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078B1 - 수복(修腹)후의 경사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수복(修腹)후의 경사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078B1
KR930004078B1 KR1019910004611A KR910004611A KR930004078B1 KR 930004078 B1 KR930004078 B1 KR 930004078B1 KR 1019910004611 A KR1019910004611 A KR 1019910004611A KR 910004611 A KR910004611 A KR 910004611A KR 930004078 B1 KR930004078 B1 KR 930004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ation
cutting
inclinations
warp
re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996A (ko
Inventor
유우지로오 다께가와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0228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8475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3471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796875B2/ja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고시바 헤이지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16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6Apparatus for joining warp en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14Apparatus for threading warp stop-motion droppers, healds, or re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uxiliary Weaving Apparatuses, Weavers' Tools, And Shuttles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복(修腹)후의 경사의 처리방법
제1도 내지 제11도는, 경사 수복 공정의 설명도.
제12도 내지 제14도는, 기계적인 구동부분의 측면도.
제15도 및 제16도는, 다른 구동부분의 정면도.
제17도는 검출장치의 측면도.
제18도는 검출장치의 요부의 확대 측면도.
제19도는 헬드륨과 롤 번호와의 관계의 평면도.
제20도는 실 공급장치의 측면도.
제21도는 수복후의 경사의 평면도.
제22도는 수복후의 경사의 측면도.
제23도는 적출체 및 포착제의 위치관계의 평면도.
제24도, 제25도 및 제26도는 수복후의 경사의 처리 과정의 측면도.
제27도는 적출체 및 포착제의 이송안내장치의 측면도.
제28도는 프로그램 제어계의 블선도이다.
여기서 제1도 내지 제20도는 제1의 발명과 제2의 발명을 병용한 실시예 1을 나타내고, 또 21도 내지 제28도는 제2의 발명에 대응하는 실시예 2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사 1a,1b : 절단경사
2 : 드롬퍼 장치 3 : 드롭퍼
4 : 헬드틀 5 : 헬드
6 : 바다날개 7 : 유사
8 : 직포 9 : 이음실
11 : 분리부재 12 : 분리부재
13 : 승강부재 14 : 흡인홀더
15 : 벨트 16 : 가이드
17 : 러크 18 : 모우터
19 : 에어실린더 20 : 벨트
21 : 솔레노이드 23 : 피스톤로드
24 : 피로톤로드 25 : 브라켓트
26 : 슬라이더 27 : 안내로드
28 : 이송너트 29 : 이송나사
30 : 이송모우터 31 : 프레임
32 : 서포트 33 : 이송나사
34 : 이송모우터 35 : 이송너트
36 : 로터리 솔레노이드 38 : 에어실린더
39 : 에어실린더 40 : 이송안내장치
41 : 실센서 42 : 실센서
45 : 식별코오드 46 : 기억장치
51 : 파지구 52 : 커터
53 : 노터 54 : 이음실
55 : 인출부재 56 : 후크부재
57 : 흡인부재 58 : 벨트
59 : 솔레노이드 70 : 이송안내장치
71 : 에어실린더 72 : 에어실린더
73 : 피스톤 로드 74 : 피스톤 로드
75 : 브라켓트 76 : 슬라이더
77 : 안내로드 78 : 이송너트
79 : 이송나사 80 : 이송모우터
81 : 직경(織境) 82 : 서포트
83 : 이송나사 84 : 이송모우터
85 : 이송너트 86 : 서포트
87 : 이송나사 88 : 이송모우터
89 : 이송너트 90 : 홀더
100 : 검출장치 101 : 플리
102 : 벨트 103 : 가이드
104 : 모우터 105 : 러크
106 : 피니언 107 : 홀더
108 : 센서 109 : 센서
110 : 실공급장치 111 : 브라켓트
112 : 보빈 113 : 흡인홀더
114 : 실린더 115 : 클램피
116 : 솔레노이드 117 : 실린더
119 : 러크 120 : 피니언
121 : 축 122 : 커터
131 : 핀 171 : 브라켓트
181 : 피니언 202 : 이음실
203 : 헬드 205 : 분리부재
260 : 바디날개 209 : 직포
210 : 적출체 211 : 실센서
212 : 포착체 213 : 실센서
220 : 이송안내장치 221 : 에어 실린더
222 : 에어실린더 223 : 피스톤 로드
224 : 피스톤 로드 225 : 브라켓
226 : 슬라이더 227 : 안내로드
228 : 이송너트 229 : 이송나사
230 : 이송 모우터 231 :프레임
232 : 스포트 233 : 이송나사
234 : 이송 모우터 235 : 이송너트
236 : 드롭퍼 장치 241 : 제어유니트
242 : 회전제어부 243 : 전환 제어부
244 : 전환 제어부 245 : 개폐 밸브
246 : 개폐 밸브 247 : 회전제어부
551 : 핀
본 발명은, 직기상의 절단경사를 바디날개에 끼워서, 재기동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고 수복(修復)후의 경사를 처리하면서 직기를 기동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직중의 경사가 끊어졌을때에, 경사의 수복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같은 수복작업은, 송출측의 절단경사에 이음실을 있고, 이 이음실의 한 끝단을 소정의 바디날개 사이에 끼움으로써 행하여 진다. 물론, 송출측의 절단경사가 드롭퍼나 헬드의 통하는 구멍으로부터 빠져 있는 경우에는, 그것들에 대한 실끼우기도 필요하게 된다. 어느 쪽이든, 바디날개에 대한 이음실의 끼우기작업이 경사의 수복과정에서, 불가결의 작업으로 된다.
종래, 이와같은 이음실의 바디끼우기는 바디끼우기 장치의 니이들 등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있다. 이 때문에, 바디끼우기에 즈음하여, 소정의 바디날개와 나이들과의 사이에서 정확한 위치맞춤이 필요하게 될 뿐 아니라, 정확한 위치맞춤이 행하여졌다고 하더라도, 니이들의 삽입과정에서 삽입방향이나 실 등의 간섭에 의하여, 끼움착오가 발생하기 쉽고, 그 성공확률이 낮아지고 있다. 또, 후술하는 본 발명의 방법이나 일본국 특개평 1-192853호에 개시된 경사수복방법에서는, 이음실은 직경(織境)측의 절단경사에도 이어지지만, 이 수복된 경사를 바디 앞쪽의 경사시이트상에서 그대로 흡인하면, 정규의 인접할 경사 사이로부터 적출되지 않는 경우가 생긴다. 그래서, 그 잘못되어 흡인된 경사에 소정의 장력을 주어서, 제직을 재개하면, 불량원단이 발생하며, 경사절단이 생기기 쉬운 상황으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니이들 등의 실끼우기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정확하게 바디날개에 이음실의 실끼우기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이음실을 개재하여 연결된 수복후의 경사를 바디의 앞쪽에서 확실하게 적출하고, 수복후의 경사와 다른 인접하는 경사와의 사이의 정렬술서를 확보하면서, 수복후의 경사에 적절한 장력을 줌으로써, 수복후의 경사의 존재하에서도, 직포의 불량부분을 최소한도로 억제하는 것이다. 최초의 목적하에 본 발명은, 2개 이상의 경사가 하나의 바디날개 사이에 끼어 있는 것을 전제로하여, 그 중의 한쪽 경사 절단시에, 송출측의 절단경사에 이음실을 잇고, 같은 바디날개에 끼워있는 다른쪽의 정상적인 경사를 일단 절단하여, 그 양끝단을 충분한 길이의 이음실로 이어맞춰서 그 실에 충분한 헐거움을 중과 동시에, 절단경사에 이어진 이음실을 이 이완시킨 정상적인 경사에 잇고, 이 이완시킨 정상적인 경사를 바디 뒷쪽으로부터 앞쪽 즉 직경쪽으로 견인함으로써, 절단경사를 이완시킨 정상적인 경사와 더불어 원래의 바디날개 사이에 끼우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발명에서는, 송출측의 절단경사가 이음실에 의하여 같은 바디날개를 통과하는 의도적으로 이완시켜진 경사에 이어지고, 그 이완시킨 정상적인 경사를 안내역으로 하여 바디날개에 당겨 끼워지기 때문에, 종래의 실끼우기장치와 같은 니이들을 필요로하지 않고, 또 그 니이들을 위한 위치 결정장치도 복잡하게 되지 않고, 바디끼우기가 확실하며, 끼우기 위치에 착오가 발생하는 일도 없어진다. 또 한편의 목적하에 제2의 발명은, 이음실을 개재하여 직경에 연결된 수복후의 경사를 헬드와 바디와의 사이에서 적출하고, 이 수복후의 경사를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이 변위상태의 경사를 바디의 앞쪽에서 포착하고, 이 경사를 감는 방향으로 견인함으로써, 경사에 적절한 장력을 주면서 직기를 기동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같이, 소복후의 경사를 헬드와 바디와의 사이에서 적출하여 상하방향으로 변위하는 과정에서, 수복후의 경사는, 이웃하는 다른 정상적인 사이에서 빠져나온다. 그래서, 바디의 앞쪽에서는 정렬순서를 뒤바뀌게 하지 않고 수복후의 경사를 용이하게 포착할 수 있고, 또한 제직의 재개에 즈음하여, 바디의 앞쪽에서, 경사에 적절한 장력이 주어지고 있기 때문에, 수복후의 경사와 다른 정상적인 경사와의 사이의 정렬상태가 무너지지 않고, 곧 장상시와 같은 제작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1]
제1도 내지 제11도는, 제1의 발명의 방법의 일련의 공정을 나타내고 있다.
제1도에 나나타낸 바와같이, 제직중에, 다수의 경사(1)중 예컨대 1올의 경사(1)가 헬드(5)와 바디날개(6)와의 사이에서 끊어졌을때, 대응의 드롭퍼(3)가 낙하하기 때문에, 드롭퍼 장치(2)는, 절단장치(1a),(1b)의 절단상태를 검출하여, 세로정지신호를 발생하고, 직기를 소정의 정지각도에서 자동적으로 정지시킨다. 이후의 절단경사(1a),(1b)의 보수에 즈음하여, 모든 헬드틀(4)은, 도시하지 않은 레벨링장치에 의하여, 와아프라인상에서 대략 동일레벨에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모든 경사(1)는, 폐구상태에 있다.
또한, 경사(1)는, 시이트형상으로 되고, 예컨대 4개의 헬드틀(4)의 헬드(5)에 대하여 소정의 반복순서로 당겨 끼워지고 있고, 바디날개(6)의 칸다마 예컨대 2올씩 끼워지고, 직경(81)에서 위사(7)의 교착하여 직포(8)로 되고 있다. 즉 하나의 바디날개(6) 사이에 끼워서 통과되고 있는 2올의 경사(2)를 지지하고 있는 헬드틀(4)의 번호에 대하여 서로 일정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된다.
다음에, 도시하지 않은 분리장치는, 예컨대 일본국 특개소 62-69851호의 장치에서, 낙하상태의 드롭퍼(3)를 직폭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또는 일본국 특개소 63-28951호의 장치에서, 낙하상태의 드롭퍼(3)의 비틂으로써 절단경사(1a),(1b)에 이웃하는 정상적인 경사(1)를 절단경사(1a),(1b)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떼어 놓는다.
이후에,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드롭퍼 장치(2)의 근방에서 떼어놓은 후의 경사(1)의 작은 공간내에, 1쌍의 분리부재(11)가 아래로부터 삽입되고, 각각 절단경사(1a)(1b)로부터 떨어지는 한방향으로 직폭방향으로 이동한다. 그후, 상기 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분리부재(11)는 헬드틀(4)의 근방까지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여, 절단 경사(1a),(1b)는, 다른 정상경사(1)에 대하여 충분한 간격을 형성하면서, 꺼내기 쉬운 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이 1쌍의 분리부재(11)는, 일본국 특개평 1-192853호 공보의 분리장치 등이고, 벨트등에 의하여 직포방향으로 이동하고, 수직방향의 에어실린더등에 의하여 상승하고, 또한 직폭방향의 에어실린더 등에 의하여 경사(1)을 분리하는 방향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후, 송출측의 절단경사(1a)에 이음실(9)이 접착방식 또는 기계이음방식의 노터(53)에 의하여 이어지고, 그 이음실(9)이 흡인홀더(14)에 의하여 바디날개(6)의 뒤쪽 가까이에서 유지된다.
다음에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 절단경사(1a),(1b)에 대응하는 헬드틀(4)의 번호를 후술하는 바와같은 방법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절단경사(1a),(1b)에 대응하는 헬드틀(4)의 번호 「No. 4」 및 실끼우기순에서 절단경사(1a),(1b)에 대응하는 바디날개(6)와 같은 바디날개(6) 사이에 끼워져 있는 경사(1)는, 절단경사(1a),(1b)를 기준으로 하여 왼쪽이웃의 경사(1)임을 판단하고, 또한 절단경사(1a),(1b)를 기준으로 하여 왼쪽이웃 2올째의 경사(1)의 대한 헬드틀(4)의 번호 「No. 2」를 식별하고,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대기위치의 분리부재(12)를 낙하상태의 드롭퍼(3)의 위치신호에 의거하여 직폭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절단경사(1a),(1b)의 가까이에서 정지시키고나서, 경사(1)의 방향을 이동시키고, 「No. 2」의 헬드틀(4)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No. 2」의 헬드틀(4)의 내의 헬드(5)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이뒤, 좌측의 분리부재(11)가 중앙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절단경사(1a),(1b)와 같은 바디부재(6)의 사이의 정상경사(1)가 절단경사(1a),(1b)의 가까이까지 이동한다.
이때, 제4도와 같이, 절단경사(1a),(1b)와 같은 바디날개(6)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정상경사(1)가 예컨대 드롭퍼 장치(2)와 헬드(5)와의 사이에서, 이미 절단경사(1a),(1b)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는 2개의 파지구(51)에 의하여 유지되고, 다음에, 그들 사이의 커터(52)에 의하여 절단된다.
그후,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의 노터(53)에 의하여 절단된 상기 정상경사(1)는 충분한 길이의 이음실(54)로 접착 또는 기계이음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고, 느슨한 상태로 된다.
이후, 인출부재(55)가 예컨대 드롭퍼장(2)와 헬드틀(4)과의 사이에서, 왼쪽으로부터 절단경사(1a)로 다가와서, 핀(551)부분에서 걸어서 하강한다.
이에 의하여, 이음실(9)은, 그것에 마주친 분만큼 흡인홀더(14)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이음실(54)과 대략같은 양으로 이완한 상태로 설정된다. 또한, 이음실(9),(54)의 공급은, 뒤에 상술한다.
이후,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노터(53)가 흡인부재(14)의 가까이까지 이동하고, 헬드(5)의 바디날개(6)와의 사이에서 이음실(9)의 끝단부를 같은 바디날개(6)의 사이의 이완시킨 정상경사(1)에 접착 또는 기계이음등에 의하여 고정한다.
다음에 이 정상경사(1)를 일본국 특개평 1-192853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바디의 앞쪽의 경사시이트상에 그대로 흡인하여도 좋은 것이지만, 여기서는 제2의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제시한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인출부재(55)는, 이음실(9)의 해방상태로 한다. 이 뒤에 승강부재(13)는 대기위치로부터 절단경사(1a),(1b)의 가까이 까지 이동하고,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바디날개(6)의 후방에서, 같은 바디날개(6) 사이에 끼워져 있는 경사(1)와 절단경사(1a)에 이어진이음실(9)을 핀(131)에 의하여 다른 경사(1) 보다 높은 위치로 상승시키다.
이후, 제8도,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후크부재(56)가 바디날개(6)의 앞쪽에서 바디날개(6)와 직경(81)과의 사이를 따라서 이동하고, 상승위치에 있는 경사(1)를 건후, 감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바디날개(6)의 후방쪽에서의 이음실(9),(54)의 이완상태를 흡수한다. 이 상태로 후크부재(56)와 함께 따라온 흡인부재(57)의 작용에 의하여 이음실(9),(54)을 공기류와 함께 내부로 끌어넣고 후크부재(56)로부터 실을 벗김과 동시에 승강부재(13) 및 흡인부재(14)를 원래의 대기위치로 되돌리고, 이것들에 이어지는 경사(1) 및 절단경사(1a)에 적당한 장력을 준다.
이와같이 하여서, 절단경사(1a)는, 같은 바디날개(6)의 사이에 끼워져 있는 정상경사(1)를 안내나사로 하여서, 목표의 바디날개(6) 사이에 당겨 끼워져 간다. 이 상태에서 재기동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제직이 재개되면, 제직의 진행에 따라, 흡인부재(57) 및 이음실(9),(54)은, 제11도와 같이, 감는쪽으로 이동하고, 이윽고 이동을 정지한 흡인부재(57)로부터 점점 빠져나간다.
이와같이 하여서 제직의 속행에 의하여, 이음실(9),(54)은, 직포(8)의 조직으로서 자여져 간다. 또한, 직포(8)이 짜여지지 않은 경사는 직포(8)로부터 돌출한 상태인체로 감겨지는데, 흡입관(57)에 미국특허 4,898,213호(유럽특허 318047호)에 개시한 커터장치를 부속시킴녀, 그것들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절단경사(1a),(1b)와 같은 바디날개(6)에 끼워져 있는 정상경사를 드롭퍼장치(2)와 헬드틀(4)과의 사이에서 절단하고, 이음실(54)을 잇고 있으나, 헬드틀(4)과 바디날개(6)와의 사이에서 절단하여 같은 조작을 행하면 좋다.
중요한 것은 이음실(9)과 또 한쪽의 이음실(54)과의 이은자리가, 정상경사(1)를 직경방향으로 끌어넣었을때 직경보다 앞쪽으로 오도록 하면 좋은 것이다. 또, 경사(1)가 경사(1)의 송출 비임으로부터 헬드(5)까지의 사이에서 절단하였을 때는, 송출측의 절단경사(1a)에 이음실(9)을 노터(53)에 의하여 이어댐과 동시에, 감는쪽의 절단경사(1b)를 헬드(5)나 드롭퍼(3)등의 경사 삽동부재로부터 후술의 방법에 의하여 제거하고, 또한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하여 이음실(9)이 대응의 헬드(5)나 드롭퍼(3)에 끼워지고 나서 상기 실시예의 동작이 행하여지게 된다.
각 이동부분은, 이하의 구성예에 의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재(12)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엔들레스 형상의 벨트(15)의 직폭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가이드(16)와 함께 이동하고, 또한 슬라이더 겸용의 러크(17) 및 모우터(18)의 피니언(181)에 의하여 경사(1)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경사(1) 방향으로의 이동완료후에, 러크(17)와 일체의 브라켓트(171)에 의하여 지지된 에어실린더(19)에 의하여 직폭방향으로 진출 혹은 퇴입하여, 대응의 헬드(5)만을 규제한다.
다음에, 상기 승강부재(13)는,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벨트(20)에 의하여 직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향의 솔레노이드(21)에 의하여 소정량만큼 상승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다. 또 인출부재(55)는, 제1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벨트(58)에 의하여 직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향의 솔레노이드(59)에 의하여 소정량만큼 상승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다. 또한, 흡인홀더(14), 후크부재(56) 및 흡인부재(57)는, 제15도의 이송안내장치(40)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흡인홀더(14) 및 흡인부재(57)는, 바디날개(6)의 윗쪽에서 각각 하향의 에어실린더(38),(38)의 피스톤로드(23),(24)에 의하여 지지되고 피스톤로드(23),(24)의 둘레에 회전하지 않도록, 붙임고정되어 있고, 에어실린더(38),(39)는 각각 브라켓트(25)를 개재하여 슬라이더(26)에 붙임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26)는 직폭방향의 안내로드(27)에 대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또 이것과 일체의 이송너트(28)에 의하여 안내로드(27)와 평행인 이송나사(29)에 연결되어 있다.
이 이송나사(29)는, 직기의 양쪽에 배치된 1쌍의 프레임(31)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이송모우터(30)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피스톤로드(24)의 하단에서포트(32)가 붙임고정되어 있고, 경사(1)의 방향에서 수평인 이송나사(33)를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고 있다. 이 이송나사(33)는, 이송모우터(34)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흡인부재(57)는, 이송너트(35)에 의하여 이송나사(33)와 결합하고, 경사(1)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실센서(41),(42)는, 경사(1)의 끌어넣음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또, 후크부재(56)는, 서포트(32)에 붙임고정된 로터리솔레노이드(36)에 의하여 회전운동하고, 정상경사(1) 및 이음실(9),(54)을 감는방향으로 끌어넣도록 되어 있다.
또, 파지구(51), 커터(52) 및 노터(53)는, 제16도의 이송안내장치(70)에 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노터(53)는, 헬드틀(4)의 윗쪽에서 하향의 에어실린더(72)의 피스톤로드(74)에 의하여 지지되고, 피스톤 로드(74)의 둘레에 회전하지 않도록, 붙임고정되어 있고, 브라켓트(75)를 개재하여 슬라이더(76)에 붙임고정되어 있다. 이 노터(53)는, 아래쪽 개구부에서 흡인기능을 가지고 있고, 이어야 할 2개의 실을 공기적인 흡인에 의하여 내부의 소정개소에 끌어넣은 후에 실이음을 행하는 것이다.
슬라이드(76)는, 직폭방향의 안내로드(77)에 대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도 이것과 일체의 이송너트(78)가, 안내로드(77)와 평행인 이송나사(79)에 연결되어 있다. 이 이송나사(79)는, 직기의 양쪽에 배치된 1쌍의 프레임(31)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이송모우터(80)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있다.
또, 피스톤 로드(74)의 아래끝단에는, 경사(1)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에 걸쳐서 뻗어 있는 서포트(82)가 붙임고정되어 있고, 경사(1)의 방향으로 수평인 이송나사(83)를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고 있다. 이 이송나사(83)는, 이송모우터(84)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노터(53)는, 이 이송나사(83)와 결합한 이송너트(85)에 지지되어서, 경사(1)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적어도 파지구(51),(51), 절단경사(1a),(1b)의 절단된 곳 및 바디날개(6)의 뒷쪽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송너트(85)에 서포트(86), 직폭방향의 이송나사(87), 이송모우터(88), 이송 너트(89)가 붙임고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하여 노터(53)는, 이송너트(89)와 함께 진폭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절단경사(1a),(1b) 및 동종의 경사(1)로의 이동을 행한다.
또, 2개의 파지구(51) 및 커터(52)는, 어느 것이나 전자조작식이고, 하향의 에어실린더(71)의 피스톤로드(73)의 아래끝단에서, 홀더(90)에 의하여, 피스톤로드(73)의 둘레에 회전하지 않도록 상하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같은 바디날개(6) 사이의 정상경사(1)의 검출에는, 이하의 구체예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다. 절단경사(1a),(1b)에 대응하는 헬드틀(4)의 번호의 검출은, 예컨대 이하의 장치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제17도 및 제18도는, 검출장치(100)를 나타낸다. 즉, 검출장치(100)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우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1쌍의 풀리(101) 사이에 감겨걸린 끝단이 없는 형상의 벨트(102)에 의하여 직폭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고 경사(1)의 방향의 가이드(103)의 부분에서 러크(105)를 미끄럼 운동이 자유롭게 유지하고 있다. 이 러크(105)는, 모우터(104)의 피니언(106)에 의하여 경사(1)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그 앞끝단의 홀더(107)의 위끝단부분에서, 2개의 센서(108) 및 센서(109)를 수평방향 및 하향으로 향하여 비치하고 있다. 한쪽의 수평방향의 센서(108)는, 헬드틀(4)의 헬드(5)를 검지하기 위한 것이고, 또 하향의 센서(109)는 복수의 헬드틀(4)중의 하나를 특정하기 위하여 마련되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에, 4개의 헬드틀(4)은, 제19도에 예시하는 바와같이, 각각 경사(1)의 방향으로 나란히 놓여있고, 1올씩 1올의 경사(1)를 차례로 비스듬히 끼우는 상태로 지지하고, 이 지지상태를 반복함으로써, 모든 경사(1)를 유지하고 있다. 이들 경사(1)는, 각각 헬드(5)에 의하여 지지되고, 바디날개(6) 사이에 대하여 2올씩 끼워져 있다.
따라서, 하나의 바디날개(6) 사이에 끼워져 있는 2올의 경사(1)에는, 그 경사(1)를 지지하고 있는 헬드틀(4)의 번호에 대하여 서로 일정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된다.
그리고, 경사(1)가 끼워져 있는 헬드(5)에 각각 이것을 지지하는 헬드틀(4)의 번호에 대응한 고유의 식별 코오드(45)가 부여되고 있다. 이 식별코오드(45)는, 동일한 바디날개(6) 사이에 끼워져 있는 경사(1) 마다에 기억장치(46)에 의하여 기억되고 있다. 틀 번호의 검출시에, 검출장치(100)가 절단경사(1a)의 방향으로 전진하여 소정의 이동량만큼 이동하고 정지한다. 다음에 모우터(104)가 온으로 되고, 정회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센서(108),(109)는, 함께 헬드(5)의 방향으로 전진한다. 이 전진과정에서, 센서(109)가 온으로 되었을때, 최초의 헬드틀(4)에 다른것이 검지되었으므로, 모우터(104)의 회전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카운트가 개시된다.
그후, 센서(108)가 온으로 되면, 헬드(5)가 검출된 것으로 되고, 카운트가 정지하고, 카운트한 회전량으로 헬드틀(4)의 틀번호를 산출한다. 이 카운트는, 전용의 콘트롤러 등에 의하여 행하여 진다. 예컨대, 1개의 헬드틀(4)을 이용하는 데에 필요한 모우터(105)의 회전량을 미리 기억하여 놓고, 카운트된 모우터(104)의 회전량이 상기 기억된 회전량의 몇배인가를 연산하면 구하여진다. 이것에 의하여, 절단경사(1a),(1b)를 끼워통하고 있는 헬드(5)의 식별 코오드(45)가 검출된다.
다음에, 도시하지 않은 콘트롤러는 기억장치(46)의 내용과 구한 식별코오드(45)로 절단경사(1a),(1b)와 동일한 바디날개(6) 사이에 끼워져 있는 정상경사(1)가 좌우중 어느 것인가를 판단함으로써, 위치결정을 위한 조건을 설정하고나서, 모우터(104)를 역회전방향으로 온으로 하고, 센서(108),(109)를 후퇴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구동모우터를 "온"으로 하고 검출장치(100)만을 직폭방향으로 비켜놓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또 같은 바디날개(6) 사이의 정상경사(1)의 특정은, 일본국 특개평 1-174649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같이, 드롭퍼장치(2)의 모든 드롭퍼(3)를 코오드화하고, 전 코오드를 각 바디날개(6)에 대응하여 기억시켜 놓으면, 절단경사(1a),(1b)의 드롭퍼(3)의 코오드로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헬드틀(4)의 번호의 검출방법으로서는,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헬드(5)의 낙하를 검지하고 경사(1)의 절단을 검출하는 공지의 세로 정지장치를 응용하고, 낙하한 헬드(5)의 틀번호를 검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음실(54)의 공급은, 이하와같이 하여서 행하여 진다. 이음실(54)은, 노터(53)에 대하여 제20도의 실공급장치(110)에 의하여 공급된다.
실공급장치(110)의 브라켓트(111)은, 직폭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산출가능한 상태로 짜넣어져 있고, 이음실(9)와 이음실(54)의 공급체인 보빈(112)을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고 있다.
이들 이음실(9),(54)의 앞 끝단부분은, 실린더(114)에 의하여 진퇴가 자유롭게 지지된 흡인홀더(113)의 내부에 유지되어 있고, 클렘퍼(115)의 이동경로상을 가로지르고 있다. 이음실(54)의 공급시에 클렘퍼(115)는, 솔레노이드(116)에 의하여 구동되고, 이음실(9)을 유지하고, 실린더(117)의 운동에 의하여 노터(53)의 가까이까지 이동함으로써, 이음실(54)의 양끝단을 노터(53)의 입구쪽까지 안내한다. 이 상태로, 노터(53)는, 일본국 특공소 46-18301호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기계식, 일본국 특공소 53-4328호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은 공기류식, 혹은 접착제 도포에 의한 접착식의 것이고, 경사(1)의 앞끝단부분 및 이음실(54)의 앞끝단부분을 끌어넣은 후, 그것들을 끝단부에서 맞매는 상태로 한다. 이 뒤, 클렘퍼(115)는, 실린더(117)에 의해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 사이에, 노터(53)는, 송출쪽의 파지구(51)로부터 감는쪽의 파지구(51) 가까이까지 이동하고 있다.
다음에, 흡인홀더(113)가 실린더(114)에 의하여 전진하고, 이음실(54)의 중간부분을 끌어넣음으로써, 이음실(54)을 클렘퍼(115)의 이동경로상에 가로놓는다.
이뒤, 클렘퍼(115)가 재차 이음실(54)을 유지한 후, 실린더(117)는, 러크(119) 및 피니언(120)을 구동함으로써, 실린더(117)를 수평방향의 축(12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시켜서, 이음실(54)의 공급위치를 정한다.
다음에, 클렘퍼(115)는, 실린더(117)에 구동되어서, 직경(81)쪽의 파지구(51)의 가까이까지 이동하고 있는 노터(53)의 가까이까지 이동하고 이음실(54)을 노터(53)의 입구 가까이까지 안내한다.
이 상태로, 커터(112)는, 이음실(54)의 중간부분은 절단함으로써, 보빈(112)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이 뒤, 노터(53)는, 내부에서 이음실(54)과 정상인 경사(1)의 직경(81)쪽의 한 끝단과를 접속한다.
이와같이 하여서, 정상경사(1)에, 이음실(54)이 접속된다. 또한, 절단경사(1a)에 대한 이음실(9)의 접속은, 정상적인 송출측의 경사(1)에 대한 이음실(54)의 접속과 같은 공정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그리고, 추가후의 이음실(9)은, 적당한 길이로 잘른 후, 잘른 자리쪽에서, 같은 바디날개(6) 사이의 경사(1)에 노터(53)에 의하여 매어진다.
이와관련하여, 송출비임과 헬드(5)와의 사이에서 실절단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절단경사(1a)와 이음실(9)과를 매기위하여는 실공급장치(110)는, 경사 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와 같은 모양의 공급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절단위치에 이음실(9)을 공급한다. 또한, 클렘퍼(115)는, 2개의 파지구(51) 사이뿐아니고, 헬드(5)와 바디날개(6)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맞이어진 정상경사(1)는, 승강부재(13)에 고정된 핀(131)에 의하여 윗쪽으로 변위시켜져서 적출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직폭방향으로 이동하는 후크부재에 의하여 바디 앞쪽의 윗쪽에서 포착되어서 흡인관(57)에 인도되어 소정의 장력이 주어지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는, 제2의 발명방법의 1공정으로서 경사를 기계적으로 포착하여서, 변위시키는 것을 개시하였는데, 여기서는 유체적으로 경사(1)를 포착하여 변위시키는 것을 개시한다. 여기에서는, 간편을 위하여 제21도 및 제2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1쌍의 분리부재(205)에 의하여 정상경사(1)로부터 분리된, 이미 이음실(202)로 이어진 경사(1a),(1b)에서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23도 내지 제26도는, 수복후의 경사(1a),(1b)의 처리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제23도 및 제2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헬드(203)와 바디날개(206)와의 사이에서 흡인식의 적출체(210)가 절단한 경사(1a),(1b)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직단(織端)쪽의 대리위치로부터 수복후의 경사(1a), (1b)의 위치까지 이동하고, 하강하면서 흡인 동작을 개시하고, 직포(209)쪽의 수복후의 경사(1b)를 공기류에 의하여 내부에 끌어넣음으로써, 적출하고 수복후의 경사(1a),(1b) 및 이음실(202)을 이완시킨다.
상태는, 적출제(210)의 부분에 형성된 실센서(211)에 의하여 확인된다. 이 확인후, 제2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적출제(210)는, 상하방향 예컨대 윗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수복후의 경사(1a),(1b) 및 이음실(202)을 변위시키고, 적당한 장력을 줌으로써, 직선형상으로 편 상태로 설정한다. 이미, 수복시에 있어서 경사(1)는, 대략 폐구상태로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수복후의 경사(1a),(1b) 및 이음실(202)의 변위에 의하여 직포(209)쪽의 수복후의 경사(1b)는, 바디날개(206)의 앞쪽에 있어서 다른 정상경사(1)로부터 변위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뒤, 제26도와 같이, 바디날개(206)의 앞쪽에 있어서, 흡인식 포착체(212)가 대기 위치로부터 수복후의 경사(1b)의 윗쪽위치까지 이동하고 있어, 흡인동작을 개시한다. 이 상태로, 적출체(210)의 흡인동작이 정지하면, 수복후의 경사(1b)는, 적출체(210)로부터 해방되고 이것에 대신하여 포착체(212)의 공기류에 의하여 포착체(212)의 내부에 용이하게 끌려들어서 포착되고, 공기류와 함께 견인되어서, 적당한 장력 예컨대 정규의 제작시와 같은값의 장력에 설정된다. 이 포착상태는, 실센서(213)에 의하여 검출된다. 그후 포착체(212)는, 바디치기에 장해가 되지 않도록 흡인동작을 계속한 상태로 감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한다.
이와같이 하여서, 수복후의 경사(1a),(1b) 및 이음실(202)은, 중간부분에서 다른 정상경사(1)보다도 길어지고, 이완한 상태로 되어 있으나, 포착체(212)에 의하여 포착됨으로써, 바디날개(205)로부터 감는 쪽으로 끌려들어가고, 적당한 장력하에 대략 직선 형상에 설정된다. 이 사이에 적출체(210)는, 바디치기의 장해가 되지않는 위치 예컨대 최 상승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1쌍의 분리부재(205)는, 제직 재개전에, 하강하여 경사(1)로부터 이탈하여, 대기위치로 되돌아간다. 이것에 의하여, 경사(1) 및 수복후의 경사(1a),(1b)는, 이음실(202)과 함께, 정상경사(1)에 대하여 평행한 정렬상태로 되돌아간다. 적당한 시간경과에 의하여, 수복후의 경사(1a),(1b) 및 이음실(202)은, 안정적인 긴장상태로 되기 때문에, 그 후에 직기는, 기동지령을 받아서 제직을 재개한다. 이 사이에도, 포착체(212)는, 직포(209)의 이동과 같은 속도로 이동하면서, 수복후의 경사(1a),(1b) 및 이음실(202)의 포착상태를 계속하고 있는데, 기동에서 소정시간의 경과후 또는 소정피크의 위사넣기 후에, 흡인동작을 정지하고, 대기위치로 복귀한다. 이와같은 재직의 재개에 의하여, 수복후의 경사(1a),(1b) 및 이음실(202)은, 포착체(212)에 의하여 포착된 부분에서 루우프를 형성하면서, 직포(209)에 박혀들어가는데, 그 루우프 형성위치 이후의 제직과정에서, 정상적인 제직조직의 직포(209)로 되어간다. 제27도는, 상기 적출체(210) 및 포착체(212)의 이송 안내장치(220)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적출체(210) 및 포착체(212)는, 바디날개(206)의 윗쪽에서 각각 하향의 에어 실린더(221),(222)의 피스톤 로드(223),(224)에 의하여 지지되고, 피스톤 로드(223),(224)의 둘레에 회전하지 않도록, 붙임고정되어 있고, 브라켓트(225)를 개재하여 슬라이더(226) 및 이송너트(228)에 붙임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브라켓트(225)에 형성된 슬라이더(226)는 직폭방향의 안내로드(227)에대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또 이와 일체의 이송너트(228)에 의하여 안내로드(227)와 평행인 이송나사(229)에 연결되어 있다. 이 이송나사(229)는, 직기의 양쪽에 배치된 1쌍의 프레임(231)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이송 모우터(230)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피스톤 로드(224)의 아래끝단에 서포트(232)가 붙임고정되어 있고, 경사(1)의 방향으로 수평인 이송나사(233)를 회전이 자유롭게 유지하고 있다. 이 이송나사(233)는, 이송 모우터(234)에 의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포착체(212)는, 이송너트(235)에 의하여 이송나사(233)와 결합하고, 경사(1)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28도의 제어 유니트(241)는, 미리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고, 드롭퍼 장치(236)등으로 부터의 절단경사(1a),(1b)의 직기 폭방향의 위치정보를 입력하여, 이송 모우터(230)의 회전 제어부(242)에 회전방향 및 회전량의 지령을 줌과 동시에, 전환 제어부(243),(244)를 조작함으로써, 실린더(221),(222)의 상하 운동을 제어하고, 또 실센서(211),(213)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흡인동작 제어를 위하여 개폐밸브(245),(246)를 제어하는 외에, 회전 제어부(247)에 의하여 이송 모우터(234)의 회전속도나 회전방향, 및 회전량을 제어한다.

Claims (5)

  1. 송출쪽의 절단경사(1a),(1b)에 이음실(9)을 잇고 충분한 길이를 가지고 드롭퍼(3), 헬드틀(4)에 끼운상태로 하는 공정, 절단경사(1a),(1b)과 같은 바디날개(6)에 끼워져 있는 정상경사(1)를 절단하여, 절단한 곳을 충분한 길이의 이음실(54)에 의하여 연결하는 공정, 송출쪽의 절단경사(1a)에 이어진 이음실(9)을 헬드(4)와 바디날개(6)와의 사이에서 같은 바디날개(6) 사이에 기워져 있는 정상경사(1)에 있는 공정, 같은 바디날개(6) 사이의 정상경사(1)를 바디날개(6) 앞쪽으로 꺼내어 견인함으로써 절단경사(1a),(1b)를 바디날개(6) 사이에 끼우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복후의 경사의 처리방법.
  2. 이음실(202)을 개재하여 연결된 수복후의 경사(1a),(1b)를 헬드(203)와 바디날개(206)와의 사이에서 적출하여 상,하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이 변위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음에 바디날개(206)의 앞쪽에서 수복후의 경사(1a),(1b)를 포착하고, 이 포착상태의 경사(1a),(1b)를 견인하여, 당해 경사(1a),(1b)에 장력을 주면서 직기를 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복후의 경사의 처리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수복후의 경사(1a),(1b)를 바디날개(206) 앞쪽에서 흡인수단(212)으로 부터의 흡인공기류에 의하여 꺼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복후의 경사의 처리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경사(1a),(1b)를 바디날개(206) 앞쪽에서 후크형상의 부재(212)에 의하여 기계적으로 포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복후의 경사의 처리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제직시에, 수복후의 경사(1a),(1b)를 직포(209)와 함께 감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복후의 경사의 처리방법.
KR1019910004611A 1990-03-28 1991-03-23 수복(修腹)후의 경사의 처리방법 KR9300040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22890A JP2847558B2 (ja) 1990-03-28 1990-03-28 修復後のたて糸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80228 1990-03-28
JP11347190A JP2796875B2 (ja) 1990-04-27 1990-04-27 たて糸の筬通し方法
JP113471 1990-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996A KR910016996A (ko) 1991-11-05
KR930004078B1 true KR930004078B1 (ko) 1993-05-20

Family

ID=26421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611A KR930004078B1 (ko) 1990-03-28 1991-03-23 수복(修腹)후의 경사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111851A (ko)
EP (1) EP0449277B1 (ko)
KR (1) KR930004078B1 (ko)
DE (1) DE6912161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754A (ja) * 1991-07-10 1993-02-02 Tsudakoma Corp たて糸シート揃え装置および筬管理装置
KR100248247B1 (ko) * 1992-04-09 2000-04-01 테라다 토키오 정경기의 모우사 보수장치
CN103643391B (zh) * 2013-11-21 2015-12-02 诸暨市凯利纺织机械有限公司 股线在结经机上完整送线的送线装置和送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8277A5 (de) * 1985-06-26 1988-12-15 Zellweger Uster Ag Ueberwachungsvorrichtung fuer doppelfaeden an webkettenknuepfmaschinen.
JPH0735625B2 (ja) * 1985-09-17 1995-04-19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たて糸の切れ端分離方法およびその装置
NL8601819A (nl) * 1986-07-08 1988-02-01 Picanol Nv Werkwijze voor het vergemakkelijken van de herstelling van kettingdraden bij weefmachines met kettingwachterlamellen, en inrichting hierbij aangewend.
NL8602192A (nl) * 1986-08-28 1988-03-16 Picanol Nv Werkwijze voor het herstellen van een kettingbreuk bij weefmachines en herbedradingsinrichtingen hierbij aangewend.
BE1000376A4 (nl) * 1987-03-13 1988-11-16 Picanol Nv Werkwijze voor het ter hoogte van de kettingwachter afzonderen van een gebroken kettingdraad uit de ketting bij een weefmachine, alsook inrichting die deze werkwijze toepast.
US4894893A (en) * 1987-06-11 1990-01-23 C K D Kabushiki Kaisha Pneumatic reed drawing-in apparatus
JP2663269B2 (ja) * 1987-11-26 1997-10-15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継ぎ糸処理装置
JP2631676B2 (ja) * 1987-12-29 1997-07-16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たて糸切れ位置検出装置
JP2665918B2 (ja) * 1988-01-26 1997-10-22 津田駒工業株式会社 たて糸自動補修方法およびその装置
GB2216908B (en) * 1988-03-30 1991-10-30 Murata Machinery Ltd Yarn splicing system for warp in a loom
DE69027130T2 (de) * 1989-02-02 1996-10-02 Tsudakoma Ind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Reparieren eines Kettfad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49277A3 (en) 1991-11-06
DE69121617T2 (de) 1997-01-16
DE69121617D1 (de) 1996-10-02
EP0449277A2 (en) 1991-10-02
EP0449277B1 (en) 1996-08-28
KR910016996A (ko) 1991-11-05
US5111851A (en) 199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2101B1 (ko) 젯트직기에 있어서 위사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2017172096A (ja) 糸切れとスピンドル欠陥の自動検出方法とそれらを回復するためのロボット
KR930004078B1 (ko) 수복(修腹)후의 경사의 처리방법
US4700642A (en) Joining continuous lengths of web materials
JP2665918B2 (ja) たて糸自動補修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920006873B1 (ko) 경사 자동보수 방법 및 그 장치
JP2663269B2 (ja) 継ぎ糸処理装置
JP2662055B2 (ja) 織機の破断したたて糸を自動的に修復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H09137342A (ja) 経糸の筬通し方法、および同方法に用いる高精度筬通し機
JPH03174056A (ja) 織機のたて糸切断処理方法及び装置
KR930004077B1 (ko) 경사 수복용 제어방법 및 그 장치
KR930004076B1 (ko) 절단 경사에 대한 바디(筬)위치 검출방법 및 위치 제어장치
JPH03130441A (ja) 織機の切れたたて糸の修復方法およびこの修復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2796875B2 (ja) たて糸の筬通し方法
KR930010101B1 (ko) 경사보수 장치
JP2847558B2 (ja) 修復後のたて糸の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2210045A (ja) たて糸自動補修方法
JP2832856B2 (ja) たて糸補修装置
EP0465416A1 (en) Mispicked weft removing device for a jet loom
JP2584991Y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給糸処理装置
JP2777741B2 (ja) 筬羽位置検出方法
JP3458615B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処理方法
JPH0351345Y2 (ko)
JPS58197350A (ja) ジエツトル−ムの起動方法
JPH0665778B2 (ja) 無杼織機における緯糸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