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0344A - 화장 시트 - Google Patents

화장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0344A
KR20180050344A KR1020187009141A KR20187009141A KR20180050344A KR 20180050344 A KR20180050344 A KR 20180050344A KR 1020187009141 A KR1020187009141 A KR 1020187009141A KR 20187009141 A KR20187009141 A KR 20187009141A KR 20180050344 A KR20180050344 A KR 20180050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ultraviolet absorber
weight
transparent resin
decorat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100B1 (ko
Inventor
마미 구도
에이이치 히가시카와
마사미츠 나가하마
아키라 사토
마사토시 다카하시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7447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7047653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03512A external-priority patent/JP71303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6003513A external-priority patent/JP6913861B2/ja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50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0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Resistive to light or to U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12Weather resi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5Prin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초임계 역상 증발법을 사용해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각각 별도로 베시클화한 것을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첨가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서 의장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1)는, 최표층에 톱 코트층(5)을 구비하고, 톱 코트층(5)의 하층에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중 적어도 한쪽에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되어 있고,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각각 별도로 내포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이다.

Description

화장 시트
본 발명은 화장 시트에 관한 것이다.
염화비닐제 화장 시트를 대신하는 화장 시트로서 주목받고 있는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화장 시트에 관한 기술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일본 특허 제4032829호 공보
그러나, 이러한 화장 시트에는, 장기간에 걸쳐서 의장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것이 적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며, 장기간에 걸쳐서 의장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는, 최표층에 톱 코트층을 구비하고, 상기 톱 코트층의 하층에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상기 톱 코트층 및 상기 투명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에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되어 있고, 상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상기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vesicle)에 각각 별도로 내포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화장 시트에 의하면,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에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서 의장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3 실시 형태 및 제5 실시 형태에 따른 화장 시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 및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화장 시트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6 실시 형태에 따른 화장 시트의 구성의 구체예를 도 1, 도 2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면은 모식적인 것으로, 두께와 평면 치수와의 관계, 각 층의 두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는 상이하다. 그 밖에도, 도면을 간결하게 하기 위해서, 주지의 구조가 약도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각 도면에서, 마찬가지 또는 유사한 기능을 발휘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각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화하기 위한 구성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구성 부품의 재질, 형상 및 구조 등이 하기의 것에 특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청구항이 규정하는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는, 최표층에 톱 코트층을 구비하고, 당해 톱 코트층의 하층에 투명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층을 구비한 화장 시트이며, 당해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에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는, 특히, 당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각각 별도로 내포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 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의해, 흡수 파장이나 수명이 상이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과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첨가량을, 화장 시트의 용도에 따라서 미세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용도에 최적인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벤조페논계, 벤조에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중 적어도 1종에서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벤조트리아졸계 또는 트리아진계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 흡수능이 높고, 내열성, 내휘발성 및 수지 상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적어도 한쪽에서 선택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벤조트리아졸계의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제3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제3부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제3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5'-제3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히드록시-3',5'-디쿠밀페닐)벤조트리아졸, 2,2'-메틸렌비스(4-제3옥틸-6-벤조트리아졸릴)페놀 등을 들 수 있다.
트리아진계의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4-[1-옥틸옥시카르보닐에톡시]페닐)-4,6-비스(4-페닐 페닐)-1,3,5-트리아진, 2-[4-[(2-히드록시-3-도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히드록시-4-부톡시페닐]-6-(2,4-디부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2-히드록시-3-트리데실옥시프로필)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2-히드록시-3-(2'-에틸)헥실)옥시]-2-히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페논계의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5,5'-메틸렌비스(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벤조에이트계의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페닐살리실레이트, 레조르시놀모노벤조에이트, 2,4-디제3부틸페닐-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4-디제3아밀페닐-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헥사데실-3,5-디제3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의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에틸-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2-시아노-3-메틸-3-(p-메톡시페닐)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산화세리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산화아연은, 투명 올레핀계 수지 및 톱 코트층 수지와 굴절률이 가까워, 당해 산화아연을 첨가해도 높은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다. 또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입경은 1nm 내지 200nm의 범위 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은,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의해 조제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초임계 역상 증발법은, 초임계 상태 또는 임계점 이상의 온도 조건 하 또는 임계점 이상의 압력 조건 하의 이산화탄소에 대하여 베시클의 외막을 형성하는 물질을 균일하게 용해시켜 혼합물로 하고, 당해 혼합물 중에 수용성 또는 친수성의 봉입 물질로서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수상을 첨가하여, 1층의 막(단층막)으로 봉입 물질로서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 캡슐 상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각각 조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초임계 상태의 이산화탄소란, 임계 온도(30.98℃) 및 임계 압력(7.3773±0.0030MPa) 이상의 초임계 상태에 있는 이산화탄소를 의미한다. 또한, 임계점 이상의 온도 또는 임계점 이상의 압력 조건 하의 이산화탄소란, 임계 온도만, 또는 임계 압력만이 임계 조건을 초과한 조건 하의 이산화탄소를 의미한다. 이 방법에 의해, 직경 50 내지 800nm의 단층 라멜라 베시클를 얻을 수 있다.
베시클의 외막을 형성하는 인지질로서는, 예를 들어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딘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카디오핀, 난황 레시틴, 수소 첨가 난황 레시틴, 대두 레시틴, 수소 첨가 대두 레시틴 등의 글리세로 인지질, 스핑고미엘린, 세라마이드포스포릴에탄올아민, 세라마이드포스포릴글리세롤 등의 스핑고 인지질을 들 수 있다.
베시클의 외막을 형성하는 물질로서는, 상기 인지질 이외에도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나, 이것과 콜레스테롤류 또는 트리아실글리세롤의 혼합물 등의 분산제를 채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린에테르, 디알킬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폴리옥시에틸렌 공중합체, 폴리부타디엔-폴리2-비닐피리딘, 폴리스티렌-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시드-폴리에틸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폴리카프로락탐 공중합체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콜레스테롤류로서는, 예를 들어 콜레스테롤, α-콜레스탄올, β-콜레스탄올, 콜레스탄, 데스모스테롤(5,24-콜레스타디엔-3β-올), 콜산나트륨 또는 콜레칼시페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베시클의 외막은, 인지질과 분산제와의 혼합물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는, 외막을 인지질로 형성한 베시클로 하는 것이 중요하며,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과의 상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은, 톱 코트층에 대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톱 코트층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5중량부 내지 20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5중량부 내지 20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이 0.5중량부보다도 적으면, 자외선 흡수능의 효과가 낮고, 20중량부보다도 많으면, 블로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첨가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3중량부 내지 5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3중량부 내지 5중량부 첨가하는 것이다.
또한, 투명 수지층에 대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투명 수지층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이 0.1중량부보다도 적으면, 자외선 흡수능의 효과가 낮고, 5중량부보다도 많으면, 블리드 아웃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2중량부 내지 3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2중량부 내지 3중량부 첨가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는, 투명 수지층에 엠보싱 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당해 엠보싱 모양의 오목부에 톱 코트층이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와이핑에 의해 오목부에 톱 코트층을 매립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수지층의 하층에는, 적어도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잉크에 의해 형성된 잉크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광 안정화제로서는, 힌더드아민계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층에 광 안정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잉크층 바인더 수지 자체나 기타 층의 수지 열화에 의해 발생한 라디칼이 잉크 내의 안료의 화학 성분을 환원함으로 인한 안료의 퇴색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복수의 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표층측에서부터, 톱 코트층(5), 투명 수지층(4), 접착제층(7), 잉크층(3), 원재료층(2), 은폐층(8) 및 프라이머층(6)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투명 수지층(4)의 톱 코트층(5)측의 면에는, 엠보싱 모양(4a)이 형성되어 있고,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는, 와이핑에 의해 톱 코트층(5)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일부가 매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층(7)은, 예를 들어 감열 접착제, 앵커 코트, 드라이 라미네이션 접착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 화장 시트(1)를 기재 B에 접착함으로써, 화장판이 형성된다. 또한, 기재 B는, 목질 보드류, 무기질 보드류 또는 금속판 등이다.
[톱 코트층(5)]
톱 코트층(5)으로서는, 표면의 보호나 광택의 조정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한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계, 아크릴실리콘계, 불소계, 에폭시계, 비닐계, 폴리에스테르계, 멜라민계, 아미노알키드계, 요소계 등에서 적절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의 형태는, 수성, 에멀션, 용제계 등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화법에 대해서도, 1액 타입, 2액 타입, 자외선 경화법 등 적절히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수지 조성물로서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 우레탄계의 것이, 작업성, 가격, 수지 자체의 응집력 등의 관점에서 적합하다.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MDI),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LDI),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HXDI),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TMDI) 등의 유도체인 어덕트체, 뷰렛체,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등의 경화제에서 적절히 선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 내후성을 고려하면, 직쇄상의 분자 구조를 갖는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HMDI) 또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를 베이스로 하는 경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도, 표면 경도의 향상을 도모할 경우에는,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으로 경화하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수지는 서로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서, 예를 들어 열경화형 수지와 광경화형 수지의 하이브리드형으로 함으로써, 표면 경도의 향상, 경화 수축의 억제 및 투명 수지층과의 밀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톱 코트층(5)에 대하여 각종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등의 기능성 첨가제의 첨가도 임의로 행할 수 있다. 또한, 표면의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알루미나, 실리카, 질화규소, 탄화규소, 글래스 비즈 등을 첨가해서 광택의 조정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톱 코트층(5)에, 예를 들어 알루미나, 실리카, 질화규소, 탄화규소, 글래스 비즈 등을 첨가하면, 표면의 내마모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투명 수지층(4)]
투명 수지층(4)으로서는, 주성분으로서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층(4)의 구체예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등 이외에, α올레핀(예를 들어,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1-운데센, 1-도데센, 트리데센, 1-테트라데센, 1-펜타데센, 1-헥사데센, 1-헵타데센, 1-옥타데센, 1-노나데센, 1-에이코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 4-디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9-메틸-1-데센, 11-메틸-1-도데센, 12-에틸-1-테트라데센 등)을 단독 중합 또는 2종류 이상 공중합시킨 것이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이 에틸렌 또는 α올레핀과 그 이외의 단량체를 공중합시킨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화장 시트(1)의 표면 강도의 향상을 도모할 경우에는, 고결정성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각각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투명 수지층(4)에서도 내후성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하층에 위치하는 잉크층(3)의 패턴 인쇄가 자외선에 의해 퇴색하는 것을 방지해서 장기간에 걸쳐 우수한 의장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밖에도,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예를 들어 열 안정제, 광 안정화제, 블로킹 방지제, 촉매 포착제, 착색제, 광 산란제 및 광택 조정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도록 해도 된다. 열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페놀계, 황계, 인계, 히드라진계 등,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어 벤조트리아졸계, 벤조에이트계, 벤조페논계, 트리아진계 등, 광 안정화제로서는, 예를 들어 힌더드아민계 등을, 각각 임의의 조합으로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접착제층(7)]
접착제층(7)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아크릴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에폭시계 등에서 적절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다. 도포 시공 방법은 접착제의 점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그라비아 코트가 사용되어, 잉크층(3)의 상면에 대하여 그라비아 코트에 의해 도포된 후, 투명 수지층(4)과 라미네이트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층(7)은, 투명 수지층(4)과 잉크층(3)의 접착 강도가 충분히 얻어지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잉크층(3)]
잉크층(3)으로서는, 잉크를 사용해서 원재료층(2)에 형성된 패턴 인쇄이며, 예를 들어 바인더로서의 질화 면, 셀룰로오스, 염화비닐-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우레탄, 아크릴, 폴리에스테르계 등의 단독 또는 각 변성물 중에서 적절히 선정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것들은 수성, 용제계, 에멀션 타입 중 어느 것이어도 되며, 또한 1액 타입이어도 경화제를 사용한 2액 타입이어도 된다. 또한,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조사에 의해 잉크를 경화시키는 방법을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우레탄계 잉크를 사용함으로써 이소시아네이트에 의해 경화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바인더 이외에는, 통상의 잉크에 포함되어 있는 안료, 염료 등의 착색제, 체질 안료, 용제, 각종 첨가제 등이 첨가되어 있다. 범용성이 높은 안료로서는, 예를 들어 축합 아조, 불용성 아조, 퀴나크리돈, 이소인돌린, 안트라퀴논, 이미다졸론, 코발트, 프탈로시아닌, 카본, 산화티타늄, 산화철, 운모 등의 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잉크의 도포와는 별도로 각종 금속의 증착이나 스퍼터링으로 의장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잉크층(3)에 대하여 광 안정화제가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층(3)에 광 안정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잉크가 광 열화해서 의장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장기간에 있어서 화장 시트(1)의 우수한 의장성을 유지할 수 있다.
[원재료층(2)]
원재료층(2)으로서는, 예를 들어 박엽지, 티타늄지, 수지 함침지 등의 종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 등의 합성 수지, 또는 이들 합성 수지의 발포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 고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 고무, 폴리우레탄 등의 고무, 유기 또는 무기계의 부직포, 합성지, 알루미늄, 철, 금, 은 등의 금속박 등에서 임의로 선정 가능하다.
화장 시트(1)에 은폐성을 부여하고 싶은 경우에는, 원재료층(2)을 착색 시트로 함으로써 은폐성을 부여하거나, 원재료층(2)은 투명 시트인 채 그대로 두고, 별도로 불투명한 은폐층(8)을 설치해서 은폐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은폐층(8)]
은폐층(8)으로서는, 기본적으로는 잉크층(3)과 동일한 재료로 구성할 수 있다. 은폐층(8)은, 은폐성을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안료로서는, 예를 들어 불투명한 안료, 산화티타늄, 산화철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는 플레이크 형상의 알루미늄을 첨가시키는 경우가 많다.
또한, 원재료층(2)으로서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표면이 불활성인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원재료층(2)과 기재 B와의 사이에, 프라이머층(6)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밖에도, 올레핀계 재료를 포함하는 원재료층(2)과 기재 B와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예를 들어 원재료층(2)에 대하여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오존 처리, 전자선 처리, 자외선 처리, 중크롬산 처리 등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층(6)]
프라이머층(6)으로서는, 기본적으로는 상술한 잉크층(3)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6)이, 화장 시트(1)의 이면에 실시되기 때문에, 웹 형상으로 권취를 행하는 것을 고려하면, 블로킹을 피하면서 또한 접착제와의 밀착을 높이기 위해서, 예를 들어 실리카, 알루미나, 마그네시아, 산화티타늄, 황산바륨 등의 무기 충전제를 프라이머층(6)에 첨가시켜도 된다.
[화장 시트(1)의 형성]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를 형성함에 있어서, 적층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열압을 응용한 방법, 압출 라미네이트 방법 및 드라이 라미네이트 방법 등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서 적절히 선택해서 형성할 수 있다. 엠보싱 모양(4a)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일단, 상기 적층 방법에 의해 라미네이트한 후에 열압에 의해 엠보싱 모양(4a)을 넣는 방법 또는 냉각 롤에 요철 모양을 형성해서 압출 라미네이트와 동시에 엠보싱 모양(4a)을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원재료층(2)은 인쇄 작업성, 비용 등을 고려해서 20㎛ 내지 150㎛, 접착제층(7)은 1㎛ 내지 20㎛, 투명 수지층(4)은 20㎛ 내지 200㎛, 톱 코트층(5)은 3㎛ 내지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장 시트(1)의 총 두께는 45㎛ 내지 40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이러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첨가하고 있으므로,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고 우수한 의장성을 가짐과 함께, 장기간에 걸쳐서 우수한 내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주성분으로서의 수지 조성물에 대한 높은 분산성을 실현하여,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높은 자외선 흡수 성능을 발현해서 우수한 내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수지 조성물 중에서 응집한 첨가제에 기인하는 블리드 아웃이나 수지 조성물의 백탁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시트 표면에 끈적거림이 발생하지 않아 밀착성 및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당해 양쪽 베시클을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로 함으로써,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과의 상용성을 매우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 톱 코트층(5)을 매립해서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층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오목부에서도 높은 내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잉크를 사용해서 잉크층(3)을 형성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잉크층(3)의 퇴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에 걸쳐서 아름다운 색상 인쇄를 유지한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본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최표층에 톱 코트층(5)을 구비하고, 톱 코트층(5)의 하층에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중 적어도 한쪽에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되어 있고, 첨가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각각 별도로 내포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투명성이 우수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내후성이 우수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양쪽이 첨가되어 있으므로, 우수한 의장성과 장기간에 걸친 내후성의 양쪽을 실현 가능한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이 각각 별도로 베시클화된 상태에서 첨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제품에 부여하고 싶은 기능에 따라서 양쪽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첨가량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투명성이 중시되는 경우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첨가량을 감소시키고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첨가량을 증가시킨다. 장수명화를 도모할 경우에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첨가량을 감소시키고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첨가량을 증가시킨다.
(2)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베시클의 외막이 인지질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과의 상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당해 수지 조성물에 대한 베시클의 높은 분산성을 실현하여, 2차 응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3)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벤조페논계, 벤조에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높은 투명성을 유지해서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4)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산화아연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장기간에 걸친 자외선 흡수능을 유지해서 기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5)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톱 코트층(5)측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이 형성되어 있고,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는, 톱 코트층(5)이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엠보싱 모양(4a)을 형성함으로써 투명 수지층(4)의 막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 있어서도,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이 첨가된 톱 코트층(5)이 매립되어 있으므로, 다른 부분에 못지않은 내후성이 얻어지는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의 초임계 역상 증발법을 사용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상세한 조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당해 베시클의 조제에는, 초임계 역상 증발법을 사용하였다.
베시클의 조제는, 60℃로 유지된 고압 스테인리스 용기에 대하여, 헥산 100중량부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히드록시페닐을 주성분으로 하는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TINUVIN 400; BASF사 조제) 70중량부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산화아연(평균 입자 직경 20nm) 70중량부와, 인지질로서의 포스파티딜콜린 5중량부를 넣어서 밀폐하고, 용기 내의 압력이 20MPa이 되도록 이산화탄소를 주입해서 초임계 상태로 하고, 격렬하게 교반 혼합하면서 아세트산에틸 100중량부를 주입하여,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면서 15분간 교반 혼합한 후, 이산화탄소를 배출해서 대기압으로 복귀시켰다. 이렇게 해서, 인지질을 포함하는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얻었다.
<실시예 1-1 내지 1-5>
실시예 1-1 내지 1-5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계 수지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조제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 1.0, 5.0, 10.0, 20.0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상기의 방법으로 조제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 1.0, 5.0, 10.0, 20.0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투명 수지층(4)으로서의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제막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해서 시트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dyn/cm 이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원재료층(2)으로서의 은폐성이 있는 70㎛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한쪽 면에,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패턴 인쇄를 실시해서 3㎛의 잉크층(3)을 설치하고, 원재료층(2)으로서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다른 쪽 면에 프라이머 코트를 실시해서 1㎛의 프라이머층(6)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에 형성된 잉크층(3)의 표면에, 투명 수지층(4)을 3㎛의 두께로 형성된 접착제층(7)으로서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TAKELAC) A540; 미쯔이 가가꾸사 조제)를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하였다. 이렇게 해서, 원재료층(2), 잉크층(3), 접착제층(7), 프라이머층(6) 및 투명 수지층(4)을 포함하는 두께 157㎛의 적층 수지 시트를 얻었다. 이 적층 수지 시트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실시한 후, 2액형 우레탄 톱 코트(W184; DIC 그래픽사 조제, 도포 두께 3g/m2)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각각 표 1의 조합으로 첨가한 것을 도포해서 톱 코트층(5)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해서, 총 두께 160㎛의 실시예 1-1 내지 1-5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
<실시예 1-6 내지 1-10>
실시예 1-6 내지 1-10에서는,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조제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1, 0.5, 1.0, 2.5, 5.0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상술한 방법으로 조제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1, 0.5, 1.0, 2.5, 5.0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각각 표 2의 조합으로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투명 수지층(4)으로서의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제막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해서 시트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dyn/cm 이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원재료층(2)으로서의 은폐성이 있는 70㎛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한쪽 면에,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패턴 인쇄를 실시해서 3㎛의 잉크층(3)을 설치하고, 원재료층(2)으로서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다른 쪽 면에 프라이머 코트를 실시해서 1㎛의 프라이머층(6)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에 형성된 잉크층(3)의 표면에, 투명 수지층(4)을 3㎛의 두께로 형성된 접착제층(7)으로서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TAKELAC) A540; 미쯔이 가가꾸사 조제)를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하였다. 이렇게 해서, 원재료층(2), 잉크층(3), 접착제층(7), 프라이머층(6) 및 투명 수지층(4)을 포함하는 두께 157㎛의 적층 수지 시트를 얻었다. 이 적층 수지 시트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실시한 후, 2액형 우레탄 톱 코트(W184; DIC 그래픽사 조제, 도포 두께 3g/m2)를 도포해서 톱 코트층(5)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해서, 총 두께 160㎛의 실시예 1-6 내지 1-10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
<실시예 1-11>
실시예 1-11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계 수지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조제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1.25중량부, 상기의 방법으로 조제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1.2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조제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1.25중량부, 상술한 방법으로 조제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1.25중량부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1.25중량부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1.25중량부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투명 수지층(4)으로서의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제막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해서 시트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dyn/cm 이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원재료층(2)으로서의 은폐성이 있는 70㎛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한쪽 면에,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패턴 인쇄를 실시해서 3㎛의 잉크층(3)을 설치하고, 원재료층(2)으로서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다른 쪽 면에 프라이머 코트를 실시해서 1㎛의 프라이머층(6)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에 형성된 잉크층(3)의 표면에, 투명 수지층(4)을 3㎛의 두께로 형성된 접착제층(7)으로서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TAKELAC) A540; 미쯔이 가가꾸사 조제)를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하였다. 이렇게 해서, 원재료층(2), 잉크층(3), 프라이머층(6), 접착제층(7) 및 투명 수지층(4)을 포함하는 두께 157㎛의 적층 수지 시트를 얻었다. 이 적층 수지 시트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실시한 후, 2액형 우레탄 톱 코트(W184; DIC 그래픽사 조제, 도포 두께 3g/m2)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1.25중량부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1.25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도포해서 톱 코트층(5)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해서, 총 두께 160㎛의 실시예 1-11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
<비교예 1-1, 1-2>
비교예 1-1, 1-2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계 수지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또는 50.0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베시클화되지 않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또는 50.0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1 내지 1-5의 화장 시트(1)와 동일하다.
<비교예 1-3, 1-4>
비교예 1-3, 1-4에서는,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또는 50.0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베시클화되지 않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또는 50.0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6 내지 1-10의 화장 시트(1)와 동일하다.
<비교예 1-5>
비교예 1-5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계 수지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 베시클화되지 않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0.5중량부, 베시클화되지 않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0.5중량부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11의 화장 시트(1)와 동일하다.
<비교예 1-6>
비교예 1-6에서는, 자외선 흡수제를 어느 수지층에 대해서도 첨가하지 않은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1의 화장 시트(1)와 동일하다.
<평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실시예 1-1 내지 1-11 및 비교예 1-1 내지 1-6의 각 화장 시트(1)에 대하여, 내후성 시험기(선샤인 웨더 미터: 스가 시껭끼(주) 조제)를 사용하여, JIS B 7753에 준한 카본 아크 내후성 시험을 행하여, 자외선 흡수능을 산출하였다. 또한, 시험 조건은 내후 경시 4000시간으로 해서 행하였다. 자외선 흡수능에 대해서는, 각 화장 시트(1)의 톱 코트층(5)과 투명 수지층(4)을 포함하는 투명층에 대해서 자외선 흡수율의 측정을 행하고, 340nm와 500nm의 자외선 흡수율의 비(340nm/500nm)의 내후성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차를 산출한 것이다. 헤이즈값에 대해서는, 내후성 시험 후의 값을 측정하였다. 색차(ΔE)에 대해서는, 내후성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각 화장 시트(1)의 색차(ΔE)를 산출하였다. 또한, 내후성 시험 후의 외관 변화를 목시 평가한 결과를 하기의 기호로 각각 나타냈다. 얻어진 평가 결과를 실시예 1-1 내지 1-5 및 비교예 1-1, 1-2에 대해서는 표 1, 실시예 1-6 내지 1-10 및 비교예 1-3, 1-4에 대해서는 표 2,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5, 1-6에 대해서는 표 3에 각각 나타낸다.
<외관 변화의 기호>
◎: 전혀 변화없음
○: 약간의 변화가 있음
△: 약간의 백화나 균열이 있음
×: 심한 백화 및 일부가 파괴·파단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먼저, 톱 코트층(5)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 코트층(5)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 내지 20.0중량부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5 내지 20.0중량부 첨가한 실시예 1-1 내지 1-5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어느 첨가량으로 한 경우에든,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작고, 4000시간의 내후성 시험 후에도 시험 전과 거의 변함없는 자외선 흡수 성능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시험 후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의 값이 작고,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도 작으므로, 4000시간의 내후성 평가 후에도 높은 투명성을 구비하고, 색의 변화도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시 평가에서도 우수한 평가 결과가 되었다. 이에 반해, 톱 코트층(5)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각각 0.5중량부 첨가한 비교예 1-1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1.54, 헤이즈값이 17.20%, 색차(ΔE)의 값이 7.43으로 큰 값을 나타내고 있어, 4000시간의 내후성 시험 동안에 자외선 흡수율이 저하되고 투명층이 열화되어 투명성이 손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시 평가에서도, 내후성 시험 후에 백화나 균열이 보였다. 이것은,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했기 때문에, 주성분으로서의 수지 조성물에 대한 분산성이 떨어져 2차 응집이 발생하여, 충분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없었던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톱 코트층(5)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각각 50.0중량부 첨가한 비교예 1-2의 화장 시트에 대해서는, 자외선 흡수능의 값은 0.01로 매우 작지만, 자외선 흡수제를 다량으로 첨가했기 때문에 헤이즈값이 21.79%로 매우 크고, 목시 평가에서도 심한 백화가 보였다. 이것은,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이 너무 많았기 때문에 블로킹이 발생해서 백탁된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어서, 투명 수지층(4)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가 결과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1 내지 5.0중량부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1 내지 5.0중량부 첨가한 실시예 1-6 내지 1-10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어느 첨가량으로 한 경우에든,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매우 작고, 4000시간의 내후성 시험 후에도 시험 전과 거의 변함없는 자외선 흡수율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시험 후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의 값이 작고,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도 작으므로, 4000시간의 내후성 평가 후에도 높은 투명성을 구비하고, 색의 변화도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시 평가에서도 우수한 평가 결과가 되었다. 이에 반해,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각각 0.5중량부 첨가한 비교예 1-3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1.32, 헤이즈값이 16.30%, 색차(ΔE)의 값이 6.21로 큰 값을 나타내고 있어, 4000시간의 내후성 시험 동안에 자외선 흡수율이 저하되고 투명층이 열화되어 투명성이 손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시 평가에서도, 내후성 시험 후에 백화나 균열이 보였다. 이것은,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했기 때문에, 주성분으로서의 수지 조성물에 대한 분산성이 떨어져 2차 응집이 발생하여, 충분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없었던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각각 50.0중량부 첨가한 비교예 1-4의 화장 시트에 대해서는, 자외선 흡수능의 값은 0.01로 매우 작지만, 자외선 흡수제를 다량으로 첨가했기 때문에 헤이즈값이 26.75%로 매우 크고, 목시 평가에서도 심한 백화가 보였다. 이것은,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이 너무 많았기 때문에 블리드 아웃이 발생해서 백탁된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의 양쪽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가 결과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1.25중량부 첨가한 실시예 1-11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0.09, 헤이즈값이 7.22%, 색차(ΔE)의 값이 0.25로 매우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4000시간의 내후성 시험을 행해도 우수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갖고 있고, 높은 투명성을 구비한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0.5중량부 첨가한 비교예 1-5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자외선 흡수능의 값, 헤이즈값 및 색차(ΔE)의 값 모두에 있어서 큰 값을 나타내고 있어, 실시예 1-11의 화장 시트(1)와 비교해서 자외선 흡수 성능 및 의장성이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베시클화되지 않은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했기 때문에, 주성분으로서의 수지 조성물에 대한 분산성이 떨어져 2차 응집이 발생하여, 충분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없었던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어느 수지층에 대해서도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6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10.80, 헤이즈값이 6.47%, 색차(ΔE)의 값이 12.20이었다. 목시 평가의 결과로부터도 내후성 시험 후에는 현저한 백화나 균열이 발생하고 있어, 내후성이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3 및 실시예 1-11의 화장 시트(1)를 이하에 대비한다. 톱 코트층(5)에 대하여 5.0중량부의 양쪽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한 실시예 1-3의 화장 시트(1)와,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각각 1.25중량부의 양쪽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한 실시예 1-11의 화장 시트(1)를 비교하면, 모든 평가 결과에 대해서 실시예 1-11의 화장 시트(1)가 더 우수하여, 톱 코트층(5)에만 다량의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하지 않아도,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소량씩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갖는 화장 시트(1)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평가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 1-1 내지 1-5의 화장 시트(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톱 코트층(5)에 대하여 0.5 내지 20.0중량부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서 내후성 및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가 얻어지는 것이 명확해졌다.
또한, 본 실시예 1-6 내지 1-10의 화장 시트(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0.1 내지 5.0중량부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서 내후성 및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가 얻어지는 것이 명확해졌다.
또한, 본 실시예 1-11의 화장 시트(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의 양쪽 수지층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톱 코트층(5) 또는 투명 수지층(4)의 어느 한쪽에 다량의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우수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갖춘 화장 시트(1)가 얻어지는 것이 명확해졌다.
[참고예]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화장 시트 이외의 화장 시트를, 본 발명의 참고예로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최근들어, 염화비닐제 화장 시트를 대신하는 화장 시트로서,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화장 시트가 많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화장 시트로서 사용되는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연질 폴리올레핀 시트의 내찰상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결정성이면서 또한 아이소택티시티가 높은 수지를 사용하면 내후성이 떨어지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내후성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폴리올레핀 시트의 표면에 트리아진계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톱 코트층을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인 트리아진계의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경우에는, 기재 수지의 투명성은 유지할 수 있지만 경시 변화를 피할 수 없어, 장기간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 성능의 지속성에 과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인 산화아연을 첨가한 경우에는, 경시 변화가 적어 장기간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 성능은 양호하기는 하지만, 다량으로 첨가하면 투명성이 저하되어 화장 시트 자체의 의장성을 손상시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유기계, 무기계의 어느 자외선 흡수제에서도,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량을 증가시키면, 수지 중에서 자외선 흡수제가 응집해서 블리드 아웃이 발생하여, 시트 표면의 끈적거림이나 밀착성의 저하를 야기한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이 밖에도, 화장 시트의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투명 수지층에 대하여 엠보싱 모양을 형성하면, 엠보싱 모양의 오목부 부분이 다른 부분과 비교해서 층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내후성이 특히 낮아져, 당해 오목부로부터 열화가 시작되어 백화나 파단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의해 각각 베시클화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같이 사용함으로써, 종래와 변함없는 첨가량으로도 현저한 내후성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또한, 초임계 역상 증발법이란, 본 발명자들이 제안하고 있는 일본 특허 공표 제2002/03256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1912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8407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8-063274호 공보(이하, 「초임계 역상 증발법 공보류」라고 칭함)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당해 초임계 역상 증발법 공보류에 기재된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해서 행하였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는, 최표층에 톱 코트층을 구비하고, 당해 톱 코트층의 하층에 투명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층을 구비한 화장 시트이며, 당해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에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는, 특히, 당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함께 내포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 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매우 높은 분산성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우수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갖춘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는, 톱 코트층에 대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톱 코트층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0.5중량부 내지 20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0.5중량부 내지 20중량부의 범위 내가 되도록 조제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이 0.5중량부보다도 적으면, 자외선 흡수능의 효과가 낮고, 20중량부보다도 많으면, 블로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톱 코트층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1 내지 10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의 범위 내가 되도록 조제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3중량부 내지 5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3중량부 내지 5중량부의 범위 내가 되도록 조제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하는 것이다.
또한, 투명 수지층에 대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투명 수지층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이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이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의 범위 내가 되도록 조제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이 0.1중량부보다도 적으면, 자외선 흡수능의 효과가 낮고, 5중량부보다도 많으면, 블리드 아웃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수지층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0.2중량부 내지 3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0.2중량부 내지 3중량부의 범위 내가 되도록 조제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는, 투명 수지층에 엠보싱 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당해 엠보싱 모양의 오목부에 톱 코트층이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와이핑에 의해 오목부에 톱 코트층을 매립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수지층의 하층에는, 적어도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잉크에 의해 형성된 잉크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광 안정화제로서는, 힌더드아민계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층에 광 안정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잉크층 바인더 수지 자체나 기타 층의 수지 열화에 의해 발생한 라디칼이 잉크 내의 안료의 화학 성분을 환원함으로 인한 안료의 퇴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의해 조제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방법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베시클의 외막을 형성하는 인지질 및 베시클의 외막을 형성하는 그 밖의 물질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화장 시트(1)는, 복수의 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표층측에서부터, 톱 코트층(5), 투명 수지층(4), 접착제층(7), 잉크층(3), 원재료층(2), 은폐층(8) 및 프라이머층(6)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투명 수지층(4)의 톱 코트층(5)측의 면에는, 엠보싱 모양(4a)이 형성되어 있고,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는, 와이핑에 의해 톱 코트층(5)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일부가 매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층(7)은, 예를 들어 감열 접착제, 앵커 코트, 드라이 라미네이션 접착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 화장 시트(1)를 기재 B에 접착함으로써, 화장판이 형성된다. 또한, 기재 B는, 목질 보드류, 무기질 보드류 또는 금속판 등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 층과 거의 동일한 수지 조성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수지 조성물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톱 코트층(5)으로서는, 표면의 보호나 광택의 조정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한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투명 수지층(4)에 있어서도 내후성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이 열화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하층에 위치하는 잉크층(3)의 패턴 인쇄가 자외선에 의해 퇴색하는 것을 방지해서, 장기에 걸쳐 우수한 의장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원재료층(2)은 인쇄 작업성, 비용 등을 고려해서 20㎛ 내지 150㎛, 접착제층(7)은 1㎛ 내지 20㎛, 투명 수지층(4)은 20㎛ 내지 200㎛, 톱 코트층(5)은 3㎛ 내지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장 시트(1)의 총 두께는 45㎛ 내지 40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첨가하고 있으므로, 높은 투명성을 유지해서 우수한 의장성을 가짐과 함께, 장기간에 걸쳐서 우수한 내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양쪽 자외선 흡수제를 함께 내포하는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주성분으로서의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매우 높은 분산성을 실현하여,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높은 자외선 흡수 성능을 발현해서 우수한 내후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응집한 첨가제에 기인하는 블리드 아웃이나 수지 조성물의 백탁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시트 표면에 끈적거림이 발생하지 않아 밀착성 및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당해 베시클을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로 함으로써,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과의 상용성을 매우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 톱 코트층(5)을 매립해서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층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오목부에서도 높은 내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잉크를 사용해서 잉크층(3)을 형성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잉크층(3)의 퇴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장기간에 걸쳐서 아름다운 색상 인쇄를 유지한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본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최표층에 톱 코트층(5)을 구비하고, 톱 코트층(5)의 하층에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4) 중 적어도 한쪽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고, 함유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함께 내포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투명성이 우수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내후성이 우수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양쪽이 첨가되어 있으므로, 우수한 의장성과 장기간에 걸친 내후성 양쪽을 실현 가능한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양쪽 자외선 흡수제가 1개의 베시클에 함께 내포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사용함으로써,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매우 높은 분산성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보다 우수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갖춘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2)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베시클의 외막이 인지질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과의 상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당해 수지 조성물에 대한 베시클의 높은 분산성을 실현하여, 2차 응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3)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벤조페논계, 벤조에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높은 투명성을 유지해서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4)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산화아연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높은 투명성을 유지해서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5)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톱 코트층(5)측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이 형성되어 있고,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는, 톱 코트층(5)이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엠보싱 모양(4a)을 형성함으로써 투명 수지층(4)의 막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서도,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이 첨가된 톱 코트층(5)이 매립되어 있으므로, 다른 부분에 못지않은 내후성이 얻어지는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의 초임계 역상 증발법을 사용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자세한 조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당해 베시클의 조제에는, 초임계 역상 증발법을 사용하였다.
베시클의 조제는 60℃로 유지된 고압 스테인리스 용기에 대하여, 헥산 100중량부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히드록시페닐을 주성분으로 하는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TINUVIN 400; BASF사 조제) 35중량부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산화아연(평균 입자 직경 20nm) 35중량부와, 인지질로서의 포스파티딜콜린 5중량부를 넣어서 밀폐하고, 용기 내의 압력이 20MPa이 되도록 이산화탄소를 주입해서 초임계 상태로 하고, 격렬하게 교반 혼합하면서 아세트산에틸 100중량부를 주입하여,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면서 15분간 교반 혼합한 후, 이산화탄소를 배출해서 대기압으로 복귀시켰다. 이렇게 해서, 인지질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화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얻었다.
<실시예 2-1 내지 2-5>
실시예 2-1 내지 2-5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계 수지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조제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1.07, 2.13, 10.66, 21.32, 42.64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또한, 첨가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비율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0.5, 1.0, 5.0, 10.0, 20.0중량부이며,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0.5, 1.0, 5.0, 10.0, 20.0중량부이었다.
구체적으로는,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투명 수지층(4)으로서의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제막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해서 시트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dyn/cm 이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원재료층(2)으로서의 은폐성이 있는 70㎛의 폴리에틸렌 시트(원재료층(2))의 한쪽 면에,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패턴 인쇄를 실시해서 3㎛의 잉크층(3)을 설치하고, 원재료층(2)으로서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다른 쪽 면에 프라이머 코트를 실시해서 1㎛의 프라이머층(6)을 형성하였다. 그 후, 이 폴리에틸렌 시트에 형성된 잉크층(3)의 표면에, 투명 수지층(4)을 3㎛의 두께로 형성된 접착제층(7)으로서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TAKELAC) A540; 미쯔이 가가꾸사 조제)를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하였다. 이렇게 해서, 원재료층(2), 잉크층(3), 접착제층(7), 프라이머층(6) 및 투명 수지층(4)을 포함하는 두께 157㎛의 적층 수지 시트를 얻었다. 이 적층 수지 시트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실시한 후, 2액형 우레탄 톱 코트(W184; DIC 그래픽사 조제, 도포 두께 3g/m2)에 대하여,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각각 표 4의 조합으로 첨가한 것을 도포해서 톱 코트층(5)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해서, 총 두께 160㎛의 실시예 2-1 내지 2-5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
<실시예 2-6 내지 2-10>
실시예 2-6 내지 2-10에서는,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조제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21, 1.07, 2.13, 5.33, 10.66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또한, 첨가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비율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0.1, 0.5, 1.0, 2.5, 5.0중량부이며,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0.1, 0.5, 1.0, 2.5, 5.0중량부이었다.
구체적으로는,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각각 표 5의 조합으로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투명 수지층(4)으로서의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제막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해서 시트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dyn/cm 이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원재료층(2)으로서의 은폐성이 있는 70㎛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한쪽 면에,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패턴 인쇄를 실시해서 3㎛의 잉크층(3)을 설치하고, 원재료층(2)으로서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다른 쪽 면에 프라이머 코트를 실시해서 1㎛의 프라이머층(6)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에 형성된 잉크층(3)의 표면에, 투명 수지층(4)을 3㎛의 두께로 형성된 접착제층(7)으로서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TAKELAC) A540; 미쯔이 가가꾸사 조제)를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하였다. 이렇게 해서, 원재료층(2), 잉크층(3), 접착제층(7), 프라이머층(6) 및 투명 수지층(4)을 포함하는 두께 157㎛의 적층 수지 시트를 얻었다. 이 적층 수지 시트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실시한 후, 2액형 우레탄 톱 코트(W184; DIC 그래픽사 조제, 도포 두께 3g/m2)를 도포해서 톱 코트층(5)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해서, 총 두께 160㎛의 실시예 2-6 내지 2-10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
<실시예 2-11>
실시예 2-11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계 수지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조제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2.67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조제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2.67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또한, 톱 코트층(5)에 첨가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비율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1.25중량부이며,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1.25중량부이었다. 또한, 투명 수지층(4)에 첨가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비율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1.25중량부이며,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1.25중량부이었다.
구체적으로는,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2.67중량부를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투명 수지층(4)으로서의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제막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해서 시트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dyn/cm 이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원재료층(2)으로서의 은폐성이 있는 70㎛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한쪽 면에,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패턴 인쇄를 실시해서 3㎛의 잉크층(3)을 설치하고, 원재료층(2)으로서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다른 쪽 면에 프라이머 코트를 실시해서 1㎛의 프라이머층(6)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에 형성된 잉크층(3)의 표면에, 투명 수지층(4)을 3㎛의 두께로 형성된 접착제층(7)으로서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TAKELAC) A540; 미쯔이 가가꾸사 조제)를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하였다. 이렇게 해서, 원재료층(2), 잉크층(3), 접착제층(7), 프라이머층(6) 및 투명 수지층(4)을 포함하는 두께 157㎛의 적층 수지 시트를 얻었다. 이 적층 수지 시트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실시한 후, 2액형 우레탄 톱 코트(W184; DIC 그래픽사 조제, 도포 두께 3g/m2)에 대하여,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2.67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도포해서 톱 코트층(5)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해서, 총 두께 160㎛의 실시예 2-11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
<비교예 2-1, 2-2>
비교예 2-1, 2-2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계 수지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또는 50.0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베시클화되지 않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또는 50.0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2-1 내지 2-5의 화장 시트(1)와 동일하다.
<비교예 2-3, 2-4>
비교예 2-3, 2-4에서는,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또는 50.0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베시클화되지 않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또는 50.0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2-6 내지 2-10의 화장 시트(1)와 동일하다.
<비교예 2-5>
비교예 2-5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계 수지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 베시클화되지 않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0.5중량부, 베시클화되지 않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0.5중량부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2-11의 화장 시트(1)와 동일하다.
<비교예 2-6>
비교예 2-6에서는, 자외선 흡수제를 어느 수지층에 대해서도 첨가하지 않는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2-1의 화장 시트(1)와 동일하다.
<평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실시예 2-1 내지 2-11 및 비교예 2-1 내지 2-6의 각 화장 시트(1)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해서, 자외선 흡수능, 헤이즈값, 색차(ΔE) 및 내후성 시험 후의 외관 변화를 평가하였다. 얻어진 평가 결과를 실시예 2-1 내지 2-5 및 비교예 2-1, 2-2에 대해서는 표 4, 실시예 2-6 내지 2-10 및 비교예 2-3, 2-4에 대해서는 표 5, 실시예 2-11 및 비교예 2-5, 2-6에 대해서는 표 6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외관 변화의 기호의 의미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먼저, 톱 코트층(5)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가 결과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 코트층(5)에 대하여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1.07 내지 42.64중량부 첨가한 실시예 2-1 내지 2-5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어느 첨가량으로 한 경우에든,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작고, 4000시간의 내후성 시험 후에도 시험 전과 거의 변함없는 자외선 흡수 성능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시험 후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의 값이 작고,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도 작으므로, 4000시간의 내후성 평가 후에도 높은 투명성을 구비하고, 색의 변화도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시 평가에서도 우수한 평가 결과가 되었다. 이에 반해, 톱 코트층(5)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각각 0.5중량부 첨가한 비교예 2-1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1.54, 헤이즈값이 17.20%, 색차(ΔE)의 값이 7.43으로 큰 값을 나타내고 있어, 4000시간의 내후성 시험 동안에 자외선 흡수율이 저하되고 투명층이 열화되어 투명성이 손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시 평가에서도, 내후성 시험 후에 백화나 균열이 보였다. 이것은,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했기 때문에, 주성분으로서의 수지 조성물에 대한 분산성이 떨어져 2차 응집이 발생하여, 충분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없었던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톱 코트층(5)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각각 50.0중량부 첨가한 비교예 2-2의 화장 시트에 대해서는, 자외선 흡수능의 값은 0.01로 매우 작지만, 자외선 흡수제를 다량으로 첨가했기 때문에 헤이즈값이 21.79%로 매우 크고, 목시 평가에서도 심한 백화가 보였다. 이것은,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이 너무 많았기 때문에 블로킹이 발생해서 백탁된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이어서, 투명 수지층(4)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가 결과는,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21 내지 10.66중량부를 첨가한 실시예 2-6 내지 2-10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어느 첨가량으로 했을 경우에든,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매우 작고, 4000시간의 내후성 시험 후에도 시험 전과 거의 변함없는 자외선 흡수율을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시험 후에 있어서의 헤이즈값이 작고,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도 작으므로, 4000시간의 내후성 평가 후에도 높은 투명성을 구비하고, 색의 변화도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시 평가에서도 우수한 평가 결과가 되었다. 이에 반해,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각각 0.5중량부 첨가한 비교예 2-3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1.32, 헤이즈값이 16.30%, 색차(ΔE)의 값이 6.21로 큰 값을 나타내고 있어, 4000시간의 내후성 시험 동안에 자외선 흡수율이 저하되고 투명층이 열화되어 투명성이 손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시 평가에서도, 내후성 시험 후에 백화나 균열이 보였다. 이것은,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했기 때문에, 주성분으로서의 수지 조성물에 대한 분산성이 떨어져 2차 응집이 발생하여, 충분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없었던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각각 50.0중량부 첨가한 비교예 2-4의 화장 시트에 대해서는, 자외선 흡수능의 값은 0.01로 매우 작지만, 자외선 흡수제를 다량으로 첨가했기 때문에 헤이즈값이 26.75%로 매우 크고, 목시 평가에서도 심한 백화가 보였다. 이것은,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이 너무 많았기 때문에 블리드 아웃이 발생해서 백탁된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양쪽에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가 결과는,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각각 2.67중량부 첨가한 실시예 2-11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0.07, 헤이즈값이 5.88%, 색차(ΔE)의 값이 0.37로 매우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고, 4000시간의 내후성 시험을 행해도 우수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갖고 있으며, 높은 투명성을 구비한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각각 0.5중량부 첨가한 비교예 2-5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자외선 흡수능의 값, 헤이즈값 및 색차(ΔE)의 값 모두에 있어서 큰 값을 나타내고 있어, 실시예 2-11의 화장 시트(1)와 비교해서 자외선 흡수 성능 및 의장성이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베시클화되지 않은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했기 때문에, 주성분으로서의 수지 조성물에 대한 분산성이 떨어져 2차 응집이 발생하여, 충분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발휘할 수 없었던 것이 원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어느 수지층에 대해서도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2-6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10.80, 헤이즈값이 6.47%, 색차(ΔE)의 값이 12.20이었다. 목시 평가의 결과로부터도 내후성 시험 후에는 현저한 백화나 균열이 발생하고 있어, 내후성이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2-3 및 실시예 2-11의 화장 시트(1)를 이하에 대비한다. 톱 코트층(5)에 대하여 10.66중량부의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한 실시예 2-3의 화장 시트(1)와,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각각 2.67중량부의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한 실시예 2-11의 화장 시트(1)를 비교하면, 모든 평가 결과에 대해서 실시예 2-11의 화장 시트(1)가 더 우수하고, 톱 코트층(5)에만 다량의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하지 않아도,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소량씩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갖는 화장 시트(1)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평가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 2-1 내지 2-5의 화장 시트(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톱 코트층(5)에 대하여 1.07 내지 42.64중량부의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서 내후성 및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가 얻어지는 것이 명확해졌다. 여기서, 톱 코트층(5)에 첨가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중,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는 0.5 내지 20.0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는 0.5 내지 20.0중량부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6 내지 2-10의 화장 시트(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0.21 내지 10.66중량부의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서 내후성 및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가 얻어지는 것이 명확해졌다. 여기서, 투명 수지층(4)에 첨가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중,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는 0.1 내지 5.0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는 0.1 내지 5.0중량부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2-11의 화장 시트(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의 양쪽 수지층에 대하여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톱 코트층(5) 또는 투명 수지층(4)의 어느 한쪽에 다량의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아도, 우수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갖춘 화장 시트(1)가 얻어지는 것이 명확해졌다.
(제3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는, 최표층에 톱 코트층을 구비하고, 당해 톱 코트층의 하층에 투명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층을 구비한 화장 시트이며, 당해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 중 어느 한쪽 수지층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다.
그리고, 당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중 어느 한쪽이,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내포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 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화장 시트는,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더해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선택되지 않은 다른 쪽 수지층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고, 당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내포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화장 시트는, 상기 실시 형태의 구성에 더해서, 상기 실시 형태에서 선택되지 않은 다른 쪽 수지층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고, 당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중 어느 한쪽이,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내포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 되어 있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은, 구각 형상으로 폐쇄한 막 구조를 갖는 소포형 캡슐 내에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내포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은, 서로의 외막끼리가 서로 반발하는 작용에 의해 입자가 응집하지 않아, 매우 높은 분산성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의 화장 시트의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는, 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분산력에 의해, 베시클화되지 않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응집도 방지하여, 양쪽 자외선 흡수제가 매우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그리고, 당해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높은 분산성을 실현한 결과, 응집한 양쪽 자외선 흡수제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수지 조성물의 백탁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투명성을 갖는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응집한 양쪽 자외선 흡수제가 당해 수지 조성물의 표면에 분출함으로써 발생하는 블룸(분말 분출) 또는 블리드(액 분출)와 같은 블리드 아웃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누출에 의해 당해 수지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이 저하되지 않으므로, 장기간에 걸쳐서 우수한 내후성을 갖는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화장 시트의 최표면이며 사용 시에 사람의 피부 등에 직접 닿는 표면이 되는 톱 코트층의 한쪽 표면에 있어서는, 블룸에 의한 백화나 블리드에 의한 끈적거림 등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사용감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수지층과 접착되는 표면인 톱 코트층의 다른 쪽 표면 및 투명 수지층의 양쪽 표면에 있어서는, 블룸이나 블리드가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수지층간의 우수한 밀착성을 장기간에 걸쳐서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얻는 방법(베시클화 처리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Bangham법, 익스트루전법, 수화법, 역상 증발법, 동결 융해법, 초임계 역상 증발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베시클화 처리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면, Bangham법은, 플라스크 등의 용기에 클로로포름 또는 클로로포름/메탄올 혼합 용매를 넣고, 또한 인지질을 넣어서 용해한다. 그 후, 증발기를 사용해서 용매를 제거해서 지질을 포함하는 박막을 형성하고, 첨가제의 분산액을 첨가한 후, 보르텍스 믹서로 수화·분산시킴으로써 베시클을 얻는 방법이다. 익스트루전법은, 박막의 인지질 용액을 조액하고, Bangham법에서 외부 섭동으로서 사용한 믹서 대신에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써 베시클을 얻는 방법이다. 수화법은, Bangham법과 거의 동일한 조제 방법인데, 믹서를 사용하지 않고, 온화하게 교반해서 분산시켜 베시클을 얻는 방법이다. 역상 증발법은, 인지질을 디에틸에테르나 클로로포름에 용해하고, 첨가제를 포함한 용액을 첨가해서 W/O 에멀션을 만들고, 당해 에멀션으로부터 감압 하에서 유기 용매를 제거한 후, 물을 첨가함으로써 베시클을 얻는 방법이다. 동결 융해법은, 외부 섭동으로서 냉각·가열을 사용하는 방법이며, 이 냉각·가열을 반복함으로써 베시클을 얻는 방법이다.
특히, 단층막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얻는 방법으로서, 초임계 역상 증발법을 들 수 있다. 초임계 역상 증발법이란, 본 발명자들이 제안하고 있는 일본 특허 공표 제2002/03256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1912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98407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제2008-063274호 공보(이하, 「초임계 역상 증발법 공보류」라고 칭함)에 개시되어 있는 것으로, 당해 초임계 역상 증발법 공보류에 기재된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해서 행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외막이 인지질과 같은 생체 지질을 포함하는 물질로 구성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이라고 칭한다.
여기서, 상술한 리포솜의 외막은, 인지질과 분산제의 혼합물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는,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한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 막을 인지질로 구성함으로써,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의 주성분인 수지 재료와 베시클의 상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상술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은,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첨가 비율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 비율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톱 코트층에 대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톱 코트층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5중량부 내지 20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5중량부 내지 2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비율이 0.5중량부보다도 적으면, 자외선 흡수능의 효과가 낮고, 20중량부보다도 많으면, 블로킹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1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3중량부 내지 5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3중량부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다.
또한, 투명 수지층에 대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투명 수지층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비율이 0.1중량부보다도 적으면, 자외선 흡수능의 효과가 낮고, 5중량부보다도 많으면, 블리드 아웃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2중량부 내지 3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2중량부 내지 3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다.
또한,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은, 각각 상이한 비율로 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을 감소시키고,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을 증대시킴으로써, 자외선 흡수 성능의 가일층의 장기화를 실현할 수 있다. 반대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을 증대시키고,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의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우수한 의장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톱 코트층 또는 투명 수지층의 어느 한쪽 수지층에 대하여 상기의 비율로 양쪽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면서, 다른 쪽 수지층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양쪽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첨가 비율은, 톱 코트층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 내지 2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고, 투명 수지층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수지층의 하층에는, 적어도 광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잉크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광 안정화제로서는, 힌더드아민계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층에 대하여 광 안정화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잉크층을 형성하는 바인더 수지 자체나 기타 층의 수지 열화에 의해 발생한 라디칼이 잉크 내의 안료의 화학 성분을 환원함으로 인한 안료의 퇴색을 억제하여, 장기간에 걸쳐 색이 선명한 무늬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의해 조제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방법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베시클의 외막을 형성하는 인지질 및 베시클의 외막을 형성하는 그 밖의 물질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본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의 구체적인 형태를 하기의 (1) 내지 (10)에 든다.
(1) 톱 코트층이 양쪽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고,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베시클로 되어 있다.
(2) 톱 코트층이 양쪽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고,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베시클로 되어 있다.
(3) 투명 수지층이 양쪽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고,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베시클로 되어 있다.
(4) 투명 수지층이 양쪽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고,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베시클로 되어 있다.
(5) (1) 또는 (2)의 구성에 더해서, 투명 수지층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함유하고 있다.
(6) (1) 또는 (2)의 구성에 더해서, 투명 수지층이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함유하고 있다.
(7) (3) 또는 (4)의 구성에 더해서, 톱 코트층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함유하고 있다.
(8) (3) 또는 (4)의 구성에 더해서, 톱 코트층이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함유하고 있다.
(9) (1) 또는 (2)의 구성에 더해서, (3)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10) (1) 또는 (2)의 구성에 더해서, (4)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의 (1)과 (3)을 조합한 구성이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복수의 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표층측에서부터, 톱 코트층(5), 투명 수지층(4), 접착제층(7), 잉크층(3), 원재료층(2), 은폐층(8) 및 프라이머층(6)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투명 수지층(4)의 톱 코트층(5)측의 면에는, 엠보싱 모양(4a)이 형성되어 있고,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는, 와이핑에 의해 톱 코트층(5)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일부가 매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층(7)은, 예를 들어 감열 접착제, 앵커 코트, 드라이 라미네이션 접착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 화장 시트(1)를 기재 B에 접착함으로써, 화장판이 형성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 층과 거의 동일한 수지 조성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수지 조성물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톱 코트층(5)으로서는, 표면의 보호나 광택의 조정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고, 당해 수지 조성물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서의 투명 수지층(4)에 있어서는, 또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부여하기 위해서, 당해 수지 조성물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다. 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함으로써, 주성분인 올레핀계 수지 재료가 열화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하층에 위치하는 잉크층(3)의 패턴 인쇄가 자외선에 의해 퇴색하는 것을 방지해서, 장기에 걸쳐 우수한 의장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원재료층(2)은 인쇄 작업성, 비용 등을 고려해서 20㎛ 내지 150㎛, 잉크층(3)은 5㎛ 내지 20㎛, 접착제층(7)은 1㎛ 내지 20㎛, 투명 수지층(4)은 20㎛ 내지 200㎛, 톱 코트층(5)은 3㎛ 내지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장 시트(1)의 총 두께는 49㎛ 내지 41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우수한 투명성과 높은 자외선 흡수 성능을 갖춘 화장 시트를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베시클의 상태로서 첨가하고 있으므로,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는, 당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분산성에 의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뿐만 아니라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도 응집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로 존재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 결과, 응집한 자외선 흡수제에 기인하는 광의 산란이 억제되어, 높은 투명성을 실현하고 있다.
또한,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양쪽 자외선 흡수제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음으로써, 응집한 자외선 흡수제에 기인하는 블룸(분말 분출)이나 블리드(액 분출) 등의 블리드 아웃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잉크층(3)으로 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한 잉크층(3)의 퇴색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장기간에 걸쳐서 아름다운 색상 인쇄를 유지한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본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최표층에 톱 코트층(5)을 구비하고, 톱 코트층(5)의 하층에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의 어느 한쪽 수지층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고, 함유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어느 한쪽이,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내포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상기 화장 시트에 있어서 선택되지 않은 다른 쪽 수지층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중 적어도 한쪽을 함유하고 있고, 함유하는 자외선 흡수제 중 하나가,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내포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의 어느 한쪽 수지층을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층으로 함으로써, 우수한 의장성을 가짐과 함께, 장기간에 걸쳐서 우수한 내후성을 실현 가능한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함유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어느 한쪽이 베시클로 된 상태로 함유되어 있음으로써, 톱 코트층(5) 또는 투명 수지층(4)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응집하지 않고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높은 분산성을 실현한 결과, 응집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블룸(분말 분출)이나 블리드(액 분출) 등이 발생하지 않아, 화장 시트의 최표면에 위치하는 표면에서는 화장 시트의 백화나 끈적거림이 발생하지 않고, 다른 수지층과 접착하는 측의 표면에서는 다른 수지층과의 우수한 밀착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의하면, 다른 쪽 수지층을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중 적어도 한쪽을 함유하는 수지층으로 해서, 함유하는 자외선 흡수제 중 하나를 베시클로 된 상태로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블룸(분말 분출)이나 블리드(액 분출) 등을 발생시키지 않아, 보다 한층 내후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3)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베시클의 외막이 인지질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과의 상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당해 수지 조성물에 대한 베시클의 높은 분산성을 실현하여, 2차 응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4)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벤조페논계, 벤조에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높은 투명성을 유지해서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5)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산화아연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장기간에 걸친 자외선 흡수능을 유지해서 기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6)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톱 코트층(5)측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이 형성되어 있고,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는, 톱 코트층(5)이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엠보싱 모양(4a)을 형성함으로써 투명 수지층(4)의 막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서도,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이 첨가된 톱 코트층(5)이 매립되어 있으므로, 다른 부분에 못지않은 내후성이 얻어지는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먼저, 이후의 실시예 3-1 내지 3-15에서 사용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상세한 조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당해 베시클의 조제에는, 초임계 역상 증발법을 사용하였다.
베시클의 조제는 60℃로 유지된 고압 스테인리스 용기에 대하여, 헥산 100중량부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히드록시페닐을 주성분으로 하는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TINUVIN 400; BASF사 조제) 70중량부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산화아연(평균 입자 직경 20nm) 70중량부와, 인지질로서의 포스파티딜콜린 5중량부를 넣어서 밀폐하고, 용기 내의 압력이 20MPa이 되도록 이산화탄소를 주입해서 초임계 상태로 하고, 격렬하게 교반 혼합하면서 아세트산에틸을 100중량부 주입하여,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면서 15분간 교반 혼합한 후, 이산화탄소를 배출해서 대기압으로 복귀시켰다. 이렇게 해서, 인지질을 포함하는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얻었다.
<실시예 3-1>
실시예 3-1에서는, 상기 (1)의 형태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 검토를 행하였다. 실시예 3-1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 1.0, 5.0, 10.0, 20.0, 50.0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1.0, 5.0, 10.0, 20.0, 0.5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투명 수지층(4)으로서의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제막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해서 시트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dyn/cm 이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원재료층(2)으로서의 은폐성이 있는 70㎛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한쪽 면에,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패턴 인쇄를 실시해서 3㎛의 잉크층(3)을 설치하고, 원재료층(2)으로서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다른 쪽 면에 프라이머 코트를 실시해서 1㎛의 프라이머층(6)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에 형성된 잉크층(3)의 표면에, 투명 수지층(4)을 3㎛의 두께로 형성된 접착제층(7)으로서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TAKELAC) A540; 미쯔이 가가꾸사 조제)를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하였다. 이렇게 해서, 원재료층(2), 잉크층(3), 접착제층(7), 프라이머층(6) 및 투명 수지층(4)을 포함하는 두께 157㎛의 적층 수지 시트를 얻었다. 이 적층 수지 시트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실시한 후, 2액형 우레탄 톱 코트(W184; DIC 그래픽사 조제, 도포 두께 3g/m2)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5, 1.0, 5.0, 10.0, 20.0, 50.0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0.5, 1.0, 5.0, 10.0, 20.0, 0.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것을 도포해서 톱 코트층(5)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해서, 총 두께 160㎛의 실시예 3-1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
<실시예 3-2>
실시예 3-2에서는, 상기 (2)의 형태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 검토를 행하였다. 실시예 3-2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1.0, 5.0, 10.0, 20.0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 1.0, 5.0, 10.0, 20.0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에는, 실시예 3-1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해서 화장 시트(1)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3>
실시예 3-3에서는, 상기 (3)의 형태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 검토를 행하였다. 실시예 3-3에서는,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1, 0.5, 1.0, 2.5, 5.0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1, 0.5, 1.0, 2.5, 5.0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1, 0.5, 1.0, 2.5, 5.0중량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1, 0.5, 1.0, 2.5, 5.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투명 수지층(4)으로서의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제막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해서 시트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dyn/cm 이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원재료층(2)으로서의 은폐성이 있는 70㎛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한쪽 면에,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패턴 인쇄를 실시해서 3㎛의 잉크층(3)을 설치하고, 원재료층(2)으로서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다른 쪽 면에 프라이머 코트를 실시해서 1㎛의 프라이머층(6)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에 형성된 잉크층(3)의 표면에, 투명 수지층(4)을 3㎛의 두께로 형성된 접착제층(7)으로서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TAKELAC) A540; 미쯔이 가가꾸사 조제)를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하였다. 이렇게 해서, 원재료층(2), 잉크층(3), 접착제층(7), 프라이머층(6) 및 투명 수지층(4)을 포함하는 두께 157㎛의 적층 수지 시트를 얻었다. 이 적층 수지 시트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실시한 후, 2액형 우레탄 톱 코트(W184; DIC 그래픽사 조제, 도포 두께 3g/m2)를 도포해서 톱 코트층(5)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해서, 총 두께 160㎛의 실시예 3-3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
<실시예 3-4>
실시예 3-4에서는, 상기 (4)의 형태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 검토를 행하였다. 실시예 3-4에서는,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1, 0.5, 1.0, 2.5, 5.0, 0.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1, 0.5, 1.0, 2.5, 5.0, 20.0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에는, 실시예 3-3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해서 화장 시트(1)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5>
실시예 3-5에서는, 상기 (5)의 형태에서의 (2)의 형태를 채용한 구성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 검토를 행하였다. 실시예 3-5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중량부를 첨가하고,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5중량부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투명 수지층(4)으로서의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제막하였다. 그 후, 제막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해서 시트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dyn/cm 이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원재료층(2)으로서의 은폐성이 있는 70㎛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한쪽 면에,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패턴 인쇄를 실시해서 3㎛의 잉크층(3)을 설치하고, 원재료층(2)으로서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다른 쪽 면에 프라이머 코트를 실시해서 1㎛의 프라이머층(6)을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에 형성된 잉크층(3)의 표면에, 투명 수지층(4)을 3㎛의 두께로 형성된 접착제층(7)으로서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TAKELAC) A540; 미쯔이 가가꾸사 조제)를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하였다. 이렇게 해서, 원재료층(2), 잉크층(3), 접착제층(7), 프라이머층(6) 및 투명 수지층(4)을 포함하는 두께 157㎛의 적층 수지 시트를 얻었다. 이 적층 수지 시트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실시한 후, 2액형 우레탄 톱 코트(W184; DIC 그래픽사 조제, 도포 두께 3g/m2)에 대하여 상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것을 도포해서 톱 코트층(5)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해서, 총 두께 160㎛의 실시예 3-5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
<실시예 3-6>
실시예 3-6에서는, 상기 (6)의 형태에서의 (2)의 형태를 채용한 구성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 검토를 행하였다. 실시예 3-6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중량부를 첨가하고,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에는, 실시예 3-5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해서 화장 시트(1)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7>
실시예 3-7에서는, 상기 (7)의 형태에서의 (4)의 형태를 채용한 구성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 검토를 행하였다. 실시예 3-7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중량부를 첨가하고,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5중량부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투명 수지층(4)으로서의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제막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해서 시트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dyn/cm 이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원재료층(2)으로서의 은폐성이 있는 70㎛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한쪽 면에,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패턴 인쇄를 실시해서 3㎛의 잉크층(3)을 설치하고, 원재료층(2)으로서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다른 쪽 면에 프라이머 코트를 실시해서 1㎛의 프라이머층(6)을 형성하였다. 그 후, 그 폴리에틸렌 시트에 형성된 잉크층(3)의 표면에, 투명 수지층(4)을 3㎛의 두께로 형성된 접착제층(7)으로서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TAKELAC) A540; 미쯔이 가가꾸사 조제)를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하였다. 이렇게 해서, 원재료층(2), 잉크층(3), 접착제층(7), 프라이머층(6) 및 투명 수지층(4)을 포함하는 두께 157㎛의 적층 수지 시트를 얻었다. 이 적층 수지 시트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실시한 후, 2액형 우레탄 톱 코트(W184; DIC 그래픽사 조제, 도포 두께 3g/m2)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것을 도포해서 톱 코트층(5)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해서, 총 두께 160㎛의 실시예 3-7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
<실시예 3-8>
실시예 3-8에서는, 상기 (8)의 형태에서의 (4)의 형태를 채용한 구성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 검토를 행하였다. 실시예 3-8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중량부를 첨가하고,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에는, 실시예 3-7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해서 화장 시트(1)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9>
실시예 3-9에서는, 상기 (9)의 형태에서의 (1)의 형태 및 (3)의 형태를 조합한 구성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 검토를 행하였다. 실시예 3-9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 1.25, 5.0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1.25, 5.0중량부를 첨가시키고,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 1.25, 5.0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1.25, 5.0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5, 1.25, 5.0중량부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0.5, 1.25, 5.0중량부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투명 수지층(4)으로서의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를 제막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해서 시트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dyn/cm 이상으로 하였다. 이어서, 원재료층(2)으로서의 은폐성이 있는 70㎛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한쪽 면에,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패턴 인쇄를 실시해서 3㎛의 잉크층(3)을 설치하고, 원재료층(2)으로서의 폴리에틸렌 시트의 다른 쪽 면에 프라이머 코트를 실시해서 1㎛의 프라이머층(6)을 형성하였다. 그 후, 이 폴리에틸렌 시트에 형성된 잉크층(3)의 표면에, 투명 수지층(4)을 3㎛의 두께로 형성된 접착제층(7)으로서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TAKELAC) A540; 미쯔이 가가꾸사 조제)를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하였다. 이렇게 해서, 원재료층(2), 잉크층(3), 접착제층(7), 프라이머층(6) 및 투명 수지층(4)을 포함하는 두께 157㎛의 적층 수지 시트를 얻었다. 이 적층 수지 시트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실시한 후, 2액형 우레탄 톱 코트(W184; DIC 그래픽사 조제, 도포 두께 3g/m2)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0.5, 1.25, 5.0중량부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0.5, 1.25, 5.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것을 도포해서 톱 코트층(5)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해서, 총 두께 160㎛의 실시예 3-9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
<실시예 3-10>
실시예 3-10에서는, 상기 (9)의 형태에서의 (2)의 형태 및 (3)의 형태를 조합한 구성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 검토를 행하였다. 실시예 3-10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중량부를 첨가하고,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에는, 실시예 3-9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해서 화장 시트(1)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11>
실시예 3-11에서는, 상기 (10)의 형태에서의 (1)의 형태 및 (4)의 형태를 조합한 구성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 검토를 행하였다. 실시예 3-11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하고,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에는, 실시예 3-9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해서 화장 시트(1)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12>
실시예 3-12에서는, 상기 (10)의 형태에서의 (2)의 형태 및 (4)의 형태를 조합한 구성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 검토를 행하였다. 실시예 3-12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1.25, 5.0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 1.25, 5.0중량부를 첨가하고,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1.25, 5.0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 1.25, 5.0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에는, 실시예 3-9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해서 화장 시트(1)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13>
실시예 3-13에서는, 실시예 3-1 내지 3-4, 3-9, 3-12의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 잉크층(3)에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3-1 내지 3-4, 3-9, 3-12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며, 양쪽 자외선 흡수제 및 양쪽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첨가 비율은 각각 수지 조성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로 해서 화장 시트(1)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14>
실시예 3-14에서는, 실시예 3-4의 형태에 더해서, 다른 수지층으로서의 톱 코트층(5)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구성의 화장 시트(1)이다. 구체적인 구성은,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하고,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실시예 3-15>
실시예 3-15에서는, 실시예 3-2의 형태에 더해서, 다른 수지층으로서의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한 구성의 화장 시트(1)이다. 구체적인 구성은,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중량부를 첨가하고,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0.5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비교예 3-1>
비교예 3-1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5.0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5.0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로 하였다. 그 밖에는, 실시예 3-1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해서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2>
비교예 3-2에서는,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1.0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5, 1.0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로 하였다. 그 밖에는, 실시예 3-3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해서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3>
비교예 3-3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하고,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로서의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0.5중량부를 첨가한 화장 시트로 하였다. 그 밖에는, 실시예 3-9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해서 화장 시트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4>
비교예 3-4에서는, 양쪽 자외선 흡수제 모두 첨가하지 않는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로 하였다.
<평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실시예 3-1 내지 3-15 및 비교예 3-1 내지 3-4의 각 화장 시트(1)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해서, 자외선 흡수능, 헤이즈값, 색차(ΔE) 및 내후성 시험 후의 외관 변화를 평가하였다. 얻어진 평가 결과를 실시예 3-1 내지 3-4에 대해서는 표 7, 실시예 3-5 내지 3-12에 대해서는 표 8, 실시예 3-13 내지 3-15에 대해서는 표 9 및 비교예 3-1 내지 3-4에 대해서는 표 10에 각각 나타낸다. 또한, 외관 변화의 기호의 의미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실시예 3-1 내지 3-4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대해서 검토를 행한 것이다.
실시예 3-1에서의 화장 시트(1)는,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 코트층(5)에 대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 비율이 어느 것이든, 자외선 흡수능, 헤이즈값 및 색차(ΔE)는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어, 내후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내후성 시험 후에 있어서의 목시에 의한 외관 변화의 평가로부터도, 내후성 시험 전후에 있어서 거의 변화가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5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0.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색이나 균열 등의 외관 변화는 보이지 않았지만, 표면에 블리드(액 분출)가 보였다. 이것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첨가량이 과다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3-2에서의 화장 시트(1)는,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 코트층(5)에 대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첨가 비율이 어느 것이든, 자외선 흡수능, 헤이즈값 및 색차(ΔE)는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어, 내후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첨가 비율이, 각각 5.0 및 10.0중량부로 된 것에 대해서는, 각 시험 결과에 있어서 매우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고, 내후성 시험 후에 있어서의 목시에 의한 외관 변화의 평가에서도 내후성 시험 전과 비교해서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실시예 3-3에서의 화장 시트(1)는,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4)에 대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 비율이 어느 것이든, 자외선 흡수능, 헤이즈값 및 색차(ΔE)는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고, 내후성 시험 후에 있어서의 목시에 의한 외관 변화의 평가에서도 내후성 시험 전과 비교해서 거의 변화가 보이지 않거나, 또는 전혀 변화가 보이지 않아, 우수한 내후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4에서의 화장 시트(1)는, 표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4)에 대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첨가 비율이 어느 것이든, 자외선 흡수능, 헤이즈값 및 색차(ΔE)는 매우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고, 내후성 시험 후에 있어서의 목시에 의한 외관 변화의 평가에서도 내후성 시험 전과 비교해서 전혀 변화가 보이지 않아, 우수한 내후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0.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함과 함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2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색이나 균열 등의 외관 변화는 보이지 않았지만, 표면에 블룸(분말 분출)이 보였다. 이것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첨가량이 과다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이들 실시예 3-1 내지 3-4에서의 화장 시트(1)는, 표 10에 나타내는 비교예 3-1, 3-2의 화장 시트와 비교하여, 첨가한 자외선 흡수제 중 어느 한쪽을 베시클화함으로써, 동일한 첨가 비율의 것이어도, 자외선 흡수능, 헤이즈값 및 색차(ΔE)의 값이 작아, 내후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 함으로써,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수지 조성물 중에 잔존하고 있는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 비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여, 충분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발휘하고 있음과 함께,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응집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백탁화가 억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3-5 내지 3-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관한 화장 시트(1)에 대해서 검토를 행한 것이다.
실시예 3-5에서의 화장 시트(1)는,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 코트층(5)에 대하여 양쪽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실시예 3-2의 구성에 더해서,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자외선 흡수능 및 색차(ΔE)의 값은 작아지고, 헤이즈값은 거의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또한, 내후성 시험 후에 있어서의 목시에 의한 외관 변화의 평가에서도, 실시예 3-2에서는 「○」이었던 것에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로 되어, 전혀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로부터, 한쪽 수지층으로서의 톱 코트층(5) 외에도, 다른 수지층으로서의 투명 수지층(4)에 대해서도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보다 한층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실시예 3-6에서의 화장 시트(1)는,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 코트층(5)에 대하여 양쪽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실시예 3-2의 구성에 더해서,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자외선 흡수능 및 색차(ΔE)의 값은 작아지고, 헤이즈값은 약간 커졌다. 또한, 내후성 시험 후에 있어서의 목시에 의한 외관 변화의 평가에서도, 실시예 3-2에서는 「○」이었던 것에 반해, 본 실시예에서는 「◎」로 되어, 전혀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로부터, 한쪽 수지층으로서의 톱 코트층(5) 외에도, 다른 수지층으로서의 투명 수지층(4)에 대해서도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투명성은 약간 손상되지만, 매우 내후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실시예 3-7에서의 화장 시트(1)는,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양쪽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실시예 3-4의 구성에 더해서, 톱 코트층(5)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자외선 흡수능, 헤이즈값 및 색차(ΔE)의 값이 작아졌다. 이 결과로부터, 한쪽 수지층으로서의 투명 수지층(4) 외에도, 다른 수지층으로서의 톱 코트층(5)에 대해서도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매우 내후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실시예 3-8에서의 화장 시트(1)는,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양쪽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실시예 3-4의 구성에 더해서, 톱 코트층(5)에 대하여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작아지고, 헤이즈값 및 색차(ΔE)는 약간 커졌다. 이 결과로부터, 한쪽 수지층으로서의 투명 수지층(4) 외에도, 다른 수지층으로서의 톱 코트층(5)에 대해서도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투명성은 약간 손상되지만, 매우 내후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실시예 3-9 내지 3-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관한 화장 시트(1)에 대해서 검토를 행한 것이다.
실시예 3-9 내지 3-12에서의 화장 시트(1)는, 표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에서의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 비율이 어느 것이든, 자외선 흡수능, 헤이즈값 및 색차(ΔE)는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고, 내후성 시험 후에 있어서의 외관 변화의 관찰 결과에서도, 거의 변화가 보이지 않거나, 전혀 변화가 보이지 않아, 우수한 내후성 및 투명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에 첨가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모두 베시클화되어 있는 실시예 3-12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능, 헤이즈값 및 색차(ΔE)의 값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어, 실시예 3-9 내지 3-11에서의 화장 시트(1)와 비교하여, 매우 내후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것이 명확해졌다. 이것은, 실시예 3-12에서는, 보다 응집하기 쉬운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베시클화하고 있기 때문에, 수지 조성물 중에서의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분산성이 보다 한층 향상되어, 응집한 양쪽 자외선 흡수제에 기인하는 블룸(분말 분출)이나 블리드(액 분출) 등이 발생하지 않고,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다량의 양쪽 자외선 흡수제를 잔존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어, 실시예 3-9 내지 3-11에서의 화장 시트(1)와 비교해서 내후성이 우수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베시클화시키고 있음으로써,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베시클화시킨 경우보다도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분산성이 향상되어, 백탁화가 억제되고, 우수한 헤이즈값을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실시예 3-9 내지 3-12에서의 화장 시트(1)는, 표 10에 나타내는 비교예 3-3의 화장 시트의 시험 결과와 비교하면, 자외선 흡수능, 헤이즈값 및 색차(ΔE)의 어느 결과에서든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에 첨가한 양쪽 자외선 흡수제 중 어느 한쪽을 베시클화함으로써, 내후성이 크게 향상되고, 우수한 투명성이 얻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3-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 및 각 변형예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 또한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잉크층(3)을 구비하는 형태에 대해서 검토를 행한 것이다.
실시예 3-13에서의 화장 시트(1)는, 표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1 내지 3-4, 3-9, 3-12에서의 형태에 있어서 양쪽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 비율을 동일하게 하는 화장 시트(1)와 비교해도, 자외선 흡수능, 헤이즈값 및 색차(ΔE)는 약간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잉크층(3)을 구비한 화장 시트(1)로 함으로써, 실시예 3-1 내지 3-4, 3-9, 3-12의 형태의 화장 시트(1)로부터, 보다 우수한 내후성 및 투명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실시예 3-14에서의 화장 시트(1)는, 표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4의 구성의 화장 시트(1)와 비교하여, 다른 쪽 수지층으로서의 톱 코트층(5)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함으로써, 자외선 흡수능 및 색차(ΔE)가 작은 값을 나타내어, 내후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얻을 수 있음이 명확해졌다. 또한, 다른 쪽 수지층으로서의 톱 코트층(5)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한 실시예 3-7과 비교하면, 헤이즈값 및 색차(ΔE)가 큰 값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것은, 실시예 3-14에서의 톱 코트층(5)에 있어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응집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3-15에서의 화장 시트(1)는, 표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3-2의 구성의 화장 시트(1)와 비교하여, 다른 쪽 수지층으로서의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함으로써, 보다 내후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얻을 수 있음이 명확해졌다.
또한, 비교예 3-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쪽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는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자외선 흡수능 및 색차(ΔE)는 큰 값을 나타내고, 내후성 시험 후에 있어서의 외관 변화의 관찰 결과로부터도 내후성을 갖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의 어느 한쪽 수지층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고, 또한 당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당해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어느 한쪽이 베시클화되어 함유되어 있으므로, 우수한 투명성과 높은 자외선 흡수 성능을 갖춘 화장 시트(1)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쪽 수지층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중 적어도 한쪽을 첨가한 화장 시트(1)로 함으로써, 더욱 투명성 및 자외선 흡수 성능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구성에 더해서,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잉크층(3)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로 함으로써, 보다 한층 장기간에 걸쳐서 아름다운 색상 인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참고예]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화장 시트 이외의 화장 시트를, 본 발명의 참고예로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화장 시트 이외의 화장 시트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인 트리아진계의 자외선 흡수제만을 첨가한 경우, 기재 수지의 투명성은 유지할 수 있지만 경시 변화를 피할 수 없어, 장기간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 성능의 지속성이 충분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인 산화아연만을 첨가한 경우, 경시 변화가 적어 장기간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 성능은 양호하지만, 다량으로 첨가하면 투명성이 저하되어 화장 시트 자체의 의장성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유기계, 무기계의 어느 자외선 흡수제에 있어서든,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량을 증가시키면, 응집한 자외선 흡수제가 증가하고, 당해 자외선 흡수제의 응집에 기인하는 자외선 흡수제의 블룸(분말 분출)이나 블리드(액 분출) 등이 발생하는 블리드 아웃이 발생하기 쉬워져, 시트 표면의 백화에 의한 의장성의 저하나 끈적거림에 의한 밀착성의 저하를 야기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양쪽을 첨가할 때, 어느 한쪽을 베시클에 내포한 상태로 함유시킴으로써, 수지 재료 중으로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분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에 성공하여, 이에 의해 블리드 아웃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제4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는, 최표층에 톱 코트층을 구비하고, 당해 톱 코트층의 하면에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당해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고, 특히, 당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외막에서 포함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인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은, 구각 형상으로 폐쇄한 막 구조를 갖는 소포형 캡슐 내에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내포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은, 서로의 외막끼리가 서로 반발하는 작용에 의해 입자가 응집하지 않아, 매우 높은 분산성을 갖고 있다. 이 작용에 의해,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막을 인지질로 구성함으로써,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의 주성분인 수지 재료와 베시클의 상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리포솜의 외막은, 인지질과 분산제의 혼합물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톱 코트층에 첨가하는 경우, 톱 코트층 형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내지 20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이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첨가량이 0.1중량부보다도 적으면, 자외선 흡수능의 효과가 낮고, 20중량부보다도 많으면, 블리드 아웃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이러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투명 수지층에 첨가하는 경우, 투명 수지층의 주성분인 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부 내지 5중량부이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첨가량이 0.1중량부보다도 적으면, 자외선 흡수능의 효과가 낮고, 10중량부보다도 많으면 블리드 아웃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는, 투명 수지층에 엠보싱 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당해 엠보싱 모양의 오목부에 톱 코트층이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며, 톱 코트층을 투명 수지층의 표면에 설치할 때, 와이핑에 의해 오목부에 톱 코트층을 매립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수지층의 하층에는, 적어도 광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잉크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광 안정화제로서는, 힌더드아민계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층에 대하여 광 안정화제를 함유시킴으로써, 잉크층을 형성하는 바인더 수지 자체나 기타 층의 수지 열화에 의해 발생한 라디칼이 잉크 내의 안료의 화학 성분을 환원함으로 인한 안료의 퇴색을 억제하여, 장기간에 걸쳐서 색이 선명한 무늬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얻는 방법(베시클화 처리 방법)에 대해서는,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단층막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얻는 방법에 대해서도,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베시클의 외막을 형성하는 인지질 및 베시클의 외막을 형성하는 그 밖의 물질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2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화장 시트(1)는, 잉크층(3)이 실시된 원재료층(2)으로서의 원재료 수지 시트에 접착제층(7)이 형성된 것과,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한 투명 수지층(4)에 접착성 수지층(4b)을 공압출한 것을 드라이 라미네이트 또는 압출 라미네이트 등으로 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 코트층(5)은, 투명 수지층(4)에 형성된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액을 스퀴지 등으로 긁어냄으로써 오목부에만 당해 수지 조성물을 매립하는 와이핑에 의해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표층측에서부터, 톱 코트층(5), 투명 수지층(4)(접착성 수지층(4b)), 접착제층(7), 잉크층(3) 및 원재료층(2)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투명 수지층(4)의 톱 코트층(5)측의 면에는, 엠보싱 모양(4a)이 형성되어 있고,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는, 와이핑에 의해 톱 코트층(5)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일부가 매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잉크층(3)은, 접착제층(7)측에 설치된 무늬 모양층(3a)과, 단색 잉크층(3b)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의 구성과 동일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 층과 거의 동일한 수지 조성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수지 조성물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최표면에 설치된 톱 코트층(5)에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이 0.1중량부 내지 2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당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서,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의해 얻은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명 수지층(4)의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만 톱 코트층(5)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적어도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엠보싱 모양(4a)을 형성함으로써 층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오목부에서도 높은 내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톱 코트층(5)은, 투명 수지층(4)의 전체면을 덮도록 형성해도 되고, 전체면을 덮도록 톱 코트층(5)을 설치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내후성을 구비한 화장 시트(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는,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엠보싱 모양(4a)이 형성되어 있다. 엠보싱 모양(4a)은, 톱 코트층(5)을 형성하기 전에, 요철 모양을 갖는 엠보싱 판을 사용해서 열 및 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엠보싱 모양(4a)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압출기를 사용해서 제막할 때 요철 모양을 갖는 냉각 롤을 사용해서 시트의 냉각과 동시에 엠보싱 모양(4a)을 형성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 잉크 등을 매립해서 더욱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비극성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경우, 투명 수지층(4)과 하면에 배치되는 수지층의 밀착성이 낮은 경우에는, 접착성 수지층(4b)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성 수지층(4b)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릴계 등의 수지에 산 변성을 실시한 것이 바람직하고, 층 두께는 접착성이나 내열성의 관점에서 2㎛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성 수지층(4b)은, 접착 강도 향상의 관점에서, 투명 수지층(4)과 공압출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층(4)의 하면측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하면측의 잉크층(3)과 투명 수지층(4)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착제층(7)이 설치되어 있다. 접착제층(7)의 도포 시공 방법은 접착제의 점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그라비아 코트가 사용되어, 잉크층(3)이 실시된 원재료층(2)측에 그라비아 코트에 의해 도포된 후, 투명 수지층(4) 또는 접착성 수지층(4b)과 라미네이트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층(7)은, 투명 수지층(4)과 잉크층(3)의 접착 강도가 충분히 얻어지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잉크층(3)은, 적어도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잉크를 포함하는 무늬 모양층(3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무늬 모양층(3a)의 하면측에 단색 잉크층(3b)을 설치함으로써, 은폐성을 부여할 수 있다.
단색 잉크층(3b)에서는, 기본적으로는 무늬 모양층(3a)에 사용하는 잉크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당해 잉크가 투명한 재료인 경우에는, 불투명한 안료, 산화티타늄, 산화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첨가함으로써 은폐성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는 플레이크 형상의 알루미늄이 사용된다.
이러한 잉크층(3)은, 원재료층(2)에 대하여 직접, 그라비아 인쇄, 오프셋 인쇄, 스크린 인쇄, 플렉소 인쇄, 정전 인쇄, 잉크젯 인쇄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금속에 의해 은폐성을 부여할 경우에는, 콤마 코터, 나이프 코터, 립 코터, 금속 증착 또는 스퍼터법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 재료나 잉크가 적층되는 계면에 대해서는, 그 접착성을 고려하여, 당해 수지 재료나 잉크를 실시하기 전에, 적층되는 표면에 코로나 처리, 오존 처리, 플라스마 처리, 전자선 처리, 자외선 처리, 중크롬산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표면을 활성화한 후에 적층 공정을 거치면, 층끼리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원재료층(2)은 인쇄 작업성, 비용 등을 고려해서 20㎛ 내지 150㎛, 접착제층(7)은 1㎛ 내지 20㎛, 투명 수지층(4)은 20㎛ 내지 200㎛, 톱 코트층(5)은 3㎛ 내지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장 시트(1)의 총 두께는 45㎛ 내지 40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한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매우 균일하게 분산된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투명성이 손상되지 않고 우수한 의장성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적은 첨가량으로도 높은 자외선 흡수 성능을 실현한, 장기간에 걸쳐서 우수한 내후성을 얻을 수 있는 화장 시트(1)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높은 분산성을 실현하고 있음으로써, 응집한 첨가물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블리드 아웃이 발생하지 않아, 표면의 끈적거림이 적은 화장 시트(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 함으로써,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다량으로 첨가하고자 하는 요망에도 부응할 수 있으므로, 보다 한층 내후 성능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밖에도,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 함으로써, 화장 시트에 필요한 가요성, 충격 강도 및 평면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나, 톱 코트층(5)의 원료 수지에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함으로써 증점되는 것을 억제해서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의 구석구석에까지 도포액을 매립해서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서,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의해 얻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을 사용함으로써,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매우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우수한 투명성, 자외선 흡수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본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최표층에 톱 코트층(5)을 구비하고, 톱 코트층(5)의 하면에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고, 함유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외막에서 포함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함유하는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함으로써, 우수한 의장성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장기간에 걸친 내후성을 실현한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2)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외막이 단층막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중에 있어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투명성을 실현해서 의장성이 우수함과 함께, 우수한 내후성을 구비한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3)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이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과의 상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당해 수지 조성물에 대한 베시클의 높은 분산성을 실현하여, 2차 응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4)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벤조페논계, 벤조에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높은 투명성을 유지해서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5)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투명 수지층(4)에는 엠보싱 모양(4a)이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 톱 코트층(5)이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엠보싱 모양(4a)을 형성함으로써 투명 수지층(4)의 막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서도,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이 첨가된 톱 코트층(5)이 매립되어 있으므로, 다른 부분에 못지않은 내후성이 얻어지는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6)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투명 수지층(4)의 하층에는, 광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잉크층(3)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잉크층(3)의 바인더 수지 자체나 기타 층의 수지 열화에 의해 발생한 라디칼이 잉크 내의 안료의 화학 성분을 환원함으로 인한 안료의 퇴색을 억제하여, 장기간에 걸쳐서 우수한 의장성을 실현 가능한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먼저, 실시예 4-1, 4-2에서 사용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에는, 초임계 역상 증발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60℃로 유지된 고압 스테인리스 용기에 헥산 100중량부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히드록시페닐을 주성분으로 하는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TINUVIN400; BASF사 조제) 70중량부와, 인지질로서의 포스파티딜콜린 5중량부를 넣어서 밀폐하고, 용기 내의 압력이 20MPa이 되도록 이산화탄소를 주입해서 초임계 상태로 하고, 격렬하게 교반 혼합하면서 아세트산에틸 100중량부를 주입하여,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면서 15분간 교반 혼합한 후, 이산화탄소를 배출해서 대기압으로 복귀시켰다. 이렇게 해서, 인지질을 포함하는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리포솜을 얻었다.
<화장 시트(1)의 제작 방법>
먼저,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5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로서의 시트 형상의 투명 수지층(4)을 제막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투명 수지층(4)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시트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dyn/cm 이상으로 하였다. 한편, 은폐성이 있는 70㎛의 폴리에틸렌 시트(원재료층(2))의 한쪽 면에,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패턴 인쇄를 실시해서 무늬 모양층(3a)을 설치하고, 또한 원재료층(2)의 다른 쪽 면에 프라이머 코트를 실시하였다. 그 후, 원재료층(2)의 무늬 모양층(3a)의 면 상에, 투명 수지층(4)을 접착제층(7)으로서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TAKELAC) A540; 미쯔이 가가꾸사 조제; 도포량 2g/m2)를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하였다. 이 접합한 시트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실시한 후, 2액형 우레탄 톱 코트(W184; DIC 그래픽사 조제)를 도포 두께 3g/m2로 도포해서 톱 코트층(5)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해서, 총 두께 157㎛의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
<실시예 4-1>
실시예 4-1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2액형 우레탄 톱 코트 100중량부 및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술한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리포솜을 각각 0.2, 1.0, 2.5 또는 10.0의 비율로 첨가한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실시예 4-2>
실시예 4-2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2액형 우레탄 톱 코트 100중량부 및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술한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리포솜을 각각 0.2 또는 10.0의 비율로 첨가한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2액형 우레탄 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무늬 모양층(3a)을 구비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4-1과 마찬가지이다.
<비교예 4-1>
비교예 4-1에서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2액형 우레탄 톱 코트 100중량부 및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을 각각 0.2, 1.0 또는 10.0의 비율로 첨가한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4-1과 마찬가지이다.
<비교예 4-2>
비교예 4-2에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은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4-1과 마찬가지이다.
<평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실시예 4-1, 4-2 및 비교예 4-1, 4-2의 각 화장 시트(1)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해서, 자외선 흡수능, 헤이즈값, 색차(ΔE) 및 내후성 시험 후의 외관 변화를 평가하였다. 얻어진 평가 결과를 표 11에 나타내었다. 또한, 외관 변화의 기호의 의미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Figure pct00011
실시예 4-1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표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리포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자외선 흡수능 및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은 작은 값을 나타내고, 헤이즈값은 큰 값을 나타냈다. 이것은,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리포솜의 첨가량이 증대하면 내후성이 향상되는 한편, 첨가제에 기인하는 백탁화가 진행되어 헤이즈값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4-2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표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리포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자외선 흡수능 및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은 작은 값을 나타내고, 헤이즈값은 큰 값을 나타내어, 실시예 4-1의 화장 시트(1)와 마찬가지의 경향이었다. 특히, 실시예 4-2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이 매우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어, 실시예 4-1에서의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 리포솜의 첨가량이 동량으로 되어 있는 화장 시트(1)의 색차(ΔE)의 값과 비교해도 작은 값이며, 이것은, 무늬 모양층(3a)에 대하여 광 안정화제를 첨가함으로써, 무늬 모양을 형성하는 잉크의 탈색을 억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비교예 4-1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표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1, 4-2의 화장 시트(1)와 비교하면, 자외선 흡수능, 헤이즈값 및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은 큰 값을 나타내고 있어, 내후성 및 의장성이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의 첨가량이 0.2중량부로 되어 있는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충분한 자외선 흡수 성능이 얻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내후성 시험 후에 백화나 균열이 보였다. 이것은,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을 베시클화하고 있지 않음으로써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당해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이 응집해서 백탁화를 진행시키고 있음과 함께, 응집에 의해 자외선 흡수제의 표면적이 작아져서 충분한 자외선 흡수 성능이 발휘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의 첨가량이 10.0중량부로 되어 있는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의 첨가량이 많기 때문에, 내후성 시험 후의 외관 변화는 미미하였지만, 애당초, 첨가물의 응집에 기인하는 백탁화가 현저해서, 의장성이 떨어진 결과가 되었다. 비교예 4-2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표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1, 4-2 및 비교예 4-1의 화장 시트(1)와 비교해도, 자외선 흡수능 및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이 매우 커서, 거의 내후성을 갖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4-1, 4-2의 화장 시트(1)는, 내후성 및 의장성이 우수한 것이 명확해졌다. 또한,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무늬 모양층(3a)을 구비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쳐서 색이 선명한 무늬 모양을 유지할 수 있음이 명확해졌다.
[참고예]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화장 시트 이외의 화장 시트를, 본 발명의 참고예로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화장 시트 이외의 화장 시트는, 충분한 내후성이 얻어지는 양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시키면, 톱 코트층 등의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당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응집이 발생하는데, 특히,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을 포함하는 투명층과 같이 투명성이 요구되는 수지층에 있어서 당해 응집이 발생하면, 화장 시트의 의장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응집이 발생하면, 수지층의 표면으로부터 응집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떠오르는 블리드 아웃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블리드 아웃의 발생에 수반하여, 톱 코트층에 있어서는 시트 표면의 끈적거림, 투명 수지층에 있어서는 다른 수지층과의 밀착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었다.
이 밖에도, 화장 시트의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엠보싱 모양을 형성하면, 엠보싱 모양의 오목부 부분이 다른 부분과 비교해서 층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내후성이 특히 낮아져, 당해 오목부로부터 열화가 시작되어 백화나 파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베시클에 내포한 상태로 함유시킴으로써, 수지 재료 중으로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분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에 성공하고, 이에 의해 화장 시트에 필요한 투명성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제5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는, 투명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당해 투명 수지층에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함유되어 있고, 상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단층막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인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은, 구각 형상으로 폐쇄한 막 구조를 갖는 소포형 캡슐 내에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내포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은, 서로의 외막끼리가 서로 반발하는 작용에 의해 입자가 응집하지 않아, 매우 높은 분산성을 갖고 있다. 이 작용에 의해, 투명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대하여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막을 인지질로 구성함으로써, 투명 수지층의 주성분인 수지 재료와 베시클의 상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리포솜의 외막은, 인지질과 분산제의 혼합물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투명 수지층에 첨가하는 경우, 투명 수지층의 주성분인 수지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2중량부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이 0.1중량부보다도 적으면, 자외선 흡수 성능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첨가량이 10중량부보다도 많으면, 블리드 아웃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투명 수지층의 하층에는, 적어도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잉크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광 안정화제로서는, 힌더드아민계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층에 대하여 광 안정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잉크층을 형성하는 바인더 수지 자체나 기타 층의 수지 열화에 의해 발생한 라디칼이 잉크 내의 안료의 화학 성분을 환원함으로 인한 안료의 퇴색을 억제하여, 장기간에 걸쳐서 색이 선명한 무늬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용도나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투명 수지층의 상면에 톱 코트층을 형성해도 된다. 특히, 기계적 강도가 요구되는 용도에서는, 톱 코트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얻는 방법(베시클화 처리 방법)에 대해서는,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단층막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얻는 방법에 대해서도,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베시클의 외막을 형성하는 인지질 및 베시클의 외막을 형성하는 그 밖의 물질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 1을 사용해서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화장 시트(1)는, 복수의 수지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표층측에서부터, 톱 코트층(5), 투명 수지층(4), 접착제층(7), 잉크층(3) 및 원재료층(2)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투명 수지층(4)의 톱 코트층(5)측의 면에는, 엠보싱 모양(4a)이 형성되어 있고,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는, 와이핑에 의해 톱 코트층(5)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층(7)은, 예를 들어 감열 접착제, 앵커 코트, 드라이 라미네이션 접착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 화장 시트(1)를 기재 B에 접착함으로써, 화장판이 형성된다. 또한, 기재 B는, 목질 보드류, 무기질 보드류 또는 금속판 등이다.
또한, 상기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 층과 거의 동일한 수지 조성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수지 조성물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명 수지층(4)으로서는, 올레핀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해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원재료층(2)은 인쇄 작업성, 비용 등을 고려해서 20㎛ 내지 150㎛, 접착제층(7)은 1㎛ 내지 20㎛, 투명 수지층(4)은 20㎛ 내지 200㎛, 톱 코트층(5)은 3㎛ 내지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장 시트(1)의 총 두께는 45㎛ 내지 40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한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함으로써, 투명 수지층(4)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매우 균일하게 분산된 투명 수지층(4)을 실현하고 있다. 그 결과, 첨가량을 쓸데없이 증대시키지 않고 우수한 내후성을 구비함과 함께, 높은 투명성을 실현해서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 함으로써, 블리드 아웃을 야기하지 않고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다량으로 첨가하고자 하는 요망에도 따를 수 있으므로, 보다 한층 내후 성능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잉크층(3)으로 함으로써, 자외선에 의해 잉크층(3)의 퇴색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장기간에 걸쳐서 아름다운 색상 인쇄를 유지한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본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투명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투명 수지층(4)에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함유되어 있고, 함유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단층막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투명 수지층(4) 중에 있어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투명성을 실현해서 의장성이 우수함과 함께, 우수한 내후성을 구비한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2)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벤조페논계, 벤조에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무기계의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한 경우에 비해, 톱 코트층(5)의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보다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3)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베시클이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리포솜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의 수지 조성물과의 상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4)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투명 수지층(4)의 하층에는, 광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잉크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잉크층(3)의 바인더 수지 자체나 기타 층의 수지 열화에 의해 발생한 라디칼이 잉크 내의 안료의 화학 성분을 환원함으로 인한 안료의 퇴색을 억제하여, 장기간에 걸쳐서 우수한 의장성을 실현 가능한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이하,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에는, 초임계 역상 증발법을 사용하였다.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는 60℃로 유지된 고압 스테인리스 용기에 대하여, 2-프로판올 100중량부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2-(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2-일)-5-히드록시페닐을 주성분으로 하는 히드록시페닐트리아진(TINUVIN 400; BASF사 조제) 70중량부 및 인지질로서의 포스파티딜콜린 5중량부를 넣어서 밀폐하고, 용기 내의 압력이 20MPa이 되도록 이산화탄소를 주입해서 초임계 상태로 하고, 격렬하게 교반 혼합하면서 이온 교환수 100중량부를 주입하여,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면서 15분간 교반 혼합한 후, 이산화탄소를 배출해서 대기압으로 복귀시켰다. 이렇게 해서, 인지질을 포함하는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을 얻었다.
<화장 시트(1)의 제작 방법>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하기의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나타내는 첨가량으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 또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로서의 시트 형상의 투명 수지층(4)을 제막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투명 수지층(4)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시트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dyn/cm 이상으로 하였다. 한편, 은폐성이 있는 70㎛의 폴리에틸렌 시트(원재료층(2))의 한쪽 면에,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패턴 인쇄를 실시해서 잉크층(3)을 설치하고, 또한 원재료층(2)의 다른 쪽 면에 프라이머 코트를 실시하였다. 그 후, 원재료층(2)에 형성된 잉크층(3)의 면 상에, 투명 수지층(4)을 접착제층(7)으로서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TAKELAC) A540; 미쯔이 가가꾸사 조제; 도포량 2g/m2)를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하였다. 이렇게 해서, 원재료층(2), 잉크층(3), 접착제층(7) 및 투명 수지층(4)을 포함하는 적층 수지 시트를 얻었다. 그 후, 이 적층 수지 시트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실시해서 총 두께 157㎛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
<실시예 5-1>
실시예 5-1에서는,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에 의해 조제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을 0.2, 1.0, 5.0 또는 1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로 하였다.
<실시예 5-2>
실시예 5-2에서는,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조제한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을 0.2 또는 1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투명 수지층(4)과, 잉크 100중량부에 대하여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잉크층(3)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로 하였다.
<비교예 5-1>
비교예 5-1에서는,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베시클화되지 않은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를 0.2, 1.0 또는 10.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로 하였다.
<비교예 5-2>
비교예 5-2에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는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로 하였다.
<평가>
상기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실시예 5-1, 5-2 및 비교예 5-1, 5-2의 각 화장 시트(1)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해서, 자외선 흡수능, 헤이즈값, 색차(ΔE) 및 내후성 시험 후의 외관 변화를 평가하였다. 얻어진 평가 결과를 표 12에 나타내었다. 또한, 외관 변화의 기호의 의미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Figure pct00012
실시예 5-1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표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느 첨가량으로 된 샘플에 대해서든, 자외선 흡수능의 값 및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이 작으므로, 우수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갖고 있으며, 열화에 의한 색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내후성 시험 후의 헤이즈값으로부터, 투명 수지층(4)이 시험 후에 있어서도 화장 시트에 요구되는 투명성을 유지하고 있음이 명확해졌다.
또한, 실시예 5-2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표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작아, 내후성 시험 전후에서 거의 변함없는 자외선 흡수 성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내후성 시험 후의 헤이즈값으로부터, 투명 수지층(4)이 시험 후에 있어서도 화장 시트에 요구되는 투명성을 유지하고 있음이 명확해졌다. 실시예 5-2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특히,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이 작아, 열화에 의한 색 변화가 매우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잉크층(3)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내후성 시험 중에 있어서의 잉크층의 탈색이 억제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비교예 5-1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표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 흡수능의 값, 내후성 시험 후의 헤이즈값 및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 모두에 있어서 실시예 5-1, 5-2의 각 값보다도 큰 값을 나타내어, 충분한 자외선 흡수 성능이 얻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외관 변화의 결과로부터, 내후성 시험 후에 있어서 백화나 균열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것은, 베시클화되지 않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했기 때문에, 투명 수지층(4)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당해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응집해서 충분한 자외선 흡수 성능이 얻어지지 않아 당해 수지 조성물에 크게 열화가 발생함과 함께, 응집한 자외선 흡수제에 의한 투명성의 저하가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비교예 5-2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표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 흡수능 및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이 매우 커서, 자외선 흡수 성능을 전혀 갖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외관 변화의 결과로부터, 내후성 시험 후에 있어서 심한 백화나 파단이 발생한 것을 알 수 있다. 내후성 시험 후의 헤이즈값에 대해서는,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투명 수지층(4)에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고 있지 않아, 첨가제에 기인하는 백탁화가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평가 결과로부터, 본 실시예 5-1, 5-2에서의 화장 시트(1)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을 첨가한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함으로써, 장기에 걸쳐서 우수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계속해서 발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우수한 자외선 흡수 성능에 의해 수지의 백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투명성을 장기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음이 명확해졌다. 또한,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잉크층(3)으로 함으로써, 자외선 흡수제에 의해 완전히 방지할 수 없는 잉크의 퇴색을 방지하여, 장기에 걸쳐서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유지할 수 있음이 명확해졌다.
[참고예]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화장 시트 이외의 화장 시트를, 본 발명의 참고예로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화장 시트 이외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을 투명 수지층에 응용하면, 투명 수지층을 형성하는 올레핀계 수지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으로 대표되는 무극성의 수지 재료이기 때문에, 극성을 갖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와의 상용성이 나빠, 충분한 내후성을 얻기 위해서는 다량으로 첨가할 필요성이 있지만,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다량으로 첨가하면, 응집이 발생해서 투명 수지층의 투명성이 손상될 가능성이 있었다.
특히,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경우, 응집한 자외선 흡수제가 블리드 아웃해서 화장 시트의 표면의 끈적거림의 발생이나, 투명 수지층 상에 형성하는 톱 코트층과의 밀착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베시클화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와 변함없는 첨가량으로도 현저한 내후성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제6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는, 최표층에 톱 코트층을 구비하고, 당해 톱 코트층의 하면에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당해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고, 특히, 당해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외막에서 포함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인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은, 구각 형상으로 폐쇄한 막 구조를 갖는 소포형 캡슐 내에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내포된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다. 이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은, 서로의 외막끼리가 서로 반발하는 작용에 의해 입자가 응집하지 않아, 매우 높은 분산성을 갖고 있다. 이 작용에 의해,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대하여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막을 인지질로 구성함으로써, 톱 코트층 및 투명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 주성분인 수지 재료와 베시클의 상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리포솜의 외막은, 인지질과 분산제의 혼합물로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는, 톱 코트층에 있어서는, 톱 코트층의 주성분인 수지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어 있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투명 수지층에 있어서는, 투명 수지층의 주성분인 수지 재료에 대하여 0.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부 내지 3.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어 있는 것이다.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상기 첨가량으로 함으로써, 특히 우수한 내후성과 의장성을 겸비한 화장 시트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는, 투명 수지층에 엠보싱 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당해 엠보싱 모양의 오목부에 톱 코트층이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며, 톱 코트층을 투명 수지층의 표면에 설치할 때, 와이핑에 의해 오목부에 톱 코트층을 매립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 수지층의 하층에는, 적어도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잉크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광 안정화제로서는, 힌더드아민계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층에 대하여 광 안정화제를 첨가함으로써, 잉크층을 형성하는 바인더 수지 자체나 기타 층의 수지 열화에 의해 발생한 라디칼이 잉크 내의 안료의 화학 성분을 환원함으로 인한 안료의 퇴색을 억제하여, 장기간에 걸쳐서 색이 선명한 무늬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얻는 방법(베시클화 처리 방법)에 대해서는,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단층막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얻는 방법에 대해서도, 제3 실시 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베시클의 외막을 형성하는 인지질 및 베시클의 외막을 형성하는 그 밖의 물질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도 2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화장 시트(1)는, 잉크층(3)이 실시된 원재료층(2)으로서의 원재료 수지 시트에 접착제층(7)이 형성된 것과,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첨가한 투명 수지층(4)에 접착성 수지층(4b)을 공압출한 것을 드라이 라미네이트 또는 압출 라미네이트 등으로 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 코트층(5)은, 투명 수지층(4)에 형성된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 대하여,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액을 스퀴지 등으로 긁어냄으로써 오목부에만 당해 수지 조성물을 매립하는 와이핑에 의해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다. 환언하면,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표층측에서부터, 톱 코트층(5), 투명 수지층(4)(접착성 수지층(4b)), 접착제층(7), 잉크층(3) 및 원재료층(2)이 적층되어 있다.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투명 수지층(4)의 톱 코트층(5)측의 면에는, 엠보싱 모양(4a)이 형성되어 있고,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는, 와이핑에 의해 톱 코트층(5)을 형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일부가 매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잉크층(3)은, 접착제층(7)측에 설치된 무늬 모양층(3a)과, 단색 잉크층(3b)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의 구성과 동일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층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각 층과 거의 동일한 수지 조성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여기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수지 조성물 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최표면에 설치된 톱 코트층(5)에는,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이 0.5중량부 내지 2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당해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서,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의해 얻은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명 수지층(4)의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만 톱 코트층(5)을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적어도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으면 되고, 엠보싱 모양(4a)을 형성함으로써 층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오목부에서도 높은 내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톱 코트층(5)은, 투명 수지층(4)의 전체면을 덮도록 형성해도 되고, 전체면을 덮도록 톱 코트층(5)을 설치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내후성을 구비한 화장 시트(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투명 수지층(4)은, 상술한 수지 재료를 주성분으로 해서,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의해 얻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로 구성되어 있다.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은, 투명 수지층(4)의 주성분인 수지 재료에 대하여 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서,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의해 얻은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는,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엠보싱 모양(4a)이 형성되어 있다. 엠보싱 모양(4a)은, 톱 코트층(5)을 형성하기 전에, 요철 모양을 갖는 엠보싱 판을 사용해서 열 및 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엠보싱 모양(4a)을 형성하는 방법이나, 압출기를 사용해서 제막할 때, 요철 모양을 갖는 냉각 롤을 사용해서 시트의 냉각과 동시에 엠보싱 모양(4a)을 형성하는 방법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 잉크 등을 매립해서 더욱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비극성의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한 경우, 투명 수지층(4)과 하면에 배치되는 수지층의 밀착성이 낮은 경우에는, 접착성 수지층(4b)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성 수지층(4b)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아크릴계 등의 수지에 산 변성을 실시한 것이 바람직하고, 층 두께는 접착성이나 내열성의 관점에서 2㎛ 이상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성 수지층(4b)은, 접착 강도 향상의 관점에서, 투명 수지층(4)과 공압출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수지층(4)의 하면측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또한 하면측의 잉크층(3)과 투명 수지층(4)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접착제층(7)이 설치되어 있다. 접착제층(7)의 도포 시공 방법은, 접착제의 점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그라비아 코트가 사용되어, 잉크층(3)이 실시된 원재료층(2)측에 그라비아 코트에 의해 도포된 후, 투명 수지층(4) 또는 접착성 수지층(4b)과 라미네이트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접착제층(7)은, 투명 수지층(4)과 잉크층(3)의 접착 강도가 충분히 얻어지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잉크층(3)은, 적어도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잉크를 포함하는 무늬 모양층(3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무늬 모양층(3a)의 하면측에 단색 잉크층(3b)을 설치함으로써, 은폐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양쪽 층에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함유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어느 한쪽 층에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함유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원재료층(2)은 인쇄 작업성, 비용 등을 고려해서 20㎛ 내지 150㎛, 접착제층(7)은 1㎛ 내지 20㎛, 투명 수지층(4)은 20㎛ 내지 200㎛, 톱 코트층(5)은 3㎛ 내지 2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화장 시트(1)의 총 두께는 45㎛ 내지 40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술한 단색 잉크층(3b)에 대해서는, 제4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이와 같이,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함유하는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하는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매우 균일하게 분산된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중 적어도 한쪽을 실현하고 있으며, 그 결과, 투명성이 손상되지 않고 우수한 의장성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적은 함유량으로도 높은 자외선 흡수 성능을 실현한, 장기간에 걸쳐서 우수한 내후성을 얻을 수 있는 화장 시트(1)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높은 분산성을 실현하고 있음으로써, 응집한 첨가물에 기인해서 발생하는 블리드 아웃이 발생하지 않아, 표면의 끈적거림이 적은 화장 시트(1)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 함으로써,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다량으로 함유시키고자 하는 요망에도 부응할 수 있으므로, 보다 한층 내후 성능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밖에도,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 함으로써, 화장 시트에 필요한 가요성, 충격 강도 및 평면 평활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나, 톱 코트층(5)의 원료 수지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함으로써 증점되는 것을 억제해서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의 구석구석에까지 도포액을 매립해서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1)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서,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의해 얻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을 사용함으로써,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중 적어도 한쪽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 중에 있어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매우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보다 우수한 투명성, 자외선 흡수 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보다 상세하게 본 실시 형태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1)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최표층에 톱 코트층(5)을 구비하고, 톱 코트층(5)의 하면에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중 적어도 한쪽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고, 함유하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외막에서 포함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을 함유하는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함으로써, 우수한 의장성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장기간에 걸친 내후성을 실현한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2)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외막이 단층막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높은 투명성을 실현해서 의장성이 우수함과 함께, 우수한 내후성을 구비한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3)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이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중 적어도 한쪽 주성분인 수지 조성물과의 상용성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당해 수지 조성물에 대한 베시클의 높은 분산성을 실현하여, 2차 응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4)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산화아연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높은 투명성을 유지해서 의장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5)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투명 수지층(4)에는 엠보싱 모양(4a)이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 톱 코트층(5)이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엠보싱 모양(4a)을 형성함으로써 투명 수지층(4)의 막 두께가 얇게 되어 있는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서도, 톱 코트층(5)이 매립되어 있으므로, 다른 부분에 못지않은 내후성이 얻어지는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6)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는, 투명 수지층(4)의 하층에는, 광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잉크층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잉크층(3)의 바인더 수지 자체나 기타 층의 수지 열화에 의해 발생한 라디칼이 잉크 내의 안료의 화학 성분을 환원함으로 인한 안료의 퇴색을 억제하여, 장기간에 걸쳐서 우수한 의장성을 실현 가능한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실시 형태의 화장 시트(1)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1>
먼저, 실시예 6-1, 6-2에서 사용하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는 초임계 역상 증발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60℃로 유지된 고압 스테인리스 용기에 2-프로판올 100중량부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산화아연 70중량부와, 인지질로서의 포스파티딜콜린 5중량부를 넣어서 밀폐하고, 용기 내의 압력이 20MPa이 되도록 이산화탄소를 주입해서 초임계 상태로 하고, 격렬하게 교반 혼합하면서 이온 교환수 100중량부를 주입하여,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면서 15분간 교반 혼합한 후, 이산화탄소를 배출해서 대기압으로 복귀시켰다. 이렇게 해서 인지질을 포함하는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산화아연 리포솜을 얻었다.
<실시예 6-1>
실시예 6-1에서는, 상술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1>에서 조제한 산화아연 리포솜을 함유하는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산화아연 리포솜을 0.05, 0.1, 0.2, 3.0, 5.0, 15.0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로서의 시트 형상의 투명 수지층(4)을 제막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투명 수지층(4)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시트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dyn/cm 이상으로 하였다. 한편, 은폐성이 있는 70㎛의 폴리에틸렌 시트(원재료층(2))의 한쪽 면에,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에, 그 잉크의 바인더 수지분에 대하여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5중량% 첨가한 잉크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패턴 인쇄를 실시해서 무늬 모양층(3a)을 설치하고, 또한 원재료층(2)의 다른 쪽 면에 프라이머 코트를 실시하였다. 그 후, 원재료층(2)의 무늬 모양층(3a)의 면에, 투명 수지층(4)을 접착제층(7)으로서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TAKELAC) A540; 미쯔이 가가꾸사 조제; 도포량 2g/m2)를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하였다. 이 접합한 시트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실시한 후, 2액형 우레탄 톱 코트(W184; DIC 그래픽사 조제)를 도포 두께 3g/m2로 도포해서 톱 코트층(5)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해서, 총 두께 154㎛의 본 실시예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
<실시예 6-2>
실시예 6-2에서는, 상술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1>에서 조제한 산화아연 리포솜을 각각 함유하는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산화아연 리포솜을 0.2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로서의 시트 형상의 투명 수지층(4)을 제막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투명 수지층(4)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시트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dyn/cm 이상으로 하였다. 한편, 은폐성이 있는 70㎛의 폴리에틸렌 시트(원재료층(2))의 한쪽 면에,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에, 그 잉크의 바인더 수지분에 대하여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5중량% 첨가한 잉크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패턴 인쇄를 실시해서 무늬 모양층(3a)을 설치하고, 또한 원재료층(2)의 다른 쪽 면에 프라이머 코트를 실시하였다. 그 후, 원재료층(2)의 무늬 모양층(3a)의 면에, 투명 수지층(4)을 접착제층(7)으로서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TAKELAC) A540; 미쯔이 가가꾸사 조제; 도포량 2g/m2)를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하였다. 이 접합한 시트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실시한 후, 2액형 우레탄 톱 코트(W184; DIC 그래픽사 조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0.1중량부의 산화아연 리포솜을 첨가한 톱 코트 도포액을 도포 두께 3g/m2로 도포해서 톱 코트층(5)을 설치하고, 또한 엠보싱 모양(4a)의 오목부에 와이핑에 의해 상기 톱 코트 도포액을 매립하여, 총 두께 156㎛의 본 실시예의 화장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6-1>
비교예 6-1에서는, 베시클화되지 않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 산화아연을 함유하는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한 화장 시트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산화아연을 0.2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로서의 시트 형상의 투명 수지층(4)을 제막한 것 이외는, 실시예 6-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화장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6-2>
비교예 6-2에서는, 고상법에 의해 나노화 처리를 실시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한 화장 시트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 고상법에 의해 나노화 처리를 실시한 산화아연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소프로필알코올 100g과 산화아연 50g을 비즈 밀로 60분간, 30㎛의 안정화 지르코니아 비즈를 사용하여, 평균 입자 직경 1nm 내지 150nm 정도의 나노화 처리를 실시한 산화아연을 얻었다.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상술한 고상법에 의해 얻어진 나노화 처리를 실시한 산화아연을 0.2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로서의 시트 형상의 투명 수지층(4)을 제막한 것 이외는, 실시예 6-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화장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6-3>
비교예 6-3에서는, 베시클화되지 않은 자외선 흡수제로서 벤조트리아졸계 재료를 함유하는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한 화장 시트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로서의 시트 형상의 투명 수지층(4)을 제막한 것 이외는, 실시예 6-1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화장 시트를 얻었다.
<평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실시예 6-1, 6-2 및 비교예 6-1 내지 6-3의 각 화장 시트(1)에 대하여,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해서, 자외선 흡수능, 헤이즈값, 색차(ΔE) 및 내후성 시험 후의 외관 변화를 평가하였다. 얻어진 평가 결과를 표 13에 나타내었다. 또한, 외관 변화의 기호의 의미는,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하다.
Figure pct00013
실시예 6-1에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표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이 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로 된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매우 작은 자외선 흡수능의 값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내후성 시험 전후에 있어서 거의 변함없는 자외선 흡수 성능을 유지하고 있고, 내후성 시험 후의 헤이즈값으로부터,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으로부터도, 거의 색의 변화는 보이지 않고, 목시에 의한 외관 변화 평가에서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고 있으므로, 장기간에 걸쳐서 높은 내후성 및 우수한 의장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화장 시트(1)인 것이 명확해졌다.
그러나, 실시예 6-1에서의 산화아연 리포솜의 함유량이 0.05중량부로 된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헤이즈값은 작고, 자외선 흡수능의 값 및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은 큰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첨가물에 기인하는 수지 조성물의 백탁화는 작지만, 충분한 자외선 흡수 성능이 얻어지지 않아 수지 재료의 열화나 탈색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화아연 리포솜을 0.0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는, 매우 의장성이 우수하며, 옥외 용도와 비교해서 높은 내후 성능이 요구되지 않는 실내 용도에의 적용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6-1에서의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이 15.0중량부로 된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헤이즈값은 크고, 자외선 흡수능의 값 및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은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첨가물에 기인하는 수지 조성물의 백탁화가 크기는 하지만, 높은 자외선 흡수 성능이 얻어지고 있어, 수지 재료의 열화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산화아연 리포솜을 15.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는, 투명 수지층(4)에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지 않는 용도에의 적용을 생각할 수 있다.
실시예 6-1의 결과로부터, 투명 수지층(4)에 대해서는, 산화아연 리포솜을 0.1중량부 내지 5.0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실시예 6-2에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표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화아연 리포솜을 첨가한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로 된 것이며,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매우 작아, 내후성 시험 전후에 있어서 거의 변함없는 자외선 흡수 성능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내후성 시험 후의 헤이즈값으로부터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으로부터도, 거의 색의 변화는 보이지 않고, 목시에 의한 외관 변화 평가에서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 평가 결과로부터, 톱 코트층(5)과 투명 수지층(4)을 포함하는 투명층은, 장기에 걸쳐서 우수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계속해서 발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우수한 자외선 흡수 성능에 의해 수지의 퇴색이나 백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투명성을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음이 명확해졌다.
비교예 6-1 내지 6-3에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커서, 내후성 시험 전후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 성능에 차가 나타났다. 또한, 헤이즈값에 대해서도,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한 비교예 6-3 이외에는 값이 커서, 투명성이 손상되어 있었다.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 및 내후성 시험 후의 목시에 의한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로부터도, 백화나 균열이 인정되고, 비교예 6-1 내지 6-3의 화장 시트(1)는 내후성이 떨어져 있음이 명확해졌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6-1, 6-2의 화장 시트는, 우수한 내후성과 화장 시트에 필요한 투명성을 구비한 화장 시트(1)인 것이 명확해졌다.
이상의 실시예 6-1, 6-2 및 비교예 6-1 내지 6-3에서의 화장 시트(1)의 평가 결과로부터,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서의 산화아연 리포솜을 함유하는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 중 적어도 한쪽을 구비한 화장 시트(1)로 함으로써, 장기간에 걸친 내후성이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음이 명확해졌다.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2>
실시예 6-3, 6-4에서 사용하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에는, 초임계 역상 증발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60℃로 유지된 고압 스테인리스 용기에 대하여 헥산 100중량부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의 산화아연(평균 입자 직경 20nm) 70중량부와, 인지질로서의 포스파티딜콜린 5중량부를 넣어서 밀폐하고, 용기 내의 압력이 20MPa이 되도록 이산화탄소를 주입해서 초임계 상태로 하고, 격렬하게 교반 혼합하면서 아세트산에틸 100중량부를 주입해서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면서 15분간 교반 혼합한 후, 이산화탄소를 배출해서 대기압으로 복귀시켰다. 이렇게 해서, 인지질을 포함하는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산화아연 리포솜을 얻었다.
<실시예 6-3>
실시예 6-3에서는, 상술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2>에서 조제한 산화아연 리포솜을 첨가한 톱 코트층(5)을 구비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또한,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은,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0.54, 1.07, 5.35, 10.70, 21.40, 42.80중량부로 하였다. 또한, 상기 첨가량 중, 산화아연의 첨가량은 0.05, 0.5, 1.0, 5.0, 10.0, 20.0, 40.0중량부이었다.
구체적으로는, 고결정성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이르가녹스 1010; BASF사 조제)를 0.05중량부,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2중량부 첨가한 수지를, 압출기를 사용해서 용융 압출하여, 두께 80㎛의 투명한 고결정성 폴리프로필렌 시트로서의 시트 형상의 투명 수지층(4)을 제막하였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투명 수지층(4)의 양면에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고, 시트 표면의 습윤 장력을 40dyn/cm 이상으로 하였다. 한편, 은폐성이 있는 70㎛의 폴리에틸렌 시트(원재료층(2))의 한쪽 면에,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를 사용해서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패턴 인쇄를 실시해서 3㎛의 무늬 모양층(3a)을 설치하고, 또한 원재료층(2)의 다른 쪽 면에 1㎛의 프라이머 코트를 실시하였다. 그 후, 원재료층(2)의 무늬 모양층(3a)의 면에, 투명 수지층(4)을 두께 3㎛의 드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타케락(TAKELAC) A540; 미쯔이 가가꾸사 조제; 도포량 2g/m2)를 개재해서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으로 접합하여, 원재료층(2), 무늬 모양층(3a), 트라이 라미네이트용 접착제(접착제층(7)), 프라이머 코트 및 투명 수지층(4)을 포함하는 두께 157㎛의 적층 수지 시트를 얻었다. 이 적층 수지 시트의 투명 수지층(4)의 표면에 엠보싱 모양(4a)을 실시한 후, 2액형 우레탄 톱 코트(W184; DIC 그래픽사 조제)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술한 초임계 역상 증발법에 의해 얻은 산화아연 리포솜을 0.05, 0.54, 1.07, 5.35, 10.70, 21.40 또는 42.8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것을 도포 두께 3g/m2로 도포해서 톱 코트층(5)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해서, 총 두께 160㎛의 본 실시예의 화장 시트(1)를 얻었다.
<실시예 6-4>
실시예 6-4에서는, 상술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의 조제 2>에서 조제한 산화아연 리포솜을 첨가한 톱 코트층(5)과,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무늬 모양층(3a)을 구비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또한,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은,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1.07, 5.35, 10.70중량부로 하였다. 또한, 상기 첨가량 중, 산화아연의 첨가량은 1.0, 5.0, 10.0중량부이었다.
구체적으로는, 2액형 우레탄 잉크(V180; 도요 잉크사 조제)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분에 대하여,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화제(치마소브(CHIMASSORB) 944; BASF사 조제)를 0.5중량% 첨가한 잉크를 사용해서 무늬 모양층(3a)을 형성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6-3과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 화장 시트(1)를 얻었다.
<비교예 6-4>
비교예 6-4에서는, 베시클화되지 않은 산화아연을 함유하는 톱 코트층(5)을 구비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또한, 산화아연의 첨가량은,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또는 1.0중량부로 하였다. 톱 코트층(5)에 대해서 상기의 구성으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6-3에 기재된 화장 시트(1)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비교예 6-5>
비교예 6-5에서는, 고상법에 의해 나노화 처리를 실시한 나노화 산화아연을 첨가한 톱 코트층(5)을 구비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또한, 나노화 산화아연의 첨가량은,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5 또는 1.0중량부로 하였다. 톱 코트층(5)에 대해서 상기의 구성으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6-3에 기재된 화장 시트(1)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비교예 6-6>
비교예 6-6에서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인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한 톱 코트층(5)을 구비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량은, 톱 코트층(5)의 주성분인 수지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5중량부로 하였다. 톱 코트층(5)에 대해서 상기의 구성으로 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6-3에 기재된 화장 시트(1)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비교예 6-7>
비교예 6-7에서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는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을 구비한 화장 시트(1)로 하였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6-3에 기재된 화장 시트(1)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다.
실시예 6-3, 6-4 및 비교예 6-4 내지 6-7의 각 화장 시트(1)에 대하여, 실시예 6-1, 6-2 및 비교예 6-1 내지 6-3과 마찬가지로(즉,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자외선 흡수능의 산출, 내후성 시험 후의 헤이즈값 측정, 내후성 시험 전후에 있어서의 각 화장 시트(1)의 색차(ΔE)의 산출 및 내후성 시험 후의 외관 변화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또한, 외관 변화의 기호의 내용도, 실시예 6-1, 6-2 및 비교예 6-1 내지 6-3과 마찬가지(즉,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얻어진 평가 결과를 표 14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00014
실시예 6-3에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표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이 0.54중량부 내지 21.40중량부로 된 톱 코트층(5)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자외선 흡수능의 값 및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이 작고, 내후성 시험 후에 있어서도 15% 이하의 헤이즈값을 실현하고 있어, 우수한 투명성을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화장 시트(1)인 것이 명확해졌다. 또한, 상기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 중 산화아연은 0.50중량부 내지 20.00중량부이었다.
그러나, 실시예 6-3에서의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이 0.05중량부로 된 톱 코트층(5)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헤이즈값은 작고, 자외선 흡수능의 값 및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은 큰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이 매우 적기 때문에, 첨가물에 기인하는 수지 조성물의 백탁화는 작지만, 충분한 자외선 흡수 성능이 얻어지지 않아 수지 재료의 열화나 탈색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성분인 수지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리포솜을 0.05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톱 코트층(5)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는, 매우 의장성이 우수하여, 옥외 용도와 비교해서 높은 내후 성능이 요구되지 않는 옥내 용도에의 적용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 중 산화아연은 0.05중량부이었다. 또한, 그 밖의 함유 성분에 대해서는 매우 미량이어서, 유효 숫자 범위 밖이었다.
또한, 실시예 6-3에서의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이 42.80중량부로 된 톱 코트층(5)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에 대해서는, 헤이즈값은 크고, 자외선 흡수능의 값 및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은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이 너무 많기 때문에, 첨가물에 기인하는 수지 조성물의 백탁화가 크기는 하지만바람직하다는 것 자외선 흡수 성능이 얻어지고 있어, 수지 재료의 열화가 억제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성분인 수지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아연 리포솜을 42.8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톱 코트층(5)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는, 톱 코트층(5)에 높은 투명성이 요구되지 않는 용도에의 적용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 중 산화아연은 40.00중량부이었다.
실시예 6-3의 결과로부터, 톱 코트층(5)에 대해서는, 산화아연 리포솜을 0.54중량부 내지 21.40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명확해졌다. 또한, 상기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 중 산화아연은 0.5중량부 내지 20.00중량부이었다.
실시예 6-4에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표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산화아연 리포솜을 첨가한 톱 코트층(5) 및 광 안정화제를 함유시킨 무늬 모양층(3a)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로 된 것이며, 자외선 흡수능의 값에 대해서는,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작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모든 첨가량의 경우에 있어서 내후성 시험 후의 헤이즈값은 작아,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또한,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으로부터도, 거의 색의 변화는 보이지 않고, 목시에 의한 외관 변화 평가에서도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이 평가 결과로부터, 실시예 6-3, 6-4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을 증가시킬수록, 장기에 걸쳐서 우수한 자외선 흡수 성능을 계속해서 발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우수한 자외선 흡수 성능에 의해 수지의 퇴색이나 백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투명성을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할 수 있음이 명확해졌다. 또한, 실시예 6-4에서의 화장 시트(1)는, 광 안정화제를 첨가한 무늬 모양층(3a)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실시예 6-3에서의 산화아연 리포솜의 첨가량이 1.07중량부 내지 10.70중량부로 된 톱 코트층(5)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1)와 비교하면, 내후성 시험 전후의 색차(ΔE)의 값이 매우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어, 광 안정화제에 의해 무늬 모양층(3a)의 탈색을 억제하여, 색이 선명한 의장을, 보다 한층 장기간에 걸쳐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화장 시트가 얻어지는 것이 명확해졌다.
비교예 6-4, 6-5에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표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 흡수능의 값은 작아 시험 시간 내에서는 변함없는 자외선 흡수 성능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내후성 시험 후의 헤이즈값은 커서, 투명층의 투명성이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내후성 시험 후의 색차(ΔE) 및 내후성 시험 후의 목시에 의한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로부터, 백화나 균열이 보였다. 이 평가 결과로부터, 비교예 6-4, 6-5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의장성 및 내후성이 떨어져 있음이 명확해졌다.
또한, 비교예 6-6에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표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크고, 내후성 시험 후의 색차(ΔE) 및 목시에 의한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로부터, 내후성이 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헤이즈값에 대해서는, 작은 값을 나타내고 있어, 우수한 투명성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평가 결과로부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는, 투명층이 높은 투명성을 유지할 수 있지만, 장기간에 걸친 자외선 흡수 성능이 떨어지는 것이 명확해졌다.
비교예 6-7에서의 화장 시트(1)에 있어서는, 표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후성 시험 후의 헤이즈값에 대해서는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어,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을 포함하는 투명층에 대해서는 우수한 투명성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자외선 흡수능의 값이 매우 커서, 내후성 시험 후의 색차(ΔE) 및 목시에 의한 외관 변화의 평가 결과로부터, 투명층의 하층에 설치된 무늬 모양층(3a) 등에 현저한 퇴색이 보였다. 이 평가 결과로부터, 톱 코트층(5) 및 투명 수지층(4)에 대하여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지 않은 화장 시트(1)는 내후성이 떨어지는 것이 명확해졌다.
이상의 실시예 6-3, 6-4 및 비교예 6-4 내지 6-7에서의 화장 시트(1)의 평가 결과로부터, 특히,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서의 산화아연 리포솜을 주성분인 수지 재료 100중량부에 대하여, 0.54중량부 내지 21.40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한 톱 코트층(5)을 구비한 화장 시트(1)로 함으로써, 보다 한층 장기간에 걸친 내후성이 우수하고, 의장성도 우수한 화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참고예]
이하,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화장 시트 이외의 화장 시트를, 본 발명의 참고예로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화장 시트 이외의 화장 시트에 있어서, 톱 코트층(5)에 트리아진계와 같은 유기계의 자외선 흡수제를 첨가하면, 기재 수지의 투명성은 유지할 수 있지만 경시 변화를 피할 수 없어, 장기간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 성능의 지속성에 과제를 갖고 있었다. 이에 입각해서, 경년 변화가 적은 무기계의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면, 불투명한 입자가 응집해서 투명성이 저하되고, 화장 시트 자체의 의장성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자외선 흡수제의 배합량을 증가시키면, 수지 중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가 응집해서 블리드 아웃이 발생하여, 시트 표면의 끈적거림이나 밀착성의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화장 시트의 의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엠보싱 모양을 형성하면, 엠보싱 모양의 오목부 부분이 다른 부분과 비교해서 층 두께가 얇아지기 때문에 내후성이 특히 낮아져, 당해 오목부로부터 열화가 시작되어 백화나 파단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베시클에 내포한 상태로 함유시킴으로써, 수지 재료 중으로의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분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에 성공하여, 이에 의해 화장 시트에 필요한 투명성을 달성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의 화장 시트(1)는, 상기의 각 실시 형태 및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특징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1 : 화장 시트 2 : 원재료층
3 : 잉크층 3a : 무늬 모양층
3b : 단색 잉크층 4 : 투명 수지층
4a : 엠보싱 모양 4b : 접착성 수지층
5 : 톱 코트층 6 : 프라이머층
7 : 접착제층 8 : 은폐층
B : 기재

Claims (20)

  1. 최표층에 톱 코트층을 구비하고, 상기 톱 코트층의 하층에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상기 톱 코트층 및 상기 투명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에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되어 있고,
    상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상기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각각 별도로 내포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2. 최표층에 톱 코트층을 구비하고, 상기 톱 코트층의 하층에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상기 톱 코트층 및 상기 투명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에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첨가되어 있고,
    상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상기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함께 내포된 유기계·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3. 최표층에 톱 코트층을 구비하고, 상기 톱 코트층의 하층에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상기 톱 코트층 및 상기 투명 수지층의 어느 한쪽 수지층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고,
    상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및 상기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의 어느 한쪽이,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내포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4. 제3항에 있어서,
    제3항에서 선택되지 않은 다른 쪽 수지층은, 상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상기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중 적어도 한쪽을 함유하고 있고,
    함유하는 자외선 흡수제 중 하나가, 단층막의 외막을 구비하는 베시클에 내포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 또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시클의 외막이 인지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벤조페논계, 벤조에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중 적어도 1종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산화아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톱 코트층측의 상기 투명 수지층의 표면에는, 엠보싱 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엠보싱 모양의 오목부에는, 상기 톱 코트층이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9. 최표층에 톱 코트층을 구비하고, 상기 톱 코트층의 하면에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상기 톱 코트층 및 상기 투명 수지층은,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고,
    상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외막에 포함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외막이 단층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톱 코트층측의 상기 투명 수지층의 표면에는, 엠보싱 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엠보싱 모양의 오목부에는, 상기 톱 코트층이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12. 투명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상기 투명 수지층에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함유되어 있고,
    상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단층막으로 이루어지는 외막을 구비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이,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14.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벤조트리아졸계, 트리아진계, 벤조페논계, 벤조에이트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중 적어도 1종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15. 최표층에 톱 코트층을 구비하고, 상기 톱 코트층의 하면에 투명 수지층을 구비하는 화장 시트이며,
    상기 톱 코트층 및 상기 투명 수지층 중 적어도 한쪽은,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고 있고,
    상기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외막에 포함된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막이 단층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베시클이, 인지질을 포함하는 외막을 구비하는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 리포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계 자외선 흡수제가 산화아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에는 엠보싱 모양이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엠보싱 모양의 오목부에 상기 톱 코트층이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20. 제9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층의 하층에는, 광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잉크층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시트.
KR1020187009141A 2015-09-04 2016-09-02 화장 시트 KR102580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74471 2015-09-04
JP2015174470A JP2017047653A (ja) 2015-09-04 2015-09-04 化粧シート
JPJP-P-2015-174470 2015-09-04
JP2015174471 2015-09-04
JP2016003512A JP7130309B2 (ja) 2016-01-12 2016-01-12 化粧シート
JPJP-P-2016-003513 2016-01-12
JPJP-P-2016-003512 2016-01-12
JP2016003513A JP6913861B2 (ja) 2016-01-12 2016-01-12 化粧シート
JP2016047201 2016-03-10
JPJP-P-2016-047201 2016-03-10
PCT/JP2016/075898 WO2017039003A1 (ja) 2015-09-04 2016-09-02 化粧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0344A true KR20180050344A (ko) 2018-05-14
KR102580100B1 KR102580100B1 (ko) 2023-09-20

Family

ID=5818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9141A KR102580100B1 (ko) 2015-09-04 2016-09-02 화장 시트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148403B2 (ko)
EP (1) EP3345759B1 (ko)
JP (1) JP2017047687A (ko)
KR (1) KR102580100B1 (ko)
CN (1) CN108136752B (ko)
ES (1) ES2774692T3 (ko)
PL (1) PL3345759T3 (ko)
TW (1) TWI806820B (ko)
WO (1) WO20170390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100B1 (ko) 2015-09-04 2023-09-20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화장 시트
PT3513968T (pt) * 2016-09-16 2021-09-16 Dainippon Printing Co Ltd Folha decorativa e placa decorativa
PL3549764T3 (pl) * 2016-11-29 2022-04-04 Toppan Printing Co., Ltd. Arkusz kosmetyczny i sposób wytwarzania arkusza kosmetycznego
JP6977294B2 (ja) * 2017-03-31 2021-12-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材
KR102532688B1 (ko) * 2017-06-02 2023-05-15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수지 성형체, 적층체 및 화장 시트
JP2019218508A (ja) * 2018-06-21 2019-12-26 凸版印刷株式会社 保護フィルムおよびシート
JP7145386B2 (ja) * 2018-08-29 2022-10-03 株式会社ノーリツ 温水ユニット用の外装ケースの製造方法
JP7172388B2 (ja) * 2018-09-28 2022-11-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材
JP7415403B2 (ja) * 2019-09-30 2024-01-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CN115521663A (zh) * 2022-09-29 2022-12-27 安徽宇航派蒙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导电油墨、导电膜、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2577A (ja) * 1994-11-08 1996-05-28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62416A (ja) * 2006-09-05 2008-03-21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3220A (en) 1986-12-18 1988-11-08 Xerox Corporation Vesicle ink compositions
GB9415930D0 (en) 1994-08-04 1994-09-28 Forbo Nairn Ltd Floor coverings
US6025433A (en) 1995-12-20 2000-02-15 Basf Coatings Ag Thermosetting paint composition
US5985079A (en) 1996-03-28 1999-11-16 Rexam Industries Corp. Flexible composite surfacing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4170404B2 (ja) 1996-05-27 2008-10-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耐候性のあるオレフィン系化粧シート
JP3156150B2 (ja) 1996-05-27 2001-04-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耐候性のあるオレフィン系化粧シート
EP1002014A1 (en) 1997-08-08 2000-05-24 The Dow Chemical Company Sheet materials suitable for use as a floor, wall or ceiling covering material, and processes and intermediates for making the same
JPH11147292A (ja) 1997-11-18 1999-06-02 Dainippon Printing Co Ltd 積層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シート
JP3959813B2 (ja) * 1997-12-04 2007-08-15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JP2000272057A (ja) 1999-03-26 2000-10-03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JP2000289162A (ja) 1999-04-13 2000-10-17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JP3772634B2 (ja) * 2000-03-23 2006-05-10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JP3823686B2 (ja) 2000-05-08 2006-09-20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DE60142487D1 (de) 2000-10-13 2010-08-12 Nat Inst Of Advanced Ind Scie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posomen
US6531214B2 (en) 2001-02-14 2003-03-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placement for plasticized polyvinyl chloride
JP4066623B2 (ja) 2001-08-01 2008-03-26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KR20040030142A (ko) 2001-08-17 2004-04-08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탑코트 조성물, 이로부터 유도된 탑코트를 포함하는 부재,및 이의 제조방법
JP4032829B2 (ja) 2002-05-29 2008-01-16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EP1308084A1 (en) 2002-10-02 2003-05-07 Ciba SC Holding AG Synergistic UV absorber combination
WO2004068217A2 (en) 2003-01-24 2004-08-12 Vision-Ease Lens, Inc. Photochromic polyurethane film of improved fatigue resistance
US20040161564A1 (en) 2003-02-14 2004-08-19 Truog Keith L. Dry paint transfer laminate
MY139524A (en) 2004-06-30 2009-10-30 Ciba Holding Inc Stabilization of polyether polyol, polyester polyol or polyurethane compositions
JP4848640B2 (ja) 2004-09-30 2011-12-2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JP5191739B2 (ja) 2004-12-22 2013-05-08 チバ ホールディ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抗ラジカル剤
JP2006298840A (ja) 2005-04-21 2006-11-02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リポソーム含有製剤の製造方法およびリポソーム含有製剤
JP4704107B2 (ja) 2005-05-27 2011-06-15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装飾用フィルム
TWI388600B (zh) 2005-07-01 2013-03-11 Zeon Corp 樹脂組合物
CN101346136A (zh) 2005-10-24 2009-01-14 西巴控股公司 可氧化剂的保护
JP2007119623A (ja) 2005-10-28 2007-05-17 Masamitsu Nagahama 塗料、塗料の製造方法、粒状物の使用
JP2007204666A (ja) * 2006-02-03 2007-08-16 Kanenori Fujita 耐熱性樹脂製品、耐熱性樹脂製品の製造方法、粒状物の使用
EP2075127B1 (en) 2006-09-28 2012-03-28 Toppan Printing Co., Ltd. Decorative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08046156A1 (en) 2006-10-20 2008-04-24 The University Of Sydney Vesiculated polymer particles
JP5104358B2 (ja) * 2008-02-05 2012-12-19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
EP2460640B1 (en) 2008-05-05 2014-08-27 A. Schulman, Inc. Multilayer clear over color polyolefin sheets and layered backing structure
JP2010261012A (ja) 2009-04-09 2010-11-18 Shin-Etsu Chemical Co Ltd 紫外線遮蔽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及び被覆物品
JP2011042041A (ja) 2009-08-19 2011-03-03 Toppan Cosmo Inc 化粧シート
JP2011056879A (ja) 2009-09-14 2011-03-24 Toppan Cosmo Inc エンボス化粧シート
CN102741310B (zh) 2010-01-08 2016-04-27 亨斯迈石油化学有限责任公司 胺氧化的抑制
MY163402A (en) * 2010-12-27 2017-09-15 Sato Holdings Kk Label, top layer formation material for printing medium, information-bearing medium, wristband clip and carbon dioxide reduction method using same
JP5967097B2 (ja) * 2011-09-30 2016-08-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化粧金属板
JP6060451B2 (ja) 2011-12-12 2017-01-18 アクテイブ株式会社 二酸化炭素排出量削減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CN103469605B (zh) * 2013-09-13 2015-09-09 句容市后白镇迎瑞印花厂 一种抗紫外线织物的生产方法
US9365048B1 (en) * 2014-06-24 2016-06-14 Sawgrass Technologies Substrate UV light resistant printing process
JP6636776B2 (ja) 2014-11-11 2020-01-29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6709611B2 (ja) * 2014-12-19 2020-06-17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WO2016118397A1 (en) 2015-01-20 2016-07-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improving durability of ink jet printed ink
JP2016137585A (ja) 2015-01-26 2016-08-04 株式会社トッパン・コスモ 化粧シート
JP6622468B2 (ja) * 2015-02-23 2019-12-18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6537306B2 (ja) 2015-03-09 2019-07-03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6563232B2 (ja) * 2015-03-31 2019-08-21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6650706B2 (ja) 2015-08-31 2020-02-19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KR102580100B1 (ko) 2015-09-04 2023-09-20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화장 시트
EP3434727A4 (en) 2016-03-24 2019-09-11 Toppan Printing Co., Ltd. DECOR FOIL AND METHOD FOR PRODUCING A DECOR FILM
US10557045B2 (en) 2017-08-11 2020-02-11 Ppg Industries Ohio, Inc. Pigment dispersant with hindered light amine stabilizer and pigment dispersions a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there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2577A (ja) * 1994-11-08 1996-05-28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62416A (ja) * 2006-09-05 2008-03-21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5759B1 (en) 2020-01-01
ES2774692T3 (es) 2020-07-22
US20180186131A1 (en) 2018-07-05
TW201716244A (zh) 2017-05-16
TWI806820B (zh) 2023-07-01
PL3345759T3 (pl) 2020-07-13
CN108136752A (zh) 2018-06-08
WO2017039003A1 (ja) 2017-03-09
CN108136752B (zh) 2021-03-30
US11148403B2 (en) 2021-10-19
EP3345759A4 (en) 2019-05-22
JP2017047687A (ja) 2017-03-09
EP3345759A1 (en) 2018-07-11
KR102580100B1 (ko)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0344A (ko) 화장 시트
JP6709611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EP3219488B1 (en) Decorated sheet
KR102475652B1 (ko) 화장 시트 및 화장 시트의 제조 방법
JP2016137585A (ja) 化粧シート
JP6916428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7067589B2 (ja) 化粧シート
JP6915223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6941316B2 (ja)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165101A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6905706B2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17047653A (ja) 化粧シート
JP6913861B2 (ja) 化粧シート
JP7130309B2 (ja) 化粧シート
WO2022044351A1 (ja) 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
JP2018144438A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2021194903A (ja) 化粧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