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10879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10879B1
KR940010879B1 KR1019900011535A KR900011535A KR940010879B1 KR 940010879 B1 KR940010879 B1 KR 940010879B1 KR 1019900011535 A KR1019900011535 A KR 1019900011535A KR 900011535 A KR900011535 A KR 900011535A KR 940010879 B1 KR940010879 B1 KR 940010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ignal
page
sheet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2606A (ko
Inventor
겐지로 호리
사또시 아끼야마
다까시 나까하라
도시오 요시모도
요시미 구라모찌
순이찌 마스다
마꼬도 다께우찌
히로시 하시모도
아끼오 노구찌
다까히로 이노우에
마사히로 고또오
쥰이찌 가또오
고오이찌 히로시마
신이찌 쯔기다
고오이찌 스와
히데유끼 야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956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8403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3631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980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5025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10578A/ja
Priority claimed from JP127105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132367A/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야마지 게이조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2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2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10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 G06K15/128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by photographic printing, e.g. by laser printers generating or processing printable items, e.g. charac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 B41J2/45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arrays of radiation sources using laser arrays, the laser array being smaller than the medium to be record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02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using printers
    • G06K15/16Means for paper feeding or form fee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제 1 도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개략단면도.
제 2 도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제어유닛의 개략 블록 다이어그램.
제 3 도는 선행기술의 레이저 빔 프린터의 기능의 일예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 4 도는 제 1 실시예의 기능의 일예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 5 도 내지 8 도는 제 2 실시예의 레이저 빔의 기능을 도시하는 계통도.
제 9 도 내지 10 도는 제 2 실시예의 기능의 일예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 11 도는 제 3 실시예의 레이저 빔 프린터의 개략단면도.
제 12 도는 제 3 실시예의 특징적인 기능을 보여주는 계통도.
제 13 도는 제 3 실시예의 기능의 일예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 14 도는 제 11 도의 기록매체(13)용 반송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제 15 도는 제 4 실시예의 기록매체(13)용 반송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제 16 도는 제 4 실시예의 기능의 일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
제 17 도는 전사로울러(10)의 단면도.
제 18 도는 제 5 실시예의 레이저 빔 프린터의 단면도.
제 19 도는 제 6 실시예의 레이저 빔 프린터의 단면도.
제 20 도는 제 6 실시예의 인터페이스(227)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
제 21 도는 인터페이스(227)를 통한 직렬 전송에 사용되는 신호의 타이밍도.
제 22 도는 인터페이스(227)를 통해 전사되는 화상신호 등의 타이밍도.
제 23 도는 제 6 실시예의 프린터 제어유닛(226)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 24 도는 제 6 실시예의 비디오 제어기 유닛(228)의 블록 다이어그램.
제 25 도 및 제 26 도는 제 6 실시예의 기능의 일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
제 27 도는 제 6 실시예의 변형예의 기능의 일예를 보여주는 타이밍도.
제 28 도는 제 7 실시예의 레이저 빔 프린터의 단면도.
제 29 도는 제 7 실시예의 인터페이스(227a)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
제 30 도는 제 7 실시예의 기능의 일예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 31 도 및 32 도는 제 8 실시예의 기능을 도시하는 계통도.
제 33 도는 제 8 실시예의 기능의 일예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 34 도는 제 9 실시예의 인터페이스(228a)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
제 35 도 및 제 36 도는 제 9 실시예의 기능을 보여주는 계통도.
제 37 도는 제 9 실시예의 기능의 일예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 39 도 및 39 도는 제 10 실시예의 기능을 보여주는 계통도.
제 40 도 및 41 도는 제 10 실시예의 기능의 일예를 도시하는 타이밍도.
제 42 도 및 43 도는 제 11 실시예의 기능을 도시하는 계통도.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화상정보에 따라 기록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전사복사기 프린터는 고해상력과 고화질의 화상기록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빔 프린터, LED 프린터, 액정프린터 등의 여러가지 프린터가 개발되었다. 이들 프린터는 고화질 기록의 특성을 이용하여 복잡한 패턴 및 화상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한 페이지에 걸쳐서 복잡한 패턴을 발생시키는 제어기, 예를들면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 제어기는 적어도 한 페이지분의 화상기억을 요하며, 이러한 기억은 이후에 "페이지 기억"이라고 부른다.
예를들면 1Mbyte 정도의 용량의 페이지 기억이, 해상력이 300dpi인 A4사이즈 종이를 프린트하기 위해 필요할 것이다. 이처럼 고품질 프린터의 출력에는 상당한 양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해서 컴퓨터나 다른 정보처리시스템의 기억장치에서 처리되는 화상데이타는 미처리된 래스터(raster) 화상데이타이기 보다는 대체로 코우드화된 또는 프로그램화된 데이타인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페이지 프린터의 성능은 한 페이지의 코우드화된 화상데이타를 얼마나 신속하게 한 페이지분의 래스터 화상데이타로 변환하여 프린트하느냐에 따라 측정된다.
제 1 도는 그러한 페이지 프린터의 대표적인 실예로서의 레이저 빔 프린터(LBP)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것이며, 제 2 도는 그러한 레이저 빔 프린터의 제어시스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제 2 도에서 외부정보처리장치(125, 퍼스널 컴퓨터 또는 워크스테이션)가 코우드화된 화상정보(예를들면 ASCⅡ 쿠우두로서, 이후에는 코우드 정보라 칭함)를 Centronix 또는 RS232C와 같은 외부 인터페이스(127)를 거쳐 레이저 빔 프린터로 보낸다. 이 코우드 정보는 레이저 빔 프린터의 인터페이스(118)에 의해 수신되고, 이어서 제어버스, 어드레스버스 및 데이타버스의 결합된 기능을 가진 내부버스(128)를 거쳐 마이크로프로세서(117)가 이 코우드 정보를 받는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7)는 비소열성 ROM으로 구성된 기억장치(121)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작동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7)은 인터페이스(118)으로부터 얻은 코우드 정보를 일정한 처리후에 코우드 정보저장용 RAM인 기억장치(119)속에 저장한다. 전술한 저장과 함께 마이크로프로세서(117)는 코우드 정보를 도트화상데이타로 변환시키고 변환된 데이타를 화상데이타 저장장치(비트 맵 기억장치)용 RAM인 기억장치(120)에 저장한다.
DMA 제어기(122)는 기억장치(120)내에 저장된 데이타를 판독하여 이 데이타를 래스터 변환회로(124)로 보낸다. 이 DMA 제어기(122)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7)로부터 독립적으로 내부버스(128)를 이용할 수 있다. 기억장치(120)에 일페이지분의 화상데이타가 검출될 때(즉, 일페이지분의 코우드 정보의 화상데이타로의 변환이 완료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117)는 DMA 제어기(122)를 작동시키고, DMA 제어기(122)는 래스터 변환회로(124)의 요구에 따라서 화상데이타를 기억장치(120)로부터 래스터 변환회로(124)로 보내고, 마이크로프로세서(117)와 번갈라서 내부버스(128)를 점유한다. 래스터 변환회로(124)는 DMA 제어기(122)로부터 병렬 화상데이타를 직렬 화상데이타로 변환시키고, 이것은 수평동기신호에 동기하여 기계적 제어유닛(126)에 있는 레이저 구동회로에 공급되어, 레이저 빔을 변조시킨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7)는 코오드 정보를 화상데이타로 전개시킬 뿐만 아니라 레이저 빔 프린터의 기계적 제어유닛에 인자처리에 관한 각종 지령을 보낸다. I/O 드라이버(123)는 마이크로프로세서(117)와 기계적 제어유닛(126)사이의 인터페이스로 기능한다.
다음에 제 1 도를 참조하여 레이저 빔 프린터의 기계적 제어에 대해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1은 프린터의 본체를 나타낸다.
일페이지의 코우드 정보를 화상데이타로 전개하고 기억장치(120)에 저장을 완료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17)는 반송모우터(도시안됨)를 작동시킨다. 동시에 감광드럼(2), 제 1 대전기(5), 현상로울러(7), 전사대전기(34), 정착로울러(15) 및 방출로울러(16)가 작동된다. 전술한 모우터의 회전은 기계적 제어유닛(126)에 의해 제어된다.
레이저 주사유닛(3)은 레이저 주사밀러, 레이저 주사 모우터, 레이저장치, 레이저 구동회로 등을 포함한다. I/O 드라이버(123)는 반송모우터뿐만 아니라 레이저 주사유닛(3)안의 레이저 주사모우터도 작동시키며, 고전압을 제 1 대전기(5), 현상로울러(7) 및 전사대전기(34)로 보낸다. 또한 I/O 드라이버(123)는 시트이송로울러 상의 클러치(도시안됨)를 가동시키고, 이로써 종이카세트(14)안에 저장되어 있는 기록시트(13)를 급지시킨다. 기록시트는 정합로울러(11)에서 일단 정지하고, 기계적 제어유닛(126)은 정합로울러(11)에 기록시트(13)가 도착한 것을 I/O 드라이버(123)에 알린다. 기록시트(13)가 정합로울러(11)에 정지할 때, 마이크로프로세서(117)는 DMA 제어기(122)를 작동시키고, 이로써 직렬 화상데이타를 래스터 변환유닛(124)에서 레이저 주사유닛(3)으로 보낸다. 화상데이타에 의해 변조된 레이저 빔은 감광드럼에 조사되어 그위에 잠상을 형성하고, 이것이 현상유닛(6) 안에서 가시적인 토너화상으로 현상된다.
다음에 정합로울러(11)에서 정지한 기록시트(13)는 이들 로울러에 의해 이송되며, 토너화상은 전사대전기(34)에 의해 기록시트상에 전사된다. 다음에 토너가 부착된 시트(13)는 정착로울러(15)에 의해 열정착되고 방출로울러(16)에 의해 장치로 부터 방출된다. 전사대전기(34)에 의해 전사되지 않은 토너는 크리너(9)에 의해 수집된다. 이상과 같이 외부정보처리장치(135)로부터 공급된 코우드 정보가 화상으로 프린트된다.
복수페이지 데이타의 프린트는 제 3 도에 도시된 타이밍으로 수행된다. 우선, 마이크로프로세서(117)는 타이밍(a)에서 코우드 정보를 수신하기 시작한다. 동시에 마이크로프로세서(117)는 화상데이타의 전개를 시작하고, 화상데이타를 기억장치(120)에 저장한다. 제 1 페이지의 코우드 정보의 수신이 타이밍(b)에서 완료되고 제 2 페이지의 수신이 타이밍(c)에서 시작된다. 제 1 페이지의 화상데이타 전개는 타이밍(d)에서 완료된다. 이때 반송모우터가 회전하고 시트 이송이 타이밍(f)에서 수행된다. 다음에 정합로울러(11)가 타이밍(g)에서 작동되며, DMA 제어기(122)가 타이밍(h)에서 화상데이타 판독을 시작한다. 또한 타이밍(h)에서 래스터 변환회로(124)가 직렬 화상데이타를 발생하여 레이저 빔에의 노출을 개시한다. 타이밍(i)에서 제 1 페이지의 노출이 완료되고 제 2 페이지의 화상데이타 전개가 시작된다. 그이후 제 2 페이지의 프린트가 제 1 페이지의 것과 동일한 순서로서 수행된다.
제 3 도의 도표에서, (a)에서 (d)까지 및 (i)에서 (j)까지의 화상데이타 전개시간, 및 (h)에서 (i)까지의 화상데이타 판독시간(또한 레이저 빔에의 노출시간)이 상호 분리되어 중복되지 않는데, 이는 화상기억용량이 한 페이지에 한정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f)에서 (h)까지, (k)에서 (m)까지의 시간동안에는 화상기억장치(120)로 어떠한 액세스(access)도 이루어지지 않아서, 시트 이송로울러(12)에서 정합로울러(11)까지가 긴 간격을 가진 레이저 빔 프린터에서는 처리량(단위시간당 프린트된 페이지양)의 손실을 초래한다. 이러한 처리량의 손실은 2페이지분의 화상기억장치를 사용하여 화상데이타 전개의 시간을 화상데이타 판독의 시간과 중첩시킴으로써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화상기억장치의 가격을 두배로 할 것이다.
[발명의 개요]
전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시트 이송(반송)이 한 페이지의 화상데이타 전개이후에 수행된다면, 시트이송유닛의 배열에 따라 처리량이 낮아질 것이다. 전술한 내용을 고려하여 본원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것은 화상형성의 처리량을 개선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용의 증가없이 화상형성의 처리량을 개선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은 아래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따라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수신된 코우드 정보를 변화수단에 의해 픽셀정보로 변환을 하기전에, 기록매체를 소정위치로 반송하는 것이며, 이로써 처리량은 기록매체의 반송이 전술한 변환후에 수행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소정위치에서의 기록매체의 연장된 체류로 인한 결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과 기타의 특징들은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되는 후술하는 설명을 통해 명백히 드러날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의 상세한 설명]
[실시예 1]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제 1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일페이지의 화상기억분을 가진 프린트는 일반적으로 처리량의 감소를 야기시킨다. 이하에서는, 제 4 도에 도시된 타이밍도를 참고하여 일페이지의 화상기억분으로 처리량의 감소를 야기시키지 않는 제 1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다. 하드웨어 구조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제 4 도를 참고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17)는 (a)에서 코우드 정보의 수신을 개시하고 (b)에서 제 1 페이지의 수신을 완료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7)는 반송(주)모우터 및 레이저 주사모우터를 작동시킨후, (c)에서 시트 이송을 실행한다.
이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d)에서 제 2 페이지의 코우드 정보의 수신을 개시하고 (m)에서 이 수신을 종결한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e)에서 제 1 페이지의 화상데이타 전개를 완료하고 (f)에서 정합로울러(11)를 작동시킨다.
(g)에서 화상데이타판독(레이저 빔에 대한 노출)을 개시하고, (i)에서 화상데이타판독을 완료한다.
또한 (i)에서, 제 2 페이지의 화상데이타 전개를 개시한다. 그러므로 제 2 페이지에 대한 시트이송은 제 1 페이지에 대한 화상데이타 판독의 완료적인 타이밍(h)에서 수행된다.
제 2 페이지에 대한 화상데이타 전개는 (j)에서 완료되고 제 2 페이지 프린트는 제 1 페이지의 것과 동일한 시켄스로 수행된다. 이 시켄스는 화상데이타 전개 또는 레이저 빔에 대한 노출이 (c)로 부터 (f), (h), (k)로 실행되어, 즉 시트이송에서 부터 정합로울러(11)의 작동으로 실행되어, 불감시간을 감소시키고 처리량을 개량시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비록 시트 이송로울러(12)로 부터 정합로울러(11)까지의 간격이 길어도, 제 2 및 후속페이지에 대한 시트 이송의 타이밍(h) 및 (e)를 앞당김으로써 처리량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4 도에 도시된 시켄스는 시트 이송이 페이지 코우드 정보를 수신한 후 화상데이타 전개의 완료전 수행되고, 정합로울러(11)가 화상데이타 전개의 완료후 작동된다는 사실을 특징으로 한다.
화상데이타 전개에 요구되는 시간이 짧으면, 정합로울러는 기록시트가 시트 이송에 의해서 정합로울러에 도달된 직후 작동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화상데이타 전개에 요구되는 시간이 길면, 이송된 시트는 화상데이타 전개가 끝날때까지 정합로울러에 정지하게 된다.
[실시예 2]
제 1 실시예에서, 화상데이타 전개가 긴 시간을 요구하는 경우, 감광드럼은 고전류로 대전되고 화상데이타 전개가 완료될 때까지 레이저 빔의 기록작동없이 회전이 계속된다.
결과적으로, 복잡한 그래픽 정보의 전개의 경우에, 감광드럼은 긴시간동안 회전을 계속하며, 궁극적으로는 마모를 야기시킨다.
제 2 실시예는 처리량을 향상시키고 감광드럼은 마모를 최소화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제 2 실시예에서, 하드웨어 구조는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하지만, 제어시켄스는 이하에 설명되는 것처럼 다르다.
제 5 도 내지 제 8 도는 제 2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자복사기 프린터의 제어시켄스의 계통도이고, 여기에서 제 5 도는 주제어루틴(routine)을 도시하고 있고, 제 6 도는 외부정보처리장치(125)로 부터 코우더 정보를 수신하고 코우드 저장 기억장치(119)내에 데이타를 저장하는, 주제어루틴에서 작동되는 "코우드 정보 수신작업"을 도시하고 있고, 제 7 도는 코우드 저장기억장치(119)내에 저장된 코우드 정보를 판독하고 코우드 정보를 화상데이타로 변환(화상데이타 전개)시키고 화상데이타를 화상데이타 저장기억장치(120)에 저장시키는, 주제어루틴에서 작동되는 "화상전개작업"을 도시하고 있다.
제 8 도는 각 페이지를 프린트하는 주제어루틴(제 5 도)에서 작동되는 "화상형성작업"루틴을 도시하고 있다. 이들 루틴은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 5 도를 참고하면, 첫째로 마이크로프로세서(117)는 종이이송하용플래그를 설정한다(단계 S5-a). 이 프래그는 기록시트(13)를 종이카세트(14)로부터 이송하는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하여 주제어루틴 및 화상형성작업에 사용된다. 다음에 마이크로프로세서(117)는 코우드 정보수신작업(제 6 도), 및 화상전개작업(제 7 도)(단계 S5-c)을 작동시킨다.
코우드 정보수신작업이 작동될 때, 첫째로 외부정보처리장치(125)로부터 코우드 정보의 수신은 금지된다(단계 S6-a). 이어서, "화상형성작업"루틴은 페이지 소거지정이 출력되는가를 판단한다(단계 S6-b). 페이지 소거지정은 "화상형성작업"이 프린트 작동을 완료하고 코우드 저장기억장치(119)로 부터 프린트된 페이지의 데이타를 소거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페이지 소거지정이 출력되면, 지정된 페이지에 대응하는 코우드 정보가 소거된다(단계 S6-c).
다음에 코우드 저장기억장치(119)에 데이타가 채워졌는가, 즉 이 기억장치(119)에 빈영역이 있는가를 판단한다(단계 S6-d). 기억장치가 충만되어 있으며, 시켄스는 이 작업루틴의 출발점으로 직접 복귀된다. 이용가능한 영역이 있다면, 외부정보처리장치로 부터의 코우드 정보의 수신이 허용된다(단계 S6-e). 다음에 소정 바이트의 수의 코우드가 수신되는가를 판단하고(단계 S6-f), 수신되었다면, 수신된 코우드를 코우드 저장 기억장치(119)의 빈 영역에 저장한다(단계 S6-g). 이어서 수신된 코우드 정보가 일페이지분에 도달하였는가를 판단하고(단계 S6-h), 프린트를 주제어루틴에서 실행한다(단계 S6-i). 앞서 설명했듯이, "코우드 정보수신작업"루틴은 코우드 저장기억장치(119)에 이용가능한 빈영역이 있으면 코우드를 수신하고, 기억장치(119)가 채워져 있으면 수신을 정지한다. 다음에 일페이지분의 코우드 정보가 축적되어지면 프린트지시가 조제어루틴에 출력된다. 일페이지의 화상형성이 완료된 후에, 프린트된 화상에 대응한 쿠우드 정보는 코우드 저장기억부재(119)로 부터 소거된다.
"화상전개작업"루틴은 코우드 저장기억장치(119)에 저장된 코우드 정보를 화상데이타로 변환시킨다. 제 7 도를 참조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17)는 코우드 저장기억장치(119)에 저장된 코우드 정보중 아직 화상전개되지 않은 가장 오래된 페이지의 코우드 정보를 검색하고(S7-a), 상기 페이지에서 화상전개되지 않은 코우드를 검색한다(S7-b). 마이크로프로세서(117)는 이 코우드에 대해 화상전개를 실행하며, 화상저장기억장치(120)에 화상데이타를 저장한다(단계 S7-c). 그리고나서, 이 페이지의 화상전개가 모두 완료되었는가의 여부가 판단하며(단계 S7-d), 만약 완료되었으면, 화상전개완료의 정보를 주 프로그램에 알린다(S7-e). 만약 완료되지 않았다면, 이 페이지의 화상전개는 계속된다. 이 화상전개는 코우드 정보의 수신과 병행하여 수행된다.
일단 화상전개가 완료되면, 획득된 화상데이타(도트 데이타)는 DMA 제어기(122)에 의해 판독되며, 레이저 빔의 노출은 "화상형성작업"루틴에 의한 제어에 따라 실행된다. 화상기억용량이 한 페이지로 제한되기 때문에, 화상전개와 노출은 동시에 수행될 수 없다. 다음에 단계(S7-f)는 "화상형성작업"루틴에서 레이저 빔으로써의 노출이 완료되기를 기다리며, 노출이 완료되면, "화상전개작업"루틴의 출발점으로 되돌아가 다음 페이지의 화상전개를 개시한다.
주제어루틴(제 5 도 참조)의 단계(S5-d)에서는 "코우드 정보수신작업"루틴으로 부터 프린트 허가를 받았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한 페이지분의 코우드 정보가 외부정보처리장치(125)로부터 수신되고, 이 페이지의 프린트가 가능하게 되면, 반송모우터와 레이저 주사모우터가 작동된다(단계 S5-g). 그렇지 않으면, 시켄스가 단계(S5-e)의 판단루틴으로 들어간다. 만약 단계(S5-e)에서 이미 프린트된 시트가 프린터에 반송되는 것이 확인된다면, 시켄스는 단계(S5-d)로 복귀한다. 그렇지 않으면, 반송모우터와 레이저 주사모우터를 정지시키며(단계 S5-t), 시켄스는 단계(S5-d)로 복귀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반송모우터와 레이저 주사 모우터는 만약 프린터가 허가되지 않다면 정지된다. 반송모우터는 시트 이송로울러(12), 정합로울러(11), 정착유닛(15), 방출로울러(16) 및 감광드럼(2)을 구동시킨다. 단, 이 구동은 도시되지 않은 시트 이송 클러치와 정합클러치를 통하여 시트 이송로울러(12)와 정합로울러(11)에 전달된다. 또한 레이저 주사 모우터는 다면밀러(mirror)(도시되지 않음)를 회전시키며, 이에 의해 레이저 빔이 주사된다.
단계(S5-g)에서 반송모우터와 레이저 주사 모우터를 작동시킨후, 단계(S5-h)에서는 이들 모우터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때까지 기다리며, 시트 이송허용 플래그가 설정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5-i).
이 플래그는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화상형성작업"의 개시부분에서 재설정되며 화상형성의 과정(단계 S8-ℓ)가 재설정된다. 이 플래그가 연속적인 프린트 과정에서 시트 공급의 간격을 결정한다. 만약 단계(S5-i)가 이 플래그의 설정상태를 확인한다면, 도시되지 않은 시트 이송 클러치는 시트 이송로울러(12)를 on시키며, 이에 의해 카세트(14)로 부터 기록시트(13)를 이송시킨다.(단계 S5-j). 이어서, 이송된 시트(13)가 정합로울러(11)에 도달하는 것을 대기한다(단계 S5-k). 이어서, 프린트되고 있는 페이지의 화상전개가 이미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화상전개작업"의 화상완료정보(단계 S7-e)에 기로하여 판단한다(S5-l). 만약 화상전개가 완료된다면, "화상형성작업"루틴이 작동된다(단계 S5-r).
만약 화상전개가 완료되지 않는다면, 시켄스는 이미 프린트된 시트(13)가 프린터에 반송되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판단루틴(단계 S5-m)으로 들어간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반송모우터와 레이저 주사 모우터는 정지된다(단계 S5-n). 이어서, 화상전개가 "화상형성작업"에서 완료되는지 여부는 판단한다(단계 S5-o, 만약 그렇지 않다면 순서는 단계(S5-m)로 복귀한다). 단계(S5-m, S5-n 및 S5-o)의 루틴에서, 만약 화상전개의 완료전에 이미 프린트된 시트(13)가 프린트로 부터 방출된다면, 반송모우터와 레이저 주사모우터는 이러한 시트 방출시점에서 정지된다. 또한 만약 화상전개가 프린터로부터 시트 방출전에 완료된다면 이들 모우터는 정지된다. 또한 이들 모우터는 만약 이미 프린트된 시트(13)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즉시 정지되고, 이들 모우터는 화상전개의 완료시에 재가동된다(단계 S5-p). 이어서 단계(S5-q)에서는 이들 모우터는 소정의 회전수에 이를때까지 대기하고, 단계(S5-r)에서는 "화상형성작업"루틴을 실행시킨다.
단계(S5-ℓ 내지 S5-r)의 루틴에서, 화상전개의 완료가 정합로울러(11)에 기록 시트(13)가 도착하는 것보다 더 빠르면, 반송모우터는 정지되지 않는다. 반대 경우에 있어서, 반송모우터는 만약 아직 프린트된 시트(13)가 프린터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일단 정지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반송모우터와 레이저 주사모우터는 화상전개의 완성타이밍에 따라 가동 또는 정지된다.
"화상형성작업"루틴이 가동될 때, 화상전개가 실행되는 한 페이지의 프린트 공정이 실행된다. 제 8 도를 참조하면, 먼저 한 페이지를 프린트하는 과정에서, 다음 페이지의 시트가 이송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하여, 종이이송허용플래그 (단계S8-a)가 재설정된다. 다음에 정합로울러는 가동되고, 제 1 대전기용 고전압이 소정시간 후에 on으로 된다. 다음에 또다른 소정시간후에, DMA제어기가 가동되어 화상기억판독과 레이저빔으로의 노출이 개시된다(단계 S8-d). 노출개시로 부터 소정시간후, 현상유닛용 고전압이 온되며(단계 S8-h), 전사대전기 고전압은 또다른 소정시간후에 온으로 된다(단계 S8-i).
정합로울러(11)의 가동으로 부터 제 1 대전전압의 온(단계 S8-c)까지의 시간, 이로부터 노출개시(단계 S8-e)까지의 시간, 이로부터 현상전압 온(단계 S8-g)까지의 시간, 그리고 이로부터 전사전압의 출발(단계 S8-i)까지의 시간은 고전압 성분과 정합로울러의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전사전압의 온후, 종이이송 허용 플래그가 소정시간후에 설정된다(단계 S8-l). 만약 다음 페이지의 코우드 정보의 수신이 이점에서 완료되면 다음 페이지의 시트이송동작이 실행된다. 이것은 주제어루틴의 단계(S5-d, S5-i)에서 판단한다.
제 8 도를 참조하면, 정합로울러는 종이이송플래그의 설정으로 부터 소정시간후에 정지된다(단계(S8-m, S8-n, S8-o)). 이어서, 제 1 대전기, 레이저 노출, 현상유닛 및 전사대전기용 고전압이 연속적으로 종결된다(단계 S8-p 내지 S8-v).
최종적으로, 화상형성의 완료가 확인된 후에, 프린트된 페이지의 소거가 "코우드 정보 수신작업"루틴에 지정된다(단계 S8-w). 이로서, 상기 언급된 페이지에 데이타에 의해 점유된 코우드 저장기억의 영역이 개방되며, 이에의해 외부정보처리장치(125)로부터 데이타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이 "화상형성작업"은 각각의 페이지 인쇄마다에서 가동한다.
제 9 도는 화상전개에 단시간이 요구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시켄스(제 5 도 내지 제 8 도)의 타이밍이다. 코우드정보의 수신은 (a)에서 개시되며, (b)에서 완료되며, 여기에서 반송모우터와 레이저 주사 모우터가 가동된다. 이들 모우터의 안정적 회전검출후에, 시트 이송이 (e)에서 실행되며, 화상전개는 이송시트가 정합로울러(11)에 도달하기 전에 (c)에서 마감된다. 따라서, 반송로울러는 정지되지 않으며, 정합로울러(11)는 (f)에서 가동된다. 이후, 고전압과 레이저 빔이 연속적으로 발하게 된다. 한 페이지에 대한 노출이 완료되기 전에, 다음 페이지의 시트가 이송된다.
제 10 도는 화상전개가 장시간 걸리는 경우를 도시한 타이밍도이다. 제 1 페이지의 코우드 정보의 수신이 (b)에서 완료될 때, 반송모우터와 레이저 주사 모우터는 가동된다. 이 모우터의 안정적 회전의 검출후에, 시트 이송은 (d)에서 시작된다. 이송시트가 정합로울러(11)에 도달할때 화상전개가 아직 완료되지 않는다면, 반송모우터는 일단 (e)에서 정지된다. 반송모우터는 화상전개의 완료시에 (f)에서 재가동된다. 정합로울러(11)는 반송모우터가 안정적 회전에 도달할 때 (g)에서 가동된다.
제 10 도의 경우에 있어서, 반송모우터는 화상전개가 장시간은 요구하기 때문에 (e)부터 (f)까지 정지된다.
제 1 페이지에 대하여, 고전압은 시트 이송으로 부터 정합로울러의 가동까지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만약 감광드럼(2)이 (e)에서 정지되면, 드럼에 잔존하는 대전은 전혀 없다. 또한 연속적인 프린트의 경우에 있어서, 한 페이지의 프린트와 이 시트 방출후에, 감광드럼은 정지된다. 따라서, (j)로부터 (k)까지 시간동안, 감광드럼(2)은 고전압없이 회전된다. 따라서, 감광드럼(2)은 표면대전없이 정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시켄스에서, 감광드럼(2)은 대전이 잔존되어 있는 동안 정지되지 않기 때문에 감광드럼(2)의 질적저하는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의 시켄스는 만약 화상전개에 필요한 시간이 단시간이여도 처리량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는다. 한편, 만약 화상전개에 필요한 시간이 매우 길다면, 반송모우터와 감광드럼(2)은 일시적으로 정지되므로 드럼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반송모우터는 만약 이송시트가 정합로울러(11)에 도달할 때까지 화상전개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즉시 정지하지만, 이 모우터의 정지는 조금 지체될 수 있다. 이러한 지체는 반송모우터의 일시적인 정지없이 프리트 가동을 증가시키며, 감광드럼(2)의 회전시간을 연장시킨다. 따라서, 만약 드럼이 충분한 내구성을 가진다면, 이러한 지체는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 3]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구성한 전자복사기 프린터(1b)를 도시하고 있다. 화상신호를 발생시키고 프린터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은 제 1 도와 제 2 도에서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따라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3 실시예에서, 전자복사기 감광드럼(2)은 제 1 대전기(5)로 균일하게 대전되며, 이어서 레이저주사유닛(3)에 의해 화상에 노출되어 잠상을 형성하고, 현상유닛(6)에 있는 토너(8)를 사용하는 현상로울러(7)에 의해 현상된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종이 카세트(14)에서 쌓여있는 기록시트(13)중의 하나가 시트 이송로울러(12)에 의해 전진되며, 이이서 시트의 선두끝이 정합로울러(11)에 도달할 때까지 대기한 후에 감광드럼(2)에 형성된 화상과 동기하여 전사로울러(10)로 전진되고 화상이 전사된다. 시트(13)에 전사된 화상은 정착 유닛(15)에서 열정착되며, 시트는 방출로울러(16)에 의해 프린터로 부터 방출된다.
한편, 화상전사후 감광드럼에 남아있는 토너는 크리너에 의해 소거되고, 화상형성공정은 이후 반복되며, 대전단계로 부터 시작하게 된다.
제 3 실시예는 레이저노출위치로부터 전사로울러(10)까지의 거리(L1)이 정합로울러(11)부터 전사로울러까지의 거리(L2)보다 더 크다(L1〉L2)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프린터(1b)에서, "화상형성작업"을 제외한 기능들은 전술한 제 2 실시예에서와 같다. 그러므로 다음에서는 "화상형성작업"루틴만을 설명한다.
제 12 도에 나타낸 "화상형성작업"루틴이 가동될 때, 화상전개가 행해지는 페이지의 프린트 공정이 행해진다. 제 12 도를 참고하면, 한 페이지분을 프린트하는 과정에서 다음 페이지 시트의 이송을 막기위해 먼저 종이이송허용플래그가 설정된다(단계 S12-a). 다음에 제 1 대전기가 온된다(단계 S12-b). 다음에, 소정시간 후, DMA 제어기(122)가 작동되어 이로써 화상기억판독과 레이저 빔의 노출이 행해진다(단계 S12-d). 노출의 개시로부터 소정시간후, 정합로울러(11)가 작동되고(단계 S12-f), 다음에 현상유닛용 고전압이 소정시간후 온되고(단계 S12-h), 전사대전기용 고전압이 소정시간후 온된다(단계 S12-j).
정합로울러(11)의 개시의 간격 및 순서, 제 1 대전 전압, 노출 및 현상용 고전압은 고전압요소 및 정합로울러(11)의 배열에 따라 결정된다.
전사대전기용 고전압의 개시로부터 소정시간후, 종이이송허용플래그가 설정된다(단계 S12-l). 다음 페이지의 시트 이송은 다음 페이지의 코우드 정보의 수신이 이 시점에서 아직 완결되지 않은 경우 행해지지 않는다. 이것은 주 제어루틴의 S5-d 및 S5-i에서 판별된다.
제 12 도를 참조하면, 종이 이송 플래그의 설정으로 부터 소정시간후 정합로울러(11)는 정지된다(단계 S12-m, S12-,n 및 S12-o). 다음에 제 1 대전기용 고전압, 노출, 현상용 고전압 및 전사대전기용 고전압이 차례로 오프된다(단계 S12-p 내지 S12-v).
최종적으로, 화상형성이 완전한 것이 확인될 때, 프린트된 페이지의 데이타의 소거가 "코우드정보수신작업"루틴에 명령된다(단계 S12-w). 따라서 상기 페이지의 데이타에 의해 점유된 코우드 저장기억장치(119)의 영역은 외부 정보처리장치로 부터 데이타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화상형성작업"루틴은 각 페이지 프린트마다 작동된다. 제 13 도는 본 실시예의 시켄스의 예를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3페이지의 코우드 정보가 (a) 내지 (b), (f) 내지 (g) 및 (h) 내지 (i)의 시간에 수신된다.
먼저, 마이크로프로세서(117)를 포함하는 제어유닛은 (a) 내지 (b)시간에 수신된 제 1 페이지의 코우드 정보의 화상데이타 전개를 개시한다. 제 1 페이지의 코우드 정보의 수신완결시, 반송모우터가 감광드럼(2)을 회전시키기 위해 작동되고, 레이저 주사 모우터도 또한 (c)에서 작동된다. 다음에, 제 1 대전기와 전사대전기용 고전압이 연속해서 공급되고 이로써 회전 전단계라 불리는 프린트 준비작업이 개시되어 감광드럼(2)상에 균일한 대전상태 및 레이저 빔 출력조절을 얻게 된다. 다음에, 감광드럼(2)상의 화상이 기록시트(13)와 동기될 수 있는 때인 타이밍(d)에서 시트 이송로울러(12)가 작동되어 기록시트(13)를 정합로울러(11)로 전진시킨다. 그러나, 제 1 페이지에 대한 화상데이타 전개가 완료될 때인 타이밍(e)에서 회전 전단계가 아직 완료되지 않은 경우 화상데이타 판독은 수행되지 않는다. 회전 전단계가 완료될 때 화상데이타 판독이 (j)에서 시작된다. 동시에 레이저 주사유닛(3)에 의해 감광드럼(2)상에 화상이 기록된다. 정합로울러(11)에 도달된 기록시트(13)는 감광드럼(2)상의 화상기록과 동기적으로 정합로울러(11)에 의해 전진된다. 더 상세히는, 정합로울러(11)는 타이밍(k)에서 작동되고, 이것은 감광드럼(2)이 노출위치로 부터 전사로울러(10)의 위치로 이동하는데 요구되는 시간 T1과 기록시트(13)가 정합로울러(11)로 부터 전사로울러(10)로 이동하는데 요구되는 시간 T2간의 차이에 상당하여 지연된다. 이 차이는 둘다 같은 이동속력을 갖기 때문에 거리의 차로서도 보통 해석된다. 본 제 3 실시예에서, 조건 L1〉L2이 선택된다. 조건 L1〉L2은 레이저 빔으로의 노출이 정합로울러(11)가 작동된후 행해지기 때문에 처리량의 손실을 가져올 것이다. 본 제 3 실시예는 상기한 조건 L1〉L2때문에 처리량을 더 개선한다.
레이저 빔으로의 노출에 의해 감광드럼(2)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이 현상위치에 이를때,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가해져 화상현상을 행한다.
제 1 페이지의 화상데이타 판독이 (ℓ)에서 완결된 후, (f) 내지 (g)시간에 수신된 제 2 페이지의 코우드 정보를 위한 화상데이타 전개가 (m)에서 시작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7)가 이 상태에서 제 2 페이지의 코우드 정보를 수신함으로서 제 2 페이지의 시트 이송조작이 제 1 페이지의 화상데이타 판독과정중의 타이밍(o)에서 행해진다.
(m) 내지 (n)의 시간에 제 2 페이지의 화상데이타 전개가 기록시트 처리 간격보다 더 일찍 끝나면, 제 2 페이지의 화상데이타 판독은 상기한 간격의 경과때까지 기다려서 타이밍(p)에서 시작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7)가 제 3 페이지의 코우드 정보를 수신했을 때, 제 3 페이지를 위한 시트 이송조작이 제 2 페이지의 화상데이타 판독과정중 타이밍(q)에서 행해진다. 제 2 페이지의 화상데이타 판독의 완결시 제 3 페이지를 위한 화상데이타 전개는 (s)에서 시작된다. 제 3 페이지의 화상전개에 요구되는 시간(s) 내지 (t)가 기록시트 처리간격보다 더 길다면, 기록시트(13)는 그의 선단부가 정합로울러(11)에 충돌하면서 화상전개의 완결을 기다린다((r)∼(v)). 다음에, 화상전개가 (t)에서 종결된 후, 화상데이타 판독은 (u)에서 시작되고, 기록시트(13)는 (v)에서 전진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7)가 제 3 페이지 이후에 코우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때, 제 4 페이지를 위한 시트 이송은 행해지지 않는다. 제 3 페이지의 화상전사 후, 화상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꺼진 회전 후단계가 개시되고 이로써 감광드럼(2)의 표면전위는 제 1 대전기에 의해서만 균일해진다. 기록시트(13)가 장치로 부터 배출될 때, 드럼과 주사기는 작동 중지되고 프린터의 기능은 종결된다.
[실시예 4]
전술한 실시예 1-3에서, 이송된 기록시트(13)는 정합로울러(11)에 의해 화상의 정단부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제 11 도의 기록시트(13)를 반송시스템을 예시하는 제 1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합로울러(11)상의 충돌에 의해 정지된다. 정합로울러(11)에 충돌하는 기록시트(13)는 귀로 표시된 루프를 형성한다. 만일 반송모우터 또는 정합로울러(11)가 이 상태에서 장시간 정지되어 있으면 기록시트(13)는 궁극적으로 비틀리어 결함있는 프린트를 가져온다.
본 제 4 실시예는 제 15 도에 나타낸 구조에 의해 이러한 결점을 소거하는 것인데, 이 구조는 정합로울러(11)와 전사로울러(10)간의 기록시트(13)의 선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광센서(이후 시트 이송센서(30)라 함)의 존재의 면에서 제 14 도에 나타낸 구조와 다르다. 레이저 빔으로의 노출은 시트 이송 센서(30)에 의한 기록시트(13)의 선단부의 검출시기를 기준으로 행해진다.
제 4 실시예에서 이송된 기록시트(13)는 제 15 도에 32로 표시된 바와같이 정합로울러(11)에 의해 사이에 끼게 되어 루우프를 형성하지 않는다.
다음에서, 제 16 도에 나타낸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제 15 도의 구조의 제어순서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 16 도를 참고하면 시트 이송은 타이밍(d)에서 행해지고 정합로울러(11)는 (e)에서 작동된다. 이어서 정합로울러(11)는 (f)에서 꺼진다. 기록시트(13)는 새로운 시간(e) 내지 (f)의 존재에 의해 정합로울러 사이에 끼일 수 있다.
화상데이타 전개 후, 정합로울러(11)는 (i)에서 다시 작동되고 그후 기록시트(13)는 (j)에서 시트 이송센서에 이른다. 고전압의 공급 및 레이저 빔으로의 노출은 기준으로서 타이밍(j)을 사용하여 실행된다.
본 제 4 실시예에서, 기록시트(13)가 정합로울러(11) 사이에 끼인 상태로 중지될 때 시트 이송센서(30)는 기록시트(13)의 중지위치의 변동을 보충하기 위해 제공된다.
전술한 실시예 1∼4에서 만일 화상전개가 더 일찍 완결되면, 기록시트(13)는 그의 선단부가 정합로울러(11)에 충돌하거나 끼이면서 단지 순간적으로 정합을 기다리며 따라서 시트는 로울러의 닙에서 변형되지 않는다. 그러나, 만일 화상전개가 장시간을 요하면, 기록시트는 선단부가 정합로울러(11)에 끼어 있는 상태로 화상전개의 완결을 기다림에 따라 변형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고온고습의 조건에서 현저하나 저습하에서도 정합로울러(11)에 의해 끼이지 않는 기록시트(13)의 일부는 건조에 의해 수축하는 한편 로울러에 의해 끼인 부분은 수축하지 않기 때문에 변형은 여전히 일어난다. 따라서, 전사대전기로의 화상의 전사는 감광드럼(2)과 기록시트(13)간의 불충분한 접촉때문에 화상얼룩 또는 고르지 못한 화상과 같은 결점을 가져올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 1-4에서 화상의 전사는 전사로울러(10)로 행해지기 때문에 시트가 변형될지라도 감광드럼(2)과 기록시트(13) 사이에 충분한 접촉이 실현되며 따라서 결함있는 화상전사를 피할 수 있다.
전사로울러(10)는 제 17 도에 단면을 나타낸 바와 같이, 철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된 원통형 코어(35)와 주로 우레탄 고무, EPDM, 네오프렌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로 된 고체 또는 발포 탄성층(36)을 갖는다. 탄성층(36)은 그 안에 탄소 또는 산화아연을 분산시킴으로써 105-1012Ωcm의 부피저항을 갖는다. 전사로울러(10)는 기록시트(13)를 가로질러 감광드럼(2)을 압착하고 이로써 그것들간에 닙이 형성된다. 전사로울러(10)에는 감광드럼(2)에 쌓인 토너와 반대 극성의 전압이 제공되며, 토너는 전사로울러(10)의 압력과 로울러(10)와 감광드럼(2)간의 전장에 의해 기록시트(13)에 전사된다. 기록시트가 다소 변형될지라도 결함있는 전사가 회피될 수 있는데, 그것은 기록시트가 전사로울러(10)의 압력에 의해 감광드럼(2)과 밀접하게 접촉하고 토너는 전장에 의해 기록시트(13)에 이끌리기 때문이다.
[실시예 5]
제 18 도는 제 5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자복사프린터(1d)의 개략도이다. 본 제 5 실시예의 기초기능 및 전기적 구조는 화상전사가 벨트에 의해 행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 1-4와 같다. 그러므로 다음에서, 본 실시예를 특징짓는 기능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벨트(37)는 로울러(38)와 아이들러 로울러(39) 사이에 지지되어 있으며 로울러(38)에 의해 구동되며 도시않은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벨트(37)는 105-1012Ωcm의 부피저항을 갖도록 탄소와 같은 낮은 저항의 물질이 분산되어 있는 예를들면 우레탄 고무, 실리콘 고무, EPDM 또는 클로로프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절연기판과 도전층으로 구성된 다층구조를 채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동력원(40)에 의해 벨트(37)에는 토너를 유인하는 극성의 바이어스 전압이 주어진다.
정합로울러(11)에서 대기하고 있던 기록시트(13)가 전사벨트가 도달하면 인가된 전압에 의해 전사벨트(37)에 정전적으로 끌려가고, 토너화상이 감광드럼(2)과 벨트(37) 사이의 닙에서 전사된다. 화상전사후 기록시트(13)는 아직도 정전력에 의해 벨트(37)에 끌려 운반된다. 따라서 기록시트(13)는 약간 변형되었더라도 벨트에 의해 끌린 상태로 원활히 운반되며, 반송시스템에 있어서의 시트의 마찰에 의한 또는 시트의 재밍에 의한 화상파괴가 없다.
이어서 벨트(37)는 크리너(41)에 의해 세정되어 다음 사이클에 사용된다.
전사된 화상을 지닌 기록시트는 정착유닛(15)에서 정착되고 방출로울러(16)에 의해 장치로부터 방출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 있어, 반송모우터가 정지되어 있을 때면 언제나 레이저 주사 모우터도 정지된다. 그러나 레이저 주사 모우터가 충분한 내구성을 가진 경우는 반송모우터만을 정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앞의 실시예 1 내지 5는 레이저 빔 프린터에 적용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LED 프린터 또는 액정프린터에 적용될 수도 있다. LED 프린터의 경우, 레이저 주사 유닛이 LED 어레이 헤드로 대치되며, 액정프린터의 경우에는 레이저 주사유닛이 액정어레이 헤드로 대치된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 있어서, 마이크로프로세서(117)는 코우드정보의 수신 및 코우드 정보의 화상데이타로의 변환을 수행할뿐 아니라, 레이저 빔 프린터의 기계적 제어도 수행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17)의 부하를 경감키 위해서는 레이저빔 프린터의 기계적 제어는 이 실시예에서 나중에 설명될 다른 독립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제 19 도는 제 6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이저 빔 프린터(1e)의 횡단면도이다.
레이저 빔 프린터(1e)에는 기록시트(13)를 수용하는 카세트(14) ; 카세트(14)내에 기록시트가 있는가를 검출하는 카세트 시트 센서(63) ; 카세트(14)내 기록시트(13)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마이크로 스위치로 구성된 카세트 크기 센서(64) ; 및 기록시트(13)를 카세트(14)로 부터 반송하기 위한 시트 이송로울러(12)가 구비되어 있다.
시트 이송로울러(12)의 하류측에는 시트(13)를 동기화 양식으로 반송하기 위한 정합로울러(11) ; 그리고 나중에 설명할 레이저 주사유닛(3)으로 부터의 레이저 빔을 이용하여 기록시트(13)위에 토너화상을 형성시키기 위한 화상형유닛(68)이 구비되어 있다.
화상형성유닛(68)의 하류측에는 기록시트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열적으로 정착하기 위한 정착유닛(15) ; 시트 반송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시트 방출센서(70) ; 기록시트(13)를 방출하기 위한 방출로울러 ; 및 기록된 시트(13)를 수신하기 위한 스태커 트레이(72)가 차례로 배열되어 있다.
레이저 주사유닛(3)은, 나중에 설명될 비디오 제어기(128)로 부터 공급된 화상신호 VDO에 의거하여 변조된 레이저빔을 방출하기 위한 반도체 레이저(53) ; 반도체 레이저(53)로 부터의 레이저 빔으로 감광드럼을 주사하기 위한 레이저 주사모우터(214) ; 화상화 렌즈(75) ; 및 편향반사경(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화상형유닛(68)은 공지된 전자복사공정에 따라, 감광드럼(2) ; 예비노출램프(78) ; 제 1 대전기(5) ; 현상유닛(6) ; 전사 댄전기(34) ; 및 세정날(9a)이 부착된 크리너(9)로 구성되어 있다.
나중에 설명될(제 23 도) 고압출력회로(51)는 프린터 제어유닛(226)으로 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 1 대전기(5), 현상유닛(6) 및 전사 댄전기(34)를 제어한다.
주 모우터(45)는 시트 이송클러치(48)를 통해 시트 이송로울러(12)에 그리고 정합클러치(49)를 통해 정합로울러(11)에 회전을 전달하며 감광드럼(2), 정착유닛(15) 및 방출로울러(16)를 구동하기도 한다.
레이저 빔 프린터(1e)를 제어하는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인티페이스(227)를 통해 비디오 제어기(228)에 연결되어 있고 이 비디오 제어기는 범용 인터페이스(229)를 통하여 외부장치(230)에 연결되어 있다.
제 20 도는 인터페이스(227)에 관한 구조를 표시한다.
신호 SBSY, CBSY, SC 및 CLK는 제 21 도에 표시된 타이밍 챠트에 따라 핸드쉐이크 직렬 전송에 사용된다.
스테이터스 유효신호 SBSY는 프린터 제어유닛(226)으로 부터 비디오 제어기(228)에 송신된다.
명령유효신호 CBSY는 비디오 제어기(228)로부터 프린터 제어유닛(226)에 송신된다.
스테이터스/명령 데이타신호 SC는 신호 SBSY가 참일 때 프린터의 내부상태를 표시하는 스테이터스 자료로서 프린터 제어유닛(226)으로 부터 비디오 제어기(228)에 송신되며, 신호 CBSY가 참일 때는 명령을 나타내는 명령자료로서 비디오 제어기(228)로부터 프린터 제어유닛(226)에 송신된다.
스테이터스/명령데이타신호에 대한, 동기클럭신호 CLK는 비디오 제어기(228)로 부터 프린터 제어유닛(226)에 송신되거나, 또는 신호 SC와 같은 방향으로 보내어진다.
비디오 제어기(228)로 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대응하는 명령을 반송한다.
또한 제 20 도와 관련하여, 프린터 제어유닛(226)이 인쇄할 준비가 되어 있을 때, 참 상태인 준비신호 RDY가 프린터 제어유닛(226)으로 부터 비디오 제어기(228)에 송신된다.
비디오 제어기(228)로 부터 프린터 제어유닛(226)에 송신된 인쇄신호 PRINT는 비디오 제어기(228)가 프린트 작업의 개시를 명령할 때 참 상태를 갖는다.
수직 동기화 요구신호 VSREQ는 프린트 제어유닛(226)에 의해 비디오 제어기(228)에 나중에 설명할 수 적동기화 신호 VSYNC의 출력을 요구하기 위해 사용된다.
수직동기화 신호 VSYNC는 비디오 제어기(228)로 부터 프린터 제어유닛(226)에 송신된 화상신호의 수직동기화(서브주사방향 또는 시트 반송방향으로)를 위해 사용된다.
수평동기화 신호 HSYNC는 프린터 제어유닛(226)으로부터 비디오 제어기(228)에 송신된 화상신호의 수평동기화(주 주사방향 또는 레이저 주사방향으로)를 위해 사용된다.
상술한 화상신호 VDO는 신호 VSYNC 및 HSYNC와 동기하여 비디오 제어기(228)로 부터 프린터 제어유닛(226)에 송신되는 직렬 점 데이타이다. 신호 HSYNC 및 VDO의 타이밍은 제 22 도에 표시되어 있다. 신호 HSYNC가 참 상태로 바뀐 후 소정시간(tH)후, 일 주사분의 화상데이타(제 22 도에 있어 사선부분)는 신호 VDO로 출력된다. 이 조작은 반복되어 한 페이지의 화상신호가 출력된다.
제 23 도는 본 실시예의 프린터 제어유닛(226)의 구조를 보여주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레이저 빔 프린터의 기계적 제어는 단일 칩 마이크로 컴퓨터(CPU)(43)에 의해 행해진다. 비디오 제어기의 제어를 받으면서 CPU(43)는 모우터 구동기(44) ; 레이저 주사 모우터 구동기(46) ; 시트 이송클러치(48) ; 정합로울러 클러치(49) ; 광센서(30) ; 고압발전기(51) ; 레이저 모듈레이터(52) ; 및 빔 검출기(54)와 같은 각종 부하를 제어한다.
VDO신호는 레이저 모듈레이터(52)에 공급되어 반도체 레이저(53)에서 방출된 레이저빔을 변조하는데 사용된다. 레이저 빔은 레이저 주사 반사경에 의해 감광드럼을 주사하고, 그의 검출신호가 빔검출기(54)에 의해 펄스신호로 변환되는 포토다이오드(55)에도 입사된다. 빔 검출기(54)로 부터의 펄스신호는 HSYNC신호로서 비디오 제어기(228)에 공급된다.
제 24 도에 표시된 것처럼, 비디오 제어기(228)에는 예컨대 제 24 도에 표시된 것처럼 마이크로프로세서(17), 기억장치(19∼21)및 I/O구동장치(23)가 구비되어 있다.
퍼스날 컴퓨터나 워크 스테이션과 같은 외부장치(230)는 Centronix 또는 RS232C와 같은 일반 목적 인터페이스를 통해 코우드 정보를 레이저 빔 프린터에 송신한다. 코우드 정보는 레이저 빔 프린터에 있는 인터페이스(18)에 의해 수신되고, 이어서 제어버스, 어드레스 버스 및 데이타 버스의 통합기능을 가진 내부버스(28)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17)에 의해 수신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7)는 비소멸성 ROM으로 구성된 기억장치(21)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작용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7)는 인터페이스(18)에서 얻은 코우드 정보를 일정한 처리를 한 뒤 코우드 정보 저장을 위한 RAM인 기억장치(19)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에 첨가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7)는 코우드 정보를 점화상 데이타로 변환하여 화상 데이타저장용 RAM인 기억장치(비트맵 메모리)에 변환된 데이타를 저장한다. DMA제어기(22)는 기억장치(20)에 저장된 데이타를 판독하여 그 데이타를 래스터 변환회로(24)에 보낸다. 이 DMA제어기(22)는 마이크로프로세서(17)와는 독립적으로 내부버스(28)를 사용할 수 있다. 기억장치(20)에 있는 한 페이지분의 화상데이타를 검출한 때(즉 일페이지분의 코우드정보를 화상데이타로 완전 변환시킨 때), 마이크로프로세서(17)는 DMA제어기(22)를 작동시키며, 이 DMA제어기는 마이크로프로세서(17)와 교대로 내부버스(28)를 차지하면서 요구에 응답하여 화상데이타를 기억장치(20)로 부터 래스터 변환회로(24)에 보낸다. 래스터 변환회로(24)는 DMA제어기(22)로 부터 병렬화상데이타를 직렬화상데이타로 변환시키며, 그 직렬화상데이타가 수평동기화 신호와 동기하여 기계적 제어유닛(26)에 있는 레이저 드라이버에 공급되어 레이저 빔을 변조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7)는 코우드 정보를 화상데이타로 전개하는 것에 추가하여 인쇄 공정에 대한 여러 지시를 레이저 빔 프린터의 기계식 제어유닛(126)에 보낸다.
I/O드라이버(23)는 마이크로프로세서(17)와 기계적 제어유닛(126)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다음에는 제 25 도를 참조하여 인터페이스 신호의 상태와 마이크로 컴퓨터(43)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겠다.
신호 RDY가 참 상태에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17)가 일페이지분의 코우드 정보를 수신한 때, I/O드라이버(230가 PRINT신호를 거짓으로 바꾸고 VSYNC신호를 참으로 바꾸머(제 25a 도) 그리하여 마이크로컴퓨터(43)는 반송모우터와 레이저 주사모우터를 가동시킨다. 이어서 소정시간후 시트 이송클러치가 작동상x에 놓인다(제 25c 도).
마이크로프로세서(17)가 한페이지분의 화상전개를 완료하면, 신호 VSYNC가 거짓으로 옮겨지고 신호 PRINT는 참으로 바뀐다(제 25d 도). 이어서 공급된 시트가 정합로울러에 도달하면 마이크로컴퓨터(43)가 신호 VSREQ를 참 상태로 바꾼다(제 25e 도). 그래서 I/O드라이버(23)는 시트가 정합로울에 도달한 것을 알고 PRINT신호가 참 상태에 있는 동안 VSYNC신호를 참으로 바꾼다(제 25f 도). 참 상태의 VSYNC신호를 수신하며, 마이크로컴퓨터(43)는 VSREQ신호를 (g)에서 거짓으로 바꾼다.
(f)에서 참 상태의 VSYNC신호를 수신한지 소정시간후 마이크로컴퓨터(43)는 정합로울러를 작동시킨다.(제 25h 도). 이어서 마이크로컴퓨터(43)는 (i)에서 제 1 대전기에, (K)에서 현상 유닛에, 그리고 (1)에서는 전사대전기에 대해 각각 고전압을 인가시킨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17)는 DMA제어기(22)를 기동시키고 (j)에서 VDO신호를 출력한다.
제 25 도는 코우드 정보수신의 종말(제 25 도에 있어 (a)에서)로부터 화상전개의 종말(제 25 도에 있어 (d)에서)까지의 시간이 짧은 경우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 26 도는 상술한 시간이 길 경우의 기능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 26 도에 있어서, (c)에서의 시트 공급조작시로 부터 소정시간후 PRINT신호의 참 상태가 검출되지 않으면 마이크로컴퓨터(43)는 반송모우터를 (d)에서 정지시킨다. 이어서, 상 전개의 종료에서 I/O드라이버(23)는 (e)에서 VSYNC신호를 거짓으로 그리고 PRINT신호를 참으로 바꾼다. 그런뒤 마이크로컴퓨터(43)는 (f)에서 반송모우터를 가동시키고, 공급된 시트가 안정되게 정합로울러에 도달했을 때 (g)에서 VSREQ신호를 발생시킨다. I/O드라이버(23)는 (i)에서 정합로울러를 가동시키고 이어서 연속적으로 고전압을 방출한다.
전술한 설명에는 이송시트가 정합로울러상에 충돌되게 하여 시트에 루프가 형성되는 제어방법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전술한 제 4 실시예에서는 시트에 루프를 형성하지 않는 제어방법이 설명되었다. 또한 본 제 6 실시예에서는 제 4 실시예와 유사한 제어가 제 27 도의 타이밍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PRINT, VSREQ 및 VSYNC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43)에 지시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7)가 한 페이지분의 코우드정보를 수신한 때 PRINT신호가 거짓상태에 있는 동안에 VSYNC신호는 참으로 바뀐다.
(a)에서 PRITN신호가 거짓상태인 동안에 VSYNC가 참상태에 수신했을때 마이크로컴퓨터(43)는 (b)에서 반송모우터를 작동시켜 (c)에서 시트이송을 실시한다. 계속해서, 마이크로컴퓨터는 소정시간후의 시간 (d)에서 정합로울러를 가동시키고, 그런다음(e)에서 정합 로울러를 정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이송시트는 정합로울러들 사이에 끼여 있는 상태로 정지된다. 만약 PRINT신호가 정합로울러가 정지된 후 소정시간이 지난후에도 참으로 되지 않는다면, 모우터는 (f)에서 정지된다. 이어서, 상 전개가 완료된 후 마이크로프로세서(17)가 VSYNC신호를 거짓으로 전이시키고 PRINT신호를 참으로 전이시킨다. 마이크로컴퓨터(43)는 (h)에서 반송모우터를 작동시키고, (i)에서 정합로울러를 다시 작동시킴으로써, 정합로울러 사이에 끼여 있는 시트를 시트 이송센서(30)를 향하여 전진시킨다. 시트의 선단부가 시트이송센서(30)을 통하여 통과할때 마이크로컴퓨터(43)는 (j)에서 VSREQ신호를 참으로 전이시킨다. 마이크로프로세서(17)가 VSREQ신호의 참상태를 검지할때, DMA제어기(22)는 VSREQ신호의 상향전이와 동기하여 VDO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43)는 제 27 도의 (k)에서 (m)의 VSREQ신호의 상향전이와 동기하여 차례로 고전압을 출력한다.
PRINT와 VSYNC신호의 상술한 제어시켄는 제 20 도 내지 24도에 도시된 제 6 실시예의 구조를 사용하여 제 4 실시예의 제어와 유사한 제어를 이루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제 6 실시예에서, 코우드정보의 수신과 화상전개는 마이크로프로세서(17)에 의해 수행되는 한편, 시트 반송 및 고전압 제어같은 과정은 단일-칩 마이크로컴퓨터(43)에 의해 수행된다. I/O드라이버(23) 및 마이크로컴퓨터(43)는 인터페이스(227)에 의해 연결되고, 시트이송 및 시트 이송 로울러는 3개의 신호, PRINT, VSREQ 및 VSYNC에 의헤 제어된다. 이들 신호는 다른 일련의 신호에 의해 대치될 수도 있다. 그런 경우에, 직렬 전송은 단독으로 I/O드라이버(23)와 마이크로컴퓨터(43)사이에서 실행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7)와 I/O드라이버(23)는 상기 언급한 직렬전송에 엔코우드된 정보에 의해 마이크로컴퓨터(43)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프로세서(17) 대신 외부장치에 의해 코우드 정보의 수신 및 화상전개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비디오 제어기(228)의 구조를 간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술한 레이저 빔 프린터에서, 반송모우터의 온/오프제어는 프린트하고자 하는 코우드정보의 화상전개가 완료되는 타이밍에 근거를 둔다. 따라서 단시간내에 화상전개를 완료시킬 수 있는 코우드 정보에 대해 고처리량이 보증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화상전개에 장시간을 요하는 코우드정보에 대해서는, 반송모우터가 일단 정지되기 때문에 감광드럼을 마모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제 6 실시예의 시켄스는 감광드럼이 정지된 후에는 전하가 없이 유지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하로부터 발생되는 유해를 방지한다.
[실시예 7]
제 28 도는 시트 이송부분을 제외하고는 제 11 도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제 7 실시예의 레이저 빔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제 28도에 도시된 구조에서, 시트 이송로울러(12)에 의해 이송된 기록시트(13)는, 종이 이송센서(30)와 같은 광센서에 의해 검지된 위치(42)에서 정합로울러(11)사이에 낀 상태로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시트 이송로울러(12)는 즉시 이송을 개시할 수 있다.
제 29 도는 비디오 제어기(228)에서 프린터 제어유닛(226)으로 전송되는 PRF신호에 대한 라인의 존재시에 전술한 제 6 실시예의 인터페이스(227)와는 상이한 제 7 실시예의 인터페이스(227a)에 관한 구조도이다. 제 7 실시예의 프린터제어유닛(226)과 비디오 제어기(228)는 제 6 실시예의 그것들과 동일하므로, 제 7 실시예를 특징짓는 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 30 도는 제 7 실시예의 레이저 빔 프린터의 기능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이 프린터에 동력이 공급되어 프린트신호를 수용할 준비가 되면, CPU(43)로부터 I/O드라이버(23)에 공급된 RDY신호는 참상태에 있게 된다. (a)에서 (b)의 시간동안에 한 페이지분의 코우드 정보가 수신된 후, I/O드라이버(23)는 신호 PRINT 및 PRF는 CPU(43)에 공급한다. 그에 반응하여,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c)에서 반송모우터(45)와 레이저 주사모우터(47)를 작동시키며, 차례로 제 1 대전기, 전사대전기 등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화상신호를 수신할 준비를 한다. 계속해서, 종이이송클러치(48)가 타이밍(d)에서 시트 이송을 실시하기 위해 작동된다. 시트(13)의 선단부가 광센서(30)에 도달하게 되면, 그의 출력이 (h)에서 H-레벨로 전이됨으로써, 종이이송클러치(48)는 정지되어 시트 이송작동이 종결되고, 화상신호가 수신될 수 있는 I/O드라이버(23)를 어드바이스하기 위해 VSREQ신호가 (i)에서 참상태로 전이된다. VSREQ신호에 반응하여, I/O드라이버(22)는 화상의 개시를 지시하는 VSYNC신호를 (j)에서 출력한 후, 시간(K)에서 (O)동안 화상데이타의 판독을 실시하여, VDO신호로서의 화상데이타를 레이저 변조회로(52)에 보낸다.
프린터 유닛(226)이 VSYNC신호를 수신할 때, 위치(42)에서 대기하고 있는 기록시트(13)가 시트 이송로울러(12)의 제작동에 의해 정합로울러(11)를 향해 전진하고, 이어서 타이밍(1)에서 정합로울러(11)의 작동에 의해 감광드럼(2)을 향해 전진하여, 화상의 선단부와 기록시트(13)의 선단부를 동기시킨 후, 전사로울러(10)에 의해 화상전사를 수행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7)가 이미 시간(f)에서 (g)동안에 제 2 페이지의 코우드정보를 수신하였으므로 PRF신호는 참상태에 있다. 따라서, 화상데이타 판독과 제 1 페이지의 노출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타이밍(m)에서 제 2 페이지를 위한 시트 이송을 실시하는 제 3 페이지의 코우드 정보가 아직 수신되지 않았으므로, 비디오 제어기(228)는 PRE신호를 (n)에서 거짓으로 전이시킨다. 제 1 페이지에 대한 화상데이타 판독이 (0)에서 완료되면, 제 2 페이지의 화상 전개가(P)에서 개시된다.
제 2 페이지의 시트(13)가 감광기(30)에 도달하면, 그의 출력은 (g)에서 H-레벨로 전이되고, VSREQ신호는 (r)에서 참 상태로 전이된다.
만약 화상전개가 장시간을 요하면,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이 상태에서 I/O드라이버(23)로부터 VSYNC신호를 기다린다. 화상전개가 (s)에서 종결될 때, VSYNC신호는 (t)에서 출력된다. 이어서 시트이송로울러(12)가 (u)가 작동되고, 정합로울러가 (x)에서 작동된다. (w)에서 개시된 화상데이타 판독이 완료될 때, PRINT신호는 거짓으로 전이되고, 그로써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전사대전기와 제 1 대전기용 고전압과 드럼회전이 차례로 정지되는 회전후 단계로 들어가고, 이로서 시켄스는 종결된다.
만약 화상전개가 소정시간을 초과하면,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회전후 단계로 들어가고, 그런다음 화상전개의 완료를 기다리기 위해 정지할 수 있다.
기록적으로 제 6 또는 제 7 실시예에서와 같이 CPU(43)에 기초한 프린터 제어유닛(226)의 구조는 여러페이지 기재언어를 취급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연성을 제공한다.
또한 프린터 제어유닛(226)이 타이밍에 대한 제어를 실시하기 때문에, 마이크로프로세서(17)는 시트 이송의 타이밍에 대한 고려없이 가능할 수 있고, 그로써 제어는 간이화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227, 227a)를 통하여 신호전송이 수행되기 때문에 기록 시트(13)의 대기 시간은 더 길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제 7 실시예의 구조에 있어서, 소정의 대기중에 기록시트(13)의 변형은 시트 이송로울러(12)에 의해 낀 부분에 제한되고, 시트반송에 중요한 시트의 선단부로부터 중심부에 이르는 부분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시트 재밍의 가능성은 저하된다. 그 외에도 시트의 후미부의 변형이 전사로울러(10)의 납에서 보정될 수 있고, 그로써 감광드럼과 시트의 불완전한 접촉으로부터 야기되는 화상전사부족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설명된 바와같이, 본 제 7 실시예에서는 기록시트(13)는 일페이지분의 코우드정보에 반응하여 시트의 선단부가 전사로울러로부터 L2(〉L1)만큼 떨어져 있는 대기위치를 향하여 전진한다. 그런 다음, 화상전개 후, 기록시트(13)는 화상형형과 동기하여 전사로울러(10)를 향하여 전진한다. 따라서, 화상기록의 처리량은 기록시트(13)가 화상전개가 완료될 때가지 전진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개선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만약 기록시트(13)가 장시간의 화상전개에 의하여 변형되는 경우에라도, 전사로울러(10) 또는 전사벨트(37)을 이용한 화상전사로 화상전사 부족같은 불완전한 화상 전사를 피하게 되므로, 기록된 화상의 질은 저하되지 않는다.
[실시예 8]
전술한 제 6, 7 실시예에서, 감광드럼(2)은 화상전개에 장시간이 필요할 때 프린터 제어유닛(226)에 의해 제어된다. 대조적으로 본 제 8 실시예에 있어서는, 감광드럼(2)은 프린터 제어기(228)로부터의 지시에 의해 제어된다. 제 8 실시예의 구조는 제 19 도 내지 24 도에 도시된 제 6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며, 그러므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다음에 제 8 실시예의 특징짓는 기능을, 제 31 도 및 32 도에 도시된 계통도 및 제 33 도에 도시된 타이밍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31 도는 프린터 제어유닛(226)의 제어시켄스를 도시하며, 제 32 도는 비디오 제어기(228)의 제어시켄스를 도시한다.
먼저, 제 31 도의 단계 S1에서, 레이저빔 프린터가 프린트 작동을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RDY신호를 참으로 전이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비디오 제어기(228)는 제 32 도의 단계 E1에서 RDY신호의 참상태를 확인한 후에, PRINT신호를 참상태로 전이시킨다(단계 E2).
RDY신호가 참으로 전이되고 PRINT신호의 참 상태가 확인된 후(단계 S2), 프린트 제어유닛(226)은 주모우터(45)를 작동시키고(단계 S3), 그런다음 제 1 대전기(5), 현상유닛(6) 및 전사대전기(34)에 고전압을 인가하며(단계 S4), 레이저 주사모우터(47)를 작동시킨다(단계 S5).
레이저 주사모우터(47)가 일정한 회전수에 도달하기에 충분한 시간(t11)이 지난 후, 종이 이송클러치(48)는 시트 이송로울러(12)를 구동시키기 위해 작동되고, 그로써 기록시트(13)를 정합로울러(11)를 향해 이송시킨다. 시트(13)의 선단부가 정합로울러(11)에 도달하는 시간(t11+t12)에서, 종이이송클러치(48)는 정지된다.(단계 S6). 이어서, 고압시켄스가 화상질을 유지하기 위해 감광드럼(2)상에 전도된다. 그런후, VSREQ신호가 참으로 전이되고(단계 S7), 비디오 제어기(228)로부터의 VSYNC신호의 참상태를 대기한다.
만약 화상정보의 도트데이타의 변환을 완료시킴으로써 VDO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면, 즉, 단계 E3에서 VSREQ신호가 수신된 후 소정시간(tac)내에 VSYNC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면, 비디오 제어기(228)는 단계 E4에서 단계 E9로 진행하여 VSYNC신호를 참상태로 전이시키고, 신간(tv1)후에 일페이지의 VDO신호를 출력을 시작한다.(단계 E10). 이 경우에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단계 S8로 부터 S18로 진행하여, 이하 기술되는 바와같이 기록 시트상에 기록을 실시한다.
다른 한편으로, 만약 비디오 제어기(228)가 제 3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텝 E3에서 VSREQ신호를 수신한 후 시간 tac내에 화상전개가 완료되지 않기 때문에 VSYNC신호를 출력할수 없다면, 시켄스는 단계 E4로부터 E5로 진행하여 그곳에서 비디오 제어기(228)가 PRINT신호를 거짓으로 전이시킨다.
VSREQ신호를 참 상태로 전이 시킨후 거짓상태의 PRINT신호를 수신했을때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단계 S8, S9로부터 단계 S10으로 진행하여 VSREQ신호를 거짓 상태로 전이시킨다. 그런다음 고전압 시켄스후에, 프린터 제어유닛은 고전압을 순차적으로 종결시키고(단계 S11), 주모우터(45)를 정지시켜(단계 S12), 광감드럼(2)도 정지된다. 프린터 제어유닛(226)과 화상형성유닛(68)은 대기상태로 들어가고 PRINT신호가 다시 참상태가 되기를 기다린다(단계 S13). 만일 화상전개후 VDO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면, 즉 VSYNC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면, 비디오 제어기(228)가 단계 E6으로부터 단계 E7로 진행하여 PRINT신호를 참으로 전이시킨다. 그런후에, 참상태의 VSREQ신호가 단계 E8에서 수신될 때 VSYNC신호는 tac보다 저 짧은 시간 ta1후에 참으로 전이된다. 그와 함께 시간 tv1후, 한 페이지분의 화상데이타(제 33 도의 빗금친 부분)로 이루어지는 VDO신호가 출력되기 시작한다(단계 E10).
한편, 단계 S13에서 참상태의 PRINT신호를 받은후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주모우터(45)를 작동시키고(단계 S14), 고전압들을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고전압 시켄스를 시작한다(단계 S15). 이 고전압 시켄스후에,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VSREQ신호를 참으로 전이시키고(단계 S10), 참상태로 VSYNC신호가 들어가는 것을 기다린다(단계 S17). VSYNC신호의 참상태를 확인한 후,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VSREQ신호를 거짓으로 전이시키고(단계 S18), 시간 t13후에 정합로울러 클러치(49)를 켜서 정합로울러(11)를 작동시키고 기록시트(13)를 화상형성유닛(68)으로 진행시킨다. 그런다음 시간 t13+t14에서 정합로울러클러치(49)를 끈다(단계 S19).
단계 S19에서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레이저 빔을 주사하는 것과 동기된 소정의 타이밍에서 HSYNC신호로 비디오 제어기(228)로 보내고, 반도체 레이저(53)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VDO신호에 따라 변조시켜 화상형성유닛(68)에 의해 화상을 기록한다.
계속해서 고전압 시켄스후, 고전압을 순차적으로 종결시킨다(단계 20). 시트(13)의 배면부가 시트 방출 센서(70)를 통과할때 주모우터(45)가 정지되고(단계 S21), 그런다음 레이저 주사모우터(47)가 정지되어(단계 S22) 프린터의 작용이 끝난다.
[실시예 9]
전술한 8번째 실시예에서는, VSREQ신호를 출력후, 프린터 제어유닛(226)이 비디오 제어기(226)으로부터의 PRINT신호의 거짓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주 모우터(45)를 정지시킨다. 그렇게 하여 화상전개에 장시간 필요할때에 조차도 광감드럼(2)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제 34 도는 본 제 9 실시예의 인터페이스(227b)에 관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데, 광감드럼(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라인 VSYNC WAIT이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실시예의 다른 부분은 제 8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다.
이하에서 제 35 도와 제 36의 흐름도와 제 37 도의 타이밍도를 참고로하여 제 9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할 것이다. 제 35 도는 제 23 도에 나타낸 프린터 제어유닛(226)의 작용을 나타내고, 제 36 도는 제 24 도에 나타낸 비디오 제어기(228)의 작용을 나타낸다. 먼저 제 35 도의 단계 S1에서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프린팅이 가능하게될 때 RDY신호를 참으로 전이시킨다. 한편, 제 36 도의 단계 E1에서 RDY신호의 참상태를 확인한후 비디오 제어기(228)는 PRINT신호를 참상태로 전이시킨다(단계 E2). RDY신호를 참상태로 전이시키고(단계 S1) PRINT신호가 참상태임을 확인한 후(단계 S2) 프린팅 제어유닛(226)은 주모우터(45)를 작동시키고(단계 S3), 그런다음 제 1 대전기(5), 현상유닛(6) 및 전사 대전기(34)에 고전압을 공급하고(단계 S4), 레이저 주사모우터를 작동시킨다(단계 S5). 그리고나서 레이저 주사모우터(47)가 일정하게 회전하게 되는데 충분한 시간 t11후, 종이 공급 클러치(48)가 온되어 시트 공급로울러(12)를 구동시켜, 기록시트(13)를 정합로울러(11)로 공급한다. 시트(13)의 선단부가 정합로울러(11)에 도달하는 때인 t11+t12에서 종기공급클러치(48)가 오프된다(단계 S6). 한편 고전압 시켄스가 광감드럼(2)에 작동하여 화상의 질을 유지한다. 그런후에 VSREQ신호를 참상태로 전이시키고(단계 S7), 비디오 제어기(228)로부터의 VSYNC신호의 참상태를 기다린다.
만일 화상정보를 도트데이타로 변환시키는 것을 완료함으로써 VDO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면, 즉, 단계 E3에서 VSREQ신호를 수신한후 소정시간 tac내에 VSYNC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면, 비디오 제어기(228)는 단계 E4에서 단계 E9로 진행하여 VSYNC신호를 참상태로 전이시키고, 시간 tv1이 자난후 한 페이지분의 VDO신호를 출력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단계 S8로부터 S18로 진행하여 이후 설명되는 것처럼 시트(13)에 기록하게 된다. 한편, 제 37 도에 나타낸 것처럼 단계 E3에서 VSREQ신호를 수신할때 부터 시간 tac내에 화상전개가 완료되지 않아 비디오 제어기(228)가 VSYNC신호를 출력할 수 없으면, 시켄스는 단계 E4에서 E5 진행하여 비디오 제어기(228)가 VSYNC WAIT신호를 참상태로 전이시킨다. VSREQ신호를 참으로 전이시키고 나서 참상태의 VSYNC WAIT신호를 수신하면,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단계 S8, S23으로부터 단계 S10으로 진행하여 VSREQ신호를 거짓으로 전이시킨다. 그런다음 고전압 시켄스후에 프린터 제어유닛은 고전압을 차례로 종결시키고(단계 S11), 주모우터(45)를 정지시키며(단계 S12), 이로써 광감드럼(2)이 또한 정지된다. 프린터 제어유닛(226)과 화상형성유닛(68)은 대기상태에 들어가 VSYNC WAIT신호가 다시 거짓상태가 되기를 기다린다(단계 S24).
만일 화상전개후 VDO신호를 출력할수 있으면, 즉 VSYNC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면, 비디오 제어기(228)는 단계 E6으로부터 단계 E7로 진행하여 VSYNC WAIT신호를 거짓으로 전이시킨다. 그런후에 참상태의 VSREQ신호가 단계 E8에서 수신되면 VSYNC신호는 tac보다 짧은 시간 ta1후에 참상태로 전이된다. 그와 동기하여 시간 tv1 후에 한페이지분의 화상데이타(제 37 도의 빗금친 부분)로 이루어지는 VDO신호를 출력하기 시작한다.
한편, 단계 S24에서 거짓상태의 VSYNC WAIT 신호를 수신하면,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주모우터(45)를 작동시키고(단계 S14), 고전압을 순차적으로 작동시켜 고전압 시켄스를 시작한다(단계 S15). 이 고전압 시켄스후에, 프린트 제어유닛(226)은 VSREQ신호를 참상태로 전이시키고(단계16) 참상태의 VSYNC신호가 들어가기를 기다린다(단계S17). VSYNC신호의 참상태를 확인한 후,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VSREQ신호를 거짓으로 전이시키고(단계 S18), 시간 t13 경과후 정합로울러 클러치(49)를 커서 정합로울러(11)를 작동시키고 기록시트(13)을 화상형성유닛(68)으로 진행시킨다. 그런후에 시간 t13+t14에서 정합로울러 클러치(49)를 끈다(단계 S19). 단계 S19에서,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레이저빔의 주사와 동기적으로 일어나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HSYNC신호를 비디오 제어기(228)로 보내고, VDO신호에 따라 반도체 레이저(53)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변조시켜 화상형성유닛(68)으로 화상을 기록한다. 계속해서, 고전압 시켄스후에 고전압을 순차적으로 종결시킨다(단계 S20). 시트(13)의 배면 단부가 시트 방출센서(70)를 통과할때 주모우터(45)가 정지된다(단계 S21). 계속해서 레이저 주사모우터(47)가 정지되고(단계 S22), 이로서 프린터의 작용이 종결된다. 제 9 실시예에서, 비디오 제어기에서 화상을 전개하는데 장시간의 요구되면, 즉, 프린터 제어 유닛(226)에 의한 VSREQ신호의 출력으로부터 비디오 제어기(228)에 의한 VSYNC신호의 출력까지 긴 시간 간격이 있으면, 광감드럼(2)은 비디오 제어기(228)로부터의 신호에 의해 정지된다. 따라서 광감드럼(2)의 불필요한 회전을 피할 수 있게 되어 그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실시예 10]
전술한 제 8 및 제 9 실시예는 화상전개에 장시간이 필요한 경우에 기록시트(13)가 이송된후 드럼을 정지시킴으로써 감광드럼(2)의 마모를 피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만약 화상전개가 현저하게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면, 기록시트(13)는 제 1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합로울러(11)의 접촉에 의해 구겨짐(curling), 또는 뒤틀림을 나타낼 것이다. 그러한 시트 변형은 시트 제밍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제 10 실시예는 화상전개에 필요한 시간이 특정된 소정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이미 이송된 기록시트(13)위에 화상형성을 금지함으로써 그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제 10 실시예의 구조는 제 19 도 내지 24 도에 도시된 전술한 제 6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하지 않을 것이며, 다음에 제 10 실시예의 기능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신호 RDY, PRINT, VSREQ, VSYNC, HSYNC 및 VDO는 낮은 레벨에서도 활성이며, 이는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로 표시한다.
제 38 도 및 39 도는 각각 제 10 실시예의 비디오제어기(228)와 프린터 제어유닛(226)의 기능을 나타내는 계통도이며, 제 40 도 및 41 도는 해당하는 타이밍도이다.
제 38 도의 단계 S1에서, 비디오 제어기(228)는 외부장치(230)로부터의 프린트 명령과 프린터 제어 유닛(228)로부터의
Figure kpo00003
신호에 응답하여, 시간 t1에서
Figure kpo00004
신호를 참상태로 전이시킨다(제 40 도의 (1)) 그에 따라, 프린터 제어 유닛(226)은 제 39 도의 단계 P1으로부터 주모우터(45)와 레이저 주사 모우터(47)를 작동시키기 위한 P2로 진행하고(제 40 도의 (5)와 (6)), 그로써 감광드럼(2)이 회전하고, 정착유닛(15)의 정착로울러(15) 및 방출로울러(16)가 회전한다. 또한 제 1 대전기(5), 현상유닛(6) 및 전사대전기(34)에 순차적으로 고전압이 걸리기 시작한다(이하, 고전압 시켄스라 칭함). 레이저 주사 모우터(47)가 일정한 회전수에 도달하게 되면, 프린터 제어유닛(226)에 입력된 주사기 준비신호(Scanner ready signal)는 참상태로 전이되고(제 40 도의 (7)), 이에 동기하여 종이이송클러치(48)가 작동되어 시트 이송로울러(12)를 구동시켜(제 37 도의 단계 P3 ; 제 40 도의 (8)), 그로써 기록시트(13)가 정합로울러(11)를 향해 이송된다. 시트(13)의 선단부가 시트 이송로울러(12)의 이송개시로부터 시간 w1 후 정합로울러(11)에 도달하면,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시트 이송로울러(12)를 정지시키고(제 39 도의 단계 P4), 시간 t2에서
Figure kpo00005
신호를 참상태로 전이시킨다(제 39 도에서 단계 P5 ; 제 40 도에서 (2)).
Figure kpo00006
신호의 참상태가 확인된 후(제 38 도의 단계 S2), 비디오 제어기(228)는 전술한 화상 전개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단계 S3로 전진한다. 만약 완료되었다면,
Figure kpo00007
신호는 제 40 도의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3에서 참으로 전이되고(제 38 도에서 단계 S4),
Figure kpo00008
신호의 출력은 t3로부터 소정 시간이 지난후 개시된다(제 38 도에서 단계 S5).
t3에서
Figure kpo00009
신호의 참상태가 확인되면(제 39 도에서 단계 P7 ; 제 40 도의 (9)),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정합로울러(11)를 작동시키고(제 39 도에서 단계 P7 ; 제 40 도의 (9)), 단계 P8에서 감광드럼(2)에 변조된 레이저빔이 조사된다. 정합로울러는 시트(13)의 후단부가 이들 로울러(11)를 통과할 때까지 회전을 계속한다. 제 1 페이지의 프린트는 이런 방법으로 수행된다.
본 제 10 실시예에서는, 다음 페이지를 위한 프린팅 작동은 최대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Figure kpo00010
신호의 출력 과정중에 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Figure kpo00011
신호의 출력과정중의 시간 t4에서 비디오 제어기(228)는 다시 단계 S1으로부터의 시켄스를 개시하고, 그로써
Figure kpo00012
신호를 참 상태로 전이시킨다.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전술한 단계 P1 내지 P5를 실행하고, t5에서
Figure kpo00013
신호를 참으로 이전한다.
Figure kpo00014
신호의 참상태를 확인한 후, 만일 화상 전개가 아직 완전하지 않아서
Figure kpo00015
신호에 이어서
Figure kpo00016
신호가 출력되지 않은 경우, 비디오 제어기(228)가 S3단계에서 S6단계로 진행되어 시간 t6에서 주모우터 정지명령(제 40 도의 (10))을 출력한다.
t5에서 t6까지의 시간 w2는 비디오 제어기(228)에 내장되어 있거나 소프트웨어에서 시행되는 계수기에 의해서, 측정되거나 또는 지연회로에 의해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만일 화상전개가 불가능하거나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비디오 제어기(228)가 판정하는 경우에, 주모우터 정지 명령은
Figure kpo00017
신호를 수신한 후 즉시 출력될 수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감광드럼(2)의 불필요한 회전이 최소화될 수 있다.
주 모우터 정지명령을 수신한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감광드럼(2)상의 표면의 전위얼룩을 소거하기 위해 고전압출력회로(51), 레이저 주사모우터(47) 및 주 모우터(45)를 후처리로서 w3 시간동안 가동하고 그 다음에는 이들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주 모우터 정지명령의 출려과 동시에 비디오 제어기(228)는 타이머를 작동시킨다(S7 단계). 만일 전술된 시간 w2를 타이머로 측정하는 경우, 이것의 작동은 계속되거나 다시 시작될 수 있다.
그 다음에 S8단계에서는 t6부터 상기 타이머에 의해 측정된 시간 wa를 소정된 시간 wc와 비교하는데, 만일 wa
Figure kpo00018
wc이면, S9단계는 화상전개가 완성되어
Figure kpo00019
의 출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가를 판별하고, 만일 그렇지 않으면 시켄스는 S8 단계로 되돌아간다. 예를 들어, 만일 wa=w4(〈wc)에서 화상 전개가 완성되면, 비디오 제어기(28)는 S8, S9단계로부터 S10단계로 진행되어 시간 t7에서 주 모우터 재개시명령을 출력한다(제 40 도의 (11)).
주 모우터 재개시 명령에 대한 응답으로,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주 모우터(45)), 레이저 주사모우터(47)등을 가동시킨다.
t7으로부터 소정의 시간후에, 비디오 제어기(228)은
Figure kpo00020
신호를 참상태로 전이시키고(S11 단계),
Figure kpo00021
신호의 출력을 개시하며(S12 단계), 이로써 프린트 작동이 실행된다. 시간 t8에서는, 다음 페이지를 위한 프린트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Figure kpo00022
신호가 참상태로 전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만일
Figure kpo00023
신호가 참상태인 시간 w2 내에서
Figure kpo00024
신호가 출력될 수 없다면, 주 모우터 정지명령이 출력되어 주 모우터의 재개시 명령이 출력될 때까지 감광드럼을 정지시키고 있음으로, 감광드럼(2)의 불필요한 회전에서 초래되는 감광드럼(2)의 질적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일 비디오 제어기(228)가 시간 t6로부터 시간 wc후에 화상전개를 완성하지 못하면 시켄스는 S8, S9 단계에서 S13 단계로 진행되어 제 41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t9에
Figure kpo00025
신호를 거짓상태로 전이시킨다.
Figure kpo00026
신호의 거짓상태를 확인하고 나면, 프린터 제어유닛(266)은
Figure kpo00027
신호를 거짓상태로 전이시키고, 주 모우터(45)와 클러치(49)를 작동시켜서 정합로울러(11)를 가동시키는데, 이로서 프린트 작동없이 기록시트(13)가 방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만일 주 모우터 정지명령이 출력되고 나서 시간 wc 이내에 화상전개가 완료되지 않으면, 공급되어 있는 시트가 방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기록시트 13의 특성이 변함으로써 초래되는 화상전사 결점과 시트의 재밍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1]
제 42 및 제 43 도는 실시예 11의 비디오 제어기(228)와 프린터 제어유닛(226) 각각에 대한 제어시켄스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 11의 전기적 구조는 전술한 실시예 10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하며 제 42 도 및 제 43 도를 참고로하여 실시예 11의 기능을 설명한다. 실시예 11은 프린터 제어유닛(226)에 있어서 주 모우터 정지명령 수신후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가 존재한다는 특징이 있다.
제 42 도의 R1 단계에 있어서, 비디오 제어기(228)는 외부장치(23)로부터의 프린트 명령과 프린터 제어유닛(228)으로부터의
Figure kpo00028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Figure kpo00029
신호를 참상태로 전이시킨다. 이에 응답하여,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주 모우터(45)와 레이저 주사모우터(47)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 43 도의 N1 단계로부터 N2 단계로 진행되고, 이로써 감광드럼(2), 정착유닛(15)내의 정착로울러와 방출로울러(16)를 회전시키고 또한 고전압 시켄스를 수행한다.
레이저 주사모우터(47)이 일정한 회전수에 도달하면 프린터 제어유닛(226)에 제공된 주사기 준비신호는 참상태로 전이되고 이에 동기하여 종이공급클러치(48)가 작동되어 시트 공급로울러(12)를 가동시키며(제 43 도의 N3 단계), 이로서 기록시트(13)가 정합로울러(11)쪽으로 공급된다. 시트 공급로울러(12)가 가동되고 나서 시간 w1 후에 시트(13)의 선단부가 정합로울러(11)에 도달하면,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시트 공급로울러(12)를 정지시키고(제 43 도의 N4 단계),
Figure kpo00030
신호를 참상태로 전이시킨다(제 43 도의 N5 단계).
Figure kpo00031
신호의 참상태를 확인(제 42 도의 R2 단계)한 후, 비디오 제어기(228)는 상기 화상전개가 완료되었는가를 판별하기 위해 R3 단계로 진행된다. 만일 완료되었다면, 시켄스는 R4 단계로 진행되어
Figure kpo00032
신호를 참상태로 전이시키고, 예정된 시간이 지나면
Figure kpo00033
신호의 출력이 개시된다(제 42 도의 R5 단계).
Figure kpo00034
신호의 참상태를 확인(제 43 도의 N6 단계)하고 나면,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정합로울러(11)를 가동시키고(제 43 도의 N7 단계), N8 단계에서 변조된 레이저 빔으로 감광드럼(2)을 조사한다.
정합로울러(11)는 시트(13)의 후단부가 로울러(11)를 통과할 때까지 계속된다.
본 실시예 11에서, 다음 페이지를 위한 프린트작동은 최대처리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Figure kpo00035
신호의 출력과정중에서 시작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Figure kpo00036
신호의 출력과정에 비디오 제어기(228)는 다시 R1 단계로부터의 시켄스를 시작함으로써
Figure kpo00037
신호를 참상태로 전이시킨다. 프린터 제어 유닛(226)은 전술한 N1 내지 N5 단계를 실행하고
Figure kpo00038
신호를 참상태로 전이시킨다.
Figure kpo00039
신호가 참상태임을 확인한후, 만일 화상전개가 아직 완료되지 않아서
Figure kpo00040
신호에 이어서
Figure kpo00041
신호가 출력될 수 없으면 비디오 제어기(228)은 R3 단계에서 R6 단계로 진행되어 주 모우터 정지명령을 출력한다.
Figure kpo00042
신호의 참으로의 전이로부터 주모터정지명령 출력까지의 기간은 예를 들어 지연 회로를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또한 화상전개가 불가능하거나 긴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비디오 제어기(228)가 인식하고 있는 경우, 주모우터 정지명령은
Figure kpo00043
신호를 수신한 후 즉시 출력될 수 있다. 이 방법에 있어서, 감광드럼(2)의 불필요한 회전을 최소화할 수 있다. N9 단계에서 주 모우터 정지명령을 수신한 프린터 제어유닛(266)은 내장된 타이머를 작동시키고, 그 다음에는 고전압출력회로(51), 레이저 주사모우터(47) 및 주 모우터(45)를 전술한 후처리로서의 예정된 시간동안 가동시키고 이들의 작동을 정지시킨다(N10 단계).
그리고나서 N11 단계는 상기 타이머로 측정된 시간 wa를 소정시간 wc와 비교하여, 만일 wa
Figure kpo00044
wc이면 N12 단계에서 주 모우터 재개시명령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별하고, 그렇지 않으면 시켄스가 N11 단계로 되돌아간다. 예를 들어 만일 화상전개가 wa=w4(〈wc)에서 완료되었다면, 비디오 제어기(228)는 주모우터 재개시 명령을 출력하기 위하여 R7 단계에서 R8 단계로 진행된다.
주 모우터 재개시 명령에 응답하여,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주 모우터(45), 레이저 주사 모우터(47)등을 가동시킨다(N14 단계).
주 모우터 재개시 명령의 출력으로부터 소정 시간후, 비디오제어기(228)는
Figure kpo00045
신호를 참상태로 전이(R9 단계)시키고,
Figure kpo00046
신호의 출력을 시작한다(R10 단계).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Figure kpo00047
신호를 수신하고(N15 단계) 프린트 작동을 개시한다(N16 단계). 전술한 바와 같이 만일
Figure kpo00048
신호가 참상태로 전이된후 소정시간내에
Figure kpo00049
신호가 출력될 수 없다면, 주 모우터 정지 명령이 출력되어 주 모우터 재개시 명령이 출력될 때까지 감광드럼(2)를 정지시키므로, 불필요한 회전에서 초래하는 감광드럼(2)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만일 N11 단계에서 측정된 시간 wa이 시간 wc보다 크더라도 비디오 제어기(228)가 화상 전개를 완료하지 않는다면, 프린터 제어유닛(226)은 주 모우터 재개시명령을 수신하지 않고 N13 단계로 진행하여
Figure kpo00050
신호를 거짓상태로 전이하고 주 모우터(45)와 클러치(49)를 가동시키며, 이로써 정합로울러(11)를 회전시키고 프린트작동없이 시트를 방출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주 모우터 정지명령의 출력후 기간 wc 이내에 화상전개가 종료되지 않으면, 이미 공급된 시트가 방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기록시트(13)의 특성 변화에서 초래되는 화상 전사의 불량과 시트 재밍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화상전개에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에라도 드럼이 불필요하게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예컨대 크리너의 날(9a)에 의한 감광드럼(2)의 마모를 배제할 수 있으며 이로써 드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화상전개 과정에서, 기록시트(13)는 선단부가 정합 로울러(11)에 의해 끼워져서 정지되고, 시트(13)의 끼어진 부분은 비스듬해진 시트이송을 바로잡기 위해 정합로울러(11)중의 하나에서 감기게 된다. 이렇게 해서, 화성전개에 필요한 시간 및 예컨대 습도 등의 주변상태에 따라서, 시트의 끼여진 부분이 구불구불해지거나 시트 재밍이 일어나거나, 또는 전기저항에 변화가 생겨서 불완전한 화상전사가 일어날 수 있다.
선행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결점을 화상전개가 장기화되는 경우 기록시트(13)를 방출시킴으로써 피할 수 있다. 최근에, 포스트스크립트(postscript)의 향상으로 어떤 경우에는 화상전개에 약 한시간 정도가 필요한 바 본 발명은 이러한 화상형성 장치에 적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뿐만아니라 실시예 11에 있어서, 주 모우터 정지명령과 재개시 명령은 핸드쉐이크(handshake) 직렬통신에 의해 전송되므로 신호라인을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외부장치(230)에 의해 비디오 제어기(228)를 조작하는 것과 인터페이스(227, 227a 또는 227b)를 거쳐서 외부장치(230)와 프린터 제어유닛(226) 사이의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선행 실시예 6 내지 11이 본 발명을 레이저빔 프린터에 적용시키는 것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은 또한 LED프린터나 액정 프린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실시예에서 시트 공급로울러(12), 정합로울러(11), 감광드럼(2), 정착로울러(15), 방출로울러(16)등은 주 모우터(45)에 의해 클러치를 거쳐 구동되지만, 이들은 클러치사용없이 별도의 각각의 모우터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또한 시트 공급은 선행의 시트가 방출되고나서 즉시, 행하거나 또는
Figure kpo00051
신호의 출력후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선행 실시예들이 전자복사기에 한정되었으나, 본 발명은 또한 예컨대 열전사 프린터나 잉크 제트 프린터와 같은 다른 페이지 프린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프린터는 컴퓨터의 출력용으로서 뿐만 아니라 팩시밀리, 복사기 또는 다른 용도로서도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원에 첨부된 청구범위의 영역이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Claims (10)

  1. 외부장치로부터 코우드화된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수단 ; 상기 입력된 코우드화 정보를 픽셀정보로 변환하는 변환수단 ; 상기 픽셀정보를 기초로 기록매체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수단 ; 기록매체를 상기 화상형성수단으로 반송하는 반송수단 ; 및 다음페이지의 코우드정보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수단 ; 을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현재의 페이지의 처리동안에 적어도 상기 다음페이지의 코우드화정보의 입력이 가능하고, 상기 다음페이지의 코우드화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상기 판단수단이 판단하는 경우, 상기 현재의 페이지의 인쇄중에도 상기 다음페이지의 반송을 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픽셀정보를 기초로 변조된 광을 주사하여 잠상을 감광부재상에 형성하는 잠상형성수단, 상기 잠상을 토너화상으로 현상하는 현상수단, 및 상기 감광부재에 형성되는 토너화상을 기록매체상에 전사하는 전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다음페이지의 코우드화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판단수단이 판단하는 경우, 상기 현재의 페이지의 잠상형성중에도 상기 다음페이지의 반송을 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소정위치에서 기록매체의 반송개시를 정지하고, 상기 변환수단에 의한 픽셀정보로의 변환이 완료된 후에 정지된 기록매체를 상기 화상형성수단으로 반송하며, 기록매체가 상기 소정위치에 정지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더라도 픽셀정보로의 상기 변환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감광부재의 구동을 정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된 감광부재의 구동을 지시하는 지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수단에 의해 화상이 형성된 기록매체를 방출하기 위한 기록매체 방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록매체 방출수단은 소정위치로의 기록매체의 상기 반송으로부터 소정시간내에 상기 다음페이지의 변환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 화상형성없이 상기 기록매체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수단이 전사로울러 또는 전사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된 광으로 주사하는 주사위치로부터 상기 감광부재의 표면을 따라 위치하는 전사위치까지의 간격(ℓ1)이 기록매체의 상기 소정의 정지위치로부터 상기 전사수단위치까지의 간격(ℓ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잠상형성수단, 현상수단 및 전사수단중 적어도 하나가 1페이지의 픽셀변환이 완료된 후 화상형성을 위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상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소정위치에서 기록매체의 반송개시를 정지하고, 상기 변환수단에 의한 픽셀정보로의 변환이 완료된 후에 정지된 기록매체를 상기 화상형성수단으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수단은 전사사진기록에 의해 기록매체상에 화상을 형성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다음페이지의 코우드화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판단수단이 판단하는 경우, 상기 현재의 페이지의 잠상형상중에도 상기 다음페이지의 반송을 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900011535A 1989-07-28 1990-07-28 화상형성장치 KR940010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95626A JP2840305B2 (ja) 1989-07-28 1989-07-28 記録装置
JP1-195626 1989-07-28
JP1-236313 1989-09-11
JP1236313A JPH0398065A (ja) 1989-09-11 1989-09-11 画像形成装置
JP1-250251 1989-09-25
JP1250251A JPH03110578A (ja) 1989-09-25 1989-09-25 画像形成装置
JP1271058A JPH03132367A (ja) 1989-10-17 1989-10-17 記録装置
JP1-271058 1989-10-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2606A KR910002606A (ko) 1991-02-25
KR940010879B1 true KR940010879B1 (ko) 1994-11-19

Family

ID=2747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535A KR940010879B1 (ko) 1989-07-28 1990-07-28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55603A (ko)
EP (1) EP0410817B1 (ko)
KR (1) KR940010879B1 (ko)
CN (1) CN1058577C (ko)
DE (1) DE6902279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131970T2 (de) * 1990-05-17 2000-07-20 Canon Kk Bilderzeugungsgerät
DK0691066T3 (da) * 1993-03-26 1999-09-20 British Telecomm Transkoder
KR970010377B1 (ko) * 1994-11-09 1997-06-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사진 현상 방식 프린터의 인터페이싱 방법
JPH08160828A (ja) * 1994-12-07 1996-06-21 Canon Inc 電子写真プリンタ
JP3466762B2 (ja) * 1995-03-31 2003-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並びに、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5760914A (en) * 1996-06-25 1998-06-02 Varis Corporation Image registration method
JP2001096804A (ja) * 1999-07-23 2001-04-10 Canon Inc 画像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502390B2 (ja) * 2005-03-30 2010-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BR112014024941A2 (pt) 2012-04-05 2017-09-19 Magic Leap Inc dispositivo de imagem de campo de visão amplo com capacidade de focalização ativa
CN103837137B (zh) * 2014-03-13 2016-04-20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三十八研究所 快速大图像单像素成像装置和方法
JP6295780B2 (ja) 2014-03-28 2018-03-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54300B2 (ja) * 2014-05-01 2018-07-1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323679B2 (ja) * 2015-03-31 2018-05-16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17111178A (ja) * 2015-12-14 2017-06-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40968B2 (ja) * 2017-03-28 2021-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記録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4188A (en) * 1978-05-31 1981-04-28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for multiple-mode copying apparatus
US4786923A (en) * 1982-09-07 1988-11-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cording system for image recording in response to signals entered from a recording information generating unit
JPS5991458A (ja) * 1982-11-17 1984-05-26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US4933772A (en) * 1985-10-07 1990-06-1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printer with improved timing arrangements
US4991972A (en) * 1986-07-14 1991-02-12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for a printer
US4851960A (en) * 1986-12-15 1989-07-25 Canon Kabushiki Kaisha Charging device
JPS63274550A (ja) * 1987-05-02 1988-11-11 Hitachi Ltd 画像出力方式
JPH0825707B2 (ja) * 1987-10-20 1996-03-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1174453A (ja) * 1987-12-29 1989-07-11 Minolta Camera Co Ltd プリンタ制御装置
JP2672831B2 (ja) * 1988-04-25 1997-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タ及び画像信号送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22794D1 (de) 1995-11-09
CN1058577C (zh) 2000-11-15
KR910002606A (ko) 1991-02-25
EP0410817A3 (en) 1992-05-20
CN1050097A (zh) 1991-03-20
US5455603A (en) 1995-10-03
EP0410817A2 (en) 1991-01-30
DE69022794T2 (de) 1996-06-13
EP0410817B1 (en) 1995-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10879B1 (ko) 화상형성장치
US8111420B2 (en) Print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print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read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system
EP068126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EP1018834A3 (e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and method
EP0457330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615890A (ja) 画像形成装置
JPH0411392B2 (ko)
EP0466172B1 (en) Sheet feed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3015076B2 (ja) 画像形成装置
JP3126723B2 (ja) 画像形成装置
JPH06175518A (ja) 画像形成装置
JP3238739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3093240B2 (ja) 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840380B2 (ja) 画像形成装置
JP2994672B2 (ja) 画像形成装置
JP3683666B2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3574724B2 (ja) 画像形成装置
JPH0361058A (ja) 記録装置
KR20060090298A (ko)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JP3262644B2 (ja) 複合装置
JP200230036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3269553A (ja) 電子写真プリンタ
JPH04189162A (ja) 画像形成装置
JPH06324597A (ja) 画像形成装置
JPH0974468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