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2933A - 농업용 필름 - Google Patents

농업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2933A
KR20200132933A KR1020207029406A KR20207029406A KR20200132933A KR 20200132933 A KR20200132933 A KR 20200132933A KR 1020207029406 A KR1020207029406 A KR 1020207029406A KR 20207029406 A KR20207029406 A KR 20207029406A KR 20200132933 A KR20200132933 A KR 20200132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vinyl acetate
agricultural film
ethylene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0418B1 (ko
Inventor
겐타 무카이
고이치로 야마모토
히사오 고노헤
히로키 다카오카
Original Assignee
미츠이·다우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이·다우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이·다우 폴리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32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J2323/08Copolymers of eth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 Greenhou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는,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12질량% 이상 35질량% 이하이며,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 JIS K7210-1999, 190℃, 2160g 하중)가 4g/10분 이상 100g/10분 이하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메탈로센 촉매 중합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B)을 함유하고, 상기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 및 상기 폴리올레핀(B)의 함유 비율[(A):(B)]이, 질량비로 35:65~85:15인, 혼합물층을 가지는 농업용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농업용 필름
본 개시는, 농업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업용 필름으로서는, 광선 투과율이 큰 것이 요망되지만, 작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직달광(直達光)의 비율을 가능한 한 적게 하고, 산란광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면, 잎담배나 레터스와 같은 연약 야채의 육묘 하우스에 있어서는, 잎의 일소(日燒) 방지를 위하여, 직달광이 적은 농업용 필름의 사용이 불가결하다. 또한, 잎담배의 건조 하우스에 있어서는, 급건조의 방지, 혹은 잎 더미, 썩은 잎의 생출(生出) 방지를 위하여, 직달광이 적은 농업용 필름의 사용이 불가결하다. 그 때문에, 농업용 필름으로서, 이지(梨地) 타입(satin like)의 필름이 이용되어 왔다.
이지 타입의 농업용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제3219319호 공보에는, 최외층(最外層) 및 최내층(最內層) 중 적어도 일층이, 아세트산 비닐 함유량이 24~34중량%,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4~50g/10분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 및 MFR이 0.04~2.0g/10분의 저밀도 폴리에틸렌(B)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며, 또한 (A)와 (B)의 혼합 비율이(A)/(B)=35~90/65~10(중량비), 당해 혼합물의 평균 아세트산 비닐 함유량이 12~22중량%, 및 그 MFR비((A)의 MFR/(B)의 MFR)=10~100인 혼합물층이며, 당해 혼합물층과 다른 올레핀계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를 이루며, 전광선(全光線) 투과율이 80% 이상, 트랜스가 10% 이하인 농업용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특허 제3219319호 공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종래로부터,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표면이 이지상(狀)의 농업용 필름(플라스틱 필름)을 얻기 위하여, 여러가지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농업용 필름과 비교하여, 전광선 투과율과 헤이즈의 값을 허용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기계적 물성이 더욱 우수한 농업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이지상이란, 배 열매의 표피와 같이 부정형(不定形)이며 미세한 반점상(斑點狀)의 요철을 복수 가지며, 까칠까칠한 질감을 가지는 표면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전광선 투과율의 값은, 85% 이상 95% 미만이 허용 범위이며, 헤이즈의 값은, 70% 이상 95% 미만이 허용 범위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에는, 이하의 양태가 포함된다.
<1>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12질량% 이상 35질량% 이하이며,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 JIS K7210-1999, 190℃, 2160g 하중)가 4g/10분 이상 100g/10분 이하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메탈로센 촉매 중합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B)을 함유하고,
상기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 및 상기 폴리올레핀(B)의 함유 비율[(A):(B)]이, 질량비로 35:65~85:15인, 혼합물층을 가지는 농업용 필름.
<2>
상기 폴리올레핀(B)으로서, 추가로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1>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
<3>
상기 혼합물층 중의 수지 성분을 100질량%로 하였을 때 상기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평균 함유량이 9질량% 이상 30질량% 미만인 <1> 또는 <2>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
<4>
상기 혼합물층이 최외층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
<5>
상기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의 MFRA와, 상기 폴리올레핀(B)의 MFRB의 비(MFRA/MFRB)가, 10 이상 100 이하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농업용 필름.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전광선 투과율과 헤이즈의 값을 허용 범위 내로 유지하면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농업용 필름이 제공된다.
이하, 본 개시의 농업용 필름의 일례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개시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목적의 범위 내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을 추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 수치 범위에 있어서의 「~」은, 「~」의 전후의 수치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단계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어떤 수치 범위에서 기재된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다른 단계적인 기재의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으로 치환하여도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어떤 수치 범위에서 기재된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값으로 치환하여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양은,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당해 복수의 물질의 구성 단위를 의미한다.
[농업용 필름]
본 개시의 농업용 필름은,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12질량% 이상 35질량% 이하이며,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 JIS K7210-1999, 190℃, 2160g 하중)가 4g/10분 이상 100g/10분 이하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메탈로센 촉매 중합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B)을 함유하며, 상기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 및 상기 폴리올레핀(B)의 함유 비율[(A):(B)]이, 질량비로 35:65~85:15인, 혼합물층을 가진다.
본 개시의 농업용 필름은, 상기 범위의 MFR을 가지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를 상기 범위의 함유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농업용 필름으로서 전광선 투과율과 헤이즈의 값이 우수한 것이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추가하여, 폴리올레핀(B)에 대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메탈로센 촉매 중합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고, 추가로 상기 범위의 함유 비율로 배합함으로써, 전광선 투과율과 헤이즈의 값이 허용 범위 내에 머물면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것이 얻어진다고 생각된다.
이하, 본 개시의 농업용 필름에 포함되는 각 성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는, 일본 공업 규격 JIS K7210-1999에 준거하여, 190℃, 2160g 하중으로 측정되는 값〔g/10분〕이다.
〔혼합물층〕
본 개시의 농업용 필름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와, 폴리올레핀(B)을 함유하는 혼합물층을 가진다.
혼합물층은, 필요에 따라, 그 외의 중합체나 첨가제를 포함하여도 된다.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
본 개시에 이용되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는, 에틸렌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적어도 포함하며, 랜덤 공중합체여도, 블록 공중합체여도, 교호 공중합체여도 된다.
또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는, 아세트산 비닐 및 에틸렌 이외의 다른 모노머 단위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는, 아세트산 비닐 및 에틸렌 이외의 다른 모노머 단위를 포함하지 않고,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와,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에 의하여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는,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와, 아세트산 비닐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를 특정의 양으로 함유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다른 모노머가 추가로 공중합되어도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는,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12질량% 이상 35질량% 이하이다.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12질량% 이상 35질량% 이하이면, 얻어지는 필름의 헤이즈가 농업용 필름으로서 바람직한 것이 얻어진다.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헤이즈 값의 관점에서, 16질량% 이상 30질량%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고, 18질량% 이상 25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에틸렌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65질량% 이상 88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70질량% 이상 84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그 외의 모노머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은, 10질량% 이하의 비율로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의 MFR은, 4g/10분 이상 100g/10분 이하이며, 8g/10분 이상 60g/1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g/10분 이상 50g/10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2g/10분 이상 30g/10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의 MFR이, 4g/10분 이상 100g/10분 이하이면, 얻어지는 필름의 헤이즈 값이 농업용 필름으로서 바람직한 값이 된다.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는, 1종 단독으로 또는 공중합비 등이 다른 2종 이상을 조합시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농업용 필름의 혼합물층에 포함되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의 함유량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의 것을 얻는 관점에서, 혼합물층 전체에 대하여 35질량% 이상 8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B)>
폴리올레핀(B)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메탈로센 촉매 중합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폴리올레핀(B)이, 상기의 종류의 것을 포함함으로써, 본 개시의 농업용 필름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폴리올레핀(B)은, 기계적 물성, 특히 그레이브 인열(引裂) 강도, 및 파단 신장이 우수한 것을 얻는 관점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이란, 구(舊)JIS K6748:1995에 있어서, 밀도가 935kg/㎥ 이상의 폴리에틸렌이며, 통상은 저압법(低壓法) 혹은 중압법(中壓法)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저압법으로서는 치글러법을 들 수 있고, 중압법으로서는 필립스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메탈로센 촉매 중합 폴리에틸렌이란, 메탈로센 촉매와 같은 균일계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예를 들면 메탈로센 촉매로 제조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이란,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에 의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여도 된다.
또한, 폴리올레핀(B)은, 상기 이외의 다른 폴리올레핀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폴리올레핀으로서는, 고압법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불포화 카르본산계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과 공중합하는 에틸렌 이외의 α-올레핀(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4-메틸-1-펜텐 등)의 양을 많게 하여 결정성을 저하시키거나 실질 결정성을 나타내지 않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엘라스토머,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계 공중합체(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폴리부텐, 및 그 외 올레핀계 (공)중합체, 및 이들의 폴리머 블렌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농업용 필름의 혼합물층에 포함되는 폴리올레핀(B)의 함유량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의 것을 얻는 관점에서, 혼합물층 전체에 대하여, 15질량% 이상 6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혼합물층에 포함되는 폴리올레핀(B)의 중에는, 다른 폴리올레핀으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란, 구JIS K6748:1995에 있어서, 밀도가 930kg/㎥ 미만의 폴리에틸렌이며, 고압법(괴상(塊狀) 중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있어서의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 때,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은,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것을 얻는 관점에서, 혼합물층 전체에 대하여 30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20질량% 미만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질량% 미만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0질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폴리올레핀(B)의 MFR은, 이지상의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MFR이 5g/10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g/10분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g/10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하한은 0.04g/10분 이상이 바람직하다.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의 MFRA와 폴리올레핀(B)의 MFRB의 비(MFRA/MFRB)는 10 이상 1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 8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 이상 60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농업용 필름의 혼합물층에 있어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 및 폴리올레핀(B)의 함유 비율[(A):(B)]은, 질량비로 35:65~85:15이다.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의 상기 질량비가 상기의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얻어지는 필름의 헤이즈의 값 및 그레이브 인열 강도가 바람직한 것이 얻어진다.
따라서,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 및 폴리올레핀(B)의 질량비가 상기의 범위에 있음으로써, 헤이즈의 값을 허용 범위로 유지하면서,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농업용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 및 폴리올레핀(B)의 함유 비율[(A):(B)]은, 상기 범위 중에서도, 헤이즈의 값을 허용 범위로 유지하면서, 우수한 기계적 강도의 필름을 얻는 관점에서, 40:60~80:20인 것이 바람직하고, 45:55~75:2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55~70: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 외의 중합체>
혼합물층에는 그 외의 중합체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외의 중합체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의 중합체의 함유량은, 농업용 필름 전체에 대하여, 3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그 외의 첨가제>
혼합물층에는, 그 외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그 외의 첨가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화학 가교제, 가교 조제, 연화제, 충전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내후 안정제, 아세트산 보충제, 보온제, 자외선 흡수제, 방담(防曇)제, 방무(防霧)제 등이 적절히 배합된다. 보온제로서는, 혼합물층의 굴절률과 근사한 굴절률을 가지는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보온제는, 특별히 보온성이 좋고, 광선 투과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하이드로탈사이트의 사용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외의 첨가제의 함유량은, 농업용 필름 전체에 대하여, 3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혼합물층>
본 개시의 농업용 필름이 가지는 혼합물층은, 혼합물층 중의 수지 성분을 100질량%로 하였을 때에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평균 함유량이 9질량% 이상 30질량%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9질량% 이상 25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질량% 이상 23질량% 이하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혼합물층의 수지 성분 중,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평균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점착성을 억제하여 이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평균 함유량」은, JIS-K7192:1999에 준거하여 구할 수 있다. 이 방법은 폴리머를 전기로(爐)에서 500℃ 이상으로 가열하여 분해하고, 얻어진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아세트산을 중화 적정(滴定)에 의해 구하는 방법이며,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단체(單體)여도, 각종 폴리에틸렌과의 혼합물이어도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평균 함유량으로서 구할 수 있다.
혼합물층의 MFR은, 필름 가공성의 관점에서, 2g/10분 이상 7g/10분 이하가 바람직하고, 2g/10분 이상 5g/10분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혼합물층의 MFR은, 상기 범위 내인 것에 의해, 필름 가공성이 우수하다.
혼합물층 중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와 폴리올레핀(B)의 합계의 함유량은, 7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고, 80질량%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90질량% 이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혼합물층의 두께는, 3㎛ 이상 500㎛ 이하가 바람직하고, 10㎛ 이상 200㎛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혼합물층 이외의 층〕
본 개시의 농업용 필름은, 농업용 필름에 알맞은 기계적 강도, 내구성, 보온성 등의 필요 특성을 얻는 관점에서, 상기 혼합물층 이외의 층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혼합물층 이외의 층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올레핀 수지층, EVOH(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 등의 배리어성 수지를 이용한 배리어성 수지층, 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의 혼합물층은, 식물로의 과잉의 직달광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최외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
본 개시에 있어서의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조제 후, 공지의 방법으로 필름상(狀)으로 성형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하, 혼합물층을 단독으로 가지는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개시에 있어서의 농업용 필름의 제조방법은, 이하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성분을 드라이 블렌드 또는 멜트 블렌드함으로써, 상기 혼합물을 조제한다. 드라이 블렌드의 경우, 성형기 중에서 각 성분이 용융 가소화되는 단계에서 혼합된다. 또한, 멜트 블렌드의 경우, 단축 또는 2축 압출기 등의 각종 압출기, 반바리 믹서 등의 각종 믹서, 롤, 니더 등의 배합기나 혼합기를 이용하여 용융 혼합하면 된다. 멜트 블렌드의 경우의 혼합 순서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그 후, 예를 들면, 인플레이션법, 캐스트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필름상으로 성형한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형태는 이로 인해 조금도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부」 및 「%」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농업용 필름의 제조에 이용하는 성분의 상세한 것은 이하와 같다.
<1.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EVA-1):
아세트산 비닐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VA 함량) : 28질량%
MFR(JIS K7210-1999, 190℃, 하중 2160g) 15g/10분
(EVA-2):
아세트산 비닐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VA 함량) : 19질량%
MFR(JIS K7210-1999, 190℃, 하중 2160g) 15g/10분
(EVA-3):
아세트산 비닐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VA 함량) : 19질량%
MFR(JIS K7210-1999, 190℃, 하중 2160g) 2.5g/10분
(EVA-4):
아세트산 비닐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VA 함량) : 41질량%
MFR(JIS K7210-1999, 190℃, 하중 2160g) 65g/10분
(EVA-5):
아세트산 비닐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VA 함량) : 10질량%
MFR(JIS K7210-1999, 190℃, 하중 2160g) 9g/10분
<2. 폴리올레핀(PO)>
(PO-1):
종류 :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밀도 : (JIS K7112-1999) 920kg/㎥
MFR : (JIS K7210-1999, 190℃, 하중 2160g) 0.15g/10분
(PO-2):
종류 :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밀도 : (JIS K7112-1999) 950kg/㎥
MFR : (JIS K7210-1999, 190℃, 하중 2160g) 1.1g/10분
(PO-3):
종류 :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밀도 : (JIS K7112-1999) 940kg/㎥
MFR : (JIS K7210-1999, 190℃, 하중 2160g) 0.45g/10분
(PO-4):
종류 :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mPE:메탈로센 촉매 중합 폴리에틸렌)
밀도 : (JIS K7112-1999) 923kg/㎥
MFR : (JIS K7210-1999, 190℃, 하중 2160g) 1.3g/10분
[실시예 1]
(농업용 필름의 제조)
하기의 성분을 준비하였다.
<성분>
·EVA-1 : 80질량부
·PO-3 : 20질량부
-혼합물의 조제-
상기 성분을, 단축 압출기(압출기 스크루 직경:65㎜)를 이용하고, 다이 온도 180℃, 용융 존 온도 180℃의 조건 하에서, 멜트 블렌드한 바, 안정적으로 조립(造粒)할 수 있었다.
그리고, 멜트 블렌드 후의 혼합물에 대하여, 아세트산 비닐의 구성 단위의 함유량(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평균 함유량(단위:질량%); 표 1에서는 VA 함량이라고 표기한다) 및 MFR을, 이미 서술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중의 「-」라는 표기는, 해당 성분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성형-
멜트 블렌드한 상기 혼합물을, 단층 인플레이션 성형기(구경(口徑) 150㎜, 압출기 스크루 직경 50㎜)를 이용하고, 다이 온도 180℃, 용융 존 온도 180℃, LS(라인 속도) 5.0m/min, BUR(블로우업비) 2.1의 조건 하에서 튜브상(狀)으로 성형하는 것으로부터 혼합물층을 형성하고, 절경(折徑) 520㎜, 두께 50㎛의 농업용 필름을 얻었다.
[평가]
이하의 항목에 대하여, 얻어진 농업용 필름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전광선 투과율-
얻어진 농업용 필름에 대하여, 헤이즈 미터(스가시험기(주)제)로 JIS-K7136(2000년)에 준하여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여, 농업용 필름의 광선 투과율을 평가하는 지표로 하였다. 전광선 투과율은, 85% 이상 95% 미만이면 실용상의 문제가 없다.
-헤이즈-
얻어진 농업용 필름에 대하여, 헤이즈 미터(스가시험기(주)제)로 JIS-K7136(2000년)에 준하여 헤이즈를 측정하여, 농업용 필름의 이지상의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하였다. 헤이즈는, 70% 이상 95% 미만이면 실용상의 문제가 없다.
-파단점 응력-
얻어진 농업용 필름을 JIS-K6760:1995에 준거하여, 기계축방향을 MD방향, 기계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TD방향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파단점 응력은 18㎫ 이상(MD방향)이면 파단점 응력이 우수하다고 판단하였다.
-파단점 신장-
얻어진 농업용 필름을 JIS-K6760:1995에 준거하여, 기계축방향을 MD방향, 기계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TD방향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파단점 신장은 400% 이상이면 파단점 신장이 우수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레이브 인열 강도-
얻어진 농업용 필름을 JIS-K7128-3:1998에 준거하여, 기계축방향을 MD방향, 기계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TD방향으로 하여 측정하였다.
그레이브 인열 강도는, 70N/㎜ 이상(MD방향)이면, 그레이브 인열 강도가 우수하다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2~8, 비교예 1~7]
실시예 1에 있어서, 농업용 필름의 조성을 표 1을 따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농업용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2~8은, 혼합물을 조제할 때에 안정적으로 조립할 수 있었지만, 비교예 3은 조립성이 불안정하였다.
그리고, 얻어진 농업용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는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표 1~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농업용 필름은,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의 값이 허용 범위 내로 유지되고, 또한, 파단점 응력, 파단점 신장, 그레이브 인열 강도 중 어느 점에서도 우수하였다. 즉, 본 실시예의 농업용 필름은, 전광선 투과율 및 헤이즈의 값이 허용 범위 내로 유지되고, 또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의 농업용 필름은, 실시예의 것에 비하여, 헤이즈의 값 또는 기계적 강도 중 적어도 일방이 뒤떨어져 있었다. 예를 들면, 비교예 7은, 헤이즈의 값은 허용 범위이지만, 파단점 응력, 파단점 신장, 및 그레이브 인열 강도의 기계적 강도는 실시예의 것에 비하여 뒤떨어져 있었다.
2018년 3월 19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특원2018-051725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 포함되는 것이 구체적 또한 각각에 기재된 경우와 같은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참조에 의해 포함된다.

Claims (5)

  1.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함유량이 12질량% 이상 35질량% 이하이며,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 JIS K7210-1999, 190℃, 2160g 하중)가 4g/10분 이상 100g/10분 이하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및 메탈로센 촉매 중합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B)
    을 함유하고, 상기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 및 상기 폴리올레핀(B)의 함유 비율[(A):(B)]이, 질량비로 35:65~85:15인,
    혼합물층을 가지는 농업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B)으로서, 추가로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포함하는 농업용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층 중의 수지 성분을 100질량%로 하였을 때 상기 아세트산 비닐에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평균 함유량이 9질량% 이상 30질량% 미만인 농업용 필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층이 최외층인 농업용 필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A)의 MFRA와, 상기 폴리올레핀(B)의 MFRB의 비(MFRA/MFRB)가, 10 이상 100 이하인 농업용 필름.
KR1020207029406A 2018-03-19 2019-03-19 농업용 필름 KR102410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051725 2018-03-19
JP2018051725 2018-03-19
PCT/JP2019/011598 WO2019181986A1 (ja) 2018-03-19 2019-03-19 農業用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933A true KR20200132933A (ko) 2020-11-25
KR102410418B1 KR102410418B1 (ko) 2022-06-22

Family

ID=6798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406A KR102410418B1 (ko) 2018-03-19 2019-03-19 농업용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44508B2 (ko)
KR (1) KR102410418B1 (ko)
CN (1) CN111819239B (ko)
WO (1) WO201918198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3509A (ja) * 1992-11-11 1994-05-24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農業用フィルム
KR20070098590A (ko) * 2006-03-30 2007-10-0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농업용 필름
JP2010065143A (ja) * 2008-09-11 2010-03-25 Sumitomo Chemical Co Ltd 農業用フィルム
WO2015025899A1 (ja) * 2013-08-22 2015-02-26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農業用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5146A (ja) * 1983-02-08 1984-08-20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農業用フイルム
JPS61106645A (ja) * 1984-10-30 1986-05-24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絹布状感触を有するプラスチツクフイルム
JPS61106624A (ja) * 1985-07-15 1986-05-24 Daicel Chem Ind Ltd コポリアミド樹脂の製造法
JPH0788447B2 (ja) * 1985-08-14 1995-09-27 旭化成工業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系フイルム
JPH0788448B2 (ja) * 1985-08-14 1995-09-27 旭化成工業株式会社 ポリエチレンフイルム
JPH0999528A (ja) * 1995-10-04 1997-04-15 Chisso Corp 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多層フィルム
JP4302210B2 (ja) * 1997-09-18 2009-07-2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難燃性被覆断熱管
KR20030015882A (ko) * 2000-06-22 2003-02-25 엑손모빌 케미칼 패턴츠 인코포레이티드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고밀도 폴리에틸렌 블렌드
JP2003311890A (ja) * 2002-04-25 2003-11-06 Chisso Corp 農業用柔軟性多層フィルム
JP4778927B2 (ja) * 2007-04-27 2011-09-21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農業用積層フィルム
EP2206760B1 (en) * 2007-10-31 2012-12-19 Du Pont-Mitsui Polychemicals Co.,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or sheet
JP5063668B2 (ja) * 2009-11-28 2012-10-31 シーアイ化成株式会社 梨地状農業用ポリオレフィン系フィルム
EP2386411A1 (en) * 2010-05-03 2011-11-16 Cryovac, Inc. Multilayer barrier film for VSP packaging, method of packaging and packages obtained therewith
JP5985169B2 (ja) * 2011-10-18 2016-09-06 ダイワボウ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防水シート
EP2808907A4 (en) * 2012-01-27 2015-08-19 Bridgestone Corp SEALING FILM FOR SOLAR CELLS AND SOLAR CELL USING SAID SEALING FILM
JP6073590B2 (ja) * 2012-01-27 2017-02-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積層体形成用シート製造用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形成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3509A (ja) * 1992-11-11 1994-05-24 Du Pont Mitsui Polychem Co Ltd 農業用フィルム
KR20070098590A (ko) * 2006-03-30 2007-10-05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농업용 필름
JP2010065143A (ja) * 2008-09-11 2010-03-25 Sumitomo Chemical Co Ltd 農業用フィルム
WO2015025899A1 (ja) * 2013-08-22 2015-02-26 三井・デュポンポリケミカル株式会社 農業用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1986A1 (ja) 2019-09-26
JP7144508B2 (ja) 2022-09-29
KR102410418B1 (ko) 2022-06-22
JPWO2019181986A1 (ja) 2021-03-25
BR112020018924A2 (pt) 2020-12-29
CN111819239A (zh) 2020-10-23
CN111819239B (zh) 2023-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34963T3 (es) Composiciones poliméricas a base de etileno
EP1425344B1 (en) Multimodal polyethylene material
JP5198387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CN106133030B (zh) 包含炭黑和用于炭黑的载体聚合物的聚合物组合物
AU2002330228A1 (en) High density polyethylene melt blends for improved stress crack resistance in pipe
JP2015521679A (ja) プロピレン系エラストマーとランダム共重合体ポリプロピレンとを含むポリマーブレンド
CN107207796A (zh) 高密度聚乙烯
US11634567B2 (en) Dual component LLDPE copolymers with improved impact and tear resistance, and methods of their preparation
KR101820213B1 (ko) 일반포장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JP6471094B2 (ja) 農業用フィルム
KR100889220B1 (ko) 화학용기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2410418B1 (ko) 농업용 필름
JP2022012572A (ja) バイオマスコンパウンド用樹脂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バイオマスコンパウンド
KR102404680B1 (ko) 농업용 필름 제조를 위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20210066449A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의료용 호스
JP3833350B2 (ja) 中空成形用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
JP6771809B2 (ja) 医療用袋
KR10259248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JP3044557B2 (ja) エチレン重合体組成物
KR20190064340A (ko) 투명성, 연질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의료용 필름
KR100693390B1 (ko) 산소차단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KR101812887B1 (ko) 일반 공업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RU2021111372A (ru) Смеси из полиолефиновых смол для высокой стойкости к растрескиванию под действием напряжения и хорошей перерабатываемости
KR20240079945A (ko) 열접착성 및 젖음지수 경시변화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필름
KR20210065313A (ko) 열접착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