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822B1 - 차량용 에어백 커버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백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822B1
KR101459822B1 KR1020120042341A KR20120042341A KR101459822B1 KR 101459822 B1 KR101459822 B1 KR 101459822B1 KR 1020120042341 A KR1020120042341 A KR 1020120042341A KR 20120042341 A KR20120042341 A KR 20120042341A KR 101459822 B1 KR101459822 B1 KR 101459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cover
protrusions
bezel ring
separat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9301A (ko
Inventor
정두섭
오제형
윤상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42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822B1/ko
Priority to CN201310142846.4A priority patent/CN103373309B/zh
Priority to DE102013207303.8A priority patent/DE102013207303B4/de
Priority to US13/868,379 priority patent/US8894093B2/en
Publication of KR20130119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60R21/21656Steering wheel covers or similar cup-shap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05Body finishings
    • B29L2031/3038Air bag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4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with em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커버는,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파단되도록 티어 라인이 형성되는 에어백 커버 본체와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 결합되는 베젤 링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는 상기 베젤 링의 복수의 돌출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에어백 커버에 있어서, 상기 베젤 링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베젤 링에 형성되되, 상호 간에 근방에 설치된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와, 상기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호 간에 근방에 설치된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리 돌출부; 상기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을 포함하되, 상기 베젤 링이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는 상기 티어 라인의 일측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서 상기 티어 라인에 각각 인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는 상기 티어 라인의 타측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서 상기 티어 라인에 각각 인접하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베젤 링에 별도의 티어 라인이 형성되지 않으면서도 에어백 쿠션의 전개에 의해 에어백 커버 본체 및 베젤 링의 파단이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 커버{AIRBAG COV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티어 라인이 형성되지 않은 베젤 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중 급정차시 또는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안전장치인 에어백 장치(Airbag System)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스티어링 휠 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내부에 설치되는 에어백 커버, 인플레이터 및 에어백 쿠션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과, 충격신호에 따라 인플레이터를 폭발시키는 전자제어유닛(ECU) 등을 포함한다.
한편, 차량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에어백 커버에는, 차량의 내부 이미지를 향상시킴과 더불어 자동차 회사를 홍보하기 위한 각종 로고 등이 각인된 엠블럼(emblem)이 부착되는 경우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또한, 엠블러 주위에서 에어백 커버에는 장식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베젤 링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베젤 링은 에어백 쿠션의 전개에 의한 에어백 커버의 파단시 파단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베젤 링의 구조 및 베젤 링과 에어백 커버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는 일 예로 유럽 특허번호 1495921호 및 일본 특허출원번호 제2003-337497호(이하, '종래 기술'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베젤 링의 내측면에는 에어백 커버의 파단시 용이하게 파단되도록 티어 라인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서, 운전자가 전방 물체에 경고음을 전달하기 위해 에어백 커버를 상측으로부터 푸싱하는 혼 기능(horn function) 수행시, 베젤 링에서 티어 라인이 형성된 부분은 나머지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므로 전술한 푸싱 동작을 다수회 반복 수행할 경우 운전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파단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운전자가 혼 기능을 다수회 수행하더라도 운전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베젤 링이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유럽 특허번호 1495921호 (2005. 01. 12) (특허번호 2) 일본 특허출원번호 제2003-337497호 (2003. 09. 29)
본 발명의 목적은, 베젤 링에 별도의 티어 라인이 형성되지 않으면서도 에어백 쿠션의 전개에 의해 에어백 커버 본체 및 베젤 링의 파단이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백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젤 링에 티어 라인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혼 기능 수행을 위해 운전자가 다수 회 에어백 커버의 상면을 푸싱하더라도 베젤 링이 파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백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파단되도록 티어 라인이 형성되는 에어백 커버 본체와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 결합되는 베젤 링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는 상기 베젤 링의 복수의 돌출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에어백 커버에 있어서, 상기 베젤 링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베젤 링에 형성되되, 상호 간에 근방에 설치된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와, 상기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호 간에 근방에 설치된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리 돌출부; 상기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을 포함하되, 상기 베젤 링이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는 상기 티어 라인의 일측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서 상기 티어 라인에 각각 인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는 상기 티어 라인의 타측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서 상기 티어 라인에 각각 인접하도록 위치하는 차량용 에어백 커버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돌출되는 상기 베젤 링의 베젤 링 몸체는, 원주 방향 및 반경 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티어 라인은, 서로 이격되게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의 세로 방향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티어 라인과, 상기 한 쌍의 제1 티어 라인을 서로 연결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티어 라인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 삽입홀은 상기 제2 티어 라인의 일측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서 상기 제2 티어 라인에 인접하도록 위치하고,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은 상기 제2 티어 라인의 타측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서 상기 제2 티어 라인에 인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은, 각각 반원 또는 반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티어 라인은 V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홈이며, 상기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 간의 사이 거리, 및 상기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 간의 사이 거리는 각각 상기 제2 티어 라인의 상단 폭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베젤 링의 베젤 링 몸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핀;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 형성되는 가이드 핀 삽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핀 및 상기 가이드 핀 삽입홈은 각각 2개로 마련되며, 상기 2개의 가이드 핀 삽입홈은 상기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 중 일부에 연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의 세로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비대칭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가이드 핀은, 상기 베젤 링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과 그의 상측 방향에 이격되게 위치하는 돌출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가이드 핀, 및 상기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 중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것과 그의 하측 방향에 이격되게 위치하는 돌출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가이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커버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베젤 링에 별도의 티어 라인이 형성되지 않으면서도 에어백 쿠션의 전개에 의해 에어백 커버 본체 및 베젤 링의 파단이 용이하게 발생할 수 있다.
둘째, 베젤 링에 별도의 티어 라인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혼 기능 수행을 위해 운전자가 다수 회 에어백 커버 본체의 상면을 푸싱하더라도 운전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베젤 링이 파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베젤 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커버의 에어백 커버 본체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커버의 베젤 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부분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커버의 에어백 커버 본체를 나타내는 정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커버의 베젤 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커버는,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기술을 개량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에어백 쿠션의 전개압력에 의해 특정 부분이 파단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에어백 커버는, 에어백 쿠션(미도시)의 전개시 파단되도록 티어 라인(110)이 형성되는 에어백 커버 본체(100), 에어백 커버 본체(100)에 결합되며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베젤 링(200)을 포함한다. 에어백 커버 본체(100)는 에어백 하우징과 결합되어 에어백 하우징 내에 폴딩된 상태로 있는 에어백 쿠션을 덮는다. 베젤 링(200)은 앰블럼(102)과 이격되도록 에어백 커버 본체(100)에 열 융착을 통해 고정되며 장식 효과를 부여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 커버 본체(100)의 내면에는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파단되도록 티어 라인(110)이 형성된다. 이러한 티어 라인(110)은, 서로 이격되게 에어백 커버 본체(100)의 세로 방향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티어 라인(111)과, 한 쌍의 제1 티어 라인(111)을 서로 연결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티어 라인(112)을 포함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제2 티어 라인(112)을 기준으로 양측의 커버 플레이트가 각각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젖혀지면서 에어백 쿠션(미도시)의 전개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에어백 커버 본체(100)에는, 베젤 링(200)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일 예로 대략 원형으로 복수의 삽입홀(120)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젤 링(200)은, 베젤 링 몸체(210), 및 베젤 링 몸체(2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복수의 삽입홀(120)에 각각 대응하여 삽입 가능한 복수의 돌출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돌출부(220)가 각각 삽입홀(120)에 삽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열 융착기를 이용하여 돌출부(220)의 단부를 열 융착함으로써 베젤 링(200)은 에어백 커버 본체(100)에 고정 가능하다. 이러한 베젤 링 몸체(210)는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전술한 양측 커버 플레이트의 젖혀짐을 방해하지 않도록 특정 부위가 파단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젤 링 몸체(210)에는 종래와 같이 파단을 용이하게 하는 별도의 티어 라인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이에 따라 베젤 링 몸체(210)는 원주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베젤 링 몸체(210)는 원주 방향 및 반경 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다만, 복수의 돌출부(220) 중 일부와 에어백 커버 본체(100)에 형성된 티어 라인(110)의 상호 결합 구조에 의해 필요시 에어백 커버 본체(100)가 용이하게 파단되도록 한다. 전술한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젤 링(200)이 에어백 커버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돌출부(220) 중 일부인 분리 돌출부(230)는, 티어 라인(110), 구체적으로 제2 티어 라인(112)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이러한 분리 돌출부(23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간에 근방에 설치된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231,232), 및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231,232)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호 간에 근방에 설치된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233,234)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향'한다는 의미는 대략 원형의 베젤 링(200)에서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231,232)와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233,234)가 베젤 링(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 대략 180도의 위상 차이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젤 링(200)이 에어백 커버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231,232,233,234)는 각각 제2 티어 라인(112)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부연하자면, 제2 티어 라인(112)은 V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홈이며,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231,232,233,234) 중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231,232) 간의 사이 거리,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233,234) 간의 사이 거리는 제2 티어 라인(112)의 상단 폭과 동일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 커버 본체(100)에는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231,232,233,234)가 삽입 가능하도록 2쌍의 분리 돌출부 삽입홀, 즉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131,132,133,13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131,132,133,134)은 각각 제2 티어 라인(112)에 인접하게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는, 베젤 링(200)이 에어백 커버 본체(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티어 라인(112)과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231,232,233,234)까지의 각각의 사이 거리가 실질적으로 0(zero) 이거나 0에 가까우므로, 에어백 쿠션의 전개에 의한 제2 티어 라인(112)의 파단시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231,232)의 사이 부분,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233,234)의 사이 부분이 효율적으로 파단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231,232)의 사이 부분,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233,234)의 사이 부분이 브레이킹 포인트(breaking points)로 기능한다.
만약, 베젤 링(200)에 별도의 티어 라인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티어 라인(112)으로부터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231,232,233,234)까지의 각각의 사이 거리가 일정 이상으로 형성된다면, 베젤 링(200)의 파단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아서 에어백 쿠션의 전개를 방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젤 링(200)이 파단된다고 할지라도 베젤 링(200)의 파단부 위치가 전체 베젤 링(200)의 중앙 영역 근처에서 형성되지 못하게 된다. 즉, 베젤 링(200)의 파단부 중 일부의 위치가, 파단된 에어백 커버 본체(100)의 양측 커버 플레이트의 파단면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더 돌출되므로, 전개 상태의 에어백 쿠션(미도시)를 찌르거나 심하게는 운전자에게 상해를 가할 수 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131,132,133,134)이 제2 티어 라인(112)에 인접하도록 양측 방향에 마련되고, 에어백 커버 본체(100)에 베젤 링(200)이 삽입된 상태에서 마찬가지로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231,232,233,234)가 제2 티어 라인(112)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서 제2 티어 라인(112)에 각각 인접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결합 상태에서, 에어백 쿠션의 전개 압력에 의해, 2쌍의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231,232,233,234) 중 서로 인접한 1쌍의 분리 돌출부의 사이 부분, 즉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231,232)의 사이,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233,234)의 사이에 각각 일정 이상의 전단 하중이 가해져서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231,232)의 사이,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233,234)의 사이 부분이 파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술한 파단이 보다 용이하게 발생하도록,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231,232,233,234) 및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131,132,133,134)이 각각 반원 또는 반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231,232,233,234)가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폐곡선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상태에서,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231,232,233,234)에 일정 이상의 전단 하중이 가해질 경우 이러한 전단 하중이 폐곡선의 단면 형상으로 인해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231,232) 사이,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233,234) 사이로 집중되는 것이 상대적으로 용이하지 않게 된다.
반면,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231,232,233,234) 및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131,132,133,134)이 각각 폐곡선이 아닌 반원 또는 반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에어백 전개시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231,232,233,234)에 가해지는 일정 이상의 전단 하중이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231,232) 사이,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233,234) 사이로 집중되어 보다 용이하게 파단이 발생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는, 베젤 링 몸체(210)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티어 라인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베젤 링 몸체(210)가 용이하게 파단된다.
한편,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베젤 링 몸체(210)의 파단부가 파단된 에어백 커버 본체(100)의 양측 커버 플레이트로부터 더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231,232)의 사이의 중앙 영역,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233,234)의 사이의 중앙 영역에서 각각 파단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출부(220)가 형성된 베젤 링(200)의 일면에는 일정 이상의 두께를 갖는 가이드 핀(240)이 돌출되며, 에어백 커버 본체(100)에는 가이드 핀(240)이 삽입 가능하도록 가이드 핀 삽입홈(140)이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핀(240)은 상대적인 베젤 링(200)의 두께 차를 부여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231,232) 사이,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233,234) 사이로 전단 응력이 보다 효율적으로 집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231,232,233,234)를 제외한 나머지 복수의 돌출부 간의 이격 간격이 동일하지 않거나, 좌우 또는 상하 대칭 구조를 갖지 않을 경우 가이드 핀(240)은 오조립 방지를 위해 정방향 삽입 용도로 기능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가이드 핀(240)이 전술한 전단 응력을 집중하기 위한 용도로 기능하는 것을 중심으로 부연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핀(240) 및 가이드 핀 삽입홈(140)은 각각 2개로 마련된다. 또한, 2개의 가이드 핀 삽입홈(140)은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131,132,133,134) 중 일부에 연통하도록 형성되며,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 커버 본체(100)의 세로 방향 중심선(101)을 기준으로 좌우 비대칭인 위치에 마련된다.
부연하자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가이드 핀(240)은, 베젤 링(200)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231,232)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즉, 제1 분리 돌출부)과 제1 분리 돌출부(231)의 상측 방향에서 가장 근방에 위치하는 돌출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가이드 핀(241), 및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233,234) 중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것(즉, 제4 분리 돌출부)과 제4 분리 돌출부(234)의 하측 방향에서 가장 근방에 위치하는 돌출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가이드 핀(242)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가이드 핀 삽입홈(140)은, 제2 분리 돌출부 삽입홀(132)과 제2 분리 돌출부 삽입홀(132)의 하측 방향에서 가장 근방에 위치하는 삽입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가이드 핀 삽입홈(141)과, 제3 분리 돌출부 삽입홀(133)과 제3 분리 돌출부 삽입홀(133)의 상측 방향에서 가장 근방에 위치하는 삽입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가이드 핀 삽입홈(142)을 포함한다.
즉, 에어백 커버 본체(100)에 베젤 링(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231,232)는 각각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133,134)에 삽입되고,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233,234)는 각각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 삽입홀(131,132)에 삽입되며, 제1 가이드 핀(241)은 제2 가이드 핀 삽입홈(142)에 삽입되고, 제2 가이드 핀(242)은 제1 가이드 핀 삽입홈(141)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가이드 핀 삽입홈(141,142)이, 에어백 커버 본체(100)의 세로 방향 중심선(101)을 기준으로 좌우 비대칭인 위치에 마련될 뿐만 아니라 제2 티어 라인(112)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 방향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가이드 핀 삽입홈(141,142)에 각각 제1 및 제2 가이드 핀(241,242)이 삽입되므로,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발생하는 전단 응력이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231,232) 사이의 중앙 영역,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233,234) 사이의 중앙 영역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집중될 수 있다. 부연하자면, 상대적인 두께 차에 의해 전술한 부분으로 전단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백 쿠션 전개시 베젤 링(200)의 양측 분리된 베젤 링 몸체는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한편, 제1 및 제2 가이드 핀 삽입홈(141,142)의 형상으로 인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백 커버 본체(100)의 배면에는 각각 제1 및 제2 가이드 핀 삽입홈(141,142)과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돌출된 형상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돌출된 부위에 형성된 홀(hole)에는 제1 및 제3 분리 돌출부(231,233) 및 그 근방에 위치하는 2개의 돌출부가 삽입된다. 덧붙여, 열 융착을 통한 고정 작업이 용이하도록, 제1 및 제3 분리 돌출부(231,233) 및 그 근방에 위치하는 2개의 돌출부는 나머지 돌출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longer)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리하자면, 본 실시예는, 베젤 링(200)에 별도의 티어 라인을 형성하지 않아도 베젤 링(200)과 에어백 커버 본체(100)의 상호 결합 구조, 구체적으로, 제2 티어 라인(112)에 인접하도록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231,232,233,234)가 마련된 구조에 의해,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에어백 커버 본체(100) 뿐만 아니라 베젤 링(200)도 용이하게 파단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베젤 링(200)에 별도의 티어 라인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운전자가 혼(horn) 기능 수행을 위해 다수 회 에어백 커버 본체(100)의 상면을 푸싱하더라도 운전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베젤 링(200)이 파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부연하자면, 본 실시예는, 운전자의 혼 기능 수행 동작에 의한 베젤 링(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에어백 커버 본체 110: 티어 라인
112: 제2 티어 라인 120: 삽입홀
131,132,133,134: 제1, 제2, 제3,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
140: 가이드 핀 삽입홈 141: 제1 가이드 핀 삽입홈
142: 제2 가이드 핀 삽입홈 200: 베젤 링
210: 베젤 링 몸체 220: 돌출부
230: 분리 돌출부
231,232,233,234: 제1, 제2, 제3, 제4 분리 돌출부
240: 가이드 핀 241: 제1 가이드 핀
242: 제2 가이드 핀

Claims (8)

  1.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파단되도록 티어 라인이 형성되는 에어백 커버 본체와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 결합되는 베젤 링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는 상기 베젤 링의 복수의 돌출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에어백 커버에 있어서,
    상기 베젤 링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베젤 링에 형성되되, 상호 간에 근방에 설치된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와, 상기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호 간에 근방에 설치된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분리 돌출부;
    상기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 형성되는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을 포함하되,
    상기 베젤 링이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는 상기 티어 라인의 일측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서 상기 티어 라인에 각각 인접하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는 상기 티어 라인의 타측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서 상기 티어 라인에 각각 인접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돌출되는 상기 베젤 링의 베젤 링 몸체는, 원주 방향 및 반경 방향을 따라 동일한 두께를 갖는 차량용 에어백 커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티어 라인은, 서로 이격되게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의 세로 방향으로 마련되는 한 쌍의 제1 티어 라인과, 상기 한 쌍의 제1 티어 라인을 서로 연결하도록 가로 방향으로 마련되는 제2 티어 라인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 삽입홀은 상기 제2 티어 라인의 일측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서 상기 제2 티어 라인에 인접하도록 위치하고,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은 상기 제2 티어 라인의 타측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서 상기 제2 티어 라인에 인접하도록 위치하는 차량용 에어백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은, 각각 반원 또는 반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에어백 커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티어 라인은 V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홈이며,
    상기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 간의 사이 거리, 및 상기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 간의 사이 거리는 각각 상기 제2 티어 라인의 상단 폭과 동일한 차량용 에어백 커버.
  6. 에어백 쿠션의 전개시 파단되도록 티어 라인이 형성되는 에어백 커버 본체와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 결합되는 베젤 링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는 상기 베젤 링의 복수의 돌출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복수의 삽입홀이 형성되는 에어백 커버에 있어서,
    상기 베젤 링의 베젤 링 몸체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 핀; 및
    상기 가이드 핀이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 형성되는 가이드 핀 삽입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 커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 및 상기 가이드 핀 삽입홈은 각각 2개로 마련되며,
    상기 베젤 링 몸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상호 간에 근방에 위치하도록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와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호 간에 근방에 위치하도록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2개의 가이드 핀 삽입홈은 상기 제1 내지 제4 분리 돌출부 삽입홀 중 일부에 연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에어백 커버 본체의 세로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비대칭인 위치에 마련되는 차량용 에어백 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가이드 핀은, 상기 베젤 링을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제1 및 제2 분리 돌출부 중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과 그의 상측 방향에 이격되게 위치하는 돌출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 가이드 핀, 및 상기 제3 및 제4 분리 돌출부 중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것과 그의 하측 방향에 이격되게 위치하는 돌출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2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백 커버.

KR1020120042341A 2012-04-23 2012-04-23 차량용 에어백 커버 KR101459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341A KR101459822B1 (ko) 2012-04-23 2012-04-23 차량용 에어백 커버
CN201310142846.4A CN103373309B (zh) 2012-04-23 2013-04-23 用于车辆的安全气囊罩
DE102013207303.8A DE102013207303B4 (de) 2012-04-23 2013-04-23 Airbag-Abdeckung für ein Fahrzeug
US13/868,379 US8894093B2 (en) 2012-04-23 2013-04-23 Airbag cov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341A KR101459822B1 (ko) 2012-04-23 2012-04-23 차량용 에어백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301A KR20130119301A (ko) 2013-10-31
KR101459822B1 true KR101459822B1 (ko) 2014-11-07

Family

ID=49290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341A KR101459822B1 (ko) 2012-04-23 2012-04-23 차량용 에어백 커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94093B2 (ko)
KR (1) KR101459822B1 (ko)
CN (1) CN103373309B (ko)
DE (1) DE102013207303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969B1 (ko) 2021-05-10 2021-09-03 (주)풍진솔루션 구조 개선된 에어백 커버용 베젤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4001873U1 (de) * 2014-03-04 2015-06-08 Dalphi Metal Espana S.A. Baugruppe zur ästhetischen Gestaltung einer Gassackabdeckung, Gassackabdeckung, Gassackmodul und Fahrzeuglenkrad mit jeweils einer derartigen Baugruppe
USD795766S1 (en) * 2014-10-24 2017-08-29 Toyoda Gosei Co., Ltd. Cover of airbag device for automobile
DE202014008757U1 (de) * 2014-11-05 2016-02-08 Dalphi Metal Espana, S.A. Emblembaugruppe zur Verbindung mit einer Gassackabdeckung, Gassackabdeckung, Gassackmodul und Fahrzeuglenkrad mit einer derartigen Emblembaugruppe
JP1530315S (ko) * 2015-01-06 2015-08-03
USD816001S1 (en) * 2016-03-03 2018-04-24 Samsung Display Co., Ltd. Automotive steering wheel
USD872664S1 (en) * 2018-03-23 2020-01-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 bag compartment
USD886008S1 (en) * 2018-06-08 2020-06-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air bag compartment
DE202018104588U1 (de) * 2018-08-09 2019-11-14 Dalphi Metal Espana, S.A. Abdeckkappe für ein Gassackmodul sowie Gassackmodul mit einer solchen Abdeckkappe
DE202018104587U1 (de) * 2018-08-09 2019-11-19 Dalphi Metal Espana, S.A. Abdeckkappe für ein Gassackmodul sowie Gassackmodul mit einer solchen Abdeckkappe
CN109367509A (zh) * 2018-11-16 2019-02-22 北京长城华冠汽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的气囊盖
WO2020255638A1 (ja) * 2019-06-18 2020-12-2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KR20210000905A (ko) * 2019-06-26 2021-01-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운전석용 에어백 장치
USD909265S1 (en) * 2019-07-31 2021-02-02 Honda Motor Co., Ltd. Airbag cover
KR20220029124A (ko) * 2020-09-01 2022-03-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엠블렘이 장착된 운전석 에어백
KR102522188B1 (ko) * 2020-09-15 2023-04-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명장치가 구비된 운전자 에어백 모듈
JP7114672B2 (ja) * 2020-11-02 2022-08-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操舵装置および車両
KR20220076903A (ko) 2020-12-01 2022-06-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티어링휠용 에어백 커버 구조
KR102546930B1 (ko) * 2021-04-30 2023-06-26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
US11511698B1 (en) * 2021-06-07 2022-11-29 Autoliv Asp, Inc. Emblemed airbag cover tear sea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4201A (ja) * 2003-09-29 2005-04-21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カバー
US20070290487A1 (en) * 2006-06-16 2007-12-20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Airbag cover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JP2008500924A (ja) * 2004-05-28 2008-01-17 オートリブ エーエスピ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運転者側の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
US20110210534A1 (en) * 2009-06-19 2011-09-01 Takata-Petri Ag Air bag module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3693A (en) 2003-07-10 2005-01-12 Autoliv Dev Air bag cover embellish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04201A (ja) * 2003-09-29 2005-04-21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カバー
JP2008500924A (ja) * 2004-05-28 2008-01-17 オートリブ エーエスピ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運転者側の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アセンブリ
US20070290487A1 (en) * 2006-06-16 2007-12-20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Airbag cover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20110210534A1 (en) * 2009-06-19 2011-09-01 Takata-Petri Ag Air bag module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969B1 (ko) 2021-05-10 2021-09-03 (주)풍진솔루션 구조 개선된 에어백 커버용 베젤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73309A (zh) 2013-10-30
KR20130119301A (ko) 2013-10-31
CN103373309B (zh) 2017-06-06
US8894093B2 (en) 2014-11-25
US20130277952A1 (en) 2013-10-24
DE102013207303A1 (de) 2013-10-24
DE102013207303B4 (de)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822B1 (ko) 차량용 에어백 커버
KR101718689B1 (ko) 에어백 커버 장치
US9321420B2 (en) Airbag apparatus
KR102005738B1 (ko) 에어백 커버 어셈블리
US20070046002A1 (en) Airbag apparatus
KR101453417B1 (ko) 에어백
JP2008201325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WO2013094338A1 (ja) エアバッグ装置及びそのモジュールカバー
KR101708241B1 (ko) 차량용 엠블렘 어셈블리
US11724662B2 (en) Airbag device
US9079557B2 (en) Airbag
JP6069106B2 (ja) 車両のエアバッグカバー
JP6918040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0754107B1 (ko) 엠블럼이 구비되는 운전석 에어백 커버 구조
JP5316488B2 (ja)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08201322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体
JP2006273244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2012153207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20210144139A (ko) 차량용 운전석 에어백장치
KR20110043924A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KR200279951Y1 (ko) 전개선이 보이지 않는 인스트루먼트 패널 일체형 조수석에어백 커버
KR20240077813A (ko) 자동차의 에어백 커버
KR101449330B1 (ko) 자동차용 전륜 탈거장치
KR20210154613A (ko) 에어백 커버
JP2014125169A (ja) 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