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055B1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055B1
KR101252055B1 KR1020050118082A KR20050118082A KR101252055B1 KR 101252055 B1 KR101252055 B1 KR 101252055B1 KR 1020050118082 A KR1020050118082 A KR 1020050118082A KR 20050118082 A KR20050118082 A KR 20050118082A KR 101252055 B1 KR101252055 B1 KR 101252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needle
driving
sewing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8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3740A (ko
Inventor
마사히코 사토우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3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4Automatically-controlled tension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3/00Thread- or cord-laying mechanisms; Thread fing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의 이완을 보다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봉기(10)는, 테이블의 상면에 놓이며 그 대략 전체의 구성을 지지 및 수납하는 본체 프레임(20)과, 재봉바늘(11)을 유지하는 동시에 본체 프레임(20)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된 바늘대와, 재봉기 모터(3)의 구동에 의해 바늘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구동기구와, 바늘판(13)에 놓인 피봉제물을 X축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기구와, 바늘판(13) 위의 피봉제물을 상방으로부터 가압하여 누르는 천 누르개(12)와, 바늘판(13) 위의 피봉제물의 두께를 검출하는 천 두께 검출수단(30)과, 천 두께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된 검출두께에 따라 재봉실의 실 이완을 수행하는 작업수단으로서의 실 이완기구(40)와, 상기 각 구성에 대하여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제어수단(8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재봉기(10)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천 누르개(12)의 주위 구성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동작제어수단(8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봉제동작을 설명하는 동작설명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동작제어수단(80)에 의한 제어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 : 재봉기 모터 10 : 재봉기
11 : 재봉바늘 12 : 천 누르개
13 : 바늘판 20 : 본체 프레임
30 : 천 두께 검출수단 31 : 검출아암
32 : 포텐셔미터 40 : 실 이완기구
41 : 실 이완부재 45 : 좌우구동모터(좌우구동수단)
52 : 상하구동모터(상하구동수단) 80 : 동작제어수단(제어수단)
90 : 조작패널(입력수단)
본 발명은 봉제시에 여분의 실을 끌어낼 수 있는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재봉기의 봉제시에는, 균질한 바늘땀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송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피봉제물의 봉제위치, 즉, 바늘낙하위치 근방에는 대략 평판형상의 천 누르개에 의해 가압력이 인가된다. 이 때문에, 피봉제물의 봉제위치는 상기 가압력을 받음에 따라 압축된다. 그리고, 반송에 수반하여 천 누르개 위치로부터 반송방향으로 이동된 압축부분은, 천 누르개의 가압력으로부터 해방되어, 반발력(복원력)에 의해 본래의 두께로 복원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압축부분에는 상면측으로부터 윗실을 통과한 바늘이 관통하며, 바늘판의 하방측에서는 바늘끝에 꿰어진 윗실에 밑실이 걸쳐지고, 상기 바늘끝이 피봉제물의 하방측으로부터 상방측으로 뽑아져 나올 때, 윗실과 밑실이 조여짐에 따라 봉제가 이루어지도록(바늘땀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피봉제물을 겹쳐 봉합하는 경우, 예컨대 수트의 소매와 옷의 길을 봉제하는 경우 등에는, 완성품질에 대한 요구에 따라, 어깨패드 위에 형성되는 바늘땀 부분에 있어서 봉제 후에도 본래의 어깨패드의 두께가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재봉기에서는 천 누르개에 의한 압축부분에 바늘땀이 형성되기 때문에, 어깨패드와 같이 유연성을 가지며 또한 본래의 두께와 천 누르개에 의해 가압되었을 때의 두께가 크게 다른 피봉제물을 봉합하는 경우에는, 봉제 후의 바늘땀 부분의 두께는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에 비해 대폭 얇아져 움푹 들어 간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바늘판의 상방측에서 상하로 구동하는 바늘의 바늘궤도를 좌우로 요동하는 레버가 가로지름으로써, 미리 윗실을 매어 봉제 후의 실 길이에 여유를 둘 수 있도록 한 재봉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비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래의 재봉기에서는, 레버는 링크기구를 통해 천 두께에 따라 승강할 수 있는 천 두께 검출수단을 갖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천 두께의 변화에 따라 봉제시에 일정량의 여분의 윗실을 확보할 수 있어, 봉제 후의 바늘땀 부분의 두께와 피봉제물 본래의 두께의 차를 완화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비특허문헌 1] DURKOPP사의 재봉기, D697 파트북
그러나, 상기 비특허문헌 1에 제시된 종래의 재봉기에서, 본래의 천의 두께를 검출하는 천 두께 검출수단은, 긴 구멍과 상기 긴 구멍에 걸림결합되는 핀에 의해 연결되는 로드를 갖는 구성이기 때문에, 천 두께의 변화량에 대한 레버의 상하방향으로의 승강량은 일정 비율로 조절이 가능한 것에 불과하다. 즉, 천 두께의 변화량에 대하여 선형(일차)적으로 변화가 가능한 것에 불과하며, 천의 두께변화에 대한 대응은 본래의 천의 두께만을 기준으로 하는 근사(近似)적인 것이었다. 또, 비율조절은 수동작업이기 때문에 봉제중에는 실행할 수가 없어, 일정 비율 그대로 봉제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여분의 실의 길이는 단순히 상기 천 두께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천 본래의 두께만을 기준으로 정해져, 탄력성이나 복원력이 다른 피봉제물을 봉제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인 긴 구멍과 핀을 다시 조정해야만 하였다. 이러한 긴 구 멍부에 걸림결합하는 핀의 조정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고로우며, 더불어 미세조정이 어려워 동일 소재의 피봉제물을 봉제하는 경우에 재현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레버의 좌우방향으로의 요동동작은, 작동 혹은 정지의 전환이 가능한 정도에 머무는 것으로, 천의 두께나 복원량에 따라 좌우방향의 요동폭을 조절할 수는 없다. 즉, 천 두께에 따른 윗실의 확보량을 좌우방향의 동작에 따라서는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레버의 좌우방향으로의 요동동작은, 재봉기 주축의 회전이 기어를 통해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그 회전수는 반감되어 전달된다. 따라서, 재봉기 주축과 동기하여 상하로 구동되는 바늘이, 상하로 2 왕복할 때마다 레버가 좌우로 1 왕복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좌우방향에 대한 레버의 구동패턴은, 바늘이 상승할 때마다 그 하방측을 레버가 가로지르는 동작이 가능한 정도이고, 동작패턴은 변경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실의 이완을 보다 자유롭게 실행할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바늘을 상하로 구동하는 바늘구동기구와, 상기 바늘구동기구에 동기하여 바늘판 위의 피봉제물을 반송하는 이송기구와, 상기 바늘판 위에 상기 피봉제물을 가압하는 누름기구와, 상기 바늘의 상하이동경로를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로지름으로써 상기 바늘과 상기 피봉제물의 사이에 걸쳐진 바늘실을 얽어 실의 길이를 여유있게 끌어내도록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된 실 이완부재를 갖는 실 이완기구를 구비하는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실 이완기구는, 상기 바늘의 상하이동경로를 바늘땀마다 상기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실 이완부재를 구동하는 교차방향 구동수단을 가지며,
상기 교차방향 구동수단의 구동빈도 또는 구동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실 이완기구의 실 이완부재는 교차방향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교차방향 구동수단은 제어수단에 의해 그 구동빈도, 구동량 혹은 구동속도 등이 제어된다. 즉, 실 이완기구의 실 이완부재는, 제어수단에 있어서 바늘의 상하이동과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구동빈도, 구동량 혹은 구동속도 등을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제어수단에서의 설정에 따라 교차방향 구동수단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구동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실 이완기구는, 상기 실 이완부재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는 상하구동수단과, 상기 이송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피봉제물의 두께를 검출하는 두께검출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검출수단의 검출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상하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이송기구에 의해 봉제위치로 반송되는 피봉제물의 두께가 두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또, 실 이완기구의 실 이완부재는, 상하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승강한다. 또한, 상기 상하구동수단은, 두께검출수단으로 검출된 검출값, 즉,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에 기초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구동제어된다. 즉, 두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가 제어수단으로 출력되며, 상기 제어수단에 저장되거나, 혹은 상기 제어수단에서의 설정에 따라 실 이완부재의 승강량이 산출되어 상하구동수단에 실시간으로 피드백됨에 따라, 1바늘당 여유있게 확보해야 할 실의 길이를 정확하게 끌어내는 봉제가 이루어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검출수단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교차방향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실 이완기구의 교차방향 구동수단은, 두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교차방향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된다. 즉, 이송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가 두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되며, 그 검출값이 제어수단으로 출력된다. 제어수단은, 상기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하구동수단 외에 교차방향 구동수단의 구동도 제어하는 것이다.
(실시형태의 전체구성)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재봉기(10)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후술하는 재봉바늘(11)이 상하로 움직이는 방향을 Z축 방향(상하방향)으로 하고, 이것과 직교하는 하나의 방향(피봉제물의 이송방향)을 X축 방향(전후방향)으로 하며, X축 방향과 Z축 방향의 양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좌우방향)으로 정의한다. 또, 재봉기(10)에서 재봉기 베드부(21)의 상측에 설치된 바늘판(13)은 X-Y 평면에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재봉기(10)는, 피봉제물인 천에 대하여 두꺼운 재료, 예컨대 패드 등을 꿰매는 재봉기로서, 보통보다 두꺼운 것을 재봉하는데 적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순히 「피봉제물」이라 할 경우에는, 천과 패드를 겹친 상태의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재봉기(10)는 그 대략 전체의 구성을 지지 수납하는 본체 프레임(20)과, 재봉바늘(11)을 유지하는 동시에 본체 프레임(20)에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된 바늘대와, 재봉기 모터(3)의 구동에 의해 바늘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바늘 구동기구로서의 상하구동기구와, 바늘판(13)에 놓인 피봉제물을 X축 방향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기구와, 바늘판(13)위의 피봉제물을 상방으로부터 가압하여 누르는 누름기구를 구성하는 천 누르개(12)와, 바늘판(13)위의 피봉제물의 두께를 검출하는 천 두께 검출수단(30)과, 천 두께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된 검출두께에 따라 재봉실의 실 이완을 수행하는 작업수단으로서의 실 이완기구(40)와, 상기 각 구성에 대하여 동작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제어수단(80)을 구비한다.
(본체 프레임)
본체 프레임(20)은, 그 일단부의 상면에 바늘판(13)을 구비한 재봉기 베드부 (21)와, 재봉기 베드부(21)의 타단부측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세로 몸체부(22)와, 세로 몸체부(22)의 상단으로부터 재봉기 베드부(21)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이어 돌출된 재봉기 아암부(23)를 구비하며, 전체적으로는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재봉바늘)
상기 재봉바늘(11)은, 본체 프레임에 지지된 도시되지 않은 바늘대를 통해 상하구동기구에 의해 Z축 방향을 따라 왕복구동한다. 재봉바늘(11)은 그 선단 근방에 도시되지 않은 윗실이 꿰어져 있으며, Z축 방향의 왕복동작에 따라 바늘판(13) 상면의 피봉제물을 관통하여 바늘판(13)의 하측까지 윗실을 보내고, 도시되지 않은 북이 감는 밑실에 얽어 봉제를 실행한다.
(상하구동기구)
도시되지 않은 상하구동기구는, 본체 프레임에 고정되며, 바늘대의 상하단부를 각각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상하의 메탈 베어링과, 재봉기 아암부(23) 내에서 Y축 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배치된 상축과, 상축을 회전구동하는 재봉기 모터(3)와, 상기 상축의 단부에 고정 장비된 회전추와, 회전추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편심된 부위와 바늘대를 연결하는 크랭크 로드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축 및 회전추가 재봉기 모터(3)에 의해 회전구동되면, 크랭크 로드는 바늘대에 대하여 회전구동력을 상하이동 구동력으로 변환해 전달하여, 상하방향으로 왕복구동시킬 수 있게 되어있다.
(천 누르개)
도 2는 천 누르개(12) 주위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천 누르개(12)는 네모난 프레임형상이며 내측은 상하로 관통되어 있다. 그리고, 재봉바늘은 천 누르개(12)의 내측에서 낙하하여, 천 누르개(12)의 내측에서 봉제를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 이완부재(41)도 천 누르개(12)의 프레임 내에서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천 누르개(12)는, 재봉기 아암부(23)의 선단부의 하부에서 Z축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 천 누르개 지지로드(14)의 하단부에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천 누르개 지지로드(14)는 도시되지 않은 누르개용 스테핑모터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즉, 동작제어수단(80)이, 봉제시에 천 두께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된 천 두께에 따라 누르개용 스테핑모터를 제어하여 천 누르개(12)의 높이를 조절해 적정한 높이에서 천 누름동작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이송기구)
도시되지 않은 이송기구는, 바늘판(13)의 하방에 있으며 바늘판 상면으로 출몰하는 이송기어와, 이송기어를 X축 방향을 따른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달기구를 갖는다. 이러한 전달기구는, 재봉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송기어를 바늘판(13)의 상면에 출현시키면서 X축 방향의 일정 방향(플러스 이송방향)으로 재봉피치만큼 이동시킨다. 또, 전달기구의 이송동작은, 재봉바늘(11)의 상하이동과 동기하여 주기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로써, 이송기구는 바늘판(13) 위의 피봉제물을 재봉피치 단위로 이송하도록 되어 있다.
(천 두께 검출수단)
천 두께 검출수단(30)은, 천 누르개(12)의 근방에서 그 선단부가 바늘판(13) 위의 피봉제물에 상방으로부터 접하는 검출아암(31)과, 검출아암(31)의 요동각도를 검출하는 각도검출수단인 포텐셔미터(Potentiometer ; 32)를 구비한다. 상기 포텐셔미터(32)는 재봉기 아암부(23)의 선단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포텐셔미터(32)는 회전이 가능한 검출축을 구비하며, 상기 검출축이 본체 프레임(20)의 내측에서 지지되어 있다. 이러한 포텐셔미터(32)는, 검출축에 발생한 회전각도에 따른 신호를 동작제어수단(80)에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검출축에 의해 검출아암(31)의 기단부를 축지지하고 있다.
검출아암(31)은, 그 기단부가 포텐셔미터(32)의 검출축에 지지되며, 그 선단부가 검출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비스듬히 하방을 향해 매달려 있다. 이러한 검출아암(31)의 선단부는, 바늘판(13) 상면에서의 천 누르개(12)의 Y축 방향에 인접한 위치에 착지해 있으며, 봉제시에는 바늘판(13)의 상면에 세팅된 피봉제물 위에 맞닿는 배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봉제시에는 피봉제물의 두께에 따라 검출아암(31)은 회동되고, 기단부측의 포텐셔미터(32)의 검출축은 두께에 따른 회전각도분만큼 동작제어수단(80)으로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동작제어수단(80)에서는, 검출회전각도와 이미 알고 있는 검출아암(31)의 길이로부터 피봉제물의 두께를 산출하도록 되어 있다.
(실 이완기구)
실 이완기구(40)는, 재봉바늘(11)의 상하이동경로를 이송방향(X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Y축 방향)으로 가로지름으로써 피봉제물에 꿰매어져 들어가는 재봉실에 일시적으로 얽혀 실을 이완하는 실 이완부재(41)와, 천 누르개 지지로드(14)에 대하여 회동과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실 이완부재(41)의 유지체(42)와, 유지체(42)를 통해 Z축 방향을 축으로 하여 실 이완부재(41)를 회동시키는 교차방향 구동수단으로서의 좌우구동기구(44)와, 유지체(42)를 통해 Z축 방향을 따라 실 이완부재(41)를 이동시키는 상하구동수단으로서의 상하구동기구(51)를 구비한다.
상기 유지체(42)는, 천 누르개 지지로드(14)의 하단부 근방으로 천 누르개(12)보다 약간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유지체(42)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구멍에 천 누르개 지지로드(14)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천 누르개 지지로드(14)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천 누르개 지지로드(14)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실 이완부재(41)는, 그 기단부가 유지체(42)에 고정 장비되어 있으며, 상기 기단부로부터 천 누르개 지지로드(14)와 직교하는 방향을 향해(X축 방향을 따라) 일단 연이어 설치되는 동시에 도중에 U턴하여 전혀 반대방향을 향해 그 선단부가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실 이완부재(41)는 꺾임부분을 경계로 그 선단부측 부분(41b)과 기단부측 부분(41a)이 서로 평행하기는 하지만, 서로 Y축 방향과 Z축 방향에 대해 어긋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체(42)는 천 누르개 지지로드(14)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실 이완부재(41)도 마찬가지로 지지로드(14)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실 이완부재(41)는 그 회동에 의해 재봉바늘(11)의 상하이동경로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실 이완부재(41)는 좌우구동기구(44)에 의해 재봉바늘(11)의 상하이동경로를 가로지르는 일정한 각도범위에서 왕복회동이 이루어지는데, 실 이완부재(41)가 대략 X축 방향을 따른 상태(적어도 Y축 방향보다 X축 방향을 따른 상태가 되는 범위)를 유지하는 각도범위에서 왕복회동이 이루어진다.
좌우구동기구(44)는, 바늘실이 꿰어져 상하로 구동하는 재봉바늘(11)의 상하이동경로를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실 이완부재(41)를 구동하는 교차방향 구동수단으로서, 실 이완부재(41)의 회동의 구동원이 되는 좌우구동모터(45)와, 좌우구동모터(45)의 출력축의 기단부가 연결된 구동아암(46)과, 도시되지 않은 지지부재에 의해 본체 프레임(20)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지지축(47)과, 지지축(47)의 상단부에 고정 장비된 입력아암(48)과, 지지축(47)의 하단부에 고정 장비된 출력아암(49)과, 입력아암(48)의 회동단부와 구동아암(46)의 회동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체(50)를 구비한다.
상기 좌우구동모터(45)는, 후술하는 동작제어수단(80)으로부터의 펄스신호에 따라 구동빈도 및 구동량(회동량)을 제어할 수 있는 펄스모터(스테핑모터)로서, 그 출력축이 Z축 방향을 따르도록 본체 프레임(20)에 고정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아암(46)은 구동모터(45)의 출력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지지축(47)은, Z축 방향과 평행해지도록 본체 프레임(20)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입력아암(48)과 출력아암(49)은, 지지축(47)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각각 지지축(47)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구동아암(46)과 입력아암(48)은 각각의 회동단부가 연결 링크체(50)에 의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구동모터(45)의 구동에 의해, 각 아암(46,48)과 링크체(50)를 통해 지지축(47) 및 출력아암(49)을 회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좌우구동기구(44)에 의한 실 이완부재(41)의 좌우방향으로의 구동은, 상하구동기구에 의해 상하로 왕복구동되는 재봉바늘(11)이, 상기 실 이완부재(41)보다 상방측에 위치할 때 실행되도록 제어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출력아암(49)은, 그 연이어 설치된 회동단부가 두 갈래로 분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유지체(4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걸림결합 돌기(43)가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걸림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걸림결합 돌기(43)는, 유지체(42)의 관통구멍에 삽입통과된 천 누르개 지지로드(14)와 평행해지도록 유지체(42)에 돌출설치되어 있으며, 관통구멍을 끼고 실 이완부재(41)와는 반대쪽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출력아암(49)이 좌우구동모터(45)의 구동에 의해 요동하면, 걸림결합 돌기(43)를 통해 유지체(42) 및 실 이완부재(41)가 천 누르개 지지로드(14)를 축으로 하여 회동하며, 나아가 실 이완부재(41)의 선단측 부분(41b)을 Y축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하구동기구(51)는, 실 이완부재(41)의 상하이동의 구동원이 되는 상하구동모터(52)와, 상하구동모터(52)의 출력축의 기단부가 연결된 구동아암(53)과, 도시되지 않은 지지부재에 의해 본체 프레임(20)에 일단부가 회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된 작용 링크체(54)와, 작용 링크체(54)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와 구동아암(53)의 회동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링크체(55)를 구비한다.
상기 상하구동모터(52)는, 상술한 좌우구동모터(45)와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동작제어수단(80)으로부터의 펄스신호에 따라 구동빈도 및 구동량(회동량)을 제어할 수 있는 펄스모터(스테핑모터)로서, 그 출력축이 Y축 방향을 따르도록 본체 프레임(20)에 고정 장비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아암(53)은 구동모터(52)의 출력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구동아암(53)의 회동단부에는 연결 링크체(55)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구동모터(52)의 구동에 의해 구동아암(53)이 회동을 하면, 연결 링크체(55)를 그 대략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시킬 수가 있다.
작용 링크체(54)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도시되지 않은 지지부재에 의해 본체 프레임(20)에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작용 링크체(54)의 타단부에는,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보스형상의 돌기(56)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유지체(42)의 측면에는 실 이완부재(41)가 연이어 설치되어 있는 방향(대략 X축 방향)과 평행하게 홈부(57)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56)가 홈부(57)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에서 작용 링크체(54)와 유지체(42)의 걸림결합이 도모된다. 더욱이, 작용 링크체(54)의 길이방향 중간위치에는 연결 링크체(55)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구동모터(52)가 구동하면, 구동아암(53) 및 연결 링크체(55)를 통해 작용 링크체(54)를 그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작용 링크체(54)의 타단부에서 돌기(56)를 통해 유지체(42) 및 실 이완부재(41)를 천 누르개 지지로드(14)에 따라 상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동작제어수단)
동작제어수단(80)은, 재봉기(10)의 동작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으로서, 도 3의 블록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CPU(81), RAM(82), ROM(83), EEPROM(84) 등을 구비한다. 또한, 이러한 동작제어수단(80)에는 조작패널(90;입력수단)외에, 도시되지 않은 주축 구동회로, 페달장치, 회전속도 검출회로, 헤드부 회전각 검출회로, 비교판단기 등이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CPU(81)는, 조작패널(90;입력수단)이나, 도시되지 않은 페달장치, 회전속도 검출회로, 헤드부 회전각 검출회로 등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주축 구동회로에 재봉기 모터(3)에 대한 구동제어지령을 수행함으로써, 재봉기 모터(3)에 흐르는 전류량을 최적으로 제어하여 재봉기 모터(3)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억수단인 RAM(82)은 CPU(81)의 처리에 있어서 일시적인 데이터의 기억 등 작업영역이 되며, ROM(83)에는, CPU(81)가 각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EEPROM(84)은, 재봉기(10)의 전원이 OFF되어도 기억내용이 지워지지 않고 보존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며, 이러한 EEPROM(84)에는 각 동작제어 프로그램이나 봉제 데이터 등이 갱신이 가능하도록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동작제어수단(80)에는, 조작패널(90)이 접속되어 있어, 작업자의 입력조작에 의해 재봉기(10)의 동작패턴 등을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 이완기구(40)의 좌우구동모터 (45) 및 상하구동모터(52)가 접속되어 있으며, 상술한 조작패널(90)을 통해 상기 좌우구동모터(45) 및 상하구동모터(52)의 구동빈도나 구동량 등을 제어하기 위한 각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패널(90)은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 프레임(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각 설정값을 출력신호로서 동작제어수단(80)에 전달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동작제어수단(80)은, 상술한 천 두께 검출수단(30)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좌우구동모터(45) 및 상하구동모터(52)의 구동빈도 및 구동량 등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동작제어수단(80)은, 상술한 조작패널(90)로부터의 입력조작에 따라 천 두께 검출수단(30)에서 검출된 값(천 두께)에 대한 좌우구동모터(45) 혹은 상하구동모터(52)의 구동량을 결정하는 제어를 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예컨대 천 두께 검출수단(30)으로 검출된 천의 본래의 두께가 h인 경우, 좌우구동모터(45)에 의한 좌우방향으로의 진폭을 a*h, 상하구동모터(52)에 의한 상하방향으로의 이동량을 b*h(a,b는 조작패널(90)에 의해 설정입력 가능함)로 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조작패널(90)을 통해 입력된 각 설정값(가령, a,b 등)은, 동작제어수단(80)의 EEPROM(84) 내에 저장됨으로써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즉, a,b의 값을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임의의 진폭으로 요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검출두께에 대하여 소정의 설정수치를 가산하여 좌우방향으로의 진폭 혹은 상하방향으로의 이동량이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동작제어수단(80)은, 봉제동작중에도 조작패널(90)로부터의 입력(설정 또는 변경)을 받아들이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 동작제어수단(80)은, 상기 조작패널(90)로부터의 입력동작에 따라 실 이완부재(41)의 좌우 진동수(구동빈도), 즉, 간벌(thinning)률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령 바늘낙하횟수가 n회가 될 때마다 실 이완부재(41)를 1회 구동하는(진동시키는) 제어(간벌)를 할 경우, 설정값(n)을 조작패널(90)을 통해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재봉기 모터(3)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카운트하여 대략 카운트값이 n이 되었을 때 좌우구동모터(45)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동작제어수단(80)은, 천 두께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된 천 두께가 일정값(가령, ds)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 실 이완부재(41)의 구동량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동작제어수단(80)은, 검출두께(ds) 미만일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구동모터(45)에 의한 좌우방향으로의 진폭을 a*h, 상하구동모터(52)에 의한 상하방향으로의 이동량을 b*h로 하는 제어를 수행하고, 검출두께(ds) 이상일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구동모터(45)에 의한 좌우방향으로의 진폭은 a*h 그대로이지만, 상하구동모터(52)에 의한 상하방향으로의 이동량은 b'*h로 하는 제어를 한다. 이 때, 일정값(ds 및 b')은 조작패널(90)에서 입력조작함으로써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설정이 있으면, 동작제어수단(80)은 각 설정값을 상술한 EEPROM(84)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재봉기(10)의 작용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이송기구의 이송동작에 의해 피봉제물인 천이 바늘판(13)과 검출아암(31)의 선단(하단) 사이로 반송되면, 천의 두께에 따라 검출아암(31)의 선단은 상승하고, 상기 검출아암(31)은 포텐셔미터(32)의 검출축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검출아암(31)의 회동에 따라 회동하는 검출축의 회동각도가 포텐셔미터(32)에 의해 검출된다. 여기서 검출된 각도는, 회동각도에 따른 전기신호가 되어 동작제어수단(80)으로 출력된다.
천 두께 검출수단(30)으로부터의 검출신호는 CPU(81)에 의해 인식된다. CPU(81)는, 상기 검출신호로부터 산출되는 천 두께에 기초하여, 기억수단인 RAM(82), ROM(83), EEPROM(84) 등에 저장되어 있는 동작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재봉바늘(11)이 상위치로 상승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재봉바늘(11)의 상하이동경로와 교차하는 방향(좌우방향)으로 실 이완부재(41)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좌우구동모터(45) 및 상하구동모터(52)에 출력한다. 또한, 좌우구동모터(45)에 대해서는, 설정된 구동빈도에 따라 간헐적으로 구동량의 신호가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좌우구동모터(45) 및 상하구동모터(52)가 구동하며, 실 이완부재(41)는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이다. 또한, 실 이완부재(41)의 구동에 따라 상기 실 이완부재(41)의 선단부측 부분(41b)에는 일시적으로 바늘실이 얽혀, 1바늘(1피치)분의 봉제동작마다 천 두께에 따른 길이의 재봉실이 확보된다.
다음으로, 상기 실 이완기구(40)에 의해 봉제시에 여분의 실을 확보하는 동작에 관해 도 4에 나타낸 동작설명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봉제가 이루어지는 바늘판(13) 부근을 상방측(Z축 방향)에서 본 경우의 개략도이다.
먼저, 도 4의 X-Y 평면을 따라 하방측으로부터 천이 반송된다. a1은 바늘낙하위치이며, 실 이완부재(41)의 선단측 부분(41b)은 당초 바늘낙하위치(a1)에 대하여 도 4의 좌측으로 치우친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다(도 4(a) 참조).
다음으로, 이송기구의 이송동작에 수반하여, 도 4의 상방측(X축 방향)으로 천이 반송되면, 첫 번째 바늘낙하위치(a1)에서 천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한 재봉바늘(11)의 선단이 선단측 부분(41b)보다 상위치쪽에 위치하는 동안에 좌우구동모터(45)가 구동하여, 실 이완부재(41)는 바늘낙하위치(a1)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바늘낙하위치(a1)와 재봉바늘(11)의 선단 간에 걸쳐진 윗실이 선단측 부분(41b)에 의해 바늘낙하위치의 우측으로 치우친다. 윗실은 재봉바늘(11)의 선단부와 함께 다음의 바늘낙하위치(a2)에 침입함에 따라 선단부측 부분(41b)에 윗실이 걸쳐진다(도 4(b) 참조). 바늘낙하위치(a2)로부터 재봉바늘(11)이 빠져 상승하면, 선단측 부분(41b)이 좌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재봉바늘(11)이 제 3 바늘낙하위치(a3)에 침입함에 따라 선단부측 부분(41b)에 윗실이 걸쳐진다(도 4(c)). 이와 같이, 상하구동기구에 의해 바늘이 2회 상하로 왕복동작할 때마다, 실 이완부재(41)는 좌우(Y축)방향으로 1왕복하고, 좌로 우로 윗실을 안내하면서 선단부측 부분(41b)에 실이 걸쳐져 가게 된다. 상기 선단부측 부분(41b)에 걸쳐진 윗실은, 이송동작에 수반하여 반송방향(X축 방향), 즉, 도 4의 상방측으로 이동하며, 바늘낙하가 반복되어(도 4(d) 내지 (f)), 선단부측 부분(41b)의 개방단이 끊기면 상기 선단부측 부분(41b)으로부터 벗어나 여분의 실이 확보되는 것이다(도 4(g) 참조). 이 경우, 여분의 실의 길이는, 상술한 천 두께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된 천 두께에 기초하여 1피치마다 결정되며, 좌우구동모터(45)의 구동량 및 상하구동모터(52)의 구동량을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길이를 확보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동작제어수단(80)은 상술한 조작패널(90)로부터의 입력조작에 따라 천 두께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된 값(천 두께)에 대한 좌우구동모터(45) 혹은 상하구동모터(52)의 구동량을 결정하도록 제어한다. 즉, 예컨대, 천 두께 검출수단(30)에서 검출된 천의 본래의 두께가 h인 경우, 좌우구동모터(45)에 의한 좌우방향으로의 진폭을 h*a, 상하구동모터(52)에 의한 상하방향으로의 이동량을 h*b(a,b는 조작패널(90)을 통해 설정입력 가능함)로 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또한, 조작패널(90)로부터 입력된 값(a,b 등)은, EEPROM(84) 내에 저장되어 기억된다. 즉, a, b의 값을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임의의 진폭으로 요동시킬 수가 있다.
또, 동작제어수단(80)은 봉제동작중에도 조작패널(90)로부터의 입력(설정 또는 변경)을 받아들인다.
또한, 동작제어수단(80)은, 상기 조작패널(90)로부터의 입력동작에 의해 실 이완부재(41)의 좌우 진동수(구동빈도), 간벌(thinning)률 등의 설정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가령 바늘낙하횟수가 n회가 될 때마다 실 이완부재(41)를 1회 구동하는(진동시키는) 제어(간벌)를 할 경우, 설정값(n)을 조작패널(90)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재봉기 모터(3)의 출력축의 회전수를 카운트하여 대략 카운트값이 n이 되었을 때 좌우구동모터(45)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더욱이, 천 두께값이 일정값(ds) 이상인 경우, 천 두께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실 이완량의 비율을 변화시키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일정한 변화에 머무르지 않고, 자유롭고 다채로운 재봉을 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동작제어수단(80)의 제어동작에 대해 도 5에 나타낸 플로우챠트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개시 스위치가 가동하면 주 모터인 재봉기 모터(3)가 구동한다(단계 S1). 재봉기 모터(3)의 구동에 따라 CPU(81)에서는 재봉기 모터(3)의 출력축이 실 이완 개시각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 즉, 재봉기 모터(3)의 출력축의 회전에 따라 상하구동기구에 의해 상하로 구동되는 재봉바늘(11)이, 실 이완부재(41)보다 상방측이 되는 범위에 있어, 실 이완부재(41)가 재봉바늘(11)의 상하이동경로를 가로지를 수 있는 타이밍인지 여부의 판단이 CPU(81)에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재봉기 모터(3)의 출력축이 실 이완동작 개시각도에 있을 경우(단계 S2 ; Yes), 즉, 재봉바늘(11)이 상위치가 될 경우에는, 동작제어수단(80)에 설치된 간벌 카운터가 이를 1카운트로서 세어, 재봉기 모터(3)의 회전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카운트가 가산되며(단계 S3), 그 수가 동작제어수단(80)에 기억되어 간다. 그리고, 카운트 수가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값(M), 즉 재봉바늘(11)이 상하로 움직이는 횟수에 대한 좌우방향의 이동횟수(간벌률)에 도달하였음이 CPU(81)에서 인식되었을 경우(단계 S4), 축적된 카운트 수를 다시 0으로 되돌리고(단계 S5), 천 두께 검출수단(30)에서 검출된 천 두께(d)가,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거나 혹은 조작패널(90)을 통해 입력 또는 변경된 천 두께(ds)를 초과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단계 S6). 즉, 천 두께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된 천 두께(d)가 간벌동작을 개시하는 임계치(ds)를 초과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CPU(81)에서 이루어진다. 천 두께가 상술한 임계치를 초과하지 않을 경우(단계 S6 ; No), 가령 천 두께(d)에 대하여 좌우구동모터(45)를 d*a, 상하구동모터(52)를 d*b(a,b는 변경가능한 설정값)의 구동량으로 좌우방향, 상하방향의 각각으로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7). 그리고, 단계 S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천 두께가 상술한 임계치를 초과했을 경우(단계 S6 ; Yes), 가령 천 두께(d)에 대하여 좌우구동모터(45)를 d*a, 상하구동모터(52)를 d*b'(b'는 변경가능한 설정값)의 구동량으로 좌우방향, 상하방향의 각각으로 구동하는 신호를 출력한다(단계 S12). 그리고, 단계 S2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또한, 단계 S4에서 카운트수가 간벌 설정값(M)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단계 S4 ; No), 천 두께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되는 천 두께(d, 단계 S8)에 따라 상하구동모터(52)만을 d*b의 구동량으로 구동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단계 S9). 즉, 카운트 수, 다시 말해 바늘낙하횟수가, 설정된 간벌횟수에 미치지 않을 경우에는 좌우방향으로의 구동(간벌)은 수행하지 않고, 천의 두께를 추종(追從)하는 상하방향의 승강동작만을 수행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 그 후, 다시 재봉기 모터(3)의 출력축이 실 이완 개시각도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단계 S2).
또한, 단계 S2에서 재봉기 모터(3)의 출력축이 실 이완 개시각도가 아닌 경우(단계 S2 ; No), 봉제동작중에 조작패널(90)을 통해 천 두께(d)에 대응하는 좌우방향의 구동량을 결정하는 계수(a) 및 천 두께(d)에 대응하는 상하방향으로의 구동 량을 결정하는 계수(b)를 변경하는 입력조작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가 이루어진다(단계 S10). 그리고, 설정값(a,b)을 변경하는 입력조작이 이루어졌을 경우(단계 S10 ; Yes), 변경된 값을 각각 좌우방향 및 상하방향에 대한 새로운 구동량으로서 기억하는 제어가 이루어진 후에(단계 S11), 재봉기 모터(3)의 출력축이 실 이완 개시각도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단계 S2). 또한, 설정값(a,b)을 변경하는 입력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단계 S10 ; No), 다시 단계 S2로 이행하여 재봉기 모터(3)의 출력축이 실 이완 개시각도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진다(단계 S2).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계된 재봉기(1)에 따르면, 실 이완기구(40)의 실 이완부재(41)는 좌우구동기구(44)의 구동원이 재봉기 모터(3)와 독립된 회전량의 제어가 가능한 모터이기 때문에, 상기 좌우구동기구(44)는 동작제어수단(80)에 의해 좌우방향으로의 구동빈도, 구동량 및 구동속도 등을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재봉기 모터(3)로부터 분력된 구동력을 얻어 구동하는 실 이완부재(41)를 갖는 종래의 재봉기와 비교하여, 실 이완부재(41)의 좌우방향으로의 구동빈도, 구동량 및 구동속도 등을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경하여 구동하는 제어를 실행할 수가 있다. 이로써, 1바늘(1피치)당 봉제동작에서 여유있게 혹은 조금 적게 실을 이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종 피봉제물의 두께나 소재에 따라 봉제 후에도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를 유지하는 봉제를 수행할 수 있어,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를 손상시키지 않고 원하는 완성품질을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실 이완기구(40)의 실 이완부재(41)는, 천 두께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된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에 기초하여 동작제어수단(80)의 제어프로그램에 의해 그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수동조절하는 경우에 비해, 상하방향으로의 승강량을 자유롭게 설정 혹은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1바늘(1피치)당 봉제동작에서 여유있게 확보할(이완시킬) 실의 길이를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고, 봉제 후에도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를 유지하는 봉제를 실행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하구동기구(51)는, 천 두께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된 검출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상하구동기구(51)의 제어를 수행하는 동작제어수단(80)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기 때문에, 봉제위치로 반송되는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가 실시간으로 피드백되어, 1바늘마다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에 정확히 대응하는 길이의 실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 동작제어수단(80)은, 천 두께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된 피봉제물의 두께에 기초하여 좌우구동기구(44)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이송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를 좌우방향의 구동에 대해서도 실시간으로 피드백할 수 있어, 1바늘마다 여유있게 확보해야 할 길이의 실을 정확하게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상하구동기구(51) 외에 좌우구동기구(44)의 동작도, 천 두께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된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봉제위치로 반송되는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에 대응하여, 이들 상하구동기구(51)와 좌우구동기구(44)의 구동빈도, 구동량 및 구동속도 등을 임의로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봉제조건이나 봉제패턴에 따라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실 이완부재(41)를 좌우로 구동하는 좌우구동모터(45) 및 상하로 구동 하는 상하구동모터(52)는, 모두 펄스모터를 적용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동작제어수단(80)에 구비되는 기억수단(RAM(82), ROM(83), EEPROM(84) 등)에서 그 구동량이나 구동빈도 등의 설정을 기억할 수 있어, 동일한 피봉제물을 봉제할 경우의 재현성을 높일 수가 있다. 따라서, 봉제조건의 설정에 필요한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실 이완부재(41)의 구동빈도 및 구동량은, 동작제어수단(80)에 접속된 조작패널을 통한 입력조작만으로 설정 및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조절하는 경우에 비해 번잡한 조작이 불필요하다. 따라서, 설정, 변경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조작패널(90)을 통해 설정입력함에 따라 수치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동일한 봉제동작의 재현성이 높고, 봉제품질을 원활히 전환할 수 있으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좌우구동모터(45) 및 상하구동모터(52)는 동작제어수단(80)에서 그 구동빈도나 구동량이 제어될 수 있으면 무방하며, 예컨대 펄스모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보모터 등이어도 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실 이완기구의 실 이완부재는 교차방향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이 가능해지며, 상기 교차방향 구동수단은 제어수단에 의해 좌우방향으로의 구동빈도, 구동량 및 구동속도 등을 자유롭게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재봉기 모터로부터 분력(分力)된 구동력을 얻어 구동되는 실 이완부재를 갖는 종래의 재봉기에 비해, 실 이완부재의 좌우방향으로의 구동빈도 또는 구동량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봉제중에 구동빈도나 구동량을 변화시키는 제어도 실행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1바늘(1피치)당 봉제동작에서 여유있게 끌어낼 수 있는 실의 길이를 원하는 값으로 설정하거나 혹은 원하는 변화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종 피봉제물의 두께나 소재에 따라 다양한 봉제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특히 실 이완기구의 실 이완부재는, 두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에 기초하여 제어수단에 의해 그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긴 구멍과 핀을 통해 연결된 검출아암을 가짐으로써 승강량을 일정한 비율로 변경할 수 있었던 종래의 재봉기에 비해, 상하방향으로의 승강량을 자유롭게 설정 혹은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1바늘(1피치)당 봉제동작에서 여유있게 확보하는 실의 길이를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봉제 후에도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를 유지하는 봉제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하구동수단은, 두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검출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상하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에 의해 그 구동이 제어되기 때문에, 봉제위치로 반송되는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가 실시간으로 피드백되어, 1바늘당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에 정확히 대응하는 여유있는 길이의 실을 끌어낼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외에, 특히 제어수단은, 두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봉제물의 두 께에 기초하여 교차방향 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함에 따라, 이송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를 실시간으로 피드백할 수 있어 1바늘당 여유있게 끌어내야 할 실의 길이를 정확히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상하구동수단 외에 교차방향 구동수단의 동작도, 두께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에 기초하여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봉제위치로 반송되는 피봉제물의 본래의 두께에 정확히 대응하여, 이들 상하구동수단과 교차방향 구동수단의 구동빈도, 구동량 및 구동속도 등을 임의로 조합할 수 있는 동시에, 다양한 봉제조건이나 봉제패턴에 따라 바늘땀을 형성할 수가 있다.

Claims (3)

  1. 바늘판 위에 피봉제물을 가압하는 누름기구와,
    바늘의 상하이동경로를 천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로지름으로써 상기 바늘과 상기 피봉제물의 사이에 걸쳐진 바늘실을 얽어 실의 길이를 여유있게 끌어내도록 천 이송방향을 따라 배치된 실 이완부재를 갖는 실 이완기구를 구비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실 이완기구는, 상기 바늘의 상하이동경로를 바늘땀마다 상기 천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상기 실 이완부재를 구동하는 교차방향 구동수단과,
    상기 교차방향 구동수단의 구동빈도 또는 구동량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실 이완기구는,
    상기 실 이완부재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는 상하구동수단과,
    상기 천 이송방향을 따라 반송되는 상기 피봉제물의 두께를 검출하는 두께검출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검출수단의 검출두께에 기초하여 상기 상하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두께검출수단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상기 교차방향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20050118082A 2004-12-07 2005-12-06 재봉기 KR101252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54326 2004-12-07
JP2004354326A JP5142454B2 (ja) 2004-12-07 2004-12-07 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740A KR20060063740A (ko) 2006-06-12
KR101252055B1 true KR101252055B1 (ko) 2013-04-12

Family

ID=3659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8082A KR101252055B1 (ko) 2004-12-07 2005-12-06 재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142454B2 (ko)
KR (1) KR101252055B1 (ko)
CN (1) CN1786315B (ko)
DE (1) DE1020050578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946B1 (ko) * 2017-04-28 2018-09-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봉제 속도 자동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봉제 속도 자동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57303B2 (ja) * 2006-12-07 2012-10-24 ヤマトミシン製造株式会社 上飾り機構付きミシン
CN102587049B (zh) * 2011-01-14 2015-09-02 上海日野工业缝纫机有限公司 能感受缝料厚度的自动紧线机构
ITVR20110110A1 (it) * 2011-05-20 2012-11-21 Vi Be Mac Spa Dispositivo premistoffa e macchina da cucire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CN105862265B (zh) * 2016-05-27 2019-07-23 浙江众邦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布料厚度检测装置
CN108442044B (zh) * 2018-04-25 2024-03-01 标准缝纫机菀坪机械有限公司 一种缝纫机缝料过坎自动感应装置和应用其的缝纫机
JP7316069B2 (ja) * 2019-03-15 2023-07-27 Juki株式会社 ミシン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7285U (ja) * 1982-01-12 1983-08-10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制御装置
JPS5934779U (ja) * 1983-01-12 1984-03-03 株式会社東和製作所 ミシンのル−プ飾り縫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06871A (en) * 1969-04-23 1973-02-14 Conti Nipoti Giovanni Sewing machines
JPS5431349A (en) * 1977-08-10 1979-03-08 Tokai Ind Sewing Machine Device of forming loop of upper cotton in final sewing machine
CN86107973B (zh) * 1985-12-03 1988-08-03 三菱电机株式会社 缝纫机控制装置
JPH07299268A (ja) * 1994-05-10 1995-11-14 Juki Corp ミシンの布送り装置
CN1123855A (zh) * 1994-12-01 1996-06-05 十木株式会社 缝纫机的针线切断装置
JP4095337B2 (ja) * 2002-05-14 2008-06-04 Juki株式会社 ミシ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7285U (ja) * 1982-01-12 1983-08-10 ジューキ株式会社 ミシンの制御装置
JPS5934779U (ja) * 1983-01-12 1984-03-03 株式会社東和製作所 ミシンのル−プ飾り縫い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946B1 (ko) * 2017-04-28 2018-09-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봉제 속도 자동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봉제 속도 자동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6315A (zh) 2006-06-14
JP2006158650A (ja) 2006-06-22
JP5142454B2 (ja) 2013-02-13
KR20060063740A (ko) 2006-06-12
DE102005057848A1 (de) 2006-07-06
CN1786315B (zh)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055B1 (ko) 재봉기
KR101178241B1 (ko) 상하 이송 재봉기
RU2555807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и тип шва
JP6108742B2 (ja) ボタン穴かがりミシン
JP2017184980A (ja) ミシン
JP2007252495A (ja) ミシン
JP5925603B2 (ja) ミシン
JP2007195806A (ja) 自動玉縁縫いミシン
CN106245239B (zh) 夹紧机构及具备该夹紧机构的缝纫机
KR20130071399A (ko) 미싱
US5092256A (en) Method for sewing on buttons and wrapping neck thread in a button sewing machine
KR102554632B1 (ko) 재봉틀 동작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재봉틀
JP2017221644A (ja) 扁平縫いミシン
JP2005130888A (ja) 自動縫製装置
JP4722503B2 (ja) ミシン
JP4467487B2 (ja) ミシンの布端切断装置
JP5854478B2 (ja) 縫製装置の下糸繰出し装置
JP4057890B2 (ja) ジグザグ縫いミシン
JP4975311B2 (ja) ミシンの針糸繰り出し装置
JP2879271B2 (ja) 複合ミシンのアタチメント駆動装置
EP0122690A1 (en) Sewing machine
JP6530243B2 (ja) 玉縁縫いミシン
JP5468235B2 (ja) 自動玉縁縫いミシン
JP2006255092A (ja) ミシン
JP4678990B2 (ja) 糸浮かし縫い装置及び糸浮かし縫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