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484B1 -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484B1
KR102592484B1 KR1020200109342A KR20200109342A KR102592484B1 KR 102592484 B1 KR102592484 B1 KR 102592484B1 KR 1020200109342 A KR1020200109342 A KR 1020200109342A KR 20200109342 A KR20200109342 A KR 20200109342A KR 102592484 B1 KR102592484 B1 KR 102592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tyrene
thermoplastic resin
resin composition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8396A (ko
Inventor
서석범
박승빈
신나현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9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484B1/ko
Priority to US18/022,819 priority patent/US20230312901A1/en
Priority to PCT/KR2021/011237 priority patent/WO2022045710A1/ko
Priority to EP21862007.8A priority patent/EP4206277A1/en
Publication of KR20220028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8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4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2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08K5/134Phenols containing ester groups
    • C08K5/1345Carboxylic esters of phenol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08K5/526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00 내지 350,000g/mol인 제1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0 내지 50중량%,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200,000g/mol인 제2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50 내지 90중량%를 포함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00중량부; 및 폴리올레핀 수지 1 내지 25중량부; 를 포함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이며, 가공성, 유연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내구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PVC 제품은 이들의 뛰어난 물성, 저렴한 가격 등으로 인해 오래 전부터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 PVC 소재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유출에 의한 유연성 및 내구성 저하, 내분비계 장애의심물질인 염소 및 다이옥신 발생에 의해 체내에 해로운 물질을 발생시켜 애완 용품 소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이에 대체 소재로서 실리콘계 수지, 고무류 등이 연구되었지만, 종래 PVC 소재 대비 기계적 물성 저하, 상용성 및 생산성 저하로 인해 제조가 힘들고, 원료 수지가 고가라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애완 용품 소재로서 적합한, 종래 PVC 소재가 갖는 우수한 물성, 가공성을 가짐과 동시에 친환경적인 대체 소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친환경적이며, 가공성, 유연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내구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일 측면에 따르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조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00 내지 350,000g/mol인 제1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0 내지 50중량%,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200,000g/mol인 제2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50 내지 90중량%를 포함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00중량부; 및 폴리올레핀 수지 1 내지 25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2. 상기 제1 구현예에서, 상기 제1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kg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1 내지 7g/10분이고, 상기 제2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10 내지 30g/10분일 수 있다.
3. 상기 제1 또는 제2 구현예에서, 상기 제1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스티렌 함량이 30 초과 내지 40중량%이고, 상기 제2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5 내지 30중량%일 수 있다.
4. 상기 제1 내지 제3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1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및 상기 제2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1:1 내지 1:4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5. 상기 제1 내지 제4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틸렌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1:1 내지 3:1의 중량비를 가질 수 있다.
6. 상기 제1 내지 제5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0.01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황계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7. 상기 제1 내지 제6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활제 0.01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활제는 지방산계 왁스, 지방산 아마이드계 왁스, 탄화수소계 왁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8. 상기 제1 내지 제7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ISO 868에 의거하여 측정한 쇼어 A 경도가 59 이상일 수 있다.
9. 상기 제1 내지 제8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ISO 1133에 의거하여 230℃, 5kg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I)가 4g/10분 이상일 수 있다.
10. 상기 제1 내지 제9 구현예 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3763-98에 의거하여 100mm/min의 속도로 측정한 찌름강도(puncture strength)가 3.9kgf/mm 이상일 수 있다.
11.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성형품이 제공된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제1 내지 제10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친환경적이며, 가공성, 유연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내구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명세서 중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중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에서 "내지"는 ≥a이고 ≤b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00 내지 350,000g/mol인 제1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0 내지 50중량%,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200,000g/mol인 제2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50 내지 90중량%를 포함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00중량부; 및 폴리올레핀 수지 1 내지 25중량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중량평균분자량'은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를 사용하여 측정되는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평균분자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각 구성 성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1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제1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이하, '제1 SEBS'로도 지칭됨)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내구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00 내지 350,000g/mol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EBS의 중량평균분자량은 270,000 내지 350,000g/mol, 다른 예를 들면 300,000 내지 340,000g/mo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SEBS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총 중량의 10 내지 50중량%를 차지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내구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EBS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총 중량의 15 내지 50중량%, 다른 예를 들면 20 내지 50중량%, 또 다른 예를 들면 20 내지 42중량%를 차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SEBS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kg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I)가 1 내지 7g/10분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내구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EBS의 용융흐름지수(MI)는 1 내지 5g/10분, 다른 예를 들면 2 내지 3g/10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SEBS는 스티렌 함량이 30 초과 내지 40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내구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EBS의 스티렌 함량은 30 내지 35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SEBS는 ASTM D792에 의거하여 측정한 밀도가 0.80 내지 1.00g/cm3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유연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내구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EBS의 밀도는 0.85 내지 0.98g/cm3, 다른 예를 들면 0.85 내지 0.95g/cm3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제2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이하, '제2 SEBS'로도 지칭됨)는 제1 SEBS와 함께 적용되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성형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200,000g/mol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SEBS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10,000 내지 170,000g/mol, 다른 예를 들면 120,000 내지 160,000g/mol, 또 다른 예를 들면 130,000 내지 150,000g/mol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SEBS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총 중량의 50 내지 90중량%를 차지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SEBS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총 중량의 50 내지 85중량%, 다른 예를 들면 20 내지 80중량%, 또 다른 예를 들면 58 내지 80중량%를 차지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2 SEBS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kg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I)가 10 내지 30g/10분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SEBS의 용융흐름지수(MI)는 10 내지 25g/10분, 다른 예를 들면 10 내지 20g/10분, 또 다른 예를 들면 15 내지 20g/10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2 SEBS는 스티렌 함량이 5 내지 30중량%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SEBS의 스티렌 함량은 10 내지 30중량%, 다른 예를 들면 15 내지 30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2 SEBS는 ASTM D792에 의거하여 측정한 밀도가 0.80 내지 1.00g/cm3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SEBS의 밀도는 0.85 내지 0.98g/cm3, 다른 예를 들면 0.85 내지 0.95g/cm3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SEBS 및 제2 SEBS의 중량비는 1:1 내지 1:4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유연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내구성, 이들의 물성 밸런스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SEBS 및 제2 SEBS의 중량비는 1:1.4 내지 1:4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는 제1 SEBS, 제2 SEBS와 함께 적용되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가공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수지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의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이들의 혼합물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이들을 가교시킨 중합체; 폴리이소부텐을 포함하는 블렌드; 이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이들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1 내지 2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가공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수지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00중량부당 1 내지 20중량부, 다른 예를 들면 5 내지 20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틸렌은 ASTM D1238에 의거하여 190℃, 2.16kg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I)가 10 내지 40g/10분, 예를 들면 15 내지 35g/10분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향상 효과가 우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틸렌은 ASTM D1505에 의거하여 측정한 밀도가 0.80 내지 1.00g/cm3, 예를 들면 0.85 내지 0.95g/cm3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경량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ASTM D1238에 의거하여 190℃, 2.16kg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I)가 3 내지 12g/10분, 예를 들면 5 내지 10g/10분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향상 효과가 우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ASTM D792에 의거하여 측정한 밀도가 0.80 내지 1.00g/cm3, 예를 들면 0.85 내지 0.95g/cm3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경량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가공성이 보다 우수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1:1 내지 3: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가공성 등이 보다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수지 중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은 1.5:1 내지 2.5:1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 수지는 0.1:1 내지 10:1(예를 들면, 1:1 내지 10:1, 다른 예를 들면 1.1:1 내지 7:1)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유연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내구성 등이 우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2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와 폴리올레핀 수지의 중량비는 0.1:1 내지 20:1(예를 들면, 1:1 내지 20:1, 다른 예를 들면 5:1 내지 10:1)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 유연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내구성 등이 우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및 활제 중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
산화방지제로는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산화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황계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또는 2계 이상을 포함한 복합 산화방지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산화방지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산화방지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1 내지 5중량부, 예를 들면 0.05 내지 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다른 성분이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산화방지 효과, 특히 압출 공정 중의 폴리올레핀 수지의 산화방지 효과가 우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활제
활제는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제는 지방산계 왁스인 stearic acid, 지방산 아마이드계 왁스인 stearic amide, oleic amide, 탄화수소계 왁스인 paraffin wax, PE wax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활제의 사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활제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1중량부 내지 5중량부, 예를 들면 0.05중량부 내지 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에서 다른 성분이나 물성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분산 효과 및 슬립성이 우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분산제, 난연제, 충격보강제, 적하방지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안료, 염료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중량부 내지 10중량부, 예를 들면 0.05중량부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그 함량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170 내지 250℃, 예를 들면 170 내지 23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ISO 868에 의거하여 측정한 쇼어 A 경도가 59 이상, 예를 들면 59 내지 80, 다른 예를 들면 59 내지 70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ISO 1183에 의거하여 electronic densi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한 밀도가 0.80 내지 1.00g/cm3, 예를 들면 0.85 내지 0.98g/cm3, 다른 예를 들면 0.85 내지 0.95g/cm3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ISO 1133에 의거하여 230℃, 5kg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I)가 4g/10분 이상, 예를 들면 4 내지 50g/10분, 다른 예를 들면 4 내지 35g/10분, 또 다른 예를 들면 4 내지 30g/10분일 수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르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STM D3763-98에 의거하여 100mm/min의 속도로 측정한 찌름강도(puncture strength)가 3.9kgf/mm 이상, 예를 들면 4kgf/mm 이상, 다른 예를 들면 4.1kgf/mm 이상, 또 다른 예를 들면 4.2kgf/m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펠렛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 압출성형, 진공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다양한 성형방법을 통해 다양한 성형품(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성형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잘 알려져 있다. 상기 성형품은 친환경적이며, 가공성, 유연성, 탄성복원성, 경량성, 내구성, 이들의 물성 밸런스 등이 우수하므로, 애견 용품 등으로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a1)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0g/mol이고, 유동흐름지수(MI)가 3g/10min(230℃, 2.16kg, ASTM D1238)이고, 스티렌 함량이 32.5%(TDM-02)이고, 밀도가 0.91g/cm3(ASTM D792)인 제1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TAIPOL 6151, TSRC社)
(a2) 중량평균분자량이 340,000g/mol이고, 유동흐름지수(MI)가 2g/10min(230℃, 2.16kg, ASTM D1238)이고, 스티렌 함량이 33%(TDM-02)이고, 밀도가 0.91g/cm3(ASTM D792)인 제1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YH-503T, SINOPEC社)
(a3)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00g/mol이고, 유동흐름지수(MI)가 18g/10min(230℃, 2.16kg, ASTM D1238)이고, 스티렌 함량이 18.6%(TDM-02)이고, 밀도가 0.91g/cm3(ASTM D792)인 제2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G1643M, KRATON社)
(a4) 중량평균분자량이 130,000g/mol이고, 유동흐름지수(MI)가 18g/10min(230℃, 2.16kg, ASTM D1238)이고, 스티렌 함량이 29%(TDM-02)이고, 밀도가 0.91g/cm3(ASTM D792)인 제2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TAIPOL 6150, TSRC社)
(B) 폴리올레핀 수지
(b1) 유동흐름지수(MI)가 22g/10분(190℃, 2.16kg, ASTM D1238)이고, 밀도가 0.91g/cm3(ASTM D1505)인 폴리에틸렌 수지(XJ-700, 롯데케미칼社)
(b2) 유동흐름지수(MI)가 7.5g/10분(190℃, 2.16kg, ASTM D1238)이고, 밀도가 0.9g/cm3(ASTM D792)인 폴리프로필렌 수지(SEP-550H, 롯데케미칼社)
(C) 복합(인계 및 페놀계) 산화방지제: S41B, 송원산업社
(D) 아마이드계 활제: LC-140, 라이온켐텍社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7
상기 각 구성 성분을 하기 표 1, 표 2의 조성으로 인터널 믹서(internal mixer)로 혼합한 후, 이축 압출기(screw diameter 40mm, L/D 52)에 투입 속도 35kg/hr, 스크류 회전속도 300rpm, 압출온도 170℃ 내지 210℃의 조건 하에서 용융 압출하였다. 용융 압출로 얻은 스트랜드 형태의 압출물을 물로 냉각한 후, pelletizer로 펠렛화하였다.
이어서, 얻은 펠렛을 350톤 유압식 사출기를 이용하여 100mm × 120mm × 2mm 크기의 시편으로 제작하였다. 이때, 사출압력은 80MPa였다. 그리고, 호퍼의 온도는 50℃였고, 제1실린더-제2실린더-제3실린더-제1다이-제2다이의 온도는 190℃-210℃-220℃-230℃-220℃이었으며, 사출시간은 7초, 냉각시간은 60초로 하였다.
물성 측정 방법
(1) 쇼어 A 경도(Shore A hardness): ISO 868에 의거하여 쇼어 A 경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제조된 2mm 두께의 시편을 3장 겹쳐 측정하였으며, 측정 시작 15초 경과 후의 경도 값을 하기 표에 나타냈다.
(2) 밀도(단위: g/cm3): ISO 1183에 의거하여 electronic densi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3) 용융흐름지수(MI)(단위:g/10분): ISO 1133에 의거하여 230℃, 2.16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4) 찌름강도(puncture strength)(단위: kgf/mm): ASTM D3763-98에 의거하여 100mm/min 속도로 5회 측정하고, 그 평균값을 취하였다.
(5) 유동길이(spiral length)(mm) : 150MT 유압식 사출기의 온도를 190℃ 내지 230℃로 설정하여 스파이럴 몰드(두께 1mm 및 폭 1cm의 나선 형태의 금형)를 이용하여 120MPa의 압력, 50mm/s의 속도 및 5mm의 쿠션량을 유지하면서 사출 성형하여 유동길이를 측정하였다. 유동길이가 길수록 가공성(성형성)이 우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a1) (중량%) 20 41.18 20 20
(a2) (중량%) - - - -
(a3) (중량%) 80 58.82 80 80
(a4) (중량%) - - - -
(b1) (중량부) 11.18 11.18 11.18 -
(b2) (중량부) 5.88 5.88 - 5.88
(C) (중량부) 0.24 0.24 0.24 0.24
(D) (중량부) 0.35 0.35 0.35 0.35
쇼어 A 경도 59 64 62 59
밀도(g/cm3) 0.90 0.91 0.90 0.90
용융흐름지수(g/10분) 26 5.5 10 25.89
찌름강도(kgf/mm) 6.5 4.4 4.2 5.8
유동길이(cm) 49 37.1 34 35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a1) (중량%) - 100 - 58.82 41.18 58.82 80 5
(a2) (중량%) - - - 41.18 - - - -
(a3) (중량%) 100 - 58.82 - 58.82 41.18 20 95
(a4) (중량%) - - 41.18 - - - - -
(b1) (중량부) 11.18 11.18 11.18 - - 11.18 11.18 11.18
(b2) (중량부) 5.88 5.88 - 5.88 - 5.88 5.88 5.88
(C) (중량부) 0.24 0.24 0.24 0.24 0.24 0.24 0.24 0.24
(D) (중량부) 0.35 0.35 0.35 0.35 0.35 0.35 0.35 0.35
쇼어 A 경도 55 77 64 79 60 68 71 53
밀도(g/cm3) 0.90 0.91 0.90 0.91 0.91 0.91 0.91 0.90
용융흐름지수(g/10분) 40 0.5 37 0.3 9.5 3 1.1 71
찌름강도(kgf/mm) 3.3 1.8 3.6 1.6 3.1 3.6 2.4 8.8
유동길이(cm) 55 15 39.4 11 22 27 19.5 68
상기 표 1, 표 2로부터,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 경량성, 내구성 및 이들의 물성 밸런스가 모두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중량평균분자량이 250,000 내지 350,000g/mol인 제1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5 내지 42중량%, 및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200,000g/mol인 제2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58 내지 85중량%를 포함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100중량부; 및
    폴리올레핀 수지 1 내지 25중량부;를 포함하며,
    ISO 868에 의거하여 측정한 쇼어 A 경도가 59 이상이고,
    ASTM D3763-98에 의거하여 100mm/min의 속도로 측정한 찌름강도(puncture strength)가 4.2kgf/mm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30℃, 2.16kg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flow Index: MI)가 1 내지 7g/10분 이고, 상기 제2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10 내지 30g/10분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스티렌 함량이 30 초과 내지 40중량%이고, 상기 제2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5 내지 30중량%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틸렌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1:1 내지 3:1의 중량비를 갖는 것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0.01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아민계 산화방지제, 황계 산화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활제 0.01 내지 5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활제는 지방산계 왁스, 지방산 아마이드계 왁스, 탄화수소계 왁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ISO 1133에 의거하여 230℃, 5kg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I)가 4g/10분 이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10. 삭제
  11.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내지 제7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0200109342A 2020-08-28 2020-08-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2592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342A KR102592484B1 (ko) 2020-08-28 2020-08-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US18/022,819 US20230312901A1 (en) 2020-08-28 2021-08-24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Formed Therefrom
PCT/KR2021/011237 WO2022045710A1 (ko) 2020-08-28 2021-08-24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EP21862007.8A EP4206277A1 (en) 2020-08-28 2021-08-24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formed therefr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342A KR102592484B1 (ko) 2020-08-28 2020-08-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8396A KR20220028396A (ko) 2022-03-08
KR102592484B1 true KR102592484B1 (ko) 2023-10-20

Family

ID=8035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342A KR102592484B1 (ko) 2020-08-28 2020-08-28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12901A1 (ko)
EP (1) EP4206277A1 (ko)
KR (1) KR102592484B1 (ko)
WO (1) WO202204571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3138A1 (en) * 2006-11-13 2008-05-15 William Eugene Pecak Poly(arylene ether)/polyolefin composition, method, and article
US20120053285A1 (en) * 2009-05-20 2012-03-01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Tpe composition having good reseal, articles produced therefro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1486A (ja) * 1994-11-28 1996-06-11 Okamoto Ind Inc 樹脂組成物
KR100599448B1 (ko) * 2004-03-08 2006-07-12 명성통신 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코드의 제조 방법
JP6285041B2 (ja) * 2014-01-20 2018-02-28 サビック グローバル テクノロジーズ ベスローテン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組成物および物品
CN110483937A (zh) * 2019-08-08 2019-11-22 廊坊诚通高分子材料科技有限公司 超高回弹性抗磨损耐持久性tpr脚轮料及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13138A1 (en) * 2006-11-13 2008-05-15 William Eugene Pecak Poly(arylene ether)/polyolefin composition, method, and article
US20120053285A1 (en) * 2009-05-20 2012-03-01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Tpe composition having good reseal, articles produced therefro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06277A1 (en) 2023-07-05
WO2022045710A1 (ko) 2022-03-03
KR20220028396A (ko) 2022-03-08
US20230312901A1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22303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highly filled materials
CA2656615A1 (en) Thermoplastic article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 same using an improved masterbatch
JP7169142B2 (ja) 改変されたポリプロピレンおよびそのポリマーブレンド
KR101820213B1 (ko) 일반포장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100889220B1 (ko) 화학용기용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US20090326082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Articles from Recycled Materials
KR10259248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30055167A (ko)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106711B1 (ko) 이지필 필름의 밀봉층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밀봉층을 포함하는 이지필 필름
KR102528749B1 (ko)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의료용 호스
KR101871072B1 (ko) 이지필 필름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RU2471821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х композиций на основе полиэтилена низкого давления с повышенной стойкостью к растрескиванию
JP2019172061A (ja) エアバッグ収納カバー用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及びエアバッグ収納用カバー
KR102404680B1 (ko) 농업용 필름 제조를 위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JP7206697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7176358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WO2019098187A1 (ja) 樹脂組成物
KR20110064808A (ko) 워터백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1934652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723360B1 (ko) 외관 및 용기적재성이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조성물
JP3478288B2 (ja) カレンダー成形用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カレンダー成形用組成物および成形体
CN111819239B (zh) 农业用膜
JP7404633B2 (ja) インフレーション成形用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なる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
KR20190061407A (ko)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KR101424857B1 (ko) 중포장백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