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088Y1 -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088Y1
KR200275088Y1 KR2020020005671U KR20020005671U KR200275088Y1 KR 200275088 Y1 KR200275088 Y1 KR 200275088Y1 KR 2020020005671 U KR2020020005671 U KR 2020020005671U KR 20020005671 U KR20020005671 U KR 20020005671U KR 200275088 Y1 KR200275088 Y1 KR 2002750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ormwork
sealing portion
protrusion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6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천
Original Assignee
정승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승천 filed Critical 정승천
Priority to KR20200200056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0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0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088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받침턱을 갖는 장방형의 프레임과 판넬로 구분되는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외측면(2-4)에는 전체에 걸쳐 보호돌기부(2-1)를 형성함과 더불어, 물결모양으로 돌출된 돌기부(4-1)와 이 돌기부 반대측에는 접착제가 미리 도포된 접착면(4-2)으로 형성된 실링부(4)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상기 실링부(4)의 재질이 실리콘, 고무 또는 발포성 수지이며, 또한 본 고안은 돌기부(4-1')가 톱니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프레임의 외측에 상단면이 굴곡되어 돌출된 돌기부(4-1)를 갖춘 실링부(4)를 접착,결합함으로서, 수평이나 수직 건축물 축조시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 또는 판넬과 프레임의 틈새로 수분이 누수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콘크리트의 내부에 수분이 장시간 동안 잔류되어 있어 견고한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실링부(4)를 스티커식 접착제로 프레임에 부착함으로 해서 조립이 간편해지고, 이것에 의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의 외측면에 보호돌기부(2-1)가 형성되어 있어, 이 보호돌기부에 의해 실링부의 외부 손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mold for building}
본 고안은 건축용 거푸집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레임의 외측 상단에 상단면이 굴곡된 돌기를 형성한 실링부를 접착,결합함으로서, 수평이나 수직 건축물 축조시에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 또는 판넬과 프레임의 틈새로 수분이 누수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콘크리트의 내부에 수분이 장시간 동안 잔류되어 있어 견고한 콘크리트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실링부 아래에 보호돌기부를 형성함에 의해 실링부의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푸집이란 일정한 폭을 갖는 벽이나 기둥을 설치할 때 내, 외벽에 수직으로 설치하거나 수평으로 설치하여 그 내면에 모르타르를 충진함으로서, 철골이 모르타르에 내장되어 견고히 벽체를 이루도록 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서,건축에 있어 기초적인 건축물 축조양식인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다양한 구조와 형상을 구비한 거푸집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며, 계속적인 기술 개발로 보다 효과적이면서 실용성 있는 거푸집을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초기의 거푸집은 각목으로 장방형의 프레임을 형성하고 그 프레임의 내측에는 복수의 각목을 덧대며 거푸집의 일측면에는 합판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여기에 대한 작용 및 효과는 이미 공지되어 있거나, 현재의 건축물 축조에서는 전혀 활용을 못하는 낙후된 기술 사상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최근에는 철재 앵글로 프레임을 형성하고 나무판재나 철판(이하 판넬이라 함)을 리벳으로 조립 부착한 소위 유럽식 거푸집이 안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0')을 철재 앵글로 된 프레임(11)과 판넬(12)을 구분하여 설명하면 프레임(11)의 측면에는 장방형의 연결공(11a)을 복수로 천공하고 상부 내측의 테두리에는 받침턱(11b)이 돌출 형성되며 프레임(11)의 모서리에는 리벳공(11'c)이 천공된 보강부재(11c)를 용접으로 접합된 구조에 상기판넬(12)을 받침턱(11b)에 안착하여 리벳트(13)로 리벳팅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이를 건축물 축조에 적용함에 있어 수평의 건축물에 한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0)을 수평상태로 설치하고 이의 하부에는 복수의 지지대(14)를 이용하여 거푸집(10)을 받쳐주게 되며, 통상 건축면적에 따라 복수의 거푸집을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설치된 거푸집(10)의 가장자리에는 같은 구조의 거푸집을 연속적으로 설치하되 프레임(11)에 형성된 연결공(11a)에는 다른 프레임과 연결되도록 쐐기(15)를 끼우게 되며 쐐기와 쐐기의 연결방식은 +형식으로 체결된다.
이와 같이 수평상태의 거푸집을 형성한 다음 건물의 층과 층을 형성케하는 공지의 거푸집을 수직으로 덧대어 형성된 장방형의 거푸집의 구역내에 철근 및 모르타르를 타설하게 되며 시간이 경과하면 할수록 점차 양생되어 견고한 콘크리트로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콘크리트에 함유된 다량의 수분이 주변의 온도나 바람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증발되는 것보다는 거의 대부분이 거푸집의 안으로 떨어지게 된다. 특히 프레임과 프레임 또는 판넬과 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이 가장 취약한 것으로서, 쐐기와 쐐기를 +형으로 견고하게 결속하여 프레임과 프레임을 밀착시킨 상태라도 금속성을 가진 프레임은 소정의 이격틈새가 형성됨은 물론 프레임의 내측에결합된 판넬 또한 리벳으로 리벳팅하더라도 소정의 이격 틈새가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이격틈새로 낙하되는 수분으로 인해 작업이 매우 불편하며, 또한 일정한 수분의 함량으로 장시간 동안 양생되어야 하는 콘크리트가 순간적으로 누수되는 수분 때문에 견고한 콘크리트로 형성되지 못한 상태에서 거푸집을 철거한 이후에는 콘크리트에 크랙이 발생되는데,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인해 직접적인 영향은 없더라도 어느 정도의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58600호에 소개된 것과 같은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를 고안하였다. 상기 거푸집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거푸집(10)에는 받침턱(20-2)을 갖는 장방형의 프레임(20) 및 판넬(30)로 구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의 내측 상부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앵글형상의 받침턱(20-2)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그 상측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된 앵글형상의 고무패킹(50)을 부착하고 상기 장방형으로 형성된 판넬(30)을 앵글 형상의 고무패킹(50)의 내측면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며, 프레임(20)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삼각형상의 보강부재(60)에 천공된 리벳공(60-1)은 상기 판넬(30)의 모서리에 천공된 리벳공(30-1)과 일치하여 리벳트(R)로 리벳팅하여 프레임(20)과 판넬(30)의 기밀 수단을 갖게 하며, 상기 프레임(20)의 외측면(b)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레일홈(20-1)을 형성하여, 내측에는 레일돌기(40-1)를 외측에는 트랙형 형상의 장방형으로 형성된 고무패킹(40)을 결합하여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프레임의 내측면의 받침턱에는 앵글형상의 고무패킹을 접합함과 동시에 외측면에는 레일홈을 형성하여 레일돌기를 갖는 고무패킹을 결합하는 것으로, 프레임과 판넬 및 프레임과 프레임의 사이에 틈새로 수분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거푸집(10)은 고무패킹(40)을 프레임(20)에 조립하고자 할 때에는 고무패킹의 레일돌기(40-1)를 프레임의 레일홈(20-1)속으로 일일이 끼워넣어야만되므로, 조립작업이 번거럽고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됨에 따라 조립성이 취약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접촉되는 고무패킹면이 직선으로 되어 있음에 따라, 이 고무패킹의 접촉면 사이로 모르타르에서 흘러나온 수분이 빠져나올 수 있음에 따라, 견고한 콘크리트로 양생되지 못하여 콘크리트에 크랙이 발생되는 등의 단점이 여전히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 고무패킹은 보호막이 없이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이로 인해, 거푸집 설치 및 해제시 서로 부딪쳐 고무패킹이 빠져나오거나 손상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프레임의 외측에 상단면이 굴곡된 실링부를 접착,결합함으로서, 수평이나 수직 건축물 축조시에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 또는 판넬과 프레임의 틈새로 수분이 누수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콘크리트의 내부에 수분이 장시간 동안 잔류되어 있어 견고한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스티커식 접착제로 실링부를 부착함으로 해서 조립이 간편해지면서, 실링부 아래에 형성되는 보호돌기부에 의해 외부 손상이 줄어들도록 된 건축물용 거푸집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인 거푸집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인 거푸집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인 거푸집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a의 거푸집이 서로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이 현장에서 사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기술로서, 도 1a,1b,1c에 대응되는 거푸집의 분리사시도,
도 5는 종래의 기술로서, 도 2에 대응되는 거푸집의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기술로서, 도 1a,1b,1c에 대응되는 또 다른 거푸집의 분리사시도,
도 7은 종래의 기술로서, 도 2에 대응되는 거푸집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거푸집, 2 --- 프레임,
2-1,2-1' --- 보호돌기부, 2-2 --- 받침턱,
2-3 --- 연결공, 3 --- 판넬,
3-1,6-1 --- 리벳공, 4 --- 실링부,
4-1,4-1' --- 돌기부, 4-2 --- 접착면,
5 --- 고무패킹, 6 --- 보강부재,
7 --- 쐐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받침턱을 갖는 장방형의 프레임과 판넬로 구분되는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외측면에는 전체에 걸쳐 보호돌기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물결모양으로 돌출된 돌기부와 이 돌기부 반대측에는접착제가 미리 도포된 접착면으로 형성된 실링부를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상기 실링부의 재질이 실리콘, 고무 또는 발포성 수지인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돌기부가 톱니모양으로 되는 것이며, 보호돌기부가 판금에 의해 돌출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돌기부가 삭제되고, 실링부의 하단이 깍여져 마무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인 거푸집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 1a의 거푸집이 서로 연결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거푸집(1)은 받침턱을 갖는 장방형의 프레임(2)의 내측 상부에 장방형으로 형성된 앵글형상의 받침턱(2-2)에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그 상측으로 장방형으로 형성된 앵글형상의 고무패킹(5)을 부착하고 상기 장방형으로 형성된 판넬(3)을 앵글 형상의 고무패킹(5)의 내측면에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며, 프레임(2)의 각 모서리에 형성된 삼각형상의 보강부재(6)에 천공된 리벳공(6-1)은 상기 판넬(3)의 모서리에 천공된 리벳공(3-1)과 일치하여 리벳(R)으로 리벳팅하여 프레임(2)과 판넬(3)의 기밀수단을 갖게 하며, 상기 프레임(2)의 외측면(2-4)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보호돌기부(2-1)가 형성되고, 이 보호돌기부 아래에는 연결공(2-3)이 형성되며, 상기 보호돌기부(2-1)내에 부착되는 실링부(4)는 바깥측면이 물결모양의 돌기부(4-1)와, 접착제가 미리도포된 스티커식 접착면(4-2)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4)의 재질은 실리콘, 고무 또는 발포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실링부(4)가 신축성을 보유하게 되어, 한번 사용하고 난 거푸집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M은 상기 거푸집(1)의 판넬(3) 상단면에 타설되는 모르타르이고, S는 바닥으로부터 거푸집(1)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대이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함에 있어서, 수평/수직의 건축물에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수평의 건축물에 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프레임(2)의 내측에 형성된 받침턱(2-2)에는 프레임(2)의 내측 크기와 같은 판넬(3)을 안착함에 있어서, 받침턱(2-2)에는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그 상측에는 앵글형상의 고무패킹(5)을 안착시켜 부착하고, 그 고무패킹(5)의 내측면에는 판넬(3)의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킨 다음 공지의 리벳(R)으로 프레임(2)의 내측 모서리에 형성된 보강부재(6)의 리벳공(6-1)에 끼워 판넬(3)을 종래와 같이 리벳팅한다. 이어서 프레임(2)의 외측면(2-4)에 형성된 보호돌기부(2-1) 사이에 실링부(4)를 결합하되, 이 실링부의 접착면(4-2)에는 미리 스티커형식으로 된 접착제가 부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프레임(2)에 실링부(4)가 부착되는 것이다. 이때 실링부의 돌기부(4-1)는 물결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될 돌기부(4-1)와 밀착되면서 결합되어 결합부위에서 수분이 아래로 떨어지지 않게된다.
이와 같이 거푸집(1)의 가장자리에 고무패킹(4)을 결합한 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통상적인 건축물 축조 방법과 같이 수평상태로 설치하고, 거푸집(1)의 하부에는 복수의 지지대(S)를 이용하여 거푸집(1)의 하중을 받쳐주게되며, 건물의 면적에 따라 복수의 거푸집을 상기 거푸집(1)의 가장자리에 연결하게 되고, 이때 연결하는 방법은 종래와 같이 일측의 거푸집(1)에 형성된 연결공(2-3)에 끼우게 되는 쐐기(7)와 타측의 거푸집(1)에 형성된 연결공(2-3)에 끼우게 되는쐐기(7)를 상호 연결하되 +형의 방법으로 체결되는 것이다.
한편, 거푸집(1)과 거푸집(1)을 쐐기(7)로 연결하게 되면 프레임(2)과 프레임(2)의 외측면(2-4)에 결착된 실링부(4)가 상호 밀착되면서, 상/하로 팽창되는 것으로 프레임(2)과 프레임(2)의 상측부분에 소정의 이격틈새를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링부(4) 둘레에 형성된 보호돌기부(2-1)에 의해, 실링부(4)가 거푸집 설치 또는 해제작업중 다른 거푸집에 의해 부딪쳐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인 거푸집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b를 참조하면, 거푸집(1')의 실링부(4')가 톱니모양으로 형성된 돌기부(4-1')를 형성하고 있으며, 판넬(3)을 지지하도록 형성된 받침턱(2-2')이 판금에 의해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프레임 전체에 형성된 것이 아니라,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여기서 거푸집의 모든 작용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중복을 피하고자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인 거푸집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c를 참조하면, 거푸집(1'')의 프레임(2'') 외측면(2-4)에 형성되던 상기 보호돌기부(2-1)가 삭제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보호돌기부의 적용여부가 결정되는 것이데, 이때 실링부(4'')의 형상은 상단부위의 모양이 물결모양의 돌기부(4-1)로 형성되나, 하단에서 깍여져 내려오는 형상으로 마무리된다. 따라서 실링부의 간섭이 적어 손상되는 확률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모든 작용은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을 피하고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같이 상세하게 설명된 본 고안에 의하면, 프레임의 외측에 상단면이 굴곡되어 돌출된 실링부를 접착,결합함으로서, 수평이나 수직 건축물 축조시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 또는 판넬과 프레임의 틈새로 수분이 누수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음에 따라, 콘크리트의 내부에 수분이 장시간 동안 잔류되어 있어 견고한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실링부를 스티커식 접착제로 프레임에 부착함으로 해서 조립이 간편해지고, 이것에 의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임의 외측면에 보호돌기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 보호돌기부에 의해 실링부의 외부 손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받침턱을 갖는 장방형의 프레임과 판넬로 구분되는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외측면(2-4)에는 전체에 걸쳐 보호돌기부(2-1)를 형성함과 더불어, 물결모양으로 돌출된 돌기부(4-1)와 이 돌기부 반대측에는 접착제가 미리 도포된 접착면(4-2)으로 형성된 실링부(4)를 갖추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4)의 재질이 실리콘, 고무 또는 발포성 수지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돌기부(4-1')가 톱니모양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보호돌기부(2-1')가 판금에 의해 돌출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돌기부(2-1)가 삭제되고, 실링부(4'')의 하단이 깍여져 마무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
KR2020020005671U 2002-02-26 2002-02-26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 KR2002750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671U KR200275088Y1 (ko) 2002-02-26 2002-02-26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671U KR200275088Y1 (ko) 2002-02-26 2002-02-26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088Y1 true KR200275088Y1 (ko) 2002-05-09

Family

ID=7311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671U KR200275088Y1 (ko) 2002-02-26 2002-02-26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08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451B1 (ko) * 2019-05-02 2020-01-09 고길륜 시멘트 페이스트의 누출 방지를 위한 건축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451B1 (ko) * 2019-05-02 2020-01-09 고길륜 시멘트 페이스트의 누출 방지를 위한 건축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31030A1 (en) CASSETTE FOR THE CASTING OF A CONCRETE FRAME.
US4914884A (en) Expansion joints
KR200275088Y1 (ko)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
JP4636938B2 (ja) タイル貼り壁構造
JP3908091B2 (ja) 上下の縦張り中空押出成形セメント板間の横目地防水構造
KR20200025634A (ko) 건축물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144131Y1 (ko) 건축용 거푸집의 구조
KR20110000288U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JPS5911159Y2 (ja) 壁板の取付け構造
JP3380094B2 (ja) 建物の壁際構造
CN220978398U (zh) 一种适配多种斜率楼承板的固定装置
JPH09195396A (ja) 縦張外壁板の接合水切金具
JPH09324498A (ja) 支持瓦
JPH1061033A (ja) 縦張外壁板の接合水切金具
JP3242382B2 (ja) ユニットルームのコーナ部の防水構造
JPH073102B2 (ja) 建築物の面構造体及びその下地材
JP3496210B2 (ja) ガラスブロック集合体
JP4454513B2 (ja) タイル貼りスライド壁構造
JP3860655B2 (ja) 建物の接合構造
JP3536826B2 (ja) 出隅部施工構造
JP4068767B2 (ja) 水切り材及び窓上又は窓下の防水構造
JP4555490B2 (ja) タイル貼り壁構造
JPH11336288A (ja) パネル接合金具および壁構造
JP3381754B2 (ja) 建物の壁際構造
JP2866686B2 (ja) ユニット住宅の床下換気口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