowmobiles; Small vehicles, e.g. forkli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04Injectors peculiar thereto
    • F02M69/042Positioning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 e.g. in the air intake conduit
    • F02M69/043Positioning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 e.g. in the air intake conduit for injecting into the intake conduit upstream of an air throttle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04Injectors peculiar thereto
    • F02M69/042Positioning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 e.g. in the air intake conduit
    • F02M69/044Positioning of injectors with respect to engine, e.g. in the air intake conduit for injecting into the intake conduit downstream of an air throttle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ntrol Of Throttle Valves Provided In The Intake System Or In The Exhaust System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내부가 미정화실 및 정화실로 구획된 클리너 케이스 내에 상기 미정화실로부터 정화실로 유통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클리너 엘리먼트가 수용되는 에어클리너와, 상기 정화실로부터 실린더 헤드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스로틀 바디를 구비하는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에 있어서, 스로틀 바디의 작동음을 간단한 구조로 차음한다.
클리너 케이스(50A) 내에 스로틀 바디(48)가 수용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INTAKE DEVICE OF ENGINE FOR VEHICLE}
본 발명은, 내부가 미정화실 및 정화실로 구획된 클리너 케이스 내에 상기 미정화실로부터 정화실로 유통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클리너 엘리먼트가 수용되는 에어클리너와, 상기 정화실로부터 실린더 헤드에 공급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스로틀 바디를 구비하는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이륜차에 탑재되는 엔진의 실린더 헤드에, 스로틀 바디를 통해서 에어클리너가 접속되도록 한 흡기 장치가,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등에서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1-73810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것에서는, 스로틀 조작에 따른 스로틀 바디의 작동음이 들려 버리기 때문에, 차음 대책을 행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또 스로틀 바디에 인젝터가 장작되는 경우에는, 그 인젝터의 작동음에 대해서도 차음 대책을 행하는 요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스로틀 바디의 작동음을 간단한 구조로 차음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내부가 미정화실 및 정화실로 구획된 클리너 케이스 내에 상기 미정화실로부터 정화실로 유통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클리너 엘리먼트가 수용되는 에어클리너와, 상기 정화실로부터 실린더 헤드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스로틀 바디를 구비하는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 케이스 내에, 상기 스로틀 바디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미정화실이 그 일부를 흡기 챔버로서 기능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스로틀 바디가 상기 미정화실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스로틀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스로틀 케이블이, 상기 클리너 케이스의 상기 미정화실에 면한 부분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클리너 케이스의 상기 미정화실에 면한 부분에 그로멧이 장착되고, 상기 스로틀 케이블이 이 그로멧에 삽입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가 상기 미정화실 내에 수용되고, 상기 인젝터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도관 및 상기 인젝터에 접속되는 도선이, 상기 클리너 케이스의 상기 미정화실에 면한 부분에 장착되는 그로멧에 삽입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상기 클리너 케이스는, 제1, 제2 및 제3 케이스 부재가 제2 케이스 부재를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클리너로부터의 정화 공기를 인도하도록 상기 스로틀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 헤드에 접속되는 흡기 통로부에 상기 제1 케이스 부재가 지지되며,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를 상호 결합하는 것인 제3 케이스 부재를 떼어낸 상태로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 내에 삽입되는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가, 이 클리너 엘리먼트를 덮는 제3 케이스 부재의 제2 케이스 부재로의 결합에 따라서 클리너 케이스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클리너 케이스의 천장부가, 연료 탱크의 바닥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가, 상기 미정화실의 위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자동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에어클리너 부근의 확대 종단측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을 따라서 절취한 단면도,
도 4는 제2 실시예의 도 2에 대응한 종단측면도,
도 5는 제3 실시예의 에어클리너 부근의 종단측면도,
도 6은 도 5의 6-6선을 따라서 절취한 단면도,
도 7은 제4 실시예의 에어클리너 부근의 종단측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을 따라서 절취한 단면도,
도 9는 제5 실시예의 에어클리너 부근의 종단측면도,
도 10은 도 9의 10-10선을 따라서 절취한 단면도,
도 11은 제6 실시예의 자동이륜차의 주요부 측면도,
도 12는 에어클리너 부근의 종단면도,
도 13은 제7 실시예의 자동이륜차의 측면도,
도 14는 에어클리너 부근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8F, 28R, 83 : 실린더 헤드
29A∼29E, 80A, 80B : 에어클리너
45 : 흡기 통로부
48, 87 : 스로틀 바디
50A∼50E, 89A, 89B : 클리너 케이스
51A∼51E, 95A, 95B : 미정화실
52A∼52E, 96A, 96B : 정화실
53, 98, 108, 157 : 클리너 엘리먼트
54A∼54E : 제1 케이스 부재
55A∼55E : 제2 케이스 부재
56A∼56E : 제3 케이스 부재
64, 65 ; 104, 105 : 스로틀 케이블
66A∼66C : 흡기 챔버
67, 106, 118 : 그로멧
69, 90 : 인젝터
79 : 연료 탱크
2 : 바닥판
116 : 연료도관
117 : 도선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첨부의 도면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은 자동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에어클리너 부근의 확대 종단측면도, 도 3은 도 2의 3-3선을 따라서 절취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1에서, 이 자동이륜차의 차레 프레임(FA)은, 전륜(WF)을 축 지지하는 프론트 포크(11)를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12)와, 이 헤드 파이프(12)로부터 뒤쪽 하부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메인 프레임(13…)과, 헤드 파이프(12) 및 양 메인 프레임(13…)의 전부(前部)에 용접되어 메인 프레임(13…)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엔진 행거(14…)와, 메인 프레임(13…)의 후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피봇 플레이트(15…)와, 뒤쪽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양 메인 프레임(13…)의 후부로 연결되는 후부 프레임(16)을 구비한다.
상기 양 엔진 행거(14…)의 하부, 상기 메인 프레임(13…)의 중간부 및 피봇 플레이트(15…)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기 행거(BF) 및 후부 행거(BR)를 갖고 V형으로 구성되는 다기통, 예를 들면 5기통의 엔진 본체(17)가 지지된다.
상기 양 피봇 플레이트(15…)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스윙 아암(18)의 전단부가 지지축(19)을 통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스윙 아암(18)의 후단부에 후륜(WR)의 차축(20)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엔진 본체(17)에 내장된 변속기의 출력축(21)으로부터의 동력은, 체인 전동 수단(22)을 통해서 후륜(WR)에 전달되는 것으로, 이 체인 전동 수단(22)은 상기 출력축(21)에 고정되는 구동 스프로켓(23)과, 후륜(WR)에 고정되는 피동 스프로켓(24)과, 그들 스프로켓(23, 24)에 감겨지는 단이 없는 형상의 체인(25)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윙 아암(18)의 전부에는, 리어쿠션 유닛(26)의 상단부가 연결되어 있고, 이 리어쿠션 유닛(26)의 하단부는, 링크 기구(27)를 통해서 상기 양 피봇 플레이트(15…)의 하부에 연결된다.
엔진 본체(17)의 전부 및 후부 뱅크(BF, BR)에서의 실린더 헤드(28F, 28R)의 위쪽에는, 에어클리너(29A)가 배치되고, 이 에어클리너(29A)의 후방에서 상기 엔진 본체(17)를 위쪽에서 덮는 연료 탱크(30)가 상기 후부 프레임(16)에 지지된다. 또 연료 탱크(30)의 후방에서 후부 프레임(16) 상에는 탑승자를 착석시키기 위한 메인 시트(31)가 지지되고, 동승자를 태우기 위한 필리온 시트(32)가 상기 메인 시트(31)로부터 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후부 프레임(16)에 지지된다.
전부 뱅크(BF)의 실린더 헤드(28F)에 각 기통마다 연결되는 제1 개별 배기관(33F…)은, 엔진 본체(17)의 아래쪽이 후륜(WR)측으로 연장 설치되고, 각 제1 개별 배기관(33F…)은 제1 집합 배기관(34F)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또 후부 프레임(16)에는 후륜(WR)의 상부 우측에 배치되는 제1 배기 머플러(35F)가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1 집합 배기관(34F)의 하류단은 제1 배기 머플러(35F)에 접속된다. 후부 뱅크(BR)의 실린더 헤드(28R)에 각 기통마다 연결되는 제2 개별 배기관(33R…)은, 리어쿠션 유닛(26)의 위쪽을 통해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각 제2 개별 배기관(33R…)은 제2 집합 배기관(34R)에 공통으로 접속된다. 또 후부 프레임(16)에 지지되는 제2 배기 머플러(35R)가 상기 필리온 시트(32)의 아래쪽으로 배치되어 있고, 제2 집합 배기관(34R)의 하류단이 제2 배기 머플러(35R)에 접속된다.
그런데 헤드 파이프(12)의 전방은,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론트 카울(36)로 덮어지고, 차체의 전부 양측이, 상기 프론트 카울(36)에 연결되는 합성 수지제의 센터 카울(37)로 덮여지며, 엔진 본체(17)의 일부 및 전부 뱅크(BF)의 실린더헤드(28F)에 연결되는 제1 개별 배기관(33F…)을 양측에서 덮는 합성 수지제의 로어 카울(38…)이 센터 카울(37)에 연결 설치된다. 또 후부 프레임(16)의 후부는 제2 배기 머플러(35R)의 대부분과 함께 리어 카울(39)로 덮여지고, 상기 연료 탱크(30) 및 에어클리너(29A)는 커버(40)로 덮여지며, 전륜(WF)의 위쪽을 덮는 프론트 펜더(41)는 프론트 포크(11)에 장착된다.
도 2 및 도 3에서, 엔진 본체(17)의 양 뱅크(BF, BR)에서의 실린더 헤드(28F, 28R)의 상부 측벽에는, 그들 실린더 헤드(28F, 28R) 위쪽의 에어클리너(29A)로부터의 정화 공기를 인도하도록 하여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흡기 통로부(45…)가 각 기통마다 접속된다.
상기 흡기 통로부(45)는, 실린더 헤드(28F, 28R)의 상부 측벽에 접속되는 인슐레이터(46)와, 하류단이 인슐레이터(46)에 접속되는 흡기관(47)과, 이 흡기관(47)의 상류단에 하류단이 접속되는 스로틀 바디(48)와, 스로틀 바디(48)의 상류단에 접속되는 에어펀넬(49)을 구비하는 것으로, 각 스로틀 바디(48…), 각 에어펀넬(49…) 및 각 흡기관(47…)의 적어도 일부는, 에어클리너(29A)의 클리너 케이스(50A) 내에 수용된다.
에어클리너(29A)는, 내부가 미정화실(51A) 및 정화실(52A)로 구획된 클리너 케이스(50A) 내에 상기 미정화실(51A)로부터 정화실(52A)로 유통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클리너 엘리먼트(53)가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스로틀 바디(48…)는 클리너 케이스(50A)의 미정화실(51A)에 수용되고, 에어펀넬(49…)은 클리너 케이스(50A)의 정화실(52A)에 수용된다.
클리너 케이스(50A)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및 제3 케이스 부재(54A, 55A, 56A)가 제2 케이스 부재(55A)를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A, 56A)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A, 56A)는 상호 대향하는 측을 개구한 보울(bowl)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케이스 부재(55A)는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A, 56A)의 개구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여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및 제3 케이스 부재(55A, 56A)의 결합단 사이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칸막이 판(57)의 전체 주변 가장자리부가 기밀하게 끼워져 유지되는 것으로, 클리너 케이스(50A) 내에는, 상기 칸막이 판(57)에 의해서 미정화실(51A) 및 정화실(52A)로 구획된다. 또한 클리너 엘리먼트(53)의 지지틀(71A)은, 상기 뱅크(BF)의 위쪽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칸막이 판(57)에 설치된 개구부(58)에 면하여 칸막이 판(57)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A, 55A)를 상호 결합하는 것인 제3 케이스 부재(56A)를 떼어낸 상태로, 상기 칸막이 판(57)에 지지틀(71A)이 장착된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53)를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A, 55A) 내에 삽입하고, 그 클리너 엘리먼트(53) 및 칸막이 판(57)를 덮도록 하여 제3 케이스 부재(56A)를 제2 케이스 부재(55A)에 결합함으로써, 클리너 케이스(50A)가 구성되는 동시에, 미정화실(51A)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클리너 엘리먼트(53)가 클리너 케이스(50A)에 지지되게 된다.
제1 케이스 부재(54A)는, 흡기 통로부(45…)에 지지되는 것으로, 이 제1 실시예에서는, 흡기 통로부(45…)의 흡기관(47…) 및 실린더 헤드(28F, 28F) 사이에각각 끼워져 장착되는 링형상의 인슐레이터(46…)를 실린더 헤드(28F, 28R)와의 사이에 끼워서 각 흡기관(47…)을 실린더 헤드(28F, 28R)에 체결함으로써, 제1 케이스 부재(54A)가 각 인슐레이터(46…), 즉 다수의 흡기 통로부(45…)에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각 스로틀 바디(48…)는, 칸막이 판(57) 및 흡기관(47…)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미정화실(51A)에 수용되는 것으로, 각 스로틀 바디(48…)에 접속되는 에어펀넬(49…)은, 칸막이 판(57)으로부터 정화실(52A) 내로 돌입된다.
또 제1 케이스 부재(54A)의 양측에는, 미정화실(51A)에 통하도록 하여 공기 도입 구멍(59, 59)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들 공기 도입 구멍(59, 59)을 통해서 미정화실(51A) 내에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 덕트(60, 60)가 제1 케이스 부재(54A)의 양측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공기 도입 구멍(59, 59)은, 전부 뱅크(BF)측의 흡기 통로부(45…)에 대응하는 측에서 제1 케이스 부재(54A)의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미정화실(51A) 내에서, 상기 공기 도입 구멍(59…)에 관하여 클리너 엘리먼트(53)로부터 먼 측의 부분, 즉 후부 뱅크(BR)에 대응하는 측의 부분은, 흡기 챔버(66A)로서 기능하게 되고, 미정화실(51A)은 그 일부를 흡기 챔버(66A)로서 기능시키도록 형성되게 된다. 결국, 미정화실(51A)은, 전부 뱅크(BF) 및 후부 뱅크(BR)에 각각 대응한 대략 2실 구조가 되고, 후부 뱅크(BR)측인 흡기 챔버(66A)가 레조네이터(resonator)로서의 역활을 다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흡기음을 저감하는 동시에 엔진 출력 특성의 적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각 스로틀 바디(48…)는, 에어클리너(29A)의 정화실(52A)로부터 에어펀넬(49…)을 통해서 인도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스로틀 밸브(61…)를 구비하는 것으로, 전부 뱅크(BF)에 대응하여 3개 배열되는 스로틀 바디(48…)의 스로틀 밸브(61…), 및 후부 뱅크(BR)에 대응하여 2개 배열되는 스로틀 바디(48…)의 스로틀 밸브(61…)는, 연동·연결 수단(62…)으로 상호 연결되고, 각 스로틀 바디(48…)의 배열 방향을 따른 일단측의 스로틀 바디(48…)의 외측면에는, 상호 연동, 연결된 스로틀 밸브(61…)에 연결되는 스로틀 드럼(63…)이 배치된다.
전부 뱅크(BF) 및 후부 뱅크(BR)에 각각 대응한 상기 스로틀 드럼(63…)에는, 스로틀 밸브(61…)를 개폐 작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스로틀 케이블(64…, 65…)의 일단부가 상호 역방향으로부터 각각 감겨져 걸어 맞춰져 있고, 그들의 스로틀 케이블(64…, 65…)이, 클리너 케이스(50A) 중 미정화실(51A)에 면한 부분, 이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케이스 부재(55A)의 미정화실(51A)에 면한 부분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50A)의 제2 케이스 부재(55A)에 그로멧(67…)이 장착되어 있고, 쌍을 이루는 2종의 상기 스로틀 케이블(64…, 65…)은, 각 그로멧(67…)에 삽입 통과된다.
그런데, 엔진의 고속 회전시에 연료를 분사하는 제1 인젝터(68…)가, 정화실(52A)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에어클리너(29A)의 클리너 케이스(50A)에서의 천장 부분에서 제3 케이스 부재(56A)에 각 기통마다 장착되어 있고, 제1 인젝터(68…)에 대응한 정화실(52A) 내에 각 기통에 대응한 에어펀넬(49…)이 배치된다. 또 미정화실(51A) 중 상기 정화실(52A)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부분을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에어펀넬(49…)에 연결되는 스로틀 바디(48…)와, 스로틀 바디(48…) 및 실린더 헤드(28F) 사이를 연결하는 흡기관(47…)이 배치되어 있고, 엔진의 운전 상태에서는 항상 연료를 분사하는 제2 인젝터(69…)가 각 기통마다 흡기관(47…)에 장착되며, 제2 인젝터(69…)도 클리너 케이스(50A)의 미정화실(51A)에 수용된다.
그리고 제2 인젝터(69…)에 연결되는 도선이나, 스로틀 바디(48…)에 장착되는 센서에 연결되는 도선도, 상기 스로틀 케이블(64, 65)과 동일한 구조로 제2 케이스 부재(55A)를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다음에 이 제1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하면, 에어클리너(29A)의 클리너 케이스(50A) 내에, 스로틀 바디(48…)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스로틀 바디(48…)의 작동음이 클리너 케이스(50A) 외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스로틀 바디(48…)를 클리너 케이스(50A)에 수용되는 것 만의 간단한 구조로 스로틀 바디(48…)의 작동음을 차단할 수 있으며, 또한 빗물 등이 스로틀 바디(48…)에 직접 닿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 미정화실(51A)은, 그 일부를 흡기 챔버(66A)로서 기능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고, 흡기 챔버(66A)를 형성하는 전용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수를 저감하여 비용 다운을 도모할 수 있으며, 제2 인젝터(69…)도 미정화실(51A)에 수용되므로, 제2 인젝터(69…)를 클리너 케이스(50A)에서 덮어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제2 인젝터(69…)의 작동음이 클리너 케이스(50A) 외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제2 인젝터(69…)의 작동음을 차음할 수 있다.
또 클리너 엘리먼트(53)가 미정화실(51A)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미정화실(51A)에 도입된 공기가 미정화실(51A) 위쪽의 클리너 엘리먼트(53)측으로 상부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미정화실(51A)에 먼지나 티끌 등이 잔류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클리너 엘리먼트(53)가 오염되기 어렵고, 내구성이 향상한다.
또한, 스로틀 바디(48…)가 미정화실(51A)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클리너 케이스(50A) 내에 스로틀 바디(48…)가 수용됨에 따라서 에어클리너(29A)에 의한 공기 정화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고, 스로틀 바디(48…)의 스로틀 밸브(61…)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스로틀 케이블(64…, 65…)이, 클리너 케이스(50A)의 미정화실(51A)에 면한 부분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있기 때문에, 클리너 케이스(50A)를 스로틀 케이블(64…, 65…)이 관통하는 부분의 기밀 유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 미정화실(51A)에 면한 부분에서 클리너 케이스(50A)의 제2 케이스 부재(55A)에 그로멧(67)이 장착되고, 상기 스로틀 케이블(64, 65)이 이 그로멧(67)에 삽입 통과되기 때문에, 미정화실(51A) 및 외부 사이의 시일성을 용이하게 확보하면서 스로틀 케이블(64, 65)을 클리너 케이스(50A)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50A)는, 제1, 제2 및 제3 케이스 부재(54A, 55A, 56A)가 제2 케이스 부재(55A)를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A, 56A)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에어클리너(29A)로부터의 정화 공기를 인도하도록 스로틀 바디(4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실린더 헤드(28F, 28R)에 접속되는 흡기 통로부(45)에 제1 케이스 부재(54A)가 지지되고,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A, 55A)를 상호 결합하는 것인 제3 케이스 부재(56A)를 떼어낸 상태로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A, 55A) 내에 삽입되는 클리너 엘리먼트(53)가, 이 클리너 엘리먼트(53)를 덮는 제3 케이스 부재(56A)의 제2 케이스 부재(55A)로의 결합에 따라서 클리너 케이스(50A)에 지지된다. 따라서, 클리너 케이스(50A) 내에 스로틀 바디(48)를 포함하는 보기류(補機類)가 수용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에어클리너(50A)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50A) 내에 스로틀 바디(48)를 포함하는 보기류가 수용되기 때문에, 클리너 케이스(50A)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 실시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엔진 본체(17)의 양 뱅크(BF, BR)에서의 실린더 헤드(28F, 28R)의 상부 측벽에는, 그들 실린더 헤드(28F, 28R) 위쪽의 에어클리너(29B)로부터의 정화 공기를 인도하도록 하여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는 흡기 통로부(45…)가 각 기통마다 접속된다.
에어클리너(29B)는, 내부가 미정화실(51B) 및 정화실(52B)로 구획된 클리너 케이스(50B) 내에, 상기 미정화실(15B)로부터 정화실(52B)로 유통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클리너 엘리먼트(53)가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흡기 통로부(45…)의 스로틀 바디(48) 및 에어펀넬(49…)은 클리너 케이스(50B)의 정화실(52B)에 수용된다.
클리너 케이스(50B)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및 제3 케이스 부재(54B, 55B, 56B)가 제2 케이스 부재(55B)를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B, 56B)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B, 56B)는, 상호 대향하는 측을 개구한 보울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케이스 부재(55B)는,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B, 56B)의 개구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여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흡기 통로부(45…)의 인슐레이터(46…)에 지지되는 제1 케이스 부재(54B)와, 제2 및 제3 케이스 부재(55B, 56B)의 사이에, 클리너 엘리먼트(53)의 지지틀(71B)이 장착되어 있고, 클리너 케이스(50B) 내에 클리너 엘리먼트(53) 및 지지틀(71B)에 의해서 미정화실(51B) 및 정화실(52B)로 구획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B, 55B)를 상호 결합하는 것인 제3 케이스 부재(56B)를 떼어낸 상태로,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53)의 지지틀(71B)을 제1 케이스 부재(54B)측에 장착하면서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B, 55B) 내에 삽입하여, 클리너 엘리먼트(53)를 덮도록 하여 제3 케이스 부재(56B)를 제2 케이스 부재(55B)에 결합함으로써, 클리너 케이스(50B)가 구성되는 동시에 클리너 엘리먼트(53)가 클리너 케이스(50B)에 지지되게 된다.
또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A, 55B)의 양측에는, 미정화실(51B)에 통하도록 하여 공기 도입 구멍(72, 73)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들 공기 도입 구멍(72, 73)을 통해서 미정화실(51B) 내에 외부로부터의 공기가 흡입된다.
전부 뱅크(BF) 및 후부 뱅크(BR)에 각각 대응한 스로틀 드럼(63…)에 일단부가 감겨져 걸어 맞춰지는 스로틀 케이블(64…, 65…)은, 클리너 케이스(50B) 중 정화실(52B)에 면하는 부분, 이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케이스 부재(54B)의정화실(52B)에 면하는 부분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50B)의 제1 케이스 부재(54B)에 그로멧(70…)이 장착되어 있고, 쌍을 이루는 2조의 상기 스로틀 케이블(64…, 65…)은, 각 그로멧(70…)에 삽입 통과된다.
이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에어클리너(29B)의 클리너 케이스(50B) 내에, 스로틀 바디(48…)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스로틀 바디(48…)의 작동음이 클리너 케이스(50B) 외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스로틀 바디(48…)를 클리너 케이스(50B)에 수용하는 것 만의 간단한 구조로 스로틀 바디(48…)의 작동음 차음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스로틀 바디(48…)가 정화실(52B)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스로틀 바디(48…)를 청정한 분위기로 배치할 수 있고, 스로틀 바디(48…)의 작동부의 작동에 먼지나 티끌에 의한 악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50B)는, 제1, 제2 및 제3 케이스 부재(54B, 55B, 56B)가 제2 케이스 부재(55B)를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B, 56B)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흡기 통로부(45)에 제1 케이스 부재(54B)가 지지되고,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B, 55B)를 상호 결합하는 것인 제3 케이스 부재(56A)를 떼어낸 상태로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B, 55B) 내에 삽입되는 클리너 엘리먼트(53)가, 이 클리너 엘리먼트(53)를 덮는 제3 케이스 부재(56B)의 제2 케이스 부재(55B)로의 결합에 따라서 클리너 케이스(50B)에 지지된다. 따라서 클리너 케이스(50B) 내에 스로틀 바디(48)를 포함하는 보기류가 수용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에어클리너(50B)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클리너 엘리먼트(53)의 지지틀(71B)은, 제1 케이스 부재(54B)와, 제2 및 제3 케이스 부재(55B, 56B) 사이에 장착하여 지지되는 것으로, 지지틀(71B)을 장착하기 위한 전용의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수를 저감하여, 클리너 엘리먼트(53)의 지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50B) 내에, 스로틀 바디(48)를 포함하는 보기류가 수용되기 때문에, 클리너 케이스(50B)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5는 에어클리너 부근의 종단측면도, 도 6은 도 5의 6-6선을 따라서 절취한 단면도이다.
이 자동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B)은, 헤드 파이프(74)로부터 뒤쪽 하부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파이프 형상의 메인 프레임(75, 75)과, 헤드 파이프(74)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다운 튜브(76)와, 상기 양 메인 프레임(75, 75)의 후부로부터 뒤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시트 레일(77…)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75, 75) 및 다운 튜브(76)에 직렬 다기통, 예를 들면 직렬 4기통의 엔진 본체(78)가 지지된다.
또 상기 양 메인 프레임(75…) 및 양 시트 레일(77…)의 위쪽에는 연료 탱크(79)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엔진 본체(78) 및 연료 탱크(79) 사이에 에어클리너(80A)가 배치된다.
연료 탱크(79)는, 아래쪽으로 개방된 보울형상의 탱크 케이스(81)와, 이 탱크 케이스(81)의 하부 개방단을 막는 바닥판(8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탱크 케이스(81)의 하부 개방단 주변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는 플랜지부(81a)에 바닥판(82)의주변 가장자리부가 코킹 결합된다.
엔진 본체(78)에서의 실린더 헤드(83)의 상부 측벽에는, 상기 에어클리너(80A)로부터의 정화 공기를 인도하도록 하여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흡기 통로부(84…)가 각 기통마다 접속된다.
이 흡기 통로부(84)는, 실린더 헤드(83)의 상부 측벽에 접속되는 흡기관(85)과, 흡기관(85)의 상류단에 접속되는 인슐레이터(86)와, 이 인슐레이터(86)에 하류단이 접속되는 스로틀 바디(87)와, 스로틀 바디(87)의 상류단에 접속되는 에어펀넬(88)을 구비하는 것으로, 스로틀 바디(87) 및 에어펀넬(88)은, 에어클리너(80A)의 클리너 케이스(89A) 내에 수용되고, 스로틀 바디(87)에는 인젝터(90)가 장착된다.
클리너 케이스(89A)는, 상기 연료 탱크(79)의 바닥판(82)과, 이 바닥판(82)의 외주부의 사이에 단이 없는 형상의 가스켓(91)을 개재시킨 합성 수지제의 케이스 부재(92A)로 구성되는 것으로, 케이스 부재(92A)의 외주부에 설치된 플랜지부(107)와 바닥판(82)의 외주부의 사이에 상기 가스켓(91)이 끼워져 장착된다. 즉 클리너 케이스(89A)는, 연료 탱크(79)의 바닥판(82)을 천장부로 하도록 하여 구성되고, 바닥판(82)에는, 클리너 케이스(89A)의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위쪽으로 오목한 오목부(82a)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07)의 양측은 상기 차체 프레임(FB)의 양 메인 프레임(75…) 상에 올려져 있고, 양 메인 프레임(75…) 사이 및 양 시트 레일(77…) 사이에 각각 걸쳐져서 설치된 크로스 멤버(93, 94)에 상기 플랜지부(107)의 전부 및 후부가 체결된다. 또 케이스 부재(92A)는, 흡기 통로부(84…)에 지지되는 것으로, 이 제3 실시예에서는, 흡기 통로부(84…)의 인슐레이터(85…)에 케이스 부재(92A)가 지지된다.
그런데, 클리너 케이스(89A) 내는, 미정화실(95A) 및 정화실(96A)로 구획되는 것으로, 정화실(96A)은, 각 에어펀넬(88…)의 상류단부에 지지되어 보울형상으로 형성되는 칸막이 판(97)과, 이 칸막이 판(97)에 장착되어 칸막이 판(97)의 개구단을 덮는 클리너 엘리먼트(98)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류 개구단에 백파이어 스크린(99…)이 장착된 에어펀넬(88…)이 정화실(96A)에 수용되며, 상기 칸막이 판(97) 및 클리너 엘리먼트(98)의 바깥쪽에서 클리너 케이스(89A) 내에 형성되는 미정화실(95A)에 각 스로틀 바디(87…)가 수용된다.
또 케이스 부재(92A)의 전부에는, 미정화실(95A)에 통하도록 하여 흡기 덕트(100)가 접속된다. 또한 각 스로틀 바디(87…)의 스로틀 밸브(101…)에 연동·연결 수단(102…)으로 상호 결합되고, 각 스로틀 바디(87…)의 배열 방향을 따른 일단측의 스로틀 바디(87)의 외측면에는, 상호 연동, 결합된 스로틀 밸브(101…)에 연결되는 스로틀 드럼(103)이 배치되며, 이 스로틀 드럼(103)에 감겨져 걸어 맞춰진 스로틀 케이블(104, 105)이 클리너 케이스(89A) 중 미정화실(95A)에 면하는 부분, 이 제3 실시예에서는 케이스 부재(92A)의 미정화실(95A)에 면하는 부분에 장착된 그로멧(106)에 삽입 통과되고, 케이스 부재(92A)를 관통하도록 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이 제3 실시예에 의하면, 에어클리너(80A)의 클리너 케이스(89A) 내에, 스로틀 바디(87…) 및 인젝터(90…)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스로틀 바디(87…) 및 인젝터(90…)의 작동음이 클리너 케이스(89A) 외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스로틀 바디(87…) 및 인젝터(90…)를 클리너 케이스(89A)에 수용하는 것 만의 간단한 구조로 스로틀 바디(87…) 및 인젝터(90…)의 작동음을 차음할 수 있다.
또 스로틀 바디(87…)가 미정화실(95A)에 수용되어 있고, 스로틀 바디(87…)의 스로틀 밸브(101…)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스로틀 케이블(104, 105)이 클리너 케이스(89A)의 미정화실(95A)에 면하는 부분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있기 때문에, 클리너 케이스(89A)를 스로틀 케이블(104, 105)이 관통하는 부분의 기밀 유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 클리너 케이스(89A)의 케이스 부재(92A)에 그로멧(106)이 장착되고, 상기 스로틀 케이블(104, 105)이 이 그로멧(106)에 삽입 통과되기 때문에, 미정화실(95A) 및 외부 사이의 시일성을 용이하게 확보하면서 스로틀 케이블(104, 105)을 클리너 케이스(89A)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89A)의 천장부가, 연료 탱크(79)의 전장부(82)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수를 적게 하여 클리너 케이스(89A)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89A) 내에 스로틀 바디(87)를 포함하는 보기류가 수용되기 때문에, 클리너 케이스(89A)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7은 에어클리너 부근의 종단측면도, 도 8은 도 7의 8-8선을 따라서 절취한 단면도이다.
자동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B)이 구비하는 메인 프레임(75…) 및 시트레일(77…)의 위쪽에는 연료 탱크(79)가 배치되어 있고, 흡기 통로부(84…)의 인슐레이터(86…)에 지지되는 케이스 부재(92B)와 연료 탱크(79)의 바닥판(82)으로 클리너 케이스(89B)가 구성되는 에어클리너(80B)가, 엔진 본체(78) 및 연료 탱크(79)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연료 탱크(79)의 바닥판(82) 및 케이스 부재(92B) 사이에는, 클리너 케이스(89B) 내를 미정화실(95B) 및 정화실(96B)로 구획하는 클리너 엘리먼트(108)가 설치되어 있고, 정화실(96B)에 에어펀넬(88…) 및 스로틀 바디(87…)가 수용된다.
각 스로틀 바디(87…)의 배열 방향을 따른 일단측의 스로틀 바디(87)의 외측면에 배치된 스로틀 드럼(103)에 감겨져 걸어 맞춰지는 스로틀 케이블(104, 105)은, 클리너 케이스(89B) 중 정화실(96B)에 면하는 부분, 이 제4 실시예에서는 케이스 부재(92)의 정화실(96B)에 면하는 부분에 장착된 그로멧(109)에 삽입 통과되어, 케이스 부재(92B)를 관통하도록 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이 제4 실시예에 의하면, 에어클리너(80B)의 클리너 케이스(89B) 내에, 스로틀 바디(87…)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스로틀 바디(87…)의 작동음이 클리너 케이스(89B) 외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스로틀 바디(87…)를 클리너 케이스(89B)에 수용하는 것 만의 간단한 구조로 스로틀 바디(87…)의 작동음을 차음할 수 있다.
또 스로틀 바디(87…)가 정화실(96B)에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스로틀 바디(87…)를 청정한 분위기로 배치할 수 있고, 스로틀 바디(87…)의 작동부의 작동에 먼지나 티끌 등에 의한 악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89B) 내에, 스로틀 바디(87)를 포함하는 보기류가 수용되기 때문에, 클리너 케이스(89B)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9는 에어클리너 부근의 종단측면도, 도 10은 도 9의 10-10선을 따라서 절취한 단면도이다.
직렬 다기통, 예를 들면 직렬 4기통의 엔진 본체(78)의 위쪽에는, 에어클리너(29C)가 배치되고, 엔진 본체(78)에서의 실린더 헤드(83)의 상부 측벽에는, 상기 에어클리너(29C)로부터의 정화 공기를 인도하도록 하여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흡기 통로부(45…)가 각 기통마다 접속된다.
상기 흡기 통로부(49)는, 실린더 헤드(83)의 상부 측벽에 접속되는 인슐레이터(46)와, 하류단이 인슐레이터(46)에 접속되는 흡기관(47)과, 이 흡기관(47)의 상류단에 하류단이 접속되는 스로틀 바디(48)와, 스로틀 바디(48)의 상류단에 접속되는 에어펀넬(49)을 구비하는 것으로, 흡기관(47), 스로틀 바디(48) 및 에어펀넬(49)은, 에어클리너(29C)의 클리너 케이스(50C) 내에 수용된다.
에어클리너(29C)는, 내부가 미정화실(51C) 및 정화실(52C)로 구획된 클리너 케이스(50C) 내에 상기 미정화실(51C)로부터 정화실(52C)로 유통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클리너 엘리먼트(53)가 수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스로틀 바디(48…)는 클리너 케이스(50C)의 미정화실(51C)에 수용되고, 에어펀넬(49…)은 클리너 케이스(50C)의 정화실(52C)에 수용된다.
클리너 케이스(50C)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및 제3 케이스 부재(54C, 55C, 56C)가 제2 케이스 부재(55C)를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C, 56C)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C, 56C)는, 상호 대향하는 측을 개구한 보울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케이스 부재(55C)는,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C, 56C)의 개구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여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및 제3 케이스 부재(55C, 56C)의 결합단 사이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칸막이 판(110)의 전체 주변 가장자리부가 기밀하게 끼워져 유지되는 것으로, 클리너 케이스(50C) 내는, 상기 칸막이 판(110)에 의해서 미정화실(51C) 및 정화실(52C)로 구획된다.
또한 클리너 엘리먼트(53)의 지지틀(71C)은 자동이륜차의 전후 방향을 따른 전부에서 상기 칸막이 판(110)에 설치된 개구부(111)에 면하여 칸막이 판(110)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C, 55C)를 상호 결합하는 것인 제3 케이스 부재(56C)를 떼어낸 상태로, 상기 칸막이 판(110)에 지지틀(71C)이 장착된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53)를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C, 55C) 내에 삽입하고, 그 클리너 엘리먼트(53) 및 칸막이 판(110)을 덮도록 하여 제3 케이스 부재(56C)를 제2 케이스 부재(55C)에 결합함으로써, 클리너 케이스(50C)가 구성되는 동시에 클리너 엘리먼트(53)가 클리너 케이스(50C)에 지지되게 된다.
제1 케이스 부재(54C)는, 흡기 통로부(45…)에 지지되는 것으로, 이 제5 실시예에서는, 흡기 통로부(45…)의 흡기관(47…) 및 실린더 헤드(83) 사이에 각각 끼워져 장착되는 링 형상의 인슐레이터(46…)를 실린더 헤드(83)와의 사이에 끼워서 각 흡기관(47…)을 실린더 헤드(83)에 체결함으로써, 제1 케이스 부재(54C)가각 인슐레이터(46…), 즉 다수의 흡기 통로부(45…)에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각 스로틀 바디(48…)는, 칸막이 판(110) 및 흡기관(47…)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미정화실(51C)에 수용되는 것이고, 각 스로틀 바디(48…)에 접속되는 에어펀넬(49…)은, 칸막이 판(110)으로부터 정화실(52C) 내로 돌입된다.
또 자동이륜차의 전후 방향을 따른 제1 케이스 부재(54C)의 전부에는, 미정화실(51C)에 통하도록 하여 공기 도입 구멍(112)이 설치되어 있고, 그 공기 도입 구멍(112)을 통해서 미정화실(51C) 내에 외부로부터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기 덕트(113)가 제1 케이스 부재(54C)의 양측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흡기 덕트(113)로부터 미정화실(51C) 내로 도입된 공기는 미정화실(51C) 내의 전부로부터 클리너 엘리먼트(53)측으로 흐르게 되고, 미정화실(51C) 내에서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53)로부터 먼 측의 부분, 즉 후부는, 흡기 챔버(66B)로서 기능하게 되며, 미정화실(51C)은 그 일부를 흡기 챔버(66B)로서 기능시키도록 형성되게 된다.
각 스로틀 바디(48…)가 구비하는 스로틀 밸브(61…)는, 연동·연결 수단(62…)으로 상호 결합되고, 각 스로틀 바디(48…)의 배열 방향을 따른 일단측의 스로틀 바디(48)의 외측면에는, 상호 연동, 연결된 스로틀 밸브(61…)에 연결되는 스로틀 드럼(63)이 배치된다.
스로틀 드럼(63)에는, 스로틀 밸브(61…)를 개폐 작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스로틀 케이블(64, 65)의 일단부가 상호 역방향으로부터 각각 감겨져 걸어 맞춰져 있고, 그들 스로틀 케이블(64, 65)이, 클리너 케이스(50C) 중 미정화실(51C)에 면하는 부분, 이 제5 실시예에서는 제2 케이스 부재(55C)의 전부의 미정화실(51C)에 면하는 부분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또한 제2 케이스 부재(55C)에 그로멧(67)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로틀 케이블(64, 65)은 그로멧(67)에 삽입 통과된다.
그런데, 엔진의 고속 회전시에 연료를 분사하는 제1 인젝터(68…)는, 정화실(52C)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에어클리너(29C)의 클리너 케이스(50C)에서의 천장 부분에서 제3 케이스 부재(56C)에 각 기통마다 장착되어 있고, 제1 인젝터(68…)에 대응한 정화실(52C) 내에 각 기통에 대응한 에어펀넬(49…)이 배치된다. 또 미정화실(51C) 중 상기 정화실(52C)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부분을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에어펀넬(49…)에 연결되는 스로틀 바디(48…)와, 스로틀 바디(48…) 및 실린더 헤드(83) 사이를 연결하는 흡기관(47…)이 배치되어 있고, 엔진의 운전 상태에서는 항상 연료를 분사하는 제2 인젝터(69…)가 각 기통마다 흡기관(47…)에 장착되며, 제2 인젝터(69…)도 클리너 케이스(50C)의 미정화실(51C)에 수용된다.
그리고 제2 인젝터(69…)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딜리버리 파이프(115)는 미정화실(51C)에 수용되어 있고, 딜리버리 파이프(115)에 접속되는 연료도관(116)과, 제2 인젝터(69…)에 접속되는 도선(117…)이 미정화실(51C)에 면한 부분에서 클리너 케이스(50C)의 제2 케이스 부재(55C)에 장착되는 그로멧(118)에 삽입 통과되도록 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이 제5 실시예에 의하면, 에어클리너(29C)의 클리너 케이스(50C) 내에, 스로틀 바디(48…)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스로틀 바디(48…)의 작동음이 클리너 케이스(50C) 외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스로틀 바디(48…)를 클리너 케이스(50C)에 수용하는 것 만의 간단한 구조로 스로틀 바디(48…)의 작동음을 차음할 수 있으며, 또한 빗물 등이 스로틀 바디(48…)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미정화실(51C)은, 그 일부를 흡기 챔버(66C)로서 기능시키도록 형성되어 있고, 흡기 챔버(66C)를 형성하는 전용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수를 저감하여 비용 다운을 도모할 수 있으며, 제2 인젝터(69…)도 미정화실(51C)에 수용되기 때문에, 제2 인젝터(69…)를 클리너 케이스(50C)로 덮어서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제2 인젝터(69…)의 작동음이 클리너 케이스(50C) 외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제2 인젝터(69…)의 작동음을 차음할 수 있다.
또 스로틀 바디(48…)가 미정화실(51C)에 수용되어 있고, 스로틀 바디(48…)의 스로틀 밸브(61…)를 개폐 구동하기 위한 스로틀 케이블(64, 65)이, 클리너 케이스(50C)의 미정화실(51C)에 면한 부분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어 있기 때문에, 클리너 케이스(50C)를 스로틀 케이블(64, 65)이 관통하는 부분의 기밀 유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50C)는, 제1, 제2 및 제3 케이스 부재(54C, 55C, 56C)가 제2 케이스 부재(55C)를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C, 56C)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에어클리너(29C)로부터의 정화 공기를 인도하도록 스로틀 바디(4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실린더 헤드(83)에 접속되는 흡기 통로부(45)에 제1 케이스 부재(54C)가 지지되고,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C, 55C)를 상호 결합하는 것인 제3 케이스 부재(56C)를 떼어낸 상태로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C, 55C) 내에 삽입되는 클리너 엘리먼트(53)가, 이 클리너 엘리먼트(53)를 덮는 제3 케이스 부재(56C)의 제2 케이스 부재(55C)로의 결합에 따라서 클리너 케이스(50C)에 지지된다. 따라서 클리너 케이스(50C) 내에 스로틀 바디(48)를 포함하는 보기류가 수용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에어클리너(50C)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클리너 케이스(50C)의 제2 케이스 부재(55C)에 그로멧(67)이 장착되고, 상기 스로틀 케이블(64, 65)이 이 그로멧(67)에 삽입 통과되기 때문에, 미정화실(51C) 및 외부 사이의 시일성을 용이하게 확보하면서 스로틀 케이블(64, 65)을 클리너 케이스(50C)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 클리너 케이스(50C)의 제2 케이스 부재(55C)에 그로멧(118)이 장착되고, 미정화실(51C)에 수용된 제2 인젝터(69…)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도관(116) 및 제2 인젝터(69…)에 접속되는 도선(117…)이 상기 그로멧(118)에 삽입 통과되기 때문에, 미정화실(51C) 및 외부 사이의 시일성을 용이하게 확보하면서 연료도관(116) 및 도선(117…)을 클리너 케이스(50C)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또한 클리너 케이스(50C) 내에 스로틀 바디(48)를 포함하는 보기류가 수용되기 때문에, 클리너 케이스(50C)의 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1은 자동이륜차의 주요부 측면도, 도 12는 에어클리너 부근의 종단면도이다.
우선 도 11에서, 이 자동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C)은, 프론트 포크(121)를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122)와, 이 헤드 파이프(122)로부터 뒤쪽 후부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메인 프레임(123…)과, 헤드 파이프(122) 및 양 메인 프레임(123…)의 전부에 용접되어 메인 프레임(123…)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엔진 행거(124…)와, 양 엔진 행거(124…)의 하부 및 메인 프레임(123…)의 후부에 설치된 지지판부(131…)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125…)와, 메인 프레임(123…)의 후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피봇 플레이트(126…)와, 상기 메인 프레임(123…)의 전부 사이에 걸쳐져서 설치되는 제1 크로스 파이프(127)와, 상기 양 피봇 플레이트(126…)의 상부 사이에 걸쳐져서 설치되는 제2 크로스 파이프(128)와, 상기 양 피봇 플레이트(126…)의 하부 사이에 걸쳐져서 설치되는 제3 크로스 파이프(129)와, 뒤쪽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양 메인 프레임(123…)의 후부에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시트 레일(130…)을 구비한다.
프론트 포크(121)의 상부에는, 좌우 개별의 바 형상의 조향 핸들(132…)이 연결된다. 또 차체 프레임(FC)의 전단부, 즉 헤드 파이프(122)와, 프론트 포크(121)의 사이에는, 스티어링 댐퍼(133)가 설치된다.
상기 양 엔진 행거(124…)의 하부 및 상기 양 피봇 플레이트(126…)의 상부 및 하부에는, 차체 프레임(FC)의 폭 방향으로, 예를 들면 4기통을 병렬 배치한 다기통 엔진의 엔진 본체(78)가 지지된다.
상기 양 피봇 플레이트(126…)의 상하 방향 중간부에는, 스윙 아암(136)의 전단부가 지지축(137)을 통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스윙 아암(136)의 후단부에 후륜의 차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엔진 본체(78)에 내장된 변속기의 출력축(139)으로부터의 동력은, 체인 전동 수단(140)을 통해서 후륜(WR)에 전달되는 것이고, 이 체인 전동 수단(140)은, 상기 출력축(139)에 고정되는 구동 스프로켓(141)과, 후륜에 고정되는 피동 스프로켓(도시하지 않음)과, 구동 스프로켓(141) 및 피동 스프로켓에 감겨지는 무단 형상의 체인(143)으로 구성되며, 자동이륜차의 진행 방향 전방을 향한 상태로 엔진의 좌측에 배치된다.
양 피봇 플레이트(126…)의 하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3 크로스 파이프(129) 및 스윙 아암(136) 사이에는 링크 기구(144)가 설치되어 있고, 이 링크 기구(144)는, 지지축(137)과 평행한 제1 연결축(147)의 축선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하여 일단부가 상기 제3 크로스 파이프(129)에 연결되는 제1 링크(145)와, 제1 연결축(147)과 평행한 제2 연결축(150)의 축선 주위에 회동 가능하게 하여 스윙 아암(136)의 하부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1 및 제2 연결축(147, 150)과 평행한 제3 연결축(151)을 통해서 제1 링크(145)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제2 링크(146)를 구비한다.
또 제1 링크(145)의 타단부는 제2 링크(146)의 후부에 제3 연결축(151)을 통해서 연결되어 있고, 스윙 아암(136)의 전부에 설치된 브래킷(136a)에 상단부가 연결된 리어쿠션 유닛(152)의 하단부가, 제2 링크(146)의 전부에 제4 연결축(153)을 통해서 연결된다.
엔진 본체(78)에서의 실린더 헤드(83)의 위쪽에는,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클리너(29D)가, 차체 프레임(FC)에서의 헤드 파이프(12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배치되고, 이 에어클리너(29D)의 후부 및 상부를 덮는 연료 탱크(154)가 차체 프레임(FC)에서의 양 메인 프레임(123…) 상에 탑재되며, 또 엔진 본체(78)의 전방에 라디에이터(155)가 배치된다. 상기 연료 탱크(154)의 후방에서 시트 레일(130…)에는, 탑승자를 착석시키기 위한 시트(156)가 지지된다.
엔진 본체(78)의 실린더 헤드(83)에 연결되는 배기 시스템(160)은, 실린더 헤드(83)의 전방측 측벽 하부에 개별로 접속되는 개별 배기관(161, 161…)과, 한쌍의 개별 배기관(161, 161)을 공통으로 접속시키는 한쌍의 제1 집합 배기관(162…)과, 한쌍의 제1 집합 배기관(162…)이 공통으로 접속되는 동시에 중간부에는 제1 배기 머플러(164)가 끼워져 설치되는 단일한 제2 집합 배기관(163)과, 제2 집합 배기관(163)의 하류단에 접속되는 제2 배기 머플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각 개별 배기관(161, 161…)은, 엔진 본체(78)의 전방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고, 제1 집합 배기관(162…)은 엔진 본체(78)의 아래쪽에서 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또 제2 집합 배기관(163)은, 엔진 본체(78)의 아래쪽으로부터 차체 우측을 향하도록 만곡되면서 상승되고, 또한 후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1 배기 머플러(164)는 제2 집합 배기관(163)의 상승부에 끼워져 설치된다.
제2 집합 배기관(163)의 중간부에는 직경 확대부(163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직경 확대부(163a) 내에, 제2 집합 배기관(163) 내의 유통 면적을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서 변화시켜서 배기 시스템(160)에서의 배기 맥동을 제어하기 위한 배기 제저 밸브(166)가 배치된다.
차체 프레임(FC)에서의 한쪽의 지지판부(131)에는 엑츄에이터(159)가 지지되어 있고, 상기 배기 제어 밸브(166) 및 엑츄에이터(159) 사이에는 한쌍의 전동 와이어(167, 168)로 연결되어, 엑츄에이터(159)의 작동에 따라서 전동 와이어(167, 168)의 한쪽이 견인됨으로써 상기 배기 제어 밸브(166)가 개폐 구동된다.
도 12에서, 실린더 헤드(83)의 상부 측벽에는, 이 실린더 헤드(83)의 위쪽의 에어클리너(29D)로부터의 정화 공기를 인도하도록 하여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흡기 통로부(45…)가 각 기통마다 접속되는 것으로, 이 흡기 통로부(45…)가 구비하는 스로틀 바디(48)는 흡기관(47) 및 인슐레이터(46)를 통해서 실린더 헤드(83)의 상부측벽에 접속된다.
에어클리너(29D)는, 내부가 미정화실(51D) 및 정화실(52D)로 구획된 클리너 케이스(50D) 내에 상기 미정화실(51D)로부터 정화실(52D)로 유통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원통형상의 클리너 엘리먼트(157)가, 미정화실(51D)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고정적으로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스로틀 바디(48…)는 클리너 케이스(50D)의 미정화실(51D)에 수용되고, 에어펀넬(49…)은 클리너 케이스(50D)의 정화실(52D)에 수용된다.
클리너 케이스(50D)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및 제3 케이스 부재(54D, 55D, 56D)가 제2 케이스 부재(55D)를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D, 56D)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D, 56D)는, 상호 대향하는 측을 개구한 보울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케이스 부재(55D)는,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D, 56D)의 개구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여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및 제3 케이스 부재(55D, 56D)의 결합단 사이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칸막이 판(158)의 전체 주변 가장자리부가 기밀하게 끼워져 유지되는 것으로, 클리너 케이스(50D) 내는, 상기 칸막이 판(158)에 의해서 미정화실(51D) 및 정화실(52D)로 구획된다.
또한 클리너 엘리먼트(157)의 지지틀(156')은 자동이륜차의 전후 방향을 따른 전부에서 상기 칸막이 판(158)에 설치된 개구부(169)에 면하여 칸막이 판(158)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D, 55D)를 상호 결합하는 것인 제3 케이스 부재(56D)를 떼어낸 상태로, 상기 칸막이 판(158)에 지지틀(156')이 장착된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157)를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D, 55D) 내에 삽입하고, 그 클리너 엘리먼트(157) 및 칸막이 판(158)을 덮도록 하여 제3 케이스 부재(56D)를 제2 케이스 부재(55D)에 결합함으로써, 클리너 케이스(50D)가 구성되는 동시에 클리너 엘리먼트(157)가 클리너 케이스(50D)에 지지되게 된다.
제1 케이스 부재(54D)는, 흡기 통로부(45…)에 지지되어 있고, 흡기 통로부(45…)의 인슐레이터(46…)를 실린더 헤드(83)와의 사이에 끼워서 각 흡기관(47…)을 실린더 헤드(83)에 체결함으로써, 제1 케이스 부재(54D)가 각 인슐레이터(46…), 즉 다수의 흡기 통로부(45…)에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각 스로틀 바디(48…)는 칸막이 판(158) 및 흡기관(47…)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미정화실(51D)에 수용되는 것으로, 각 스로틀 바디(48…)에 접속되는 에어펀넬(49…)은, 칸막이 판(158)으로부터 정화실(52D) 내로 돌입된다.
차체 프레임(FC)의 전단에 설치되는 헤드 파이프(121)의 아래쪽에는, 에어클리너(29D)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 덕트(170)가 에어클리너(29D)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고, 이 흡기 덕트(170)의 후단부는, 미정화실(51D)의 전부에 외기를 도입하도록 하여 상기 클리너 케이스(50D)에서의 제1 케이스 부재(54D)의 전부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흡기 덕트(170)로부터 미정화실(51D) 내로 도입된 공기는 미정화실(51D) 내의 전부로부터 클리너 엘리먼트(157)측으로 흐르게 되고, 미정화실(51D) 내에서,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157)로부터 먼 측의 부분, 즉 후부는, 흡기 챔버(66C)로서 기능하게 되며, 미정화실(51D)은 그 일부를 흡기 챔버(66C)로서 기능시키도록 형성되게 된다.
상기 흡기 덕트(170)는 측면에서 볼 때에는 뒤쪽 상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흡기 덕트(170)의 전부는 차체 프레임(FC)에 지지된다. 또 흡기 덕트(170)의 아래쪽에는 라디에이터(155)가 배치되지만, 이 라디에이터(155)의 양측으로부터 스테이(171…)가 위쪽으로 연장 설치되며, 흡기 덕트(170)의 전부는 상기 스테이(171…)로 지지된다.
흡기 덕트(170)의 전부 내에는, 흡기 덕트(170) 내의 흡기 유통 면적을 엔진 회전수에 따라서 제어하기 위한 한쌍의 흡기 제어 밸브(172, 173)가 배치되어 있고, 그들 흡기 제어 밸브(172, 173)는 회동축(174)의 회동에 따라서 연동 작동하는 것으로, 회동축(173)에는 엑츄에이터(159)로부터 전동 와이어(175)(도 11 참조)를 통해서 회동력이 전달된다.
각 스로틀 바디(48…)가 구비하는 스로틀 밸브(61…)를 개폐 작동시키기 위한 한쌍의 스로틀 케이블(64, 65)의 일단부가 상호 역방향으로부터 각각 감겨져서 걸어 맞춰져 있고, 그들 스로틀 케이블(64, 65)이, 클리너 케이스(50D) 중 미정화실(51D)에 면한 부분, 이 제6 실시예에서는 제2 케이스 부재(55D)의 전부의 미정화실(51D)에 면한 부분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또한 제2 케이스 부재(55D)에 그로멧(67)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로틀 케이블(64, 65)은 그로멧(67)에 삽입 통과된다.
엔진의 고속 회전시에 연료를 분사하는 제1 인젝터(68…)는, 정화실(52D)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여 에어클리너(29D)의 클리너 케이스(50D)에서의 천장 부분에서 제3 케이스 부재(56D)에 각 기통마다 장착되어 있고, 제1 인젝터(68…)에 대응한 정화실(52D) 내에 각 기통에 대응한 에어펀넬(49…)이 배치된다. 또 미정화실(51D) 중 상기 정화실(52D)의 아래쪽에 배치되는 부분을 관통하도록 하여, 상기 에어펀넬(49…)에 연결되는 스로틀 바디(48…)와, 스로틀 바디(48…) 및 실린더 헤드(83) 사이를 연결하는 흡기관(47…)이 배치되어 있고, 엔진의 운전 상태에서는 항상 연료를 분사하는 제2 인젝터(69…)가 각 기통마다 흡기관(47…)에 장착되며, 제2 인젝터(69…)도 클리너 케이스(50D)의 미정화실(51D)에 수용된다.
제2 인젝터(69…)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딜리버리 파이프(115)는 미정화실(51D)에 수용되어 있고, 딜리버리 파이프(115)에 접속되는 연료도관(116)과, 제2 인젝터(69…)에 접속되는 도선(117…)이, 미정화실(51D)에 면한 부분에서 클리너 케이스(50D)의 제2 케이스 부재(55D)에 장착되는 그로멧(118)에 삽입 통과되도록 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이 제6 실시예에 의해서도 상기 제5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13은 자동이륜차의 측면도, 도 14는 에어클리너 부근의 종단면도이다.
우선 도 13에서, 이 자동이륜차의 차체 프레임(FD)은, 프론트 포크(121)를 조향 가능하게 지지하는 헤드 파이프(122)와, 이 헤드 파이프(122)로부터 뒤쪽 하부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메인 프레임(123'…)과, 헤드 파이프(122) 및 양 메인 프레임(123'…)의 전부에 용접되어 메인 프레임(123'…)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엔진 행거(124…)와, 양 엔진 행거(124…)의 하부 및 메인 프레임(123'…)의 후부에 설치된 지지판부(131…)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125…)와, 메인 프레임(123'…)의 후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좌우 한쌍의 피봇 플레이트(126…)와, 상기 메인 프레임(123'…)의 전부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는 제1 크로스 파이프(127)와, 상기 양 피봇 플레이트(126…)의 상부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는 제2 크로스 파이프(128)와, 상기 양 피봇 플레이트(126…)의 하부 사이에 걸쳐서 설치되는 제3 크로스 파이프(129)와, 뒤쪽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양 메인 프레임(123'…)의 후부에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시트 레일(130…)을 구비한다.
상기 양 엔진 행거(124…)의 하부 및 상기 양 피봇 플레이트(126…)의 상부 및 하부에는 지지되는 다기통 엔진의 엔진 본체(78)에서의 실린더 헤드(83)의 위쪽에는, 엔진에 공급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에어클리너(29E)가, 차체 프레임(FD)에서의 헤드 파이프(122)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배치되고, 이 에어클리너(29E)의 후부 및 상부를 덮는 연료 탱크(154)가 차체 프레임(FD)에서의 양 메인 프레임(123'…) 상에 탑재된다.
도 14에서, 실린더 헤드(83)의 상부 측벽에는, 이 실린더 헤드(83)의 위쪽의 에어클리너(29E)로부터의 정화 공기를 인도하도록 하여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흡기 통로부(45…)가 각 기통마다 접속되는 것으로, 이 흡기 통로부(45…)가 구비하는 스로틀 바디(48)는 흡기관(47) 및 인슐레이터(46)를 통해서 실린더 헤드(83)의 상부 측벽에 접속된다.
에어클리너(29E)는, 내부가 미정화실(51E) 및 정화실(52E)로 구획된 클리너 케이스(50E) 내에 상기 미정화실(51E)로부터 정화실(52E)로 유통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원통형상의 클리너 엘리먼트(157)가, 미정화실(51E)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하여 고정적으로 수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스로틀 바디(48…)는 클리너 케이스(50E)의 미정화실(51E)에 수용되고, 에어펀넬(49…)은 클리너 케이스(50E)의 정화실(52E)에 수용된다.
클리너 케이스(50E)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1, 제2 및 제3 케이스 부재(54E, 55E, 56E)가 제2 케이스 부재(55E)를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E, 56E)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E, 56E)는, 상호 대향하는 측을 개구한 보울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케이스 부재(55E)는,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E, 56E)의 개구단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여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및 제3 케이스 부재(55E, 56E)의 결합단 사이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칸막이 판(158)의 전체 주변 가장자리부가 기밀하게 끼워져 지지되는 것이고, 클리너 케이스(50E) 내는, 상기 칸막이 판(158)에 의해서 미정화실(51E) 및 정화실(52E)로 구획된다.
또한, 클리너 엘리먼트(157)의 지지틀(156')은 자동이륜차의 전후 방향을 따른 전부에서 상기 칸막이 판(158)에 설치된 개구부(169)에 면하여 칸막이 판(158)에 장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E, 55E)를 상호 결합하는 것인 제3 케이스 부재(56E)를 떼어낸 상태로, 상기 칸막이 판(158)에 지지틀(156)이 장착된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157)를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E, 55E) 내에 삽입하고, 그 클리너 엘리먼트(157) 및 칸막이 판(158)을 덮도록 하여 제3 케이스 부재(56E)를 제2 케이스 부재(55E)에 결합함으로써, 클리너 케이스(50E)가 구성되는 동시에, 클리너 엘리먼트(157)가 클리너 케이스(50E)에 지지되게 된다.
각 스로틀 바디(48…)는, 칸막이 판(158) 및 흡기관(47…)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여 미정화실(51E)에 수용되는 것으로, 각 스로틀 바디(48…)에 접속되는 에어펀넬(49…)은, 칸막이 판(158)으로부터 정화실(52E) 내로 돌입된다.
그런데 헤드 파이프(122)의 전방은, 프론트 카울(176)로 덮여지고, 차체의 전부 양측이, 상기 프론트 카울(176)에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센터 카울(177…)로 덮여지며, 엔진 본체(78)의 일부 및 배기 시스템(160)의 일부를 구성하는 개별 배기관(161…)의 대부분을 양측으로부터 덮는 로어 카울(178…)이 센터 카울(177…)에 연결 설치된다. 또 배기 시스템(160)이 그 하류단에 구비하는 제2 배기머플러(165)의 대부분 및 양 시트 레일(130…)의 후부는 리어 카울(179)로 덮여지고, 연료 탱크(154) 및 에어클리너(29E)는 커버(180)로 덮여진다.
상기 클리너 케이스(50E)에서의 제1 케이스 부재(54E)의 후부 양측에는 미정화실(51E)의 후부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 구멍(181…)이 설치되어 있고, 그들 흡기 구멍(181…)에 하류단을 도통시킨 흡기 덕트(182…)가 양 메인 프레임(123'…)의 중간부에 설치된 삽입 통과 구멍(183…)을 관통하여, 센터 카울(177…) 및 양 메인 프레임(123'…) 사이를 전방으로 연장시킨다.
이와 같이 흡기 덕트(182…)로부터 미정화실(51E) 내의 후부에 도입된 공기는 미정화실(51E) 내의 전부로부터 클리너 엘리먼트(157)측으로 흐르게 되고, 미정화실(51E) 내의 일부는 흡기 챔버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 제7 실시예에 의해서도 상기 제5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로틀 바디를 클리너 케이스에 수용하는 것 만의 간단한 구조로, 스로틀 바디의 작동음이 클리너 케이스 외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스로틀 바디의 작동음을 차음할 수 있고, 또 빗물 등이 스로틀 바디에 직접 닿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스로틀 바디에 인젝터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그 인젝터도 클리너 케이스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인젝터의 작동음을 클리너 케이스에서 차음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흡기 챔버를 형성하는 전용 부품을 필료로 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수를 저감하여 비용 다운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클리너 케이스의 일부를 흡기 챔버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흡기 장치 전체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클리너 케이스 내에 스로틀 바디가 수용됨에 따라서 에어클리너에 의한 공기 정화 성능이 저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로틀 바디로부터 연장되는 스로틀 케이블이 클리너 케이스를 관통하는 부분의 기밀 유지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미정화실 및 외부 사이의 시일성을 용이하게 확보하면서 스로틀 케이블을 클리너 케이스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인젝터를 클리너 케이스로 덮어서 보호할 수 있는 동시에, 인젝터의 작동음이 클리너 케이스 외로 누출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인젝터의 작동음을 차음할 수 있고, 또한 미정화실 및 외부 사이의 시일성을 용이하게 확보하면서 연료도관 및 도선을 클리너 케이스로부터 인출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클리너 케이스 내에 스로틀 바디를 포함하는 보기류가 수용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에어클리너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품수를 적게 하여 클리너 케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미정화실에 도입된 공기가 미정화실 위쪽의 클리너 엘리먼트측으로 상부 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미정화실에 먼지와 티끌 등이 잔류하기 쉽게 되기 때문에, 클리너 엘리먼트가 오염되기 어렵고, 내구성이 향상한다.

Claims (9)

  1. 내부가 미정화실(51A∼51E, 95A, 95B) 및 정화실(52A∼52E, 96A, 96B)로 구획된 클리너 케이스(50A∼50E, 89A, 89B) 내에 상기 미정화실(51A∼51E, 95A, 95B)로부터 정화실(52A∼52E, 96A, 96B)로 유통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클리너 엘리먼트(53, 98, 108, 157)가 수용되는 에어클리너(29A∼29E, 80A, 80B)와, 상기 정화실(52A∼52E, 96A, 96B)로부터 실린더 헤드(28F, 28R, 83)로 공급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스로틀 바디(48, 87)를 구비하는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 케이스(50A∼50E, 89A, 89B) 내에, 상기 스로틀 바디(48, 87)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정화실(51A, 51C∼51E)이, 그 일부를 흡기 챔버(66A, 66B, 66C)로서 기능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바디(48, 87)가 상기 미정화실(51A, 51C∼51E, 95A)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로틀 바디(48, 87)로부터 연장되는 스로틀 케이블(64, 65 ; 104, 105)이, 상기 클리너 케이스(50A, 50C∼50E, 89A)의 상기 미정화실(51A, 51C∼51E, 95A)에 면한 부분을 관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 케이스(50A, 50C∼50E, 89A)의 상기 미정화실(51A, 51C∼51E, 95A)에 면한 부분에 그로멧(67, 106)이 장착되고, 상기 스로틀 케이블(64, 65 ; 104, 105)이 이 그로멧(67, 106)에 삽입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연료를 분사하는 인젝터(69, 90)가 상기 미정화실(51A∼51C, 95A, 95B) 내에 수용되고, 상기 인젝터(69, 90)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도관(116) 및 상기 인젝터(69, 90)에 접속되는 도선(117)이, 상기 클리너 케이스(50A, 50C∼50E, 89A)의 상기 미정화실(51A, 51C∼51E, 95A)에 면한 부분에 장착되는 그로멧(118)에 삽입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 케이스(50A∼50E)는, 제1, 제2 및 제3 케이스 부재(54A∼54E ;55A∼55E ; 56A∼56E)가 제2 케이스 부재(55A∼55E)를 제1 및 제3 케이스 부재(54A∼54E ; 56A∼56E)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클리너(29A∼29E)로부터의 정화 공기를 인도하도록 상기 스로틀 바디(4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실린더 헤드(28F, 28R, 83)에 접속되는 흡기 통로부(45)에 상기 제1 케이스 부재(54A∼54E)가 지지되며,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A∼54E ; 55A∼55E)를 상호 결합하는 것인 제3 케이스 부재(56A∼56E)를 떼어낸 상태로 제1 및 제2 케이스 부재(54A∼54E ; 55A∼55E) 내에 삽입되는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53, 157)가, 이 클리너 엘리먼트(53, 157)를 덮는 제3 케이스 부재(56A∼56E)의 제2 케이스 부재(55A∼55E)로의 결합에 따라서 클리너 케이스(50A∼50E)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 케이스(89A, 89B)의 천장부가, 연료 탱크(79)의 바닥판(8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너 엘리먼트(53, 157)가, 상기 미정화실(51A∼51E)의 위쪽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
KR1020040049445A 2003-07-01 2004-06-29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 KR1005584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89220 2003-07-01
JPJP-P-2003-00189220 2003-07-01
JPJP-P-2004-00144115 2004-05-13
JP2004144115A JP4421941B2 (ja) 2003-07-01 2004-05-13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027A true KR20050004027A (ko) 2005-01-12
KR100558421B1 KR100558421B1 (ko) 2006-03-07

Family

ID=33436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445A KR100558421B1 (ko) 2003-07-01 2004-06-29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066135B2 (ko)
EP (1) EP1493915B1 (ko)
JP (1) JP4421941B2 (ko)
KR (1) KR100558421B1 (ko)
CN (1) CN1313717C (ko)
BR (1) BRPI0402526B1 (ko)
CA (1) CA2470872C (ko)
DE (1) DE602004000632T2 (ko)
MX (1) MXPA04006406A (ko)
TW (1) TWI2478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7635B2 (ja) * 2004-08-26 2008-10-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v型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JP4478058B2 (ja) * 2005-03-30 2010-06-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エアクリーナー装置
JP4422062B2 (ja) * 2005-04-11 2010-02-24 株式会社ケーヒン 燃料噴射装置
JP2007177688A (ja) * 2005-12-28 2007-07-12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燃料噴射装置
JP5027469B2 (ja) * 2006-01-17 2012-09-1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
DE102006039952B4 (de) * 2006-08-25 2012-12-20 Mahle International Gmbh Luftfilter
JP4778871B2 (ja) * 2006-09-29 2011-09-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JP2008128154A (ja) * 2006-11-24 2008-06-05 Yamaha Motor Co Ltd 車両
JP4425263B2 (ja) * 2006-12-13 2010-03-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型内燃機関のインジェクタ組付構造
JP5174547B2 (ja) * 2007-07-10 2013-04-0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吸気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備えた自動二輪車
US7735475B2 (en) * 2007-10-12 2010-06-15 Kenneth William Farrell Fuel injection body sized to replace carburetor body
JP5030837B2 (ja) 2008-03-31 2012-09-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小型車両用エンジンにおけるエアクリーナ構造
JP5624780B2 (ja) * 2010-03-23 2014-11-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クリーナ装置
DE102010033898B4 (de) * 2010-08-10 2014-03-20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Kraftstoffzufuhrsystem
KR101189235B1 (ko) * 2010-09-28 2012-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클리너
ES2606184T3 (es) * 2011-12-13 2017-03-23 Suzuki Motor Corporation Dispositivo de control de admisión de aire
JP6068101B2 (ja) * 2012-11-13 2017-01-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
JP5913083B2 (ja) * 2012-12-26 2016-04-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吸気通路構造
JP5899108B2 (ja) * 2012-12-27 2016-04-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吸気装置
JP6117001B2 (ja) * 2013-05-27 2017-04-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エアクリーナ
JP5968348B2 (ja) * 2013-07-31 2016-08-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エアクリーナ装置
JP6269081B2 (ja) * 2014-01-15 2018-01-31 スズキ株式会社 インジェクタ取付構造
JP6255611B2 (ja) * 2015-05-29 2018-01-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配管接続構造
US9376997B1 (en) 2016-01-13 2016-06-28 Fuel Injection Technology Inc. EFI throttle body with side fuel injectors
WO2017187411A1 (en) * 2016-04-28 2017-11-02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Air intake system for an off-road vehicle
MX2019003742A (es) * 2016-09-30 2019-08-12 Tvs Motor Co Ltd Sistema de admision para un vehiculo de dos ruedas.
AU2018378315A1 (en) 2017-12-04 2020-07-16 Holley Performance Products, Inc. Electronic fuel injection throttle body assembly
JP6763921B2 (ja) * 2018-09-07 2020-09-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
JP7082561B2 (ja) * 2018-11-16 2022-06-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の吸気構造
CN112963275B (zh) * 2020-12-30 2023-06-13 重庆宗申创新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摩托车及其发动机进气***与空滤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5270A (ja) * 1982-03-10 1983-09-14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加速時燃料増量装置
JP3940196B2 (ja) * 1997-02-25 2007-07-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空燃比制御装置の感温作動弁取付構造
JPH10246160A (ja) * 1997-02-28 1998-09-14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エアクリーナ装置
JP3933767B2 (ja) * 1997-09-24 2007-06-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00064919A (ja) * 1998-08-25 2000-03-03 Denso Corp 吸気装置
JP4252682B2 (ja) * 1999-09-02 2009-04-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用エンジンの吸気制御装置
JP4344455B2 (ja) * 1999-09-03 2009-10-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吸気及び排気制御装置
CN2388366Y (zh) * 1999-09-14 2000-07-19 庞远智 机动车空气滤清器
JP3970725B2 (ja) * 2002-09-11 2007-09-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用燃料噴射装置
JP2007148248A (ja) * 2005-11-30 2007-06-14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7155270A (ja) * 2005-12-07 2007-06-21 Sharp Corp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402526B1 (pt) 2012-09-04
EP1493915B1 (en) 2006-04-12
EP1493915A1 (en) 2005-01-05
CA2470872A1 (en) 2005-01-01
TWI247848B (en) 2006-01-21
DE602004000632T2 (de) 2006-12-14
DE602004000632D1 (de) 2006-05-24
MXPA04006406A (es) 2005-06-07
US20050045147A1 (en) 2005-03-03
TW200506190A (en) 2005-02-16
CN1313717C (zh) 2007-05-02
US7066135B2 (en) 2006-06-27
CN1576565A (zh) 2005-02-09
CA2470872C (en) 2007-07-31
KR100558421B1 (ko) 2006-03-07
JP2005036796A (ja) 2005-02-10
BRPI0402526A (pt) 2005-05-24
JP4421941B2 (ja) 201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8421B1 (ko) 차량용 엔진의 흡기 장치
JP2005036796A5 (ko)
JP5753046B2 (ja) 鞍乗型車両のキャニスタ配置構造
JP2007038708A (ja) 揺動三輪車
JP2008290712A (ja) ライダーサドルおよび燃料タンクを有する自動二輪車
KR20040085071A (ko) 소형차량에 있어서의 엔진의 연료분사장치
JP2009243380A (ja) 自動二輪車の吸気装置
JP2017149180A (ja) 鞍乗り型車両におけるエアクリーナ構造
US20070004329A1 (en) Air-inlet structure for motorcycle
JP4753745B2 (ja) 自動二輪車の吸気構造
JP5719264B2 (ja) 鞍乗型車両のキャニスタ配置構造
EP0441461A2 (en) Air intake system adapted for motor bicycle engine
JP4395025B2 (ja)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CN101509410B (zh) 机动二轮车的废气净化装置
JP3821900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2005343356A (ja) 自動二輪車の吸気装置
JP6523027B2 (ja) 小型車両用内燃機関の吸気装置
JP2015129487A (ja) 車両用エンジンにおける燃料供給構造
JP5811091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
JP2006037897A (ja) 車両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3890898B2 (ja) スクータ型自動二輪車の2次空気供給装置
KR100652520B1 (ko) 브이형 엔진에서의 에어 클리너 지지 구조
JP4128639B2 (ja) 自動二輪車
JP2013067274A (ja) 鞍乗型車両のキャニスタ配置構造
US20230311639A1 (e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