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488B1 - 건축물에 배선된 한전입찰용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 - Google Patents

건축물에 배선된 한전입찰용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488B1
KR102201488B1 KR1020200094881A KR20200094881A KR102201488B1 KR 102201488 B1 KR102201488 B1 KR 102201488B1 KR 1020200094881 A KR1020200094881 A KR 1020200094881A KR 20200094881 A KR20200094881 A KR 20200094881A KR 102201488 B1 KR102201488 B1 KR 102201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communication cable
tray
communication cables
integrally 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욱제
Original Assignee
(주)세종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종기술단 filed Critical (주)세종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094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4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network, e.g. LAN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벽체(W)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고정수단(예: 앵커볼트 등)을 매개로 설치되고, 통신케이블(CL)을 쉽고 간편하게 배선연결 및 지지함은 물론 안전하게 보호하는 트레이본체(1000); 트레이본체(10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레이본체(1000)로부터 인출된 통신케이블(CL)을 매개로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공유기(2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건축물에 배선된 통신케이블(CL)을 쉽고 간편하게 배선연결 및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고무재질의 탄성살 사이로 통신케이블(CL)이 가설되어 탄성력에 의해 억류되므로 통신케이블(CL)의 피복이 손상되지 않아 누전발생원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가받지 않은 외부인이 습득한 USB를 단순히 연결하는 것만으로는 무선공유기에 접속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획득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무선공유기의 보안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건축물에 배선된 한전입찰용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Regarding the earth leakage blocking type tray for communication cables}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에 배선된 통신케이블을 쉽고 간편하게 배선연결 및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통신케이블의 피복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피복손상으로 인한 누전발생원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인가받지 않은 외부인의 사용을 금할 수 있어 보안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우리 사회는 매우 많은 수의 무선 공유기(Access Point; AP)가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무선 공유기는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무선 공유기 외에도 여러 공공기관 또는 사업체에서 공용으로 또는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노트북, 스마트폰 등을 이용해 인터넷을 검색하거나 동영상을 보거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를 하거나 메신저로 대화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무선 공유기(Access Point; AP)와 연결되는 통신케이블은 통상 벽체에 설치되는 트레이에 안착되어 별도의 클램프에 의해 개별적으로 고정되거나 다발형태로 고정되는데, 클램프를 매개로 통신케이블을 고정하는 과정에 클램프의 가압력에 의해 통신케이블의 피복이 손상되기 쉽고, 이로 인해 손상된 피복을 통해 누전이 일어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또한, 종래의 무선공유기(통신공유기)에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위해 접속비밀번호가 기록된 부분이 스티커형태로 붙어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인가받지 않은 사용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비밀번호가 기재된 스티커를 무선공유기(통신공유기)로부터 제거하여 비인가자의 무단사용을 차단하고 있으나, 오히려 인가받은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해 무선공유기(통신공유기)에 접속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나타나게 되었다.
한편, 상기 무선 공유기(Access Point; AP)에 연결되는 통신선은 건축구조물의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건축구조물의 실내 측벽을 거쳐 바닥에 설치되는데, 통신선을 외부로 보호하기 위하여 홀더를 이용해 가설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홀더는 단순히 통신선을 감싸 보호해 줄 뿐 통신선을 내부에서 고정하는 기능은 전혀 없기 때문에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면서 엉키기 쉽고, 이로 인해 유지보수작업시 작업자가 해당 통신선을 찾는데 불필요한 시간을 허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1. 등록실용신안 제20-0207527호(2000.12.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에 배선된 통신케이블을 쉽고 간편하게 배선연결 및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통신케이블의 피복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피복손상으로 인한 누전발생원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인가받지 않은 외부인의 사용을 금할 수 있어 보안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벽체에 고정되는 고정판,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대, 내부가 양단과 상방으로 개구된‘V’자 형태를 이루고, 지지대의 일단과 일체를 이루며,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을 구비하는 안착대, 안착대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진 선반과,
결합공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갖추고서 안착대의 상면에 얹혀지는 고무재질의 바디부, 바디부의 상면을 따라 다열종대로 배치되어 거치되는 통신케이블을 억류하는 고무재질의 탄성살로 이루어진 케이블거치대로 구성되어 건축물의 벽체를 따라 설치되는 트레이본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태를 이루며, 상면에는 안테나와 트레이본체에서 인출된 통신케이블이 각각 설치되되, 측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포트진퇴홀이 일체로 형성되고, 포트진퇴홀에는 포트진퇴홀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수용홈이 일체로 형성되며, 수용홈의 일측으로 포트진퇴홀 및 수용홈을 감싸는 돌테가 일체로 형성되며, 후면 상단부에는 한 쌍을 이루며 통신케이블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링크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된 공유기본체와,
일단부가 제1링크연결부에 각각 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H’자 형상의 링크부,
안착대의 상부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배치되는 판부와, 판부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걸림턱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걸이부와, 판부로부터 연장되어 링크부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연결부으로 이루어진 선반연결부로 구성된 연결구와,
공유기본체에 내설되는 원판형상의 베이스와, 베이스의 일면으로부터 나란하게 포트진퇴홀을 향해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홈이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로 이루어진 절연재질의 고정블록,
가이드부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되, 외주면에는 레일홈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형성되고, 포트진퇴홀을 향하는 일면에는 제1단자부가 노출되게 형성된 절연재질의 연결블록,
일면이 연결블록에 회전가능하게 맞대어지며 외주면에 수용홈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스토퍼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절연판과, 일단이 절연판의 타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포트진퇴홀을 관통해 외부로 노출된 포트, 일단이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절연판의 일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절연판의 회전에 의해 제1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부로 이루어진 가동블록으로 구성된 포트조립체와,
베이스에 설치되되,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이격배치되며 전원선이 각각 연결되는 리드부, 연결블록에 설치되어 리드부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속하는 접점부로 구성된 스위치와,
고정블록과 연결블록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블록을 가동블록을 향해 탄발지지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커넥터어셈블리와,
포트조립체의 포트에 착탈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증정보가 저장된 USB와,
포트조립체를 매개로 USB의 인증정보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정보와 상호 비교하여 인증정보와 기설정된 정보가 일치하면 램프동작신호 및 비밀번호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공유기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어부로부터 램프동작신호를 입력받아 파란색 불빛을 방출하는 램프와,
공유기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어부로부터 비밀번호신호를 전달받아 비밀번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공유기본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의 시각적인 표시를 단속하는 버튼으로 구성된 무선공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의 가설을 위해 탄성살 사이로 인입하게 되면, 통신케이블에 의해 휘어졌던 탄성살이 탄성력을 매개로 통신케이블을 가압해 억류하게 되므로 통신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억류할 수 있고, 특히 통신케이블을 탄성살(1220) 사이로 인입해 가설함에 있어 케이블거치대가 고무재질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통신케이블의 피복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피복손상으로 인한 누전발생원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또한, 케이블거치대에 통신케이블을 개입시켜 고정하므로 통신케이블이 한쪽으로 쏠려 엉키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통신케이블을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작업시 해당 통신케이블을 손쉽게 찾을 수 있어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가받지 않은 외부인이 습득한 USB를 단순히 연결하는 것만으로는 무선공유기에 접속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획득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무선공유기의 보안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에서 트레이본체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에서 무선공유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에서 무선공유기의 요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요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에서 무선공유기의 커넥터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커넥터어셈블리의 정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의 각 구성요소 간에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에서 트레이본체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에서 무선공유기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에서 무선공유기의 요부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요부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에서 무선공유기의 커넥터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커넥터어셈블리의 정단면도 및 평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의 각 구성요소 간에 상호연관관계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는, 트레이본체(1000)와 무선공유기(20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건축물에 배선된 통신케이블(CL)을 쉽고 간편하게 배선연결 및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고무재질의 탄성살 사이로 통신케이블(CL)이 가설되어 탄성력에 의해 억류되므로 통신케이블(CL)의 피복이 손상되지 않아 누전발생원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가받지 않은 외부인이 습득한 USB를 단순히 연결하는 것만으로는 무선공유기에 접속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획득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무선공유기의 보안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본체(1000)는 선반(1100)과 케이블거치대(1200)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건축물의 벽체(W)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고정수단(예: 앵커볼트 등)을 매개로 설치되고, 통신케이블(CL)을 쉽고 간편하게 배선연결 및 지지함은 물론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선반(1100)은 고정판(1110)과 지지대(1120), 안착대(1130) 및 걸림턱(114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건축물의 벽체(W)를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고정수단(예: 앵커볼트 등)을 매개로 설치되고, 무선공유기(2000)의 연결구(2200)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고정판(1110)은 직사각형상의 플레이트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고정수단(예: 앵커볼트 등)을 매개로 건축물의 벽체(W)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1120)는 고정판(1110)의 일면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안착대(1130)와 고정판(1110)을 상호 연결하고, 안착대(113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대(1130)는 내부가 양단과 상방으로 개구된‘V’자 형태를 이루는데, 일측면이 지지대(1120)의 일단과 일체를 이루고, 내부 바닥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1131)이 일체로 형성되며, 이 결합공(1131)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케이블거치대(1200)의 끼움돌기(1211)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걸림턱(1140)은 안착대(1130)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외측으로 연장되며, 이 걸림턱(1140)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무선공유기(2000)의 선반연결부(22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계속해서, 상기 케이블거치대(1200)는 바디부(1210)와 탄성살(12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선반(1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가설되는 통신케이블(CL)을 탄성력을 매개로 억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디부(1210)는 안착대(1130)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안착대(1130)의 내면에 안착되는데, 내부는 양단과 상방으로 개구된‘V’자 형태를 이루고, 하면에는 안착대(1130)의 결합공(1131)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돌기(1211)가 일체로 형성되며, 고무재질로 제작된다.
상기 탄성살(1220)은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고무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바디부(1210)의 상면을 따라 다열종대로 배치되어 거치되는 통신케이블(CL)을 탄성력을 매개로 억류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통신케이블(CL)의 가설을 위해 탄성살(1220) 사이로 인입하게 되면, 통신케이블(CL)에 의해 휘어졌던 탄성살(1220)이 탄성력을 매개로 통신케이블(CL)을 가압해 억류하게 되므로 통신케이블(CL)을 안정적으로 억류할 수 있고, 특히 통신케이블(CL)을 탄성살(1220) 사이로 인입해 가설함에 있어 케이블거치대(1200)가 고무재질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통신케이블(CL)의 피복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피복손상으로 인한 누전발생원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거치대(1200)에 통신케이블(CL)을 개입시켜 고정하므로 통신케이블(CL)이 한쪽으로 쏠려 엉키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통신케이블(CL)을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작업시 해당 통신케이블(CL)을 손쉽게 찾을 수 있어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와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무선공유기(2000)는 공유기본체(2100)와 연결구(2200), 커넥터어셈블리(2300), USB(2400), 제어부(2500), 램프(2600), 디스플레이(2700) 및 버튼(28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트레이본체(10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트레이본체(1000)로부터 인출된 통신케이블(CL)을 매개로 무선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유기본체(2100)는 여러 대의 컴퓨터가 무선으로 하나의 인터넷 라인을 공유해 동시에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네트워크 기기로서, 상면에는 안테나(A)와 트레이본체(1000)로부터 인출된 통신케이블(CL) 및 전원선(미도시)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공유기본체(2100)의 측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포트진퇴홀(2110)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포트진퇴홀(2110)을 통해 커넥터어셈블리(2300)의 포트(2313b)가 출몰되며, 이 포트(2313b)에는 USB(2400)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포트진퇴홀(2110)의 일측에는 포트진퇴홀(2110)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수용홈(2120)이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수용홈(2120)에는 가동블록(2313)의 스토퍼돌기(2313a-1)가 삽탈가능하게 수용되며, 수용홈(2120)에 가동블록(2313)의 스토퍼돌기(2313a-1)가 삽입될 경우 가동블록(2313)의 회전은 제한되고, 수용홈(2120)으로부터 스토퍼돌기(2313a-1)가 이탈되면 비로소 가동블록(2313)의 회전이 가능해지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수용홈(2120)의 일측에는 포트진퇴홀(2110) 및 수용홈(2120)을 감싸는 원통형상의 돌테(213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돌테(2130)는 가동블록(2313)이 제자리에서 안정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해 줌은 물론 인입된 가동블록(2313)의 추락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공유기본체(2100)의 후면에는 한 쌍을 이루며, 통신케이블(CL)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링크연결부(2140)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제1링크연결부(2140)에는 이후에 설명되는 연결구(220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계속해서, 상기 연결구(2200)는 링크부(2210)와 선반연결부(222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트레이본체(1000)의 선반(1100)과 공유기본체(2100)를 상호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링크부(2210)는 전체적으로‘H’자 형태를 이루며, 상하로 돌출된 각 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돌출된 축(221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링크부(2210)의 일단부는 축(2211)을 매개로 공유기본체(2100)의 제1링크연결부(214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부는 선반연결부(2220)의 제2링크연결부(2223)에 축(221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선반연결부(2220)는 판부(2221)와 걸이부(2222) 및 제2링크연결부(222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선반(1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판부(222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커버(1200)의 덮개부(1210)와 구조가 동일하고, 걸이부(2222)는 판부(2221)의 양단으로부터 후방으로 만곡시켜 형성한 것으로, 이는 커버(1200)의 걸이부(1220)와 구조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2링크연결부(2223)는 판부(2221)로부터 나란하게 연장된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링크부(2210)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일 예로서, 상기 판부(2221)를 선반(1100)의 전면 개구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걸이부(2222)를 선반(1100)의 걸림턱(1140)에 걸어주게 되면, 선반연결부(2220)는 선반(1100)에 자연스럽게 장착되므로 링크부(2210)를 매개로 선반연결부(2220)와 연결된 공유기본체(2100)를 선반(1100)에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커넥터어셈블리(2300)는 포트조립체(2310)와 스위치(2320) 및 스프링(233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공유기본체(2100)에 설치되어 USB(2400)와 제어부(2500)를 전기적으로 연결해주고, 디스플레이(27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포트조립체(2310)는 고정블록(2311)과 연결블록(2312) 및 가동블록(2313)으로 구성되어 공유기본체(2100)에 내설되되, 일부는 공유기본체(2100)의 포트진퇴홀(21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고정블록(2311)은 베이스(2311a)와, 레일홈(2311b-1)을 갖춘 가이드부(2311b)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2311a)는 원판형상의 절연체로 공유기본체(2100)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부(2311b)는 베이스(2311a)의 일면으로부터 포트진퇴홀(2110)을 향해 나란하게 돌출되되,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레일홈(2311b-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이 레일홈(2311b-1)에는 연결블록(2312)의 가이드돌기(2312a)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연결블록(2312)은 전체적으로 원기둥형태를 갖는 절연체로, 본 실시 예의 경우 고정블록(2311)에 왕복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외주면에는 레일홈(2311b-1)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2312a)가 일체로 형성되고, 일면(포트진퇴홀을 향하는 면)에는 제1단자부(2312b)가 노출되게 형성되며, 이 제1단자부(2312b)는 연결블록(2312)으로부터 노출되는 별도의 선을 매개로 제어부(2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블록(2312)의 타면(베이스를 향하는 면)에는 접점부(2322)가 설치된다.
상기 가동블록(2313)은 절연판(2313a)과 포트(2313b) 및 제2단자부(2313c)로 구성되는데, 절연판(2313a)의 일면(포트진퇴홀을 향하는 면)에는 포트(2313b)가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절연판(2313a)의 타면(연결블록을 향하는 면)에는 제2단자부(2313c)가 노출되게 설치되며, 제2단자부(2313c)는 포트(231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연판(2313a)의 외주면에는 스토퍼돌기(2313a-1)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이 스토퍼돌기(2313a-1)는 수용홈(2120)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져 가동블록(2313)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제1단자부(2312b)와 제2단자부(2313c)가 교차되게 배치되어 있을 때에는 USB(2400)를 포트(2313b)에 연결하더라도 제어부(2500)는 USB(2400)를 인식할 수 없다.
하지만, 상기 가동블록(2313)을 회전시켜 제1단자부(2312b)와 제2단자부(2313c)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주게 되면, USB(2400)의 정보가 제1단자부(2312b)와 제2단자부(2313c)를 통해 제어부(2500)로 전달되며, 이로 인해 제어부(2500)는 USB(240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동블록(2313)을 회전시켜 제1단자부(2312b)와 제2단자부(2313c)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야만 제어부(2500)가 USB(240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인가받지 않은 외부인이 습득한 USB(2400)를 단순히 연결하는 것만으로는 무선공유기(2000)에 접속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획득할 수 없게 되며, 이에 따라 무선공유기(2000)의 보안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계속해서, 상기 스위치(2320)는 리드부(2321)와 접점부(2322)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디스플레이(27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연결 및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드부(2321)는 금속재질의 전도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가이드부(2311b) 사이에 배치되게 베이스(2311a)에 고정되며,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리드부(2321) 중 어느 하나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선(PL)이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디스플레이(2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선(PL)이 연결되며, 서로 이격된 리드부(2321)는 접점부(2322)의 접촉에 의해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접점부(2322)는 금속재질의 전도체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연결블록(2312)의 타면(베이스를 향하는 면)에 설치되어 리드부(2321)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연결블록(2312)을 고정블록(2311)을 향해 이동시키게 되면, 서로 이격되어 있던 리드부(2321)가 접점부(2322)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외부 전원이 디스플레이(2700)로 공급되고, 반대로 리드부(2321)로부터 접점부(2322)를 이격시켜 주게 되면, 디스플레이(2700)로의 전원공급은 즉시 차단된다.
계속해서, 상기 스프링(2330)은 통상의 코일스프링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베이스(2311a)와 가이드돌기(2312a) 사이에 배치되게 레일홈(2311b-1)에 배치되어 연결블록(2312)을 일 방향(포트진퇴홀을 향해)으로 탄발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2330)은 리드부(2321)와 접점부(2322)가 무단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가동블록(2313)이 무단으로 회전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서, 상기 USB(2400)를 포트(2313b)에 연결한 상태에서 USB(2400)를 회전시키더라도 가동블록(2313)은 스토퍼돌기(2313a-1)가 수용홈(2120)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이 제한되는데, 이때 USB(2400)를 이용해 가동블록(2313)을 공유기본체(2100) 내로 밀어 넣게 되면, 가동블록(2313)의 스토퍼돌기(2313a-1)는 수용홈(2120)으로부터 이탈되고, 연결블록(2312)은 가동블록(2313)에 의해 가이드부(2311b)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스프링(2330)은 이동되는 연결블록(2312)에 의해 압축되며, 리드부(2321)는 접점부(2322)를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시켜 준 상태에서 USB(2400)를 이용해 가동블록(2313)을 회전시켜 주게 되면, 서로 교차되어 있던 연결블록(2312)의 제1단자부(2312b)와 가동블록(2313)의 제2단자부(2313c)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고, 이에 따라 USB(2400)의 정보는 제1단자부(2312b)와 제2단자부(2313c)를 통해 제어부(2500)로 전달되며, 제어부(2500)는 USB(2400)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USB(2400)와 가동블록(2313)을 상호 연결한 다음, USB(2400)와 가동블록(2313)을 매개로 연결블록(2312)를 이동시켜 리드부(2321)와 접점부(2322)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USB(2400)를 이용해 가동블록(2313)을 회전시켜 제1단자부(2312b)와 제2단자부(2313c)가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도록 해야만 USB(2400)의 정보를 제어부(2500)가 비로소 인식할 수 있게 되므로 인가받지 않은 외부인이 습득한 USB(2400)를 단순히 연결하는 것만으로는 무선공유기(200)에 접속할 수 있는 비밀번호(인증번호)를 획득할 수 없어 무선공유기(200)의 보안기능을 보다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계속해서, 상기 USB(2400)와 제어부(2500), 램프(2600), 디스플레이(2700) 및 버튼(2800)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USB(300:Universal Serial Bus)는 공지의 이동식 기억장치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포트조립체(2310)의 포트(2313b)에 착탈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저장된 인증정보를 제어부(250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2500)는 통상의 마이컴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포트조립체(2310)를 매개로 USB(2400)의 인증정보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정보와 상호 비교하여 인증정보와 기설정된 정보가 일치하면 램프동작신호 및 비밀번호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램프(2600)는 LED(light emitting diode)조명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공유기본체(21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어부(2500)로부터 램프동작신호를 입력받아 불빛을 외부로 방출해 시각적으로 인증여부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디스플레이(2700)는 인증번호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일종에 모니터(monitor)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공유기본체(21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제어부(2500)로부터 비밀번호신호를 전달받아 비밀번호(인증번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튼(2800)는 공유기본체(2100)의 상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2700)의 시각적인 표시를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선공유기(2000)를 연결구(2200)를 매개로 트레이본체(1000)의 선반(1100)에 설치한 다음 트레이본체(1000)에 가설된 통신케이블(CL)을 인출해 무선공유기(2000)에 연결해준다.
그 다음 무선공유기(2000)를 구성하는 공유기본체(2100)의 포트진퇴홀(2110)로 노출된 가동블록(2313)의 포트(2313b)에 USB(2400)를 결합해 상호 연결되도록 한 상태에서 가동블록(2313)을 가압해 공유기본체(2100)의 내측으로 밀어 넣게 되면, 수용홈(2120)에 인입되어 있던 가동블록(2313)의 스토퍼돌기(2313a-1)가 수용홈(2120)으로부터 이탈되어 돌테(213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블록(2313)에 의해 연결블록(2312)은 고정블록(2311)의 가이드부(2311b)를 따라 이동하게 되고, 연결블록(2312)의 이동에 의해 스프링(2330)은 압축되며, 이와 더불어 고정블록(2311)에 설치된 리드부(2321)와 연결블록(2312)에 설치된 접점부(2322)가 상호 접촉되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로 인해 외부전원은 램프(2600)와 디스플레이(2700)로 인가되며, 외부전원을 인가받은 램프(2600)는 점등되어 초기에는 붉은색 불빛(미인증 상태를 나타냄)을 방출하게 된다.
그 다음 USB(2400)를 이용해 가동블록(2313)을 회전시켜 주게 되면, 서로 교차되게 배치되어 있던 가동블록(2313)의 제1단자부(2312b)와 연결블록(2312)의 제2단자부(2313c)는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되고, 이에 따라 USB(2400)에 저장된 인증정보가 제어부(2500)에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2500)는 포트조립체(2310)를 매개로 USB(2400)로부터 인증정보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정보와 상호 비교하여 인증정보와 기설정된 정보가 일치하면 램프동작신호 및 비밀번호신호를 출력하게 되지만, 인증정보와 기설정된 정보가 불일치하면 램프동작신호 및 비밀번호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2500)로부터 램프동작신호가 출력되면, 램프(2600)는 동작제어되어 붉은색 불빛(미인증상태를 나타냄)이 파란색 불빛(인증상태를 나타냄)으로 전환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인증이 완료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버튼(2800)을 누르게 되면, 디스플레이(2700)가 켜지게 되고(ON), 디스플레이(2700)에는 제어부(2500)로부터 전달받은 비밀번호가 시각적으로 출력되며, 사용자는 디스플레이(2700)에 출력된 비밀번호를 이용해 무선공유기(2000)에 접속한 다음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CL)의 가설을 위해 탄성살(1220) 사이로 인입하게 되면, 통신케이블(CL)에 의해 휘어졌던 탄성살(1220)이 탄성력을 매개로 통신케이블(CL)을 가압해 억류하게 되므로 통신케이블(CL)을 안정적으로 억류할 수 있고, 특히 통신케이블(CL)을 탄성살(1220) 사이로 인입해 가설함에 있어 케이블거치대(1200)가 고무재질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통신케이블(CL)의 피복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피복손상으로 인한 누전발생원인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거치대(1200)에 통신케이블(CL)을 개입시켜 고정하므로 통신케이블(CL)이 한쪽으로 쏠려 엉키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통신케이블(CL)을 개별적으로 구분하여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작업시 해당 통신케이블(CL)을 손쉽게 찾을 수 있어 작업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인가받지 않은 외부인이 습득한 USB(2400)를 단순히 연결하는 것만으로는 무선공유기(2000)에 접속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획득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무선공유기(2000)의 보안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0: 트레이본체 1100: 선반 1110: 고정판
1120: 지지대 1130: 안착대 1131: 결합공
1140: 걸림턱 1200: 케이블거치대 1210: 바디부
1211: 끼움돌기 1220: 탄성살 2000: 무선공유기
2100: 공유기본체 2110: 포트진퇴홀 2120: 수용홈
2130: 돌테 2140: 제1링크연결부 2200: 연결구
2210: 링크부 2211: 축 2220: 선반연결부
2221: 판부 2222: 걸이부 2223: 제2링크연결부
2300: 커넥터어셈블리 2310: 포트조립체 2311: 고정블록
2311a: 베이스 2311b: 가이드부 2311b-1: 레일홈
2312: 연결블록 2312a: 가이드돌기 2312b: 제1단자부
2313: 가동블록 2313a: 절연판 2313b: 포트
2313c: 제2단자부 2320: 스위치 2321: 리드부
2322: 접점부 2330: 스프링 2400: USB
2500: 제어부 2600: 램프 2700: 디스플레이
2800: 버튼

Claims (1)

  1. 건축물의 벽체(W)에 고정되는 고정판(1110), 고정판(1110)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대(1120), 내부가 양단과 상방으로 개구된‘V’자 형태를 이루고, 지지대(1120)의 일단과 일체를 이루며,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1131)을 구비하는 안착대(1130), 안착대(1130)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턱(1140)으로 이루어진 선반(1100)과,
    결합공(1131)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돌기(1211)를 갖추고서 안착대(1130)의 상면에 얹혀지는 고무재질의 바디부(1210), 바디부(1210)의 상면을 따라 다열종대로 배치되어 거치되는 통신케이블(CL)을 억류하는 고무재질의 탄성살(1220)로 이루어진 케이블거치대(1200)로 구성되어 건축물의 벽체(W)를 따라 설치되는 트레이본체(1000);
    전체적으로 직육면체형태를 이루며, 상면에는 안테나(A)와 트레이본체(1000)로부터 인출된 통신케이블(CL)이 각각 설치되되, 측면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포트진퇴홀(2110)이 일체로 형성되고, 포트진퇴홀(2110)에는 포트진퇴홀(2110)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수용홈(2120)이 일체로 형성되며, 수용홈(2120)의 일측으로 포트진퇴홀(2110) 및 수용홈(2120)을 감싸는 돌테(2130)가 일체로 형성되며, 후면 상단부에는 한 쌍을 이루며 통신케이블(CL)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링크연결부(2140)가 일체로 형성된 공유기본체(2100)와,
    일단부가 제1링크연결부(2140)에 각각 축(221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H’자 형상의 링크부(2210),
    안착대(1130)의 상부 개구부에 개폐가능하게 배치되는 판부(2221)와, 판부(2221)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걸림턱(114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걸이부(2222)와, 판부(2221)로부터 연장되어 링크부(2210)의 타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연결부(2223)으로 이루어진 선반연결부(2220)로 구성된 연결구(2200)와,
    공유기본체(2100)에 내설되는 원판형상의 베이스(2311a)와, 베이스(2311a)의 일면으로부터 나란하게 포트진퇴홀(2110)을 향해 연장되며 서로 이격되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홈(2311b-1)이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부(2311b)로 이루어진 절연재질의 고정블록(2311),
    가이드부(2311b)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되, 외주면에는 레일홈(2311b-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2312a)가 일체로 형성되고, 포트진퇴홀(2110)을 향하는 일면에는 제1단자부(2312b)가 노출되게 형성된 절연재질의 연결블록(2312),
    일면이 연결블록(2312)에 회전가능하게 맞대어지며 외주면에 수용홈(2120)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스토퍼돌기(2313a-1)가 일체로 형성된 절연판(2313a)과, 일단이 절연판(2313a)의 타면에 설치되고 타단이 포트진퇴홀(2110)을 관통해 외부로 노출된 포트(2313b), 일단이 포트(231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절연판(2313a)의 일면으로 노출되게 형성되어 절연판(2313a)의 회전에 의해 제1단자부(2312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부(2313c)로 이루어진 가동블록(2313)으로 구성된 포트조립체(2310)와,
    베이스(2311a)에 설치되되, 가이드부(2311b)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이격배치되며 전원선(PL)이 각각 연결되는 리드부(2321), 연결블록(2312)에 설치되어 리드부(2321)의 전기적인 연결을 단속하는 접점부(2322)로 구성된 스위치(2320)와,
    고정블록(2311)과 연결블록(2312)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블록(2312)을 가동블록(2313)을 향해 탄발지지하는 스프링(2330)으로 구성된 커넥터어셈블리(2300)와,
    포트조립체(2310)의 포트(2313b)에 착탈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증정보가 저장된 USB(2400)와,
    포트조립체(2310)를 매개로 USB(2400)의 인증정보를 전달받아 기설정된 정보와 상호 비교하여 인증정보와 기설정된 정보가 일치하면 램프동작신호 및 비밀번호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500)와,
    공유기본체(2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어부(2500)로부터 램프동작신호를 입력받아 파란색 불빛을 방출하는 램프(2600)와,
    공유기본체(2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제어부(2500)로부터 비밀번호신호를 전달받아 비밀번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2700)와,
    공유기본체(2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2700)의 시각적인 표시를 단속하는 버튼(2800)으로 구성된 무선공유기(20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
KR1020200094881A 2020-07-30 2020-07-30 건축물에 배선된 한전입찰용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 KR102201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881A KR102201488B1 (ko) 2020-07-30 2020-07-30 건축물에 배선된 한전입찰용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881A KR102201488B1 (ko) 2020-07-30 2020-07-30 건축물에 배선된 한전입찰용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488B1 true KR102201488B1 (ko) 2021-01-13

Family

ID=7414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881A KR102201488B1 (ko) 2020-07-30 2020-07-30 건축물에 배선된 한전입찰용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48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590B1 (ko) * 2021-05-18 2021-10-29 주식회사 더나은엔지니어링 통신케이블 누전차단형 통신트레이
KR102318592B1 (ko) * 2021-05-14 2021-10-29 주식회사 더나은엔지니어링 Lte 통신라인의 코드 식별 기능을 갖는 ip공유기
KR102323134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KR102323131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장치
KR102324856B1 (ko) * 2021-05-20 2021-11-11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트레이
KR102326004B1 (ko) * 2021-05-14 2021-11-1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527Y1 (ko) 2000-07-14 2000-12-15 단지넷주식회사 통신용 케이블 배선을 위한 홀더
KR20010073358A (ko) * 2000-01-14 2001-08-01 이기룡 유.에스.비 포트 방식의 비밀키 보안장치
KR100664680B1 (ko) * 2005-07-08 2007-01-04 (주)아이알큐브 다수의 비밀번호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용 관리장치
KR20100133256A (ko) * 2009-06-11 2010-12-21 국방과학연구소 유도무기의 보안인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보안인증 시스템
JP2014519799A (ja) * 2011-05-17 2014-08-1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遠隔ソケット装置
KR101823085B1 (ko) * 2016-07-28 2018-01-31 동오정밀 주식회사 보조기기 벽면 거치대
KR101971225B1 (ko) * 2018-10-11 2019-04-22 옥임식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전송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358A (ko) * 2000-01-14 2001-08-01 이기룡 유.에스.비 포트 방식의 비밀키 보안장치
KR200207527Y1 (ko) 2000-07-14 2000-12-15 단지넷주식회사 통신용 케이블 배선을 위한 홀더
KR100664680B1 (ko) * 2005-07-08 2007-01-04 (주)아이알큐브 다수의 비밀번호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용 관리장치
KR20100133256A (ko) * 2009-06-11 2010-12-21 국방과학연구소 유도무기의 보안인증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보안인증 시스템
JP2014519799A (ja) * 2011-05-17 2014-08-1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遠隔ソケット装置
KR101823085B1 (ko) * 2016-07-28 2018-01-31 동오정밀 주식회사 보조기기 벽면 거치대
KR101971225B1 (ko) * 2018-10-11 2019-04-22 옥임식 클라우드 서버의 데이터 전송 보안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592B1 (ko) * 2021-05-14 2021-10-29 주식회사 더나은엔지니어링 Lte 통신라인의 코드 식별 기능을 갖는 ip공유기
KR102323134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KR102323131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장치
KR102326004B1 (ko) * 2021-05-14 2021-11-1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KR102318590B1 (ko) * 2021-05-18 2021-10-29 주식회사 더나은엔지니어링 통신케이블 누전차단형 통신트레이
KR102324856B1 (ko) * 2021-05-20 2021-11-11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1488B1 (ko) 건축물에 배선된 한전입찰용 통신케이블의 누전차단형 트레이
US6220880B1 (en) Electric outlets
KR100772207B1 (ko) 무정전 전력량계용 단자대
US8109781B2 (en) Connection adapter/terminal set and corresponding connection adapter and terminal
US20060228950A1 (en) Guard for terminals in a terminal block
KR102246276B1 (ko) 합선방지기능을 갖춘 배전선용 건축물트렌치
KR102201485B1 (ko) 인터넷통신케이블 접속선 보호를 위한 공공건물전용 통신선 보호배관
US7402061B1 (en) Structure of energy-efficient lamp base
KR102192512B1 (ko) 공동주택의 통신케이블 배선함
US20160104982A1 (en) Connecting device for electronic appliance
CN112054342B (zh) 一种户外防水防触电插线板
KR102204626B1 (ko) 외부통신망과의 연결이 가능한 실내 인터넷 통신공유기
US2015112A (en) Apparatus for multiple meter installation
JP2597016Y2 (ja) コネクタ
JP2010055896A (ja) コンセント、プラグ及び配線装置
GB2381669A (en) Folding plug
US6935884B1 (en) Electrical connector
CN210607846U (zh) 一种防开路连接器
CN217589689U (zh) 覆盖式超薄插头组件及其智能排插装置
CN214673120U (zh) 绝缘接线装置
KR200252789Y1 (ko) 전선 권취용 릴의 콘센트 커버
CN216408905U (zh) 快速拔插取电结构及层板灯
CN217507739U (zh) 插座以及具有其的家具
EP0378057B1 (en) Terminal block assembly including an electrical cable clamp member in particular for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CN214706981U (zh) 一种用于激光雷达的线缆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