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7391B1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7391B1
KR101327391B1 KR20120037169A KR20120037169A KR101327391B1 KR 101327391 B1 KR101327391 B1 KR 101327391B1 KR 20120037169 A KR20120037169 A KR 20120037169A KR 20120037169 A KR20120037169 A KR 20120037169A KR 101327391 B1 KR101327391 B1 KR 101327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ving
screw
locking
mov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37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828A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20120037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7391B1/ko
Priority to BR112014002475A priority patent/BR112014002475A2/pt
Priority to CN201380002493.6A priority patent/CN103717448B/zh
Priority to JP2014523882A priority patent/JP5775638B2/ja
Priority to US14/234,976 priority patent/US9126513B2/en
Priority to PCT/KR2013/001816 priority patent/WO2013154269A1/en
Publication of KR20130114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7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73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68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 Y10T74/18576Reciprocating or oscillating to or from alternating rotary including screw and n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스크류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블록과,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블록의 로킹을 해제하는 로킹부와, 스테이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또는 상기 블록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여, 단순한 구성으로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를 무단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이동장치{Apparatus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car headrests}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스크류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블록과,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블록의 로킹을 해제하는 로킹부와, 스테이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또는 상기 블록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헤드레스트 전후 이동장치는 코일스프링(30)이 외주면에 결합되는 원봉형상의 이동체(20)와, 이 이동체의 일측부가 코일스프링(30)과 함께 관통되어 활주되며 이 코일스프링의 일측부 선단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51)이 형성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일측부를 감싸서 지지하는 관형상의 제1지지부재(50)와,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측부를 감싸주며 이 타측부의 선단이 삽입 안내되는 간격부(42)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손잡이(41)가 연장된 작동부재(40)와, 상기 코일스프링의 타측부를 작동부재(40)내에 지지하는 관형상의 제2지지부재(60)와, 주면에는 작동부재(40)의 손잡이(41)가 삽입되어 회동되는 공간부(11)가 형성되고 제1,제2지지부재(50)(60)와 작동부재(40)를 함께 감싸주어 지지하는 관형상의 결합부재(10)로 구성된다.
작동부재(40)는 판재를 관형상으로 되게 만곡하여 되는 것으로서, 일단은 간격부(42)를 갖도록 격리하고 타단은 손잡이(41)가 되도록 수직 연장하여 된다.
제2지지부재(60)의 일측단부는 2단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측단은 작동부재(40)의 타단과 맞닿게 된다.
전후이동장치는, 작동부재(40)의 손잡이(41)가 결합부재(10)의 공간부(11)를 통해 외측으로 하향 노출되게 결합되며, 코일스프링(30)의 일측부는 제1지지부재(50)에 감싸지고 타측부는 작동부재(40)에 삽입 지지된다.
이때는 코일스프링(30)이 면접촉과 점접촉이 복합된 상태로 이동체(20)를 붙잡고 있게되므로, 이 이동체는 이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작동부재(40)의 손잡이(41)를 돌려서 이동체(20)를 붙잡고 있는 코일스프링(30)의 직경이 커지게 하면 인접 코일간의 간격도 벌어져서 상기 이동체를 놓아주게 되므로, 이 이동체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방해를 받지 않고 제1,제2지지부재(50)(60)의 중공부내에서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헤드레스트 전후이동장치는 손잡이 하나를 이동시킴으로 인해 헤드레스트를 전후방향으로만 이동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를 손으로 작동시키지 않고 와이어를 연결하여 작동시키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이 와이어를 이용할 경우에는 작동편차가 발생하게 되고, 구조도 복잡해지게 되며, 장치의 전체적인 가격도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장치를 컴팩트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단순한 구성으로 하나의 누름부재를 통해 헤드레스트의 상하 및 전후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스크류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블록과,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블록의 로킹을 해제하는 로킹부와, 스테이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또는 상기 블록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블록의 외주면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킹부에는 상기 블록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로킹부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에는 평면과 경사면이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가 수평이동시 상기 로킹부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로킹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스테이로드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블록과,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블록의 로킹을 해제하는 로킹부와, 스테이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또는 상기 블록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며, 상기 스크류와 상기 블록 사이에는 볼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름부재는 제1누름부재와 제2누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누름부재에 의해 이동하는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2누름부재에 의해 이동하는 제2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로드에는 상기 제1이동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제2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블록의 로킹을 해제할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과, 스크류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블록과,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블록의 로킹을 해제하는 로킹부와, 스테이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또는 상기 블록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여, 단순한 구성으로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를 무단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은 와이어를 이용하지 않고 누름부재를 이용하여, 작동편차를 방지하고, 구조도 단순해지며, 장치의 전체적인 가격도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상기 블록의 외주면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킹부에는 상기 블록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로킹부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에는 평면과 경사면이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가 수평이동시 상기 로킹부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로킹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어, 단순한 구조로 상기 블록을 로킹 및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스크류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전후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후가이드부에는 스크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봉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봉 전방 또는 후방에는 탄성부재가 배치되어, 상기 탄성부재로 인해 제조시 발생할 수 있는 공차를 조립할 때 흡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이로드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 형성되어, 누름부재를 누르는 한번의 동작으로 헤드레스트의 전후 위치 및 상하 위치까지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와 상기 블록 사이에는 볼이 배치되어, 스크류와 상기 블록 사이의 상대회전이 원활하게 될 수 있어서 작동성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 누름부재는 제1누름부재와 제2누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누름부재에 의해 이동하는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2누름부재에 의해 이동하는 제2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로드에는 상기 제1이동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제2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블록의 로킹을 해제하여, 두개의 누름부재를 이용하여 전후, 상하 조절을 각각 제어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위치 변경을 배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후이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로킹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7의 A-A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포함한 일부 부재 결합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포함한 일부 부재 결합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록을 포함한 일부 부재 결합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제외한 결합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제외한 결합 배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버를 제외한 결합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9의 B-B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이동 가능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4의 C-C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4의 D-D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분리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이동부재 확대도.
도 21은 도 19의 블록 확대도.
도 22는 도 19의 가이드부재 확대도.
도 23은 도 19에서 커버를 제외한 상태에서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결합사시도.
도 24는 도 23의 배면도.
도 25는 도 19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위치 고정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상하 위치 조절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전후 위치 조절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9는 도 25의 E-E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누름부재(220)와, 상기 누름부재(220)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이동부재(200)와, 상기 이동부재(200)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300)과, 스크류(700)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700)가 나사결합되는 블록(600)과, 상기 이동부재(2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블록(600)의 로킹을 해제하는 로킹부(500)와, 스테이로드(400)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200)를 지지하는 프레임(210)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700) 또는 상기 블록(600)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장치를 둘러싸는 커버(100)를 포함한다.
커버(100)는 장치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커버(110)와 장치의 후방에 배치되어 전방커버(110)에 결합되는 후방커버(120)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커버(110)의 상하부 및 양측 둘레에는 체결후크(111)가 형성되어 있고, 후방커버(120)에는 체결후크(111)가 삽입되는 체결구멍(12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체결후크(111) 및 체결구멍(121)으로 인해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는 가조립이 가능해져서 조립이 용이해진다.
전방커버(110) 및 후방커버(120)에는 서로 결합되고, 타 부재가 내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 등이 체결될 수 있는 체결공(102)이 형성되어 있다.
체결공(102)은 이하 서술되는 가이드봉(930)이 체결되는 체결공(102)을 포함하며, 가이드봉(930)이 체결되는 체결공(102)에는 체결공(102)을 둘러싸는 안착부(10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100) 하부에는 스테이로드인출공(101)이 형성되어 있다.
후방커버(120)의 측면 하부에는 누름부재가이드(122)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재가이드(122)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수평이동가이드홈(123)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재(220)는 후방커버(120)의 누름부재가이드(122)에 좌우방향으로 수평하게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누름부재(220)는 버튼으로 구비되며, 외주면에 수평이동가이드홈(123)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누름부재(220)의 끝단 외주면 양측에는 후크(222)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후방커버(120)에 한번의 끼움 공정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220)의 끝단 내부에는 축이 누름부재(220)의 누름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누름전달부재(22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누름전달부재(224)는 롤러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전달부재(224)로 인해 사용자가 누름부재(220)의 정중앙을 누르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누르는 힘이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고, 누름부재(220)와 이하 서술되는 이동부재(200)와의 마찰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동부재(200)는 누름부재(220)의 누르는 힘에 의해 수평이동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끝단에 누름부재(220)의 누름전달부재(224)와 접촉하는 접촉부(205)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접촉부(205)의 하부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다.
이동부재(200)에는 평면(235)과 경사면(237)이 형성된 돌출부(234)가 형성된다.
돌출부(234)는 이동부재(20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32) 내부 일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234)는 상면에 평면(235)이 형성되고 평면(235) 하부에 배치되도록 경사면(237)이 형성된다.
돌출부(234)는 하면에도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돌출부(234)의 평면(235)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2경사면(236)이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234) 둘레에는 단차지게 슬라이딩부(238)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딩부(238)의 상면은 돌출부(234)의 상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관통공(234) 내부 타측에 보조돌출부(233)가 형성된다.
보조돌출부(233)는 상면이 평편하게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재(200)는 두개의 판(200a, 200b)으로 분할되어 구비될 수 있다. 분할된 두개의 판(200a, 200b)은 일측과 타측에 나란히 배치된다. 두개의 판(200a, 200b) 중에 일측에 배치되는 판(200a)에 돌출부(234)가 형성되도록 분할된다.
이동부재(200)는 상부 및 하부에 접촉돌기(20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돌기(201)는 반원형상(또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접촉되는 타 부재와 선접촉되어 접촉마찰 및 마찰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동부재(200)의 양측에는 스테이로드관통공(202)이 형성되며, 스테이로드관통공(202) 일측에 배치되도록 걸림부(203)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203)는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이동부재(200)에는 걸림부(203) 내부에 배치되도록 강판(207)이 인서트 사출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강판(207)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강판(207)은 띠형상으로 판으로 구비된다.
이동부재(200)의 양측에는 스프링지지판(209)이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스프링지지판(209)은 이동부재(2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하부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스프링지지판(209)에는 복귀스프링(300)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복귀스프링(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재(200)의 양측에는 홀(206)이 각각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스프링(300)은 두개가 구비되어, 분할된 두개의 판으로 구비되는 이동부재(200)를 복귀시킨다.
도 10 및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스프링(300)은 스프링지지판(209) 형성으로 인해 절개된 부분을 통해 삽입되어 스프링지지판(209)에 의해 일단이 지지된다.
프레임(210)은 스테이로드(400)에 설치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이동부재(200)를 지지하는 동시에 가이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10)의 중심부에는 로킹가이드부(219)가 형성된다.
로킹가이드부(219)는 이하 서술되는 로킹부(500)의 전방 및 후방을 지지하며 가이드하도록 지지판이 이격되게 설치된다.
상기 지지판의 양측에는 걸림턱(219b)이 후방 또는 전방을 향해 절곡되어 형성된다.
전방과 후방의 걸림턱(219b) 사이에는 돌출부(234)가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에 배치되는 상기 지지판에는 상하방향으로 장공(219a)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전후방에 배치된 상기 지지판 사이에는 스프링지지돌기(219c)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프레임(210)으로 인해 이동부재(200)가 좌우방향으로 더욱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프레임(21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전후 및 일측 둘레에 가이드돌기(216)가 형성된다.
나아가, 프레임(210)의 타측에는 이동부재(200)의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21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210)의 전방 및 후방 양측에는 타부재에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212)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돌기(212)는 상부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프레임(210)의 타측의 전방 및 후방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접촉부(205)의 양측을 지지한다.
나아가, 프레임(210)의 전방 양측에는 체결후크(213)가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210)의 후방 양측에는 타부재의 체결후크가 체결되는 체결공(217)이 형성된다.
프레임(210)의 양측에는 스테이로드관통공(202)에 연통되도록 관통공(215)이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210)의 내벽에는 스테이로드(400)에 접촉되는 접촉돌기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돌기는 세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10)에는 상기 접촉돌기가 형성된 위치에 근접하도록 상하로 관통된 홀이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210)에는 이동부재(200)의 홀(206)에 연통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프레임(210)의 중심부에는 복귀스프링(300)의 타단을 지지하는 스프링지지판(214)이 형성된다.
스프링지지판(214)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프레임(210)에는 복귀스프링(300)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700)는 전단과 후단 외주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형성된 다각형부(701)가 구비된다.
전방커버(110)와 후방커버(120)의 내부에는 스크류(700)의 다각형부(701)가 삽입되는 다각형상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다각형상의 홈에 연통되도록 체결공(102)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00)의 체결공(102)과 연통되도록 스크류(700)의 전단 및 후단에도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스크류(700)는 커버(100)에 고정되게 된다.
또한, 스크류(700)의 후방에는 원판형상의 누름판(702)이 형성된다. 누름판(702)은 후방에 배치되는 다각형부(701)와 스크류부(703) 사이에 배치된다.
스크류(700) 설치시 누름판(702)과 후방커버(120) 사이에는 풀림방지판(140)이 배치된다.
풀림방지판(140)은 누름판(702) 보다 직경이 큰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다각형부(701)가 관통되는 다각형관통부가 형성되고 있고, 둘레에는 후방으로 굴곡된 굴곡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풀림방지판(140)에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굴곡부(141)가 형성되어, 스크류(700)가 체결된 후에 스크류(700)를 고정시키는 볼트가 풀리는 것이 방지된다.
스크류부(703)와 전방커버(110) 사이에는 전방브라켓(130)이 배치된다.
전방브라켓(130)은 중심부에 전방에 배치되는 다각형부(701)가 관통되는 다각형관통부가 형성되고, 상부 양측 및 하부 양측에는 전방커버(1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전방브라켓(130)이 구비되어, 스크류(700)와 전방커버(110) 사이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스크류(700)가 안정적으로 전방커버(1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70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전방커버(110) 및 후방커버(120)도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600)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700)와 나사결합된다.
블록(6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부에 스크류(700)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블록(600)의 외주면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블록(600)은 프레임(210)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고, 이하 서술되는 가이드부재(900)에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전후방향 위치는 고정된다.
스크류(700) 또는 블록(600)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록(600)이 회전하나, 이와 다르게 스크류(700)가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부(500)는 이동부재(200)의 이동에 따라 블록(600)의 로킹을 해제하거나, 블록(600)을 로킹한다.
로킹부(500)에는 블록(600)이 안착되는 안착홈(501)이 형성된다.
안착홈(501)은 로킹부(5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안착홈(501) 내부에 배치되도록 로킹부(500)에는 치형(50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로킹부(500)와 블록(600)이 밀착될 경우에는 서로 치합된다.
로킹부(500)의 일측에는 로킹부(500)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출부(508)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부재(200)가 수평이동시 로킹부(500)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로킹부(500)에는 돌출부(234)가 삽입되는 삽입공(50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200)와 로킹부(500)가 형성되어, 단순한 구조로 블록(600)을 로킹 및 해제시킬 수 있다.
삽입공(504)은 로킹부(500)의 일측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공(504) 내부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로킹부(500)에는 평면부(505)와 경사부(506)가 형성된다. 또한, 삽입공(504) 내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로킹부(500)에는 경사부(506)가 형성되어 있다.
로킹부(500)의 타측 하부에는 보조돌출부(233)에 의해 지지되는 평면부(509)가 형성되어 있다.
로킹부(500)의 전방에는 제2가이드돌기(503)가 형성되어, 프레임(210)의 장공(219a)에 삽입된다. 이러한 제2가이드돌기(503)로 인해 로킹부(500)는 더욱 원활하게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나아가, 로킹부(500)의 하부에는 스프링지지돌기(507)가 형성된다.
로킹부(500)의 스프링지지돌기(507) 및 프레임(210)의 스프링지지돌기(219c)에 상부와 하부가 끼워지는 로킹지지스프링(51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로킹부(500)의 하부와 프레임(210)의 상부 사이에는 로킹지지스프링(510)이 배치된다.
이러한 로킹지지스프링(510)으로 인해 로킹부(500)가 로킹상태시 블록(600)과 더욱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고, 로킹해제에서 로킹으로 복귀시 원활하게 로킹부(500)가 복귀될 수 있다.
스테이로드(400)는 상기 이동부재(200)가 걸리는 걸림홈(411)이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 형성된다.
스테이로드(400)는 이동부재(420)와 이동부재(420)의 양측에 연결되는 수직부재(410)를 포함한다.
양측에 있는 수직부재(410)에는 일측에 걸림홈(4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크류(700)를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940)와 스테이로드(400)의 수직부재(410)를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910)가 형성되는 가이드부재(900)를 더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900)는 양측에 제2가이드부(910)가 각각 형성되고, 제2가이드부(910) 사이에 상기 제1가이드부(940)가 형성된다.
상기 제1가이드부(940)는 블록(600)을 둘러싸는 하우징부(911)와 하우징부(911)의 양측에 배치되어 스크류(700) 및 커버(100)의 전후방향이동을 가이드하는 전후가이드부를 포함한다.
하우징부(911)는 블록(600)의 전후방 및 양측을 둘러싸는 벽체와 바닥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에는 로킹가이드부(219)가 관통되는 지지부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벽체에는 스크류(700)가 관통되는 블록관통공(912)이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상기 벽체의 전면 상하부 양측에는 충돌방지돌출부(919)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충돌방지돌출부(919)로 인해 사용자가 과도하게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키더라도 하우징부(911)와 전방브라켓(130)과의 충돌하더라도 충격을 감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음이 감소되고 파손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후가이드부는 스크류(700)가 전후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베어링(920)과 베어링(920)이 설치될 수 있는 브라켓(913)을 포함한다.
베어링(920)에는 전단 및 후단이 전방커버(110) 및 후방커버(120)에 연결되는 가이드봉(930)이 삽입되어, 스크류(700)는 안정적으로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봉(930) 전방 또는 후방에는 탄성부재(931)가 배치된다.
탄성부재(931)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봉(930)의 전단 및 후단에 끼워진다.
이러한 탄성부재(931)는 전방커버(110) 및 후방커버(120)에 형성된 안착부(103)에 안착되어, 가이드봉(930)을 고정시키는 볼트와 가이드봉(930) 전단 및 후단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탄성부재(931)로 인해 제조시 발생할 수 있는 공차를 조립할 때 흡수 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91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가이드부(910)는 스테이로드(400)의 수직부재(410)의 형상에 따라 본실시예에서와 같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스테이로드(400)가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경우에는 헤드레스트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면 자동적으로 전방으로 동시에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900)로 인해 헤드레스트가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더욱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제2가이드부(910)의 내벽에는 스테이로드(400)의 상하방향 이동이 원활하도록 접촉돌기(915) 세개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이러한 접촉돌기(915)로 인해 스테이로드(4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안정적으로 이동하면서도 소음 및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가이드부(910)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스테이로드(400)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력지지부(917)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탄력지지부(917)의 끝단에 접촉돌기(915)가 배치되도록 탄력지지부(917)는 형성된다.
이러한 탄력지지부(917)는 수직부재(410)의 양측에 배치되도록 두개가 형성된다.
또한, 제2가이드부(910)에는 탄력지지부(917)를 외측에서 둘러싸서 지지하는 스냅링(918)이 끼워진다.
이러한 스냅링(918)이 안정적으로 설치되도록 탄력지지부(917)의 외주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스냅링(918)에는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걸림후크가 형성된다.
이러한, 탄력지지부(917) 및 스냅링(918)으로 인해 스테이로드(400)를 더욱 탄력적으로 지지하여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력지지부(917)도 보강될 수 있다.
나아가, 가이드부재(900)는 전방 양측에는 프레임(210)의 체결후크(213)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후방 양측에는 프레임(210)의 체결공(217)에 체결되는 체결후크(916)가 형성되고, 프레임(210)의 고정돌기(212)와 볼트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볼트체결공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걸림턱 및 체결후크(916)가 형성되어, 가이드부재(900)는 프레임(210) 및 이동부재(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프레임(210)에 결합된다. 따라서, 하부에서부터 프레임(210), 이동부재(200), 가이드부재(9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결합된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다음과 같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로드(400)의 수직부재(410)가 제2가이드부(910) 및 스테이로드관통공(202) 및 관통공(215)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이동부재(200)의 걸림부(203)가 스테이로드(400)의 걸림홈(411)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스테이로드(40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하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걸림부(203) 내부에는 강판(207)이 인서트성형되어 헤드레스트의 하중 및 충격에도 파손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동시에, 강판(207)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강판(207)과 스테이로드(400)가 마찰되지 않게 되어 소음이 발생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재(200)는 복귀스프링(300)의 탄성력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그 위치가 고정된다. 이로 인해, 이동부재(200)의 돌출부(234)는 로킹부(500)의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234)의 평면(235)과 로킹부(500)의 평면부(505)가 접촉한 상태가 되고, 로킹부(500)의 타측에 배치되는 평면부(509)는 보조돌출부(233)와 접촉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로킹부(500)의 치형(502)은 블록(600)의 치형과 치합된다. 이로 인해, 블록(600)은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가 된다.
블록(600)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블록(600)에 나사결합된 스크류(700)도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어 헤드레스트의 상하 위치 및 전후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사용자가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귀스프링(300)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누름부재(220)를 누르게 되면 누름전달부재(224)를 통해 이동부재(200)에 전달된다.
이로 인해, 이동부재(200)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돌출부(234) 및 보조돌출부(233)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돌출부(234)의 경사면(237)과 로킹부(500)의 경사부(506)가 접촉하게 된다. 이로 인해 로킹부(500)는 하부로 하강하게 되어 블록(600)과의 치합이 해제된다. 즉, 블록(600)의 로킹이 해제된다.
따라서, 블록(600)은 회전가능해지게 된다.
즉, 블록(600)은 스크류(700)에 대해 회전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블록(600)은 스크류(700)에 대해 회전하게 되고, 스크류(700) 및 커버(10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동시에, 이동부재(200)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테이로드(400)의 걸림홈(411)에 끼워져 있던 걸림부(203)는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의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누름부재(220)를 누른 상태에서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누름부재(22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헤드레스트의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상태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부피를 최소화 하는 동시에 하나의 누름부재(220)를 통해 헤드레스트의 상하 및 전후 이동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은 와이어를 이용하지 않고 누름부재를 이용하여, 작동편차를 방지하고, 구조도 단순해지며, 장치의 전체적인 가격도 저렴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단순한 구성으로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를 무단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누름부재(220b)와, 상기 누름부재(220b)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300)과, 스크류(700b)와, 상기 스크류(700b)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블록(600b)과,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블록(600b)의 로킹을 해제하는 로킹부(500)와, 스테이로드(400)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210)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700b) 또는 상기 블록(600b)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며, 상기 스크류(700b)와 상기 블록(600b) 사이에는 볼(620)이 배치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다르게, 누름부재(220b)나 상기 이동부재는 직관성향상 및 조작성 향상을 위해 필요시 이하 서술하는 바와 같이 두개로 나누어 구성될 수도 있다.
누름부재(220b)는 제1누름부재(223)와 제2누름부재(226)를 포함한다.
나아가, 누름부재(220b)는 제1누름부재(223)와 제2누름부재(226)를 둘러싸는 케이싱부(225)를 더 포함하여, 조립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제1누름부재(223)와 제2누름부재(226)는 케이싱부(225)에 누름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케이싱부(225)에는 후크등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방커버(110a) 및 후방커버(120b)에 설치된다.
전방커버(110a) 및 후방커버(120b)에는 누름부재(220b)를 가이드하는 누름부재가이드(112b,122b)가 분할되어 형성되어 있다.
전방커버(110a) 및 후방커버(120b)에 분할되어 형성된 누름부재가이드(112b,122b)는 후크와 후크가 끼워지는 구멍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제1누름부재(223) 및 제2누름부재(226)의 외측 표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손가락이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누름부재(223) 및 제2누름부재(226)의 외측 표면에는 상기 안착홈의 상하부 또는 전후에는 화살표가 음각 또는 양각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표시로 인해 사용자가 누름부재(220b)를 직접보지 않더라도 손가락의 감각으로 상하 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누름부재(223) 및 제2누름부재(226) 상황에 따라 누를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는 제1누름부재(223)에 의해 이동하는 제1이동부재(200d)와 제2누름부재(226)에 의해 이동하는 제2이동부재(200c)를 포함한다.
제1이동부재(200d)는 프레임(2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좌측제1이동부재(250) 및 우측제1이동부재(240)로 두개로 분할되어 구비된다.
좌측제1이동부재(250) 및 우측제1이동부재(240)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프레임(210)의 좌측 및 우측 상부에 각각 배치된다.
좌측제1이동부재(250) 및 우측제1이동부재(240)에는 스테이로드관통공(202)이 각각 형성되며, 스테이로드관통공(202) 일측에 배치되도록 걸림부(20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이동부재(200d)의 걸림부(203)는 스테이로드(400)에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 형성된 걸림홈에 걸리게 된다.
좌측제1이동부재(250)의 상면에는 수평이동가이드홈(251)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우측제1이동부재(240)의 일측에는 제1누름부재(223)의 누르는 힘이 전달되는 접촉부(205d)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우측제1이동부재(240)에는 상하로 이동하는 로킹부(500)와 간섭되지 않도록 로킹부(500)가 드나들 수 있는 구멍(241)이 형성된다.
제2이동부재(200c)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우측제1이동부재(24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이동부재(200c)에는 평면과 경사면이 형성된 돌출부(234)가 형성된다.
돌출부(234)는 제2이동부재(200c)에 형성되는 관통공(232) 내부 일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제2이동부재(200c)에는 관통공(234) 내부 타측에 보조돌출부(233)가 형성된다.
따라서, 로킹부(500)는 제2이동부재(200c)의 이동에 따라 블록(600b)의 로킹을 해제한다.
제2이동부재(200c)에는 스테이로드관통공이 형성되며, 일측에 제2누름부재(226)의 누르는 힘이 전달되는 접촉부(205c)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이동부재(200c)의 타측에는 수평이동가이드돌기(239)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수평이동가이드돌기(239)는 수평이동가이드홈(251)에 삽입되어 가이드된다. 또한, 수평이동가이드돌기(239)의 끝단에는 수평이동가이드홈(251)에 안착되는 복귀스프링(300)이 끼워져서 제2이동부재(200c)는 복귀된다.
스크류(700b)의 외주면에는 스크류부(703)가 형성되어 있고, 전방에는 스크류(700b)를 전방커버(110b)에 고정시키는 전방브라켓(70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크류(700b)와 전방브라켓(704)이 일체로 형성되어, 부품수가 축소되고 결합성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블록(600b)은 스크류(700b)가 관통되는 관통공(601)이 형성된다.
블록(600b)의 외주면에는 로킹부(500)의 치형과 치합되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다.
블록(600b)의 후방에 배치되되록 블록(600b)의 내주면에는 걸림턱(60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블록(600b)의 전방 및 후방에는 관통공(601)을 둘러싸도록 링끼움부(60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링끼움부(603)에는 블록(600b)보다 외경이 큰 링(640)이 끼워지게 된다.
스크류(700b)와 블록(600b) 사이에는 볼(620)이 배치된다.
즉, 스크류(700b)의 외주면과 블록(600b)의 내주면 사이에는 볼(620)이 배치된다.
볼(620)은 링형상의 볼스테이(610)에 끼워져서 블록(600b)의 관통공(601)에 배치된다.
볼스테이(610)에는 볼(620)이 끼워지는 구멍(611)이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되고, 이러한 구멍(611)은 원주방향을 따라 여러개 배치된다.
나아가, 볼스테이(610)의 외주면에는 볼(620)이 끼워지는 구멍(611)과 연통되도록 볼가이드홈(612)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볼가이드홈(612)으로 인해 볼스테이(610)에 볼(620)을 조립할 때에 볼(620)의 위치가 정해져서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볼(620)을 볼스테이(610)에 조립할 때 구멍(611)으로 볼(620)이 볼스테이(610) 안쪽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볼스테이(610)에 스크류(700b)가 끼워지기 전까지 볼스테이(610) 내부에 지지링(미도시)을 끼워넣어서 조립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링은 볼스테이(610)에 스크류(700b)를 끼우면서 빼내어진다.
이러한 볼스테이(610)는 볼(620)이 끼워져서 블록(600b)의 관통공(601) 내부에 배치된다.
볼스테이(610) 내부에는 스크류(700b)가 관통하게 된다.
한편, 볼스테이(610)가 블록(600b)에 끼워질 때 걸림턱(602)에 걸려서 볼스테이(610)의 조립이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의 가이드부재(900b)의 전후가이드부는 전단 및 후단이 전방커버(110) 및 후방커버(120)에 연결되는 가이드봉(930)과 가이드봉(930)이 삽입되는 삽입공(914)이 형성된 브라켓(913)을 포함한다.
브라켓(913)에는 삽입공(914) 내부에 배치되도록 전후방향을 따라 리브(91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리브(917)는 여러개 형성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리브(917)는 단면형상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917)로 인해 가이드봉(93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가이드봉(930)과 브라켓(913)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가이드봉(930)은 브라켓(913)에 의해 효과적으로 전후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전후가이드부는 가이드부재(900b)의 양측에 배치되어, 스크류(700b)의 양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전후가이드부의 가이드봉(930)으로 인해 좌우 흔들림 방지 및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가이드봉(930)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스크류(700b) 및 블록(600b) 등(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을 각각 두개 구비하여,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하여 전술한 가이드봉(930)의 역할까지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헤드레스트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는 다음과 같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로드(400)의 수직부재(410)가 스테이로드관통공(202)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좌측제1이동부재(250) 및 우측제1이동부재(240)의 걸림부(203)가 스테이로드(400)의 걸림홈(411)에 삽입된다. 이로 인해, 스테이로드(40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하위치가 고정된다.
제2이동부재(200c)의 돌출부(234)는 로킹부(500)의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돌출부(234)의 평면과 로킹부(500)의 평면부가 접촉한 상태가 되고, 로킹부(500)의 타측에 배치되는 평면부는 보조돌출부(233)와 접촉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로킹부(500)의 치형(502)은 블록(600b)의 치형과 치합된다. 이로 인해, 블록(600b)은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블록(600b)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블록(600b)에 결합된 스크류(700b)도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어 헤드레스트의 전후 위치가 고정되게 된다.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사용자가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다.
헤드레스트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귀스프링(300)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제1누름부재(223)를 누르게 되면 제1이동부재(200d)에 전달된다.
제1이동부재(200d)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스테이로드(400)의 걸림홈(411)에 끼워져 있던 걸림부(203)는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헤드레스트의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1누름부재(223)를 누른 상태에서 헤드레스트의 상하방향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제1누름부재(223)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헤드레스트의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상태로 복귀된다.
헤드레스트의 상하 위치를 조절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복귀스프링(300)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으로 제2누름부재(226)를 누르게 되면 제2이동부재(200c)에 전달된다.
이로 인해, 제2이동부재(200c)는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돌출부(234) 및 보조돌출부(233)도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돌출부(234)의 경사면과 로킹부(500)의 경사부가 접촉하게 된다. 이로 인해 로킹부(500)는 하부로 하강하게 되어 블록(600b)과의 치합이 해제된다. 즉, 블록(600b)의 로킹이 해제된다.
따라서, 블록(600b)은 회전가능해지게 된다.
즉, 블록(600b)은 스크류(700b)에 대해 회전가능하므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블록(600b)은 스크류(700b)에 대해 회전하게 되고, 스크류(700b) 및 커버(100b)는 전후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2누름부재(226)를 누른 상태에서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제2누름부재(226)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헤드레스트의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된 상태로 복귀된다.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블록(600b)과 스크류(700b) 사이에 볼(620)이 배치되어, 블록(600b)과 스크류(700b) 사이의 상대회전이 원활하게 될 수 있어서 작동성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두개의 누름부재를 이용하여 전후, 상하 조절을 각각 제어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위치 변경을 배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커버 110 : 전방커버
120 : 후방커버 130 : 전방브라켓
140 : 풀림방지판 200 : 이동부재
210 : 프레임 220 : 누름부재
400 : 스테이로드 500 : 로킹부
600 : 블록 700 : 스크류
900 : 가이드부재

Claims (4)

  1. 누름부재;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수평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를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
    스크류;
    상기 스크류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블록;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블록의 로킹을 해제하는 로킹부;
    스테이로드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스크류 또는 상기 블록 중 어느 하나가 회전하며,
    상기 블록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와 나사결합되거나,
    상기 스크류와 상기 블록 사이에는 볼이 배치되며,
    상기 블록의 외주면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킹부에는 상기 블록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로킹부에는 치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부재에는 평면과 경사면이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가 수평이동시 상기 로킹부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상기 로킹부에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로드에는 상기 이동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제1누름부재와 제2누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제1누름부재에 의해 이동하는 제1이동부재와 상기 제2누름부재에 의해 이동하는 제2이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로드에는 상기 제1이동부재가 걸리는 걸림홈이 상하방향을 따라 두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로킹부는 상기 제2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블록의 로킹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20037169A 2012-04-10 2012-04-1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327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7169A KR101327391B1 (ko) 2012-04-10 2012-04-1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BR112014002475A BR112014002475A2 (pt) 2012-04-10 2013-03-06 dispositivo de movimento de encosto de cabeça
CN201380002493.6A CN103717448B (zh) 2012-04-10 2013-03-06 头枕运动装置
JP2014523882A JP5775638B2 (ja) 2012-04-10 2013-03-06 ヘッドレスト移動装置
US14/234,976 US9126513B2 (en) 2012-04-10 2013-03-06 Headrest moving device
PCT/KR2013/001816 WO2013154269A1 (en) 2012-04-10 2013-03-06 Headrest mov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37169A KR101327391B1 (ko) 2012-04-10 2012-04-1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828A KR20130114828A (ko) 2013-10-21
KR101327391B1 true KR101327391B1 (ko) 2013-11-08

Family

ID=49327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37169A KR101327391B1 (ko) 2012-04-10 2012-04-10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26513B2 (ko)
JP (1) JP5775638B2 (ko)
KR (1) KR101327391B1 (ko)
CN (1) CN103717448B (ko)
BR (1) BR112014002475A2 (ko)
WO (1) WO20131542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85431A1 (en) * 2012-04-26 2013-10-31 Martur Sunger Ve Koltuk Tesisleri Ticaret Ve Sanayi Anonim Sirketi Rear headrest mechanism used in the passenger seats of motor vehicles
KR101383094B1 (ko) * 2013-02-20 2014-04-08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570427B1 (ko) 2014-07-11 2015-11-1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E102015011477B4 (de) * 2015-02-20 2023-08-03 Grammer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FR3036666B1 (fr) * 2015-05-29 2018-11-02 Faurecia Sieges D'automobile Appui-tete de siege de vehicule et siege comportant un tel appui-tete
FR3043605B1 (fr) * 2015-11-13 2018-02-09 Cera Tsc Appui-tet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EP3383698B1 (en) * 2015-11-30 2021-04-07 B/E Aerospace, Inc. Forward translating headrest
CN105691261B (zh) * 2016-04-07 2018-11-20 宁波继峰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四向调节头枕
DE102016110496A1 (de) * 2016-06-07 2017-12-0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KR101683428B1 (ko) * 2016-06-29 2016-12-0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헤드레스트 가이드 조립체
US10160361B2 (en) 2016-07-27 2018-12-25 Windsor Machine and Stamping (2009) Ltd. Four-way electric power actuation head restraint
KR101867439B1 (ko) * 2016-11-11 2018-06-14 광명산업(주) 상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원버튼 헤드레스트
DE102017104761B4 (de) * 2017-03-07 2022-09-22 Faurecia Autositze Gmbh Verstellvorrichtung für eine Kopfstütze eines Fahrzeugsitzes und Fahrzeugsitz mit der Verstellvorrichtung
CN107054180B (zh) * 2017-03-22 2023-11-14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带有四向调节功能的座椅头枕
CN107097700B (zh) * 2017-03-22 2023-07-07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汽车座椅头枕解锁组件
US10576860B2 (en) * 2017-03-27 2020-03-03 Windsor Machine and Stamping (2009) Ltd. Vertically adjustable head restraint
US10703241B2 (en) 2017-03-27 2020-07-07 Windsor Machine and Stamping (2009) Ltd. Vertically adjustable head restraint
CN107791914B (zh) * 2017-09-08 2023-08-22 安道拓鱼复(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两向调节按钮式汽车座椅头枕
WO2019067588A1 (en) 2017-09-26 2019-04-04 Dorel Juvenile Group, Inc. ADJUSTABLE HEADREST FOR CHILDREN'S VEHICLE SEAT
KR101971148B1 (ko) * 2017-09-26 2019-04-22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CN109017488B (zh) * 2018-07-11 2023-05-23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便于高度调节的汽车座椅头枕骨架
CN109017487B (zh) * 2018-07-11 2023-10-20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座椅头枕锁定装置
KR102075553B1 (ko) * 2018-08-14 2020-02-11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락킹장치
DE102018214952B3 (de) * 2018-09-03 2019-08-14 Magna Seating (Germany) Gmbh Verstellbare Kopfstützenanordnung für einen Kraftfahrzeugsitz
KR102122712B1 (ko) * 2019-03-05 2020-06-15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FR3093677B1 (fr) * 2019-03-12 2021-04-02 Tesca France Appui-tête de siège de véhicule automobile
FR3100761B1 (fr) * 2019-09-17 2022-01-21 Tesca France Appui-tête de siège de véhicule automobile
CN111483374A (zh) * 2020-04-25 2020-08-04 上海华迎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头枕及其加工工艺
KR102174617B1 (ko) * 2020-05-26 2020-11-06 (주)디앤엠솔루션즈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위치설정 유닛과 편향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2825A (ja) 1998-08-07 2000-02-22 Mitsubishi Motors Corp 起倒式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シート
US7690729B2 (en) * 2008-08-14 2010-04-06 Liao Tzu-Ying Adjustable chair headrest frame
US20100327645A1 (en) 2008-01-30 2010-12-30 Hae Il Jeong Headrest for cars
US20110204686A1 (en) 2010-02-25 2011-08-25 Dymos Incorporated Active headrest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433A (ja) 1988-06-30 1990-01-17 Yokogawa Medical Syst Ltd 最適シーケンスパラメータの自動設定法
JPH0213433U (ko) * 1988-07-12 1990-01-26
US5433508A (en) * 1993-10-19 1995-07-18 Tachi-S Co., Ltd Powered headrest for automotive seat
US6364415B1 (en) * 1999-07-29 2002-04-02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Head rest for vehicle seat
FR2796822B1 (fr) * 1999-07-30 2001-10-05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Appuie-tete perfectionne et siege muni de cet appuie-tete
JP4432222B2 (ja) * 2000-06-27 2010-03-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装置
US7104602B2 (en) * 2004-06-30 2006-09-12 Lear Corporation Vehicle seat having a moveable head restraint
KR101047562B1 (ko) 2007-12-18 2011-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록킹장치
CN101524977B (zh) * 2008-03-04 2013-09-04 C.劳勃.汉默斯坦两合有限公司 用于机动车的高度可电动调整的头枕装置
JP5253034B2 (ja) * 2008-08-07 2013-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US20120126605A1 (en) 2009-04-01 2012-05-24 Johnson Control Technology Company Headrest and vehicle seat
DE102009045833A1 (de) 2009-10-20 2011-05-26 Lear Corp., Southfield Sitzeinrichtung mit einer einstellbaren Kopfstützeneinrichtung
EP2361801B1 (en) * 2010-02-23 2012-11-14 Dymos Incorporated Active headrest
DE102011006243B4 (de) * 2011-03-28 2016-11-17 Lear Corporation Höhenverstellbare Kopfstütze für Fahrzeugsitz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52825A (ja) 1998-08-07 2000-02-22 Mitsubishi Motors Corp 起倒式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シート
US20100327645A1 (en) 2008-01-30 2010-12-30 Hae Il Jeong Headrest for cars
US7690729B2 (en) * 2008-08-14 2010-04-06 Liao Tzu-Ying Adjustable chair headrest frame
US20110204686A1 (en) 2010-02-25 2011-08-25 Dymos Incorporated Active headres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828A (ko) 2013-10-21
JP5775638B2 (ja) 2015-09-09
BR112014002475A2 (pt) 2017-02-21
CN103717448A (zh) 2014-04-09
US9126513B2 (en) 2015-09-08
WO2013154269A1 (en) 2013-10-17
CN103717448B (zh) 2016-04-06
US20140182404A1 (en) 2014-07-03
JP2014524379A (ja) 201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391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US9078522B2 (en) Reclining device
KR10138309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5593681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6022589B2 (ja) ヘッドレスト
JP4984914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275089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H1156513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6178423B2 (ja) 接触式のドアスイッチ、特にスイッチギアキャビネット用接触式ドアスイッチ
JP4133311B2 (ja) アームレストの高さ調節装置
WO2010032340A1 (ja) スパイラルスプリング
JP2005312480A (ja) 回動装置及び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23160109A (ja) フック装置
JP5804406B2 (ja) ベッド用グリップ等の固定機構における操作ハンドルの保持装置
KR101304502B1 (ko) 스티어링 컬럼 레버 구조체
JP7386043B2 (ja) キャスタ装置及びキャスタ付き家具
JP3672690B2 (ja) キャスターのロック機構
JP4977381B2 (ja) 車両用係止装置
JP5281061B2 (ja) キャスター及びキャスターユニット
JP6367141B2 (ja) 扉施錠装置
JP5837803B2 (ja) 肘掛け装置
JP2015217808A (ja) ヘッドレストおよび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乗物用シート
JP2005180471A (ja) 高さ調整装置
JP5049529B2 (ja) ロッキング機構用ロック装置
JP2017077837A (ja) キャスタの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