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8772A - 현장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현장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8772A
KR20220038772A KR1020227006835A KR20227006835A KR20220038772A KR 20220038772 A KR20220038772 A KR 20220038772A KR 1020227006835 A KR1020227006835 A KR 1020227006835A KR 20227006835 A KR20227006835 A KR 20227006835A KR 20220038772 A KR20220038772 A KR 20220038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work area
work
are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6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리코 미즈오치
히로유키 야마다
히로시 사카모토
Original Assignee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038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4Fleet mana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02F9/261Surveying the work-site to be trea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Q50/265Personal security, identity or safe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작업 기계 및 작업원이 작업을 행하는 작업 현장에 있어서, 작업원의 위치, 작업 기계의 위치 및 작업 영역을 관리하고,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을 작업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현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때문에, 현장 관리 시스템(200)은, 작업원에게 휴대되는 작업원 단말 장치(40) 및 작업원에게 탑재되는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와 접속되는 현장 관리 장치(30)를 구비하며, 현장 관리 장치(30)는, 작업원 단말 장치(4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140)에 기초하여 작업원 정보(360)를 생성하고,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110)에 기초하여 작업 기계 정보(350)를 생성하고, 정보(40, 350)에 기초하여 작업 기계의 위치 및 작업 영역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 정보(380)를 생성하고, 작업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작업원 단말 장치(40)에 송신한다.

Description

현장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
본 발명은, 작업 기계가 배치되고, 작업원이 작업을 행하는 작업 현장을 관리하는 현장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다.
토목, 건설 등의 작업 현장에서는, 작업 내용에 따라, 복수의 작업 기계 및 복수의 작업원이 현장 내에 배치되고, 작업 기계 및 작업원은 현장 내를 이동하면서 작업을 행한다. 작업 현장에 있어서의 안전성의 향상 및 원활한 시공 관리를 위해서는, 작업원과 작업 기계의 불필요한 접근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작업 기계와 작업원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작업원을 불필요하게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에 출입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고, 작업원은, 작업 기계의 작업 내용이나 작업 영역을 파악하여,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에 침입하지 않도록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로부터, 작업원과 작업 기계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건설 기계의 주위에서 작업하는 작업원의 안전을 도모하는 건설 기계용 안전 작업 지원 시스템으로서, 건설 기계에 장착되는 발신기를 가지며, 발신기는 주위를 향해 제 1 정보를 발신하고, 건설 기계로부터 소정 거리 범위 내에 존재하는 소정의 안전 작업 지원 애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스마트폰에 제 1 정보를 수신시켜, 스마트폰에 건설 기계의 존재를 통지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로드 롤러를 이용하여 공사를 행할 때에, 로드 롤러의 주위에 출입 금지 영역을 명시하여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사 방법으로서, 노면에 영상을 투영하여 표시하는 복수의 프로젝터 장치를 로드 롤러에 복수 설치하고, 프로젝터 장치로부터 투영되는 영상에 의해 로드 롤러의 주위의 출입 금지 영역을 노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로드 롤러의 이동에 따라 표시한 출입 금지 영역을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행하는 공사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15-209718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7-193928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작업 기계와의 접근을 작업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서는, 작업원에게 통지가 행해지는 것은, 작업 기계에 접근한 경우이고, 작업의 진척과 함께 변화하는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을 작업원이 사전에 인식할 수는 없어,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으로의 접근을 미연에 회피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기술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작업의 진척과 함께 변화하는 건설 기계 주위의 출입 금지 영역을 작업원에게 통지할 수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서는, 출입 금지 영역을 노면에 투영하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원이 출입 금지 영역을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작업원이 출입 금지 영역을 눈으로 볼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 또한, 노면을 능동적으로 확인하는 경우에 한정된다. 작업원과 출입 금지 영역의 사이가 떨어져 있는, 시계(視界)를 방해하는 것이 존재하는 경우 등의 시야가 나쁜 경우, 로드 롤러가 작업원의 배후에 존재하는 경우, 작업원이 노면을 확인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 영역을 인식할 수 없어, 작업 영역으로의 침입 회피를 위한 대응이 늦어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작업 기계와 작업원이 작업을 행하는 작업 현장에 있어서, 작업원의 위치, 작업 기계의 위치 및 작업 영역을 관리하고,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을 작업원에게 인식시킬 수 있는 현장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수단을 채용했다.
즉, 본 발명은, 작업원에게 휴대되는 작업원 단말 장치 및 작업 기계에 탑재되는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되는 현장 관리 장치를 구비한 현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장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작업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의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차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기계의 위치 및 상기 작업 기계가 동작하는 작업 영역을 포함하는 작업 기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원 정보 및 상기 작업 기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기계의 위치 및 상기 작업 영역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영역 통지 신호를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작업 기계 및 작업원이 작업을 행하는 작업 현장에 있어서, 작업원의 위치, 작업 기계의 위치 및 작업 영역을 관리하고,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을 작업원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작업원은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을 항상 인식하여, 작업 영역으로의 부주의한 침입을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현장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는, 현장 관리 시스템이 송수신하는 작업원 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b는, 현장 관리 시스템이 송수신하는 차체 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c는, 현장 관리 시스템이 송수신하는 작업 영역 통지 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a는, 작업원 단말 장치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b는, 작업원 단말 장치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작업 기계의 일례인 유압 셔블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 및 작업 영역 통지 영역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a는, 현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생성되는 작업원 정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b는, 현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생성되는 작업 기계 정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c는, 현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생성되는 작업 영역 정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작업원 정보 생성부에 있어서의 작업원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작업 기계 정보 생성부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작업 영역 정보 추출부에 있어서의 작업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현장 관리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a는, 현장 관리 시스템이 송수신하는 작업원 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b는, 현장 관리 시스템이 송수신하는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a는, 현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생성되는 작업 영역 확인 정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b는, 현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생성되는 작업원 정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c는, 현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생성되는 작업원 상태 정보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작업원 정보 추출부에 있어서의 작업원 상태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작업원 접근 판정부에 있어서의 접근 판정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a는, 작업 기계 통지 장치의 표시 장치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5b는, 작업 기계 통지 장치의 표시 장치의 다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현장 관리 시스템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개요·전체 구성>
토목, 건설 등의 작업 현장에서는, 요구되는 작업에 따라, 복수의 작업 기계(1)(도 3a 및 도 3b 참조) 및 복수의 작업원(100)(동(同))이 작업 현장 내에 배치되고, 작업 기계(1) 및 작업원(100)은 작업 현장 내를 이동하면서 작업을 행한다. 또한, 작업 현장에는, 시공의 계획 및 시공 품질이나 진척, 안전 대책 등의 시공 관리를 행하는 감독자(작업 감독자)가 배치된다. 작업 기계(1)에는, 작업 영역(250)(동)이 설정되고, 작업 기계(1)는 작업 영역(250) 내에서, 자세를 다양하게 변화시켜 작업을 행한다. 작업 영역(250)은, 작업 기계(1)의 작업의 진척에 따라 변경된다. 작업원(100)이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을 인식하지 않고, 작업 영역(250)에 부주의하게 침입한 경우에는, 작업원(100)이 작업 기계에 지나치게 접근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작업원(100)이 작업 기계(1)에 지나치게 접근한 경우는 작업 기계(1)를 감속 또는 정지시킬 필요가 있어, 작업 효율이 저하한다. 따라서, 작업 진척에 따라 변경되는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을 작업원(100)에게 정확하게 인식시키는 것이, 작업원의 접근 회피 및 작업 효율의 향상을 위해 중요하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현장 관리 시스템(2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 도 2b 및 도 2c는, 현장 관리 시스템(200)이 송수신하는 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현장 관리 시스템(200)은, 작업원(100)에게 휴대되는 작업원 단말 장치(40)와, 작업 기계(1)에 탑재되는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 내를 이동하는 작업원(100)의 위치 및 작업 기계(1)의 위치 및 작업 영역(250)을 취득, 관리하고, 작업 기계(1)의 근방(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의 작업원(100)에게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을 통지하는 것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현장 관리 시스템(200)은, 주로, 작업원(100)에게 휴대되는 작업원 단말 장치(40)와, 작업 기계(1)에 탑재되는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와, 작업 현장 관리 사무소 등에 마련되는 현장 관리 장치(30)로 구성된다. 작업원 단말 장치(40)와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와 현장 관리 장치(30)는 현장 내의 무선 네트워크나 휴대전화망 등에 의한 무선 통신으로 접속된다.
작업원 단말 장치(4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등의 작업원에 의해 휴대되는 단말로서, 단말 위치 검출 장치(45)와 작업원 통지 장치(44) 등을 구비한다. 작업원 단말 장치(40)는, 자신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원 신호(140)를 현장 관리 장치(30)에 출력하고, 또한, 현장 관리 장치(30)로부터 출력되는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에 기초하여 작업원(100)에게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을 통지한다.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는, 작업 기계(1)에 탑재되는 장치로서, 차체 위치 검출 장치(50), 설정 입력 장치(53) 등을 구비하고, 기계 자신의 위치 정보와 작업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차체 신호(110)를 현장 관리 장치(30)에 출력한다. 현장 관리 장치(30)는, 작업원 단말 장치(40)로부터 출력되는 작업원 신호(140)와,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출력되는 차체 신호(110)에 기초하여, 작업 현장 내의 작업원(100)의 위치, 작업 기계(1)의 위치 및 작업 영역을 관리한다. 또한, 작업원(100)과 작업 기계(1)의 위치 관계에 기초하여,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의 통지의 필요와 불필요를 판정하고, 작업 기계(1)로부터 소정의 영역 내(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도 5 참조)에 존재하는 작업원(100)에게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을 통지하는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출력한다. 신호의 송수신은 예를 들면 송신처를 지정한 무선 통신에 의해 행한다. 이와 같이, 작업 기계(1)의 근방의 작업원(100)에 대하여,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을 통지하는 것에 의해, 작업원(100)은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을 항상 인식할 수 있어, 작업 영역(250)으로의 부주의한 침입을 미연에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작업원 단말 장치(40),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 현장 관리 장치(30)의 상세를 설명한다.
<작업원 단말 장치>
작업원 단말 장치(4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단말, 웨어러블 디바이스로서, 작업원(100)에게 항상 휴대시키는 것이며, 작업 현장에 배치되는 작업원(100)의 인원수만큼 존재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원 단말 장치(40)는, 단말 위치 검출 장치(45)와 작업원 단말 연산 장치(42)와 작업원 단말 통신 장치(43)와 작업원 통지 장치(44)를 구비하고, 도시하지 않은 전원부에 의해 구동된다.
단말 위치 검출 장치(45)는, 측위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작업원 단말 장치(40)의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단말 위치 검출 장치(45)는, 측위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GNSS 수신 안테나와, 수신한 전파를 복조(復調)하여 작업원 단말 장치(40)의 3차원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정보 산출부를 구비하고, 글로벌 좌표계로 산출된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작업원 단말 연산 장치(42)에 출력한다.
작업원 단말 연산 장치(42)는, 작업원 신호 생성부(42A)와, 관리 시스템 통신부(42B)와, 통지 생성부(42C)로 구성된다.
작업원 신호 생성부(42A)는, 단말 위치 검출 장치(45)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정보와 미리 입력해 둔 각 작업원 단말 장치(40)를 휴대하는 작업원(100)을 식별하는 작업원 ID를 맞춰서,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작업원 신호(140)를 생성한다.
관리 시스템 통신부(42B)는, 작업원 신호 생성부(42A)의 출력하는 작업원 신호(140)를 현장 관리 장치(30)에 송신하도록 작업원 단말 통신 장치(43)에 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작업원 단말 통신 장치(43)를 개재하여 수신한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통지 생성부(42C)에 출력한다.
통지 생성부(42C)는,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에 기초하여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을 작업원(100)에게 통지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작업원 통지 장치(44)에 통지 지령을 출력한다.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하는 작업 기계의 대수만큼의 작업 영역 정보를 저장한 신호이며, 각 작업 영역 정보는 작업 기계 ID, 작업 기계의 위치, 작업 영역, 작업 영역 갱신 플래그로 구성된다. 통지의 일례로서는, 예를 들면, 작업 영역 갱신 플래그가 「1」인 작업 영역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 작업원 통지 장치(44)에 구비된 바이브레이션 발생 장치 및 스피커를 이용하여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 변경을 통지한다. 또한, 갱신 플래그가 「1」인 작업 영역 정보에 관하여, 작업원 통지 장치(44)에 구비된 모니터에, 작업원(100)과 작업 기계(1)의 위치 관계 및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한다. 도 3a 및 도 3b는, 작업원 통지 장치(44)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며, 예를 들면, 도 3a의 표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기계(1) 및 작업원(100)의 일러스트와 작업 영역(250)을 표시하고, 또한 작업 영역의 변경의 확인을 지시하는 메시지(「작업 영역 변경! 작업 영역을 확인하여 주십시오」 등)를 표시한다. 작업 영역 갱신 플래그가 「1」일 때만의 작업 영역 정보를 통지하는 것에 의해, 작업 영역에 변경이 생긴 경우나, 작업원(100)의 이동에 따라 작업원(100)이 새롭게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에 침입한 경우에만 통지를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작업 현장에서 다수의 작업 기계가 가동하고 있는 경우에도, 정말로 확인해야 하는 정보만을 작업원(100)에게 통지할 수 있다.
통지 생성부(42C)는, 작업 영역의 변경의 통지에 추가하여, 도 3b의 표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에 포함되는 모든 작업 영역 정보를 작업원(100)의 위치와 함께 나타내는 표시를 행해도 된다.
또한, 통지 생성부(42C)는, 갱신 플래그가 「1」인지 「0」인지에 상관 없이 모니터에 작업 기계(1) 및 작업원(100)의 일러스트와 작업 영역(250)을 표시하고, 갱신 플래그가 「1」일 때에만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영역 변경! 작업 영역을 확인하여 주십시오」의 메시지를 표시해도 된다.
작업원 단말 통신 장치(43)는, 작업 현장 내 무선 네트워크, 휴대전화망 등을 이용하여, 현장 관리 장치(30)에 작업원 신호(140)를 송신하고, 현장 관리 장치(30)로부터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수신한다.
작업원 통지 장치(44)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니터, 스피커, 바이브레이션 발생 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고, 통지 생성부(42C)로부터의 통지 지령에 따라, 시각, 청각 정보, 진동 등을 이용하여, 작업원(100)에게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을 통지한다. 또한, 작업원 통지 장치(44)는 스위치 등의 조작부(44a)를 가지며, 작업원이 조작부(44a)를 조작함으로써(예를 들면 스위치를 누름으로써) 모니터의 표시나 스피커 및 바이브레이션 발생 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는, 차체 위치 검출 장치(50), 설정 입력 장치(53), 작업 기계 연산 장치(60), 작업 기계 통신 장치(55)로 구성되고, 작업 기계(1)에 탑재된다.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는, 차체 위치 검출 장치(50)에서 검출되는 작업 기계(1)의 위치 정보와, 설정 입력 장치(53)를 개재하여 설정되는 작업 영역에 기초하여,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차체 신호(110)를 생성하고, 작업 현장 내 무선 네트워크, 휴대전화망 등을 개재하여 현장 관리 장치(30)에 송신한다.
본 실시형태의 현장 관리 시스템(200)이 도입되는 작업 현장에서는, 시공 내용에 따라, 유압 셔블, 불도저, 휠 로더 등의 작업 기계가 이용된다. 도 4는, 작업 기계의 일례인 유압 셔블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를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유압 셔블에 탑재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4의 작업 기계(1)는, 주행체(2)와, 주행체(2)의 상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선회체(3)와, 일단(一端)이 선회체(3)에 연결된 다관절형의 링크 기구로 이루어지는 작업 프론트(6)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 프론트(6)는, 일단이 선회체(3)에 연결된 붐(6A)과, 일단이 붐(6A)의 타단에 연결된 아암(6B)과, 일단이 아암(6B)의 타단에 연결된 버킷(6C)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각 부재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회동(回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선회체(3) 상에는, 운전실(캐빈)(4)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이 선회체(3) 상의 소요의 부분에는, 동력계를 구성하는 엔진이나 구동 액추에이터의 구동 유압 회로 등이 구비되어 있다. 운전실(4) 내에는, 오퍼레이터가 각 구동 액추에이터에 대한 움직임의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 레버(5)가 구비된다. 조작 레버(5)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주행, 선회, 및 작업 프론트(6)를 이용한 각종 동작이 행해진다. 운전실(4) 내에는, 조작 레버(5) 외에, 작업 기계(1)의 운전자에게 각종 정보를 통지하기 위한 통지 장치(80)(도 10 참조), 전술한 설정 입력 장치(53) 및 작업 기계 연산 장치(60)가 구비된다. 또한, 작업 기계(1)에는,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를 구성하는 차체 위치 검출 장치(50), 작업 기계 통신 장치(55)가 구비된다.
이하, 차체 위치 검출 장치(50), 설정 입력 장치(53), 작업 기계 연산 장치(60), 작업 기계 통신 장치(55)의 상세를 설명한다.
차체 위치 검출 장치(50)는, 측위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여, 작업 기계(1)의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차체 위치 검출 장치(50)는, 측위 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GNSS 수신 안테나와, 수신한 전파를 복조하여 작업 기계(1)의 3차원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 정보 산출부를 구비하고, 글로벌 좌표계로 산출된 3차원 위치 데이터를 작업 기계 연산 장치(60)에 출력한다.
설정 입력 장치(53)는,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의 설정 등에 이용되는 입력 장치이며, 설정 입력 장치(53)는, 입력 정보를 작업 기계 연산 장치(60)에 출력한다.
작업 기계 연산 장치(60)는, 도시하지 않은 CPU,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 이들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및 도시하지 않은 주변 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예를 들면 ROM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작동하는 연산 장치이다. 작업 기계 연산 장치(60)는, 차체 위치 검출 장치(50), 설정 입력 장치(5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자신의 위치, 작업 영역의 정보를 포함하는 차체 신호(110)를 생성하고, 작업 기계 통신 장치(55)에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작업 기계 연산 장치(60)의 상세를 설명한다.
작업 기계 연산 장치(60)는, 작업 영역 설정부(61)와, 차체 신호 생성부(62)와, 관리 시스템 통신부(63)로 구성된다.
작업 영역 설정부(61)는, 설정 입력 장치(53)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작업 영역(250) 및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을 설정한다. 작업 영역(250) 및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은, 작업 기계(1)에 설정된 차체 좌표계, 글로벌 좌표계, 각 작업 현장에 설정된 현장 좌표계 등의 원하는 좌표계로 설정하면 된다.
도 5는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 및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작업 영역(250)은, 전술과 같이, 작업 기계(1)가 동작하는 영역이다. 작업 기계(1)는, 설정된 작업 영역(250) 내에서만 작업을 행하고, 작업 영역(250)은, 작업의 진척에 따라 변경된다. 또한,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은,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을 통지해야 하는 작업원(100)(작업원 단말 장치(40))의 존재 에어리어이다. 작업 현장이 넓은 경우에는, 매우 많은 작업 기계(1)가 가동하고 있어, 작업원(100)이 모든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은 곤란하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영역(250)의 주위에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을 설정하고,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 내의 작업원(100)에게만 작업 영역(250)을 통지한다.
작업 영역(250)의 설정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작업 기계(1)의 운전자가, 작업 내용 및 작업의 진척에 따라 설정 입력 장치(53)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설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설정 방법으로서는, 미리 설정 입력 장치(53)를 이용하여 작업 공정마다의 작업 영역(250)을 설정하고, 작업 진척에 따라 작업 영역(250)을 전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은, 작업 영역(250) 설정 시에, 설정 입력 장치(53)를 이용하여 설정하도록 구성해도 되고, 작업 기계(1)에 고유의 에어리어로서 미리 설정된 영역을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설정 입력 장치(53)는, 작업 영역(250) 및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을 작업 영역 설정부(61)에 입력할 때, 입력한 작업 영역(250) 및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기계(1)의 일러스트와 함께 설정 입력 장치의 모니터에 표시시킨다.
차체 신호 생성부(62)는, 차체 위치 검출 장치(50)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작업 영역 설정부(61)의 출력에 기초하여 현장 관리 장치(30)에 송신하는 차체 신호(110)를 생성한다.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신호(110)는,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의 탑재되는 작업 기계(1)를 식별하는 작업 기계 ID와, 차체 위치 검출 장치(50)로부터 입력되는 작업 기계(1)의 위치 정보와, 작업 영역 설정부(61)에서 설정되는 작업 영역(250) 및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의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이다. 작업 영역(250) 및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이 차체 좌표계, 각 작업 현장에 설정된 현장 좌표계 등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글로벌 좌표계로 변환하여, 차체 신호(110)를 생성한다.
관리 시스템 통신부(63)는, 차체 신호 생성부(62)의 출력하는 차체 신호(110)를 현장 관리 장치(30)에 송신하도록 작업 기계 통신 장치(55)에 지령을 출력한다.
작업 기계 통신 장치(55)는, 작업 현장 내 무선 네트워크, 휴대전화망 등을 이용하여, 현장 관리 장치(30)와의 통신을 행하는 장치이며, 작업 기계 연산 장치(60)의 생성하는 차체 신호(110)를 현장 관리 장치(30)에 송신한다.
<현장 관리 장치>
현장 관리 장치(30)는, 현장 관리용 제어 장치(31)와, 현장 관리 통신 장치(32)로 구성되며, 작업 현장 내의 관리 사무소 등에 마련된다. 현장 관리 장치(30)는, 작업원 단말 장치(40) 및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와 현장 내 무선 네트워크나 휴대전화망 등에 의해 접속되어 있으며, 작업원 단말 장치(40)로부터 송신되는 작업원 신호(140)와,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차체 신호(110)를 수신하고, 이러한 신호를 이용하여, 작업 현장 내의 작업원(100) 및 작업 기계(1)의 위치 및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을 관리하며, 작업원(100)에 대하여 통지해야 하는 작업 영역 정보를 추출하여, 작업원 단말 장치(40)에 대하여,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송신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6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현장 관리 장치(30)의 각 부의 상세를 설명한다.
[현장 관리용 제어 장치]
현장 관리용 제어 장치(31)는, 도시하지 않은 CPU,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억부, 이들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 및 도시하지 않은 주변 회로 등으로 구성되고, 예를 들면 ROM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작동한다.
또한, 현장 관리용 제어 장치(31)는, 각종 정보를 보지(保持)하는 기억부(31B)와, 현장 관리 통신 장치(32)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기억부(31B)에 보지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연산을 행하는 연산부(31A)를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현장 관리용 제어 장치(31)의 기억부(31B)와 연산부(31A)의 상세를 설명한다.
· 기억부
기억부(31B)는, 연산부(31A)가 행하는 연산에 필요한 정보를 보지하고, 연산부(31A)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보지하고 있는 정보를 출력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기계 리스트(310), 작업원 리스트(340), 작업 기계 정보(350), 작업원 정보(360)가 보지된다.
작업 기계 리스트(310)는, 작업 현장 내에서 가동하는 작업 기계(1)의 일람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기계 리스트(310)로서, 예를 들면, 각각의 작업 기계(1) 고유의 작업 기계 ID와 작업 기계(1)의 종별과 작업 기계(1)의 운전자의 정보를 대응시킨 리스트를 보지한다.
작업원 리스트(340)는, 작업 현장 내에서 작업 중인 작업원(100)의 일람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원 리스트(340)로서, 예를 들면, 각각의 작업원 고유의 작업원 ID와 작업원의 속성을 대응시킨 리스트를 보지한다. 작업원의 속성은, 작업원의 성명과, 작업 기계(1)의 운전자, 보조 작업원, 주위 작업원, 감독자 등을 구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작업원의 속성은, 소속 회사, 경험 연수 등의 정보를 포함해도 되고, 이들을 통합한 지표를 갖게 하도록 해도 된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작업 기계 정보(350) 및 작업원 정보(360)와 후술하는 작업 영역 정보(380)를 나타내는 도이다.
작업 기계 정보(350)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현장 내의 작업 기계(1)에 관한 위치, 작업 영역 등의 정보를 리스트화한 것이며, 연산부(31A)에서 생성된다.
작업원 정보(360)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현장 내의 작업원(100)에 관한 위치 등의 정보를 리스트화한 것이며, 연산부(31A)에서 생성된다.
작업 기계 정보(350) 및 작업원 정보(360)의 상세는 후술한다.
· 연산부
연산부(31A)는, 작업원 정보 생성부(34)와, 작업 기계 정보 생성부(35)와, 작업 영역 정보 추출부(36)와, 작업 영역 통지 신호 출력부(37)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각 부의 상세를 설명한다.
· 작업원 정보 생성부
작업원 정보 생성부(34)는, 현장 관리 통신 장치(32)에서 수신되는 작업원 신호(140)의 수신 결과와 기억부(31B)에 저장된 작업원 리스트(340)를 이용하여 작업원 정보(360)를 생성한다.
작업원 정보(360)는,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작업원 ID에 위치의 정보를 기록한 것이며, 작업원 신호(140)의 수신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원 리스트(340)에 기재된 모든 작업원 ID에 관하여 작업원 정보(360)를 생성한다. 생성한 작업원 정보(360)는, 작업 영역 정보 추출부(36)에 출력함과 함께 기억부(31B)에 저장한다.
도 7은, 작업원 정보 생성부(34)에 있어서의 작업원 정보(360)를 생성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작업원 정보 생성부(34)에서는, 먼저, 작업원 리스트(340)를 불러오고(단계 S700), 작업원 리스트(340)에 포함되는 작업원 ID 중에서 첫 번째의 작업원 ID(ID=「A」)를 선택한다(단계 S710). 이어서, 작업원 신호(140)를 불러오고(단계 S720), 작업원 신호(140)에 포함되는 작업원 ID가 선택한 작업원 ID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단계 S730), 해당하는 경우는 작업원 정보(360)에 작업원 ID와 위치 정보를 기록한다(단계 S740).
이상은 작업원 ID가 「A」인 작업원에 관한 것이며, 작업원 정보(360)에 작업원 ID와 위치 정보를 기록한 후에는, 마찬가지의 처리를 작업원 리스트(340)에 포함되는 모든 작업원 ID에 관하여 행하고(단계 S750, S760), 모든 작업원 ID에 관하여 마찬가지의 처리가 완료하면 작업원 정보(360)를 출력하여 기억부(31B)에 저장한다(단계 S770).
· 작업 기계 정보 생성부
작업 기계 정보 생성부(35)는, 현장 관리 통신 장치(32)에서 수신되는 차체 신호(110)의 수신 결과와 기억부(31B)에 저장된 작업 기계 리스트(310)를 이용하여 작업 기계 정보(350)를 생성한다.
작업 기계 정보(350)는,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작업 기계 ID에 위치, 작업 영역,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의 정보를 기록한 것이며, 차체 신호(110)의 수신 결과에 기초하여, 작업 기계 리스트(310)에 기재된 모든 작업 기계 ID에 관하여 작업 기계 정보(350)를 생성한다. 생성한 작업 기계 정보(350)는, 작업 영역 정보 추출부(36)에 출력함과 함께 기억부(31B)에 저장한다.
도 8은, 작업 기계 정보 생성부(35)에 있어서의 작업 기계 정보(350)를 생성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작업 기계 정보 생성부(35)에서는, 먼저, 작업 기계 리스트(310)를 불러오고(단계 S800), 작업 기계 리스트(310)에 포함되는 작업 기계 ID 중에서 첫 번째의 작업 기계 ID(ID=「α」)를 선택한다(단계 S810). 이어서, 차체 신호(110)를 불러오고(단계 S820), 차체 신호(110)에 포함되는 작업 기계 ID가 선택한 작업 기계 ID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단계 S830), 해당하는 경우는 작업 기계 정보(350)에 작업 기계 ID, 위치, 작업 영역,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의 정보를 기록한다(단계 S840).
이상은 작업 기계 ID가 「α」인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며, 작업 기계 정보(350)에 작업 기계 ID, 위치, 작업 영역,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의 정보를 기록한 후에는, 마찬가지의 처리를 작업 기계 리스트(310)에 포함되는 모든 작업 기계 ID에 관하여 행하고(단계 S850, S860), 모든 작업 기계 ID에 관하여 마찬가지의 처리가 완료하면 작업 기계 정보(350)를 출력하여 기억부(31B)에 저장한다(단계 S870).
· 작업 영역 정보 추출부
작업 영역 정보 추출부(36)는, 작업원 정보 생성부(34)의 생성하는 작업원 정보(360)와, 작업 기계 정보 생성부(35)의 생성하는 작업 기계 정보(350)를 이용하여, 각 작업원 단말 장치에 통지해야 하는 작업 영역 정보를 추출하고, 작업원 ID마다 작업 영역 정보(380)를 생성한다.
작업 영역 정보(380)는,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 기계 ID, 위치, 작업 영역, 작업 영역 갱신 플래그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현장 관리 시스템에서는, 각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 내에 존재하는 작업원(100)에 대해서만, 작업 영역 정보(380)를 생성하고, 작업 영역(250)을 통지한다.
도 9는, 작업 영역 정보 추출부(36)에 있어서의 작업 영역 정보(380)를 생성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작업 영역 정보 추출부(36)에서는, 작업원 리스트(340)에 포함되는 작업원 ID 중에서 첫 번째의 작업원 ID(ID=「A」)를 선택하고(단계 S900), 작업원 정보(360)에 포함되는 당해 작업원 ID의 위치 정보를 불러온다(단계 S905). 이어서, 작업 기계 정보(350)에 포함되는 첫 번째의 작업 기계 ID를 선택하고(단계 S910), 당해 작업 기계의 작업 기계 정보(350)를 불러온다(단계 S915). 이어서, 작업 기계 정보(350)의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의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한 작업원의 존재 위치가 당해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 내인지의 여부를 판정하여(단계 S920),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 내인 경우는, 당해 작업 영역은 과거의 작업 영역 정보(380)(예를 들면 1 제어 사이클 전에 생성된 작업 영역 정보(380))에 존재하고 있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925), 존재하고 있었던 경우는, 추가로, 당해 작업 영역이 과거의 작업 영역 정보(380)(예를 들면 1 제어 사이클 전에 생성된 작업 영역 정보(380))에 포함되는 것과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정하며(단계 S930), 동일한 경우는, 작업 영역이 과거의 작업 영역 정보(380)에 포함되어 있었던 것으로부터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작업 영역 갱신 플래그를 「0」으로 한다(단계 S935). 한편, 작업 영역은 과거의 작업 영역 정보(380)에 존재하고 있지 않았던 경우 및 작업 영역이 과거의 작업 영역 정보(380)에 포함되어 있었던 것과 상이한 경우는, 작업 영역 변경 플래그를 「1」로 한다(단계 S940). 그리고, 작업 영역 정보(380)에 당해 작업 기계 ID, 당해 작업 기계의 위치 및 작업 영역 정보, 작업 영역 갱신 플래그를 작업원(100)에게 통지해야 하는 정보로서 기록한다(단계 S945).
이상은 작업원 ID가 「A」인 작업원에 관한 것이며, 마찬가지의 처리를 작업원 리스트(340)에 포함되는 모든 작업원 ID에 관하여 행한다(단계 S950, S955).
또한, 이상은 작업 기계 ID가 작업 기계 정보(350)에 포함되는 첫 번째의 작업 기계 ID에 대한 것이며, 마찬가지의 처리를 작업 기계 정보(350)에 포함되는 모든 작업 기계 ID에 관하여 행한다(단계 S960, S965). 모든 작업 기계 ID에 관하여 마찬가지의 처리가 완료하면 작업 영역 정보(380)를 작업 영역 통지 신호 출력부(37)에 출력한다(단계 S970).
· 작업 영역 통지 신호 출력부
작업 영역 통지 신호 출력부(37)는, 작업 영역 정보 추출부(36)의 생성하는 작업 영역 정보(380)를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로 변환하고, 해당하는 작업원 단말 장치(40)에 대하여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송신하도록 현장 관리 통신 장치(32)에 지령을 출력한다.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는, 도 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하는 작업 기계의 대수만큼의 작업 영역 정보를 저장한 신호이며, 각 작업 영역 정보는 작업 기계 ID, 작업 기계의 위치, 작업 영역, 작업 영역 갱신 플래그로 구성된다. 작업 영역 통지 신호 출력부(37)에서는, 작업원 리스트(340)에 기재된 모든 작업원 ID에 관하여, 작업 영역 정보(380)에 저장되는 작업 기계 ID만큼의 정보를 작업 영역 정보로서 서로 연결시켜,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로 한다.
[현장 관리 통신 장치]
현장 관리 통신 장치(32)는, 작업 현장 내 무선 네트워크, 휴대전화망 등을 이용하여, 작업원 단말 장치(40) 및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와의 통신을 행하는 장치이다. 작업원 단말 장치(40)로부터의 작업원 신호(140) 및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의 차체 신호(110)를 수신하여, 현장 관리용 제어 장치(31)에 출력한다. 또한, 현장 관리용 제어 장치(31)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작업원 단말 장치(40)에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가 얻어진다.
1. 현장 관리 장치(30)는, 작업원 단말 장치(40)로부터 송신되는 작업원 신호(140)에 기초하여 작업원 단말 장치(40)의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원 정보(360)를 생성하고,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차체 신호(110)에 기초하여 작업 기계(1)의 위치 및 작업 기계(1)가 동작하는 작업 영역(250)을 포함하는 작업 기계 정보(350)를 생성하고, 작업원 정보(360) 및 작업 기계 정보(350)에 기초하여 작업 기계(1)의 위치 및 작업 영역(250)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 정보(380)를 생성하고, 작업 영역 정보(380)를 포함하는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작업원 단말 장치(40)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작업원(100) 및 작업 기계(1)가 작업하는 작업 현장에 있어서, 작업원 단말 장치(40) 및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현장 관리 장치(30)에 있어서, 작업원(100)의 위치, 작업 기계(1)의 위치 및 작업 영역(250)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을 작업원(100)에게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작업원(100)은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을 항상 인식하여, 작업 영역(250)으로의 부주의한 침입을 회피할 수 있다.
2. 작업원 단말 장치(40)는, 현장 관리 장치(30)로부터 송신되는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수신하고,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에 기초하여, 작업원(100)에 대하여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을 통지한다.
이에 의해 작업원(100)은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을 항상 인식하여, 작업 영역(250)으로 침입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3. 현장 관리 장치(30)는,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차체 신호(110)에 기초하여, 작업 기계 정보(350)로서, 작업 기계(1)의 위치와 작업 영역(250)에 추가하여, 작업 기계(1)의 소정 범위 내로 설정한, 작업 영역(250)을 통지해야 하는 작업원 단말 장치(40)의 존재 영역인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을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고, 작업원 단말 장치(40)의 위치가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 내인 경우에 작업 영역 정보(380)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작업원의 위치가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 내인 경우에 작업원 단말 장치(40)를 이용한 통지를 행하기 때문에, 작업 현장에 다수의 작업 기계(1)가 존재하는 경우라도, 작업원(100)은, 자신과 관계가 깊은 작업 기계(1)의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4. 현장 관리 장치(30)는,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이 지금까지의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에 포함되는 작업 영역(250)과 상이한 경우에, 작업 영역 정보(380)로서, 작업 영역 갱신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작업 영역에 변경이 생긴 경우에만 통지가 행해지기 때문에, 작업 현장에서 다수의 작업 기계(1)가 가동하고 있는 경우라도, 정말로 확인해야 하는 정보만을 작업원(100)에게 통지할 수 있다.
5. 현장 관리 장치(30)는,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이 지금까지의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에 포함되는 작업 영역(250)과 상이한 경우, 및 작업원 단말 장치(40)가 새로운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에 침입하여 작업 영역 정보(380)에 새로운 상기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250)이 포함된 경우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작업 영역 정보(380)로서, 작업 영역 갱신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작업 영역에 변경이 생긴 경우뿐만 아니라, 작업원(100)의 이동에 따라 작업원(100)이 새롭게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에 침입한 경우에도 통지가 행해져, 작업 현장에서 다수의 작업 기계(1)가 가동하고 있는 경우라도, 정말로 확인해야 하는 정보만을 작업원(100)에게 통지할 수 있다.
<변경례>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변경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작업 영역 통지 신호 변경례]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현장 관리용 제어 장치(31)에 있어서, 작업 현장에서 가동하고 있는 작업 기계(1) 중, 당해 작업원(100)의 위치가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 내인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을 추출하여,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로서 작업원 단말 장치(40)에 송신하는 예를 나타냈다. 한편, 작업원(100)에게 통지할 필요가 있는 것은, 작업 영역(250)에 변경이 생긴 경우나, 작업원(100)의 이동 또는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의 변경에 따라 작업원(100)이 새롭게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에 침입한 경우이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영역의 갱신의 유무를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의 작업 영역 갱신 플래그를 이용하여 표시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에는, 전회의 송신으로부터 변경이 있었던 작업 영역 정보만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는, 작업 영역 통지 신호 출력부(37)에 있어서, 작업 영역 정보(380) 중, 갱신 플래그가 「1」인 것만을 추출하여,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의 데이터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작업원 단말 장치(40)에 있어서, 통지 생성 시에 작업 영역의 갱신의 유무의 판정이 불필요해져, 작업원 단말 장치(40)의 연산 처리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좌표계 변경례]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원 신호(140)에 포함되는 작업원의 위치 정보, 차체 신호(110)에 포함되는 작업 기계의 위치 정보, 작업 영역(250),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을 글로벌 좌표계로 취급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좌표계는 반드시 글로벌 좌표계일 필요는 없고, 작업 현장에 설정된 현장 좌표계 등을 이용해도 된다. 또한,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에 있어서는 작업 영역(250) 및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을 차체 좌표계로서 취급하고, 현장 관리 장치(30)에 있어서, 작업 기계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작업 영역(250) 및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을 다른 좌표계로 변환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작업 영역 통지 영역 설정 방법 변경례]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을,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의 작업 영역 설정부(61)에서 설정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은, 반드시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에서 설정할 필요는 없고, 현장 관리 장치(30)에서 설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작업 기계마다의 특성을 고려하여 각각의 작업 기계(1)에 대하여 미리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을 정하고, 작업 기계 리스트(310)에, 작업 기계 ID에 대응하는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을 저장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을, 작업 영역(250)의 크기에 따라 변경하도록 구성하고, 현장 관리용 제어 장치(31)의 작업 기계 정보 생성부(35)에 있어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작업 기계(1)의 운전자의 설정의 수고를 줄일 수 있고, 또한, 차체 신호(110)의 데이터량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현장 관리 장치 송신 신호 추가예]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현장 관리 장치(30)로부터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작업원 단말 장치(40)에 송신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작업원 단말 장치(40)에 추가하여,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에도 송신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현장 관리용 제어 장치(31)의 작업 영역 정보 추출부(36)에 있어서, 작업원 리스트(340)에 기재된 모든 작업원 ID에 추가하여, 작업 기계 리스트(310)에 기재된 모든 작업 기계 ID에 관하여, 작업 영역 정보(380)를 생성한다. 또한, 작업 영역 통지 신호 출력부(37)에 있어서, 모든 작업원 ID에 추가하여 모든 작업 기계 ID에 관하여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생성하고, 작업원 단말 장치(40)에 추가하여,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에 대하여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송신하도록 현장 관리 통신 장치(32)에 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현장 관리 통신 장치(32)는, 작업원 단말 장치(40)에 추가하여,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에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송신한다.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추가하여, 작업 기계 통지 장치(80)(도 10 참조)를 구비한다.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의 작업 기계 통신 장치(55)는, 현장 관리 장치(30)의 송신하는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수신한다. 작업 기계 통지 장치(80)는,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에 기초하여, 다른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을 작업 기계(1)의 운전자에게 통지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작업 기계(1)의 운전자에 대하여, 근방에서 작업을 행하고 있는 다른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을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작업 기계끼리의 부주의한 접근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현장 관리 장치의 설치 장소 변경례]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현장 관리 장치(30)를 작업 현장 내의 관리 사무소 등에 설치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현장 관리 장치(30)는, 작업원 단말 장치(40) 및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와 통신을 개재하여 접속 가능하면, 어떠한 장소에 설치해도 된다. 다른 설치 개소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작업 기계(1) 상에 탑재하는 예나, 클라우드 상에 구성하는 예를 들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5b를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의 상세를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이용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현장 관리 시스템(2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현장 관리 장치(30)는,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에 대하여, 작업 기계(1)의 근방의 작업원(100)의 위치 및 작업 영역 확인 상황을 송신하고,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는, 작업원(100)의 접근을 작업 기계(1)의 운전자에게 통지한다.
<작업원 단말 장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작업원 단말 장치(40)는,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에 추가하여, 작업원 입력 장치(46)를 구비한다.
작업원 입력 장치(46)는, 작업원 단말 장치(40)를 휴대하는 작업원(100)이, 작업원 통지 장치(44)의 통지에 대한 응답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장치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현장 관리 시스템이 송수신하는 신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a, 도 12b 및 도 12c는, 현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생성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이다.
작업원 단말 연산 장치(42)는,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에 추가하여, 통지 확인 판정부(42D)를 구비하고, 작업원 신호 생성부(42A)에 있어서 도 11a에 나타내는 작업원 신호(140)를 생성한다.
통지 확인 판정부(42D)는,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와 작업원 입력 장치(46)의 입력에 기초하여, 작업원(100)이 작업원 통지 장치(44)의 통지를 확인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작업 영역 확인 정보(410)를 생성한다. 작업 영역 확인 정보(410)는, 작업 기계 ID, 작업 영역, 작업 영역 확인 플래그(작업 영역 확인 결과)를 리스트화한 것이다. 작업원(100)에 의한 확인이 행해진 경우에는, 작업 영역 확인 플래그를 「1」, 확인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 영역 확인 플래그를 「0」으로 한다.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에 포함되는 모든 작업 기계 ID에 관하여 작업 영역 확인 정보(410)를 생성하고, 작업원 신호 생성부(42A)에 출력한다.
작업원 신호 생성부(42A)는, 단말 위치 검출 장치(45)로부터 입력되는 위치 정보와, 통지 확인 판정부(42D)의 생성하는 작업 영역 확인 정보(410)에 기초하여, 도 11a에 나타내는 작업원 신호(140)를 생성한다. 작업원 신호(140)는, 작업원 단말 장치(40)를 휴대하는 작업원(100)을 식별하는 작업원 ID와, 작업원 단말 장치(40)의 위치 정보와, 작업 영역 확인 정보를 저장한 신호이다. 작업 영역 확인 정보는, 작업 기계 ID와 작업 영역 확인 플래그로 구성되고, 작업원 신호(140)에는,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에 포함되는 작업 기계 ID의 개수만큼의 작업 영역 확인 정보가 저장된다.
<현장 관리 장치>
제 2 실시형태의 현장 관리 장치(30)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지만, 현장 관리용 제어 장치(31)의 연산부(31A)는, 제 1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추가하여, 작업원 정보 추출부(38)와 작업원 상태 신호 출력부(39)를 구비하고, 현장 관리 통신 장치(32)는, 작업원 단말 장치(40)에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송신하는 것에 추가하여,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에 대하여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를 송신한다.
[현장 관리용 제어 장치]
· 작업원 정보 생성부
작업원 정보 생성부(34)는, 현장 관리 통신 장치(32)에서 수신되는 작업원 신호(140)의 수신 결과와 기억부(31B)에 저장된 작업원 리스트(340)를 이용하여 작업원 정보(360A)를 생성한다. 작업원 정보(360A)는,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작업원 ID에 위치 및 작업 영역 확인 정보를 기록한 것이며, 작업원 리스트(340)에 포함되는 모든 작업원 ID에 관하여 작업원 정보(360A)를 생성한다. 생성한 작업원 정보(360A)는, 작업 영역 정보 추출부(36) 및 작업원 정보 추출부(38)에 출력함과 함께 기억부(31B)에 저장한다.
· 작업원 정보 추출부
작업원 정보 추출부(38)는, 작업원 정보 생성부(34)의 생성하는 작업원 정보(360A)와, 작업 기계 정보 생성부(35)의 생성하는 작업 기계 정보(350)(도 6b 참조)를 이용하여, 각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에 통지해야 하는 작업원 정보를 추출하여, 작업 기계 ID마다 작업원 상태 정보(390)를 생성한다.
작업원 상태 정보(390)는,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원 ID, 위치, 작업 영역 확인 플래그(작업 영역 확인 결과)로 구성된다. 제 2 실시형태의 현장 관리 시스템은,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에,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의 탑재되는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 내에 존재하는 작업원(100)의 위치 및 작업 영역 확인 상황을 통지한다.
도 13은, 작업원 정보 추출부(38)에 있어서의 작업원 상태 정보(390)를 생성하는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작업원 정보 추출부(38)에서는, 작업 기계 리스트(310)에 기재된 모든 작업 기계 ID 중에서 첫 번째의 작업 기계 ID(ID=「α」)를 선택하고(단계 S1300), 당해 작업 기계 ID의 작업 기계 정보(350)(도 6b 참조)를 불러온다(단계 S1305). 또한, 작업원 정보 생성부(34)에 있어서 생성된 작업원 정보(360A)를 불러온다(단계 S1310). 이어서, 작업원 정보(360A)에 포함되는 첫 번째의 작업원 ID를 선택하고(단계 S1315), 작업 기계 정보(350)에 포함되는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의 정보와, 작업원 정보(360A)에 포함되는 작업원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작업원이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 내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320).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 외인 경우에는, 당해 작업원 ID에 관해서는, 작업원 상태 정보(390)로의 기록을 행하지 않는다.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 내인 경우는, 작업원 정보(360)의 작업 영역 확인 정보에 당해 작업 기계의 작업 기계 ID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한다(단계 S1325). 작업 기계 ID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작업원 상태 정보(390)에, 작업원 ID, 작업원 위치, 작업 영역 확인 플래그를 기록한다(단계 S1330). 또한, 작업원 정보(360A)의 작업 영역 확인 정보에 당해 작업 기계의 작업 기계 ID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에는, 작업원 상태 정보(390)에, 작업 영역 확인 플래그를 「0」으로 하여(단계 S1335), 작업원 ID, 작업원 위치, 작업 영역 확인 플래그를 기록한다(단계 S1340).
마찬가지의 처리를 작업원 정보(360A)에 포함되는 모든 작업원 ID에 관하여 행한다(단계 S1345, S1350).
이상은 작업 기계 ID가 「α」인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에 대한 것이며, 마찬가지의 처리를 작업 기계 리스트(310)에 기재된 모든 작업 기계 ID에 관하여 행한다(단계 S1355, S1360). 모든 작업 기계 ID에 관하여 마찬가지의 처리가 완료하면 작업원 상태 정보(390)를 출력한다(단계 S1365).
· 작업원 상태 신호 출력부
작업원 상태 신호 출력부(39)는, 작업원 정보 추출부(38)의 생성하는 작업원 상태 정보(390)를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로 변환하고, 해당하는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에 대하여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를 송신하도록, 현장 관리 통신 장치(32)에 지령을 출력한다.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는,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해당하는 작업원의 인원수만큼의 작업원 상태 정보를 저장한 신호이다. 각 작업원 상태 정보는, 작업원 ID, 위치 정보, 작업 영역 확인 플래그로 구성된다. 작업원 상태 신호 출력부(39)에서는, 작업 기계 리스트(310)에 기재된 모든 작업 기계 ID에 관하여, 작업원 상태 정보(390)에 저장된 작업원 ID만큼의 정보를 서로 연결시켜,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를 생성한다.
[현장 관리 통신 장치]
현장 관리 통신 장치(32)는, 작업원 단말 장치(40)로부터의 작업원 신호(140) 및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의 차체 신호(110)를 수신하여, 현장 관리용 제어 장치(31)에 출력한다. 또한, 현장 관리용 제어 장치(31)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작업 영역 통지 신호(130)를 작업원 단말 장치(40)에,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를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에 송신한다.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
제 2 실시형태의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는, 제 1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추가하여, 작업 기계 통지 장치(80)를 구비한다. 작업 기계 통신 장치(55)는, 차체 신호(110)의 송신에 추가하여,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의 수신을 행한다. 또한, 작업 기계 연산 장치(60)는, 제 1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추가하여, 작업원 접근 판정부(64)를 구비하고, 작업 기계(1)의 운전자에게 작업원(100)의 접근을 통지한다.
[작업 기계 통지 장치]
작업 기계 통지 장치(80)는, 작업 기계(1)의 운전자에게 작업원의 접근을 통지하기 위한 장치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지 장치(80)로서 표시 장치(81)와 경보 장치(82)를 구비한다.
표시 장치(81)는, 액정 패널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치로서, 작업 기계(1)의 운전실(4) 내에 마련된다. 표시 장치(81)는, 시각 정보에 의해, 작업 기계(1)의 운전자에게 작업 기계(1)의 주위의 작업원의 정보를 통지하기 위해 이용되고, 작업 기계 연산 장치(60)로부터의 표시 지령에 기초하여 표시를 행한다.
경보 장치(82)는, 소리 또는 음성 등을 발생 가능한 장치로서, 작업 기계(1)의 운전실(4) 내에 마련된다. 경보 장치(82)는, 청각 정보에 의해 작업 기계(1)의 운전자에게 작업 기계(1)의 주위의 작업원의 정보를 통지하기 위해 이용되고, 작업 기계 연산 장치(60)로부터의 경보 지령에 기초하여 경보음 등을 발생시킨다.
[작업 기계 통신 장치]
작업 기계 통신 장치(55)는, 작업 기계 연산 장치(60)의 생성하는 차체 신호(110)를 현장 관리 장치(30)에 송신하고, 현장 관리 장치(30)로부터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를 수신한다.
[작업 기계 연산 장치]
· 관리 시스템 통신부
관리 시스템 통신부(63)는, 차체 신호 생성부(62)의 출력하는 차체 신호(110)를 현장 관리 장치(30)에 송신하도록 작업 기계 통신 장치(55)에 지령을 출력한다. 또한, 작업 기계 통신 장치(55)를 개재하여 수신한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를 작업원 접근 판정부(64)에 출력한다.
· 작업원 접근 판정부
작업원 접근 판정부(64)는,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에 기초하여, 작업원의 접근을 판정하고, 작업 기계 통지 장치(80)로의 통지 지령을 생성한다. 통지의 지령은,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 근방에 작업원(100)이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의해 변경한다. 작업원 접근 판정부(64)의 처리 방법은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작업원(100)의 작업 영역 확인 상황에 따라, 통지를 변경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작업원 접근 판정부(64)에서는, 작업 영역(250)의 외측에 제 1 및 제 2의 2종류의 접근 통지 영역(270(270A, 270B))을 설정한다. 제 1 접근 통지 영역(270A)은,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을 확인을 마친 작업원(100)에게 이용하는 것이고, 제 2 접근 통지 영역(270B)은, 작업 기계(1)의 작업 영역(250)을 미확인한 작업원(100)에게 이용하는 것이다. 제 2 접근 통지 영역(270B)은, 제 1 접근 통지 영역(270A)보다 넓게(제 1 접근 통지 영역(270A)의 외측으로) 설정된다. 작업원 접근 판정부(64)는, 제 1 및 제 2의 2개의 접근 통지 영역(270A, 270B)과,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에 포함되는 각 작업원 ID의 위치 및 작업 영역 확인 플래그에 기초하여, 접근 통지의 필요와 불필요를 판정한다.
도 14는, 작업원 접근 판정부(64)에 있어서의 접근 판정의 처리 플로우를 나타내는 도이다.
작업원 접근 판정부(64)에서는, 먼저,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를 불러오고(단계 S1400),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에 포함되는 작업원 ID 중에서 첫 번째의 작업원 ID를 선택하여(단계 S1410),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에 포함되는 작업 영역 확인 플래그가 「1」인지를 판정한다(단계 S1420). 작업 영역 확인 플래그가 「1」인 경우에는, 작업원의 위치가 제 1 접근 통지 영역(270A) 내인지를 판정한다(단계 S1430). 작업원의 위치가 제 1 접근 통지 영역(270A) 내인 경우에는, 접근 통지 지령을 행하고(단계 S1440), 작업원의 위치가 제 1 접근 통지 영역(270A) 외인 경우에는, 접근 통지 지령은 행하지 않는다. 또한, 작업 영역 확인 플래그가 「0」인 경우에는, 작업원의 위치가 제 2 접근 통지 영역(270B) 내인지를 판정한다(단계 S1450). 작업원의 위치가 제 2 접근 통지 영역(270B) 내인 경우에는, 접근 통지 지령을 행하고(단계 S1460), 작업원의 위치가 제 2 접근 통지 영역(270B) 외인 경우에는, 접근 통지 지령은 행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처리를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에 포함되는 모든 작업원 상태 정보에 관하여 행한다(단계 S1470, S1480).
도 15a 및 도 15b는, 작업 기계 통지 장치(80)의 표시 장치(81)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작업원 접근 판정부(64)는, 표시 장치(81)에 대하여, 도 15a에 나타내는 표시예와 같이, 작업 기계(1)의 상면도, 작업 영역(250),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에 포함되는 작업원 위치를 묘화하도록 지령을 행한다. 묘화를 행할 때에, 작업 영역을 확인하고 있는 작업원과 확인하고 있지 않은 작업원, 즉 작업 영역 확인 플래그가 「1」인 작업원 ID와 「0」인 작업원 ID에서 상이한 표시로 해도 된다. 일례로서 도 15a 및 도 15b에 있어서, 작업 영역을 확인하고 있는 작업원은 ○표시로 나타내고, 작업 영역을 확인하고 있지 않은 작업원은 ☆표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5a 및 도 15b에 있어서는, 참고선으로서, 제 1 및 제 2 접근 통지 영역(270A, 279B)을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 1 및 제 2 접근 통지 영역(270A, 279B)은 표시 장치(81)에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접근 통지 지령이 있는 경우에는, 도 15b에 나타내는 표시예와 같이, 예를 들면 「작업 접근중! 작업원을 확인하여 주십시오」 등의 접근을 통지하는 메시지의 표시를 행함과 함께, 접근 통지 지령이 발령된 작업원에 관하여 다른 작업원과 상이한 표시를 행한다. 일례로서 도 15b에 있어서, 접근 통지 지령이 발령된 작업원을 폭발 표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접근 통지 지령이 있는 경우에는, 경보 장치(82)에 대하여 작업원의 접근을 통지하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지령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의 효과에 추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가 얻어진다.
1. 현장 관리 장치(30)는, 작업원 단말 장치(40)로부터 송신되는 작업원 신호(140)에 기초하여, 작업원 정보(360A)로서, 작업원 단말 장치(40)의 위치에 추가하여, 작업원(100)에 의한 작업 영역 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의해 작업 기계(1)의 운전자는, 작업 기계(1)의 근방에서 작업하는 작업원(100)의 상태를 파악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2.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는, 통지 장치(80)를 구비하며,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는, 현장 관리 장치(30)가 송신하는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를 수신하고,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에 기초하여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 내의 작업원(100)의 정보를 통지 장치(80)에 통지한다.
이에 의해 작업 기계(1)의 운전자는, 작업 기계(1)의 근방에서 작업하는 작업원(100)의 상태를 파악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3. 현장 관리 장치(30)는,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로부터 송신되는 차체 신호(110)에 기초하여, 작업 기계 정보(350)로서, 작업 기계(1)의 위치와 작업 영역(250)에 추가하여, 작업 기계(1)의 소정 범위 내로 설정한, 작업 영역(250)을 통지해야 하는 작업원 단말 장치(40)의 존재 영역인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을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고, 작업원 단말 장치(40)의 위치가 작업 영역 통지 영역(260) 내인 경우에, 작업원 정보(360A)로서, 작업원 단말 장치(40)의 위치에 추가하여 작업 영역 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고, 작업원 정보(360A)를 포함하는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를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에 송신한다.
이에 의해 작업원(100)이 작업 영역(250)을 파악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정보가 얻어지기 때문에, 작업 영역(250)을 인식하고 있지 않은 작업원(100)의 접근에 대하여 특히 주의를 기울여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작업 기계(1)와 작업원(100)의 지나친 접근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4.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10)는, 작업 영역(250)을 확인하고 있는 작업원(100)에 대한 제 1 접근 통지 영역(270A)과, 작업 영역(250)을 확인하고 있지 않은 작업원에 대한, 제 1 접근 통지 영역(270A)보다 넓은 제 2 접근 통지 영역(270B)을 설정하고,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에 기초하여, 작업원(100)이 작업 영역(250)을 확인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작업원(100)이 작업 영역(250)을 확인하고 있는 경우는,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150)에 포함되는 작업원 단말 장치(40)의 위치가 제 1 접근 통지 영역(270A) 내인지의 여부의 제 1 판정을 행하고, 작업원(100)이 작업 영역(250)을 확인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작업원 단말 장치(40)의 위치가 제 2 접근 통지 영역(270B) 내인지의 여부의 제 2 판정을 행하여, 제 1 및 제 2 판정에서 작업원 단말 장치(40)의 위치가 각각 제 1 및 제 2 접근 통지 영역(270A, 270B) 내인 경우에, 통지 장치(80)에 접근 통지를 행하게 한다.
이에 의해 작업 영역(250)을 인식하고 있지 않은 작업원(100)의 접근에 대해서는 넓은 접근 통지 영역(270B)을 이용하여 빠르게 대처를 행하는 것이 용이해져, 작업 기계(1)와 작업원(100)의 접촉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1 : 작업 기계
10 :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
30 : 현장 관리 장치
31 : 현장 관리용 제어 장치
31A : 연산부
31B : 기억부
32 : 현장 관리 통신 장치
34 : 작업원 정보 생성부
35 : 작업 기계 정보 생성부
36 : 작업 영역 정보 추출부
37 : 작업 영역 통지 신호 출력부
38 : 작업원 정보 추출부
39 : 작업원 상태 신호 출력부
40 : 작업원 단말 장치
42 : 작업원 단말 연산 장치
42A : 작업원 신호 생성부
42B : 관리 시스템 통신부
42C : 통지 생성부
42D : 통지 확인 판정부
44 : 작업원 통지 장치
45 : 단말 위치 검출 장치
46 : 작업원 입력 장치
50 : 차체 위치 검출 장치
53 : 설정 입력 장치
55 : 작업 기계 통신 장치
60 : 작업 기계 연산 장치
61 : 작업 영역 설정부
62 : 차체 신호 생성부
63 : 관리 시스템 통신부
64 : 작업원 접근 판정부
80 : 작업 기계 통지 장치
81 : 표시 장치
82 : 경보 장치
100 : 작업원
110 : 차체 신호
130 : 작업 영역 통지 신호
140 : 작업원 신호
150 :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
200 : 현장 관리 시스템
250 : 작업 영역
260 : 작업 영역 통지 영역
270A : 제 1 접근 통지 영역
270B : 제 2 접근 통지 영역
310 : 작업 기계 리스트
340 : 작업원 리스트
350 : 작업 기계 정보
360 : 작업원 정보
360A : 작업원 정보
360A : 작업원 정보
380 : 작업 영역 정보
390 : 작업원 상태 정보
410 : 작업 영역 확인 정보

Claims (11)

  1. 작업원에게 휴대되는 작업원 단말 장치 및 작업 기계에 탑재되는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와 접속되는 현장 관리 장치를 구비한 현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현장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작업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의 위치를 포함하는 작업원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차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기계의 위치 및 상기 작업 기계가 동작하는 작업 영역을 포함하는 작업 기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원 정보 및 상기 작업 기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기계의 위치 및 상기 작업 영역을 포함하는 작업 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 영역 통지 신호를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차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기계 정보로서, 상기 작업 기계의 위치와 상기 작업 영역에 추가하여, 상기 작업 영역의 주위의 소정 범위 내로 설정한 작업 영역 통지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상기 작업 영역 통지 영역 내인 경우에 상기 작업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이 지금까지의 상기 작업 영역 통지 신호에 포함되는 작업 영역과 상이한 경우에, 상기 작업 영역 정보로서, 작업 영역 갱신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차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기계 정보로서, 상기 작업 기계의 위치와 상기 작업 영역에 추가하여, 상기 작업 기계의 소정 범위 내로 설정한 작업 영역 통지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상기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 통지 영역 내이고, 상기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이 지금까지의 상기 작업 영역 통지 신호에 포함되는 작업 영역과 상이한 경우, 및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가 새로운 작업 영역 통지 영역에 침입하여 상기 작업 영역 정보에 새로운 상기 작업 기계의 작업 영역이 포함된 경우 중 어느 것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 정보로서, 작업 영역 갱신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작업원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원 정보로서,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의 위치에 추가하여, 상기 작업원에 의한 작업 영역 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관리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관리 장치는,
    상기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차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기계 정보로서, 상기 작업 기계의 위치와 상기 작업 영역에 추가하여, 상기 작업 기계의 소정 범위 내로 설정한 작업 영역 통지 영역을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상기 작업 영역 통지 영역 내인 경우에, 상기 작업원 정보로서,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의 위치에 추가하여 상기 작업 영역 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원 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를 상기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는,
    상기 작업원 신호로서 자신의 위치를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현장 관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차체 신호로서 자신의 위치 및 상기 작업 영역을 포함하는 신호를 상기 현장 관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는,
    상기 현장 관리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작업 영역 통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작업 영역 통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원에게 상기 작업 영역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관리 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는, 통지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현장 관리 장치가 송신하는 상기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영역 통지 영역 내의 작업원의 정보를 상기 통지 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관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작업 영역을 확인하고 있는 작업원에 대한 제 1 접근 통지 영역과, 상기 작업 영역을 확인하고 있지 않은 작업원에 대한, 상기 제 1 접근 통지 영역보다 넓은 제 2 접근 통지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원이 상기 작업 영역을 확인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작업원이 상기 작업 영역을 확인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상기 제 1 접근 통지 영역 내인지의 여부의 제 1 판정을 행하고, 상기 작업원이 상기 작업 영역을 확인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상기 제 2 접근 통지 영역 내인지의 여부의 제 2 판정을 행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판정에서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상기 제 1 또는 제 2 접근 통지 영역 내인 경우에, 상기 통지 장치에 접근 통지를 행하게 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현장 관리 시스템.
  10. 작업원에게 휴대되는 작업원 단말 장치 및 현장 관리 장치와 접속되는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를 구비한 작업 기계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 정보 처리 장치는,
    상기 작업 기계가 동작하는 작업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설정 입력 장치와,
    작업 기계 연산 장치와,
    통지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작업 기계 연산 장치는,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작업원 신호에 기초한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의 위치 및 상기 작업원에 의한 작업 영역 확인 결과를 포함하는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를 상기 현장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 기계의 소정 범위 내로 설정한 작업 영역 통지 영역 내의 작업원의 정보를 상기 통지 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기계 연산 장치는,
    상기 작업 영역을 확인하고 있는 작업원에 대한 제 1 접근 통지 영역과, 상기 작업 영역을 확인하고 있지 않은 작업원에 대한, 상기 제 1 접근 통지 영역보다 넓은 제 2 접근 통지 영역을 설정하며,
    상기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작업원이 상기 작업 영역을 확인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상기 작업원이 상기 작업 영역을 확인하고 있는 경우는, 상기 작업원 상태 통지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상기 제 1 접근 통지 영역 내인지의 여부의 제 1 판정을 행하고, 상기 작업원이 상기 작업 영역을 확인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상기 제 2 접근 통지 영역 내인지의 여부의 제 2 판정을 행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판정에서 상기 작업원 단말 장치의 위치가 상기 제 1 또는 제 2 접근 통지 영역 내인 경우에, 상기 통지 장치에 접근 통지를 행하는 것 특징으로 하는 작업 기계.
KR1020227006835A 2019-09-03 2020-08-28 현장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 KR202200387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160546A JP7340996B2 (ja) 2019-09-03 2019-09-03 現場管理システム
JPJP-P-2019-160546 2019-09-03
PCT/JP2020/032554 WO2021044959A1 (ja) 2019-09-03 2020-08-28 現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作業機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772A true KR20220038772A (ko) 2022-03-29

Family

ID=74849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6835A KR20220038772A (ko) 2019-09-03 2020-08-28 현장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33346A1 (ko)
EP (1) EP4006238A4 (ko)
JP (2) JP7340996B2 (ko)
KR (1) KR20220038772A (ko)
CN (1) CN114364846B (ko)
WO (1) WO20210449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65421A1 (en) * 2019-11-27 2022-10-05 Novatron Oy Method for determining situational awareness in worksite
JP2022157458A (ja) * 2021-03-31 2022-10-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施工管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装置、及び施工管理方法
US20230265640A1 (en) * 2022-02-24 2023-08-24 Caterpillar Inc. Work machine 3d exclusion zon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9718A (ja) 2014-04-28 2015-11-24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安全作業支援システム
JP2017193928A (ja) 2016-04-22 2017-10-26 大林道路株式会社 建設用重機による工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278A (ja) 1998-12-24 2000-07-11 Toda Constr Co Ltd クレーン作業における警報システム
JP4897152B2 (ja) * 2001-05-08 2012-03-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故障診断方法および建設機械の故障診断システム
JP2003105807A (ja) 2001-09-27 2003-04-09 Komatsu Ltd 作業車両の侵入禁止領域での停止制御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EP1441077B1 (en) * 2003-01-24 2011-03-16 Komatsu Ltd. Work machine management device
JP2007272487A (ja) * 2006-03-31 2007-10-18 Tcm Corp 作業エリアにおける相対位置認識システム
JP2008097592A (ja) 2006-09-12 2008-04-24 Chugoku Regional Development Bureau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 Transport 作業環境監視システム
JP2008101416A (ja) * 2006-10-20 2008-05-01 Hitachi Constr Mach Co Ltd 作業現場の管理システム
JP6352592B2 (ja) 2013-03-19 2018-07-0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
KR101797888B1 (ko) * 2013-12-11 2017-11-14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 기계, 작업 기계의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의 관리 방법
KR101843382B1 (ko) * 2015-09-30 2018-03-29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크롤러식 작업 기계의 주변 감시 장치
AU2015319797C1 (en) * 2015-10-30 2018-08-16 Komatsu Ltd. Mine management system and mine management method
JP6662622B2 (ja) 2015-11-30 2020-03-1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作業機械用周辺監視システム及び作業機械用周辺監視システムを備えた建設機械
JP6564954B2 (ja) * 2016-09-23 2019-08-21 日立建機株式会社 管制制御装置及び車載通信端末装置
CN107255987A (zh) * 2017-07-25 2017-10-17 安徽省唐骏重工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挖掘机工作状态远程监控方法
JP2019027049A (ja) 2017-07-26 2019-02-21 株式会社錢高組 重機運転及び作業者接近検知の警報方法及び情報管理システム
JP6678142B2 (ja) 2017-09-26 2020-04-0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員接近通知システム
JP7252137B2 (ja) 2017-12-04 2023-04-0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周辺監視装置
JP6894982B2 (ja) * 2017-12-06 2021-06-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群管理制御装置及び群管理制御方法
JP2020051092A (ja) * 2018-09-26 2020-04-0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情報表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9718A (ja) 2014-04-28 2015-11-24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用安全作業支援システム
JP2017193928A (ja) 2016-04-22 2017-10-26 大林道路株式会社 建設用重機による工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38571A (ja) 2021-03-11
JP7475525B2 (ja) 2024-04-26
JP2023139048A (ja) 2023-10-03
EP4006238A4 (en) 2023-09-06
US20220333346A1 (en) 2022-10-20
CN114364846A (zh) 2022-04-15
CN114364846B (zh) 2024-02-20
JP7340996B2 (ja) 2023-09-08
WO2021044959A1 (ja) 2021-03-11
EP4006238A1 (en)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38772A (ko) 현장 관리 시스템 및 작업 기계
WO2019111859A1 (ja) 周辺監視装置、情報処理端末、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454612B1 (ko) 건설기계용 안전관리시스템, 관리장치
US10635258B2 (en) User interface and earth-moving machine
US111206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damage to unseen utility assets
US11898330B2 (en) Heavy equipment hazard warning apparatus and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same
JP6863730B2 (ja) トンネル切羽の施工管理装置及び施工管理方法
KR20220137758A (ko) 검출 시스템 및 검출 방법
JP7263043B2 (ja) アラート出力システム、アラート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71208B2 (ja) 建設機械の作業支援装置
CN103886427B (zh) 扁平化指挥信息***圈层封控***及方法
GB2599465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ersonnel
JP5760484B2 (ja) 緊急指令システム
JP2019212014A (ja) インフラ災害警報システム、インフラ災害警報方法
GB2577960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ersonnel
JP5197127B2 (ja) 送電線作業管理システム
WO2021117285A1 (ja) 作業機械の遠隔操作支援システム
JP2021163402A (ja) 作業管理システム
JP2021127641A (ja) 作業機械の遠隔操作支援装置、及び遠隔操作支援システム
JP202302611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そ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