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777B1 -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777B1
KR101966777B1 KR1020180059646A KR20180059646A KR101966777B1 KR 101966777 B1 KR101966777 B1 KR 101966777B1 KR 1020180059646 A KR1020180059646 A KR 1020180059646A KR 20180059646 A KR20180059646 A KR 20180059646A KR 101966777 B1 KR101966777 B1 KR 101966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module
support
unit
cable tr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수
Original Assignee
정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일수 filed Critical 정일수
Priority to KR1020180059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moving or conveying the objects or other work, e.g. conveyor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05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구조용 형강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 및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케이블 트레이를 포함하고, 지지 부재는 구조용 형강에 결합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착탈 조절부, 착탈 조절부의 하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부, 제1 지지부에 대해 수직으로 제1 지지부의 말단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에 대해 수직이며, 제1 지지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제2 지지부의 말단에 형성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CABLE TRAY ASSEMBL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용 형강에 대한 케이블 트레이의 지지를 용이하게 하고, 케이블 트레이의 폭 또는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하며 외관의 오염 및 미세 손상을 방지가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의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구조물 등에는 전원의 공급이나 각종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이 다발의 형태로 배설되는 바, 이러한 케이블의 설치는 미관의 저하나 통행자와의 간섭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천장이나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이루어지고, 특히 배선 위치의 한정을 위해 케이블은 주로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에 의해 구속된 상태로 배선 된다. 또한 고층 구조물에 케이블 트레이를 설치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바와 같이, 구조용 형강(H-Beam; 10)에 대해 서포트 부재(20)를 용접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케이블 트레이(30)가 지지받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즉 서포트 부재(20)의 메인 지지부(22)는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그 상단부위가 구조용 형강(10)의 하부 플랜지(12)의 저면에 용접으로 결합되고, 메인 지지부(22)에 대해 서브 지지부(24)가 수평한 방향으로 결합되어 케이블 트레이(30)의 저면부위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서포트 부재(20)는 구조용 형강(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수량을 설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의 서포트 부재(20)를 매개로 케이블 트레이(30)를 지지하는 작업에서는 구조용 형강(10)의 하부 플랜지(12)에 대해 메인 지지부(22)의 상단부위를 매번 용접해야 하므로 상기 서포트 부재(20)의 설치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층구조물의 경우 대부분 고공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30)는 그 폭이 획일적인 구조로 제작되기 때문에 많은 양의 케이블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폭이 넓은 형태의 케이블 트레이(30)를 교체해야 하므로 작업의 생산성을 크게 저해하게 된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 자체의 외관의 오염 및 미세 손상을 방지가 용이하여 케이블 트레이의 장기간 사용이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용 형강에 대한 케이블 트레이의 지지를 용이하게 하고, 케이블 트레이의 폭 또는 길이를 용이하게 조절하도록 하며 외관의 오염 및 미세 손상을 방지가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 구조용 형강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케이블 트레이를 포함하는 배선용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로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구조용 형강에 결합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착탈 조절부와, 상기 착탈 조절부의 하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해 수직으로 상기 제1 지지부의 말단에 형성되는 제2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대해 수직이며, 상기 제1 지지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지부의 말단에 형성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형강, 상기 지지부재,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표면처리 가공되는 케이브 트레이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케이블 트레이의 고정 지지를 위해 구조용 형강에 설치되는 서포트 부재의 착탈 구조를 단순화시켜 서포트 부재의 설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함과 동시에 작업성의 개선을 통해 근로자의 피로도를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선되는 케이블의 종류 또는 양에 따라 트레이의 저판부에 대한 폭 또는 길이의 크기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트레이에 의한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케이블 트레이 자체의 외관의 오염 및 미세 손상을 방지하여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부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지지부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작동도이다.
도 15 내지 도 19은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 내지 도 21는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에 관한 사시도의 일 예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부재에 관한 사시도의 일 예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로 하면,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는 배선용 케이블(미도시')을 지지하기 위해 구조용 형강(10')에 결합되는 지지 부재(100') 및 지지 부재(100')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케이블 트레이(200')를 포함한다. 지지 부재(100')는 착탈 조절부(110'), 제1 지지부(120'), 제2 지지부(130'), 제3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착탈 조절부(110')는 구조용 형강(10')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 조절부(110')는 구조용 형강(10')의 하부플랜지(12')에 끼워지도록 상하 대향하는 부위에 일체로 형성되는 플랜지(110a'), 플랜지(110a')의 내측 대향면에 고정되어 구조용 형강(10')의 하부 플랜지(12')에 결합되는 자성체(110b'), 플랜지(110a')에 나사 결합되어 구조용 형강(10')의 하부 플랜지(12')에 대해 플랜지(110a')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110c')를 포함한다. 따라서 지지 부재(100')는 착탈 조절부(110')의 플랜지(110a')의 내측 대향면에 고정된 자성체(110b')를 매개로 구조용 형강(10')의 하부 플랜지(12')에 대해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때의 고정 지지력은 플랜지(110a')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체결볼트(110c')를 하부 플랜지(12')에 대해 긴밀하게 체결시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플랜지(110a')의 하면에는 제1 지지부(120')가 결합되므로, 제1 지지부(120')는 착탈 조절부(110')에 대해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20')는 바(bar') 형태일 수 있다. 제1 지지부(120')의 일단은 플랜지(110a')의 하면과 결합하며, 다만 제1 지지부(120')는 축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플랜지(110a')의 하면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20')는 케이블 트레이(200')의 좌측판과 접촉되며, 케이블 트레이(200')가 좌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20')의 상단은 착탈 조절부(110')와 결합되고, 하단은 제2 지지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30')의 좌측단은 제1 지지부(120') 및 제2 지지부(130')가 수직하도록 제1 지지부(120')의 하단 우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지지부(130')는 케이블 트레이(200')의 저판과 접촉되며, 케이블 트레이(200')를 안착 지지할 수 있다.
제2 지지부(130')의 좌측단은 제1 지지부(120')의 하단과 결합되고, 우측단은 제3 지지부(140')의 하단과 결합된다. 제3 지지부(140')의 하단은 제2 지지부(130') 및 제3 지지부(140')가 수직하도록 제2 지지부(130')의 우측단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지지부(140')는 제2 지지부(130')와 평행하며, 제3 지지부(140')의 길이는 제2 지지부(130')의 길이보다 짧으며, 케이블 트레이(20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3 지지부(140')는 케이블 트레이(200')의 우측판과 접촉되며, 케이블 트레이(200')가 우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부재(100')는 케이블 트레이(200')가 안착될 뿐만 아니라, 좌우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고층 구조물과 같은 고공의 작업 장소에서 구조용 형강(10')에 대해 보다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크게 단축함과 동시에 작업성의 개선을 통해 근로자의 피로도를 경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제1 내지 제3 지지부(120, 130, 140')의 전체적인 구조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제1 내지 제3 지지부(120, 130, 140') 각각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지지부에 관한 사시도의 일예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제1 지지부는 제1 프레임(120-1') 및 제2 프레임(120-2')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20-1')은 파이프(pipe') 타입으로서, 하단으로부터 제2 프레임(120-2')이 삽입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0-2')의 상단은 제1 프레임(120-1')으로 삽입되며, 하단은 제2 지지부(130')와 수직으로 연결된다. 도 4에서는 제1 및 제2 프레임(120-1, 120-2')이 사각기둥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20-1')의 일측면 하단부에는 제1 홀(121')이 형성된다. 제2 프레임(120-2')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제2 홀(122')이 형성된다. 이경우 제1 홀(121') 및 복수의 제2 홀(122')은 하나의 직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프레임(120-2')이 제1 프레임(12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사용자는 제1 지지부가 바람직한 길이로 되었을 때에 복수의 제2 홀(122') 중 어느 하나와 제1 홀(121')을 관통하는 핀(300')을 삽입함으로써, 제2 프레임(120-2')을 제1프레임(120-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지지부에 관한 사시도의 일예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제2 지지부는 제3 프레임(130-1') 및 제4 프레임(130-2')을 포함한다. 제3 프레임(130-1')은 파이프 타입으로서, 우측단으로부터 제4 프레임(130-2')이 삽입될 수 있다. 제4 프레임(130-2')의 좌측단은 제3 프레임(130-1')으로 삽입되며, 우측단은 제3 지지부(140')와 수직으로 연결된다. 도 5에서는 제3 및 제4 프레임(130-1, 130-2')이 사각기둥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면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프레임(130-1')의 일측면 우측단에는 제3 홀(131')이 형성된다. 제4 프레임(130-2')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제4 홀(132')이 형성된다. 이경우 제3 홀(131') 및 복수의 제4 홀(132')은 하나의 직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프레임(130-2')이 제3 프레임(13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우로 이동하며, 사용자는 제2 지지부가 바람직한 길이로 되었을 때에 복수의 제4 홀(132') 중 어느 하나와 제3 홀(131')을 관통하는 핀(300')을 삽입함으로써, 제4 프레임(130-2')을 제3프레임(130-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지지부에 관한 사시도의 다양한 예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하며, 이하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3 지지부(140')의 하단은 제4 프레임(130-2')의 우측단에 결합되므로, 제4 프레임(130-2') 및 제3 지지부(140')는 수직하다. 또한 제3 지지부(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에 따른 높이를 형성하므로, 케이블 트레이가 우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3 지지부(140')는 제5 프레임(140-1') 및 제6프레임(14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5 프레임(140-1')은 도 6(a')에서 설명한 제3 지지부(140')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제6 프레임(140-2')은 제5 프레임(140-1')과 수직하다. 구체적으로 제6 프레임(140-2')은 일정한 길이를 형성하며, 제4 프레임(130-2')과 평행하도록 우측단은 제5 프레임(140-1')의 상단과 결합될 수 있다.
도 6(b')에서는 제6 프레임(140-2')이 제5 프레임(140-1')에 수직하게 고정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프레임(140-1')의 상단에 힌지(hinge, 141')가 결합되며, 힌지(141')를 사이에 두고 제5 프레임(140-1') 및 제6 프레임(140-2')이 연결될 수 있다. 힌지(141')에 연결된 제6 프레임(140-2')은 제5 프레임(140-1')과 다양한 각도를 이루며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6 프레임(140-2')을 바깥쪽으로 젖힌 상태에서 케이블 트레이를 제2 지지부에 안착시킨 후 제6 프레임(140-2')을 안쪽으로 회전시켜 케이블 트레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지지 부재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케이블 트레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사시도의 다양한 예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의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케이블 트레이가 길이 방향으로 조절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7에서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케이블 트레이(200A')는 제1 트레이(210') 및 제2트레이(220')를 포함한다. 도 7에서는 두 개의 트레이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복수의 트레이가 연결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레이(210')는 저판부(211'), 한쌍의 측판부(212')를 포함한다. 한 쌍의 측판부(212')는 각각 저판부(211')의 좌측 및 우측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한 쌍의 측판부(212')는 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트레이(210')의 폭 방향에 따른 단면은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제2 트레이(220')는 제1 트레이(210')와 동일한 형상이다. 다만 제2 트레이(220')의 저판부(221') 폭은 제1 트레이(210')의 저판부(211') 폭보다 클 수 있다. 특히 제2 트레이(220')의 양 측판부(222') 내면 사이의 거리는 제1 트레이(210')의 양 측판부(212') 외면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트레이(210')는 제2 트레이(220')의 내부로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케이블 트레이(200A')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케이블 트레이(200A')의 길이 신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딩 가이드 역할을 하는 구성이 제1 및 제2 트레이(210, 22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트레이(210')의 일 측판부(212')는 플레이트(plate') 형상의 측판 본체(212-1') 및 측판 본체(212-1') 사이에 형성된 측판 홈(212-2')을 포함한다. 측판 홈(212-2')은 측판 본체(212-1')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측판 홈(212-2')은 양 측판부(212')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트레이(210')의 측판 홈(212-2') 내부의 폭은 제2 트레이(220')의 측판 홈(222-2') 외부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트레이(210')는 제2 트레이(220')의 내부로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케이블 트레이(200A')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케이블 트레이가 폭 방향으로 조절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8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트레이(230')는 저판부(231'), 측판부(232')를 포함한다. 측판부(232')는 저판부(231')의 좌측에서 상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제3 트레이(230')의 폭 방향에 따른 단면은 ‘ㄴ’자 형상일 수 있다. 제4 트레이(240')는 제3 트레이(230')와 동일한 형상이며, 다만 도 8(a')와 같이 제3 트레이(230')와 좌우 방향으로 대칭인 상태에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트레이(230')는 제4 트레이(240')의 상면에 놓이게 되어, 폭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케이블 트레이(200B')의 폭 조절이 가능하다. 한편 케이블 트레이(200B')의 폭 신축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슬라이딩 가이드 역할을 하는 구성이 제3 및 제4 트레이(230, 24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케이블 트레이(200B')를 길이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트레이(230')의 저판부(231')는 플레이트 형상의 저판 본체(231-1') 및 저판 본체(231-1') 사이에 형성된 저판 홈(231-2')을 포함한다. 저판 홈(231-2')은 저판 본체(231-1')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저판 홈(231-2')은 복수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트레이(230')의 저판 홈(231-2') 내부의 폭은 제4 트레이(240')의 저판 홈(241-2') 외부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트레이(230')의 저판부(231')는 제4 트레이(240')의 저판부(241') 상면에 놓이게 되어, 폭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케이블 트레이(200B')의 폭 조절이 가능하다. 케이블 트레이가 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폭 방향으로도 조절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9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및 제6 트레이(250, 260'), 제7 및 제8 트레이(270, 280')는 각각 도 8의 제3 및 제4 트레이(230, 240')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5 및 제6 트레이(250, 260') 결합체는 제7 및 제8 트레이(270, 280')결합체에 삽입될 수 있으며, 그 방식은 도 7의 제1 트레이(210')가 제2 트레이(220')에 삽입되는 방식과 동일하다. 따라서 케이블 트레이(200C')의 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폭 방향에 대해서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케이블 트레이(200')의 상부는 덮개(400')로 커버될 수 있다. 이경우 덮개(400')는 케이블 트레이(2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도 7 내지 도 9와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덮개(400')의 상면 폭(W2')은 케이블 트레이(200')의 하면 폭(W1') 폭보다 클 수 있다. 특히 덮개(400')의 양 측판부 내면 사이의 거리는 케이블 트레이(200')의 양 측판부 외면 사이의 거리와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정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를 모터와 스크류조합에 의해 자동으로 구성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스프레이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작동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표면처리 가공을 위한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컨베이어(100")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형강(10'), 상기 지지부재(100'), 상기 케이블 트레이(30') 중 적어도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피코팅물(110")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115")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115")에 배치되는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사프트(125")와,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되는 상방수평보(130")와,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되는 사이드 수직바(140")와, 상기 상방수평보(13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130")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142")을 구비한 이동블럭(145")과, 상기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147")을 구비하며, 피코팅물(110")에 도포되는 도포액를 공급받아 노즐(152")에 의해 피코팅물(110")에 분사하는 스프레이건(150") 및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가압된 공기를 제공하여 도포액를 피코팅물(110")에 분사시키는 공압펌프(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터 사프트(125")가 회전수단(1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에 고정된 상방 수평보(130")가 회전되고, 상방 수평보(130")의 양측에서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결합된 스프레이건(150")도 회전되는데, 스프레이건(150")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의 하방에서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피코팅물(110")의 모든 면에 코팅재가 노즐(152")에서 미세하게 분사되어 고른 두께로 도포되고, 코팅재의 도포시간도 단축된다. 그리고, 상방 수평보(130")와 상기 사이드 수직바(140")에는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 및 수직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눈금이 형성되는데, 작업자가 각 도포물에 따라 얻어진 도포액의 분사거리를 테이블화 하고, 이에 맞게 스프레이건(150")의 수평위치를 상방 수평보(130")에서 조절하고, 사이드 수직바(140")에서 수직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도포물에 맞게 미세하게 도포액을 분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수단(142")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방 수평부에 이동블럭(145")을 고정시키는 수직나사 및 이동블럭(145")에 수평으로 결합되어 사이드 수직바(140")를 이동블럭(145")에 고정시키는 수평나사이다. 또한, 제2 고정수단(147")은 스프레이건(150")을 사이드 수직바(140")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스프레이건(150")을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어야 하는데, 사이드 수직바(140")에 스프레이건(150")을 축 결합하여 연결하는 축바가 형성되고 외주부에 원주방향으로 홀이 형성된 연결판과 연결판의 홀을 통해 스프레이건(150")에 끼워짐으로써, 스프레이건(150")의 분사각을 고정하는 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15")의 일측에는 도포액를 공급하는 도포액 공급부(165") 및 상기 공압탱크(160")가 고정되고, 상기 센터 사프트(125")의 하부에는 상기 도포액 공급부(165")와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스프레이건(150")으로 도포액의 공급을 차단하는 도포액 개폐밸브(170")를 구비한 도포액 연결부(175")가 구비되고, 상기 도포액 연결부(175")의 하부에는 상기 공압탱크(160")와 상기 스프레이건(150")에 관(167")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프레이건으로 가압공기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압공기 차단밸브(176")를 구비한 공압 연결부(17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터 사프트(125")에는 모터(186")나 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블럭(145")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평이동수단(180")이 구비되는데, 모터(186")에 의해 이동블럭(145")을 이동시키는 경우, 모터(186")는 센터 사프트(125")에 상방 수평보(130")를 고정시키는 센터블럭(126")의 일면에 한 쌍이 고정되고, 모터(186")에는 스크류 환봉(187")에 연결되며, 스크류 환봉(187")은 이동블럭(145")의 저면부에 결합되는 암스크류(188")에 연결되고, 모터(186")의 구동에 의해 이동블럭(145")은 상방 수평보(130")에서 미끄럼 이동된다. 이때,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모터(186")에 결합된 엔코더에 의해 모터(186")의 축 회전수와 모터(186")의 일회전에 의해 스크류 환봉(187")에서 이동되는 암스크류(188")의 이동거리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모터(186")는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일정각도 로 회전되고, 모터(186") 축의 브레이크 기능이 있는 스텝모터(186")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의한 모터제어가 간단해질 수 있으며, 브레이크 기능에 모터(186")축을 홀딩하여 이동블럭(145")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블럭(145")은 모터(186")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를 설정하고, 제어부에 의해 이동거리에 맞는 회전수로 모터(186")가 회전됨으로써 상방 수평보(130")에서 이동되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거리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제어부에서 미리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이동블럭(145")에는 사이드 수직바(140")를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90")이 구비되는데, 높이조절수단(190")도 수평이동수단(180")과 마찬가지로 모터(186")와 스크류 조합, 또는 공압 실린더의 사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는, 높이조절수단(190")은 모터(196")가 이동블럭(145")에 수직으로 배치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이동블럭(145")에 축 결합되며, 모터(186")와 스크류 환봉(197")이 피니언 기어(199")로 연결되고, 스크류 환봉(197")이 스프레이건(150")에 고정된 암스크류(198")로 연결되며, 이동블럭(145")에 미끄럼 결합된 사이드 수직바(140")가 모터(196")의 구동에 의해 이동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는데, 이동블럭(145")의 이동방식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거리가 계산되고, 제어부에 의해 모터(196")의 회전수가 제어됨으로써 사이드 수직바(140")는 피코팅물(110")에 맞는 스프레이건(150")의 위치에 맞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레이건(150")의 노즐(152")은 스프레이건(150")의 단부에서 피코팅물(110")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센터 사프트(125")의 회전에 의해 스프레이건(150")이 회전되는 경우, 코팅재가 피코팅물(110")을 향해 하방으로 고르게 분사된다.
도 15 내지 도 21는 본 발명에 따른 범퍼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21는 본 발명의 표면처리 가공수단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21를 참조하면, 전술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 결속되어,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감쇄시키고 진동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멀티 범퍼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지지대를 거치하기 위한 제1 범퍼모듈(1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은, 상기 지지대의 단부 일영역이 안착되는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안착부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부(1112)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1 가압부(1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회전부(1113)가 구비 되는 제1-1 범퍼모듈(1110)과, 상기 지지대의 단부 타영역이 안착되는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가압부(2112)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상기 제2 가압부(2112)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회전부(2113)가 구비되는 제1-2 범퍼모듈(2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부(1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안착부(1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가압부(1112)의 상기 제1 안착부(1111) 대향면상에는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와,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가압부(2112)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안착부(2111) 대향면 상에는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와,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 및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이격거리 감지센서(S11)의 제1-1 정보값과 상기 제1-2 이격거리 감지센서(S2)의 제1-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이격거리 감지센서(S21)의 제2-1 정보값과 상기 제2-2 이격거리 감지센서(S22)의 제2-2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지지대는 바(bar) 형상체이며, 상기 지지대의 하단부에는 각각 상방에서 하방으로 테이퍼지도 록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유동 가능한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구비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호 간에 탄성수단(CM)으로 연동되어 수평방향 간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 록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정합을 이루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사이에서 내부로 가압되어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는 각각 내부로부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향하는 경사면의 외부로 출몰되는 돌기(O)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O)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다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O)에 의하여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상에 고정되며,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은, 적어도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 접하는 접촉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기(O)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O)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의 양측면 상에는 각각 높이방향 상으로 유동되는 승하강 수단(UP)이 구비되며,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상기 제1 회전부(1113)와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상면부 제1 수평영역 상에는 상기 지지대를 향하여 슬라이딩 방식으로 왕복 유동 가능한 고정수단(HM)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안착부(1111 및 상기 제2 안착부(2111) 상에 안착된 된상태에서,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의 상방 노출면인 제2 수평영역 적어도 일부 가압하도 록 유동되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수단(HM)을 하방으로 가압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하방으로 가압되도 록 한다.
상기 고정수단(HM)은 상기 제2 수평영역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빗변이 상기 지지대 반대편을 향하도 록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직삼각형상체이며,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바) 또는 플레이트 형상체로서, 챔퍼가 형성된 하단부로 둘레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고정수단(HM)의 상방을 가압하되, 상기 승하강 수단(UP)은 하단부가 상기 고정수단(HM)의 빗변 적어도 일부와 형합하도 록 접촉하여 가압한다.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 범퍼모듈(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범퍼모듈(2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3 안착부(3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3 회전부(3113)가 구비되는 제2-1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4 안착부(4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를 수평방향 상에서 일정영역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제4 회전부(4113)가 구비되는 제2-2 범퍼모듈(4110)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는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상기 제2 안착부(2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3 안착부(3111)와 상기 제4 안착부(4111)는 적어도 경사면 일부가 엘라스토머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하방에는 상방과 하방간의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펌핑모듈(PM)이 구비되며, 상기 펌핑모듈(PM)은, 하판부(BL)와, 상기 제3 안착부(3111),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기 제3 회전부(3113) 및 상기 제4 회전부(4113)가 거치되며, 상기 하판부(BL)로부터 탄성수단 및 폄핑수단을 매개로 상방과 하방 간에 유동 가능한 상판부(UL)를 포함한다. 상기 펌핑수단은 유체의 내장 및 토출을 위하여 유체가 내장되는 내장체(I)와, 외부 가압힘 또는 진동에 기반하여 상기 내장체(I) 상에서 일정하게 유동되어, 상기 내장체(I)의 상기 유체가 분사되도 록 하기 위한 가압체(P)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는 상호간에 인력 또는 척력을 발생시키도 록 각각 자성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체(I)는 수평방향 단부 상으로 분사노즐(N)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부(UL)와 상기 하판부(BL)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되, 상기 유체는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및 폴리스티렌 중 어느 하나인 열가소성 수지이거나, 유색을 띠는 기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 상에 1차 안착되되, 상기 제1 회전부(1113) 및 상기 제2 회전부(2113)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대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되거나, 기 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2 범퍼모듈(200) 상에 2차 안착된다.
도 20 내지 도 21는 본 발명의 범퍼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0 내지 도 21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 범퍼모듈은, 상기 제1 범퍼모듈(110)과 상기 제2 범퍼모듈 사이에 구비되는 서브 범퍼모듈(3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 범퍼모듈(300)은, 상기 제1-1 범퍼모듈(1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1 서브 가압부(1112S)와,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와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1 서브 회전부(1113S)가 구비되는 제1 서브 범퍼모듈(3110)과, 상기 제1-2 범퍼모듈(2110)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식으로 가압하기 위한 제2 서브 가압부(2112S)와,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와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를 수평방향 상에서 회전시키기 위한 제2 서브 회전부(2113S가 구비되는 제2 서브 범퍼모듈(411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1 서브안착부(1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1 서브 가압부(1112S)의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 대향면 상에는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와,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서브 가압부(2112S)는 브릿지(B1)를 매개로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를 진퇴시키며, 상기 제2 가압부(2112)의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 대향면 상에는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와,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가 구비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 및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과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또한,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1-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1S)의 제1-1 서브 정보값과 상기 제1-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12S)의 제1-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하고, 외부 모니터링 수단을 통해 상기 제2-1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1S)의 제2-1 서브 정보값과상기 제2-2 서브 이격거리 감지센서(S22S)의 제2-2 서브 정보값을 대비하여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는, 상기 제2서브 안착부(2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서브 안착부(2111S)는, 상기 제1 서브 안착부(1111)S)를 향하는 대각선 상방 측면부에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 하단부의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챔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L)(즉, (L’)과 동일)는, 외부 하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을 매개로 상기 제1 범퍼모듈(110)을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상에 안착되되, 상기 제1 서브 회전부(1113S) 및 상기 제2 서브 회전부(2113S의 선택적인 회전동작 제어에 기반하여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과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이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되거나,
기설정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제1 안착부(1111)와 상기 제2 안착부(2111)를 강제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제1 서브 범퍼모듈(3110) 상에 안착된다.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는 각각 다수의 완충구(EC가 구비되어, 상기 제1 범퍼모듈(100을 경유하는 상기 지지부(L)의 상기 제1 테이퍼 구조물(T1) 및 상기 제2 테이퍼 구조물(T2)과 접하며, 상기 완충구(EC)는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의 표면을 덮는 커버형 구조물로서 상호 이웃하여 복수로 배치된다.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포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 록 구비되며, 상기 완충구(EC)는 내부에 유체 저장을 위한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3 안착부(3111) 및 상기 제4 안착부(4111) 상에서 내부로부터 외부로 출몰가능하도 록 구비된다.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3 회전부(3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1 외곽 가압부(5100)와, 상기 제1 외곽 가압부(5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구동부(5200)와, 상기 제1 구동부(5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 하단 패널부(5400)와, 상기 제1 상단 패널부(5300)와 상기 제1 하단 패널부(5400)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1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 록 구비되는 제1 캡슐패널(CP1)이 구비되는 제1 외곽 가압모듈(500)과, 상기 제1 외곽 가압모듈(5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 유동되어, 상기 제1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 배출수단(BM1)이 내장 되는 제1 배출모듈(550)과, 외측 대각선 하부면이 챔퍼가 형성되며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외곽을 가압하여 상기 제4 회전부(4113)의 유동을 제한하는 제2 외곽가압부(6100)와, 상기 제2 외곽 가압부(6100)에 상방 대각선 방향으로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구동부(6200)와, 상기 제2 구동부(6200)의 하방을 지지하는 제2 상단패널부(63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의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2 하단 패널부(6400)와, 상기 제2 상단 패널부(6300)와, 상기 제2 하단 패널부(6400)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시각적 식별 및 후각적 식별을 위한 기체가 내장되는 제2 캡슐층이 다수 구비되어, 일정 수치의 가압힘이 가해지면 상기 기체가 외부로 유출되도 록 구비되도 록 하는 제2 캡슐패널(CP2)가 구비되는 제2 외곽 가압모듈(600)과, 상기 제2 외곽 가압모듈(600)의 외측에서 상방과 하방간에 일정 높이로유동되어, 상기 제2 캡슐층의 기체를 외부로 가속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2 배출수단(BM2)이 내장되는 제2 배출모듈(650)을 개시한다.
상기 제1 캡슐패널(CP1)은 제1-1 캡슐패널(CP11)과,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캡슐패널(CP12)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캡슐패널(CP2)은 제2-1 캡슐패널(CP21)과,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캡슐패널(CP22)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의 상기 제1 배출수단(BM1)은 제1 배출수단(BM11)과, 상기 제1 배출수단(BM1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1-2 배출수단(BM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의 상기 제2 배출수단(BM2)은 제2-1 배출모듈(BM21)과,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2 배출모듈(BM2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모듈(5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1 배출수단(BM11) 및 상기 제1-2 배출수단(BM12)이 상기 제1-1 캡슐패널(CP11) 및 상기 제1-2 캡슐패널(CP12)에 대응하도 록 유동되며, 상기 제2 배출모듈(650)은 상기 기체의 배출을 위하여, 상기 제2-1 배출모듈(BM21) 및 상기 제2-2 배출모듈(BM22)은 상기 제2-1 캡슐패널(CP21) 및 상기 제2-2 캡슐패널(CP22)에 대응하도 록 유동된다.
삭제
도 22 내지 도 24는 본 발명의 결속모듈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2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결속모듈은, 상기 컨베이어에서 저면부를 향하는 제1 지지체(L1)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지지체(L1)는 상방과 하방간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결속모듈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710)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은, 상기 제1 지지체(L1)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711)와, 상기 각 외장부(711)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712)와, 상기 외장부(711)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712)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체(L1)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713)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체(L1)는 상기 가압유닛(713)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713)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된다. 상기 가압유닛(713)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713a)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713c)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713b)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체(L1)의 상기 삽입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712)는 인접하는 상기 제1 지지체(L1)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접착물질(OM)이 충진된다.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HT1)이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712)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712)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OM)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BL1)이 구비된다. 내부에 접착물질(OM)은 상기 외장부(711)와 상기 내장부(712)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SP)을 통해 상기 내장부(712)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713a)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713b)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711), 상기 내장부(712), 상기 가압유닛(713) 및 상기 제1 지지체(L1)를 상호 결속시킨다. 상기 제1 지지체(L1)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MM1)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712)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SM1)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713)은 상기 인식수단(SM1)이 상기 식별수단(MM1)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은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SM1)과 상기 히팅부(HT1) 사이에는 단열수단(CM1)이 구비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7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81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810)은 핸들부(811)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bar)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812)와, 상기 핸들부(811)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720)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81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지지체(L1)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812) 및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811)에는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삽입체(813)과 연동되는 제2 조임부(814)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813)와 상기 제2 조임부(814)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812)와 상기 제2 삽입체(813)은 상기 핸들부(811)을 상기 제1 지지체(L1)측으로 가압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상응하는 제3 결속모듈(730) 및 제4 결속모듈(740)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결속모듈(730)은 상기 제2 결속모듈(72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2 체결수단(82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4 결속모듈(740)은 상기 제3 결속모듈(730)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3 체결수단(830)을 통해 결속된다.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710)과 대응하여 이웃하는 제2 지지체(L2) 상에 구비되는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2 결속모듈(72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체(L2) 상에 구비되는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3 결속모듈(73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체(L2) 상에 구비되는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4 결속모듈(740)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체(L2) 상에 구비되는 제8 결속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5 결속모듈(750)과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은 제4 체결수단(84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6 결속모듈(760)과 상기 제7 결속모듈(770)은 제5 체결수단(850)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7 결속모듈(770)과 상기 제8 결속모듈은 제6 체결수단(860)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2 체결수단(820) 내지 상기 제6 체결수단(860)은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응하는 것이다.
상기 제1 결속모듈(710) 내지 상기 제6 결속모듈(760)을 상호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모듈(900)이 구비되며, 상기 연동모듈(900)은 제1 실린더부(911)와,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1 체결수단(810)과 상기 제4 체결수단(840) 각각에 결속되는 제1-1 피스톤부(912) 및 제1-2 피스톤부(913)를 포함하는 제1 연동부(910)와, 제2 실린더부(921)와,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2 체결수단(820)과 상기 제5 체결수단(850) 각각에 결속되는 제2-1 피스톤부(922)와 제2-2 피스톤부(923)를 포함하는 제2 연동부(920)와, 제3 실린더부(931)와,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양측에서 진퇴유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상기 제3 체결수단(830)과 상기 제6 체결수단(860) 각각에 결속되는 제3-1 피스톤부(932)와 제3-2 피스톤부(933)를 포함하는 제3 연동부(93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실린더부(911) 및 상기 제3 실린더부(931)는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실린더부(921)의 둘레부에 제2 감지센서(S2)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실린더부(91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1-1 감지센서(S1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1-2 감지센서(S1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실린더부(931)의 둘레부 제1 영역에는 제3-1 감지센서(S31)가 구비되며, 제2 영역에는 제3-2 감지센서(S32)가 구비되고, 상기 제1-1 감지센서(S1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2 감지센서(S1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1 감지센서(S31)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와 대응하여 동일한 면적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3-2 감지센서(S32)는 상기 제2 감지센서(S2)보다 작은 면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1 피스톤부(912)와 상기 제2-1 피스톤부(92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4 연동부(9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1 피스톤부(922)와 상기 제3-1 피스톤부(932)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5 연동부(950)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피스톤부(913)와 상기 제2-2 피스톤부(92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6 연동부(960)가 구비되며, 상기 제2-2 피스톤부(923)와 상기 제3-2 피스톤부(933)를 높이 방향 간에 결속시키는 제7 연동부(970)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연동부(94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1 유동수단(940)이 구비된다. 상기 제5 연동부(95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2 유동수단(950)이 구비되며, 상기 제6 연동부(96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3 유동수단(960)이 구비되며, 상기 제7 연동부(970)의 상에는 둘레방향의 회전이 가능한 제4 유동수단(97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을 향하는 일측에 제4-1 감지센서(S4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보다 큰 제4-2 감지센서(S42)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을 향하는 일측에 제5-1 감지센서(S5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보다 큰 제5-2 감지센서(S52)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을 향하는 일측에 제6-1 감지센서(S6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보다 큰 제6-2 감지센서(S62)가 구비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을 향하는 일측에 제7-1 감지센서(S71)가 구비되며, 타측에는 면적이 상기 제7-1 감지센서(S71) 보다 큰 제7-2 감지센서(S7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 내지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에 기반하여,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는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는 상기 제7-2 감지센서(S72)와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는 상기 제6-1 감지센서(S61)과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는 상기 제7-1 유동수단(S71)과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은 상기 제4-1 감지센서(S4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를 이용하여,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은 상기 제5-1 감지센서(S5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유동수단(95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를 이용하여,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상기 제6-1 감지센서(S61)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1.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은 상기 제6-1 감지센서(S6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3 유동수단(96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6-2 감지센서(S62)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상기 제4-1 감지센서(S41) 또는 상기 제1 유동수단(94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4-2 감지센서(S4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하며,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은 상기 제7-1 감지센서(S71)를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제4 유동수단(970)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7-2 감지센서(S72)를 이용하여, 상기 제5 유동수단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1) 또는 상기 제5 유동수단의 둘레방향 회전 상태시의 상기 제5-1 감지센서(S52)의 설정 위치값을 감지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구조용 형강 100’: 지지 부재
110‘: 착탈 조절부 120’: 제1 지지부
130‘: 제2 지지부 140’: 제3 지지부
200‘: 케이블 트레이 300’: 고정핀
400‘: 덮개

Claims (13)

  1. 구조용 형강에 결합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케이블 트레이를 포함하는 배선용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로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구조용 형강에 결합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착탈 조절부와, 상기 착탈 조절부의 하면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에 대해 수직으로 상기 제1 지지부의 말단에 형성되는 제2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에 대해 수직이며, 상기 제1 지지부가 형성된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지부의 말단에 형성되는 제3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형강, 상기 지지부재,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표면처리 가공수단을 통해 코팅처리되는 것이며,
    상기 표면처리 가공수단은,
    컨베이어 상에서 이송되는 상기 형강, 상기 지지부재, 상기 케이블 트레이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피코팅물의 일정높이에 고정된 고정부에 축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에 배치되는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센터 샤프트; 상기 센터 샤프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고정된 상방 수평보;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에 교차하게 수직으로 배치된 사이드 수직바; 상기 상방 수평보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가 수직으로 미끄럼 결합되며, 상기 상방 수평보에 고정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수단을 구비한 이동블럭; 상기 상방 수평보의 양측하부에서 상기 사이드 수직바에 미끄럼 결합되고, 상기 사이드 수직바에 고정되기 위한 제2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컨베이어는 저면부를 향하는 제1 지지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체는 상방과 하방간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를 따라 결속모듈이 구비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속모듈은 제1 결속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결속모듈은,
    상기 상기 제1 지지체에 결속되는 한 쌍의 외장부와,
    상기 각 외장부 내부에 연동되도록 구비되는 내장부와,
    상기 외장부에 연동되어 상기 내장부 상에서 진퇴유동방식으로 상기 제1 지지체를 가압시키는 가압유닛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체는 상기 가압유닛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상에 상기 가압유닛과 대응하는 소정의 삽입홈이 구비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최상단에 구비되는 제1 가압유닛과, 최하단에 구비되는 제2 가압유닛과, 중단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 제3 가압유닛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 지지체의 상기 삽입홈에 각각 선택적 또는 전체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내장부는 인접하는 상기 제1 지지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접착물질이 충진되며,
    상기 내장부의 상방에는 상기 내장부를 가열하여 상기 접착물질을 활성화 시키기 위한 히팅부가 구비되고,
    상기 내장부의 하방에는 상기 내장부를 냉각하여 상기 접착물질을 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냉각부가 구비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5. 청구항 4에 있어서,
    내부에 접착물질은,
    상기 외장부와 상기 내장부 간에 구비되는 공급관을 통해 상기 내장부 상에 공급되되,
    상기 제1 가압유닛 내지 상기 제3 가압유닛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공급되어 상기 외장부, 상기 내장부, 상기 가압유닛 및 상기 제1 지지체를 상호 결속시키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체의 외주면 상에는 식별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내장부의 상방에는 상기 식별수단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인식수단이 상기 식별수단을 인식에 기반하여 상기 삽입홈을 향해 진퇴유동되며,
    상기 인식수단과 상기 히팅부는 상호 인접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인식수단과 상기 히팅부 사이에는 단열수단이 구비되는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과 상응하는 제2 결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1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1 체결수단은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결속모듈 내부로 삽입되는 제1 삽입체와,
    상기 핸들부로부터 바 형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결속모듈 내부로 삽입되는 제2 삽입체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체는 상기 제1 삽입체와 상기 제2 삽입체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삽입체 및 상기 제2 삽입체는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핸들부에는 상기 제1 삽입체와 연동되는 제1 조임부와 상기 제2 삽입체와 연동되는 제2 조임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조임부와 상기 제2 조임부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삽입체와 상기 제2 삽입체는 상기 핸들부를 상기 제1 지지체측으로 가압하는 것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과 상응하는 제3 결속모듈 및 제4 결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결속모듈은 상기 제2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2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4 결속모듈은 상기 제3 결속모듈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호간에 제3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되,
    상기 결속모듈은,
    상기 제1 결속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제1 지지체와 이웃하는 제2 지지체 상에 구비되는 제5 결속모듈과,
    상기 제2 결속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체 상에 구비되는 제6 결속모듈과,
    상기 제3 결속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체 상에 구비되는 제7 결속모듈과,
    상기 제4 결속모듈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지지체 상에 구비되는 제8 결속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결속모듈과 상기 제6 결속모듈은 제4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6 결속모듈과 상기 제7 결속모듈은 제5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고,
    상기 제7 결속모듈과 상기 제8 결속모듈은 제6 체결수단을 통해 결속되며,
    상기 제2 체결수단 내지 상기 제6 체결수단은 상기 제1 체결수단과 상응하는 것인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059646A 2018-05-25 2018-05-25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1966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46A KR101966777B1 (ko) 2018-05-25 2018-05-25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646A KR101966777B1 (ko) 2018-05-25 2018-05-25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777B1 true KR101966777B1 (ko) 2019-04-08

Family

ID=6616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646A KR101966777B1 (ko) 2018-05-25 2018-05-25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77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134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KR102323131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장치
KR102324856B1 (ko) * 2021-05-20 2021-11-11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트레이
KR102326004B1 (ko) * 2021-05-14 2021-11-1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CN115059801A (zh) * 2022-06-20 2022-09-16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舶管路支撑架
KR102504183B1 (ko) * 2022-08-29 2023-02-28 (주)대건일렉트릭 전기공사의 트레이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39B1 (ko) * 2006-11-30 2007-10-23 (주)혜창 미세한 코팅막을 균일하게 성형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KR100848476B1 (ko) * 2008-01-28 2008-07-28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의 제작장치 및 방법
JP2009106033A (ja) * 2007-10-22 2009-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敷設物支持装置および支持方法
KR200446682Y1 (ko) * 2009-05-11 2009-11-20 이동언 그라운드 본딩 점퍼가 불필요한 케이블 트레이
KR20120001897U (ko) * 2010-09-06 2012-03-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
KR20160054781A (ko) * 2014-11-07 2016-05-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1854577B1 (ko) * 2017-11-20 2018-05-03 최건희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시공시스템을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639B1 (ko) * 2006-11-30 2007-10-23 (주)혜창 미세한 코팅막을 균일하게 성형하기 위한 스프레이 장치
JP2009106033A (ja) * 2007-10-22 2009-05-14 Mitsubishi Electric Corp 敷設物支持装置および支持方法
KR100848476B1 (ko) * 2008-01-28 2008-07-28 아인텍(주) 케이블 트레이의 제작장치 및 방법
KR200446682Y1 (ko) * 2009-05-11 2009-11-20 이동언 그라운드 본딩 점퍼가 불필요한 케이블 트레이
KR20120001897U (ko) * 2010-09-06 2012-03-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바스켓형 케이블 트레이
KR20160054781A (ko) * 2014-11-07 2016-05-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1854577B1 (ko) * 2017-11-20 2018-05-03 최건희 건설용 보수재의 혼합 시공시스템을 이용한 보수 보강 공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134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KR102323131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장치
KR102326004B1 (ko) * 2021-05-14 2021-11-1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KR102324856B1 (ko) * 2021-05-20 2021-11-11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트레이
CN115059801A (zh) * 2022-06-20 2022-09-16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舶管路支撑架
CN115059801B (zh) * 2022-06-20 2024-05-03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船舶管路支撑架
KR102504183B1 (ko) * 2022-08-29 2023-02-28 (주)대건일렉트릭 전기공사의 트레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777B1 (ko)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US9366382B2 (en) Regulation and/or locking device for a plate
KR101928361B1 (ko) 배관용 소방설비 시공방법
WO2006130934A8 (en) Apparatus with flexibly mounted spud carriage
AU2012202733B2 (en) Support post assembly for a safety line system
CN107938725B (zh) 一种地下综合管廊巡检机器人升降平台及其控制方法
KR20100113275A (ko) 버터플라이 밸브용 수압 테스트 장치
US20140041691A1 (en) Mobile washing apparatus
CN106015749B (zh) 一种用于管道的支承装置
KR101945195B1 (ko) 건물 외부 벽체의 보강 보수공법
KR101928702B1 (ko) 모듈러 주택의 조립용 지그
KR20120040455A (ko) 각도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데크 지지대
KR20160002166U (ko)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931910B1 (ko) 전시용 패널 조립체
CN201856065U (zh) 防错传感器安装结构
KR101908292B1 (ko) 건물 내진 보강 공법
KR101913073B1 (ko) 아파트의 천장패널 시공방법
AU2002324083B2 (en) Spraying apparatus
KR101928742B1 (ko)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한 아파트 건물의 내진보강공법
KR101915934B1 (ko) 공기단축이 가능한 pc-sf공법
AU2002324083A1 (en) Spraying apparatus
KR101838454B1 (ko) Cctv 카메라 시공방법
KR101908895B1 (ko) 아파트 천장슬라브 시공방법
KR101931055B1 (ko) 아파트 지하주차장 시공 방법
CN101549196B (zh) 止水用环状弹簧的安装结构以及安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