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004B1 -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 Google Patents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004B1
KR102326004B1 KR1020210062830A KR20210062830A KR102326004B1 KR 102326004 B1 KR102326004 B1 KR 102326004B1 KR 1020210062830 A KR1020210062830 A KR 1020210062830A KR 20210062830 A KR20210062830 A KR 20210062830A KR 102326004 B1 KR102326004 B1 KR 102326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y
fire
expansion
con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성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Priority to KR1020210062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2Heat or fire protective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이(100); 승강유닛(200); 고정유닛(300); 승강입력부(400); 회전입력부(500); 풀림입력부(600); 화재감지센서(700); 제어부(800); 소화전(900)으로 구성된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화재감지센서와 제어부 및 소화전를 통해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감지 및 진압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Building trays that can protect electric cables}
본 발명은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해 줌은 물론 신속한 화재진압을 통해 전선을 보호해줄 수 있는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지지하기 위한 기구로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가 사용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금속제 또는 불연성 재료로 제작된 유닛 또는 유닛의 집합체 및 그에 부속하는 부속재 등으로 구성된 견고한 구조물을 말하며 사다리형, 통풍 트러프형, 통풍 채널형, 바닥밀폐형 기타 이와 유사한 구조물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터널, 공장, 해양 구조물 등에는 전원 공급이나 유체 등의 공급을 위한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장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함을 주기 않기 위해 케이블 트레이를 사용하여 정리정돈된 상태로 지지 고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케이블 트레이는 근처에 존재하는 배전반 등과 연결하기 위하여 전선관이 부착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상기 전선관을 접속시키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 측면에 홀 타공을 하여 전선관을 삽입함으로써 부착고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법은 상기 케이블 트레이에 홀 타공을 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 장비가 필요하고, 케이블 트레이의 변형에 의한 강도저하 및 전선관을 부착 고정하는데 소용되는 비용, 시간 및 노력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의 다른 방법으로 상기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에“C”형 찬넬을 설치하고, 전선관 클램프를 사용하여 전선관을 고정부착하는 방법이 있다.
한편, 종래 트레이는 화재발생시 이를 즉각 감지하여 진압해주는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았으며, 이로 인해 화재에 상당히 취약한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8848호
본 발명은 화재감지센서와 제어부 및 소화전를 통해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감지 및 진압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한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단부와 후단부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구, 제1결합구 사이에 배치되게 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구를 갖추고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ㄷ’자 형상의 사이드레일과,
양단이 사이드레일의 내면에 맞대어지게 사이드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매개로 사이드레일에 고정되어서 전선을 지지하며,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호 형상의 전선고정부를 매개로 전선을 고정하는 렁으로 구성된 트레이;
트레이의 선단부와 후단부 상부에 각각 위치되게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신축구동부와,
신축구동부에 의해 동작되어 트레이를 승강시키는 신축부와,
신축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연결구구동부와,
트레이의 제1결합구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돌기를 갖추고서 연결구구동부에 설치되고, 연결구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며, 트레이(100)와 신축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로 구성된 승강유닛;
승강유닛 사이에 위치되게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역‘Y’자 형상의 프레임과,
프레임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트레이를 물거나 해제하며, 트레이의 제2결합구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걸림돌기가 말단부에 형성된 핑거부와,
양단이 핑거부에 각각 연결되어 핑거부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핑거부를 잡아당기는 스프링과,
프레임에 설치되어 핑거부가 벌어지도록 핑거부를 가압해 강제로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된 고정유닛;
신축구동부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승강입력부;
연결구구동부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입력부;
솔레노이드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풀림입력부;
전선연결기구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
승강입력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신축구동부를 동작제어하고, 회전입력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연결구구동부를 동작제어하며, 풀림입력부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솔레노이드를 동작제어하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소화전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분사밸브를 갖추고서 내부에 충진된 소화액을 분사밸브를 통해 살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감지센서와 제어부 및 소화전을 통해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감지 및 진압할 수 있어 화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신속한 화재진압을 통해 주변 전선을 보호해주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선을 쉽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고, 가설될 전선을 천장에 매달아 시공함에 따라 실내 이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를 각기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에서 트레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에서 승강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에서 각 구성요소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의 다른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를 각기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에서 트레이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에서 승강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에서 각 구성요소간의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a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는, 트레이(100)와 한 쌍의 승강유닛(200), 고정유닛(300), 승강입력부(400), 회전입력부(500), 풀림입력부(600), 화재감지센서(700), 제어부(800) 및 소화전(9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노후로 인해 전선(L)이나 주변에서 화재발생시 이를 신속하게 감지 및 진압할 수 있어 전선(L)이 전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선(L)을 쉽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한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100)는 사이드레일(110)과 렁(12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가설된 전선(L)을 떠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사이드레일(110)은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금속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나란하게 이격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사이드레일(110)의 선단부와 후단부 상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제1결합구(111)가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사각형태로 관통된 제2결합구(112)가 일체로 형성되되, 제2결합구(112)는 제1결합구(111)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결합구(111)에는 연결구(240)의 결합돌기(241)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고, 제2결합구(112)에는 핑거부(320)의 걸림돌기(321)가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상호 결합된다.
상기 렁(120)은 사이드레일(110)을 상호 연결시켜 주기 위한 부재로서, 사이드레일(110)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사이드레일(110)의 내면에 맞대어지고, 사이드레일(110)을 관통하는 체결수단(예:나사볼트)을 매개로 사이드레일(110)에 고정되어 일단에 커넥터(C)가 설치된 전선(L)을 떠받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렁(120)의 호 형상의 전선고정부(121)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전선고정부(121)에 전선(L)이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된다.
도 1a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유닛(200)은 신축구동부(210)와 신축부(220), 연결구구동부(230) 및 연결구(24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트레이(100)의 선단부와 후단부 상부에 각각 위치되게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어 트레이(10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해 트레이(100)를 승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신축구동부(210)는 공지의 서보모터로서, 제어부(8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신축부(220)를 늘리거나 줄여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신축부(220)는 신축구동부(210)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어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트레이(100)를 승강(상하이동)시켜주는 공지의 다단 실린더이다.
상기 연결구구동부(230)는 통상의 스탭핑모터로서, 제어부(8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연결구(240)를 90˚씩 회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구(24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서, 연결구구동부(230)의 축에 고정되어 연결구구동부(230)에 의해 회전되며, 양단부 상면에는 트레이(100)의 제1결합구(11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돌기(2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구(240)는 트레이(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트레이(100)의 제1결합구(111)와 결합돌기(241)를 상호 결합시켜 주게 되면, 연결구(240)를 매개로 트레이(100)와 승강유닛(200)이 상호 연결된다.
참고로, 상기 신축구동부(210) 및 신축부(220)는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2418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관계는 생략한다.
도 1a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고정유닛(300)은 프레임(310)과 핑거부(320), 스프링(330) 및 솔레노이드(34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한 쌍의 승강유닛(200) 사이에 배치되게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승강유닛(200)에 의해 승강된 트레이(100)를 고정 및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레임(310)은 역‘Y’자 모양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310)에는‘V’자 모양으로 절곡된 핑거부(320)가 프레임(310)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프레임(310)에 각각 핀을 매개로 힌지연결된다.
상기 핑거부(320)의 말단에는 삼각형상의 걸림돌기(321)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321)는 트레이(100)의 제2결합구(112)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트레이(100)를 억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핑거부(320) 사이에는 통상의 스프링(330:코일스프링)이 배치되며, 스프링(330)의 각 단은 핑거부(320)에 각각 고정된다.
이렇게 고정된 스프링(330)은 핑거부(320)가 항상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핑거부(320)를 잡아당기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트레이(100)는 승강유닛(200)에 의해 승강되는 과정에 고정유닛(300)의 핑거부(320) 사이로 인입되는데, 이렇게 트레이(100)가 인입되면 스프링(330)에 의해 오므려져 있던 핑거부(320)는 자연스럽게 벌어졌다가 핑거부(320)의 걸림돌기(321)가 트레이(100)의 제2결합구(112)에 인입되면서 트레이(100)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트레이(100)는 승강유닛(200)의 핑거부(320)에 의해 고정되어 핑거부(320)를 트레이(100)로부터 해제하지 않으면 트레이(100)의 하강이 근본적으로 적으로 어려운 심각한 문제가 있는데, 이를 솔레노이드(340)로 해결하였다.
상기 솔레노이드(340)는 프레임(310)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솔레노이드(340)는 핑거부(320)의 일단부를 가압해 핑거부(320)가 핀의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강제로 벌어지도록 하는 로드(341)를 구비한다.
일 예로, 상기 솔레노이드(340)에 의해 로드(341)가 하강하게 되면 로드(341)에 의해 핑거부(320)가 가압되면서 벌어지고, 이 과정에 스프링(330)이 늘어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솔레노이드(340)에 의해 로드(341)가 상승하게 되면 핑거부(320)의 가압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됨에 따라 스프링(330)의 복원력에 의해 핑거부(320)가 오므려지게 된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승강입력부(400)와 회전입력부(500), 풀림입력부(600) 및 제어부(800)에 대해 설명하고, 이어서 화재감지센서(700)와 소화전(9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승강입력부(400)와 회전입력부(500) 및 풀림입력부(600)는 통상의 리모트컨트롤러의 버튼으로서, 작업자가 승강입력부(400)를 누르게 되면 신축구동부(210)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회전입력부(500)를 누르게 되면 연결구구동부(230)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작업자가 풀림입력부(600)를 누르게 되면 솔레노이드(340)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에는 두 개의 승강입력부(400) 버튼이 형성될 수 있는데, 하나는 승강유닛(200)의 신축부(220)가 줄어들도록 하기 위한 버튼이고, 다른 하나는 승강유닛(200)의 신축부(220)가 늘어나도록 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상기 회전입력부(500) 버튼은 하나만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입력부(500)를 작업자가 누르게 되면 연결구구동부(230)가 90˚단위로 회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풀림입력부(600) 버튼은 하나만 형성될 수 있으며, 풀림입력부(600)를 작업자가 누르게 되면 솔레노이드(340)의 로드(341)가 돌출되면서 핑거부(320)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800)는 통상의 마이컴으로서, 승강입력부(4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신축구동부(210)를 동작제어하게 되고, 신축구동부(210)는 제어부(8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신축부(220)를 늘리거나 줄어들게 함으로써 트레이(100)를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는 회전입력부(5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연결구구동부(230)를 동작제어하게 되고, 연결구구동부(230)는 제어부(8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90˚단위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800)는 풀림입력부(6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솔레노이드(340)를 동작제어하게 되고, 솔레노이드(340)는 제어부(8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로드(341)를 돌출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건축물의 천장에는 화재감지센서(700)가 설치되며, 본 실시 예의 경우 화재감지센서(700)는 통상의 열 감지센서로, 전선(L)의 과도한 수축으로 인해 도선에 일부분가 끊어져 전기합선에 따른 화재가 발생되거나 또는 노후로 인해 보호기능을 상실한 피복선의 내측으로 침투수가 유입되어 전류가 흐르는 도선과 접촉됨으로써, 누전 및 합선에 따른 화재가 일어나는 경우, 화재시 발생되는 고온의 열을 열 감지센서 즉, 화재감지센서(700)가 감지하여 제어부(800)로 화재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화재감지센서(7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800)는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소화전(900)의 분사밸브(910)로 소화전동작신호를 전달하여 분사밸브(910)을 통해 소화액이 트레이(100)를 향해 하향분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소화전(900)은 외면이 단단한 철제용기로, 내부에는 소화약제와 압축공기 또는 높은 압력으로 액화된 불연성가스(질소, 이산화탄소, 할로겐가스)가 충진되며, 용기의 일측에는 내부에 충진된 소화약제와 불연성가스의 유출을 단속하는 분사밸브(910)이 설치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어부(800)로부터 소화전동작신호가 입력되면 분사밸브(910)의 입구는 개방되고, 이때 철제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소화약제와 불연성가스가 내압에 의해 분사밸브(910)의 입구를 통해 트레이(100)를 향해 분사되어 화재지역을 일순간 진압하게 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화재발생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화재감지센서(700)와 제어부(800) 및 소화전(900)의 상호 작용에 의해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감지 및 진압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선들의 전소(全燒) 를 막을 수 있어 이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레이(100)를 바닥에 배치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전선(L)을 전선고정부(121)에 끼워 고정시켜준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100)에 커넥터(C)를 갖춘 전선(L)이 가설되면, 작업자는 승강입력부(400)를 눌러 승강유닛(200)의 신축부(220)가 하방을 향해 늘어나도록 해 준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작업자가 승강입력부(400)를 누르게 되면, 승강입력부(400)로부터 동작제어신호가 제어부(800)로 출력되고, 제어부(800)는 승강입력부(400)로부터 동작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신축구동부(21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신축구동부(210)에 의해 다단실린더인 신축부(220)는 하방으로 돌출된다.
참고로, 상기 신축구동부(210) 및 신축부(220)는 이미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52418호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신축부(220)가 하방으로 돌출되면, 작업자는 트레이(100)를 들어 올려 트레이(100)의 내측으로 연결구(240)가 인입되어 배치되도록 한 다음, 작업자는 회전입력부(500)를 눌러 연결구(240)가 회전되도록 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해 보면, 작업자가 회전입력부(500)를 누르게 되면, 회전입력부(500)로부터 동작제어신호가 제어부(800)로 출력되고, 제어부(800)는 회전입력부(500)로부터 동작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연결구구동부(23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연결구구동부(230)에 의해 연결구(240)는 회전되어 트레이(100)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100)와 직교를 이루는 방향으로 연결구(240)가 배치되면, 작업자는 들고 있던 트레이(100)를 서서히 내려 트레이(100)의 제1결합구(111)에 연결구(240)의 결합돌기(241)를 끼움 결합시켜주면서 연결구(240)에 의해 트레이(100)가 매달린 상태로 지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연결구(240)를 매개로 트레이(100)와 승강유닛(200)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승강입력부(400)를 누르게 되면, 승강입력부(400)로부터 동작제어신호가 제어부(800)로 출력되고, 제어부(800)는 승강입력부(400)로부터 동작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신축구동부(21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신축구동부(210)에 의해 다단실린더인 신축부(220)는 서서히 줄어들면서 트레이(10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100)가 승강유닛(200)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 고정유닛(300)의 핑거부(320) 사이로 인입되는데, 이렇게 인입되는 트레이(100)에 의해 핑거부(320)는 서서히 벌어지게 되고, 스프링(330)은 벌어지는 핑거부(320)에 의해 인장된다.
그리고 트레이(100)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하는 과정에 핑거부(320)의 걸림돌기(321)는 제2결합구(112)로 삽입되면서 트레이(100)를 물어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트레이(100)가 고정유닛(300)에 고정되면, 작업자는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막기 위해 신축구동부(210)의 동작을 멈춰주며, 이와 같이 신축구동부(210)의 동작을 멈추더라도 고정유닛(300)이 트레이(100)를 견고하게 잡고 있기 때문에 트레이(100)는 낙하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도 7a 내지 도 7c와 같이 도시하였다.
한편, 트레이(100)를 교체해야 하거나 일부 구간에만 새로운 전선(L)의 가설작업이 필요한 경우 트레이(100)를 건축물의 바닥으로 하강시켜주어야 하는데, 핑거부(320)가 트레이(100)를 물고 있기 때문에 핑거부(320)로부터 트레이(100)를 분리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 경우,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승강유닛(2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 상태에서 풀림입력부(600)를 누르게 되면, 풀림입력부(600)로부터 동작제어신호가 제어부(800)로 출력되고, 제어부(800)는 풀림입력부(600)로부터 동작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솔레노이드(340)를 동작제어하게 되며, 솔레노이드(340)는 제어부(800)에 의해 동작제어되어 로드(341)를 돌출시키게 된다.
상기 솔레노이드(340)에 의해 로드(341)가 하강하게 되면, 로드(341)에 의해 핑거부(320)가 가압되어 축핀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벌어짐에 따라 승강유닛(200)을 이용해 트레이(100)를 하강시킬 수 있는 조건이 마련되며, 작업자는 승강입력부(400)를 눌러 승강유닛(200)를 이용해 트레이(100)를 하강시켜 준다.
한편, 트레이(100)에 가설된 전선(L)은 외력에 의해 손상되거나 노후로 인해 피복선이 갈라져 내부의 금속선이 외부로 노출되고, 이렇게 노출된 금속선이 외부의 이물질과 서로 접촉하게 될 경우 누전 및 합선을 유발하게 되면서 화재로 연결될 개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전기합선으로 인하여 전선(L)이나 주변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700)가 화재시 유발되는 열을 감지하여 제어부(800)로 화재감지신호를 전달하고, 화재감지센서(7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800)는 건축물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소화전(900)의 분사밸브(910)로 소화전동작신호를 전달하여 분사밸브(910)를 통해 소화액이 분사되도록 동작제어한다.
상기 제어부(800)로부터 소화전동작신호가 입력되면 분사밸브(910) 입구는 개방되고, 이때 철제용기의 내부에 충진된 소화약제와 불연성가스는 내압에 의해 분사밸브(910) 입구를 통해 전선(L) 및 그 주변으로 분사되면서 화재지역을 일순간 진압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트레이 110: 사이드레일 111: 제1결합구
112: 제2결합구 120: 렁 121: 전선고정부
200: 승강유닛 210: 신축구동부 220: 신축부
230: 연결구구동부 240: 연결구 241: 결합돌기
300: 고정유닛 310: 프레임 320: 핑거부
321: 걸림돌기 330: 스프링 340: 솔레노이드
341: 로드 400: 승강입력부 500: 회전입력부
600: 풀림입력부 700: 화재감지센서 800: 제어부
900: 소화전 910: 분사밸브

Claims (1)

  1. 선단부와 후단부 상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결합구(111), 제1결합구(111) 사이에 배치되게 측면에 형성되는 제2결합구(112)를 갖추고서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ㄷ’자 형상의 사이드레일(110)과,
    양단이 사이드레일(110)의 내면에 맞대어지게 사이드레일(110)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을 매개로 사이드레일(110)에 고정되어서 전선(L)을 지지하며,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호 형상의 전선고정부(121)를 매개로 전선(L)을 고정하는 렁(120)으로 구성된 트레이(100);
    트레이(100)의 선단부와 후단부 상부에 각각 위치되게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신축구동부(210)와,
    신축구동부(210)에 의해 동작되어 트레이(100)를 승강시키는 신축부(220)와,
    신축부(220)의 하면에 설치되는 연결구구동부(230)와,
    트레이(100)의 제1결합구(111)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돌기(241)를 갖추고서 연결구구동부(230)에 설치되고, 연결구구동부(230)에 의해 회전되며, 트레이(100)와 신축부(22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240)로 구성된 승강유닛(200);
    승강유닛(200) 사이에 위치되게 건축물의 천정에 설치되는 역‘Y’자 형상의 프레임(310)과,
    프레임(310)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프레임(31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연결되고, 회전점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트레이(100)를 물거나 해제하며, 트레이(100)의 제2결합구(112)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걸림돌기(321)가 말단부에 형성된 핑거부(320)와,
    양단이 핑거부(320)에 각각 연결되어 핑거부(320)가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핑거부(320)를 잡아당기는 스프링(330)과,
    프레임(310)에 설치되어 핑거부(320)가 벌어지도록 핑거부(320)를 가압해 강제로 회전시키는 솔레노이드(340)로 구성된 고정유닛(300);
    신축구동부(210)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승강입력부(400);
    연결구구동부(230)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회전입력부(500);
    솔레노이드(340)가 동작될 수 있게 동작신호를 출력하는 풀림입력부(600);
    전선연결기구(300)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700);
    승강입력부(4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신축구동부(210)를 동작제어하고, 회전입력부(5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연결구구동부(230)를 동작제어하며, 풀림입력부(60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아 솔레노이드(340)를 동작제어하며, 화재감지센서(700)로부터 화재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소화전(900)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800);
    제어부(80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분사밸브(910)를 갖추고서 내부에 충진된 소화액을 분사밸브(910)를 통해 살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전(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KR1020210062830A 2021-05-14 2021-05-14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KR102326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830A KR102326004B1 (ko) 2021-05-14 2021-05-14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830A KR102326004B1 (ko) 2021-05-14 2021-05-14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004B1 true KR102326004B1 (ko) 2021-11-15

Family

ID=7850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830A KR102326004B1 (ko) 2021-05-14 2021-05-14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0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444B1 (ko) * 2022-06-27 2023-02-06 금정엔지니어링(주) 배전선 설치가 용이한 편의성 향상 건축물용 전선 트레이
KR102496445B1 (ko) * 2022-06-27 2023-02-07 금정엔지니어링(주) 안전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 고정기구
KR102513465B1 (ko) * 2022-06-20 2023-03-24 (주)배정기술단 합선방지기능이 탑재된 배전선용 건축물 트렌치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331B1 (ko) * 2008-11-04 2009-06-11 (주)미동엔지니어링 배전선로 보호관
KR101627142B1 (ko) * 2015-12-08 2016-06-03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지중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
KR101848848B1 (ko) 2017-09-26 2018-04-16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케이블설치가 용이한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879159B1 (ko) * 2018-04-11 2018-08-14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 행거장치
KR101898126B1 (ko) * 2018-03-06 2018-09-12 금정엔지니어링(주) 건축물의 감전사고 방지형 전선 트레이
KR101966777B1 (ko) * 2018-05-25 2019-04-08 정일수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2043700B1 (ko) * 2019-04-30 2019-11-13 김경현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061060B1 (ko) * 2019-08-07 2019-12-31 (주)제이티엔지니어링 누전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131877B1 (ko) * 2019-11-26 2020-07-09 주식회사 청평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153682B1 (ko) * 2020-03-24 2020-09-09 주식회사 천하기술단 절연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KR102180543B1 (ko) * 2020-05-15 2020-11-18 (주)선경엔지니어링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구조
KR102201488B1 (ko) * 2020-07-30 2021-01-13 (주)세종기술단 건축물에 배선된 한전입찰용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
KR102206597B1 (ko) * 2020-04-23 2021-01-22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KR102246278B1 (ko) * 2020-09-04 2021-04-29 (주)한양기술단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331B1 (ko) * 2008-11-04 2009-06-11 (주)미동엔지니어링 배전선로 보호관
KR101627142B1 (ko) * 2015-12-08 2016-06-03 주식회사 중부기술단 지중배전선로 전선 연결대의 안전장치
KR101848848B1 (ko) 2017-09-26 2018-04-16 주식회사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케이블설치가 용이한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898126B1 (ko) * 2018-03-06 2018-09-12 금정엔지니어링(주) 건축물의 감전사고 방지형 전선 트레이
KR101879159B1 (ko) * 2018-04-11 2018-08-14 태양트레이 주식회사 케이블 트레이용 내진 행거장치
KR101966777B1 (ko) * 2018-05-25 2019-04-08 정일수 케이블 트레이 조립체
KR102043700B1 (ko) * 2019-04-30 2019-11-13 김경현 누전 경고 기능을 갖춘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 연결기구
KR102061060B1 (ko) * 2019-08-07 2019-12-31 (주)제이티엔지니어링 누전확인 기능을 갖춘 지중배전선 이탈방지용 고정장치
KR102131877B1 (ko) * 2019-11-26 2020-07-09 주식회사 청평 누전확인이 가능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2153682B1 (ko) * 2020-03-24 2020-09-09 주식회사 천하기술단 절연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기
KR102206597B1 (ko) * 2020-04-23 2021-01-22 미래컨설턴트(주) 지중배전선 지지용 트레이기구
KR102180543B1 (ko) * 2020-05-15 2020-11-18 (주)선경엔지니어링 건축물 통신설비 고정랙 구조
KR102201488B1 (ko) * 2020-07-30 2021-01-13 (주)세종기술단 건축물에 배선된 한전입찰용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
KR102246278B1 (ko) * 2020-09-04 2021-04-29 (주)한양기술단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3465B1 (ko) * 2022-06-20 2023-03-24 (주)배정기술단 합선방지기능이 탑재된 배전선용 건축물 트렌치
KR102496444B1 (ko) * 2022-06-27 2023-02-06 금정엔지니어링(주) 배전선 설치가 용이한 편의성 향상 건축물용 전선 트레이
KR102496445B1 (ko) * 2022-06-27 2023-02-07 금정엔지니어링(주) 안전기능 향상 공동주택 전선 고정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6004B1 (ko)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KR102323134B1 (ko)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KR102323131B1 (ko)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장치
KR102324856B1 (ko) 건축물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트레이
KR102045759B1 (ko) 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보호기구
KR100705046B1 (ko) 스프링클러 연결장치
KR101813664B1 (ko) 건축공사용 안전펜스
KR101828250B1 (ko) 건물의 외벽을 통한 화재확산 방지장치
KR102155502B1 (ko) 무대장치 바텐의 추락방지 안전장치
KR102410814B1 (ko) 가요전선관 연결용 커넥터 천장 고정판
KR100837840B1 (ko) 지중설치용 배전함
KR100702141B1 (ko)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JP4915584B2 (ja) 加煙感知器および加煙感知器の試験方法
KR100861092B1 (ko) 지중매설형 배전선의 합선방지용 고정대
WO2000074190A1 (fr) Bâti décoratif
KR102469031B1 (ko)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 실내 화재 진압용 옥내소화전
JP3888951B2 (ja) 駐車場ゲート
KR20080005767U (ko) 스프링쿨러용 연결관 승강장치
KR102469028B1 (ko) 분사압력 확인이 용이한 건축물 실내 화재 진압용 옥내소화전
CN116815825B (zh) 一种防火a级隧道电缆沟盖板
KR102672256B1 (ko) 편이성이 향상된 누전감지형 다기능 지중배전선 고정장치
KR102624109B1 (ko) 신속한 화재발생확인이 용이한 안전성 향상 지중배전라인 고정장치
KR102313346B1 (ko) 지중배전선로의 배전반 접속단자
KR101477514B1 (ko)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KR102380676B1 (ko) 옥내소화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