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537B1 -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것으로이루어지는 편평형 콘덴서 - Google Patents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것으로이루어지는 편평형 콘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537B1
KR101117537B1 KR1020057017508A KR20057017508A KR101117537B1 KR 101117537 B1 KR101117537 B1 KR 101117537B1 KR 1020057017508 A KR1020057017508 A KR 1020057017508A KR 20057017508 A KR20057017508 A KR 20057017508A KR 101117537 B1 KR101117537 B1 KR 101117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propylene film
flat
capacitor
flat capaci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3655A (ko
Inventor
키미타케 우에마츠
이사무 모리구치
마사히토 이와시타
아키라 오다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13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18Dielectrics
    • H01G4/06Solid dielectrics
    • H01G4/14Organic dielectrics
    • H01G4/18Organic dielectrics of synthetic material, e.g. derivatives of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의 Δd(마이크로미터법 두께-질량법 두께)가 0.05~0.2㎛이며,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3% 이하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Δd가 0.1~0.3㎛이며, 길이 방향의 F5값이 50MPa 이상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것으로부터 이루어지는 편평형 콘덴서를 제공한다. 콘덴서 소자의 권취 공정에서의 핸들링성이 우수한 필름이 얻어지며, 또한 자기 회복성 등의 내전압 특성이 우수하고, 소형 대용량으로 고정격 전압하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편평형 콘덴서가 얻어진다.
Figure R1020057017508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수축 치수 변화율, 평균 거칠기

Description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편평형 콘덴서{FLAT TYPE CAPACITOR-USE POLYPROPYLENE FILM AND FLAT TYPE CAPACITOR USING IT}
본 발명은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편평형 콘덴서에 관한 것이고, 특히, 소형 대용량, 고정격 전압하에서의 사용을 목적으로 한 편평형 콘덴서와 그 편평형 콘덴서 구성용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내전압 특성이나 유전 손실 등의 전기 특성이 다른 플라스틱 필름보다도 우수하기 때문에 전기 용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콘덴서 용도에 있어서의 유전체 재료로서의 수요의 신장은 현저하다. 최근, 각종 전기 설비가 인버터화됨에 따라 또는 콘덴서의 소형 대용량화가 진행됨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박막화가 한층 요망되고 있다.
그런데,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콘덴서에 이용되는 플라스틱 필름 중에서는 강성이 부족한 소재이기 때문에,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그 취급성이나 가공성의 향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취급성이나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가지 제안이 되어 있다.
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한쪽 면에 금속 증착을 행한 후의 비증착면과, 크롬 도금을 행한 금속판의 80℃에 있어서의 정지 마찰 계수가 0.8 이하이며, 또한 융점이 130℃ 이하의 첨가제의 함유량이 4000 중량 ppm 이하인 콘덴서용 증착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제안되어 있고, 증착 가공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평 2-170406호 공보).
또한, 비증착면에 젖음 장력이 33dyne/cm 이하의 표면 처리를 행하고, 고속 권취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소 58-16415호 공보). 더욱이, F5값이 11.0kgf/mm2 이상, 필름중의 전체 입자 함유량이 0.25~0.60 중량%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안되어, 권취성, 슬릿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0-204177호 공보).
또한, 마이크로미터법에 의한 필름 두께와 중량법에 의한 필름 두께의 차이(Δd)를 0.01~0.5㎛로 함으로써, 필름의 내전압 저하, 절연 결함을 억제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평 10-156938호 공보). 더욱이, 마이크로미터 두께(MMV)와 중량 평균 두께(WMV)의 비(MMV/WMV)를 1.2~1.6으로 하고, 필름의 중첩 권취시의 절연유의 층간 유통성을 향상시키는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1-118430호 공보).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평 2-170406호 공보에 기재된 콘덴서용 증착 폴리프로필렌 필름에서는 콘덴서 소자의 권취 공정에 있어서 권취 어긋남 억제 효과가 작고, 불충분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소 58-16415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서는 콘덴서 소자의 소자 권취 공정에서의 주름 억제 효과가 불충분하고, 특히 두께가 4㎛ 이하의 얇은 필름에서는 현저했다. 더욱이, 일본 특허 공개 2000-204177호 공보에 기재된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며,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적용하기에는 그 폴리머 특성 등의 차이로 곤란했다.
또한, 어느 제안도 최종 목적의 하나인 콘덴서의 내전압 특성에 있어서, 특히 4㎛ 이하의 얇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대해 우수한 내전압 특성을 유지하는 점에서 불충분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평 10-15693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서는, 특히 두께가 4㎛ 이하의 얇은 필름의 콘덴서 소자의 편평화 프레스 공정에 있어서, 주름이 발생하고, 내전압 특성의 점에서 불충분했다.
더욱이, 일본 특허 공개 2001-11843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서는, 필름층 간의 공극율이 지나치게 커져, 절연유를 함침하지 않는 콘덴서에서는 내전압 특성을 크게 저하시켜 버린다.
여기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극복하고, 콘덴서 소자의 권취 공정이나 그 후의 편평화 프레스 공정에서 예컨대 4㎛ 이하의 얇은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도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예컨대 500μF 이상의 대용량 게다가 소형의 편평형 콘덴서의 작성에 적합하고, 또한 내전압 특성, 특히 편평형 콘덴서의 특징 중 하나인 자기 회복성을 유지함과 아울러, 직류 정격 전압으로서 700V 이상의 사용에 적합한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편평형 콘덴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필름의 마이크로미터법에 의한 두께와 질량법에 의한 두께의 차이(Δd)가 0.05~0.2㎛이며,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또 하나의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필름의 마이크로미터법에 의한 두께와 질량법에 의한 두께의 차이(Δd)가 0.1~0.3㎛ 이며, 길이 방향의 F5값이 50MPa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금속이 증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콘덴서용 금속화 폴리프로필렌 필름도 제공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는 상기와 같은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적어도 일부에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는 상기와 같은 편평형 콘덴서용 금속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적어도 일부에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은 편평형 콘덴서용 금속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지 않은 마진을 포함하는 패턴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2는 편평형 콘덴서용 금속화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지 않은 마진을 포함하는 패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금속화 부분(흑색 부분)
2: 마진 부분(백색 부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형태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일실시형태로서는 필름의 Δd가 0.05㎛ 이상 0.2㎛ 이하일 필요가 있다. Δd는 마이크로미터법에 의한 두께(MMV)로부터 질량법에 의한 두께(WMV)를 감한 차이의 값이며, 이 값이 크면 필름의 표면이 거칠한 것을 의미하고, 콘덴서 소자에 감아 올려진 때의 필름층 간의 공극율이 커지고, 작으면 필름의 표면이 평활한 것을 의미하고, 콘덴서 소자에 감아 올려진 때의 필름층 간의 공극율이 작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있어서, 필름의 Δd가 0.05㎛ 미만에서는 필름이 미끄러지기 어렵기 때문에, 주름 억제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필름 가공상의 문제가 생기고, 또한, 콘덴서내에서는 필름층 간의 공극율이 작아지기 때문에, 콘덴서내에서 자기 회복이 일어났을 때에 발생하는 가스나 비산 금속이 계외로 빠지지 않고 내전압 특성에 지장을 미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므로 부적당하다. Δd가 0.2㎛를 초과하면 콘덴서 소자의 권취 시에 필름이 미끄러져 움직인다고 하는 필름의 가공성의 문제가 생기고, 또한, 콘덴서내의 필름층 간 공극율이 커지기 때문에 내부 방전을 일으키기 쉬워지는 것이 원인이 되어, 콘덴서에 과전된 때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량 감소가 커지게 되는 콘덴서의 내전압이 저하하는 등의 지장이 생기므로 부적당하다. 바람직하게는 0.07㎛ 이상 0.15㎛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Δd를 상기 범위내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폴리머를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할 때의 폴리머 온도를 컨트롤하는 방법이나, 적절한 결정성을 가지는 폴리머를 선택하는 방법,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조핵제를 함유하게 하는 방법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은 3% 이하일 필요가 있다. 3%를 초과하면 콘덴서 소자를 가열 처리하는 등의 콘덴서 제조 공정에서 필름의 수축이 커지고, 콘덴서내에서 필름이 밀접되어 필름층 간을 작게 하기 때문에, 자기 회복이 일어난 때에 발생하는 가스나 비산 금속이 계외로 빠지지 않고 내전압 특성에 지장을 미치게 하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므로 부적당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은 너무 작으면 콘덴서 소자에 감아 올려진 후의 콘덴서 제조 공정이나 사용 과정에서 받는 열이력에 의해 콘덴서 소자의 권취 상태가 느슨해지는 일이 있고, 필름층 간의 공극율이 변화하는 것이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2.8%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2.5% 이하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과 폭 방향의 수축 치수율의 합은 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3.5 이하%이다. 이 범위내에 있으면, 증착 가공이나 가열 프레스 등의 열 스트레스를 받는 가공에 있어서, 필름의 오그라듬을 억제할 수 있고, 소망의 치수 정밀도나 용량 정밀도를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적어도 편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는 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증착을 목적으로 한 편면의 Rz가 0.6㎛를 초과하면 콘덴서의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증착 금속면에 거칠고 큰 요철을 구성하기 때문에 전계의 집중을 초래하고, 내전압 특성을 저하시키는 것이 있으므로, 금속 증착을 목적으로 한 편면의 Rz가 0.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한편, Rz의 하한은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한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필름의 미끄러짐성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강성이 저하되어 미끄러지기 어려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미끄럼성의 부여 효과와 경제성으로부터 폴리메틸펜텐을 0.5wt%~5wt%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한 함유량은 0.7wt%~4wt%의 범위내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강성이 부족한 얇은 필름에서는 주름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에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미터법에 의한 두께가 4㎛ 이하의 필름에 있어서는 특히 효과가 커져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머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폴리프로필렌의 호모폴리머 이외에,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예컨대 에틸렌, 부텐 등)의 공중합체로서도, 또한 폴리프로필렌 필름과 다른 α-올레핀 중합체(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등)와의 블렌드품이어도 상관없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텐터법, 인플레이션법 중 어느 것으로 얻은 것이어도 상관없고, 연신 방법도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얇고 또한, 두께 불균일성이 작은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텐터법 2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함유되는 첨가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콘덴서 특성에 지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 첨가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콘덴서에 사용하는 경우의 전극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금속박이어도 양면을 금속화한 종이나 플라스틱 필름이어도,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을 직접 금속화해도 상관없지만, 소형 경량화가 기대되는 콘덴서 용도에 있어서는 특히 직접 필름을 금속화하는 것에 적절하다. 이 때, 이용되는 금속의 종류로서는 아연, 주석, 은, 크롬, 알루미늄, 구리, 니켈 등의 단량체나 복수 종의 혼합물 또는 합금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름을 직접 금속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진공 증착법이나 스퍼터링법 등이 예시되며,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생산성이나 경제성 등의 관점에서 진공 증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진공 증착법으로서는 도가니 방식이나 와이어 방식 등이 예시되지만,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증착에 의해 금속화하는 경우의 마진 패턴도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패턴이어도 콘덴서의 보안성 향상 등의 목적에서 행해지는 특수 마진 패턴이어도 상관없다. 그러나, 필름을 주행시킬 때에 금속면과 필름면이 교대로 각종의 롤에 접하기 때문에, 해당 롤과의 마찰 상태가 일정하지 않고, 주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에 관계되기 쉬우므로, 특히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금속화 부분(1)에 대하여 필름 길이 방향에 평행하지 않은 마진 부분(2)을 포함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이들 문제점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다. 그들의 마진의 형성 방식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테이프 방식이어도 오일 방식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콘덴서는 전적으로 주름이 들어가기 쉬운 편평화 프레스 공정을 거치는 편평형 콘덴서에 이용된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법의 일예를 나타내지만,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테트라 키스[메틸렌-3 (3, 5-디 3차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메탄을 0.01~0.8wt% 첨가한 멜트 인덱스 3.0~4.5g/10min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40~270℃의 온도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하고, 슬릿을 갖는 T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75 ~95℃의 온도의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한다. 이 때,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멜트 인덱스가 높은 만큼 수축 치수 변화율은 작아지고, 재가 적은 만큼 메소펜덕트 분율이 높은 만큼 절연 파괴 전압이 향상되므로, 각각을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또한, 일반적으로 냉각 롤 온도가 높은 만큼, 면 거칠기가 커지는 관 계에 있으므로, 소망의 Δd를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냉각 롤 온도를 선택하면 좋고, 80~90℃가 바람직하다.
이어서, 135~155℃의 연신 롤로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3~7배 연신한다. 이 경우도 연신 온도를 선택함으로써 면 거칠기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어서, 폭 방향으로 155~170℃의 온도에서 7~12배 연신하고, 더욱이, 150~165℃에서 열처리를 행한다. 일반적으로 연신 온도나 열처리 온도가 낮은 만큼, 또한 연신 배율이 높은 만큼 수축 치수 변화율이 커지는 관계에 있으므로, 이들의 조건을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편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후, 와인더로 권취한다.
그 다음,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다른 일형태로서는 필름의 Δd가 0.1~0.3㎛일 필요가 있다. Δd는 전술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미터법에 의한 두께로부터 질량법에 의한 두께를 감한 차이의 값이며, 이 값이 크면 필름의 표면이 거칠한 것을 의미하고, 콘덴서 소자에 감아 올려진 때의 필름층 간의 공극율이 커지고, 작으면 필름의 표면이 평활한 것을 의미하고, 콘덴서 소자에 감아 올려진 때의 필름층 간의 공극율이 작아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있어서는, 필름의 Δd가 0.1㎛ 미만에서는 필름이 미끄러지기 어렵기 때문에, 주름 억제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필름 가공상의 문제가 생기고, 또한, 콘덴서내에서는 필름층 간의 공극율이 작아지기 때문에, 콘덴서내에서 자기 회복이 일어난 때에 발생하는 가스나 비산 금속이 계외로 빠지지 않고 내전압 특성에 지장을 미치게 하 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키므로 부적당하다. Δd가 0.3㎛를 초과하면, 콘덴서 소자의 권취시에 필름이 미끄러진다고 하는 필름의 가공성의 문제가 생기고, 또한, 콘덴서내의 필름층 간 공극율이 커지기 때문에 내부 방전을 일으키기 쉬워지는 것이 원인이 되어, 콘덴서에 과전된 때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량 감소가 커지고, 콘덴서의 내전압이 저하하는 등의 지장이 발생하므로 부적절하다. 바람직하게는 0.15~0.25㎛의 범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Δd를 상기 범위내로 하는 방법으로서는 압출기로부터 압출된 폴리머를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할 때의 폴리머 온도를 컨트롤하는 방법이나 적절한 결정성을 가지는 폴리머를 선택하는 방법, 또는 β결정핵제 등의 조핵제를 함유하게 하는 방법 등이 예시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의 길이 방향의 F5값, 즉 필름을 5% 신장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응력은 50MPa 이상일 필요가 있다. 50MPa을 하회하면 필름 가공시에 찢어짐이 많이 발생하거나, 콘덴서 소자 권취시에 주름이 들어가는 등 권취성 불량이 발생하고, 또는 권취시의 주름이나, 공기의 권입 등으로부터 내전압 특성에 지장을 미치게 하는 등의 불량을 발생시키므로 부적절하다. 바람직하게는 55MPa 이상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적어도 편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는 0.7~1.4㎛의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Rz가 0.7㎛ 미만이면, 필름의 Δd를 만족하고 있을 지라도 콘덴서내에서 자기 회복이 일 어난 때에 발생하는 가스나 비산 금속의 빠짐이 불충분하고 내전압 특성을 저하시키는 것이 있으므로, Rz는 0.7㎛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9㎛ 이상이다. 또한, 금속 증착을 목적으로 하는 면의 Rz가 1.4㎛를 초과하면, 콘덴서의 전극으로서 기능하는 증착 금속면에 거칠고 큰 요철을 구성하기 때문에 전계의 집중을 초래하고, 내전압 특성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으므로, 금속 증착을 목적으로 하는 면의 Rz가 1.4㎛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강성이 부족한 얇은 필름에서는 주름이나 필름 찢어짐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경향에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미터 두께로 4㎛ 이하,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의 필름에 있어서는 특히 효과가 커 적절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머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폴리프로필렌의 호모 폴리머 이외에 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예컨대 에틸렌, 부텐 등)의 공중합체이어도, 또한 폴리프로필렌과 다른 α-올레핀 중합체(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부텐 등)과의 블렌드품이어도 상관없지만, 융점이 164℃ 이상의 호모 폴리머가 내전압 특성향상의 면으로부터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65℃ 이상이다. 또한, 융점이 167℃를 초과하면 극단적으로 제막제가 악화하기 때문에, 융점은 167℃ 이하가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텐터법, 인플레이션법 중 어느 것으로 얻은 것이라도 상관없고, 연신 방법도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얇고 또한, 두께 불균일성이 작은 것이 요구되기 때문에, 텐터법 2축 연신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함유되는 첨가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콘덴서 특성에 지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 첨가해도 좋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콘덴서에 사용하는 경우의 전극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금속박이어도 양면을 금속화한 종이나 플라스틱 필름이어도,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을 직접 금속화해도 상관없지만, 소형 경량화가 기대되는 콘덴서 용도로서는 특히 직접 필름을 금속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이용되는 금속의 종류로서는 아연, 주석, 은, 크롬, 알루미늄, 구리, 니켈 등의 단량체나 복수 종의 혼합물 또는 합금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름을 직접 금속화하는 방법으로서는 진공 증착법이나 스퍼터링법 등이 예시되며,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생산성이나 경제성 등의 관점에서 진공 증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진공 증착법으로서는 도가니 방식이나 와이어 방식 등이 예시되지만,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히 선택하면 좋지만, 결함의 부여율이 작은 EB간 방식이 더 바람직하다. 증착에 의해 금속화하는 경우의 마진 패턴도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의 패턴이어도 콘덴서의 보안성 향상 등의 목적에서 행해지는 특수 마진 패턴이어도 상관없지만, 상기와 마찬가지로, 필름을 주행시켰을 때에 금속면과 필름면이 교대로 각종의 롤에 접하기 때문 에, 해당 롤과의 마찰 상태가 일정하지 않고, 주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에 관계되기 쉬우므로, 특히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은 금속화 부분(1)에 대하여 필름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지 않은 마진 부분(2)을 포함하는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이들 문제점을 경감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다. 그들의 마진의 형성 방식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테이프 방식이어도 오일 방식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콘덴서는 전적으로 주름이 들어가기 쉬운 편평화 프레스 공정을 거치는 편평형 콘덴서에 이용된다.
이어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제조법의 일예를 나타내지만,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테트라 키스[메틸렌-3 (3, 5-디 3차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메탄을 0.01~0.8wt% 첨가한 멜트 인덱스 3.0~4.5g/10min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30~270℃의 온도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하고, 슬릿을 이용한 T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75 ~95℃의 온도의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한다. 이 때,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멜트 인덱스가 낮은 만큼 F5값은 커지고, 재가 적은 만큼 절연 파괴 전압이 향상되므로, 각각을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또한, 일반적으로 냉각 롤 온도가 높은 만큼, 면 거칠기가 커지는 관계에 있으므로, 소망의 Δd를 얻기 위해서는, 적절한 냉각 롤 온도를 선택하면 좋고, 80~95℃가 바람직하다.
그 다음, 135~155℃의 연신 롤로 필름을 길이 방향으로 3~7배 연신한다. 이 경우도 연신 온도를 선택함으로써 면 거칠기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어 서, 폭 방향으로 155~170℃의 온도에서 7~12배 연신하고, 더욱이, 150~165℃에서 열처리를 행한다. 일반적으로 연신 온도나 열처리 온도가 낮은 만큼, 또한 연신 배율이 높은 만큼 F5값이 커지는 관계에 있으므로, 이들의 조건을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편면에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후, 와인더로 권취한다.
실시예
그 다음, 본 발명에서 이용된 측정법 및 평가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융점
페르킨엘머(PerkinElmer)사제, 시차 주사 칼로리 미터-DSC-7을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측정을 행했다.
시료의 조정:
시료 1Omg을 측정용의 알루미늄 팬에 계량하고, 장치 부속의 크림퍼(crimper)에서 알루미늄 팬을 샌드위치한다.
측정 조건:
1st run: 10℃/분의 비율로 280℃까지 온도를 올리고, 5분간 유지한다. 그 후 50℃/분의 비율로 125℃까지 온도를 내리고, 60분간 유지한 후, 같은 비율로 25℃까지 온도를 내려서, 10분간 유지한다.
2nd run: 1st run을 실시 직후 계속해서 10℃/분의 비율로 280℃까지 온도를 올린다.
2nd run 때의 융해 피크값을 융점으로서 읽어낸다. 융해 피크값이 복수인 경 우는 가장 피크 면적이 큰 융해 피크를 채용한다.
상기 측정을 5회 반복하고, 이 중 최대값과 최소값의 2점을 생략한 나머지 3점의 평균값을 융점으로 했다.
(2) 멜트 인덱스
JIS K 7210의 조건에 의해 측정했다.
(3) Δd
JIS C-2330(2001)의 7. 4. 1. 1에 의해 마이크로미터법 두께(이하, MMV라 함)를 측정했다. 그 다음 JIS C-2330(2001)의 7. 4. 1. 2에 의해 질량법 두께(이하, WMV라 함)를 측정한 후, 다음 식에서 구했다.
Δd (㎛) = MMV - WMV
(4) 수축 치수 변화율
JIS C-2330(2001)의 7. 4. 6. 2 B법에 의했다.
(5) 10점 평균 거칠기 (Rz)
JIS B-0601(1982)에 의해, 주식 회사 소판연구소(小坂硏究所)제 「비접촉 삼차원 미세 형상 측정기(ET-30HK)」 및 「3차원 거칠기 분석 장치(MODEL SPA-11)」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측정수는 3으로 하고 그 평균값를 이용했다. 상세 조건은 다음과 같다.
측정면 처리: 측정면에 알루미늄을 진공 증착하고, 비접촉법으로 했다.
측정 길이: 1mm
횡배율: 200배
종배율: 20000배
컷오프: 0.25mm
폭 방향 이송 속도: O.1mm/초
길이 방향 이송 피치: 1O㎛
길이 방향 이송 수: 20회
측정 방향: 필름의 폭 방향.
(6) 주름 발생율 및 어긋남 발생율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ULVAC사제 진공 증착기에서 알루미늄을 막 저항 5Ω/□, T형 마진을 행하지 않은 통상 마진 금속화 필름을 작성하고 그 통상 마진품의 조합으로, 또는 막 저항15Ω/□, 도 2의 패턴의 T형 마진 금속화 필름을 작성하고, T형 마진을 행하지 않은 통상 마진품과의 조합으로, 통상의 콘덴서 작성 공정 동일 방법의 권취를 행하고, 용량 100μF의 콘덴서 소자를 100개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이 때의 주요 권취 조건은 다음과 같다.
권취기: 개등제작소(皆藤製作所)제 KAW-4L
권취 속도: 2000rpm
장력: 600g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작성된 콘덴서 소자 100개에 대하여, 주름 발생율 5% 이하, 어긋남 발생율 5% 이하의 것을 합격으로 했다.
(7) 내전압
상기 (6)에서 얻은 콘덴서 소자로부터 10개를 빼내고, 110℃의 온도에서 16 시간, 0.4MPa의 압력으로 편평화한 상태에서 가열 처리한 후, JIS C-4908(1985)의 8.14에 의해 자기 회복성 시험을 행하고, 그 자기 회복수의 평균값과 파괴 콘덴서수로 판정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자기 회복수는 7개 이하, 파괴 개수는 3개 이하를 합격으로 했다.
(8) F5값
JIS C-2330(2001)의 7. 4. 5.에 의해 측정하고, 시료가 5% 신장했을 때의 응력을 산출했다.
(9) 내전압(소자의 파괴 개수, 평균 인가 전압)
상기 (6)에서 얻은 콘덴서 소자로부터 10개를 빼내고, 110℃의 온도에서 6시간, 0.4MPa의 압력으로 편평화한 상태에서 가열 처리한 후, 메탈리콘 및 리드 단자 부착을 행했다. 이 소자를 에폭시 수지로 외장하고, 용량 100μF의 콘덴서를 작성하고, 105℃의 분위기하에서 DC 1000V의 전압을 인가하여, 소자의 파괴, 및 용량 변화를 조정하고, 용량 변화율이 50%에 도달할 때까지의 인가 시간, 및 소자의 파괴 개수를 이하의 기준으로 판정했다.
ㆍ소자의 파괴 개수 2개 이하를 합격
ㆍ인가 시간의 평균값(도중에 파괴한 것은 제외)이 100시간 이상을 합격
이어서, 본 발명을 실시예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테트라 키스[메틸렌-3 (3, 5-디 3차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메탄을 0.3wt% 첨가한 멜트 인덱스 3.5g/10min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50℃의 온도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하고, 슬릿을 이용한 T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85℃의 온도의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한 후, 140℃의 온도에서 길이 방향으로 5배 연신하고, 이어서 167℃의 온도에서 폭 방향으로 10배 연신하고, 그 다음, 165℃의 온도에서 열처리했다. 그 후, 필름의 편면에 젖음 장력이 42mN/m이 되도록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하여 와인더로 권취한 후, 더욱이 폭 620mm, 길이 40000m로 재단하고, 감아 올렸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 Δd는 0.10㎛,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4㎛,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7㎛,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2.7%, 폭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0.3%이었다.
이 필름을 콘덴서용 진공 증착기에서 알루미늄을 5Ω/□의 막 저항이 되도록 편면에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reel)을 채취했다.
이 릴을 이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2%, 어긋남 발생율은 0%이었다.
또한, 자기 회복수는 2개, 파괴 개수는 0개이었다.
실시예 2
폴리메틸부텐을 2.0wt% 첨가한 폴리머를 이용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 Δd는 0.11㎛,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 점 평균 거칠기(Rz)가 0.4㎛,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7㎛,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2.6%, 폭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0.2%이었다.
이 필름을 콘덴서용 진공 증착기에서 알루미늄을 5Ω/□의 막 저항이 되도록 편면에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이 릴을 이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0%, 어긋남 발생율은 0%이었다.
또한, 자기 회복수는 2개, 파괴 개수는 0개이었다.
실시예 3
멜트 인덱스 3.9g/10min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50℃의 온도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하고, 슬릿을 이용한 T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 Δd는 0.13㎛,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5㎛,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8㎛,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2.5%, 폭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0%이었다.
이 필름을 콘덴서용 진공 증착기에서 알루미늄을 5Ω/□의 막 저항이 되도록 편면에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이 릴을 이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0%, 어긋남 발생율은 3%이었다.
또한, 자기 회복수는 5개, 파괴 개수는 1개이었다.
실시예 4
슬릿을 이용한 T 다이로부터 압출된 시트를 80℃의 온도의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를 얻었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 Δd는 0.06㎛,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2㎛,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3㎛,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2.9%, 폭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0.5%이었다.
이 필름을 콘덴서용 진공 증착기에서 알루미늄을 5Ω/□의 막 저항이 되도록 편면에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이 릴을 이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2%, 어긋남 발생율은 4%이었다.
또한, 자기 회복수는 2개, 파괴 개수는 3개이었다.
실시예 5
슬릿을 이용한 T 다이로부터 압출된 시트를 90℃의 온도의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 Δd는 0.18㎛,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6㎛,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9㎛,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2.7%, 폭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0.1%이었다.
이 필름을 콘덴서용 진공 증착기에서 알루미늄을 5Ω/□의 막 저항이 되도록 편면에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이 릴을 이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0%, 어긋남 발생율은 4%이었다.
또한, 자기 회복수는 4개, 파괴 개수는 2개이었다.
실시예 6
140℃의 온도에서 길이 방향으로 5배 연신하고, 이어서 158℃의 온도에서 폭 방향으로 10배 연신하고, 그 다음, 160℃온도에서 열처리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 Δd는 0.09㎛,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4㎛,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6㎛,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3.0%, 폭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0.7%이었다.
이 필름을 콘덴서용 진공 증착기에서 알루미늄을 5Ω/□의 막 저항이 되도록 편면에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이 릴을 이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0%, 어긋남 발생율은 0%이었다.
또한, 자기 회복수는 3개, 파괴 개수는 3개이었다.
비교예 1
슬릿을 이용한 T 다이로부터 압출된 시트를 70℃의 온도의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 Δd는 0.03㎛,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2㎛,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3㎛,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2.8%, 폭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0.3%이었다.
이 필름을 콘덴서용 진공 증착기에서 알루미늄을 5Ω/□의 막 저항이 되도록 편면에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이 릴을 이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8%, 어긋남 발생율은 10%이었다.
또한, 자기 회복수는 7개, 파괴 개수는 8개이었다.
비교예 2
슬릿을 이용한 T 다이로부터 압출된 시트를 96℃의 온도의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 Δd는 0.21㎛,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7㎛,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1.2㎛,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2.5%, 폭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0.1%이었다.
이 필름을 콘덴서용 진공 증착기에서 알루미늄을 5Ω/□의 막 저항이 되도록 편면에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이 릴을 이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 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0%, 어긋남 발생율은 6%이었다.
또한, 자기 회복수는 9개, 파괴 개수는 6개이었다.
비교예 3
멜트 인덱스 2.8g/10min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50℃의 온도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하고, 슬릿을 이용한 T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 Δd는 0.09㎛,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4㎛,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6㎛,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3.4%, 폭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이 0.8%이었다.
이 필름을 콘덴서용 진공 증착기에서 알루미늄을 5Ω/□의 막 저항이 되도록 편면에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이 릴을 이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0%, 어긋남 발생율은 0%이었다.
또한, 자기 회복수는 5개, 파괴 개수는 6개이었다.
실시예 7
테트라 키스[메틸렌-3 (3, 5-디 3차부틸-4-하이드록시페닐) 프로피오네이트] 메탄([치바]?[CHIBA SPECIALITY CHEMICAL (주)제 Irganox1010)을 0.3wt% 첨가한 멜트 인덱스 3.7g/10min, 융점166℃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40℃의 온도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하고, 슬릿을 이용한 T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90℃의 온도의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한 후, 140℃의 온도에서 길이 방향으로 5배 연신하고, 이어서 162℃의 온도에서 폭 방향으로 10배 연신하고, 그 다음, 150℃의 온도에서 열처리했다. 그 후, 필름의 편면에 젖음 장력이 42mN/m가 되도록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하여 폭 5000mm의 필름을 와인더로 권취한 후, 더욱이 폭 620mm, 길이 40000m로 재단하고, 감아 올렸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3㎛, Δd는 0.20㎛,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1.0㎛,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1.1㎛, 길이 방향의 F5값이 52MPa이었다.
이 필름을 콘덴서용 진공 증착기에서 도 2의 T형 패턴으로, 알루미늄을 15Ω/□의 막 저항이 되도록 편면에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길이 방향의 마진부의 폭은 0.7mm, 16mm 간격으로 폭 방향으로 0.4mm의 폭의 마진을 제공했다. 또한, 마찬가지로 하여 통상 마진품을 채취했다. 이 T형 마진품과 통상 마진품을 조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2%, 어긋남 발생율은 1%이었다.
또한, 용량 변화율이 50%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자의 파괴 개수는 0개, 인가 시간은 173시간이었다.
실시예 8
멜트 인덱스 3.2g/10min, 융점 166℃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50℃의 온도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하고, 슬릿을 이용한 T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2㎛, Δd는 0.19㎛,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1.0㎛,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1.0㎛, 길이 방향의 F5값이 57MPa이었다.
이 필름을 실시예 7과 같은 조건으로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이 T형 마진품과 보통 마진품을 조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0%, 어긋남 발생율은 0%이었다.
또한, 용량 변화율이 50%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자의 파괴 개수는 0개, 인가 시간은 212시간이었다.
실시예 9
슬릿을 이용한 T 다이로부터 압출된 시트를 87℃의 온도의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를 얻었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2㎛, Δd는 0.12㎛,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8㎛,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9㎛, 길이 방향의 F5값이 53MPa이었다.
이 필름을 실시예 7과 같은 조건으로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이 T형 마진품과 보통 마진품을 조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4%, 어긋남 발생율은 0%이었다.
또한, 용량 변화율이 50%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자의 파괴 개수는 2개, 인가 시간은 235시간이었다.
실시예 10
슬릿을 이용한 T 다이로부터 압출된 시트를 93℃의 온도의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3㎛, Δd는 0.27㎛,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1.2㎛,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1.2㎛, 길이 방향의 F5값이 52MPa이었다.
이 필름을 실시예 7과 같은 조건으로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이 T형 마진품과 보통 마진품을 조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1%, 어긋남 발생율은 4%이었다.
또한, 용량 변화율이 50%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자의 파괴 개수는 0개, 인가 시간은 134시간이었다.
실시예 11
슬릿을 이용한 T 다이로부터 압출된 시트를 91℃의 온도의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한 후, 138℃의 온도에서 길이 방향으로 5배 연신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2㎛, Δd는 0.19㎛,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7㎛,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8㎛, 길이 방향의 F5값이 55MPa이었다.
이 필름을 실시예 7과 같은 조건으로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이 T형 마진품과 보통 마진품을 조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3%, 어긋남 발생율은 1%이었다.
또한, 용량 변화율이 50%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자의 파괴 개수는 1개, 인가 시간은 188시간이었다.
실시예 12
슬릿을 이용한 T 다이로부터 압출된 시트를 89℃의 온도의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한 후, 136℃의 온도에서 길이 방향으로 5배 연신하고, 이어서 165℃의 온도에서 폭 방향으로 10배 연신하고, 그 다음, 160℃의 온도에서 열처리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2㎛, Δd는 0.18㎛,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8㎛,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8㎛, 길이 방향의 F5값이 55MPa이었다.
이 필름을 실시예 7과 같은 조건으로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이 T형 마진품과 보통 마진품을 조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0%, 어긋남 발생율은 0%이었다.
또한, 용량 변화율이 50%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자의 파괴 개수는 1개, 인가 시간은 227시간이었다.
비교예 4
슬릿을 이용한 T 다이로부터 압출된 시트를 83℃의 온도의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2㎛, Δd는 0.07㎛,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5㎛,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0.6㎛, 길이 방향의 F5값이 52MPa이었다.
이 필름을 실시예 7과 같은 조건으로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이 T형 마진품과 보통 마진품을 조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7%, 어긋남 발생율은 0%이었다.
또한, 용량 변화율이 50%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자의 파괴 개수는 6개, 인가 시간은 206시간이었다.
비교예 5
슬릿을 이용한 T 다이로부터 압출된 시트를 97℃의 온도의 냉각 롤로 냉각 고화한 후, 142℃의 온도에서 길이 방향으로 5배 연신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3㎛, Δd는 0.35㎛,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1.5㎛,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1.6㎛, 길이 방향의 F5값이 51MPa이었다.
이 필름을 실시예 7과 같은 조건으로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이 T형 마진품과 보통 마진품을 조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1%, 어긋남 발생율은 10%이었다.
또한, 용량 변화율이 50%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자의 파괴 개수는 2개, 인가 시간은 71시간이었다.
비교예 6
멜트 인덱스4.lg/10min, 융점 165℃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230℃의 온도의 압출기에 공급하여 용융하고, 슬릿을 이용한 T 다이로부터 시트상으로 압출한 것 이외는 실시예 7과 같은 조건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었다.
이 때, 필름의 MMV는 3.2㎛, Δd는 0.20㎛, 코로나 방전 처리를 행한 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1.0㎛, 반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가 1.1㎛, 길이 방향의 F5값이 45MPa이었다.
이 필름을 실시예 7과 같은 조건으로 증착하고, 그 후, 폭 100mm, 길이 4800m로 슬릿하고, 48개의 릴을 채취했다.
이 T형 마진품과 보통 마진품을 조합하여 콘덴서 소자 100개를 작성하고,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율을 조정했다. 주름 발생율은 11%, 어긋남 발생율은 1%이었다.
또한, 용량 변화율이 50%에 도달할 때까지의, 소자의 파괴 개수는 3개, 인가 시간은 141시간이었다.
상기 실시예 1~12, 비교예 1~6의 결과를 표 1, 2에 나타냈다.
Figure 112005052081511-pct00001
Figure 112005052081511-pct00002
표 1,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콘덴서 소자의 권취 공정이나 그 후의 프레스 공정에서 주름 및 어긋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양호한 내전압 특성, 특히 자기 회복성에 우수하고, 소형 대용량이고 고정격 전압의 사용에 적절한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편평형 콘덴서는 특히 소형 대용량화를 목적으로 하고, 고정격 전압하에서의 사용을 목적으로 한 편평형 콘덴서에 적절하다.

Claims (18)

  1. 필름의 마이크로미터법에 의한 두께와 질량법에 의한 두께의 차(Δd)는 0.05~0.2㎛이며,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은 3% 이하이고, 상기 길이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과 폭 방향의 수축 치수 변화율의 합은 4%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편면의 10점 평균 거칠기(Rz)는 0.6㎛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메틸펜텐을 0.5~5wt%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미터법에 의한 필름의 두께는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F5값은 50MPa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7. 필름의 마이크로미터법에 의한 두께와 질량법에 의한 두께의 차(Δd)는 0.1~0.3㎛이며, 길이 방향의 F5값은 50MPa 이상이고, 양면 모두의 10점 평균 거칠기(Rz)는 0.7~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을 형성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융점은 164~16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미터법에 의한 필름의 두께는 4㎛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11. 제 1 항에 기재된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금속이 증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콘덴서용 금속화 폴리프로필렌 필름.
  12. 제 11 항에 있어서,
    금속 증착 패턴의 마진 중 적어도 일부는 필름 길이 방향에 평행하지 않은 마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콘덴서용 금속화 폴리프로필렌 필름.
  13. 제 1 항에 기재된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적어도 일부에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편평형 콘덴서.
  14. 제 11 항에 기재된 편평형 콘덴서용 금속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적어도 일부에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편평형 콘덴서.
  15. 제 7 항에 기재된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편면 또는 양면에 금속이 증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평형 콘덴서용 금속화 폴리프로필렌 필름.
  16. 제 15 항에 있어서,
    금속 증착 패턴의 마진 중 적어도 일부는 필름 길이 방향에 평행하지 않은 마진인 것을 특징으로 편평형 콘덴서용 금속화 폴리프로필렌 필름.
  17. 제 7 항에 기재된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적어도 일부에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편평형 콘덴서.
  18. 제 15 항에 기재된 편평형 콘덴서용 금속화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적어도 일부에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편평형 콘덴서.
KR1020057017508A 2003-03-19 2005-09-16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것으로이루어지는 편평형 콘덴서 KR1011175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75843 2003-03-19
JP2003075843 2003-03-19
JPJP-P-2003-00161849 2003-06-06
JP2003161849 2003-06-06
PCT/JP2004/003473 WO2004084242A1 (ja) 2003-03-19 2004-03-16 扁平型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扁平型コンデン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655A KR20050113655A (ko) 2005-12-02
KR101117537B1 true KR101117537B1 (ko) 2012-03-08

Family

ID=3303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508A KR101117537B1 (ko) 2003-03-19 2005-09-16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것으로이루어지는 편평형 콘덴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05920B2 (ko)
EP (1) EP1607990A4 (ko)
JP (1) JPWO2004084242A1 (ko)
KR (1) KR101117537B1 (ko)
WO (1) WO20040842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0899B2 (ja) * 2003-12-22 2009-11-1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CN1298527C (zh) * 2004-12-31 2007-02-07 浙江南洋电子薄膜有限公司 适用于大功率电容器的耐高温双向拉伸聚丙烯膜及其制作方法
US8576542B2 (en) 2005-11-09 2013-11-0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tructural electrochemical capacitor
US7864505B1 (en) * 2005-11-09 2011-01-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tructural capacitors and components thereof
US8057938B1 (en) 2005-11-09 2011-11-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Structural fuel cells and components thereof
JP4962082B2 (ja) * 2006-03-28 2012-06-27 東レ株式会社 金属化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及びこれからなるコンデンサ
JP4698474B2 (ja) * 2006-04-28 2011-06-08 双信電機株式会社 フィルムコンデンサ
KR100836567B1 (ko) * 2007-03-22 2008-06-10 주식회사 뉴인텍 필름 커패시터용 금속화 플라스틱필름 및 필름 커패시터
KR101106982B1 (ko) * 2010-01-27 2012-01-25 주식회사 뉴인텍 증착 필름 및 이를 사용한 필름 커패시터
KR101901470B1 (ko) * 2011-03-10 2018-09-21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금속화 필름 및 필름 콘덴서
JP6120180B2 (ja) * 2012-03-28 2017-04-26 東レ株式会社 コンデンサ用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化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5776858B1 (ja) 2013-11-14 2015-09-09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14509B2 (ja) * 2014-02-03 2018-04-2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コンデンサ素子の製造方法
WO2015146893A1 (ja) 2014-03-28 2015-10-01 東レ株式会社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US9959974B2 (en) 2015-02-27 2018-05-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Method for making a structural capacitor
WO2016182003A1 (ja) 2015-05-12 2016-11-17 東レ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膜積層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EP3493231A4 (en) * 2016-07-26 2020-04-08 Kyocera Corporation LAYER CAPACITOR, COUPLING CAPACITOR, INVERTER AND ELECTRIC VEHICLE
JP6521189B1 (ja) * 2017-08-29 2019-05-29 東レ株式会社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膜積層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6620830B2 (ja) * 2018-03-22 2019-12-1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コンデンサ素子の製造方法
JP7228132B2 (ja) * 2018-09-05 2023-02-24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金属層一体型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フィルムコンデンサ、及び、金属層一体型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7256960B2 (ja) * 2018-08-29 2023-04-1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金属層一体型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9922U (ja) * 1982-09-03 1984-03-14 ニチコン株式会社 乾式金属化フイルムコンデンサ
JPH11273990A (ja) * 1998-03-19 1999-10-08 Oji Paper Co Ltd 耐熱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415A (ja) 1981-07-23 1983-01-31 本州製紙株式会社 電気用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
JPS5939922A (ja) 1982-08-30 1984-03-05 Hino Motors Ltd 内燃機関
JP2663594B2 (ja) 1988-12-22 1997-10-15 東レ株式会社 コンデンサ用蒸着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DE4037417A1 (de) * 1990-11-24 1992-05-27 Hoechst Ag Metallisierbare dreheinschlagfolie aus biaxial orientiertem polypropylen
DE4118572A1 (de) * 1991-06-06 1992-12-10 Hoechst Ag Siegelbare weisse folie aus polyolefinen
JPH06338435A (ja) * 1993-05-31 1994-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3654541B2 (ja) * 1995-11-29 2005-06-02 東レ株式会社 耐熱性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US5719742A (en) * 1995-11-29 1998-02-17 Nippon Petrochemicals Co., Ltd. Metallized plastic film capacitor
JP3718898B2 (ja) * 1996-03-29 2005-11-24 東レ株式会社 コンデンサ用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コンデンサ
DE69714022T2 (de) * 1996-08-09 2002-11-28 Toray Industries, Inc. Polypropylenfolie und kondensator hergestellt durch verwendung derselben als dielektrikum
JPH10156938A (ja) * 1996-10-04 1998-06-16 Toray Ind Inc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誘電体として用いたコンデンサー
JPH10154631A (ja) * 1996-11-22 1998-06-09 Mitsubishi Shindoh Co Ltd フィルムコンデンサおよびコンデンサ用メタライズドフィルム
JPH1167580A (ja) * 1997-08-21 1999-03-09 Oji Paper Co Ltd 金属化フィルムコンデンサの製造方法
JPH11273991A (ja) * 1998-03-20 1999-10-08 Toray Ind Inc 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コンデンサ
JP2000204177A (ja) 1999-01-11 2000-07-25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118430A (ja) * 1999-08-11 2001-04-27 Toray Ind Inc 油浸電気絶縁用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2001106804A (ja) * 1999-10-12 2001-04-17 Oji Paper Co Ltd 両面蒸着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ATE353379T1 (de) * 2000-08-22 2007-02-15 Exxonmobil Chem Patents Inc Polypropylenfasern und gewebe
AU2002326844A1 (en) * 2001-09-07 2003-03-24 Dearborn Electronics Inc Film capacitor for high temperature applications
JP2004356208A (ja) * 2003-05-27 2004-12-16 Shinetsu Film Kk オールフィルム製電子レンジ用油浸コンデンサ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39922U (ja) * 1982-09-03 1984-03-14 ニチコン株式会社 乾式金属化フイルムコンデンサ
JPH11273990A (ja) * 1998-03-19 1999-10-08 Oji Paper Co Ltd 耐熱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05920B2 (en) 2008-07-29
EP1607990A4 (en) 2009-11-25
JPWO2004084242A1 (ja) 2006-06-29
KR20050113655A (ko) 2005-12-02
EP1607990A1 (en) 2005-12-21
WO2004084242A1 (ja) 2004-09-30
US20060171100A1 (en)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537B1 (ko) 편평형 콘덴서용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그것으로이루어지는 편평형 콘덴서
DE69714022T2 (de) Polypropylenfolie und kondensator hergestellt durch verwendung derselben als dielektrikum
KR100444622B1 (ko) 2축배향폴리프로필렌필름및이를사용한콘덴서
JP7434751B2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金属膜積層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2008127460A (ja) コンデンサー用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それを用いてなる金属化フィルムおよびコンデンサー
US20210147645A1 (en) Polyolefin Film and Use Thereof
JP3508515B2 (ja) 粗面化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742398B2 (ja) 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2022088132A (ja) 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層一体型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フィルムコンデンサ、及びフィルムロール
JP7318187B2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膜積層フィルムおよびフィルムコンデンサ
JPH03197136A (ja) コンデンサ用二軸延伸プラスチックフイ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コンデンサ
JP2003257777A (ja) 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及びコンデンサ
JP3718898B2 (ja) コンデンサ用ポリオレフィン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コンデンサ
JPH11273990A (ja) 耐熱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H09270364A (ja) 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3269709B2 (ja) 偏平型コンデンサ用金属化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JPH11273991A (ja) 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コンデンサ
JPH06290990A (ja) コンデンサ用金属化ポリプロピレンフイルム
CN113905884A (zh) 聚丙烯膜卷和金属化聚丙烯膜卷
JP3799685B2 (ja) 金属化二軸配向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コンデンサー
JPH10156938A (ja) 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誘電体として用いたコンデンサー
JP7524840B2 (ja) コンデンサ用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層一体型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フィルムコンデンサ、及びフィルムロール
JP2002234958A (ja) 両面蒸着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コンデンサ
JP2006290979A (ja) 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コンデンサ用金属化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それからなるコンデンサ
JP2023002364A (ja) コンデンサ用二軸延伸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金属層一体型コンデンサ用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フィルムコンデンサ、及びフィルムロ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