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3134B1 -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3134B1
KR102323134B1 KR1020210062335A KR20210062335A KR102323134B1 KR 102323134 B1 KR102323134 B1 KR 102323134B1 KR 1020210062335 A KR1020210062335 A KR 1020210062335A KR 20210062335 A KR20210062335 A KR 20210062335A KR 102323134 B1 KR102323134 B1 KR 102323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y body
input unit
expansion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규섭
Original Assignee
최규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규섭 filed Critical 최규섭
Priority to KR1020210062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31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3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3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가설된 전기케이블(L)을 떠받쳐 지지하는 트레이본체(100); 트레이본체(100)의 선단부와 후단부 상부에 각각 위치되게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어 트레이본체(10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해 트레이본체(100)를 승강시켜주는 승강유닛(200); 한 쌍의 승강유닛(200) 사이에 배치되게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승강유닛(200)에 의해 승강된 트레이본체(100)를 고정 및 해제하는 고정유닛(300); 승강입력부(400); 회전입력부(500); 풀림입력부(600);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전선케이블을 쉽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고, 가설될 배전선을 천장에 매달아 시공함에 따라 실내 이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Building trays that can protect electric cables}
본 발명은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기구로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사용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금속제 또는 불연성 재료로 제작된 유닛 또는 유닛의 집합체 및 그에 부속하는 부속재 등으로 구성된 견고한 구조물을 말하며 사다리형, 통풍 트러프형, 통풍 채널형, 바닥밀폐형 기타 이와 유사한 구조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터널, 공장,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한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장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기 않기 위해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여 정리정돈된 상태로 지지 고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케이블 트레이는 근처에 존재하는 배전반 등과 연결하기 위하여 전선관이 부착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상기 전선관을 접속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 측면에 홀 타공을 하여 전선관을 삽입함으로써 부착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홀 타공을 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 장비가 필요하고, 케이블 트레이의 변형에 의한 강도저하 및 전선관을 부착 고정하는데 소용되는 비용, 시간 및 노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다른 방법으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에“C”형 찬넬을 설치하고, 전선관 클램프를 사용하여 전선관을 고정부착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종래특허는 지중배전선의 피복이 벗겨져 발생되는 누전에 대해서는 확인이 어려웠으며, 결국 이러한 문제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보수 등을 위해 접근할 경우 누전으로 인한 감전위험이 상당하다는 점에서 안전상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8848호
본 발명은 배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고, 가설될 배전선을 천장에 매달아 시공함에 따라 실내 이용자에게 불폄함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단부와 후단부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구, 제1결합구 사이에 배치되게 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구를 갖추고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ㄷ’자 형상의 사이드레일과,
양단이 사이드레일의 내면에 맞대어지게 사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매개로 사이드레일에 고정되어서 배전선을 지지하는 렁과,
렁의 상면에 얹혀져 배전선을 떠받치는 호 형상의 받침대, 받침대에 얹혀져 받침대와 함께 전선케이블을 감싸 억류하는 덮개, 덮개로부터 하향연장되어 렁에 착탈가능하게 걸려 고정되는 탄성을 갖춘 고정레그로 이루어진 전선고정기구로 구성된 트레이본체;
트레이본체의 선단부와 후단부 상부에 각각 위치되게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신축구동부와,
신축구동부에 의해 동작되어 트레이본체를 승강시키는 신축부와,
신축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연결구구동부와,
트레이본체의 제1결합구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돌기를 갖추고서 연결구구동부에 설치되고, 연결구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며, 트레이본체와 신축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로 구성된 승강유닛;
승강유닛 사이에 위치되게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역‘Y’자 형상의 프레임과,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트레이본체를 물거나 해제하며, 트레이본체의 제2결합구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걸림돌기가 말단부에 형성된 핑거부와,
양단이 핑거부에 각각 연결되어 핑거부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핑거부를 잡아당기는 스프링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핑거부가 벌어지도록 핑거부를 가압해 강제로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고정유닛;
신축구동부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승강입력부;
연결구구동부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입력부;
솔레노이드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풀림입력부;
렁에 설치되어 누전을 감지하는 누전감지센서;
승강입력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신축구동부를 동작제어하고, 회전입력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연결구구동부를 동작제어하며, 풀림입력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솔레노이드를 동작제어하며, 누전감지센서로부터 누전감지신호를 전달받아 경고부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주변으로 불빛 및 음향을 방출하는 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선케이블을 쉽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고, 가설될 전선케이블을 천장에 매달아 시공함에 따라 실내 이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를 각기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의 측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에서 트레이본체의 사시도와 전선고정기구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에서 승강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에서 각 구성요소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를 각기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의 측면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에서 트레이본체의 사시도와 전선고정기구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에서 승강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에서 각 구성요소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는, 트레이본체(100)와 한 쌍의 승강유닛(200), 고정유닛(300), 승강입력부(400), 회전입력부(500), 풀림입력부(600) 및 제어부(7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전기케이블(L)을 쉽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가설될 전기케이블(L)을 천장에 매달아 시공함에 따라 실내 이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본체(100)는 사이드레일(110)과 렁(120) 및 전선고정기구(13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가설된 전기케이블(L)을 떠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이드레일(110)은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금속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나란하게 이격배치된다. 이러한 사이드레일(110)의 선단부와 후단부 상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제1결합구(1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사각형태로 관통된 제2결합구(112)가 일체로 형성되되, 제2결합구(112)는 제1결합구(111)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결합구(111)에는 연결구(240)의 결합돌기(241)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고, 제2결합구(112)에는 핑거부(320)의 걸림돌기(321)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상호 결합된다.
상기 렁(120)은 사이드레일(110)을 상호 연결시켜 주기 위한 부재로서, 사이드레일(110)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사이드레일(110)의 내면에 맞대어지고, 사이드레일(110)을 관통하는 체결수단(예:나사볼트)을 매개로 사이드레일(110)에 고정되어 일단에 커넥터(C)가 설치된 전기케이블(L)을 떠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선고정기구(130)는 받침대(131)와 덮개(132) 및 스토퍼(133)로 구성되어 전기케이블(L)을 렁(12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받침대(131)와 덮개(132)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호 형상, 좀 더 명확하게는 반원형을 이루고 있다. 받침대(131)는 렁(120)의 상면에 얹혀져 내측으로 인입되는 전기케이블(L)을 떠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덮개(132)는 받침대(131)의 상면에 배치되어 받침대(131)와 함께 전기케이블(L)을 감싸 억류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받침대(131)와 덮개(132)의 내주면에는 전기케이블(L)의 슬립을 제한하기 위해 요철모양으로 제작한 미끄럼방지부(131a,13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132)의 선단과 후단에는 하방으로 연장되어 받침대(131)의 선단과 후단에 배치되는 스토퍼(132b)가 일체로 형성되며, 스토퍼(132b)는 받침대(131)의 슬립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고정레그(133)는 덮개(132)의 스토퍼(132b)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렁(12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받침대(131)와 덮개(132)는 전기케이블(L)을 억류한 상태로 렁(120)에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전기케이블(L)은 전선고정기구(130)에 의해 안정적으로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스토퍼(132b)의 말단에는 렁(120)에 걸림 고정될 수 있게 삼각형상의 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유닛(200)은 신축구동부(210)와 신축부(220), 연결구구동부(230) 및 연결구(24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트레이본체(100)의 선단부와 후단부 상부에 각각 위치되게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어 트레이본체(10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해 트레이본체(100)를 승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신축구동부(210)는 공지의 서보모터로서,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신축부(220)를 늘리거나 줄여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신축부(220)는 신축구동부(21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어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트레이본체(100)를 승강(상하이동)시켜주는 공지의 다단 실린더이다.
상기 연결구구동부(230)는 통상의 스탭핑모터로서,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연결구(240)를 90˚씩 회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구(24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연결구구동부(230)의 축에 고정되어 연결구구동부(230)에 의해 회전되며, 양단부 상면에는 트레이본체(100)의 제1결합구(11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돌기(2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연결구(240)는 트레이본체(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트레이본체(100)의 제1결합구(111)와 결합돌기(241)를 상호 결합시켜 주게 되면, 연결구(240)를 매개로 트레이본체(100)와 승강유닛(200)이 상호 연결된다.
참고로, 상기 신축구동부(210) 및 신축부(220)는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2418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관계는 생략한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유닛(300)은 프레임(310)과 핑거부(320), 스프링(330) 및 솔레노이드(34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한 쌍의 승강유닛(200) 사이에 배치되게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승강유닛(200)에 의해 승강된 트레이본체(100)를 고정 및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310)은 역‘Y’자 모양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고정된다. 이러한 프레임(310)에는‘V’자 모양으로 절곡된 핑거부(320)가 프레임(310)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프레임(310)에 각각 핀을 매개로 힌지연결된다. 상기 핑거부(320)의 말단에는 삼각형상의 걸림돌기(321)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321)는 트레이본체(100)의 제2결합구(112)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트레이본체(100)를 억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핑거부(320) 사이에는 통상의 스프링(330:코일스프링)이 배치되며, 스프링(330)의 각 단은 핑거부(320)에 각각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스프링(330)은 핑거부(320)가 항상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핑거부(320)를 잡아당기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트레이본체(100)는 승강유닛(200)에 의해 승강되는 과정에 고정유닛(300)의 핑거부(320) 사이로 인입되는데, 이렇게 트레이본체(100)가 인입되면 스프링(330)에 의해 오므려져 있던 핑거부(320)는 자연스럽게 벌어졌다가 핑거부(320)의 걸림돌기(321)가 트레이본체(100)의 제2결합구(112)에 인입되면서 트레이본체(100)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트레이본체(100)는 승강유닛(200)의 핑거부(320)에 의해 고정되어 핑거부(320)를 트레이본체(100)로부터 해제하지 않으면 트레이본체(100)의 하강이 근본적으로 적으로 어려운 심각한 문제가 있는데, 이를 솔레노이드(340)로 해결하였다.
상기 솔레노이드(340)는 프레임(310)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솔레노이드(340)는 핑거부(320)의 일단부를 가압해 핑거부(320)가 핀의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강제로 벌어지도록 하는 로드(341)를 구비한다.
일 예로, 상기 솔레노이드(340)에 의해 로드(341)가 하강하게 되면 로드(341)에 의해 핑거부(320)가 가압되면서 벌어지고, 이 과정에 스프링(330)이 늘어나게 된다. 반대로 솔레노이드(340)에 의해 로드(341)가 상승하게 되면 핑거부(320)의 가압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됨에 따라 스프링(330)의 복원력에 의해 핑거부(320)가 오므려지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승강입력부(400)와 회전입력부(500), 풀림입력부(600), 제어부(7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승강입력부(400)와 회전입력부(500) 및 풀림입력부(600)는 통상의 리모트컨트롤러의 버튼으로서, 작업자가 승강입력부(400)를 누르게 되면 신축구동부(210)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회전입력부(500)를 누르게 되면 연결구구동부(230)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작업자가 풀림입력부(600)를 누르게 되면 솔레노이드(340)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는 두 개의 승강입력부(400) 버튼이 형성될 수 있는데, 하나는 승강유닛(200)을 상승시켜주기 위한 버튼이고, 다른 하나는 승가유닛(200)을 하강시켜주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상기 회전입력부(500) 버튼은 하나만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입력부(500)를 작업자가 누르게 되면 연결구구동부(230)가 90˚단위로 회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풀림입력부(600) 버튼은 하나만 형성될 수 있으며, 풀림입력부(600)를 작업자가 누르게 되면 솔레노이드(340)의 로드(341)가 돌출되면서 핑거부(320)를 가압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어부(700)는 통상의 마이컴으로서, 승강입력부(4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신축구동부(210)를 동작제어하게 되고, 신축구동부(210)는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신축부(220)를 늘리거나 줄어들게 함으로써 트레이본체(100)를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회전입력부(5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연결구구동부(230)를 동작제어하게 되고, 연결구구동부(230)는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90˚단위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700)는 풀림입력부(6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솔레노이드(340)를 동작제어하게 되고, 솔레노이드(340)는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로드(341)를 돌출시키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트레이본체(100)를 바닥에 배치한다.
상기 트레이본체(100)가 바닥에 배치되면, 작업자는 전기케이블(L)을 전선고정기구(130)를 이용해 렁(120)에 고정하는데,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기케이블(L)을 받침대(131)와 덮개(132)를 이용해 억류해 준다.
그 다음 렁(120)을 사이에 두고 고정레그(133)를 배치한 상태에서 렁(120)을 향해 가압하게 되면, 고정레그(133)가 벌어지면서 렁(120)의 하면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받침대(131)와 덮개(132)는 전기케이블(L)을 가압한 상태로 렁(120)에 고정됨은 물론 전기케이블(L)은 전선고정기구(130)에 의해 이탈이 제한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전기케이블(L)이 트레이본체(100)에 고정되면, 작업자는 승강입력부(400)를 눌러 승강유닛(200)의 신축부(220)가 하방을 향해 늘어나도록 해 준다.
즉, 작업자가 승강입력부(400)를 누르게 되면, 승강입력부(400)로부터 동작제어신호가 제어부(700)로 출력되고, 제어부(700)는 승강입력부(400)로부터 동작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신축구동부(21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신축구동부(210)에 의해 다단실린더인 신축부(220)는 하방으로 돌출된다.
참고로, 상기 신축구동부(210) 및 신축부(220)는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2418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신축부(220)가 하방으로 돌출되면, 작업자는 트레이본체(100)를 들어 올려 트레이본체(100)의 내측으로 연결구(240)가 인입되어 배치되도록 한 다음, 작업자는 회전입력부(500)를 눌러 연결구(240)가 회전되도록 한다.
즉, 작업자가 회전입력부(500)를 누르게 되면, 회전입력부(500)로부터 동작제어신호가 제어부(700)로 출력되고, 제어부(700)는 회전입력부(500)로부터 동작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연결구구동부(23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연결구구동부(230)에 의해 연결구(240)는 회전되어 트레이본체(100)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본체(100)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결구(240)가 배치되면, 작업자는 들고 있던 트레이본체(100)를 서서히 내려 트레이본체(100)의 제1결합구(111)에 연결구(240)의 결합돌기(241)를 끼움 결합시켜주면서 연결구(240)에 의해 트레이본체(100)가 매달린 상태로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구(240)를 매개로 트레이본체(100)와 승강유닛(200)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승강입력부(400)를 누르게 되면, 승강입력부(400)로부터 동작제어신호가 제어부(700)로 출력되고, 제어부(700)는 승강입력부(400)로부터 동작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신축구동부(21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신축구동부(210)에 의해 다단실린더인 신축부(220)는 서서히 줄어들면서 트레이본체(10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본체(100)가 승강유닛(20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 고정유닛(300)의 핑거부(320) 사이로 인입되는데, 이렇게 인입되는 트레이본체(100)에 의해 핑거부(320)는 서서히 벌어지게 되고, 스프링(330)은 벌어지는 핑거부(320)에 의해 인장된다.
그리고 트레이본체(100)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는 과정에 핑거부(320)의 걸림돌기(321)는 제2결합구(112)로 삽입되면서 트레이본체(100)를 물어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본체(100)가 고정유닛(300)에 고정되면, 작업자는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막기 위해 신축구동부(210)의 동작을 멈춰주며, 이와 같이 신축구동부(210)의 동작을 멈추더라도 고정유닛(300)이 트레이본체(100)를 견고하게 잡고 있기 때문에 트레이본체(100)는 낙하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도 7a 내지 도 7c와 같이 도시하였다.
한편, 트레이본체(100)를 교체해야 하거나 일부 구간에만 새로운 전기케이블(L)의 가설작업이 필요한 경우 트레이본체(100)를 건축물의 바닥으로 하강시켜주어야 하는데, 핑거부(320)가 트레이본체(100)를 물고 있기 때문에 핑거부(320)로부터 트레이본체(100)를 분리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 경우,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승강유닛(2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상태에서 풀림입력부(600)를 누르게 되면, 풀림입력부(600)로부터 동작제어신호가 제어부(700)로 출력되고, 제어부(700)는 풀림입력부(600)로부터 동작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솔레노이드(34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솔레노이드(340)는 제어부(7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로드(341)를 돌출시키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340)에 의해 로드(341)가 하강하게 되면, 로드(341)에 의해 핑거부(320)가 가압되어 축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벌어짐에 따라 승강유닛(200)을 이용해 트레이본체(100)를 하강시킬 수 있는 조건이 마련되며, 작업자는 승강입력부(400)를 눌러 승강유닛(200)를 이용해 트레이본체(100)를 하강시켜 준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트레이본체 110: 사이드레일 111: 제1결합구
112: 제2결합구 120: 렁 130: 전선고정기구
131: 받침대 131a: 미끄럼방지부 132: 덮개
132a: 미끄럼방지부 132b: 스토퍼 133: 고정레그
200: 승강유닛 210: 신축구동부 220: 신축부
230: 연결구구동부 240: 연결구 241: 결합돌기
300: 고정유닛 310: 프레임 320: 핑거부
321: 걸림돌기 330: 스프링 340: 솔레노이드
341: 로드 400: 승강입력부 500: 회전입력부
600: 풀림입력부 700: 제어부

Claims (1)

  1. 선단부와 후단부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구(111), 제1결합구(111) 사이에 배치되게 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구(112)를 갖추고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ㄷ’자 형상의 사이드레일(110)과,
    양단이 사이드레일(110)의 내면에 맞대어지게 사이드레일(110)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매개로 사이드레일(110)에 고정되어서 전기케이블(L)을 지지하는 렁(120)과,
    렁(120)의 상면에 얹혀져 전기케이블(L)을 떠받치는 호 형상의 받침대(131), 받침대(131)에 얹혀져 받침대(131)와 함께 전기케이블(L)을 감싸 억류하는 덮개(132), 덮개(132)로부터 하향연장되어 렁(120)에 착탈가능하게 걸려 고정되는 탄성을 갖춘 고정레그(133)로 이루어진 전선고정기구(130)로 구성된 트레이본체(100);
    트레이본체(100)의 선단부와 후단부 상부에 각각 위치되게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신축구동부(210)와,
    신축구동부(210)에 의해 동작되어 트레이본체(100)를 승강시키는 신축부(220)와,
    신축부(220)의 하면에 설치되는 연결구구동부(230)와,
    트레이본체(100)의 제1결합구(11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돌기(241)를 갖추고서 연결구구동부(230)에 설치되고, 연결구구동부(230)에 의해 회전되며, 트레이본체(100)와 신축부(2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240)로 구성된 승강유닛(200);
    승강유닛(200) 사이에 위치되게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역‘Y’자 형상의 프레임(310)과,
    프레임(310)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프레임(3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트레이본체(100)를 물거나 해제하며, 트레이본체(100)의 제2결합구(112)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걸림돌기(321)가 말단부에 형성된 핑거부(320)와,
    양단이 핑거부(320)에 각각 연결되어 핑거부(320)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핑거부(320)를 잡아당기는 스프링(330)과,
    프레임(310)에 설치되어 핑거부(320)가 벌어지도록 핑거부(320)를 가압해 강제로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340)로 구성된 고정유닛(300);
    신축구동부(210)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승강입력부(400);
    연결구구동부(230)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입력부(500);
    솔레노이드(340)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풀림입력부(600);
    승강입력부(4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신축구동부(210)를 동작제어하고, 회전입력부(5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연결구구동부(230)를 동작제어하며, 풀림입력부(6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솔레노이드(34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KR1020210062335A 2021-05-14 2021-05-14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KR102323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335A KR102323134B1 (ko) 2021-05-14 2021-05-14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335A KR102323134B1 (ko) 2021-05-14 2021-05-14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3134B1 true KR102323134B1 (ko) 2021-11-08

Family

ID=7849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335A KR102323134B1 (ko) 2021-05-14 2021-05-14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31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892B1 (ko) * 2022-01-20 2022-04-14 (주)세정이에프씨 건축물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물
KR102494116B1 (ko) * 2022-07-22 2023-02-06 (주)제이티엔지니어링 연결이 편리한 지중송전라인 접속장치
KR102531435B1 (ko) 2022-09-19 2023-05-12 신영비엠이 주식회사 전기 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안전형 건축물용 트레이
KR102531438B1 (ko) 2022-09-19 2023-05-12 신영비엠이 주식회사 누전사고 방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 트레이
KR102531439B1 (ko) 2022-09-22 2023-05-12 신영비엠이 주식회사 안전기능 탑재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지지대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331B1 (ko) * 2008-11-04 2009-06-11 (주)미동엔지니어링 배전선로 보호관
KR101627142B1 (ko) * 2015-12-08 2016-06-03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지중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
KR101848848B1 (ko) 2017-09-26 2018-04-16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케이블설치가 용이한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879159B1 (ko) * 2018-04-11 2018-08-14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 행거장치
KR101898126B1 (ko) * 2018-03-06 2018-09-12 금정엔지니어링(주) 건축물의 감전사고 방지형 전선 트레이
KR101966777B1 (ko) * 2018-05-25 2019-04-08 정일수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2043700B1 (ko) * 2019-04-30 2019-11-13 김경현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061060B1 (ko) * 2019-08-07 2019-12-31 (주)제이티엔지니어링 누전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131877B1 (ko) * 2019-11-26 2020-07-09 주식회사 청평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153682B1 (ko) * 2020-03-24 2020-09-09 주식회사 천하기술단 절연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KR102180543B1 (ko) * 2020-05-15 2020-11-18 (주)선경엔지니어링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구조
KR102201488B1 (ko) * 2020-07-30 2021-01-13 (주)세종기술단 건축물에 배선된 한전입찰용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
KR102206597B1 (ko) * 2020-04-23 2021-01-22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KR102246278B1 (ko) * 2020-09-04 2021-04-29 (주)한양기술단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331B1 (ko) * 2008-11-04 2009-06-11 (주)미동엔지니어링 배전선로 보호관
KR101627142B1 (ko) * 2015-12-08 2016-06-03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지중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
KR101848848B1 (ko) 2017-09-26 2018-04-16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케이블설치가 용이한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898126B1 (ko) * 2018-03-06 2018-09-12 금정엔지니어링(주) 건축물의 감전사고 방지형 전선 트레이
KR101879159B1 (ko) * 2018-04-11 2018-08-14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 행거장치
KR101966777B1 (ko) * 2018-05-25 2019-04-08 정일수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2043700B1 (ko) * 2019-04-30 2019-11-13 김경현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061060B1 (ko) * 2019-08-07 2019-12-31 (주)제이티엔지니어링 누전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131877B1 (ko) * 2019-11-26 2020-07-09 주식회사 청평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153682B1 (ko) * 2020-03-24 2020-09-09 주식회사 천하기술단 절연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KR102206597B1 (ko) * 2020-04-23 2021-01-22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KR102180543B1 (ko) * 2020-05-15 2020-11-18 (주)선경엔지니어링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구조
KR102201488B1 (ko) * 2020-07-30 2021-01-13 (주)세종기술단 건축물에 배선된 한전입찰용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
KR102246278B1 (ko) * 2020-09-04 2021-04-29 (주)한양기술단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6892B1 (ko) * 2022-01-20 2022-04-14 (주)세정이에프씨 건축물 천정 전기 케이블 설치구조물
KR102494116B1 (ko) * 2022-07-22 2023-02-06 (주)제이티엔지니어링 연결이 편리한 지중송전라인 접속장치
KR102531435B1 (ko) 2022-09-19 2023-05-12 신영비엠이 주식회사 전기 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안전형 건축물용 트레이
KR102531438B1 (ko) 2022-09-19 2023-05-12 신영비엠이 주식회사 누전사고 방지가 가능한 공동주택용 전선 트레이
KR102531439B1 (ko) 2022-09-22 2023-05-12 신영비엠이 주식회사 안전기능 탑재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3134B1 (ko)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KR102324856B1 (ko) 건축물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트레이
KR102323131B1 (ko)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장치
KR102326004B1 (ko)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KR102040438B1 (ko) 천장면에 설치되는 소방용 전기기구의 가요전선관 커넥터 겸용 고정구
US7410150B1 (en) Winch safety switch for a hoist
US20050056757A1 (en) Industrial hanger for metal framing
KR101530169B1 (ko) 케이블릴 콘센트 승강장치
US20080037264A1 (en) Fixture lowering device
KR101824187B1 (ko) 늘어짐을 방지하는 배전선 연결장치
KR102410814B1 (ko) 가요전선관 연결용 커넥터 천장 고정판
SK147699A3 (en) Christmas tree stand
KR100880020B1 (ko) 천정에 설치된 콘센트 승하강장치
KR102247853B1 (ko) M바(M-bar) 고정용 금속제 가요전선관 커넥터를 겸용한 기구설치 보강대
WO2024007452A1 (zh) 固定装置、固定装置安装方法及墙体施工方法
KR100796210B1 (ko) 벽면 매설용 건축 전기 콘센트박스
EP3786383A1 (en) Wall lock device, assembly comprising the wall lock device and building comprising the assembly
CN210273341U (zh) 一种施工作业层用电电缆架设装置
CN210669375U (zh) 一种可快速安装的防火线槽
CN211143839U (zh) 一种装配式侧顶支撑装置
JP3818593B2 (ja) 建築工事用安全索の案内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安全索取付構造
JP4201892B2 (ja) 高所吊り用具
KR102672261B1 (ko) 점검작업이 편리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용 접속장치
KR102672256B1 (ko) 편이성이 향상된 누전감지형 다기능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KR200442254Y1 (ko) 무대소품을 동일한 속도로 승강토록 하는 배튼 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