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427B1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427B1
KR101570427B1 KR1020140087410A KR20140087410A KR101570427B1 KR 101570427 B1 KR101570427 B1 KR 101570427B1 KR 1020140087410 A KR1020140087410 A KR 1020140087410A KR 20140087410 A KR20140087410 A KR 20140087410A KR 101570427 B1 KR101570427 B1 KR 101570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ratchet
lever member
pawl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40087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427B1/ko
Priority to JP2016547922A priority patent/JP6266800B2/ja
Priority to PCT/KR2015/005248 priority patent/WO2016006822A1/en
Priority to US15/116,032 priority patent/US10308153B2/en
Priority to DE112015000399.1T priority patent/DE112015000399B4/de
Priority to CN201580010378.2A priority patent/CN106029442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부재가 폴을 눌러서 폴과 래칫의 치합을 이탈시켜서, 소비자가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킨 후에 어느 위치에서나 헤드레스트의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부재의 작동으로 로킹해제가 가능하여 로킹해제하는 방법을 소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이동장치{Headrest Moving Devic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부재가 폴을 눌러서 폴과 래칫의 치합을 이탈시키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를 등받이상에 고정된 상태로 고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일정각도 경사지게 하여 탑승자의 후두부와의 간격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틸팅(Tilting)구조 및 슬라이딩구조의 헤드레스트가 제안되었다.
또한, 헤드레스트 슬라이딩구조 또는 틸팅구조 적용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790535호 및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15501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403478호 및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105210호 및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221250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치형을 다수개 형성하여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조절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구조에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해 치형을 작게 할 경우 치형의 내구성이 떨어져서 치형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한계가 있었다. 또한, 일부 치형이 이탈될 경우 작동이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를 최후방까지 이동시킬 때에만 로킹이 해제되어 소비자가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이동시킨 후에 로킹을 해제하는 방법을 몰라서 차량에 헤드레스트 이동장치가 장착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130000호 등에 헤드레스트 외부에 슬라이딩 이동하는 샤프트에 연결된 버튼을 구비하여 어느 위치에서나 로킹을 해제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슬라이딩하는 샤프트를 구비하는 경우 마찰로 인한 버튼 작동성 및 소음 발생 및 내구성 저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로킹을 해제하기 위해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한 것이 한국등록특허 제1071580호에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여 로킹을 해제할 경우 제조단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전선 등의 연결로 인해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790535호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15501호 한국등록특허 제403478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105210호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221250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130000호 한국등록특허 제107158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비자가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킨 후에 어느 위치에서나 헤드레스트의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부재의 작동으로 로킹해제가 가능하여 로킹해제하는 방법을 소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를 단순하게 유지하며 마찰을 최소화하여 작동성 향상 및 소음 발생 및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래칫과,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을 포함하며, 상기 폴와 상기 래칫 중 하나는 시트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헤드레스트에 연결되고, 상기 폴을 눌러서 상기 폴과 상기 래칫의 치합을 이탈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래칫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며,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수평로드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수평로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는 제2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브라켓에 상기 폴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브라켓에 상기 래칫이 설치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폴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폴과 상기 래칫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폴에는 걸림돌기가 내측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2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 타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누르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브라켓에는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핀이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를 복귀시키는 레버복귀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레버복귀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링크와, 상기 제2링크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링크에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링크에 헤드레스트가 연결되고, 상기 폴은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래칫은 상기 제2링크에 연결되며, 상기 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2링크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 타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누르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재를 복귀시키는 레버복귀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레버복귀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상기 레버부재에는 상기 힌지부 양측에 상기 레버복귀스프링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돌출부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상기 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2링크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 타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누르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재를 복귀시키는 레버복귀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폴 및 상기 래칫에는 다수개의 치형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폴와 상기 래칫이 치합할 때 다수개의 폭방향 치형 및 다수개의 길이방향 치형이 서로 치합되며, 상기 폴과 상기 래칫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치형이 형성된 여러개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형성되어 폭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시트 또는 헤드레스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레버부재가 폴을 눌러서 폴과 래칫의 치합을 이탈시켜서, 소비자가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킨 후에 어느 위치에서나 헤드레스트의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부재의 작동으로 로킹해제가 가능하여 로킹해제하는 방법을 소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를 단순하게 유지하며 마찰을 최소화하여 작동성 향상 및 소음 발생 및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수평로드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수평로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는 제2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브라켓에 상기 폴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브라켓에 상기 래칫이 설치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폴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폴과 상기 래칫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되어, 헤드레스트를 전후방향으로 미세하게 틸팅시켜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폴에는 걸림돌기가 내측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2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 타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누르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브라켓에는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핀이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를 복귀시키는 레버복귀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레버복귀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에 끼워져서, 구조를 더욱 단순화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레버부재의 회동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제2브라켓 내부에 배치되어 장치를 더욱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1링크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1링크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링크와, 상기 제2링크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링크에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링크에 헤드레스트가 연결되고, 상기 폴는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래칫은 상기 제2링크에 연결되어, 헤드레스트를 전후방향으로 미세하게 슬라이딩시켜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2링크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 타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누르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재를 복귀시키는 레버복귀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레버복귀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상기 레버부재에는 상기 힌지부 양측에 상기 레버복귀스프링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돌출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동시에 레버복귀스프링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수개의 치형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제1,2기어가 치합할 때 다수개의 폭방향 치형 및 다수개의 길이방향 치형이 서로 치합되어, 치형의 크기를 아주 미세하게 성형(길이방향/폭방향 미세 기어가 서로 복수개가 치합)하더라도 치형이 고하중에도 버틸 수 있게 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더욱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다단 극대화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헤드레스트를 3단계정도로만 조절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은 9단계 이상으로 대폭적으로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치형을 미세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장치가 컴팩트해지고 조작감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일부 치형이 이탈되더라도 작동이 가능하여 내구성이 뛰어나다.
상기 폴와 상기 래칫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치형이 형성된 여러개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형성되어 폭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되어, 조립시 각 플레이트의 정밀위치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서 조립이 용이해지고, 일부 치형이 이탈되더라도 손상된 치형이 있는 플레이트만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기어를 주조나 단조 가공을 하고 마무리 가공을 추가로 하여 가공공정이 복잡하였으나, 본 발명은 플레이트를 프레스에 의해 가공이 가능하여 가공공정이 단순해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후방에서 본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래칫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후방 일측에서 본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은 도 4의 후방 타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도 4의 평면도.
도 9는 도 8의 A-A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레버부재를 이용하여 폴과 래칫의 치합을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도 10의 윗부분은 레버부재 부분 확대 정면도이고, 아랫부분은 폴과 래칫 부분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폴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래칫 사시도.
도 14는 도 11의 전방에서 본 결합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정면도.
도 16은 도 14의 측면도.
도 17은 도 14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18은 도 14의 평면도.
도 19는 도 18의 A-A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레버부재를 이용하여 폴과 래칫의 치합을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도 20의 윗부분은 레버부재 부분 확대 정면도이고, 아랫부분은 폴과 래칫 부분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사시도.
도 22는 도 21의 폴 사시도.
도 23은 도 21의 래칫 사시도.
도 24는 도 21의 전방에서 본 결합사시도.
도 25는 도 24의 정면도.
도 26은 도 24의 측면도.
도 27은 도 24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
도 28은 도 24의 평면도.
도 29는 도 28의 A-A단면도.
도 30은 도 2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레버부재를 이용하여 폴과 래칫의 치합을 해제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도 30의 윗부분은 레버부재 부분 확대 정면도이고, 아랫부분은 폴과 래칫 부분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예>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래칫(200)과, 상기 래칫(200)에 치합되는 폴(100)을 포함하며, 상기 폴(100)과 상기 래칫(200) 중 하나는 시트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헤드레스트에 연결되고, 상기 폴(100)을 눌러서 상기 폴(100)과 상기 래칫(200)의 치합을 이탈시키는 레버부재(10)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재(10)는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100)은 전후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배치되고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치형(150)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상부에 형성된다.
폴(100)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치형(150)이 형성된 여러개의 플레이트(100a)가 폭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형성되어 폭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치형(150)이 형성된다.
폴(100)는 후방 하부에 체결공(110)이 폭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폴(100) 하부에는 체결공(11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스프링끼움공(120)이 형성된다.
폴(100)에는 걸림돌기(170)가 내측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래칫(200)은 전후방향을 따라 수직하게 배치되고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개의 치형(240)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에 형성된다.
폴(100)과 래칫(200)의 치형(150, 240)은 일방향(전방)으로의 이동은 허용하되 반대방향(후방)으로의 이동은 허용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래칫(200)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치형(240)이 형성된 여러개의 플레이트(200a)가 폭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형성되어 폭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치형(240)이 형성된다.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치형(240)은 원호형상을 따라 형성된다.
래칫(200)은 다수개의 플레이트(200a)가 서로 결합되는 동시에 래칫(200)이 이하 서술되는 제2브라켓(800)에 고정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다.
래칫(200)는 제2브라켓(800)에 고정 설치되어 헤드레스트에 연결된다.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스테이로드(730)의 수평로드(730)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900)과, 상기 수평로드(73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는 제2브라켓(800)을 더 포함한다.
제1브라켓(900)은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측벽(910, 920)과, 측벽(910, 920)의 후방을 연결하는 후면(930)을 포함한다.
측벽(910, 920) 상부에는 폴체결공(901)이 폭방향으로 형성된다. 폴체결공(901)에는 폴(100)를 관통하는 축이 설치되어, 폴(100)은 제1브라켓(9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측벽(910, 920) 하부에는 상기 수평로드(730)가 관통되는 관통공(904)이 형성되어, 제1브라켓(900)은 상기 수평로드(730)에 고정된다. 따라서, 제1브라켓(900)은 시트에 연결된다.
제1브라켓(900)은 상기 수평로드(730) 중간에 끼워지는 메인스프링(720)의 좌측에 배치된다.
우측에 배치되는 측벽(910) 전방 상부에는 스프링(710)의 타단이 끼워지는 스프링끼움공(902)이 형성된다.
또한, 측벽(910) 전방 하부에는 메인스프링(720)의 일단이 끼워지는 메인스프링끼움홈(903)이 형성된다.
제2브라켓(800)은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전후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측벽(810, 820)을 포함한다.
측벽(810, 820) 하부에는 상기 수평로드(730)가 관통하는 관통공(805)이 형성되어, 제2브라켓(800)은 스테이로드(730) 및 제1브라켓(900) 및 폴(100)에 대해 회동가능해진다.
우측에 배치되는 측벽(820)에는 메인스프링(720)의 타단이 끼워지는 메인스프링끼움공(821)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좌측에 배치되는 측벽(810)에는 중간 부분에 내측으로 절곡된 제1절곡부(806)와, 제1절곡부(806)의 끝단에 상부로 향해 절곡된 제2절곡부(807)가 형성된다.
측벽(810)의 중간 부분 및 제1절곡부(806)에는 파형으로 굴곡된 굴곡부(804)가 형성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제2절곡부(807)에는 폭방향으로 체결공(803)이 전후방에 각각 형성된다. 체결공(803)에는 핀(830)이 끼워져서, 래칫(200)이 설치될 수 있는 동시에 양측의 측벽(810, 820)이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래칫(200)은 제2브라켓(800)에 고정설치된다.
한편, 후방에 배치되는 핀(830)에는 이격블럭(19)이 끼워져서 양측의 측벽(810, 820)의 이격간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좌측에 배치되는 측벽(810)에는 전단 및 후단이 연장형성되어 돌출된 부분이 내측으로 절곡된 제3절곡부(808)가 형성된다.
제3절곡부(808)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제3절곡부(808)로 인해 제2브라켓(800)에는 이하 서술되는 레버부재(10)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우측에 배치되는 측벽(820)에는 전방에 걸림돌출부(811)가 형성된다.
제1브라켓(900)과 폴(100)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폴(100)과 래칫(200)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프링(710)이 구비된다.
스프링(710)은 폴(100)과 제1브라켓(900)의 스프링끼움공(120, 902)에 양단이 각각 끼워진다.(연결된다.)
레버부재(10)는 폴(100)을 눌러서 폴(100)과 래칫(200)의 치합을 이탈시킨다.
레버부재(10)는 이하 서술되는 제2브라켓(80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레버부재(10)는 래칫(200)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레버부재(10)는 폴(100)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레버부재(10)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제2브라켓(8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11)와, 상기 힌지부(11)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12)와, 상기 힌지부(11)의 외주면 타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70)를 누르는 누름부(13)를 포함한다.
힌지부(11)는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절곡부(808)의 관통공에 끼워진다.
손잡이부(12)는 힌지부(11)의 전방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손잡이부(12)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공(14)이 형성된다. 장공(14)이 형성되는 부분은 우측으로 돌출되어 다른 부분보다 좌우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다.
전방에 배치되는 핀(830)은 장공(14)에 삽입되어 장공(14)을 관통한다. 이러한 핀(830)과 장공(14)으로 인해 가이드되어 소비자가 레버부재(10)를 좌우로 이동시킬 때 원활하게 레버부재(10)가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레버부재(10)가 과도하게 눌리는 것이 방지된다.
누름부(13)는 손잡이부(12)와 직각이 되도록 힌지부(11) 전방의 좌측에 형성된다. 누름부(13)는 걸림돌기(170)의 상부에 배치된다.
나아가, 레버부재(10)를 복귀시키는 레버복귀스프링(15)이 구비된다.
레버복귀스프링(15)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힌지부(11)의 후방 외주면에 끼워진다.
레버복귀스프링(15)의 일단은 누름부(13)의 후방에 형성된 레버복귀스프링끼움홈에 끼워지고, 타단은 메인스프링끼움공(811)에 끼워진다.
조립시, 제2브라켓(800)의 좌측 측벽(820) 상부와 제2브라켓(800)의 우측 측벽(810) 상부 사이에 래칫(200)이 배치되고, 우측 측벽(810)에 레버부재(10)가 설치되고, 양측 측벽(820)을 연결하는 핀(830)에 레버부재(10)가 끼워진다.
제1브라켓(900)의 좌측 측벽(920) 상부와 우측 측벽(910) 상부 사이에 폴(100)이 배치된다.
또한, 좌측에서부터 제2브라켓(800)의 좌측 측벽(820), 제1브라켓(900)의 좌측 측벽(920), 제1브라켓(900)의 우측 측벽(910), 메인스프링(720), 제2브라켓(800)의 우측 측벽(810)이 순차적으로 스테이로드(730)의 수평로드(730) 중앙 부분에 끼워진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틸팅시키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치형(150, 240)은 래칫(200)가 폴(10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은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헤드레스트(래칫, 제2브라켓)는 스테이로드(730, 폴, 제1브라켓)에 대해 전방으로 틸팅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헤드레스트가 왔을 때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미는 힘을 제거하면, 폴(100)과 래칫(200)은 서로 치합되고, 스프링(710)에 의해 치합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는 고정된다.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위치에서든지 레버부재(10)의 손잡이부(12)에 연결된 버튼(미도시)을 누르거나 손잡이부(12)를 누르게 되면(a), 레버부재(1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누름부(13)에 의해 걸림돌기(170)가 눌려서 폴(10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폴(100)은 래칫(200)로부터 이탈(b)되게 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는 전후방향 어디로든지 이동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버튼 또는 손잡이부(12)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레버복귀스프링(15)에 의해 레버부재(10)는 시계방향으로 복귀되어 걸림돌기(170)를 누르던 누름부(13)가 원위치로 복귀(c)된다. 이로 인해 폴(100)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래칫(200)에 치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소비자가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킨 후에 어느 위치에서나 헤드레스트의 외부로 노출되는 레버부재(10)에 연결된 버튼 또는 레버부재(10)의 작동으로 로킹해제가 가능하여 로킹해제하는 방법을 소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어 소비자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효과적이고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를 단순하게 유지하며 마찰을 최소화하여 작동성 향상 및 소음 발생 및 내구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폴(100)과 래칫(200)이 치합할 때 다수개의 폭방향 치형(150, 240) 및 다수개의 길이방향 치형(150, 240)이 서로 치합된다.
이로 인해, 다수개의 폭방향 치형(150, 240) 중 어느 하나가 이탈되더라도 같은 폭방향 선상의 다른 치형(150, 240)이 치합된 상태가 되므로 치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치합시 여러개의 폭방향 치형(150, 240) 및 길이방향 치형(150, 240)이 동시에 치합된 상태가 되어 고하중에서도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다르게, 도 12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제1링크(300)와, 상기 제1링크(300)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400)와, 상기 제1링크(300)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링크(500)와, 상기 제2링크(400)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링크(500)에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6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링크(600)에 헤드레스트가 연결되고, 상기 폴(100')은 상기 제1링크(300)에 연결되고, 상기 래칫(200')은 상기 제2링크(400)에 연결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도록 한다.
걸림돌기(170)는 폴(100')의 전방 내측에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100')은 전방 하부에 제1돌출부(130)가 형성된다.
폴(100') 상부 후방에는 치형(15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1걸림부(140)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폴(100') 후방 하부에는 제2돌출부(160)가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돌출부(160)의 하부에는 이하 서술되는 제1링크(300)의 걸림턱(304)이 배치된다.
래칫(200')은 이하 서술되는 제2링크(400)에 설치되어 헤드레스트에 연결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200')의 후방에는 폴(100')의 제1걸림부(140)와 걸리는 제2걸림부(230)가 전방을 향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걸림부(230)는 치형(240)의 후방 하부에 배치된다.
래칫(200')은 좌측에 가이드판(220)이 설치되고, 우측에 보조판(210)이 설치된다. 래칫(200')과 가이드판(220)과 보조판(210)에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제2링크(400)에 설치된다.
가이드판(220)은 플레이트(200a)보다 하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래칫(200')에 치합되는 폴(100')를 가이드한다.
보조판(210)은 제2링크(400)와 래칫(200') 사이에 배치되어 제2링크(400)와 래칫(2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한다.
제1링크(300)는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스테이로드(730)의 수평로드(730)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에 연결된다.
제1링크(300)는 양측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측벽(301,302)과, 측벽(301,302)의 하부를 연결하며 상기 수평로드(730)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면(303)을 포함한다.
측벽(301,302)에는 체결공(310, 320)이 폭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체결공(310, 320)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우측에 배치되는 측벽(301)에는 체결공(310, 32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폴체결공(330)이 폭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폴체결공(330)과 폴(100')의 체결공(110)에 축이 삽입되어, 폴(100')은 제1링크(300)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측벽(301)에는 체결공(310, 320)의 상부 및 폴체결공(330)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스프링끼움공(340)이 형성된다.
측벽(301) 후방에는 폴체결공(33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걸림턱(304)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링크(400)는 제1링크(300) 일측(전방)에 축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링크(400)는 전면(401)과, 전면(401)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벽(402,403)을 포함한다.
측벽(402,403)에는 상부 및 하부에 체결공(430, 420)이 형성되며, 체결공(430, 420)에 상기 축이 삽입되어 제2링크(400)는 제1링크(300) 및 제4링크(60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체결공(430, 420)은 하부에 배치된 체결공(420)이 전방에 배치되도록 엇갈리게 배치된다.
우측에 배치되는 측벽(402)에는 체결공(430, 420) 사이에 배치되도록 래칫체결공(410)이 전후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다. 측벽(402) 외측에는 래칫체결공(410)에 연통되도록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은 측벽(402) 일부가 내측으로 굴곡되어 형성된다.
래칫(200')에 형성된 체결공과 래칫체결공(410)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되어 래칫(200')은 제2링크(400)에 고정설치된다.
제3링크(500)는 제1링크(300)의 타측(후방)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3링크(500)는 후면(502)과 후면(502)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벽(501, 503)을 포함한다.
우측에 배치되는 측벽(501)의 전방 하부에는 돌출판(504)이 형성되어 있다.
측벽(501, 503) 상하부에는 체결공(510, 520)이 형성된다.
하부에 배치되는 체결공(520)이 전방에 배치되도록 제3링크(500)는 경사지게 배치된다.
체결공(510, 520)에 축이 삽입되어 제3링크(500)는 제1링크(300) 및 제4링크(60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4링크(600)는 제2링크(400)에 일측(전방)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링크(500)에 타측(후방)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제4링크(600)는 장치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제4링크(600)는 측판(602)과 측판(602)의 전방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설치판(601)을 포함한다.
설치판(601)에는 헤드레스트가 설치된다.
측판(602)에는 체결공(610, 620)이 전후방에 각각 형성된다.
체결공(610, 620)에 축이 삽입되어 제4링크(600)의 전방과 후방은 제2링크(400) 및 제3링크(6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메인스프링(720')은 제1링크(300)와 제3링크(500)를 연결하는 축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양단이 제1링크(300)와 제3링크(500)에 연결된다.
레버부재(10')는 제2링크(400)의 전면(401) 좌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레버부재(10')는 제2링크(400)의 내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레버부재(10')는 메인스프링(720')의 상부에 배치된다.
레버부재(10')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링크(4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11')와, 상기 힌지부(11')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12')와, 상기 힌지부(11')의 외주면 타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70)를 누르는 누름부(13')를 포함한다.
힌지부(11')는 전방이 전면(40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손잡이부(12')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손잡이부(12')는 중간 부분 우측에 돌출부(18)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돌출부(18)로 인해 레버부재(10')가 과도하게 회전되지 않게 된다.
누름부(13')는 힌지부(11')의 우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걸림돌기(170) 상부에 배치된다.
레버복귀스프링(15')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힌지부(11')의 전방 외주면에 끼워진다.
레버부재(10')에는 손잡이부(12') 전방 하부 및 힌지부(11')의 전방 하부 및 누름부(13')의 전방 하부에 레버복귀스프링(15')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돌출부(1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지지돌출부(16)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힌지부(11') 양측에 형성된다. 이로 인해 레버복귀스프링(15')의 일단은 레버부재(10')에 연결되고 타단은 끝이 절곡되어 래칫(200') 상부에 걸려서 연결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밀게 되면 치형(150, 240)은 래칫(200')이 폴(10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은 허용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헤드레스트(래칫, 제2,3, 4링크)는 스테이로드(730, 폴, 제1링크)에 대해 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헤드레스트가 왔을 때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미는 힘을 제거하면, 폴(100')과 래칫(200')은 서로 치합되고, 스프링(710)에 의해 치합상태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는 고정된다.
헤드레스트는 다수개의 길이방향 치형(150, 240)에 의해 전후방향 위치가 미세하게 조절(1step ~ 9step)될 수 있다.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위치에서든지 레버부재(10')의 손잡이부(12')에 연결된 버튼(미도시)을 누르거나 손잡이부(12')를 누르게 되면(a), 레버부재(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누름부(13')에 의해 걸림돌기(170)가 눌려서 폴(10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폴(100')은 래칫(200')으로부터 이탈(b)되게 된다. 사용자가 버튼 또는 손잡이부(12')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레버복귀스프링(15')에 의해 레버부재(10')는 반시계방향으로 복귀되어 걸림돌기(170)를 누르던 누름부(13')가 원위치로 복귀(c)된다. 이로 인해 폴(10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래칫(200')에 치합되게 되어 로킹되게 된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도 21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부재(10'')는 제2링크(400)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10'')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링크(4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11'')와, 상기 힌지부(11'')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12'')와, 상기 힌지부(11'')의 외주면 타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170')를 누르는 누름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걸림돌기(170')는 폴(100'')의 전단에 제2링크(400)의 전단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걸림돌기(170')는 원호형상으로 아래로 굴곡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걸림돌기(107')가 전후방향으로 형성되어 폴(100'')을 성형하기가 더욱 용이해진다.
힌지부(11'')는 전면(401)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손잡이부(12'')는 상부 후방에 후방으로 돌출된 후방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후방돌출부는 전면(401)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후방돌출부로 인해 일정각도 이상 회전시 레버부재(10'')가 전면(401)에 걸려서 과도하게 회전되지 않게 된다.
레버복귀스프링(15'')은 전면(401)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힌지부(11'')에 끼워진다.
상기 후방돌출부의 우측에 레버복귀스프링(15'')의 일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편(17)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레버복귀스프링(15'')의 타단은 절곡되어 래칫(200') 상부에 걸린다.
누름부(13'')는 전면(401)의 전방에 배치되며 손잡이부(12'') 하단 우측에 배치된다.
누름부(13'')의 하단은 전방으로 향할수록 하단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고자 할 경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위치에서든지 레버부재(10'')의 손잡이부(12'')에 연결된 버튼(미도시)을 누르거나 손잡이부(12'')를 누르게 되면(a), 레버부재(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링크(400)의 전방에 배치되는 누름부(13'')에 의해 걸림돌기(170')가 눌려서 폴(10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폴(100'')은 래칫(200')으로부터 이탈(b)되게 된다. 사용자가 버튼 또는 손잡이부(12'')에 가하는 힘을 제거하면, 레버복귀스프링(15'')에 의해 레버부재(10'')는 반시계방향으로 복귀되어 걸림돌기(170')를 누르던 누름부(13'')가 원위치로 복귀(c)된다. 이로 인해 폴(10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래칫(200')에 치합되게 되어 로킹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레버부재 11 : 힌지부
12 : 손잡이부 13 : 누름부
100 : 폴 200 : 래칫
100a, 200a : 플레이트 150, 240 : 치형
710 : 스프링 720 : 메인스프링
730 : 스테이로드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래칫;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을 포함하며,
    상기 폴와 상기 래칫 중 하나는 시트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헤드레스트에 연결되고,
    상기 폴을 눌러서 상기 폴과 상기 래칫의 치합을 이탈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수평로드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과,
    상기 수평로드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되는 제2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브라켓에 상기 폴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브라켓에 상기 래칫이 설치되고,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폴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폴과 상기 래칫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폴에는 걸림돌기가 내측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2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 타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누르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브라켓에는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핀이 폭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를 복귀시키는 레버복귀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레버복귀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5. 삭제
  6. 래칫;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을 포함하며,
    상기 폴와 상기 래칫 중 하나는 시트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헤드레스트에 연결되고,
    상기 폴을 눌러서 상기 폴과 상기 래칫의 치합을 이탈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
    상기 제1링크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링크;
    상기 제2링크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링크에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링크에 헤드레스트가 연결되고,
    상기 폴은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래칫은 상기 제2링크에 연결되며,
    상기 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2링크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 타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누르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재를 복귀시키는 레버복귀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레버복귀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상기 레버부재에는 상기 힌지부 양측에 상기 레버복귀스프링의 양단을 지지하는 지지돌출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7. 래칫;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을 포함하며,
    상기 폴와 상기 래칫 중 하나는 시트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헤드레스트에 연결되고,
    상기 폴을 눌러서 상기 폴과 상기 래칫의 치합을 이탈시키는 레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시트 또는 상기 헤드레스트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시트에 연결되는 제1링크;
    상기 제1링크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링크;
    상기 제1링크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링크;
    상기 제2링크에 일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링크에 타측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링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링크에 헤드레스트가 연결되고,
    상기 폴은 상기 제1링크에 연결되고,
    상기 래칫은 상기 제2링크에 연결되며,
    상기 폴에는 걸림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레버부재는 상기 제2링크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레버부재는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힌지부의 외주면 타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누르는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재를 복귀시키는 레버복귀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8. 제 4항 또는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폴 및 상기 래칫에는 다수개의 치형이 폭방향 및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폴와 상기 래칫이 치합할 때 다수개의 폭방향 치형 및 다수개의 길이방향 치형이 서로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폴과 상기 래칫 중 적어도 하나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치형이 형성된 여러개의 플레이트가 결합되어 형성되어 폭방향을 따라 치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20140087410A 2014-07-11 2014-07-11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570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410A KR101570427B1 (ko) 2014-07-11 2014-07-11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2016547922A JP6266800B2 (ja) 2014-07-11 2015-05-26 ヘッドレスト移動装置
PCT/KR2015/005248 WO2016006822A1 (en) 2014-07-11 2015-05-26 Headrest moving device
US15/116,032 US10308153B2 (en) 2014-07-11 2015-05-26 Headrest moving device
DE112015000399.1T DE112015000399B4 (de) 2014-07-11 2015-05-26 Kopfstützenverstellvorrichtung
CN201580010378.2A CN106029442B (zh) 2014-07-11 2015-05-26 头枕移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410A KR101570427B1 (ko) 2014-07-11 2014-07-11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427B1 true KR101570427B1 (ko) 2015-11-19

Family

ID=54843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410A KR101570427B1 (ko) 2014-07-11 2014-07-11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08153B2 (ko)
JP (1) JP6266800B2 (ko)
KR (1) KR101570427B1 (ko)
CN (1) CN106029442B (ko)
DE (1) DE112015000399B4 (ko)
WO (1) WO2016006822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910B1 (ko) 2015-12-23 2017-01-10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슬라이딩 장치
WO2018070673A1 (en) * 2016-10-13 2018-04-19 Woobo Tech Co., Ltd. Headrest moving device
CN110682842A (zh) * 2018-07-05 2020-01-14 格瑞玛股份公司 头部支撑设备
WO2020213788A1 (en) * 2019-04-19 2020-10-22 Woobo Tech Co., Ltd. Tilting device for armres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6819B1 (ko) * 2017-11-17 2019-01-1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CN108016338A (zh) * 2017-11-29 2018-05-11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翻转机构
CN110505976B (zh) * 2018-03-16 2023-02-28 岱美北美汽车股份有限公司 头靠组件、座椅及头靠组件的使用方法
CN108275043B (zh) * 2018-03-19 2019-07-19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自复位调节机构
CN110664157A (zh) * 2019-09-09 2020-01-10 东莞市伟宏智能家居科技有限公司 头枕角度调节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761B1 (ko) * 2000-10-25 2002-11-04 정해창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1321Y2 (ko) 1978-08-23 1981-05-20
DE3131597A1 (de) 1981-08-10 1983-02-24 C. Rob. Hammerstein Gmbh, 5650 Solingen Kopfstuetzvorrichtung
JPS59108457A (ja) 1982-12-14 1984-06-22 Olympus Optical Co Ltd 固体撮像素子
JPS59108457U (ja) * 1983-01-13 1984-07-21 池田物産株式会社 可動式ヘツドレスト装置
JPH0213433U (ko) 1988-07-12 1990-01-26
JP2546778Y2 (ja) * 1992-01-23 1997-09-03 株式会社エフテック 足踏み式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のラチェットプレート
DE19523358C8 (de) 1995-06-28 2006-01-26 Volkswagen Ag Arretiermechanismus für eine Kopfstütze
KR20000005540A (ko) 1996-04-18 2000-01-25 올리비에 드라즈 자동차좌석전용머리받침대를높이에따라잠그기위한장치
KR200189970Y1 (ko) 1996-12-31 2000-08-01 정몽규 전후 및 경사 조절 가능한 헤드레스트
DE69718649T2 (de) 1997-11-14 2003-09-25 Bruzolo Manifatt Gestind Mb Kopfstütze für Kraftfahrzeugsitze
JP2000052825A (ja) 1998-08-07 2000-02-22 Mitsubishi Motors Corp 起倒式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シート
JP2000083756A (ja) 1998-09-14 2000-03-28 Araco Corp ヘッドレスト
KR200255602Y1 (ko) 1999-01-05 2001-12-13 이승한 승용차 운전석의 머리받침대 틸팅구조
JP2000217659A (ja) 1999-01-28 2000-08-08 Tokai Chem Ind Ltd ヘッドレストの可倒装置
FR2796822B1 (fr) 1999-07-30 2001-10-05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Appuie-tete perfectionne et siege muni de cet appuie-tete
JP4280950B2 (ja) 1999-08-09 2009-06-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KR100403478B1 (ko) 2001-05-29 2003-10-30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US6910740B2 (en) 2002-12-09 2005-06-28 Camaco Articulated headrestraint system
KR100510152B1 (ko) 2003-04-14 2005-08-26 주식회사 우보테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US6880890B1 (en) 2004-02-05 2005-04-19 Fisher Dynamics Corporation Multi-position headrest for vehicle seat
KR100592788B1 (ko) 2004-03-18 2006-06-30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
FR2881694B1 (fr) 2005-02-04 2008-07-25 Faurecia Sieges Automobile Mecanisme de guidage en translation avec blocage en position notamment pour des elements ajustables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US7322646B2 (en) 2005-11-02 2008-01-29 Lear Corporation Folding head restraint mechanism
US20070164593A1 (en) * 2006-01-17 2007-07-19 Windsor Machine & Stamping Limited Articulating headrest assembly
US7669932B1 (en) 2006-02-28 2010-03-02 Grammer A.G. Headrest
US7267407B1 (en) 2006-02-28 2007-09-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Head restraint adjustment and trim closeout apparatus and method
KR100868787B1 (ko) * 2006-03-28 2008-11-17 주식회사 우보테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20070105210A (ko) 2006-04-25 2007-10-30 주식회사 우보테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US7621598B2 (en) 2006-10-03 2009-11-24 Lear Corporation Adjustable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KR100790535B1 (ko) 2007-02-07 2008-01-02 (주)현대공업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1071580B1 (ko) 2007-02-28 2011-10-10 정해일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US7717516B2 (en) 2007-03-30 2010-05-18 Gill Industries, Inc. Articulating/folding head restraint
KR20090063580A (ko) 2007-12-14 2009-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헤드레스트 장치
KR101047562B1 (ko) 2007-12-18 2011-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록킹장치
US7758126B2 (en) 2008-01-10 2010-07-20 Honda Motor Co., Ltd. Folding headrest
KR100982796B1 (ko) 2008-01-30 2010-09-16 정해일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0982797B1 (ko) 2008-02-26 2010-09-16 정해일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US7690729B2 (en) 2008-08-14 2010-04-06 Liao Tzu-Ying Adjustable chair headrest frame
KR100930033B1 (ko) 2008-08-25 2009-12-07 대흥산업(주)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0998973B1 (ko) 2008-10-31 2010-12-09 (주)현대공업 자동차시트용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 구조
US8002356B2 (en) 2008-11-13 2011-08-23 Bae Industries, Inc. Pivoting headrest assembly with cam release
US20120126605A1 (en) 2009-04-01 2012-05-24 Johnson Control Technology Company Headrest and vehicle seat
KR101144870B1 (ko) * 2009-06-02 2012-05-16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KR101081926B1 (ko) 2009-09-07 2011-11-0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E102009045833A1 (de) 2009-10-20 2011-05-26 Lear Corp., Southfield Sitzeinrichtung mit einer einstellbaren Kopfstützeneinrichtung
FR2954241B1 (fr) 2009-12-23 2012-02-17 Faurecia Sieges D Automobiles Appui-tete reglable en hauteur pour un dossier de siege d'automobile
US8256838B2 (en) 2010-02-25 2012-09-04 Dymos Incorporated Active headrest
US8641149B2 (en) * 2010-03-11 2014-02-04 Windsor Machine & Stamping (2009) Ltd Ratcheting vehicle head restraint assembly
DE102010041941A1 (de) 2010-10-04 2012-04-05 Lear Corporation Bewegliche Kopfstützen für Fahrzeugsitze
JP5706704B2 (ja) * 2011-02-04 2015-04-2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の前後位置調整装置
DE102011081686B4 (de) 2011-08-26 2014-08-28 Audi Ag Kopfstützenanordnung für einen Fahrzeugsitz
KR101231013B1 (ko) 2011-09-02 2013-02-07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KR101327394B1 (ko) 2011-11-23 2013-11-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327391B1 (ko) 2012-04-10 2013-11-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US8979203B1 (en) 2012-04-24 2015-03-17 Gill Industries, Inc. Head restraint assembly
JP5843696B2 (ja) * 2012-05-25 2016-01-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本体のロック機構
CN104797170A (zh) * 2012-09-26 2015-07-22 提爱思科技股份有限公司 头枕
US9327627B2 (en) 2013-01-29 2016-05-03 Tachi-S Co., Ltd. Unlocking mechanism for inclinable headrest
KR101383094B1 (ko) 2013-02-20 2014-04-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N203255001U (zh) * 2013-05-16 2013-10-30 岱山县金鑫海绵制品有限公司 汽车座椅头枕
CN203372098U (zh) * 2013-06-17 2014-01-01 友联车材制造股份有限公司 汽车座椅前翻平移连动式头枕调整机构
KR101592467B1 (ko) 2013-12-10 2016-02-05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9761B1 (ko) * 2000-10-25 2002-11-04 정해창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틸팅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910B1 (ko) 2015-12-23 2017-01-10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슬라이딩 장치
CN108349418A (zh) * 2015-12-23 2018-07-31 牛步科技有限公司 车辆头枕滑动装置
DE112016006009T5 (de) 2015-12-23 2018-09-27 Woobo Tech Co., Ltd. Kopfstützen-Verschiebevorrichtung
US10427574B2 (en) 2015-12-23 2019-10-01 Woobo Tech Co., Ltd. Vehicle headrest sliding device
CN108349418B (zh) * 2015-12-23 2020-11-06 牛步科技有限公司 车辆头枕滑动装置
DE112016006009B4 (de) 2015-12-23 2023-06-22 Woobo Tech Co., Ltd. Kopfstützen-Verschiebevorrichtung
WO2018070673A1 (en) * 2016-10-13 2018-04-19 Woobo Tech Co., Ltd. Headrest moving device
CN110682842A (zh) * 2018-07-05 2020-01-14 格瑞玛股份公司 头部支撑设备
WO2020213788A1 (en) * 2019-04-19 2020-10-22 Woobo Tech Co., Ltd. Tilting device for armrest
US11192481B2 (en) 2019-04-19 2021-12-07 Woobo Tech Co., Ltd. Tilting device for arm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29442B (zh) 2018-03-30
WO2016006822A1 (en) 2016-01-14
DE112015000399B4 (de) 2023-01-26
JP6266800B2 (ja) 2018-01-24
US20170144573A1 (en) 2017-05-25
US10308153B2 (en) 2019-06-04
CN106029442A (zh) 2016-10-12
DE112015000399T5 (de) 2016-11-03
JP2017503711A (ja)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042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EP1431104B1 (en) Seat slide device
KR10159246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US8146978B2 (en) Seat slide device for vehicle
US7293752B2 (en) Positive engagement latch for a vehicle seat
JP2010100077A (ja) 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2004122799A (ja) 車両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装置
KR10165047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어셈블리
JP5991207B2 (ja) スライドレール
JP5710831B1 (ja) ヘッドレスト用傾倒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JP2006335104A (ja)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02154355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672965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5061556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8052401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101578072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00130002A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044067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2009012629A (ja) シートバックのロック機構
KR20140082311A (ko) 차량용 시트의 트레이 박스 락킹 구조체
KR101108272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593048B1 (ko) 헤드레스트 수평이동장치
JP7437925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2014046812A (ja) スライドレバー連結構造
JP2006335105A (ja) 車両の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