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1808A -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 - Google Patents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1808A
KR20100041808A KR1020107002507A KR20107002507A KR20100041808A KR 20100041808 A KR20100041808 A KR 20100041808A KR 1020107002507 A KR1020107002507 A KR 1020107002507A KR 20107002507 A KR20107002507 A KR 20107002507A KR 20100041808 A KR20100041808 A KR 20100041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thread
stitch
feed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2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5775B1 (ko
Inventor
코우이치 사쿠마
토루 사쿠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스즈끼 세이샤꾸쇼
Publication of KR20100041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1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2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single-thread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05B1/12Lock-stitch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05B1/16Pseudo-lock-stitch seams in which the thread loops do not positively interlock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7/00Work-feeding means
    • D05B27/02Work-feeding means with feed dogs having horizontal and vertical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85/00Needles
    • D05B85/006Hooked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실을 바늘의 실 포착구로 확실히 포착할 수 있고,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서 바늘땀을 형성할 수 있다. 구침 13, 회전하는 외북집 202에 장전되어 요동하는 내북집 205로 구성된 북집 200, 실 인출 작동자 401의 협동에 의하여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스킵 스티치 세트로 형성하고, 구침 13의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톱니 601에 의하여 재봉대상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위한 바늘땀 피치 이송 하고, 구침 13의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톱니 601에 의하여 재봉대상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간을 위한 바늘땀간 피치 이송 한다.

Description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METHOD AND SEWING MACHINE FOR FORMING SINGLE-THREAD LOCKED HANDSTITCHES}
본 발명은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이 바늘의 실 포착구에 확실하게 포착되고, 또한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 바늘땀을 형성하고 핀 포인트/새들 스티치라고 불리는 의사(擬似) 핸드 스티치에 적합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1개의 실로 재봉대상의 한쪽에서 교대로 보이거나 숨겨지는 핀 포인트 스티치를 형성하고, 손바느질의 촉감을 빚어내는 바늘땀은, 국제 표준인 ISO 4915 스티치 타입 104(체인 스티치) 및 ISO 4915 스티치 타입 209(새들 스티치/핸드 스티치)로서 규격화되어 있다.
종래부터, 바늘에 꿴 1개의 실이 꿰어진 봉침, 실 포착구를 측면에 설치한 구침, 루퍼(looper) 및 스프레더(spreader)를 이용하여, "104" 바늘땀을 핀 포인트 스티치(의사 핸드 스티치)로서 형성하고, 성봉(星縫) 등의 옷감 벗어남을 방지하는 핀 포인트 재봉틀이 알려져 있다(예로서, 특허문헌 1 참조).
이 핀 포인트 재봉틀은, 1개의 실이 꿰어진 봉침과 실 포착구를 측면에 설치한 구침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바늘땀 피치는 봉침과 구침 사이의 간격으로 한정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이 핀 포인트 재봉틀에 있어, 봉제시에, 옷감의 위쪽에는 벌룬 스티치(balloon stitch)가 형성되지만, 본래 봉제된 핀 포인트 스티치가 옷감의 아래쪽에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눈으로 볼 수 없는 상태에서 봉제 작업이 강요되므로, 핀 포인트 봉 위치를 확인하는 일이 곤란해서 정확한 봉제를 할 수 없는 결점도 있다. 또한, 이 핀 포인트 재봉틀에 있어서 "104" 바늘땀으로는, 바늘땀을 형성하고 있는 실을 끌어당기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풀리기 때문에, 상술한 성봉등의 옷감 벗어남을 방지하는 기능을 잃어버리고 만다는 결점도 있다.
이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회전 북집(釜)에 내장된 보빈에 권장된 1개의 실로, 1개의 실 포착구를 측면에 설치한 구침, 실걸이 훅, 실 포착구로의 실 안내 스프레더 및 천칭(天秤)을 이용하여, "104" 바늘땀에 유사한 의사 핀 포인트 스티치를 형성하는 의사 핸드 스티치 재봉틀이 제안되어 있다(예로서, 특허문헌 2 참조).
특허문헌1:일본특공소55-35481호공보(도5,도6,도7) 특허문헌2:일본특공평4-3234호공보(미국특허4,590,878호와동일)(도11,도13,도14)
이 의사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 봉제시에, 옷감의 위쪽에는 2겹으로 된 실이 핸드 스티치(handstitch) 모양으로 형성되고, 옷감의 아래쪽에는 정봉(錠縫) 바늘땀(locked stitch)이 형성된다. 그렇지만, 이 의사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는, 바늘의 실 포착구로의 실 안내 스프레더가 옷감을 지지하는 바느질판과 회전 북집 사이에 배치될 필요가 있음에도, 천칭은 그 기능상, 바늘판의 바로 아래에 설치하고, 바늘판과 회전 북집의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실 안내 스프레더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를 배치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한계가 있는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는, 이와 같은 배치는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이 의사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회전 북집으로 안내되어 들어간 실이 회전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실걸이 훅으로 옷감의 윗쪽 방향으로 끌어올리지 않으면 안 되고, 작업자가 옷감 위에서, 이러한 위치에 손을 갖다 대고 있는 것은 극히 위험하고, 옷감을 이동하는 봉제 작업에 지장을 초래하는 난점이 있다. 따라서 이 의사 핸드 스티치 재봉틀을 실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퀼트(quilt), 퀼팅(quilting) 또는 패치워크(patchwork)를 만드는 데 있어, 예부터 수작업으로 봉제가 행해지고 있다. 이것은 극히 막대한 수고를 필요로 하고, 중노동이 강요되는 작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 까닭으로, 록 스티치(ISO 4915 스티치 타입 301)로 봉제하는 재봉틀을 이용하여, 사용된 2개의 실 중 1개를 투명사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언뜻보아 핸드 스티치 바느질이 조성되도록 하는 수법도 채용되고 있다. 그렇지만, 이 수법으로 봉제된 바늘땀은 기본적으로 록 스티치 재봉틀을 이용하고 있어, 실이 연속하여 꿰매지고 있기 때문에, 퀼트, 퀼팅 또는 패치워크를 만드는 데 필요한 봉제 후 재봉대상 표면에 생기는 요철을 수반하는 부드러움을 추구하는 본래의 핸드 스티치 바느질의 촉감을 얻을 수 없다는 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실이 바늘의 실 포착구에 확실하게 포착되고, 또한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서 바늘땀을 형성하고 핀 포인트/새들 스티치라고 불리는 의사 핸드 스티치에 적합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이 바늘의 실 포착구에 확실하게 포착되고, 또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서 바늘땀을 형성함과 동시에, 바늘땀 피치 및 바늘땀간 피치를 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스킵 스티치 세트(skip stitch set)로 형성하고, 재봉대상의 이송 방향, 즉 바느질 방향을 1 스킵 스티치 세트마다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퀼트, 퀼팅 또는 패치워크를 만드는 데 적합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요지는, 실 포착구가 측면에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구침, 회전하는 외북집에 장전되어 요동하는 내북집으로 구성된 북집, 왕복 운동하는 실 인출 작동자 및 타원 운동하는 이송 톱니를 협동시켜, 실을 바늘의 실 포착구에 확실하게 포착하고, 또한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서 바늘땀 형성을 행하는 것으로,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각각 형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는, 구침, 회전하는 외북집에 장전되어 요동하는 내북집으로 구성된 북집, 실 인출 작동자의 협동에 의하여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스캡 스티치 세트로 형성하고, 이송 톱니에 의한 재봉대상의 이송량을 바늘땀 피치 이송과 바늘땀간 피치 이송에 따라 각각 변화시키는 것으로, 바늘땀 피치 및 바늘땀간 피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은,
(a) 실 포착구가 측면에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구침이,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바늘판에 놓인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 도달하기 직전부터 상승하기 까지에, 바늘판의 아래쪽에 있는 북집의 회전하는 외북집에 장전된 내북집을 요동하는 것에 의하여, 내북집에 내장되는 실이 권장된 보빈을 수납하는 보빈 케이스의 실 출구를 요동함으로써, 실 출구에서 인출되는 실을 구침에 주접하고 긴장시키는 것,
(b) 구침이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구침에 주접하고 긴장되어 있는 실을 실 포착구로 포착하는 것,
(c) 구침이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되어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을 1 바늘땀 피치 이송하는 것,
(d) 구침이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에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실 포착구로 포착되어 있던 실을 회전하는 외북집의 검선으로 떠냄과 동시에, 포착되어 있던 실을 북집의 회전에 의하여 실 포착구로부터 해방하는 것,
(e) 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어져 해방된 실을 북집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북집으로 안내하여 넣고 보빈에 권장되어 있는 실에 교착시키어,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죄는 것,
(f) 구침이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되어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을 1 바늘땀간 피치 이송하는 것,
(g) (a) 내지 (f)의 공정을 반복하여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에 있어, 실 출구는, 실 포착구의 개구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침의 봉침 위치를 끼고 요동하도록 보빈 케이스에 설치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은, 실 포착구로 포착되어 있던 실이 외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진 후, 검선으로 떠내진 실을 북집으로 안내하여 넣고,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오기 직전에 보빈 케이스의 실 출구에서 인출되는 실을 걸고,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죄고, 뒤이어 실 포착구로 실을 포착한 후, 걸고 있는 실을 해방하는 것으로 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은,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이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할 때에 실 포착구로 포착된 실을 구침의 바늘 끝과 재봉대상의 사이에서 실 포착구의 비개구(非開口) 방향으로 옮기는 것으로 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은,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조일때, 재봉대상의 이송량에 따라 실 조임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은, 실 포착구가 측면에 설치된 구침, 회전하는 외북집에 장전되어 요동하는 내북집으로 구성된 북집, 실 인출 작동자의 협동에 의하여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스킵 스티치 세트로 형성하고,
구침의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기구에 의하여 재봉대상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위한 바늘땀 피치 이송 하고, 구침의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기구에 의하여 재봉대상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간을 위한 바늘땀간 피치 이송 함에 있어, 바늘땀 피치 이송의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의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설정하고,
1 스킵 스티치 세트마다 바늘땀 피치 이송, 바늘땀간 피치 이송에 각각 대응하는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를 순차적으로 바꾸고,
설정된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에서 이송 구동 기구로 전달하고,
이송 기구에 의하여 재봉대상을 이송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바늘판에 놓인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하여,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을 관통하고,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실을 포착하고,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을 관통하고,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포착되어 있던 실을 해방하는 실 포착구를 측면에 설치한 구침과,
하사점에 도달하기 직전으로부터 상승하기 까지에, 바늘판의 아래쪽에 있는 북집의 회전하는 외북집에 장전된 내북집을 요동하는 것에 의하여 내북집에 내장하는 실이 권장된 보빈을 수납하는 보빈 케이스의 실 출구를 요동해 실 출구에서 인출되는 실을 구침에 주접하고 긴장시키는 북집으로,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시키고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을 1 바늘땀 피치 이송 함과 동시에, 구침이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에 관통하고,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실 포착구로 포착되어 있던 실을 떠내는 회전하는 외북집의 검선을 갖고, 포착되어 있던 실을 북집의 회전에 의하여 실 포착구로부터 해방하고, 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지고 해방된 실을 북집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북집에 안내되어 넣고 보빈에 권장되어 있는 실에 교착시키는 북집과,
북집이 더욱 회전해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실 조임하는 실 인출 작동자와,
구침을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시키고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을 1 바늘땀 피치 이송 함과 동시에, 구침을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시키고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을 1 바늘땀간 피치 이송 하는 이송 기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 외북집은,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오기 직전의 실을 검선의 회전 평면으로부터 놓아주는 방향으로 편의(deviate)하고 검선이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거는 것을 회피하는 외북집 편의자(deviator)를 구비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내북집을 요동 작동자(rocking actuator)에 의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내북집 요동 기구를 구비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 실 출구는, 실 포착구의 개구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침의 봉침 위치를 끼고 요동하도록 보빈 케이스에 설치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 실 인출 작동자는, 실 포착구로 포착되어 있던 실이 외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진 후, 검선으로 떠내진 실을 북집에 안내되어 넣고,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오기 직전에 보빈 케이스의 실 출구에서 인출되는 실을 걸어,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조이고, 뒤이어 실 포착구로 실을 포착한 후, 걸고 있는 실을 해방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이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할 때에 실 포착구로 포착된 실을 구침의 바늘 끝과 재봉대상의 사이에서 실 포착구의 비개구(非開口) 방향으로 옮기는 실 시프팅 기구를 구비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구침의 실 포착구가 구침의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하여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바늘판을 넘기까지의 기간 및 하사점에서 상승하고 실 포착구가 실을 포착한 후, 바늘판을 넘고, 재봉대상을 빠져나와 상사점에 이를 때까지의 기간에 실 포착구를 폐색하는 덮개침을 구동하는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실 포착구가 측면에 설치된 구침, 회전하는 외북집에 장전되어 요동하는 내북집으로 구성된 북집, 실 인출 작동자의 협동에 의하여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스킵 스티치 세트로 형성하고, 구침의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기구에 의하여 재봉대상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위한 바늘땀 피치 이송 하고, 구침의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기구에 의하여 재봉대상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간을 위한 바늘땀간 피치 이송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이고, 바늘땀 피치 이송의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의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설정하는 이송량 설정 기구와, 1 스킵 스티치 세트마다 바늘땀 피치 이송, 바늘땀간 피치 이송에 각각 대응하는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를 순차적으로 바꾸는 이송 모드 전환 기구와, 설정된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에서 전달하고 이송 기구에 의하여 재봉대상을 보내는 이송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이송량 설정 기구에 의하여 설정된 이송량에 따라 실 인출 작동자의 실 조임량을 조절하는 실 조임 조절 기구를 구비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 실 조임 조절 기구는, 재봉대상의 이송량에 따라 회동하는 실 인출 작동자 편심축과, 실 인출 작동자 편심축의 회동에 의하여 신축하고 실 인출 작동자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를 구비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 이송량 설정 기구는, 구침을 구동하는 상축으로부터 2분의 1 감속된 중간축에 축지된(pivotally supported) 지지팔에 축착된(pivotally attached) 역 T자형 이송 조절체로 이루어지고, 역 T자형 이송 조절체의 양팔에는 바늘땀 피치 이송량 조작 부재,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 조작 부재가 각각 축착된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 이송 모드 전환 기구는, 중간축에 고정되고 적어도 2개의 짝수개 편위점(deviating point)을 갖는 이송 전환 캠 및 이송 전환 캠에 외접하는 이송 전환 로드로 이루어지고, 이송 전환 로드의 연결단은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의 일단에 축착되고, 타단은 역 T자형 이송 조절체의 세로팔 끝에 축착된다.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에 의하면, 실이 바늘의 실 포착구에 확실하게 포착되고, 또한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서 1개 실 정봉화 바늘땀 형성을 행하여 핀 포인트/새들 스티치라고 불리는 의사 핸드 스티치에 적합한 봉제를 할 수 있다.
더욱,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에 의하면,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볼 수 있는 상태에서 봉제 작업이 행해지고, 핸드 스티치 바늘땀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봉제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에 의하면,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1개 실 정봉화 바늘땀을 형성하고 있는 실을 인장(잡아 당김)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풀리지 않기 때문에, 견고한 봉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에 의하면, 구침, 회전하는 외북집에 장전되어 요동하는 내북집으로 구성된 북집, 실 인출 작동자의 협동에 의하여 1개 실 정봉화 바늘땀이 형성되기 때문에, 바늘땀 피치, 바늘땀간 피치는 각각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에 의하면, 실 인출 작동자가 보빈 케이스의 실 출구에서 인출되는 실을 걸기 전의 대피 위치가 바늘땀 피치, 바늘땀간 피치가 변동해도 실 조임 조절 기구에 의하여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이 일정한 대피 위치에서, 설정된 이송량에 따라 실 인출 작동자의 실 조임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깨끗한 핸드 스티치로 완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례를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구동계통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로, 구침이 상사점에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3b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로, 구침이 하사점에 있는 것을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구침과 덮개침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로, (A)는 구침의 실 포착구가 덮개침으로 닫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B)는 구침의 실 포착구가 열린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구침과 덮개침의 관계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로, (A)는 구침의 실 포착구가 덮개침으로 닫힘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B)는 구침의 실 포착구가 열린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누름 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로 얻어지는 의사 핸드 스티치 바늘땀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옷감 이송 기구 및 옷감 이송 구동 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옷감 이송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옷감 이송 구동 기구, 이송량 설정 기구 및 모드 전환 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회전하는 외북집에 장전되어 요동하는 내북집으로 구성된 북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회전하는 외북집에 장전되어 요동하는 내북집으로 구성된 북집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외북집 구동 부, 내북집 요동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외북집 구동 부, 내북집 요동 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실 인출 작동자 구동 기구, 실 조임 조절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실 인출 작동자 구동 기구, 실 조임 조절 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a는 도 16a, 도 16b의 실 조임 조절 기구를 재봉틀의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7b는 도 16a, 도 16b의 실 조임 조절 기구를 재봉틀의 아래에서 보았을 때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c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d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e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f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g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h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i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j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18k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l은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m은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n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8o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에 관하여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구침, 내북집, 외북집, 실 인출 작동자, 덮개침 및 이송 톱니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도 20a는 도 18g에 도시된 북집을 위에서 보았을 때 구침의 실 포착 준비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0b는 도 18h에 도시된 북집을 위에서 보았을 때 구침의 실 포착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이송량 설정 기구, 모드 전환 기구, 옷감 이송 기구 및 옷감 이송 구동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이송량 설정 기구, 모드 전환 기구, 옷감 이송 기구 및 옷감 이송 구동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a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이송량 설정 기구, 모드 전환 기구, 옷감 이송 기구 및 옷감 이송 구동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b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이송량 설정 기구, 모드 전환 기구, 옷감 이송 기구 및 옷감 이송 구동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a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이송량 설정 기구, 모드 전환 기구, 옷감 이송 기구 및 옷감 이송 구동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b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이송량 설정 기구, 모드 전환 기구, 옷감 이송 기구 및 옷감 이송 구동 기구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25a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실 시프팅 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5b는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 실 시프팅 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a, 도 25b의 실 시프팅 기구의 실 시프터의 운동 궤적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에 관한 최선의 실시례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도 1,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베드(bed) 1a, 암(arm) 1b 및 지지각 기둥부 1c로 된 프레임(frame) 1에, 실 포착구 13a(도 6)를 측면에 형성하고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며 재봉대상 21에 1개의 실 20을 꿰는 구침(鉤針) 13, 회전하는 외북집(外釜) 202에 장전되어(loaded), 요동하는 내북집(內釜) 205로 구성되고, 실 20을 교착(交錯)시켜 바늘땀을 만드는 북집 200, 왕복 운동하며 실 20에 느슨함을 주었다가 바늘땀을 바싹 죄거나 하는 실 인출 작동자 401 및 타원 운동하며 재봉대상 21을 송출하는 이송 기구 600이 장착되어,내북집 205에 내장한 보빈 케이스 207에 수납되는 보빈 206에 권장된 실 20로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각각 형성시키는 것이다.
암 1b에는 상축 5, 지지각 기둥부 1c에는 중간축 8, 베드 1a에는 수평 이송축 605, 상하 이송축 613 및 북집축 201이, 각각 축방향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축 5는 상축 전방 부싱 7 및 상축 후방 부싱 6에 의하여, 중간축 8은 중간축 전방 부싱 9 및 중간축 후방 부싱 10에 의하여 각각 지지각 기둥부 1c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축 5의 일단에는 종동 풀리 4가 설치되어 모터 M에 의해 무단 벨트(endless belt)인 구동 벨트 MB를 통해 구동된다. 또한, 상축 5의 타단에는 구침 13을 구동하는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의 균형추 101이 설치되고,상축 5의 중간에는 이송 톱니 601을 타원 운동시키며 옷감 이송 기구 600을 구동하는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이 연결되고,상축 5의 종동 풀리 4에는 근접한 부위에 바늘땀 피치,바늘땀간 피치의 이송량 설정 기구 300을 구동하기 위한 상축 구동 풀리 25가 설치되어 있다.
수평 이송축 605는 수평 이송축 전방 부싱 606 및 수평 이송축 후방 부싱 607에 의하여, 상하 이송축 613은 상하 이송축 전방 부싱 614 및 상하 이송축 후방 부싱 611에 의하여 각각 베드 1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북집축 201은 북집축 후방 부싱 203 및 북집축 전방 부싱 204에 의하여 베드 1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상축 5에 설치된 북집 구동 풀리 230과, 북집축 201에 설치된 북집축 풀리 232 사이에 장착된 타이밍 벨트 231로 구동된다. 이것에 의해서 북집 200의 외북집 202는 상축 5와 1 대 1의 회전수비로 회전 구동하게 된다.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은, 구침 13을,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하여 바늘판 12에 놓인 재봉대상 21에 관통하고, 하사점으로부터 다시 재봉대상 21을 빠져나와 상승하며,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제 1 스트로크(stroke)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다시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실 20을 실 포착구 13a로 포착하고, 다음 제 2 스트로크로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실 포착구 13a에 포착되어 있던 실 20을 푸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구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 "구침 13의 제 1 스트로크" 란 구침 13이 바늘 상사점→바늘 하사점→바늘 상사점에 이르기까지의 제 1 바늘땀(the first stitch), "구침 13의 제 2 스트로크" 란 구침 13이 바늘 상사점→바늘 하사점→바늘 상사점에 이르기까지의 제 2 바늘땀(the second stitch)에 관한 것을 의미한다.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에 있어, 구침 13은 침류(針留, needle clamp) 107에 고정되고, 침류 107은 침봉 상방 부싱 105 및 침봉 하방 부싱 106(도 3a)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한 상태에서 암 1b에 설치된 침봉 11의 하단부에, 침류 고정 나사(needle clamp screw) 108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침봉 상방 부싱 105 및 침봉 하방 부싱 106 사이의 침봉 11에는 침봉포(針棒抱, needle bar holder) 104가 고정되고,이 침봉포 104에 형성된 크랭크 로드 핀 102는 침봉 크랭크 로드 103의 한 끝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침봉 크랭크 로드 103의 다른 끝은 상축 5의 다른 끝에 고정된 균형추 101에 크랭크 로드 핀 102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침봉 크랭크 로드 103이 상축 5의 회전에 의하여 균형추 101을 통해 크랭크 운동하기 때문에, 구침 13이 침류 107로 고정된 침봉 11은 침봉포 104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한다.
또한,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은,도 3a,도 3b,도 4에 나타낸 것처럼,침봉 11에 일단이 추착(樞着)되고 타단에 롤러 팔로워(follower) 134를 갖는 덮개침 구동 링크 132와, 덮개침봉 15에 고정되고 롤러 팔로워 134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우는 홈 138a를 갖는 덮개침봉 구동 암 138과, 롤러 팔로워 134를 감입하여 구침 13의 상사점에서 하사점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하사점을 향해 이동하는 롤러 팔로워 134를 소정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홈 135a,수평홈 135b가 형성되고 암 1b에 고정되는 판구(板溝) 캠 135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침 구동 링크 132의 일단은,침봉포 104의 일단에 형성된 핀 104a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침봉포 104의 타단에는 크랭크 로드 핀 104b가 형성되고, 크랭크 로드 핀 104b에는 침봉 크랭크 로드 103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침봉포 104는 침봉 상방 부싱 105 및 침봉 하방 부싱 106 사이의 침봉 11에 고정되고 있다. 또한,덮개침 구동 링크 132의 타단에는 롤러축 133이 형성되어, 롤러 134a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롤러 팔로워 134가 구성된다.
덮개침봉 구동 암 138은, 덮개침봉 상방 부싱 113 및 덮개침봉 하방 부싱 114 사이의 덮개침봉 15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는, 덮개침 14에 의하여 개폐된다. 이 덮개침 14는 덮개침류 111에 덮개침 고정 나사 112로 고정되고,덮개침류 111은 덮개침봉 상방 부싱 113 및 덮개침봉 하방 부싱 114에 의하여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한 상태에서 암 1b에 설치된 덮개침봉 15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판구 캠 135는, 수직홈 135a, 수평홈 135b가 곡선 도랑(溝)으로 연결되고 L 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은,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가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 21에 관통하고,바늘판 12를 넘기까지의 기간 및 하사점에서 상승하여 바늘판 12를 넘고,재봉대상 21을 빠져나가 상사점에 이를 때까지의 기간에 실 포착구 13a를 폐색(閉塞)하는 덮개침 14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상축 5의 회전에 의하여 침봉 11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도 3a에 나타낸 것처럼,덮개침 구동 링크 132의 롤러 팔로워 134가 판구 캠 135의 수직홈 135a을 따라 상승함과 동시에 덮개침봉 구동 암 138을 상승시킨다. 이 때, 구침 13의 상승과 함께 덮개침봉 구동 암 138이 고정된 덮개침봉 15를 통하여 덮개침 14도 상승하기 때문에, 도 5(A), 도 6(A)에 나타낸 것처럼,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는 덮개침 14에 의하여 닫힘 상태가 된다. 즉,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가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바늘판 12를 넘기까지의 기간 및 하사점에서 상승하여 바늘판 12를 넘고,재봉대상 21을 빠져나가 상사점에 이를 때까지의 기간에 있어 실 포착구 13a는 덮개침 14에 의하여 폐색하게 된다. 또한, 상축 5의 회전에 의하여 침봉 11이 하강하는 경우에는 도 3b에 나타낸 것처럼,덮개침 구동 링크 132의 롤러 팔로워 134가 판구 캠 135의 수직홈 135a을 따라 하강 후,수평홈 135b을 따라 수평 이동한다. 이 때, 구침 13은 내려오지만 덮개침봉 구동 암 138은 정지하기 때문에, 도 5(B), 도 6(B)에 나타낸 것처럼,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는 열린 상태가 된다. 즉,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가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가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바늘판 12를 넘은 후,덮개침 14가 실 포착구 13a로부터 떨어지는 것에 의하여 실 포착구13a는 개구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덮개침 14를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로 구동하는 것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관통할 때에, 실 포착구 13a가 재봉대상 21의 방직실을 걸어 지실 파손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포착한 실이 실 포착구 13a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의 부근에는 도 1, 도 2에 나타낸 것처럼,재봉대상 21을 바늘판 12에 노루발(presser foot) 501을 동작시키는 누름 기구 500이 마련되어 있다. 누름 기구 500은 도 7에 나타낸 것처럼,누름 막대 503이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암 1b에 설치되어, 누름 막대 503의 하단부에, 노루발 501이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노루다리(presser foot leg) 502가 누름 멈춤 나사 509로 고정되고 있다. 또한, 누름 막대 503의 상부에는 누름 압력 조절 나사 508이 고정되고,누름 압력 조절 나사 508은 암 1b의 상부에 나합(螺合)되어 있다. 누름 막대 503에는 누름 막대 홀더(holder) 505가 고정되어, 누름 막대 홀더 505와 암 1b의 아랫면과의 사이에는 누름 압력 조절 스프링 504가 누름 막대 503에 끼워져 있다. 누름 압력 조절 스프링 504에 의한 노루발 501의 재봉대상 21에 대한 누름압력은 누름 압력 조절 나사 508을 돌리는 것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노루발 501을 상하로 하기 위해, 누름 막대 홀더 505에 결합하는 노루발 올림 레버 506이 암 1b에 고정된 노루발 올림 레버 축 507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노루발 올림 레버 506을 상승시키면 누름 막대 홀더 505가 상승하고, 하강시키면 누름 막대 홀더 505가 하강한다. 따라서 노루발 올림 레버 506을 상승시켜 노루발 501 및 바늘판 12 사이에 공간을 만들어, 재봉대상 21을 바늘판 12 위에 놓고 노루발 올림 레버 506을 하강시켜 재봉대상 21을 노루발 501로 바늘판 12에 눌러 압력을 가하는 것으로,재봉대상 21을 바늘판 12 위에 세트할 수 있다.
옷감 이송 기구 600은 도 1, 도 2에 나타낸 것처럼,구침 13을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 21에서 빠져나가게 한 후 상승시켜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 21을 1 바늘땀 피치 이송 함과 동시에, 구침 13을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 21에서 빠져나가게 한 후 상승시켜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 21을 1 바늘땀간 피치 이송하는 이송 톱니 601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도 8(A), 도 8(B), 도 8(C)에 나타낸 것처럼, 바늘땀 이송의 1 바늘땀 피치 P1이란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형성된 핸드 스티치 바늘땀의 가로 길이이고, 바늘땀간 이송의 1 바늘땀간 피치 P2란 연속하는 2개의 핸드 스티치 바늘땀 사이의 땀 길이이다.
옷감 이송 기구 600은 도 2, 도 9,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바늘판 12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이송 톱니 601이 이송 토대(feed base) 602의 대략 중앙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송 토대 602의 일단은,수평 이송축 605의 일단에 고정된 수평 이송 암 604에 수평 이송 암 축 603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수평 이송 축 605를 왕복 회전시키는 것으로 수평 이송 암 604가 왕복 요동하기 때문에, 이송 톱니 601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 토대 602의 타단에는 상하 이송 롤러 축 609가 고정되고,상하 이송 롤러 축 609에 상하 이송 롤러 608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하 이송 롤러 608은, 상하 이송 축 613의 일단에 고정된 상하 이송 포크(fork) 616의 포크 부분 616a에 습동(끌려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 이송 축 613을 왕복 회전하는 것으로 상하 이송 포크 616이 왕복 요동하기 때문에, 상하 이송 포크 616에 감입하는 상하 이송 롤러 608이 이송 토대 602의 타단을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은 도 9에 나타낸 것처럼,후술하는 이송량 설정 기구 300로 설정된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에 있어 전달하고 이송 톱니 601에 의하여 재봉대상 21을 보내는 것으로, 상축 5에, 수평 이송축 605를 왕복 회전시키는 수평 이송 편심캠 701과, 상축 5에 고정되고 상하 이송축 613을 왕복 회전시키는 상하 이송 캠 717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 란 바늘땀 피치 이송과 바늘땀간 피치 이송에 관한 것을 의미한다.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은 편심 캠으로, 캠부 701a에는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가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의 팔끝 702a에는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의 일단이 연결핀 703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의 타단은, 수평 이송축 605의 다른 방향으로 고정된 수평 이송축 구동 암 705에 연결 핀 706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축 5가 회전하면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이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를 편심 운동시키기 때문에,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가 상하 운동하고 수평 이송축 구동 암 705가 수평 이송축 605를 왕복 회전시킬 수 있다.
상하 이송 캠 717은 편심 캠으로, 캠부 717a에는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14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14의 타단은, 상하 이송축 613의 다른 방향으로 고정된 상하 이송축 구동 암 715에 연결 핀 716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축 5가 회전하면 상하 이송 캠 717이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14의 일단을 편심 운동시키기 때문에, 상하 이송 세로 로드 714 자체가 상하 운동하고 상하 이송축 구동 암 715가 상하 이송축 613을 왕복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 이송축 605를 왕복 회전시키는 것으로, 수평 이송 암 604가 왕복 요동하고 이송 토대 602를 수평 방향으로서 왕복 운동시키고, 상하 이송 축 613을 왕복 회전시키는 것으로, 상하 이송 포크 616이 왕복 요동하고 상하 이송 포크 616에 감입한 상하 이송 롤러 608이 이송 토대 602의 타단을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킨다. 따라서 이송 토대 602에 고정된 이송 톱니 601은, 상승→전진→하강→후퇴라고 하는 이른바 이송 4 공정 타원 운동을 할 수 있다.
이송량 설정 기구 300은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바늘땀 피치 이송의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의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설정하는 것으로, 구침 13을 구동하는 상축 5로부터 2분의 1 감속된 중간축 8에 축지된(pivotally supported) 지지팔 311에 축지된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으로 이루어진다.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가로팔로 된 양팔에는, 바늘땀 피치 이송량 조작 부재인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 조작 부재인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가 각각 축착(같은 축을 중심으로 부착, pivotally attached)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팔 311의 팔끝 311a는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가로팔과 세로팔이 교차하는 부위를 이송 조절체 핀 309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함과 동시에, 중간축 8에 회동 가능하게 서로 끼워져 있다.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한쪽 가로팔 끝 310a에는, 연결핀 308a로 제 1 조절 레버 링크 307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1 조절 레버 링크 307의 타단에는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의 작용점으로 되는 부위가 연결핀 308b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다른쪽 방향의 가로팔 끝 310b에는, 연결핀 308c로 제 2 조절 레버 링크 307’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2 조절 레버 링크 307’의 타단에는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작용점이 되는 부위가 연결핀 308d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 및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은 각각 지점으로 되는 부위가, 지지각 기둥부 1c에 고정된 조절 레버축 30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조절 레버축 303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 및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사이에는, T자형 조절 레버 칸막이판 304의 세로팔 끝 304a가 조절 레버축 303에 구비되고, 가로팔로 되는 한쪽 방향의 가로팔 끝 304b는 위에, 다른쪽 방향의 가로팔 끝 304c는 아래가 되도록 멈춤 나사 313a,313b로 지지각 기둥부 1c에 고정되고 있다. 또한, 한쪽 방향의 가로팔 끝 304b에는 멈춤 나사 313a로 칸막이판 위 스페이서 305가 고정되고,다른쪽 방향의 가로팔 끝 304c에는 멈춤 나사 313b로 칸막이판 아래 스페이서 306이 고정되고 있다. 칸막이판 위 스페이서 305는,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 및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역점(力点)이 되는 부위의 상승 위치 스토퍼(stopper)이고, 칸막이판 아래 스페이서 306은,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 및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역점으로 되는 부위의 하강 위치 스토퍼이다. 또한,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 및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은, 지점으로 되는 부위를 지지각 기둥부 1c에 고정되어진 조절 레버축 303에 축지되고, 조작 손잡이(operating finger grip)가 되는 역점 부위의 조작에 의해 설정되는 위치에 파도 와셔(wavelike washer) 등의 탄발 부재(elastic member) 314로 압박된 상태에서 정지된다. 이하, 이 정지상태를 반고정이라 한다.
또한, 도 1,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1개의 스킵 스티치 세트마다 바늘땀 피치 이송, 바늘땀간 피치 이송에 각각 대응하는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로 순차적으로 전환되는 이송 모드 전환 기구 35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 "스캡 스티치 세트(skip stitch set)" 란 1조의 핸드 스티치 바늘땀 및 정봉 바늘땀을 의미한다.
이송 모드 전환 기구 350은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중간축 8에 고정되고 2개의 편위점을 갖는 이송 전환 삼각캠 351과, 이송 전환 삼각캠 351에 외접하는 이송 전환 로드 352를 구비하고 있다. 이송 전환 로드 352의 연결단 352a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일단에 축착되고,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타단은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세로팔 끝 310c에 축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은 이송 전환 로드 352에 형성된 대략 사각형의 캠 구멍 352b에 외접하고, 이송 전환 로드 352의 연결단 352a는 연결핀 354로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타단은 연결핀 312로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세로팔 끝 310c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은, 2개의 짝수개의 편위점을 갖고 1개가 스킵 스티치 세트를 형성시키고 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4개 이상의 짝수개의 편위점을 갖는 이송 전환 캠으로서, 여러개의 스킵 스티치 세트를 형성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은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일단이 이송 전환 로드 352의 연결단 352a에 축착된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와, 제 1 암 709a가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의 타단에 축착된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와, 일단이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 2 암 709b에 축착되고 타단이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에 축착된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의 일단은 이송 전환 로드 352의 연결단 352a에 연결핀 354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의 타단은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 1 암 709a에 연결핀 711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 2 암 709b는 연결핀 708로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일단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타단은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 및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의 암 끝 702a를 연결핀 703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또한, 중간축 8의 일단에는 중간축 종동 풀리 26이 고정되고, 중간축 종동 풀리 26과 상축 5에 고정된 상축 구동 풀리 25에 무단 벨트인 타이밍 벨트 TB가 감겨져 있다. 중간축 종동 풀리 26과 상축 구동 풀리 25는 상축 5로부터 2분의 1 감속되어 중간축 8에 회전 운동이 전달된다.
또한, 이송량 설정 기구 300 및 이송 모드 전환 기구 350의 동작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동작 설명에서 상술한다.
북집 200은, 도 1,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구침 13이 하사점에 도달하기 직전부터 상승하기까지에, 바늘판 12의 아래쪽에 있는 북집 200이 회전하는 외북집 202에 장전된 내북집 205를 요동하는 것에 의해 내북집 205에 내장한 실 20이 권장된 보빈 206을 수납하는 보빈 케이스 207의 실 출구 207a를 요동하여 실 출구 207a로부터 인출되는 실 20을 구침 13에 주접하며 긴장시키는 것이고, 구침 13의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 21으로부터 빠져나가 상승시켜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 21을 1 바늘땀 피치 이송함과 동시에, 구침 13이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실 포착구 13a로 포착되어 있던 실 20을 떠내는 회전하는 외북집 202의 검선(劍先: 칼끝) 202a를 갖고, 포착되어 있던 실 20을 외북집 202의 회전에 의하여 실 포착구 13a로부터 해방하고, 외북집 202의 검선 202a로 떠내지고 해방된 실 20을 외북집 202가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북집 200으로 안내하여 넣고 보빈 케이스 207에 권장되어 있는 실 20에 교착시키는 기구 구성이다.
이와 같은 북집 200은, 도 12, 도 13, 도 14, 도 15에 나타낸 것처럼,실 20이 권장된 보빈 206을 수납한 보빈 케이스 207을 내북집 205에 분리 가능하게 내장하고, 보빈 케이스 207은 내북집 205와 함께 요동 가능하게 외북집 202에 장전되어 있다. 외북집 202는, 검선 202a를 갖는다.
또한, 외북집 202에는, 외북집 202와 일체로 구성된 파이프 모양의 북집축 201을 갖고, 북집축 201은 전술의 상축 5에 설치된 북집 구동 풀리 230과, 북집축 201에 설치된 북집축 풀리 232 사이에 장착된 타이밍 벨트 231로 구동되어, 이것에 따라 북집 200의 외북집 202는 상축 5와 1 대 1의 회전수비로 회전 구동되다. 또한, 북집 200의 외북집 202는, 상축 5와 1 대 2의 회전수비로 회전 구동해도 좋다.
이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 외북집 202는, 북집 200으로부터 빠져 나가기 직전의 실 20을 검선 202a의 회전 평면으로부터 놓아주는 방향(즉,북집 개구 방향 200a)으로 이탈시키고 검선 202a가 북집 200으로부터 빠져 나가는 실 20을 거는 것을 회피하는 외북집 편의자(偏倚子, deviator) 202b를 구비하고 있다. 외북집 편의자 202b는, 내북집 205를 지지하는 내북집 홀더(holder) 202d의 일부에 설치되어, 실 안내 스프링 202c와 함께 북집 200으로 넣고 빠져 나가는 실 20을 안내한다.
또한, 도 1, 도 14, 도 15에 나타낸 것처럼, 북집 200의 내북집 205는, 내북집 요동 기구 220으로부터 요동 작동자 208에 의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동된다. 즉, 내북집 요동 기구 220은, 중간축 8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의 회전 운동을 수직 방향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나선형 기어(spiral gear) 410, 나선형 기어 410로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변환된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408,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408에 고정된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 407로 구성된다.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 407의 원주에 측설된 내북집 요동구(rocking groove) 221를 따라 내북집 요동팔 223의 일단에 고정된 핀 224에 축지된 갬 팔로워 222가 종동되어, 내북집 요동팔 223에 의하여 요동 작동자축 209, 결국 내북집 205를 요동한다.
중간축 종동 풀리 26과 상축 구동 풀리 25에서, 상축 5로부터 2분의 1 감속되어 중간축 8에 회전 운동이 전달된다. 내북집 요동구 221은 1 회전에 1개의 상하로 변화하는 파도(wave)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여 내북집 205는 상축 5의 회전, 결국 구침 13의 상하이동에 따라 2 대 1로 요동한다.
또한, 내북집 205는, 내북집 205에 형성된 요부(concave portion) 205a와 요동 작동자 208에 형성된 철부(convex portion) 208a가, 검선 202a로 떠내져 북집 200에 안내된 실 20이 저항없이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을 가지며 결합하여 요동 작동자 208로 내북집 205를 구동하는 것이다. 요동 작동자 208은, 요동 작동자 208과 일체로 구성된 요동 작동자축 209를 갖고, 요동 작동자축 209는 파이프 모양의 북집축 201에 동심 배치되어 있다. 요동 작동자축 209는 상기의 내북집 요동 기구 220에 의하여 요동 구동된다.
보빈 케이스 207에는, 실 포착구 13a의 개구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침 13의 봉침 위치를 끼고 요동하도록 실 출구 207a가 형성된다.
중간축 8에는 실 인출 작동자 401을 구동하는 실 인출 작동자 구동 기구 400이 연결되어 있다.
실 인출 작동자 구동 기구 400은, 도 1,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실 인출 작동자 401이, 실 포착구 13a로 포착되어 있던 실 20이 외북집 202의 검선 202a로 떠내진 후, 검선 202a로 떠내진 실 20을 북집 200으로 안내되어 넣고, 북집 200으로부터 빠져 나오기 직전에 보빈 케이스 207의 실 출구 207a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실 20을 걸어, 북집 200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실을 죄다 하여, 뒤이어 실 포착구 13a로 실 20을 포착한 후, 걸고 있는 실 20을 해방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실 인출 작동자 구동 기구 400은 도 16, 도 17에 나타낸 것처럼, 중간축 8의 수평 방향의 회전 운동을 수직 방향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나선형 기어 410과, 나선형 기어 410로 수평 방향에서 수직 방향으로 변환된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408과,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408의 회전 운동을 실 인출 작동자 401에 상술한 기능을 갖게 하는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 407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나선형 기어 410의 제 1 기어 410a가 중간축 8에 고정되어, 제 2 기어 410b가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408의 일단(상단)에 고정되고 있다.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408의 타단측(하단측)에는 캠홈 407a가 형성된 정면캠인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 407이 고정되고 있다.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408은 베드부 1a에 고정되어 있는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통 409에 장착된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상부 부싱 411 및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하부 부싱 412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 인출 작동자 구동 기구 400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 407의 캠홈 407a에 결합한 캠 팔로워 406이 캠 팔로워 핀 413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를 갖고 있다.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는, 일단에 중공의 긴 구멍 405a가 형성되고, 긴 구멍 405a에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408이 삽입되어,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 407의 아래쪽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트러스트 칼라(thrust collar) 415로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408에 장착되고 있다.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의 중간부에는 안내핀 429를 고정시키는 구멍 405d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후술하는 실 조임 조절 기구 420의 실 인출 작동자 편심축 422를 축지할 구멍 405c가 마련되어 있다.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에는 안내핀 429로 안내되고 실 인출 작동자 편심축 422를 이용하여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가 연결되어 있다.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는 실 인출 작동자 구동암 403의 팔끝 403a에 연결되어 있다.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의 타단과 실 인출 작동자 구동암 403의 팔끝 403a는 연결핀 414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실 인출 작동자 요동축 402의 하단은 실 인출 작동자 구동암 403, 상단은 실 인출 작동자 401의 보스 401b가 각각 취부대 416에 설치되고 실 인출 작동자 요동축 402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실 인출 작동자 구동암 403과 실 인출 작동자 401은 실 인출 작동자 요동축 402과 함께 취부대 416 상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 인출 작동자 구동 기구 400은, 중간축 8이 회전하면, 나선형 기어 410로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408이 회전하고, 캠 팔로워 406이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 407의 캠홈 407a의 형상을 따라 종동하고,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를 왕복 이송시키고 실 인출 작동자 편심축 422를 이용하여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로 실 인출 작동자 구동암 403의 팔끝 403a를 요동시키어, 결국 실 인출 작동자 401을 요동시킨다.
실 인출 작동자 401의 요동 운동에 의하여, 실 포착구 13a로 포착되어 있던 실 20이 외북집 202의 검선 202a로 떠내지고 실 포착구 13a로부터 이탈시킨 후, 검선 202a로 떠내진 실 20을 북집 200에 안내되어 넣고, 북집 200으로부터 빠져 나오기 직전에 보빈 케이스 207의 실 출구 207a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실 20을 실걸이부 401a로 걸어, 북집 200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실 20을 죄다 하는 기능을 갖는다. 실 인출 작동자 401의 요동 운동에 의하여 봉제된 핸드 스티치는 깨끗하게 완성된다.
상술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 실 인출 작동자 구동 기구 400에 의하여 실 인출 작동자 401은, 왕복 운동하며 실 20에 느슨함을 주거나 바늘땀을 바싹 죄거나 하지만, 바늘땀 피치를 이송량 설정 기구 300로 변경해도 실 인출 작동자 401에 의한 실 조임량(thread tightness quantity)이 평상시 일정해 진다. 그래서, 도 16a, 도 16b, 도 17a, 도 17b에 나타낸 것처럼, 이송량 설정 기구 300에 의하여 설정된 이송량, 즉 바늘땀 피치, 바늘땀간 피치에 따라 실 인출 작동자 401의 실 조임량을 조절하는 실 조임 조절 기구 420이 갖춰져 있다.
실 조임 조절 기구 420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면, 상기의 실 인출 작동자 편심축 422는,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의 중간부에 형성한 구멍 424a와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의 구멍 405c를 통과하여 편심 조절암 423에 고정된다.
안내핀 429는,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의 타단에 형성한 긴 구멍 424b를 통과하고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의 구멍 405d에 고정되어,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를 긴 구멍 424b에 따라 습동 가능하게 안내한다.
편심 조절암 423의 일단에 형성한 구멍 423b에는, 각구(角駒, square piece) 421의 중심축 421a가 축지되어 있다. 각구 421은,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부재 425의 안내홈(guide groove) 425a에 습동 가능하게(slidably) 삽입되어,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부재 425는 조절 부재 선회대 426에 각구 뚜껑 427과 함께 고정된다.
조절 부재 선회대 426은 선회축 426a를 갖고, 베드 1a 안에 마련되어 있는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보드판 428의 취부 보스 428a에 대하여 선회 가능하게 축착되어 있다.
조절 부재 선회대 426은 그 돌출단에 핀 426b가 형성되어, 슬라이드 링크 433의 일단의 긴 구멍 433a에 연결되어 있다. 슬라이드 링크 433은 한 쌍의 긴 구멍 433b, 433b에 의하여 한 쌍의 습동 부재 434로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보드판 428에 습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슬라이드 링크 433의 타단에 설치되고 아래쪽 직각으로 접어 구부려진 접합암 433c는 긴 구멍 433d를 갖고 있다.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보드판 428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방 직각으로 접어 구부려진 취부암 428b에 축착된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벨 크랭크 432의 일측의 암 432a에 식설된(implanted) 핀 432b가 긴 구멍 433d에 습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벨 크랭크 432의 타측의 암 432c에는, 실 인출 작동자 조절 세로 로드 431에 형성한 긴 구멍 431c가 스텝 핀 432d로 습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실 인출 작동자 조절 세로 로드 431의 긴 구멍 431c를 형성한 부분은 실 인출 작동자 조절 세로 로드 431의 중간부에 있어 왼쪽 방향으로 직각으로 접어 구부려지고, 상단은 취부구멍(取付穴) 431a에 의하여 상기의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에 식설된 핀 301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실 인출 작동자 조절 세로 로드 431의 하단부 431d는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보드판 428에 형성된 가이드 홈 428d에 습동 가능하고 느슨하게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축 408과 실 인출 작동자 구동암 403을 연결한 기준선상에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와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부재 425를 실 인출 작동자 편심축 422로 연결하고, 실 인출 작동자 편심축 422의 편심 방향이 기준선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되도록 편심 조절암 423에 고정하여, 편심 조절암 423의 일단에 삽입 체결된 각구축 421a와 각구 421이 습동하는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부재 425가 회전하는 선회축 426a의 각각 축심이 기준선상에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 형태례에 있어, 실 조임 조절 기구 420은, 이송량 설정 기구 300에 의하여 설정된 이송량,즉 바늘땀 피치에 따라 실 인출 작동자 401의 실 조임량을 조절하는 형태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이송량 설정 기구 300에 의하여 설정된 이송량, 즉 바늘땀 피치 및/또는 바늘땀간 피치에 따라 실 인출 작동자 401의 실 조임량을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상술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에 있어서는 도 18j~l에 나타낸 것처럼,구침 13의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이 하강해 가면, 구침 13의 바늘 끝과 재봉대상 21과의 사이에서 구침 13의 실 포착구13a에 포착된 실 20이 긴장된 상태에서 느슨해지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느슨한 상태의 실 20을,하강하는 구침 13의 바늘 끝으로 꿰뚫고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25a, b에 나타낸 것처럼,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이 상사점에서 하강할 때에 실 포착구 13a로 포착된 실을 구침 13의 바늘 끝과 재봉대상의 사이에서 실 시프트(shift)하는 실 시프팅 기구 800을 구비하고 있다.
실 시프팅 기구 800은 도 25a, b에 나타낸 것처럼, 구침 13(도 1)의 바늘 끝과 재봉대상 21과의 사이에 느슨해진 실을 걸치는 L 자형으로 형성된 실 시프터(thread shifter) 811과, 상축 5의 회전 운동을 편심 운동으로 변환하는 편심 기구(eccentric mechanism) 812와, 편심 기구 812에 연결되고 해당 편심 기구의 편심 운동을 수평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 1 링크 기구 813과, 편심 기구 812에 연결되고 해당 편심 기구의 편심 운동을 상하 운동으로 변환하는 제 2 링크 기구 814와, 제 1 링크 기구 813 및 제 2 링크 기구 814에 연결되어, 제 1 링크 기구 813의 수평 운동 및 제 2 링크 기구 814의 상하 운동을 합성하고 수평 방향에 있어 운동 궤적을 타원형으로 하며,그 타원 운동을 실 시프터 811에 전달하는 실 시프터 연결팔 815를 구비하고 있다.
편심 기구 812는, 상술한 도 3a, b, 도 4에 도시된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의 침봉 크랭크 로드 103을 균형추 101에 연결하는 크랭크 로드 핀 102 대용으로 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 816을 이용한다. 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 816은, 침봉 크랭크 로드 103을 균형추 101에 연결하는 크랭크 로드 핀 816a와, 일단에 크랭크 로드 핀 816a가 고정되고 타단에 편심축 816c가 고정된 암부(arm portion) 816b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링크 기구 813은, 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 816의 편심축 816c에 맞물리는 긴 구멍 817a가 일단에 형성된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을 구비하고 있다. 긴 구멍 817a는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되도록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에 형성되어 있다.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은, 일단으로 된 긴 구멍 817a가 역점,타단이 작용점,일단과 타단 사이가 지점(fulcrum; 받침점)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의 지점을 지지하는 실 시프팅 기구 설치대 818이 암 1b에 고정되어 있다.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의 지점으로 된 부위는, 실 시프팅 기구 설치대 818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실 시프팅 지축 819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의 타단은 실 시프팅 지축 819를 지점에 하여 이송 톱니 601의 이송 운동 방향과 동일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요동할 수 있다.
제 2 링크 기구 814는, 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 816의 편심축 816c에 맞물리는 긴 구멍 820a가 일단에 형성된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을 구비하고 있다. 긴 구멍 820a는 길이 방향이 거의 수평 방향으로 되도록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에 형성되어 있다.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은, 일단으로 된 긴 구멍 820a가 역점, 타단이 작용점, 일단과 타단 사이가 지점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의 지점은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의 일단에 연결핀 등의 연결 부재 821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의 작용점에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실 시프팅 상하 요동팔 822의 상단 822a가 연결핀 등의 연결 부재 823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의 타단은 연결 부재 821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할 수 있기 때문에,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의 타단에 연결된 실 시프팅 상하 요동팔 822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실 시프터 연결팔 815는, T자형으로 형성되어 가로팔의 배치 방향이 이송 톱니 601(도1) 이송 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서, 한 쪽의 가로팔 끝 815a는 연결핀 등의 연결 부재 824로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의 가로팔 끝 815b에는 연결핀 등의 연결 부재 825로 실 시프팅 상하 요동팔 822의 하단 822b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실 시프터 연결팔 815의 세로팔의 배치 방향은 수직 방향으로, 선단 815c에 실 시프터 811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 시프팅 기구 800은 도 26에 나타낸 것처럼,상축 5가 1 회전하는 사이에 실 시프터 811의 선단부 811a를 운동 궤적 830의 타원 운동에 의하여 노루발 501의 상방에서 1 회전시킴으로써, 상하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는 구침 13에 간섭하지 않고 실 시프터 811의 선단부 811a를 타원 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균형추 101이 상축 5에 의하여 회전하면, 균형추 101의 상축 5에 의한 회전 중심과 크랭크 로드 핀 816a의 축심과의 거리에 비하여,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 816의 크랭크 로드 핀 816a의 축심과 편심축 816c의 축심과의 거리가 미리 설계된 치수로 약간 짧기 때문에, 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 816의 편심축 816c는 작은 원운동을 한다.
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 816의 편심축 816c가 작은 원운동을 하면,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의 타단은 긴 구멍 817a에 의하여 실 시프팅 지축 819를 지점으로 하여 이송 톱니 601 이송 운동 방향과 동일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기 때문에, 해당 실 시프팅 수평 요동팔 817의 타단에 연결된 실 시프터 연결팔 815의 세로팔 끝 815c도 이송 톱니 601 이송 운동 방향과 동일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요동을 하게 된다. 또한, 실 시프팅 구동 편심축 816의 편심축 816c가 작은 원운동을 하면,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의 타단은 긴 구멍 820a에 의하여 연결핀 821을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기 때문에, 실 시프팅 상하 구동팔 820의 타단에 연결된 실 시프팅 상하 요동팔 822는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실 시프팅 상하 요동팔 822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면, 해당 실 시프팅 상하 요동팔 822의 하단 822b에 연결된 실 시프터 연결팔 815의 타단 815b가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요동하기 때문에, 해당 실 시프터 연결팔 815의 세로팔 끝 815c는 이송 톱니 601 이송 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요동을 행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링크 기구 813 및 제 2 링크 기구 814에 의한 2개의 왕복 요동이 합성되면, 실 시프터 811의 선단부 811a는 도 2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운동 궤적 830의 타원 운동을 수평 방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이 상사점에서 하강할 때에 실 포착구 13a로 포착된 실을 구침 13의 바늘 끝과 재봉대상의 사이에서 실 시프터 811의 선단부 811a로 떠내어 실 옮기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구침 13, 회전하는 외북집 202에 장전되어 요동하는 내북집 205로 구성된 북집 200, 실 인출 작동자 401의 협동에 의하여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스킵 스티치 세트로 형성하고, 구침 13의 제 1 스트로크시 옷감 이송 기구 600에 의하여 재봉대상 21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위한 바늘땀 피치 이송을 하고, 구침 13의 제 2 스트로크시 옷감 이송 기구 600에 의하여 재봉대상 21을 핸드 스티치 바늘땀간을 위한 바늘땀간 피치 이송을 수행한다.
또한,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이송량 설정 기구 300에 의하여 바늘땀 피치 이송의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바늘땀간 피치 이송의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설정하여, 1개의 스킵 스티치 세트마다 바늘땀 피치 이송,바늘땀간 피치 이송에 각각 대응하는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가 순차적으로 바꾸고, 설정된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에 있어 이송 구동 기구 700에 전달하고 옷감 이송 기구 600에 의하여 재봉대상 21을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 "협동"이란 다른 부분과 협동하고 일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의 동작을,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 방법을 중심으로 하여 도 18a~o, 도 19, 도 20a, b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8a~o는 구침 13, 회전하는 외북집 202에 내장되어 요동하는 내북집 205로 구성된 북집 200 및 실 인출 작동자 401의 동작 설명도이고, 도 19는 구침 13, 북집 200, 실 인출 작동자 401, 덮개침 14 및 이송 톱니 601의 모션 다이어그램이다. 이 동작 설명에 있어, 방향을 나타낼 경우 도 18a~o는 정면에서 본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 18a~o에 있어, 이송 톱니 601의 도시는 생략되었다.
설명의 편의상, 실 20이 실 포착구 13a에 포착되어 있지 않는 구침 13이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 또한 외북집 202의 검선 202a가 수직 방향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도 18a)부터 동작 설명을 한다.
도 18a의 상태에서, 내북집 205에 내장된 보빈 케이스 207의 실 출구 207a는 내북집 요동 기구 220로 구동되는 요동 작동자 208에 의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요동하고 있다. 보빈 케이스 207의 실 출구 207a로부터 인출된 실 20은 바늘판 12의 봉침 구멍 12a를 통과하여 재봉대상 21의 이면에서 표면으로 관통하고 표면에서 이면으로 되접는 바늘땀에 연결되고, 실 20은 외북집 202의 검선 202a에 의하여 북집 200에 안내되어 넣을 수 있는 상태, 덮개침 14는 닫힘상태, 이송 톱니 601은 바늘땀간 이송 상태이다. 재봉대상 21의 이송 방향은 왼쪽이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 풀리 4가 2 회전으로 스킵 스티치 세트를 형성하기 때문에, 봉제의 1 사이클은 상축 5에 있어 720도로 나타고, 도 18a은 상축 5가 0도(720도)인 상태이다. 상축 5가 0도일때 구침 13은 상사점, 180도일때 구침 13은 하사점,360도일때 구침 13은 상사점, 540도일때 구침 13은 하사점으로 된다.
도 1에 있어, 모터 M에 의하여 구동 벨트 MB로 구동되는 종동 풀리 4가, 구침 13 측으로부터 볼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축 5의 회전에 의하여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 북집 구동부 231-232, 내북집 요동 기구 220 및 실 인출 작동자 구동 기구 400이 구동된다.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 100이 구동하면 구침 13을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시키고,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이 구동하면 옷감 이송 기구 600로 이송 톱니 601을 이송의 4 공정 타원 운동시키고, 북집 구동부 231-232, 내북집 요동 기구 220이 구동하면 북집 200의 외북집 202를 회전시키어, 내북집 205를 요동시키고, 실 인출 작동자 구동 기구 400이 구동하면 실 인출 작동자 401을 요동시키다. 또한, 각 기구의 동작 설명은 상술한 구성 설명으로 상술했기 때문에 생략한다.
(a)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구침 13이 실 포착구 13a로 실 20을 포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상축 5: 0도)으로부터 하강하여 바늘판 12에 놓인 재봉대상 21을 관통하고(도 18a~도 18g, 도 19), 하사점에 도달하기 직전에 내북집 205가 요동하고, 내북집 205에 내장된 보빈 206과 보빈 케이스 207의 실 출구 207a로부터 인출된 실 20을 구침 13에 주접하여 긴장되게 한다. 또한, 덮개침 14는 구침 13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재봉대상 21을 관통할 때,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를 열린 상태로 한다(도 18g, 도 19).
(b) 하사점(상축 5: 180도)으로부터 상승할 때에, 바늘판 12의 아래쪽에 있는 내북집 205에 내장된 보빈 케이스 207에 수납된 보빈 206에 권장되고 보빈 케이스 207의 실 출구 207a를 통과하여 실 인출 작동자 401에 의하여 인출되어, 구침 13에 주접하여 긴장되고 있는 실 20을 실 포착구 13a로 포착한다(도 18h~도 18i, 도 19).
(c) 실 20을 실 포착구 13a로 포착하고 있는 상태에서 구침 13을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재봉대상 21로부터 빠져나가 상승시키고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 21을 옷감 이송 기구 600에 의하여 1 바늘땀 피치 이송 한다(도 19). 이송 톱니 601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을 찌르기 전에 재봉대상 21의 옷감 이송을 정지한다(도 19). 또한, 덮개침 14는 구침 13이 하사점에서 상승하여 재봉대상 21을 통과할 때,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를 닫는 상태로 한다(도 18j~도 18k, 도 19).
(d) 구침 13이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상기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실 포착구 13a로 포착되어 있던 실 20을 회전하는 외북집 202의 검선 202a로 떠냄과 동시에, 포착되어 있던 실 20을 외북집 202의 검선 202a의 회전에 의하여 실 포착구 13a로부터 해방한다(도 18i~도 18m,도 19).
또한,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이 상사점에서 하강할 때에 실 포착구 13a로 포착된 실 20을 실 시프팅 기구 800로 구침 13의 바늘 끝과 재봉대상의 사이에서 실 시프터 811의 선단부 811a로 떠내고 실 옮김(thread shifting) 하기 때문에(도 18j~도 18l, 도 19), 구침 13의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구침 13이 하강할때, 구침 13의 바늘 끝과 재봉대상 21의 사이에서 구침 13의 실 포착구13a에 포착된 실 20이 긴장된 상태에서 느슨해진 상태로 되어 실 느슴이 발생할 수 있고, 그실 느슴 상태의 실 20을, 하강하는 구침 13의 바늘 끝으로 꿰뚫고 버릴 우려가 해소된다.
(e) 외북집 202의 검선 202a로 떠내지고 해방된 실 20을 외북집 202가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북집 200에 안내하여 넣고, 북집 200으로부터 빠져 나오기 직전에 보빈 케이스 207의 실 출구 207a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실 20을 실 인출 작동자 구동 기구 400로 구동된 실 인출 작동자 401로 걸어, 북집 200에 안내하여 넣은 실 20을 보빈 케이스 207에 권장되어 있는 실 20에 교착(interlace)시키고, 북집 200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실 20을 실 인출 작동자 구동 기구 400에 의하여 실 인출 작동자 401로 당겨 조인다(도 18b~도 18g, 도 19). 또한, 실 인출 작동자 401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에 관통한 후, 보빈 케이스 207의 실 출구 207a로부터 인출되어 있는 실 20을 걸어, 구침 13이 상승하는 동시에, 실 조임 하기 위해 인출한 실 20을 방출하도록 후퇴를 시작한다(도 18i~도 18n, 도 19). 또한, 실 20이 북집 200에 안내하여 넣고, 북집 200으로부터 빠져 나갈 때, 외북집 202의 외북집 편의자 202b는, 북집 200으로부터 빠져 나가기 직전의 실 20을 검선 202a의 회전 평면으로부터 놓아주는 방향(즉,북집 개구 방향 200a)으로 편의(deviate)하여 검선 202a가 북집 200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실 20을 거는 것을 회피한다(도 18c, 도 18d).
(f) 구침 13을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실 포착구 13a로 실 20을 포착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재봉대상 21으로부터 빠져나가 상승시켜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재봉대상 21을 옷감 이송 기구 600에 의하여 1 바늘땀간 피치 이송 한다. 이송 톱니 601은 구침 13이 재봉대상 21를 찌르기 전에 1 바늘땀간 피치 이송을 정지한다(도 18n, 도 18o, 도 18a, 도 19).
(g) (a) 내지 (f)의 공정을 반복하여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각각 형성한다.
따라서 실 20이 구침 13의 실 포착구 13a에 확실하게 포착되고, 또한 재봉틀 베드내 공간에서 1개 실 정봉화 바늘땀 형성을 행하고, 핀 포인트/새들 스티치라고 불리는 의사 핸드 스티치(quasi-handstitch)에 적합한 봉제를 할 수 있다. 또한, 재봉대상 21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볼 수 있는 상태에서 봉제 작업이 행해지고, 핸드 스티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어 정확한 봉제를 할 수 있다. 또한, 1개 실 정봉화 바늘땀을 형성하고 있는 실 20이 정봉되는 것에 의하여 쉽게 풀리지 않기 때문에, 견고한 봉제(sewing)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은, 이송량 설정 기구 300 및 이송 모드 전환 기구 350에 의하여 바늘땀 피치, 바늘땀간 피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송량 설정 기구 300 및 이송 모드 전환 기구 350의 동작에 관하여 도 21~도 24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1~도 24는 이송량 설정 기구 300, 모드 전환 기구 350, 옷감 이송 기구 600 및 옷감 이송 구동 기구 700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1~도 24에 있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는 각각 상하로 요동하고,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상단점 a's,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의 상단점 as에서 각각 최소 이송 피치로 되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하단점 a'd,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의 하단점 ad에서는, 각각 최대 이송 피치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동작 설명에 있어, 방향을 나타낼 경우에는 도 21~도 24를 이송 톱니 601 방향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보는 상태에서 설명한다.
<바늘땀 이송 피치 및 바늘땀간 이송 피치의 최소 이송의 설정례>
먼저, 바늘땀 이송의 1 바늘땀 피치 P1과 바늘땀간 이송의 1 바늘땀간 피치 P2를 최소 이송한 경우에 관하여 도 21, 도 8(B), 도 8(C)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를 조작하여 양쪽 모두 최소 이송 피치의 상단점 a's, as로 설정하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의 각 작용점으로 되는 부위 b', b는 각각 최하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연결되어 있는 조절 레버 링크 307', 307이 각각, 지지팔 311에 의하여 지지된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을 직립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 위치가 이송 조절체 310의 최하 위치로 된다.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이 직립 상태에서 최하 위치에 위치하면,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세로팔 끝에 축착되어 있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를 이용하여 이송 전환 로드 352의 연결단 352a와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를 각각 아래 방향으로 내린다. 이 이동 위치가 이송 전환 로드 352의 연결단 352a와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의 최하 위치로 된다. 이 상태에서, 중간축 8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이 편심 운동하기 때문에, 이송 전환 로드 352는 거의 수평 방향의 좌우2개의 위치 q, q' 사이를 변위량 Q로 왕복 간헐 요동한다. 또한,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의 캠 형상은,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이동 위치 q, q'에 있어 간헐 정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 위치 q, q'에 있어서 이송 전환 로드 352의 간헐 정지시간은 이송 전환 삼각캠 351에 의하여 정해진다. 또한, 중간축 8은 상축 5가 2 회전하는 사이에 1 회전하기 때문에, 상축의 1 회전으로 이송 전환 로드 352는 이동 위치 q 방향으로, 또한 상축의 1 회전으로 이송 전환 로드 352는 이동 위치 q'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된다.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오른쪽 방향 위치 q'로 이동하고 간헐 정지한 경우에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일단인 h 점은 최하 위치로 이동한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다른 방향의 가로팔 끝 310b인 c' 점과 일치하고,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왼쪽 방향 위치 q로 이동하고 간헐 정지한 경우에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일단인 h 점은 최하 위치로 이동한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한 쪽의 가로팔 끝 310a인 c 점과 일치한다. 따라서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에 의하여 각각 설정된 이송 조절체 310의 한 쪽의 가로팔 끝 310a인 c 점과 다른 쪽의 가로팔 끝 310b인 c' 점에,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의 일단인 h 점을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의 설정을 순차적으로 바꿀 수 있다. 이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의 설정은, 이송 전환 로드 352가 행하고 있다. 이 재봉대상 이송 모드마다 옷감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가 각각 최소 이송 피치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 1 팔 709a는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로 내려져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 2 팔 709b의 하단인 j 점은 왼쪽 방향으로 요동하고 정지해 있다. 이 상태에서, 상축 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 e가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기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 2 팔 709b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은 일단인 j 점을 요동 중심으로 하고,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타단 l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가 좌우 방향으로 요동된다. 또한,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 2 팔 709b가 왼쪽 방향으로 요동하고 정지하는 위치는,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은 일단인 j 점이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의 요동 중심 위치에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 e는 전달되어도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요동 중심과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의 요동 중심이 겹쳐지기 때문에,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에 전달된 상하 운동은 극히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에 있어서는, 이송 톱니 601의 수평 이송량은 최소로 되어, 재봉대상 21은 최소 이송으로 된다.
<바늘땀 이송 피치 및 바늘땀간 이송 피치의 최대 이송의 설정례>
다음으로, 바늘땀 이송의 1 바늘땀 피치 P1과 바늘땀간 이송의 1 바늘땀간 피치 P2를 최대 이송한 경우에 관하여 도 22, 도 8(B), 도 8(C)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를 조작하여 양쪽 모두 최대 이송 피치의 하단점 a'd, ad로 설정하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의 각 작용점으로 되는 부위 b', b는 각각 최상점에 위치하기 때문에, 연결되어 있는 조절 레버 링크 307', 307이 각각,지지팔 311에 의해 지지된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을 직립 상태에서 윗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이동 위치가 이송 조절체 310의 최상 위치로 된다.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이 직립 상태에서 최상 위치에 위치하면,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세로팔 끝 310c에 축착되어 있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를 이용하여 이송 전환 로드 352의 연결단 352a와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를 각각 윗 방향으로 밀어올린다. 이 이동 위치가 이송 전환 로드 352의 연결단 352a와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의 최상 위치로 된다. 이 상태에서, 중간축 8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술한 최소 이송의 설정례와 마찬가지로,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이 편심 운동하기 때문에, 이송 전환 로드 352는 거의 수평 방향의 좌우 2개의 위치 q, q' 사이를 변위량 Q로 왕복 간헐 요동한다. 또한,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의 캠 형상은,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이동 위치 q, q'에 있어서 간헐 정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 위치 q, q'에 있어서 이송 전환 로드 352의 간헐 정지시간은 이송 전환 삼각캠 351에 의하여 정해진다. 또한, 중간축 8은 상축 5가 2 회전하는 사이에 1 회전하기 때문에, 상축의 1 회전으로 이송 전환 로드 352는 이동 위치 q 방향으로, 또한 상축의 1 회전으로 이송 전환 로드 352는 이동 위치 q'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된다.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오른쪽 방향 위치 q'로 이동하고 간헐 정지한 경우에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일단인 h 점은 최상 위치에 이동한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다른 쪽의 가로팔 끝 310b인 c' 점에 일치하고,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왼쪽 방향 위치 q로 이동하고 간헐 정지한 경우에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일단인 h 점은 최상 위치에 이동한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한 쪽의 가로팔 끝 310a인 c 점에 일치한다. 따라서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에 의하여 각각 설정된 이송 조절체 310의 한 쪽의 가로팔 끝 310a인 c 점과 다른 쪽의 가로팔 끝 310b인 c' 점에,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의 일단인 h 점을 위치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의 설정을 순차적으로 바꿀 수 있다. 이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의 설정은, 이송 전환 로드 352가 행하고 있다. 이 재봉대상 이송 모드마다 옷감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 및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가 각각 최대 이송 피치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 1 팔 709a는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로 밀어 올려져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 2 팔 709b의 하단인 j 점은 오른쪽 방향으로 요동하여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축 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 e가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기 때문에,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이 왼쪽 방향으로 편심 회전 이동하면,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하여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타단 l은 좌측 아래로 요동하고,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이 오른쪽 방향으로 편심 회전 이동하면,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하여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타단 l은 오른쪽 위로 요동하는 것이 된다. 그 결과,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에는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한 왕복 요동 운동이 최대의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된다. 따라서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에 있어서는, 이송 톱니 601의 수평 이송량은 최대 피치로 되고 재봉대상 21은 최대 피치로 옷감 이송된다.
<바늘땀 이송 피치 최소, 바늘땀간 이송 피치 최대의 설정례>
다음으로, 도 8(B)에 나타낸 것처럼, 바늘땀 이송의 1 바늘땀 피치 P1을 최소 이송하고, 바늘땀간 이송의 1 바늘땀간 피치 P2를 최대 이송한 경우에 관하여 도 23a, 도 23b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3a에 나타낸 것처럼,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을 최소 이송 피치의 최상점 a's로,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를 최대 이송 피치의 최하점 ad로 각각 조작하여 설정하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작용점으로 되는 부위 b'는 최하점에 위치하고,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의 작용점으로 되는 부위 b는 최상점에 위치한다.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에 연결된 조절 레버 링크 307'는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다른 쪽의 가로팔 끝 310b를 내리고,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에 연결된 조절 레버 링크 307은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한 쪽의 가로팔 끝 310a를 밀어올린다. 그 결과,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은 지지팔 311에 의하여 축지된 축지점(pivotally supporting point) d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상태에서, 역 T자형이 이송 조절체 310의 세로팔 끝 310c는 오른쪽 방향으로 기울고, 세로팔 끝 310c에 연결되어 있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는, 중간축 8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이 편심 운동하는 것으로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왼쪽 방향 위치 q로 이동하고 간헐 정지한 경우에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일단인 h 점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한 쪽의 가로팔 끝 310a인 c 점에 일치한다. 즉,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일단인 h 점은, 연결핀 312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왼쪽 윗쪽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는 윗 방향으로 밀어 올려져, 이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 1 팔 709a는 밀어 올려지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 2 팔 709b의 하단인 j 점은 오른쪽 방향으로 요동하여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축 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 e가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기 때문에,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이 왼쪽 방향으로 편심 회전 이동하면,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하여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타단 l은 왼쪽 아래로 요동하고,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이 오른쪽 방향으로 편심 회전 이동하면,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하여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타단 l은 오른쪽 위로 요동하여 정지하고 있다. 그 결과,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에는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한 왕복 요동 운동이 최대의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된다. 따라서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에 의하여 설정된 바늘땀간의 이송이 최대 이송 피치의 이송량으로 된다.
한편, 도 23b에 나타낸 것처럼,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세로팔 끝 310c는 오른쪽 방향으로 기울고, 세로팔 끝 310c에 연결되어 있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는, 중간축 8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이 편심 운동하는 것으로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오른쪽 방향 위치 q'로 이동하고 간헐 정지한 경우에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일단인 h 점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다른 쪽의 가로팔 끝 310b인 c' 점에 일치한다. 즉,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일단인 h 점은, 연결핀 312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는 아래 방향으로 내려져,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 1 팔 709a는 내려져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 2 팔 709b의 하단인 j 점은 왼쪽 방향으로 요동하여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축 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 e가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기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 2 팔 709b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은 일단인 j 점을 요동 중심으로 하고,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타단 l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가 좌우 방향으로 요동된다. 또한,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 2 팔 709b가 왼쪽 방향으로 요동하고 정지하는 위치는,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은 일단인 j 점이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의 요동 중심 위치에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 e는 전달되어도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요동 중심과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의 요동 중심이 겹쳐지기 때문에,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에 전달된 상하 운동은 극히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송 톱니 601의 수평 이송량도 극히 적어지게 되기 때문에, 재봉대상 21은 약간 옷감 이송된다. 즉,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에 의하여 설정된 최소 이송 피치의 이송량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의 각각의 설정을 순차적으로 바꾸는 것을 할 수 있다.
<바늘땀 이송 피치 최대, 바늘땀간 이송 피치 최소의 설정례>
다음으로, 도 8(C)에 나타낸 것처럼, 바늘땀 이송의 1 바늘땀 피치 P1을 최대 이송하고, 바늘땀간 이송의 1 바늘땀간 피치 P2를 최소 이송한 경우에 관하여 도 24a, 도 24b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24a에 나타낸 것처럼,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을 최대 이송 피치의 최하점 a'd로,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를 최소 이송 피치의 최상점 as로 각각 조작하여 설정하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작용점으로 되는 부위 b'는 최상점에 위치하고,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의 작용점으로 되는 부위 b는 최하점에 위치한다.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에 연결된 조절 레버 링크 307'는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다른 쪽의 가로팔 끝 310b를 밀어 올리고,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에 연결된 조절 레버 링크 307은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한 쪽의 가로팔 끝 310a를 내린다. 그 결과,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은 지지팔 311에 의하여 축지된 축지점 d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는,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세로팔 끝 310c는 왼쪽 방향으로 기울고, 세로팔 끝 310c에 연결되어 있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는, 중간축 8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이 편심 운동하는 것으로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왼쪽 방향 위치 q로 이동하고 간헐 정지한 경우에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일단인 h 점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한 쪽의 가로팔 끝 310a인 c 점에 일치한다. 즉,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일단인 h 점은, 연결핀 312를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왼쪽 아래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는 아래 방향으로 인하되어,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 1 팔 709a는 인하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 2 팔 709b의 하단인 j 점은 왼쪽 방향으로 요동하여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축 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 이송 편심 캠 701의 편심량 e가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기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 2 팔 709b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은 일단인 j 점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타단 l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가 좌우 방향으로 요동된다. 또한,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 2 팔 709b가 왼쪽 방향으로 요동하고 정지하는 위치는,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은 일단인 j 점이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의 요동 중심 위치에 일치하도록 설정되고 있고,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 e는 전달되어도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요동 중심과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의 요동 중심이 겹쳐지기 때문에,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에 전달된 상하 운동은 극히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송 톱니 601의 수평 이송량도 극히 적어지기 때문에, 재봉대상 21은 약간 옷감 이송된다. 즉, 바늘땀간 이송 조절 레버 302에 의하여 설정된 최소 이송 피치의 이송량으로 된다.
한편, 도 24b에 나타낸 것처럼,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세로팔 끝 310c는 왼쪽 방향으로 기울고, 세로팔 끝 310c에 연결되어 있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는, 중간축 8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송 전환 삼각캠 351이 편심 운동하는 것으로 이송 전환 로드 352가 오른쪽 방향 위치 q'로 이동하고 간헐 정지한 경우에는,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일단인 h 점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역 T자형 이송 조절체 310의 다른 쪽의 가로팔 끝 310b인 c' 점에 일치한다. 즉,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일단인 h 점은, 연결핀 312를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오른쪽 위로 이동한다. 따라서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 355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는 윗 방향으로 밀어 올려져, 수평 이송 연결 링크 712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 이송 연결 크랭크 709의 제 1 팔 709a는 밀어 올려지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때문에, 수평 이송 크랭크 709의 제 2 팔 709b의 하단인 j 점은 오른쪽 방향으로 요동하여 정지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축 5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의 편심량 e가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를 거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기 때문에,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이 왼쪽 방향으로 편심 회전 이동하면,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하여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타단 l은 왼쪽 아래로 요동하고, 수평 이송 편심캠 701이 오른쪽 방향으로 편심 회전 이동하면,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하여 수평 이송 로드 링크 707의 타단 l은 오른쪽 위로 요동하여 정지하고 있다. 그 결과, 수평 이송 세로 로드 704에는 수평 이송 구동 로드 702에 의한 왕복 요동 운동이 최대의 상하 방향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어 전달된다. 따라서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에 의하여 설정된 바늘땀간의 이송이 최대 이송 피치의 이송량으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의 각각의 설정을 순차적으로 바꾸는 것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이송량 설정 기구 300 및 이송 모드 전환 기구 350에 의한 1 바늘땀 피치 이송과 1 바늘땀간 피치 이송의 각 이송량은, 각 조절 레버 301, 302의 위치 설정에 의하여 각각 설정된 이송량을 교대로 바꾸고 재봉대상 21을 이송 톱니 601로 옷감 이송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침 13, 북집 200, 실 인출 작동자 401의 협동에 의하여 1개 실 정봉화 바늘땀이 형성되기 때문에, 바늘땀 피치, 바늘땀간 피치는 각각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도 8(A)).
다음에,이송량 설정 기구 300에 의하여 설정된 이송량,즉 바늘땀 피치에 따라 실 인출 작동자 401의 실 조임량을 조절하는 실 조임 조절 기구 420의 실 조임 조절 동작에 관하여, 도 16a, 도 16b, 도 17a, 도 17b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7a은, 실 조임 조절 기구 420을 재봉틀의 아래에서 본 것으로, 바늘땀 피치가 최대 설정으로 보여지고,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부재 425의 안내홈 425a의 안내 방향이 실 인출 조절 로드 424의 진퇴 방향과 일치되게 위치되어 있다. (i)는 캠 팔로워 406이 캠 홈 407a의 최대 경점(maximum radial position)에 있고,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와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는 최대 후퇴점에 있고, 실 인출 작동자 401은 후퇴한 대피 위치에 있다. (ii)는 캠 팔로워 406이 캠 홈 407a의 최소 경점에 있고,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와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는 최대 전진점에 있고, 실 인출 작동자 401은 전진한 실 조임 위치에 있다.
도 17b은, 실 조임 조절 기구 420을 재봉틀의 아래에서 본 것으로, 바늘땀 피치를 작게 설정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다.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로 바늘땀 피치를 작게 설정하면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에 연결되는 실 인출 작동자 조절세로 로드 431이 상하 운동하고, 연결된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벨 크랭크 432가 슬라이드 링크 433을 습동시키고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부재 425에 일체적으로 조합된 핀 426b에 결합하고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부재 425를 선회시키는 상태를 나타낸다. (i)는 캠 팔로워 406이 캠 홈 407a의 최대 경점에 있고,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와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는 최대 후퇴점에 있고, 실 인출 작동자 401은 후퇴한 대피 위치에 있다.
이 경우,각구 421의 회전 중심 e' 점은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부재 425의 선회 중심 e 점에 일치하도록 위치하고, 편심 조절암 423은 실 인출 조절 로드 424의 진퇴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여 있다. (ii)는 캠 팔로워 406이 캠 홈 407a의 최소 경점에 있고,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와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는 최대 전진점에 있고, 실 인출 작동자 401은 전진한 실 조임 위치에 있다. 이 경우, 편심 조절암 423은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의 전진에 의하여 각구 421을 밀고 각구 421은 안내홈 425a 안으로 안내되고 습동하는 회전 중심 e' 점을 보여주고 있다.
a 점은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 407의 회전 중심, b 점은 캠 팔로워 406의 회전 중심, c 점은 실 인출 작동자 편심축 422의 회전 중심, d 점은 실 인출 작동자 편심축 422의 편심 중심점, e 점은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부재 425의 회전 중심, e' 점은 각구 421의 중심축 421a의 회전 중심, f 점은 실 인출 작동자 401의 요동 중심, g 점은 실 인출 작동자 구동암 403과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의 접합 점이다. 또한, 도 17b에 도시된 L1은 a 점에서 d 점까지의 길이이고, L2는 d 점에서 g 점까지의 길이이고, 길이 L1, L2는 실 인출 작동자 401의 대피 위치를 결정하는 불변의 기준 치수이다. L3은 c 점에서 g 점까지의 길이이다. H는 캠홈 407a 궤적의 최대치-최소치이다.
캠 팔로워 406의 회전 중심 b가 캠홈 407a의 최대 반경 기준점(최대 경점)에 있을 때, 실 인출 작동자 401은 최대 후퇴점, 즉 대피 위치에 있다.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의 설정량에 의하여,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에 연결된 실 인출 작동자 조절 세로 로드 431,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벨 크랭크 432 및 슬라이드 링크 433을 통해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부재 425의 돌출단에 설치된 핀 426b에 연결하여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부재 425를 경사각θ로 경사시킨다.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로 바늘땀 피치가 최대로 설정된 경우에는, 인출 작동자 조절 부재 425의 경사각θ는 0도로 되고, 안내홈 425a는 각구 421을 기준선으로 안내하고, 실 인출 작동자 구동캠 407의 설정량 H는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와 인출 작동자 조절 부재 425와의 길이 L1+L2(기준 치수)로 실 인출 작동자 구동암 403을 요동시키고 실 인출 작동자 구동암 403에 고정된 실 인출 작동자 401을 요동시킨다.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로 바늘땀 피치가 최소로 설정된 경우에는, 인출 작동자 조절 부재 425의 경사각θ는 최대 각도로 되고, 안내홈 425a는 기준선으로부터 경사각θ 방향으로 각구 421을 안내한다.
각구 421이 안내홈 425a을 따라 안내되면, 편심 조절암 423은 실 인출 작동자 편심축 422를 중심으로 하여 각도β로 기울어 진다.
편심 조절암 423이 실 인출 작동자 편심축 422를 중심으로 하여 각도β로 기울어 지면, 편심 조절암 423에 편심 방향이 직각 방향으로 고정된 실 인출 작동자변 편심축 422는 각도β 만큼 회전하여 편심 방향도 기울어 진다.
편심량 J가 β 각도로 기울고,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의 회전 중심 c에 대하여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의 접합점 d의 위치가 k=Sinβ·J만큼만 이동하고,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는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 상에 습동하여, 그 결과, 각각의 접합점 c, g 사이의 길이 L2는 L2-k=L3로 줄어들다.
즉, 바늘땀 이송 조절 레버 301로 바늘땀 피치가 최소로 설정된 경우에는, 홈캠 407 궤적의 최대치-최소치 H는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대 405와 실 인출 작동자 조절 로드 424와의 길이 L1+L3로 짧아지고 실 인출 작동자 구동암 403을 요동시키게 되어, 실 인출 작동자 구동암 403에 고정된 실 인출 작동자 401의 스트로크, 즉 요동량 Pa는 요동량 Pb로 작게되어 실 조임량을 조절한다.
이와 같이 하여 실 조임 조절 기구 420은, 재봉대상 21의 이송량에 따라 회동하는 실 인출 작동자 편심축 422의 회동에 의하여 신축하고 실 인출 작동자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로, 이송량 설정 기구 300에 의하여 설정된 이송량에 따라, 즉 바늘땀 피치에 따라 실 인출 작동자 401의 실 조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실 인출 작동자가 보빈 케이스의 실 출구에서 인출되어 있는 실을 걸기 전의 대피 위치가 바늘땀 피치, 바늘땀간 피치가 변동해도 실 조임 조절 기구에 의하여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이 일정한 대피 위치로부터, 설정된 이송량에 따라 실 인출 작동자의 실 조임량을 조절하기 때문에 깨끗한 핸드 스티치에 완성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관하여 도면에 나타낸 특정한 실시의 형태로써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도면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이 효과를 이루는 한, 지금까지 알려진 여하의 구성라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Claims (18)

  1. (a) 실 포착구가 측면에 설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구침이,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바늘판에 놓인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 도달하기 직전부터 상승하기 까지에, 상기 바늘판의 아래쪽에 있는 북집의 회전하는 외북집에 장전된 내북집을 요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내북집에 내장되는 실이 권장된 보빈을 수납하는 보빈 케이스의 실 출구를 요동함으로써, 상기 실 출구에서 인출되는 실을 상기 구침에 주접하고 긴장시키는 것,
    (b) 상기 구침이 상기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상기 구침에 주접하고 긴장되어 있는 실을 상기 실 포착구로 포착하는 것,
    (c) 상기 구침이 상기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되어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상기 재봉대상을 1 바늘땀 피치 이송하는 것,
    (d) 상기 구침이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상기 재봉대상에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상기 실 포착구로 포착되어 있던 실을 상기 회전하는 외북집의 검선으로 떠냄과 동시에, 포착되어 있던 실을 상기 북집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실 포착구로부터 해방하는 것,
    (e) 상기 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어져 해방된 실을 상기 북집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북집으로 안내하여 넣고 상기 보빈에 권장되어 있는 실에 교착시키어, 상기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죄는 것,
    (f) 상기 구침이 상기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되어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상기 재봉대상을 1 바늘땀간 피치 이송하는 것,
    (g) 상기 (a) 내지 (f)의 공정을 반복하여 상기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출구는, 상기 실 포착구의 개구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구침의 봉침 위치를 끼고 요동하도록 상기 보빈 케이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 포착구로 포착되어 있던 실이 상기 외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진 후, 검선으로 떠내진 실을 상기 북집으로 안내하여 넣고,
    상기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오기 직전에 상기 보빈 케이스의 실 출구에서 인출되는 실을 걸고,
    상기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죄고,
    뒤이어 상기 실 포착구로 상기 실을 포착한 후, 걸고 있는 실을 해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상기 구침이 상기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할 때에 상기 실 포착구로 포착된 실을 상기 구침의 바늘 끝과 상기 재봉대상의 사이에서 상기 실 포착구의 비개구(非開口) 방향으로 옮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조일때, 상기 재봉대상의 이송량에 따라 실 조임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6. 실 포착구가 측면에 설치된 구침, 회전하는 외북집에 장전되어 요동하는 내북집으로 구성된 북집, 실 인출 작동자의 협동에 의하여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스킵 스티치 세트로 형성하고,
    상기 구침의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기구에 의하여 상기 재봉대상을 상기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위한 바늘땀 피치 이송 하고, 상기 구침의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하여 상기 재봉대상을 상기 핸드 스티치 바늘땀간을 위한 바늘땀간 피치 이송 함에 있어, 상기 바늘땀 피치 이송의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상기 바늘땀간 피치 이송의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설정하고,
    1 스킵 스티치 세트마다 상기 바늘땀 피치 이송, 상기 바늘땀간 피치 이송에 각각 대응하는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를 순차적으로 바꾸고,
    설정된 상기 바늘땀 피치 이송량, 상기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에서 이송 구동 기구로 전달하고,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하여 상기 재봉대상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7.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바늘판에 놓인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하사점에서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하여,수직 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하는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상기 재봉대상을 관통하고,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실을 포착하고,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상기 재봉대상을 관통하고,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포착되어 있던 실을 해방하는 실 포착구를 측면에 설치한 구침과,
    상기 하사점에 도달하기 직전으로부터 상승하기 까지에, 상기 바늘판의 아래쪽에 있는 북집의 회전하는 외북집에 장전된 내북집을 요동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내북집에 내장하는 실이 권장된 보빈을 수납하는 보빈 케이스의 실 출구를 요동해 상기 실 출구에서 인출되는 실을 상기 구침에 주접하고 긴장시키는 북집으로, 상기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시키고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상기 재봉대상을 1 바늘땀 피치 이송 함과 동시에, 상기 구침이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상사점에서 하강하여 상기 재봉대상에 관통하고,하사점에서 상승할 때에, 상기 실 포착구로 포착되어 있던 실을 떠내는 회전하는 외북집의 검선을 갖고, 포착되어 있던 실을 상기 북집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실 포착구로부터 해방하고, 상기 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지고 해방된 실을 상기 북집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북집에 안내되어 넣고 상기 보빈에 권장되어 있는 실에 교착시키는 북집과,
    상기 북집이 더욱 회전해 상기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실 조임하는 실 인출 작동자와,
    상기 구침을 상기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시키고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상기 재봉대상을 1 바늘땀 피치 이송 함과 동시에, 상기 구침을 상기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상기 재봉대상으로부터 빠져나와 상승시키고 상사점을 통과하는 사이에, 상기 재봉대상을 1 바늘땀간 피치 이송 하는 이송 기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북집은, 상기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오기 직전의 실을 상기 검선의 회전 평면으로부터 놓아주는 방향으로 편의(deviate)하고 상기 검선이 상기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거는 것을 회피하는 외북집 편의자(deviator)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북집을 요동 작동자(rocking actuator)에 의하여 요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내북집 요동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출구는, 상기 실 포착구의 개구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구침의 봉침 위치를 끼고 요동하도록 상기 보빈 케이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인출 작동자는, 상기 실 포착구로 포착되어 있던 실이 상기 외북집의 검선으로 떠내진 후, 검선으로 떠내진 실을 상기 북집에 안내되어 넣고, 상기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오기 직전에 상기 보빈 케이스의 실 출구에서 인출되는 실을 걸어, 상기 북집으로부터 안내되어 나온 실을 조이고, 뒤이어 상기 실 포착구로 상기 실을 포착한 후, 걸고 있는 실을 해방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상기 구침이 상기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할 때에 상기 실 포착구로 포착된 실을 상기 구침의 바늘 끝과 상기 재봉대상의 사이에서 상기 실 포착구의 비개구(非開口) 방향으로 옮기는 실 시프팅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침의 상기 실 포착구가 상기 구침의 상기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하여 상기 재봉대상을 관통하고, 상기 바늘판을 넘기까지의 기간 및 상기 하사점에서 상승하고 상기 실 포착구가 상기 실을 포착한 후, 상기 바늘판을 넘고, 상기 재봉대상을 빠져나와 상기 상사점에 이를 때까지의 기간에 상기 실 포착구를 폐색하는 덮개침을 구동하는 구침·덮개침 구동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14. 실 포착구가 측면에 설치된 구침, 회전하는 외북집에 장전되어 요동하는 내북집으로 구성된 북집, 실 인출 작동자의 협동에 의하여 재봉대상의 표면에 핸드 스티치 바늘땀, 이면에 정봉 바늘땀을 스킵 스티치 세트로 형성하고, 상기 구침의 제 1 스트로크에 있어 이송 기구에 의하여 상기 재봉대상을 상기 핸드 스티치 바늘땀을 위한 바늘땀 피치 이송 하고, 상기 구침의 제 2 스트로크에 있어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하여 상기 재봉대상을 상기 핸드 스티치 바늘땀간을 위한 바늘땀간 피치 이송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이고, 상기 바늘땀 피치 이송의 바늘땀 피치 이송량 및 상기 바늘땀간 피치 이송의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설정하는 이송량 설정 기구와, 1 스킵 스티치 세트마다 상기 바늘땀 피치 이송, 상기 바늘땀간 피치 이송에 각각 대응하는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를 순차적으로 바꾸는 이송 모드 전환 기구와, 설정된 상기 바늘땀 피치 이송량, 상기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을 각각 각 재봉대상 이송 모드에서 전달하고 상기 이송 기구에 의하여 상기 재봉대상을 보내는 이송 구동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량 설정 기구에 의하여 설정된 이송량에 따라 상기 실 인출 작동자의 실 조임량을 조절하는 실 조임 조절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실 조임 조절 기구는, 상기 재봉대상의 이송량에 따라 회동하는 실 인출 작동자 편심축과, 상기 실 인출 작동자 편심축의 회동에 의하여 신축하고 상기 실 인출 작동자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실 인출 작동자 구동 로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량 설정 기구는, 상기 구침을 구동하는 상축으로부터 2분의 1 감속된 중간축에 축지된(pivotally supported) 지지팔에 축착된(pivotally attached) 역 T자형 이송 조절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역 T자형 이송 조절체의 양팔에는 바늘땀 피치 이송량 조작 부재, 바늘땀간 피치 이송량 조작 부재가 각각 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모드 전환 기구는, 상기 중간축에 고정되고 적어도 2개의 짝수개 편위점(deviating point)을 갖는 이송 전환 캠 및 상기 이송 전환 캠에 외접하는 이송 전환 로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송 전환 로드의 연결단은 바늘땀 피치 전환 링크의 일단에 축착되고, 타단은 상기 역 T자형 이송 조절체의 세로팔 끝에 축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재봉틀.
KR1020107002507A 2007-08-08 2008-04-09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 KR101425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07215A JP5237595B2 (ja) 2007-08-08 2007-08-08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JPJP-P-2007-207215 2007-08-08
PCT/JP2008/000919 WO2009019807A1 (ja) 2007-08-08 2008-04-09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形成方法及びミシ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1808A true KR20100041808A (ko) 2010-04-22
KR101425775B1 KR101425775B1 (ko) 2014-08-01

Family

ID=40341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2507A KR101425775B1 (ko) 2007-08-08 2008-04-09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661997B2 (ko)
EP (1) EP2189563A1 (ko)
JP (1) JP5237595B2 (ko)
KR (1) KR101425775B1 (ko)
CN (1) CN101778971B (ko)
TW (1) TWI415988B (ko)
WO (1) WO20090198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3939B1 (ja) * 2006-02-03 2007-08-22 株式会社鈴木製作所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形成方法及びミシン
CN102002825A (zh) * 2010-12-07 2011-04-06 中捷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主轴传动机构
US9127387B2 (en) * 2013-05-22 2015-09-08 Intelliquilter, Llc Needle bar driving system for sewing machines
JP6187410B2 (ja) * 2014-08-04 2017-08-30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ッチラインの形成方法
JP6556997B2 (ja) * 2014-10-29 2019-08-07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およびミシンの制御方法
JP5945050B1 (ja) * 2015-03-24 2016-07-05 株式会社アックスヤマザキ 複数枚の布の縫合及びその縫合用ミシン
CN111501213B (zh) * 2019-01-31 2021-06-04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缝纫机剪线抬压脚调针距的方法
CN112941736B (zh) * 2021-01-29 2022-03-18 东莞市扬侨电子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缝纫机及其控制方法
CN115506084A (zh) * 2022-10-29 2022-12-23 上海瑞仓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降低缝纫机针头损伤的控制***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983C (de) * 1932-10-23 1934-10-12 Emil Hoffmann Einfaden-Naehmaschine mit von unten den Stoff durchdringender OEhrnadel
GB959688A (en) * 1959-09-23 1964-06-03 Jose Castany Ferre Improvements in sewing
DE1182034B (de) 1959-09-23 1964-11-19 Jose Castany Ferre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Reihstichnaehten
US3808994A (en) * 1972-07-31 1974-05-07 J Kuhn Arrangement for making knotted chain stitch seam
JPS5159556A (en) * 1974-11-19 1976-05-24 Toray Industries Wafukuniokeru zobenuihoho
US3957004A (en) * 1975-04-25 1976-05-18 The Singer Company Hand-operated lock stitch sewing machine
IT1042317B (it) 1975-09-05 1980-01-30 Conti R Metodo per la formazione meccanica del punto a filza e macchina da cucire con ago speciale per la ese cuzione di detto metodo
JPS5535481A (en) 1978-09-05 1980-03-12 Shiyuuichi Sakai Heating unit for heater
JPS5599473U (ko) * 1978-12-28 1980-07-10
JPS5599473A (en) 1979-01-18 1980-07-29 Iseki & Co Ltd Controlling apparatus of side clutch for combine etc.
US4366765A (en) * 1980-08-14 1983-01-04 The Reece Corporation Combination single thread chain and lock stitch
JPS59160488A (ja) * 1983-03-04 1984-09-11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複合縁かがり縫目及びその形成方法
DE3419950C2 (de) 1983-07-29 1994-06-01 Complett Spa Stichtyp u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IT1163874B (it) * 1983-07-29 1987-04-08 Complett Spa Procedimento di cucitura di stoffa o materiali equivalenti con punto annodato ad un filo e punto annodato
CN85102938A (zh) * 1985-04-16 1986-06-10 重庆缝纫机工业公司 能缝出301锁式线迹和503链式线迹的家用平缝包边两用缝纫机
JPH0740374Y2 (ja) * 1990-09-29 1995-09-20 ジューキ株式会社 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の糸締り調整装置
JPH08191967A (ja) * 1995-01-18 1996-07-30 Juki Corp ステッチ長さ制御装置
JP2687950B2 (ja) * 1995-12-15 1997-12-08 五郎 小澤 間歇ステッチ縫い方法及びそのミシン
JPH10328461A (ja) * 1997-06-02 1998-12-15 Brother Ind Ltd ミシンの半回転釜
JPH1147472A (ja) * 1997-08-02 1999-02-23 Juki Corp ミシンの制御方法
US6314899B1 (en) * 2000-08-29 2001-11-13 David B. Ballantyne Hook and loop lock stitch and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3962317B2 (ja) * 2002-11-18 2007-08-22 株式会社鈴木製作所 飾りしつけ縫い方法及びミシン
JP3872487B2 (ja) * 2004-09-03 2007-01-24 五郎 小澤 間歇ステッチ縫いミシン
CN2761648Y (zh) * 2005-01-05 2006-03-01 曾建家 改进的高速单针单线链式缝纫机
JP4605381B2 (ja) * 2005-09-21 2011-01-05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管理装置
JP3963939B1 (ja) 2006-02-03 2007-08-22 株式会社鈴木製作所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形成方法及び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61997B2 (en) 2014-03-04
WO2009019807A1 (ja) 2009-02-12
JP2009039300A (ja) 2009-02-26
US20100199899A1 (en) 2010-08-12
TWI415988B (zh) 2013-11-21
JP5237595B2 (ja) 2013-07-17
KR101425775B1 (ko) 2014-08-01
CN101778971B (zh) 2012-10-10
EP2189563A1 (en) 2010-05-26
CN101778971A (zh) 2010-07-14
TW200916623A (en)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1808A (ko)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
KR100918006B1 (ko) 1개 실 정봉화 핸드 스티치 형성방법 및 재봉틀
RU2555807C1 (ru) Способ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ускания шва и тип шва
KR20100035609A (ko) 편평 바느질 재봉틀
JP2003326059A (ja) 針送りミシン
CN216838498U (zh) 一种缝纫机挑线机构
CN100347371C (zh) 用于形成单线链式缝合的端部结头的方法和装置
JP5545505B2 (ja)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JP5086730B2 (ja)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JP2001314681A (ja) ミシン
JP2001187290A (ja) 二重環縫いミシンの針糸案内装置
JP2974557B2 (ja) 二重環縫いミシンの縫い目形成方法および装置
JP2762064B2 (ja) ミシン
JP2010213867A (ja)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JP5481624B2 (ja) 1本糸錠縫化ハンドステッチミシン
US1474269A (en) Sewing machine
JP4971004B2 (ja) ミシンのフレーム構造
RU229046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раеобметочного двухниточного петельного стежка и краеобметочная двухниточная швейная машин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14481473A (zh) 一种缝纫机挑线机构
US1243159A (en) Overseaming sewing-machine.
USRE6933E (en) Improvement in sewing-machines
US769392A (en) Overseaming sewing-machine.
SU1341293A1 (ru) Швейна машина дл получени копировальной строчки
US541106A (en) mereow
US861821A (en) Blindstitching sewing-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