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112A -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이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이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0112A
KR20060120112A KR1020067009375A KR20067009375A KR20060120112A KR 20060120112 A KR20060120112 A KR 20060120112A KR 1020067009375 A KR1020067009375 A KR 1020067009375A KR 20067009375 A KR20067009375 A KR 20067009375A KR 20060120112 A KR20060120112 A KR 20060120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mpo
compound
precursor
carbon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9016B1 (ko
Inventor
게르하르트 누스플
루치아 비메르
막스 아스그루버
Original Assignee
쉬드-케미아크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쉬드-케미아크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쉬드-케미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60120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0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16Oxyacids of phosphorus; Salts thereof
    • C01B25/26Phosphates
    • C01B25/45Phosphates containing plural metal, or metal and ammo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82Particulate matter [e.g., sphere, flake,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LiMPO4의 화합물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이때, M은 제 1 전이 계열의 한개 이상의 금속을 나타내고, 상기 방법은,
a. 한개 이상의 Li+ 소스, 한개 이상의 M2 + 소스, 그리고 한개 이상의 PO4 3 - 소스를 함유한 프리커서 믹스처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이에 따라 침전물을 형성하여 프리커서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b. 프리커서 현탁액의 입자의 D90 값이 50 미크론 미만이 될 때까지 상기 프리커서 믹스처나 프리커서 현탁액을 산포 또는 밀렁 처리하는 단계, 그리고
c. 열수조건 하에서의 반응에 의해 상기 b) 단계에 따라 획득한 프리서커 현탁액으로부터 LiMPO4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이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물질은 전극에 사용될 때 전기화학적 성질 및 입자 크기 분포 측면에서 특별한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이의 제작 방법{LITHIUM METAL PHOSPHATES,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AS ELECTRODE MATERIAL}
본 발명은 리튬 아이언 포스페이트를 제조하는 방법과, 매우 작은 입자 크기를 가진 이 방법에 의해 획득할 수 있는 물질과, 2차 전지에서의 사용에 관한 발명이다.
리튬 이온 전지에서의 대안의 캐소드 물질로 합성 리튬 아이언 포스페이트(LiFePO4)가 당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이는 A.K. Padhi, K.S. Nanjundaswamy, J.B. Goodenough, J.Electrochem. Soc. Vol.144 (1977)에서 처음으로 소개되었고, 미국 특허 US 5,910,382 호 등을 통해 소개되어 있다.
리튬 아이언 포스페이트같은 포스페이트들을 2차 리튬 전지용 양극으로 사용하는 것은 WO 02/29913 A1 호에 또한 소개되어 있으며, 이 문헌에서는 Li+, Fe3 +, PO4 3-의 같은 몰 수의 수용액으로부터 제조를 위해, 물이 기화되어 솔리드 믹스처를 형성하고, 그후 솔리드 믹스처가 섭씨 500도 미만의 온도에서 분해되어 순수 Li와 Fe 포스페이트 프리커서를 생성하고, 이어서 환원 분위기에서 섭씨 800 도 미만의 온도에서 상기 프리커서를 반응시킴으로서 LiFePO4 파우더를 생성한다.
그외 다른 신터링 프로세스들이 또한 알려져 있다. 이때의 결점이라면, 개시 화학물질(가령, 아이언 옥살레이트(iron oxalate))의 재료 비용이 비싸다. 신터링 프로세스 중 보호 기체의 소모 역시 상당하며, CO 같은 독성 부산물이 신터링 과정 중 형성된다. 산물의 입자 크기 분포가 폭넓게 나타나고 두 모드(bimodal)로 나타나는 경우도 많다. 추가적인 제작 프로세스들은 WO 02/83,555 호, EP 1 094 523 A1 호, US 2003/124,423 호, 그리고 Franger 외 다수의 Journal of Power Sources 119-121 (2003), 252-257쪽에 소개되어 있다.
JP 2002-151082 호는 리튬 아이언 포스페이트 제조 및 이를 이용한 2차전지 제조를 위한 리튬 아이언 포스페이트 프로세스를 또한 소개하고 있다. 이 프로세스는 리튬 화합물, 2가 아이언 화합물, 그리고 인산 화합물이 서로 혼합되어, 2가 아이언 이온과 인산 이온의 몰비가 1:1이 되고, 그 믹스처는 섭씨 100도로부터 최대 200도까지 온도범위에서 반응을 행하게 된다. 이러한 반응은 견고하게 밀폐된 용기 내에서 이루어지고 극성 용매(polar solvent)와 비활성 기체를 첨가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은 리튬 아이언 포스페이트는 그후 물리적으로 곱게 빻아질 수 있다.
공지 기술에 따른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리튬 아이언 포스페이트를 쉽게 얻을 수 있지만, 종래의 제조 프로세스는 단점을 가진다. 즉, 매우 작은 입자 크기 및 매우 좁은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진 고운 가루형 리튬 아이언 포스페이트를 획득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입자 크기가 매우 작으면서 입자 크기 분포의 폭이 좁은 리튬 아이언 포스페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적절한 프로세스들이 요구되며, 이러한 리튬 아이언 포스페이트가 2차 저지의 전극 물질로 훌륭하게 이용될 수 있다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매우 우수한 전기화학적 성질을 지녀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공지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면서, 특히 충전가능한 배터리의 전극으로 적합한 리튬 아이언 포스페이트를 제조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세부적인 사항은 종속항에서 제시된다.
도 1은 사례 1의,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LiMPO4 의 입자 크기 분포(볼륨 기반)를 도시한다.
도 2는 사례 2의, 발명에 따라 제조되지 않은 LiMPO4 의 입자 크기 분포(볼륨 기반)을 도시한다.
도 3은 사례 3의, 발명에 따라 제조된 LiMPO4 의 입자 크기 분포(볼륨 기반)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LiFePO4를 제조하는 데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일반 화학식 LiMPO4의 그외 다른 화합물을 제조하는 데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M은 제 1 전기금속 계열의 한개 이상의 금속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M은 Fe, Sc, Ti, V, Cr, Mn, Co, Ni, Cu, Zn, Be, Mg, Ca, Sr, Ba, Al, Zr, 그리고 La 로 구성되는 그룹에 속한 한가지 이상의 금속 중에서 선택된다. M이 Fe, Mn, Co, Ni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M이 Fe를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것이 선호된다.
화합물 LiMPO4에서 M이 두개 이상의 전이 금속들을 나타내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LiFePO4의 아이언이, 상기 그룹 중에서 선택된 한개 이상의 다른 금속으로(가령, Zn으로) 부분적으로 대체될 수 있다. LiFePO4가 특히 선호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LiMPO4를 순수-상 형태로 제공하는 것을 선호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한개 이상의 Li+ 소스, 한개 이상의 M2 + 소스, 그리고 한개 이상의 PO4 3 - 소스를 지닌 프리커서 믹스처나 현탁액을 반복적으로 산포처리하거나 밀링 처리함으로서 최종 산물 LiMPO4에서 매우 좁은 입자 크기 분포와 매우 작은 입자 크기를 얻을 수 있다.
프리커서 믹스처의 산포 또는 밀링 처리의 발명에 따른 이용은, 강력한 혼합을 수행하고, 이와 동시에 현탁액에서 입자 덩어리의 크기를 감소(즉, 응집성 감소)시킨다.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적합하게 나타나며 현탁액 내 입자 덩어리의 크기 감소(즉, 응집성 감소)를 구현하기 위해 충분한 전단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산포 또는 밀링 처리를 실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50 미크론 미만의 D90 값을 도출할 수 있다. 선호되는 장치는 산포 수단(펌프 로터 구비형, 또는 비구비형), Ultraturrax, 콜로이드 밀이나 Manton-Gaulin 밀같은 분쇄기, 강력 믹서, 원심 펌프, 인-라인 믹서, 믹싱 노즐(가령, 인젝터 노즐), 또는 초음파 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타입의 장치들은 당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프리커서 현탁액의 평균 입자 크기에 대한 요망 효과를 얻기 위해 요구되는 세팅은 특정 타입의 장치에 따라 루틴 테스트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여러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산포 또는 밀링 처리의 일부분으로서, 처리될 믹스처나 현탁액에 최소 5kW/m3 의 전력이 공급된다. 7kW/m3 이상이 특히 선호된다. 이러한 전력 입력은, Ultraturrax 스터러(stirrer)를 이용할 때 P = 2·∏·n·M의 공식을 이용하는 것처럼, 특정 장치에 대해 공지된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M은 토크, n은 회전 속도를 나타낸다.
발명의 또다른 선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산포 또는 밀링 처리 내의 프리커서 현탁액에 공급되는 에너지는 처리될 믹스처나 현탁액의 5kWh/m3 이상일 것이며, 특히 7 kWh/m3일 것이다. 이 경우에, 전력 입력에 대해 상술한 값과 부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강제적이진 않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제조 중 산포 또는 밀링 처리 대신에, 완성된 LiMPO4의 를 곱게 빻는 것이 LiMPO4 파우더의 대응하는 바람직한 성질을 도출하지 못한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본 이론적 메커니즘에 본 발명을 제한함없이, 본 발명에 따른 산포나 밀링 처리를 이용할 때, 믹싱된 현탁액의 제조 중 초기에 형성되는 큰 결정 덩어리들이 나타나지 않게 되거나, 이 덩어리 형성 정도가 감소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결정 덩어리들은 이러한 결정 덩어리들은 Li+와 M2 +의 포스페이트들을 중간 산물로 이용하기 때문일 수 있다. 이 중간 산물들은 그 농도에 따라, 큰 결정의 판이나 덩어리들을 형성하는 대신 점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믹스처나 현탁액에 큰 결정이나 결정 덩어리들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에 충분히 높은 믹싱 액션(또는 전단 액션)높은 믹싱 액션을 가진 장치, 그리고 이와 동시에, 프리커서 믹스처나 현탁액의 산포 처리에 사용될 수 있는 높은 핵생성 속도를 생성하기에 충분히 높은 믹싱 액션을 가진 장치가 가능하다. 적절한 장치의비제한적인 예들을 앞서 언급한 바 있다.
상기 결정 덩어리들이나 결정 판들은 용해가능한 Li+ 소스, 용해가능한 M2 + 소스, 그리고 (용해가능한) PO4 3 - 소스로부터 지정 프리커서 프로덕트의 침전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아래 발명의 예에서, 예를 들어, 아이언(II) 설페이트 헵타히드레이트, FeSO4·7H2O 수용액같은 Fe2 + 소스와, 85% 강도의 인산같은 액체 PO4 3 - 소스의 수용액이 초기 전하로 선택되며, 비비애나이트(Fe3(PO4)2 히드레이트)의 프레시 침전물같은 수용성 LiOH 용액의 프레시 침전물이 수용성 LiOH 용액같은 수용성 Li+ 소스의 저속 첨가에 의해 형성된다. 본 내용에서, 큰 결정 판이나 결정 덩어리들의 형성을 방지하거나 형성 정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산포나 밀링 처리를, 초기 결정 형성 시작 이전부터 침전 종료시까지 내내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후 선호되는 열수 처리 이전에, 균질 프리커서 믹스처나 현탁액은, 비비애 나이트(적절한 Li+ 이온으로 포화된 경우), 리튬 포스페이트, 또는 아이언 하이드록사이드를 함유한 솔리드 콘텐트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 편으로서, 그후 산포 또는 밀링 수단을 이용하여 제공된다. 이러한 중간 프로덕트가 고립될 필요는 없다. 프리커서 믹스처나 현탁액이 열수 용기 내에 있을 때 조합되거나 침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pot 프로세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산포나 밀링 처리는 침전이 매우 균질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한다. 또한, 동일 크기의 작은 결정 핵들을 다수 포함하는 균질 믹스처가 형성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 결정 핵들은 그후, 특히 차후 열수 처리 중, 반응하여, 균일하게 성장된 결정들을 가진 최종 산물 LiMPO4를 형성하게 되며, 이때, 매우 좁은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지게 된다. 원칙적으로, 열수 처리에 대한 대안으로 본 발명의 범위에서는, 필터링이나 원심 처리 등에 의해 모체 액체가 분리된 후, 건조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산포나 밀링 처리 이후에 프리커서 믹스처로부터 형성된 침전물들을 신터링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열수 처리가 선호되며, 최적 결과를 도출하는 편이다.
요망 효과를 얻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산포나 밀링 처리는 프리커서 믹스처로부터 침전물을 형성하기 전이나 형성하는 중에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큰 결정의 핵들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러한 핵이나 덩어리들을 곱게 빻은 형태로 형성하거나 균질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의도는 50 미크론 미만의 현택악내 입자들의 D90 값을 얻는 것이다. 최대 25 미크론의 프리커서 현탁액 내 입자들의 D90 값이 선호되며, 특히 20 미크론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미크론 미만에서의 값이 선호된다. 왜냐하면 이러한 값들이 최종 프로덕트에서 최적의 성질을 제공한다는 것이 관찰되었기 때문이다.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D90 값을 얻는다면, 본 발명에 따른 산포나 밀링 처리는 프리커서 믹스처로부터 침전물의 형성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놀랍게도, 최적 결과를 얻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산포나 밀링 처리가, 리튬 아이언 포스페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최종 반응 이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특히, 프리커서 믹스처의 침전에 이어지는 열수 처리의 종료 이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열수 처리 이전과 열수 처리 중에 프리커서 믹스처의 처리는, 본 발명에 따른 산포나 밀링 처리인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의 한가지 중요한 장점은 제조되는 LIMPO4의 입자 크기 분포가 재현성높은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는 점이며, 따라서, 우수한 전기화학적 성질이 큰 변동없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서, LI+ 소스, M2 + 소스, 그리고 PO4 3 - 소스의 선택에 대한 제한사항은 거의 없다고 봐야한다. 당 분야에 적합하다고 알려진 또는 친숙한 모든 시작 물질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양한 범위의 리튬 화합물, M의 2가 화합물, 그리고 인산 화합물을 합성 순수 물질로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Li와 M, 그리고 액체나 용해성 PO4 소스의 용해성 염이나 화합물들이 선호된다. 리튬 플루오라이드, 리튬 클로라이드, 리튬 브로마이드, 리튬 아이오다이드, 리튬 카보네이트,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또는 리튬 포스페이트 등이 적절한 리튬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로 언급될 수 있다. LiOH가 특히 선호된다.
아이언 플루오라이드, 아이언 클로라이드, 아이언 브로마이드, 아이언 아이오다이드, 아이언 설페이트, 아이언 포스페이트, 아이언 나이트레이트, 아이언의 오가닐 염(가령, 아이언 옥살레이트, 또는 아이언 아세테이트) 등이 M의 이가 화합물의 비제한적 예로 언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M=Fe에 해당한다. 아이언 설페이트가 특히 선호된다. M이 Fe와는 다른 금속을 나타낼 경우, 대응하는 화합물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오소포스포릭 산, 메타포스포릭 산, 피로포스포릭 산, 트리포스포릭 산, 테트라포스포릭 산, 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나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가령, 알루미늄 포스페이트나 암모늄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리튬 포스페이트, 또는 , 아이언 포스페이트, 또는 이들의 요망 믹스처들이 인산 화합물의 비제한적 예로 언급될 수 있다. 인산이 특히 선호된다.
더우기, LiOH가 Li+ 소스로 이용되고 인산이 PO4 3 - 소스로 이용될 경우, LiOH를 첨가함으로서 인산을 중성화하고, 이에 따라, 프리커서 믹스처에서 침전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개 이상의 Li+ 소스, 한개 이상의 M2 + 소스, 그리고 한개 이상의 PO4 3 - 소스를 함유한 임의의 액체나 유체 믹스처가 프리커서 믹스처로 간주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침전물의 부분적/전체적 형성 후 임의의 액체나 유체 프리커서 믹스처가 프리커서 현탁액으로 간주된다. 침전물은 LiMPO4나 중간 프로덕트를 함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커서 믹스처는 극성 용매같은 용매를 함유할 수 있다. 극성 용매의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2-프로파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아세톤, 사이클로헥사논, 2-메틸 피롤리돈, 에틸 메틸 케톤, 2-에톡시에탄올,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메틸 포름아미드, 또는 디메틸 설폭사이드, 또는 이들의 믹스처가 있다. 선호되는 용매는 물이다. 이후, 수용액으로부터 LiMPO4의 습식 침전이 발생할 수 있다(선호됨). 본 발명에 따르면, LiMPO4의 제조에 있어 당 분야에 친숙한 임의의 시작 물질이나 용액, 현탁액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산포나 밀링 처리가 본 발명에 따른 첨가 방식으로 제공될 때, 용액으로부터 습식 침전에 대해 잘 알려진 프로세스나 화학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개 이상의 Li+ 소스, 한개 이상의 M2 + 소스, 그리고 한개 이상의 PO4 3 - 소스를 조합하는 중, 또는 프리커서 믹스처의 제조 중 사용되는 온도는 섭씨 20~80도 사이의 온도에 놓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섭씨 25~60도의 온도 범위에 놓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의 선호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커서 믹스처나 프리커서 현탁액에 있어 어떤 직접적인 기화나 건조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선호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커서 믹스처나 프리커서 현탁액에 신터링을 행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는 최종 프로덕트의 성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보다는, 프리커서 믹스처나 프리커서 현탁액에 열수 처리를 행하고, 그후 완전히 반응한 LiFePO4에 대해 건조 및 신터링을 행할 경우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내용에서, 열수 조건 하에서의 프리커서 믹스처의 변환은 상온보다 높은 온도에서 1 바보다 큰 스팀 압력으로 임의의 처리를 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열수 처리는 당 분야에 잘 알려진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섭씨 100~250도의 온도 범위에서, 특히 섭씨 100~180도의 온도 범위에서, 1 바~40 바의 압력으로, 특히 1~10 바의 스팀 압력으로 열수 처리를 행하는 것이 선호된다. 가능한 열수 프로세스의 한가지 예가 JP 2002-151082 호에 개시되어 있는 데, 그 공개 내용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다. 이 경우에, 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커서 믹스처는 완전하게 밀폐된, 즉, 압력-저항성 용기에서 반응한다. 이 반응은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선호된다. 적절한 비활성 기체의 예로는 질소, 아르곤, 카본 다이옥사이드, 카본 모녹사이드, 또는 이들의 조합이 있다. 열수 처리는 가령, 0.5~15 시간동안 특히 3~11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순수하게 비제한적인 예로서, 다음의 특정 조건들이 선택될 수 있다. 즉, 섭씨 50로부터 섭씨 150도까지 1.5시간의 가열 처리, 섭씨 160도에서 10시간의 열수 처리, 그리고 섭씨 160도로부터 섭씨 30도까지의 3시간의 냉각 처리가 선택될 수 있다.
발명의 선호 실시예에 따르면, 무엇보다도, M2 + 소스와 PO4 3 - 소스가 수용성 매질에서 혼합되고, 특히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믹싱되며, 그후,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다시 한번 Li+ 소스가 첨가된다. 늦어도, 프리커서 믹스처의 중성화를 증가시키면서 침전이 시작될 때, 산포나 밀링 처리가 시작되고, 이어서 열수 조건 하에서 반응이 이어진다.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열수 처리 다음에는 현탁액으로부터 LiMPO4의 분리 처리가 이어질 수 있다. 가령, 필터링이나 원심 처리가 이어질 수 있다. 더우기,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분리된 LiMPO4 가 (특히 물을 이용하여) 세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염의 함유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 특히 보호 기체나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LiMPO4 의 건조나 신터링이 열수 처리에 이어질 수 있다. 최종 프로덕트의 전기화학적 품질을 위해 매우 조심스런 건조/재건조가 요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왜냐하면, 미세한 수분만으로도 리튬 전지의 물질을 전기화학적으로 이용하는 중에 전도성 염 LiPF6의 분해같은 문제들을 야기할 수 이TRl 때문이다. 신터링이 부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LiMPO4 의 건조는 대략 섭씨 50~750도의 폭넓은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고, 이때, 이 건조 온도는 경제적 이유에 따라 좌우될 수도 있다. 탄소를 함유한, 또는 전자 전도성의 물질이나 프리커서가 없을 때 LiMPO4 가 제조될 경우, 탄소로 프리코팅을 수행하기 위해, 섭씨 500~700도의 고온 건조 온도가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신터링이 수행될 수 있는 데, 이 경우에, 질소 5.0을 이용하여 섭씨 750도의 온도에서 3시간동안 가열이 실행될 수 있다. 탄소를 함유하거나 전자 전도성인 물질의 요망 전도 범위는 충분히 높은 온도에서만 얻을 수 있다.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커서 믹스처의 성분들은 다음의 조성비로 존재한다.
a. 1몰 Fe2 +: 1몰 PO4 3 -: 1몰 Li+ (1:1:1)
b. 1몰 Fe2 +: 1몰 PO4 3 -: 3몰 Li+ (1:1:3)
c. a와 b 간의 임의의 믹싱 비
PO4 3 - 이온 대 M2 + 아이언 이온의 몰 비가 대략 1:1인 것이 선호된다. 또한, 상기 언급한 조성비가 경제적인 이유로 또한 선호된다. 열수 처리 과정에서 특히, 열수 처리 과정에서, LiMPO4 는 열역학적으로 가장 안정한 상으로 형성되며, 더우기, 상술한 비로부터의 편차는 침전이나 구조적 성질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다분히 의도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시한 화학적 비율로부터 대략 20%, 적어도 10%의 허용 편차가 가능하다.
보호 기체에 대한 훨씬 감소된 요구에 대해, 건조 파우더 프리믹스나 프리커서 믹스처로부터 가능한 신터링 프로세스에 비해, 열수 처리는 또한 장점을 제공한다. 더우기, 입자 구조 및 입자 크기 분포가 순수 신터링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정확하게 제어될 수 있다는 점이 발견되었다.
과도하게 큰 LiFePO4 입자들은 높은 충전/방전 속도에서, 스토리지 전지로부터 취할 수 있는, 운동학적으로 제어되는 용량의 제한을 야기한다. 즉, 방전 중, 리튬 이온들은 LiFePO4/FePO4 경계층을 통해 충분히 신속하게 이동하지 못하여, 전극의 용량이 높은 충전/방전 속도에서 크게 저하된다. 그러나, 리튬 아이언 포스페이트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높은 충전/방전 전류에서도 충분한 용량이 중요하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 수행된 테스트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산포나 밀링 처리없이 제조된 LiMPO4를 단순히 리밀링(remilling)이나 스크리닝(screening)하는 것만으로는, 동일한 작은 입자 크기와 폭좁은 입자 크기 분포, 또는 우수한 전기화학적 성질을 얻을 수 없다는 점이 입증되었다. 이는 파우더 프리커서 믹스처의 직접 신터링에 의해서 제조된 LiMPO4에 대해서도 적용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산포나 밀링 처리에 의해 제조된, 그리고 완성된 LiMPO4 프로덕트를 제공하기 위한 반응의 기초를 형성하는, 균일하고 작은 핵들의 결정화에 기인한다고 가정된다. 미세하고 균일한 입자 크기는 본원에 따른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제조된 LiMPO4 의 건조나 신터링 시에도 긍정적 영향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가적 태양은 상술한 프로세스에 의해 얻을 수 있는 LiMPO4 에 관련된다. 이 물질은 최대 25 미크론의 입자의 D90 값을 가진다. 20 미크론 이하가 더욱 선호되며, 15 미크론 이하가 가장 선호된다. 평균 입자 크기(D50 값)은 0.8 미크론 미만이며, 특히 0.7 미크론 미만, 특히 0.6 미크론 미만이 더욱 선호된다. 입자 크기 분포는 정상 분포(모노모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D10 값이 0.35 미크론보다 작고, 0.40 미크론보다 작은 것이 선호된다. 그러나, D90 값에 따라, 좁은 입자 크기 분포를 가진 채로 0.40 미크론보다 더 높을 수도 있다. 이 D90 값은 3.0 미크론 미만이 선호되며, 2.5 미크론 미만이 더욱 선호되며, 2.0 미크론 미만이 가장 선호된다.
본 발명에 따른 LiMPO4 의 입자 크기 분포는 상술한 바와 같이, 매우 폭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D90 값과 D10 값 간의 차이는 2미크론 이하이며, 1.5 미크론 이하인 것이 선호되며, 1미크론 이하인 것이 더욱 선호되며, 0.5 미크론 이하인 것이 가장 선호된다.
놀랍게도, 본 발명에 따른 LiMPO4 의 상술한 장점들이 전극 물질 제조 중 탄소 함유 물질같은 추가적 성분들과 함께 이루어지는 차후 공정 중 특별한 장점을 역시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LiMPO4 는 본원의 특징적인 입자 크기 분포로 인하여, 탄소 함유 전도성 물질 등과의 친근한 조합 및 전극 물질을 형성하는 데 있어 용이하고 우수한 처리과정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은 본원에서 규정한 LiMPO4 를 함유하는 (전극 물질에 해당하는) 조성에 관계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태양은 앞서 규정한 LiMPO4 물질을 리튬 스토리지 전지나 2차(재충전형) 리튬 전지의 전극 물질로 이용하는 것에 관계한다. 완성된 LiMPO4 프로덕트의 1차 입자들(결정질)이 SEM 이미지에서 크기 및 구조 측면에서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달리, 본원에 따른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제조되지 않은 LiMPO4 는 균일하지 않은 크기 및 균일하지 않은 결정 구조를 가진 1차 입자들을 나타낸다.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프리커서 믹스처의 제조나 침전, 또는 열수 처리 하에서의 반응은 추가적인 성분의 존재 하에서 이루어진다. 특히 전자-전도 물질의 존재 하에 이루어진다. 이는 탄소 함유 솔리드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령, 전도성 탄소 솔리드나 전도성 탄소나 탄소 섬유일 수 있다. 탄소 함유 솔리드나 전자-전도 물질의 프리커서를 이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 프리커서는 LiMPO4 의 건조나 신터링 중 탄소 입자로 변환되며, 그 한 예는 설탕 화합물이다. 안정적인 유기 화합물의 추가적인 예는 WO 02/83,555 호에 언급되고 있고, 그 내용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다. 완성된 LiMPO4 프로덕트에 함유된 탄소 입자들이 균질형으로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의 특히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되는 탄소 함유 솔리드가 프리커서 믹스처의 반응에서 결정 핵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당 분야에 친숙한 임의의 프로세스는 탄소나 탄소 함유 전기 전도성 물질을 도입하기에 적합하며, 추가적인 성분들과의 믹싱에 적합하다. 전도성 탄소같은 탄소 함유 솔리드를 지닌 최종 LiMPO4 의 강력 믹싱이나 밀링이 또한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가능한 프로세스들은 LiMPO4 파우더와 탄소 프리커서 물질의 믹스처의 피롤로시스(pyrolosis)나, 수용성, 또는 비수용성 현탁액의 LiMPO4 입자의 표면에 대한 탄소 입자들의 압출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획득한 탄소 함유 LiMPO4 는 LiMPO4 에 대해 탄소를 최대 10% 중량비까지 함유하며, 최대 5%가 바람직하고, 최대 2.5%가 가장 바람직하다.
가령, 반죽에 의해(보조 물질로 물을 첨가하는 것이 가능), 설탕이나 셀룰로스, 그리고 특히 락토스같은 카보하이드레이트가 선호되는 한개 이상의 탄소 프리커서 물질이 본 발명에 따라 LiMPO4 파우더와 믹싱되는 피롤리시스 프로세스가 기술적 측면에서 선호된다. 기술적 측면에서 선호되는 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소 프리커서 물질이, 아직 건조되지 않은 LiMPO4 필터 케이크에 첨가된다. 그후, 보 발명에 따른 LiMPO4 파우더와 탄소 프리커서 물질의 믹스처가 보호 기체 하에서 섭씨 50~200 도의 온도에서 대기 분위기에서 또는 진공 상태에서 건조된다. 그후 질소 5.0이나 아로곤같은 보호 기체 하에서 섭씨 500~1000도의 온도까지 가열된다. 섭씨 700~800도의 온도가 더욱 선호된다. 이동안, 탄소 프리커서 물질은 피롤라이징(pyrolysing)되어 탄소를 형성한다. 이에 이어 밀링이나 응집성 감소 처리가 뒤따른다.
발명의 또한가지 선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되는 LiMPO4 의 BET 표면적이 3.5 m2/g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4m2/g보다 큰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5m2/g보다 큰 것이 그보다 더 바람직하고, 10m2/g보다 큰 것이 이보다 더 바람직하며, 15m2/g보다 큰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DIN 66131(멀티포인트 결정)에 따라 결정된다.
탄소로 프리코팅함으로서 LiFePO4 의 성질들에 대한 개선은 Ravet 외 다수가 제시한 Abstract No. 127, 196th ECS-Meeting, Honolulu, H1, Oct. 17-22 (1999)에 또한 개시되어 있다.
탄소 함량은 표면 성질 변화에 의해 전지 전극들을 형성하기 위한 LiMPO4 파우더의 처리 성질들을 또한 개선시키며, 전지 전극의 전기적 연결을 개선시킨다.
대안으로, 전자 연결에 대한 상당한 개선은 Mg2+, Al3+, Ti4+, Nb5+, W6+를 이용한 타겟 도핑(S.Y. Young, J.T. Blocking, Y.M. Chiang, Nature, Vol.1, 2002년12월, 123)에 의해 구현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적 태양은 본 발명에 따른 (부가적으로 탄소 함유형인) LiMPO4 를 함유한 Li 스토리지 전지나 Li 이차 전지에 관한 발명이다. 이차 전지(리튬 이온 이차전지)는 JP 2002-151082 호에 소개된 사항으로 아래에 제시되는 잘 알려진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리튬 아이언 포스페이트는 이차 전지의 양극을 위한 물질로 사용된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리튬 아이언 포스페이트는 이차 전지의 양극을 제조하기 위한 표준 프로세스에 따라, 바인더 및 전기 전도성 첨가제와 혼합된다. 이차 전지는 그후 이 양극으로부터, 그리고 음극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물질, 가령, 메탈릭 리튬이나, 그래파이트같은 라미나 탄소 화합물로부터, 또는 LiBF4나 LiPF6같은 리튬 염이 용해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나 에틸렌 카보네이트 등과 같은 비수용성 전해질 용액으로부터(통상적으로 사용됨) 제조된다.
입자 크기 분포 결정
제조되는 프리커서 현탁액 및 LiMPO4 의 입자 크기 분포는 상용화된 장비를 이용하여 광-산란 방법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 방법에 익숙할 것이고, 이 내용은 JP 2002-151082 호 및 WO 02/83555 호에 개시된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그 내용들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된다. 이 경우에, 입자 크기 분포는 레이저 회절 측정 기기(on Masterizer S., Malvern Instruments GmbH, Herrenberg, DE) 및 이 제작자의 소프트웨어(버전 2.19)의 도움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Malvern Small Volume Sample Dispersion Unit, DIF 2002를
측정 유닛으로 이용하였다. 다음의 측정 조건이 선택되었다. 압축 범위: 활성 빔 길이 2.4mm, 측정 범위: 300 RF; 0.05~900 미크론. 시편 준비 및 측정은 제작자의 지시에 따라 수행되었다.
D90 값은 측정된 샘플의 입자들의 90%가 가지는 입자 직경의 값을 표시한다. 입자 직경은 D90 값보다 작거나 같다. 따라서 D50 값과 D10 값은 이 값들보다 작거나 큰 입자 직경을 가지는 측정 샘플의 입자들의 50 % 및 10%의 값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한가지 특정 선호 실시예에 따르면, D10 값, D50 값, D90 값 및 D90 및 D10 값들의 간의 차이에 대해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값들은 총 체적 내에서 각 입자들의 체적에 의한 비를 기반으로 한다.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르면, D10, D50, D90 값들은 표시되는 값보다 작거나 같은 입자 직경을 가지는 측정 샘플 내 입자들의 10% 볼륨비의 값, 50% 볼륨비의 값, 90% 볼륨비의 값을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값들이 유지될 경우, 특히 바람직한 물질들이 제공되고, 처리 성질 및 전기화학적 프로덕트 성질에 대한 (비교적 높은 볼륨비의) 비교적 굵은 입자들의 부정적 영향을 방지할 수 있다. D10 값, D50 값, D90 값, 그리고 D90 및 D10 값간의 차이에 대해 본원에서 제시된 값들이 입자들의 퍼센트 및 볼륨 퍼센트 모두에 기초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탄소 함유 조성물의 경우처럼 LiMPO4 외에 다른 성분들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의 경우에, 상기 광 산란 방법은 부적절한 결과를 유도할 수 있다. 왜냐하면, LiMPO4 입자들이 추가 물질(가령, 탄소 함유 물질)과 병합되어 더 큰 덩어리들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타입의 조성물에서 LiMPO4 의 입자 크기 분포는 다음의 방식으로 SEM 이미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소량의 파우더 샘플이 아세톤에 현탁되고, 10분동안 초음파를 이용하여 산포된다. 직후, 몇방울의 현탁액이 SEM(주사 전자 현미경)의 시편 슬라이드에 공급된다. 현탁액 및 상기 몇방울의 솔리드 농도는, 파우더 입자들의 단일층이 슬라이드 상에 형성되어 파우더 입자들이 서로를 덮는 것을 방지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몇방울들은 입자들이 침전을 통해 크기에 따라 분리될 수 있기 전에 신속하게 공급되어야 한다. 대기에서 건조한 후, 이 시편은 SEM의 측정 챔버 내로 전달된다. 본 예에서, SEM은 4mm의 시편 거리와 1.5kV의 여기 전압에서 필드 에미션 전극으로 동작하는 LEO 1530 기기이다. 20,000의 배율과 20가지 이상의 임의 발췌 배율이 시편에 대해 취하여진다. 이들은 각각 DIN A4 시트 상에 확대 스케일과 함께 인쇄된다. 가능하다면, 탄소 함유 물질과 함께 파우더 입자들을 형성하는, 10 개 이상의 자유롭게 판독가능한 LiMPO4 입자들이 20개 이상의 시트 각각에 대해 임의적으로 선택되며, 이때, LiMPO4 입자들의 경계는 솔리드의 직접 성장한 브리지들이 없을 때 형성된다. 그러나 탄소 물질에 의해 형성된 브리지들은 특정 경계에 속하는 것으로 카운팅된다. 이 선택된 LiMPO4 입자들 각각에 대해, 룰러(ruler)를 이용하여 투사시 가장 긴 축과 가장 짧은 축이 측정되고, 스케일 비율에 기초하여 진실한 입자 치수로 변환된다. 각기 측정된 LiMPO4 입자에 대해, 가장 긴 축 및 가장 짧은 축의 산술 평균이 입자 직경으로 규정된다. 그후, LiMPO4 입자들은 광 산란 측정을 이용할 때와 유사하게 크기 클래스로 분할된다. 관련된 LiMPO4 입자들의 수가 크기 클래스에 대해 분류될 경우, 그 결과는 입자들의 수에 기초한 차이 입자 크기 분포에 해당한다. 입자 수가 작은 입자 클래스로부터 큰 입자 클래스까지 누적하여 부가될 경우, 누적 입자 크기 분포를 얻을 수 있고, 이로부터 D10, D50, D90 값들을 크기 축 상에서 직접 읽을 수 있다.
본원의 방법은 LiMPO4 함유 전지 전극에 또한 적용된다. 이 경우에, 파우더 샘플보다는 전극의 잘려진 표면이 시편 슬라이드에 고정되어, SEM 하에서 검사된다.
사례:
사례 1: 열수 처리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를 이용한 LiMPO 4 제조
반응식
FeSO4·7H2O + H3PO4 + 3 LiOH·H2O -> LiFePO4 + Li2SO4 + 11H2O
LiFePO4 가 산화없이 대기 중 상온에서 최종 프로덕트로 저장될 수 있다.
표시된 반응식에 따라 LiFeIIPO4 를 제조할 때, LiFePO4 가 수용성 FeII 프리커서 용액으로부터 침전되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반응 및 건조/신터링은 보호 가스 하에서 또는 진공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FeII의 부분 산화를 방지하면서 FeIII을 형성할 수 있고 Fe2O3나 FePO4같은 부산물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프리커서 믹스처의 제조 및 침전
417.04 g의 FeSO4·7H2O가 대략 1 l의 추출된 물에 용해되고, 172.74g의 85% 강도 인산이 휘저어지면서 천천히 첨가된다. 배치(batch)는 그후 추출된 물과 함께 1.5 l까지 토핑된다. 산 용액이 400 rpm의 휘젓기 속도로 1 갤런 부피의 실험실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 배치되고, 대략 6-7 바의 질소가 이머전 파이프를 통해 오토클레이브에 공급되며, 그후 이 압력은 릴리프 밸브를 통해 다시 릴리프된다. 이 과정은 두번 반복된다.
188.82g의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LiOH·H2O가 1 l의 추출된 물에 용해된다.
산포 수단(IKA, ULTRATURRAX UTL 25 Basic Inline with dispersion chamber DK 25.11)가 릴리프 밸브와 하부 출구 밸브 사이에서, 오토클레이브에 연결된다. 그래서 본원에 따른 산포나 밀링 처리를 수행한다. 산포 수단의 펌핑 방향은 하부 출구 밸브 - 산포 수단 - 릴리프 밸브이다. 산포 수단은 제작자의 지시에 따라 중간 파워 레벨(13,500 rpm)에서 시작된다.
그후, 제조된 LiOH 용액은 돌출형 막 펌프를 이용하여 이머전 파이프를 통해 오토클레이브로 펌핑되고(변위 100%, 180 스트로크/분, 펌프의 최고 출력에 대응함), 이어서 대략 500~600 ml의 추출된 물로 씻겨진다(린스 처리). 이러한 동작은 20분동안 지속되며, 그동안 형성된 현탁액의 온도는 대략 섭씨 35도로 상승한다. 이 펌핑 및 린스 처리 후, 오토클레이브 내 현탁액은 섭씨 50도까지 가열된다. 연두색-갈색 계열 침전물이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첨가 후 형성된다.
LiOH를 첨가하기 이전에 개시되는 산포 수단은 (LiOH 용액이 섭씨 50도에서 펌핑된 후) 형성되는 고점성 현탁액의 강력 믹싱이나 밀링을 위해 대략 1시간동안 이용된다. 입자 크기는 D90=13.2 미크론이었다. 체적 기반 D90 값 역시 이와 유사하였다.
다음의 절차는 프리커서 현탁액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입자 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예에 앞서 주어진 방법을 참조할 때, 20 ~ 40 mg의 현탁액이 15 ml의 물에 현탁되고, 초음파 핑거를 이용하여 5분동안 산포된다(정격 전력 25와트, 60% 파우더). 이에 이어, 측정 유닛의 즉각적 측정이 뒤따른다. 시편 양의 정확한 세팅은 측정 유닛에서의 표시사항(녹색 측정 범위)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산포 수단의 이용은 침전된 점성 예비 믹스처의 강력 믹싱 및 응집성 저하를 도출한다. 발생하는 프리커서 현탁액의 침전 및 결정화 과정동안, 산포 수단의 플리-밀링이나 강력 믹싱은 동일한 크기의 작은 결정 핵들을 다량으로 가진 균질 믹스처를 제조한다. 이 결정 핵들은 차후 열수 처리 중 결정질화되어, 매우 균일하게 성장된 최종 프로덕트 LiFePO4 결정들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매우 폭좁은 입자 크기 분포를 얻을 수 있다. 산포 수단을 이용하여 도입되는 전력이나 에너지는 처리되는 프리커서 믹스처/현탁액에서, 각각 7kW/m3이나 7kWh/m3보다 크다.
열수 처리:
각각의 경우에 새로 제조된 현탁액은 실험실 오토클레이브에서 열수 방식으로 처리된다. 현탁액을 가열하기 전에, 오토클레이브는 질소로 퍼징되어, 오토클레이브로부터 열수 처리 이전에 존재하는 대기를 변위시킨다. 대략 섭씨 100~120도의열수 온도 이상에서 LiFePO4 가 형성된다. 열수 처리 후, 이 물질은 Seitz 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되며 세척된다. 세부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산포 수단이 스위칭 오프되어 차단된 후, 배치는 1.5시간동안 섭씨 160도까지 가열된다. 섭씨 160도에서 10시간동안 열수 처리가 수행된다. 이어서 3시간동안 섭씨 30도까지 냉각된다.
그후 LiFePO4 는 가시적 산화없이 섭씨 40도같은 온건한 온도의 건조 분위기나 대기 상에서 건조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 방식으로 얻는 물질을 다음과 같이 추가적으로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LiFePO 4 필터링
열수 처리 후, 냉각된 현탁액(최대 섭씨 30도)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오토클레이브의 하부 출구 밸브를 통해 압력 필터(Seitz 필터로 알려짐)로 펌핑된다. 이 과정에서, 돌출형 막 펌프가 설정되어, 5 바의 압력을 넘지 않게 된다. 그후, 세척 물의 전도성이 200 마이크로초/cm 아래로 떨어질 때까지, 필터 케이크가 추출된 물로 세척된다.
LiFePO 4 건조 및 응집성 감소
필터 케이크는 섭씨 70도의 진공 건조 캐비넷에서 밤새 프리-건조되어, 5% 미만의 잔류 수분 함량에 도달하고, 그후 섭씨 250도에서 100 l/h의 기체 형성 스트림(90% N2/10% H2) 하에서 보호 기체 오븐(Linn KS 80-S)에서 추가적으로 건조되어, 0.5% 미만의 잔류 수분 함량에 이른다. 그후, LiFePO4 가 실험실 로터 밀(Fritsch Pulverisette 14)에서 응집성감소된다(0.08 mm 스크린).
완성된 LiFePO4 의 이에 따른(즉, 산포 수단에 의한 처리, 열수 처리, 건조 및 응집성 감소 처리 후) 전형적인 입자 크기 분포는 도 1에서 나타난다. 발명에 따른 프로덕트들의 대형 입자 감소와 바람직한 입자 크기 분포를 보여주기 위해, 볼륨 기반 데이터가 제시된다. 입자 비율(%)에 기초한 값들을 다음과 같다: 0.50 미크론 미만의 D50 값, 0.35 미크론 미만의 D10 값, 2.0 미크론 미만의 D90 값, 1.5 미크론 미만의 D90 과 D10 값 간의 차이.
가루형 시편에서 입자 크기를 측정하는 데 다음의 과정이 이용될 수 있다. 입자 크기(분포)를 결정하기 위한 사례들에 앞서 설명한 방법을 참조할 때, 40mg의 파우더 시편이 15ml의 물에 현탁되어, 초음파 핑거를 이용하여 5분동안 산포된다. 이는 측정 유닛에서의 즉각적 측정으로 이어진다. 시편 양의 정확한 세팅은 측정 유닛에서의 표시사항(녹색 측정 범위)을 이용하여 개별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사례 2: 산포 수단 처리없이 LiFePO 4 제조(비교용)
비교를 위해, 사례 1에 기술한 바와 동일한 합성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LiFePO4 가 제조되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산포 수단을 이용하지 않은 점에 차이가 있다. 동일한 반응 조건 하에서, 성장한 덩어리 구조물들을 더 많이 가진 폭넓은 입자 크기 분포를 얻을 수 있었다. 산포 수단을 이용하지 않을 때, LiOH 용액의 첨가 후 D90 값(입자의 수나 볼륨비에 기초함)은 200 미크론보다 컸다. 완성된 LiFePO4 의 상당히 굵은 입자 크기 분포가 도 2에 제시된다. 볼륨 기반 데이터가 도시되어, 더 큰 입자들의 존재를 보여준다. 입자들의 비율에 기초한 D50 값은 0.8 미크론보다 컸다.
US 2003/124423 호, 10쪽, 문단번호 [0015]의 내용에 따라 제조된 LiFePO4 는 막자를 이용한 강력 믹싱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 따른 프로덕트의 입자 크기 분포를 구현할 수 없었다. 0.8 미크론 미만의 D50 값이나, 2 미크론 미만의 D90 및 D10 값의 차이를 얻을 수 없었다.
사례 3: 열수 처리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를 이용한 LiFePO 4 제조
사례 1에 기술된 바와 동일한 합성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LiFePO4 가 제조되었다. 다만, 산포 수단(IKA, ULTRATURRAX UTL 25 Basic Inline with dispersion chamber DK 25.11)이 최고 전력 레벨로 동작하였다. 산포 수단을 이용한 전력이나 에너지의 이용은 처리되는 프리커서 믹스처나 현탁액에서 각각 10kW/m3, 10kWh/m3을 넘었다. 산포 수단 처리 후 현탁액의 입자 크기는 D90 = 10.8 미크론이었다. 볼륨-기반 D90 값은 이보다 약간 아래였다.
열수 처리, 필터링, 건조, 그리고 응집성감소가 사례 1에서처럼 수행되었다. 이 경우에 완성된 LiFePO4 에 대한 결과들에 해당하는 전형적인 입자 크기 분포는 도 3에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덕트의 큰 입자들이 없고 바람직한 입자 크기 분포를 보여주기 위해, 볼륨 기반 데이터가 제시되었다. 입자들의 비(%)에 기초한 값들은 다음과 같다. 0.5미크론보다 작은 D50 값, 0.35 미크론보다 작은 D10 값, 2.0 미크론보다 작은 D90 값, 1.0 미크론보다 작은 D90 값 및 D10 값의 차.
전기화학적 테스트에서, 산포 수단을 이용하여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LiFePO4 는 산포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제조된 비교 물질에 비해, 높은 충전/방전 속도에서 특히 우수한 성질들을 보였으며, 공지 기술에 따른 순수 신터링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제조된 물질에 비해서도 높은 충전/방전 속도에서 특히 우수한 성질들을 보였다.
사례 4: 열수 처리를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LiFePO 4 제조
21.894 kg의 FeSO4·7H2O가 42 l의 탈이온 물에 용해되고, 9.0980kg의 85% 강도 인산이 휘저어 지면서 천천히 첨가되었다. 산 용액은 또다른 휘저음 수단을 이용하여 에나멜 200l 오토클레이브에 초기 전하로 배치되며, 45 rpm으로 휘저어진다. 오토클레이브의 헤드 공간은 오토클레이브가 닫히기 전에 질소로 퍼징된다. 산 용액은 대략 5kW 전력 소모 및 평균 7000 l/h의 측정 흐름 용량을 가지면서 원심 펌프를 이용하여 회전된다. 이 용액은 오토클레이브의 하부 출구 밸브를 통해 제거되고, 다시 탑 플랜지로 공급된다. 10.289 kg의 LiOH·H2O가 62 l의 탈이온 물에 용해된다. 이 알칼라인 용액은 모노펌프 및 인젝터 노즐을 통해 순환된 산 용액에 원심 펌프의 전달측을 통해 공급된다. 이 동작은 15분간 지속되며, 그동안 순환 용액의 온도가 섭씨 18.3도에서 42.1도까지 상승한다. 형성되는 현탁액은 추가로 45분동안 원심 펌프를 이용하여 순환되며, 45rpm으로 앵커 휘저음 수단을 이용하여 휘저어진다. 이 프로세스동안 온도는 섭씨 51.5도까지 상승한다. 발명에 따르면, 전체 동작 내내, 높은 레벨의 휘저음을 보이는 원심 펌프에 의해 미세 입자 현탁액이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사례 1에서 구현된 바에 필적할만한 입자 크기 분포를 얻을 수 있었다. 산포 처리를 통한 전력이나 에너지의 도입은. 처리되는 프리커서 믹스처나 현탁액에서 7KW/m3이나 7KW/m3을 넘었다.
외부 기기가 스위치 오프되어 차단된 후, 오토클레이브는 팽팽한 압력을 보이도록 닫히며, 90rpm의 연속 휘저음과 함께 가열되어 1.5 시간동안 섭씨 160도까지 가열된다. 그후 10시간동안 이 온도에서 유지된다. 그후 3시간동안 섭씨 20도로 냉각되고, 최종 LiFePO4 현탁액은 사례 1과 유사하게 Seitz 필터로 필터링된다. 여과액의 pH는 7.5이다. 그후 여과액이 480 마이크로초보다 작은 전도율을 가질때까지 탈이온 물로 세척된다. 백색 계열 회색인 솔리드 필터 케이크(유동성 경향을 가짐)는 진공 건조 캐비넷에서 섭씨 70도로 100 mbar 미만의 압력으로 밤새 건조되고, 0.08 mm 스크린으로 실험실 로터 밀(Fritsch Pulverisette 14)에서 응집성감소된다. 입자 크기 분포는 사례 1에서와 동일한 범위에 있다.
사례 5: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제저된 물질의 탄화
1kg의 건조 LiFePO4 파우더가 112g의 락토스 모노하이드레이트와 330g의 탈이온 물과 믹싱된다. 그후 섭씨 70도에서 100 mbar 미만의 압력으로 진공 건조 캐비넷에서 밤새 건조되어, 5% 미만의 잔류 수분 함량을 제공한다. 딱딱하고 경도높은 건조된 프로덕트는 손으로 부숴지며, 디스크 밀(Fritsch Pulverisette 13)에서 굵게 밀링된다. 이때 디스크 간격은 1mm이고, 이후 스테인레스 스틸 도가니로 옮겨져 보호 기체 챔버 오븐에 놓이게 된다(Linn KS 80-S). 이 챔버 오븐은 200 l/h의 질소 분위기 하에서 3시간동안 섭씨 750도까지 가열된다. 그후 5시간동안 이 온도에서 유지되고, 대략 36시간동안 상온으로 냉각된다. 탄소 함유 프러덕트는 0.08 mm 스크린으로 실험실 로터 밀(Fritsch Pulverisette 14)에서 응집성 감소된다.
탄소 함유 물질에 대한 사례들 이전에 제시한 바와 같은 입자 크기 분포의 SEM 분석은 다음의 값들을 제시한다. 즉, 0.6 미크론보다 작은 D50 값, 1.5 미크론보다 작은 D90 값 및 D10 값의 차를 제시한다.
Anderson 외 다수가 제안한 Electrochem. And Solid State Letters 3 (2) (2000), 66-68쪽에 공개된 박막 전극에서의 전기화학적 테스트에서, 본원에 따른 탄소 함유 물질(사례 1, 3, 4의 프로덕트로부터 시작)은 공지 기술에 따른 순수 신터링 프로세스에 의해 제조된 물질과 산포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제조된 비교 물질에 비해, 특히, 높은 충전 및 방전 속도에서, 우수한 성질들을 나타냈다.

Claims (40)

  1. 화학식 LiMPO4의 화합물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때, M은 제 1 전이 계열의 한개 이상의 금속을 나타내고, 상기 방법은,
    a. 한개 이상의 Li+ 소스, 한개 이상의 M2 + 소스, 그리고 한개 이상의 PO4 3 - 소스를 함유한 프리커서 믹스처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이에 따라 침전물을 형성하여 프리커서 현탁액을 제조하는 단계
    b. 프리커서 현탁액의 입자의 D90 값이 50 미크론 미만이 될 때까지 상기 프리커서 믹스처나 프리커서 현탁액을 산포 또는 밀렁 처리하는 단계, 그리고
    c. 열수조건 하에서의 반응에 의해 상기 b) 단계에 따라 획득한 프리서커 현탁액으로부터 LiMPO4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탁액의 입자들의 D90 값이 25 미크론 미만이며, 20 미크론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15 미크론 미만인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M은 Fe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거나 F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4.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M이 Fe, Mn, Co, Ni 중 한가지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5. 제 1 항 내지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가 순수 상 형태로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6. 제 1 항 내지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포 또는 밀링 처리는 플리커서 믹스처의 침전 이전 또는 침전 중에 사용되고, 침전이 완료될 때까기 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7. 제 1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포 처리는 프리커서 믹스처의 침전 이전에 사용되어, 하이 레벨의 결정 핵생성을 보장할 수 있고, 큰 결정 및 결정 덩어리들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8. 제 1 항 내지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수 조건 하에서 프리커서 믹스처나 현탁액의 반응 이전에 어떤 기화 작용도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9. 제 1 항 내지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수 조건 하의 프리커서 믹스처나 현탁액의 반응 이전에 어떤 신터링 작용도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10. 제 1 항 내지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수 조건 하의 반응에 이어 LiMPO4 가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11. 상기 프리커서 믹스처나 현탁액의 제조나, 열수 조건 하에서의 변환은 한개 이상의 추가 성분의 존재 하에서 발생하고, 상기 추가 성분은 탄소 함유 물질이거나 전자 전도 물질이며, 또는 전자 전도 물질의 프리커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12. 제 1 항 내지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전도 물질이 탄소 물질로서, 전도성 탄소나 탄소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13. 제 1 항 내지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전도 물질의 프리커서가 탄소 함유 물질로서, 설탕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14. 제 1 항 내지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리튬 소스가 LiOH 또는 Li2CO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15. 제 1 항 내지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되는 Fe2 + 소스가 Fe2 + 염으로서, FeSO4, FeCl2, FeNO3, Fe3(PO4)2, 또는 아이언의 오르가닐 염 중 한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16. 제 1 항 내지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O4 3 - 소스는 인산, 메탈 포스페이트, 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 또는 디하이드로젠 포스페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17. 제 1 항 내지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커서 믹스처의 용매로 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18. 제 1 항 내지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Li+ 소스, M2 + 소스는 수용액 형태로 사용되고, PO4 3 - 소스는 액체 또는 수용액 형태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19. 제 1 항 내지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리커서 현탁액에 형성되는 침전물은 LiMPO4 의 한개 이상의 프리커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리커서는 비비애나이트이며, LiMPO4를 형성하기 위한 반응은 열수 조건 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20. 제 1 항 내지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수 조건 하에서 섭씨 100~250도의 온도 및 1~40 바의 스팀 압력이 사용되며, 위 온도 및 압력 범위가 섭씨 100~180도 및 1~10 바인 것이 선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21. 제 1 항 내지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커서 믹스처의 성분들은 다음의 화학양론적 비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a. 1몰 Fe2 +: 1몰 PO4 3 -: 1몰 Li+ (1:1:1)
    b. 1몰 Fe2 +: 1몰 PO4 3 -: 3몰 Li+ (1:1:3)
    c. a와 b 간의 임의의 믹싱 비
  22. 제 1 항 내지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수 조건 하에서 프리커서 믹스처나 현탁액의 조합이나 반응은 동일 용기 내에서 비활성 기체 분위기 항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23. 제 1 항 내지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성 용매에서, M2 + 소스와 PO4 3- 소스가 비활성 기체 분위기에서 믹싱되고, 그후 보호 기체나 비활성 분위기 하에서 다시 한번 Li+ 소스가 추가되며, 그후 열수 조건 하에서의 반응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24. 제 1 항 내지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포 또는 밀렁 처리는 펌프 로터를 구비한, 또는 구비하지 않은 분산 수단, Ultraturrax, 콜로이드 밀이나 Manton-Gaulin 밀같은 분쇄기(mill), 강력 믹서, 원심 펌프, 인-라인 믹스처, 인젝터 노즐같은 믹싱 노즐, 또는 초음파 기기를 이용한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25. 제 1 항 내지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청구항 제 1 항의 단계 b에 따른 높은 전단 처리에 휘저음 수단이 사용되며, 상기 휘저음 수단은 Ultraturrax를 포함하며, 이때, 전력의 입력은 P = 2∏nM에 따라 연산되고, 이때, 상기 M은 토크, n은 회전 속도, 상기 전력은 최소 5kW/m3 이상이며, 7kW/m3이 선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26. 제 1 항 내지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따른 추가 성분이 프리커서 믹스처의 침전이나 반응에 결정화용 핵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27. 제 1 항 내지 26 항 중 어느 한 항의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는 LiMPO4.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 입자 크기(D50 값)가 0.8 미크론 미안이고, 0.7 미크론 미만인 것이 선호되며, 0.6 미크론 미만인 것이 더욱 선호되며, 0.5 미크론 미만인 것이 가장 선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29. 제 27 항 또는 28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들의 D10 값은 0.4 미크론 미만이고, 0.35 미크론 미만이 선호되며, D90 값은 3.0 미크론 미만이고, 2.5 미크론 미만이 선호되며, 2.0 미크론 미만이 가장 선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30. 제 27 항 내지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들의 D90 및 D10 값 간의 차이는 2 미크론 이하이고, 1.5 미크론 이하인 것이 선호되며, 1 미크론 이하인 것이 더욱 선호되고, 0.5 미크론 이하인 것이 가장 선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31. 제 27 항 내지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BET 표면적은 3.5 m2/g보다 크고, 4m2/g보다 큰 것이 선호되며, 5m2/g보다 큰 것이 더욱 선호되고, 10m2/g보다 큰 것이 더욱 선호되며, 15 m2/g보다 큰 것이 가장 선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32. 제 27 항 내지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LiMPO4를 함유한 전극 물질용 조성물.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한개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성분은 탄소 함유 물질 또는 전자 전도 물질, 또는 전자 전도 물질의 프리커서이며, 탄소, 전도성 탄소, 또는 탄소 섬유가 선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극물질용 조성물.
  34. 제 32 항 또는 33 항에 따른 전극 물질용 조성물을 함유한 2차 전지.
  35. 제 27 항 내지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극 물질로 이용하는 용도.
  36. 제 1 항 내지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수 처리 후 LiMPO4 가 필터링 또는 원심 처리에 의해 분리되고, 필요에 따라 건조되고 응집성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37. 제 1 항 내지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iMPO4 는 피롤리시스 프프로세스(pyrolysis process)에서의 열수 처리로부터 획득되고, 상기 피롤리시스 프로세스에서 설탕 또는 셀룰로스, 또는 락토스에 해당하는 카본하이드레이트를 함유하는 한개 이상의 탄소 프리커서 물질이 반죽 과정에 의해 LiMPO4와 혼합되고, 상기 반죽은 보조물로 물을 첨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프리커서 물질은 열수 합성 이후 분리에 의해 얻어지는 수분을 함유한 LiMPO4 필터 케이크에 첨가되고, 상기 LiMPO4 및 탄소 프리커서 물질의 믹스처가 섭씨 500 ~ 1000 도의 온도로 건조되고 가열되며, 섭씨 700~800도의 온도가 더욱 바람직하며, 그동안 탄소 프리커서 물질이 피롤라이징되어 탄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피롤리시스 프로세스에 이어 밀링 또는 응집성 감소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40. 제 38 항 또는 39 항에 있어서, 섭씨 50 ~200 도의 온도에서 보호 가스 하에서, 대기 분위기에서, 또는 진공 분위기에서 건조가 수행되고, 상기 피롤리시스 프로세스는 보호 가스 하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iMPO4 화합물 제작 방법.
KR1020067009375A 2003-11-14 2006-05-15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1209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53266A DE10353266B4 (de) 2003-11-14 2003-11-14 Lithiumeisenphosphat,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als Elektrodenmaterial
DE10353266.8 2003-11-14
PCT/EP2004/012911 WO2005051840A1 (de) 2003-11-14 2004-11-14 Lithiummetallphosph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als elektrodenmateria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112A true KR20060120112A (ko) 2006-11-24
KR101209016B1 KR101209016B1 (ko) 2012-12-07

Family

ID=3458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9375A KR101209016B1 (ko) 2003-11-14 2006-05-15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이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2) US7807121B2 (ko)
EP (2) EP2336085A3 (ko)
JP (1) JP4176804B2 (ko)
KR (1) KR101209016B1 (ko)
CN (1) CN1867514B (ko)
CA (1) CA2537278C (ko)
DE (1) DE10353266B4 (ko)
DK (1) DK1682446T3 (ko)
ES (1) ES2393974T3 (ko)
HK (1) HK1096371A1 (ko)
PL (1) PL1682446T3 (ko)
TW (1) TWI266744B (ko)
WO (1) WO20050518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266B1 (ko) * 2007-12-06 2014-08-22 쉬드-케미 아이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나노미립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90472B1 (en) * 2002-10-29 2008-06-24 Nei Corp. Method of making nanostructured lithium iron phosphate—based powders with an olivine type structure
EP1670960B1 (en) 2003-09-29 2007-06-20 Umicore Process and apparatus for recovery of non-ferrous metals from zinc residues
DE10353266B4 (de) * 2003-11-14 2013-02-21 Süd-Chemie Ip Gmbh & Co. Kg Lithiumeisenphosphat,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als Elektrodenmaterial
DE102005012640B4 (de) * 2005-03-18 2015-02-05 Süd-Chemie Ip Gmbh & Co. Kg Kreisprozess zur nasschemischen Herstellung von Lithiummetallphosphaten
DE102005015613A1 (de) * 2005-04-05 2006-10-12 Süd-Chemie AG Kristallines Ionenleitendes Nanomateria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1218172A (zh) * 2005-06-29 2008-07-09 尤米科尔公司 结晶的纳米LiFePO4
US8158090B2 (en) 2005-08-08 2012-04-17 A123 Systems, Inc. Amorphous and partially amorphous nanoscale ion storage materials
US8323832B2 (en) 2005-08-08 2012-12-04 A123 Systems, Inc. Nanoscale ion storage materials
US7939201B2 (en) 2005-08-08 2011-05-10 A123 Systems, Inc. Nanoscale ion storage materials including co-existing phases or solid solutions
US20070160752A1 (en) * 2006-01-09 2007-07-12 Conocophillips Company Process of making carbon-coated lithium metal phosphate powders
CN101432241B (zh) 2006-02-28 2013-08-21 普里梅精密材料有限公司 锂基化合物纳米颗粒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331457B1 (ko) * 2006-04-06 2013-11-21 토요타 찌도샤 카부시끼카이샤 리튬 이차 전지용 리튬 금속 인산염 양극 물질의 나노입자의 합성
US8491861B2 (en) * 2006-05-26 2013-07-23 Eltron Research, Inc. Synthetic process for preparation of high surface area electroactive compounds for battery applications
US20090280411A1 (en) * 2006-06-16 2009-11-12 Koji Ohira Positive electrode,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0984586B1 (ko) * 2006-07-14 2010-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철 인산 복합산화물(LiFePO₄)의 제조방법
CN100528746C (zh) * 2006-08-18 2009-08-19 河南环宇集团有限公司 湿法制备磷酸亚铁锂的方法及其制备的磷酸亚铁锂
CA2566906A1 (en) * 2006-10-30 2008-04-30 Nathalie Ravet Carbon-coated lifepo4 storage and handling
CA2672954C (en) 2006-12-22 2014-07-22 Umicore Synthesis of crystalline nanometric lifempo4
KR101401797B1 (ko) * 2006-12-22 2014-05-29 썽뜨르 나쇼날르 드 라 르쉐르쉐 씨엉띠삐끄 전기활성 결정성 나노메트릭 LiMnPO₄분말
CN105236378B (zh) * 2006-12-22 2018-10-02 尤米科尔公司 结晶的纳米LiFeMPO4的合成
JP4465412B2 (ja) * 2006-12-22 2010-05-19 ユミコア ソシエテ アノニム 電気活性な結晶質ナノメトリックLiMnPO4粉末の合成
WO2008081944A1 (ja) * 2006-12-28 2008-07-10 Gs Yuasa Corporation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材料、それを備えた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法
WO2008105490A1 (ja) * 2007-02-28 2008-09-04 Santoku Corporation オリビン型構造を有する化合物、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正極、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9032656A (ja) * 2007-02-28 2009-02-12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活物質の製造方法、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用活物質の品質モニタリング方法
CA2622675A1 (en) 2007-02-28 2008-08-28 Sanyo Electric Co., Ltd. Method of producing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of producing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method of producing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onitoring quality of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WO2008113570A1 (en) 2007-03-19 2008-09-25 Umicore Room temperature single phase li insertion/extraction material for use in li-based battery
KR100821832B1 (ko) * 2007-04-20 2008-04-14 정성윤 리튬전이금속 인산화물의 나노입자 분말의 제조방법
US8480987B2 (en) * 2007-04-20 2013-07-09 Sung Yoon Chung Method of preparing nanoparticles of lithium transition metal phosphates, lithium transition metal phosphates,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JP5293936B2 (ja) * 2007-05-21 2013-09-18 戸田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オリビン型複合酸化物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二次電池
KR20090125278A (ko) 2007-05-28 2009-12-04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리튬 이온 2차 전지를 위한 양극 활성 물질로서 리튬 인산철을 제조하는 방법
US20080303004A1 (en) * 2007-06-08 2008-12-11 Conocophillips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lithium transition metal polyanion powders for batteries
US20080305256A1 (en) * 2007-06-08 2008-12-11 Conocophillips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lithium vanadium polyanion powders for batteries
JP2009038013A (ja) * 2007-07-06 2009-02-19 Sanyo Electric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活物質の製造装置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用活物質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
EP2015382A1 (en) * 2007-07-13 2009-01-14 High Power Lithium S.A. Carbon coated lithium manganese phosphate cathode material
DE102007033460A1 (de) 2007-07-18 2009-01-22 Süd-Chemie AG Kreisprozess zur Herstellung von Bariumsulfat und Lithiummetallphosphatverbindungen
JP2009046383A (ja) * 2007-07-24 2009-03-05 Nippon Chem Ind Co Ltd リチウム鉄リン系複合酸化物炭素複合体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鉄及びリンを含む共沈体の製造方法
JP5281765B2 (ja) * 2007-07-27 2013-09-04 日本化学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鉄リン系複合酸化物炭素複合体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鉄及びリンを含む共沈体の製造方法
KR20090131680A (ko) * 2007-07-31 2009-12-29 비와이디 컴퍼니 리미티드 리튬 이온 2차 전지용 양극 활성 물질로서 리튬 철 인산염을 제조하는 방법
JP5352069B2 (ja) * 2007-08-08 2013-11-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正極材料、正極板、二次電池、及び正極材料の製造方法
JP5164477B2 (ja) * 2007-08-23 2013-03-21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US20090068080A1 (en) * 2007-09-06 2009-03-12 Valence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Active Materials For Use in Secondary Electrochemical Cells
DE102007045941A1 (de) * 2007-09-25 2009-04-16 Webasto Ag Fahrzeugklimaanlage mit Energieversorgun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 Fahrzeugklimaanlage
US20090119821A1 (en) * 2007-11-14 2009-05-14 Jeffery Neil Stillwell Belt with ball mark repair tool
US20090212267A1 (en) * 2007-12-22 2009-08-27 Primet Precision Materials, Inc. Small particle electrode materi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20090181291A1 (en) * 2008-01-11 2009-07-16 Lewis Ii Lucian R Surgical Instrument With Lithium Ion Energy Source Including Phosphates
CN102017277A (zh) * 2008-02-22 2011-04-13 S·E·斯鲁普 再循环电池材料中锂的再引入
JP2009238488A (ja) * 2008-03-26 2009-10-15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A2722547A1 (en) 2008-04-25 2009-10-29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Method for producing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cath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ies obtained by the production method, lithium ion battery electrode, and lithium ion battery
DE102008042498A1 (de) * 2008-09-30 2010-04-01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Pyrolyse von Kohlehydraten
ES2533426T3 (es) * 2008-10-22 2015-04-10 Lg Chem, Ltd. Fosfato de hierro y litio que tiene estructura de olivino y método para preparar el mismo
KR101169947B1 (ko) * 2009-01-06 2012-08-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DE102009010264B4 (de) * 2009-02-24 2015-04-23 Süd-Chemie Ip Gmbh & Co. Kg Verfahren zur Aufreinigung lithiumhaltiger Abwässer bei de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Lithiumübergangsmetallphosphaten
EP2237346B1 (en) 2009-04-01 2017-08-09 The Swatch Group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Electrically conductive nanocomposite material comprising sacrificial nanoparticles and open porous nanocomposites produced thereof
EP2228854B1 (en) * 2009-03-12 2014-03-05 Belenos Clean Power Holding AG Nitride and carbide anode materials
JP5347603B2 (ja) * 2009-03-16 2013-11-20 Tdk株式会社 活物質の製造方法、活物質、電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509918B2 (ja) 2009-03-27 2014-06-04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と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電極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電池
DE102009020832A1 (de) 2009-05-11 2010-11-25 Süd-Chemie AG Verbundmaterial enthaltend ein gemischtes Lithium-Metalloxid
JP5510036B2 (ja) * 2009-05-28 2014-06-04 Tdk株式会社 活物質、活物質の製造方法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1748406B1 (ko) * 2009-08-07 2017-06-16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양극 활물질의 제작 방법
CN102596797A (zh) * 2009-08-28 2012-07-18 普里梅精密材料有限公司 组合物及其制备方法
US20120009452A1 (en) * 2009-09-01 2012-01-12 Hitachi Vehicle Energy,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20120237425A1 (en) 2009-09-09 2012-09-20 Takahisa Nishio Ferric phosphate hydrate particl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olivine type lithium iron phosphate particle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PL2322473T3 (pl) 2009-10-15 2013-03-29 Sued Chemie Ip Gmbh & Co Kg Sposób usuwania rozdrobnionego materiału zanieczyszczającego z rozdrobnionego materiału mieszanego fosforanu litu i metalu
DE102009049693A1 (de) * 2009-10-16 2011-04-21 Süd-Chemie AG Phasenreines Lithiumaluminiumtitanphospha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EP2322476A1 (de) 2009-11-16 2011-05-18 Evonik Degussa GmbH Neue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ilicium
EP2322474A1 (de) 2009-11-16 2011-05-18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Pyrolyse von Kohlehydraten
DE102010006077B4 (de) 2010-01-28 2014-12-11 Süd-Chemie Ip Gmbh & Co. Kg Substituiertes Lithium-Mangan-Metallphosphat
DE102010006083B4 (de) 2010-01-28 2014-12-11 Süd-Chemie Ip Gmbh & Co. Kg Substituiertes Lithium-Mangan-Metallphosphat
US9269950B2 (en) 2010-01-28 2016-02-23 Johnson Matthey Public Limited Company Procedure to optimize materials for cathodes and cathode material having enhanc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JP5544934B2 (ja) * 2010-03-03 2014-07-09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DE102010018041A1 (de) 2010-04-23 2011-10-27 Süd-Chemie AG Kohlenstoffhaltiges Verbundmaterial enthaltend eine sauerstoffhaltige Lithium-Übergangsmetallverbindung
DE102010021804A1 (de) 2010-05-27 2011-12-01 Süd-Chemie AG Verbundmaterial enthaltend ein gemischtes Lithium-Metallphosphat
US20110300446A1 (en) 2010-06-03 2011-12-08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Lithium battery cathode composite material
TWI415324B (zh) * 2010-06-15 2013-11-11 Hon Hai Prec Ind Co Ltd 鋰電池電極材料的製備方法
EP2586084A2 (en) * 2010-06-22 2013-05-01 K2 Energy Solutions, Inc. Lithium ion battery
TW201213227A (en) * 2010-07-15 2012-04-01 Phostech Lithium Inc Battery grade cathode coating formulation
DE102010032206A1 (de) 2010-07-26 2012-04-05 Süd-Chemie AG Gasphasenbeschichtetes Lithium-Übergangsmetallphosphat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10032207B4 (de) 2010-07-26 2014-02-13 Süd-Chemie Ip Gmbh & Co. Kg Verfahren zur Verminderung von magnetischen und/oder oxidischen Verunreinigungen in Lithium-Metall-Sauerstoff-Verbindungen
US9590246B2 (en) 2010-09-03 2017-03-07 Showa Denko K.K. Method for producing lithium metal phosphate
EP2654110B1 (en) 2010-12-17 2016-07-06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Electrode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DE102010061504B4 (de) * 2010-12-22 2014-10-16 Technische Universität Berlin Verfahren zum Bestimmen eines Mahlgutes und Vorrichtung
CN102569794B (zh) * 2011-03-23 2015-05-20 江苏菲思特新能源有限公司 一种正极材料磷酸铁锂的碳包覆方法
JP2012204150A (ja) * 2011-03-25 2012-10-22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電極活物質の製造方法と電極活物質及び電極並びに電池
KR20140053875A (ko) * 2011-03-28 2014-05-08 미쯔이 죠센 가부시키가이샤 2차 전지용 전극 재료, 2차 전지용 전극 재료의 제조방법 및 2차 전지
US9225013B2 (en) 2011-04-22 2015-12-29 Showa Denko K.K. Method for producing cathode-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US9577249B2 (en) 2011-04-28 2017-02-21 Showa Denko K.K. Cathod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oducing said cathode material
US9884765B2 (en) 2011-06-17 2018-02-06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Ferrous phosphate powders, lithium iron phosphate powders for li-ion battery,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875771B2 (en) 2011-06-17 2020-12-29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Metal (II) phosphate powders, lithium metal phosphate powders for Li-ion battery,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029918B2 (en) 2011-06-17 2018-07-24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Ferrous phosphate powders, lithium iron phosphate powders for Li-ion battery,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448420B (zh) * 2011-06-17 2014-08-11 Nat Univ Tsing Hua 鋰離子電池之磷酸亞鐵前驅物、使用其製備之磷酸鋰鐵粉末、及其製作方法
US10593947B2 (en) 2011-06-17 2020-03-17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Metal (II) phosphate powders, lithium metal phosphate powders for Li-ion battery,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CA2835708A1 (en) * 2011-06-22 2012-12-27 Clariant (Canada) Inc. Improved carbon-deposited alkali metal oxyanion electrode material and process of preparing same
DE102011106326B3 (de) 2011-07-01 2013-01-03 Süd-Chem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nopartikulären Lithiumübergangsmetallphosphaten; nanopartikuläres Lithiumübergangsmetallphosphat und Kathode damit
US9249524B2 (en) 2011-08-31 2016-02-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oxid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wer storage device
US9118077B2 (en) * 2011-08-31 2015-08-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e oxid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wer storage device
DE102011112948B3 (de) 2011-09-13 2012-12-06 Gottfried Wilhelm Leibniz Universität Hannover Verfahren zur Verbesserung der elektrischen Leitfähigkeit von anorganischen Partikeln und deren Verwendung
CN102694168B (zh) * 2011-09-14 2014-04-23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磷酸锰锂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3047510A1 (ja) * 2011-09-29 2013-04-04 昭和電工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その製造方法
JP5364865B2 (ja) * 2011-09-30 2013-12-11 昭和電工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の製造方法
WO2013055792A1 (en) * 2011-10-10 2013-04-1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ize and morphologically controlled nanostructures for energy storage
EP2581345A1 (en) 2011-10-12 2013-04-17 Clariant Produkte (Deutschland) GmbH Separation of alkali earth metals and heavy metals by means of a selective cation exchange column in the buffering mode
US20130108802A1 (en) * 2011-11-01 2013-05-02 Isaiah O. Oladeji Composite electrodes for lithium ion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CN102522522A (zh) * 2011-12-02 2012-06-27 苏州冠硕新能源有限公司 一种纳米正极材料以及制备方法
CN102420327A (zh) * 2011-12-02 2012-04-18 苏州冠硕新能源有限公司 碳处理的正极材料以及它的制备方法
PT2791375T (pt) * 2011-12-12 2017-06-08 Res Inst Of Ind Science&Technology Método para a extração de lítio a partir de solução portadora de lítio
EP2604576B1 (de) 2011-12-12 2016-03-09 BK Giulini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thium-metallphosphat
DE102012000914B4 (de) 2012-01-18 2012-11-15 Süd-Chemi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hochreinen Elektrodenmaterialien
DE102012202586A1 (de) 2012-02-21 2013-08-22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ilizium über carbothermische Reduktion von Siliciumoxid mit Kohlenstoff in einem Schmelzofen
CN102820486A (zh) * 2012-06-28 2012-12-12 上海广为美线电源电器有限公司 大电流放电技术的磷酸铁锂电池组模块
KR101973052B1 (ko) 2012-08-10 2019-04-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금속인산화물의 제조방법
EP2698345A1 (en) * 2012-08-14 2014-02-19 Clariant International Ltd. Mixed sulphate containing lithium-iron phosphate
EP2698346A1 (en) * 2012-08-14 2014-02-19 Clariant International Ltd. Mixed sulphate containing lithium-manganese-metal phosphate
US20140147586A1 (en) * 2012-11-27 2014-05-29 Universite De Montreal Process for making an alkali metal oxyanion comprising iron
CN103050691A (zh) * 2012-12-17 2013-04-17 天津能元谷科技有限公司 磷酸铁锂前驱体的制备方法
JP6499083B2 (ja) 2012-12-20 2019-04-10 ユミコア 再充電可能電池用の負極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61377B1 (ko) 2013-01-10 2015-10-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인산철 나노분말 제조방법
KR101561373B1 (ko) 2013-01-10 2015-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인산철 나노분말 제조방법
KR101561378B1 (ko) * 2013-01-10 2015-10-20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 코팅 리튬 인산철 나노분말 제조방법
CN103107333B (zh) * 2013-01-31 2015-08-19 贵州安达科技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磷酸铁锂的制备方法及磷酸铁锂
EP2778126A1 (en) 2013-03-15 2014-09-17 Clariant International Ltd. Lithium transition metal phosphate secondary agglomerates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EP2778127A1 (en) 2013-03-15 2014-09-17 Clariant International Ltd. Lithium transition metal phosphate secondary agglomerates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JP2014179291A (ja) 2013-03-15 2014-09-25 Sumitomo Osaka Cement Co Ltd 電極材料及び電極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電池
CN103258993B (zh) * 2013-04-24 2015-11-25 北京化工大学 一种用于锂离子电池正极材料的磷酸铁锂粉体的制备方法
KR101580030B1 (ko) * 2013-07-09 2015-12-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 코팅 리튬 인산철 나노분말의 제조방법
RU2585646C2 (ru) * 2013-07-11 2016-05-27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инерал"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литий-железо-фосфата
CN105612640B (zh) 2013-10-02 2017-12-12 尤米科尔公司 碳涂覆的电化学活性粉末
EP3140254B1 (en) 2014-05-07 2018-07-04 Johnson Matthey Public Limited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arbon-coated lithium transition metal phosphate and its use
JP6231966B2 (ja) * 2014-09-30 2017-11-15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電極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電極、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電池
DE102014222664B4 (de) 2014-11-06 2023-12-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Kathode und/oder der Anode einer Lithium-Ionen-Zelle und Verwendung einer Lithium-lonen-Zelle
CN106698382A (zh) * 2015-11-12 2017-05-24 宁夏际华环境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磷酸铁锂生产工艺
JP6070882B1 (ja) 2016-03-29 2017-02-01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07954460A (zh) * 2016-10-14 2018-04-24 德阳威旭锂电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制备高白度和高纯度硫酸钡的方法
GB201719637D0 (en) * 2017-11-27 2018-01-10 Johnson Matthey Plc Cathode materials
CN107915239A (zh) * 2017-12-08 2018-04-17 天齐锂业股份有限公司 一种回收水热法生产磷酸铁锂废液制备高纯硫酸锂的方法
CN108264046B (zh) * 2018-03-05 2019-12-24 中国科学院山西煤炭化学研究所 一种石墨烯-沥青基活性炭及其制备方法和应用
TWI739098B (zh) * 2018-06-25 2021-09-11 國立清華大學 用於鋰離子電池之二價金屬磷酸鹽粉末和鋰金屬磷酸鹽粉末及其製備方法
JP6593511B1 (ja) * 2018-09-28 2019-10-23 住友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材料、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電極、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GB202002734D0 (en) * 2019-02-26 2020-04-08 Michot Christop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ositive electrode having the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GB201905177D0 (en) 2019-04-11 2019-05-29 Johnson Matthey Plc Lithium metal phosphate, its preparation and use
JP7328790B2 (ja) * 2019-05-13 2023-08-17 太陽誘電株式会社 セラミック原料粉末、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全固体電池
CN111483995A (zh) * 2020-04-18 2020-08-04 蒋央芳 一种磷酸铁锂的制备方法
GB202014766D0 (en) 2020-09-18 2020-11-04 Johnson Matthey Plc Cathode material
WO2022058737A1 (en) 2020-09-18 2022-03-24 Johnson Matthey Public Limited Company Cathode material
GB202104495D0 (en) 2021-03-30 2021-05-12 Johnson Matthey Plc Cathode material and process
CN114604842B (zh) * 2022-03-14 2023-07-07 鞍钢集团北京研究院有限公司 一种成核晶化隔离制备纳米磷酸钒钠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8745U (ko) * 1980-03-21 1981-10-20
US5910382A (en) 1996-04-23 1999-06-08 Board Of Regents, University Of Texas Systems Cathode materials for secondary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P3493568B2 (ja) * 1997-02-12 2004-02-03 光洋精工株式会社 自動車の舵取装置
JP2000198453A (ja) * 1998-12-29 2000-07-18 Robert Bosch Gmbh 車両のステア―バイ―ワイヤ操舵システム
US7416803B2 (en) * 1999-01-22 2008-08-26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Solid acid electrolytes for electrochemical devices
DE19920092C2 (de) * 1999-05-03 2002-11-14 Kostal Leopold Gmbh & Co Kg Lenk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EP1094523A3 (en) 1999-10-21 2003-06-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ateral heterojunction bipolar transis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6528033B1 (en) * 2000-01-18 2003-03-04 Valence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lithium-containing materials
DE10021814B4 (de) * 2000-05-04 2006-09-07 Daimlerchrysler Ag Lenk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7189475B2 (en) * 2000-07-27 2007-03-13 Kabushiki Kaisha Toyota Chuo Kenkyusho Lithium secondary battery
JP4495336B2 (ja) 2000-11-10 2010-07-07 株式会社Kri 鉄リン酸リチウムの製造方法。
DE10117904B4 (de) * 2001-04-10 2012-11-15 Zentrum für Sonnenenergie- und Wasserstoff-Forschung Baden-Württemberg Gemeinnützige Stiftung Binäre, ternäre und quaternäre Lithiumeisenphosphat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EP1261050A1 (en) * 2001-05-23 2002-11-27 n.v. Umicore s.a. Lithium transition-metal phosphate powder for rechargeable batteries
US6892605B2 (en) * 2002-03-04 2005-05-17 Delphi Technologies, Inc. Hand wheel actuator having stationary hub
US6815122B2 (en) * 2002-03-06 2004-11-09 Valence Technology, Inc. Alkali transition metal phosphates and related electrode active materials
US6938720B2 (en) * 2002-05-09 2005-09-06 Delphi Technologies, Inc. Steering input devices for steer-by-wire systems
US20040202935A1 (en) * 2003-04-08 2004-10-14 Jeremy Barker Cathode active material with increased alkali/metal content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442917A (zh) * 2003-04-08 2003-09-17 复旦大学 碳膜与LiFePO4复合纳米导电材料及其合成方法
US7348100B2 (en) * 2003-10-21 2008-03-25 Valence Technology, Inc. Product and method for the processing of precursors for lithium phosphate active materials
DE10353266B4 (de) * 2003-11-14 2013-02-21 Süd-Chemie Ip Gmbh & Co. Kg Lithiumeisenphosphat,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als Elektrodenmaterial
US7338647B2 (en) * 2004-05-20 2008-03-04 Valence Technology, Inc. Synthesis of cathode active materia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3266B1 (ko) * 2007-12-06 2014-08-22 쉬드-케미 아이피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나노미립자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6085A3 (de) 2012-04-18
EP2336085A2 (de) 2011-06-22
US20110017947A1 (en) 2011-01-27
PL1682446T3 (pl) 2013-01-31
ES2393974T3 (es) 2013-01-03
CA2537278C (en) 2007-11-13
JP2007511458A (ja) 2007-05-10
KR101209016B1 (ko) 2012-12-07
CN1867514A (zh) 2006-11-22
CN1867514B (zh) 2011-11-09
EP1682446A1 (de) 2006-07-26
DK1682446T3 (da) 2012-09-24
CA2537278A1 (en) 2005-06-09
WO2005051840A1 (de) 2005-06-09
DE10353266B4 (de) 2013-02-21
DE10353266A1 (de) 2005-06-16
HK1096371A1 (en) 2007-06-01
TWI266744B (en) 2006-11-21
US20070054187A1 (en) 2007-03-08
JP4176804B2 (ja) 2008-11-05
US7998618B2 (en) 2011-08-16
EP1682446B1 (de) 2012-08-22
US7807121B2 (en) 2010-10-05
TW200523210A (en) 200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9016B1 (ko) 리튬 금속 포스페이트 및 이의 제작 방법
CA2599481C (en) Cyclic process for wet-chemically producing lithium metal phosphates
US9577244B2 (en) Substituted lithium-manganese metal phosphate
EP2032504B1 (en) SYNTHESIS OF ELECTROACTIVE CRYSTALLINE NANOMETRIC LiMnPO4 POWDER
US20170084919A1 (en) Improved lithium metal oxide cathode materials and method to make them
US20090197174A1 (en) Synthesis of Electroactive Crystalline Nanometric LiMnPO4 Powder
EP2885247B1 (en) Mixed sulphate containing lithium-manganese-iron-metal phosphate
KR20090102793A (ko) 결정성 나노메트릭 LiFeMPO₄의 합성 방법
EP2698345A1 (en) Mixed sulphate containing lithium-iron phosph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